KR20230109442A -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442A
KR20230109442A KR1020220005428A KR20220005428A KR20230109442A KR 20230109442 A KR20230109442 A KR 20230109442A KR 1020220005428 A KR1020220005428 A KR 1020220005428A KR 20220005428 A KR20220005428 A KR 20220005428A KR 20230109442 A KR20230109442 A KR 20230109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arc
side plate
circuit breaker
insul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오기환
서인수
오경환
김지형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20005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442A/ko
Priority to PCT/KR2023/000036 priority patent/WO2023136528A1/ko
Publication of KR2023010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09Interconnected mechanisms

Landscapes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 신장 성능이 향상된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는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 및 복수 개의 상기 그리드에 각각 면접하여 배치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Arc Distinguishing Unit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 신장 성능이 향상된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는 전기적으로 과부하 상태 또는 단락 사고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배선용 차단기는 크게 전원측 또는 부하측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 고정접촉자와 이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회로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는 접점부, 상기 가동접촉자를 움직여 회로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 기구, 회로 상에 흐르는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감지하여 개폐 기구의 트립(trip) 동작을 유도하는 트립부, 이상전류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하기 위한 아크 소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절연물로 형성되는 외함(case)(9) 내부에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에 전달되는 회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기 위해 마련되는 접점부를 구성하는 고정접촉자(1)와 가동접촉자(2), 상기 가동접촉자(2)를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기구부(4), 사고 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해 마련되는 소호부(3),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개폐기구를 트립시키기 위한 트립부(5) 등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도면 부호 8은 베이스 어셈블리의 외함(베이스라고 칭하기도 한다)이다.
회로에 사고 전류가 흐르면 트립부(5)와 개폐기구부(4)의 동작에 의해 트립 작동이 진행되어 고정접촉자(1)로부터 가동접촉자(2)를 분리시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데, 이때 접점부(1,2)에 아크가 발생한다. 이때, 아크의 크기(세기)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한다. 아크란 대기중의 기체가 전압에 의해 순간적으로 플라즈마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으로 아크 중심온도는 8,000 ~ 12,000℃에 이르며 폭발적인 팽창압력을 가진다. 이로 인해 접점부(1,2)를 용융, 소모시키고 주변 부품을 열화, 파괴시키는 특징을 지니므로 아크의 지속 여부는 차단기의 성능 및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아크는 소호부(3) 내에서 신속하게 차단되고 소호되며 배출되어야 한다.
이처럼,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사고 전류 발생시 아크를 처리하는 작업은 사고 전류를 차단하여 제품과 부하 및 선로를 보호하는데 있어서 주요 목표가 되며 차단기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 2 및 도 3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서 베이스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어셈블리에는 절연물로 사출 성형되는 베이스 어셈블리 외함(8)과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 외함(8)에 설치되는 접점부(1,2)와 소호부(3)가 포함된다. 도 2는 통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차단 상태를 나타낸다.
가동접촉자(2)는 샤프트(6)에 결합되어 회동한다. 가동접촉자(2)는 개폐기구부(4)의 힘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샤프트(6)에 결합되어 회동하며, 고정접촉자(1)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촉자(2)의 가동접점이 맞닿는 접점부는 소호부(3)의 측판(3a) 내부에 배치된다.
사고전류 차단시 베이스 어셈블리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고 전류가 발생하면, 트립부(5)의 작용에 의해 개폐 기구부(4)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샤프트(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접점부(1,2)에서는 아크가 발생하고, 아크는 아크 소호부(아크 챔버)(3) 내의 그리드(3b)로 이동하면서 분할 냉각되어 소호된다. 아크는 그리드(3b)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아크 전압이 높아지게 되고 종국에는 아크가 소멸하게 된다.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의 성공 여부는 신속한 아크 소호에 달려 있다. 즉 샤프트(6)의 회전 속도가 빨라야 하며, 발생된 아크가 그리드(3b)에 빠르게 퍼져 아크 전압이 높아져야 한다.
도 4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가 도시되어 있고, 도 5는 도 4에서 A-A 부분의 일부 단면도이다.
아크 소호부(3)는 측판(3a)과 그리드(3b)로 구성된다. 측판(3a)은 병렬 배치되는 한쌍으로 마련되고, 그리드(3b)는 양 측판(3a)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개로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는 제한된 공간으로 인해 그리드(3b)간 간격(d)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아크 소호를 위한 아크 신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6을 살펴보면, 상부의 도면에 차단 초기(t=t1)에 아크(A)가 그리드(3b)로 진입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아크(A)는 인접한 그리드(3b) 사이사이에 그리드(3b)간 간격으로 분할되어 진입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이후, 아크(A)는 압력에 의해 그리드(3b)의 후방으로 밀려나는데, 하부의 도면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차단 중기(t=t2)에 그리드(3b)의 후방에 이른 상태에서 아크(A)는 그리드(3b)간 간격에 해당하는 길이를 유지하고 있다.즉, 아크 신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단시 아크 신장이 증대되어 차단 성능이 향상된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는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 및 복수 개의 상기 그리드에 각각 면접하여 배치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그리드와 절연 부재는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그리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여 부재의 두께는 상기 그리드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그리드와 절연 부재 중에서 최하단의 절연 부재는 최하단의 그리드의 하면에 면접하도록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그리드와 절연 부재 중에서 나머지 절연 부재는 나머지 그리드의 상면에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에는 상기 그리드와 절연 부재가 함께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그리드에서 접점부에 인접하는 진입부는 상기 절연 부재에서 상기 접점부에 인접하는 절연재 진입부보다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선용차단기의 아크소호부는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 및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절연재 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절연재 결합체는,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 및 복수 개의 상기 그리드의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면접하도록 결합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에 의하면 그리드 일면에 절연 부재가 결합되는 그리드-절연재 결합체가 구비되어, 차단시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 사이에서 분할된 아크는 차단이 진행되면서 그리드 측면의 아크 부분은 아크 소호부 후방으로 진출하지만, 절연 부재 측면의 아크 부분은 아크 소호부 후방으로 진행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분할된 아크는 신장 효과가 증대된다.
따라서, 그리드의 열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그리드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서 베이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On 상태, 도 3은 Off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B-B 부분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B-B 부분으로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서 베이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On 상태, 도 9는 Off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그리드와 측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하나의 측판이 그리드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0에서 C-C 부분의 단면도 일부이다.
도 13은 도 10에서 C-C 부분으로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아크 차단시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100)의 아크 소호부(250)는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측판(251) 및 제2 측판(252); 상기 제1 측판(251)과 제2 측판(252)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270); 및 복수 개의 상기 그리드(270)에 각각 면접하여 배치되는 절연 부재(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서 베이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On 상태, 도 9는 Off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베이스 어셈블리 외함(119)의 일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접촉자(105,106), 상기 고정접촉자(105,106)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122,123), 및 상기 가동접촉자(122,123)가 상기 고정접촉자(105,106)로부터 분리될 때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는 아크아크소호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크소호부(250)는, 한 쌍의 측판(251,261); 상기 한 쌍의 측판(251,261) 사이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를 포함한다.
외함(101)은 배선용 차단기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지지한다. 외함(101)은 개략적으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외함(101)의 상면에는 핸들(103)이 노출된다. 핸들(103)은 사용자의 수동적인 조작력에 의해 개폐기구(102)를 동작시킨다.
외함(101)의 전,후면에는 전원 또는 부하와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108,109)가 마련된다. 단자부(108,109)는 각 상별로 (또는 각 극별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3상 4극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에 각 4개의 단자부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접촉자(105,106)가 외함(101)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접촉자(105,106)는 단자부(108,109)에 연결된다. 쌍접점형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 고정접촉자(105,106)는 전원측 및 부하측에 각각 마련된다. 즉, 전원측 고정접촉자(105)와 부하측 고정접촉자(106)가 구비된다. 이때, 전원측 고정접촉자(105)는 전원측 단자부(108)에 직접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하측 고정접촉자(106)는 트립기구(특히 히터(111))를 통해 부하측 단자부(109)에 연결될 수 있다.
접점부(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 인근에는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하여 아크소호부(아크소호장치, 아크챔버, 아크슈트)(250)가 마련된다. 쌍접점형 배선용 차단기(double circuit breaker)의 경우 아크소호부(250)는 전원측 및 부하측에 각각 마련된다. 아크소호부(250)는 한 쌍의 측판(251,261)과 상기 측판(251,261)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270)를 포함한다.
회로에 흐르는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개폐기구를 트립시키기 위한 트립부(110)가 외함(101)의 일부에 마련된다. 트립부(110)는 부하측에 마련되는 것이 보통이다. 트립부(110)는 부하측 단자부(109)에 연결되는 히터(111), 히터(111)에 결합되어 열을 감지하고 열량에 따라 만곡되는 바이메탈(112), 히터(111) 주변에 설치되는 마그넷(113)과 아마추어(114), 상기 바이메탈(112) 또는 아마추어(114)의 접촉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크로스바(115), 크로스바(115)의 회전에 의해 구속 또는 해제되어 개폐기구(102)의 네일(미도시)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슈터(11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소전류 지연 차단시에는 히터(111)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바이메탈(112)이 만곡하여 크로스바(115)가 회전하여 개폐기구(102)를 작동시키게 되고, 대전류 순시 차단시에는 마그넷(113)에 여자되는 자력에 의해 아마추어(114)가 흡인되면서 크로스바(115)를 회전시켜 개폐기구(102)가 작동하게 된다.
사용자의 조작력은 핸들(103)을 통해 개폐기구(102)에 전달된다. 개폐기구(102)의 동력을 각 상에 전달하기 위하여 개폐기구(102)에는 한 쌍의 회전핀(104)이 설치된다. 회전핀(104)은 모든 상을 가로지르는 길이로 형성되어 샤프트 어셈블리(또는 가동자 어셈블리)(120)에 설치된다.
베이스 어셈블리 외함(간략히 베이스)(119)이 마련된다. 베이스 어셈블리 외함(119)은 사출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어셈블리 외함(119)은 대략적으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베이스 어셈블리 외함(119)에는 접점부(105,106,122,123)와 아크소호부(250)가 설치된다. 베이스 어셈블리 외함(119)의 상부에는 개폐기구(102)가 설치될 수 있다.
샤프트 어셈블리(120)가 마련된다. 샤프트 어셈블리(120)에는 회전핀(104)이 관통 설치된다. 샤프트 어셈블리(120)는 회전핀(104)에 의해 개폐기구(102)의 개폐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샤프트 어셈블리(120)가 회전함에 따라 가동접촉자(122,123)도 회전하여 고정접촉자(105,106)에 접촉되거나 분리된다.
샤프트 어셈블리(120)는 샤프트 바디(121)와 가동접촉자(122,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프트 바디(12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샤프트 바디(121)의 평평한 양측면(원판면)에 축(125)이 돌출 형성된다. 샤프트 바디(121)에는 축(125) 방향에 나란하게 관통되어 회전핀(104)이 삽입될 수 있는 핀홀(126)이 한 쌍 형성된다.
가동접촉자(122,123)는 샤프트 바디(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접촉자(122,123)는 샤프트 바디(121)와 함께 또는 독자적으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접촉자(105,106)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선로를 통전시키거나 차단시킨다.
가동접촉자(122,123)의 양단부에는 고정접촉자(105,106)의 고정접점(105a,106a)에 접촉될 수 있는 가동접점(122a,123a)이 각각 구비된다. 가동접점(122a,123a)은 은(Ag) 합금 등 전기전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가동접촉자(122,123)는 일반적인 소전류나 대전류 차단 상황에서는 샤프트 바디(121)와 함께 회전하지만, 한류 차단시에는 급격한 전자반발력에 의해 가동접촉자(122,123)가 독자적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가동접촉자(122,123)는 샤프트 바디(121)의 샤프트 핀(미도시)에 접하여 회전이 멈추게 된다.
고정접촉자(105,106)의 양단부에는 고정접점(105a,106a)이 각각 구비된다. 고정접점(105a,106a)은 은(Ag) 합금 등 전기전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접촉자(105,106)의 고정접점(105a,106a)과 가동접촉자(122,123)의 가동접점(122a,123a) 주변에는 아크소호부(250)가 마련된다.
회로가 정상상태에 있는 경우 고정접촉자(105,106)의 고정접점(105a,106a)과 가동접촉자(122,123)의 가동접점(122a,123a)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회로에 사고전류가 발생하여 기구부(미도시)에 의해 가동접촉자(122,123)가 회전하여 가동접점(122a,123a)이 고정접점(105a,106a)으로부터 분리되어 전류가 차단된다. 이때, 가동접점(122a,123a)과 고정접점(105a,106a) 사이에서 아크가 발생하게 된다. 이 아크는 그리드(270)의 사이사이로 들어가면서 짧은 아크로 분할되며 아크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더불어, 아크 소호부 내에 존재하는 SF6 등 아크소호용 가스에 의해서 아크전압은 더욱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아크는 자유전자의 방출이 억제되면서 소멸되게 된다.
아크 소호부(25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그리드와 측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하나의 측판이 그리드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아크 소호부(아크 슈터)(250)는 대칭적으로 마주하여 한쌍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판(251,261)과 복수 개의 철판으로 형성되어 측판(251,261)에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적으로 삽입되는 그리드(270)를 포함한다. 아크 소호부(250)는 측판(251,261)와 그리드(270)에 둘러싸여 아크가 소호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이룬다.
측판(251,261)은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측판(251,261)은 절연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는 측판(251,261)에서는 반사되어 그리드(270)로 모이도록 할 수 있다.
측판(251,261)에는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가 결합될 수 있는 끼움홈(253,263) 및 끼움홀(254,264)이 각각 복수 개 형성된다.
측판(251,261)에는 그리드(270)의 다리부(276) 및 절연 부재(280)의 절연재 다리부(286)가 삽입되는 결합부(255,265)가 마련된다.
측판(251,261)은 다수 개의 지지판(252,262)아 돌출 형성되어, 각 지지판(252,262)과 인접한 지지판(252,262)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256,266)에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가 삽입된다.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가 마련된다. 여기서,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는 그리드(270)와 절연 부재(280)로 구성된다.
아크를 흡인하여 소호시키기 위하여 그리드(270)가 마련된다. 이때, 그리드(270)는 상기 한 쌍의 측판(251,261)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로 마련된다.
그리드(270)는 평판으로 형성된다. 그리드(270)는 아크를 흡인하기 유리하도록 철재로 형성된다. 그리드(270)의 양측면에는 측판(251,261)에 설치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273,274)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된다. 그리드(270)의 끼움돌기(273,274)가 측판(251,261)의 끼움홈(253,263) 및 끼움홀(254,264)에 끼움결합된다. 이때,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코킹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드(270)는 전방부(도면상 우측부분)에는 접점부가 삽입되고 아크가 흡입되는 진입부(272)가 형성된다. 진입부(272)는 아크(A)가 흡인되어 그리드(270)에 먼저 접촉하는 면이다.
그리드(270)에는 진입부(272)의 중앙부가 절개되어 절개부(275)가 형성된다. 절개부(275)는 접점부가 작동하며 아크가 분할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절개부(275)는 V자형 홈, U자형 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의 분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를 추가로 참조한다. 도 12는 도 10에서 C-C 부분의 단면도 일부이다.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측판(251,261)에 소정 간격(h)을 갖고 다층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와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의 사이사이로 아크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다.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가 적층 설치될 때의 간격은 아크의 분할 및 흡인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아크의 흡인 성능 향상 및 분진 흡수를 위해 흡착 그리드(140)가 마련된다. 흡착 그리드(140)는 베이스 어셈블리 외함(119)의 상부에 설치된다. 베이스 어셈블리 외함(119)의 상부에는 고정홈(118)이 형성되어 흡착 그리드(140)가 끼움 결합된다.
배기판(149)이 마련된다. 배기판(149)은 그리드(270)의 후방에 설치되어 아크 가스는 배출되고 외부의 이물질은 침입하기 어렵도록 마련된다. 배기판(149)에는 다수개의 통기홀(251)이 형성된다.
그리드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드(270)는 평판으로 형성된다. 그리드(270)는 알루미늄(Al) 등의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재료가 사용된다.
그리드(270)는 중앙판부(271)와 다리부(276)를 포함한다. 중앙판부(271)는 아크가 흡인되고 진입하면서 분할 냉각되는 면이다.
중앙판부(271)의 양측면에는 측판(251,261)에 설치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273,274) 복수 개가 이격하여 돌출 형성된다. 그리드(270)의 끼움돌기(273,274)가 측판(251,261)의 끼움홈(253,263)과 끼움홀(254,264)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코킹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중앙판부(271)의 전방부에는 접점부가 삽입되고 아크가 흡입되는 진입부(272)가 형성된다. 진입부(272)는 아크(A)가 흡인되어 그리드(270)에 먼저 접촉하는 면이다.
중앙판부(271)의 진입부(272)의 중앙부가 절개되어 절개부(275)가 형성된다. 절개부(275)는 접점부가 작동하며 아크가 분할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절개부(275)는 V자형 홈, U자형 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의 분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앙판부(271)의 진입부(272)의 양측에는 다리부(276)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다리부(276)는 측판(251,261)의 캡부(255,265)에 삽입 결합된다. 다리부(276)가 측판(251,261)의 캡부(255,265)에 고정되므로 그리드(270)는 안정적으로 측판(251,26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절연 부재(280)가 마련된다. 절연 부재(280)는 그리드(270)와 동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280)는 상면에서 볼때 상기 그리드(27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280)의 두께는 상기 그리드(27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측판(251,261)의 변경 없이 종래 사용하던 측판(251,261)의 삽입홈(256,266)에 그리드(270)와 절연 부재(280)를 함께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절연 부재(280)는 평판으로 형성된다. 절연 부재(280)는 절연성이 우수한 재료가 사용된다.
절연 부재(280)는 절연재 중앙판부(281)와 절연재 다리부(286)를 포함한다. 절연재 중앙판부(281)는 아크가 흡인되고 진입하면서 분할 냉각되는 면이다.
절연재 중앙판부(281)의 양측면에는 측판(251,261)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절연재 끼움돌기(283,284) 복수 개가 이격하여 돌출 형성된다. 절연 부재(280)의 절연재 끼움돌기(283,284)가 측판(251,261)의 끼움홈(253,263)과 끼움홀(254,264)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코킹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절연재 중앙판부(281)의 전방부에는 접점부가 삽입되고 아크가 흡입되는 절연재 진입부(282)가 형성된다. 절연재 진입부(282)는 아크(A)가 흡인되어 절연 부재(280)에 먼저 접촉하는 면이다.
절연재 중앙판부(281)의 절연재 진입부(282)의 중앙부가 절개되어 절연재 절개부(285)가 형성된다. 절연재 절개부(285)는 접점부가 작동하며 아크가 분할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절연재 절개부(285)는 V자형 홈, U자형 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의 분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절연재 중앙판부(281)의 절연재 진입부(282)의 양측에는 절연재 다리부(286)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절연재 다리부(286)는 측판(251,261)의 캡부(255,265)에 삽입 결합된다. 절연재 다리부(286)가 측판(251,261)의 캡부(255,265)에 고정되므로 절연 부재(280)는 안정적으로 측판(251,26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절연 부재(280)의 두께는 그리드(27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복수 개의 상기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는 최하단의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1,280-1)를 제외하고는 그리드(270)와 절연 부재(280)의 배치 순서가 동일하다. 즉,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는 그리드(270)가 아래 배치되고, 절연 부재(280)가 위에 배치된다. 달리 말하면, 절연 부재(280)가 그리드(270)의 상면에 면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 중에서 최하단의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는 최하단의 그리드(270-1)가 위체 배치되고, 최하단의 절연 부재(280-1)가 아래에 배치된다. 달리 말하면, 최하단의 절연 부재(280-1)는 최하단의 그리드(270-1)의 하면에 배치된다.
최하단의 그리드(270-1)와 제2단의 그리드(270)가 서로 면하고 있으므로, 다른 단의 그리드(270)에 비하여 아크 흡인 성능이 우수하다. 즉, 접점부에 인접한 그리드는 아크 흡인 성능이 감소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최하단의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는 절연 부재(280)가 하부에 배치되므로 접점부와의 절연 파괴가 방지된다.
도 13에는 도 10에서 C-C면을 따라 절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접점부가 접촉되어 있는 통전 상태이다. 접점부에 인접한 최하단의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는 최하단의 그리드(270-1) 아래에 최하단의 절연 부재(280-1)가 결합 된 것이 나타나 있다. 나머지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는 그리드(270)의 위에 절연 부재(280)가 결합되어 있다.
도 14는 차단시의 아크(A)의 진행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14의 상부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차단 초기(t=t1)에 아크(A)는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의 진입부(272, 282)를 통해 흡인된다. 아크(A)는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간 간격으로 분할된다. 이때, 아크(A)는 도 12에서와 같이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의 간격인 h의 크기로 분할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분할된 아크(A)를 살펴보면 일단은 그리드(270)의 진입부(272)에 접하고 타단은 절연재 진입부(282_에 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4의 하부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차단 중기(t=t2)에 아크(A)는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의 후방(도면상 왼쪽 부분)으로 빠져나간다. 이때, 그리드(270)의 진입부(272)로 흡인된 아크(A) 부분(즉, 아크의 상단부)은 그리드(270) 면을 따라서 후방으로 진출하는데 반하여, 절연 부재(280)의 절연재 진입부(282)로 흡인된 아크(A) 부분(즉, 아크의 하단부)은 그대로 머물러 있게 된다. 따라서 분할된 각 아크(A)는 신장이 효과적으로 일어나고 차단 성능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에 의하면 그리드 일면에 절연 부재가 결합되는 그리드-절연재 결합체가 구비되어, 차단시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 사이에서 분할된 아크는 차단이 진행되면서 그리드 측면의 아크 부분은 아크 소호부 후방으로 진출하지만, 절연 부재 측면의 아크 부분은 아크 소호부 후방으로 진행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분할된 아크는 신장 효과가 증대된다.
따라서, 그리드의 열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그리드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15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A)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이전 실시예의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의 그리드-절연재 결합체(270,280A)에서 그리드(270)의 길이는 절연 부재(280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절연 부재(280A)의 길이는 그리드(27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그리드(270)의 진입부(272)는 절연재 진입부(282A)에 비해 돌출된 상태에 놓인다. 따라서 차단 초기에 아크 흡인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고 최대한으로 흡인하도록 하는 동시에 차단 중기에 아크의 신장 효과가 증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외함
102 개폐기구
103 핸들
105,106 고정접촉자
108,109 단자부
110 트립부
120 샤프트 어셈블리
122,123 가동접촉자
250 아크 소호부
251,261 제1,제2 측판
252,262 지지판
256,266 삽입홈
270 그리드
271 중앙판부
272 진입부
273,274 결합돌기
275 절개부
276 다리부
280 절연 부재
281 절연재 중앙판부
282 절연재 진입부
283,284 절연재 결합돌기
285 절연재 절개부
286 절연재 다리부

Claims (8)

  1.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 및
    복수 개의 상기 그리드에 각각 면접하여 배치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배선용차단기의 소호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와 절연 부재는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배선용차단기의 소호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그리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의 두께는 상기 그리드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그리드와 절연 부재 중에서 최하단의 절연 부재는 최하단의 그리드의 하면에 면접하도록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그리드와 절연 부재 중에서 나머지 절연 부재는 나머지 그리드의 상면에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에는 상기 그리드와 절연 부재가 함께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에서 접점부에 인접하는 진입부는 상기 절연 부재에서 상기 접점부에 인접하는 절연재 진입부보다 연장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8.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 및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절연재 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절연재 결합체는,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 및
    복수 개의 상기 그리드의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면접하도록 결합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배선용차단기의 소호부.


KR1020220005428A 2022-01-13 2022-01-13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KR20230109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428A KR20230109442A (ko) 2022-01-13 2022-01-13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PCT/KR2023/000036 WO2023136528A1 (ko) 2022-01-13 2023-01-02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428A KR20230109442A (ko) 2022-01-13 2022-01-13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442A true KR20230109442A (ko) 2023-07-20

Family

ID=8742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428A KR20230109442A (ko) 2022-01-13 2022-01-13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94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35194A (ko) 배선용 차단기의 소호장치
JP2006108106A (ja) 配線用遮断器のプレッシャートリップ装置
KR10255881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US8772665B2 (en) Circuit breaker with arc extinguishing mechanism
KR200393296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소호장치
KR910002968B1 (ko) 회로차단기
US10811207B2 (en) Arc extinguishing unit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2026642B1 (ko) 배선용 차단기
RU2505876C2 (ru) Низковольт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KR20210007390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KR20230109442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KR10252450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KR10252235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KR20200114835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KR20230109443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US9805887B2 (en) Slot motor configuration for high amperage multi-finger circuit breaker
JP2003051236A (ja) 配線用回路しゃ断器
KR102549302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KR20230099417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부
KR20220063586A (ko) 배선용 차단기
KR20230109445A (ko) 배선용 차단기
CN216957944U (zh) 小型断路器
KR20220131077A (ko) 전자기력 발생부를 갖는 직류 차단기
KR20240054029A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20190002093U (ko) 배선용 차단기의 소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