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286A - 카테터경유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카테터경유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286A
KR20230107286A KR1020237019092A KR20237019092A KR20230107286A KR 20230107286 A KR20230107286 A KR 20230107286A KR 1020237019092 A KR1020237019092 A KR 1020237019092A KR 20237019092 A KR20237019092 A KR 20237019092A KR 20230107286 A KR20230107286 A KR 20230107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cone
region
proximal
body region
di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제이 데로지에
Original Assignee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시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시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시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10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27Devices for manipulating or deploying heart valves during implantation
    • A61F2/2436Deployment by retracting a sh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27Devices for manipulating or deploying heart valves during implantation
    • A61F2/243Deployment by mechanical expansion
    • A61F2/2433Deployment by mechanical expansion using balloon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69Tip not integral with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75Guide wires ha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t the distal tip
    • A61M2025/09183Guide wires ha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t the distal tip having tools at the distal t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카테터경유 전달 장치용 노즈콘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노즈콘은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방향 축은 원위 부분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근위 부분의 근위 말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근위 부분은 노즈콘의 원위 부분에 인접한 숄더 영역 및 숄더 영역에 근위인 바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노즈콘의 외부 표면은 노즈콘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의 중심점에서 보았을 때 볼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터경유 전달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11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3/112,326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참조로서 본원에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환자의 혈관구조 내로 인공 장치의 카테터경유 이식과 같은 카테터경유 시술을 위한 전달 장치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인간 심장은 다양한 판막 질환을 앓을 수 있다. 이러한 판막 질환은 심장의 심각한 기능 부전을 초래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자연 판막의 수선 또는 자연 판막을 인공 판막으로의 교체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다수의 공지된 수선 디바이스(예: 스텐트) 및 인공 판막 뿐만 아니라 이들 디바이스 및 판막을 인간에게 이식하는 다수의 공지된 방법이 있다. 카테터경유 및 최소-침습적 수술 접근법은, 수술에 의해 쉽게 접근할 수 없거나 수술 없이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 몸체 내부의 위치에 인공 의료 디바이스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절차에 사용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인공 심장 판막은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에 압착된(crimped) 상태로 장착될 수 있고, 인공 판막이 심장의 이식 부위에 도달할 때까지 환자의 혈관구조를 통해 (예를 들어, 대퇴 동맥 및 대동맥을 통해) 전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예를 들어, 인공 판막이 장착되는 풍선을 팽창시키거나, 인공 판막에 팽창력을 인가하는 기계적 작동기를 작동시키거나, 인공 판막이 그의 기능적 크기로 자가 확장할 수 있도록 전달 장치의 시스로부터 인공 판막을 전개함으로써, 인공 판막은 그 기능적 크기로 확장된다. 유사한 카테터경유 시술이 또한 자연 판막 고리(예를 들어, 자연 승모판 고리, 자연 대동맥 고리, 자연 폐동맥 판막 고리, 자연 삼첨판막 등) 내에 도킹 장치 또는 프리-스텐트를 이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인공 판막은 도킹 장치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도킹 장치 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카테터경유 전달 장치가 다양한 혈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관상 및/또는 말초 혈관과 같은 체관 내로 스텐트(또는 다른 인공기관)를 이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달 장치는 환자의 혈관구조를 통해 밀어낼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전달 장치는 또한 환자의 혈관구조의 구불구불한 해부학적 구조를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전달 장치는 전달 절차 동안 인공 장치와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달 장치는 인공기관을 손상시키거나 변위시키지 않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들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인 전달 장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전달 장치의 개선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는 노즈콘(nosecone)의 특정 설계를 포함하는, 카테터경유 시술을 위한 장치 및 조립체에 관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는 카테터경유 시술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상기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원위 말단으로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연결되어 있고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을 포함하는 노즈콘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즈콘의 외부 표면은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영역의 기울기는 바디 영역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바디 영역의 근위 말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는 또한 카테터경유 시술을 위한 다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상기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원위 말단으로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연결되어 있고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을 포함하는 노즈콘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즈콘의 근위 부분은 노즈콘의 원위 부분에 인접한 숄더 영역,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연결된 연결 영역, 및 숄더 영역과 연결 영역 사이에 위치된 바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즈콘의 외부 표면은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제1 기울기를 갖는 제1 섹션, 제2 기울기를 갖는 제2 섹션, 및 제3 기울기를 갖는 제3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섹션은 연결 영역에 인접하고, 제3 섹션은 숄더 영역에 인접하며, 제2 섹션은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제1 기울기는 제2 기울기 및 제3 기울기보다 클 수 있고, 제2 기울기는 제3 기울기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는 또한 카테터경유 전달 장치용 노즈콘에 관한 것이다. 노즈콘은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근위 부분의 근위 말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 축을 포함할 수 있다. 근위 부분은 노즈콘의 원위 부분에 인접한 숄더 영역 및 숄더 영역에 근위인 바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즈콘의 외부 표면은 노즈콘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의 중심점에서 보았을 때 볼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는 추가로 카테터경유 시술을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조립체는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근위 말단으로부터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샤프트,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연결되어 있고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을 포함하는 노즈콘, 및 샤프트의 원위 말단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인공 삽입물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즈콘의 근위 부분은 노즈콘의 원위 부분에 인접한 숄더 영역,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연결된 연결 영역, 및 숄더 영역과 연결 영역 사이에 위치된 바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즈콘의 외부 표면은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의 중심점에서 보았을 때 볼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내용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진행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전달 장치 및 전달 장치의 전달 시스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이식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전달 조립체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의 전달 장치의 노즈콘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c는 도 1a의 전달 조립체의 부분 측면도를 두시하고, 이식 디바이스는 전달 시스 내에 완전히 배치되어 있다.
도 2a는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 삽입된 전달 조립체의 원위 말단 부분을 도시한다.
도 2b는 전달 장치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이식 부위에서 부분적으로 확장된 이식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c는 전달 장치로부터 방출되고 이식 부위에서 완전히 확장되는 이식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d는 환자의 혈관구조로부터 회수되는 전달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인공 삽입물과 접촉하는 전달 장치의 노즈콘을 도시한다.
도 4a는 내부 샤프트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 부분 및 노즈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의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 부분의 측면 정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선 4C-4C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장치의 내부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도 4a의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d는 도 4c에 도시된 노즈콘의 근위 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내부 샤프트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 부분 및 노즈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 부분의 측면 정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선 5C-5C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장치의 내부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도 5a의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d는 도 5c에 도시된 노즈콘의 근위 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내부 샤프트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 부분 및 노즈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의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 부분의 측면 정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선 6C-6C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장치의 내부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도 6a의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내부 샤프트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 부분 및 노즈콘의 추가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의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 부분의 측면 정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선 7C-7C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장치의 내부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도 7a의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일반 고려사항
개시된 실시예는 심장의 자연 고리(예를 들어, 폐, 대동맥, 승모판 및 삼첨판 고리) 중 어느 하나에 인공 장치를 전달하고 이식하기에 적합할 수 있고, 다양한 전달 접근법(예를 들어, 역행, 제방향, 경중격, 경심실, 경심방 등)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설명의 목적을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의 특정 측면, 이점, 및 신규한 특징부들이 본원에 기술된다.  개시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어떤 방식으로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에, 본 개시는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신규하고 자명하지 않은 특징부 및 측면 전부, 단독 그리고 서로의 다양한 조합 및 하위 조합에 관한 것이다.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임의의 특정 측면, 또는 특징부, 또는 이들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시된 실시예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정 이점이 존재하거나 문제가 해결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임의의 실시예로부터의 기술은 다른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설명된 기술과 조합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많은 가능한 실시예를 고려할 때, 도시된 실시예들은 개시된 기술의 선호되는 예일 뿐이며 개시된 기술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 중 일부의 동작은 편리한 표현을 위해 특정한 순차적 순서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설명의 방식은, 후술하는 특정 언어에 의해 특정 순서가 요구되지 않는 한, 재배열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설명된 동작은 일부 경우에 동시에 재배열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순화를 위해, 첨부된 도면은 개시된 방법이 다른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설명은 때때로 개시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 또는 "달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용어는 수행되는 실제 작동에 대한 상위 수준의 관념이다.   이들 용어에 대응하는 실제 작동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당업자에 의해 쉽게 식별될 수 있다.
본 출원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용어 "~을 포함하다"는 "~로 이루어지다"를 의미한다. 또한, 용어 "커플링된" 및 "연결된"은 일반적으로 전기적으로, 전자기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예를 들어,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커플링되거나 링크된 것을 의미하며, 특정 반대 언어가 없는 커플링된 또는 연관된 항목들 사이에 중간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근위"는 사용자에게 더 가깝고 이식 부위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장치의 위치, 방향, 또는 부분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원위"는 사용자로부터 더 멀리 있고 이식 부위에 더 가까운 장치의 위치, 방향, 또는 부분을 지칭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장치의 근위 운동은 장치를 이식 부위로부터 사용자 쪽으로(예를 들어, 환자의 신체 밖으로) 이동시키는 반면, 장치의 원위 운동은 장치를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고 이식 부위를 향해(예를 들어, 환자의 신체 내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용어 "길이방향" 및 "축방향"은 달리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근위 및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대략" 및 "약"은 열거된 값 및 열거된 값의 10% 이내인 임의의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 1 mm"는 약 0.9 mm 내지 약 1.1 mm 사이의 임의의 값을 의미한다.
방향 및 다른 상대적 기준(예를 들어, 내부, 외부, 상부, 하부 등)은 본원의 도면 및 원리의 논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측", "외측", "상단", "아래", "내부", "외부" 등과 같은 특정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해당되는 경우, 특히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대적인 관계를 다룰 때 설명의 명료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는 절대적인 관계, 위치 및/또는 배향을 암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예를 들어, 물체에 대하여, "상부"는 단순히 물체를 뒤집음으로써 "하부"가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여전히 동일한 부분이며 물체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및/또는"은 "및" 또는 "또는" 뿐만 아니라 "및" 및 "또는"을 의미한다.
전달 조립체의 개요
도 1 내지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 조립체를 도시한다. 전달 조립체는 전달 장치(100) 및 이식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전달 장치(100)는 이식 디바이스(120)의 카테터경유 이식을 위해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장치(100)는 근위 말단(104), 원위 말단(106), 및 근위 말단(104)로부터 원위 말단(106)로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 축(101)을 갖는 제1 샤프트(102)("내측 샤프트", "가이드 와이어 샤프트" 또는 "노즈콘 샤프트"로도 지칭됨)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내부 샤프트(102)는 근위 말단(104)과 원위 말단(106)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루멘(108)을 가질 수 있다. 전달 장치(100)는 또한 내부 샤프트(102) 위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샤프트(112)("외부 샤프트"로도 지칭됨)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샤프트(112)는 근위 말단(114)으로부터 외부 샤프트(112)의 원위 말단(116)까지 연장되어 있는 루멘(118)을 가질 수 있고, 내부 샤프트(102)는 외부 샤프트(112)의 루멘(118)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샤프트(102) 및 외부 샤프트(112)는 동축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샤프트(102) 및 외부 샤프트(112)는 동축이 아닐 수 있고, 예를 들어, 내부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101)은 외부 샤프트(112)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식 디바이스(120)("인공 삽입물"로도 지칭됨)는 내부 샤프트(102)의 원위 말단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식 디바이스(120)는 반경방향으로 압축된(또는 "압착된") 상태와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내부 샤프트(102)의 원위 말단(106)은 노즈콘(140)에 연결될 수 있다. 노즈콘(140)은 근위 말단(144) 및 원위 말단(146)("원위 팁"으로도 지칭됨)을 가질 수 있다. 노즈콘(140)의 근위 말단(144)은 열 접합, 오버-몰딩, 접착, 기계적 잠금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고정 수단에 의해 내부 샤프트(102)의 원위 말단(106)에 고정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노즈콘(140)은 노즈콘(140)의 근위 말단(144)으로부터 원위 말단(146)까지 연장되어 있는 루멘(148)을 가질 수 있다. 노즈콘(140)의 루멘(148)은 내부 샤프트(102)의 루멘(108)에 선형으로 연결될 수 있고, 즉, 노즈콘(140)의 루멘(148) 및 내부 샤프트(102)의 루멘(108)은 노즈콘의 원위 말단(106)으로부터 내부 샤프트(102)의 근위 말단(104)까지 연장되어 있는 연속적인 직선형 루멘을 형성할 수 있다.
노즈콘(140)은 근위 부분(154) 및 원위 부분(156)을 가질 수 있다. 원위 부분(156)은 원위 팁(146)으로부터 원위 부분(156)의 근위 말단(158)까지 반경방향 외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테이퍼진 원위 부분(156)은 환자의 혈관구조를 통한 비외상성 탐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노즈콘(140)의 근위 부분(154)은 숄더 영역(160) 및 바디 영역(162)을 가질 수 있다. 숄더 영역(16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원위 부분(156)의 근위 말단(158)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바디 영역(162)은 숄더 영역(160)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근위 부분(154)의 근위 말단(144)까지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따라서, 원위 부분(156)의 근위 말단(158)(이는 또한 숄더 영역(160)의 원위 말단을 정의한다)은 노즈콘(140)의 최대 직경을 정의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숄더 영역(160)은 원위 부분(156)의 근위 말단(158)으로부터 직경의 단계적 감소를 가져서, 길이방향 축(101)에 대략 수직인 벽면(161)을 초래한다. 또한, 길이방향 축(101)을 따라 노즈콘(140)의 단면 프로파일을 취할 때, 근위 부분(154)에서의 프로파일의 기울기는 숄더 영역(160)과 바디 영역(162) 사이의 경계에서 불연속성(즉, 단계 변화)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식 디바이스(120)는 전달 시스 또는 캡슐(130)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전달 시스(130)의 축방향 길이는 이식 디바이스(120)가 반경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 있을 때 이식 디바이스(120)의 축방향 길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전달 시스(130)는 전달 동안 이식 디바이스(120)를 완전히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a-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시스(130)의 적어도 바디 부분(132)은 외부 샤프트(112)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전달 시스(130)의 근위 말단 부분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고 외부 샤프트(112)의 원위 말단(116)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달 시스(130)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전달 시스(130)의 직경은 외부 샤프트(112)의 외경과 거의 동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달 시스(130)의 근위 말단 부분(134)은 외부 샤프트(112)의 원위 말단(116)에 연결될 수 있다. 전달 시스(130)의 근위 말단 부분(134)은 열 접합, 접착, 기계적 잠금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외부 샤프트(102)의 원위 말단(116)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달 시스(130)는 외부 샤프트(112)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샤프트(112)의 근위 말단 부분보다 더 큰 직경, 또는 이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외부 샤프트(112)의 원위 말단 부분은 이식 디바이스(120)를 그의 압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전달 시스(13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달 동안, 전달 시스(130)의 원위 말단(136)은 노즈콘(140)의 숄더 영역(160)(예를 들어, 벽면(161))과 접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식 디바이스(12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시스(130)의 원위 말단(136) 및 숄더 영역의 원위 말단은 원위 부분(156)의 근위 말단(158)(또는 숄더 영역(160)의 원위 말단)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노즈콘의 원위 부분(156)의 외부 표면은, 전달 시스(130)의 원위 말단(136)이 노즈콘(140)의 숄더 영역(160)(예를 들어, 벽면(161))과 접경할 때, 전달 시스(130)의 외부 표면으로의 매끄러운 전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샤프트(102)의 근위 말단(104) 및 외부 샤프트(112)의 근위 말단(114) 둘 모두는 핸들(18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샤프트(102)의 근위 말단(104)은 제1 핸들에 결합될 수 있고, 외부 샤프트(112)는 제1 핸들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2 핸들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180)은 내부 샤프트(102)에 대해 외부 샤프트(112)(및 그에 연결된 전달 시스(130))의 축방향 이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구동 기구(182)(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수동 회전 가능한 노브 및/또는 모터 구동식 액추에이터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목표 이식 부위에 도달한 후, 구동 기구(182)가 작동되어 전달 시스(130)가 내부 샤프트(102) 및 그에 장착된 이식 디바이스(120)에 대해 근위로 이동하게 하여, 이식 디바이스(120)가 노출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180)은 또한 내부 샤프트(102)에 대해 외부 샤프트(112)(및 그에 연결된 전달 시스(130))의 축방향 이동을 선택적으로 잠그고 허용하도록 구성된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기구의 활성화는 전달 시스(130)로부터 이식 디바이스(120)의 조기 전진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180)은 외부 샤프트(112)의 곡률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기구(1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기구(184)는 외부 샤프트의 원위 말단 부분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당김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회전 가능한 노브 및/또는 모터 구동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 기구(184)를 작동시킴으로써, 당김 와이어 내의 장력은,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서 전달 장치(100)의 탐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부 샤프트(112)의 원위 말단 부분을 원하는 각도로 이동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식 디바이스(120)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풍선 확장 가능할 때, 전달 장치(100)는 제3 샤프트("중간 샤프트" 또는 "풍선 샤프트"로도 지칭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풍선 샤프트는 내부 샤프트(102) 위로 그리고 외부 샤프트(112)의 118의 루멘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접힌 풍선은 풍선 샤프트의 원위 말단 부분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이식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접힌 풍선 상으로 또는 접힌 풍선에 인접한 위치에서) 풍선 샤프트 상으로 압착될 수 있다. 풍선 샤프트의 근위 말단 부분은 또한 핸들(18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식 디바이스(120)는 풍선을 팽창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풍선 샤프트의 근위 말단 부분에 위치된 포트를 통해 풍선 내로 팽창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식 디바이스(120)는 자가 확장 프레임 또는 스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식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압착 장치와 함께) 반경방향 압축될 수 있고, 반경방향 압축된 이식 디바이스(120)는 전달 장치의 전달 캡슐(예를 들어, 시스) 내에 로딩될 수 있다. 이식 디바이스(120)는, 이식 디바이스(120)가 전달 구성으로부터 기능적 구성으로 반경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게 하는, 전달 캡슐 내로부터 이식 디바이스(120)를 배치함으로써, 이식 위치에서 또는 이식 위치에 인접하여 반경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자가 확장 이식 디바이스는 확장 장치(예를 들어, 풍선)에 의해 (예를 들어, 초기 이식 절차 동안 및/또는 후속 절차 동안) 추가로 확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식 디바이스(120)는 기계적으로 확장 가능한 프레임 또는 스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식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이식 디바이스 및/또는 압착 장치의 액추에이터를 통해) 반경방향 압축된 구성으로 위치될 수 있고, 전달 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식 디바이스(120)는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캡슐에 수용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일부 자가 확장형 인공기관과 유사함), 전달 장치 상에 노출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일부 풍선 확장 가능한 인공기관과 유사함). 일단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 삽입되고 이식 위치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기계적으로 확장 가능한 이식 디바이스는 전달 장치로 이식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반경방향 압축된 구성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구성까지 반경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와이어(170)(도 1c, 2a 참조)는 내부 샤프트(102), 외부 샤프트(112) 및 노즈콘(140)이 가이드와이어(170) 위로 라우팅되어서 목표 이식 부위에 이식 디바이스(120)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내부 샤프트(102)의 루멘 및 노즈콘(140)의 루멘(148)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또는 시스템(예: 핸들, 내부 샤프트, 외부 샤프트, 풍선 샤프트 등)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이식 디바이스를 목표 이식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전달 장치 또는 시스템에 대한 추가의 상세 내용은 미국 특허 제9,061,119호, 제10,363,130호, 미국 특허 공개 제2018/0263764호, 및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945,039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 문헌은 모두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되어 있다.
이식 디바이스
소정의 실시예에서, 이식 디바이스(120)는 혈액이 제1 방향으로 인공 판막을 통해 흐를 수 있게 하고 혈액이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인공 판막을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인공 판막일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이식 디바이스(120)는 인공 판막 또는 다른 이식 디바이스를 수용하고 보유하도록 구성된 도킹 장치 또는 프리-스텐트일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이식 디바이스(120)는 환자의 혈관계의 혈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스텐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식 디바이스(120)는 복수의 지주(124)를 포함하는 프레임(122)을 가질 수 있다. 지주(124)는 복수의 접합부(128)에서 서로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셀을 정의하고 격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환자에게 삽입하기 전에, 프레임(122)(및 따라서 이식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7,993,394호, 제9,277,992호, 제9,757,232호, 및 제10,010,412호, 미국 출원 PCT/US2019/028831, 및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945,039호 및 제62/876,20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압착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샤프트(102)의 원위 말단 부분 상에서 반경방향으로 압축되거나 압착될 수 있고, 이들 문헌은 모두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되어 있다. 프레임(122)(및 따라서 이식 디바이스(120))은 반경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이식 절차 동안 비교적 작은 반경방향 프로파일을 유지한다.
목표 이식 부위에 도달한 후, 이식 디바이스(120)는 프레임(122)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킴으로써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22)(및 따라서 이식 디바이스(120))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22)은, (예를 들어, 이식 절차 전 및/또는 도중에) 프레임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전달 장치의 풍선을 팽창시킴으로써 반경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122)은 탄력적이고 자가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2)은, 전달 시스(예를 들어, 130)에 의해 구속되지 않을 때 프레임(122)이 그의 기능적 크기로 확장될 수 있도록 형상 메모리 재료(예를 들어, 니티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122)은 기계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2)의 지주(124)는, (예를 들어, 프레임의 대향 말단들을 서로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프레임(122)에 인가되는 축방향 힘이 프레임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경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레임(122)은 다수의 방식 또는 방식들의 조합으로 반경방향으로 확장 가능(예를 들어, 풍선 확장 가능, 자가 확장 가능, 및/또는 기계적 확장 가능)할 수 있다. 확장 가능한 프레임을 갖는 예시적인 이식 디바이스에 관한 추가의 세부 사항은 미국 특허 제7,780,723호, 제9,061119호, 제9,393,110호, 제9,339,384호, 제10,363,130호, 및 제10,588,744, 미국 특허 공개 제2018/0153689호, 및 제2019/0000615호,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990,299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되어 있다.
이식 절차 예시
일례로서, 도 2a-2d는 목표 이식 부위에 인공 장치를 이식하기 위한 절차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본 예에서, 인공 장치는 자가 팽창 가능한 도킹 장치이고 목표 이식 부위는 환자의 자연 폐동맥판이다. 심장내의 임의의 내부 표면 또는 신체의 루멘(예를 들어, 상대 정맥, 하대 정맥, 삼첨판, 승모판, 대동맥 판막, 대동맥 등)에서 인공 장치를 전달하고 배치하기 위해 유사한 절차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a는 환자의 혈관구조를 통해 폐 베드(pulmonary bed) 내로 삽입된 가이드와이어(17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와이어(170)는 대퇴 정맥, 하대정맥, 우심방, 삼첨판, 우심실 및 우심실 유출로를 통해 폐동맥(50)으로 전진될 수 있다. 형광투시 하에, 이식 디바이스(120)를 보유하는 전달 장치(100)(외부 샤프트(112) 및 전달 시스(130) 및 노즈콘(140)만이 도시됨)는 가이드와이어(170) 위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 장치(100)는 이식 디바이스(120)가 배치되어야 하는 의도된 랜딩 구역(60)에 이식 디바이스(120)가 도달할 때까지 전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샤프트(112)(및 그에 연결된 전달 시스(130))는 내부 샤프트(102)에 대해 점진적으로 후퇴되어 이식 디바이스(12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식 디바이스(120)의 원위 부분이 전달 시스(130)에 의해 노출됨에 따라, 프레임(122)의 원위 부분은 자가 확장하기 시작한다. 프레임(122)이 부분적으로 확장될 때, 이식 디바이스(120)의 배치 위치가 재평가될 수 있다. 이식 디바이스(120)의 재배치가 필요한 경우, 프레임(122)의 원위 부분은 전달 시스(130)에 의해(예를 들어, 외부 샤프트(112)가 노즈콘(140)에 접촉할 때까지 원위로 이동함으로써) 압축되고 재포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식 디바이스(120)는 재배치를 위해 의도된 랜딩 구역(60) 내에서 재배치될 수 있다.
외부 샤프트(112)를 추가로 후퇴시키는 것은 전달 시스(130)로부터 프레임(122)의 근위 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이어서, 이식 디바이스(120)는 내부 샤프트(102)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2)은 완전히 확장될 수 있고 혈관(예를 들어, 폐동맥 또는 우심실 유출로)의 내벽과 마찰식으로 맞물릴 수 있으며, 즉 이식 디바이스(120)가 의도된 랜딩 구역(60)에서 완전히 배치되어 있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식 디바이스(120)를 의도된 랜딩 구역(60)에 배치한 후, 전달 장치(100)는 가이드와이어(170)를 통해 환자의 혈관구조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환자의 혈관구조로부터 전달 장치(100)를 회수한 후, 인공 판막이 이어서 다른 전달 장치(100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를 통해 이식 디바이스(120)에 전달되고 이식 디바이스에 의해 수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이식 디바이스(120)는 자가 확장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식 디바이스(120)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풍선 확장 가능하거나 기계적으로 확장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식 절차에 관한 추가 세부 사항은 미국 특허 제10,363,130호 및 제10,265,169호, 미국 특허 공개 제2018/0263764호, 및 미국 특허 가출원 제63/085,901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되어 있다.
노즈콘의 개요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즈콘(140)의 가장 큰 직경은 근위 부분(154)과 원위 부분(156), 즉 원위 부분(156)의 근위 말단(158) 사이의 경계에 위치되어 있다. 노즈콘(140)의 원위 부분(156)은 통상적으로 원위 팁(146)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져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비외상성 탐색을 용이하게 한다.
노즈콘(140)의 근위 부분(154)은 또한 원위 부분(156)의 근위 말단(158)에서의 가장 큰 직경으로부터 근위 부분(154)의 근위 말단(144)에서의 훨씬 더 작은 직경까지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내부 샤프트(102)의 직경과 거의 동일할 수 있다.
근위 부분(154)에서의 직경의 감소는 벽면(161)을 포함하는 숄더 영역(160)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달 시스(130)의 원위 말단(136)은 이식 디바이스(120)를 그의 반경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접경할 수 있다. 내부 샤프트(102)의 원위 말단 부분 상에 압착된 이식 디바이스(120)는 일반적으로 노즈콘(14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식 디바이스(120)의 원위 말단은 노즈콘(140)의 근위 말단(144)에 인접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식 디바이스(120)의 원위 말단은 노즈콘(140)의 근위 부분(154)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노즈콘(140)의 근위 부분(154)은 바람직하게는 원위 부분(156)보다 더 짧은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근위 부분(154)의 축방향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은 이식 디바이스(120)가 노즈콘(140)의 원위 부분(156)에 더 가깝게 배치되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달 시스(130)는 여전히 이식 디바이스(120)를 완전히 덮고 숄더 영역(160)(예를 들어, 벽면(161))과 접경할 수 있도록 보장하면서 더 짧은 축방향 길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식 디바이스(120)가 배치된 후에 전달 장치(100)를 환자의 신체로부터 회수될 때, 노즈콘(140)의 숄더 영역(160)은 배치된 이식 디바이스(120)의 일부 또는 일부분(예를 들어, 프레임, 이음부, 리플렛, 스커트 등)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 샤프트 및 따라서 이식 디바이스(120)와 비동축인 노즈콘(140)의 결과일 수 있다.
예시적인 노즈콘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선된 노즈콘 설계(예를 들어, 도 4a-7c에 도시된 노즈콘 참조)를 갖는 전달 장치(예컨대 전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노즈콘을 배치된 이식 디바이스로부터 부드럽게 회수할 수 있다. 개시된 노즈콘은 내부 샤프트 및 노즈콘이 이식 디바이스와 동축이 아닌 경우에도 이식 디바이스의 구성 요소 위로 미끄러질 수 있다.
기하학 용어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노즈콘의 중심 축을 따라 취해진 노즈콘의 단면 프로파일에서의 섹션(또는 일부분, 영역, 세그먼트 등)의 기울기는, 예를 들어, 섹션(또는 부분, 영역, 세그먼트 등)과 노즈콘의 중심 축 사이에 형성된 예각에 기초하여, 노즈콘의 중심 축에 대해 측정된다.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노즈콘의 일부(또는 섹션, 영역, 세그먼트 등)를 포함하는, 물체의 중심점("기하학적 중심"으로도 지칭됨)은 물체 내의 모든 지점의 산술 평균 위치이다. 물체가 균일한 밀도를 갖는 경우, 물체의 중심점은 물체의 질량 중심이기도 하다. 노즈콘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인 노즈콘의 일부분(또는 섹션, 영역, 세그먼트 등)의 경우, 노즈콘의 일부분(또는 섹션, 영역, 세그먼트 등)의 중심점은 일반적으로 노즈콘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어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특정 영역(또는 일부분, 섹션, 세그먼트 등)에서의 노즈콘의 단면 프로파일은 노즈콘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만곡될 때의 시점(예를 들어,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가지며, 노즈콘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만곡될 때의 시점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갖는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타원, 포물선, 및 쌍곡선을 포함하는 몇몇 유형의 원추형 섹션이, 노즈콘의 단면 프로파일에서의 섹션(또는 일부분, 영역, 세그먼트 등)의 곡률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원추형 섹션은 절단 평면과 원추의 표면의 교차점에서 얻어진 곡선이다. 타원은 원추와 절단 평면의 교차점이 폐쇄 곡선일 때 발생한다. 절단 평면이 원추의 회전축에 평행한 경우, 그때 원추 섹션은 쌍곡선이다. 절단 평면이 원추의 생성 선에 평행한 경우, 원추 섹션은 포물선이다.
노즈콘 형상의 예시적인 실시예
도 4a-4d는 도 1a의 노즈콘(140)에 비해 개선된 형상 설계를 갖는 노즈콘(240)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를 갖는 전달 장치(100)의 원위 말단 부분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노즈콘(240)는 그 길이방향 단면 프로파일이 포물선 곡선에 대응하는 바디 영역을 갖는 근위 부분을 포함한다.
140과 유사하게, 노즈콘(240)은 근위 부분 254 및 원위 부분(256)을 갖는다. 노즈콘(240)의 원위 부분(256)은 원위 부분(256)의 원위 말단 또는 원위 팁(246)으로부터 원위 부분(256)의 근위 말단(258)까지 반경방향 외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고, 노즈콘(240)의 근위 부분(254)은 원위 부분(256)의 근위 말단(258)으로부터 근위 부분(254)의 근위 말단(244)까지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따라서, 원위 부분(256)의 근위 말단(258)은 노즈콘(240)의 가장 큰 직경을 정의한다. 근위 부분(254)의 근위 말단(244)은 내부 샤프트(102)의 원위 말단(106)에 연결될 수 있다. 내부 샤프트(102)의 길이방향 축(101)은 노즈콘(240)의 중심 축(241)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노즈콘(240)은 노즈콘(240)의 근위 말단(244)으로부터 원위 팁(246)까지 연장되어 있는 루멘(248)을 가질 수 있고, 내부 샤프트(102)의 루멘(108)에 선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노즈콘(240)의 근위 부분(254)은 원위 부분(256)의 근위에 위치된 숄더 영역(260) 및 숄더 영역(260)의 근위에 위치된 바디 영역(262)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노즈콘(140)과 비교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즈콘(240)의 숄더 영역(260) 및 바디 영역(262)은 더 매끄러운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도 4c-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영역(262)은 비선형 또는 만곡된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 영역(262)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262)의 중심점(262c)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 영역(262)의 볼록 형상은 포물선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디 영역(262)의 볼록 형상은 쌍곡선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바디 영역(262)의 볼록 형상은 타원형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바디 영역(262)의 기울기는 바디 영역(262)의 원위 말단(262d)으로부터 바디 영역(262)의 근위 말단(262p)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본 예에서, 바디 영역(262)의 근위 말단(262p)은 또한 근위 부분(254)의 근위 말단(244)이다). 예를 들어, 바디 영역(262)은 제1 기울기(S1)를 갖는 제1 섹션(222), 제2 기울기(S2)를 갖는 제2 섹션(224), 및 제3 기울기(S3)를 갖는 제3 섹션(2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c-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섹션(222)은 내부 샤프트(102)의 원위 말단(106)에 인접하고, 제3 섹션(226)은 숄더 영역(260)에 인접하고, 제2 섹션(224)은 제1 섹션(222)과 제3 섹션(226)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제1 기울기(S1)는 제2 기울기(S2) 및 제3 기울기(S3)보다 클 수 있고, 제2 기울기(S2)는 제3 기울기(S3)보다 클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숄더 영역(260)은 비선형 또는 만곡된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숄더 영역(260)은 노즈콘(240)의 원위 부분(256)에 연결된 피크 부분(230) 및 바디 영역(262)의 원위 말단(262d)에 연결된 밸리 부분(228)을 가질 수 있다. 숄더 영역(260)의 직경은 피크 부분(230)으로부터 밸리 부분(228)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밸리 부분(228)은 제4 기울기(S4)를 가질 수 있고, 피크 부분(230)은 제5 기울기(S5)를 가질 수 있다. 제4 기울기(S4)는 제3 기울기(S3)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4 기울기(S4)는 제5 기울기(S5)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크 부분(230)과 밸리 부분(228) 사이의 경계는 숄더 영역(260)의 가장 큰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이한 섹션 또는 일부분에서의 기울기(예를 들어, S1-S5)를 비교할 때, 각 섹션 또는 일부분에서의 기울기는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단면 또는 부분의 기울기는 해당 섹션 또는 일부분에서의 평균 기울기로서 측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섹션 또는 일부분의 기울기는 해당 섹션 또는 일부분에서의 중앙 기울기로서 측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섹션 또는 일부분의 기울기는 해당 섹션 또는 일부분에서의 최대 기울기로서 측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섹션 또는 일부분의 기울기는 해당 섹션 또는 일부분에서 최소 기울기로서 측정된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밸리 부분(228)에서의 근위 부분(254)의 단면 프로파일은 숄더 영역(260)의 중심점(260c)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피크 부분(230)에서의 근위 부분(254)의 단면 프로파일은 숄더 영역(260)의 중심점(260c)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밸리 부분(228) 및 피크 부분(230)의 각각의 오목하거나 볼록 형상은, 예를 들어, 포물선 곡선, 쌍곡선 곡선, 또는 타원형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숄더 영역(260)(피크 부분(230) 및 밸리 부분(228) 둘 다를 포함함)의 단면 프로파일은 숄더 영역(260)의 중심점(260c)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숄더 영역(260)의 오목 형상은, 예를 들어, 포물선 곡선, 쌍곡선 곡선, 또는 타원형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숄더 영역(260)의 피크 부분(230)은 전달 시스의 원위 말단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식 디바이스(120)의 전달 동안, 전달 시스(130)의 원위 말단(136)은, 이식 디바이스(120)를 그의 반경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숄더 영역(260)의 피크 부분(230)에 대해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원위 부분(256)의 단면 프로파일은 원위 부분(256)의 원위 말단(246)을 원위 부분(256)의 근위 말단(258)에 선형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부분(256)의 단면 프로파일에서 원위 말단(246)과 근위 말단(258)을 연결하는 선은 실질적으로 직선형이다.
도 5a-5d는 노즈콘(34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갖는 전달 장치(100)의 원위 말단 부분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노즈콘(340)은 그 길이방향 단면 프로파일이 포물선 곡선에 대응하는 바디 영역 및 타원형 곡선에 대응하는 연결 영역을 갖는 근위 부분을 포함한다.
240과 유사하게, 노즈콘(340)은 근위 부분(354) 및 원위 부분(356)을 갖는다. 원위 부분(356)의 근위 말단(358)은 노즈콘(340)의 가장 큰 직경을 정의할 수 있다. 근위 부분(354)의 근위 말단(344)은 내부 샤프트(102)의 원위 말단(106)에 연결될 수 있다. 내부 샤프트(102)의 길이방향 축(101)은 노즈콘(340)의 중심 축(341)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노즈콘(340)은 근위 말단(344)으로부터 노즈콘(340)의 원위 팁(346)까지 연장되어 있는 루멘(348)을 가질 수 있고, 내부 샤프트(102)의 루멘(108)에 선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c-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즈콘(340)의 근위 부분(354)은 원위 부분(356) 근위에 위치된 숄더 영역(360) 및 숄더 영역(360) 근위에 위치된 바디 영역(362)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노즈콘(240)과 비교하여, 노즈콘(340)의 근위 부분(354)은 바디 영역(362)과 내부 샤프트(102) 사이에 위치된 추가 연결 영역(364)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연결 영역(364)은 바디 영역(362)의 근위 말단(350)을 내부 샤프트(102)의 원위 말단(106)에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노즈콘(340)의 원위 부분(356), 숄더 영역(360), 및 바디 영역(362)은 각각 노즈콘(240)의 원위 부분(256), 숄더 영역(260), 및 바디 영역(262)과 대략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영역(362)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362)의 중심점(362c)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숄더 영역(360)의 단면 프로파일은 숄더 영역(360)의 중심점(360c)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364)에서 근위 부분(354)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362)과 상이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364)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362)에서의 볼록 형상과 대조적으로) 연결 영역(364)의 중심점(364c)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 영역(364)의 오목 형상은 포물선 곡선, 쌍곡선 곡선, 또는 타원형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연결 영역(364)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362)의 근위 말단(350)을 내부 샤프트(102)의 원위 말단(106)에 선형으로 연결할 수 있다(즉, 바디 영역(362)의 근위 말단(350)과 내부 샤프트(102)의 원위 말단 사이에 실질적으로 직선을 형성함).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364)의 단면 프로파일은 또한 연결 영역(364)의 중심점(364c)에 대해 볼록 형상(예를 들어, 포물선 곡선, 쌍곡선 곡선, 또는 타원형 곡선에 의해 정의됨)을 가질 수 있다. 연결 영역(364)의 볼록 형상은 바디 영역(362)의 볼록 형상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바디 영역(362) 및 연결 영역(364)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362)의 중심점(362c)에 대해 연속적인 볼록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영역(364)은 바디 영역(362)으로 병합된다. 즉, 도 4c-4d에 도시된 근위 부분(254)은 연결 영역(364)과 바디 영역(362)의 단면 프로파일이 동일한 곡률을 갖는 도 5c-5d에 도시된 근위 부분(354)의 특수한 경우로 간주될 수 있다.
도 6a-6c는 노즈콘(44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갖는 전달 장치(100)의 원위 말단 부분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노즈콘(440)은 도 5a-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354와 유사한 근위 부분 및 그 길이방향 단면 프로파일이 타원형 곡선에 대응하는 원위 부분을 포함한다.
340과 유사하게, 노즈콘(440)은 근위 부분(454) 및 원위 부분(456)을 갖는다. 원위 부분(456)의 근위 말단(458)는 노즈콘(440)의 가장 큰 직경을 정의할 수 있다. 근위 부분(454)의 근위 말단(444)은 원위 부분(456) 근위에 위치된 숄더 영역(460), 숄더 영역(460) 근위에 위치된 바디 영역(462), 및 바디 영역(462)과 내부 샤프트(102) 사이에 위치된 연결 영역(464)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샤프트(102)의 길이방향 축(101)은 노즈콘(440)의 중심 축(441)과 일치할 수 있다. 노즈콘(440)은 또한 근위 말단(444)으로부터 노즈콘(440)의 원위 팁(446)까지 연장되어 있는 루멘(448)을 가질 수 있고, 내부 샤프트(102)의 루멘(108)에 선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근위 부분(454)(숄더 영역(460), 바디 영역(462), 및 연결 영역(464)을 포함함)은 노즈콘(340)의 근위 부분(354)과 대략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라이너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노즈콘(340)의 원위 부분(356)과 대조적으로, 노즈콘(440)의 원위 부분(456)은 비선형 또는 만곡된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예에서, 원위 부분(456)의 단면 프로파일은 원위 부분(456)의 중심점(456c)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원위 부분(456)의 볼록 형상은 포물선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원위 부분(456)의 볼록 형상은 쌍곡선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원위 부분(456)의 볼록 형상은 타원형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7a-7c는 노즈콘(54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갖는 전달 장치(100)의 원위 말단 부분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노즈콘(540)은 도 4a-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54와 유사한 근위 부분 및 상이한 곡률을 갖는 2개의 섹션을 포함하는 원위 부분을 포함한다.
240과 유사하게, 노즈콘(540)은 근위 부분(554) 및 원위 부분(556)을 갖는다. 원위 부분(556)의 근위 말단(558)는 노즈콘(540)의 가장 큰 직경을 정의할 수 있다. 근위 부분(554)은 원위 부분(556) 근위에 위치된 숄더 영역(560) 및 숄더 영역(560) 근위에 위치된 바디 영역(562)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샤프트(102)의 길이방향 축(101)은 노즈콘(540)의 중심 축(541)과 일치할 수 있다. 노즈콘(540)은 또한 근위 말단(544)으로부터 노즈콘(540)의 원위 팁(546)까지 연장되어 있는 루멘(548)을 가질 수 있고, 내부 샤프트(102)의 루멘(108)에 선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숄더 영역(560) 및 바디 영역(562)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554)은 노즈콘(240)의 근위 부분(254)과 거의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라이너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노즈콘(240)의 원위 부분(256)과 대조적으로, 노즈콘(440)의 원위 부분(556)은 비선형 또는 만곡된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실시예에서, 원위 부분(556)의 단면 프로파일은 원위 부분(556)의 중심점(556c)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위 부분(556)의 오목 형상은 포물선 곡선, 쌍곡선 곡선, 또는 타원형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원위 부분(556)은 다수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섹션은 그 자체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부분(556)은 팁 섹션(568) 및 팁 섹션(568) 근위에 위치된 바디 섹션(566)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팁 섹션(568)은 팁 섹션(568)의 중심점(568c)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바디 섹션(566)은 바디 섹션(566)의 중심점(566c)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팁 섹션(568) 및 바디 섹션(566)의 각각의 오목 또는 볼록 형상은 포물선 곡선, 쌍곡선 곡선, 또는 타원형 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팁 섹션(568)은 선형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바디 섹션(566)은 비선형 단면 프로파일(예를 들어, 볼록 형상, 또는 혼합된 볼록 및 오목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노즈콘 치수의 예시적인 실시예
전술한 노즈콘의 상이한 부분(또는 부위, 세그먼트, 영역 등)의 치수는, 전달 절차 동안 이식 디바이스로부터 부드럽게 회수되는 노즈콘의 능력을 개선하면서 노즈콘의 전체적인 작은 프로파일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록 유사한 치수가 전술된 노즈콘(440 및 540)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지만, 노즈콘 치수는 예로서 노즈콘(240 및 340)을 사용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예를 들어, 숄더 영역(예를 들어, 260)의 치수는, 노즈콘이 이식 디바이스의 전달 동안 전달 시스의 원위 말단과 맞물릴 수 있고 이식 디바이스가 배치된 후에 이식 디바이스로부터 부드럽게 회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숄더 영역의 피크 부분(예를 들어, 230)의 기울기(예를 들어, S5)는 피크 부분이 전달 시스(130)가 원위로 이동하고 피크 부분을 지나가는 것에 저항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클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피크 부분(예를 들어, 230)의 기울기(예를 들어, S5)는, 전달 장치를 회수할 때 피크 부분이 이식 디바이스(120)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90도보다 훨씬 더 작을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피크 부분(예를 들어, 230)의 기울기(예를 들어, S5)는 약 0도 내지 약 65도, 또는 약 0도 내지 약 45도의 범위일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밸리 부분(예를 들어, 228)의 기울기(예를 들어, S4)는 약 0도 내지 약 65도, 또는 약 0도 내지 약 45도의 범위일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숄더 영역(예를 들어, 260)의 단면 프로파일의 가장 큰 기울기는 약 15도 내지 약 65도의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숄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의 가장 큰 기울기는 약 40도이다.
숄더 영역(예를 들어, 260)의 기울기(또는 기울기 범위)는 숄더 영역의 축방향 길이 및 숄더 영역의 반경방향 깊이("숄더 깊이"로도 지칭됨)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위 부분(예를 들어, 256)의 근위 말단(예를 들어, 258)은, 도 4c에서 D1로 표시된, 노즈콘의 가장 큰 직경을 정의할 수 있다. 근위 부분(예를 들어, 254)의 바디 영역(예를 들어, 262)의 원위 말단(예를 들어, 262d)는 도 4c에서 D2로 표시된 다른 직경을 정의할 수 있다. 도 4c에서 Δ로 표시된 숄더 깊이는, D1과 D2 사이의 차이의 절반, 즉 Δ= (D1-D2)/2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4d에서 L로서 표시된, 숄더 영역(예를 들어, 260)의 축방향 길이는 원위 부분(예를 들어, 256)의 근위 말단(예를 들어, 258)과 바디 영역(예를 들어, 262)의 원위 말단(예를 들어, 262d) 사이의 축방향 길이로서 측정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숄더 영역(예를 들어, 260)은 약 1mm 내지 약 10mm 범위의 축방향 길이 Ls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숄더 영역의 축방향 길이 Ls는 약 2.5mm이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숄더 깊이 Δ는 약 0.1mm 내지 약 2.5mm의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숄더 깊이 Δ는 약 1.0mm이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숄더 깊이 대 숄더 영역의 축방향 길이, 즉 Δ/Ls의 비율은 약 0.02 내지 약 2.50의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비율 Δ/Ls는 약 0.40이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비율 D2/D1은 약 0.50 내지 약 0.96의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비율 D2/D1은 약 0.75이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바디 영역(예를 들어, 262)의 치수 및/또는 형상은 숄더 영역(예를 들어, 260)의 구성과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면 프로파일에서) 근위 부분(254)의 기울기는 점진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근위 부분(254)의 기울기는 단계 변화 없이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숄더 영역(260) 또는 바디 영역(262)에서 직경의 급격한 변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원위 부분(256)과 숄더 영역(260) 사이의 경계에서, 또는 숄더 영역(260)과 바디 영역(262) 사이의 경계에서 직경의 급격한 변화가 또한 없다.
또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영역(262)의 기울기는, 바디 영역(262)의 단면 프로파일이 상대적으로 큰 기울기를 갖는 적어도 섹션(272)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섹션(272)에서의 접선(270)은 (원위 부분(256)의 근위 말단(258)이기도 한, 이의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숄더 영역(260)의 단면 프로파일을 가로막지 않는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섹션(272)은 바디 영역(262)의 근위 말단(262p)으로부터 바디 영역(262)의 중간 지점(262m)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섹션(272)은 제1 섹션(222) 또는 제2 섹션(22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섹션(272)은 바디 영역(262)의 중간 지점(262m)으로부터 바디 영역의 원위 말단(262d)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섹션(272)은 제2 섹션(224) 또는 제3 섹션(226)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달 장치를 후퇴시키는 것은, 이식 디바이스(120)의 환형 프레임(122)의 정점(126) 및/또는 접합부(128)가 노즈콘(240)의 근위 부분(254)과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전술된 노즈콘 설계는 배치된 이식 디바이스로부터 노즈콘이 회수될 수 있는 용이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위 부분(254)에서의 기울기의 직경 및 연속적 변화(단계 변화 대신)의 점진적인 감소(단계 감소 대신)는, 전달 장치를 후퇴시킬 때, 노즈콘(240)의 임의의 부분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프레임(122)의 정점(126) 및/또는 접합부(128)가 근위 부분(254)의 외부 표면을 따라 부드럽게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섹션(272)에서의 상대적으로 큰 경사 때문에, 전달 장치(100)를 근위 방향으로 추가로 후퇴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프레임(122)을 편향시키고, 프레임(122)이 노즈콘(240)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숄더 영역(260)으로부터 멀리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접선(270)을 따라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노즈콘(240)의 숄더 영역(260)은 노즈콘(240)이 프레임(122)의 루멘을 통해 후퇴될 때 프레임을 따라 부드럽게 미끄러질 수 있다.
바디 영역(예를 들어, 262)의 전체 기울기는 바디 영역의 축방향 길이(도 4c에서 L3으로 표시됨) 및 바디 영역의 원위 말단(예를 들어, 262d)에서의 직경 D2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바디 영역 L3의 축방향 길이는 약 2mm 내지 약 20mm의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바디 영역 L3의 축방향 길이는 약 5.5mm이다.
노즈콘의 근위 부분(예를 들어, 354)이 연결 영역(예를 들어, 364)을 갖는 경우, 연결 영역의 치수는 숄더 영역(예를 들어, 360) 및 바디 영역(예를 들어, 362)의 구성과 함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예를 들어, 364)의 단면 프로파일의 가장 큰 기울기는 약 20도 내지 약 65도의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예를 들어, 364)의 단면 프로파일의 가장 큰 기울기는 약 40도이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연결 영역(예를 들어, 364)은 약 0.1mm 내지 약 5.0mm 범위의 축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연결 영역(예를 들어, 364)의 축방향 길이는 약 1.0mm이다.
또한, 노즈콘의 원위 부분의 소정의 치수는 노즈콘의 전체 프로파일을 감소시키고 환자의 혈관 구조 내에서 비외상성 탐색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L로 표시된) 노즈콘의 축방향 길이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부분(L1로 표시됨)의 축방향 길이와 근위 부분(L2로 표시됨)의 축방향 길이의 합이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원위 부분(예를 들어, 256)의 축방향 길이는 약 10mm 내지 약 80mm의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원위 부분 L1의 축방향 길이는 약 35mm이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근위 부분의 축방향 길이 대 원위 부분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 즉 L2/L1은 약 0.03 내지 약 1.00의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비율 L2/L1은 약 0.25이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노즈콘의 축방향 길이 대 노즈콘의 최대 직경의 비율, 즉, L/D1은 약 1.5 내지 약 20.0의 범위이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비율 L/D1은 약 6.5이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원위 부분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바디 영역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 즉 L3/L1은 약 0.02 내지 약 0.95의 범위일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비율 L3/L1은 약 0.20이다.
전술되고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노즈콘 형상이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 개시된 동일한 원리에 기초한 노즈콘 형상의 다른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근위 부분 및/또는 상기 원위 부분의 전체 곡률, 근위 및/또는 원위 부분 내의 상이한 영역/섹션의 수 및 형상(예를 들어, 상기 숄더 영역, 상기 바디 영역, 상기 연결 영역, 등), 상이한 일부분(또는 세그먼트, 섹션, 영역, 등)의 축방향 길이 및/또는 이들의 상대 비율, 상이한 일부분(또는 세그먼트, 섹션, 영역, 등)의 직경 및/또는 이들의 상대 비율, 등은 변화되어 노즈콘의 (예를 들어, 직경 및 축방향 길이 측면에서) 전체적인 작은 프로파일을 유지하면서, 이식 디바이스의 배치 후 환자의 혈관구조로부터 회수될 전달 장치의 노즈콘의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개시된 주제의 전술한 실시예를 고려하여, 본 출원은 아래에 열거된 추가 예를 개시한다.   하나 이상의 추가 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조합하여 취해진 예의 하나의 특징 또는 하나 이상의 특징이 또한 본 출원의 개시에 포함되는 추가 예임을 주목해야 한다.
실시예 1. 카테터경유 시술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상기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연결되어 있고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을 포함하는 노즈콘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노즈콘의 외부 표면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바디 영역의 기울기는 상기 바디 영역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바디 영역의 근위 말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장치.
실시예 2.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은 상기 바디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갖는, 장치.
실시예 3.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의 볼록 형상은 포물선 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
실시예 4.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의 볼록 형상은 쌍곡선 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
실시예 5.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의 볼록 형상은 타원형 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
실시예 6.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의 축방향 길이는 약 2mm 내지 약 20mm의 범위인, 장치.
실시예 7.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6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의 축방향 길이는 약 5.5mm인, 장치.
실시예 8.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과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 사이에 위치된 연결 영역을 더 포함하는, 장치.
실시예 9.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8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에서의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연결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갖는, 장치.
실시예 10.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8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에서의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바디 영역의 근위 말단을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선형으로 연결하는, 장치.
실시예 11.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은 약 0.1mm 내지 약 5.0mm 범위의 축방향 길이를 가지는, 장치.
실시예 12.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의 축방향 길이는 약 1.0mm인, 장치.
실시예 13.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바디 영역과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 사이에 위치된 숄더 영역을 더 포함하는, 장치.
실시예 14.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은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에 연결된 피크 부분 및 상기 바디 영역의 원위 말단에 연결된 밸리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숄더 영역의 직경은 상기 피크 부분으로부터 상기 밸리 부분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장치.
실시예 15.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밸리 부분 내의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숄더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피크 부분 내의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숄더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갖는, 장치.
실시예 16.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은 약 1mm 내지 약 10mm 범위의 축방향 길이를 가지는, 장치.
실시예 17.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의 축방향 길이는 약 2.5mm인, 장치.
실시예 18.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원위 부분의 원위 말단을 상기 원위 부분의 근위 말단에 선형으로 연결하는, 장치.
실시예 19.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원위 부분의 중심점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갖는, 장치.
실시예 20.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9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볼록 형상은 타원형 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
실시예 21.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9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볼록 형상은 포물선 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
실시예 22.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9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볼록 형상은 쌍곡선 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
실시예 23.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원위 부분의 중심점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갖는, 장치.
실시예 24.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오목 형상은 타원형 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
실시예 25.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오목 형상은 포물선 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
실시예 26.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오목 형상은 쌍곡선 곡선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
실시예 27.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팁 섹션 및 상기 팁 섹션에 근위인 바디 섹션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팁 섹션은 상기 팁 섹션의 중심점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바디 섹션은 상기 바디 섹션의 중심점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가지는, 장치.
실시예 28.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은 약 10mm 내지 약 80mm 범위의 축방향 길이를 가지는, 장치.
실시예 29.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28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축방향 길이는 약 35mm인, 장치.
실시예 30.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28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상기 근위 부분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은 약 0.03 내지 약 1.00의 범위인, 장치.
실시예 31.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30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상기 근위 부분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은 약 0.25인, 장치.
실시예 32.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1 내지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노즈콘의 최대 직경에 대한 상기 노즈콘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은 약 1.5 내지 약 20.0의 범위인, 장치.
실시예 33.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노즈콘의 최대 직경에 대한 상기 노즈콘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은 약 6.5인, 장치.
실시예 34. 카테터경유 시술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상기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연결되어 있고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을 포함하는 노즈콘을 포함하며, 상기 노즈콘의 근위 부분은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에 인접한 숄더 영역,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연결된 연결 영역, 및 상기 숄더 영역과 상기 연결 영역 사이에 위치된 바디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노즈콘의 외부 표면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 프로파일을 가지고, 여기서 상기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제1 기울기를 갖는 제1 섹션, 제2 기울기를 갖는 제2 섹션, 및 제3 기울기를 갖는 제3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섹션은 상기 연결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제3 섹션은 상기 숄더 영역에 인접하고, 및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제1 기울기는 상기 제2 기울기 및 상기 제3 기울기보다 크고, 상기 제2 기울기는 상기 제3 기울기보다 큰, 장치.
실시예 35.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울기, 상기 제2 기울기, 및 상기 제3 기울기는 상기 제1 섹션, 상기 제2 섹션, 및 상기 제3 섹션에서 각각 평균 기울기로서 측정되는, 장치.
실시예 36.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울기, 상기 제2 기울기, 및 상기 제3 기울기는 상기 제1 섹션, 상기 제2 섹션, 및 상기 제3 섹션에서 각각 중앙 기울기로서 측정되는, 장치.
실시예 37.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울기, 상기 제2 기울기, 및 상기 제3 기울기는 상기 제1 섹션, 상기 제2 섹션, 및 상기 제3 섹션에서 각각 최대 기울기로서 측정되는, 장치.
실시예 38.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울기, 상기 제2 기울기, 및 상기 제3 기울기는 상기 제1 섹션, 상기 제2 섹션, 및 상기 제3 섹션에서 각각 최소 기울기로서 측정되는, 장치.
실시예 39.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34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근위 말단과 상기 원위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노즈콘은 상기 노즈콘을 통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의 루멘에 선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루멘을 포함하는, 장치.
실시예 40.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34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은 상기 원위 부분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원위 부분의 근위 말단까지 반경방향 외측으로 테이퍼지고, 상기 노즈콘의 근위 부분은 상기 원위 부분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근위 부분의 근위 말단까지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고, 상기 원위 부분의 근위 말단은 제1 직경을 가지고, 상기 바디 영역의 원위 말단은 제2 직경을 갖는, 장치.
실시예 41.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40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경과 상기 제2 직경 사이의 차이는 숄더 깊이를 정의하고, 상기 숄더 깊이는 약 0.1mm 내지 약 2.5mm의 범위인, 장치.
실시예 42.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숄더 깊이는 약 1.0mm인, 장치.
실시예 43.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41 내지 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상기 숄더 깊이의 비율은 약 0.02 내지 약 2.50의 범위인, 장치.
실시예 44.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상기 숄더 깊이의 비율은 약 0.40인, 장치.
실시예 45.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40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경에 대한 상기 제2 직경의 비율은 약 0.50 내지 약 0.96의 범위인, 장치.
실시예 46.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경에 대한 상기 제2 직경의 비율은 약 0.75인, 장치.
실시예 47.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34 내지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상기 바디 영역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은 약 0.02 내지 약 0.95의 범위인, 장치.
실시예 48.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47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상기 바디 영역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은 약 0.20인, 장치.
실시예 49.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34 내지 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바디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갖는, 장치.
실시예 50.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49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 및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바디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연속적인 볼록 형상을 형성하는, 장치.
실시예 51.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34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연결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갖는, 장치.
실시예 52.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예 34 내지 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숄더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갖는, 장치.
실시예 53.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34 내지 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은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에 연결된 피크 부분 및 상기 바디 영역에 연결된 밸리 부분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숄더 영역의 기울기는 약 0도 내지 약 65도의 범위인, 장치.
실시예 54.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에서 가장 큰 기울기는 상기 피크 부분과 상기 밸리 부분 사이의 경계에 위치되어 있는, 장치.
실시예 55.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에서의 가장 큰 기울기는 약 15도 내지 약 65도의 범위인, 장치.
실시예 56.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55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에서 상기 가장 큰 기울기는 약 40도인, 장치.
실시예 57.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34 내지 5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근위 부분의 기울기는 단계 변화 없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장치.
실시예 58. 카테터경유 전달 장치용 노즈콘으로서, 상기 노즈콘은: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 및 상기 원위 부분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근위 부분의 근위 말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 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근위 부분은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에 인접한 숄더 영역 및 상기 숄더 영역에 근위인 바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즈콘의 외부 표면은 상기 노즈콘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바디 영역의 중심점에서 보았을 때 볼록 형상을 갖는, 노즈콘.
실시예 59.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58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근위 부분의 근위 말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루멘을 더 포함하는, 노즈콘.
실시예 60.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58 내지 5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근위 부분은 상기 바디 영역에 근위인 연결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바디 영역과 상이한 곡률을 갖는, 노즈콘.
실시예 61.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60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연결 영역의 중심점에서 보았을 때에 오목 형상을 갖는, 노즈콘.
실시예 62.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60 내지 6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의 가장 큰 기울기는 약 20도 내지 약 65도의 범위인, 노즈콘.
실시예 63.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의 가장 큰 기울기는 약 40도인, 노즈콘.
실시예 64.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58 내지 6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의 가장 큰 기울기는 약 15도 내지 약 65도의 범위인, 노즈콘.
실시예 65.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64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의 가장 큰 기울기는 약 40도인, 노즈콘.
실시예 66.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58 내지 6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근위 말단은 상기 노즈콘의 가장 큰 직경을 정의하는, 노즈콘.
실시예 67.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58 내지 6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적어도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에서의 접선은 상기 숄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을 가로막지 않는, 노즈콘.
실시예 68. 카테터경유 시술을 위한 조립체로서, 상기 조립체는: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상기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원위 말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연결되어 있고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을 포함하는 노즈콘; 및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인공 삽입물을 포함하고, 상기 노즈콘의 근위 부분은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에 인접한 숄더 영역,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연결된 연결 영역, 및 상기 숄더 영역과 상기 연결 영역 사이에 위치된 바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즈콘의 외부 표면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바디 영역의 중심점에서 보았을 때 볼록 형상을 갖는, 조립체.
실시예 69.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68에 있어서, 상기 인공 삽입물은 인공 판막인, 조립체.
실시예 70.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69에 있어서, 상기 인공 판막은 격자 구조를 갖는 복수의 지주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립체.
실시예 71.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68에 있어서, 상기 인공 삽입물은 스텐트인, 조립체.
실시예 72.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격자 구조를 갖는 복수의 지주를 포함하는, 조립체.
실시예 73. 본원에서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68 내지 7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공 삽입물은 반경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와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조립체.
실시예 74.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인공 삽입물은 자가 확장 가능한, 조립체.
실시예 75.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인공 삽입물은 상기 인공 삽입물 내에서 풍선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킴으로써 확장 가능한 풍선인, 조립체.
실시예 76.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인공 삽입물은 상기 인공 삽입물의 근위 말단 및 원위 말단 모두에 축방향 힘을 인가함으로써 기계적으로 확장 가능한, 조립체.
실시예 77.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68 내지 7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공 삽입물의 원위 말단은 상기 노즈콘의 근위 부분에 인접하고 이에 근위에 배치되어 있는, 조립체.
실시예 78.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68 내지 7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공 삽입물의 원위 말단은 상기 노즈콘의 근위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어 있는, 조립체.
실시예 79.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68 내지 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달 시스의 원위 말단이 상기 노즈콘의 숄더 영역과 접경할 때 상기 인공 삽입물이 상기 전달 시스에 의해 덮이고 상기 전달 시스가 상기 인공 삽입물에 대해 근위로 이동될 때 상기 인공 삽입물이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인공 삽입물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달 시스를 더 포함하는, 조립체.
실시예 80.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79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의 원위 말단은 상기 노즈콘의 가장 큰 직경을 정의하고, 상기 전달 시스의 원위 말단 및 상기 숄더 영역의 원위 말단은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조립체.
실시예 81.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79 내지 8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내부 샤프트이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내부 샤프트 위로 연장되어 있는 외부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조립체.
실시예 82.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샤프트의 원위 말단은 상기 전달 시스의 근위 말단에 연결되어 있는, 조립체.
실시예 83.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전달 시스는 상기 외부 샤프트의 일체형 부분인, 조립체.
실시예 84.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81 내지 8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샤프트의 근위 말단 및 상기 외부 샤프트의 근위 말단은 핸들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핸들은 상기 내부 샤프트에 대해 상기 외부 샤프트의 축방향 이동을 유발하도록 구성된 구동 기구를 포함하는, 조립체.
실시예 85.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84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외부 샤프트의 곡률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기구를 포함하는, 조립체.
실시예 86.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81 내지 8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샤프트와 상기 외부 샤프트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중간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 샤프트의 원위 말단은 상기 인공 삽입물 내에 배치된 풍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간 샤프트의 근위 말단은 상기 풍선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키도록 구성된 팽창 기구에 연결되어 있는, 조립체.
실시예 87.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68 내지 8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에서의 접선은 상기 숄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을 가로막지 않는, 조립체.
실시예 88.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 특히 실시예 87에 있어서, 상기 섹션은 상기 바디 영역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바디 영역의 중간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는, 조립체.
본 개시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많은 가능한 실시예를 고려할 때, 도시된 구현예들은 단지 예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 또는 청구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 및 그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20)

  1. 카테터경유 시술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상기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원위 말단으로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연결되어 있고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을 포함하는 노즈콘을 포함하되,
    상기 노즈콘의 외부 표면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 영역의 기울기는 상기 바디 영역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바디 영역의 근위 말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은 상기 바디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갖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디 영역과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과 사이에 위치된 연결 영역을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에서의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연결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갖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에서의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바디 영역의 근위 말단을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선형으로 연결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바디 영역과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 사이에 위치된 숄더 영역을 더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은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에 연결된 피크 부분 및 상기 바디 영역의 원위 말단에 연결된 밸리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숄더 영역의 직경은 상기 피크 부분으로부터 상기 밸리 부분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리 부분 내의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숄더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피크 부분 내의 근위 부분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숄더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갖는, 장치.
  9. 카테터경유 시술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상기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원위 말단으로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연결되어 있고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을 포함하는 노즈콘을 포함하되,
    상기 노즈콘의 근위 부분은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에 인접한 숄더 영역, 상기 샤프트의 원위 말단에 연결된 연결 영역, 및 상기 숄더 영역과 상기 연결 영역 사이에 위치된 바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즈콘의 외부 표면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제1 기울기를 갖는 제1 섹션, 제2 기울기를 갖는 제2 섹션, 및 제3 기울기를 갖는 제3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섹션은 상기 연결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제3 섹션은 상기 숄더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기울기는 상기 제2 기울기 및 상기 제3 기울기보다 더 크고, 상기 제2 기울기는 상기 제3 기울기보다 더 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은 상기 원위 부분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원위 부분의 근위 말단까지 반경방향 외측으로 테이퍼지고, 상기 노즈콘의 근위 부분은 상기 원위 부분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근위 부분의 근위 말단까지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고, 상기 원위 부분의 근위 말단은 제1 직경을 가지며, 상기 바디 영역의 원위 말단은 제2 직경을 갖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경과 상기 제2 직경 사이의 차이는 숄더 깊이를 정의하고, 여기서 상기 숄더 깊이는 약 0.1mm 내지 약 2.5mm의 범위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상기 숄더 깊이의 비율은 약 0.02 내지 약 2.50의 범위인,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경에 대한 상기 제2 직경의 비율은 약 0.50 내지 약 0.96의 범위인,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상기 바디 영역의 축방향 길이의 비율은 약 0.02 내지 약 0.95의 범위인,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바디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볼록 형상을 갖는, 장치.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숄더 영역의 중심점에 대해 오목 형상을 갖는, 장치.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영역은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에 연결된 피크 부분 및 상기 바디 영역에 연결된 밸리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숄더 영역의 기울기는 약 0도 내지 약 65도의 범위인, 장치.
  18. 제9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부분의 기울기는 단계 변화 없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장치.
  19. 카테터경유 전달 장치용 노즈콘으로서, 상기 노즈콘은: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 및
    상기 원위 부분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상기 근위 부분의 근위 말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 축을 포함하되,
    상기 근위 부분은 상기 노즈콘의 원위 부분에 인접한 숄더 영역 및 상기 숄더 영역에 근위인 바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즈콘의 외부 표면은 상기 노즈콘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상기 바디 영역의 중심점에서 보았을 때 볼록 형상을 갖는, 노즈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섹션에서의 접선은 상기 숄더 영역의 단면 프로파일을 가로막지 않는, 노즈콘.
KR1020237019092A 2020-11-11 2021-11-10 카테터경유 전달 장치 KR20230107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12326P 2020-11-11 2020-11-11
US63/112,326 2020-11-11
PCT/US2021/058723 WO2022103794A1 (en) 2020-11-11 2021-11-10 Transcatheter deliver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286A true KR20230107286A (ko) 2023-07-14

Family

ID=7882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092A KR20230107286A (ko) 2020-11-11 2021-11-10 카테터경유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277809A1 (ko)
EP (1) EP4243731A1 (ko)
JP (1) JP2023550037A (ko)
KR (1) KR20230107286A (ko)
CN (2) CN114533342A (ko)
AU (1) AU2021377620A1 (ko)
CA (1) CA3199695A1 (ko)
IL (1) IL302371A (ko)
TW (1) TW202233136A (ko)
WO (1) WO2022103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225731A1 (en) * 2021-07-12 2023-01-19 Jason L. Quill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able commissural alignment of a replacement heart valv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2924B1 (en) * 2002-03-04 2011-05-17 Endovascular Technologies, Inc. Staged endovascular graft delivery system
US7780723B2 (en) 2005-06-13 2010-08-24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Heart valve delivery system
EP2932942A1 (en) * 2007-05-21 2015-10-21 Kawasumi Laboratories, Inc. Stent graft indwelling device, stent graft, and fixing tip
US9061119B2 (en) 2008-05-09 2015-06-23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Low profile delivery system for transcatheter heart valve
HUE047257T2 (hu) 2008-06-06 2020-04-28 Edwards Lifesciences Corp Kis profilú transzkatéteres szívbillentyû
GB0921236D0 (en) * 2009-12-03 2010-01-20 Angiomed Ag Stent device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uch
ES2813091T3 (es) 2010-10-05 2021-03-22 Edwards Lifesciences Corp Válvula cardiaca protésica
US10010412B2 (en) 2011-07-27 2018-07-03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Conical crimper
US9339384B2 (en) 2011-07-27 2016-05-17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Delivery systems for prosthetic heart valve
US8652145B2 (en) 2011-12-14 2014-02-18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imping a prosthetic valve
US9308107B2 (en) * 2012-08-27 2016-04-12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Endoluminal prosthesis and delivery device
US9757232B2 (en) 2014-05-22 2017-09-12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Crimping apparatus for crimping prosthetic valve with protruding anchors
US10588744B2 (en) 2015-09-04 2020-03-17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Delivery system for prosthetic heart valve
US10265169B2 (en) 2015-11-23 2019-04-23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ed heart valve delivery
US10363130B2 (en) 2016-02-05 2019-07-30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Devices and systems for docking a heart valve
US10603165B2 (en) 2016-12-06 2020-03-31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echanically expanding heart valve and delivery apparatus therefor
EP3906893A1 (en) 2016-12-20 2021-11-10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Systems and mechanisms for deploying a docking device for a replacement heart valve
EP4292572A3 (en) 2017-06-30 2024-04-17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Docking stations for transcatheter valves
JP2023517311A (ja) * 2020-03-06 2023-04-25 エドワーズ ライフサイエン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ボールジョイントを備えたノーズコーンを有する送達装置
CN115697251A (zh) * 2020-06-15 2023-02-03 爱德华兹生命科学公司 用于递送系统的鼻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3136A (zh) 2022-09-01
IL302371A (en) 2023-06-01
CN217409067U (zh) 2022-09-13
CA3199695A1 (en) 2022-05-19
CN114533342A (zh) 2022-05-27
JP2023550037A (ja) 2023-11-30
WO2022103794A1 (en) 2022-05-19
AU2021377620A1 (en) 2023-06-08
US20230277809A1 (en) 2023-09-07
EP4243731A1 (en)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79748A1 (en) Devices and systems for docking a heart valve
US11844692B2 (en) Heart valve pinch devices and delivery systems
US8070800B2 (en) Transcatheter heart valve prostheses
US20220409410A1 (en) Delivery apparatus having nosecone with a ball joint
US20230277809A1 (en) Transcatheter delivery apparatus
US20230009249A1 (en) Expandable transition element for a transcatheter delivery device
US20230263630A1 (en) Delivery apparatus for prosthetic im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