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556A - 조명기기 - Google Patents

조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556A
KR20230108556A KR1020220004123A KR20220004123A KR20230108556A KR 20230108556 A KR20230108556 A KR 20230108556A KR 1020220004123 A KR1020220004123 A KR 1020220004123A KR 20220004123 A KR20220004123 A KR 20220004123A KR 20230108556 A KR20230108556 A KR 20230108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rotation
rotation unit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석
이원진
박병훈
최동준
곽명훈
황성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8556A/ko
Publication of KR20230108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에 세워지는 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0)에는 제1회전유닛(400)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회전유닛(400)은 제1방향으로 형성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2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회전유닛(600)에는 조명부(63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형성된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유닛(4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구동어셈블리(700,800)는 상기 제1회전유닛(400) 또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기기{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형광등, 백열등, 엘이디(LED) 등 다양한 종류의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조명장치 중 책상램프(desk light)는 일정한 공간을 밝게 조명하기 위하여 사무실이나 가정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책상램프 형태의 조명장치는 사용자가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책상램프에는 관절구조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LED부분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10-2053341(선행기술1)에는 3차원 회전이 가능한 조명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10-2244486(선행기술2)에는 조명부의 승강 및 좌우이동이 가능한 조명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조명장치의 형태를 변경하는데 한계가 있고, 조명부의 길이조절범위가 짧아 조명에 의해 빛이 조사되는 범위가 좁은 단점도 있다. 또한, 조명부의 이동을 통해 길이를 조절하더라도 외팔보형태의 조명부에 처짐이 발생하여 미관을 해치고, 정확한 조사각을 구현하기 어려운 면도 있다. 그리고, 조명부의 각도조절이나 길이조절을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한편, 중국공개특허 CN110067955A(선행기술3)에는 모터에 의해 승강되는 조명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선행기술3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조명장치를 승강시킬 수는 있지만, 단순히 승강구조만 제공할 뿐이며 조명장치의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는 없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2053341(선행기술1) 한국등록특허 10-2244486(선행기술2) 중국공개특허 CN110067955A(선행기술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회전축을 통해 다양한 형태 변경이 가능한 조명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회전축에 결합된 부품들이 구동어셈블리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다양한 형태를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의 회전을 통해 조명부의 조사범위를 넓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부가 회전하여 조명부의 전체 길이가 연장되더라도 조명부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세워지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제1회전유닛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회전유닛은 제1방향으로 형성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회전유닛에는 조명부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회전유닛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형성된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유닛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제1회전유닛 또는 상기 제2회전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기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어셈블리에는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회전유닛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어셈블리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구동어셈블리에는 상기 제1회전유닛에 배치되는 제2구동어셈블리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제2회전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명기기를 회전시킬 필요 없이, 조명기기의 버튼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조명기기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에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력을 상기 제1회전유닛에 제공하는 제1구동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에는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유닛에 제공하는 제2구동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유닛 및 상기 제2회전유닛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면서 다양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제1회전유닛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제1회전유닛의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단부에 가깝게 편향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제2회전축 보다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단부에 가깝게 편향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명부의 무게로 인해 전도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제1회전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유닛의 조명부는 상기 제2회전축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제1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조명부를 제외한 상기 제2회전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회전축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영역의 반대편인 제2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무게로 인해, 조명부의 말단부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유닛은 상기 제1회전유닛과 연결되는 회전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몸체에는 조명몸체가 연결되고, 상기 조명몸체에는 상기 조명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몸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회전축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조명몸체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몸체는 상기 제1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몸체 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회전몸체 보다 상기 제1회전축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명부의 빛이 상기 회전몸체에 의해 가려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조명몸체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유닛과 상기 제2회전유닛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의 표면은 각각 곡면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유닛과 상기 제2회전유닛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은 서로 동심인 두 원의 일부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곡선 및 곡면 형태의 조명기기는 통일성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곡선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2회전유닛은 상기 제1회전유닛의 타단부로부터 곡선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유닛의 조명몸체가 상기 제1회전축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되면 상기 제2회전유닛의 회전몸체는 상기 제1회전유닛과 중첩되며 서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1회전유닛이 연결되는 제1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유닛과 상기 제2회전유닛이 연결되는 제2회전부는 각각 상기 제1회전유닛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의 연장선은 상기 베이스부를 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유닛에는 상기 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유닛에는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프레임과의 사이에 제1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커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유닛에는 상기 제1회전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조명프레임과, 상기 조명프레임에 결합되는 조명커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명커버는 상기 조명프레임과의 사이에 제2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수납공간에는 상기 조명부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를 중심으로 상기 조명커버의 양측면은 각각 곡면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커버에는 상기 조명부의 광원을 노출시키는 조명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개구부에는 확산판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판과 상기 광원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제1방열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부을 구성하는 조명기판과 상기 조명프레임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제2방열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공간은 일종의 단열공간 역할을 하여, 광원 및 조명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에 전달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판의 양측단에는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의 확산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확산판을 포함한 조명부를 경량화할 수 있고, 조명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어셈블리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커버에 결합되는 상기 확산판의 측면 두께는 상기 광원과 마주보는 확산부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유닛에는 상기 제2회전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프레임이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유닛과 상기 제2회전유닛이 겹치는 부분에 상기 보강프레임이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보강프레임과, 상기 제2회전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보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보강프레임은 상기 제1보강프레임과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명기기에 제1회전유닛과 제2회전유닛이 포함될 수 있고, 제1회전유닛과 제2회전유닛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기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각도와 범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명기기의 제1회전유닛과 제2회전유닛이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되면, 조명기기 자체가 사용자에게 다양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1회전유닛과 제2회전유닛의 회전을 통해 조명부가 단순히 책상이나 탁자에 빛을 조사하는데 그치지 않고, 벽을 향해 빛을 조사함으로써 조명기기가 간접조명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명기기는 일종의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회전유닛과 제2회전유닛은 구동어셈블리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다양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명기기를 회전시킬 필요 없이, 조명기기의 버튼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조명기기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게 되고,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가 배치된 제2회전유닛은 제1회전유닛으로부터 회전하면서 베이스부로부터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이스부로부터 조명부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고, 조명부가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조명기기로 보다 넓은 구역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회전되는 제1회전유닛 또는 제2회전유닛 내부에 보강프레임이 배치될 수 있다. 보강프레임은 제1회전유닛 또는 제2회전유닛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조명기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회전축이 모두 베이스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된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기기의 기본적인 높이와 형태는 지지부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빛을 조사하는 부분의 조명모듈의 형태만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명기기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명기기는 베이스부, 지지부 및 조명모듈이 모두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조명기기가 전체적으로 통일성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조명부을 덮는 조명커버의 양쪽 측면은 확산판을 향해 점점 폭이 작아지는 곡면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조명커버가 전체적으로 곡선 및 곡면 형태인 조명모듈과 통일성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곡면 형태의 구조를 통해 조명커버의 무게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조명모듈에 가해지는 토크를 줄일 수 있고, 조명모듈이 보다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를 덮는 확산판은 고정을 위한 양측면이 빛을 투과하는 투과부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확산판을 포함한 조명부를 경량화할 수 있고, 조명모듈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어셈블리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조명부를 구성하는 광원을 기준으로, 광원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방열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공간은 일종의 단열공간 역할을 하여, 광원 및 조명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에 전달되는 정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조명부가 배치되는 제2회전유닛은 곡선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회전유닛의 회전중심인 제2회전축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한쪽에는 조명부가 배치되고, 반대쪽에는 조명부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조명부는 내장된 부품들로 인해 무거울 수 있는데, 조명부를 제외한 부분이 지지점인 제2회전축의 반대편에 배치됨으로써 무게가 한쪽(조명부의 말단 쪽)으로 쏠리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명모듈이 전체적으로 무게평형을 이룰 수 있어 조명부 쪽의 처점이 방지되고, 조명모듈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의 일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의 일실시례을 구성하는 제1회전유닛과 제2회전유닛이 회전을 통해 다양한 형태를 구현한 모습을 각각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의 일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의 일실시례에서 무게중심을 보인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의 일실시례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 및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각각 보인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의 일실시례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 및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각각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의 구조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의 내부구조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회전유닛과 제2회전유닛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회전유닛과 제2회전유닛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회전유닛을 제거하고, 제1회전유닛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회전유닛이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회전유닛이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회전유닛이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명부 중 조명기판과 차폐시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회전유닛이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회전유닛과, 제2회전유닛의 내부에 배치된 조명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확산판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회전유닛의 조명커버를 제거하고, 제2회전유닛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명부와 방열플레이트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회전유닛에서 조명커버를 제거하고, 제2회전유닛의 조명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방열플레이트가 제2회전유닛의 조명프레임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명프레임과 방열플레이트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회전유닛의 조명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제2회전유닛을 구성하는 조명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제2회전유닛을 구성하는 조명프레임의 일단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회전프레임에 구비된 제2감지부 및 주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0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제2회전유닛을 구성하는 조명커버의 일단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보강프레임과 제2보강프레임이 제1회전유닛과 제2회전유닛에 내장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회전유닛과 제2회전유닛이 서로 겹친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보강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구동어셈블리의 구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구동어셈블리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 34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구동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구동모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구동모터가 제1구동어셈블리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를 구성하는 제1구동모터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0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구동어셈블리의 제1종동기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구동어셈블리의 베어링이 지지부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구동어셈블리의 베어링과 제1구동모터가 지지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베어링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구동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1구동모터와 기어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5 내지 도 4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구동어셈블리가 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순서도.
도 4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구동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커버와 조명커버를 제거하고 제2구동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커버를 제거하고 제2구동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1은 도 50에서 케이블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회전유닛과 제2회전유닛을 제거하고 제2구동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구동어셈블리 중에서 제2구동기어와 제2종동기어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5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회전프레임과 조명커버를 제거하고 제2구동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커버단부가 제2종동기어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구동어셈블리 중에서 제2모터, 제2구동기어 및 제2종동기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7 내지 도 5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구동어셈블리가 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순서도.
도 59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의 제2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0은 도 59에 도시된 제2실시례를 구성하는 회전베이스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의 제3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의 제4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의 제5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의 제6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명기기는 조명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조명모듈(300)은 두 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가능한 제1회전유닛(400)과 제2회전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유닛(400) 및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면서 다양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를 구현하는 본 발명의 조명기기는 광원(642)의 조사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기기는 데스크 램프 형태의 조명기기 뿐 아니라,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조명기기와, 기타 빛을 조사하기 위한 다양한 조명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데스크 램프 형태의 조명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기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조명기기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상태를 기본형태라 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세워지는 지지부(200), 그리고 상기 지지부(200)에 연결되는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제2회전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0)는 일종의 기둥구조일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0)에는 상기 제1회전유닛(40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어셈블리(7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와, 후술할 제2구동어셈블리(800) 및 조명부(630)에 전원 및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와이어하네스(케이블(C))가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회전유닛(400)은 상기 지지부(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상기 제1회전유닛(4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상기 제2회전유닛(600)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유닛(600)에는 조명부(63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회전유닛(600)을 조명모듈(300)로 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에만 조명부(630)가 배치되지만, 제1회전유닛(400)에도 조명부(63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회전유닛(400)은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2회전유닛(600)은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와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고, 상기 제1회전유닛(400) 또는 제2회전유닛(600) 중 어느 하나는 수동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상기 지지부(20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을 제1회전부(S1)로 하고, 상기 제2회전유닛(600)과 상기 제1회전유닛(400)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을 제2회전부(S2)라 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의 각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례의 조명기기로 구현될 수 있는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의 위쪽 행부터 살펴보면, 첫번째 형태는 제1회전부(S1)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이고, 제2회전부(S2)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이다. 두번째 형태는 제1회전부(S1)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이고, 제2회전부(S2)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이다. 세번째 형태는 제1회전부(S1)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제2회전부(S2)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이다. 네번째 형태는 제1회전부(S1)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제2회전부(S2)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이다.
이어서, 도 3의 아래쪽 행을 살펴보면, 첫번째 형태는 제1회전부(S1)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제2회전부(S2)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이다. 두번째 형태는 제1회전부(S1)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제2회전부(S2)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이다. 세번째 형태는 제1회전부(S1)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제2회전부(S2)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이다. 네번째 형태는 제1회전부(S1)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제2회전부(S2)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상태이다.
이처럼 본 실시례의 조명기기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조명기기가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되면, 조명부(630)가 빛을 조사하는 범위가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기기가 단순히 책상이나 탁자에 빛을 조사하는데 그치지 않고, 벽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간접조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일종의 인테리어 소품과 같은 기능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상기 제2회전유닛(600)이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조명기기와 주변부의 미감을 높일 수도 있다.
도 3에는 상기 제1회전부(S1)와 상기 제2회전부(S2)가 각각 90도 간격으로 회전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회전부(S1)와 상기 제2회전부(S2)는 보다 세밀한 각도변경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S1)와 상기 제2회전부(S2)는 90도 이상 각도로 회전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실시례에서 조명기기의 무게중심(Ca)이 표현되어 있다. 도면부호 K는 조명기기의 무게중심(Ca)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무게중심(Ca)은 조명기기의 전체 높이의 중간 보다 아래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기기는 다양한 방향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베이스부(100)의 양단부와,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두 연장선(L1,L2)의 각각의 중간지점(도 4에서 L1,L2의 일단)과, 상기 베이스부(100)의 양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선(X,X2)이 교차하는 부분에 제1교차점(K1)이 형성되고, 조명기기의 무게중심(Ca)의 높이(H)는 상기 제1교차점(K1)과 같거나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조명기기가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전도되는 임계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도면부호 L3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심과, 상기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선을 나타내고, L4는 상기 교차점 높이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연장선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5에는 본 실시례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제2회전유닛(600)을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2회전부(S2)에는 제2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축의 방향이 L5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상기 교차점의 높이를 나타내는 연장선(L4)과 상기 제2회전축의 연장선(L5)이 교차하는 제2교차점(K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조명기기의 무게중심(Ca)은 상기 제2교차점(K2)과 같거나, 상기 제2교차점(K2) 보다 상기 지지부(200)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상기 제2회전유닛(600)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더라도, 상기 조명기기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회전유닛(600)이 회전되면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상기 지지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무게중심(Ca)이 도 5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무게중심(Ca)이 제2교차점(K2) 보다 좌측에 형성되면, 제2회전유닛(600)의 형태가 변경되더라도 조명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100)의 외측단부에 가깝게 편향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지지부(200)의 베이스연결단(220)와 조명연결단(23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치우쳐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부(200)는 조명기기의 무게중심(Ca)을 상기 조명모듈(300)로부터 반대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의 베이스연결단(220)와 조명연결단(230)이 수직한 방향이 아니라 수평한 방향으로 각각 베이스부(100)와 조명모듈(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회전부(S1)의 회전축이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회전부(S2)의 회전축은 이와 직교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조명모듈(300)이 보다 다양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에서, 상기 제1회전부(S1)의 회전축의 연장선(L6)과 상기 제2회전부(S2)의 제2회전축의 연장선(L5)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을 제3교차점(K3)이라고 할 때, 상기 제3교차점(K3)을 중심으로 상기 조명모듈(300)을 사분면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3교차점(K3)을 기준으로 제1사분면에는 제2회전유닛(600)의 조명몸체(R1)가 배치되고, 제2사분면에는 제2회전유닛(600)의 회전몸체(R2) 중 대략 절반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사분면에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회전몸체(R2)의 나머지 절반과, 상기 제2회전유닛(6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조명기기를 상기 제3교차점(K3)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제1사분면에 배치된 조명기기의 일부를 T1이라 하고, 제2사분면에 배치된 일부를 T2라고 하며, 제3사분면에 배치된 조명기기의 일부 중 제1회전유닛(400) 부분을 T3이라 하고, 제3사분면에 배치된 조명기기의 일부 중 제2회전유닛(600) 부분을 T4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모듈(30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의 무게가 평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제1회전축의 연장선(L6)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된 T1+T2의 무게는 하부에 배치된 T3+T4의 무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명모듈(300)의 지지점인 상기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와 하부의 무게가 같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몸체(R1)의 처짐과 안정적인 구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T+T2<1.2*(T3+T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회전축의 연장선(L5)을 기준으로 보면, 우측에 배치된 T1의 무게와 좌측에 배치된 T2+T4의 무게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는 부분인 T1,T2 및 T4가 서로 평형을 이룰 수 있다. 이때 T3는 제2회전축에 지지되지 않고, 제1회전축에 직접 지지되므로, 평형 조건에서 빠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몸체(R1)의 처짐과 안정적인 구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T<1.3*(T2+T4)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보면, 도 6에는 조명기기가 지면에 정상적으로 지지된 상태,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 및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a)를 보면, 상기 무게중심(Ca)을 기준으로, 조명기기 하부의 무게는 상부의 무게 보다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게중심(Ca)을 기준으로, 조명기기 상부의 무게는 상기 제2회전축의 연장선(L5)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의 무게(도면에서 좌측이 사각형 부분)는 우측의 무게(도면에서 우측의 사각형 부분)보다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무게중심(Ca)의 높이(L4)와 상기 제2회전축의 연장선(L5)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K2)을 기준으로 제2사분면에 배치된 상기 지지부(200)의 일부, 상기 제1회전유닛(400), 및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일부분의 무게의 합은 제1사분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나머지 부분의 무게의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가장 무거운 조명부(370)의 무게로 인해 조명기기의 쏠림현상을 나머지 부분이 보완해줄 수 있다.
이때, 도 6(b)를 보면 조명기기가 지면으로부터 소정각도만큼 전방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00)가 지면과 닿는 지점 보다 무게 중심이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편인 후방에 배치되므로, 조명기기의 전도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조명기기의 무게중심(Ca)은 제2회전축의 연장선(L5) 보다 좌측에 있으므로, 전도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6(c)를 보면, 보면 조명기기가 지면으로부터 소정각도만큼 후방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00)가 지면과 닿는 지점 보다 무게 중심이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편인 전방에 배치되므로, 조명기기의 전도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유닛(600)이 회전하여 무게중심(Ca)이 전방(도 6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기기의 무게중심(Ca)은 제2회전축의 연장선(L5) 보다 좌측에 있으므로, 전도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7에는 조명기기가 지면에 정상적으로 지지된 상태와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7(b)를 보면, 무게중심(Ca)은 베이스부(100)가 지면과 닿는 지점 보다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편인 좌측에 배치되므로, 조명기기의 전도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조명기기의 무게중심(Ca)이 조명기기의 전체 높이의 중간 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좌우방으로의 전도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다시 도 1을 보면,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에는 인터페이스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15)는 조명기기의 제어를 위한 것으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15)는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제2회전유닛(600)의 회전제어와, 상기 조명부(630)의 온/오프, 타이머설정 등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15)는 터치센서로 구성된다.
도 8과 도 9에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에는 베이스하우징(1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하우징(110)은 내부에 베이스공간(131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하우징(110)은 베이스공간(131a)을 감싸는 측면과 바닥이 별개의 부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8에는 바닥 부품인 베이스커버(120)가 결합된 상태이고, 도 9는 상기 베이스커버(120)가 분리되어 베이스공간(131a)이 드러난 상태이다.
도 8을 보면, 상기 베이스부(100)의 바닥에는 포트결합공간(121)이 있다. 상기 포트결합공간(121)에는 상기 조명부(630)의 제어를 위한 조명커넥터(122), 오디오 및 전원커넥터(123)와 모터의 동작제어를 위한 모터커넥터(1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이고, 상기 커넥터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커넥터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도면브호 125는 조명기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보면, 상기 베이스공간(131a)에는 조명기기의 제어 및 전원분배 등과 관련된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베이스공간(131a)에는 전원부(131)가 배치될 수 있고, 중심부에는 케이블연결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공간(131a)에는 조명기기의 제어를 위한 메인제어부(133)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공간(131a)에는 터치센서부(135)와 적외선센서부(136)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131), 메인제어부(133), 케이블연결부(132), 터치센서부(135) 및 적외선센서부(136)들은 상기 베이스공간(131a)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20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100)의 무게중심은 상기 지지부(200)에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100)는 바닥부의 무게 중심이 지지부(200) 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공간(131a)에는 케이블(C)의 연결을 제어하는 연결기판(134b)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공간(131a)의 양쪽에는 각각 무선연결을 위한 무선연결부(137)와 후술할 제1구동어셈블리(700)와 제2구동어셈블리(800)의 제어를 위한 구동드라이브(13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공간(131a)의 중심부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모듈(139)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모듈(139)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에 안착된 휴대폰 등을 무선충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모듈(139)은 상기 메인제어부(133) 등의 부품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는 상기 지지부(200)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지지부(200)는 대략 기둥형태의 지지몸체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210)는 원기둥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21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인 하네스공간(2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네스공간(215)에는 케이블(C)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C)은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부(630)의 발광을 위한 전원과 신호의 전송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210) 내부의 상기 하네스공간(215)의 직경은 상기 지지몸체의 길이방향(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지지몸체(210)의 하부에서 상기 하네스공간(215)이 더 좁은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지지몸체(210)의 하부의 무게를 더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조명기기의 전도방지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100)의 외측단부에 가깝게 편향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지지부(200)의 베이스연결단(220)과 조명연결단(23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치우쳐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부(200)는 조명기기의 무게중심(Ca)을 상기 조명모듈(300)로부터 반대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00)의 베이스연결단(220)과 조명연결단(230)이 수직한 방향이 아니라 수평한 방향으로 각각 베이스부(100)와 조명모듈(3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에는 상기 조명모듈(3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명모듈(300)은 상기 지지부(200)에 연결되는 제1회전유닛(400)과 상기 제1회전유닛(400)에 연결되는 제2회전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유닛(400)은 상기 지지부(200)의 조명연결단(23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상기 제1회전유닛(40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회전축의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300)을 구성하는 상기 제1회전유닛(400)은 상기 지지부(200)와의 사이에 제1회전부(S1)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의 사이에 제2회전부(S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유닛(400)에는 상기 지지부(2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프레임(410)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프레임(410)에는 프레임커버(420)가 조립될 수 있다. 도 13에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이 제거되고, 상기 프레임커버(420)가 드러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회전유닛(400)은 상기 제1회전부(S1)로부터 대략 곡선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회전유닛(400)은 회전되지 않은 기본형태일 때, 상기 지지부(200)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되, 곡선형태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회전유닛(400)은 대략 정원의 1/4을 구성하는 원호 형상이다. 이와 달리, 상기 제1회전유닛(400)은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L'자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회전유닛(400)은 제1회전축으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곡선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회전유닛(400) 전체에 가해지는 굽힘모멘트와 토크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에 가해지는 하중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기기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회전유닛(400)이 곡선형상이 되면, 상기 제2회전부(S2)가 상기 제1회전부(S1)와 높이를 달리하거나(도 3의 첫번째 행 중 제1형태 참조), 또는 제1회전부(S1)와 좌우 위치를 달리할 수도 있다.(도 3의 첫번째 행 중 제3형태 참조) 또한, 상기 제1회전유닛(400)이 곡선형상이 되면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면, 조명기기가 가질 수 있는 형태가 보다 다양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부(S1)의 회전축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1구동어셈블리(700)의 제1모터(720)의 회전축(725)이자, 제1종동기어(750)의 회전축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2회전부(S2)의 회전축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2구동어셈블리(800)의 제2종동기어(850)의 회전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회전축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1을 보면,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상기 제1회전유닛(4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조명프레임(610)과, 상기 조명프레임(610)과 결합되는 조명커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다시 제1회전유닛(400)과 연결되는 부분과, 조명부(630)가 배치되는 부분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연결되고 곡선형태인 회전몸체(R2)와, 상기 회전몸체(R2)에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명부(630)가 배치되는 조명몸체(R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상기 회전몸체(R2)와 상기 조명몸체(R1)는 일체로 형성되지만, 이처럼 구분할 수도 있다. 상기 상기 조명몸체(R1)의 길이는 상기 지지부(200)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면, 상기 조명몸체(R1)의 회전시에 베이스부(100) 또는 지면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를 보면 상기 조명모듈(300)의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조명모듈(300)을 구성하는 제1회전유닛(400)과 제2회전유닛(600)은 모두 곡선형태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연결되는 상기 지지부(200)의 조명연결단(230)도 곡선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기기는 전체적으로 곡선과 곡면 형태의 심미감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케이블(C)을 보면, 상기 케이블(C)은 상기 지지부(200)에 내장되는 제1연장부(C1), 상기 제1회전유닛(400)에 내장되는 제2연장부(C2)와 상기 제2회전유닛(600)에 내장되는 제3연장부(C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케이블(C)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고, 제1연장부(C1), 제2연장부(C2) 및 제3연장부(C3)는 상기 케이블(C)이 배치된 위치에 따라 구분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케이블(C)은 상기 지지부(200),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상기 제2회전유닛(600)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보면, 상기 제1회전유닛(400)을 구성하는 회전프레임(410)과 프레임커버(420)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유닛(600)을 구성하는 조명프레임(610)과 조명커버(620)가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일부에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조명모듈(300)이 기본형태일 때, 상기 제1회전유닛(400)에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회전몸체(R2)가 중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프레임커버(420)의 위쪽에 상기 조명프레임(610) 중 제1프레임(610A)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유닛(600)이 회전하면, 상기 제1프레임(610A)은 상기 프레임커버(420)에서 벗어나고, 제1회전유닛(400)의 제1조명회동부(E1)와, 제2회전유닛(600)의 제2조명회동부(E2)만 서로 연결된 상태로 남을 수 있다.
도 12에는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상기 제2회전유닛(6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어셈블리(700,8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동어셈블리(700,800)에는 상기 지지부(200)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유닛(400)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어셈블리(70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어셈블리(700,800)에는 상기 제1회전유닛(400)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유닛(600)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어셈블리(80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와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에는 각각 제1모터(720)와 제2모터(820)가 포함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와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와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2에서 보듯이, 상기 제2회전유닛(600)에 배치된 광원(642)은 상기 제1조명회동부(E1)와 상기 제2조명회동부(E2)를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의 제1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조명부(630)는 상기 회전몸체(R2) 보다 상기 제1회전부(S1)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광원(642)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회전몸체(R2)와 간섭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제1회전유닛(400)을 살펴보면, 상기 제1회전유닛(400)은 회전프레임(410)과 프레임커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는 상기 회전프레임(410)에 상기 프레임커버(420)가 결합된 상태이다. 상기 회전프레임(410)과 상기 프레임커버(420)는 서로 대응하는 곡선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커버(420)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에 의해 가려지거나 또는 드러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300)이 기본형태일 때는 상기 프레임커버(420)가 상기 제2회전유닛(600)에 가려지게 된다.
상기 제1회전유닛(400)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200)의 조명연결단(2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유닛(400)의 타단부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과 연결되는 제1조명회동부(E1)가 될 수 있다. 도 13을 보면, 상기 제1조명회동부(E1)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조명회동부(E1)는 상기 회전프레임(410)의 프레임단부(415)와 프레임커버(420)의 프레임커버단부(425)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커버단부(425)의 중심에는 제1회전연결홀(425a)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1회전연결홀(425a)에는 제2구동어셈블리(8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4를 보면, 상기 회전프레임(410)에서 상기 프레임커버(420)가 분해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410)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몸체(411)는 아래쪽으로 함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함몰된 부분의 상단에 상기 프레임커버(4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메인몸체(411)의 함몰된 부분에는 제1수납공간(411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수납공간(411a)에는 상기 케이블(C)이 배치될 수 있고, 제2구동어셈블리(800)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커버(420)를 보면, 상기 프레임커버(420)는 얇은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커버(42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결합리브(4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421)는 상기 회전프레임(410)의 제1수납공간(411a)의 내면에 밀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421)는 상기 상기 프레임커버(4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도면부호 421a는 상기 제1수납공간(411a)의 바닥면을 마주보는 프레임커버(420)의 내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프레임커버(420)의 측면에는 제1조립후크(4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후크(422)는 상기 제1수납공간(411a)의 내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1조립후크(422)가 상기 제1수납공간(411a)의 내면에 걸리면, 상기 프레임커버(420)가 상기 회전프레임(410)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제1조립후크(422)들이 상기 프레임커버(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426은 상기 프레임단부(415)와 상기 프레임커버단부(425) 사이의 조립을 위한 회동부후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커버면(421a)에는 가이드편(4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편(423)은 상기 커버면(421a)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편(423)은 아래에서 설명될 모터장착편(429)과 이격되고, 상기 제1수납공간(411a)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편(423)은 상기 케이블(C)을 안내할 수 있고, 상기 제1모터(720)의 한쪽을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면(421a)에는 고정돌부(4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부(424)는 상기 커버면(421a)에서 상기 제1수납공간(411a)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부(42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구동어셈블리(700)의 제1구동기어(73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부(424)는 상기 제1구동기어(730)와 상기 커버면(421a)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줄여,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커버단부(425)에는 커버체결단(42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체결단(427)은 상기 회전프레임(410)의 프레임단부(415)에 걸릴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버체결단(427)은 후크 형태 구조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버체결단(427)은 상기 회전프레임(410)의 제1수납공간(411a)에 있는 고정턱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조립후크(422), 상기 회동부후크 및 상기 커버체결단(427)은 모두 상기 프레임커버(420)가 상기 회전프레임(410)에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제2회전유닛(600)을 살펴보면,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상기 제1회전유닛(4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상기 조명부(630)가 배치되는 부분으로, 실질적으로 조명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상기 제1회전유닛(400)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회전유닛(600)에는 충분히 긴 조명부(6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전체 또는 일부가 곡선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상기 조명부(630)가 배치되는 직선형태의 조명몸체(R1)와,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연결되고 곡선형태인 회전몸체(R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몸체(R1)는 직선형태이고, 상기 회전몸체(R2)는 대략 'C'자 형태이므로,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전체적으로 'J'자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조명몸체(R1)도 곡선형태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회전축의 연장선(L5, 도 6참조)을 기준으로 좌측인 제2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일부가 'C'자 형태인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일부는 상기 제1회전축의 연장선(L6, 도 6참조)을 기준으로 대칭형상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제2회전축으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곡선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부(630)를 포함하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 전체에 가해지는 토크 및 굽힙모멘트를 줄일 수 있고, 제2구동어셈블리(800)에 가해지는 하중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기기의 내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상기 회전몸체(R2)가 곡선형태가 되면, 상기 회전몸체(R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조명몸체(R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조명부(630)는 상기 제2회전축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제1영역(도 5의 제1사분면 및 제4사분면에 해당)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630)를 제외한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의 제2회전축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영역의 반대편인 제2영역(도 5의 제2사분면 및 제3사분면에 해당)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의 제2회전축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우측에는 상기 조명몸체(R1)가 배치될 수 있고, 좌측에는 상기 회전몸체(R2)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의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적어도 일부가 조명몸체(R1)의 반대편에 배치되면, 상기 조명부(630)가 포함된 상기 조명몸체(R1)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제2회전유닛(600)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려는 경향성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명부(630)는 부품들로 인해 무거울 수 있는데, 상기 회전몸체(R2)가 조명몸체(R1)의 반대편에 배치됨으로써 무게가 한쪽(조명부(630)의 말단 쪽)으로 쏠리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명몸체(R1)의 반대편에 배치된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내부에는 무게추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무게추는 상기 제1영역의 무게와 제2영역의 무게를 같게 하거나, 양쪽의 무게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조명프레임(610)과 조명커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610)은 대략 'J'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610)은 얇은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610)은 상기 조명커버(620)와 함께 그 사이에 제2수납공간(621)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제2수납공간(621)에는 상기 케이블(C), 상기 조명부(630) 및 아래에서 설명될 제2보강프레임(680) 및 방열플레이트(6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610)에는 사이드펜스(6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펜스(611)는 상기 조명프레임(610)의 프레임내면(611A)의 양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펜스(611)는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프레임내면(611A)이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도 21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펜스(611)에는 펜스후크(613)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펜스후크(613)는 상기 조명커버(6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명프레임(610)과 상기 조명커버(620)가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부호 612는 체결보스로, 상기 조명프레임(610)과 상기 조명커버(62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돌부(622a, 도 30참조)가 상기 체결보스(612)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610)의 한쪽 끝에는 회전단부(6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단부(615)는 상기 조명커버(620)의 조명커버단부(625)와 함께 상기 제2회전유닛(600)이 회전될 수 있는 제2조명회동부(E2)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프레임내면(611A)에는 누름돌기(6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돌기(617)는 상기 제2수납공간(621)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누름돌기(617)는 상기 방열플레이트(670)에 형성된 열원접촉부(675)를 눌러줄 수 있다. 상기 열원접촉부(675)는 상기 방열플레이트(670)로부터 조명기판(640)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누름돌기(617)는 상기 열원접촉부(675)가 상기 조명기판(64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프레임(610)은 상기 조명몸체(R1)를 구성하는 제1프레임(610A)과, 회전몸체(R2)를 구성하는 제1프레임(610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610A)과 제2프레임(610B)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610A)은 상기 조명부(63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610B)은 상기 제2회전부(S2)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제2프레임(610B)의 일단부에는 상기 회전단부(6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단부(615)는 상기 제1프레임(610A)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단부(615)에 배치되는 제2회전부(S2)의 회전축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커버(620)는 상기 조명프레임(610)과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조명커버(620)도 대략 'J'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조명커버(620)는 상기 조명부(630)와 상기 방열플레이트(67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명프레임(6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명커버(620)도 상기 조명프레임(610)과 마찬가지로, 두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조명커버(620)는 제1커버부(620A)와 제2커버부(620B)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620A)는 상기 제1프레임(610A)을 덮는 부분일 수 있고, 상기 제2커버부(620B)는 상기 제2프레임(610B)을 덮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620A)는 직선형태이고, 상기 제2커버부(620B)는 대략 'C'자 형상의 곡선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620A)에는 상기 조명부(630)를 노출시키기 위한 조명개구부(6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개구부(622)의 안쪽에는 상기 조명기판(64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개구부(622)는 아래에서 설명될 확산판(635)으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조명개구부(622)는 상기 제1커버부(6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17에는 상기 조명부(630)를 구성하는 조명기판(640)과 차폐시트(65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기판(640)에는 복수의 광원(64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642)은 LED조명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642)들은 상기 메인제어부(133)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광원(642)들 중 일부만 빛을 조사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폐시트(650)는 상기 광원(642)을 제외한, 광원(642)의 주변에 해당하는 상기 조명기판(640)의 표면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차폐시트(650)는 상기 광원(642)의 빛이 주변으로 분산되지 않고, 상기 확산판(635) 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면부호 652는 상기 광원(642)이 통과하는 시트관통부(652)이다.
도 18을 보면, 상기 조명부(630)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조명부(630) 주변에 해당하는 상기 조명커버(620)의 양쪽 측면은 곡면형상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명커버(620) 중 제1커버부(620A)의 양쪽 측면은 상기 조명부(630)의 확산판(635)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대칭된 곡면형상인 것이다.
상기 제1커버부(620A)의 양쪽 측면은 상기 확산판(635)을 향해 점점 폭이 작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커버부(620A)가 전체적으로 곡선 및 곡면 형태인 조명모듈(300)과 통일성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부(620A)의 무게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상기 제2회전부(S2)에 가해지는 토크를 줄일 수 있고, 제2회전유닛(600)이 보다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다.
도 19에는 상기 조명부(63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명부(630)는 상기 조명프레임(610)과 상기 조명커버(620)에 의해 형성된 제2수납공간(62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630)는 조명기판(640)과 상기 조명기판(640)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64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기판(640)은 상기 메인제어부(13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위해서 상기 케이블(C)의 제3연장부(C3)는 상기 조명기판(6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명기판(640)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642)들은 아래쪽, 즉 상기 조명개구부(622)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642)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확산판(635)을 통해서 외부로 퍼질 수 있다. 상기 광원(642)은 상기 조명기판(64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642)의 중심은 상기 확산판(635)의 중심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기판(640)과 상기 확산판(635)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제1방열공간(G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기판(640)과 상기 조명프레임(610)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제2방열공간(G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공간(G1)은 상기 광원(642)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상기 확산판(635)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방열공간(G2)은 상기 광원(642)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41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즉, 상기 제1방열공간(G1)과 상기 제2방열공간(G2)은 일종의 단열공간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몸체(R1)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기판(640)의 상부에는 방열플레이트(670)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부호 645는 방열랜드부(645)로, 상기 조명기판(640)의 회로부 일부가 노출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방열랜드부(645)에 상기 방열플레이트(670)의 열원접촉부(675)가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열원접촉부(675)는 앞서 설명한 누름돌기(617)에 의해 방열랜드부(645) 방향으로 눌릴 수 있다. 상기 방열랜드부(645)는 일종의 열전도 포인트가 될 수 있다.
도 19과 도 20에는 확산판(635)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확산판(635)은 상기 광원(642)이 빛을 조사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광원(642)의 전방(도면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판(635)은 반투명한 재질, 예를 들어 백색을 띠는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상기 확산판(635)에 별도의 반투명시트가 부착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확산판(635)에는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확산판(635)이 반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지면, 상기 광원(642)의 빛이 특정 지점에 집중되지 않고 확산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판(635)은 상기 조명개구부(622)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단부(63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걸림단부(637)의 사이에는 평판 구조인 투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판(635)의 양측면에는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확산판(635)의 양측면에는 경사면 형태의 확산면(636)이 형성된다. 상기 확산면(636)은 상기 광원(642)의 빛이 보다 상기 확산판(635)의 보다 넓은 면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확산편(636)은 곡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산면(636)은 곡면형상인 상기 조명커버(620)의 측면과 디자인적으로 일체감을 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확산판(635)의 측면 두께(D2)는 상기 확산면(636)을 포함한 상기 확산판(635)의 투과부의 두께(D1) 보다 얇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확산판(635)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다시 도 16을 보면, 상기 방열플레이트(670)는 상기 조명프레임(610)과 상기 조명커버(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방열플레이트(670)의 일부는 상기 조명부(630)와 겹쳐지고, 나머지는 겹쳐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플레이트(670)가 상기 조명부(630)와 겹치지 않는 부분은 보강몸체(673)이고, 상기 제2프레임(610B) 및 상기 제2커버부(6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플레이트(670)가 상기 조명부(630)와 겹치는 부분은 방열몸체(674)이다.
상기 방열플레이트(670)는 상기 조명부(630)에서 발생되는 열을 확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플레이트(670)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전체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상기 방열플레이트(670)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처짐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경량화를 위해서 상기 조명프레임(610)과 상기 조명커버(620)가 가벼운 재질,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게 되면, 강도가 부족하여 제2회전유닛(600)의 처짐이나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명부(630)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제2회전유닛(600)을 변형시킬 수 있는데, 상기 방열플레이트(670)는 조명부(630)의 열을 확산시킬 뿐 아니라, 그 자체가 일종의 강도보강을 위한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방열플레이트(670)는 얇은 판상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방열플레이트(67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방열플레이트(670)의 보강몸체(673)는 상기 방열몸체(674) 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열몸체(674)에서 전달된 열은 상기 보강몸체(673)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몸체(673)는 상기 회전몸체(R2) 부분의 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다. 상기 보강몸체(673)는 상기 방열몸체(674) 보다 폭이 클 뿐 아니라 두께가 더 두꺼울 수도 있다. 도면부호 673a는 상기 조명프레임(610)에 구비된 체결보스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회피부이다.
도 22를 보면, 상기 방열몸체(674)에는 복수의 열원접촉부(6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원접촉부(675)는 상기 조명기판(64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열원접촉부(675)는 상기 방열몸체(674)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열원접촉부(675)는 상기 방열몸체(674) 자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부분이거나, 상기 방열몸체(674)에 별도의 부품이 결합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열원접촉부(675)는 상기 조명기판(640)의 배면에 형성된 상기 방열랜드부(645)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열원접촉부(675)는 상기 방열랜드부(645)에 탄성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열원접촉부(675)는 상기 방열랜드부(645)를 향해 함몰된 형태이고, 상기 열원접촉부(675)의 함몰된 부분에는 앞서 설명한 상기 조명프레임(610)의 누름돌기(617)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원접촉부(675)는 상기 방열랜드부(645)에 정확하게 접촉되어 열을 확산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명기판(640)과 상기 조명프레임(610) 사이에는 제2방열공간(G2)이 확보되므로, 상기 방열플레이트(670)를 통해서 조명기판(640)의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방열몸체(674)와 상기 조명기판(640) 사이에는 상기 제2방열공간(G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열공간(G2)은 열이 확산될 수 있는 빈 공간이다.
도 23과 도 24를 보면, 상기 조명커버(620)가 제거되고, 상기 방열플레이트(670)가 상기 제2회전유닛(600)에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방열플레이트(670)는 상기 조명프레임(610)의 표면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3을 보면, 상기 보강몸체(673)의 중심부를 따라 돌출된 구조가 있다. 상기 돌출된 부분은 상기 케이블(C)을 감싸는 비드부이다. 상기 비드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4를 보면, 상기 프레임내면(611A)에는 상기 보강몸체(673)와 상기 방열몸체(674)가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몸체(674)에 구비된 상기 열원접촉부(675)는 상기 조명기판(640)의 방열랜드부(64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열원접촉부(675)는 상기 방열랜드부(645)와 같은 개수로,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열원접촉부(675)는 상기 광원(642)과도 같은 개수로 구비되고, 광원(642)과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름돌기(617)가 상기 열원접촉부(675)의 위치도 설정해줄 수 있으므로, 상기 열원접촉부(675)는 상기 방열랜드부(645)와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다.
도 25를 보면, 상기 조명프레임(610)의 프레임내면(611A)에 구비된 누름돌기(617)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누름돌기(617)는 상기 프레임내면(611A)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내면(611A)에는 상기 방열플레이트(67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조립과정에서 상기 누름돌기(617)가 상기 열원접촉부(675)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돌기(617)는 상기 방열플레이트(670)와 상기 조명프레임(610) 사이의 가조립을 돕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방열플레이트(670)가 상기 조명프레임(610)에 먼저 조립된 후에, 그 아래쪽으로 상기 조명부(630)가 조립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명커버(620)가 조립되면,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조립이 완료될수 있다. 도 26에는 상기 조명커버(620)의 안쪽에 마련된 제2수납공간(621)과, 상기 조명개구부(622)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7에는 상기 조명프레임(610)에서 상기 방열플레이트(670)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열플레이트(670)가 제거되면 상기 조명프레임(610)의 프레임내면(611A)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도 27에서 보듯이, 상기 프레임내면(611A)은 상기 방열플레이트(670)의 형상대로 함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열플레이트(670)는 상기 프레임내면(611A)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8에는 상기 조명프레임(610)의 회전단부(615)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회전단부(615)는 상기 조명부(63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조명프레임(61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단부(615)에는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가 배치된다.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1조명회동부(E1)와 상기 제2조명회동부(E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단부(615)는 상기 조명커버단부(625)와 함께 제2조명회동부(E2)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단부(615)는 상기 회전커버의 프레임커버단부(425)와 밀착되고, 상대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부(S2)가 도시된 도 48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단부(615)와 상기 프레임커버단부(425)가 서로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단부(615)의 바깥쪽에는 상기 조명커버단부(625)가 배치되고, 반대쪽인 상기 프레임커버단부(425)의 바깥쪽에는 프레임단부(415)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커버단부(625)와 상기 프레임단부(415)는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를 감싸는 일종의 커버가 될 수 있다.
다시 도 28을 보면, 상기 회전단부(615)의 중심에는 제2회전연결홀(615a)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연결홀(615a)은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를 구성하는 제2종동기어(850)가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연결홀(615a)은 앞서 설명한 상기 프레임커버단부(425)의 중심에 있는 제1회전연결홀(425a)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종동기어(850)는 상기 제1회전연결홀(425a)과 상기 제2회전연결홀(615a)이 서로 연결되어 만드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연결홀(615a)의 주변에는 제2회전체결홀(6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체결홀(616)은 상기 회전단부(615)와 상기 제2종동기어(850)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단부(615)와 상기 제2종동기어(850)가 결합되면, 상기 제2종동기어(850)가 상기 제2구동기어(830)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회전단부(615) 및 제2회전유닛(600) 전체가 회전될 수 있다. 도면부호 619는 상기 커버체결단(427)에 걸려 고정되는 프레임체결턱을 나타낸다.
한편, 도 29에는 상기 회전단부(615)의 구조를 도 28과 반대편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단부(615)의 반대편에는 제2스토퍼(617a)와, 제2감지센서(61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617a)는 상기 회전단부(615)의 일부가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617a)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회전방향과 대응하는 곡선경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617a)에는 상기 프레임커버단부(425)에 구비된 제2스토핑돌기(P2, 도 55참조)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핑돌기(P2)가 상기 제2스토퍼(617a)의 양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조명회동부(E1)와 상기 제2조명회동부(E2) 사이의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617a)에는 복수의 제2감지센서(61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지센서(618)는 상기 제2스토핑돌기(P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회전각도를 알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감지센서(618)는 총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네 개의 제2감지센서(618a-618d)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회전각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감지센서(618)는 홀센서이고, 상기 제2스토핑돌기(P2)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2감지센서(618)를 이용해서,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0을 보면, 상기 조명커버(620)의 하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명커버(620)의 양쪽에는 한 쌍의 커버펜스(6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펜스(621)와 조명커버(620)의 내면 사이에는 함몰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함몰된 공간은 회동공간(625a)으로, 상기 조명커버단부(625) 주변에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회동공간(625a)의 안쪽에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공간(625a)의 한쪽에는 커버체결단(427)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체결단(427)은 상기 조명프레임(610)의 프레임체결턱(619)에 걸릴 수 있다.
도 31을 보면, 상기 제1회전유닛(400)에는 제1보강프레임(480)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은 상기 제1회전유닛(4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은 상기 회전프레임(410)과 프레임커버(4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1에는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이 상기 프레임커버(420)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프레임(410)은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은 회전운동을 하는 제1회전유닛(400)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제1회전유닛(400)이 회전과정에서 뒤틀리거나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은 양쪽의 보강편(482)을 포함하여, 대략 'U'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 자체의 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은 상기 프레임커버(420)의 내면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일부 구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은 하나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제1보강프레임(480)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은 상기 회전프레임(410)과 상기 프레임커버(420)의 사이에 조립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은 상기 회전프레임(410) 또는 상기 프레임커버(420) 중 어느 한 쪽에 인서트사출될 수도 있다.
도 32를 보면, 상기 제2회전유닛(600)에는 제2보강프레임(6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은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은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도 32에는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이 상기 조명프레임(610)과 상기 조명커버(6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데, 조명커버(620)는 점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도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과 마찬가지로, 대략 'U'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33을 보면,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의 양측면에는 장착날개부(6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날개부(682)는 상기 제2수납공간(621)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683은 상기 체결보스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부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은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과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겹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1을 보면, 상기 프레임커버(420)의 아래쪽에는 제1보강프레임(480)이 배치되고, 상기 조명프레임(610)의 위쪽에는 제2보강프레임(68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보강프레임(480)과 제2보강프레임(680)은 회전과정에서 외력이 집중되는 부분의 강도를 보완하여, 뒤틀림 등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해줄 수 있다.
도 32에서 보듯이,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의 일단부에는 프레임고정블록(68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고정블록(687)은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을 상기 조명프레임(6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고정블록(687)의 위에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의 일단부가 안착되면, 상기 프레임고정블록(687)의 블록돌부(도면부호 미부여)가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의 고정홈부(685, 도 33참조)에 끼워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가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은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내부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일부 구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은 하나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제2보강프레임(680)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은 상기 조명프레임(610)과 상기 조명커버(620)의 사이에 조립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은 상기 조명프레임(610)과 상기 조명커버(620) 중 어느 한 쪽에 인서트사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방열플레이트(670)도 상기 제2보강프레임(68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회전부(S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구동어셈블리(700)의 구조를 보기로 한다. 도 33과 도 34에는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서로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는 상기 지지부(200)와 상기 제1회전유닛(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는 상기 지지부(200)와 상기 제1회전유닛(400) 사이가 상대회전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제1회전유닛(400)이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에 의해 상기 지지부(200)에 대해 회전된다.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의 설명에 앞서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회전프레임(410)의 회전연결부(450)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회전연결부(450)는 상기 회전프레임(41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부(450)를 사이에 두고 제1구동어셈블리(700)의 베어링(770)과 제1종동기어(750)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제1종동기어(750)가 제1모터(720)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회전연결부(450)와 베어링(77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34에서 보듯이, 상기 회전연결부(450)는 대략 링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부(450)의 중심에는 관통된 빈 구멍인 회전관통부(4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통부(452)의 가장자리에는 베어링결합단(4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결합단(451)은 상기 회전관통부(452)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될 수 있고, 평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베어링결합단(451)에는 복수의 베어링체결홀(45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체결홀(451a)에 베어링체결구(459)가 조여지면, 상기 회전연결부(450)는 상기 베어링(77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베어링(770)에도 상기 베어링체결홀(451a)에 대응하는 연결부체결홀(77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5를 보면, 상기 베어링결합단(451)의 반대편에는 제1스토핑돌기(P1)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핑돌기(P1)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스토퍼(717)를 따라 회전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스토핑돌기(P1)가 상기 제1스토퍼(717)에 걸리면 상기 회전연결부(450) 및 상기 제1회전유닛(400) 전체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핑돌기(P1)는 상기 베어링결합단(451)으로부터 상기 모터하우징(71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는 제1모터(720)를 포함하여 복수의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부품들이 조립되어 상기 제1지지부(200)의 조명연결단(2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명연결단(230)을 보면,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가 결합되는 부분에 회전플랜지(23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랜지(234)에는 회전리브(235, 도 41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리브(235)는 상기 조명연결단(230)의 외주면을 둘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리브(235)는 대략 링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리브(235)에는 베어링(77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에는 제1모터(7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720)는 상기 케이블(C)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제1회전유닛(4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720)에 의해 제1회전유닛(400)과, 상기 제1회전유닛(400)에 연결된 제2회전유닛(60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720)의 회전축(725)은 제1구동어셈블리(700)의 제1회전축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모터(720)의 회전축(725)이 제1회전부(S1)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도면부호 722는 상기 제1모터(720)를 장착하기 위한 제1모터고정편을 나타낸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모터(720)는 모터하우징(7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710)은 상기 지지부(200)의 조명연결단(2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710)에는 하우징고정부(712)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고정부(712)는 상기 조명연결단(230)의 내부에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710)에는 제1스토퍼(71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717)는 상기 제1모터(720)의 회전에 연동하는 상기 회전프레임(41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도 37에는 상기 제1모터(720)가 상기 모터하우징(710)에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스토퍼(717)는 상기 모터하우징(710)의 전면에는 제1스토퍼(717)가 함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토퍼(717)는 상기 회전프레임(410)의 회전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717)에는 복수의 제1감지센서(71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센서(718)는 회전프레임(410)의 제1스토핑돌기(P1, 도 35 및 도 36참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1회전유닛(400)의 회전각도를 알 수 있다. 도 37에는 상기 제1감지센서(718)가 총 3개(718a-718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3개의 제1감지센서(718a-718c)는 상기 제1회전유닛(400)의 회전각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감지센서(718)는 홀센서이고, 상기 제1스토핑돌기(P1)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감지센서(718)를 이용해서, 상기 제1회전유닛(4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 39에서 보듯이, 상기 제1감지센서(718)는 4개(718a-718d)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9에는 총 4개의 제1감지센서(718a-718d)가 원호형상의 제1스토퍼(717)를 따라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스토퍼(717)는 대략 180도 간격을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는 제1스토퍼(717)의 경로를 따라 4개의 제1감지센서들(718a-718d)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유닛(400)은 180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스토핑돌기(P1)가 가장 좌측에 배치된 제1감지센서(718a)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회전을 시작하여, 가장 우측에 배치된 제1감지센서(718d)에 이를 때까지 제1회전유닛(400)이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37을 보면, 상기 모터하우징(710)에는 기어장착부(7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장착부(715)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기어(740)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기어장착부(715)는 상기 연결기어(740)가 회전하는 회전축이 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74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어장착부(715)도 생략될 수 있다. 도면부호 719는 상기 제1모터(720)와 상기 모터하우징(710) 사이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를 나타낸다.
상기 제1모터(720)에는 제1구동기어(7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720)의 회전축(725)에 상기 제1구동기어(730)가 결합되면, 상기 제1구동기어(730)는 상기 제1모터(7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기어(730)는 연결기어(7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740)는 상기 기어장착부(715)에 끼워져 회전되는데, 상기 제1구동기어(730)와 맞물려 상기 제1구동기어(73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740)는 상기 제1구동기어(730)와 상기 제1종동기어(75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740)에는 제1종동기어(750)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1종동기어(750)는 상기 연결기어(740)를 매개로 상기 제1구동기어(730)에 의해 회전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종동기어(750)는 내치기어로 구성된다. 상기 제1종동기어(750)의 내면에는 기어치(751)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종동기어(750)는 기어체결구(759)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410)의 회전연결부(45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0에서 보듯이, 상기 제1종동기어(750)에는 기어고정홀(7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홀(752)은 상기 회전연결부(450)의 베어링결합단(451)에 형성된 제1고정홀(451b, 도 38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홀(752)과 상기 제1고정홀(451b)을 차례로 통과하는 기어체결구(759)가 상기 회전프레임(410)의 회전연결부(450)와 상기 제1종동기어(75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1을 보면 상기 베어링(770)의 구조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베어링(770)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770)은 제1베어링몸체(770A)와 제2베어링몸체(77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몸체(770A)와 제2베어링몸체(770B)은 서로 결합되어 링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몸체(770A)와 제2베어링몸체(770B)에는 각각 회전슬롯(77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슬롯(775)은 상기 지지부(200)의 조명연결단(230)에 형성된 상기 회전리브(235)와 맞물린다. 상기 조명연결단(230)의 회전플랜지(23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베어링몸체(770A)와 제2베어링몸체(770B)가 서로 조립되면, 상기 회전슬롯(775)에 상기 회전리브(235)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몸체(770A)와 상기 제2베어링몸체(770B)에는 서로 대응하는 베어링돌부(777)와 베어링홈부(77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돌부(777)와 상기 베어링홈부(776)는 입입방식으로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몸체(770A)와 제2베어링몸체(770B)가 상기 베어링돌부(777)와 상기 베어링홈부(776)로 가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770)이 상기 회전연결부(450)에 체결되면, 상기 제1베어링몸체(770A)와 제2베어링몸체(770B)는 상기 회전플랜지(234)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 43에는 상기 제1베어링몸체(770A)와 상기 제2베어링몸체(770B)가 서로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베어링몸체(770A)와 상기 제2베어링몸체(770B)는 서로 결합되어 링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연결부(450)의 베어링체결홀(451a)에 대응하는 상기 베어링(770)의 연결부체결홀(7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체결홀(451a)과 상기 연결부체결홀(772)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체결구(459)가 조여지면 상기 베어링(770)은 상기 제1회전유닛(400)의 회전연결부(45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44에는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구동기어(730)는 상기 연결기어(740)에 맞물리고, 상기 연결기어(740)는 상기 제1종동기어(750)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기어(730)가 회전되면, 상기 제1종동기어(750)도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기어(740)는 상기 제1종동기어(750)의 내치(751)에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기어(730)와 상기 연결기어(740)의 아래쪽에 마련된 빈 공간을 통해서 상기 케이블(C)의 제3연장부(C3)가 통과할 수 있다.
도 45 내지 도 46을 참조하여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가 조립되는 과정을 보면, 먼저 상기 제1모터(720)가 상기 모터하우징(710)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조명연결단(230)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기어(730)가 상기 제1모터(720)의 회전축(725)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기어(740)는 상기 모터하우징(710)의 기어장착부(715)에 끼워진다.
상기 조명연결단(230)의 회전플랜지(234)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상기 제1베어링몸체(770A)와 상기 제2베어링몸체(770B)가 서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770)에 형성된 회전슬롯(775)에는 회전플랜지(234)의 회전리브(235)가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770)은 상기 회전플랜지(234)에서 분리되지 않고, 상기 회전플랜지(234)에 대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모습이 도 45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770)에는 상기 회전프레임(410)의 회전연결부(450)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부(450)에 구비된 베어링결합단(451)에는 베어링체결홀(451a)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체결홀(451a)은 상기 베어링(770)의 연결부체결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체결홀(451a)과 상기 연결부체결홀(772)에 상기 베어링체결구(459)가 조여지면, 상기 회전연결부(450)는 상기 베어링(77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도 46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46에는 상기 회전연결부(450)의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해서, 상기 제1구동기어(730)와 연결기어(740)가 생략되어 있다.
도 47에는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700)의 회전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모터(7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구동기어(730)가 시계방향(화살표①)으로 회전하면, 상기 연결기어(740)는 이와 반대인 반시계방향(화살표②)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기어(740)에 맞물린 상기 제1종동기어(750)는 내치기어이므로 상기 연결기어(740)와 같이 반시계방향(화살표③)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구동기어(730)와 상기 연결기어(740)의 구동잇수는 상기 제1종동기어(750)의 종동잇수 보다 적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구동기어(730)와 상기 제1종동기어(750)의 기어비는 0.5 보다 같거나 작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기어(730), 연결기어(740) 및 제1종동기어(750)는 일종의 감속기어조립체가 될 수 있고, 상기 제1회전부(S1)는 큰 토크로 상기 제1회전유닛(400)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종동기어(750)는 상기 회전프레임(4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1회전유닛(400) 전체가 상기 제1종동기어(750)와 함께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베어링(770)은 상기 회전플랜지(234)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구동어셈블리(800)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이 상기 제1회전유닛(400)에 대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는 제1구동어셈블리(700)와 마찬가지로 제2모터(820)를 포함하여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의 제2회전축은 상기 제2회전부(S2)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모터(820)의 회전축은 상기 제2회전부(S2)의 회전축과 서로 방향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8을 보면,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가 상기 제1조명회동부(E1)와 상기 제2조명회동부(E2)의 내부에 수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회전유닛(400)의 회전프레임(410)과, 상기 제2회전유닛(600)의 조명커버(620)는 각각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의 아래쪽과 위쪽을 덮는 커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는 상기 회전프레임(410)과 상기 조명커버(6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커버(420)에 대해 상기 조명프레임(610)이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에는 제2모터(820), 제2구동기어(830) 및 제2종동기어(85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820)는 상기 케이블(C)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구동기어(830)는 상기 제2모터(820)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2종동기어(850)는 상기 제2구동기어(830)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기어(830)는 상기 제2종동기어(850)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8과 도 49에서 보듯이, 상기 제2구동기어(830)의 회전축은 대략 좌우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반해, 제2종동기어(850)의 회전축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2구동기어(830)의 설치방향이 좌우방향이 되면, 상기 제2모터(820)와 상기 제2구동기어(830)는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1회전유닛(400)의 제1수납공간(411a)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회전유닛(400)이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820)는 상기 프레임커버(4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820)는 상기 프레임커버(420)에 구비된 가이드편(423)과 모터장착편(42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820)의 고정편(822)은 상기 모터장착편(429)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모터(820)는 도면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프레임커버(420) 및 제1수납공간(411a)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모터(820)에는 제2구동기어(830)가 결합된다. 상기 제2구동기어(830)는 상기 제2모터(820)에 의해 회전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구동기어(830)와 상기 제2종동기어(850)는 베벨기어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구동기어(830)와 상기 제2종동기어(850)는 서로 다른 방향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구동기어(830)와 상기 제2종동기어(850)는 웜 및 웜기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스크류기어를 비롯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3을 참조하면, 상기 제2구동기어(830)는 상기 제2종동기어(850)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종동기어(850)의 회전축이 상하방향이라면, 상기 제2구동기어(830)는 이와 직교한 좌우방향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진 각도(α)는 상기 제1회전유닛(400)이 경사진 방향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구동기어(830)가 경사진 각도(α)는 10도 내지 20도 사이이다. 도면부호 835는 상기 제2구동기어(830)의 연결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구동기어(830)와 상기 제2종동기어(850)의 기어비는 0.5 보다 같거나 작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구동기어(830) 및 제2종동기어(850)는 일종의 감속기어조립체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회전부(S2)는 큰 토크로 상기 제2회전유닛(600)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2를 보면, 상기 제2종동기어(850)의 중심에는 기어관통홀(8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종동기어(850)의 조립단부(853)에는 프레임체결홀(853a, 도 56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단부(853)의 위에 상기 조명프레임(610)이 덮히고, 프레임체결구(854)가 상기 조명프레임(610)를 거쳐 상기 프레임체결홀(853a)에 조여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명프레임(610)과 상기 제2종동기어(850)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2종동기어(850)와 상기 조명프레임(610) 및 제2회전유닛(60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종동기어(850)의 외주면에는 기어회전부(855)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기어회전부(855)는 상기 제2종동기어(850)의 외주면에서 링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9를 보면, 상기 기어회전부(855)가 상기 프레임커버(420)의 프레임커버단부(425)에 결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기어회전부(855)는 상기 프레임커버단부(425)에 구비된 회전가이드(425b)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기어회전부(855)는 상기 회전가이드(425b)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가이드(425b)는 베어링구조이거나, 상기 기어회전부(855)와 상기 회전가이드(425b) 사이에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도 50을 보면, 상기 제2종동기어(850)의 안쪽에는 회전서포터(8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서포터(860)는 상기 기어관통홀(851)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회전서포터(860)는 대략 원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회전서포터(860)는 상기 제2종동기어(85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일종의 회전축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서포터(860)의 서포터홀(861)을 통해 케이블(C)이 통과할 수 있다.
도 54를 보면, 상기 조명프레임(610)의 회전단부(615)가 상기 제2종동기어(850)를 덮은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종동기어(850)의 위에 상기 조명프레임(610)의 회전단부(615)가 덮히고, 프레임체결구(854)가 상기 회전단부(615)를 거쳐 상기 제2종동기어(850)의 프레임체결홀(853a, 도 56참조)에 조여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명프레임(610)과 상기 제2종동기어(850)가 서로 결합된다. 도 54에는 상기 회전단부(615)에 구비된 제1스토퍼(717, 도 29참조)의 반대편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스토퍼(717)에는 복수의 상기 제2감지센서(618)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감지센서(618)는 상기 제1스토퍼(717)의 반대편까지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5에는 상기 조명프레임(610)이 생략되고, 상기 조명프레임(610)의 하부에 중첩되는 상기 프레임커버단부(425)가 노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커버단부(425)에 구비된 제1스토핑돌기(P1)는 상기 회전단부(615)에 구비된 제1스토퍼(717)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핑돌기(P1)는 하나이거나 또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7 내지 도 58에는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의 조립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2종동기어(850)를 비롯한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800) 위에는 상기 프레임커버(4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7과 같이, 상기 프레임커버(420)의 프레임커버단부(425)는 상기 제2종동기어(850)를 덮게 되고, 상기 제2종동기어(850)의 프레임체결홀(853a)은 위쪽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종동기어(850)의 위쪽으로 조명프레임(610)이 결합되면, 상기 회전단부(615)가 상기 제2종동기어(850)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체결구(854)가 상기 회전단부(615)를 거쳐 상기 제2종동기어(850)의 프레임체결홀(853a, 도 56참조)에 조여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8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59와 도 6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앞선 실시례와 다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 동일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9와 도 60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아래쪽에는 회전스테이션(9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테이션(900)은 상기 베이스부(100)와의 상대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스테이션(900)에는 베이스회전부(92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회전부(92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에 맞물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베이스회전부(92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회전유닛(400)은 화살표①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제2회전유닛(600)은 화살표②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베이스부(100)는 화살표③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스테이션(900)에는 제3모터가 내장되어, 상기 베이스부(10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61과 도 6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회전유닛(400)과 제2회전유닛(600)은 곡면 형태가 아니라 직선 형태의 외관을 가질 수도 있다. 도 61에는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상기 제2회전유닛(600)이 각각 'L'자와 '「'자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회전유닛(400)과 상기 제2회전유닛(600)은 서로 직교한 방향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도 62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회전유닛(600)이 단순한 직선형태의 외관을 갖는다.
도 63과 도 6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63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에는 구동원(M)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M)에는 한 쌍의 원격구동부(150A,150B)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원격구동부(150A,150B)는 각각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원격구동부(150A,150B)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회전부(S1)와 상기 제2회전부(S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4에서 보듯이, 상기 지지부(200)를 통해 연장되는 한 쌍의 구동샤프트(F1,F2)가 제1회전부(S1)와 제2회전부(S2)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구동샤프트(F1,F2)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구비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회전력을 각각 상기 제1회전부(S1)와 제2회전부(S2)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부 110: 베이스하우징
120: 베이스커버 131a: 베이스공간
200: 지지부 210: 지지몸체
215: 하네스공간 220: 베이스연결단
230: 조명연결단 300: 조명모듈
400: 제1회전유닛 410: 회전프레임
420: 프레임커버 480: 제1보강프레임
600: 제2회전유닛 610: 조명프레임
620: 조명커버 630: 조명부
635: 확산판 640: 조명기판
642: 광원 645: 방열랜드부
670: 방열플레이트 675: 열원접촉부
680: 제2보강프레임 700: 제1구동어셈블리
710: 모터하우징 720: 제1모터
730: 제1구동기어 740: 연결기어
750: 제1종동기어 770: 베어링
800: 제2구동어셈블리 820: 제2모터
830: 제1구동기어 850: 제2종동기어
C: 케이블 E1: 제1조명회동부
E2: 제2조명회동부 G1: 제1방열공간
G2: 제2방열공간 R1: 조명몸체
R2: 회전몸체 S1: 제1회전부
S2: 제2회전부

Claims (40)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세워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제1방향으로 형성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에 대해 회전되는 제1회전유닛;
    조명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형성된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유닛에 대해 회전되는 제2회전유닛;과
    상기 제1회전유닛 또는 상기 제2회전유닛을 회전시키는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유닛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어셈블리;와
    상기 제1회전유닛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유닛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에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력을 상기 제1회전유닛에 제공하는 제1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에는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유닛에 제공하는 제2구동모터가 구비되는 조명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제1회전유닛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제1회전유닛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조명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단부에 가깝게 편향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조명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제2회전축 보다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단부에 가깝게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는 조명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제1회전유닛에 연결되는 조명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유닛의 조명부는 상기 제2회전축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제1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를 제외한 상기 제2회전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회전축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영역의 반대편인 제2영역에 배치되는 조명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유닛은
    상기 제1회전유닛과 연결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조명부가 배치되는 조명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몸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회전축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조명몸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조명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명몸체는 상기 제1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몸체 보다 길게 연장되는 조명기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회전몸체 보다 상기 제1회전축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는 조명기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명기기.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명몸체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명기기.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명몸체의 길이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 보다 짧은 조명기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유닛은 J자 형상인 조명기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유닛과 상기 제2회전유닛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의 표면은 각각 곡면형상인 조명기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유닛과 상기 제2회전유닛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은 서로 동심인 두 원의 일부를 각각 구성하는 조명기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곡선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회전유닛은 상기 제1회전유닛의 타단부로부터 곡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명기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유닛의 조명몸체가 상기 제1회전축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되면 상기 제2회전유닛의 회전몸체는 상기 제1회전유닛과 중첩되며 서로 밀착되는 조명기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1회전유닛이 연결되는 제1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유닛과 상기 제2회전유닛이 연결되는 제2회전부는 각각 상기 제1회전유닛의 양단에 배치되는 조명기기.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의 연장선은 상기 베이스부를 지나는 조명기기.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유닛은
    상기 지지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프레임과의 사이에 제1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커버;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유닛은
    상기 제1회전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조명프레임;과
    상기 조명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조명프레임과의 사이에 제2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조명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납공간에는 상기 조명부가 배치되는 조명기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를 중심으로 상기 조명커버의 양측면은 각각 곡면형상인 조명기기.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조명커버에는 상기 조명부의 광원을 노출시키는 조명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개구부에는 확산판이 결합되는 조명기기.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과 상기 광원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제1방열공간이 형성되는 조명기기.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의 양측단에는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의 확산면이 형성되는 조명기기.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조명커버에 결합되는 상기 확산판의 측면 두께는 상기 광원과 마주보는 확산부의 두께 보다 얇은 조명기기.
  29.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을 구성하는 조명기판과 상기 조명프레임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제2방열공간이 형성되는 조명기기.
  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에는 상기 광원 주변을 덮는 차폐시트가 구비되는 조명기기.
  3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유닛에는 상기 제2회전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프레임이 내장되는 조명기기.
  3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유닛과 상기 제2회전유닛이 겹치는 부분에는 보강프레임이 내장되는 조명기기.
  33.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보강프레임;과
    상기 제2회전유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보강프레임과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겹치도록 배치되는 제2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명기기.
  3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원판구조이고, 상기 지지부는 연속된 곡선형태로 연장되는 조명기기.
  35.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 또는 상기 제2회전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양면에 스토퍼와 스토핑돌기가 구비되는 조명기기.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복수의 감지센서들이 상기 스토핑돌기의 회전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조명기기.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들은 홀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센서를 향한 상기 스토핑돌기의 일단부는 자석으로 구성되는 조명기기.
  3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된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과 상기 제1회전유닛 및 상기 제2회전유닛을 각각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39.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세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모듈은
    제1구동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회전되는 제1회전유닛;과
    제2구동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제1회전유닛으로부터 회전되고, 조명부가 배치되는 제2회전유닛;을 포함하는 조명기기.
  40.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세워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조명부가 배치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는 각각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조명기기.
KR1020220004123A 2022-01-11 2022-01-11 조명기기 KR20230108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123A KR20230108556A (ko) 2022-01-11 2022-01-11 조명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123A KR20230108556A (ko) 2022-01-11 2022-01-11 조명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556A true KR20230108556A (ko) 2023-07-18

Family

ID=8742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123A KR20230108556A (ko) 2022-01-11 2022-01-11 조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855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955A (zh) 2018-01-21 2019-07-30 唐伏生 一种led照明灯照明角度动态调整系统
KR102053341B1 (ko) 2013-01-16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102244486B1 (ko) 2017-08-15 2021-04-2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341B1 (ko) 2013-01-16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102244486B1 (ko) 2017-08-15 2021-04-2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조명 장치
CN110067955A (zh) 2018-01-21 2019-07-30 唐伏生 一种led照明灯照明角度动态调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5145B2 (ja) 照明装置
US6161939A (en) Interior lighting fixture
EP2561274B1 (en) Background light effects led light fixture with light guided second light sources
US7476008B2 (en) Recessed light fixture
KR20100017616A (ko) 조명 설비 및 조명 장치
EP2562474A2 (en) Illumination device
US11754773B2 (en) Curved edge-lit light guide
WO2004093111A1 (ja) 操作部用照明装置
KR20230108556A (ko) 조명기기
JP2012022850A (ja) 照明装置
KR20230108555A (ko) 조명기기
KR20230108554A (ko) 조명기기
KR20230108553A (ko) 조명기기
CN108180411A (zh) 一种台灯的亮度调整方法
CN218178706U (zh) 一种照明装置
JP2008123852A (ja) 照明装置
JP5899462B2 (ja) 照明器具
US20200173632A1 (en) Led lamp with adjustable illuminating range
JP4622919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方法
KR102020984B1 (ko) 간접조명타입 led 조명기구
JP5975323B2 (ja) 照明器具
JP5660494B2 (ja) 照明器具
CN211059903U (zh) 灯具
CN113825945A (zh) 减少眩光的照明
JP3228095U (ja) 導光板および照明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