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708A - 스프링 및 절연 변위 연결(idc) 단자들을 갖는 이중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프링 및 절연 변위 연결(idc) 단자들을 갖는 이중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708A
KR20230108708A KR1020230000269A KR20230000269A KR20230108708A KR 20230108708 A KR20230108708 A KR 20230108708A KR 1020230000269 A KR1020230000269 A KR 1020230000269A KR 20230000269 A KR20230000269 A KR 20230000269A KR 20230108708 A KR20230108708 A KR 20230108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or
shield
ground wire
support elem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타니슬라스 디 마지오
마르첼로 파리놀라
알렉산드로 젠타
도미니크 하이스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티이 커넥티비티 이탈리아 디스트리뷰션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티이 커넥티비티 이탈리아 디스트리뷰션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08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7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penetrating the insulation being actuated by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4Connection of shield to additional grounding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7Connection to shield by means of resilien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connecting unstripped conductors to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 cutting e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차폐된 멀티코어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전기 커넥터는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를 체결하고 클램핑하기 위한 스프링 단자와 접지 와이어를 종단하기 위한 절연 변위 연결(IDC) 단자를 포함하여, 차폐부가 전기 커넥터를 통해 접지된다. 본 개시내용은 추가로 차폐된 멀티코어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와 차폐된 멀티코어 케이블 및 접지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을 언급하며, 지지 요소는 전기 커넥터의 변위를 안내하여 멀티코어 케이블과 접지 와이어 사이의 연결 과정을 간단하게 한다.

Description

스프링 및 절연 변위 연결(IDC) 단자들을 갖는 이중 커넥터{DUAL CONNECTOR WITH SPRING AN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IDC) TERMINALS}
멀티코어 케이블(multicore cable)들이 고전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을 위해, 예를 들어 데이터 및 통신 기술 분야와 자동차 분야에서 흔히 사용된다. 멀티코어 케이블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전자 구성요소들에 밀접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인접한 도전성 구성요소들 사이의 혼선들을 줄이기 위해 전자기 간섭들 및 무선 주파수 간섭들로부터 차폐되어야 한다. 차폐부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의 편조된(braided) 가닥들, 구리 테이프의 편조되지 않은 나선형 권선 또는 도전성 중합체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폐부는 추가로 재킷(jacket)으로 덮여 있다.
차폐부는 효과적이려면 접지되어야 한다. 실제로, 접지된 차폐부는 도체 주변의 전기적 스트레스를 균등화하고 임의의 누설 전류를 접지로 우회시켜, 이에 의해 케이블 절연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과 장비도 보호한다.
멀티코어 케이블들의 차폐부를 접지하기 위해 최신 기술에 알려진 배선 해결책들은 전형적으로 복잡하고 구현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문서 US 2008/0268719 A1 호는 꼬임 2 선식의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차폐된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다중 구성요소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고, 여기서 스트레인 릴리프 클립(strain relief clip)이 케이블 스크린(전형적으로 케이블의 외부 상으로 다시 접혀 있음)에 접촉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트레인 릴리프는 도전성이고 그 내에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 부재들을 갖는 원형 섹션(section)을 갖는다. 스트레인 릴리프는 액추에이터(actuator)에 연결된다. 액추에이터의 내부 표면들은 스트레인 릴리프 클립과 접촉하기 위한 탭(tap)들을 포함하여, 탭들이 스트레인 릴리프 클립과 접촉할 때, 스트레인 릴리프 클립은 반경 방향 내향으로 구동되어 케이블 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꼬임 2 선식 케이블의 차폐부는 접지될 수 있지만, 다중 구성요소 커넥터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문서 US '293 호는 인쇄 회로 기판을 차폐된 동축 케이블(20)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케이블 커넥터는 절연 기부, 하우징, 신호 단자, 제1 및 제2 접지 단자들을 포함한다. 접지 단자들은 케이블의 구리 편조 차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동축 케이블의 재킷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동시에, 제1 및 제2 접지 단자들은 회로 기판 상의 동일한 접지 접촉부에 납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의 구리 편조 차폐부가 접지된다. 그러나 접지 연결은 접지 단자들의 납땜을 필요로 하며 그리고 이에 따라 실현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를 접지 또는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PE) 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된 것들과 같이 차폐된 멀티코어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차폐부를 갖는 멀티코어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가 제공되고, 전기 커넥터는 차폐부와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단자 및 절연 변위 연결(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IDC) 단자를 포함하고, 여기서 IDC 단자는 접지 와이어를 종단하도록 구성되어, 차폐부는 전기 커넥터를 통해 접지된다.
이 해결책은 차폐된 멀티코어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한 전기적인 연결이 간단하고 빠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실현되고 제품 품질이 향상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더욱이, 본 해결책은 전기 커넥터가 소형이고 취급하기 쉽고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와 접지 와이어 사이의 연결이 케이블들의 길이를 따라 임의의 지점에서 실현될 수 있어, 와이어 길이가 와이어들의 단부들의 추가적인 연결에 최적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더욱이, 접지 와이어가 IDC 기술에 의해 대응하는 단자에 연결되기 때문에, IDC 단자와 전기 커넥터에 이를 연결하기 전에 접지 와이어를 미리 벗겨내거나 처리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스프링 단자는 전기적인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와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본 해결책 덕분에, 전기 커넥터는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를 접지 와이어에 단단히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멀티코어 케이블의 단일 와이어들이 고전압을 전달하는 고전압 애플리케이션들에 채용된다. 이들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멀티코어 케이블의 절연 층과 멀티코어 케이블을 둘러싼 환경 및 사람도 손상시킬 수 있는 정전기 방전들을 방지하기 위해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를 접지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예를 들어, 멀티코어 케이블은 복수의 단일 와이어들(각각 도전성 와이어 및 절연 층을 포함함)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 절연 층으로 덮인 차폐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부는 편조 차폐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절연 층은 전기 커넥터의 스프링 단자를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와 결합시키기 전에 제거된다.
스프링 단자는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를 클램핑하고 이와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단자는 반원형 섹션(section)을 가질 수 있고 반원형 섹션의 직경은, 휴지(rest) 구성에서,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클램핑을 보장하기 위해, 연결 구성에서 반원형 섹션의 직경은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고, 즉 일단 외부 절연 층이 제거되면 멀티코어 케이블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단자의 반원형 섹션의 직경은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의 미리 정의된 직경 및/또는 멀티코어 케이블의 미리 정의된 직경에 적응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코어 케이블의 크기는 요구되는 표준들과 케이블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지 와이어는 예를 들어 6 mm2 의 섹션을 갖는 단일 와이어이다. IDC 단자의 폭은 절연 층의 제거 후의 단일 접지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이지만 비제한적인 구성에 따르면, 멀티코어 케이블의 단일 와이어들 및 접지 와이어의 자유 단부들은 예를 들어 크림핑(crimping) 및/또는 납땜 연결에 의해 다른 전기 디바이스들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단자가 IDC 단자에 인접하고 연결부에 의해 IDC 단자에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 해결책의 장점은 전기 커넥터가 단순하고 소형인 구성을 갖고 있으며 취급하기 쉽다는 것이다. 실제로, 스프링 단자와 IDC 단자의 치수들은 일반적으로 작다.
연결부는 스프링 단자와 IDC 단자 사이의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평면(planar)이다.
이 구성의 장점은 전기 커넥터가 취급하기 쉬운 단순하고 소형인 구조를 갖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연결부는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가 제공되며, 여기서 전기 커넥터는 스프링 단자, IDC 단자 및 연결부를 덮는 절연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 해결책의 장점은,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전류의 누설들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케이스가 전기 커넥터의 도전성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고 절연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본 해결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작업자에 의해 위험들 없이 취급될 수 있다. 실제로, 작업자는 절연 케이스에 의해 덮힌 연결부에 해당하는 전기 커넥터의 부분을 파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단자, IDC 단자 및 연결부는 구리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절연 케이스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가 제공되며, 여기서 전기 커넥터는 스프링 단자, IDC 단자 및 연결부를 절연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 구성의 장점은 절연 케이스가 전기 커넥터의 도전성 구성요소들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용 동안 안전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정 요소들은 전기 커넥터의 도전성 구성요소의 IDC 단자 및/또는 연결부 상에 형성된 돌출 탭(ta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구성요소를 절연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두 개의 고정 요소들 또는 탭들이 연결부 상에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고정 요소가 IDC 단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연 케이스는 차폐된 멀티코어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의 사용 전에 도전성 구성요소와 미리 조립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가 제공되며, 여기서 스프링 단자와 IDC 단자는 스프링 단자가 차폐부와 결합할 때 IDC 단자가 동시에 접지 와이어를 종단하도록 정렬된다.
이 구성의 장점은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와 접지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빠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실현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연결될 케이블들에 대응하여 전기 커넥터를 위치 설정할 때, 스프링 단자가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와 결합하거나 클램핑하고, 동시에 IDC 단자가 접지 와이어를 종단시키는 것이 보장된다.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스프링 단자와 IDC 단자는 연결부의 동일한 측면, 예를 들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의 동일한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스프링 단자와 IDC 단자는, 스프링 단자의 접촉부가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를 클램핑할 때, 접지 와이어의 절연 층을 절단한 후 IDC 단자의 접촉 슬롯이 접지 와이어의 도전성 부품에 도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단자가 멀티코어 케이블에 결합되는 구성에서 스프링 단자가 멀티코어 케이블의 직경과 일치하는 반원형 섹션을 갖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 구성의 장점은 전기 커넥터가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따라 미리 정의된 직경을 갖는 멀티코어 케이블의 특정 치수에 적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3 상 연결을 위해, 4 개의 단일 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약 15.1 mm 의 직경을 갖는 멀티코어 케이블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상 연결을 위해, 2 개의 단일 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약 12.8 mm 의 직경을 갖는 멀티코어 케이블이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절연 층이 제거되면 반원형 섹션의 직경은 멀티코어 케이블의 직경보다 작다. 멀티코어 케이블이 스프링 단자 내에 삽입될 때, 스프링 단자가 멀티코어 케이블의 직경에 이의 직경을 강제적으로 적응시키므로 클램핑 동안 안정적인 전기적인 접촉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시스템이 제공되며, 연결 시스템은 위에서 개시된 것들과 같은 전기 커넥터 및 멀티코어 케이블 및 접지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 요소를 포함하며, 여기서 전기 커넥터는 차폐부와 접지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지지 요소에 정합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의 장점은 케이블 조립 과정이 단순화되고 속도가 빨라지며 제품 품질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케이블들에 따른 연결 시스템의 포지션이 특정 요구들에 따라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들의 길이에 따른 임의의 지점에서 전기적인 연결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요소는 커넥터의 하우징을 덮기 위한 커버(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시스템이 제공되며, 여기서 지지 요소는 안내 수단을 포함하고 전기 커넥터는 안내 수단을 따라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제1 포지션은 전기 커넥터와 지지 요소 사이의 부분 조립의 구성에 대응하고 제2 포지션은 차폐부와 접지 와이어가 전기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에 대응한다.
이 해결책의 장점은 케이블 조립 과정이 더 빠르고 자동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커넥터 및 지지 요소는 사전 조립된다.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는 슬라이딩(sliding) 수단을 갖는 평면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 요소는 슬라이딩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안내 수단을 갖는 평면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및 지지 요소는 슬라이딩 수단이 대응하는 안내 수단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전기 커넥터가 지지 요소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사전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내 수단을 따라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 전기 커넥터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전기 커넥터는 제1 포지션 또는 사전 조립 포지션에서 제2 포지션 또는 연결 포지션으로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시스템이 제공되며, 여기서 지지 요소는 멀티코어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제1 공동 및 접지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공동을 포함한다.
이 구성의 장점은 멀티코어 케이블과 접지 와이어가 지지 요소에 잘 수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에 대한 그들의 포지션을 제어하기가 더 쉽고 따라서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를 접지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이 단순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는 원형 섹션을 가질 수 있고 대응하는 와이어들을 수용하기 위한 2 개의 공동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동의 직경은 멀티코어 케이블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공동의 직경은 접지 와이어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는 밀봉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시스템이 제공되며, 여기서 지지 요소는 차폐부와 접지 와이어가 전기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에서 전기 커넥터의 포지션을 차단하기 위한 로킹(locking) 수단을 포함한다.
이 구성의 장점은 지지 요소와 전기 커넥터 사이의 상호 포지션(reciprocal position)이 로킹 수단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의 접지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로킹 수단은 지지 요소에 형성되고 전기 커넥터에 형성된 대응 탭들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돌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된 것들과 같은 연결 시스템을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멀티코어 케이블 및 접지 와이어를 지지 요소 내에 수용하는 단계;
b) 전기 커넥터와 지지 요소를 사전 조립하는 단계;
c) 전기 커넥터를 통해 차폐부와 접지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와 지지 요소를 정합하는 단계.
이 구성의 장점은 조립 과정이 빠르고 효율적이며 자동화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멀티코어 케이블 및 접지 와이어는 지지 요소 상에 형성된 대응하는 공동들 내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차폐부를 스프링 단자로 클램핑하기 전에, 차폐부를 덮고 있는 외부 층을 제거하도록 멀티코어 케이블이 준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지 와이어와 전기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IDC 기술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에 이를 삽입하기 전에 접지 와이어를 미리 벗길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커넥터는 전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 부분이 지지 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접촉하도록 지지 요소에 사전 조립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차폐부와 접지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상호 변위되고 정합될 수 있도록 사전 조립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c)가 사전 조립의 구성에 대응하는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차폐부와 접지 와이어가 전기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에 대응하는 제2 포지션으로 전기 커넥터를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해결책의 장점은 조립 과정이 빠르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지지 요소를 따라 전기 커넥터를 변위시킴으로써, 지지 요소에 수용된 멀티코어 케이블 및 접지 와이어 각각에 대해 스프링 단자 및 IDC 단자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와 접지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이지 않은 연결 시스템들을 생성할 위험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커넥터는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지지 요소를 따라 활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단계 c)는 스프링 단자가 차폐부와 결합하고 동시에 IDC 단자가 접지 와이어를 종단시키도록 수행된다.
이 구성의 장점은 케이블 조립 과정이 빠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실현되고 제품 품질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프링과 IDC 단자들은, 이들이 동시에 대응하는 와이어들에 접촉할 수 있도록 정렬될 수 있고, 즉, 스프링 단자가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를 클램핑하는 동안 IDC 단자의 슬롯은 접지 와이어의 도전성 부분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 차폐부와 접지 와이어가 전기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에 대응하는 제2 포지션에서 전기 커넥터를 차단하는 단계.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스프링 단자를 멀티코어 케이블의 차폐부에 그리고 IDC 단자를 접지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멀티코어 케이블과 접지 와이어를 갖는 전기 커넥터와 지지 요소 사이의 상호 포지션을 차단함에 의해서 전기적인 연결들이 안정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포지션에서 전기 커넥터를 차단하는 단계는 지지 요소 상에 형성된 로킹 수단, 예를 들어 로킹 탭들을 전기 커넥터의 대응하는 부분 상에 형성된 로킹 수단, 예를 들어 로킹 탭들과 결합시킴으로써 실현된다.
본 발명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 및/또는 부호들이 기계의 동일한 부분 및/또는 유사한 및/또는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3 차원 도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상태의 전기 커넥터 및 지지 요소, 멀티코어 케이블 및 접지 와이어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의 3 차원 도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시스템을 조립하는 과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한 과정의 추가적인 단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한 과정의 추가적인 단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한 과정의 추가적인 단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의 3 차원 도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와 지지 요소 사이의 연결의 세부 사항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전 조립된 구성의 연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구성의 연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고 도면들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대신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그 범위가 정의되는 본 발명의 여러 양태들을 단순히 예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수정들 및 변형들은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그 범위가 정의되는 본 발명의 모든 수정들 및/또는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단순함을 위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도면에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방향 또는 배향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결코 아니다. "하부", "상부", "위", "아래", "위로", "아래로", "상단" 및 "하단"과 같은 상대적 용어들 및 이들의 파생어는 설명하거나 논의 중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향을 참조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련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명시적으로 그와 같이 표시되지 않는 한, 장치가 특정 배향으로 구성되거나 작동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의 3 차원 도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전기 커넥터(100)는 스프링 단자(110) 및 절연 변위 연결(IDC)(1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커넥터(100)는 고전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들 및/또는 AC 전류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케이블 연결을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스프링 단자(110)는 실질적으로 반원형 섹션을 갖고 미리 정의된 직경을 갖는 멀티코어 케이블[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멀티코어 케이블(200) 참조]의 외부 층을 클램핑하기에 적합하다. 스프링 단자(110)는 가요성 구조를 갖는다. 휴지(rest) 구성에서, 스프링 단자(110)의 반원형 섹션의 휴지 직경은 멀티코어 케이블의 직경보다 작다. 멀티코어 케이블이 스프링 단자(110)의 개구 내로 삽입되면, 스프링 단자(110)는 변형되어 반원형 섹션의 결과적인 직경이 멀티코어 케이블의 직경과 일치하게 된다.
IDC 단자(120)는 실질적으로 V자형 섹션을 갖는 슬롯(121)을 갖고 전기적으로 절연된 와이어[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접지 와이어(250) 참조]를 연결하기에 적합하다. 일단 전기적으로 절연된 와이어가 IDC 단자(120)의 접촉 슬롯(121) 내로 삽입되면, 와이어의 전기적 절연부가 접촉 슬롯(121)의 하부 에지들(122)에 의해 절단 개방되어, 전기적 접촉이 와이어의 도전성 부분과 IDC 단자(120)의 상부 접촉 부분(123) 사이에 확립된다.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접촉 부분(123)은 절연부가 제거된 후의 전기적으로 절연된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져야 한다.
도 2의 전기 커넥터(100)의 분해도에서 상세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00)는 2 개의 정합 부분, 도전성 구성요소(130) 및 절연 구성요소(140)를 포함한다.
도전성 구성요소(130)는 스프링 단자(110), IDC 단자(120) 및 이들을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5)를 포함한다. 스프링 단자(110), IDC 단자(120) 및 연결부(135)는 도전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구리로 만들어진다.
절연 구성요소는 도전성 구성요소(130)를 캡슐화하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절연 케이스(140)를 포함한다. 절연 케이스(140)는 스프링 단자(11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개구(141)와 IDC 단자(120)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개구(142)의 2 개의 개구들을 포함한다. 절연 케이스(140)는 또한 연결부(135)를 덮는 파지부(145)를 포함하며, 이는 조작자 및/또는 기계에 의한 파지 및 취급을 가능하게 하기에 적합하다.
도전성 구성요소(130)는 이를 절연 케이스(140)에 고정하기 위한 3 개의 고정 요소들(131, 132, 133)을 추가로 포함한다. 고정 요소들(131, 132, 133)은 절연 케이스(140)에 형성된 대응하는 리세스들과 결합하는 돌출 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 개의 고정 요소들(131, 132)은 연결부(135)의 제1 측면의 대향 단부들에 대칭적으로 위치되고 제3 고정 요소(133)는 IDC 단자(120)에 위치된다. 3 개의 고정 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더라도, 전기 커넥터(100)의 도전성 구성요소(130) 상에 임의의 수의 고정 요소들, 예를 들어 1 개, 2 개, 4 개, 5 개 또는 그 이상의 고정 요소들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전기 커넥터(1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멀티코어 케이블(200)을 접지하기에 적합하다. 멀티코어 케이블(200)은 금속 차폐부(210)로 덮힌 복수의 단일 와이어들(220)로 구성되며, 금속 차폐부(210)는 차례로 외부 절연 층(215)으로 덮인다. 각각의 단일 와이어(220)는 절연 층(221)에 의해 커버되는 도전성 구성요소(222)를 포함한다. 도 3에 예시된 멀티코어 케이블(200)은 4 개의 단일 와이어들(220)을 포함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2 개, 3 개, 5 개 또는 그 이상과 같은 임의의 수의 단일 와이어(220)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멀티코어 케이블(200)을 전기 커넥터(100) 내에 삽입하기 전에, 차폐부(210)를 노출하기 위해 외부 절연체(215)가 부분적으로 절단되는 방식으로 멀티코어 케이블(200)이 준비된다. 그런 후 전기 커넥터(100)의 스프링 단자(110)는 멀티코어 케이블(200) 상의 차폐부(210)를 클램핑하여, 직접적인 전기 접촉을 확립한다. 스프링 단자(110)는, 휴지 구성에서 반원형 섹션의 직경이 차폐부(210)의 직경보다 작고, 클램핑 구성에서 반원형 섹션의 직경이 차폐부(210)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리 절단된 멀티코어 케이블(200)이 스프링 단자(110)의 대응하는 개구 내에 삽입되면, 스프링 단자(110)와 차폐부(210) 사이의 직접적인 전기적 접촉이 보장된다.
전기 커넥터(100)의 IDC 단자(120)는 접지 와이어 또는 보호 접지(PE) 와이어(250)를 종단하기 위해 채용된다. 접지 와이어(250)는 절연 층(251)과 도전성 와이어(252)를 포함한다. IDC 기술 덕분에, 멀티코어 케이블(200)의 차폐부(210)와 도전성 와이어(25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확립되고 멀티코어 케이블(200)의 차폐부(210)는 접지에 연결된다. 차폐부(210)의 접지에 대한 연결은, 멀티코어 케이블(200) 자체의 외부 절연체(215) 및 단일 와이어들(220)은 물론 멀티코어 케이블(200)을 둘러싼 환경 및 사람을 잠재적인 정전기 방전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다. 멀티코어 케이블(200)의 차폐 및 접지는 통신 분야 및/또는 자동차 분야와 같은 고전압 애플리케이션들에서 특히 중요하다.
도 3의 개략적인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멀티코어 케이블(200)을 접지 와이어(250)에 연결하는 전기 커넥터(100)는 지지 요소(300)에 기대어 있다. 전기 커넥터(100) 및 지지 요소(300)는 연결 시스템(500)을 형성한다.
지지 요소(300)는 커버(300A), 패밀리 시일(family seal)(300B) 및 시일 리테이너(seal retainer)(300C)의 세 가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멀티코어 케이블(200)과 접지 와이어(250)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2 개의 공동들(320, 330)은 지지 요소(300), 즉 지지 요소(300)를 형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패밀리 시일(300B)은 전체 시스템을 밀봉하고 시일 리테이너(300C)는 케이블들의 안정적인 위치 설정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300)는 실질적으로 원형 섹션을 갖는다.
연결 시스템(500), 멀티코어 케이블(200) 및 접지 와이어(250)를 조립하는 과정이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4a는 케이블들(200, 250) 및 지지 요소(300)의 조립 과정의 제1 단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케이블들(200, 250)을 전기 커넥터(100) 내에 삽입하기 전에, 각각의 단일 와이어(220) 및 접지 와이어(250)의 단부 부분들이 절연 층들(221, 251)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각각 미리 절단된다. 그런 후 멀티코어 케이블(200)은 제1 공동(320) 내에 삽입되고 접지 와이어(250)는 지지 요소(300)의 제2 공동(330) 내에 삽입된다. 케이블들의 대응하는 공동들 내로의 삽입 후, 절연 층들(221, 251)의 미리 절단된 단부 부분들이 제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와이어들(220) 및 접지 와이어(250)의 단부 부분들은 연속적인 클램핑 연결들과 같은 연속적인 전기적인 연결들을 위해 준비된다.
도 4b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 요소(300), 멀티코어 케이블(200) 및 접지 와이어(250)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은 기계의 위치 설정 도구와 같은 위치 설정 도구(600) 내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단일 와이어(220) 및 접지 와이어(250)는 위치 설정 도구(600)의 대응하는 위치 설정 가이드(guide)들(610)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지지 요소(300)는 위치 설정 도구(600)의 대응하는 위치 설정 리세스(62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100)는 지지 요소(300) 위에 위치 설정되고 이와 정렬되어, 스프링 단자(110)는 멀티코어 케이블(200)과 정렬되고 IDC 단자(120)는 접지 와이어(250)와 정렬된다.
이후의 단계에서, 도 4c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00)는 푸싱 도구(pushing tool)(650)에 의해 가압(push)되고 지지 요소(300)의 상부 말단부에 접촉하도록 하강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100)는 사전 조립 포지션으로 이동되며, 여기서 스프링 단자(110) 및 IDC 단자(120)는 각각 멀티코어 케이블(200) 및 접지 와이어(250)와 정렬되고, 전기 커넥터(100)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요소(30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지지 요소(300)가 위치 설정 리세스(620) 내에 수용되고 단일 와이어들(220) 및 접지 와이어(250)가 위치 설정 도구(600)의 대응하는 위치 설정 가이드들(610)에 수용된다는 사실 덕분에, 전기 커넥터(100)를 변위시킴으로써, 멀티코어 케이블(200)과 접지 와이어(250)에 대해 이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d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푸싱 도구(650)에 의해 전기 커넥터(100)를 추가로 가압 및 하강함으로써, 사전 조립 포지션으로부터, 멀티코어 케이블(200)이 스프링 단자(110)에 의해 클램핑되고 접지 와이어(250)가 IDC 단자(120)에 의해 종단되는 구성에 대응하는 연결 포지션으로 전기 커넥터를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사전 조립 포지션으로부터 연결 포지션으로 전기 커넥터(100)를 변위시키는 동안, 전기 커넥터(100)는 지지 요소(300)(특히 도 5에 예시됨) 상에 형성된 대응하는 안내 수단(310)을 따라 활주한다.
스프링 단자(110)가 IDC 단자(120)에 인접한 전기 커넥터(100)의 특정 지오메트리(geometry)로 인해, 전기 커넥터(100)를 변위시킴으로써, 멀티코어 케이블(200)의 차폐부(210)와 접지 와이어(250)를 동시에 결합하고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스프링 단자(110)와 IDC 단자(120)가 정렬되어, 전기 커넥터(100)가 와이어들(220, 250)을 향해 가압되어, 위치 설정 가이드(610) 내에 수용된 때, 스프링 단자(110)는 차폐부(210)를 클램핑할 수 있고, 동시에 IDC 단자는 접지 와이어(250)를 종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멀티코어 케이블(200)의 차폐부(210)는 접지된다. 이러한 구성은 멀티코어 케이블(200)의 차폐부(210)의 조립 과정 및 접지가 빠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전기 커넥터(100)의 연결 포지션으로의 변위 후, 전기 커넥터(100)와 지지 요소(300) 사이의 상호 포지션은 대응하는 로킹 수단(340)(특히 도 6 참조)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케이블들(200, 250)과 전기 커넥터(100)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보장된다.
지지 요소(300)에 형성된 안내 수단(310)의 구조에 대한 세부사항들은 도 5에서 볼 수 있다. 도 5에서, 전기 커넥터(100)가 지지 요소(300)와 대면하는 (하부) 측면 상에 형성된 슬라이딩(sliding) 수단(160)을 포함하는 것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슬라이딩 수단(160)은 지지 요소(300) 상에 형성된 미리 정의된 안내 수단(310)을 수용하고 지지 요소(300)를 따라 전기 커넥터(100)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한다.
지지 요소(300)에 형성된 로킹 수단(340)의 구조에 대한 세부사항들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일단 전기 커넥터(100)가 연결 포지션으로 변위된다면, 전기 커넥터(100)와 지지 요소(300) 사이의 상호 포지션은 지지 요소(300)에 형성된 로킹 수단(340)을 전기 커넥터(100)에 형성된 대응하는 로킹 수단(150)과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된다. 예를 들어, 로킹 수단(340)은 전기 커넥터(100)에 형성된 대응하는 탭들(150)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돌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커넥터(100) 및 지지 요소(300)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500)은 전기 커넥터(100)가 지지 요소(300)와 부분적으로 결합된 사전 조립된 구성으로 고객에게 제공된다(도 7a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고객은 멀티코어 케이블(200)의 차폐부(210)와 접지 와이어(250) 사이에 전기 커넥터를 확립하기 위해 상술된 바와 같이 연결 또는 조립된 구성(도 7b 참조)으로 전기 커넥터(100)를 가압하기만 하면 된다.
예시적이지만 비제한적인 구성에 따르면, 지지 요소(300)는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커버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코어 케이블(200) 및 접지 와이어(250)를 갖는 연결 시스템(500)은 커넥터의 대응하는 하우징을 덮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그에 따라 구성된 바람직한 물리적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들, 변경들 및 개선들이 위의 교시들에 비추어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의도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기술된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친숙하다고 생각되는 영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스프링 단자 기술 및 IDC 기술은 숙련자에게 공지된 것으로 간주되어 상세히 기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100: 전기 커넥터
110: 스프링 단자
120: IDC 단자
121: IDC 슬롯
122: IDC 슬롯의 에지들
123: IDC 슬롯의 접촉 부분
130: 도전성 구성요소
131, 132, 133: 고정 요소들
135: 연결부
140: 절연 케이스
141, 142 : 절연 케이스의 개구들
145 : 절연 케이스의 파지부
150: 전기 커넥터의 로킹 수단
160: 슬라이딩 수단
200: 멀티코어 케이블
210: 차폐부
215 : 외부 절연체
220: 단일 와이어
221: 단일 와이어들의 절연 층
222: 도전성 구성요소
250: 접지 와이어
251: 접지 와이어의 절연 층
252: 접지 와이어의 도전성 부분
300: 지지 요소
300A: 커버
300B: 패밀리 시일
300C: 시일 리테이너
310: 안내 수단
320: 제1 공동
330: 제2 공동
340: 지지 요소의 로킹 수단
500: 연결 시스템
600: 위치 설정 도구
610: 위치 설정 가이드들
620: 위치 설정 리세스
650: 푸싱 도구

Claims (15)

  1. 차폐부(210)를 갖는 멀티코어 케이블(multicore cable)(200)을 접지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100)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차폐부(210)와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단자(spring terminal)(110) 및 절연 변위 연결(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IDC) 단자(120)를 포함하고, 상기 IDC 단자(120)는 접지 와이어(250)를 종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차폐부(210)는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통해 접지되는,
    전기 커넥터(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단자(110)는 상기 IDC 단자(120)에 인접하고 연결부(135)에 의해 상기 IDC 단자(120)에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5)는 평면인,
    전기 커넥터(100).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스프링 단자(110), 상기 IDC 단자(120) 및 상기 연결부(135)를 덮는 절연 케이스(insulating case)(140)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스프링 단자(110), 상기 IDC 단자(120), 및 상기 연결부(135)를 상기 절연 케이스(14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들(131, 132, 133)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00).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단자(110)와 상기 IDC 단자(120)는, 상기 스프링 단자(110)가 상기 차폐부(210)와 결합할 때, 상기 IDC 단자(120)가 동시에 상기 접지 와이어(250)에 종단하도록, 정렬되는,
    전기 커넥터(100).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단자(110)는 상기 스프링 단자(110)가 상기 멀티코어 케이블(200)과 결합하는 구성에서 상기 멀티코어 케이블(200)의 직경과 일치하는 반원형 섹션(section)을 갖는,
    전기 커넥터(100).
  8. 연결 시스템(500)으로서:
    -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
    - 상기 멀티코어 케이블(200) 및 상기 접지 와이어(250)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 요소(300)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차폐부(210)와 상기 접지 와이어(2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지지 요소(300)에 정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시스템(500).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300)는 안내 수단(310)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전기 커넥터(100)는 상기 안내 수단(310)을 따라 제1 포지션(position)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포지션은 상기 전기 커넥터(100)와 상기 지지 요소(300) 사이의 부분적인 조립의 구성에 대응하며, 그리고 상기 제2 포지션은 상기 차폐부(210)와 상기 접지 와이어(250)가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에 대응하는,
    연결 시스템(500).
  10.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300)는 상기 멀티코어 케이블(200)을 수용하기 위한 제1 공동(320) 및 상기 접지 와이어(250)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공동(330)을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500).
  11. 제8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300)는, 상기 차폐부(210)와 접지 와이어(250)가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에서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포지션을 차단하기 위한 로킹 수단(locking means)(340)을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500).
  12. 제8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시스템(500)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멀티코어 케이블(200) 및 상기 접지 와이어(250)를 상기 지지 요소(300) 내에 수용하는 단계;
    b) 상기 전기 커넥터(100) 및 상기 지지 요소(300)를 사전 조립하는 단계;
    c)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통해 상기 차폐부(210)와 상기 접지 와이어(2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전기 커넥터(100)와 상기 지지 요소(300)를 정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500)을 조립하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사전 조립의 구성에 대응하는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차폐부(210)와 상기 접지 와이어(250)가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에 대응하는 제2 포지션으로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되는,
    연결 시스템(500)을 조립하는 방법.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스프링 단자(110)가 상기 차폐부(210)와 결합하고 동시에 상기 IDC 단자(120)가 상기 접지 와이어(250)를 종단시키도록 수행되는,
    연결 시스템(500)을 조립하는 방법.
  15. 제12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 상기 차폐부(210)와 상기 접지 와이어(250)가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전기 커넥터(100)를 차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연결 시스템(500)을 조립하는 방법.
KR1020230000269A 2022-01-11 2023-01-02 스프링 및 절연 변위 연결(idc) 단자들을 갖는 이중 커넥터 KR202301087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22000000272A IT202200000272A1 (it) 2022-01-11 2022-01-11 Connettore duplice con terminali a molla e a connessione a spostamento di isolante (IDC)
IT102022000000272 2022-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708A true KR20230108708A (ko) 2023-07-18

Family

ID=8158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269A KR20230108708A (ko) 2022-01-11 2023-01-02 스프링 및 절연 변위 연결(idc) 단자들을 갖는 이중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23711A1 (ko)
EP (1) EP4210177A1 (ko)
JP (1) JP2023102272A (ko)
KR (1) KR20230108708A (ko)
CN (1) CN116435831A (ko)
IT (1) IT2022000002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5978A (ja) * 1987-02-10 1988-08-15 株式会社東芝 同軸ケ−ブル接地用絶縁端子
US7182625B2 (en) * 2004-12-03 2007-02-27 Antaya Technologies Corporation Grounding connector
JP4611222B2 (ja) * 2006-02-20 2011-01-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の接続構造
EP2137794B1 (en) 2007-03-29 2018-03-07 The Siemon Company Modular connector with reduced termination variability and improved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35831A (zh) 2023-07-14
EP4210177A1 (en) 2023-07-12
IT202200000272A1 (it) 2023-07-11
JP2023102272A (ja) 2023-07-24
US20230223711A1 (en)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40034C (zh) 带有改进的接地装置的连接器
KR100390311B1 (ko) 전송 특성이 향상된 차폐 케이블 커넥터
EP0907221B1 (en) Cable interconnection
US4272148A (en) Shielded connector housing for use with a multiconductor shielded cable
KR100256927B1 (ko)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 접속 시스템
EP0793309B1 (en)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US10777936B2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 ground termination component with strain relief
CN107887714B (zh) 电缆连接用结构和电缆用连接器
WO2007113307A1 (en) Retention ferrule for cable connector
US5961348A (en)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KR900007025B1 (ko) 차폐(遮蔽)케이블용 어쎔블리
CN108092026B (zh) 用于多芯线的电线缆的电的插接连接器
EP1723699A1 (en) Electrical connector
MXPA97001560A (en) System to complete the protection of a cable dealta veloci
CA2975733C (en) Fiber optic cable external shield connector
KR930009488B1 (ko) 케이블 단부 가공방법 및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접속기
EP0399840B1 (en) Cable connecting device
EP3619782B1 (en) Spliced shielded wire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230223711A1 (en) Dual Connector With Spring An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IDC) Terminals
CN108092016B (zh) 用于多芯线的电缆的电插接连接器
EP4073889B1 (en) Electrical cable braid positioning clip
EP0473049B1 (en) A conductive shell for clamping onto a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477769B2 (en) Method for assembling a controlled impedance connector
JP6233574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CN110892584B (zh) 用于双轴电缆的定位元件和触接元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