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015A - Light oil refining equipments using mixed heavy oil - Google Patents

Light oil refining equipments using mixed heavy o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015A
KR20230107015A KR1020220002894A KR20220002894A KR20230107015A KR 20230107015 A KR20230107015 A KR 20230107015A KR 1020220002894 A KR1020220002894 A KR 1020220002894A KR 20220002894 A KR20220002894 A KR 20220002894A KR 20230107015 A KR20230107015 A KR 20230107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oisture
separator
air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이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훈 filed Critical 이도훈
Priority to KR1020220002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015A/en
Publication of KR2023010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0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10G3/42Catalytic treatment
    • C10G3/44Catalytic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1/00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11/02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10G11/04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1/00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11/02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10G11/08Ha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with solid sorbents
    • C10G25/06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with solid sorbents with moving sorbents or sorbents dispersed in the oi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2/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irradiation, or by using microorganisms
    • C10G32/04Refining of hydrocarbon oil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irradiation, or by using microorganisms by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37Hydrocarbon fractions
    • C10G2300/1048Middle distill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품위 고점도의 혼합중질유(C20~C60)를 열에너지와 열형광(Thermofluorescence) 특성을 갖는 세라믹 복합체를 가열하여 방출되는 광파동에너지를 동시에 이용한 다단계 크래킹 분해반응을 통하여 양질의 경질유(C10~C18)를 얻을 수 있다. 열에너지와 광파동에너지를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온도 조건에서 양질의 경질유를 얻을 수 있으며,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고품질의 경질유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inery that converts mixed heavy oil into light oil, and converts low-grade, high-viscosity mixed heavy oil (C 20 ~ C 60 ) into heat energy and a ceramic composite having thermofluorescence characteristics to heat the emitted light wave energy. High-quality light oil (C 10 ~ C 18 ) can be obtained through the multi-stage cracking decomposition reaction used simultaneously. Since thermal energy and optical wave energy are used simultaneously, high-quality light oil can be obtain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high-quality light oil can be manufactured in a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Figure P1020220002894
Figure P1020220002894

Description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Light oil refining equipments using mixed heavy oil}Light oil refining equipments using mixed heavy oil

본 발명은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inery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into light oil,

더욱 상세하게는 저품위 고점도의 혼합중질유(C20~C60)를 열에너지와 열형광(Thermofluorescence) 특성을 갖는 세라믹 복합체를 가열시 방출되는 광파동에너지를 동시에 이용한 다단계 크래킹(Cracking) 분해과정을 통하여 양질의 경질유(C10~C18) 로 정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low-grade, high-viscosity mixed heavy oil (C 20 ~ C 60 ) is produced through a multi-step cracking decomposition process using thermal energy and light wave energy emitted when heating a ceramic composite having thermofluorescence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 device for refining into light oil (C 10 ~ C 18 ).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티렌(Polystylene, PS) 등을 원료로 하는 폐플라스틱은 그 재활용도가 떨어져 대부분 소각이나 매립에 의해 처리되고 있다.In general, waste plastics made of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styrene (PS), etc. are not recyclable and are mostly disposed of by incineration or landfill.

폐플라스틱 소각이나 매립은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자연상태로 분해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인 폐플라스틱 처리 기술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Since waste plastic incineration or landfill causes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akes a long time to decompose in a natural state,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conomical waste plastic treatment technology has been required.

이에 대한 대안으로 폐플라스틱을 액화하여 크래킹함으로써 대체연료로 재활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한다.As an alternative to this, a method of recycling waste plastic as an alternative fuel by liquefying and cracking has been proposed,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폐비닐이나 폐플라스틱 등의 폐합성수지의 원료는 석유이고, 휘발유, 디젤유, 액화가스 역시 석유로부터 추출된다.The raw material of waste synthetic resin such as waste vinyl or waste plastic is petroleum, and gasoline, diesel oil, and liquefied gas are also extracted from petroleum.

폐합성수지의 원료는 분자량이 큰 고분자로 되어 있고 그 조성은 주로 탄소와 수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유업체에서 생산되는 휘발유, 디젤유는 분자량이 비교적 작은 것이며 그 조성 역시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져 있다.The raw material of waste synthetic resin is a high molecular weight polymer, and its composition is mainly composed of carbon and hydrogen. In addition, gasoline and diesel oil produced by oil refineries have a relatively small molecular weight and their composition is also composed of carbon and hydrogen.

크래킹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산소가 없는 조건하에서 고분자 물질을 가열하는 열분해 유화공정을 일부 이용하고 있으나, 열분해 단계에서 다이옥신 발생 등 환경공해의 원인으로 지적을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열에너지와 촉매를 동시에 사용하는 친환경 분해방안이 대두되고 있다.As a cracking method, the thermal decomposition and emulsification process, which heats the polymer material under oxygen-free conditions, is partly used, but it is pointed out as a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dioxin generation in the thermal decomposition step. Eco-friendly decomposition methods are emerging.

종래의 고온 열분해 유화공정은 잘게 부서진 폐합성수지를 호퍼(hopper)로부터 고온의 용융로로 공급하여 겔상으로 용융되게 한 후 겔상의 용융액을 열분해 반응로에서 450 ℃ 이상 고온으로 가열하여 기체와 액체로 분리시킨 다음 유류 성분을 갖는 기체상의 가스로부터 왁스 성분의 중유를 분리하고, 중유가 분리된 가스를 다시 콘덴서에 의해 응축시켜 고점도를 갖는 혼합중질유를 얻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얻어지는 혼합중질유는 열분해 공정에서 생산하고자 하는 주 생성물로써, 저비점부터 고비점을 갖는 여러 중질유 성분이 많이 혼합되고 높은 점성을 갖는 짙은 흑갈색의 혼합유로서 중금속 유해물질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high-temperature pyrolysis emulsification process, crushed waste synthetic resin is supplied from a hopper to a high-temperature melting furnace to be melted into a gel, and then the gel-like melt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of 450 ° C. or higher in a pyrolysis reactor to separate gas and liquid. Next, the heavy oil of the wax component is separated from the gaseous gas having the oil component, and the gas from which the heavy oil is separated is condensed again by a condenser to obtain mixed heavy oil having a high viscosity. The mixed heavy oil obtained here is the main product to be produced in the pyrolysis process. It is a dark brown mixed oil in which a lot of heavy oil components having a low to high boiling point are mixed and has a high viscosity, and contains a lot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heavy metals.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열분해 유화공정은 반응로에 공급된 용융액을 매회 공정마다 간접 가열을 이용하여 450 ℃ 이상 가열하여야 하므로, 가열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져서 많은 양의 폐합성수지를 신속하게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코크(Coke)와 타르(Tar)가 열분해 반응로 내벽에 침착되므로, 다음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반응로 내벽의 잔사를 제거해야 하며, 이에 따라 반응로를 연속적으로 가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들 열분해 혼합중질유는 황, 염소, 중금속류를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연소 후 대기환경을 악화키는 수많은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이들 혼합중질유는 왁스 함량이 너무 높아 상온에서 쉽게 굳거나 높은 점도를 가지므로 운반, 보관에서 항시 가열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hermal decomposition and emulsification process, since the melt supplied to the reactor must be heated to 450 ° C. or more using indirect heating in each process, the heating time is relatively long, so that a large amount of waste synthetic resin cannot be quickly processed. Since coke and tar produced during the superpyrolysis process are deposited on the inner wall of the pyrolysis reactor, the residue on the inner wall of the reactor must be removed for the next operation, which prevents the reactor from operating continuously. there was These pyrolysis mixed heavy oils contain a lot of sulfur, chlorine, and heavy metals, so many problems that deteriorate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fter combustion are emerging. In addition, these mixed heavy oils have too high a wax content, so they harden easily at room temperature or have high viscosity. It has the disadvantage of always maintaining a heated state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폐오일을 이용한 직접가열식 폐합성수지의 유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 'direct heating type waste synthetic resin emulsification device using waste oil'.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폐오일을 이용한 직접가열식 폐합성수지의 유화 장치는 폐합성수지와 폐오일을 포함하는 원료가 공급되며, 고온 및 고압 하에서 열분해가 일어나 가스가 생성되는 반응로; 상기 반응로로부터 토출되는 원료를 가열하고, 가열된 원료를 다시 상기 반응로로 순환시키도록 상기 반응로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가열부를 포함하는 제1 가열부재; 및 상기 반응로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냉각 응축시켜서 재생유를 추출하는 냉각부를 포함한다.A direct heating type waste synthetic resin emulsification device using waste oil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below includes a reaction furnace in which raw materials including waste synthetic resin and waste oil are supplied, and thermal decomposition occurs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o generate gas; A first heating member including a first heating unit connected to the reactor through a pipe to heat the raw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reactor and circulate the heated raw material back to the reactor; and a cooling unit for extracting recycled oil by cooling and condensing the gas generated in the reactor.

상기 반응로는 고온 및 고압 하에서 열분해가 일어난 후 감압되면서 가스가 생성되며, 상기 제1 가열부재에서 상기 배관의 일단부는 상기 반응로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반응로 내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가열부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로 내부의 상기 원료를 상기 제1 가열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관과, 일단부는 상기 제1 가열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반응로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열부에서 가열된 상기 원료를 상기 반응로로 순환시키는 순환관을 포함한다.In the reactor, after pyrolysis occurs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is generated while being reduced in pressure, and one end of the pipe in the first heat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side of the reactor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reacto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reactor.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heating unit and discharging the raw material inside the reactor to the first heating unit,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reactor to the first heating unit and a circulation pipe for circulating the raw material heated in the reactor to the reactor.

상기 순환관의 타단부에는 상기 원료를 상기 반응로로 순환시키도록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배출구는 상기 반응로에서 상기 원료의 열분해가 진행될 때 사용되고, 상기 제2 배출구는 상기 반응로에서 상기 원료의 열분해가 진행된 후 감압 하에서 상기 원료를 순환하여 가스화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1 배출구는 단부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구는 단부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져, 순환되는 원료가 옆으로 퍼지면서 상기 반응로 내벽에 부딪히도록 되어 있다. A first outlet and a second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irculation pipe to circulate the raw material to the reactor, the first outlet is used when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raw material proceeds in the reactor, and the second outlet is used. The outlet is used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and gasifying the raw material under reduced pressure after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raw material in the reactor, the first outlet is formed so that the end portion does not spread outward, and the second outlet has an end portion. It spreads outward, so that the circulated raw material hits the inner wall of the reactor while spreading laterally.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장치에서는 기다란 탄화수소 사슬을 가진 고점도 혼합 재생유(C20~C60)만 생산되므로 양질의 경질 액상연료(C10~C18)를 얻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In the device having the above structure, it is almost impossible to obtain high-quality light liquid fuel (C 10 ~ C 18 ) because only high-viscosity mixed recycled oil (C 20 ~ C 60 ) with a long hydrocarbon chain is produced.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폐합성수지 유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below discloses a 'waste synthetic resin emulsification device'.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폐합성수지 유화장치는 폐합성수지가 투입될 수 있고, 상기 폐합성수지를 교반하며 열 분해할 수 있는 가열로; 상기 가열로와 연결되며 상기 가열로에서 폐합성수지가 열분해될 때 발생하는 유류 가스를 냉각 및 액화시키며 혼합유를 생성하는 냉각유닛; 및 상기 냉각유닛과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혼합유를 비점차를 이용하여 경질유와 중질유로 분리하는 분리유닛을 포함한다.The waste synthetic resin emul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below includes a heating furnace into which the waste synthetic resin can be input and thermally decomposed while agitating the waste synthetic resin; a cooling unit connected to the heating furnace, cooling and liquefying oil gas generated when waste synthetic resin is pyrolyzed in the heating furnace, and generating mixed oil; and a separation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oling unit and separating the mixed oil into light oil and heavy oil using a boiling point difference.

상기 분리유닛은 상기 냉각유닛과 연결되며 설정된 각도로서 상향 경사진 경사 유로부와, 상기 경사 유로부의 전방 시작단 측에 설치되며, 상기 혼합유를 가열하는 보조 히팅부와, 상기 경사 유로부에서 상기 보조 히팅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 히팅부에 의해 기화된 혼합유 가스를 냉각하는 보조 냉각부와, 상기 보조 냉각부의 후방에서 상기 경사 유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보조 냉각부에 의해 액화된 중질유를 분리하는 제1 분기 유로와, 상기 경사 유로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보조 냉각부에 의해 액화된 경질유를 분리하는 제2 분기 유로를 포함한다.The separ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cooling unit and includes an inclined flow path portion inclined upward at a set angle, an auxiliary heating unit installed at a front start end of the inclined flow path portion and heating the mixed oil, and An auxiliary cooling uni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auxiliary heating unit and cooling the mixed oil gas vaporized by the auxiliary heating unit, and a heavy oil liquefied by the auxiliary cooling unit connected to the inclined flow path at the rear of the auxiliary cooling unit. and a second branch passage connected to an end of the inclined passage part and separating light oil liquefied by the auxiliary cooling part.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19346호(2012년 3월 6일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19346 (published on March 6, 2012)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2-0007128호(2012년 10월 17일 공개)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2-0007128 (published on October 17,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품질 고점도 혼합중질유(C20~C60)로부터 양질의 경질유(C10~C18)로 연속적으로 다단계 크래킹 분해하는 새로운 방식의 정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new type of refiner that continuously multi-stage cracking and cracking from low-quality, high-viscosity mixed heavy oil (C 20 ~ C 60 ) to high-quality light oil (C 10 ~ C 18 ).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a mean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혼합중질유 저장탱크와; 상기 혼합중질유 저장탱크로부터 혼합중질유를 공급받아 교반 날개로 교반시키면서 하부에 설치된 히터로 가열시켜 상기 혼합중질유를 유증기로 전환하는 교반유증기와; 상기 교반유증기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교반유증기에서 유입된 유증기를 분해하고 응축하여 경질유를 생성하는 제1 분리기와; 상기 제1 분리기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설치된 가열히터로 상기 제1 분리기로부터 유입된 경질유를 가열하여 상기 경질유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2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중질유 저장탱크의 주변에 설치되며, 혼합중질유 저장탱크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염인자를 제거하기 위한 오염인자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ed heavy oil storage tank; Stirring oil vapor receiving the mixed heavy oil from the mixed heavy oil storage tank and converting the mixed heavy oil into oil vapor by heating it with a heater installed at the bottom while agitating it with a stirring blade; a first separator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agitated oil vapor and generating light oil by decomposing and condensing the oil vapor introduced from the agitated oil vapor; A second separator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eparator and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light oil by heating the light oil introduced from the first separator with a heating heate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and a periphery of the mixed heavy oil storage tank. It is installed in, and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ollutant removal means for removing pollutants generated around the mixed heavy oil storage tank.

또한, 상기 오염인자 제거수단은, 오염공기 포집부(10)와, 수분 포집부(20)와, 상기 오염공기 포집부 및 수분 포집부사이에 설치되는 격벽(3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염공기 포집부(10)는 상자(11)가 수납되며, 상자(11)에는 측면 또는 하부에 수분을 추출하기 위한 미세홀(12)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오염공기 제거부(100a)와; 상기 수분 포집부에 위치되며, 수분 포집부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오염공기 포집부를 통해 공급된 오염공기로부터 수분을 추출하여 격벽을 통과후 수분 포집부 도달하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에어압력 제공호스(300a)와; 상기 에어압력 제공호스의 끝단에 설치되며 에어압력 제공호스를 통해 진공압을 제공하는 에어압력 제공부(400a)와; 상기 오염공기 포집부에 위치되며, 에어압력 제공부로부터 제공된 진공압을 이용하여 상자로 오염공기를 인입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오염공기 흡입 호스(500a)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격벽(31)에는 실린더 장치(1) 및 피스톤(2)을 연결설치하고, 격벽(31)의 일단에 수위감지 센서(3)를 설치하며, 일정한 수위가 측정되면 실린더 장치(1)를 구동하여 격벽을 이동시켜 수분의 흐름을 차단토록 제어하는 제어부(4)를 설치하며; 상기 수분 포집부에는 수분이 에어압력 제공호스를 통해 에어압력 제공부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분 차단수단(24)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pollutant removal unit is composed of a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10, a moisture collecting unit 20, and a partition wall 31 installed between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and the moisture collecting unit, and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The unit 10 includes a box 11, and a polluted air removal unit 100a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fine holes 12 for extracting moisture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box 11; An air pressure providing hose (300a) located in the moisture collecting unit and providing a function to extract moisture from the contaminated air supplied through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by providing vacuum pressure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to reach the moisture collecting unit after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wall. )and; an air pressure providing unit (400a) installed at an end of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and providing vacuum pressure through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It is located in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and includes a polluted air intake hose (500a) that provides a function of introducing polluted air into the box using vacuum pressure provided from the air pressure providing unit; The cylinder device 1 and the piston 2 are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 31, the water level sensor 3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artition wall 31, and the cylinder device 1 is driven when a certain water level is measured. to move the bulkhead to install a control unit 4 that controls the flow of mois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isture collecting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isture blocking means 24 for blocking moisture from being sucked into the air pressure providing unit through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또한, 상기 수분 차단수단(24)은, 수분 수집 영역에 존재하는 수분이 진공압 제공호스 쪽으로 향하는 것을 막도록, 경사진 형태이거나 또는 엠보싱 형태이거나 또는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moisture blocking means 24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in an inclined shape, an embossed shape, or a rounded shape to prevent moisture present in the moisture collecting area from being directed toward the vacuum pressure supply hose.

또한, 상기 흡입압력 임시 차단수단(20a)은, 수분 포집부(20)에 설치되며 수분이 차오르면 떠오르도록 설계되는 부력 생성부(21)에 연결 설치하여 오염공기 포집부를 통해 진공압을 제공하고 동시에 수분이 차올라서 부력 생성부가 떠오르면 위로 상승토록 진공압 제공통로(22a)가 형성되는 에어 통과형 몸체부(22) 및, 에어 통과형 몸체부의 끝단에 설치되며 진공압 제공통로(22a)가 연장 설치되며 부력 생성부의 상승으로 에어 통과형 몸체부가 상승하면 위로 상승하여 진공압의 차단을 유도하는 에어 통과형 피스톤(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suction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20a is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20 and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buoyancy generating part 21 designed to float when the water rises to provide vacuum pressure through the polluted air collecting part, At the same time, when moisture rises and the buoyancy generator floats up, the air passage type body 22 in which the vacuum pressure supply passage 22a is formed so that the buoyancy generation unit floats upward, and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passage type body, and the vacuum pressure supply passage 22a extends It is installed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ir passage type piston 23 that rises upward when the air passage type body part rises due to the rise of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and induces blocking of vacuum pressure.

본 발명에 따르면, 저품위 고점도의 혼합중질유(C20~C60)를 열에너지와 열형광(Thermofluorescence) 특성을 갖는 세라믹 복합체를 가열하여 방출되는 광파동에너지를 동시에 이용한 다단계 크래킹 분해반응을 통하여 양질의 경질유(C10~C18)를 얻을 수 있다. 열에너지와 광파동에너지를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온도 조건에서 양질의 경질유를 얻을 수 있으며,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고품질의 경질유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w-grade, high-viscosity mixed heavy oil (C 20 ~ C 60 ) is heated through a multi-step cracking decomposition reaction using thermal energy and light wave energy emitted by heating a ceramic composite having thermofluorescence characteristics, thereby providing good quality light oil. (C 10 ~C 18 ) can be obtained. Since thermal energy and optical wave energy are used simultaneously, high-quality light oil can be obtain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high-quality light oil can be manufactured in a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 장치의 교반유증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 장치의 교반유증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 장치의 제1 분리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 장치의 제2 분리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제거수단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제거수단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흡입압력 임시 차단수단 동작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염인자 제거수단 제어 블록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efinery for converting light oil from mixed heavy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oil vapor of the refinery unit for converting light oil from mixed heavy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irring oil vapor of the refining device for converting light oil from mixed heavy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separator of a refinery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into light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separator of a refinery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into light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llutant remova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minant remova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suction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contaminant remova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refinery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into light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efinery for converting light oil from mixed heavy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 장치의 교반유증기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irring oil vapor of the refinery unit for converting light oil from mixed heavy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 장치의 교반유증기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irring oil vapor of the refining device for converting light oil from mixed heavy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 장치의 제1 분리기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separator of a refinery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into light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 장치의 제2 분리기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separator of a refinery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into light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제거수단 구성도.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llutant remova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오염인자 제거수단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minant remova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흡입압력 임시 차단수단 동작도.8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suction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오염인자 제거수단 제어 블록도로서,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contaminant remova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혼합중질유를 공급받아 교반 날개(220)로 교반시키면서 하부에 설치된 히터(240)로 가열시켜 상기 혼합중질유를 유증기로 전환하는 교반유증기(200); 상기 교반유증기(200)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교반유증기(200)에서 유입된 유증기를 분해하고 응축하여 경질유를 생성하는 제1 분리기(300); 및 상기 제1 분리기(300)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설치된 가열히터(404)로 상기 제1 분리기로부터 유입된 경질유를 가열하여 상기 경질유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2 분리기(400);를 포함하는 혼합중질유를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mixed heavy oil and heats it with a heater 240 installed at the bottom while stirring with a stirring blade 220 to convert the mixed heavy oil into oil vapor (200); A first separator 300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agitated oil steam 200 and generating light oil by decomposing and condensing the oil vapor introduced from the agitated oil steam 200; And a second separator 400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eparator 300 and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light oil by heating the light oil introduced from the first separator with a heating heater 404 installed at the bottom. It provides a refinery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containing light oil into light o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는 전체적으로 80 내지 180 ℃ 온도 범위에서의 열에너지와 세라믹 방출 광파동에너지의 조합을 이용하여 초기의 혼합중질유(C20~C60)를 유증기화 -> 크래킹 분해반응 -> 응축 과정을 단계별로 실시하여 긴 탄화수소 결합을 끊어 최종적으로, C10~C18 탄소수를 갖는 양질의 경질유를 얻을 수 있다.A refinery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into light 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mbination of thermal energy and ceramic emission light wave energy in the temperature range of 80 to 180 ° C as a whole to generate initial mixed heavy oil (C 20 ~ C 60 ) Vaporization -> cracking decomposition reaction -> condensation is carried out step by step to break long hydrocarbon bonds, and finally, high-quality light oil having C 10 ~ C 18 carbon atoms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finery apparatus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into light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혼합중질유 저장탱크(100)에 저장된 액상 또는 겔 상태의 고점도 혼합중질유는 펌프로 교반유증기(200)로 이송되고, 교반유증기(200)에서 유증기로 전환된다.First, the high-viscosity mixed heavy oil in a liquid or gel state stored in the mixed heavy oil storage tank 100 is transferred to the agitated oil vapor 200 by a pump, and is converted from the agitated oil vapor 200 to oil vapor.

상기 교반유증기(200)는 상기 혼합중질유를 수용하는 교반 탱크; 상기 교반 탱크의 중앙에 설치된 회전축(222)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 날개(220); 상기 교반유증기(200) 하부에 설치된 슬러지 배출구(212);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탱크(210)의 하면은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원추형상일 수 있다.The stirred oil vapor 200 includes a stirred tank accommodating the mixed heavy oil; Agitation blades 220 rotated by a rotating shaft 222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tirring tank; A sludge discharge port 212 installed below the stirred oil steam 2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irred tank 210 may have a conical shape with a height decreasing from the center to the edg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에서 교반유증기(2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gitated steam 200 in a refinery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into light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제장치의 교반유증기(200)는 저장탱크(100)에서 유입된 혼합중질유를 교반탱크(210) 내에서 교반 날개(220)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히터(240)과 세라믹 촉매판(230)에 의해 유증기를 얻게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tirring oil vapor 200 of the refin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mixed heavy oil introduced from the storage tank 100 into the stirring blade 220 in the stirring tank 210. While stirring using a ), oil vapor is obtained by the heater 240 and the ceramic catalyst plate 230 installed at the bottom.

즉, 교반유증기(200)에서는 저장탱크(100)에서 투입된 혼합중질유를 교반 날개(220)로 회전시키면서 히터(240)에서의 열에너지와 세라믹 촉매판(230)에서 방출되는 광파동에너지에 의하여 유증기로 전환시켜 배출되게 한다.That is, in the agitated oil steam 200, the mixed heavy oil introduced from the storage tank 100 is turned into oil vapor by the thermal energy from the heater 240 and the light wave energy emitted from the ceramic catalyst plate 230 while rotating the mixed heavy oil introduced from the storage tank 100 with the agitator blade 220. convert and release.

상기 교반유증기(200) 상면에는 모터(221)가 설치되고, 모터(221)에는 회전축(222)이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교반 날개(220)가 설치될 수 있다.A motor 22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irring oil steam 200, a rotation shaft 222 may be installed on the motor 221, and a stirring blade 22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end thereof.

도 3은 교반유증기(2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the agitated oil steam 200.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유증기(200)는 교반탱크(210)와 중앙에 설치된 회전축(222)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 날개(220) 밑에 설치되는 히터(240), 바닥면에 설치되는 세라믹 촉매판(230), 기화된 유증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교반탱크(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연도(2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stirring oil vapo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er installed under the stirring tank 210 and the stirring blades 220 rotated by the rotation shaft 222 installed in the center. 240, a ceramic catalyst plate 23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 flue 25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tirring tank 210 to discharge vaporized oil vapor.

상기 교반탱크(210)에는 혼합중질유 저장탱크(100)과 연결되는 유입구(211)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교반탱크(210) 내부에 잔존하는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슬러지 배출구(212)가 설치된다.An inlet 211 connected to the mixed heavy oil storage tank 100 is installed in the agitation tank 210, and a sludge outlet 212 is installed at the bottom thereof to discharge the sludge remaining inside the agitation tank 210.

기존의 정제장치는 교반탱크(210)의 하면이 단순한 평판이거나, 교반탱크(210) 하면의 중심부의 높이가 가장자리부에 비하여 낮은 구조를 가져 중심부에 슬러지 배출구(212)가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형상은 하면에 축적되는 슬러지가 오로지 슬러지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어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장치는 교반탱크(210) 하면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원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교반탱크(210)의 바닥에 쌓이는 슬러지에 교반 날개(220)의 회전력이 추가적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가장자리 슬러지 배출구(212)로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Conventional refiners generally have a structure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stirring tank 210 is a simple flat plate or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tirring tank 210 is lower than that of the edge, so that the sludge outlet 212 is located in the center. In this shape,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discharge is not smooth because the sludge accumulated on the lower surface is discharged only by gravity acting on the sludge. The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height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tirring tank 210, and the stirring blades 220 are added to the sludge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stirring tank 210. Since rotational force is additionally applied,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pushed to the edge sludge outlet 212.

또한 교반탱크(210)에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서로 다른 높이에 다수의 온도센서(213)가 설치되고, 교반탱크(210)의 외부에는 작업자가 교반탱크(21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외부 사다리(214)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213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to measu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tirring tank 210, and the outside of the stirring tank 210 allows a worker to enter and exit the stirring tank 210 An external ladder 214 for can be installed.

상기 교반탱크(210) 상면에는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맨홀(215)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내부 사다리(216)가 설치될 수 있다.A manhole 215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irring tank 210 so that workers can enter and exit, and an internal ladder 216 through which workers can enter and exit can be installed inside.

상기 교반탱크(210)의 저면 및 원주면에는 혼합중질유를 가열하는 히터(240)가 교반 날개(220) 바로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세라믹 촉매판(230)은 교반탱크(210)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A heater 240 for heating mixed heavy oil is installed on the bottom and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irring tank 210 right below the stirring blades 220, and the ceramic catalyst plate 230 is installed below the stirring tank 210. can

상기 세라믹 촉매판은, 세라믹 분말 및 불화물을 혼합하고 판재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한 판재를 1300 내지 1450 ℃의 온도에서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세라믹은 ZrO2, MgO 및 Al2O3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불화물은 LiF, MgF2 및 CaF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세라믹 촉매판은 120 내지 180 ℃ 온도에서 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ceramic catalyst plate, mixing ceramic powder and fluoride and molding into a plate material; And sintering the molded plate material at a temperature of 1300 to 1450 ° C., wherein the ceramic is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ZrO 2 , MgO and Al 2 O 3 , and the fluoride is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LiF, MgF 2 and CaF 2 , and the ceramic catalyst plate may emit infrared rays at a temperature of 120 to 180 °C.

상기 세라믹 분말과 불화물 분말은 세라믹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불화물 분말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상기 강한 적외선 방출을 통하여 유증기화를 용이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불화물 분말이 3 중량부 미만 포함될 경우, 적외선 방출이 부족할 수 있으며, 10 중량부 초과 포함될 경우, 의도하는 적외선 파장대에서 벗어나는 파장대의 광이 방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It is preferable to mix and use 3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ceramic powder and fluoride powd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eramic powder in view of facilitating vaporization through the strong infrared emission. When the fluoride powder is included in less than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eramic powder, infrared emission may be insufficient, and when it is included in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light in a wavelength range outside the intended infrared wavelength range may be emitted. .

상기한 단계를 거쳐 제조된 세라믹 촉매판은 상기 교반유증기(200) 내 교반탱크(210) 바닥에 위치하며, 상기 히터(240)에 의해 120 내지 180 ℃의 온도로 가열되어 강한 적외선을 방출한다. 이와 같은 강한 광파동에너지는 열에너지와 조합되어 비교적 낮은 온도(120 내지 180 ℃)에서도 효과적으로 혼합중질유의 유증기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The ceramic catalyst plate manufactured through the above steps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tirring tank 210 in the stirring oil vapor 200, and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120 to 180 ° C by the heater 240 to emit strong infrared rays. Such strong light wave energy is combined with thermal energy to effectively induce vaporization of mixed heavy oil even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120 to 180 ° C.).

중질유를 경질유로 정제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450 ℃ 이상의 가열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기 때문에, 정제 공정을 구동하기 위한 비용이 상승하고, 고온의 공정에서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위험성의 문제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는 세라믹 촉매판(230)에서 방출하는 광파동에너지와 열에너지의 조합이 혼합중질유의 유증기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비교적 낮은 120 내지 180 ℃ 온도 영역에서 공정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conventional method for refining heavy oil into light oil required heating of 450 ° C. or higher, the cost of driving the refining process increased, and there was a problem of risk inevitably accompanying the high-temperature process. On the other hand, in the ref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into light oil, the combination of light wave energy and thermal energy emitted from the ceramic catalyst plate 230 effectively induces vaporization of the mixed heavy oil, and in the relatively low temperature range of 120 to 180 ° C. Since the process can be perform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conomical and safe.

상기 교반탱크(210)로 투입된 혼합중질유는 교반 날개(220)에 의해 교반되면서 히터(240)과 세라믹 촉매판(230)에 의해 유증기로 원활하게 전환되며, 이 유증기는 교반탱크(2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연도(250)를 통해 제1 분리기(300)로 이동된다.The mixed heavy oil injected into the stirring tank 210 is smoothly converted into oil vapor by the heater 240 and the ceramic catalyst plate 230 while being stirred by the stirring blades 220, and the oil vapor is converted into oil vap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irring tank 210. is moved to the first separator 300 through the flue 250 installed in the

상기 교반탱크(210)의 외면에는 적정 높이로 유지시키는 다리(260)가 설치되고, 저면에는 교반탱크(210)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실린더(261)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261)는 교반탱크(210)의 하중을 지지함은 물론 교반탱크(2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줌으로써, 교반탱크(210)를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A leg 260 for maintaining the agitation tank 210 at an appropriate height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gitation tank 210, and a cylinder 261 for absorbing vibration or shock applied from the agitation tank 2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The cylinder 261 not only supports the load of the stirring tank 210 but also absorbs vibration or shock generated from the stirring tank 210, thereby maintaining the stirring tank 210 in a more stable state.

아울러 실린더(261)의 양측에는 실린더(261)와 함께 승강되는 완충기(262)가 설치되며, 이러한 완충기(262)는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완충기(262)는 내부에 스프링(미도시)이 내장되어 교반탱크(210)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cylinder 261, a shock absorber 262 that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cylinder 261 is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these shock absorbers 262 are installed. A spring (not shown) is built into the shock absorber 262 to absorb shock or vibration of the agitation tank 210 .

상기 교반유증기(200)의 상부에는 연도(250)를 통해 배출된 유증기로부터 경질유를 생성하는 제1 분리기(300)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분리기(300)는 교반탱크(210)에서 생성되어 유입된 유증기를 정제, 응축하여 경질유로 분리하게 된다.A first separator 300 for generating light oil from oil vapor discharged through the flue 250 is installed above the agitated steam 200 . The first separator 300 purifies and condenses the oil vapor generated in the stirring tank 210 and is separated into light oil.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의 제1 분리기(3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separator 300 of a refinery for converting light oil into light oil from mixed heavy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리기(300)는 상기 교반유증기(200)로부터 유증기가 하부로 유입되는 제1 분리기 본체(301); 상기 제1 분리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분리기 본체(30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교반유증기에서 유입된 유증기를 분해하고 응축하여 경질유를 생성하는 제1 분리체(310); 상기 제1 분리기 본체(301)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분리체(3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분리체(310)를 거친 유증기를 분해하고 응축하여 경질유를 생성하는 제2 분리체(320); 및 상기 제1 분리기 본체 내부(301)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분리체(320)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분리체(320)를 거친 유증기를 분해하고 응축하여 경질유를 생성하는 제3 분리체(3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separator 300 includes a first separator body 301 into which oil vapor flows from the agitated oil vapor 200 to the lower part; a first separator 310 provided inside the first separator body and disposed under the first separator body 301 to decompose and condense the oil vapor introduced from the agitated oil vapor to produce light oil; A second separator provided inside the first separator body 301 and disposed above the first separator 310 to generate light oil by decomposing and condensing oil vapo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separator 310 ( 320); And a third separator provided inside the first separator main body 301 and disposed above the second separator 320 to generate light oil by decomposing and condensing oil vapo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separator 320 ( 330);

상기 제1 분리체(310), 제2 분리체(320) 및 제3 분리체(330) 각각은, 상기 교반유증기에서 유입된 유증기가 중심부에서 테두리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삿갓 형상의 분리판(312, 322, 332); 상기 분리판(312, 322, 33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교반유증기에서 유입된 유증기를 경질유인 유증기로 분해하는 복수의 제1 세라믹볼(305)이 수용된 수용챔버(316, 326, 336); 상기 수용챔버(316, 326, 336)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질유인 유증기가 응축되어 생성된 경질유를 상기 제2 분리기로 배출하는 배출구(315, 325, 335);를 포함한다.Each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310, the second separation body 320, and the third separation body 330 is a hat-shaped separation plate 312 that allows the oil vapor introduced from the stirring oil steam to move from the center to the edge direction , 322, 332); Accommodating chambers 316, 326, 336 disposed under the separation plates 312, 322, 332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first ceramic balls 305 for decomposing the oil vapor introduced from the stirring oil vapor into oil vapor, which is light oil; Discharge ports 315, 325, and 335 installed below the receiving chambers 316, 326, and 336 to discharge light oil produced by condensation of the light oil vapor to the second separator.

상기 교반유증기(200)에서 기화된 유증기는 제1 분리기(300)의 제1 분리체(310), 제2 분리체(320) 및 제3 분리체(330)에 의해 액상의 경질유로 냉각 및 추출될 수 있다.The oil vapor vaporized in the agitated oil vapor 200 is cooled and extracted into liquid light oil by the first separator 310, the second separator 320, and the third separator 330 of the first separator 300. It can be.

*상기 제1 분리기(300)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제1 분리기 본체(301)로 이루어지고, 제1 분리기 본체(301)의 상면에는 세라믹 촉매가 투입되는 제1 세라믹볼 제1 투입구(313)가 설치되며, 제1 분리기 본체(301)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점검구(302)가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separator 300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first separator body 301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first ceramic ball first inlet 313 into which a ceramic catalyst is inj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body 301 ) is installed, and an inspection port 302 through which the inside of the first separator body 301 can be observed may be installed.

상기 제1 분리체(310), 제2 분리체(320) 및 제3 분리체(330)는, 유증기가 접촉한 후 응축되도록 설치되는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삿갓 형상의 분리판; 및 상기 제1 분리체(310), 제2 분리체(320) 및 제3 분리체(330)의 내부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1 세라믹볼(305);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eparation body 310, the second separation body 320, and the third separation body 330 include a hat-shaped separation plate having an inclin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installed so that oil vapor is condensed after being in contact with it; and a plurality of first ceramic balls 305 present inside the first separation body 310 , the second separation body 320 , and the third separation body 33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분리체(310)는 제1 분리기 본체(301)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고정되는 제1 유입관(311), 상기 제1 유입관(311)의 상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분리판(312), 상기 제1 분리체(310) 내부에 제1 세라믹볼(305)이 투입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세라믹볼 투입구(313), 상기 제1 유입관(311) 및 상기 제1 분리판(312)을 청소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청소구(314) 및 상기 제1 분리판(312)에 의해 분리된 유분을 배출시키는 제1 배출구(315)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eparator 310 is a first inlet pipe 311 fix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body 301, an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inlet pipe 311. A first separation plate 312 installed at an angle, a first ceramic ball inlet 313 installed at an angle so that the first ceramic ball 305 is inserted into the first separator 310, and the first inlet pipe 311 ) and a first cleaning tool 314 installed to clean the first separator plate 312 and a first discharge port 315 for discharging the oil separated by the first separator plate 312. there is.

상기 삿갓 형상의 분리판의 직경은 상기 제1 내지 제3 유입관의 직경보다 긴 것이 유분을 분리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각도는 상기 분리판의 단면이 60 내지 120°를 이루는 것이 상기 분리판에 접촉하는 유증기가 응축되어 원활히 흘러내려갈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hat-shaped separator preferably has a diameter longer than that of the first to third inlet pipes in that it is suitable for separating oil. The predetermined angle is preferably 60 to 120°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eparation plate in that oil vapor contacting the separation plate can be condensed and smoothly flowed down.

상기 제1 분리체(310), 제2 분리체(320) 및 제3 분리체(330)는 생성된 경질유가 각각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 배출구(315), 제2 배출구(325) 및 제3 배출구(335)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구(315), 제2 배출구(325) 및 제3 배출구(335)의 후단에 위치하는 스프링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필터는 상기 배출구를 따라 배출구의 내경에 맞닿는 직경의 스프링이 설치된 필터를 의미한다. 기존의 배출구는 슬러지의 양이 증가하여 배출구를 막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하였으나, 스프링 필터는 유류의 흐름과 후술할 제1 세라믹볼(305)에서 전달되는 미세진동이 스프링의 진동을 유발하여 슬러지에 의해 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The first separation body 310, the second separation body 320, and the third separation body 330 have a first outlet 315, a second outlet 325, and a third outlet 315 installed to discharge generated light oil, respectively. An outlet 335 may be included, and a spring filter positioned at rear ends of the first outlet 315 , the second outlet 325 , and the third outlet 335 may be included. The spring filter refers to a filter in which a spring having a diamet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an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along the outlet is installed. Existing outlets had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sludge increased and the outlet was blocked, but in the spring filter, the flow of oil and micro-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eramic ball 30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use vibration of the spring. It is effective in that it can prevent the clogging of the outlet by sludge.

상기 제2 분리체(320) 및 제3 분리체(330)는 상기 제1 분리체(3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separator 320 and the third separator 33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separator 310 .

상기 제1 세라믹볼은 세라믹 분말, 불화물 분말 및 열형광(thermo fluorescence) 희토류계 형광체 물질(phosphor)을 혼합하고 직경 8 내지 15 mm의 구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한 구를 1300 내지 1450 ℃의 온도에서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세라믹은 ZrO2 및 MgO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불화물은 LiF, MgF2 및 CaF2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열형광 희토류계 형광체 물질은 유로퓸(europium, Eu) 및 디스프로슘(dysprosium, Dy)의 혼합물이고, 상기 제1 세라믹 볼은 80 내지 180 ℃의 온도에서 0.3 내지 0.5 μm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mixing the first ceramic ball with ceramic powder, fluoride powder, and thermofluorescence rare-earth-based phosphor and forming it into a spherical shape with a diameter of 8 to 15 mm; and sintering the molded sphere at a temperature of 1300 to 1450 °C, wherein the ceramic is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ZrO 2 and MgO, and the fluoride is LiF, MgF 2 and CaF 2 , wherein the thermofluorescence rare earth phosphor material is a mixture of europium (Eu) and dysprosium (dysprosium, Dy), and the first ceramic ball is at a temperature of 80 to 180 ° C. It may emit light with a wavelength of 0.3 to 0.5 μm.

상기 세라믹 분말, 불화물 분말 및 열형광 희토류계 형광체 물질은 상기 세라믹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불화물 3 내지 10 중량부, 열형광 희토류계 형광체 물질 1 내지 6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열형광을 여기(excitation) 시키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조되는 제1 세라믹볼의 열형광을 여기시키는데 부족할 수 있으며, 내구성 저하되거나 의도하는 0.3 내지 0.5 μm 파장의 광이 아닌 여타 범위 파장의 광이 방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The ceramic powder, the fluoride powder, and the thermofluorescent rare earth phosphor material are mixed with 3 to 10 parts by weight of fluoride and 1 to 6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luminescent rare earth phosphor material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eramic powder. excitation) is desirable. If the mixing range is out of ran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may be insufficient to excite the thermofluorescence of the first ceramic ball to be manufactured, and durability may be deteriorated or light with a wavelength other than the intended 0.3 to 0.5 μm wavelength may be emitted. .

상기 열형광 희토류계 형광체 물질은 유로퓸 산화물 분말(화학식; Eu2O3) 및 디스프로슘 산화물 분말(화학식; Dy2O3)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로퓸 및 디스프로슘이 함유되어 제조된 최종 세라믹 복합체는 80 내지 180 ℃의 온도 구간에서 0.3 내지 0.5 μm 파장의 광을 방출하도록 유도한다.The thermoluminescence rare earth phosphor material may be used by mixing europium oxide powder (chemical formula; Eu 2 O 3 ) and dysprosium oxide powder (chemical formula; Dy 2 O 3 ), and the final ceramic composite prepared by containing europium and dysprosium is It is induced to emit light with a wavelength of 0.3 to 0.5 μm in a temperature range of 80 to 180 ° C.

상기 제1 세라믹볼은 상기 소결한 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효율적으로 여기시키는 단계;를 추가하여 제조되는 것이 열형광 발생을 증대시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eramic ball is manufactured by adding a step of efficiently exciting the sintered sphere by irradiating a laser with it in order to increase the generation of thermofluorescence.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분리기(300) 내부에는 복수의 제1 세라믹볼(305)이 내장되며, 상기 제1 세라믹볼(305)은 0.3 내지 0.5 μm의 파장의 광파동에너지를 방출하므로서 열에너지와 함께 유증기의 크래킹 정제반응을 일으킬 뿐 아니라 분리, 응축되는 경질유의 순도를 높이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first ceramic balls 305 are embedded inside the first separator 300, and the first ceramic balls 305 emit light wave energy with a wavelength of 0.3 to 0.5 μm, together with thermal energy. It not only causes the cracking and purification reaction of oil vapor, but also increases the purity of light oil that is separated and condensed.

고온의 유증기들이 상기 제1 세라믹볼(305)의 표면과 접촉할 경우 유증기(C20~C60)의 긴 탄화수소사슬들이 열에너지 및 광파동에너지에 의해 크래킹되어 경질유인 유증기 입자로 변환된다. 상기 제1 분리체(310)에는 대부분 C16~C18로 분해된 경질유인 유증기들이 응축된 경질유가 생성되고, 두차례 분해과정을 거친 제2 분리체(320)에는 대부분 C13~C15로 분해된 경질유인 유증기들이 응축된 경질유가 모여지며, 세차례 분해과정을 거친 제3 분리체(330)에는 대부분 C10~C12로 분해된 경질유인 유증기들이 응축된 경질유가 모여진다. 이러한 제1 세라믹볼(305)은 미세 기공구조를 갖기 때문에, 1차 경질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효과도 가진다. 상기 제1 세라믹볼(305)는 제1 분리체, 제2 분리체 및 제3 분리체 각각에 수십 내지 수백개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분리체에 구비되는 제1 세라믹볼의 개수는 분리체의 부피, 유증기의 유량, 유속 등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When the high-temperature oil vapors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irst ceramic ball 305, the long hydrocarbon chains of the oil vapors (C 20 to C 60 ) are cracked by thermal energy and light wave energy, and are converted into oil vapor particles, which are light oil. In the first separator 310, light oil, which is a condensation of vapors, which are light oil, mostly decomposed into C 16 ~ C 18 , is produced, and in the second separator 320, which has undergone two decomposition processes, most of them are converted into C 13 ~ C 15 . Light oil, in which vapors of decomposed light oil are condensed, is collected, and light oil in which vapors, which are mostly decomposed into C 10 to C 12 , are condensed, is collected in the third separator 330 that has undergone three decomposition processes. Since the first ceramic balls 305 have a microporous structure, they also have an effect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primary light oil. The number of first ceramic balls 305 may be tens to hundreds in each of the first separator, the second separator, and the third separ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first ceramic balls provided in each separator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by the volume of the separator, the flow rate of oil vapor, and the flow rate.

상기와 같이 모여진 경질유는 배출구(315, 325, 335)를 통하여 제2 분리기(400)의 유입관(402)으로 이송된다. The light oil collect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ferred to the inlet pipe 402 of the second separator 400 through the outlets 315, 325, and 335.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 플랜트에서 제2 분리기(4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separator 400 in a refinery plant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into light 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분리기(400)는 상기 제1 분리기로부터 경질유가 유입되는 제2 분리기 본체(401); 상기 제2 분리기 본체(401)의 상부를 관통하고 끝단이 상기 제2 분리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입관(402); 상기 제2 분리기 본체(40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분리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경질유를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가열히터(404); 상기 제2 분리기 본체(401)의 내부에 수용되며 유입된 경질유에 포함된 불순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복수의 제2 세라믹볼(410); 및 상기 제2 분리기 본체(4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분 및 불순물이 제거된 경질유를 배출하는 배출구(405);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의 후단에 위치하는 스프링 필터(미도시)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second separator 400 includes a second separator body 401 into which light oil flows from the first separator; an inlet pipe 402 passing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eparator body 401 and having an end disposed inside the second separator body; a heating heater 404 installed under the second separator body 401 to remove moisture by heating light oil introduced into the second separator body; a plurality of second ceramic balls 410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separator body 401 and adsorbing and removing impurities included in the introduced light oil; and a discharge port 405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or body 401 to discharge light oil from which moisture and impurities are removed, and a spring filter (not shown) positioned at a rear end of the discharge port.

상기 제2 분리기(400)는 제1 분리기(300)에서 생성된 경질유에 포함된 수분을 재차 분리시킴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액상 경질유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separator 400 separates again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light oil produced in the first separator 300, so that higher quality liquid light oil can be obtain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분리기(400)는 일정 직경 및 높이를 갖는 원통형의 제2 분리기 본체(401)로 이루어지고, 제2 분리기 본체(401)의 상측에서부터 내부로 유입관(402)이 설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eparator 400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second separator body 401 having a certain diameter and height, and an inlet pipe 402 is install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eparator body 401 to the inside. It can be.

상기 제2 분리기 본체(401)의 상면에는 양측에 각각 제2 세라믹볼 투입구(403)가 설치되고, 제2 분리기 본체(401)의 하부에는 유입관(402)을 통해 유입된 경질유를 가열시키는 가열히터(404)가 설치될 수 있다.Second ceramic ball inlets 403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or body 401, and heating for heating the light oil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402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eparator body 401. A heater 404 may be installed.

상기 제2 분리기 본체(401)의 상부에는 제2 분리기 본체(401)의 내부에 남아 있는 경질유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405)가 설치되고, 제2 분리기 본체(401)의 상부에는 수분의 기화에 의해 수분 함량이 감소된 보다 양질의 경질유를 냉각하는 오일 냉각기(406)가 설치될 수 있다.An outlet 405 capable of discharging light oil remaining inside the second separator body 401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eparator body 401, and moisture vaporizes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eparator body 401. An oil cooler 406 may be installed to cool a higher quality light oil having a reduced water content.

상기 배출구(405)의 후단에는 스프링 필터가 포함되는데, 상기 스프링 필터는 제1 분리기(300) 부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405)를 따라 배출구(405)의 내경에 맞닿는 직경의 스프링이 설치된 필터를 의미한다. 기존의 배출구는 슬러지의 양이 증가하여 배출구를 막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하였으나, 스프링 필터는 유류의 흐름과 후술할 제2 세라믹볼(410)에서 전달되는 미세진동이 스프링의 진동을 유발하여 슬러지에 의해 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A spring filter is included at the rear end of the outlet 405.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separator 300, the spring filter has a spring having a diameter that contacts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405 along the outlet 405. Indicates the installed filter. In the existing outle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sludge increased and the outlet was blocked, but in the spring filter, the flow of oil and the micro-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eramic ball 4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use vibration of the spring. It is effective in that it can prevent the clogging of the outlet by sludge.

상기 제2 분리기 본체(401)에는 하부 및 중간 높이에 다수의 온도센서(407)가 설치되며, 제2 분리기 본체(401)의 하부에는 제2 분리기 본체(401) 내부에 남은 찌꺼기 등을 배출시킬 수 있는 청소구(408)가 설치되고, 제2 분리기 본체(401)의 저면에는 기화에 의해 잔존하는 수분을 배출시키는 드레인(409)이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407 are installed at the lower and middle heights of the second separator body 401, an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eparator body 401, the dregs remaining inside the second separator body 401 are discharged. A cleaning tool 408 may be installed, and a drain 409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or main body 401 to discharge moisture remaining by vaporization.

또한 제2 분리기(400) 내부에는 제2 세라믹볼(410)이 내장되며, 상기 제2 세라믹볼(410)은 경질유의 순도를 높이도록 한다. 이러한 제2 세라믹볼(410)은 내부에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질유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주는 효과도 가진다.In addition, a second ceramic ball 410 is embedded inside the second separator 400, and the second ceramic ball 410 increases the purity of light oil. Since the second ceramic ball 410 has fine pores formed therein, it also has an effect of filtering impurities included in light oil.

아울러 상기 제2 분리기(400)의 일측에는 유분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냉각기(450)가 설치되며, 상기 냉각기(450)의 하부에는 냉각된 오일을 저장하는 경질유 저장탱크(460)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oler 450 f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oil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eparator 400, and a light oil storage tank 460 for storing cooled oil may be installed below the cooler 450. .

상기 제2 세라믹볼은 세라믹 분말, 불화물 분말 및 열형광(fluorescence) 희토류계 형광체 물질(phosphor)을 혼합하고 직경 8 내지 15 mm의 구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한 구를 1300 내지 1450 ℃의 온도에서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세라믹은 ZrO2 및 MgO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불화물은 LiF, MgF2 및 CaF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열형광 희토류계 형광체 물질은 터븀(terbium, Tb) 및 디스프로슘(dysprosium, Dy)의 혼합물이고, 상기 제2 세라믹볼은 8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0.4 내지 0.6 μm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forming the second ceramic ball into a sphe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8 to 15 mm by mixing ceramic powder, fluoride powder, and a fluorescence rare earth phosphor; and sintering the molded sphere at a temperature of 1300 to 1450 °C, wherein the ceramic is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ZrO 2 and MgO, and the fluoride is LiF, MgF 2 and CaF 2 , wherein the thermofluorescence rare earth phosphor material is a mixture of terbium (Tb) and dysprosium (Dy), and the second ceramic ball is at a temperature of 80 to 120 ° C. It may emit light with a wavelength of 0.4 to 0.6 μm.

상기 세라믹 분말, 불화물 분말 및 열형광 희토류계 형광체 물질은 상기 세라믹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불화물 3 내지 10 중량부, 열형광 희토류계 형광체 물질 1 내지 6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열형광을 여기 시키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조되는 제2 세라믹볼의 열형광을 여기시키는데 부족할 수 있으며, 내구성 저하되거나 의도하는 0.4 내지 0.6 μm 파장의 광이 아닌 여타 범위 파장의 광이 방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The ceramic powder, the fluoride powder, and the thermofluorescence rare earth phosphor material are mixed with 3 to 10 parts by weight of fluoride and 1 to 6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luminescent rare earth phosphor material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eramic powder. desirable. If the mixing range is out of range, it may be insufficient to excite the thermofluorescence of the second ceramic ball, and durability may be deteriorated or light with a wavelength other than the intended 0.4 to 0.6 μm wavelength may be emitted. .

상기 열형광 희토류계 형광체 물질은 터븀 산화물 분말(화학식; Tb3O4) 및 디스프로슘 산화물 분말(화학식; Dy2O3)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터븀 및 디스프로슘이 함유되어 제조된 최종 세라믹 복합체는 8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0.4 내지 0.6 μm 파장의 광을 방출하도록 유도한다.The thermofluorescent rare-earth phosphor material may be used by mixing terbium oxide powder (chemical formula: Tb 3 O 4 ) and dysprosium oxide powder (chemical formula: Dy 2 O 3 ), and the final ceramic composite prepared by containing terbium and dysprosium is It is induced to emit light with a wavelength of 0.4 to 0.6 μm at a temperature of 80 to 120 ° C.

상기 제2 세라믹볼은 상기 소결한 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효율적으로 여기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 열형광 발생을 증대시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eramic ball is manufactured by further including the step of efficiently exciting the sintered sphere by irradiating a laser with it in order to increase the generation of thermofluorescenc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세라믹볼(410)은 미세기공 구조를 가지며 8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가시광선 영역 광파동에너지를 방출한다. 따라서 제2 분리기(400)에서 경유하는 경질유는 제2 세라믹볼(410)과 접촉하여 일부 잔류 중질유가 추가적으로 분해되고, 경질유 내에 잔류하는 수분과 불순물이 흡착된다. 그 결과 양질의 액상의 경질유를 얻을 수 있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eramic ball 410 has a microporous structure and emits light wave energy in the visible ray region at a temperature of 80 to 120 °C. Accordingly, the light oil passing through the second separator 4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ceramic ball 410 to additionally decompose some residual heavy oil and adsorb moisture and impurities remaining in the light oi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quality liquid light oi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중질유(C20~C60)로부터 경질유 (C10~C18)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에 의하면, 교반유증기(200)에 공급된 중질혼합유를 가열에너지 및 세라믹 촉매판에서 방출되는 광파동에너지에 의해 유증기로 변환시킬 수 있고, 기화된 유증기를 제1 분리기(300)에서 1차 분리시킬 수 있으며, 제1 분리기(300)의 제1 분리체(310), 제2 분리체(320) 및 제3 분리체(330)에 의해 단계별로 정제된 유증기를 냉각시켜 각 단계에서 액상으로 냉각, 추출하여 상용 가능한 고품위 경질유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finer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C 20 ~ C 60 ) into light oil (C 10 ~ C 18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vy mixed oil supplied to the stirred oil steam 200 is converted into heating energy and It can be converted into oil vapor by the light wave energy emitted from the ceramic catalyst plate, and the vaporized oil vapor can be primarily separated in the first separator 300, and the first separator 310 of the first separator 300 , It is possible to obtain commercially available high-grade light oil by cooling and extracting the oil vapor refined in stages by the second separation body 320 and the third separation body 330 to liquid phase at each stag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중질유 저장탱크의 주변에 설치되며, 혼합중질유 저장탱크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염인자를 제거하기 위한 오염인자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round the mixed heavy oil storage tank and include a pollutant removing means for removing pollutants generated around the mixed heavy oil storage tank.

상기 오염인자 제거수단의 구성요소는 크게 오염공기 제거부(100a)와, 에어압력 제공 호스(300a)와, 에어압력 제공부(400a)와, 오염공기 흡입호스(500a)로 이루어진다.Components of the pollutant removing means largely include a polluted air removal unit 100a, an air pressure providing hose 300a, an air pressure providing unit 400a, and a polluted air intake hose 500a.

상기 오염공기 제거부(100a)는 크게 격벽(31)을 중심으로 2개 영역으로 이루어지는바, 오염공기 포집부(10)과 수분 포집부(20)로 이루어지며, 수분 차단수단(24)과, 흡입압력 임시 차단수단(20a)을 부가 설치하여 이루어진다.The polluted air removal unit 100a largely consists of two areas centered on the partition wall 31, and consists of a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10 and a moisture collecting unit 20, and a moisture blocking means 24, It is made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suction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20a).

상기 오염공기 포집부(10)는 오염공기를 포집하는 상자(11)가 수납되며, 상자(11)에는 측면 또는 하부에 오염공기로부터 수분을 추출하기 위한 미세홀(12)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contaminated air collecting unit 10 contains a box 11 for collecting contaminated air, and a plurality of micro-holes 12 are form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box 11 to extract moisture from the contaminated air. .

상기 수분 포집부(20)는 오염공기 포집부(10) 바로 옆에 형성되는 공간부이며, 오염공기로부터 추출하는 수분(700a)을 모아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The moisture collecting unit 20 is a space formed right next to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10, and serves to temporarily store moisture 700a extracted from the polluted air.

상기 격벽(31)은 오염공기 포집부와 수분 포집부 사이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아울러 수분 포집부에 포집된 수분이 다시 후퇴하여 오염공기 포집부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격벽은 다수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3개의 격벽을 교변하여 교차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그 내부에 필터(31)를 더 설치하여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한다. 격벽의 갯수를 늘리면 필터 용량을 늘릴 수 있으나, 그만큼 흡입압력을 오염공기 포집부로 가하는게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3개의 격벽을 교번하여 교차 설치하여 적당한 흡입압력이 오염공기 포집부에 미치도록 하였다.The barrier rib 31 serves to separate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and the moisture collecting unit, and also serves to prevent the moistur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from returning to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In addition, the barrier ribs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ree barrier ribs are alternately installed and, if necessary, a filter 31 is further installed therein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Although the filter capacity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ition walls, it can be difficult to apply suction pressure to the polluted air collecting part. made me craz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격벽(31) 중 하나에 실린더 장치(1)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 장치(1)에 피스톤(2)을 설치하며, 상기 피스톤에 격벽을 연결 설치하였다. 그리고, 격벽의 일단에 수위감지 센서(3)를 설치하여, 수위감지 센서(3)의 체크 결과 수분이 기준 이상으로 체크되면 제어부(4)에서 실린더 장치(1)를 가동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피스톤(2)을 움직여서 격벽(31)을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격벽(31)이 수분 포집부(20)와 오염공기 포집부(10)를 완전히 분리하여 더이상 흡입압력이 오염공기 포집부로 제공되지 않음으로서 수분 흡입을 중단시키도록 구성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er device 1 is installed on one of the partition walls 31, the piston 2 is installed on the cylinder device 1, and the partition wall is connected to the piston. In addition,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3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artition wall, and when the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3 checks that the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standard, the control unit 4 applies a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cylinder device 1 and the piston (2) is moved to move the bulkhead 31, and accordingly, the bulkhead 31 completely separates the moisture collecting part 20 and the polluted air collecting part 10, so that suction pressure is no longer provided to the polluted air collecting part. It was configured to stop water intake.

상기 수분 차단수단(24)은 수분 수집영역에 설치되며 수분이 에어압력 제공호스를 통해 에어압력 제공수단으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수분 차단수단은 경사지게 설치하거나 또는 엠보싱 형태로 설치하거나 또는 라운드지게 설치하여 수분 수집 영역에 존재하는 수분이 진공압 제공호스 쪽으로 향하는 것을 막도록 한다.The water blocking means 24 is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on area and blocks moisture from being sucked into the air pressure providing means through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The moisture blocking means is installed obliquely, embossed, or rounded to prevent moisture present in the moisture collection area from being directed toward the vacuum pressure supply hose.

상기 흡입압력 임시 차단수단(20a)은 수분 포집부(20)에 설치되는바, 부력생성부(21)와, 부력 제공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기 포집부(25)와, 공기 포집부(25)에 연결 설치하되 진공압 제공통로(22a)가 형성되는 에어 통과형 몸체부(22) 및, 공기 관통형 몸체부의 끝단에 설치되며 진공압 제공통로(22a)가 연장 설치되는 에어 통과형 피스톤(23)으로 이루어지며, 수분이 포집되면 부력 생성부(21)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 관통형 몸체부 및 피스톤이 상승하며, 상기 에어 통과형 피스톤(23)이 상승하면서 에어압력 제공호스(300a)에 접촉되어 진공압 제공통로(22a)를 임시 폐쇄시키며, 이에 따라 수분이 직접 에어압력 제공호스(300a)를 통해 에어압력 제공부(400a)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The suction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20a is installed in the moisture collecting part 20, the buoyancy generating part 21, the air collecting part 25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providing part, and the air collecting part 25 The air passage type body part 22 having a vacuum pressure providing passage 22a is formed and the air passage type piston 23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passage type body and having the vacuum pressure supply passage 22a extended. ), and when moisture is collected,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21 rises, and accordingly, the air through-type body part and the piston rise, and the air through-type piston 23 rises while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300a ) to temporarily close the vacuum pressure supply passage 22a,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block water from directly entering the air pressure supply unit 400a through the air pressure supply hose 300a.

즉, 흡입압력 임시 차단수단(20a)은, 수분 포집부(20)에 설치되며 수분이 차오르면 떠오르도록 설계되는 부력 생성부(21)에 연결 설치하여 오염공기 포집부를 통해 진공압을 제공하고 동시에 수분이 차올라서 부력 생성부가 떠오르면 위로 상승토록 진공압 제공통로(22a)가 형성되는 에어 통과형 몸체부(22) 및, 에어 통과형 몸체부의 끝단에 설치되며 진공압 제공통로(22a)가 연장 설치되며 부력 생성부의 상승으로 에어 통과형 몸체부가 상승하면 위로 상승하여 진공압의 차단을 유도하는 에어 통과형 피스톤(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at is, the suction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20a is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20 and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buoyancy generating part 21 designed to float when the water rises to provide vacuum pressure through the polluted air collecting part and at the same time When moisture rises and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floats, the air passage type body 22 in which the vacuum pressure supply passage 22a is formed so that the buoyancy generation unit floats upward, and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passage type body, and the vacuum pressure supply passage 22a is extended and installed. And when the air passage-type body part rises due to the rise of the buoyancy generator, it rises upward and includes an air passage-type piston 23 that induces blocking of vacuum pressure.

즉, 본 발명은 흡입압력 임시 차단수단(20a)과 실린더 장치(1)를 이용하여 기준이상의 수분이 발생하면 진공압을 차단토록 하였으며, 수분이 서서히 차오르면 흡입압력 임시 차단수단(20a)이 가동되면서 진공압이 차단되도록하고, 상기 에어압력 임시 차단장치(20a)가 고장나서 제대로 작동되지 않거나 또는 오염 공기 제거부(100a)가 갑자기 넘어져서 흡입압력 임시 차단수단(20a)이 미처 작동되기 이전이면 센서를 통해 기준이상의 수분을 감지하여 실린더 장치를 작동시켜 에어압력 제공부(400)를 보호하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uction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20a) and the cylinder device (1) to block the vacuum pressure when moisture above the standard is generated, and when the moisture gradually rises, the suction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20a) is operated If the air pressure temporary blocking device (20a) fails and does not operate properly or the polluted air removal unit (100a) suddenly falls down and the suction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20a) is not operated before the sensor The air pressure providing unit 400 is protected by detecting moisture above the standard through and operating the cylinder device.

다시말해서, 수분이 차오르면 흡입압력 임시 차단수단(20a)에 의해서 1차로 흡입압력 임시 차단을 시도하고, 진공압 차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센서(3)에 의해서 수위가 감지되면서 실린더 장치(1)를 가동하여 격벽(31)을 폐쇄시킴으로서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고, 아울러 진공압 흐름을 정지시켜 에어압력 제공부(400a)로 수분이 빨려 들어가는 것을 막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moisture rises, the suction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20a) first tries to temporarily block the suction pressure, and if the vacuum pressure is not properly blocked, the water level is detected by the sensor (3) and the cylinder device (1) is operated to close the partition wall 31 to block the inflow of moisture, and also stop the flow of vacuum pressure to prevent moisture from being sucked into the air pressure providing unit 400a.

상기 에어압력 제공호스(300a)는 수분 포집부에 위치되며, 수분 포집부에 에어압력을 제공하여 오염공기 포집부를 통해 공급된 오염공기로부터 수분을 추출하여 격벽을 통과후 수분 포집부에 도달하도록 기능을 제공한다.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300a) is located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and provides air pressure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to extract moisture from the contaminated air supplied through the contaminated air collecting unit to pass through the partition wall and reach the water collecting unit. provides

상기 에어압력 제공부(400a)는 에어압력 제공호스의 끝단에 설치되며 에어압력 제공호스를 통해 에어압력을 제공한다.The air pressure providing unit 400a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and provides air pressure through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상기 오염공기 흡입 호스(500a)는 오염공기 포집부에 위치되며, 에어압력 제공부로부터 제공된 에어압력을 이용하여 상자로 오염공기를 인입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polluted air intake hose 500a is located in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and provides a function of introducing polluted air into the box using air pressure provided from the air pressure providing unit.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은 오염공기 제거부(100a)의 상부에 에어압력 제공부(400a)를 가동하여 에어압력 제공호스(300a)를 통해 오염공기 제거부(100a)로 에어압력을 제공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ir pressure to the polluted air removal unit 100a through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300a by operating the air pressure providing unit 400a above the polluted air removal unit 100a.

그러면, 오염공기 제거부(100a)로 전달되는 에어압력은 수분 포집부(20)에 제공되고, 상기 에어압력은 격벽(31)을 통해 수분 포집부(20)로 제공되며, 최종적으로 오염공기 흡입 호스(500)로 진공압이 제공된다.Then, the air pressure transmitted to the polluted air removing unit 100a is provid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20, the air pressure is provid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20 through the partition wall 31, and finally the polluted air is sucked in. Vacuum pressure is provided to the hose 500 .

이후, 상기 오염공기 흡입 호스(500a)를 이용하여 오염공기를 흡입하는바, 오염공기 흡입호스(500a)를 오염공기 지점으로 갖다 대면 진공압에 의해서 자동으로 오염공기를 빨아드려 오염공기 제거부의 오염공기 포집부(10)로 이송시키며, 이에 따라 오염공기 포집부(10)에 존재하는 상자(11)에 수납된다.Thereafter, the contaminated air is sucked in using the contaminated air intake hose 500a. When the contaminated air intake hose 500a is brought to the point of the contaminated air, the contaminated air is automatically sucked in by vacuum pressure and the contaminated air removal unit is removed. It is transported to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10, and thus stored in the box 11 existing in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10.

그리고, 상자(11)의 하부 또는 측면에 미세홀(12)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미세홀(12)을 통해 오염공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빠져나가며, 상기 수분은 격벽(31)을 지나 수분 포집부로 모이게 된다.In addition, fine holes 12 are formed at the bottom or side of the box 11, and the moisture separated from the contaminated air escapes through the fine holes 12, and the moisture passes through the partition wall 31. gather in the collection unit.

이때, 수분 포집부(20)로 이동되는 수분은 진공압에 의해서 튈 수 있는바, 수분 차단수단(24)에 의해서 가로막혀 수분 포집부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어 에어압력 제공호스(300a) 및 에어압력 제공부(400a)로 수분이 이동되는 것을 막는다.At this time, the moisture moving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20 can be splashed by vacuum pressure, but is blocked by the water blocking means 24 and falls to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so that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300a and the air pressure control It prevents moisture from moving to the study (400a).

그리고, 수분 포집부(10)에 수분이 차오르면 에어압력 제공호스(300a)로 수분이 이동할 수 있는바, 흡입압력 임시 차단수단(20a)이 작동하여 에어압력을 차단함으로서 수분이 에어압력 제공호스(300) 및 에어압력 제공부(400a)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서 장치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isture collecting unit 10 is filled with moisture, the moisture can move to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300a, and the suction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20a operates to block the air pressure, so that the moisture is transferred to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300 and the air pressure supply unit 400a to prevent movement to protect the device.

또한, 흡입압력 임시 차단수단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센서에 의해서 수분의 수위를 감지하여 기준 이상이면 실린더 장치를 가동하여 격벽을 하강시켜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서 수분이 더이상 진입하는 것을 차단한다.In addition, even if the suction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does not operate, the water level is detected by the sensor and if it is above the standard, the cylinder device is operated to lower the partition wall and automatically block it, thereby blocking further entry of water.

결국, 본 발명은 에어압력을 오염공기에 제공하여 용이하게 수분을 추출하고, 아울러 에어압력 임시 차단수단을 부가 설치하기 때문에 추출된 수분으로 인하여 에어압력 제공부가 망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After all,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ir pressure to contaminated air to easily extract moisture, and additionally installs an air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event loss of the air pressure providing unit due to the extracted moisture.

100: 저장탱크 200: 교반유증기
210: 교반탱크 211: 유입구
212: 슬러지 배출구 213: 온도센서
214: 외부 사다리 215: 맨홀
216: 내부 사다리 220: 교반 날개
221: 모터 222: 회전축
230: 세라믹 촉매판 240: 히터
250: 연도 260: 다리
261: 실린더 262: 완충기
300: 제1 분리기 301: 제1 분리기 본체
302: 점검구 303: 출구
305: 제1 세라믹볼 310: 제1 분리체
311: 제1 유입관 312: 제1 분리판
313: 제1 세라믹볼 제1 투입구 314: 제1 청소구
315: 제1 배출구 316: 제1 수용챔버
326: 제2 수용챔버 336: 제3 수용챔버
320: 제2 분리체
321: 제2 유입관 322: 제2 분리판
323: 제1 세라믹볼 제2 투입구 325: 제2 배출구
330: 제3 분리체 331: 제3 유입관
332: 제3 분리판 333: 제1 세라믹볼 제3 투입구
335: 제3 배출구 400: 제2 분리기
401: 제2 분리기 본체 402: 유입관
403: 제2 세라믹볼 투입구 404: 가열히터
405: 배출구 406: 오일 냉각기
407: 온도센서 408: 청소구
409: 드레인 410: 제2 세라믹볼
450: 냉각기 460: 경질유 저장탱크
100: storage tank 200: stirring oil vapor
210: stirring tank 211: inlet
212: sludge outlet 213: temperature sensor
214: external ladder 215: manhole
216: internal ladder 220: stirring blades
221: motor 222: rotation shaft
230: ceramic catalyst plate 240: heater
250: year 260: bridge
261: cylinder 262: shock absorber
300: first separator 301: first separator body
302: inspection port 303: exit
305: first ceramic ball 310: first separator
311: first inlet pipe 312: first separator plate
313: first ceramic ball first inlet 314: first cleaning port
315: first outlet 316: first receiving chamber
326: second accommodating chamber 336: third accommodating chamber
320: second separator
321: second inlet pipe 322: second separator plate
323: first ceramic ball second inlet 325: second outlet
330: third separator 331: third inlet pipe
332: third separator 333: first ceramic ball third inlet
335: third outlet 400: second separator
401: second separator body 402: inlet pipe
403: second ceramic ball inlet 404: heating heater
405: outlet 406: oil cooler
407: temperature sensor 408: cleaning tool
409: drain 410: second ceramic ball
450: cooler 460: light oil storage tank

Claims (4)

혼합중질유 저장탱크와;
상기 혼합중질유 저장탱크로부터 혼합중질유를 공급받아 교반 날개로 교반시키면서 하부에 설치된 히터로 가열시켜 상기 혼합중질유를 유증기로 전환하는 교반유증기와;
상기 교반유증기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교반유증기에서 유입된 유증기를 분해하고 응축하여 경질유를 생성하는 제1 분리기와;
상기 제1 분리기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설치된 가열히터로 상기 제1 분리기로부터 유입된 경질유를 가열하여 상기 경질유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2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중질유 저장탱크의 주변에 설치되며, 혼합중질유 저장탱크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염인자를 제거하기 위한 오염인자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
A mixed heavy oil storage tank;
Stirring oil vapor receiving the mixed heavy oil from the mixed heavy oil storage tank and converting the mixed heavy oil into oil vapor by heating it with a heater installed at the bottom while agitating it with a stirring blade;
a first separator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agitated oil vapor and generating light oil by decomposing and condensing the oil vapor introduced from the agitated oil vapor;
A second separator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eparator and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light oil by heating the light oil introduced from the first separator with a heating heater installed at the bottom;
It is installed around the mixed heavy oil storage tank and comprises a pollutant removing means for removing pollutants generated around the mixed heavy oil storage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인자 제거수단은,
오염공기 포집부(10)와, 수분 포집부(20)와, 상기 오염공기 포집부 및 수분 포집부사이에 설치되는 격벽(3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염공기 포집부(10)는 상자(11)가 수납되며, 상자(11)에는 측면 또는 하부에 수분을 추출하기 위한 미세홀(12)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오염공기 제거부(100a)와;
상기 수분 포집부에 위치되며, 수분 포집부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오염공기 포집부를 통해 공급된 오염공기로부터 수분을 추출하여 격벽을 통과후 수분 포집부 도달하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에어압력 제공호스(300a)와;
상기 에어압력 제공호스의 끝단에 설치되며 에어압력 제공호스를 통해 진공압을 제공하는 에어압력 제공부(400a)와;
상기 오염공기 포집부에 위치되며, 에어압력 제공부로부터 제공된 진공압을 이용하여 상자로 오염공기를 인입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오염공기 흡입 호스(500a)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격벽(31)에는 실린더 장치(1) 및 피스톤(2)을 연결설치하고, 격벽(31)의 일단에 수위감지 센서(3)를 설치하며, 일정한 수위가 측정되면 실린더 장치(1)를 구동하여 격벽을 이동시켜 수분의 흐름을 차단토록 제어하는 제어부(4)를 설치하며;
상기 수분 포집부에는 수분이 에어압력 제공호스를 통해 에어압력 제공부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분 차단수단(24)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minant removal means,
It consists of a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10, a moisture collecting unit 20, and a partition wall 31 installed between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and the moisture collecting unit, and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10 has a box 11 is accommodated, and a polluted air removal unit 100a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fine holes 12 for extracting moisture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box 11;
An air pressure providing hose (300a) located in the moisture collecting unit and providing a function to extract moisture from the contaminated air supplied through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by providing vacuum pressure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to reach the moisture collecting unit after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wall. )and;
an air pressure providing unit (400a) installed at an end of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and providing vacuum pressure through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It is located in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lluted air intake hose (500a) that provides a function of introducing polluted air into the box using vacuum pressure provided from the air pressure providing unit;
The cylinder device 1 and the piston 2 are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 31, the water level sensor 3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artition wall 31, and the cylinder device 1 is driven when a certain water level is measured. to move the bulkhead to install a control unit 4 that controls the flow of moisture;
Refiner for converting from mixed heavy oil to light oi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isture collecting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isture blocking means (24) for blocking moisture from being sucked into the air pressure providing unit through the air pressure providing ho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차단수단(24)은,
수분 수집 영역에 존재하는 수분이 진공압 제공호스 쪽으로 향하는 것을 막도록, 경사진 형태이거나 또는 엠보싱 형태이거나 또는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moisture blocking means 24,
A refinery for converting mixed heavy oil into light oi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in an inclined shape, an embossed shape, or a rounded shape to prevent moisture present in the water collection area from being directed toward the vacuum pressure supply ho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압력 임시 차단수단(20a)은,
수분 포집부(20)에 설치되며 수분이 차오르면 떠오르도록 설계되는 부력 생성부(21)에 연결 설치하여 오염공기 포집부를 통해 진공압을 제공하고 동시에 수분이 차올라서 부력 생성부가 떠오르면 위로 상승토록 진공압 제공통로(22a)가 형성되는 에어 통과형 몸체부(22) 및, 에어 통과형 몸체부의 끝단에 설치되며 진공압 제공통로(22a)가 연장 설치되며 부력 생성부의 상승으로 에어 통과형 몸체부가 상승하면 위로 상승하여 진공압의 차단을 유도하는 에어 통과형 피스톤(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중질유로부터 경질유로 변환시키는 정제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uction pressure temporary blocking means 20a,
It is installed in the moisture collecting unit 20 and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21 designed to float when the moisture rises to provide vacuum pressure through the polluted air collecting unit,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moisture rises and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floats, it rises upward. The air passage type body 22 in which the air pressure supply passage 22a is formed and the vacuum pressure supply passage 22a ar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passage type body, and the air passage type body rises due to the rise of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Refinery for converting from mixed heavy oil to light oi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passing-type piston (23) that rises above the lower surface to induce blocking of vacuum pressure.
KR1020220002894A 2022-01-07 2022-01-07 Light oil refining equipments using mixed heavy oil KR202301070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894A KR20230107015A (en) 2022-01-07 2022-01-07 Light oil refining equipments using mixed heavy 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894A KR20230107015A (en) 2022-01-07 2022-01-07 Light oil refining equipments using mixed heavy o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015A true KR20230107015A (en) 2023-07-14

Family

ID=8715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894A KR20230107015A (en) 2022-01-07 2022-01-07 Light oil refining equipments using mixed heavy o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7015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346A (en) 2010-08-24 2012-03-06 구자숭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regenerated oil from waste plastics using waste oil
KR20120007128U (en) 2011-04-07 2012-10-17 박용현 Waste resin liquefac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346A (en) 2010-08-24 2012-03-06 구자숭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regenerated oil from waste plastics using waste oil
KR20120007128U (en) 2011-04-07 2012-10-17 박용현 Waste resin liquefac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03055B (en) Treatment method and treatment apparatus of oily sludge
CN104496136B (en) Indirect heating and thermal desorption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oily solid waste
CN104685033B (en) For will get dirty or it is non-get dirty hydrocarbon material separation and be converted to the mixing heat treatment process of useful products, technique uses, the manufacture of corresponding system and equipment
AU659120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soil
US88085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hydrocarbons from organic and inorganic solid waste
KR100843585B1 (en) The system for manufacturing energy from combustible waste
CN108625821B (en) Oil-based drill cuttings processing method
CN1666005A (en) Centrifugal drill cuttings drying apparatus
WO2013089587A1 (en) Method for producing carbon black from scrap rubber
EA031070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catalytic depolymerisation of materials containing hydrocarbon
US54131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hydrocarbons from soils and gravel
CN109990301B (en) Negative pressure reverse burning equipment for oil pollutants and oil recovery method
KR102124865B1 (en) Removing apparatus of wax and gum using seramic catalyst reaction
AU6280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laiming waste oil
KR202201016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polymers into products
KR102158712B1 (en) Light oil refining equipments using mixed heavy oil
CA2350146C (en) Apparatus for separation of constituents from matrices
KR20230107015A (en) Light oil refining equipments using mixed heavy oil
CA2731268C (en) Oil vapor cleaner
KR102410548B1 (en) A liquid oil waste and sludge moving type treatment system
CN101307154B (en) Combined integration system for pyrolytic cracking
KR102412546B1 (en) Waste resin liquefaction apparatus
CN109022000A (en) A kind of oil-gas field development oil-containing fixed-end forces device
KR20050104324A (en) Tunnel-type apparatus for recovering pyrolysis oil from waste plastics
KR102113805B1 (en) Prolysis low chlorine clean oil product system using wasted plsa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