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270A - 신호 처리 장치, 이미지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투사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장치, 이미지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투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270A
KR20230109270A KR1020220005016A KR20220005016A KR20230109270A KR 20230109270 A KR20230109270 A KR 20230109270A KR 1020220005016 A KR1020220005016 A KR 1020220005016A KR 20220005016 A KR20220005016 A KR 20220005016A KR 20230109270 A KR20230109270 A KR 20230109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e
driver module
im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270A/ko
Priority to US17/674,273 priority patent/US20230219493A1/en
Priority to DE102022201742.0A priority patent/DE102022201742A1/de
Priority to CN202210252766.3A priority patent/CN116489321A/zh
Publication of KR2023010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27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5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장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직렬 변환기(serializer)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 이미지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투사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SIGNAL,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AND METHOD FOR PROJECTING IMAGE THEREOF}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신호 처리 장치, 이미지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투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헤드램프는 야간이나 주변 환경이 어두운 터널, 안개, 우천 등의 상황에서 안정된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최근에는 고해상도 LED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차량의 헤드램프에도 고해상도 LED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헤드램프를 사용하여 노면 또는 특정 객체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기술 및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고해상도 LED를 이용한 헤드램프는 일반적인 헤드램프에 비해 많은 전장품 필요하고, 그에 따라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MCU(Micro Controlling Unit)를 필요로 한다.
고해상도 LED를 이용하여 노면 또는 특정 객체에 이미지를 투사하기 위한 헤드램프에서, 헤드램프를 구성하는 전장품 별로 이를 제어하기 위한 MCU를 따로 구비하는 경우, MCU의 개수 증가에 따라 재료비가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장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직렬 변환기(serial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직렬 변환기는,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인터페이스;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처리 모듈;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한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은 제1 드라이버 모듈 및 제2 드라이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모듈은 제1 출력 모듈 및 제2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제1 출력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제2 출력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드라이버 모듈은 주소값 설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주소값 설정 회로는 상기 제1 드라이버 모듈이 제1 주소값을 가지고, 상기 제2 드라이버 모듈이 제2 주소값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주소값 설정 회로는 풀업(pull-up) 저항 및 풀다운(pull-down)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주소값 또는 상기 제2 주소값으로 쿼리(query)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드라이버 모듈 또는 상기 제2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쿼리 신호를 수신한 경우, 확인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 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드라이버 모듈이 온(ON) 상태이고, 상기 제2 드라이버 모듈이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제1 주소값으로 상기 쿼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드라이버 모듈이 오프(OFF) 상태이고, 상기 제2 드라이버 모듈이 온(ON) 상태에서 상기 제2 주소값으로 상기 쿼리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드라이버 모듈 또는 상기 제2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쿼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확인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 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출력 모듈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상태 정보는 온도 정보, 이상 여부 정보, 및 전압 레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직렬 변환기(serial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 각각은, 상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여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병렬 변환기(de-serializer); 및 상기 병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신호 처리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은 원격으로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신호 처리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은 하나의 전송 선로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 모듈과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고, 상기 드라이버 모듈과 상기 전자 장치는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는 DC-DC 컨버터, 온도 센서, 모터, 전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신호 처리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은 비동기 제어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는,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저주파 대역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로 송신하고, 고주파 대역을 통해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투사 방법은,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한 이미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는, 각 전장품을 중앙 프로세서에서 제어함으로써, MCU 개수를 최소화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는, 드라이버 모듈의 주소값 설정 오류를 확인하여, 오제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는, 드라이버 모듈과 전자 장치가 별도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통신 과정에서 데이터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직렬 변환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값 설정 회로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값 설정 회로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가 드라이버 모듈의 주소값 설정 오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의 비동기 제어 방식에 기초한 통신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장치(1)는 프로세서(10) 및 직렬 변환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는 영상 신호 및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신호는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픽셀 데이터 및/또는 색상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직렬 변환기(20)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직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렬 데이터는 1 비트(bit) 단위로 직렬로 나열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직렬 변환기(20)는 이하의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장치(1)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외부의 장치(예를 들어, 드라이버)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는 직렬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고,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는 직렬 데이터를 임의의 비트 단위(ex. 1 비트 단위)로 순차적으로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는 외부 장치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에 기초한 직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MCU)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직렬 변환기(20)는 영상 인터페이스(21), 제어 인터페이스(22), 및 인코더(2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인터페이스(21)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제어 인터페이스(22)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인터페이스(21)는 영상 신호를, 제어 인터페이스(22)는 제어 신호를 각각 직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고,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는 각각 직렬 데이터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23)는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장치(1)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고, 인코더(23)는 통신 과정에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미지 출력 장치(1000)는 신호 처리 모듈(100) 및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신호 처리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처리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듈(100)은 영상 신호 및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100)은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모두 생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미지 출력 장치(100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MCU)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듈(100)은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모듈(100)은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드라이버 모듈(200)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듈(100)은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드라이버 모듈(200)은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신호에 기초한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 모듈(200)은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신호에 기초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출력 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고, 출력 모듈(300)의 제어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듈(100)과 드라이버 모듈(20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듈(100)과 드라이버 모듈(200)은 원격으로 통신할 수 있고, 하나의 전송 선로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선로는 신호를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전송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100)이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를 하나의 전송 선로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각각 다른 전송 선로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미지 출력 장치(1000)는 출력 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이미지 출력 장치(1000)는 도 3에 도시된 이미지 출력 장치(1000)와 비교하여 출력 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모듈(300)은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300)은 차량에 존재하는 각종 램프 예를 들어, 헤드램프, 리어램프, 테일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모듈(300)은 차량의 헤드램프일 수 있으며, 헤드램프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LED MATRIX를 이용한 고해상도 헤드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출력 모듈(300)은 복수개의 LED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LED 광원의 점등을 통해 이미지를 출력하여 노면 또는 특정 객체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모듈(300)은 각 LED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 모듈(100)은 프로세서(110) 및 직렬 변환기(120)를 포함할 수 있고, 드라이버 모듈(200)은 드라이버 IC(210) 및 병렬 변환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영상 신호 및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LED 광원의 점등 정보, 드라이버 주소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영상 신호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픽셀 데이터 및/또는 색상 데이터(ex. RGB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직렬 변환기(120)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직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직렬 변환기(120)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신호 처리 모듈(100)은 직렬 데이터를 임의의 비트 단위(ex. 1 비트 단위)로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 처리 모듈(100)은 직렬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드라이버 모듈(200)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병렬 변환기(220)는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여 병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병렬 변환기(220)는 신호 처리 모듈(100)이 한 비트씩 송신한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구성하는 비트를 병렬로 나열한 병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드라이버 모듈(200)은 병렬 변환기(220)가 변환한 병렬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시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이미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병렬 데이터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드라이버 IC(210)는 병렬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드라이버 IC(210)는 병렬 데이터로부터 출력할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출력 모듈(300)을 제어하여 영상 신호에 기초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 IC(210)는 출력 모듈(300)의 각 LED 광원의 점등을 제어하여 영상 신호에 기초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드라이버 모듈(200)은 제1 드라이버 모듈(230) 및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고, 출력 모듈(300)은 제1 출력 모듈(310) 및 제2 출력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모듈(300)은 헤드램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제1 출력 모듈(310) 좌측 헤드램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출력 모듈(320)은 우측 헤드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드라이버 모듈(200)은 제1 드라이버 모듈(230) 및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제 1 드라이버 모듈(230)은 제1 출력 모듈(310)을 제어하고,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은 제2 출력 모듈(3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 드라이버 모듈(200) 및 출력 모듈(300)은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드라이버 모듈(200)과 출력 모듈(300)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고, 이 때 드라이버 모듈(200) 각각은 출력 모듈(300)과 1대1로 대응되어 각각의 출력 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값 설정 회로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드라이버 모듈(200)은 주소값 설정 회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주소값 설정 회로(250)는 제1 드라이버 모듈(230)의 주소값을 제1 주소값으로 설정하고,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의 주소값을 제2 주소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주소값과 제2 주소값은 서로 다른 주소값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주소값 설정 회로(250)는 제1 드라이버 모듈(230)과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의 주소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100)은 제1 드라이버 모듈(230)과 제2 드라이버 모듈(240) 중 제어를 원하는 특정 드라이버 모듈에만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모듈(100)은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제1 주소값으로만 송신하여 제1 드라이버 모듈(230)이 제1 출력 모듈(310)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모듈(100)은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제1 주소값 및 제2 주소값 모두에 송신하여 제1 드라이버 모듈(230)이 제1 출력 모듈(310)을 제어하고, 동시에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이 제2 출력 모듈(320)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값 설정 회로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소값 설정 회로(250)는 풀업(pull-up) 저항(251) 및 풀다운(pull-down) 저항(25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주소값 설정 회로(250)는 풀업 저항(251) 및 풀다운 저항(252)을 통해 입력단 또는 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여 주소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소값 설정 회로(250)는 입력단에 걸리는 전압이 High(예를 들어, 5V)인 경우 주소값을 0x01로 설정하고, 전류가 Low(예를 들어, 0V)인 경우 주소값을 0x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가 드라이버 모듈의 주소값 설정 오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미지 출력 장치(1000)는, 신호 처리 모듈(100)가 드라이버 모듈(200)로 쿼리 신호를 송신하고, 쿼리 신호를 수신한 드라이버 모듈(200)은 확인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100)로 송신하는 과정을 통해 드라이버 모듈(200)의 주소값 설정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 모듈(230)과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이 가지는 주소값이 반대가 되더라도(예를 들어, 제1 드라이버 모듈(230)이 제2 주소값을 가지고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이 제1 주소값을 가지는 경우), 제1 드라이버 모듈(230) 및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의 주소값의 집합({제1 주소값, 제2 주소값})은 동일하기에 신호 처리 모듈(100)과 드라이버 모듈(200)의 통신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출력 모듈(300)을 통한 이미지 출력은 신호 처리 모듈(100)이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생성했을 때 의도한 이미지 출력과 반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모듈(100)은 제1 드라이버 모듈(230)을 제어할 목적으로 제1 주소값으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송신했으나,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이 제1 주소값을 가지는 경우,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는 제2 드라이버 모듈(240)로 송신되어 의도치 않게 제2 출력 모듈(320)을 통해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드라이버 모듈(230) 및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의 주소값이 각각 제1 주소값과 제2 주소값으로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듈(100)은 제1 주소값 또는 제2 주소값으로 쿼리(query)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제1 드라이버 모듈(230) 또는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은 쿼리 신호를 수신한 경우, 확인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100)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100)은 제1 드라이버 모듈(230) 또는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이 송신한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드라이버 모듈(200)의 주소값 설정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모듈(100)이 제1 주소값으로 쿼리 신호를 송신했는데, 신호 처리 모듈(100)로 확인 신호가 돌아오지 않거나, 제2 드라이버 모듈(240)로부터 확인 신호가 돌아오는 경우, 드라이버 모듈(200)과 주소값의 매칭이 잘못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드라이버 모듈(200)은 주소값 설정 회로(250)를 통해 제1 드라이버 모듈(230) 및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의 주소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듈(100)은 제1 드라이버 모듈(230)이 온(ON) 상태이고,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이 오프(OFF) 상태에서 제1 주소값으로 쿼리 신호를 송신하고, 제1 드라이버 모듈(230)이 오프(OFF) 상태이고,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이 온(ON) 상태에서 제2 주소값으로 쿼리 신호를 송신하며, 제1 드라이버 모듈(230) 또는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은 쿼리 신호를 수신한 경우, 확인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 모듈(230) 및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이 모두 온된 상태에서, 신호 처리 모듈(100)이 쿼리 신호를 송신할 때, 쿼리 신호 송신 과정 또는 드라이버 모듈(200)이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신호 처리 모듈(100)이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드라이버 모듈(200)의 주소값 설정 오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부정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출력 장치(1000)는 제1 드라이버 모듈(230) 및 제2 드라이버 모듈(240)을 순차적으로 온하여 신호 처리 모듈(100)이 쿼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드라이버 모듈(200)의 주소값 설정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듈(100)은 출력 모듈(300) 또는 드라이버 모듈(2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정보는 온도 정보, 이상 여부 정보, 전압 레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출력 모듈(300) 또는 드라이버 모듈(200)의 상태를 직,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모듈(100)은 출력 모듈(300)의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모듈(300)의 온도가 기준보다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출력 모듈(300)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미지 출력 장치(1000)는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출력 장치(1000)는 전자 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 전자 장치(400)는 4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DC-DC 컨버터, 온도 센서, 모터, 전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차량에 구비될 수 있는 각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드라이버 모듈(200)과 신호 처리 모듈(100)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고, 드라이버 모듈(200)과 전자 장치(400)는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드라이버 모듈(200)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4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 처리 모듈(1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가 온도 센서인 경우, 드라이버 모듈(200)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온도 센서가 감지한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온도 정보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 처리 모듈(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신호 처리 모듈(100)은 드라이버 모듈(200)로부터 전달 받은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함으로써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100), 드라이버 모듈(200), 및 전자 장치(400)간의 통신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를 분리함으로써 통신의 충돌 및 오류를 방지하고, 통신의 충돌 및 오류로 인한 오제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출력 장치의 비동기 제어 방식에 기초한 통신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이미지 출력 장치(1000)는 비동기 제어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듈(100)과 드라이버 모듈(200)은 비동기 제어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할 수 있다. 비동기 제어 방식은 통신 과정에서 데이터를 일정한 속도로 보내지 않고 미리 약속된 신호에 의해 통신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듈(100)은 저주파 대역을 통해 제어 신호를 드라이버 모듈(200)로 송신하고, 고주파 대역을 통해 영상 신호를 드라이버 모듈(2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주파 대역은 500KHZ이하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고, 고주파 대역은 1GHZ 이상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듈(100)은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드라이버 모듈(200)로 송신하기 위해 하나의 전송 선로에 두 개의 채널을 가질 수 있고, 두 개의 채널을 통해 영상 신호와 제어 신호를 구분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량이 적은 제어 신호는 저주파 대역을 통해 통신하고, 데이터량이 많은 영상 신호는 고주파 대역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미지 투사 방법은 영상 신호 및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00),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신호에 기초한 이미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S100 단계에서, 신호 처리 모듈(100)은 영상 신호 및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모듈(100)은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100)은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드라이버 모듈(200)로 송신할 수 있다. 직렬 변환기(120)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신호 처리 모듈(100)은 직렬 데이터를 직렬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드라이버 모듈(200)로 전달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드라이버 모듈(200)은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드라이버 모듈(200)은 드라이버 IC(210)를 포함할 수 있고, 드라이버 IC(210)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드라이버 모듈(200)은 병렬 변환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병렬 변환기(220)는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여 병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병렬 변환기(220)는 신호 처리 모듈(100)이 한 비트씩 송신한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구성하는 비트를 병렬로 나열한 병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드라이버 모듈(200)은 병렬 변환기(220)가 변환한 병렬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시에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이미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병렬 데이터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를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사상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신호 처리 장치
10 : 프로세서
20 : 직렬 변환기
21 : 영상 인터페이스
22 : 제어 인터페이스
23 : 인코더
1000 : 이미지 출력 장치
100 : 신호 처리 모듈
200 : 드라이버 모듈
300 : 출력 모듈
400 : 전자 장치
110 : 프로세서
120 : 직렬 변환기
210 : 드라이버 IC
220 : 병렬 변환기
230 : 제1 드라이버 모듈
240 : 제2 드라이버 모듈
250 : 주소값 설정 회로
251 : 풀업 저항
252 : 풀다운 저항
310 : 제1 출력 모듈
320 : 제2 출력 모듈

Claims (20)

  1.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직렬 변환기(serializer)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변환기는,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인터페이스;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어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인코더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3.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처리 모듈;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한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을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은 제1 드라이버 모듈 및 제2 드라이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모듈은 제1 출력 모듈 및 제2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제1 출력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제2 출력 모듈을 제어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모듈은 주소값 설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주소값 설정 회로는 상기 제1 드라이버 모듈이 제1 주소값을 가지고, 상기 제2 드라이버 모듈이 제2 주소값을 가지도록 설정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값 설정 회로는 풀업(pull-up) 저항 및 풀다운(pull-down) 저항을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주소값 또는 상기 제2 주소값으로 쿼리(query)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드라이버 모듈 또는 상기 제2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쿼리 신호를 수신한 경우, 확인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 모듈로 송신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드라이버 모듈이 온(ON) 상태이고, 상기 제2 드라이버 모듈이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제1 주소값으로 상기 쿼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드라이버 모듈이 오프(OFF) 상태이고, 상기 제2 드라이버 모듈이 온(ON) 상태에서 상기 제2 주소값으로 상기 쿼리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드라이버 모듈 또는 상기 제2 드라이버 모듈은 상기 쿼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확인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 모듈로 송신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출력 모듈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온도 정보, 이상 여부 정보, 및 전압 레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직렬 변환기(serializer)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 각각은,
    상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여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병렬 변환기(de-serializer); 및
    상기 병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은 원격으로 통신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은 하나의 전송 선로를 통해 통신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 모듈과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고,
    상기 드라이버 모듈과 상기 전자 장치는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DC-DC 컨버터, 온도 센서, 모터, 전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은 비동기 제어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저주파 대역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로 송신하고,
    고주파 대역을 통해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모듈로 송신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
  20.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한 이미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투사 방법.
KR1020220005016A 2022-01-13 2022-01-13 신호 처리 장치, 이미지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투사 방법 KR20230109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016A KR20230109270A (ko) 2022-01-13 2022-01-13 신호 처리 장치, 이미지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투사 방법
US17/674,273 US20230219493A1 (en) 2022-01-13 2022-02-17 Apparatus for processing signal, apparatus for outputting image and method for projecting image thereof
DE102022201742.0A DE102022201742A1 (de) 2022-01-13 2022-02-21 Vorrichtung zum Verarbeiten eines Signals, Vorrichtung zum Ausgeben eines Bildes und Verfahren zum Projizieren eines entsprechenden Bildes
CN202210252766.3A CN116489321A (zh) 2022-01-13 2022-03-15 信号处理设备、图像输出设备及其图像投影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016A KR20230109270A (ko) 2022-01-13 2022-01-13 신호 처리 장치, 이미지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투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270A true KR20230109270A (ko) 2023-07-20

Family

ID=8689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016A KR20230109270A (ko) 2022-01-13 2022-01-13 신호 처리 장치, 이미지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투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19493A1 (ko)
KR (1) KR20230109270A (ko)
CN (1) CN116489321A (ko)
DE (1) DE10202220174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9864B1 (de) 2017-08-10 2018-11-15 Zkw Group Gmbh Fahrzeugscheinwerfer und Fahrzeugsteuerung
CN113119847A (zh) 2020-01-11 2021-07-16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娱乐功能的车灯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212447281U (zh) 2020-08-26 2021-02-02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前照灯控制系统
CN213768392U (zh) 2020-12-03 2021-07-23 惠州市弗朗特光电科技有限公司 智能汽车前照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89321A (zh) 2023-07-25
DE102022201742A1 (de) 2023-07-13
US20230219493A1 (en)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257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tting the address of a module using a clock
US929890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tting the address of a module using a voltage
US7397576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cognizing trays in a printer
US9603224B2 (en) Interface circuit for signal transmission
CN104464617A (zh) 一种并联显示系统及其显示装置
US20150030336A1 (en) Optical transceiver
KR20230109270A (ko) 신호 처리 장치, 이미지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투사 방법
TWI663819B (zh) 應用於電源轉換器的電力傳輸控制器及其操作方法
US20030135679A1 (en) Circuit and method for expanding a serial bus
US20080126619A1 (en) Multiple bus interface control using a single controller
US11106618B2 (en) Method for addressing an integrated circuit on a bus and corresponding device
US9831949B2 (en) Modulation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ssion system
US20180352634A1 (en) Light source control system
JP2013021446A (ja) 光トランシーバ
US7598510B2 (en) Serial interface connecting circuit for supporting communications between different types of serial interfaces
US11816059B2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for perform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 plurality of daisy chained devices
JP2009003915A (ja) 変換回路
KR102305235B1 (ko) 다중 인터페이스 구조의 제어 장치
US20060020722A1 (en) Circuit of a serial communication port pair
US20100250804A1 (en) Method for ic communication system
US20240146329A1 (en) Interface device supporting test operation
US11489524B2 (en) Semiconductor device
KR20230109271A (ko) 이미지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출력 방법
JP2012244493A (ja) シリアル通信装置
EP4280823B1 (en) Advanced bus protocol for dynamic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