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389A - Manufacturing method of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including fermented liquid of cotton ball and hair conditining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including fermented liquid of cotton ball and hair conditining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389A
KR20230106389A KR1020220002221A KR20220002221A KR20230106389A KR 20230106389 A KR20230106389 A KR 20230106389A KR 1020220002221 A KR1020220002221 A KR 1020220002221A KR 20220002221 A KR20220002221 A KR 20220002221A KR 20230106389 A KR20230106389 A KR 20230106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extract
pre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2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건
Original Assignee
(주)씨에이치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이치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씨에이치엘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02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6389A/en
Publication of KR2023010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389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Abstract

본 발명은, 목화다래를 발효시켜 목화다래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목화다래 발효액,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물을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왁스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화다래 발효액을 이용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실리콘 오일의 사용 없이도 모발의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추가적인 큐티클층의 손상을 방지하여 건강한 모발을 유지할 수 있는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ermenting cotton kiln to prepare a fermented cotton kiln broth; Preparing an aqueous phase by mixing the fermented cotton darae broth, cationic surfactant, and water; Preparing an oil phase by mixing a fatty acid ester and a wax; And mixing the water phase part and the oil phase part and additives;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ing fermented cotton kiwi extract and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which increases the moisture content of hair without using silicone oil,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apable of maintaining healthy hair by improving flexibility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additional cuticle layer.

Description

목화다래 발효액을 이용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of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including fermented liquid of cotton ball and hair conditining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same}Manufacturing method of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including fermented liquid of cotton ball and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목화다래 발효액을 포함하는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fermented extract of cotton kiwi and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인간의 건강한 모발은 성분적으로는 80~90%의 케라틴 단백질, 10~15%의 수분과 멜라닌 색소, 지질 및 미량원소로 이루어져 있고, 구조적으로는 모수질, 모피질, 모표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모발의 10~15%를 차지하고 있는 모표피는 모발의 최외곽층에 위치하여 비늘모양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모발의 내부를 보호해주고, 모발의 광택 및 습윤성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Human healthy hair is composed of 80 to 90% of keratin protein, 10 to 15% of water, melanin pigment, lipids, and trace elements, and structurally consists of medulla, cortex, and epidermis. Among them, the epidermis, which accounts for 10-15% of the hair, is located in the outermost layer of the hair and forms a scale shape. Due to this structure, it protects the inside of the hair from external stimuli and maintains the gloss and wettability of the hair. plays a role in

모발은 주로 케라틴 단백질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손상되기 쉬운데, 예를 들어, 열, 탈모제에 사용되는 강력한 환원제인 황화나트륨, 파마에 사용되는 강력한 산화제인 티오글리콜산 등에 의해 케라틴의 가교구조가 파괴되어 손상될 수 있다.Since hair is mainly composed of keratin protein, it is easily damaged by various causes. For example, heat, sodium sulfide, a strong reducing agent used for hair loss, and thioglycolic acid, a strong oxidizing agent used for perm, change the cross-linked structure of keratin. It can be destroyed and damaged.

또한, 마찰이나 당김으로 인해 모표피가 손상됨으로써 모피질, 모수질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렇게 손상된 모발은 구조적으로 거칠기 때문에 더 많은 마찰을 유발하고 결국 손상의 정도는 계속 심해지게 된다. 특히, 날씨가 건조한 겨울이나 환절기에는 모발 내 수분 함량이 감소하여 모표피의 마찰에 의한 손상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손상되고 건조한 모발은 정전기를 유도함으로써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ir cuticle is damaged due to friction or pulling, which can cause damage to the cortex and medulla, and since the damaged hair is structurally rough, it causes more friction and eventually the degree of damage continues to increase. In particular, in winter or season when the weather is dry, the moisture content in the hair decreases, which may cause more damage due to friction of the cuticle, and damaged and dry hair may cause discomfort by inducing static electricity.

한 번 손상된 모발은 스스로 본래의 건강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손상되기 전 미리 모발을 관리해주는 것이 필요하나, 우리 주변에는 모발 손상을 유발하는 물리적, 화학적, 생리적 및 환경적 요인이 산재해 있어, 건강하고 윤기 있는 머리카락을 유지하거나, 손상모를 복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Since once damaged hair cannot return to its original healthy state on its own, it is necessary to manage hair in advance before it is damaged in order to maintain healthy hair, but there are physical, chemical,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use hair damage around us. Enemy factors are scattered, and it is not easy to maintain healthy and shiny hair or to restore damaged hair.

이에, 미용실에서는 손상 모발 복구 시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높은 모발 복구 효율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전문 시술자에 의해 받는 시술이므로 피시술자는 편하게 시술 받을 수 있으나, 큰 비용과 긴 시술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바쁘거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은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Accordingly, beauty salons provide damaged hair recovery treatment services, which not only show high hair recovery efficiency, but also can be performed comfortably by professional practitioners, but require high cost and long treatment time, so they are busy. Or people with financial difficulties have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use.

한편, 사용자 스스로 헤어 컨디셔닝 제품을 이용하여 모발을 관리하는 방법은 정기적인 이용이 가능하고,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는 방법이나, 미용실에서 제공받는 모발 케어 서비스에 비해 현저히 효과가 떨어지고, 주기적인 관리를 하지 않으면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managing hair by using hair conditioning products by the user himself can be used regularly, is inexpensive, and is significantly less effective than the method used by many people or the hair care service provided by beauty salons, and requires periodic There is a problem that no visible effect appears if management is not performed.

특히, 종래의 헤어 컨디셔닝 제품의 경우에는 실리콘 오일이 포함되어 있는데, 실리콘계 오일의 경우에는 모발에 즉각적이고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나, 두피를 포함한 피부에 직접 닿게 되는 경우에는 세정 후에도 끈적임이 남아있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유발하고, 예민한 피부를 가진 사람의 경우에는 소양감이나 발진을 유발하며, 피부에 형성된 실리콘 오일막에 의해 모공층이 막히고, 이에 따른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hair conditioning products, silicone oil is included. In the case of silicone oil,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n immediate and excellent conditioning effect to the hair, but when i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including the scalp, it is sticky even after washing. There are problems such as remaining, causing discomfort to the user, causing itching or rashes in the case of people with sensitive skin, and clogging the pore layer by the silicone oil film formed on the skin, resulting in skin trouble.

이에,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도 헤어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hair conditioning effect without using silicone oil.

등록특허 제10-1441025호(2014.09.05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1441025 (registered on September 5, 2014)

본 발명에서는 목화다래 발효액을 이용하여, 실리콘 오일의 사용 없이도 모발의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추가적인 큐티클층의 손상을 방지하고 건강한 모발로의 회복을 도울 수 있는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that can increase hair moisture, improve flexibility, prevent additional damage to the cuticle layer, and help restore healthy hair without using silicone oil, using fermented cotton kiwi extract,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ly.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목화다래를 발효시켜 목화다래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목화다래 발효액,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물을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왁스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화다래 발효액을 이용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prepare a fermentation broth by fermenting cotton kiln; Preparing an aqueous phase by mixing the fermented cotton darae broth, cationic surfactant, and water; Preparing an oil phase by mixing a fatty acid ester and a wax;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ing a fermentation broth of cotton kiwi, including; and mixing the water phase part and the oil phase part and additives.

상기 목화다래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목화다래를 용매에 침지시켜 목화다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목화다래 추출물에 균주를 접종하여 목화다래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reparing the fermentation broth of the cotton kiln is immersing the cotton kiln in a solvent to prepare an extract of the cotton kiln; and preparing a fermented liquid by inoculating the strain into the cotton kiwi extract.

상기 목화다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물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The solvent used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cotton kiwi extract may be water or ethanol.

상기 목화다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목화다래를 압착하는 단계; 압착된 목화다래를 용매에 침지시킨 후, 키고 소정 시간동안 정치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이 완료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만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reparing the cotton kiwi extract, the step of compressing the cotton kiwi; After immersing the pressed cotton ball in a solvent, extracting it by heating it and leaving i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eparating only liquid components by filtering the extracted mixture.

상기 균주는 젖산균일 수 있다.The strain may be lactic acid bacteria.

상기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수상부에 컨디셔닝제가를 추가로 더 혼합되할 수 있다.In the step of preparing the water phase part, a conditioning agent may be further mixed with the water phase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목화다래 발효액을 포함하는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rmentation broth of cotton kiwi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본 발명의 목화다래 발효액을 이용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헤어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한다.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ing the fermented cotton snai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cellent hair conditioning effect without using silicone oil.

또한, 큐티클층의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하고, 건강한 모발로의 회복을 도울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prevent additional damage to the cuticle layer and help restore healthy hai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를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 used to indicate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substance is (weight/weight)% for solid/solid, (weight/volume)% for solid/liquid, and liquid (weight/volume)%, unless otherwise specified. /liquid means (volume/volum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look a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lement various modified forms of the contents described herein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목화다래 발효액을 이용하여, 실리콘 오일의 사용 없이도 모발의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추가적인 큐티클층의 손상을 방지하고 건강한 모발로의 회복을 도울 수 있는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that can increase hair moisture, improve flexibility, prevent additional damage to the cuticle layer, and help restore healthy hair without the use of silicone oil, using fermented cotton kiwi extract, and It relates to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목화다래를 발효시켜 목화다래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목화다래 발효액,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물을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왁스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ducing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ermenting cotton tress to prepare a fermented cotton tress; Preparing an aqueous phase by mixing the fermented cotton darae broth, cationic surfactant, and water; Preparing an oil phase by mixing a fatty acid ester and a wax; and mixing the water phase part and the oil phase part and additives.

먼저 상기 목화다래를 발효시켜 목화다래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목화다래로부터 모발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모발에 보습력을 제공하여 손상된 큐티클의 회복을 돕는 유용 성분을 제조하는 단계이다.First, the step of fermenting the cotton tress to prepare a fermented cotton tress is a step of preparing a useful ingredient from the cotton tress to help restore damaged cuticles by softening the hair and providing moisture to the hair.

목화는 인도 원산의 일년생 초본 식물로 아욱과, 목화속 에 속한다. 7-8월에 꽃이 피고 9-10월에 열매를 맺고 나서 갈색으로 변하고 그 이후 솜이 피어나게 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솜을 채취하여 면 제품의 원료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목화다래 껍질이 갈색으로 변하기 전인 미성숙한 목화다래를 이용한다.Cotton is an annual herb native to India and belongs to the Malvaceae and Cotton genus. It blooms in July-August, bears fruit in September-October, then turns brown, and then cotton blooms. Generally, these cotton are collected and used as raw materials for cotton products. In the present invention, immature cotton kiln before the skin turns brown is used.

목화다래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목화다래를 용매에 침지시켜 목화다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목화다래 추출물에 균주를 접종하여 목화다래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tep of preparing a fermentation broth of cotton kiln is immersing cotton kiln in a solvent to prepare an extract of cotton kiln; and preparing a fermented liquid by inoculating the strain into the extract of the cotton kiwi.

상기 목화다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물과 에탄올 중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목화다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The step of preparing the cotton kiln extract is a step of preparing the cotton kiln extract using at least one solvent of water and ethanol.

구체적으로, 목화다래를 압착하는 단계; 압착된 목화다래를 용매에 침지시키고 소정 시간동안 정치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이 완료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만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tep of compressing cotton kiln; immersing the pressed cotton ball in a solvent and allowing it to stan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extract; and separating only liquid components by filtering the extracted mixture.

상기 목화다래를 압착하는 단계는 용매 추출 단계에서 유용성분의 추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행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목화다래에 압력을 가해 목화다래의 물리적인 구조를 파괴함으로써 목화다래 전체 영역으로의 용매 침투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행되는 단계로, 목화다래를 찧거나 빻는 방식으로 수행되며, 이러한 단계를 거치면 용매 추출물 내 유용 성분의 농도가 높아져 보다 우수한 성능의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The step of compressing the cotton ball is a step performed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of useful components in the solvent extraction step. Specifically, this is a step performed to make it easier for the solvent to permeate into the entire area of the cotton pa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cotton pad to destroy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cotton pad, which is performed by pounding or grinding the cotton pad, this step After passing through, the concentration of useful components in the solvent extract increases, so that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with better performance can be prepared.

이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설탕이 첨가되어 목화다래와 함께 압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설탕이 목화다래의 섬유질 구조 내로 침투하여 유용성분의 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후 발효 단계에서 잔류하는 설탕이 탄소원으로 사용되어 젖산균의 생존률을 높임으로써 발효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제공한다.In this step, preferably, sugar may be added and pressed together with the cotton kiln, in which case, the sugar penetrates into the fibrous structure of the cotton kiln to further improv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useful components. In addition, sugar remaining in the subsequent fermentation step is used as a carbon source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lactic acid bacteria,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fermentation efficiency.

이와 같이 목화다래와 설탕이 함께 압착되는 경우, 목화다래와 설탕은 1 : 0.01~0.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when cotton and sugar are compressed together, it is preferable that cotton and sugar are mixed and compressed in a weight ratio of 1: 0.01 to 0.1.

다음으로, 압착된 목화다래를 용매에 침지시키고 소정 시간동안 정치하여 추출하는 단계는 목화다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용성분들을 용매를 이용해 추출하는 단계이다.Next, the step of immersing the pressed cotton kiln in a solvent and allowing it to stan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extract is a step of extracting various usefu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tton kiln using a solvent.

이 단계에서 용매로 물과 에탄올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water and ethanol may be used as a solvent in this step.

이 단계는, 압착된 목화다래와 용매를 중량비 1 : 5~20, 바람직하게는 1 : 8~15의 중량비로 혼합한 뒤 가열하여 40~100℃의 온도를 5~150분 동안 유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러한 용매 추출 단계는 1회로 수행될 수 있고 또는 2회 이상 수행될 수도 있다.This step is a step in which the pressed cotton ball and solvent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5 to 20, preferably 1: 8 to 15, and then heated to maintain a temperature of 40 to 100 ° C for 5 to 150 minutes. can This solvent extraction step may be performed once or may be performed twice or more.

다음으로, 추출이 완료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만을 분리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 단계는 추출이 완료된 혼합물에서 목화다래의 과피, 과육 및 씨앗을 제거하고 액상 성분만을 분리하여 추출하는 단계이다.Next, a step of separating only liquid components by filtering the extracted mixture is performed. This step is a step of removing the rind, pulp, and seeds of the cotton kiln from the extracted mixture, and separating and extracting only the liquid component.

한편, 상기 용매 추출단계는 용매로 물과 에탄올을 각각 사용하여 추출한 뒤, 두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목화다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용한 성분의 극성에 관계 없이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olvent extraction step may be performed by extracting using water and ethanol as solvents, respectively, and then preparing an extraction mixture by mixing the two extracts.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polarity of useful components contained i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xtracted regardless.

이와 같은 경우에 용매 추출 단계는, 압착된 목화다래와 물을 혼합하고 소정 시간 정치하여 제1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압착된 목화다래와 에탄올을 혼합하고 소정 시간 정치하여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olvent extraction step includes preparing a first extract by mixing the pressed cotton ball and water and leaving it for a predetermined time; Preparing a second extract by mixing the pressed cotton ball and ethanol and leaving it for a predetermined time; It may include; and mixing the first extract and the second extract.

제1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압착된 목화다래와 물을 1 : 5~12 중량부로 혼합하고, 75~100℃의 온도 범위로 5~10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20~50분 동안 가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추출이 완료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만을 분리해내 제1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In the step of preparing the first extract, the pressed cotton ball and water are mixed at 1:5 to 12 parts by weight, heated at a temperature range of 75 to 100 ° C. for 5 to 100 minutes, preferably for 20 to 50 minutes, can be performed Thereafter, the first extract may be obtained by filtering the extracted mixture to separate only the liquid component.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압착된 목화다래와 에탄올을 1 : 8~20 중량부로 혼합하고, 45~75℃의 온도 범위로 20~15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40~100분 동안 가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추출이 완료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만을 분리해내 제2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The step of preparing the second extract is to mix pressed cotton snails and ethanol at a weight ratio of 1:8 to 20, and heat at a temperature range of 45 to 75 ° C. for 20 to 150 minutes, preferably for 40 to 100 minutes. can be performed Thereafter, the extracted mixture may be filtered to separate only liquid components to obtain a second extract.

다음으로,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은 1 : 0.1~0.3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발효 진행 후 발효액의 효능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first extract and the second extract may b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0.1 to 0.3. At this time, when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extract and the second extract is out of the above range, since a difference in efficacy of the fermentation broth occurs after fermentation, it is preferable to mix within the above-described weight range.

물을 용매로 한 제1 추출물은 목화다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용한 수용성 성분들을 다량 포함하고, 에탄올을 용매로 한 제2 추출물은 목화다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용한 유용성 성분들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용매로 물이나 에탄올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추출하지 않고, 이와 같이 물과 에탄올을 각각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목화다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용한 성분의 극성에 관계 없이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irst extract using water as a solvent contains a large amount of useful water-solubl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tton kiln, and the second extract using ethanol as a solvent contains a large amount of useful usefu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tton kiwi. Therefore, instead of using water or ethanol alone as a solvent for extraction, by mixing the extracts extracted using water and ethanol separate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useful components contained in cotton chinensis can be extracted regardless of polarity. .

이와 같이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목화다래 추출물에 균주를 접종하여 목화다래 발효액을 제조할 수 있다.In this way, a fermented cotton kiwi extract can be prepared by inoculating the strain into the cotton kiwi extract extracted using a solvent.

이때 사용되는 균주로는 공지된 균주인 젖산균이 사용될 수 있으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루스속 젖산균(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쿠스속 젖산균(Streptococcus sp.), 페디오코쿠스속 젖산균(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속 젖산균(Leuconostoc sp.) 및 비피도박테리움속 젖산균(Bifidobacterium s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젖산균일 수 있다.Lactobacillus, which is a known strain, may be used as the strain used at this time. Specifically, Lactobacillus sp., Streptococcus sp., Pediococcus lactic acid bacteria (Pediococcus sp.), Leuconostoc sp., and Bifidobacterium lactic acid bacteria (Bifidobacterium sp.).

이 단계는 목화다래 추출물에 균주를 접종한 뒤, 30~45℃, 바람직하게는 35~42℃의 온도 범위에서 3~8일간 발효시켜 수행될 수 있다. This step may be performed by inoculating the strain into the extract of cotton chinensis and fermenting it for 3 to 8 days at a temperature range of 30 to 45 ° C, preferably 35 to 42 ° C.

발효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발효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고온에 의해 균주가 사멸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is out of the above range, fermentation may not be performed effectively or the strain may die due to high temperature, so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fermentation within the above-mentioned temperature range.

또한 발효 기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발효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발효액의 효과가 떨어지거나, 과발효되어 오히려 독성성분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기간 동안 발효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 fermentation period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the fermentation broth may be reduced because fermentation is not sufficiently performed, or toxic components may be generated due to over-fermentation.

발효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탄소원이 첨가될 수 있으며, 탄소원으로는 예를 들어, 덱스트로스, 글루코스, 수크로스, 락토오스 또는 갈락토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A carbon source may be added as needed in the fermentation step, and as the carbon source, for example, dextrose, glucose, sucrose, lactose, or galactose may be used.

발효 단계가 완료된 후에는 균주를 제거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로 균주를 파쇄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균주를 1차적으로 제거한 뒤, 여과하여 추가로 제거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fermentation step is completed, a step of removing the strain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For example, a step of disrupting the strain with ultrasonic waves, firstly removing the strain using a centrifugal separator, and then further removing the strain by filtering may be performed.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된 목화다래 발효액은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수상부에 첨가된다.The fermented cotton darae broth prepared through this method is added to the water phase of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이어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목화다래 발효액과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물을 혼합하는 수상부 제조 단계가 수행된다.Subsequently, a water phase preparation step of mixing the fermented cotton kiwi extract with a cationic surfactant and water is performed to prepare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이 단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목화다래 발효액 1~5 중량부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 5~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This step may be a step of mixing 1 to 5 parts by weight of the fermentation broth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cationic surfactan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목화다래 발효액은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되며, 모발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모발에 보습력을 제공하여 손상된 큐티클의 회복을 돕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ermentation broth of cotton kiwi is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performs functions to help restore damaged cuticles by making hair soft and providing moisture to hair.

목화다래 발효액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효능 발현이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증가된 성분 함량에 비해 얻어지는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사용중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를 만족하는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ermentation broth of cotton kiwi may be included in 1 to 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In addition to being insignificant, it may cause skin irritation during use, so it is preferable to mix in an amount that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weight range.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모발의 대전 방지,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며, 유화 능력이 있어 유상부와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Cationic surfactants exhibit antistatic and conditioning effects on hair, and have an emulsifying ability so that they can be mixed with oily parts.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수상부와 유상부의 유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발림성이 저하되고, 사용 후 모발에 미끈거림이 남아있어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The cationic surfactant may be included in 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if it is included in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function of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because the emulsification of the aqueous phase and the oil phase is not sufficiently achieved, If i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excessively increases, reducing application properties, and leaving a slippery feeling on the hair after use, which may cause discomfort.

이때, 계면활성제에 의한 유화 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유화 안정제가 추가로 더 첨가될 수 있으며, 유화 안정제로 바람직하게는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가 사용될 수 있고, 유화 안정제가 추가로 더 첨가되는 경우,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emulsion stabilizer for stabilizing the emulsification state by a surfactant may be further added, preferably inulin lauryl carbamate may be used as the emulsion stabilizer, and when the emulsion stabilizer is further added, water It may be included in 0.1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또한, 이 단계에서 수상부에 컨디셔닝제가 추가로 더 혼합될 수 있으며, 컨디셔닝제로는 N-라우로일-L-라이신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컨디셔닝제가 추가됨에 따라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step, a conditioning agent may be further mixed in the water phase, and N-lauroyl-L-lysine may be used as the conditioning agent, and as such a conditioning agent is added, the hair conditioning effect may be further improved. there is.

이 경우, 컨디셔닝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4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컨디셔닝 효과 향상의 정도가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컨디셔닝제 추가 함량에 따른 컨디셔닝 효과 향상이 미미하여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In this case, the condition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4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if it is included in less than 4 parts by weight,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conditioning effect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additional amount of the conditioning agent It is not economically desirable because the improvement in the conditioning effect is insignificant.

한편, 상기 유상부 제조 단계는 지방산 에스테르 및 왁스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로, 지방산 에스테르와 왁스를 1 : 0.5~2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혼합시 왁스가 용융된 상태에서 혼합될 수 있도록 40~90℃로 가열하며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tep of preparing the oil phase part is a step of preparing the oil phase part by mixing the fatty acid ester and the wax, and may be a step of mixing the fatty acid ester and the wax at a weight ratio of 1:0.5 to 2. When mixing, it is preferable to heat and mix at 40 to 90° C. so that the wax can be mixed in a molten state.

유상부 제조시 지방산 에스테르와 왁스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수상부와 혼합했을 때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서 혼합이 어려워지거나, 끈적임으로 인한 불쾌감을 유발하거나,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과도하게 딱딱해져 도포성이 떨어지거나,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비를 만족하도록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oil phase part is prepared, if the content ratio of the fatty acid ester to the wax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viscosity becomes excessively high when mixed with the water phase part, making it difficult to mix, causing discomfort due to stickiness, or causing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to become excessively hard, resulting in applicability. It is preferable to mix so as to satisfy the above-described weight ratio, since this may cause problems such as falling or deteriorating the performance of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지방산 에스테르는 지방산의 에스테르화 화합물로, 모발을 유연하게 하는 컨디셔닝 성능을 제공한다. 지방산 에스테르로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헥실 라우레이트, 이소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이소데실 올레에이트, 헥사데실 스테아레이트, 데실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디헥실데실 아디페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세틸 락테이트, 올레일 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올레에이트, 올레일 미리스테이트, 라우릴 아세테이트, 세틸 프로피오네이트 및 올레일 아디페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atty acid esters are esterified compounds of fatty acids, which provide conditioning properties that make hair soft. fatty acid esters such as isopropyl isostearate, hexyl laurate, isohexyl laurate, isohexyl palmitate, isopropyl palmitate, decyl oleate, isodecyl oleate, hexadecyl stearate, decyl stearate, isopropyl isostearate, dihexyldecyl adipate, lauryl lactate, myristyl lactate, cetyl lactate, oleyl stearate, oleyl oleate, oleyl myristate, lauryl acetate, cetyl propionate and At least one or more of oleyl adipates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왁스는 모발을 부드럽게 하면서 세정 후에도 일부가 모발에 잔류하며 모발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모발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이다.The wax is a component added to prevent hair from drying out by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hair while softening the hair and partially remaining on the hair after washing.

왁스로는 미세결정질 왁스,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오조케라이트, 폴리에틸렌 왁스, 세레신 왁스, 비즈 왁스(bees wax), 칸데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쉘락 왁스, 라놀린 왁스, 몬탄 왁스, 오렌지 왁스, 레몬 왁스, 라우렐 왁스 및 올리브 왁스, 밀랍,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왁스는 칸데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및 천연 또는 합성 밀랍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Waxes include microcrystalline wax, paraffin wax, microcrystalline wax, ozokerite, polyethylene wax, ceresin wax, bees wax, candelilla wax, carnauba wax, shellac wax, lanolin wax, montan wax, orange wax, lemon wax, laurel wax and olive wax, beeswax, and mixtures thereof. Particularly preferred wax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t least one of candelilla wax, carnauba wax, and natural or synthetic beeswax.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의 제조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order of preparing the water phase part and the oil phase pa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다음으로, 수상부와 유상부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Next, a step of preparing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by mixing the water phase part, the oil phase part and additives is performed.

이 단계에서 수상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상부 8~20 중량부 및 첨가제 1~10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In this step, 8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oil phase part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additives may be mix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queous phase part.

유상부의 함량이 8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유상부에 의한 모발 건조 방지, 유연화 기능이 떨어지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과도하게 끈적해지거나 단단해져 발림성이 저하되고, 수상부에 의한 보습, 유연화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content of the oil phase part is less than 8 parts by weight, the hair drying prevention and softening function due to the oil phase part is reduced, and if it exceeds 20 parts by weight,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becomes excessively sticky or hard, reducing the application property, moisturizing by the water phase part,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softening performance may occur.

상기 첨가제는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추가적인 물성 개선을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보존제, 향료, pH 조절제, 금속이온봉쇄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The additive is a component added to further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and preservatives, fragrances, pH adjusters, sequestering agents, and the like may be added.

첨가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첨가제에 의한 물성 개선 효과가 매우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첨가제에 의해 피부자극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content of the additive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by the additive is very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skin irritation may be caused by the additive, so it is preferably included within the above-described weight rang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specific action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is is presented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ccording to the examples.

[제조예][Production Example]

목화다래 발효액 제조Manufacture of fermentation broth of cotton kiwi

먼저, 미성숙한 목화다래를 채취하고, 깨끗한 물에 세척한 뒤 자연건조하여 준비하였다. 이후 세척된 목화다래와 설탕을 1 : 0.0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빻아서 목화다래를 압착한 뒤, 용매로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제1 추출물 및 제2 추출물을 제조하였다.First, immature cotton kiln was collected, washed in clean water, and prepared by natural drying. Thereafter, the washed cotton tresses and sugar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1: 0.05, crushed, and pressed, and then a first extract and a second extract were prepared using water and ethanol as solvents.

제1 추출물은 압착된 목화다래와 물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85℃에서 30분 동안 가열한 뒤 고체 성분을 여과하여 수득하였다.The first extract was obtained by mixing pressed cotton kiln and water at a weight ratio of 1:10, heating at 85° C. for 30 minutes, and filtering the solid component.

제2 추출물은 압착된 목화다래와 에탄올을 1 : 15 중량부로 혼합하고, 55℃에서 50분 동안 가열한 뒤 고체 성분을 여과하여 수득하였다.The second extract was obtained by mixing pressed cotton kiln and ethanol at a ratio of 1:15, heating at 55° C. for 50 minutes, and filtering the solid component.

다음으로,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1 : 0.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젖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DSM 20314, KACC 12428)를 접종하여 37℃에서 5일간 발효시킨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초음파로 균주를 파쇄하고, 5분간 10,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균주를 제거한 뒤, 5㎛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목화다래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Next, a mixed extract was prepared by mixing the first extract and the second extract at a weight ratio of 1: 0.2, and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pentosus DSM 20314, KACC 12428, at 37 ° C. for 5 days A fermented fermentation broth was prepared. Thereafter, the strain was disrupted with ultrasonic waves, centrifuged at 10,000 rpm for 5 minutes to remove the strain, and filtered using a 5 μm filter to prepare a fermentation broth of cotton kiwi.

실시예 1의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제조Preparation of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of Example 1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목화다래 발효액 4.8 중량부,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Miconium BTAC-80(미원상사) 6.1 중량부, 유화 안정제인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 0.8 중량부 및 컨디셔닝제인 N-라우로일-L-라이신 6.5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였다.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4.8 parts by weight of fermentation broth of cotton kiwi, 6.1 parts by weight of Miconium BTAC-80 (Miwon Corporation) as a cationic surfactant, 0.8 parts by weight of inulin lauryl carbamate as an emulsion stabilizer, and N-lauroyl-L as a conditioning agent - A water phase was prepared by uniformly mixing 6.5 parts by weight of lysine.

또한, 지방산 에스테르인 미리스틸 락테이트와 왁스인 칸데릴라 왁스를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60℃에서 교반하여 균질하게 혼합된 유상부를 제조하였다.In addition, myristyl lactate, a fatty acid ester, and candelilla wax, a wax,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1 and stirred at 60° C. to prepare a homogeneously mixed oil phase.

다음으로, 수상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상부 14.0 중량부 및 첨가제 1.7 중량부를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실시예 1의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첨가제로는 보존제인 페녹시에탄올 0.5 중량부, 파라벤 0.2 중량부, 향료 1.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Next,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prepared by mixing 14.0 parts by weight of the oil phase part and 1.7 parts by weight of the additiv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queous phase part and uniformly stirring. As additives, 0.5 parts by weight of phenoxyethanol as a preservative, 0.2 parts by weight of parabens, and 1.0 parts by weight of perfume were used.

비교예 1의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제조Preparation of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을 갖도록 제조하되, 수상부 제조시 목화다래 발효액이 아니라, 목화다래로부터 수득된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이 1 : 0.2로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사용하였다.It was prepared to have the same composition as in Example 1, but when preparing the water phase part, a mixed extract in which the first extract and the second extract obtained from the cotton ball were mixed at a ratio of 1: 0.2 was used instead of the fermentation broth of the cotton ball.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염색, 펌 등에 의한 손상모를 가진 25~40세의 긴 생머리 여성 총 30명을 대상으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사용하게 하여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성능을 임상적으로 평가하였다. 피험자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중 랜덤한 2종(실시예와 비교예 각각 1종)을 지급받아, 하나의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일주일간 사용한 뒤 표 2 항목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다음 일주일동안 다른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사용하고 표 2 항목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A total of 30 women with long straight hair aged 25 to 40 with damaged hair due to dyeing, perm, etc. were subjected to the use of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was clinically evaluated. Subjects received two random types of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listed in Table 1 below, and after using on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for one week, the items in Table 2 were evaluated, and the following The evaluation of the items in Table 2 was carried out after using different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for one week.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은, 하루에 한번 샴푸 후 물기를 충분히 제거하고,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10ml를 모발에 도포한 뒤 5분간 방치한 뒤 씻어내는 방식으로 사용하도록 하였다.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was used in such a way that after shampooing once a day, sufficiently removing moisture, applying 10 ml of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to the hair, leaving it for 5 minutes, and then rinsing it off.

사용 후 각 항목에 대한 평가가 나쁜 경우를 1점으로, 좋은 경우를 10점으로 하여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이후, 평가지를 회수하여 각 항목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한 뒤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After use, the evaluation of each item was evaluated with 1 point for bad and 10 points for good. After that, the evaluation paper was collected, the average value for each item was calculated, and the results are listed in Table 2.

(중량부)(parts by weight)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number
award
wealth
water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목화다래 발효액Cotton pad fermented liquid 4.84.8 1.21.2 3.53.5 -- -- 6.06.0 혼합 추출물mixed extract -- -- -- 5.15.1 -- -- 계면활성제Surfactants 6.16.1 5.55.5 6.06.0 6.06.0 5.95.9 5.85.8 유화 안정제emulsion stabilizer 0.80.8 0.80.8 0.80.8 0.80.8 0.80.8 0.80.8 컨디셔닝제conditioning agent 6.56.5 6.56.5 6.56.5 6.56.5 6.56.5 6.56.5 합계Sum 118.2118.2 114.0114.0 116.8116.8 118.4118.4 113.2113.2 119.1119.1 유상부pay-per-view 16.516.5 15.815.8 16.416.4 16.016.0 15.915.9 16.516.5 첨가제additive 2.02.0 1.91.9 2.02.0 2.02.0 1.91.9 2.02.0

(점)(dot)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도포성applicability 9.59.5 9.49.4 9.59.5 9.29.2 9.29.2 9.29.2 세정성detergency 9.19.1 9.19.1 9.29.2 9.09.0 7.37.3 7.77.7 윤기shine 9.59.5 9.19.1 9.39.3 6.46.4 5.55.5 6.26.2 촉감touch 9.69.6 9.49.4 9.59.5 6.86.8 5.25.2 4.54.5 보습성Moisturizing 9.29.2 9.19.1 9.09.0 7.27.2 6.16.1 9.09.0

상기 표 1과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전체 항목에 있어서 피험자들에게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나,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은 일부 항목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사용에 따른 윤기, 촉감, 보습성 개선 효과가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사용 후 깨끗하게 헹궈지지 않고, 끈적함이 남아있다는 평가를 받았다.Referring to Tables 1 and 2, Examples 1 to 3 received excellent evaluations from the subjects in all items, but Comparative Examples 1 to 3 received low evaluations in some items. Comparative Example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it was evaluate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gloss, touch, and moisturiz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was somewhat insufficient, 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it was evaluated that it was not rinsed clean after use and remained sticky. .

따라서, 본 실험 결과로부터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사용을 통해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주기 위해 목화다래 추출물보다 이를 이용한 발효액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수상부에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끈적임이나 사용시 불쾌감 없이 충분한 컨디셔닝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fro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referable to add a fermented liquid using this extract to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to give a conditioning effect to the hair through the use of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When included in parts by weight, it was confirmed that a sufficient conditioning effect can be obtained without stickiness or discomfort during use.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실험예 1에서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들의 모발 인장강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 전 피험자들의 모발을 채취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첫번째 제품을 일주일간 사용한 후의 모발을 채취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한 뒤, 그 평균값 및 변화값을 계산하여 표 3에 기재하였다.In Experimental Example 1, the change in tensile strength of the hair of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was measured. Specifically, the tensile strength was measured by collecting the hair of the subjects before the experiment, the hair after using the first product for a week was measured and the tensile strength was measured, and the average value and change value were calculated and listed in Table 3.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인장강도
(N)
tensile strength
(N)
사용 전before use 0.580.58 0.550.55 0.620.62 0.560.56 0.520.52 0.600.60
사용 후after use 0.920.92 0.900.90 1.011.01 0.710.71 0.590.59 0.950.95 인장강도 변화율(%)Tensile strength change rate (%) 58.658.6 63.663.6 62.962.9 26.826.8 13.513.5 58.358.3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의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 모발의 인장강도가 현저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Referring to the results in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hair was 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3 were used. and descrip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the present invention.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Claims (7)

목화다래를 발효시켜 목화다래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목화다래 발효액,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물을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왁스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화다래 발효액을 이용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
Fermenting cotton kiln to prepare a fermented cotton kiln liquid;
Preparing an aqueous phase by mixing the fermented cotton darae broth, a cationic surfactant, and water;
Preparing an oil phase by mixing a fatty acid ester and a wax;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ing fermented cotton kiwi extract, comprising: mixing the aqueous phase with the oil phase and additi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화다래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목화다래를 용매에 침지시켜 목화다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목화다래 추출물에 균주를 접종하여 목화다래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다래 발효액을 이용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reparing the fermentation broth of cotton kiwi,
immersing cotton kiln in a solvent to prepare an extract of cotton kiln;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ing fermented cotton kiwi extract, comprising the step of preparing a fermented liquid by inoculating a strain into the extract of cotton qui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화다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물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다래 발효액을 이용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method for producing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ing a fermentation broth of cotton chinens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vent used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cotton tress extract is water or ethan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화다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목화다래를 압착하는 단계;
압착된 목화다래를 용매에 침지시킨 후, 키고 소정 시간동안 정치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이 완료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만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다래 발효액을 이용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preparing the cotton kiln extract,
Pressing cotton kiln;
After immersing the pressed cotton kiln in a solvent, extracting it by heating it and leaving i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Filtering the extracted mixture to separate only liquid components; A method for producing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ing fermented cotton kiwi extra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젖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다래 발효액을 이용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rai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ing a fermentation broth, characterized in that lactic acid bacteri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수상부에 컨디셔닝제가를 추가로 더 혼합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다래 발효액을 이용한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water phase,
A method for producing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ing a fermentation broth of cotton kiwi,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itioning agent is further mixed in the aqueous phas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목화다래 발효액을 포함하는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Claims 1 to 6, a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rmentation broth of cotton kiwi prepared by any one of claims 1 to 6.
KR1020220002221A 2022-01-06 2022-01-06 Manufacturing method of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including fermented liquid of cotton ball and hair conditining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KR202301063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21A KR20230106389A (en) 2022-01-06 2022-01-06 Manufacturing method of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including fermented liquid of cotton ball and hair conditining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21A KR20230106389A (en) 2022-01-06 2022-01-06 Manufacturing method of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including fermented liquid of cotton ball and hair conditining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389A true KR20230106389A (en) 2023-07-13

Family

ID=8716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221A KR20230106389A (en) 2022-01-06 2022-01-06 Manufacturing method of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including fermented liquid of cotton ball and hair conditining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638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25B1 (en) 2008-03-05 2014-09-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25B1 (en) 2008-03-05 2014-09-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316B1 (en) Scalp and hair-care composition
JP4099173B2 (en) Cosmetic or dermo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kombucha
KR10104778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softening petals
JP3053368B2 (en) Cosmet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7215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Natur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Moringa oleifera
JP2010241762A (en) Cosmetic
KR101978820B1 (en) Cleansing composition for skin or hair
EP3801778B1 (en) Use of a bixa orellana extract
FR3114744A1 (en) New use of a peptide to improve the comfort of the skin and/or mucous membranes and/or the appearance of skin appendages
CA2392316A1 (e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inter alia rice starch, coconut oil and karite butter
KR2023010638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including fermented liquid of cotton ball and hair conditining composi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JP2001212445A (en) Emulsifying agent
JPH04312513A (en) Cosmetic
JPH04117318A (en) Cutaneous amelioration agent
US7045154B2 (en) Use of fats derived from palm trees to increase dermal hydration
EP1089708B1 (en) Use of at least one lipid extract obtained from the fruit seed of the mirabelle tree
JP5154768B2 (en) Tsubakiceramide extraction method and skin / hair cosmetics
KR101762314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JP3044690B2 (en) Cosmetics
KR102429344B1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dandruff comprising extract of Polygala tenuifolia or Lycium chinense
KR102637966B1 (en) A hair care composition
KR102659309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skin itching by dry skin or atopic dermatitis
JP3744757B2 (en) Cosmetics
KR100848715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massage pack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FR3140547A1 (en) COSMETIC USE OF ASPARAGOPSIS EXTRACT FOR SEBUM REGULATING 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