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59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599A
KR20230105599A KR1020220001209A KR20220001209A KR20230105599A KR 20230105599 A KR20230105599 A KR 20230105599A KR 1020220001209 A KR1020220001209 A KR 1020220001209A KR 20220001209 A KR20220001209 A KR 20220001209A KR 20230105599 A KR20230105599 A KR 20230105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over
wire
inner case
storag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용
오종훈
이형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1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599A/ko
Priority to PCT/KR2022/017413 priority patent/WO2023132456A1/ko
Publication of KR2023010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66Reflectors for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point like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the shape of which is unspec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8Optical design with elliptical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고, 함몰 형성된 수용 공간을 갖는 램프 수용부를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 상기 내상의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빛을 발산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를 지지하며 상기 수용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내상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수용부는, 상기 램프에서 발산하는 빛을 상기 저장실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램프가 발산하는 빛과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는 반사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개시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통해 저장실 내부를 밀폐하여 저장실 내의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여 저장실 내를 저온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저장실 내의 식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경우 저장실 내부는 외부로부터의 채광이 이루어지지 않아 어두운 상태이므로 저장실 내부를 조명하는 별도의 조명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 장치는 사용자가 저장실 내의 식품을 사용하기 위하여 도어를 열 때 켜지게 되어 저장실 내부를 밝게 비추게 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부품을 간소화하기 위해 구조를 개선한 조명 어셈블리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램프에서 발광되는 광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 전달되지 않아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조명 어셈블리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고, 함몰 형성된 수용 공간을 갖는 램프 수용부를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 상기 내상의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빛을 발산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를 지지하며 상기 수용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내상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수용부는,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저장실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광원과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는 반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면은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반사면은 상기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커버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상과 상기 내상의 사이에 발포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 수용부의 상기 외상과 마주보는 외면은 상기 단열재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램프 수용부의 상기 외면과 반대편에 위치한 내면은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수용부는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램프와 연결되는 전선이 상기 내상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전선이 통과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램프 수용부의 상기 개구에 결합되며, 상기 전선이 상기 램프 수용부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전선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전선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 하우징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전선과 연결되는 상기 램프의 일측과 대응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램프에 연결되는 전선을 상기 전선 하우징의 상기 관통홀로 안내하며 상기 전선을 고정시키도록 바닥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전선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수용부의 상기 램프와 마주보는 내면은 상기 커버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램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램프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둘레를 형성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램프가 발산하는 빛을 상기 저장실로 투과시키는 발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장착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반사면은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커버의 상기 발광판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발광판과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광판은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상기 외상의 내측에 마련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및 상기 외상과 상기 내상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상은 함몰 형성되어 램프를 수용할 수 있는 램프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수용부의 상기 램프와 마주보는 내면은 상기 램프에서 발산하는 빛을 상기 저장실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수용부의 외면은 상기 단열재와 접촉될 수 있다.
냉장고는 상기 램프 수용부를 폐쇄하고 상기 램프를 지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 수용부는 상기 커버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내상의 상기 램프 수용부에 접촉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수용부는 상기 저장실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반사면은 상기 램프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램프 수용부는 상기 램프에 연결되는 전선을 상기 내상 외부로 인출하도록 상기 램프 수용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면은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 인접할수록 상기 저장실의 상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조명 어셈블리는 램프가 배치되는 램프 수용부를 내상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냉장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부품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조명 어셈블리가 저장실을 조명할 때 간접 조명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고 저장실 내부를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조명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명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조명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아래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조명 어셈블리의 램프 수용부의 외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조명 어셈블리의 램프 수용부의 내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조명 어셈블리의 전선 하우징이 램프 수용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조명 어셈블리의 전선 하우징을 확대하여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10은 도 3의 조명 어셈블리의 전선 하우징을 확대하여 밑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11은 도 3의 조명 어셈블리의 커버의 내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커버에 램프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3의 조명 어셈블리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조명 어셈블리가 빛을 비추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전방, 후방,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의 방향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명세서 전반에 걸쳐 통일적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2에는 서로 수직한 X축, Y축, Z축 방향이 표시되어 있으며, X축 방향은 냉장고의 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Y축 방향은 냉장고의 상하 방향을 의미하며, Z축 방향은 냉장고의 전후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냉장고(1)는 저장실(21, 22, 23)을 갖는 본체(10)와, 저장실(21, 22, 23)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0, 40)와, 저장실(21, 22, 23)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1, 22, 23)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12)과,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내상(11)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외상(12)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재(13)는 외상(12)과 내상(11) 사이의 공간에 용융 수지를 주입한 후 이를 경화시킴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단열재(13)로는 우레탄 폼 단열재(urethane foam insulation)가 사용되고, 필요에 따라 진공 단열재(vacuum insulation panel)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단열재(13)는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 발포됨에 따라 내상(11)과 외상(12)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내상(11)의 외면(11a)은 단열재(13)와 접촉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1, 22, 23)을 상하로 구획하는 중간벽(17)을 가질 수 있다.
저장실(21, 22, 23)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영하 30 ~ 0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실(21, 22, 23)은 식품을 출납하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마련되고, 저장실(21, 22, 23)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30, 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저장실(21, 22, 23)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27)과,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용기(28)가 마련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각 사이클을 통해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압축기(2)와, 응축기와, 팽창 장치와, 증발기(3, 4)와, 송풍팬(6, 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발기(3)는 제1 저장실(21)의 후방에 배치되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증발기(3)는 증발기 커버(5)에 의해 형성되는 냉각실(3a)에 수용될 수 있다. 증발기 커버(5)에는 흡입구(5a)가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구(5a)를 통해 공기가 제1 저장실(21)에서 냉각실(3a)로 흡입될 수 있다.
냉각실(3a)에는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제1 송풍팬(6)이 마련될 수 있다. 냉각실(3a)에는 냉각실(3a)의 냉기를 제1 저장실(21)의 내부로 토출하는 냉각 토출구(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송풍팬(6)이 작동하면 흡입구(5a)를 통해 공기가 제1 저장실(21)에서 냉각실(3a)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3)를 거쳐 냉각된 후에 냉각 토출구(60)를 통해 제1 저장실(21)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는 조명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조명 어셈블리(100)는 저장실(21, 22, 23)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조명 어셈블리(100)가 제1 저장실(21)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한다. 조명 어셈블리(100)는 제1 저장실(2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조명 어셈블리(100)는 제1 저장실(21)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명 어셈블리(100)는 제1 저장실(21)의 양측면, 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조명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명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조명 어셈블리를 조립하여 아래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조명 어셈블리(100)는 내상(11)의 램프 수용부(200), 램프(300), 커버(400), 전선 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내상(11)은 램프 수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전선 하우징 개구(220)를 포함하고, 전선 하우징 개구(220)에는 전선 하우징(500)이 결합할 수 있다. 램프(300)는 램프 수용부(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커버(400)는 램프 수용부(200)의 하부에 결합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에 전선 하우징(500)을 결합한 이후에,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 용융 수지가 주입되어 단열재(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램프 수용부(200) 및 전선 하우징(500)의 외면에 단열재(13)가 마련될 수 있다.
조명 어셈블리(100)의 구성이 조립되면 도4 및 도5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내상(11)에 전선 하우징(50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램프 수용부(200)의 전선 하우징 개구(220)에 전선 하우징(500)이 결합되어 단열재(13)의 형성을 위한 용융 수지가 램프 수용부(200)의 전선 하우징 개구(220)를 통해 램프 수용부(200) 내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 하우징(500)은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에 의해 전선(미도시)은 내상(11)의 램프 수용부(200) 내부로 삽입되어 램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상(11)의 내면(11b)에 커버(400)가 결합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 내부에는 램프(300)가 수용되고, 커버(400)는 램프(300)를 지지한다.
커버(400)는 램프 수용부(200)의 수용 공간(210)의 일측을 폐쇄하여, 수용 공간(210)이 저장실(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400)는 수용 공간(210)에 배치되는 램프(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조명 어셈블리(100)의 커버(400)만이 저장실(21) 내부에 노출되고 나머지 구성은 커버(400)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저장실(21)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 어셈블리(100)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400)는 커버 프레임(410) 및 발광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10)은 불투명한 재질로 마련되고, 발광판(420)은 광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램프 수용부(200) 내부에 마련된 램프(300)가 빛을 발산하면, 발광판(420)을 통해 빛이 저장실(21) 내측으로 조사될 수 있다.
도 6은 내상의 램프 수용부의 외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내상의 램프 수용부의 내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내상(11)은 플레이트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15)는 평평하게 연장된 판의 형상일 수 있다.
내상(11)은 램프 수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내상(11)에 함몰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12)을 향해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램프(30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210)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플레이트부(15)에서 연장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플레이트부(15)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플레이트부(15)로부터 함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상(11)은 진공 성형(Vacuum Forming)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내상(11)을 형성하는 것은 진공 성형 공정에 의해 램프 수용부(20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진공 성형 공정에 의해 내상(11)의 플레이트부(1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진공 성형 공정으로 내상(11)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내상(11)의 일면에 램프 수용부(20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램프 수용부(200)는 램프 수용부 외면(200a)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수용부 외면(200a)은 내상(11)의 외면(11a)에 마련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 외면(200a)은 내상(11)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 외면(200a)은 단열재(13)와 접촉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둘레부(240) 및 함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둘레부(240)와 함몰부(2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50)는 둘레부(24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둘레부(240)는 램프 수용부(200)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둘레부(240)는 함몰부(250)를 둘러쌀 수 있다. 둘레부(240)는 내상(11)의 플레이트부(15)와 연결될 수 있다. 둘레부(240)는 내상(11)의 플레이트부(15)로부터 내상(11)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함몰부(250)는 둘레부(24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함몰부(250)는 둘레부(240)로부터 내상(11)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함몰부(250)는 둘레부(240)로부터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를 통해 전선(미도시)이 통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는 전선 하우징 개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 하우징 개구(220)는 램프 수용부 외면(200a) 및 램프 수용부 내면(200b)을 관통할 수 있다. 전선 하우징 개구(220)를 통해 전선은 내상(11)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전선 하우징 개구(220)를 통해 램프 수용부(200) 내부에 수용된 램프(300)는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전선 하우징 개구(220)는 전선 하우징(500)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전선 하우징 개구(220)는 전선 하우징(500)보다 작을 수도 있다. 즉, 전선 하우징(500)이 전선 하우징 개구(220)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전선 하우징 개구(220)에 전선 하우징(50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전선 하우징 개구(220)는 램프 수용부(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선 하우징 개구(220)는 램프 수용부(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선 하우징 개구(220)는 램프 수용부의 외면(200a) 및 내면(200b)을 관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램프 수용부(200)는 램프 수용부 내면(200b)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수용부 내면(200b)은 내상(11)의 내면(11b)에 마련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 내면(200b)은 내상(11)의 외측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 내면(200b)은 수용 공간(210)을 형성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수용 공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 공간(210)은 둘레부(240)의 내면 및 함몰부(25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210)에는 램프(30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수용 공간(210)은 커버(4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커버 개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개구(211)는 커버(400)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커버 개구(211)는 커버(400)보다 작을 수도 있다. 즉, 커버(400)가 커버 개구(211)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 개구(211)에 커버(4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개구(211)의 둘레에 커버(400)의 커버 프레임(410)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개구(211)는 램프 수용부(2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결합홈(230a, 230b)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0)는 결합홈(230a, 230b)에 끼워져 내상(11)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홈(230a, 230b)은 램프 수용부 내면(200b)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합홈(230a, 230b)은 내상(11) 자체에 마련되므로, 커버(400)는 내상(11)과 직접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결합홈(230a, 230b)은 걸림턱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230a, 230b)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200)는 반사면(203)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수용부 내면(200b)은 반사면(203)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면(203)은 램프(300)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하여 저장실 내부로 향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8은 전선 하우징이 램프 수용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전선 하우징을 확대하여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10은 전선 하우징을 확대하여 밑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전선 하우징(500)이 램프 수용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선 하우징(500)의 외면은 램프 수용부의 외면(200a)과 연결되고, 전선 하우징(500)의 내면은 램프 수용부의 내면(200b)과 연결될 수 있다. 전선 하우징(500)의 외면은 단열재(13)와 접촉할 수 있고, 전선 하우징(500)의 내면은 램프 수용부(200)의 수용 공간(210)을 형성할 수 있다.
전선 하우징(500)은 전선이 관통되는 전선 관통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10을 참조하면, 전선 관통부(510)는 전선 관통홀(511)을 포함할 수 있다. 내상(11)의 외측에 마련되는 전선은 전선 관통홀(511)을 통과하여 내상(1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전선 관통홀(511)에 의해 삽입된 전선은 수용 공간(210)에 마련되는 램프(300)와 연결되어 램프(3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선 관통홀(511)은 전선 하우징(5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전선 하우징(500)은 전선 고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 고정부(520)는 전선 하우징(500)의 내면에 마련되어, 전선 관통홀(511)에 의해 삽입된 전선을 전선 하우징(500)의 내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선 고정부(520)는 램프 수용부(200)에 램프(300)가 설치되어 램프(300)에 전선이 연결되기 전, 전선을 전선 하우징(500) 내면에 걸어두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선 하우징(500)은 전선 하우징 결합돌기(530a, 5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 하우징 결합돌기(530a, 530b)는 전선 하우징(500)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전선 하우징 결합돌기(530a, 530b)는 전선 하우징(500)이 전선 하우징 개구(220)를 통해 램프 수용부(2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선 하우징 결합돌기(530a, 530b)는 전선 하우징 개구(220)를 관통하여 램프 수용부 내면(200b)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선 하우징 결합돌기(530a, 530b)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커버(400)의 내면(40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커버(400)에 램프(300)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커버(400)는 커버 내면(401)과 커버 외면(402)을 포함하고, 커버(400)가 램프 수용부(200)에 결합되면 커버 외면(402)은 저장실의 내면과 연결되고, 커버 내면(401)은 램프 수용부(200)의 수용 공간(21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커버 외면(402)은 저장실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커버 내면(401)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400)는 커버 프레임(410)과 발광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판(420)은 커버 프레임(410)에 결합될 수 있다. 단 발광판(420)은 커버 프레임(410)과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 프레임(410)는 램프(300)의 광원(310)에서 발산된 빛이 저장실 전방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여는 경우에 저장실 내부의 조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10)에는 램프(300)가 장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10)은 램프(30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10)은 커버(400)의 외측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10)은 발광판(420)을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10)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판(420)은 커버 프레임(4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판(420)은 램프(300)에서 발산되는 빛을 저장실 내측으로 조사시킬 수 있다.
발광판(42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판(420)은 반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램프 수용부(200)의 수용 공간(210) 내에 배치되는 전선이 형성하는 그림자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실 내측으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발광판(420)은 빛을 확산시킬 수 있는 미세한 표면처리가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면발광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코팅 또는 도장 처리가 실시될 수도 있다.
커버(400)는 램프 장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300)는 램프 장착부(430)에 결합되어 커버(400)에 장착될 수 있다. 램프(300)를 커버(400)에 장착시킴으로써 조명 어셈블리(100)의 조립 및 수리에 용이할 수 있다.
램프 장착부(430)는 커버 내면(401)에 마련될 수 있다. 램프 장착부(430)는 커버(400)의 커버 프레임(410)에 마련되어, 램프(300)는 커버(400)의 커버 프레임(410)에 설치될 수 있다. 램프 장착부(430)는 장착 돌기(431), 전방 지지 돌기(435), 측방 지지 돌기(4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커버(400)는 결합 돌기(450a, 450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0)는 결합 돌기(450a, 450b)에 의해 내상(11)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돌기(450a, 450b)는 커버(400)의 커버 프레임(410)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돌기(450a, 450b)는 커버 프레임(410)의 내면에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돌기(450a, 450b)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후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0)는 빛샘 방지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빛샘 방지부(411)는 커버 내면(401)에 마련될 수 있다. 빛샘 방지부(411)는 커버(400)의 커버 프레임(410)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다. 빛샘 방지부(411)는 커버 프레임(410)의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0)가 내상(11)과 결합되면, 빛샘 방지부(411)가 커버(400)와 내상(11) 간의 간극을 메움으로써 빛이 간극 사이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램프는 커버의 램프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램프(300)는 기판(320), 광원(310), 전선 커넥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310)은 광을 발산하며, 엘이디 칩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310)은 기판(320)에 실장되어, 기판(320)의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광원(31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광원(310)은 반사면(203)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전선 커넥터(330)는 램프(3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전선 커넥터(330)는 기판(320)의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전선 커넥터(330)는 전선을 램프(300)와 연결시켜 램프(300)가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램프(300)는 광원(310)의 발광면이 커버(400)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310)에서 발광되는 빛이 커버(400)로 직접 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400)의 광원(310)과 대응하는 영역에 빛이 맺혀 국부적으로 밝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원(310)은 램프 수용부(200)의 반사면(203)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램프(300)는 장착 돌기(431)에 결합될 수 있다. 램프(300)의 기판(320)은 장착 돌기(431)에 결합될 수 있다. 장착 돌기(431)는 커버 내면(401)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장착 돌기(431)는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돌기(431)는 후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돌기(43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 돌기(431)의 후방에는 장착 리브(432)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 리브(432)는 장착 돌기(431)와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장착 리브(432)는 장착 돌기(431)의 강성을 보강시킬 수 있다.
램프(300)는 지지 돌기(435, 43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돌기는 전방 지지 돌기(435) 및 측방 지지 돌기(438)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지지 돌기(435)는 장착 돌기(43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램프(300)는 전방 지지 돌기(435)와 장착 돌기(43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램프(300)의 광원(310)이 마련되는 기판(320)의 일면은 장착 돌기(431)와 마주보고, 일면과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면은 전방 지지 돌기(435)와 마주볼 수 있다. 전방 지지 돌기(435)는 장착 돌기(431)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전방 지지 돌기(435)는 커버(400)의 내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전방 지지 돌기(435)는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지지 돌기(435)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전방 지지 돌기(435)의 전방에는 전방 지지 리브(436)가 마련될 수 있다. 전방 지지 리브(436)는 전방 지지 돌기(435)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전방 지지 리브(436)는 커버(400)의 장변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지지 리브(436)는 전방 지지 돌기(435)의 강성을 보강시킬 수 있다.
장착 돌기(431) 및 전방 지지 돌기(435)는 커버(400)에 결합된 램프(3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 돌기(431) 및 전방 지지 돌기(435)가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장착 돌기(431)에 결합되고 전방 지지 돌기(435)에 의해 지지되는 램프(300)가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커버(400)는 전선 안내부(439)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 안내부(439)는 램프(300)의 전선 커넥터(330)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을 전선 하우징(500)으로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선 안내부(439)는 전선을 커버(400)의 내면(401)에 고정시켜, 커버(400)에 노출되는 전선의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전선 안내부(439)는 전선 커넥터(330)가 마련되는 기판(320)의 일면의 반대면에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선 안내부(439)는 커버(4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선 안내부(439)는 후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 안내부(439)는 커버(400)의 커버 프레임(410)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3는 조명 어셈블리의 횡단면도이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는 별도의 램프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고도, 내상 자체에 함몰 형성된 램프 수용부를 형성하여, 램프 케이스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는 조명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즉 내상에 램프 수용부의 형상을 일체로 구현하여, 내상 자체에 램프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램프가 발산한 빛이 저장실로 반사될 수 있도록 반사면이 마련될 수 있다.
램프 수용부를 내상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부품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반사면을 램프 수용부에 일체로 포함시킴으로써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부품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종래 램프 케이스와 내상의 개구 사이의 틈으로 단열재 형성을 위한 용융 수지가 누설될 수 있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램프 케이스를 결합시키기 위한 내상의 개구의 면적에 비하여, 본 개시는 전선 하우징을 결합시키기 위한 내상의 전선 하우징 개구의 면적이 작으므로, 용융 수지가 누설될 수 있는 확률이 줄어든다.
램프 수용부(200)는 저장실(21)의 상면에 마련되고, 반사면(203)은 램프(30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전선 하우징 개구(220)는 램프 수용부(20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400)의 결합돌기(450a, 450b)는 램프 수용부(200)의 결합홈(230a, 230b)에 대응되어 결합된다. 램프(300)는 커버(400)에 의해 지지되어 램프 수용부(200)의 수용 공간(210) 내에 설치된다. 램프(300)에 연결되는 전선(미도시)은 전선 하우징(500)의 전선 관통홀(511)을 통해 내상(11)의 외부로 인출된다. 램프(300)가 발산하는 빛은 램프 수용부(200)의 후방을 향해 조사된다.
반사면(203)은 광원(310)과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반사면(203)은 광원(31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커버(400)의 발광판(420) 을 향하도록 반사할 수 있다.
반사면(203)은 경사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면(203)은 광원(3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커버(400)를 향해 반사될 수 있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반사면(203)은 광원(310)이 배치되는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램프 수용부(200)의 커버 개구(211)를 향하여 가까워지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반사면(203)은 램프 수용부(200)의 내면에서 저장실의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사면(203)은 광원(310)에서 멀어질수록 램프 수용부(200)에 결합되는 커버(40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반사면(203)은 저장실(21)의 후방에 인접할수록 저장실(21)의 상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전선 하우징(500)의 전선 관통부(510)는 램프(300)의 전선 커넥터(330)가 마련되는 일측과 대응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램프(300)의 전선 커넥터(330)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은 전선 안내부(439)를 거쳐 전선 관통부(510)의 전선 관통홀(511)을 통해 내상(11)의 외부로 인출되는데, 이 때 램프 수용부(200) 내부에서의 전선 노출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4는 조명 어셈블리가 빛을 비추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램프(300)의 광원(310)이 발산하는 빛의 일부는 반사면(203)으로 조사될 수 있고 반사면(203)은 빛을 커버(400)의 발광판(420)으로 반사할 수 있다. 반사면(203)은 광원(310) 및 커버(400)에 대하여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광원(3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커버(400)의 발광판(420)를 향하여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다. 커버(400)의 발광판(420)를 통과하는 빛은 반사면(203)에서 반사된 상태의 빛이 되어, 조명 어셈블리(100)는 면광의 형태로 발광될 수 있다.
광원(310)이 발산하는 빛의 일부는 커버(400)로 직접 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버(400)에 불투명한 커버 프레임(410)을 마련함으로써, 눈부심 및 빛 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광원(310)이 발산하는 빛의 일부는 램프 수용부(200)와 커버(400) 사이의 틈새로 새어 나올 수도 있다. 따라서 커버(400)에 빛샘 방지부(411)를 마련함으로써, 빛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냉장고
11 내상
12 외상
13 단열재
15 플레이트부
21, 22, 23 저장실
100 조명 어셈블리
200 램프 수용부
203 반사면
210 수용 공간
220 전선 하우징 개구
300 램프
310 광원
400 커버
410 커버 프레임
420 발광판
430 램프 장착부
500 전선 하우징
510 전선 관통부

Claims (20)

  1. 저장실을 형성하고, 함몰 형성된 수용 공간을 갖는 램프 수용부를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
    상기 내상의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빛을 발산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램프;및
    상기 램프를 지지하며 상기 수용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내상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수용부는,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저장실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광원과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는 반사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경사지게 마련되는 냉장고.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상기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커버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냉장고.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과 상기 내상의 사이에 발포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 수용부의 상기 외상과 마주보는 외면은 상기 단열재와 접촉되는 냉장고.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수용부의 상기 외면과 반대편에 위치한 내면은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수용부는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램프와 연결되는 전선이 상기 내상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전선이 통과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수용부의 상기 개구에 결합되며, 상기 전선이 상기 램프 수용부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전선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전선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하우징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전선과 연결되는 상기 램프의 일측과 대응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냉장고.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램프에 연결되는 전선을 상기 전선 하우징의 상기 관통홀로 안내하며 상기 전선을 고정시키도록 바닥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전선 안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수용부의 상기 램프와 마주보는 내면은 상기 커버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램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램프 장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둘레를 형성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램프가 발산하는 빛을 상기 저장실로 투과시키는 발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장착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마련되는 냉장고.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커버의 상기 발광판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발광판과 경사지게 마련되는 냉장고.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판은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냉장고.
  15.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상기 외상의 내측에 마련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및
    상기 외상과 상기 내상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상은 함몰 형성되어 램프를 수용할 수 있는 램프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수용부의 상기 램프와 마주보는 내면은 상기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저장실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수용부의 외면은 상기 단열재와 접촉되는 냉장고.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수용부를 폐쇄하고 상기 램프를 지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 수용부는 상기 커버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내상의 상기 램프 수용부에 접촉하여 결합되는 냉장고.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수용부는 상기 저장실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반사면은 상기 램프의 후방에 마련되는 냉장고.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수용부는 상기 램프에 연결되는 전선을 상기 내상 외부로 인출하도록 상기 램프 수용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 인접할수록 상기 저장실의 상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냉장고.
KR1020220001209A 2022-01-04 2022-01-04 냉장고 KR20230105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09A KR20230105599A (ko) 2022-01-04 2022-01-04 냉장고
PCT/KR2022/017413 WO2023132456A1 (ko) 2022-01-04 2022-11-0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09A KR20230105599A (ko) 2022-01-04 2022-01-04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599A true KR20230105599A (ko) 2023-07-11

Family

ID=8707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209A KR20230105599A (ko) 2022-01-04 2022-01-04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5599A (ko)
WO (1) WO202313245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8452A (ja) * 1998-09-18 2000-03-31 Toshiba Corp 冷蔵庫
KR100689331B1 (ko) * 1999-10-12 2007-03-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램프 장치
KR101520225B1 (ko) * 2014-06-18 2015-05-13 (주)균도 엘이디 조명등의 전선 접속장치
KR102334259B1 (ko) * 2017-07-14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7466379B2 (ja) * 2020-05-29 2024-04-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456A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3746B2 (en) Light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8070079A (ja) 冷蔵庫
JP2008075887A (ja) 冷蔵庫
US11454388B2 (en) Refrigerator
JP2010048431A (ja) 冷蔵庫
KR20230105599A (ko) 냉장고
JP2011117727A (ja) 冷蔵庫
JP4702006B2 (ja) 冷蔵庫
JP7466379B2 (ja) 冷蔵庫
KR20080001250A (ko) 냉장고의 조명장치
KR20210072532A (ko) 냉장고
KR101553947B1 (ko) 냉장고
JP4867541B2 (ja) 冷蔵庫
JP2008106976A (ja) 冷蔵庫
KR200247443Y1 (ko) 냉장고의 램프 설치구조
KR19990026730A (ko) 냉장고
KR20210048908A (ko) 조명유닛을 가지는 냉장고
JP7145142B2 (ja) 貯蔵庫
US20240085098A1 (en) Refrigerator
US20230243571A1 (en) Refrigerator
KR20150118431A (ko) 냉장고
JP2011191027A (ja) 冷蔵庫
JP2022077902A (ja) 冷蔵庫
KR200347234Y1 (ko) 냉장고
JP2022165862A (ja) 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