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878A - 밀리미터파 포지셔닝 시스템들에서 낮은 오버헤드 주파수 평균화 빔 패턴 피드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밀리미터파 포지셔닝 시스템들에서 낮은 오버헤드 주파수 평균화 빔 패턴 피드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878A
KR20230104878A KR1020237014842A KR20237014842A KR20230104878A KR 20230104878 A KR20230104878 A KR 20230104878A KR 1020237014842 A KR1020237014842 A KR 1020237014842A KR 20237014842 A KR20237014842 A KR 20237014842A KR 20230104878 A KR20230104878 A KR 20230104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y gain
base station
gain distribution
mobile device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산탄 라가반
소니 아카라카란
위르겐 세잔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04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8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 G01S1/14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using amplitude comparison of signals transmitted simultaneously from antennas or antenna systems having differently oriented overlapping directivity-characteri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 G01S1/14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using amplitude comparison of signals transmitted simultaneously from antennas or antenna systems having differently oriented overlapping directivity-characteristics
    • G01S1/18Elevational guidance systems, e.g. system for defining aircraft glide pa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36Assistance data, e.g. base station almana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8Position of single direction-finder fixed by determining direction of a plurality of spaced sources of known lo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01Q3/2611Means for null steering; Adaptive interference nulling
    • H01Q3/2617Array of iden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8Diversity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은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들을 사용하여 추정된다.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들은 초광 대역폭에 걸쳐 빔들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 송신 (Tx) 빔들 또는 수신 (Rx) 빔들을 사용하여 생성되며, 이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생성한다.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을 표시하기 위해 전달된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의 집성으로서, 또는 단지 기지국들에 대한 할당된 대역폭의 부분일 뿐인 서브-대역에 대한 보조 데이터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밀리미터파 포지셔닝 시스템들에서 낮은 오버헤드 주파수 평균화 빔 패턴 피드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OVERHEAD FREQUENCY-AVERAGED BEAM PATTERN FEEBACK IN MILLIMETER WAVE POSITIONING SYSTEMS" 의 명칭으로 2020년 11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규출원 제17/095,262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전부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통합된다.
분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의 추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mmW 소형 셀들에 의해 생성된 빔들을 사용한 포지셔닝을 지원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전화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는, 긴급 통화, 내비게이션, 방향 탐지, 자산 추적 및 인터넷 서비스를 포함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유용하거나 필수적일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는 다양한 시스템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G (4 세대로서 또한 지칭됨) 롱 텀 에볼루션 (LTE) 무선 액세스 또는 5G (5 세대로서 또한 지칭됨) "뉴 라디오" (NR) 에 따라 구현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은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를 송신할 수도 있다. 상이한 기지국들에 의해 송신된 PRS들을 포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신호 기반 측정치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추정치를 계산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진화된 패킷 코어 (Evolved Packet Core; EPC) 또는 5G 코어 네트워크 (5G Core Network; 5GCN) 의 일부일 수도 있는 위치 서버에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는 레퍼런스 신호 시간 차이 (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TD),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및 수신 및 송신 (reception and transmission; RX-TX) 시간 차이 측정치들과 같은 다운링크 (DL) PRS 로부터의 포지셔닝 측정치들을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도달 시간 차이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출발 각도 (Angle of Departure; AOD), 및 멀티-셀 왕복 시간 (Round Trip Time; RTT) 과 같은 다양한 포지셔닝 방법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양한 포지셔닝 방법들을 사용하여 그 자신의 위치의 추정치를 계산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는 다른 포지션 방법들은 GPS, GLONASS 또는 Galileo 와 같은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의 사용 및 네트워크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GNSS 신호들을 포착 및 측정하고/하거나 GNSS 측정치들로부터 위치 추정치를 계산하는 것을 보조하는 A-GNSS (Assisted GNSS) 의 사용을 포함한다.
5G NR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소형 셀들은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운영자들이 매크로셀 커버리지 위의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소형 셀들을 전개하는 것이 때때로 바람직하다. 밀리미터파 ("mmW") 송신 (때때로 주파수 2 및 주파수 4 및 그 이상) 을 사용하는 소형 셀들은, mmW 가 매크로셀들에서 발견된 것보다 더 큰 스펙트럼 폭 및 더 짧은 에어 인터페이스 레이턴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의 풋프린트를 전세계에 확장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mmW 소형 셀 전개는 예를 들어, 극도로 높은 데이터 레이트 기대값, 예를 들어, Gbps 레벨에 의해 구동된 실내 환경들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포지셔닝이 어려운 환경들, 예를 들어, 실내 환경들에서 소형 셀들의 확장 전개는 추가적인 포지셔닝 기회들을 제공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은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들을 사용하여 추정된다.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들은 초광 대역폭에 걸쳐 빔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의 송신 (Tx) 빔들 또는 수신 (Rx) 빔들을 사용하여 생성되며, 이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생성한다.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array gain distribution variation) 는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의 집성 (aggregation) 으로서, 또는 단지 기지국들에 대한 할당된 대역폭의 부분일 뿐인 서브-대역에 대한 보조 데이터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달된다.
일 구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은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포지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트랜시버;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무선 트랜시버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포지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포지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서, 프로그램 코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하고,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포지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위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위치 서버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외부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외부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위치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위치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서, 프로그램 코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위치 서버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하고,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위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와 함께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위치 서버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외부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외부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준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와 함께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위치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준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와 함께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서, 프로그램 코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위치 서버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하고,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준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와 함께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은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외부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외부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은,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서, 프로그램 코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하고,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태들과 연관된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의 설명을 돕기 위해 제시되고 양태들의 예시를 위해서만 제공되며 그의 제한은 아니다.
도 1 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구조들을 예시한다.
도 3 은 도 1 에서의 기지국들 중 하나 및 사용자 장비 (UE) 들 중 하나일 수도 있는 기지국 및 UE 의 설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4 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 (PRS) 에 대한 예시적인 서브프레임 시퀀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 는 다운링크 (DL) 출발 각도 (AoD) 포지션 결정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6a 는 단일의 기지국을 사용한 업링크 (UL) 도달 각도 (Angle of Arrival; AoA) 포지션 결정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6b 는 다중의 기지국들을 사용한 업링크 (UL) 도달 각도 (AoA) 포지션 결정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7 은 mmW 안테나 패널에 의해 생성된 좁은 빔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 는 다중의 주파수들에 대해 각각 57 GHz 또는 71 GHz 에서 어레이 간격 d = λ/2 를 갖는 16×1 안테나 어레이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dB 단위) 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9a, 도 9b, 및 도 9c 는 보조 데이터에서 UE 에 제공될 수도 있는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다양한 타입들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을 도시한다.
도 10 은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가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는 포지셔닝 세션 동안 전송된 다양한 메시지들을 예시하는 시그널링 플로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 은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사용하여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인에이블된 UE 의 소정의 예시적인 특징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2 는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사용하여 UE 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인에이블된 위치 서버의 소정의 예시적인 특징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3 은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사용하여 UE 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인에이블된 기지국의 소정의 예시적인 특징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4 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15 는 위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16 은 위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17 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이, 예시 목적들로 제공된 다양한 예들로 지향된 다음의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서 제공된다. 대안적인 양태들이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일탈함 없이 고안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잘 알려진 엘리먼트들은 본 개시의 관련 상세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거나 또는 생략될 것이다.
단어들 "예시적인" 및/또는 "예" 는 본 명세서에서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 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및/또는 "예" 로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는 반드시 다른 양태들에 비해 유리하거나 또는 바람직한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용어 "본 개시의 양태들" 은 본 개시의 모든 양태들이 논의된 특징, 이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할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당업자는 하기에 설명된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하기 설명 전반에 걸쳐 언급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부분적으로 의존하여, 원하는 설계에 부분적으로 의존하여, 대응하는 기술에 부분적으로 의존하여 등등으로,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추가로, 다수의 양태들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액션들의 시퀀스들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액션들은, 특정 회로들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들))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액션들의 시퀀스(들)는, 실행시, 디바이스의 연관된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게 하거나 이를 명령할 컴퓨터 명령들의 대응하는 세트가 저장된 임의의 형태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서 완전히 구현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들 모두는 청구된 청구물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양태들의 각각에 대해, 임의의 그러한 양태들의 대응하는 형태는, 예를 들어, 설명된 액션을 수행 "하도록 구성된 로직" 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사용자 장비" (UE) 및 "기지국" 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특정 무선 액세스 기술 (RAT) 에 특정적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UE 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상으로 통신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임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컨대, 모바일 폰, 라우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추적 디바이스, 웨어러블 (예컨대, 스마트워치, 안경, 증강 현실 (AR)/가상 현실 (VR) 헤드셋 등), 차량 (예컨대, 자동차, 모터사이클, 자전거 등),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 등) 일 수도 있다. UE 는 이동식일 수도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들에) 정지식일 수도 있으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UE" 는 "액세스 단말기" 또는 "AT",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가입자 디바이스", "가입자 단말기", "가입자국", "사용자 단말기" 또는 UT, "모바일 단말기", "이동국",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변형들로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지칭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UE들은 RAN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으며,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UE들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과 그리고 다른 UE들과 접속될 수 있다. 물론, 유선 액세스 네트워크들, (예컨대, IEEE 802.11 등에 기초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네트워크들 등을 통한 것과 같은, 코어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에 접속시키는 다른 메커니즘들이 UE들에 대해 또한 가능하다.
기지국은 전개되는 네트워크에 의존하여 UE들과 통신하는 여러 RAT들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으며, 대안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 (AP), 네트워크 노드, NodeB, 진화형 NodeB (eNB), 뉴 라디오 (NR) 노드 B (gNB 또는 gNodeB 로서 또한 지칭됨)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시스템들에서, 기지국은 순수 에지 노드 시그널링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는 한편, 다른 시스템들에서, 추가적인 제어 및/또는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UE들이 신호들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 (UL) 채널 (예를 들어, 역방향 트래픽 채널, 역방향 제어 채널, 액세스 채널 등) 로 칭해진다. 기지국이 신호들을 UE들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 (DL) 또는 순방향 링크 채널 (예를 들어, 페이징 채널, 제어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순방향 트래픽 채널 등) 로 칭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트래픽 채널 (TCH) 은 UL/역방향 또는 DL/순방향 트래픽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용어 "기지국" 은 단일의 물리적 송신 포인트 또는 코-로케이팅될 수도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다중의 물리적 송신 포인트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용어 "기지국" 이 단일의 물리적 송신 포인트를 지칭하는 경우, 물리적 송신 포인트는 기지국의 셀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안테나일 수도 있다. 용어 "기지국" 이 다중의 코-로케이팅된 물리적 송신 포인트들을 지칭하는 경우, 물리적 송신 포인트들은 기지국의 (예를 들어,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MO) 시스템에서 또는 기지국이 빔포밍을 채용하는 경우와 같이) 안테나들의 어레이일 수도 있다. 용어 "기지국" 이 다중의 코-로케이팅되지 않은 물리적 송신 포인트들을 지칭하는 경우, 물리적 송신 포인트들은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DAS) (전송 매체를 통해 공통 소스에 접속된 공간적으로 분리된 안테나들의 네트워크) 또는 원격 무선 헤드 (remote radio head; RRH) (서빙 기지국에 접속된 원격 기지국) 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코-로케이팅되지 않은 물리적 송신 포인트들은 UE 로부터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는 서빙 기지국 및 레퍼런스 RF 신호들을 UE 가 측정하고 있는 이웃 (neighbor) 기지국일 수도 있다.
UE 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 위치 솔루션의 2개의 광범위한 클래스들: 즉,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이 정의되었다. 제어 평면 (CP) 위치에서, 포지셔닝 및 포지셔닝의 지원과 관련된 시그널링은, 기존의 네트워크 (및 UE) 인터페이스들 상으로 그리고 시그널링의 전달에 전용된 기존의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반송될 수도 있다. 사용자 평면 (UP) 위치로, 포지셔닝 및 포지셔닝의 지원과 관련된 시그널링은 인터넷 프로토콜 (IP), 송신 제어 프로토콜 (TCP) 및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UDP) 과 같은 그러한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다른 데이터의 부분으로서 반송될 수도 있다.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 는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 (GSM) (2G),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 (UMTS) (3G), LTE (4G), 및 제 5 세대 (5G) 를 위한 뉴 라디오 (NR) 에 따른 무선 액세스를 사용하는 UE들에 대한 제어 평면 위치 솔루션들을 정의하였다. 이들 솔루션들은 3GPP 기술 사양들 (TS들) 23.271 및 23.273 (공통 부분들), 43.059 (GSM 액세스), 25.305 (UMTS 액세스), 36.305 (LTE 액세스) 및 38.305 (NR 액세스) 에서 정의된다. OMA (Open Mobile Alliance) 는 유사하게, GSM 을 이용한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UMTS 를 이용한 GPRS, 또는 LTE 또는 NR 을 이용한 IP 액세스와 같은 IP 패킷 액세스를 지원하는 다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들 중 임의의 것에 액세스하는 UE 를 로케이팅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SUPL (Secure User Plane Location) 로서 공지된 UP 위치 솔루션을 정의하였다.
CP 및 UP 위치 솔루션들 양자 모두는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 위치 서버 (LS) 를 채용할 수도 있다. 위치 서버는 UE 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또는 홈 네트워크의 부분이거나 그로부터 액세스가능할 수도 있거나, 또는 단순히 인터넷 상으로 또는 로컬 인트라넷 상으로 액세스가능할 수도 있다. UE 의 포지셔닝이 필요하면, 위치 서버는 UE 와의 세션 (예를 들어, 위치 세션 또는 SUPL 세션) 을 착수하고, UE 에 의한 위치 측정들 및 UE 의 추정된 위치의 결정을 조정할 수도 있다. 위치 세션 동안, 위치 서버는 UE 의 포지셔닝 능력들을 요청할 수도 있고 (또는 UE 는 이들을 요청 없이도 제공할 수도 있음), (예를 들어, UE 에 의해 요청되면 또는 요청의 부재 시에) 보조 데이터를 UE 에 제공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GNSS, TDOA, AoD, 멀티-RTT, 및/또는 강화된 셀 ID (ECID) 포지션 방법들을 위해 UE 로부터 위치 추정치 또는 위치 측정치들을 요청할 수도 있다. 보조 데이터는 (예를 들어, 주파수, 예상 도달 시간, 신호 코딩, 신호 도플러와 같은 이들 신호들의 예상된 특성들을 제공함으로써) GNSS 및/또는 PRS 신호들을 포착 및 측정하기 위해 UE 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UE 기반 동작 모드에서, 보조 데이터는 또한 또는 그 대신에, (예를 들어, 보조 데이터가 GNSS 포지셔닝의 경우 위성 이페메리스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TDOA, AoD, 멀티-RTT 등을 사용한 지상 포지셔닝의 경우 기지국 위치들 및 PRS 타이밍과 같은 다른 기지국 특성들을 제공한다면) 결과적인 위치 측정치들로부터 위치 추정치를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UE 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UE 보조형 동작 모드에서, UE 는, 이들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그리고 가능하게는 또한 다른 공지된 또는 구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GNSS 위치에 대하여 위성 이페메리스 데이터, 또는 예를 들어, TDOA, AoD, 멀티-RTT 등을 사용한 지상 포지셔닝의 경우 기지국 위치들 및 가능하게는 PRS 타이밍을 포함한 기지국 특성들) 에 기초하여, UE 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는 위치 서버에 위치 측정치들을 반환할 수도 있다.
다른 자립형 동작 모드에서, UE 는 위치 서버로부터의 임의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 없이 위치 관련 측정들을 행할 수도 있고, 위치 서버로부터의 임의의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 없이 위치 또는 위치의 변경을 추가로 계산할 수도 있다. 자립형 모드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포지션 방법들은 GPS 및 GNSS (예를 들어, UE 가 GPS 및 GNSS 위성들 자체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데이터로부터 위성 궤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센서들을 포함한다.
3GPP CP 위치의 경우, 위치 서버는 LTE 액세스의 경우 강화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 (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E-SMLC), UMTS 액세스의 경우 자립형 SMLC (SAS), GSM 액세스의 경우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 (SMLC), 또는 5G NR 액세스의 경우 위치 관리 기능 (LMF) 일 수도 있다. OMA SUPL 위치의 경우, 위치 서버는 SUPL 위치 플랫폼 (SLP) 일 수도 있으며, SLP 는, (i) UE 의 홈 네트워크 내에 있거나 그와 연관되는 경우 또는 위치 서비스들을 위해 UE 에 영구적 가입을 제공하는 경우 홈 SLP (H-SLP); (ii) 일부 다른 (비-홈) 네트워크 내에 있거나 그와 연관되는 경우 또는 어떠한 네트워크와도 연관되지 않는 경우 발견형 SLP (D-SLP); (iii) UE 에 의해 실시된 긴급 호출에 대한 위치를 지원하는 경우 긴급 SLP (E-SLP); 또는 (iv) UE 에 대한 현재 로컬 영역 또는 서빙 네트워크 내에 있거나 그와 연관되는 경우 방문형 SLP (V-SLP) 중 어느 하나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위치 세션 동안, 위치 서버 및 UE 는, 추정된 위치의 결정을 조정하기 위하여 일부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따라 정의된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도 있다. 가능한 포지셔닝 프로토콜들은, 예를 들어, 3GPP TS 36.355 에서 3GPP 에 의해 정의된 LTE 포지셔닝 프로토콜 (LPP) 및 OMA TS들 (OMA-TS-LPPe-V1_0, OMA-TS-LPPe-V1_1 및 OMA-TS-LPPe-V2_0) 에서 OMA 에 의해 정의된 LPP 확장 (LPPe)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도 있다. LPP 및 LPPe 프로토콜들은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LPP 메시지는 하나의 임베딩된 LPPe 메시지를 포함한다. 결합된 LPP 및 LPPe 프로토콜들은 LPP/LPPe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LPP 및 LPP/LPPe 는 LTE 또는 NR 액세스를 위한 3GPP 제어 평면 솔루션을 지원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LPP 또는 LPP/LPPe 메시지들은 UE 와 E-SMLC 사이에서 또는 UE 와 LMF 사이에서 교환된다. LPP 또는 LPPe 메시지들은, UE 에 대한 서빙 eNodeB 및 서빙 이동성 관리 엔티티 (MME) 를 통해 UE 와 E-SMLC 사이에서 교환될 수도 있다. LPP 또는 LPPe 메시지들은 또한, UE 에 대한 서빙 NR 노드 B (gNB) 및 서빙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AMF) 을 통해 UE 와 LMF 사이에서 교환될 수도 있다. LPP 및 LPP/LPPe 는 또한 LPP 또는 LPP/LPPe 메시지들이 SUPL 을 갖는 UE 에 대해 사용되는 용어인 SUPL 가능 단말기 (SET) 와 SLP 간에 교환되는 (LTE, NR 및 WiFi 와 같은) IP 메시징을 지원하는 다수의 타입들의 무선 액세스에 대한 OMA SUPL 솔루션을 지원하는 것을 돕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SUPL POS 또는 SUPL POS INIT 메시지와 같은 SUPL 메시지들 내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위치 서버 및 기지국 (예를 들어, LTE 액세스에 대해서는 eNodeB) 은 위치 서버로 하여금 (i)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UE 에 대한 포지션 측정치들을 획득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ii) 기지국에 대한 안테나의 위치 좌표들,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셀들 (예를 들어, 셀 아이덴티티들), 기지국에 대한 셀 타이밍, 및/또는 PRS 신호들과 같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에 대한 파라미터들과 같은, 특정 UE 와 관련되지 않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도 있다. LTE 액세스의 경우, LPP A (LPPa) 프로토콜이, eNodeB 인 기지국과 E-SMLC 인 위치 서버 사이에서 그러한 메시지들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NR 액세스의 경우, NRPPA 프로토콜이, gNodeB 인 기지국과 LMF 인 위치 서버 사이에서 그러한 메시지들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들 "파라미터" 및 "정보 엘리먼트" (IE) 는 동의어이며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됨을 유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posSIB" 는 하나 이상의 UE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 로서 또한 지칭됨) 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을 지칭함에 유의한다. 그러나, 일부 경우들에서, 용어 "SIB" 는 본 명세서에서 하나 이상의 UE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SIB 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용어들 "SI 메시지들" 및 "포지셔닝 SI 메시지들" 은 보조 데이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posSIB들의 형태의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을 지칭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됨에 유의한다.
mmW 송신을 사용한 소형 셀들은 증가하는 양의 5G NR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그리고 무선 신호 기반 포지셔닝이 전통적으로 어려운 환경들에서 (예를 들어, 실내 환경 또는 밀집된 도시 환경에서) 전개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소형 셀들은 빔포밍을 위해 MIMO 시스템에서 안테나들의 어레이를 활용한다. 많은 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이 있는 경우, 매우 좁은 빔들, 예를 들어, 15° 또는 심지어 더 작은 3 dB 빔폭을 생성하기 위해 빔포밍이 사용될 수 있다. 매우 좁은 빔들은 빔들의 공간 그리드를 형성하기 위해 수평으로 (방위각으로) 및 수직으로 (고도) 스위핑될 수도 있다.
빔들의 공간 그리드에서 어느 빔이 UE 에 의해 수신되는지와 관련된 정보는 TRP 에 의한 특정 레퍼런스 신호들의 송신 또는 UE 에 의한 레퍼런스 신호들의 포지셔닝 측정들을 요구하지 않고 UE에 대한 정확한 포지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어느 빔들이 여러 이웃하는 소형 셀 TRP들로부터 UE 에 의해 수신되는지와 관련된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UE 에 대한 정확한 포지션 추정치가 예를 들어, 빔들의 교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밀리미터파 시스템들의 포지셔닝은 릴리스 16 이상에서 폭넓은 관심 대상이다. 예를 들어, gNB 에서 출발 각도 (AoD) 및/또는 도달 각도 (AoA) 를 추정하기 위한 Ul, DL, 또는 UL 및 DL 접근법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UE 기반, UE-보조, 포지셔닝 기법들을 위해, 밀리미터파 송신을 사용한 포지셔닝의 구현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24.25 GHz 내지 52.6 GHz 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범위 2 (FR2) 와 같은 밀리미터파 시스템들에 더하여, 52.6 GHz 내지 114.25 GHz 대역들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범위 4 (FR4) 와 같은 단파 시스템들이 조사되고 있고, 이는 "상위 밀리미터파 대역들" 로서 때때로 지칭된다. 더 높은 캐리어 주파수들로의 확장들이 향후 3GPP 릴리스들에서 고려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THz" 레짐은 100 또는 275 GHz (사용 상황에 의존함) 에서 시작하여 1000 GHz 까지 확장될 수 있다. 이들은 FR4 를 넘어서는 (또는 때때로 FR5 로 라벨링됨) 시스템들의 일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위 밀리미터파 대역들의 파장들은 FR2 (예를 들어, 28 또는 39 GHz) 의 파장들보다 작으며, 따라서 FR2 에서보다 FR4 또는 FR5 에서 동일한 물리적 애퍼처에 더 많은 안테나 엘리먼트들이 패킹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FR4 가 FR2 보다 큰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한다.
릴리스 17 의 초점은 52.6 GHz 내지 71 GHz 범위들에 있다. 이 범위에서는, 대략 14 GHz 의 넓은 대역폭이 다중 지오그래피들에 걸쳐 (예를 들어, 57-71 GHz 사이) 이용가능하여 상당한 성능/빔포밍 이득들을 허용한다. 많은 디바이스들에서, 단일의 무선 주파수 (RF) 체인이 대략 14 GHz 초광 대역폭 범위에 걸쳐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단일의 RF 체인이 위상 시프터들 및 이득 스테이지들의 단일의 세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날로그/RF 빔포밍이 제약되며, 이는 소정의 주파수들에서 열악한 성능을 야기할 수도 있다.
상위 밀리미터파 대역들의 특정 특징들 및 UE 측 장애들을 고려하는 보조 정보로 UE 를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부 구현들에서는 초광 대역폭 동작을 고려하기 위해 낮은 오버헤드 방식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도 1 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을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무선 광역 네트워크 (WWAN) 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음) 은 다양한 기지국들 (102) 및 다양한 UE들 (10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매크로 셀 기지국들 (고 전력 셀룰러 기지국들) 및/또는 소형 셀 기지국들 (저 전력 셀룰러 기지국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형 셀 기지국들은 3GPP 기술 사양 (TS) 38.104 의 섹션 4.4 에 정의된 바와 같은 "중간 범위 기지국들" 및 "로컬 영역 기지국들" 일 수도 있으며, 이는 5 m 와 동일한 그라운드를 따른 BS 에서 UE 까지의 최소 거리 또는 53 dB 와 동일한 최소 커플링 손실을 갖는 마이크로 셀 시나리오들로부터 도출된 요건들에 의해 또는 2 m 와 동일한 그라운드를 따른 BS 에서 UE 까지의 최소 거리 또는 45 dB 와 동일한 최소 커플링 손실을 갖는 피코 셀 시나리오들로부터 도출된 요건들에 의해 특성화된 기지국들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매크로 셀 기지국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이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eNB들,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이 5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gNB들, 또는 양자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소형 셀 기지국들은 펨토셀들, 피코셀들, 마이크로셀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집합적으로 RAN 을 형성하고 백홀 링크들 (122)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70) (예를 들어, 진화된 패킷 코어 (EPC) 또는 차세대 코어 (NGC)) 와,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 (170) 를 통해 하나 이상의 위치 서버들 (172) 에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위치 서버 (172) 는 코어 네트워크 (17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위치 서버 (172) 는 LTE 액세스의 경우 E-SMLC, UMTS 액세스의 경우 자립형 SMLC (SAS), GSM 액세스의 경우 SMLC, SUPL 위치 플랫폼 (SLP), 또는 5G NR 액세스의 경우 위치 관리 기능 (LMF) 일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위치 서버는 RAN 내에 있을 수도 있고 때때로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117) 로서 지칭되는 서빙 기지국 (102) 과 코-로케이팅되거나 그 일부일 수도 있다. LSS (117) 는 위치 서버 (172) 를 대신할 수도 있거나 또는 위치 서버 (172) 와 함께 동작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레이턴시를 개선하기 위해, 예를 들어, 다른 경우에 위치 서버 (172) 에 의해 수행될 일부 기능들을 수행한다. 다른 기능들에 부가하여, 기지국들 (102) 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무선 채널 암호화 및 암호해독, 무결성 보호, 헤더 압축, 이동성 제어 기능들 (예컨대, 핸드오버, 이중 접속성), 셀간 간섭 조정, 접속 설정 및 해제, 로드 밸런싱, 비-액세스 스트라텀 (NAS) 메시지들을 위한 분산, NAS 노드 선택, 동기화, RAN 공유,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 가입자 및 장비 추적, RAN 정보 관리 (RIM), 페이징, 포지셔닝, 및 경고 메시지들의 전달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도 있는 백홀 링크들 (134) 을 통해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예를 들어, EPC/NGC 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UE들 (104)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의 각각은 개별의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셀들은 각각의 커버리지 영역 (110) 에서 기지국 (102) 에 의해 지원될 수도 있다. "셀" 은 (예를 들어, 캐리어 주파수, 컴포넌트 캐리어, 캐리어, 대역 등으로서 지칭되는 일부 주파수 리소스를 통해)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 논리적 통신 엔티티이고,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를 통해 동작하는 셀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 (예를 들어, 물리 셀 식별자 (PCI), 가상 셀 식별자 (VCI)) 와 연관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이한 셀들은, 상이한 타입들의 UE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 상이한 프로토콜 타입들 (예컨대, 머신 타입 통신 (MTC), 협대역 IoT (NB-IoT), 강화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eMBB) 등) 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용어 "셀"은 또한, 캐리어 주파수가 검출되고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의 일부 부분 내에서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한, 기지국의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예컨대, 섹터) 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웃하는 매크로 셀 기지국 (102)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은 (예를 들어, 핸드오버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오버랩할 수도 있지만,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중 일부는 더 큰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에 의해 실질적으로 오버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형 셀 기지국 (102') 은 하나 이상의 매크로 셀 기지국들 (102) 의 커버리지 영역 (110) 과 실질적으로 오버랩하는 커버리지 영역 (110') 을 가질 수도 있다. 소형 셀 및 매크로 셀 기지국들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는 이종 네트워크로 알려질 수도 있다. 이종 네트워크는 또한 폐쇄 가입자 그룹 (CSG) 으로 알려진 제한된 그룹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 홈 eNB들 (HeNB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과 UE들 (104) 사이의 통신 링크들 (120) 은 UE (104) 로부터 기지국 (102) 으로의 UL (역방향 링크로서 또한 지칭됨) 송신들 및/또는 기지국 (102) 으로부터 UE (104) 로의 다운링크 (DL) (순방향 링크로서 또한 지칭됨) 송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링크들 (120) 은 공간 멀티플렉싱, 빔포밍, 및/또는 송신 다이버시티를 포함하는, MIMO 안테나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통신 링크들 (120) 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통한 것일 수도 있다. 캐리어들의 할당은 DL 및 UL 에 대해 비대칭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L 에 대해서보다 DL 에 대해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캐리어들이 할당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 (예를 들어, 5 GHz) 에서 통신 링크들 (154) 을 통해 WLAN 스테이션들 (STA들)(152) 과 통신하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액세스 포인트 (AP)(150) 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통신할 때, WLAN STA들 (152) 및/또는 WLAN AP (150) 는 채널이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통신하기 전에 클리어 채널 평가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를 수행할 수도 있다.
소형 셀 기지국 (102') 은 허가 및/또는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때, 소형 셀 기지국 (102') 은 LTE 또는 5G 기술을 채용하고, WLAN AP (150) 에 의해 사용된 바와 동일한 5 GHz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LTE/5G 를 채용하는 소형 셀 기지국 (102') 은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커버리지를 부스팅하고/하거나 액세스 네트워크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비허가 스펙트럼에서의 LTE 는 LTE-비허가 (LTE-U), 허가 보조 액세스 (licensed assisted access) (LAA), 또는 MulteFire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UE (104) 와 통신하는 밀리미터파 (mmW) 주파수들 및/또는 근 mmW 주파수들에서 동작할 수도 있는, 소형 셀 기지국일 수도 있는, mmW 기지국 (102)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EHF (extremely high frequency) 는 전자기 스펙트럼에서의 RF 의 일부이다. EHF 는 30 GHz 내지 300 GHz 의 범위 및 1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파장을 갖는다. 이러한 대역에서의 무선파들은 밀리미터파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근 mmW 는 100 밀리미터의 파장을 갖는 3 GHz 의 주파수 아래로 확장될 수도 있다. SHF (super high frequency) 대역은 3 GHz 내지 30 GHz 사이로 확장되고, 또한, 센티미터파 (centimeter wave) 로서 지칭된다. mmW/근 mmW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들은 높은 경로 손실 및 상대적으로 짧은 범위를 갖는다. mmW 기지국 (102) 및 UE (104) 는 극도로 높은 경로 손실 및 짧은 범위를 보상하기 위해 mmW 통신 링크 (120) 상으로 빔포밍 (송신 및/또는 수신) 을 활용할 수도 있다. 추가로, 대안적인 구성들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2) 은 또한 mmW 또는 근 mmW 및 빔포밍을 사용하여 송신할 수도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더욱이, mmW 기지국은 예를 들어 52.6 GHz 내지 114.25 GHz 사이의 상위 밀리미터파 대역들, 또는 그 범위 내의 일부 주파수 할당, 예를 들어 52.6 GHz 내지 71 GHz 또는 다른 범위들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초광 대역폭 동작은 또한 서브-THz 주파수들 (서브-THz 레짐이 정의되는 방법에 의존하여 100 GHz 또는 275 GHz 또는 300 GHz 중 어느 하나를 초과) 에서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예시들은 단지 예들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태들을 제한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함이 인식될 것이다.
송신 빔포밍은 RF 신호를 특정 방향으로 포커싱하기 위한 기법이다. 전통적으로,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기지국) 가 RF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할 때, 모든 방향들로 (전방향으로)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송신 빔포밍으로, 네트워크 노드는 주어진 타겟 디바이스 (예를 들어, UE) 가 (송신 네트워크 노드에 대해) 어디에 로케이팅되는지를 결정하고 그 특정 방향으로 더 강한 다운링크 RF 신호를 프로젝팅함으로써, 수신 디바이스(들)에 대해 (데이터 레이트의 관점에서) 더 빠르고 더 강한 RF 신호를 제공한다. 송신할 때 RF 신호의 방향성을 변경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는 RF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들의 각각에서 RF 신호의 위상 및 상대 진폭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실제로 안테나들을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상이한 방향들로 포인팅하도록 "스티어링" 될 수 있는 RF 파들의 빔을 생성하는 안테나들의 어레이 ("위상 어레이 (phased array)" 또는 "안테나 어레이" 로서 지칭됨) 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기로부터의 RF 전류는 올바른 위상 관계로 개별 안테나들에 피드되어 개별 안테나들로부터의 무선 파들이 함께 가산되어 원치않는 방향들에서의 방사를 억제하도록 소거하면서 원하는 방향에서의 방사를 증가시킨다.
수신 빔포밍에서, 수신기는 수신 빔을 사용하여 주어진 채널 상에서 검출된 RF 신호들을 증폭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특정 방향에서의 안테나들의 어레이의 이득 설정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위상 설정을 조정하여, 그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들을 증폭 (예컨대, 그의 이득 레벨을 증가)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가 특정 방향으로 빔포밍하는 것으로 일컬어질 경우, 이는, 그 방향에서의 빔 이득이 다른 방향들을 따른 빔 이득에 비해 높거나, 또는 그 방향에서의 빔 이득이 수신기에 이용가능한 모든 다른 수신 빔들의 그 방향에서의 빔 이득에 비해 가장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는, 그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들의 더 강한 수신 신호 강도 (예컨대,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레퍼런스 신호 수신 품질 (RSRQ), 신호-대-간섭-플러스-노이즈 비 (SINR) 등) 를 발생시킨다.
5G 에서, 무선 노드들 (예컨대, 기지국들 (102), UE들 (104)) 이 동작하는 주파수 스펙트럼은 다중의 주파수 범위들, 즉, FR1 (450 내지 6000 MHz), FR2 (24250 내지 52600 MHz), 및 FR4 (52.6 GHz 내지 114.25 GHz 대역들) 로 분할된다. 5G 와 같은 다중-캐리어 시스템에서, 캐리어 주파수들 중 하나는 "프라이머리 캐리어" 또는 "앵커 캐리어" 또는 "프라이머리 서빙 셀" 또는 "PCell" 로서 지칭되고, 나머지 캐리어 주파수들은 "세컨더리 캐리어들" 또는 "세컨더리 서빙 셀들" 또는 "SCell들" 로서 지칭된다. 캐리어 집성에서, 앵커 캐리어는 UE (104) 및 셀에 의해 활용되는 프라이머리 주파수 (예컨대, FR1) 상에서 동작하는 캐리어이며, 그 셀에서, UE (104) 는 초기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접속 확립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RRC 접속 재확립 절차를 개시한다.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모든 공통 및 UE 특정 제어 채널들을 반송한다. 세컨더리 캐리어는 UE (104) 와 앵커 캐리어 사이에 RRC 접속이 확립되면 구성될 수도 있고 추가적인 무선 리소스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제 2 주파수 (예를 들어, FR2) 상에서 동작하는 캐리어이다. 세컨더리 캐리어는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 및 신호들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업링크 및 다운링크 캐리어들 양자 모두가 통상적으로 UE-특정이기 때문에, UE-특정인 것들은 세컨더리 캐리어에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셀에서의 상이한 UE들 (104) 이 상이한 다운링크 프라이머리 캐리어들을 가질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업링크 프라이머리 캐리어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네트워크는 임의의 시간에 임의의 UE (104) 의 프라이머리 캐리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이한 캐리어들에 대한 로드를 밸런싱하기 위해 행해진다. "서빙 셀" (PCell 이든지 또는 SCell 이든지) 은, 일부 기지국이 통신하고 있는 캐리어 주파수/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기 때문에, 용어 "셀", "서빙 셀", "컴포넌트 캐리어", "캐리어 주파수" 등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전히 도 1 을 참조하면, 매크로 셀 기지국들 (102) 에 의해 활용된 주파수들 중 하나는 앵커 캐리어 (또는 "PCell") 일 수도 있고 매크로 셀 기지국들 (102) 및/또는 mmW 기지국 (102) 에 의해 활용된 다른 주파수들은 세컨더리 캐리어들 ("SCell들") 일 수도 있다. 다중의 캐리어들의 동시 송신 및/또는 수신은 UE (104/182) 가 그의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 레이트들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멀티-캐리어 시스템에서의 2 개의 20 MHz 집성된 캐리어들은, 단일의 20 MHz 캐리어에 의해 획득되는 것과 비교하여, 이론적으로 데이터 레이트의 2 배 증가 (즉, 40 MHz) 로 이어질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투-디바이스 (D2D) 피어-투-피어 (P2P) 링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들에 간접적으로 접속하는, UE (190) 와 같은, 하나 이상의 UE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의 예에서, UE (190) 는 기지국들 (102) 중 하나에 접속된 UE들 (104) 중 하나와의 D2D P2P 링크 (192) (예컨대, 그것을 통해 UE (190) 는 셀룰러 접속성을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음), 및 WLAN AP (150) 에 접속된 WLAN STA (152) 와의 D2D P2P 링크 (194) (그것을 통해 UE (190) 는 WLAN-기반 인터넷 접속성을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음) 를 갖는다. 일 예에서, D2D P2P 링크들 (192 및 194) 은 LTE 다이렉트 (LTE-D), WiFi 다이렉트 (WiFi-D), Bluetooth® 등과 같은 임의의 잘 알려진 D2D RAT 로 지원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통신 링크 (120) 를 통해 매크로 셀 기지국 (102) 및/또는 mmW 통신 링크 (120) 를 통해 mmW 기지국 (102) 과 통신할 수도 있는 UE (104)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셀 기지국 (102) 은 UE 에 대해 PCell 및 하나 이상의 SCell들을 지원할 수도 있고, mmW 기지국 (102) 은 UE 에 대해 하나 이상의 SCell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도 2a 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구조 (200) 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NGC (210) ("5GC" 로서 또한 지칭됨) 는 코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동작하는 제어 평면 기능들 (214) (예를 들어, UE 등록, 인증, 네트워크 액세스, 게이트웨이 선택 등) 및 사용자 평면 기능들 (212) (예를 들어, UE 게이트웨이 기능,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 IP 라우팅 등) 로서 기능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NG-U) (213) 및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NG-C) (215) 는 gNB (222) 를 NGC (210) 에 그리고 구체적으로 제어 평면 기능들 (214) 및 사용자 평면 기능들 (212) 에 접속한다. 추가적인 구성에서, eNB (224) 는 또한 제어 평면 기능들 (214) 에 대한 NG-C (215) 및 사용자 평면 기능들 (212) 에 대한 NG-U (213) 를 통해 NGC (210) 에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eNB (224) 는 백홀 접속 (223) 을 통해 gNB (222) 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뉴 RAN (220) 은 하나 이상의 gNB들 (222) 만을 가질 수도 있는 한편, 다른 구성들은 eNB들 (224) 및 gNB들 (222) 양자 모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gNB (222) 또는 eNB (224) 중 어느 하나는 UE들 (204)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UE들 중 임의의 것)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다른 선택적인 양태는 UE들 (204) 에 대한 위치 보조를 제공하기 위해 NGC (210) 에서 각각 제어 평면 기능들 (214) 및 사용자 평면 기능들 (212) 과 통신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위치 서버들 (230a, 230b) (때로는 집합적으로 위치 서버 (230) 로서 지칭됨) (이는 위치 서버 (172) 에 대응할 수도 있음)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서버 (230) 는 복수의 별개의 서버들 (예컨대,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버들, 단일의 서버 상의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다중의 물리적 서버들에 걸쳐 확산된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등) 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단일의 서버에 각각 대응할 수도 있다. 위치 서버 (230) 는 코어 네트워크, NGC (210) 를 통해, 및/또는 인터넷 (예시되지 않음) 을 통해 위치 서버 (230) 에 접속할 수 있는 UE들 (204) 에 대해 하나 이상의 위치 서비스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서버 (230) 는 코어 네트워크의 컴포넌트에 통합될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코어 네트워크 외부에, 예를 들어 RAN (220) 에 있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도 1 에 도시된 LSS (117) 와 같음) 는 RAN (220) 에 로케이팅되고, 예를 들어 gNB (222) 와 코-로케이팅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위치 관리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b 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구조 (250) 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NGC (260) ("5GC" 로서 또한 지칭됨) 는 코어 네트워크 (즉, NGC (260)) 를 형성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동작하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AMF) (264), 사용자 평면 기능 (UPF) (262), 세션 관리 기능 (SMF) (266), SLP (268), 및 LMF (270) 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평면 기능들로서 기능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263) 및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265) 는 ng-eNB (224) 를 NGC (260) 에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UPF (262) 및 AMF (264) 에 각각 접속한다. 추가적인 구성에서, gNB (222) 는 또한, AMF (264) 에 대한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265) 및 SMF (262) 에 대한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263) 를 통해 NGC (260) 에 접속될 수도 있다. 추가로, eNB (224) 는, NGC (260) 에 대한 gNB 직접 접속성으로 또는 그 접속성 없이, 백홀 접속 (223) 을 통해 gNB (222) 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뉴 RAN (220) 은 하나 이상의 gNB (222) 만을 가질 수도 있는 한편, 다른 구성들은 ng-eNB들 (224) 및 gNB들 (222) 양자 모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ng-gNB (222) 또는 eNB (224) 중 어느 하나는 UE들 (204) (예컨대, 도 1 에 도시된 UE들 중 임의의 것)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뉴 RAN (220) 의 기지국들은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264) 와 통신하고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 (262) 와 통신한다.
AMF 의 기능들은 등록 관리, 접속 관리, 도달가능성 관리, 이동성 관리, 합법적 인터셉션, UE (204) 와 SMF (266) 사이의 세션 관리 (SM) 메시지들에 대한 전송, SM 메시지들을 라우팅하기 위한 투명 프록시 서비스들, 액세스 인증 및 액세스 인가, UE (204) 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 (SMSF) (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SMS) 메시지들에 대한 전송, 및 보안 앵커 기능성 (SEAF) 을 포함한다. AMF 는 또한 인증 서버 기능 (AUSF) (도시되지 않음) 및 UE (204) 와 상호작용하고, UE (204) 인증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확립되었던 중간 키를 수신한다.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 (USIM) 에 기초한 인증의 경우에, AMF 는 AUSF 로부터 보안 자료를 취출한다. AMF 의 기능들은 또한 보안 컨텍스트 관리 (SCM) 를 포함한다. SCM 은 액세스 네트워크 특정 키들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를 SEAF 로부터 수신한다. AMF 의 기능성은 또한 규제 서비스들을 위한 위치 서비스들 관리, UE (204) 와 위치 관리 기능 (LMF) (270) (위치 서버 (172) 에 대응할 수도 있음) 사이, 뿐만 아니라 뉴 RAN (220) 과 LMF (270) 사이의 위치 서비스들 메시지들에 대한 전송, 진화된 패킷 시스템 (EPS) 과 상호작동하기 위한 EPS 베어러 식별자 할당, 및 UE (204) 이동성 이벤트 통지를 포함한다. 또한, AMF 는 또한 비-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대한 기능성들을 지원한다.
UPF 의 기능들은 인트라-/인터-RAT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의 작용 (적용가능할 때), (도시되지 않는)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상호접속의 외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DU) 세션 포인트로서의 작용,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의 제공, 패킷 검사, 사용자 평면 정책 규칙 시행 (예를 들어, 게이팅, 재지향, 트래픽 스티어링), 합법적 인터셉션 (사용자 평면 수집), 트래픽 사용 리포팅, 사용자 평면에 대한 서비스 품질 (QoS) 핸들링 (예를 들어, UL/DL 레이트 시행, DL 에서의 반사성 QoS 마킹), UL 트래픽 검증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 (SDF) 대 QoS 플로우 맵핑), UL 및 DL 에서의 전송 레벨 패킷 마킹, DL 패킷 버퍼링 및 DL 데이터 통지 트리거링, 및 소스 RAN 노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종료 마커들" 의 전송 및 포워딩을 포함한다.
SMF (266) 의 기능들은 세션 관리, UE 인터넷 프로토콜 (IP) 어드레스 할당 및 관리, 사용자 평면 기능들의 선택 및 제어, 적절한 목적지로 트래픽을 라우팅하기 위한 UPF 에서의 트래픽 스티어링의 구성, QoS 및 정책 시행의 일부의 제어, 및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를 포함한다. SMF (266) 가 AMF (264) 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는 N11 인터페이스로서 지칭된다.
다른 선택적인 양태는 UE들 (204) 에 대한 위치 보조를 제공하기 위해 NGC (260) 와 통신할 수도 있는 LMF (27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LMF (270) 는 복수의 별개의 서버들 (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버들, 단일의 서버 상의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다중의 물리적 서버들에 걸쳐 확산된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등) 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단일 서버에 각각 대응할 수도 있다. LMF (270) 는 코어 네트워크, NGC (260) 를 통해, 및/또는 인터넷 (예시되지 않음) 을 통해 LMF (270) 에 접속할 수 있는 UE들 (204) 에 대해 하나 이상의 위치 서비스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은 도 1 에서의 기지국들 중 하나 및 UE들 중 하나일 수도 있는 기지국 (102) 및 UE (104) 의 설계 (300) 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기지국 (102) 은 T 개의 안테나들 (334a 내지 334t) 을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고, UE (104) 는 R 개의 안테나들 (352a 내지 352r) 을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일반적으로 T ≥ 1 및 R ≥ 1 이다.
기지국 (102) 에서, 송신 프로세서 (320) 는 하나 이상의 UE들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소스 (312) 로부터 수신하고, UE 로부터 수신된 채널 품질 표시자들 (CQI들)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각각의 UE 에 대한 하나 이상의 변조 및 코딩 방식들 (MCS) 을 선택하고, UE 에 대해 선택된 MCS(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각각의 UE 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싱 (예컨대, 인코딩 및 변조) 하고, 모든 UE들에 대해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320) 는 또한, (예컨대, 준 정적 리소스 파티셔닝 정보 (SRPI) 등에 대한) 시스템 정보 및 제어 정보 (예컨대, CQI 요청들, 승인 (grant) 들, 상위 계층 시그널링 등) 를 프로세싱하고 오버헤드 심볼들 및 제어 심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320) 는 또한 레퍼런스 신호들 (예를 들어, 셀 특정 레퍼런스 신호 (CRS)) 및 동기화 신호들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 (PSS) 및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 (SSS)) 에 대한 레퍼런스 심볼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 (TX)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MO) 프로세서 (330) 는 적용가능할 경우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오버헤드 심볼들, 및/또는 레퍼런스 심볼들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 (예를 들어, 프리코딩) 을 수행할 수도 있고, T 개의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T 개의 변조기들 (MOD들) (332a 내지 332t) 에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기 (332) 는 (예컨대, OFDM 등에 대해) 개별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기 (332) 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로 프로세싱 (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 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변조기들 (332a 내지 332t) 로부터의 T 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T 개의 안테나들 (334a 내지 334t) 을 통해 각각 송신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동기화 신호들은,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위치 인코딩으로 생성될 수 있다.
UE (104) 에서, 안테나들 (352a 내지 352r) 은 기지국 (102) 및/또는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기들 (DEMOD들) (354a 내지 354r) 에 각각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복조기 (354) 는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 (예컨대, 필터링, 증폭, 하향 변환, 및 디지털화) 하여, 입력 샘플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복조기 (354) 는 (예컨대, OFDM 등에 대해) 입력 샘플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MIMO 검출기 (356) 는 모든 R 개의 복조기들 (354a 내지 354r) 로부터의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고, 적용가능하다면, 수신된 심볼들에 대한 MIMO 검출을 수행하며,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수신 프로세서 (358) 는 검출된 심볼들을 프로세싱 (예컨대, 복조 및 디코딩) 하고, UE (104) 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 (360) 에 제공하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 (38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채널 프로세서는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 (RSSI), 레퍼런스 신호 수신 품질 (RSRQ), 채널 품질 표시자 (CQI) 등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UE (104) 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이 하우징에 포함될 수도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 (104) 에서, 송신 프로세서 (364) 는 데이터 소스 (362) 로부터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 (380) 로부터 (예컨대, RSRP, RSSI, RSRQ, CQI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364) 는 또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에 대한 레퍼런스 심볼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364) 로부터의 심볼들은, 적용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 (366) 에 의해 프리코딩되고, (예컨대, DFT-s-OFDM, CP-OFDM 등에 대해) 변조기들 (354a 내지 354r) 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되고, 기지국 (102) 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기지국 (102) 에서, UE (104) 및 다른 UE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 (334) 에 의해 수신되고, 복조기들 (332) 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적용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 (336) 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 프로세서 (338) 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되어, UE (104) 에 의해 전송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수신 프로세서 (338) 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 (339) 에 그리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 (34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2) 은 통신 유닛 (344) 을 포함하고 통신 유닛 (344) 을 통해 위치 서버 (172) 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에 통신할 수도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개재하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서버 (172) 는 통신 유닛 (394), 제어기/프로세서 (390), 및 메모리 (39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2) 의 제어기/프로세서 (340), UE (104) 의 제어기/프로세서 (380), 위치 서버 (172) 일 수도 있는 위치 서버 (172) 의 제어기 (390), 및/또는 도 3 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차별적인 방식으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것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104) 의 제어기/프로세서 (380), 위치 서버 (172) 의 제어기 (390), 기지국 (102) 의 제어기/프로세서 (340), 및/또는 도 3 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는 예를 들어,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 의 프로세스들 (1400, 1500, 1600, 및 1700),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프로세스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거나 지시할 수도 있다. 메모리들 (342, 382, 및 392) 은 각각, 기지국 (102), UE (104), 및 위치 서버 (172) 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메모리 (342) 및/또는 메모리 (382) 및/또는 메모리 (392) 는 무선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UE (104), 위치 서버 (172), 및/또는 기지국 (102) 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경우, 예를 들어,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 의 프로세스들 (1400, 1500, 1600, 및 1700)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프로세스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거나 지시할 수도 있다. 스케줄러 (346) 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 은 예로서 제공된다. 다른 예들은 도 3 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것과 상이할 수도 있다.
특정 구현들에서, UE (104) 는 GPS 또는 다른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들 (SPS들) 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대한 측정치들, 기지국들 (102) 과 같은 셀룰러 트랜시버들에 대한 측정치들, 및/또는 로컬 트랜시버들에 대한 측정치들과 같은 위치 관련 측정치들 (위치 측정치들로서 또한 지칭됨) 을 획득할 수 있는 회로부 및 프로세싱 리소스들을 가질 수도 있다. UE (104) 는 이들 위치 관련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UE (104) 의 포지션 픽스 또는 추정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회로부 및 프로세싱 리소스들을 추가로 가질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UE (104) 에 의해 획득된 위치 관련 측정치들은 위치 서버 (172), 위치 서버들 (230a, 230b), 또는 LMF (270) 와 같은 위치 서버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그 후 위치 서버는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UE (104) 에 대한 위치를 추정하거나 결정할 수도 있다.
UE (104) 에 의해 획득된 위치 관련 측정치들은 GPS, GLONASS, Galileo 또는 Beidou 와 같은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 (GNSS) 또는 SPS 의 일부인 위성 비행체 (satellite vehicle; SV) 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측정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및/또는 (예를 들어, 기지국 (102) 또는 다른 로컬 트랜시버들과 같이) 알려진 위치들에 고정된 지상 송신기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측정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다음, UE (104) 또는 별개의 위치 서버 (예컨대, 위치 서버 (172)) 는, 예를 들어, GNSS, 보조형 GNSS (A-GNSS), AFLT (Advanced Forward Link Trilateration), 관측된 도달 시간 차이 (OTDOA), 강화된 셀 ID (ECID), TDOA, AoA, AoD, 멀티-RTT, 또는 이들의 조합들과 같은 여러 포지션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를 사용하여 이들 위치 관련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UE (104) 에 대한 위치 추정치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들 기법들 (예를 들어, A-GNSS, AFLT 및 OTDOA) 중 일부에서, 의사범위들 또는 타이밍 차이들은, 파일럿 신호들,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 (PRS) 또는 송신기들 또는 SV들에 의해 송신되고 UE (104) 에서 수신된 다른 포지셔닝 관련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알려진 위치들에 고정된 3 개 이상의 지상 송신기들에 대해 또는 정확하게 알려진 궤도 데이터를 갖는 4 개 이상의 SV들에 대해,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대해, UE (104) 에 의해 측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위치 서버 (172), 위치 서버들 (230a, 230b), 또는 LMF (270) 와 같은 위치 서버들은 A-GNSS, AFLT, OTDOA TDOA, AoA, AoD, 멀티-RTT, 및 ECID 와 같은 포지셔닝 기법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UE (104) 에 의해 측정될 신호들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예상 신호 타이밍, 신호 코딩, 신호 주파수들, 신호 도플러), 지상 송신기들의 위치들 및/또는 아이덴티티들, 및/또는 GNSS SV들에 대한 신호, 타이밍 및 궤도 정보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UE (104) 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용이하게 하는 것은 UE (104) 에 의한 신호 포착 및 측정 정확도를 개선하는 것 및/또는 일부 경우들에서, UE (104) 로 하여금 위치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그의 추정된 위치를 계산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서버는 셀룰러 트랜시버들 및 송신기들 (예를 들어, 기지국들 (102)) 및/또는 특정 장소와 같은 특정 지역 또는 지역들 내의 로컬 트랜시버들 및 송신기들의 위치들 및 아이덴티티들을 표시하는 알마낙 (예를 들어, 기지국 알마낙 (Base Station Almanac; BSA)) 을 포함할 수도 있고, 신호 전력, 신호 타이밍, 신호 대역폭, 신호 코딩 및/또는 신호 주파수와 같은 이들 트랜시버들 및 송신기들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들을 설명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ECID 의 경우에, UE (104) 는 셀룰러 트랜시버들 (예를 들어, 기지국들 (102)) 및/또는 로컬 트랜시버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대한 신호 강도의 측정치들 (예를 들어, 수신 신호 강도 표시 (RSSI) 또는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을 획득할 수도 있고 및/또는 UE (104) 와 셀룰러 트랜시버 (예를 들어, 기지국들 (102)) 또는 로컬 트랜시버 사이의 왕복 신호 전파 시간 (RTT), 신호 대 노이즈 비 (S/N), 또는 레퍼런스 신호 수신 품질 (RSRP) 을 획득할 수도 있다. UE (104) 는 이들 측정치들을, UE (105) 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위치 서버로 전달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일부 구현들에서, UE (104) 는 UE (104) 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들 측정치들을, 위치 서버로부터 수신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 (예를 들어, 지상 알마낙 데이터 또는 GNSS SV 데이터, 에컨대 GNSS 알마낙 및/또는 GNSS 에페메리스 정보) 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UE (104) 의 위치의 추정치는 위치, 위치 추정치, 위치 픽스, 픽스, 포지션, 포지션 추정치, 또는 포지션 픽스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측지적일 수도 있으며, 따라서, 고도 컴포넌트 (예컨대, 해수 레벨 위의 높이, 지상 레벨 위의 높이 또는 아래의 깊이, 플로어 레벨, 또는 지하 레벨) 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UE (104) 에 대한 위치 좌표들 (예컨대, 위도 및 경도) 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UE (104) 의 위치는 시빅 (civic) 위치로서 (예컨대, 특정 룸 또는 층과 같은 건물 내의 일부 포인트 또는 작은 영역의 지정자 또는 우편 주소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UE (104) 의 위치는 또한 불확실성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다음에 UE (104) 가 일부 주어진 또는 디폴트 확률 또는 신뢰도 레벨 (예컨대, 67%, 95% 등) 로 로케이팅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 또는 볼륨 (측지적으로 또는 시빅 형태로 정의됨) 으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UE (104) 의 위치는 또한 절대 위치 (예를 들어, 위도, 경도 및 가능하게는 고도 및/또는 불확실성의 관점에서 정의됨) 일 수도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거리 및 방향 또는 알려진 절대 위치에서 일부 원점에 대해 정의된 상대 X, Y (및 Z) 좌표들을 포함하는 상대 위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설명에서, 용어 위치의 사용은,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들 변형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 (104) 에 대한 위치 추정치를 결정 (예를 들어, 계산) 하는데 사용되는 측정치들 (예를 들어, UE (104) 에 의해 또는 기지국 (102) 과 같은 다른 엔티티에 의해 획득됨) 은 측정치들, 위치 측정치들, 위치 관련 측정치들, 포지셔닝 측정치들 또는 포지션 측정치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UE (104) 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는 액트는 UE (104) 의 포지셔닝 또는 UE (104) 를 로케이팅하는 것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 (PRS) 포지셔닝 오케이전들을 갖는 예시적인 서브프레임 시퀀스 (400) 의 구조를 도시한다. 서브프레임 시퀀스 (400) 는 기지국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지국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PRS 신호들의 브로드캐스트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 시퀀스 (400) 는 LTE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수도 있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브프레임 시퀀스는 5G 및 NR 과 같은 다른 통신 기술들/프로토콜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 에서, 시간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수평으로 (예를 들어, X 축 상에서) 표현되는 한편, 주파수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주파수가 증가 (또는 감소) 함에 따라 수직으로 (예를 들어, Y 축 상에서) 표현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및 업링크 무선 프레임들 (410) 은 각각 10 밀리초 (ms) 지속기간의 것일 수도 있다. 다운링크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DD) 모드에 대해, 무선 프레임들 (410) 은, 예시된 예에 있어서, 각각 1 ms 지속기간의 10 개의 서브프레임들 (412) 로 조직화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412) 은 각각 예를 들어, 0.5ms 지속시간의 2 개의 슬롯들 (414) 을 포함한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이용가능한 대역폭은 균일하게 이격된 직교 서브캐리어들 (416) ("톤들" 또는 "빈들" 로서 또한 지칭됨) 로 분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들 (416) 은, 예를 들어 15 kHz 간격을 사용하는 정상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 (CP) 에 대해, 열두 (12) 개의 서브캐리어들의 그룹으로 그룹화될 수도 있다. 시간 도메인에서의 하나의 OFDM 심볼 길이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하나의 서브캐리어의 리소스 (서브프레임 (412) 의 블록으로서 표현됨) 는 리소스 엘리먼트 (RE) 로서 지칭된다. 12 개의 서브캐리어들 (416) 및 14 개의 OFDM 심볼들의 각각의 그룹화는 리소스 블록 (RB) 으로 지칭되며, 위의 예에서, 리소스 블록에서의 서브캐리어들의 수는
Figure pct00001
로서 기입될 수도 있다. 주어진 채널 대역폭에 대해, 송신 대역폭 구성 (422) 으로 또한 지칭되는 각각의 채널 (422) 상에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 블록들의 수는
Figure pct00002
로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위의 예에서 3 MHz 채널 대역폭에 대해, 각각의 채널 (422) 상에서의 이용가능한 리소스 블록들의 수는
Figure pct00003
에 의해 주어진다. 리소스 블록의 주파수 컴포넌트 (예를 들어, 12 개의 서브캐리어들) 는 물리 리소스 블록 (PRB) 으로서 지칭됨을 유의한다.
기지국은 UE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UE들 중 임의의 것) 포지션 추정을 위해 측정되고 사용될 수도 있는, 도 4 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프레임 구성들에 따라 PRS 신호들 (즉, 다운링크 (DL) PRS) 을 지원하는, 무선 프레임들 (예를 들어, 무선 프레임들 (410)), 또는 다른 물리 계층 시그널링 시퀀스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른 타입들의 무선 노드들 (예를 들어,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DAS), 원격 무선 헤드 (RRH), UE, AP 등) 이 또한 도 4 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또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 PRS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PRS 신호들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집합은 "PRS 리소스" 로서 지칭된다.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집합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다중의 PRB들에 및 시간 도메인에서의 슬롯 (414) 내의 N 개 (예를 들어, 1 이상) 의 연속적인 심볼(들)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들 (414) 에서의 크로스-해칭된 리소스 엘리먼트들은 2 개의 PRS 리소스들의 예들일 수도 있다. "PRS 리소스 세트" 는 PRS 신호들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PRS 리소스들의 세트이며, 여기서, 각각의 PRS 리소스는 PRS 리소스 식별자 (ID) 를 갖는다. 추가로, PRS 리소스 세트에서의 PRS 리소스들은 동일한 송신-수신 포인트 (TRP) 와 연관된다. PRS 리소스 세트에서의 PRS 리소스 ID 는 단일의 TRP 로부터 송신된 단일의 빔과 연관된다 (여기서, TRP 는 하나 이상의 빔들을 송신할 수도 있음). 이는, 신호들이 송신되는 빔들 및 TRP들이 UE 에 알려져 있는지 여부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음을 유의한다.
PRS 는, 포지셔닝 오케이전들로 그룹화되는 특수 포지셔닝 서브프레임들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PRS 오케이전은, PRS 가 송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주기적으로 반복된 시간 윈도우 (예를 들어, 연속적인 슬롯(들)) 의 하나의 인스턴스이다. 각각의 주기적으로 반복된 시간 윈도우는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PRS 오케이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PRS 오케이전은 연속적인 포지셔닝 서브프레임들의 수 N PRS 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지원된 셀에 대한 PRS 포지셔닝 오케이전들은 밀리초들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수 T PRS 로 표기된, 간격들로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도 4 는 N PRS 가 4 와 동일하고 (418) T RPS 가 20 이상인 (420) 포지셔닝 오케이전들의 주기성을 예시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T PRS 는 연속적인 포지셔닝 오케이전들의 시작 사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의 관점에서 측정될 수도 있다. 다중의 PRS 오케이전들이 동일한 PRS 리소스 구성과 연관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그러한 오케이전은 "PRS 리소스의 오케이전" 등으로서 지칭된다.
PRS 는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PRS 는 또한 제로 전력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즉, 뮤팅됨). 정기적으로 스케줄링된 PRS 송신을 턴 오프하는 뮤팅은, 상이한 셀들 사이의 PRS 신호들이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시간에 발생함으로써 오버랩될 때 유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부 셀들로부터의 PRS 신호들은, 다른 셀들로부터의 PRS 신호들이 (예컨대, 일정한 전력으로) 송신되는 동안 뮤팅될 수도 있다. 뮤팅은 (뮤팅된 PRS 신호들로부터의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뮤팅되지 않은 PRS 신호들의, UE들에 의한, 신호 포착 및 도달 시간 (TOA) 및 레퍼런스 신호 시간 차이 (RSTD) 측정을 도울 수도 있다. 뮤팅은 특정 셀에 대한 주어진 포지셔닝 오케이전에 대한 PRS 의 비-송신으로서 보여질 수도 있다. 뮤팅 패턴들 (뮤팅 시퀀스들로서 또한 지칭됨) 은 비트 스트링들을 사용하여 UE 에 (예컨대, LTE 포지셔닝 프로토콜 (LPP) 을 사용하여)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뮤팅 패턴을 표시하기 위해 시그널링된 비트 스트링에서, 포지션 j 에서의 비트가 '0' 으로 설정되면, UE 는 PRS 가 j 번째 포지셔닝 오케이전에 대해 뮤팅되는 것으로 추론할 수도 있다.
PRS 의 가청성을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 포지셔닝 서브프레임들은 사용자 데이터 채널들 없이 송신되는 낮은 간섭 서브프레임들일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이상적으로 동기화된 네트워크들에서, PRS 는 동일한 PRS 패턴 인덱스를 갖는 (즉, 동일한 주파수 시프트를 갖는) 다른 셀들의 PRS 에 의해 간섭될 수도 있지만, 데이터 송신들로부터는 아니다. 주파수 시프트는 셀 또는 다른 송신 포인트 (TP) 에 대한 PRS ID 의 함수 (
Figure pct00004
로 표기됨) 로서 또는 PRS ID 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물리 셀 식별자 (PCI) 의 함수 (
Figure pct00005
로 표기됨) 로서 정의될 수도 있으며, 이는 육 (6) 의 유효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초래한다.
또한 PRS 의 가청성을 개선하기 위해 (예컨대, PRS 대역폭이 1.4 MHz 대역폭에 대응하는 오직 6 개의 리소스 블록들로와 같이 제한될 때), 연속적인 PRS 포지셔닝 오케이전들 (또는 연속적인 PRS 서브프레임들) 에 대한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홉핑을 통해 알려지고 및 예측가능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에 의해 지원된 셀은 하나 초과의 PRS 구성을 지원할 수도 있고, 여기서 각각의 PRS 구성은 별개의 주파수 오프셋 (vshift), 별개의 캐리어 주파수, 별개의 대역폭, 별개의 코드 시퀀스, 및/또는 포지셔닝 오케이전 당 특정 수의 서브프레임들 (N PRS ) 및 특정 주기성 (T PRS ) 을 갖는 PRS 포지셔닝 오케이전들의 별개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에서, 셀에서 지원된 PRS 구성들 중 하나 이상은 지향성 PRS 를 위한 것일 수도 있고, 그 다음, 별개의 송신 방향, 별개의 수평 각도 범위 및/또는 별개의 수직 각도 범위와 같은 추가적인 별개의 특성들을 가질 수도 있다.
PRS 송신/뮤팅 스케줄을 포함하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PRS 구성은 UE 로 하여금 PRS 포지셔닝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UE 에게 시그널링된다. UE 는 PRS 구성들의 검출을 블라인드로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용어들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 및 "PRS" 는 때때로, LTE/NR 시스템들에서 포지셔닝을 위해 사용되는 특정 레퍼런스 신호들을 지칭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들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 및 "PRS" 는 포지셔닝을 위해 의도되는 임의의 타입의 레퍼런스 신호를 지칭한다. 주 목적이 제어 또는 통신과 같은, 포지셔닝과 관련되지 않은 다운링크 (DL) 또는 사이드링크 (SL) 신호들은, 본 명세서에서 비-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 (비-PRS) 로서 지칭된다. 비-PRS 의 예들은 SSB, TRS, CSI-RS, PDSCH, DM-RS, PDCCH, PSSCH, 및 PSCCH 와 같은 PHY 채널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포지셔닝과 관련되지 않은 목적들을 위해 송신되는 비-PRS 신호들은,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포지셔닝 측정에서, 포지셔닝 목적들을 위해 UE 에 의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위에서 논의되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DL PRS 와 유사하게, UE 는 포지셔닝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UL 또는 SL 비-PRS 뿐만 아니라 포지셔닝을 위한 UL PRS 를 송신할 수도 있다. UL PRS 는, 예를 들어, 포지셔닝을 위한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들 (SRS) 일 수도 있다.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DL PRS 또는 비-PRS 또는 다른 UE들로부터의 SL 시그널링, 및/또는 기지국들로 송신된 UL PRS 또는 비-PRS 또는 다른 UE들로의 SL 을 사용하여, UE 는 도달 시간 차이 (TDOA) 포지셔닝 기법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 시간 차이 (RSTD) 측정들, TDOA, 출발 각도 (AoD), 도달 각도 (AoA), 및 왕복 시간 (RTT) 또는 멀티 셀 RTT (멀티-RTT) 포지셔닝 기법들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측정들, 멀티-RTT 포지셔닝 기법을 위한 신호들의 수신 및 송신 사이의 시간 차이 (Rx-Tx) 등과 같은 다양한 포지셔닝 측정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포지셔닝 기술들은 DL, UL 또는 SL PRS 에 의존하며, 이는 또한 DL, UL, 또는 SL 비-PRS 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 신호를 사용하는 포지셔닝 기술들은 다운링크 기반 포지셔닝, 업링크 기반 포지셔닝, 및 결합된 다운링크 및 업링크 기반 포지셔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기반 포지셔닝은 DL-TDOA 및 DL-AoD 와 같은 포지셔닝 방법들을 포함한다. 업링크 기반 포지셔닝은 UL-TDOA 및 UL-AoA 와 같은 포지셔닝 방법을 포함한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 기반 포지셔닝은 하나 이상의 이웃 기지국과의 RTT (멀티-RTT) 와 같은 포지셔닝 방법을 포함한다. PRS 에 의존하지 않는 방법들을 포함하여, 다른 포지셔닝 방법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강화된 셀-ID (E-CID) 는 무선 리소스 관리 (RRM) 측정들에 기초한다.
현재, PRS 빔들에 대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는 각각의 DL-PRS 리소스 (빔) 의 방위각 및 고도각 (elevation angles) 을 포함하지만, 어떠한 빔 폭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 PRS 빔 폭의 지식 (또한 사이드 로브 또는 백 로브 정보와 같은 일부 다른 빔 패턴 정보) 은 DL PRS 빔들을 수신하는 것을 돕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UE 절전의 목적을 위해 UE Rx 안테나의 적응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S 빔이 광각 빔인 경우, 단일의 안테나를 갖는 UE 수신기는 고품질 포지셔닝 측정을 달성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따라서, UE 는 전력 소모를 절약하도록 단일의 Rx 안테나 (또는 감소된 수의 Rx 안테나들) 로 그의 수신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다수의 포지셔닝 접근법들이 3GPP 에서 지원된다. 릴리스 16 에서, 네트워크, 예를 들어, 위치 서버 (172) 로부터 UE (104) 로의 보조 데이터는 3GPP 38.455 의 NR 포지셔닝 프로토콜 (NRPP) 또는 3GPP 37.355 의 LTE 포지셔닝 프로토콜 (LPP) 내에서 제공된다. 포지셔닝을 위한 여러 gNB 측각 (side angle) 추정 접근법들이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DL) AoD 기반 접근법은, 상이한 gNB 송신 포지셔닝 레퍼런스 심볼 (PRS) 빔들의 빔 형상들의 지식을, DL AoD 를 추정하기 위해 UE 에서의 이들 PRS들을 갖는 수신된 RSRP들의 지식과 함께 사용한다. 이 추정은 UE 가 측정된 RSRP들을 보고하는 "UE-보조" 모드의 위치 서버 (172) 에서와 같이 네트워크 측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UE-기반" 모드에서, 예를 들어, 보조 데이터에서 PRS 와 함께 사용된 AoD 를 포함하여, 빔 형상들을 통지받는 UE (104) 에서 추정이 발생할 수도 있고, UE (104) 는 수신된 DL 빔의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고, 그로부터 DL AoD 가 결정될 수도 있고, 위치 추정치가 생성될 수도 있다. 현재, 빔의 조준 방향 (boresight direction) 만이 보조 데이터에 표시된다.
다른 예로서, 업링크 (UL) AoA 기반 접근법은, 기지국들 (102) 에서의 UE 의 업링크 송신들 (예를 들어, SRS) 의 측정치에 기초하여, gNB 또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위치 서버 (172) 에 의해 UE (105) 의 위치를 추정한다. 기지국은 그의 추정된 AoA 를 위치 서버 (172) 에 보고하고, 이는 글로벌 좌표 시스템 (GCS) 또는 로컬 좌표 시스템 (LCS) 에서 보고될 수도 있다. 보고는 방위각과 고도각에 대해 상이할 수도 있다.
도 5 는 예로서, UE (104) 에 의해 수행되는 DL-AoD 절차 (500) 를 예시한다. gNB 일 수도 있는 기지국 (102) 은, 각각 PRS#1, PRS#2, 및 PRS#3 으로 라벨링된 빔들 (502, 504 및 506) 로 예시된, 빔 스위핑 방식으로 PRS 리소스들을 송신한다. UE (104) 는 빔포밍된 수신 빔 (512) 을 사용하여, PRS 빔들 (502, 504, 및 506) 에 의해 예시되는 각각의 PRS 리소스의 RSRP 를 측정할 수도 있다. 각각의 PRS 빔 (502, 504, 및 506) 에 대한 측정된 RSRP 는, 개별의 그래프들 (503, 505, 및 507) 에 의해 예시되며, 바 (bar) 의 높이는 각각의 개별의 PRS 빔에 대한 RSRP 에 비례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102) 과 UE (104) 사이의 시선 (line of sight; LOS) (510) 과 가장 밀접하게 정렬된 PRS 빔 (506) 은 가장 큰 RSRP 를 갖는다. PRS 빔들 (502 및 504) (PRS#1 및 PRS#2) 은 LOS (510) 와 정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RSRP들이 관찰된다. 대조적으로, PRS 빔 (506) (PRS#3) 은 LOS (510) 와 밀접하게 정렬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RSRP 가 관찰된다.
UE-보조 모드에서, UE (104) 는 LPP 프로토콜을 통한 측정된 RSRP들을 위치 서버 (172), 예를 들어, 위치 서버 (172) 에 보고하고, 여기서 대응하는 AoD들이 추정되고 UE (104) 의 포지션 계산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측정된 RSRP들에 기초하여, UE (104) 에 대한 LOS (510) 와 가장 밀접하게 정렬된 PRS 리소스가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PRS 소스의 방향성은 위치 서버 (172) 에 의해 알려지고, 이에 따라, 기지국 (102) 에 대한 UE (104) 의 방향은 가장 높은 RSRP 를 갖는 PRS 리소스의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RSRP 는 UE (104) 와 기지국 (102) 사이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 (102) 에 대한 방향 및 거리 양자 모두가 결정되어 UE (104) 의 추정된 포지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UE-기반 모드에서, UE (104) 는 UE (104) 의 추정된 포지션을 계산하기 위해 PRS 빔 정보 (예를 들어, 빔 방위각, 고도), 및 TRP 지리적 위치들을 포함한, 위치 서버 (172) 에 의해 제공된, 보조 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a 는 예로서, 단일의 기지국 (102) 에 의해 수행되는 UL-AoA 절차 (600) 를 예시한다. AoA 측정은 다수의 수신 빔들 (610) 을 생성하는 위상 어레이와 같은 지향성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여 기지국 (102) 에 의해 생성되며, 이는 UE 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어 SRS 신호가 송신되었던 방향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105) 로부터의 가장 강한 신호를 갖는 수신 빔 (610) 은 UE (104) 로부터의 신호가 송신되었던 방향과 정렬될 가능성이 있다. 도 6a 는 불확실성 (603) 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신호를 UE (105) 가 송신하는 AoA 측정치 (602) 를 예시한다. 단일의 기지국 (110) 은 예를 들어, 범위 추정치 (604) 와 결합될 때 AoA 측정치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RTT 를 사용하여, UE (105) 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6b 는 예로서, 다수의 기지국들 (102-1 및 102-2) 에 의해 수행되는 UL-AoA 절차 (650) 를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개별의 기지국들 (102-1 및 102-2) 에 의해 결정된 AoA 측정치들 (651 및 652) 은 UE (105) 의 포지션에서 교차한다.
도 7 은 mmW 소형 셀 안테나 패널 (702) 에 의해 생성된 좁은 빔들의 예를 예시한다. 안테나 패널 (702) 은 다수의 별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별개의 안테나들은, 송신기로부터 올바른 위상 관계로 RF 전류를 제공받아 별개의 안테나들로부터의 무선파들이 함께 가산되어, 원치않는 방향들에서의 방사를 억제하도록 소거하면서 원하는 방향에서의 방사를 증가시켜, 빔을 생성한다. 빔은 안테나 패널 (702) 을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예를 들어, 방위각 및 고도각을 변경하여, 상이한 방향들로 포인팅하도록 스티어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은 0° 로부터, ±90°, 180° 까지의 방위각들, 및 0° 로부터, ±90°, 180° 까지의 고도각들을 도시하는 구 (700) 의 중심에 있는 안테나 패널 (702) 을 예시한다. 안테나 패널 (702) 은 빔들 (704, 706, 및 708) 로서 예시된 빔들을 다양한 각도들에서 생성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안테나 패널 (702) 은 120° 의 방위각 스팬 및 60° 의 고도 스팬을 생성할 수도 있다. 안테나 패널 (702) 에 존재하는 개별 안테나들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생성된 빔들의 폭이 감소될 수도 있다. 기지국들에서의 초기 링크 포착은 세컨더리 동기화 블록들 (SSB들) 에서 빔포밍된 송신들을 통해 수행된다. SSB 스테이지를 넘어서는 빔 정제는 채널 상태 정보 레퍼런스 신호들 (CSI-RS들) 또는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들 (SRS들) 을 통해 수행된다. 이들 스테이지들은 기지국 및 사용자 단 (user end) 들 양자 모두에서 정제된 빔들을 야기한다.
안테나 패널 (702) 에 의해 사용된 것과 같은 초광 대역폭들에 걸친 위상 어레이 빔포밍은 때때로 빔 스퀸팅 (beam squinting) 으로서 지칭되는 신호 방향 변경/오프셋을 겪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빔 스퀸팅은, 동작 주파수의 함수로서 빔 방향이 변경되게 한다. 추가적으로, 빔들은 편파 부정합 (polarization mismatch) 들, 기본 패턴 변화들, 소형 어레이 사이즈들, 교정 장애들, 안테나 어레이 하우징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백플레인, 측면 베젤 등) 의 효과로 인한 공간 거동의 주파수 의존적 왜곡들 등을 겪을 수도 있다. 더욱이, 이득 및 방향의 왜곡 효과들은 메인 로브 뿐만 아니라 측면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 는 예를 들어, 각각 57 GHz 또는 71 GHz 에서 어레이 간격 d = λ/2 인 16×1 안테나 어레이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dB 단위) 을 그래픽으로 예시한다. 이들 고정 어레이들은 57-71 GHz 범위에 걸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 에서, 주파수들 57-71 GHz 에서의 어레이 이득은 3 개의 별개의 곡선들로 예시되는데, 예를 들어, 곡선 (802) 은 57 GHz 에서의 어레이 이득을 나타내고, 곡선 (804) 은 61 GHz 에서의 어레이 이득을 나타내고, 곡선 (806) 은 71 GHz 에서의 어레이 이득을 나타낸다. 안테나 어레이는 사이즈-12 코드북으로 조준 방향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50° 를 커버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57 또는 71 GHz 를 위해 설계된 코드북에 의한 어레이 이득 성능은 도 8a 및 도 8b 에서 주파수 변화들로서 예시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7 GHz 가 실선 곡선 (802) 으로 예시되고, 61 GHz 가 쇄선 곡선 (804) 으로 예시되고, 71 GHz 가 파선 곡선 (806) 으로 예시되는 주파수들 57-71GHz 에 걸친 어레이 이득은, 어느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 설계에 대한 공간 디멘젼 (spatial dimension) 에 대해 잘 정렬되지 않는다. 어레이 이득이 공간 디멘젼들에 대해 잘 정렬되었다면, 곡선들 (802, 804, 및 806) 의 피크들은 모든 각도들에 대해 정렬될 것이지만, 도 8a 및 도 8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곡선들 (802, 804, 및 806) 의 피크들은 0° 에서 정렬되고 더 큰 각도들에서 정렬을 상실한다. 다시 말해서, 빔들은 (설계와는 관계없이) 주파수와 잘 상관되지 않는다. 상이한 빔 인덱스는 본 예에서 예를 들어, ±50° 를 중심으로, 특히 커버리지의 에지를 향해,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에서 더 잘 작동할 수도 있다. 관심 각도에 의존하여, 57 GHz (곡선 (802)) 또는 71 GHz (곡선 (806))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빔들이 더 양호할 수도 있고, 이득 차이들은 ~2-3 dB 로 상당할 수도 있다. 더 작은 코드북 사이즈는 중심 주파수 fc = 71 GHz 에서 fc = 57 GHz 로 커버된 것과 동일한 영역을 커버하기에 충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간 각도들 (빔 패턴/형상) 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는 일반적으로,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빔 스퀸팅 효과들로 인해 주파수에 따라 드리프트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들 57 GHz 내지 71 GHz 사이의 초광대역 커버리지의 경우, 어레이 이득 분포에 대한 빔 스퀸팅 효과들이 두드러지며, 예를 들어, 52.6 GHz 내지 114.25 GHz 대역들의 주파수 대역들의 커버리지에서 훨씬 더 두드러질 것이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은 편파 부정합들, 기본 패턴 변화들, 소형 어레이 사이즈들, 교정 왜곡들, 안테나 어레이 하우징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백플레인, 측면 베젤 등) 의 효과를 포함한 공간 거동의 주파수 의존적 왜곡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빔 스퀸팅의 효과들은 각도 관련 포지셔닝 측정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캐리어 주파수에서의 빔 가중치들의 고정 세트를 사용하는 포지셔닝은 그 주파수에서의 소정의 AoD 또는 AoA 추정치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FR4 의 코드북들과 같이 소정의 방향을 향해 빔을 스티어링하는데 필요한 위상 시프터 및 이득 제어 조합들에 대응하는 동일한 세트의 빔 가중치들은 변경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이한 주파수에서의 상이한 AoD 또는 AoA 추정치에 대응한다. 동일한 빔 가중치가 주파수들에 걸쳐 양호한 RSRP들에 대응하면, AoD 또는 AoA 는 사용되는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추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 를 참조하면, 특히 커버리지의 에지에서의, 상이한 주파수들의 피크들 (예를 들어, 곡선들 (802 및 806)) 은, 서로 정렬되지 않고 상당히 상이한 각도들을 표시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일 구현에서, 포지셔닝에 대한 상기의 효과들을 보상하는 것은 송신 (Tx) 및/또는 수신 (Rx) 빔 패턴 또는 형상 (예를 들어,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을 포지션 추정을 보조하는 네트워크 내의 노드, 예를 들어, UE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UE 또는 UE 보조 포지셔닝을 위한 위치 서버로 전달하는 것이다. 관심 주파수는 적어도 UE 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 (BWP), 리소스 블록들 (RB들) 의 세트, 또는 컴포넌트 캐리어 주파수들의 세트일 수도 있다. 포지션 추정을 보조하는 노드는 LMF, eSMLC,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기지국 또는 RAN 과 코-로케이팅되거나 임베딩된 LMF-유사 기능성), 또는 서빙 기지국 (예를 들어, UE 가 통신하고 있는 gNB/TRP) 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코어 네트워크 내의 LMF 및 RAN 또는 기지국에 임베딩된 LSS 가 있을 수도 있고, LMF 는 포지셔닝 기능성을 LSS 에 상이한 정도로 '오프로딩' 할 수도 있다.
초광 대역폭, 예를 들어, 57 GHz 내지 71 GHz 또는 그 이상, 예컨대 FR4 에 대해 제안된 바와 같은 52.6 GHz 내지 114.25 GHz 의 경우, 더 많은 샘플링 주파수들이 있기 때문에,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송신 (Tx) 및/또는 수신 (Rx) 빔 패턴 또는 형상을 전달하기 위해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 접근법은 초광대역인 BWP 에 대해 높은 오버헤드들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포지셔닝을 위한 송신 (Tx) 및/또는 수신 (Rx) 빔 패턴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전달하기 위한 낮은 오버헤드 접근법이 요망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기지국들에 대한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초광대역 BWP 일 수도 있는 UE 에 대한 활성 BWP 에 걸쳐 "더 작은 청크" 의 함수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더 작은 청크" 는 소정의 선험적이고 적절하게 구성된 사이즈의 서브-대역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성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BWP 사이즈 등과 같은 UE 파라미터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파라미터들은 UE 에 의해, 예를 들어, 능력 응답 메시지에서 위치 서버 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제공될 수도 있다. 더욱이, "더 작은 청크" 의 사이즈는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주파수들의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예를 들어 UE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기지국들에 대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 또는 청크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 (aggregation) 또는 평균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은 초광대역 BWP 일 수도 있는 UE (104) 의 활성 BWP 에 걸쳐 있는 복수의 서브-대역들에 대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은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가중 평균화일 수도 있다. 가중 평균화에 사용되는 가중치들은 예를 들어, 서브-대역들의 사이즈들에 대응하는 가중치들일 수도 있다.
다른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기지국들에 대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대역들은 초광대역 BWP 일 수도 있는 UE (104) 의 활성 BWP 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구현들에서, 사용되는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의 타입은 포지셔닝 세션들 또는 포지셔닝 세션 내의 포지셔닝 측정치들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세트의 보조 데이터는 제 1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예를 들어, 상기 논의된 타입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한편, 제 2 세트의 보조 데이터는 상이한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어레이 게인 분포 변화의 타입에 대한 트레이드오프들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일의 서브-대역, 또는 청크, 또는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이 초광 대역폭 BWP 에 걸쳐 있도록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높은 시그널링, 보조 데이터, 오버헤드를 야기할 수도 있지만, 더 나은 성능을 야기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복수의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의 집성인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상대적으로 더 열악한 성능을 야기할 수도 있지만, 더 낮은 시그널링, 보조 데이터, 오버헤드를 가질 것이다. 사용되는 접근법은 UE (104) 능력, UE (104) 가 빔 패턴 시그널링을 핸들링하는 능력, 보조 데이터 오버헤드에 의존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접근법은 또한 사용되는 시그널링, 및/또는 레이턴시 요건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낮은 레이턴시 접근법들은 더 큰 페이로드들을 물론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는 L1/L2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더 낮은 오버헤드 솔루션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한편 L3 (RRC) 시그널링은 더 높은 오버헤드/페이로드들을 허용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접근법은 또한 포지셔닝 정확도 요건들에 의존할 수도 있다. 다양한 접근법들은 예를 들어, DL AoD 측정들을 위한 송신 (Tx) 빔 패턴, 및 예를 들어, UL AoA 측정들을 위한 수신 (Rx) 빔 패턴 양자 모두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 는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다양한 타입들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도시한다. 도 9a, 도 9b, 및 도 9c 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에 대한 할당된 주파수 (FR) 는 화살표 (902) 에 의해 예시된다. UE (104) 에 대한 활성 대역폭 부분 (BWP) (904) 은 기지국의 할당된 주파수 (FR) 의 단지 일부일 수도 있다.
도 9a 는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912) 가 기지국에 대한 할당된 대역폭 (902) 의 단일의 서브-대역 (914) 으로서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공될 수도 있는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의 타입 (910) 을 예시한다. 서브-대역 (914) 의 사이즈, 예를 들어, 서브-대역 (914) 에서의 주파수들의 범위는, UE 의 데이터 레이트, UE 의 능력, 및 UE 에서의 활성 BWP 사이즈 (904) 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서브-대역 (914) 의 사이즈는 동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보조 데이터의 상이한 인스턴스들에서 변할 수도 있다.
도 9b 는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922) 가 예를 들어, 기지국에 대한 할당된 대역폭 (902) 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 (924A, 924B, 942C, 924D, 및 924D) (때때로 집합적으로 서브-대역들 (924) 로서 지칭됨) 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화살표 (922) 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평균으로서의, 집성이라는 점에서 제공될 수도 있는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의 타입 (920) 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예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 (922) 은 초광대역 BWP 일 수도 있는 UE (104) 의 활성 BWP (904) 에 걸쳐 있는 복수의 서브-대역들 (924) 에 대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 (922) 은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 (924) 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가중 평균화일 수도 있고, 여기서 가중 평균화에 사용되는 가중치들은 서브-대역들의 사이즈들, 또는 다른 팩터들, 예컨대 BWP (904) 내의 서브-대역들 (924) 위치에 기초할 수도 있다.
도 9c 는 기지국에 대한 할당된 대역폭 (902) 의 각각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 (934A, 934A, 934B, 934C, 934D, 및 934E) (때때로 서브-대역들 (934) 로서 지칭됨) 에 대한 별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 (932A, 932B, 932C, 932D, 및 932E) (때때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 (932) 로서 지칭됨) 로서 제공될 수도 있는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의 타입 (930) 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예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 (932) 이 초광대역 BWP 일 수도 있는 UE (104) 의 활성 BWP (904) 에 걸쳐 있는 복수의 서브-대역들 (1132) 에 대해 제공될 수도 있다.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UE (104) 또는 기지국 (102) 에 의해 생성된 AoD 또는 AoA 측정치들을 보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104) 가 예를 들어, 도 5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송신 (Tx) 빔을 결정할 때, 송신 (Tx) 빔의 각도는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빔의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 조정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신 (Rx) 빔의 각도는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빔의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 조정될 수도 있다. 빔의 각도, 예를 들어, AoD 또는 AoA 의 조정은 위치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거나, 또는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가 UE (104) 에 제공되는 경우, UE 는 빔의 각도, 예를 들어, DL AoD 측정치들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104) 는 포지셔닝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초광 대역폭 동작에 걸쳐 빔 패턴 보조 데이터 오버헤드를 핸들링하는 능력과 연관된 그의 능력을 선언하기 위해 능력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104) 는 초광 대역폭 BWP 의 작은 서브-대역을 통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시그널링과 연관된 낮은 오버헤드 또는 UE (104) 에 대한 활성 BWP 의 적어도 2 개의 서브-대역들을 통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시그널링과 연관된 큰 오버헤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능력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는 UE 의 전체 활성 BWP 에 걸쳐 있을 수도 있거나 또는 UE 의 전체 활성 BWP 미만일 수도 있다. UE (104) 는 능력을 기지국 (102) 또는 포지셔닝 추정과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위치 서버 (172) 로 전송할 수도 있다. 포지션 추정을 보조하는 네트워크 노드는 LMF, eSMLC, LSS, 또는 UE (104) 가 통신하고 있는 서빙 기지국일 수도 있다.
포지션 추정을 보조하는 네트워크 노드는 UE 에 의해 제공된 UE 측 측정치들 및 기지국 송신 (Tx) 빔 형상 정보, 즉,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DL AoD 의 추정치, 및 UE 의 포지션 추정치를 생성할 수도 있다.
포지션 추정을 보조하는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해 수행된 UE 측 송신 (예를 들어, SRS 신호들) 측정치들 및 수신된 (Rx) 빔 형상 정보, 즉,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UL AoA 의 추정치, 및 UE 의 포지션을 생성할 수도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인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사이의 고정된 인턴-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해 캐리어 주파수에 따라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되며, 이는 빔 스퀸팅을 야기한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은 편파 부정합들, 기본 패턴 변화들, 소형 어레이 사이즈들, 교정 장애들, 하우징의 효과를 포함한 공간 거동의 주파수 의존적 왜곡들 등을 통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대한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할 수도 있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대한 낮은 오버헤드를 갖는 UE 에 제공된 보조 데이터는, 초광 대역폭 BWP 의 서브-대역일 수도 있다. 서브-대역은 예를 들어, UE 조건들 또는 파라미터들, 예컨대 데이터 레이트, 능력, BWP 사이즈 등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 소정의 선험적이고 적절하게 구성된 사이즈의 것일 수도 있다. 더욱이, 서브-대역은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고 상이한 사이즈들일 수 있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대한 낮은 오버헤드를 갖는 UE 에 제공된 보조 데이터는 UE 의 활성 BWP 에 걸쳐 다수의 서브-대역들에 대한 집성되거나 평균화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일 수도 있다. 집성은 예를 들어, UE 의 활성 BWP 에 걸쳐 있는 서브-대역들의 일부 서브세트일 수도 있고, 따라서, 활성 BWP 의 전체 스팬을 포함하거나 또는 활성 BWP 의 전체 스팬 미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집성은 서브-대역 사이즈들에 대응하는 가중치들에 의한 가중 평균화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UE 는 시그널링의 타입 및/또는 레이턴시 요건 및 포지셔닝 정확도 요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된 (예를 들어, 보조 데이터에서 수신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의 타입들을 가로질러 스위칭할 수도 있다.
도 10 은 일 예로,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가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는 포지셔닝 세션 동안, 도 1 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 (100) 의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전송되는 다양한 메시지들을 예시하는 시그널링 플로우 (1000) 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 은 UE (104), 서빙 기지국 (102), 및 위치 서버 (172) 를 예시한다. 기지국 (102) 은 gNB, ng-eNB, 또는 eNB 일 수도 있고, 송신 (Tx) 빔들 및/또는 수신 (Rx) 빔들에 대해 초광 대역폭에 걸쳐 빔포밍이 가능하다. 위치 서버 (172) 는 예를 들어, LMF (270) 또는 SLP (268), 및 eSMLC, LSS 또는 기지국 (102) 또는 RAN 과 함께 코-로케이팅될 수도 있거나 코어 네트워크, 또는 서빙 기지국 (102) 에 (또는 외부에) 있을 수도 있는 엔티티일 수도 있다. LSS 또는 LMF 유사 기능성을 갖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가 기지국 (102) 또는 RAN 과 코-로케이팅되거나 임베딩되는 구현들에서, 시그널링의 부분들은 상이한 엔티티들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LMF 는 보조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는 한편, LSS 는 포지션 추정치를 생성할 수도 있다. UE (104) 가 서빙 기지국 (102) 및 AMF (264) 또는 UPF (262) 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개재하는 컴포넌트들을 통해 위치 서버 (172) 와 통신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시그널링 플로우 (1000) 에서, UE (104) 및 위치 서버 (172) 가 앞서 언급된 LPP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한다는 것이 가정될 수도 있지만, 다른 프로토콜들의 사용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시그널링 플로우 (1000) 는 제어 평면 또는 사용자 평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시그널링 플로우 (1000) 에 도시된 메시지들은 예시를 위해 제공되고, 추가적인 메시지들 및 액션들이 예시된 엔티티들 및/또는 예시되지 않은 엔티티들 사이의 포지셔닝 세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스테이지 1 에서, 위치 서버 (172) 는 UE (104) 가 포지셔닝을 위한 그의 능력들을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능력 제공 요청을 UE (104) 로 전송할 수도 있다.
스테이지 2 에서, UE (104) 는 UE (104) 의 포지셔닝 관련 능력들, 예컨대 UE (104) 가 생성할 수도 있는 포지셔닝 측정들의 타입 및 UE (104) 가 수신할 수도 있는 보조 데이터의 타입을 제공할 수도 있는 능력 제공 응답 메시지를 위치 서버 (172) 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104) 는 UE 보조 또는 UE 기반 포지셔닝이 가능하거나, 또는 UE 가 초광 대역폭을 사용하여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UE (104) 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및 관련 오버헤드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그의 능력을 표시할 수도 있다.
스테이지 3 에서, 위치 서버 (172) 는 기지국 (102) 및 다른 기지국들 (도시되지 않음) 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정보 요청은 기지국 (102) 으로부터의 위치 관련 정보, 예컨대 기지국들 (102) 의 위치, 기지국들 (102) 의 배향, 및 기지국들에 의해 생성된 빔들에 관련된 구성 파라미터들, 예컨대 지향성 SS 블록들, 예를 들어, 기지국들에 상대적인 공간 각도들 (방위각 및 고도각들) 에 대한 빔 식별자들의 맵핑을 요청할 수도 있다.
스테이지 4 에서, 기지국 (102) 은 요청된 위치 관련 정보, 예컨대, 포지션들, 배향들, 및 신호 특성들, 빔 각도들, 및 기지국들에 의해 지원된 각각의 SS 블록에 대한 다른 구성 정보, 예컨대 기지국들에 상대적인 공간 각도들 (방위각 및 고도각들) 에 대한 빔 식별자들의 맵핑을 포함하는 정보 응답 메시지를 위치 서버 (172) 로 전송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2) 은 기지국에 대한 할당된 주파수들에 걸쳐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제공할 수도 있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 뿐만 아니라 안테나 어레이 하우징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백 플레인, 측면 베젤 등) 의 효과들 등으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적어도 반지속적 (semi-persistent) 이다. 기지국 (102) 및 위치 서버 (172) 통신들은 통상적으로 UE (104) 와의 통신들에서 발견되는 오버헤드 제한들을 겪지 않으며, 따라서, 기지국 (102) 은 기지국에 대한 전체 할당된 주파수들에 걸쳐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제공할 수도 있고, 제한된 수의 서브-대역들 또는 서브-대역들의 집성으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제한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스테이지 5 에서, 위치 서버 (172) 는 예를 들어, 기지국 (102) 으로부터의 정보 응답 및 UE (104) 능력들에 기초하여 UE (104) 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서버 (172) 는 예를 들어, 도 9a, 도 9b, 및 도 9c 를 참조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기지국에 대한 할당된 대역폭의 단일의 서브-대역으로서, 또는 복수의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의 집성으로서, 또는 복수의 서브-대역들에 대한 별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로서 제공될 수도 있는 기지국 (102) 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보조 데이터는 추가적인 정보, 예컨대 기지국 (102) 의 위치 및 다른 빔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DL 포지셔닝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데이터는 절대 좌표 시스템, 예컨대 글로벌 좌표 시스템 (GCS) 을 참조하여 제공될 수도 있는 각각의 빔의 공칭 출발 각도 (AoD), 방위각 및 고도각들에 대한 빔 식별의 맵핑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안테나 배향에 상대적인, 로컬 좌표 시스템 (LCS), 및 안테나 배향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보조 데이터는 빔 폭 정보, 예컨대 빔 폭, 조준 방향 불확실성, 빔 폭 불확실성, 사이드 로브 및/또는 백 로브 전력 레벨, 사이드 로브 및/또는 백 로브 전력 레벨, 사이드 로브 및/또는 백 로브 각도들,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과 같은 빔 폭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서버 (172) 는 상이한 유형들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따라, 예를 들어, 시그널링의 타입, 레이턴시 요건, 포지셔닝 정확도 요건들에 기초하여 보조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일 포지셔닝 세션 또는 상이한 포지셔닝 세션들에서 보조 데이터를 생성하여 UE (104) 로 전송하는 상이한 인스턴스들에 대해 UE (104) 로 전송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의 타입을 스위칭할 수도 있다.
스테이지 6 에서, 위치 서버 (172) 는 보조 데이터를 UE (104)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대한 제한된 수의 서브-대역들을 사용하고/하거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을 집성함으로써, 보조 데이터는 초광 대역폭 동작을 위한 정보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오버헤드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UE 가 UE 보조 포지셔닝을 수행하고 있거나, 또는 포지셔닝이 UL 포지셔닝 측정치들에 기초하는 구현들에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UE (104) 에 제공될 필요가 없다.
스테이지 7 에서, 위치 서버 (172) 는 예를 들어, UE (104) 로부터의 DL 포지셔닝 측정치들 (예를 들어, DL AD 측정치들) 및/또는 UE 보조 포지셔닝 또는 UE 기반 포지셔닝을 위한 UE (104) 로부터의 DL 포지셔닝 측정치들에 기초한 포지션 추정치를 요청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UE (104) 로 전송할 수도 있고, 및/또는 UL 또는 DL+UL 기반 포지셔닝을 위해 UL SRS 신호들을 송신할 것을 UE (104) 에 명령할 수도 있다.
스테이지 8 에서, 위치 서버 (172) 는 UL 측정들이 요망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 UE 송신 SRS 신호들의 UL 측정치들 (예를 들어, UL AoA 측정치들) 을 요청할 수도 있다.
스테이지 9 에서, 기지국 (102) 은 DL 포지셔닝 측정들이 요청되는 경우 UE (104) 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는 예를 들어, 초광 대역폭들에 걸친 빔포밍을 사용하여 PRS 와 같은 DL 레퍼런스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스테이지 10 에서, UE (104) 는 UL 포지셔닝 측정들이 요청되는 경우, 초광 대역폭들에 걸친 빔포밍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2) 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는 UL 레퍼런스 신호들, 예를 들어, SRS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스테이지 11a 에서, UE (104) 는 스테이지 9 에서 수신된 경우 DL 레퍼런스 신호들로부터 각도 관련 포지션 측정치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104) 는 예를 들어, 각각의 빔의 수신 신호 강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기지국 (102) 으로부터의 빔들 중 어느 것이 최상의 빔인지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가장 큰 신호 강도를 갖는 빔이 최상의 빔인 것으로 고려되고 빔의 RSRP 를 측정할 수도 있다.
스테이지 11b 에서, 기지국 (102) 은 스테이지 10 에서 수신된 경우 UL 레퍼런스 신호들에 대한 각도 관련 포지션 측정치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옵션의 스테이지 12 에서, UE 기반 포지셔닝이 요청되었고 UE (104) 가 예를 들어, 스테이지 6 에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수신한 경우, UE (104) 는 DL AoD 측정치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104) 는 스테이지 6 에서 수신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측정된 DL 빔의 DL AoD 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104) 는 예를 들어, 스테이지 6 에서의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테이지 11a 에서 수신된 DL 빔의 공칭 AoD 를 결정할 수도 있고, DL 빔의 주파수 및 공칭 AoD 에 기초하여,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서의 대응하는 주파수 및 각도가 공칭 AoD 를 더 정학한 AoD 로 보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로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DL 빔의 주파수 및 (보조 데이터로부터의) DL 에 대한 결정된 AoD 에서, AoD 가 특정량만큼 감소 (또는 증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UE (104) 는 수신 빔에 대한 결정된 AoD 및 스테이지 11a 에서 측정된 RSRP, 및 스테이지 6 에서 보조 데이터에서 수신된 UE 의 포지션에 기초하여 포지션 추정치를 추가로 생성할 수도 있다.
스테이지 13 에서, UE (104) 는 수신 빔의 식별, 또는 스테이지 12 에서 생성된 경우 결정된 DL AoD 일 수도 있는, 스테이지 11a 에서 생성된 포지션 측정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스테이지 12 에서 결정된 경우 포지션 추정치를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는 위치 정보 제공 응답 메시지를 위치 서버 (172) 로 전송할 수도 있다.
스테이지 14 에서, 기지국 (102) 은 만약 있다면, 스테이지 11b 에서 결정된 측정된 위치 정보를 로케이션 서버 (172)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스테이지 15 에서, 위치 서버 (172) 는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UE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서버 (172) 는 식별된 송신 및/또는 수신 빔들에 기초한 DL AoD 및/또는 UL AoA 및 스테이지 2 에서 수신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빔 이득의 조정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서버 (172) 는 스테이지 13 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UE (104) 에 의해 수신된 DL 빔의 공칭 DL AoD 을 결정할 수도 있고, DL 빔의 주파수 및 공칭 AoD 에 기초하여,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서의 대응하는 주파수 및 각도가 공칭 AoD 를 더 정확한 AoD 로 보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위치 서버 (172) 는 스테이지 14 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기지국 (102) 에 의해 수신된 UL 빔의 공칭 UL AoA 를 결정할 수도 있고, UL 빔의 주파수 및 공칭 AoA 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서의 대응하는 주파수 및 각도가 공칭 AoA 를 더 정확한 AoA 로 보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빔의 주파수 및 빔에 대한 측정된 AoD 또는 AoA 에서, 측정된 AoD 또는 AoA 가 특정량만큼 감소 (또는 증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위치 서버 (172) 는 결정된 DL AoD 및/또는 UL AoA 및 기지국 (102) 의 알려진 포지션에 기초하여 UE (104) 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도 있다. 위치 서버 (172) 는 UE (104) 위치를 요청 엔티티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1 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 및 초광 대역폭들로 송신된 빔들을 사용하여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인에이블되는,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UE (104) 일 수도 있는, UE (1100) 의 소정의 예시적인 특징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UE (1100) 는 도 14 에 도시된 프로세스 플로우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알고리즘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UE (1100) 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1102), 메모리 (1104), 트랜시버 (1110) 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120) 및 메모리 (1104) 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접속들 (1106) (예를 들어, 버스들, 라인들, 섬유들, 링크들 등) 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다. UE (1100) 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키패드 또는 디스플레이 상의 가상 키패드와 같은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아이템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UE, 또는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 수신기와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UE (1100) 의 전부 또는 일부는 칩셋 등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1110) 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타입들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인에이블된 송신기 (1112) 및 하나 이상의 타입들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해 송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111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UE (1100) 는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도 있는 안테나 (1111) 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 안테나 (1111) 는 트랜시버 (1110) 에 의해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UE 안테나 (1111) 는 트랜시버 (111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안테나 (1111) 는 하나 초과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중 편파, MIMO 가능, 빔 포밍, 빔 스티어링, 및 빔 추적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안테나 (1111) 는 복수의 패널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각각의 패널은 다중의 안테나 어레이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UE (1100) 에 의해 수신된 (송신된) 신호들의 측정들은 UE 안테나 (1111) 및 트랜시버 (1110) 의 접속의 포인트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송신된) RF 신호 측정들에 대한 레퍼런스의 측정 포인트는 수신기 (1114) (송신기 (1112)) 의 입력 (출력) 단자 및 UE 안테나 (1111) 의 출력 (입력) 단자일 수도 있다. 다중의 UE 안테나들 (1111) 또는 안테나 어레이들을 갖는 UE (1100) 에서, 안테나 커넥터는 다중의 UE 안테나들의 집성 출력 (입력) 을 나타내는 가상 포인트로서 보여질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UE (1100) 는 신호 강도 및 TOA 측정치들을 포함하는 수신된 신호들을 측정할 수도 있고 원시 측정치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104) 는 UE (104) 에 의해 수신된 최상의 빔을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송신된 빔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빔들에 비해 가장 높은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송신된 빔은 최상의 빔, 즉 UE (104) 를 향하여 지향되는 빔으로 취급될 수도 있다. UE (104) 는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여 수신 빔들을 빔포밍할 수도 있고, 이는 유사하게, 예를 들어, 빔 래칭 또는 RxTx 페어링을 사용하여, 최상의 빔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수신 빔들의 사용은 예를 들어, UE 안테나 어레이에 대한 최상의 수신 빔의 각도에 기초하여, 송신된 빔의 도달 각도와 관련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송신된 빔 (정의된 방향을 가짐) 의 도달 각도는 UE (1100) 의 배향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은,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와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 (1108) 를 구현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은 UE (1100) 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 컴퓨팅 절차 또는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한 하나 이상의 회로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에 의해 실행될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수 목적 컴퓨터로서 동작하게 하는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포함하는 명령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 (1108) 를 저장할 수도 있다. UE (1100)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에 의해 실행가능한 매체 (1120) 에서의 소프트웨어로서 예시되지만,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메모리 (1104) 에 저장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내에 있거나 프로세서들에서 떨어진 전용 하드웨어일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및 데이터 테이블들이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에 상주할 수도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통신들 및 기능성 양자 모두를 관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에 의해 활용될 수도 있다. UE (1100)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의 콘텐츠들의 조직화는 단지 예시적일 뿐이며, 그에 따라, 모듈들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기능성은 UE (1100) 의 구현에 의존하여 상이한 방식들로 결합, 분리 및/또는 구조화될 수도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에 의해 구현될 경우, 능력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능력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것,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 DL 레퍼런스 신호들을 수신 및 측정함으로써 포지셔닝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 UL 레퍼런스 신호들을 송신하는 것, 포지션을 추정하는 것, 포지셔닝 측정치들 및/또는 포지션 추정치를 포함할 수도 있는 위치 정보 제공 응답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여, 무선 트랜시버 (1110) 를 통해, 서빙 기지국을 통한 위치 서버와의 포지셔닝 세션에 참여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을 구성하는 포지셔닝 세션 모듈 (1122)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은, 트랜시버 (1110) 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의 주파수 변화, 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될 수도 있는 파라미터들, 예컨대 데이터 레이트, 능력, 및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통신 및 사용하는 능력과 같은 능력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은, 트랜시버 (1110) 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할 수도 있는,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은 트랜시버 (1110) 를 통해, DL 레퍼런스 신호들을 수신하고, 최상의 수신 빔에 기초한 DL AoD 와 같은 수신 빔을 측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RSRP 를 측정하는 것과 같은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AoD 기법들을 사용하여, 보조 데이터에서 수신된 바와 같은, 기지국(들)의 알려진 위치들 뿐만 아니라 포지션 측정치들을 사용하여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은 트랜시버를 통해, 포지션 정보, 예를 들어, 측정치들, DL AOD 측정치들, 및/또는 포지션 추정치를 위치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에 의해 구현될 경우, 보조 데이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수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을 구성하는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12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은 예를 들어,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측정치를 보정함으로써,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사용하여 DL AOD 측정치들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다양한 수단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방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DSPD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방법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 (예를 들어, 절차들, 기능들 등) 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을 유형으로 수록하는 임의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에 접속되고 이들에 의해 실행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120) 또는 메모리 (1104) 에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내에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메모리" 는 임의의 타입의 장기, 단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다른 메모리를 지칭하고, 메모리의 임의의 특정 타입 또는 메모리들의 수, 또는 메모리가 저장되는 매체의 타입에 한정되지 않는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면, 기능들은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와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 (1108) 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예들은, 데이터 구조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1108) 으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1108) 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사용하여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110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120) 는 물리적 컴퓨터 저장 매체들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1108) 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그리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120) 상의 저장에 부가하여,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들 상에서 신호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갖는 트랜시버 (11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명령들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청구항에 나타낸 기능들을 구현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즉, 통신 장치는,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갖는 송신 매체를 포함한다.
메모리 (1104) 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메커니즘을 나타낼 수도 있다. 메모리 (1104) 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메모리 및/또는 세컨더리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리 메모리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과 분리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프라이머리 메모리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내에 제공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와 함께 코-로케이팅/커플링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세컨더리 메모리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메모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타입의 메모리 및/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시스템들, 이를 테면, 예를 들어 디스크 드라이브,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정의 구현들에서, 세컨더리 메모리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120) 를 동작가능하게 수용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에 커플링하도록 구성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방법들 및/또는 장치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동작들의 전부 또는 부분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게 인에이블될 수도 있는 저장된 컴퓨터 구현가능 코드 (1108) 를 포함할 수도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120) 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120) 는 메모리 (1104) 의 일부일 수도 있다.
도 12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사용하여 UE 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인에이블된 위치 서버 (1200), 예를 들어, 위치 서버 (172) 의 소정의 예시적인 특징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위치 서버 (1200) 는 예를 들어, E-SMLC, SLP, LMF, LSS 등일 수도 있다. 위치 서버 (1200) 는 도 15 및 도 16 에 도시된 프로세스 플로우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알고리즘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위치 서버 (1200) 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메모리 (1204), 및 외부 인터페이스 (1210)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 및 기지국들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대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220) 및 메모리 (1204) 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접속들 (1206) (예를 들어, 버스들, 라인들, 섬유들, 링크들 등) 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다. 기지국 (1200) 은, 예컨대, 디스플레이, 키패드 또는 디스플레이 상의 가상 키패드와 같은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아이템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위치 서버와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위치 서버 (1200) 의 전부 또는 일부는 칩셋 등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는 RAN 에서의 기지국들 또는 AMF, MME, 또는 UPF 와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접속할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은,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와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 (1208) 를 구현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은 위치 서버 (1200) 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 컴퓨팅 절차 또는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한 하나 이상의 회로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에 의해 실행될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수 목적 컴퓨터로서 동작하게 하는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포함하는 명령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 (1208) 를 저장할 수도 있다. 위치 서버 (1200)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에 의해 실행가능한 매체 (1220) 에서의 소프트웨어로서 예시되지만,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메모리 (1204) 에 저장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내에 있거나 프로세서들에서 떨어진 전용 하드웨어일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및 데이터 테이블들이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에 상주할 수도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통신들 및 기능성 양자 모두를 관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에 의해 활용될 수도 있다. 위치 서버 (1200)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의 콘텐츠들의 조직화는 단지 예시적일 뿐이며, 그에 따라, 모듈들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기능성은 위치 서버 (1200) 의 구현에 의존하여 상이한 방식들로 결합, 분리 및/또는 구조화될 수도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에 의해 구현될 경우, 능력 정보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고 능력 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것, 보조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는 것,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것, UE 로부터 위치 정보 제공 응답을 수신하는 것, 기지국들로부터 위치 측정치들을 수신하는 것, UE 의 포지션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통해, 서빙 기지국을 통한 UE 와의 포지셔닝 세션에 참여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을 구성하는 포지셔닝 세션 모듈 (1222)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은,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의 주파수 변화, 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될 수도 있는 파라미터들, 예컨대, 데이터 레이트, 능력, 및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UE 가 통신 및 사용하는 능력과 같은 능력 정보를 UE 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은,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통해,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기지국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은 기지국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보조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UE 파라미터들, 예컨대, 데이터 레이트, 능력들, 및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에 기초하여, 그리고 예를 들어, 시그널링의 타입, 레이턴시 요건, 및 포지셔닝 정확도 요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의 상이한 유형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은,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할 수도 있는 보조 데이터를 UE 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은,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통해, 각도 기반 측정치들 또는 포지션 추정치, 및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의 포지션 측정치들과 같은 포지션 정보를 UE 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은 수신된 측정 정보 및 기지국 구성 정보로부터 AoD 및/또는 AoA 측정치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은 포지션 측정치들, 예를 들어, AoD 및 AoA 측정치들, 뿐만 아니라 기지국(들)의 알려진 위치들을 사용하여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에 의해 구현될 경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의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수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을 구성하는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22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은 예를 들어,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 측정치를 보정함으로써,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사용하여 DL AOD 또는 UL AOA 측정치들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다양한 수단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방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DSPD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방법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 (예를 들어, 절차들, 기능들 등) 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을 유형으로 수록하는 임의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에 접속되고 이들에 의해 실행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220) 또는 메모리 (1204) 에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내에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메모리" 는 임의의 타입의 장기, 단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다른 메모리를 지칭하고, 메모리의 임의의 특정 타입 또는 메모리들의 수, 또는 메모리가 저장되는 매체의 타입에 한정되지 않는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면, 기능들은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와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 (1208) 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예들은, 데이터 구조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1208) 으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1208) 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사용하여 UE 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120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220) 는 물리적 컴퓨터 저장 매체들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1208) 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그리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220) 상의 저장에 부가하여,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들 상의 신호들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갖는 통신 인터페이스 (12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명령들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청구항에 나타낸 기능들을 구현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즉, 통신 장치는,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갖는 송신 매체를 포함한다.
메모리 (1204) 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메커니즘을 나타낼 수도 있다. 메모리 (1204) 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메모리 및/또는 세컨더리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리 메모리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과 분리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프라이머리 메모리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내에 제공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와 함께 코-로케이팅/커플링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세컨더리 메모리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메모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타입의 메모리 및/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들, 이를 테면, 예를 들어 디스크 드라이브,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정의 구현들에서, 세컨더리 메모리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220) 를 동작가능하게 수용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에 커플링하도록 구성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방법들 및/또는 장치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동작들의 전부 또는 부분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게 인에이블될 수도 있는 저장된 컴퓨터 구현가능 코드 (1208) 를 포함할 수도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220) 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220) 는 메모리 (1204) 의 일부일 수도 있다.
도 13 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사용하여 UE 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인에이블된 기지국 (1300), 예를 들어, 도 1 의 gNB (102) 의 소정의 예시적인 특징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기지국 (1300) 은 eNB 또는 gNB 일 수도 있다. 기지국 (1300) 는 도 17 에 도시된 프로세스 플로우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알고리즘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기지국 (1300) 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메모리 (1304), 트랜시버 (1310) 를 포함할 수도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 (1316) (예를 들어, 다른 기지국들 및/또는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개재하는 엔티티들을 통해 위치 서버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들에 대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20) 및 메모리 (1304) 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접속들 (1306) (예를 들어, 버스들, 라인들, 섬유들, 링크들 등) 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다. 기지국 (1300) 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키패드 또는 디스플레이 상의 가상 키패드와 같은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아이템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지국과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기지국 (1300) 의 전부 또는 일부는 칩셋 등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1310) 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타입들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인에이블된 송신기 (1312) 및 하나 이상의 타입들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해 송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131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1316) 는 도 1 에 도시된 AMF (154) 또는 UPF (158) 와 같은 다양한 엔티티들을 통해 RAN 내의 다른 기지국들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들, 예컨대, 위치 서버, 예를 들어, LMF (152), SLP (162), ESMLC, LSS 등에 접속할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기지국 (1300) 은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도 있는 안테나 (1311)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안테나 (1311) 는 트랜시버 (1310) 에 의해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안테나 (1311) 는 트랜시버 (131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기지국 (1300) 에 의해 수신된 (송신된) 신호들의 측정들은 안테나 (1311) 및 트랜시버 (1310) 의 접속의 포인트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송신된) RF 신호 측정들에 대한 레퍼런스의 측정 포인트는 수신기 (1314) (송신기 (1312)) 의 입력 (출력) 단자 및 안테나 (1311) 의 출력 (입력) 단자일 수도 있다. 다중의 안테나들 (1311) 또는 안테나 어레이들을 갖는 기지국 (1300) 에서, 안테나 커넥터는 다중의 안테나들의 집성 출력 (입력) 을 나타내는 가상 포인트로서 보여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1311) 는 송신 (Tx) 빔들 및/또는 수신 (Rx) 빔들을 생성하기 위해 초광 대역폭에 걸친 빔 가중치들을 사용하여 빔포밍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들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기지국 (1300) 는 신호 강도 및 TOA 측정치들을 포함하는 수신된 신호들을 측정할 수도 있고 원시 측정치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은, 매체 (1320) 및/또는 메모리 (1304) 와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 (1308) 를 구현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은 기지국 (1300) 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 컴퓨팅 절차 또는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한 하나 이상의 회로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매체 (1320) 및/또는 메모리 (1304)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에 의해 실행될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수 목적 컴퓨터로서 동작하게 하는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포함하는 명령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 (1308) 를 저장할 수도 있다. 기지국 (1300)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매체 (1320) 및/또는 메모리 (1304)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에 의해 실행가능한 매체 (1320) 에서의 소프트웨어로서 예시되지만,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메모리 (1304) 에 저장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내에 있거나 프로세서들에서 떨어진 전용 하드웨어일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및 데이터 테이블들이 매체 (1320) 및/또는 메모리 (1304) 에 상주할 수도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통신들 및 기능성 양자 모두를 관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에 의해 활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 (1300)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매체 (1320) 및/또는 메모리 (1304) 의 콘텐츠들의 조직화는 단지 예시적일 뿐이며, 그에 따라, 모듈들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기능성은 기지국 (1300) 의 구현에 의존하여 상이한 방식들로 결합, 분리 및/또는 구조화될 수도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매체 (1320) 및/또는 메모리 (1304)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에 의해 구현될 경우, 외부 인터페이스 (트랜시버 (1310) 및 통신 인터페이스 (1316)) 를 통해, UE 및 위치 서버와 포지셔닝 세션에 참여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을 구성하는 포지셔닝 세션 모듈 (1322)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UE 와 위치 서버 사이에 LPP 포지셔닝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은 통신 인터페이스 (1316) 를 통해,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포밍에서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와 같은, 빔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구성 정보를 위치 서버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은 트랜시버 (1310) 로 하여금,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예를 들어, 송신 (Tx) 및 수신 (Rx) 빔들을 사용하여, UE 로 DL 레퍼런스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고 UE 로부터 UL 레퍼런스 신호들을 수신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은 UL 레퍼런스 신호들을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위치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매체 (1320) 및/또는 메모리 (1304)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에 의해 구현될 경우,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거나 또는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 및 현재 안테나 어레이 구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는,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을 구성하는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32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다양한 수단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방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DSPD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방법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 (예를 들어, 절차들, 기능들 등) 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을 유형으로 수록하는 임의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에 접속되고 이들에 의해 실행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20) 또는 메모리 (1304) 에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내에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메모리" 는 임의의 타입의 장기, 단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다른 메모리를 지칭하고, 메모리의 임의의 특정 타입 또는 메모리들의 수, 또는 메모리가 저장되는 매체의 타입에 한정되지 않는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면, 기능들은 매체 (1320) 및/또는 메모리 (1304) 와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 (1308) 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예들은, 데이터 구조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1308) 으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1308) 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사용하여 UE 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130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20) 는 물리적 컴퓨터 저장 매체들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1308) 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그리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20) 상의 저장에 부가하여,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장치에 포함된 송신 매체들 상의 신호들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갖는 트랜시버 (13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명령들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청구항에 나타낸 기능들을 구현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즉, 통신 장치는,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갖는 송신 매체를 포함한다.
메모리 (1304) 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메커니즘을 나타낼 수도 있다. 메모리 (1304) 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메모리 및/또는 세컨더리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리 메모리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과 분리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프라이머리 메모리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내에 제공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와 함께 코-로케이팅/커플링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세컨더리 메모리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메모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타입의 메모리 및/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들, 이를 테면, 예를 들어 디스크 드라이브,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정의 구현들에서, 세컨더리 메모리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20) 를 동작가능하게 수용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에 커플링하도록 구성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방법들 및/또는 장치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동작들의 전부 또는 부분들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게 인에이블될 수도 있는 저장된 컴퓨터 구현가능 코드 (1308) 를 포함할 수도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20) 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20) 는 메모리 (1304) 의 일부일 수도 있다.
도 14 는 개시된 구현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UE (104) 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 (1400) 에 대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블록 (1402)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들 5 및 6, 및 도 9a, 도 9b, 및 도 9c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1 에 도시된 UE (11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122) 및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124) 과 같은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및 무선 트랜시버 (11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404)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들 9 및 11a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출발 각도 (AoD) 측정치일 수도 있다.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1 에 도시된 UE (11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122) 과 같은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및 무선 트랜시버 (11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406)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들 11a, 12, 및 13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포지션 정보를 생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포지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1 에 도시된 UE (11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122) 및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124) 과 같은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및 무선 트랜시버 (11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의해 설명된 어레이 이득 분포의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들 11a, 12, 및 13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DL) 출발 각도 (AOD) 측정치를 결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DL) 출발 각도 (AOD) 측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1 에 도시된 UE (11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122) 및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124) 과 같은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및 무선 트랜시버 (11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포지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포지션 추정치,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13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포지션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 또는 위치 서버일 수도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또는 서빙 기지국 중 하나일 수도 있다. 포지션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1 에 도시된 UE (11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122) 및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124) 과 같은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및 무선 트랜시버 (11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2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의 주파수 변화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통신 및 사용하는 능력을 표시하는 능력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의 주파수 변화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통신 및 사용하는 능력을 표시하는 능력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1 에 도시된 UE (11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122) 과 같은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및 무선 트랜시버 (11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5 및 도 9a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일 수도 있다.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동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5 및 도 9b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일 수도 있다.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은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중 평균의 가중치들은 상이한 서브-대역들의 사이즈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5 및 도 9c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5 및 도 9a, 도 9b, 및 도 9c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단일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 및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들 5 및 6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제 2 보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제 2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1 에 도시된 UE (11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122) 및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124) 과 같은 매체 (1120) 및/또는 메모리 (11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02) 및 무선 트랜시버 (11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제 2 보조 데이터는 시그널링의 타입, 레이턴시 요건, 및 포지셔닝 정확도 요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신될 수도 있다.
도 15 는 E-SMLC, SLP, LSS, LMF, 또는 서빙 기지국일 수도 있는 위치 서버 (172) 와 같은 위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 (1500) 에 대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블록 (1502) 에서, 위치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4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한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2 에 도시된 위치 서버 (12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222) 및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224) 과 같은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및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504) 에서, 위치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들 13 및 14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수신한다.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2 에 도시된 위치 서버 (12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222) 과 같은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및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506) 에서, 위치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15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2 에 도시된 위치 서버 (12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222) 및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224) 과 같은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및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고,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스테이지들 2 및 13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응하는 송신 빔 패턴에 대한 것이다. 위치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15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응하는 송신 빔 패턴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DL) 출발 각도 (AOD) 측정치를 결정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추가로, 위치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15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DL AOD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포지션 추정치를 추정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응하는 송신 빔 패턴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DL) 출발 각도 (AOD) 측정치를 결정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DL AOD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포지션 추정치를 추정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2 에 도시된 위치 서버 (12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222) 및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224) 과 같은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및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일 수도 있고,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스테이지들 2 및 14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응하는 수신 빔 패턴에 대한 것이다. 위치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15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응하는 수신 빔 패턴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UL) 도달 각도 (AOA) 측정치를 결정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추가로, 위치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15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UL AOA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포지션 추정치를 추정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응하는 수신 빔 패턴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UL) 도달 각도 (AOA) 측정치를 결정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UL AOA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포지션 추정치를 추정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2 에 도시된 위치 서버 (12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222) 및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224) 과 같은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및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5 및 도 9a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일 수도 있다.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동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5 및 도 9b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일 수도 있다.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은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중 평균의 가중치들은 상이한 서브-대역들의 사이즈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5 및 도 9c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도 16 은 E-SMLC, SLP, LSS, LMF, 또는 서빙 기지국일 수도 있는 위치 서버 (172) 와 같은 위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 (1600) 에 대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블록 (1602) 에서, 위치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4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한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2 에 도시된 위치 서버 (12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222) 및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224) 과 같은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및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604) 에서, 위치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5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준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준비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2 에 도시된 위치 서버 (12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222) 및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224) 과 같은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및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606) 에서, 위치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6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와 함께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와 함께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2 에 도시된 위치 서버 (12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222) 과 같은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및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위치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2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사용하는 능력을 표시하는 능력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사용하는 능력을 표시하는 능력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2 에 도시된 위치 서버 (12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222) 과 같은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및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5 및 도 9a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일 수도 있다.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동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5 및 도 9b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일 수도 있다.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은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중 평균의 가중치들은 상이한 서브-대역들의 사이즈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5 및 도 9c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5 및 도 9a, 도 9b, 및 도 9c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단일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 및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이다. 위치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5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제 2 보조 데이터를 준비할 수도 있다. 추가로, 위치 서버는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6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 2 보조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제 2 보조 데이터를 준비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보조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2 에 도시된 위치 서버 (12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222) 및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224) 과 같은 매체 (1220) 및/또는 메모리 (12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02) 및 외부 인터페이스 (12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제 2 보조 데이터는 시그널링의 타입, 레이턴시 요건, 및 포지셔닝 정확도 요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준비될 수도 있다.
도 17 은 기지국 (102) 과 같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 (1700) 에 대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블록 (1702) 에서, 기지국은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4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한다.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3 에 도시된 기지국 (13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322) 및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모듈 (1324) 과 같은 매체 (1320) 및/또는 메모리 (13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및 외부 인터페이스 (131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702) 에서, 기지국은 예를 들어, 도 10 의 스테이지 4 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위치 서버로 전송한다. 위치 서버는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또는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도 13 에 도시된 기지국 (1300) 에서의 포지셔닝 세션 모듈 (1322) 과 같은 매체 (1320) 및/또는 메모리 (1304) 에서의 실행가능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구현하거나 전용 하드웨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302) 및 외부 인터페이스 (131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 예", "예", "특정 예들", 또는 "예시적인 구현" 에 대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참조는 그 특징 및/또는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청구물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 및/또는 예에 포함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다양한 곳에서의 어구 "일 예에 있어서", "예", "특정 예들에 있어서", 또는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또는 다른 유사한 어구들의 출현은 동일한 특징, 예, 및/또는 한정을 반드시 모두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특정한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예들 및/또는 특징들에 있어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상세한 설명의 일부 부분들은, 특정 장치 또는 특수 목적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플랫폼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바이너리 디지털 신호들에 대한 동작들의 알고리즘들 또는 심볼 표현들의 관점에서 제시된다. 이러한 특정 명세서의 문맥에 있어서, 용어 특정 장치 등은, 일단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로부터의 명령들에 따르는 특정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면, 범용 컴퓨터를 포함한다. 알고리즘 설명들 및 심볼 표현들은 신호 프로세싱 또는 관련 기술들에서의 당업자에 의해 그 작업의 실체를 당업계의 타인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들의 예들이다. 알고리즘은 여기서 및 일반적으로, 원하는 결과로 이끄는 동작들 또는 유사한 신호 프로세싱의 자기-일관성있는 시퀀스인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문맥에 있어서, 동작들 또는 프로세싱은 물리량들의 물리적 조작을 수반한다. 통상적으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양들은, 저장되거나, 전달되거나, 결합되거나, 비교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조작되는 것이 가능한 전기적 또는 자기적 신호들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주로 일반적인 사용을 이유로, 그러한 신호들을 비트들, 데이터, 값들, 엘리먼트들, 심볼들, 문자들, 용어들, 숫자들, 수치들 등으로서 지칭하는 것이 때때로 편리함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이들 또는 유사한 용어 모두는 적절한 물리량들과 연관되어야 하고, 단지 편리한 라벨들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논의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특별히 달리 서술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프로세싱하는 것", "컴퓨팅하는 것", "계산하는 것", "결정하는 것" 등과 같은 용어를 활용하는 논의들은 특수 목적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팅 장치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특정 장치의 액션들 및 프로세스들을 지칭함이 인식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문맥에 있어서,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들,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정보 저장 디바이스들, 송신 디바이스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내에서 물리적 전자 또는 자기량들로서 통상 표현된 신호들을 조작하거나 변환할 수도 있다.
선행된 상세한 설명에서, 다수의 특정 상세들이 청구물의 더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술되었다. 하지만, 본 청구물은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당업자에 의해 공지되는 방법들 및 장치들은 청구물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들 "및", "또는", 및 "및/또는" 은, 그러한 용어들이 사용되는 문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하도록 또한 기대되는 다양한 의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A, B 또는 C 와 같이 리스트를 연관시키도록 사용된다면 "또는" 은 함유적 의미로 여기서 사용되는 A, B, 및 C 를 의미할 뿐 아니라 배타적 의미로 여기서 사용되는 A, B 또는 C 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하나 이상" 은 임의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단수로 기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거나,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의 복수 또는 기타 다른 조합을 기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예일 뿐, 본 청구물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시적인 특징들인 것으로 현재 고려되는 것들을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물로부터 일탈함없이, 다양한 다른 수정들이 실시될 수도 있고 균등물들이 대체될 수도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다수의 수정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일탈함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물의 교시에 적응시키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구현 예들이 다음의 넘버링된 조항들에서 기술된다: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포지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 조항 1 의 방법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의해 설명된 어레이 이득 분포의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다.
3. 조항 1 또는 조항 2 의 방법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한다.
4. 조항 1 내지 조항 3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한다.
5. 조항 1 내지 조항 4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DL) 출발 각도 (AOD)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6. 조항 1 내지 조항 5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포지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포지션 추정치,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고, 방법은 포지션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7. 조항 6 의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 또는 위치 서버이다.
8. 조항 7 의 방법에 있어서, 위치 서버는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또는 서빙 기지국 중 하나를 포함한다.
9. 조항 1 내지 조항 8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의 주파수 변화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통신 및 사용하는 능력을 표시하는 능력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0. 조항 1 내지 조항 9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출발 각도 측정치를 포함한다.
11. 조항 1 내지 조항 10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것이다.
12. 조항 11 의 방법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13. 조항 12 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4. 조항 12 의 방법에 있어서,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동적으로 선택된다.
15. 조항 1 내지 조항 10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이다.
16. 조항 15 의 방법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다.
17. 조항 15 의 방법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은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한다.
18. 조항 17 의 방법에 있어서, 가중 평균의 가중치들은 상이한 서브-대역들의 사이즈들에 대응한다.
19. 조항 1 내지 조항 10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을 포함한다.
20. 조항 19 의 방법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다.
21. 조항 1 내지 조항 10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단일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 및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이고, 방법은,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제 2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22. 조항 21 의 방법에 있어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제 2 보조 데이터는 시그널링의 타입, 레이턴시 요건, 및 포지셔닝 정확도 요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신된다.
23.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트랜시버;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무선 트랜시버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고;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포지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24. 조항 23 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의해 설명된 어레이 이득 분포의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다.
25. 조항 23 또는 조항 24 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한다.
26. 조항 23 내지 조항 25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한다.
27. 조항 23 내지 조항 26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DL) 출발 각도 (AOD)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28. 조항 23 내지 조항 27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포지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포지션 추정치,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트랜시버를 통해, 포지션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29. 조항 28 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 또는 위치 서버이다.
30. 조항 29 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위치 서버는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또는 서빙 기지국 중 하나를 포함한다.
31. 조항 23 내지 조항 30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의 주파수 변화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통신 및 사용하는 능력을 표시하는 능력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32. 조항 23 내지 조항 31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출발 각도 측정치를 포함한다.
33. 조항 23 내지 조항 32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것이다.
34. 조항 33 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35. 조항 34 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36. 조항 34 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동적으로 선택된다.
37. 조항 23 내지 조항 32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이다.
38. 조항 37 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다.
39. 조항 37 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은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한다.
40. 조항 39 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가중 평균의 가중치들은 상이한 서브-대역들의 사이즈들에 대응한다.
41. 조항 23 내지 조항 32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을 포함한다.
42. 조항 41 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다.
43. 조항 23 내지 조항 32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단일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 및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이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제 2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44. 조항 43 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제 2 보조 데이터는 시그널링의 타입, 레이턴시 요건, 및 포지셔닝 정확도 요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신된다.
45. 위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46. 조항 45 의 방법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의해 설명된 어레이 이득 분포의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다.
47. 조항 45 또는 조항 46 의 방법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한다.
48. 조항 45 내지 조항 47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한다.
49. 조항 45 내지 조항 48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위치 서버는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또는 서빙 기지국 중 하나를 포함한다.
50. 조항 45 내지 조항 49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송신 빔 패턴에 대한 것이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송신 빔 패턴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DL) 출발 각도 (AOD)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DL AOD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포지션 추정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1. 조항 45 내지 조항 50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수신 빔 패턴에 대한 것이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수신 빔 패턴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UL) 도달 각도 (AOA)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UL AOA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포지션 추정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2. 조항 45 내지 조항 51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것이다.
53. 조항 52 의 방법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54. 조항 52 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55. 조항 52 의 방법에 있어서,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동적으로 선택된다.
56. 조항 45 내지 조항 51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이다.
57. 조항 56 의 방법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다.
58. 조항 56 의 방법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은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한다.
59. 조항 58 의 방법에 있어서, 가중 평균의 가중치들은 상이한 서브-대역들의 사이즈들에 대응한다.
60. 조항 45 내지 조항 51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을 포함한다.
61. 조항 60 의 방법에 있어서, 빔 패턴의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다.
62.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위치 서버로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외부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외부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고;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수신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63. 조항 62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의해 설명된 어레이 이득 분포의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다.
64. 조항 62 또는 조항 63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한다.
65. 조항 62 내지 조항 64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한다.
66. 조항 62 내지 조항 65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위치 서버는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또는 서빙 기지국 중 하나를 포함한다.
67. 조항 62 내지 조항 66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송신 빔 패턴에 대한 것이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송신 빔 패턴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DL) 출발 각도 (AOD) 측정치를 결정하고; 그리고
DL AOD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포지션 추정치를 추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68. 조항 62 내지 조항 67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응하는 수신 빔 패턴에 대한 것이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응하는 수신 빔 패턴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UL) 도달 각도 (AOA) 측정치를 결정하고; 그리고
UL AOA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포지션 추정치를 추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 추정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69. 조항 62 내지 조항 68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것이다.
70. 조항 69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71. 조항 69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72. 조항 69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동적으로 선택된다.
73. 조항 62 내지 조항 68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이다.
74. 조항 73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다.
75. 조항 73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은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한다.
76. 조항 75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가중 평균의 가중치들은 상이한 서브-대역들의 사이즈들에 대응한다.
77. 조항 62 내지 조항 68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을 포함한다.
78. 조항 77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빔 패턴의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다.
79. 위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와 함께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80. 조항 79 의 방법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의해 설명된 어레이 이득 분포의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다.
81. 조항 79 또는 조항 80 의 방법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한다.
82. 조항 79 내지 조항 81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한다.
83. 조항 79 내지 조항 82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위치 서버는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또는 서빙 기지국 중 하나를 포함한다.
84. 조항 79 내지 조항 83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사용하는 능력을 표시하는 능력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85. 조항 79 내지 조항 84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것이다.
86. 조항 85 의 방법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87. 조항 86 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88. 조항 86 의 방법에 있어서,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동적으로 선택된다.
89. 조항 79 내지 조항 88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이다.
90. 조항 89 의 방법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다.
91. 조항 89 의 방법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은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한다.
92. 조항 91 의 방법에 있어서, 가중 평균의 가중치들은 상이한 서브-대역들의 사이즈들에 대응한다.
93. 조항 79 내지 조항 88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을 포함한다.
94. 조항 60 의 방법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다.
95. 조항 79 내지 조항 88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 및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이고, 방법은,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제 2 보조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및
제 2 보조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96. 조항 95 의 방법에 있어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제 2 보조 데이터는 시그널링의 타입, 레이턴시 요건, 및 포지셔닝 정확도 요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준비된다.
97.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위치 서버로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외부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외부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준비하고; 그리고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와 함께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98. 조항 97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의해 설명된 어레이 이득 분포의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다.
99. 조항 97 또는 조항 98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한다.
100. 조항 97 내지 조항 99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한다.
101. 조항 97 내지 조항 100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위치 서버는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또는 서빙 기지국 중 하나를 포함한다.
102. 조항 97 내지 조항 101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사용하는 능력을 표시하는 능력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103. 조항 97 내지 조항 102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것이다.
104. 조항 103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105. 조항 104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06. 조항 104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동적으로 선택된다.
107. 조항 97 내지 조항 102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이다.
108. 조항 107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다.
109. 조항 107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은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한다.
110. 조항 109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가중 평균의 가중치들은 상이한 서브-대역들의 사이즈들에 대응한다.
111. 조항 97 내지 조항 102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을 포함한다.
112. 조항 111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다.
113. 조항 97 내지 조항 102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 및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이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제 2 보조 데이터를 준비하고; 그리고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보조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114. 조항 113 의 위치 서버에 있어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제 2 보조 데이터는 시그널링의 타입, 레이턴시 요건, 및 포지셔닝 정확도 요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준비된다.
115.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는 단계; 및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16. 조항 115 의 방법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의해 설명된 어레이 이득 분포의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다.
117. 조항 115 또는 조항 116 의 방법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한다.
118. 조항 115 내지 조항 117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한다.
119. 조항 115 내지 조항 118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방법에 있어서, 위치 서버는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또는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중 하나를 포함한다.
120.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으로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외부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외부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획득하고; 그리고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위치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121. 조항 120 의 기지국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에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의해 설명된 어레이 이득 분포의 변화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다.
122. 조항 120 또는 조항 121 의 기지국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한다.
123. 조항 120 내지 조항 122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기지국에 있어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한다.
124. 조항 120 내지 조항 123 중 어느 하나의 조항의 기지국에 있어서, 위치 서버는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또는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중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물은 개시된 특정 예들로 한정되지 않지만, 그러한 청구물은 또한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 균등물들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양태들을 포함할 수도 있음이 의도된다.

Claims (46)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array gain distribution variation) 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포지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에서의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의해 설명된 어레이 이득 분포의 변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 (fixed inter-antenna element spacings) 의 사용으로 인한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상기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DL) 출발 각도 (Angle of Departure; AOD)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포지션 추정치,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포지션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 또는 위치 서버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서버는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또는 서빙 기지국 중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의 주파수 변화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통신 및 사용하는 능력을 표시하는 능력 정보 (capability information) 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출발 각도 측정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상기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레이트,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동적으로 선택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상기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 (aggregation) 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대역폭의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대역폭의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은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평균의 가중치들은 상기 상이한 서브-대역들의 사이즈들에 대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상기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대역폭의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단일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상기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 및 상기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제 2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보조 데이터는 시그널링의 타입, 레이턴시 요건, 및 포지셔닝 정확도 요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23.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트랜시버;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상기 무선 트랜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포지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에서의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의해 설명된 어레이 이득 분포의 변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전체 주파수 할당에 대해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고정된 인터-안테나 엘리먼트 간격들의 사용으로 인한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어레이 이득 응답에서의 주파수 및 공간 왜곡들 및 장애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메인 로브, 사이드 로브들, 빔 널들, 및 격자 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득 및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상기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DL) 출발 각도 (AOD)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포지션 추정치,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포지션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 또는 위치 서버인, 모바일 디바이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서버는 LMF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LSS (Location Server Surrogate), 또는 서빙 기지국 중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어레이 이득의 주파수 변화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통신 및 사용하는 능력을 표시하는 능력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출발 각도 측정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3.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상기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레이트,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능력,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대역의 사이즈는 동적으로 선택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상기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인, 모바일 디바이스.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대역폭의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대역폭의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은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가중 평균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평균의 가중치들은 상기 상이한 서브-대역들의 사이즈들에 대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상기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대역폭의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활성 대역폭 부분에 걸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43.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상기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는, 할당된 대역폭의 서브-대역에 대한 단일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 상기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한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의 집성, 및 상기 할당된 대역폭의 복수의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제 2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보조 데이터는 시그널링의 타입, 레이턴시 요건, 및 포지셔닝 정확도 요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45.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포지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6.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의한 빔포밍에 사용되는 빔 가중치들의 세트에 대한 각도 및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어레이 이득 분포 변화를 포함하는, 포지셔닝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보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를 측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도 기반 포지셔닝 측정치에 기초하여 포지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
KR1020237014842A 2020-11-11 2021-10-08 밀리미터파 포지셔닝 시스템들에서 낮은 오버헤드 주파수 평균화 빔 패턴 피드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1048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95,262 US11277180B1 (en) 2020-11-11 2020-11-11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overhead frequency-averaged beam pattern feedback in millimeter wave positioning systems
US17/095,262 2020-11-11
PCT/US2021/054197 WO2022103533A2 (en) 2020-11-11 2021-10-08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overhead frequency-averaged beam pattern feedback in millimeter wave positioning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878A true KR20230104878A (ko) 2023-07-11

Family

ID=7848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842A KR20230104878A (ko) 2020-11-11 2021-10-08 밀리미터파 포지셔닝 시스템들에서 낮은 오버헤드 주파수 평균화 빔 패턴 피드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277180B1 (ko)
EP (1) EP4244643A2 (ko)
JP (1) JP2023548402A (ko)
KR (1) KR20230104878A (ko)
CN (1) CN116368397A (ko)
TW (1) TW202224453A (ko)
WO (1) WO202210353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7180B1 (en) 2020-11-11 2022-03-1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overhead frequency-averaged beam pattern feedback in millimeter wave positioning systems
US11785420B2 (en) * 2021-03-31 2023-10-10 Apple Inc. Angle-based positioning improvements in presence of non line of sight reference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8481B2 (en) * 2011-07-26 2014-09-16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based hands-free payment
DE102009017426A1 (de) * 2009-03-03 2010-09-09 T-Mobile International Ag Verfahren und Mobilfunkendgerät zur Positionsbestimmung in Mobilfunknetzen mittels Richtungspeilung
US20200280820A1 (en) * 2017-09-13 2020-09-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abling efficient positioning of a target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19405B2 (en) * 2017-12-04 2020-10-27 University Of Notre Dame Du Lac Mitigating beam squint in millimeter wa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0602781A (zh) * 2018-06-13 2019-12-20 索尼公司 电子设备、用户设备、无线通信方法和存储介质
EP3868034B1 (en) * 2018-10-17 2022-09-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osition likelihood based beamformer optimization
US11277180B1 (en) 2020-11-11 2022-03-1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overhead frequency-averaged beam pattern feedback in millimeter wave position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8402A (ja) 2023-11-16
WO2022103533A3 (en) 2022-08-04
US20220200681A1 (en) 2022-06-23
TW202224453A (zh) 2022-06-16
US11757507B2 (en) 2023-09-12
US11277180B1 (en) 2022-03-15
WO2022103533A2 (en) 2022-05-19
CN116368397A (zh) 2023-06-30
EP4244643A2 (en)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91221A1 (en) Relative location reporting for ue based positioning
US1146053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ybrid positioning measurement and reporting using different types of physical signals
US117575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overhead frequency-averaged beam pattern feedback in millimeter wave positioning systems
US202400775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enhancements using beam relation crowdsourcing
CN116964470A (zh) 用于可重构的智能表面辅助定位的位置辅助数据
WO2022155000A1 (en) Facilitating time- aligned measurements for user equipments (ues) and base stations for positioning
CN116830692A (zh) 参考信号测量到出发角的映射
US20230421422A1 (en) Sounding reference signals for positioning
US11924799B2 (en) Enhancements in position determination in 5G cellular communications
WO20220324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based positioning of user equipment by mmw small cell
WO202301443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reporting based on multipath characteristics of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resources
TW202301891A (zh) 用於經由通道量測和報告維持傳輸完整性和真實性的方法和裝置
KR20230134478A (ko)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를 위한 빔 형상 보조 데이터에대한 시그널링의 최적화
EP435291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anning devices performing active security attacks
WO2022150149A1 (en) Fft window adjustment based on prs peak 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