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389A - 물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389A
KR20230108389A KR1020220003730A KR20220003730A KR20230108389A KR 20230108389 A KR20230108389 A KR 20230108389A KR 1020220003730 A KR1020220003730 A KR 1020220003730A KR 20220003730 A KR20220003730 A KR 20220003730A KR 20230108389 A KR20230108389 A KR 20230108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veyor belt
control system
driving unit
spe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태
마수인
Original Assignee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김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김상태 filed Critical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3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8389A/ko
Publication of KR20230108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91Speed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물류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상태와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공장뿐만 아니라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류 제어 시스템{LOGISTICS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물류 제어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상태와 속도를 제어하는 물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각종 제품을 이동시키며 생산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 문제뿐만 아니라 사망 사고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팩토리를 이용하여 물류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물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컨베이어 벨트(10)를 따라 이동하는 제품(20)을 엔드 이팩터(30)와 같은 픽앤 플레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픽앤 플레이스를 기반으로 한 물류 제어 시스템은 인력을 대체하기 위한 공장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어 왔지만, 시스템의 정확성과 성능을 높이는 컨베이어 벨트와 연동한 통합 시스템의 개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9-0097744호 (발명의 명칭: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제어하는 물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물류 제어 시스템으로서, 물체(200)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이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베이어 벨트부(100);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부(100)를 따라 이송되는 물체(200)를 분류하는 앤드 이팩터(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부(100)는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 속도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10);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동작하는 구동부(120);
상기 구동부(120)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부(120)의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속도 정보와 구동부(120)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입력되는 설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120)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속도 정보와 구동부(120)의 동작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관리자로부터 설정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40)는 임의의 무선 통신 포맷을 이용하여 속도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및 설정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30)와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상태와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장뿐만 아니라,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다양한 형태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물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3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제어 시스템의 컨베이어 벨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4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제어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3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제어 시스템의 컨베이어 벨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제어 시스템은, 컨베이어 벨트부(100)와, 앤드 이펙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부(100)는 물체(200)를 이송하는 구성으로서,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이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부(100)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110)와, 구동부(120)와, 제어부(130)와,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컨베이어 벨트부(100)에서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 속도 정보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속도, 또는 구동부(120)의 회전 속도 등을 감지하여 속도 정보를 감지한다.
상기 구동부(120)는 컨베이어 벨트를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모터,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컨베이어 벨트부(100)에서 구동부(120)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120)의 동작에 기반하여 컨베이어 벨트가 일정 속도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된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속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부(120)의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속도 정보와 구동부(12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아두이노 데이터로 입력받고, 상기 아두이노 데이터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 포맷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4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입력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 설정 제어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속도 설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동작할 수 있도록 구동부(120)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속도 정보와 구동부(120)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관리자로부터 설정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30)와 임의의 무선 통신 포맷,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이용하여 속도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및 설정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30)와 분리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관리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센서부(110)와 구동부(12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실시간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앤드 이팩터(300)는 컨베이어 벨트부(100)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물체(200)를 미리 설정된 분류 정보에 따라 분류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제어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4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제어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부(100)의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와, 구동부(120)를 초기화(S100)한다.
상기 S100 단계의 초기화를 수행한 다음, 센서부(110)와 구동부(120)가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 정보를 감지(S110)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S110 단계에서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속도 정보와 구동부(12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아두이노 데이터로 입력받고, 상기 아두이노 데이터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 포맷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40)로 전송(S120)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디스플레이(S130)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컨베이어 벨트부
110 : 센서부
120 : 구동부
130 : 제어부
140 : 디스플레이부
200 : 물체
300 : 앤드 이팩터

Claims (3)

  1. 물체(200)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이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베이어 벨트부(100);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부(100)를 따라 이송되는 물체(200)를 분류하는 앤드 이팩터(300);를 포함하는 물류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부(100)는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 속도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10);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동작하는 구동부(120);
    상기 구동부(120)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부(120)의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속도 정보와 구동부(120)의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입력되는 설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120)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속도 정보와 구동부(120)의 동작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관리자로부터 설정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임의의 무선 통신 포맷을 이용하여 속도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및 설정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30)와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제어 시스템.
KR1020220003730A 2022-01-11 2022-01-11 물류 제어 시스템 KR20230108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730A KR20230108389A (ko) 2022-01-11 2022-01-11 물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730A KR20230108389A (ko) 2022-01-11 2022-01-11 물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389A true KR20230108389A (ko) 2023-07-18

Family

ID=8742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730A KR20230108389A (ko) 2022-01-11 2022-01-11 물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83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744A (ko) 2018-02-13 2019-08-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744A (ko) 2018-02-13 2019-08-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0203A1 (en) Networked motorized drive roller conveyor
US201700665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CN108453057B (zh) 一种输送分拣控制方法和系统
US9002520B2 (en) User interface device of remote control system for robot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85213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access and control of process control instruments
US20070139209A1 (en) Intelligent duct smoke detector
CN105070011B (zh) 一种agv与机械手的通信系统及其通信方法
CN110114241A (zh) 用于运行操作系统的方法、操作系统和具有操作系统的交通运输工具
KR20230108389A (ko) 물류 제어 시스템
KR100911500B1 (ko)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KR101439920B1 (ko)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EP2144187A2 (en)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70297828A1 (en) Conveyors for sorting products
US686246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operator notification in document processing systems
CN110308802B (zh) 光标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249725B (zh) 产品分配系统及其控制方法
CN113634522B (zh) 货物传送装置、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210006139U (zh) 售货机闭环控制系统及售货机
EP2233218A1 (en) Wireless system applied to a color-based, grain sorting electronic machine
CN113873042A (zh) 边缘智能控制器及数据处理方法
US20230286757A1 (en) Logistics conveyer roller control system with onboard setting functions
EP4246253A1 (en) Logistics conveyer roller control system with onboard setting functions
CN216534118U (zh) 一种手环提醒agv到站系统
KR20140015687A (ko)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03579U (ko)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