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528A - Method for preparing fresh antler velvet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with enhanced antler functional indicator component and use of product obtained therefrom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eparing fresh antler velvet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with enhanced antler functional indicator component and use of product obtained therefr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528A
KR20230104528A KR1020220187940A KR20220187940A KR20230104528A KR 20230104528 A KR20230104528 A KR 20230104528A KR 1020220187940 A KR1020220187940 A KR 1020220187940A KR 20220187940 A KR20220187940 A KR 20220187940A KR 20230104528 A KR20230104528 A KR 20230104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ler
detected
dried
freeze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79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안
김영훈
오상남
염동휘
전보영
강신석
김동훈
김상우
민병민
이명호
황인호
Original Assignee
한국양토양록축산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양토양록축산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한국양토양록축산업협동조합
Publication of KR20230104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5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23Y2220/6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용 기능성 지표 성분이 강화된 생녹용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동결건조 녹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은 기존의 발효 녹용 또는 이의 추출물보다 유용성 성분을 높게 보유하고 있는 바, 기능성 발효 동결건조 녹용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of fresh deer antler enriched with functional indicator components of deer antler and to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s prepared by the method.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deer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er useful components than the conventional fermented deer antler or its extract, so that functional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s can be effectively prepared.

Description

생녹용 발효 동결건조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얻어진 기능성 지표성분이 강화된 제품의 용도 {Method for preparing fresh antler velvet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with enhanced antler functional indicator component and use of product obtained therefrom}Method for preparing fresh antler velvet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with enhanced antler functional indicator component and use of product obtained therefrom}

본 발명은 녹용 기능성 지표 성분이 강화된 생녹용의 발효 및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동결건조 녹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ermenting and fermenting freeze-dried deer antlers of fresh deer antler enriched with functional indicators of deer antler, and to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s prepared by the method.

2019년 기준 국내 녹용 원료 소비시장은 약 630억원 374.7톤으로 녹용을 소비하는 세계 20 여개 국가 중에서 우리나라는 중국 다음으로 세계 2번째로 녹용을 많이 소비하는 국가이다. 국내에서 한약제로 유통되는 수입 녹용은 뉴질랜드산(레드디어), 러시아산(엘크)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2019년 국내 녹용 수입량은 306톤(523억원)이며, 국내산 생산녹용은 약 68.6톤이 생산되고 있다. 엘크(대형종)가 47.0톤, 매화록(소형종)이 18.5톤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녹용은 녹용추출액을 활용한 건강식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파우치, 스틱, 분말, 액상분말 제품으로 활용되고 있다.As of 2019, the domestic raw material consumption market for deer antlers is about 63 billion won, or 374.7 tons. Among the 20 or so countries that consume deer antlers, Korea is the second largest consumer of deer antlers in the world after China. Imported deer antlers distributed in Korea as herbal medicines are mainly from New Zealand (Red Deer) and Russia (Elk). In 2019, the amount of imported antlers in Korea was 306 tons (52.3 billion won), and about 68.6 tons of domestically produced deer antlers were produced. It is becoming. 47.0 tons of elk (large-sized) and 18.5 tons of plum blossom (small-sized) are produced, and these deer antlers are mainly used as health foods using antler extract, and are used as pouches, sticks, powder, and liquid powder products. there is.

녹용은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강장보신과 허약 개선을 위한 보약으로 알려져 왔다. 녹용은 빈혈, 류머티즘, 중풍, 경련 치유 및 항염, 항산화, 항암, 항바이러스, 노화방지, 성장개선, 근력개선, 피부재생, 기억력 증진, 성기능 회복, 피로개선, 병후회복, 상처 치유 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러한 이유로 녹용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동물성 생약이다. 하지만 녹용은 건조시 물리화학적 열변성으로 인하여 녹용 고유 생리활성 성분의 불용화가 많이 증가된다.Deer antler contains various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and has traditionally been known as a supplement for strengthening and improving weakness. Deer antlers help with anemia, rheumatism, stroke, spasm healing and anti-inflammation, antioxidant, anti-cancer, anti-virus, anti-aging, growth improvement, muscle strength improvement, skin regeneration, memory enhancement, sexual function recovery, fatigue improvement, post-illness recovery, wound healing, etc. has been known to For this reason, antler is the most widely used animal herbal medicine in Korea. However, due to physicochemical thermal denaturation during drying, the insolubility of antler-specific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s greatly increased.

최근에는 건강을 위해 다양한 발효녹용 제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녹용의 녹용품질(등급, 절각, 부위)에 따라 유용성 성분과 효능이 현저하게 차이가 발생함으로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발효 녹용의 효과는 투입되는 녹용 원료의 품질별(등급, 부위, 노화) 녹용 고유 유용성분의 차이를 극복 할 수 없다. 즉, 노화 녹용(하대 또는 녹각, 오래된 녹용) 만을 활용한 발효녹용은 정상적인 우수녹용(1~3등급)의 전녹용(전체부위의 녹용)부위를 원료로한 발효녹용에 비하여 유용성분이 많이 떨어진다. 아울러 건조녹용에 대한 발효는 이미 물리화학적 열변성으로 인하여 녹용 고유 생리활성 성분의 불용화가 많이 진행된 건조원료를 발효하기 때문에 신선한 원료상태에서 발효를 진행한 것보다 발효 효과가 미흡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Recently, the demand for various fermented deer antler products is increasing for health, but special attention is required because useful components and efficacy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quality (grade, cut, part) of deer antler. The effect of fermented deer antler cannot overcome the difference in useful components unique to antler by quality (grade, part, aging) of input antler material. In other words, fermented antler using only aged antler (lower antler or antler, old antler) has a lot less useful components than fermented antler made from whole antler (whole antler) of normal excellent antler (grades 1 to 3). In addition, fermentation of dried deer antler is fermented with dry raw materials that have already undergone a lot of insolubility of the unique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of deer antler due to physicochemical thermal denaturation, so the fermentation effect is inevitably insufficient compared to fermentation in the fresh raw material state. there is.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일반 건조녹용(Dry Antler velvet, DA) 가공시 발생하는 생리활성물질의 불용화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생녹용 상태에서 발효를 수행한 이후, 이를 발효동결건조 녹용으로 생산하는 기술 및 이로부터 얻어진 발효동결건조 녹용의 기능성 성분의 최적화 및 제품 용도에 적합한 조건 및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insolubiliza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ing of dry antler velvet (DA), the present researchers performed fermentation in the raw antler state, and then developed a technology to produc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and from this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optimizing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the obtained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and developing conditions and methods suitable for product use.

일 양상은 1) 녹용 원료에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발효된 녹용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을 제공한다.One aspect is 1) fermenting by inoculating a strain into an antler raw material; and 2) freeze-drying the fermented antler.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발효 동결건조 녹용, 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기능성지표물질 및/또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functional indicator material and/or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an extract thereof, or a fraction thereof.

또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 또는 배양액의 농축물; 및 이들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녹용 발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is one or more stra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culture of the strain; Concentrates of the above strains or cultures; And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fermentation of antl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ried products thereof.

일 양상은 1) 녹용 원료에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발효된 녹용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aspect is 1) fermenting by inoculating a strain into an antler raw material; and 2) freeze-drying the fermented antler.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녹용(velvet antler)"은 숫사슴의 굳어지지 않은 어린 뿔을 채취하여 가공한 약재를 말하며, 한방에서는 늦봄에 숫사슴의 뿔이 떨어진 자리에 새롭게 자라기 시작한 뿔로서 털이 밀생되고 아직 골질화되지 않았거나 일부 골질화된 어린 뿔을 자른 다음 말린 것을 녹용이라 하고 가을이 되어 각질화된 뿔은 녹각이라고 한다.The term "velvet antler"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a medicinal material obtained by collecting and processing young horns of a deer that have not hardened. Young horns that have not yet been ossified or partially ossified are cut and dried, called deer antlers, and horns that have become keratinized in autumn are called antlers.

사슴 중대형종의 녹용은 계절성 번식 특징을 갖는다. 녹용 성장은 하지(최장 일조량) 이후에도 외형적인 성장을 하나, 급격한 골질화로 인하여 유용성 기능물질의 감소가 일어나는 노화상태가 진행되어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녹용품질을 구분할 수 있도록 절각시기와 녹용의 노화상태에 따라 정상적인 제품은 1등급에서부터 5등급으로 구분되며, 비정상적인 제품은 등외 등급으로 구분한다. 또한 녹용의 부위는 최성장점을 기준으로 팁·분골·상대·중대·하대로 구분하고 있으며, 팁에서 하대로 진행될수록 유용성 기능물질의 현저한 감소가 발생한다. 이외의 녹각은 녹용 전체가 각질화가 진행된 상태로 녹용의 범주에 들어 가지 않는다.Deer antlers of medium and large species have seasonal breeding characteristics. Deer antlers grow externally even after the summer solstice (longest amount of sunlight), but due to rapid ossification, the aging state in which useful functional substances decrease occurs, and the quality deteriorates. In Korea, normal products are classified into grades 1 to 5, and abnormal products are classified into non-standard grades according to the cutting time and aging state of deer antler to classify such quality. In addition, the parts of the antler are classified into tip, bon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based on the point of maximum growth,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useful functional substances occurs as it progresses from the tip to the lower part. Other antlers do not fall into the category of antlers as the entire antler has undergone keratinization.

녹용에는 다양한 활성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강장보신의 효능이 있어 여러 가지 허약증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보약으로 알려져 왔다. 녹용은 간질, 궤양, 빈혈, 류머티즘, 중풍 등의 질환 치료 및 예방, 불면, 피로, 두통, 경련 등의 증상의 개선, 위장운동 촉진, 식욕증진, 신경쇠약 치료 및 개선, 병후회복, 노화방지, 기억력 증진, 성기능 회복 촉진, 그리고 상처 치유 촉진효능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녹용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모되는 동물성 생약이다.Deer antler contains various active ingredients, and in particular, has been known as a representative herbal medicine for treating various weaknesses because of its tonic effect. Deer antler is used to treat and prevent diseases such as epilepsy, ulcer, anemia, rheumatism, and stroke, improve symptoms such as insomnia, fatigue, headache, and convulsions, promote gastrointestinal movement, increase appetite, treat and improve nervous breakdown, recover after illness, prevent aging, It is known to improve memory, promote sexual function recovery, and promote wound healing. For this reason, antler is the most consumed animal herbal medicine in Korea.

상기 녹용 원료는 생녹용, 숙성 녹용, 건조 녹용 또는 발효 녹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생녹용(fresh velvet antler)은 상기 녹용이 아직 건조공정을 거치지 않은 뿔로서 털을 제거하거나 90℃ 이상의 열수에서 3회 이상 세척한 이후 이를 냉동상태로 보관된 것을 말한다.The raw material for antler may be raw antler, aged antler, dried antler or fermented antler. The fresh velvet antler refers to horns in which the antler has not yet undergone a drying process, and is stored in a frozen state after removing hair or washing three or more times in hot water at 90° C. or higher.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녹용 원료는 생녹용 또는 상기 생녹용을 숙성한 숙성 녹용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aw material for the deer antler may be a raw deer antler or an aged deer antler obtained by aging the fresh deer antler.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A) 녹용 원료를 숙성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숙성된 녹용에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above method, step 1) may include: A) aging the raw material for deer antler; and B) inoculating the strain into the aged antler and fermenting it.

상기 A) 단계에서 숙성시키는 단계는 저온에서 장시간 숙성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The step of aging in step A) may be a step of aging at low temperature for a long time.

상기 A) 단계의 숙성은 0℃ 내지 15℃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 내지 15 ℃, 0 내지 13 ℃, 0 내지 11 ℃, 0 내지 9 ℃, 0 내지 8 ℃, 0 내지 7 ℃, 0 내지 6 ℃, 0 내지 5 ℃, 2 내지 15 ℃, 2 내지 13 ℃, 2 내지 11 ℃, 2 내지 9 ℃, 2 내지 8 ℃, 2 내지 7 ℃, 2 내지 6 ℃, 2 내지 5 ℃ 4 내지 15 ℃, 4 내지 13 ℃, 4 내지 11 ℃, 4 내지 9 ℃, 4 내지 8 ℃, 4 내지 7 ℃, 4 내지 6 ℃, 4 내지 5 ℃, 6 내지 15 ℃, 6 내지 13 ℃, 6 내지 11 ℃, 6 내지 9 ℃, 6 내지 8 ℃, 6 내지 7 ℃, 7 내지 15 ℃, 7 내지 13 ℃, 7 내지 11 ℃, 7 내지 9 ℃ 또는 7 내지 8 ℃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The aging of step A) may be performed at 0 ° C to 15 ° C, specifically 0 to 15 ° C, 0 to 13 ° C, 0 to 11 ° C, 0 to 9 ° C, 0 to 8 ° C, 0 to 7 ° C. °C, 0 to 6 °C, 0 to 5 °C, 2 to 15 °C, 2 to 13 °C, 2 to 11 °C, 2 to 9 °C, 2 to 8 °C, 2 to 7 °C, 2 to 6 °C, 2 to 5 °C ℃ 4 to 15 ℃, 4 to 13 ℃, 4 to 11 ℃, 4 to 9 ℃, 4 to 8 ℃, 4 to 7 ℃, 4 to 6 ℃, 4 to 5 ℃, 6 to 15 ℃, 6 to 13 ℃ , 6 to 11 ° C, 6 to 9 ° C, 6 to 8 ° C, 6 to 7 ° C, 7 to 15 ° C, 7 to 13 ° C, 7 to 11 ° C, 7 to 9 ° C or 7 to 8 ° C. it may be

또한, 상기 A) 단계의 숙성은 12 내지 72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2 내지 72시간, 12 내지 66시간, 12 내지 60시간, 12 내지 54시간, 12 내지 48시간, 18 내지 72시간, 18 내지 66시간, 18 내지 60시간, 18 내지 54시간, 18 내지 48시간, 24 내지 72시간, 24 내지 66시간, 24 내지 60시간, 24 내지 54시간, 24 내지 48시간, 30 내지 72시간, 30 내지 66시간, 30 내지 60시간, 30 내지 54시간, 30 내지 48시간, 36 내지 72시간, 36 내지 66시간, 36 내지 60시간, 36 내지 54시간, 36 내지 48시간, 42 내지 72시간, 42 내지 66시간, 42 내지 60시간, 42 내지 54시간, 42 내지 48시간, 48 내지 72시간, 48 내지 66시간, 48 내지 60시간 또는 48 내지 54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ging of step A) may be performed for 12 to 72 hours, specifically 12 to 72 hours, 12 to 66 hours, 12 to 60 hours, 12 to 54 hours, 12 to 48 hours, 18 to 72 hours hour, 18 to 66 hours, 18 to 60 hours, 18 to 54 hours, 18 to 48 hours, 24 to 72 hours, 24 to 66 hours, 24 to 60 hours, 24 to 54 hours, 24 to 48 hours, 30 to 72 hours hour, 30 to 66 hours, 30 to 60 hours, 30 to 54 hours, 30 to 48 hours, 36 to 72 hours, 36 to 66 hours, 36 to 60 hours, 36 to 54 hours, 36 to 48 hours, 42 to 72 hours time, 42 to 66 hours, 42 to 60 hours, 42 to 54 hours, 42 to 48 hours, 48 to 72 hours, 48 to 66 hours, 48 to 60 hours, or 48 to 54 hours.

상기 숙성은 알코올을 이용하여 살균 및/또는 숙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The aging may be sterilization and/or aging using alcohol.

상기 생녹용을 살균 및/또는 숙성하는 단계는 50 내지 95%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0 내지 95%, 50 내지 90%, 50 내지 85%, 50 내지 80%, 60 내지 95%, 60 내지 90%, 60 내지 85%, 60 내지 80%, 70 내지 95%, 70 내지 90%, 70 내지 85% 또는 70 내지 80%의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ep of sterilizing and/or aging the raw antler may be using 50 to 95% alcohol, specifically 50 to 95%, 50 to 90%, 50 to 85%, 50 to 80%, 60 to 95%, 60% alcohol. to 90%, 60 to 85%, 60 to 80%, 70 to 95%, 70 to 90%, 70 to 85%, or 70 to 80% of alcohol may be used.

상기 생녹용을 살균 및/또는 숙성하는 단계는 생녹용 중량 대비 알코올을 1 내지 5%용량으로 처리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내지 5%용량, 1 내지 4.5%용량, 1 내지 4%용량, 1 내지 3.5%용량, 1 내지 3%용량, 1 내지 2.5%용량, 2 내지 5%용량, 2 내지 4.5%용량, 2 내지 4%용량, 2 내지 3.5%용량, 2 내지 3%용량, 2 내지 2.5%용량, 2.5 내지 5%용량, 2.5 내지 4.5%용량, 2.5 내지 4%용량, 2.5 내지 3.5%용량 또는 2.5 내지 3%용량으로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ep of sterilizing and/or maturing the raw antler may be to treat the raw antler with alcohol in an amount of 1 to 5% based on the weight of the fresh antler. 3.5% dose, 1 to 3% dose, 1 to 2.5% dose, 2 to 5% dose, 2 to 4.5% dose, 2 to 4% dose, 2 to 3.5% dose, 2 to 3% dose, 2 to 2.5% It may be treated with a dose, 2.5 to 5% dose, 2.5 to 4.5% dose, 2.5 to 4% dose, 2.5 to 3.5% dose, or 2.5 to 3% dose.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발효"는 미생물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 중 부패 반응이 아닌 것을 의미한다. 발효 반응과 부패 반응은 비슷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지만, 분해 결과 유용한 물질이 만들어지면 발효라고 하고 악취가 나거나 유해한 물질이 만들어지면 부패라고 한다. "발효물"은 상기 발효를 통해 생산되는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발효물은 발효액, 상기 발효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상기 발효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이를 분획한 분획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ferment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that microorganisms do not decompose organic substances using their own enzymes. Fermentation  reaction and decomposition reaction proceed by similar processes, but when a useful substance is produced as a result of decomposition, it is called fermentation, and when a bad smell or harmful substance is produced, it is called decomposition. "Fermented product" means any material produced through the above fermentation. The fermented product may include a fermentation broth, a diluted or concentrated solution of the fermentation broth,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fermentation broth, or a crude or purified product thereof, or a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ng the same.

상기 방법에 있어서, 녹용 원료를 발효시키기 위해 접종하는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Lactobacillus), 바실러스 (Bacillus),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스트렙토코커스 (Streptococcus), 류코노스톡 (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 (Pediococcus) 및 락토코커스 (Lactococcus) 속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ethod, the strains inoculated to ferment the antler raw material are Lactobacillus, Bacillus, Saccharomyces, Bifidobacterium, Streptococcus, Leucono It may contain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ock (Leuconostoc), Pediococcus (Pediococcus) and Lactococcus (Lactococcus) genera.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L.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 casei),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아종 락티스(L. delbruekii subsp. lacti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 reuteri),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 crispatus),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 johnsonii)와 같은 락토바실러스 속의 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와 같은 바실러스 속의 균주,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breve),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 infantis),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스센티스(B. adolescenti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카테눌라툼(B. catenulatum), 비피도박테리움 슈도카테눌라툼(B. pseudocatenulatum), 비피도박테리움 앙굴라툼(B. angulatum), 비피도박테리움 갈리쿰(B. gallicum),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B. animalis)와 같은 비피도박테리움 속의 균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마이세스 사케 (Sacchoromyses sake),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더스 (Saccharomyces ellipsoideus), 사카로마이세스 포모센시스 (Saccharomyces formosensis), 사카로마이세스 코레아누스 (Saccharomyces coreanus) 및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 (Saccharomyces boulardii)과 같은 사카로마이세스 속의 균주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strain is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rhamnosus ( L. rhamnosus ), Lactobacillus acidophilus ( L. acidophilus ), Lactobacillus casei ( L. casei ), Lactobacillus fermentum ( L. Fermentum ), Lactobacillus bulgaricus ( L. bulgaricus ), Lactobacillus delbruekhi subspecies lactis ( L. delbruekii subsp. lactis ), Lactobacillus gasseri ( L. gasseri ), Bifidobacterium breve ( Bifidobacterium breve ), Lactobacillus helveticus ( L. helveticus ), Lactobacillus salivarius ( L. salivarius ), Lactobacillus reuteri ( L. reuteri ), Lactobacillus crispatus ( L. crispatus ), Lactobacillus johnsonii ( L. strains of the genus Lactobacillus, such as johnsonii ), strains of the genus Bacillus, such as Bacillus subtilis , or strains of the genus Bacillus, such as Bifidobacterium breve ( Bifidobacteriumbreve ), Bifidobacterium longum ( B. longum ), Bifidobacterium infant This ( B. infantis ),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 B. adolescentis ), Bifidobacterium bifidum ( B. bifidum ), Bifidobacterium catenulatum ( B. catenulatum ), Bifidobacterium pseudo Catenulatum ( B. pseudocatenulatum ), Bifidobacterium angulatum ( B. angulatum ), Bifidobacterium gallicum ( B. gallicum ), Bifidobacterium lactis ( B. lactis ), Bifidobacterium no Strains of the genus Bifidobacterium such as B. animalis , Saccharomyces cerevisiae, Saccharomyces sake (Sacchoromyses sake), Saccharomyces ellipsoidus, Saccharomyces Strains of the genus Saccharomyces such as Saccharomyces formosensis, Saccharomyces coreanus and Saccharomyces boulardii may be used.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조합;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P20B49 (수탁번호: KACC92397P)일 수 있다.The strain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fically Lactobacillus plantarum; a combin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acillus subtilis; or a combin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In addition, the Lactobacillus plantarum may be Lactobacillus plantarum LP20B49 (accession number: KACC92397P).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JLFR LR04 (수탁번호: KACC92399P),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JLFR LS07 (수탁번호: KACC92398P)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LP20B49 (수탁번호: KACC92397P),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rains are Lactobacillus rhamnosus JLFR LR04 (Accession Number: KACC92399P), Lactobacillus sakei JLFR LS07 (Accession Number: KACC92398P) and Lactobacillus plantarum LP20B49 (Accession Number) : KACC92397P), Bacillus subti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녹용을 발효시키는 단계는 5 내지 45 ℃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 내지 45 ℃, 5 내지 42 ℃, 5 내지 40 ℃, 5 내지 38 ℃, 5 내지 37 ℃, 15 내지 45 ℃, 15 내지 42 ℃, 15 내지 40 ℃, 15 내지 38 ℃, 15 내지 37 ℃, 25 내지 45 ℃, 25 내지 42 ℃, 25 내지 40 ℃, 25 내지 38 ℃, 25 내지 37 ℃, 35 내지 45 ℃, 35 내지 42 ℃, 35 내지 40 ℃, 35 내지 38 ℃ 또는 35 내지 37 ℃일 수 있다.In the above method, the step of fermenting the antler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5 to 45 ° C, specifically 5 to 45 ° C, 5 to 42 ° C, 5 to 40 ° C, 5 to 38 ° C, 5 to 45 ° C 37 ℃, 15 to 45 ℃, 15 to 42 ℃, 15 to 40 ℃, 15 to 38 ℃, 15 to 37 ℃, 25 to 45 ℃, 25 to 42 ℃, 25 to 40 ℃, 25 to 38 ℃, 25 to 37 °C, 35 to 45 °C, 35 to 42 °C, 35 to 40 °C, 35 to 38 °C or 35 to 37 °C.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녹용을 발효시키는 단계는 24 내지 144 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4 내지 144 시간, 24 내지 132시간, 24 내지 120시간, 24 내지 108시간, 24 내지 96시간, 24 내지 84시간, 24 내지 72시간, 36 내지 144 시간, 36 내지 132시간, 36 내지 120시간, 36 내지 108시간, 36 내지 96시간, 36 내지 84시간, 36 내지 72시간, 48 내지 144 시간, 48 내지 132시간, 48 내지 120시간, 48 내지 108시간, 48 내지 96시간, 48 내지 84시간, 48 내지 72시간, 60 내지 144 시간, 60 내지 132시간, 60 내지 120시간, 60 내지 108시간, 60 내지 96시간, 60 내지 84시간, 60 내지 72시간, 72 내지 144 시간, 72 내지 132시간, 72 내지 120시간, 72 내지 108시간, 72 내지 96시간 또는 72 내지 84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above method, the step of fermenting the antler may be performed for 24 to 144 hours, specifically 24 to 144 hours, 24 to 132 hours, 24 to 120 hours, 24 to 108 hours, 24 to 96 hours, 24 to 84 hours, 24 to 72 hours, 36 to 144 hours, 36 to 132 hours, 36 to 120 hours, 36 to 108 hours, 36 to 96 hours, 36 to 84 hours, 36 to 72 hours, 48 to 144 hours, 48 to 132 hours, 48 to 120 hours, 48 to 108 hours, 48 to 96 hours, 48 to 84 hours, 48 to 72 hours, 60 to 144 hours, 60 to 132 hours, 60 to 120 hours, 60 to 108 hours, 60 to 96 hours, 60 to 84 hours, 60 to 72 hours, 72 to 144 hours, 72 to 132 hours, 72 to 120 hours, 72 to 108 hours, 72 to 96 hours, or 72 to 84 hours. .

상기 방법은 가) 녹용 원료에 대해 사슴 유래 질병 및 유해성 병원체 검사를 수행하는 공정; 나) 녹용 원료를 저온 장시간 해동하는 공정; 다) 녹용 원료를 세척하는 공정; 및 라) 녹용 원료를 살균하는 공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a) a step of testing deer-derived diseases and harmful pathogens on raw materials for deer antler; b) a process of thawing raw materials for deer antlers at a low temperature for a long time; c) a process of washing raw materials for deer antler; and d) a process of sterilizing raw materials for antler antler.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① 녹용 원료의 식품 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슴 유래 질병 및 유해성 병원체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② 상기 녹용 원료를 저온에서 장시간동안 해동하는 단계; ③ 해동된 녹용을 열수에서 세척하는 단계; ④ 세척된 녹용을 살균하는 단계; ⑤ 살균된 녹용을 숙성하는 단계; ⑥ 숙성된 녹용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⑦ 발효된 녹용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comprises: ① performing an examination for deer-derived diseases and harmful pathogens to ensure food safety of the raw material for antler antler; ② Thawing the antler raw material at low temperature for a long time; ③ Washing the thawed antler in hot water; ④ sterilizing the washed antler; ⑤ aging the sterilized antler; ⑥ Fermenting the aged antler; and ⑦ freeze-drying the fermented antler.

상기 사슴 유래 질병 및 유해성 병원체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는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 브루셀라균(Brucella species) 및 사슴만성소모성질병(Chronic Wasting Disease, CWD)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ep of performing the deer-derived disease and harmful pathogen test may be to exa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 Brucella species and deer chronic wasting disease (CWD). there is.

상기 결핵균 또는 결핵병 발병 유무를 검사하는 것은 결핵균의 16S rRNA의 검출/발현 여부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잇다.Examining whether or not Mycobacterium tuberculosis or tuberculosis disease has occurred may be confirming whether or not 16S rRNA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 detected/expressed.

상기 브루셀라균 또는 브루셀라병 발병 유무를 검사하는 것은 브루셀라균의 BCSP-31 유전자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의 검출/발현 여부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Exa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ucella or Brucella disease may be to determine whether the BCSP-31 gene of Brucella or the protein expressed therefrom is detected/expressed.

상기 사슴만성소모성질병 발병 유무를 검사하는 것은 PRNP 유전자 또는 이로부터 발현되는 프리온 단백질의 검출/발형 여부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Examining whether or not the deer chronic wasting disease has occurred may be to check whether the PRNP gene or the prion protein expressed therefrom is detected/formed.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결핵병 또는 결핵균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는 PCR 검사를 통해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 및 2의 서열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PCR 검사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st for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uberculosis disease or Mycobacterium tuberculosis may be performed through a PCR test, and specifically, a PCR test is performed using the sequences of SEQ ID NOs: 1 and 2 as forward and reverse primers. can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브루셀라균 또는 브루셀라병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는 PCR 검사를 통해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3 및 4의 서열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PCR 검사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st for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ucellosis or Brucellosis may be performed through a PCR test, and specifically, the PCR test is performed using the sequences of SEQ ID NOs: 3 and 4 as forward and reverse primers. it may be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사슴만성소모성질병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는 PCR 검사를 통해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5 및 6의 서열을 정방향 프라이머 및 역방향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PCR 검사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st for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er chronic wasting disease may be performed through a PCR test, specifically performing a PCR test using the sequences of SEQ ID NOs: 5 and 6 as forward and reverse primers it could be

상기 녹용 원료를 저온에서 장시간동안 해동하는 단계는 상기 녹용 원료가 동결된 상태일 경우 수행하는 공정으로서, 약 0℃ 내지 15℃ 조건에서 1일 내지 6일간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The step of thawing the antler raw material at low temperature for a long time is a process performed when the antler raw material is in a frozen state, and may be performed for 1 to 6 days under a condition of about 0 ° C to 15 ° C.

상기 해동하는 단계는 0℃ 내지 15℃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 내지 15 ℃, 0 내지 13 ℃, 0 내지 11 ℃, 0 내지 9 ℃, 0 내지 8 ℃, 0 내지 7 ℃, 0 내지 6 ℃, 0 내지 5 ℃, 2 내지 15 ℃, 2 내지 13 ℃, 2 내지 11 ℃, 2 내지 9 ℃, 2 내지 8 ℃, 2 내지 7 ℃, 2 내지 6 ℃, 2 내지 5 ℃, 3 내지 15 ℃, 3 내지 13 ℃, 3 내지 11 ℃, 3 내지 9 ℃, 3 내지 8 ℃, 3 내지 7 ℃, 3 내지 6 ℃ 또는 3 내지 5 ℃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The thawing may be performed at 0 ° C to 15 ° C, specifically 0 to 15 ° C, 0 to 13 ° C, 0 to 11 ° C, 0 to 9 ° C, 0 to 8 ° C, 0 to 7 ° C, 0 to 6 ℃, 0 to 5 ℃, 2 to 15 ℃, 2 to 13 ℃, 2 to 11 ℃, 2 to 9 ℃, 2 to 8 ℃, 2 to 7 ℃, 2 to 6 ℃, 2 to 5 ℃, 3 to 15 °C, 3 to 13 °C, 3 to 11 °C, 3 to 9 °C, 3 to 8 °C, 3 to 7 °C, 3 to 6 °C or 3 to 5 °C may be performed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상기 해동하는 단계는 1일 내지 6일간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일 내지 6일, 1일 내지 5일, 1일 내지 4일, 1일 내지 3일, 2일 내지 6일, 2일 내지 5일, 2일 내지 4일, 2일 내지 3일, 3일 내지 6일 또는 3일 내지 5일, 3일 내지 4일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The thawing may be performed for 1 day to 6 days, specifically 1 day to 6 days, 1 day to 5 days, 1 day to 4 days, 1 day to 3 days, 2 days to 6 days, 2 days It may be carried out for 5 days, 2 days to 4 days, 2 days to 3 days, 3 days to 6 days, or 3 to 5 days, 3 days to 4 days.

상기 해동하는 단계는 동결보존된 생녹용의 외형적 녹혈이 흐르지 않을 정도의 해동 상태이거나 약간 얼려져있는 상태까지 해동하며, 녹용의 빙결정 해빙대의 얼음결정 조직의 물리적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완만한 해동을 하는 것일 수 있다.The thawing step is to thaw the cryopreserved raw antler to a thawed state to the extent that the external rust blood does not flow or to a slightly frozen state, and to thaw gently to minimize physical damage to the ice crystal tissue of the ice crystal thawing zone of the antler. it could be

상기 해동된 녹용을 열수에서 세척하는 단계는 90 ℃ 이상의 열수를 이용하여 1회 내지 5회 세척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ep of washing the thawed antler in hot water may be washing 1 to 5 times using hot water of 90 ° C or higher.

상기 세척된 생녹용은 0.5 내지 5 mm의 두께로 슬라이스 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5 내지 5 mm, 0.5 내지 4.5 mm, 0.5 내지 4 mm, 0.5 내지 3.5 mm, 0.5 내지 3mm, 1 내지 5 mm, 1 내지 4.5 mm, 1 내지 4 mm, 1 내지 3.5 mm 또는 1 내지 3mm의 두께로 슬라이스하는 것일 수 있다.The washed raw antler may further include slicing to a thickness of 0.5 to 5 mm, specifically 0.5 to 5 mm, 0.5 to 4.5 mm, 0.5 to 4 mm, 0.5 to 3.5 mm, 0.5 to 3 mm, 1 to 5 mm, 1 to 4.5 mm, 1 to 4 mm, 1 to 3.5 mm, or 1 to 3 mm thickness.

상기 세척된 생녹용을 살균하는 단계는 50 내지 95%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0 내지 95%, 50 내지 90%, 50 내지 85%, 50 내지 80%, 60 내지 95%, 60 내지 90%, 60 내지 85%, 60 내지 80%, 70 내지 95%, 70 내지 90%, 70 내지 85% 또는 70 내지 80%의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ep of sterilizing the washed raw antler may be using 50 to 95% alcohol, specifically 50 to 95%, 50 to 90%, 50 to 85%, 50 to 80%, 60 to 95%, 60 to 90% alcohol. %, 60 to 85%, 60 to 80%, 70 to 95%, 70 to 90%, 70 to 85% or 70 to 80% alcohol.

상기 생녹용 살균하는 단계는 생녹용 중량 대비 알코올을 1 내지 5%용량으로 처리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내지 5%용량, 1 내지 4.5%용량, 1 내지 4%용량, 1 내지 3.5%용량, 1 내지 3%용량, 1 내지 2.5%용량, 2 내지 5%용량, 2 내지 4.5%용량, 2 내지 4%용량, 2 내지 3.5%용량, 2 내지 3%용량, 2 내지 2.5%용량, 2.5 내지 5%용량, 2.5 내지 4.5%용량, 2.5 내지 4%용량, 2.5 내지 3.5%용량 또는 2.5 내지 3%용량으로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ep of sterilizing the raw antler may be to treat the alcohol in an amount of 1 to 5% based on the weight of the fresh antler, specifically, 1 to 5%, 1 to 4.5%, 1 to 4%, 1 to 3.5%, to 3% dose, 1 to 2.5% dose, 2 to 5% dose, 2 to 4.5% dose, 2 to 4% dose, 2 to 3.5% dose, 2 to 3% dose, 2 to 2.5% dose, 2.5 to 5 % dose, 2.5 to 4.5% dose, 2.5 to 4% dose, 2.5 to 3.5% dose, or 2.5 to 3% dose.

상기 발효된 녹용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는 -20℃ 이하의 온도에서 6 내지 24시간동안 급속동결한 후, 원물중심온도 -30 내지 -70 ℃에서 6 내지 48시간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Freeze-drying the fermented deer antler may include rapid freezing at a temperature of -20 ° C or lower for 6 to 24 hours, followed by drying at a core temperature of -30 to -70 ° C for 6 to 48 hours. .

상기 급속동결은 -2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0℃ 이하, -30℃ 이하, -40℃ 이하, -45℃ 이하, -20 내지 -70℃, -20 내지 -60℃, -20 내지 -50℃, -20 내지 -45℃, -30 내지 -70℃, -30 내지 -60℃, -30 내지 -50℃, -30 내지 -45℃, -40 내지 -70℃, -40 내지 -60℃, -40 내지 -50℃, -40 내지 -45℃, -45 내지 -70℃, -45 내지 -60℃ 또는 -45 내지 -50℃ 온도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The quick freezing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20 ° C or less, specifically -20 ° C or less, -30 ° C or less, -40 ° C or less, -45 ° C or less, -20 to -70 ° C, -20 to - 60℃, -20 to -50℃, -20 to -45℃, -30 to -70℃, -30 to -60℃, -30 to -50℃, -30 to -45℃, -40 to -70 ℃, -40 to -60 ℃, -40 to -50 ℃, -40 to -45 ℃, -45 to -70 ℃, -45 to -60 ℃ or -45 to -50 ℃ temperature conditions may be carried out there is.

상기 급속동결은 6 내지 24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6 내지 24시간, 6 내지 21시간, 6 내지 18시간, 6 내지 15시간, 6 내지 12시간, 9 내지 24시간, 9 내지 21시간, 9 내지 18시간, 9 내지 15시간, 9 내지 12시간, 12 내지 24시간, 12 내지 21시간, 12 내지 18시간 또는 12 내지 15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The quick freezing may be performed for 6 to 24 hours, specifically 6 to 24 hours, 6 to 21 hours, 6 to 18 hours, 6 to 15 hours, 6 to 12 hours, 9 to 24 hours, 9 to 21 hours time, 9 to 18 hours, 9 to 15 hours, 9 to 12 hours, 12 to 24 hours, 12 to 21 hours, 12 to 18 hours, or 12 to 15 hours.

상기 건조는 원물중심온도 -30 내지 -70 ℃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0 내지 -70 ℃, -30 내지 -65 ℃, -30 내지 -60 ℃, -30 내지 -55 ℃, -40 내지 -70 ℃, -40 내지 -65 ℃, -40 내지 -60 ℃, -40 내지 -55 ℃, -45 내지 -70 ℃, -45 내지 -65 ℃, -45 내지 -60 ℃ 또는 -45 내지 -55 ℃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The drying may be performed at a raw material center temperature of -30 to -70 ° C, specifically -30 to -70 ° C, -30 to -65 ° C, -30 to -60 ° C, -30 to -55 ° C, - 40 to -70 °C, -40 to -65 °C, -40 to -60 °C, -40 to -55 °C, -45 to -70 °C, -45 to -65 °C, -45 to -60 °C or -45 It may be carried out under -55 ° C conditions.

상기 건조는 6 내지 48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6 내지 48시간, 6 내지 36시간, 6 내지 24시간, 6 내지 21시간, 12 내지 48시간, 12 내지 36시간, 12 내지 24시간, 12 내지 21시간, 18 내지 48시간, 18 내지 36시간, 18 내지 24시간, 18 내지 21시간, 21 내지 48시간, 21 내지 36시간 또는 21 내지 24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The drying may be performed for 6 to 48 hours, specifically 6 to 48 hours, 6 to 36 hours, 6 to 24 hours, 6 to 21 hours, 12 to 48 hours, 12 to 36 hours, 12 to 24 hours , 12 to 21 hours, 18 to 48 hours, 18 to 36 hours, 18 to 24 hours, 18 to 21 hours, 21 to 48 hours, 21 to 36 hours, or 21 to 24 hours.

상기 동결건조시키는 단계 후 살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살균하는 단계는 발효 동결건조 녹용을 50 내지 70℃, 50 내지 65℃, 55 내지 70℃, 또는 55 내지 65℃ 조건에서 1 내지 5시간, 1 내지 4시간, 2 내지 5시간 또는 2 내지 4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terilizing after the step of freeze-drying, wherein the step of sterilizing is performed by fermenting the freeze-dried antler at 50 to 70 ° C, 50 to 65 ° C, 55 to 70 ° C, or 55 to 65 ° C. to 5 hours, 1 to 4 hours, 2 to 5 hours, or 2 to 4 hours.

상기 방법은 녹용 내에 시알산 (Sialic aicd), 글리코사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 GAG), 우론산 (Uronic acid), 감마-아미노뷰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GABA), 아미노산, 필수 아미노산 및 아로마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일반 건조 녹용, 동결건조 녹용, 발효시키지 않고 숙성만 시킨 후 동결건조한 녹용 및/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지 않은 발효 동결건조 녹용보다 상기 성분들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sialic acid (Glycosaminoglycan, GAG), uronic acid, gamma-aminobutyric acid (γ-aminobutyric acid. GABA), amino acids, essential amino acids and aromas in antler. It may be to enhance the conten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and specifically,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is a general dried antler, a freeze-dried antler, a freeze-dried antler after aging only without fermentation, and/or the above It may be that the content of the above ingredients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that is not prepared by the method.

상기 아미노산은 글라이신, 알라닌, 세린, 프롤린, 발린, 트레오닌,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리긴, 아스파트산, 라이신, 글루타민, 글루탐산, 메티오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티로신, 트립토판 및 시스테인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이소류신(Ile), 라이신(Lys) 및 히스티딘 (Hi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은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amino acid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ine, alanine, serine, proline, valine, threonine, leucine, isoleucine, asparagine, aspartic acid, lysine, glutamine, glutamic acid, methionine, histidine, phenylalanine, arginine, tyrosine, tryptophan and cysteine. It may conta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leucine (Ile), lysine (Lys), and histidine (His). In addition, the amino acids may include essential amino acids.

상기 아로마 화합물은 2-부탄온(2-Butanone), 아세트산 뷰틸 에스터(Acetic acid butyl ester), 2-퓨란메탄올 (2-Furanmethanol) 및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aroma compoun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butanone, acetic acid butyl ester, 2-furanmethanol, and benzaldehyde. can

일 구현예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동결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마-아미노뷰티르산, 2-부탄온, 아세트산 뷰틸 에스터, 벤즈알데하이드, 알라닌, 세린, 프롤린, 발린, 트레오닌, 류신, 이소류신, 라이신, 글루탐산, 메티오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티로신, 트립토판 및 필수 아미노산 총량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일반 건조 녹용, 동결건조 녹용 및/또는 발효시키지 않고 숙성만 시킨 후 동결건조한 녹용보다 상기 성분들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ethod comprising fermentation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followed by freeze-drying or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prepared by the method is glycosaminoglycan, gamma-aminobutyric acid, 2-butane at least one cont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ne, acetic acid butyl ester, benzaldehyde, alanine, serine, proline, valine, threonine, leucine, isoleucine, lysine, glutamic acid, methionine, histidine, phenylalanine, arginine, tyrosine, tryptophan, and essential amino acids This may be enhanced, and specifically, the content of the above ingredients may be increased compared to normal dried antler, freeze-dried antler, and/or antler lyophilized after maturation without fermentation.

일 구현예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동결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마-아미노뷰티르산, 2-부탄온, 2-퓨란메탄올, 세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아르기닌, 티로신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동결건조한 녹용보다 상기 성분들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ethod comprising fermentation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followed by freeze-drying or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prepared by the method is glycosaminoglycan, gamma-aminobutyric acid, 2-butane One or more cont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ne, 2-furanmethanol, serine, threonine, glutamic acid, arginine, tyrosine, and tryptophan may be enhanced. content may be enhanced.

일 구현예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조합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동결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시알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마-아미노뷰티르산, 2-부탄온, 아세트산 뷰틸 에스터, 벤즈알데하이드, 글라이신, 알라닌, 세린, 프롤린, 발린, 트레오닌, 류신, 이소류신, 라이신, 글루탐산, 메티오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티로신, 트립토판 및 필수 아미노산 총량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일반 건조 녹용, 동결건조 녹용 및/또는 발효시키지 않고 숙성만 시킨 후 동결건조한 녹용보다 상기 성분들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ethod comprising fermenting a combin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acillus subtilis followed by freeze-drying, or 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prepared by the method contains sialic acid, Cannes, gamma-aminobutyric acid, 2-butanone, acetic acid butyl ester, benzaldehyde, glycine, alanine, serine, proline, valine, threonine, leucine, isoleucine, lysine, glutamic acid, methionine, histidine, phenylalanine, arginine, tyrosine, The content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yptophan and the total amount of essential amino acids may be increased, and specifically, the content of the above ingredients is increased compared to normal dried antler, freeze-dried antler, and/or freeze-dried antler after aging only without fermenting. it could be

일 구현예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조합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동결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시알산, 아세트산 뷰틸 에스터, 프롤린, 류신, 메티오닌 및 페닐알라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동결건조한 녹용보다 상기 성분들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ethod comprising fermentation using a combin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acillus subtilis followed by freeze-drying, or 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prepared by the method is sialic acid, acetic acid butyl ester, The content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line, leucine, methionine, and phenylalanine may be increased, and specifically, the content of the above components may be increased compared to antler lyophilized after fermenting using another strain.

일 구현예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의 조합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동결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시알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마-아미노뷰티르산, 2-부탄온, 아세트산 뷰틸 에스터, 벤즈알데하이드, 글라이신, 알라닌, 세린, 프롤린, 발린, 트레오닌,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라이신, 글루탐산, 메티오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티로신, 트립토판 및 필수 아미노산 총량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일반 건조 녹용, 동결건조 녹용 및/또는 발효시키지 않고 숙성만 시킨 후 동결건조한 녹용보다 상기 성분들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ethod comprising fermenting using a combin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then freeze-drying or fermentation freeze-drying prepared by the method Deer antler contains sialic acid, glycosaminoglycan, gamma-aminobutyric acid, 2-butanone, acetic acid butyl ester, benzaldehyde, glycine, alanine, serine, proline, valine, threonine, leucine, isoleucine, asparagine, lysine, glutamic acid , methionine, histidine, phenylalanine, arginine, tyrosine, tryptophan, and at least one cont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total amount of essential amino acids may be increased. The content of the above components may be increased compared to lyophilized antler.

일 구현예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의 조합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동결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우론산, 2-부탄온, 벤즈알데하이드, 글라이신, 알라닌, 프롤린, 발린,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아스파트산, 라이신,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및 필수 아미노산 총량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동결건조한 녹용보다 상기 성분들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ethod comprising fermenting using a combin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then freeze-drying or fermentation freeze-drying prepared by the method The deer antler has an increased conten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ronic acid, 2-butanone, benzaldehyde, glycine, alanine, proline, valine, isoleucine, asparagine, aspartic acid, lysine, histidine, phenylalanine, and the total amount of essential amino acids. Specifically, the content of the above components may be increased compared to freeze-dried deer antler after fermenting using another strain.

상기 방법은 녹용의 항산화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일반 건조 녹용, 동결건조 녹용, 발효시키지 않고 숙성만 시킨 후 동결건조한 녹용 및/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지 않은 발효 동결건조 녹용보다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 The method may be to enhanc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ntler, and specifically,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prepared by the method or the method is a general dried antler, a freeze-dried antler, a freeze-dried antler after only maturing without fermentation, and/or Antioxidant activity may be enhanced compared to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not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상기 방법은 녹용의 유산균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일반 건조 녹용, 동결건조 녹용, 발효시키지 않고 숙성만 시킨 후 동결건조한 녹용 및/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지 않은 발효 동결건조 녹용보다 유산균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 The method may be to increase the lactic acid bacteria content of the antler, and specifically,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produced by the method or the method is a general dried antler, a freeze-dried antler, a freeze-dried antler after aging without fermentation, and/or It may be that the content of lactic acid bacteria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not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상기 방법은 상기 발효 동결건조 녹용을 추출, 농축 또는 분말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tracting, concentrating, or pulverizing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상기 방법은 녹용의 추출 효율 및/또는 농축 효율을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일반 건조 녹용 또는 동결건조 녹용보다 생산 효율을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으로 추출물 또는 농축물을 제조할 경우 현저히 우수한 생산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The method may improve extraction efficiency and/or concentration efficiency of antler, and specifically, may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compared to general dried antler or freeze-dried antler. Therefore, when an extract or concentrate is prepared from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remarkably excellent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exhibited.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으로부터 추출물 및 농축물을 제조한 경우, 동일한 고형분 농도 기준으로 농축한 결과 일반 건조 녹용 및 동결건조 녹용보다 우수한 생산 효율을 나타냈음을 확인하였다.In one embodiment, when extracts and concentrates were prepared from the above method or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as a result of concentration based on the sam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it was found that production efficiency was superior to that of normal dried antler and freeze-dried antler. Confirmed.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에도 공히 적용된다.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The same parts as those described above also apply to the above.

상기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녹용 내에 시알산 (Sialic aicd), 글리코사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 GAG), 우론산 (Uronic acid), 감마-아미노뷰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GABA), 아미노산 및 아로마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일반 건조 녹용, 동결건조 녹용, 발효시키지 않고 숙성만 시킨 후 동결건조한 녹용 및/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지 않은 발효 동결건조 녹용보다 상기 성분들의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contains sialic acid (Glycosaminoglycan, GAG), uronic acid, gamma-aminobutyric acid (GABA), amino acids and aromas in the deer antler. It may be to enhance the conten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and specifically,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is a general dried antler, a freeze-dried antler, a freeze-dried antler after aging only without fermentation, and/or the above It may be that the content of the above ingredients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that is not prepared by the method.

상기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것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일반 건조 녹용, 동결건조 녹용, 발효시키지 않고 숙성만 시킨 후 동결건조한 녹용 및/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지 않은 발효 동결건조 녹용보다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may have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and specifically, 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is a general dried deer antler, a freeze-dried deer antler, a freeze-dried deer antler after only maturing without fermentation, and/or the method described above. It may be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is enhanced than that of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that is not prepared with

상기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유산균 함량이 증진된 것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일반 건조 녹용, 동결건조 녹용, 발효시키지 않고 숙성만 시킨 후 동결건조한 녹용 및/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지 않은 발효 동결건조 녹용보다 유산균 함량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may have an increased lactic acid bacteria content. Specifically, 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is a general dried deer antler, a freeze-dried deer antler, a freeze-dried deer antler after aging only without fermentation, and/or the method described above. It may be that the content of lactic acid bacteria is increased than that of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that is not manufactured.

상기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추출 및/또는 농축 효율이 증진된 것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은 일반 건조 녹용, 동결건조 녹용, 발효시키지 않고 숙성만 시킨 후 동결건조한 녹용 및/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지 않은 발효 동결건조 녹용보다 추출 및/또는 농축 효율이 증진된 것일 수 있다.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may have improved extraction and/or concentration efficiency. Specifically, 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is a general dried deer antler, a freeze-dried deer antler, a freeze-dried deer antler after aging only without fermentation, and / Or it may be one with improved extraction and / or concentration efficiency than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not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동결건조 녹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 방법에도 공히 적용된다.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extract comprising obtaining an extract from 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The same parts as described above are also applied to the method.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추출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건조물, 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extract" refers to a product such as a liquid component obtained by immersing a target material in various solvents and then extracting at room temperature or a warm st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 solid component obtained by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liquid component. can mean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results, it is intended to include the extracts of all formulations that can be formed using the extracts themselves and extracts such as dilutions of the results, concentrates thereof, crude products thereof, purified products, dried products, powders, or mixtures thereof. can be interpreted comprehensively.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양성자성 극성 용매 또는 비양성자성 극성 및 비극성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양성자성 극성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뷰탄올일 수 있다. 상기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는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히드로퓨란,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아세톤, 2-뷰탄온, 또는 헥사메틸포스포르아미드일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용매는 펜탄, 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디에틸에테르일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용매는 벤젠이 제외된다. 상기 용매는 C1-C6의 알콜, C3-C10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C3-C10의 아세테이트, C3-C10의 케톤, C1-C6의 비치환 또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C2-C10 고리 에테르, 이들의 혼합물 또는 상기 용매 중 하나 이상과 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에탄올, 프로판올, 아세토니트릴,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2-뷰탄온,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이들의 혼합물, 또는 상기 용매 중 하나 이상과 물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는 알칸, 알켄, 또는 알킨일 수 있다.The extraction solvent of the extract may be a protic polar solvent or an aprotic polar and non-polar solvent. The protic polar solvent may be water,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or butanol. The aprotic polar solvent may be dichloromethane, tetrahydrofuran, ethyl acetate, acetonitrile, dimethylformamide, dimethylsulfoxide, acetone, 2-butanone, or hexamethylphosphoramide. The non-polar solvent may be pentane, hexane, chloroform, or diethyl ether. The non-polar solvent excludes benzene. The solvent is a C1-C6 alcohol, a C3-C10 ester, such as a C3-C10 acetate, a C3-C10 ketone, a C1-C6 unsubstituted or halogenated hydrocarbon, a C2-C10 ring ether, a mixture thereof or a mixture of one or more of the above solvents and water. The solvent may be ethanol, propanol, acetonitrile, ethyl acetate, acetone, 2-butanone, chloroform, dichloromethane, hexane, a mixture thereof, or a mixture of one or more of the above solvents and water. The hydrocarbon may be an alkane, alkene, or alkyne.

상기 추출물은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뷰탄올(buthanol)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glycerine), 부틸렌글리콜 (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아세톤(acetone), 벤젠(bezen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The extract is water; C1 to C4 lower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butanol; polyhydric alcohols such as glycerine, but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and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cetone, benzene, hexane, diethyl ether, and dichloromethane. It may be extracted with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상기 추출물은 감압고온 추출, 열탕 추출, 환류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상온 추출, 초음파 추출, 증기 추출 및 분획 추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The extract may be extracted by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uced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reflux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cold needle extraction, room temperature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steam extraction and fractional extraction.

상기 추출은 60 ℃ 내지 100 ℃에서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 내지 100 ℃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내지 100 ℃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추출은 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extraction may be carried out at 60 °C to 100 °C, preferably at 70 °C to 100 °C, and more preferably at 85 °C to 100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Extraction may be carried out for 4 hours to 72 hours, preferably for 4 hours to 48 hours, more preferably for 4 hours to 24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The term "fraction"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a product obtained by performing fractionation to separate a specific component or a specific component group from a mixture containing various components.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A fractionation method for obtaining the fr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ractionation method include a fractionation method performed by treating various solvents, an ultrafiltration fractionation method performed by passing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and various chromatography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 chromatographic fractionation method that performs separation by affinity),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like.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는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뷰탄올(buthanol)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glycerine), 부틸렌글리콜 (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아세톤(acetone), 벤젠(bezen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type of fractionation solvent used to obtain the fr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olvent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The fractionation solvent is water; C1 to C4 lower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butanol; polyhydric alcohols such as glycerine, but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and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cetone, benzene, hexane, diethyl ether, and dichloromethane. It may contain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에도 공히 적용된다.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The same parts as those described above also apply to the above.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발효 동결건조 녹용, 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 조성물에도 공히 적용된다.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n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an extract thereof, or a fraction thereof. The same parts as described above also apply to the composition.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항산화"는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호흡하여 몸에 들어온 산소는 몸에 이로운 작용을 하지만 이 과정에서 활성산소가 만들어지며, 활성산소에 의한 생체지질의 산화에 따라 생체막 인지질 이외에 단백질이나 유전 정보를 담당하는 DNA의 손상, 나아가서 간 장해나 순환기계 질환 혹은 암 등의 질병 그리고 노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활성산소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세포의 산화, 세포의 노화를 막는데 주요한 원리로 다루어질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antioxidation" means an action of inhibiting oxidation. Oxygen that enters the body through respiration has a beneficial effect on the body, but in this process, active oxygen is produced, and biolipids are oxidized by active oxygen. It is being studied to induce diseases such as circulatory system disease or cancer, and aging. Therefore, proper maintenance of active oxygen can be treated as a major principle to prevent cell oxidation and cell aging.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의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말토 덱스트린,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글리세롤, 에탄올,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기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refer to a carrier or diluent that does not inhibit the biological activity and properties of the compound to be injected without irritating living organisms. Here, the meaning of "pharmaceutically acceptable" means that the application (prescription) does not have toxicity more than is adaptable without inhibiting the activity of the active ingredient. Any type of carrier that can be us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i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Non-limiting examples of the carrier include lactose, dextrose, maltodextrin,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glycerol, ethanol, starch, gum acacia, alginates,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saline,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albumin injection solution,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or Mineral oil etc. ar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prepared as an oral formulation or parenteral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route of administration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includ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of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or sterile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of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or sterile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When formulat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t may be prepared by add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commonly used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or surfactants.

상기 약학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Wh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prepared as a dosage form for oral use, formulations such as powder, granule, tablet, pill, dragee, capsule, liquid, gel, syrup, suspension, wafer, etc. can be manufactured with Examples of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 sugars such as lactose, glucose, sucrose, dextrose, sorbitol, mannitol, and xylitol, starches such as corn starch, potato starch, and wheat starch, cellulose, methylcellulose, ethylcellulose, Celluloses such as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malt, gelatin, talc, polyol, vegetable oil etc. are mentioned. In the case of formulation, if necessary, diluents and/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may be included.

상기 약학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활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멸균수, 에탄올, 글리세롤이나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prepared as a parenteral formulation, it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injec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nasal inhalation, and suppository along with a suitable carrier according to a method known in the art. In the case of formulation as an injection, suitable carriers include sterile water, ethanol, polyols such as glycerol or propylene glycol, or mixtures thereof, preferably Ringer's solution,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containing triethanolamine or sterilization for injection water, isotonic solutions such as 5% dextrose, and the like can be used. When formulated as a transdermal formulation, it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ointments, creams, lotions, gels, external solutions, pastas, liniments, air rolls, and the like. In the case of nasal inhalation, it can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an aerosol spray using a suitable propellant such as dichlorofluoromethane, trichlorofluoromethane, dichlorotetrafluoroethane, carbon dioxide, etc., and when formulated into suppositories, the base is Witepsol ( witepsol), tween 61, polyethylene glycols, cacao fat, laurin fat,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s, polyoxyethylene stear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may be used.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공지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and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or prevent a disease with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or prevention. , the effective dose level depends on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patient's age, weight, health, sex, the patient's sensitivity to the drug, the administration tim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excretion rate, the treatment period, the present used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factors including drugs used in combination or simultaneous use with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ingredients known to exhibit known therapeutic effect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the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with the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in consideration of all the above factors.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질환의 중독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기왕력,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성인 1인당 약 0.1ng 내지 약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 ng 내지 약 100 mg/kg로 투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 또는 투여횟수는 어떠한 면으로든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 be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use, the degree of addiction of the disease, the patient's age, weight, sex, history, or the type of substanc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For exampl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at about 0.1 ng to about 1,000 mg/kg, preferably 1 ng to about 100 mg/kg per adult, and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Although not limited, it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administered several times by dividing the dose. The dosage or frequency of administra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y way.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이때, 조성물은 액제, 산제, 에어로졸, 주사제, 수액제(링겔), 캡슐제, 환제, 정제, 좌제 또는 패치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도 투여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singly or in multiple doses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At this time, the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and administered in the form of a liquid, powder, aerosol, injection, infusion (intravenous gel), capsule, pill, tablet, suppository or patch. The administration rout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through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상기 약학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피패치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등의 경로를 통해 투여 될 수 있다. 다만, 경구 투여 시에는 제형화되지 않은 형태로도 투여할 수 있고, 위산에 의하여 상기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변성 또는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된 형태 또는 경구용 패치형태로 구강내에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depending on the purpose,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dermal administration, transdermal patch administration, or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intrapulmonary administration, intrarectal administration, etc. It can be administered by route. However, oral administration can be administered in an unformulated form, and since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 be denatured or decomposed by gastric acid, the oral composition is formulated to coat the active agent or protect it from degradation in the stomach. It can also be administered orally in the form of a localized form or an oral patch. In addition,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by any device capable of transporting active substances to target cells.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 식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The term "food"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chewing gum,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 drinks, and alcoholic beverages. , vitamin complexe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health foods, etc., and include all foods in the conventional sense.

상기 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골 관련 질환의 개선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The food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can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ingredi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during the manufacture. In addition, the formulation of the food may also be prepar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formulation is recognized as a food. The food composition can be prepared in various types of dosage forms, and, unlike general drugs, has the advantage of using food as a raw material and has no side effects that may occur when taking drugs for a long time and has excellent portability, so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taken as an adjuvant to enhance the effect of improving bone-related diseases.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having useful functionalities for the human body in accordance with the Health Functional Food Act No. 6727, and 'functional' refers to the human body. It means to obtain useful effects for health purposes such as regulating nutrients fo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food or physiological functions.

상기 건강 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 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건강 기능 식품, 건강 식품, 건강 보조 식품의 용어는 혼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조성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The health food (health food) means food that has an active health maintenance or promotion effect compared to general food, and health supplement food (health supplement food) means food for the purpose of health supplement. In some cases, the terms health functional food, health food, and dietary supplemen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Specifically,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a food prepared by adding the composition to food materials such as beverages, teas, spices, gum, confectionery, etc., or encapsulated, powdered, suspended, etc., and when ingested, it has a specific effect on health It means coming, but unlike general drugs, it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side effects that can occur when taking drugs for a long time by using food as a raw material.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선 효능에 대하여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Since the food composition can be consumed on a daily basis, a high effect on improving efficacy can be expected, so it can be used very usefully.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 (niacin), 비오틴 (biotin), 폴레이트 (folate), 판토텐산 (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The foo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type of carri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carrier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Specifically, the food composition may include additional ingredients that are commonly used in food compositions and can improve smell, taste, and vision. For example, vitamins A, C, D, E, B1, B2, B6, B12, niacin, biotin, folate, panthotenic acid,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minerals such as zinc (Zn), iron (Fe), calcium (Ca), chromium (Cr), magnesium (Mg), manganese (Mn), copper (Cu), and chrome (Cr) may be included. In addition, amino acids such as lysine, tryptophan, cysteine, and valine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방부제 (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 (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 (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 (타르색소 등), 발색제 (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 (아황산나트륨), 조미료 (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 (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 (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 (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 (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d composition may include preservatives (potassium sorbate, sodium benzoate, salicylic acid, sodium dehydroacetate, etc.), bactericides (bleaching powder and high bleaching powder, sodium hypochlorite, etc.), antioxidants (butylhydroxyanisole (BHA), butyl hydroxy Loxytoluene (BHT), etc.), coloring agent (tar colorant, etc.), coloring agent (sodium nitrite, sodium nitrite, etc.), bleach (sodium sulfite), seasoning (MSG sodium glutamate, etc.), sweetener (dulcin, cyclemate, saccharin) , sodium, etc.), flavoring (vanillin, lactones, etc.), expanding agent (alum, D-potassium hydrogen tartrate, etc.), strengthening agent, emulsifier, thickener (thickener), coating agent, gum base agent, foam inhibitor, solvent, improver, etc. food May contain food additives. The additiv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and used in an appropriate amount.

상기 식품 조성물은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음료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하, 구체적으로 2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food composition may be adde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In general,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50 parts by weight or less, specifically 2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food or beverage when preparing food or beverage. However, when inge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for health and hygiene purposes, the amount below the above range may be included,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상기 식품 조성물의 일 예로 건강음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구체적으로 약 0.02 ~ 0.03 g이 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food composition may be used as a health beverage composition, and in this case, as in conventional beverages,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may be included as additional components. The afor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s and cyclodextrins; It may be a sugar alcohol such as xylitol, sorbitol, or erythritol. Sweeteners include natural sweeteners such as thaumatin and stevia extract;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may be used.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s may be generally about 0.01 to 0.04 g, specifical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mL of the health dr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외에 건강음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salts of pectic acid, alginic acid, salts of alginic acid,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It may contain alcohol or a carbonating agent, and the like. In addition, it may contain fruit flesh for the manufacture of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s, or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ratio of these additives is not very important,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식품 조성물은 항노화의 개선 또는 예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추출물을 다양한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을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001 내지 100 중량% 또는 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ood composition may contai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eight% if it can exhibit an anti-aging improvement or preventive effect, and specifically, the extract is 0.00001 to 100% by weight or 0.01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조성물은 사료 조성물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be a feed composition.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feed" in this specification may mean any natural or artificial diet, meal, etc., or a component of said meal, for or suitable for eating, ingesting, and digesting by an animal.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e type of fe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eeds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eed include vegetable feeds such as grains, root fruits, food processing by-products, algae, fibers, pharmaceutical by-products, oils and fats, starches, meal or grain by-products; Animal feeds such as proteins, inorganic materials, oils and fats, mineral oils, oils and fats, single cell proteins, zooplankton, or food may b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사료 조성물은 제제에 따라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해 첨가 가능한 공지의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고농축액,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동물의 식이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단백질-함유 유기 곡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동물 사료에 침지, 분무, 또는 혼합으로 첨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fee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known additives that can be added to improve or prevent obesity and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s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The feed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a highly concentrated solution, powder or granules. The fee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y protein-containing organic flour commonly used to meet the dietary needs of animals. The feed composition may be added to animal feed by dipping, spraying, or mixing.

상기 사료 조성물은 영양소 보충 및 체중감소 예방, 사료 내 섬유소의 소화 이용성 증진, 유질 개선, 번식장애 예방 및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산수소나트륨, 벤토나이트(bentonite), 산화마그네슘, 복합광물질 등의 광물질제제, 아연, 구리, 코발트, 셀레늄 등의 미량 광물질인 미네랄제제, 케로틴, 비타민 E, 비타민 A, D, E, 니코틴산, 비타민 B 복합체 등의 비타민제, 메티오닌, 리이산 등의 보호아미노산제, 지방산 칼슘염 등의 보호지방산제, 생균제(유산균제), 효모배양물, 곰팡이 발효물 등의 생균, 효모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The fee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substances exhibiting various effects such as supplementation of nutrients and prevention of weight loss, enhancement of digestibility of fiber in feed, improvement of oil quality, prevention of reproductive disorders and improvement of conception rate, and prevention of high temperature stress in summer. For example, mineral preparations such as sodium bicarbonate, bentonite, magnesium oxide, and complex minerals, trace mineral preparations such as zinc, copper, cobalt, and selenium, kerotene, vitamin E, vitamins A, D, E, and nicotinic acid. , Vitamins such as vitamin B complex, protected amino acids such as methionine and lysic acid, protected fatty acids such as fatty acid calcium salts, probiotics (lactic acid bacteria), yeast cultures, live bacteria such as mold fermented products, yeasts, etc. can be included

상기 사료 조성물은 포유류, 가금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 식이 즉, 사료 및 음용수에 적용할 수 있다.The feed composition can be applied to a number of animal diets including mammals and poultry, that is, feed and drinking water.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에 첨가되는 물질 (즉, 사료 첨가제), 사료 원료 또는 개체에 급여되는 사료 자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eed composition may include all substances added to feed (ie, feed additives), feed raw materials, or feed itself fed to the individual.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통상적인 화장료의 제형이라면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또는 영양화장수 등의 스킨,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아이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또는 바디에센스일 수 있다.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ventional cosmetic formulation, but for example, skin softening lotion, astringent lotion or nutrient lotion,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eye essence,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It may be water, pack, powder, body lotion, body cream, body oil or body essence.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맞게 임의로 선정한 물질을 첨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add materials selected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cosmetic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for example, preservatives, stabilizers, surfactants, solubilizers, humectants, emollients, ultraviolet absorbers, preservatives, bactericides, antioxidants, pH Adjusting agent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fragrances, cooling agents or antiperspirants,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The blending amount of the additional components can be easi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s a carrier component, for example,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etc. may be includ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powder or spray, it may include, for example,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as a carrier component,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 propellants such as rhohydrocarbons, propane/butane or dimethyl ether.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olution or emulsion, as a carrier component, for example, a solvent, a solubilizing agent, or an emulsifying agent may be included, for exampl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s,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s of sorbitan.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uspension, as a carrier component, for example,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n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a suspension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agent,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h, and the like.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s a carrier component, for example,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 taurate, sarcosyl nates,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fatty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또 다른 양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 또는 배양액의 농축물; 및 이들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녹용 발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 조성물에도 공히 적용된다.Another aspect is one or more stra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culture of the strain; Concentrates of the above strains or cultures; And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fermentation of antl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ried products thereof. The same parts as described above also apply to the composition.

상기 녹용은 생녹용, 숙성 녹용, 건조 녹용 또는 발효 녹용인 것일 수 있다.The antler may be fresh antler, aged antler, dried antler or fermented antler.

상기 조성물은 발효 동결건조 녹용을 제조하기 위해서 녹용을 발효시키기 위한 조성물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be a composition for fermenting antler to prepare a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은 기존의 건조 녹용 또는 이의 추출물보다 유용성 성분을 높게 보유하고 있는 바, 기능성 발효 동결건조 녹용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 fermentation freeze-dried deer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higher useful components than conventional dried deer antlers or extracts thereof, so that functional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s can be effectively prepared.

도 1은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대조군 및 다양한 발효 동결건조 녹용 실험군을 나타낸다.
도 3은 PMCA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녹용의 시알산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녹용의 GAG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녹용의 우론산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녹용의 GABA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녹용의 일반 균주 및 유산균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녹용의 항산화 활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녹용의 아로마 화합물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녹용의 저분자 화합물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녹용의 라이신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녹용의 이소류신 및 히스티딘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녹용의 전체 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녹용의 수율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1 shows a process chart of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control group and various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experimental groups.
3 shows an example of the PMCA method.
4 show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ialic acid content of the antler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AG content of the antler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uronic acid content of the antler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ABA content of the antler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general strain and lactic acid bacteria content of the antler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ntler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roma compound content of the antler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content of antler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lysine content of the antler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the analysis results of isoleucine and histidine contents of antler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4 show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he antler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5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yield of antler prepared by the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below. However, these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 본 발명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Example 1: Method for manufacturing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녹용 건조 이후 발생하는 생리 활성물질 및 유기물질의 불용성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생녹용 상태에서 숙성 및 발효를 수행하였으며, 생녹용의 발효 과정 중 프로바이틱스를 활용하여 기능성 물질의 향상 및 생산수율의 증가를 위한 제조 기술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insolubility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nd organic substances that occur after drying the antler, aging and fermentation were performed in the raw antler state. It is a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growth.

본 발명의 기술 요지는 급격한 물리화학적 변화를 최소화시키는 것으로서, 각 공정 단계별 해동, 숙성, 발효, 동결건조의 단계에서 급격한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식품안전성 허용 범위에서 시간을 길게 가져가는 LTLT기술 (Low Temperature Long Time) 기술 및 각 공정 단계별 중점 관리 기술을 연계 적용하는 허들 테크롤로지 식품공학기술(Hurdle Technology & Food Engineering)이 적용된다. The technical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rapid physicochemical changes, minimizing rapid temperature changes in each step of thawing, aging, fermentation, and freeze-drying, while taking a long time within the food safety tolerance range. LTLT technology (Low Temperature Long Time) technology and Hurdle Technology & Food Engineering, which apply intensive management technology in each process step, are applied.

각 공정의 Hurdle 단계는 7단계 이며, 다음과 같다:There are 7 hurdle steps in each process, as follows:

1)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한 생녹용 원료의 식품안전성 사전 검사 공정 - 샘플 채취후 가축 질병(결핵, CWD, 브루셀라 등) 검사를 실시하며, 분석방법은 면역염색 및 웨스턴 블랏을 이용한 PMCA 기법을 적용한다 (제1단계).1) Pre-inspection process for food safety of raw antler raw materials to ensure food safety - After sampling, livestock diseases (tuberculosis, CWD, Brucella, etc.) are tested, and PMCA techniques using immunostaining and Western blotting are applied as analysis methods ( Step 1).

2) 저온 장시간 해동 공정 - 원료의 동결보존 상태에 따라 3~7℃에서 2일~5일간 실시한다. 외형적 녹혈이 흐르지 않을 정도의 해동 상태이거나 약간 얼려져있는 상태까지 해동하며, 녹용의 빙결정해빙대의 얼음결정 조직의 물리적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완만한 해동을 수행한다 (제2단계).2) Low-temperature long-term thawing process - Depending on the cryopreservation state of raw materials, it is carried out at 3-7℃ for 2 to 5 days. It is thawed to a state where external rust blood does not flow or to a state where it is slightly frozen, and gradual thawing is performed to minimize physical damage to the ice crystal tissue of the ice crystal thawing zone of the antler (second step).

3) 세척 및 슬라이스 공정 - 90 ℃ 이상 열수에서 3회 세척 후 1~3mm 슬라이스를 하며, 작업장 온도는 10~15℃ 유지한다 (제3단계)3) Washing and slicing process - Wash 3 times in hot water over 90 ℃, slice 1~3mm, and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workshop at 10~15℃ (3rd step)

4) 원료의 살균 공정 - 생녹용 절편을 채반에 고르게 펴서 75% 알코올, 2.5%용량으로 처리한다. (제4단계)4) Sterilization process of raw materials - Spread raw antler slices evenly on a sieve and treat them with 75% alcohol and 2.5% volume. (Step 4)

5) 저온 장시간 (LTLT) 숙성 공정 - 7℃ 암실에서 원료에 따라 24 h ~ 48h 숙성한다. (제5단계)5) Low-temperature long-term (LTLT) maturation process - Aging in a dark room at 7℃ for 24 h to 48 h depending on the raw material. (Step 5)

6) 최적합 발효 공정 - 원료의 상태에 따라 균주를 접종 후 2일 내지 5일간 발효한다. 녹혈이 흐르지 않도록 5 내지 37 ℃ 변온 교차 관리가 필요할 수 있다 (제6단계)6) Optimum fermentation process -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raw material, the strain is inoculated and then fermented for 2 to 5 days. It may be necessary to alternate temperature between 5 and 37 ° C to prevent blood from flowing (Step 6)

7) 동결건조 공정 ; -45 ℃ 이하에서 12시간동안 급속동결 후, 원물중심온도 -45 ~ -55 ℃에서 21시간 건조 후, 60 ℃에서 3시간 살균한다. (제7단계)7) Freeze-drying process; After quick freezing at -45 ℃ or less for 12 hours, dry at -45 ~ -55 ℃ for 21 hours, and sterilize at 60 ℃ for 3 hours. (Step 7)

각 단계별 세부 기술은 도 1을 참조한다.Detailed descriptions of each step refer to FIG. 1 .

본 발명의 생녹용의 숙성 발효 동결건조기술은 가축질병 사전 예방 기술, 프로바이오틱스 기술, 허들테크롤로지 기술을 통하여 생녹용 고유의 유용성 성분의 불용화를 최소화 하였으며, 후천적 발효 기능성 강화와 식품안전성을 향상시켰다.The ripening fermentation freeze-drying technology of fresh antler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insolubility of useful components unique to fresh antler through the livestock disease prevention technology, probiotics technology, and hurdle technology technology, and enhances acquired fermentation functionality and improves food safety.

실시예 2: 녹용 재료Example 2: Deer Antler Material

본 발명의 실험예 및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녹용 재료는 2020년 생산된 대록 품종(Cervus canadensis, Elk) 생녹용(FA)을 한국양토양록농협에서 30 kg을 수집(n=30) 하였다. 생리활성 함량이 최고조에 달하는 75일~80일령에서 절각된 2등급(각관분지 깊이 7cm 이내)을 사용하였으며, 생녹용(Fresh Antler velvet, FV)의 부위는 Tip분골·상대를 사용하였다.As for the antler material used in the experimental example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30 kg (n = 30) of live antler (FA) produced in 2020 ( Cervus canadensis, Elk )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Soil Yangrok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Grade 2 cuts (within 7cm in depth of each tube branch) were used at 75 to 80 days of age, when the physiological activity content is at its peak, and tip bone and partner were used for fresh antler velvet (FV) parts.

먼저, 생녹용 원료의 질병검사를 실시하여 식품안전성 확보를 하였다(1단계). 생녹용이 동결된 경우에는 7 ℃에서 2일간 피가 흐르지 않을 정도의 약간 얼려있는 상태로 해동하였으며(2단계), 90 ℃ 이상 열수로 3회 세척 후, 1~3mm의 두께로 슬라이스를 하여, 부위별로 편중되지 않게 원료를 골고루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작업장 온도는 15 ℃이하로 유지하였다(3단계). 채반에 원료를 고르게 펴서 70% 알코올 2.5%를 분무하여 살균하고(4단계), 5 ℃ 내지 7 ℃ 암실에서 48시간 숙성을 실시하였다(5단계). 서울대학교 및 전주대학교에서 선발된 Lactobacillus plantarum LP20B49 (수탁번호: KACC 92397P, 기탁일자: 2021년 11월 22일), Saccharomyces cerevisiaeBacillus subtilis 균주의 조합을 처리구별 다르게 접종하여 5~37 ℃ 변온에서 72시간 생녹용을 순차적으로 발효시켰으며(6단계), 발효된 생녹용은 -40℃ 이하에서 12시간 급속동결을 한 다음, 동결건조기(KK-300, Beomil Co., Ltd.)로 원물중심온도 -45 ~ -55 ℃에서 21시간 건조 후, 60 ℃에서 3시간동안 살균하였다(7단계). 비교구의 건조 녹용(Dry Antler velvet, DA)은 관행 방법을 적용하였습니다.First, the raw material for raw antler was tested for disease to ensure food safety (step 1). If raw antler was frozen, it was thawed at 7 ° C for 2 days in a slightly frozen state to the extent that blood did not flow (step 2), washed three times with hot water at 90 ° C or higher, and then sliced to a thickness of 1-3 mm, The raw materials were evenly mixed and used without any bias, and the temperature in the workplace was maintained below 15 °C (step 3). The raw material was evenly spread on a tray, sterilized by spraying 2.5% of 70% alcohol (step 4), and aged for 48 hours in a dark room at 5 ° C to 7 ° C (step 5). Lactobacillus plantarum LP20B49 (accession number: KACC 92397P, date of deposit: November 22, 2021), Saccharomyces cerevisiae , and Bacillus subtilis strains selec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Jeonju University were inoculated differently for each treatment group, and at 72 Time The raw antler was fermented in sequence (step 6), and the fermented fresh antler was quickly frozen at -40℃ or less for 12 hours, and then used in a freeze dryer (KK-300, Beomil Co., Ltd.) at a core temperature of -45 After drying at -55 ° C for 21 hours, sterilization was performed at 60 ° C for 3 hours (step 7). Dry antler velvet (DA) in the control group applied the conventional method.

상기 단계별 공정을 거친 발효 동결건조 녹용추출물 (Fermented Freeze-dry Antler velvet Extract, FFAE)의 기능성 지표물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조한 일반 건조녹용 추출물 (Dry Antler velvet Extract, DAE)을 대조군으로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TOWER KS-220 (Kyungseo E&P Co., Ltd., Incheon)를 사용하여, 각 시험구별 원물 2배 기준 식수(clean water)를 넣고, 85 ~ 100 ℃에서, 20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the functional indicator substance of the fermented freeze-dry Antler velvet extract (FFAE) that has undergone the above step-by-step process, dry Antler velvet extract (DAE) prepared in a traditional way was used as a control and compared. In addition, using TOWER KS-220 (Kyungseo E&P Co., Ltd., Incheon), clean water based on twice the raw material for each test section was added, and hot water extraction was performed at 85 ~ 100 ° C. for 20 hours.

녹용 농축액은 100 mesh로 여과한 다음, 고형분 측정장치(ATAGO PAL-2)에서 고형분 18%(D/M 18%)의 동일 농도로 농축하여 분석시료로 사용했다. 또한 생균수와 총균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발효 동결건조 녹용 분말(Fermented Freeze-dry Antler velvet Powder, FFAP)을 조제하였으며, 각 시험구별 100 mesh가 통과된 분말은 획득하였다.The antler concentrate was filtered through 100 mesh, and then concentrated to the same concentration of 18% solid content (D/M 18%) in a solid content measuring device (ATAGO PAL-2), and used as an analysis sample. In addition, fermented freeze-dry Antler velvet powder (FFAP) was prepared to measure the viable and total bacterial counts, and powders that passed 100 mesh in each test section were obtained.

실시예 3: 생녹용 원료의 식품안전성 분석Example 3: Food safety analysis of raw materials for raw antler

발효 이전에 생녹용(FA) 원료에 대한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사슴 유래 질병 및 유해성 병원체 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지 하단에서 1~3mm 두께로 슬라이스하여 각각(n= 80)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녹용시료에 대한 결핵균, 브루셀라균 검사 및 특이하게도 사슴 만성 소모성 질병(Chronic Wasting Disease, CWD) 검사법에 대해서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면역염색 및 웨스턴 블랏팅을 이용한 검출을 위하여 원인단백질을 PrPc에 대한 고감도검사법인 PMCA(Protein misfolding cyclic amplification)기법을 적용하였다 (도 3).In order to ensure food safety for fresh antler (FA) raw materials before fermentation, deer-derived diseases and harmful pathogens were tested. Specifically, each (n = 80) was sliced at a thickness of 1 to 3 mm from the bottom of the battery and analyzed. There are no standardized tests for tuberculosis bacillus and brucellosis on deer antler samples and, specifically, deer Chronic Wasting Disease (CWD) test methods. In the present invention, PMCA (Protein misfolding cyclic amplification) technique, which is a highly sensitive assay for PrP c , was applied to the causative protein for detection using immunostaining and Western blotting (FIG. 3).

실시예 3-1: DNA 추출Example 3-1: DNA extraction

유전자 검사를 위한 DNA 추출은 Genomic DNA Extraction kit(Bioneer, Korea)를 사용하였으며 제조사가 추천하는 방법을 준용했다. 추출 과정을 간략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DNA extraction for genetic testing was performed using the Genomic DNA Extraction kit (Bioneer, Korea), and the method recommended by the manufacturer was applied. A brief description of the extraction process is as follows.

먼저, 녹용 시료 약 30 mg을 채취하여 1.5 ml 튜브에 넣고 조직 용해액 200 ㎕를 첨가하였다. 곧바로 Proteinase K 20 ㎕와 RNase A 10 ㎕ 넣고 잘 섞어주었다. 60 ℃ 항온수조에서 1시간 동안 감작시키면서 녹용 조직을 완전히 용해하였다. 200 ㎕의 Binding buffer를 넣고 잘 섞어준 후, 400 ㎕의 에탄올을 넣고 잘 섞은 후 Binding column 튜버에 넣고 8,000 rpm 에서 1 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500 ㎕ 세척액을 넣고 8,000 rpm 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고 2회 세척하였다. 5분간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추출액 200 ㎕를 넣고 13,000 rpm 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여 DNA를 회수한 후 -20 ℃ 이하에서 보관하면서 검사에 사용하였다.First, about 30 mg of an antler sample was collected, put into a 1.5 ml tube, and 200 μl of a tissue lysate was added. 20 μl of Proteinase K and 10 μl of RNase A were immediately added and mixed well. The antler tissue was completely dissolved while sensitizing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t 60 °C for 1 hour. After adding 200 μl of Binding buffer and mixing well, 400 μl of ethanol was added, mixed well, and then placed in a Binding column tube and centrifuged at 8,000 rpm for 1 minute. 500 μl of washing solution was added, centrifuged at 8,000 rpm for 1 minute, and washed twice. After drying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s, 200 μl of the extract was added and centrifuged at 13,000 rpm for 1 minute to recover DNA, which was then stored at -20 ° C or less and used for testing.

실시예 3-2: 질병균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 제작 및 PCR 조건Example 3-2: Preparation of primers and PCR conditions for detecting pathogens

질병별 목적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체적으로, 결핵병은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표준 균주인 H37Rv 균주의 16S Rrna를 검출하고, 브루셀라병은 브루셀라균(Brucella species)의 BCSP-31를 검출하며 사슴만성소모성질병(Chronic Wasting Disease, CWD)은 PRNP(프리온 단백질 유전자)를 검출하고자 하였다.Base sequences of primers for detecting target genes for each disease are listed in Table 1 below. Specifically, tuberculosis disease detects 16S Rrna of H37Rv strain, a standard strai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and brucellosis detects BCSP-31 of Brucella species and deer chronic wasting disease (CWD) tried to detect PRNP (prion protein gene).

질병명disease name 목적
유전자
purpose
gene
Product size (bp)Product size (bp) Gen BankGen Bank Primer sequencesPrimer sequences 서열번호sequence number
결핵병tuberculosis disease 16S rRNA16S rRNA 543 bp543 bp NR102810NR102810 FF ACG GTG GGT ACT AGG TGT GGG TTT CACG GTG GGT ACT AGG TGT GGG TTT C 1One RR TCT GCG ATT ACT AGC GAC TCC GAC TTC ATCT GCG ATT ACT AGC GAC TCC GAC TTC A 22 브루셀라병brucellosis BCSP-31BCSP-31 440 bp440 bp MG457036MG457036 FF GGG CAA GGT GGA AGA TTTGGG CAA GGT GGA AGA TTT 33 RR CGG CAA GGG TCG GTG TTTCGG CAA GGG TCG GTG TTT 44 사슴만성
소모성질병
deer chronic
wasting disease
Elk PRNPElk PRNP 184 bp184 bp EU082291EU082291 FF GGA ACA AGC CCA GTA AAC CAGGA ACA AGC CCA GTA AAC CA 55
RR TGG TTG GGG TAA CGG TAC ATTGG TTG GGG TAA CGG TAC AT 66

상기 프라이머들의 PCR 반응 조건은, 각각 하기 표에 기재된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표 2: 결핵병, 표 3: 브루셀라병, 표 4: 사슴만성소모성질병).The PCR reaction conditions of the primers were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described in the following tables, respectively (Table 2: Tuberculosis disease, Table 3: Brucella disease, Table 4: Deer chronic wasting disease).

조건condition 온도 (℃) Temperature (℃) 시간hour 사이클cycle 최초 변성(Initial Denaturation)Initial Denaturation 9494 5분5 minutes 1 사이클1 cycle 변성 (Denaturation)Denaturation 9494 1분1 min 25 사이클25 cycles 어닐링 (Annealing)Annealing 6060 1분1 min 연장 (Extension)Extension 7272 1분1 min 최종 연장
(Final extension)
final extension
(final extension)
7272 10분10 minutes 1 사이클1 cycle

조건condition 온도 (℃) Temperature (℃) 시간hour 사이클cycle 최초 변성(Initial Denaturation)Initial Denaturation 9595 1분1 min 1 사이클1 cycle 변성 (Denaturation)Denaturation 9595 30초30 seconds 35 사이클35 cycles 어닐링 (Annealing)Annealing 5858 30초30 seconds 연장 (Extension)Extension 7272 1분1 min 최종 연장
(Final extension)
final extension
(final extension)
7272 10분10 minutes 1 사이클1 cycle

조건condition 온도 (℃) Temperature (℃) 시간hour 사이클cycle 최초 변성(Initial Denaturation)Initial Denaturation 9595 1분1 min 1 사이클1 cycle 변성 (Denaturation)Denaturation 9595 30초30 seconds 35 사이클35 cycles 어닐링 (Annealing)Annealing 5858 30초30 seconds 연장 (Extension)Extension 7272 1분1 min 최종 연장
(Final extension)
final extension
(final extension)
7272 10분10 minutes 1 사이클1 cycle

실시예 3-3: 탈회 (Decalcification), 면역화학염색(Immucohistochemical stain)Example 3-3: Decalcification, Immunohistochemical stain

녹용을 이용하여 면역화학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한 녹용을 탈회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칼슘을 제거하기 위한 탈회액으로는 Gooding과 Stewart의 탈회액을 사용하였으며 구성 성분은 표 5와 같다. 본 실험에서는 5 % Formic acid 사용하였다.In order to perform an immunochemical experiment using antler, it is necessary to demineralize the antler fixed in 10% neutral formalin solution. As the decalcification solution for removing calcium, Gooding and Stewart's decalcification solution was used, and the components are shown in Table 5. In this experiment, 5% formic acid was used.

녹용 조직에 실온에서 3일 동안 탈회액을 처리하여 칼슘을 제거하였다. 탈수 과정에 들어가기 전 염색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5 % Sodium sulfate 용액에서 12 시간 담가 두었으며, 이 후 70 % 에탄올에 12시간 동안 담구는 중화 과정을 거친 후 일반적인 조직 표본 제작 과정을 거치고, 시중에서 판매하는 Vector ABC kit(Vector Laboratories, Peterborough, UK)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과정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시행하였다. Calcium was removed by treating the deer antler tissue with demineralization solution for 3 days at room temperature. Before entering the dehydration process, it was soaked in 5% sodium sulfate solution for 12 hours to improve stainability, and after that, it was neutralized by soaking in 70% ethanol for 12 hours, and then went through a general tissue specimen production process. A Vector ABC kit (Vector Laboratories, Peterborough, UK) was used and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성분ingredient Formic acidFormic acid FormalinFormalin D.WD.W. 용량(%, ml)Volume (%, ml) 5 % - 25 %
(5 ml - 25 ml)
5% - 25%
(5 ml - 25 ml)
5 %
(5 ml)
5%
(5ml)
70 % - 90 %
(70 ml - 90 ml)
70% - 90%
(70 ml - 90 ml)

실시예 3-4: 녹용시료에 대한 CWD 검사법(면역블로팅, Western blotting)Example 3-4: CWD test method for antler samples (immunoblotting, Western blotting)

(1) 시료 전처리(1) Sample pretreatment

① 분쇄한 시료를 약 200㎕ 을 계량하여 샘플튜브에 첨가함.① Weigh about 200 μl of the pulverized sample and add it to the sample tube.

② 샘플 튜브를 리보라이저(ribolyser)에 장착하여 천천히 균질화 (homogenize)함.② Mount the sample tube on the ribolyser and homogenize slowly.

③ 고형물을 함유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균질화된 샘플에서 250㎕를 취하여 에펜도르프튜브에 옮김.③ Take 250 μl from the homogenized sample, taking care not to contain solids, and transfer to an Eppendorf tube.

④ Proteinase K 용액을 250㎕ 첨가하여 잘 혼합함(튜브 뚜껑을 닫고 위아래로 흔들어 10회 정도 섞음), ④ Add 250 μl of Proteinase K solution and mix well (close the tube cap and shake up and down about 10 times),

⑤ 잘 혼합한 후, 재빨리 항온수조에서 37℃에서 10분간 반응을 실시함. ⑤ After mixing well, react quickly at 37℃ for 10 minutes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⑥ 반응종료 후 Reagent B를 250㎕ 첨가하여 용액 전체가 푸르게 될 때까지 잘 혼합함.⑥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add 250 μl of Reagent B and mix well until the entire solution turns blue.

⑦ 잘 혼합한 후, 20℃에서 15,000×g에서 7분간 원심을 실시함.⑦ After mixing well, centrifugation was performed at 15,000 × g at 20 ° C for 7 minutes.

⑧ 원심종료 후, 상층액을 버리고, 추가적인 상층액을 제거하기 위해 튜브를 상하 역으로하여 페이퍼 위에 5분간 놓아두어 건조시킴.⑧ After centrifugation, discard the supernatant, turn the tube upside down and place it on paper for 5 minutes to dry to remove additional supernatant.

⑨ 건조시킨 후, Reagent C을 25㎕ 첨가함.⑨ After drying, 25 μl of Reagent C was added.

⑩ 신속하게 Heat Block에서 100℃에서 5분간 반응을 실시함.⑩ Quickly react at 100℃ for 5 minutes in Heat Block.

⑪ Heat Block에서 마이크로튜브를 꺼내어, 볼텍스로 잘 혼합함.⑪ Take out the micro tube from the heat block and mix well by vortex.

(2) 면역블로팅(Western blotting) PrP 추출 시약:(2) Western blotting PrP extraction reagent:

① TN buffer : 100mM NaCl, 50mM Tris-HCl(pH7.5),① TN buffer: 100mM NaCl, 50mM Tris-HCl (pH7.5),

② Detergent buffer : 4% Zwittergen 3-14, 4% Sarkosyl 100mM NaCl, 50mM Tris-HCl(pH7.5) (※ detergent buffer 1㎖ 당: 10× TN buffer 100㎕, 30% zwittergen 133.5 ㎕, 25% sarkosyl 160.0㎕),② Detergent buffer: 4% Zwittergen 3-14, 4% Sarkosyl 100mM NaCl, 50mM Tris-HCl (pH7.5) (※ per 1㎖ of detergent buffer: 10× TN buffer 100μl, 30% zwittergen 133.5 μl, 25% sarkosyl 160.0 μl),

③ Butanol-Methanol solution: 2-Butanol : Methanol = 5 : 1,③ Butanol-Methanol solution: 2-Butanol : Methanol = 5 : 1,

④ Proteinase K: 1㎎/㎖ in 50mM Tris-HCl(pH8.0), 1mM CaCl2,④ Proteinase K: 1mg/mL in 50mM Tris-HCl (pH8.0), 1mM CaCl2,

⑤ Pefablock : 0.1M in DDW,⑤ Pefablock : 0.1M in DDW,

⑥ Collagenase 20㎎/㎖ in DDW,⑥ Collagenase 20mg/㎖ in DDW,

⑦ DNase I : 10㎎/㎖ in 50% glycerol, 10mM Tris-HCl(pH7.5) 10mM MgCl2, ⑦ DNase I: 10mg/ml in 50% glycerol, 10mM Tris-HCl (pH7.5), 10mM MgCl2,

⑧ 2×Sample buffer(up to 20㎖) : 1M Tris-HCl (pH6.8) 1.25㎖ Glycerol 1㎖, 0.5M EDTA (pH8.0) 120㎕, β-Mercaptoethanol 800㎕, 1% bromophenol blue 800㎕ SDS 1g, Urea 4.8g (사용 중에 소량은 실온보관가능 장기간 보존은 4℃에서 보관)⑧ 2×Sample buffer (up to 20㎖): 1M Tris-HCl (pH6.8) 1.25㎖ Glycerol 1㎖, 0.5M EDTA (pH8.0) 120㎖, β-Mercaptoethanol 800㎖, 1% bromophenol blue 800㎖ SDS 1g, Urea 4.8g (Small amount can be stored at room temperature during use, long-term storage at 4℃)

(3) 면역블로팅(Western blotting) 추출:(3) Immunoblotting (Western blotting) extraction:

① 조직 유제액 250㎕에 detergent buffer 250㎕를 혼합.① Mix 250 μl of detergent buffer with 250 μl of tissue emulsion.

② 2-Buthanol 25㎕를 넣고 혼합한 다음에 sonication을 실시.② Add 25 μl of 2-Buthanol, mix, and then carry out sonication.

③ 12.5㎕ collagenase(20㎎/㎖)를 넣고 혼합.③ Add 12.5 μl collagenase (20 mg/ml) and mix.

④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킴.④ React at 37℃ for 30 minutes.

⑤ 10㎕ 0.1M pefablock을 넣고 혼합.⑤ Add 10 μl 0.1M pefablock and mix.

⑥ 2㎕ DNase I(10㎎/㎖)을 넣고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킴.⑥ Add 2 μl DNase I (10 mg/ml) and react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s.

⑦ 250㎕ Butanol-methanol용액을 넣고 혼합한.⑦ Add 250 μl of Butanol-methanol solution and mix.

⑧ 20,000g에 20℃ 10분간 원심분리.⑧ Centrifugation at 20,000g at 20℃ for 10 minutes.

⑨ 상층액을 제거하고 침전물을 건조시킴.⑨ Remove the supernatant and dry the precipitate.

⑩ Sample buffer 100㎕를 넣고 100℃에서 5분간 끓임.Add 100 μl of sample buffer and boil at 100℃ for 5 minutes.

(4) 면역블로팅(Western blotting) 전기영동 :(4) Immunoblotting (Western blotting) electrophoresis:

① Electrophoresis tank를 준비하고 gel 하단의 흰 테이프를 떼어낸 뒤 tank에 gel을 장착함.① Prepare an electrophoresis tank, remove the white tape at the bottom of the gel, and attach the gel to the tank.

② Gel의 상당의 plastic combs을 제거한 후 1㎖ 피펫을 이용하여 running buffer로 각 well을 채워줌.② After removing the plastic combs corresponding to the gel, fill each well with running buffer using a 1 ml pipette.

③ 10㎕의 샘플과 5㎕의 marker를 첫 번째 gel에 로딩하고 두 번째 gel에 marker와 함께 샘플을 단계 희석하여 각 well에 로딩함.③ 10 μl of sample and 5 μl of marker were loaded on the first gel, and the samples were diluted step by step along with the marker on the second gel and loaded into each well.

④ Running buffer로 upper buffer chamber(gel과 gel사이의 공간)를 채워주고 lower buffer chamber는 gel 하단에서 3㎝정도가 채워지도록 running buffer를 부어줌.④ Fill the upper buffer chamber (the space between gel and gel) with running buffer, and pour running buffer so that the lower buffer chamber is filled 3 cm from the bottom of the gel.

⑤ 500㎕의 antioxidant를 upper buffer chamber에 넣어준 후 tank의 뚜껑을 덮고 뚜껑의 소켓을 power supply에 연결한 후 150V로 약 50분 내려줌.⑤ After adding 500 μl of antioxidant to the upper buffer chamber, cover the tank, connect the socket of the lid to the power supply, and turn it down at 150V for about 50 minutes.

⑥ Sample을 내리는 동안 transfer를 위해 transfer tank에 transfer buffer를 채워주고 cooling device를 연결하여 transfer buffer를 차갑게 함. 또한 gel에 맞추어, PVDF membrane와 filter paper를 잘라주고 membrane은 methanol에 15초간 담궈 수화시킨 후 methanol을 버리고 transfer buffer에 담궈 둠.⑥ While sample is unloaded, fill the transfer tank with transfer buffer for transfer and cool the transfer buffer by connecting the cooling device. In addition, cut the PVDF membrane and filter paper according to the gel, soak the membrane in methanol for 15 seconds to hydrate, discard the methanol, and soak in transfer buffer.

⑦ 전기영동이 끝나면 electrophoresis tank에서 gel을 꺼낸 후 precast gel의 플라스틱 틀에서 gel을 꺼낸 후 transfer buffer에 담궈 둠.⑦ After the electrophoresis is finished, take out the gel from the electrophoresis tank, then take the gel out of the plastic frame of the precast gel and soak it in the transfer buffer.

⑧ Transfer cassette를 열어 적당한 tray에 놓고 transfer buffer를 부어주고, Cassette의 한쪽 면에 스펀지를 놓고 그 위에 filter paper를 놓고 다시 그 위에 미리 수화시킨 membrane을 올림.⑧ Open the transfer cassette, place it on an appropriate tray, pour transfer buffer, place a sponge on one side of the cassette, place filter paper on it, and place the pre-hydrated membrane on it again.

⑨ Membrane 위에 gel을 올리고 공기방울을 제거한 뒤 다시 filter paper와 스펀지를 차례로 올린 후 cassette를 닫아 transfer tank에 장착함.⑨ Place the gel on the Membrane, remove air bubbles, place the filter paper and sponge in order, close the cassette, and attach it to the transfer tank.

⑩ Transfer tank의 뚜껑을 닫고 membrane이 positive charge 쪽으로 오도록 소켓을 power supply에 연결 후 400mA로 1시간 30분간 transfer함.⑩ Close the lid of the transfer tank, connect the socket to the power supply so that the membrane comes to the positive charge side, and transfer at 400mA for 1 hour and 30 minutes.

(5) 면역블로팅(Western blotting)을 통한 면역 검출(Immunodetection) :(5) Immunodetection through Western blotting:

① Blocking : membrane에 blocking buffer를 잠기도록 넣은 후 실온에서 30분간 흔들어 주면서 반응시킴.① Blocking: After putting the blocking buffer in the membrane so that it is submerged, react while shaking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② 1st antibody : 6H4, 8E74 또는 S1 항체를 TBST에 3,000배로 희석하여 membrane이 잠기도록 넣어준 후 흔들면서 실온에 1시간 반응시키거나 4℃에서 overnight 실시.② 1st antibody: Dilute 6H4, 8E74 or S1 antibody 3,000-fold in TBST, add the membrane so that it is submerged, and react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while shaking or overnight at 4℃.

③ Washing : TBST로 5분간 3회 세척.③ Washing: Washing with TBST 3 times for 5 minutes.

④ 2nd antibody : 2차 항체를 3,000배로 희석하여 membrane에 넣어준 후 흔들면서 실온에 30분간 반응시킴.④ 2nd antibody: After diluting the secondary antibody 3,000 times and putting it on the membrane, react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while shaking.

⑤ Washing : TBST로 5분간 3회 세척함.⑤ Washing: Washing with TBST three times for 5 minutes.

⑥ Luminiscence buffer를 넣어준 후 5분간 반응시킴.⑥ After adding Luminiscence buffer, react for 5 minutes.

⑦ Luminiscence buffer로 CDP-star(12.5mM)를 50배 희석하여 사용함(CDP-star 최종농도:0.25mM).⑦ Dilute CDP-star (12.5mM) 50 times with Luminiscence buffer (CDP-star final concentration: 0.25mM).

⑧ OHP 필름위에 membrane을 올려놓고 희석한 CDP-star를 부어준 후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킴.⑧ Place the membrane on the OHP film, pour diluted CDP-star, and react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s.

⑨ Membrane에서 과도한 액체를 제거하고 OHP 필름으로 membrane을 덮어 줌.⑨ Remove excess liquid from the membrane and cover the membrane with OHP film.

⑩ 암실에서 membrane에 X-ray film을 5~10분간 붙여준 후 차례로 developer와 fixer에 담그어 시그널을 확인함.⑩ After attaching X-ray film to the membrane for 5 to 10 minutes in a dark room, immerse it in the developer and fixer in order to check the signal.

실시예 4: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Example 4: Preparation of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발효 동결건조 녹용(Fermented Freeze-dry Antler velvet, FFA)은 선발된 생녹용의 슬라이스, 살균, 숙성·발효 및 동결건조 순서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① 가축질병이 없는 생녹용을 90 ℃ 열수에서 3회 세척하여 해동 후 1~3mm 두께로 슬라이스하고, ② 생녹용 절편을 겹치지 않도록 펼친 다음 원물의 2.5%에 해당하는 75% 알코올을 충분하게 분사하여 살균하고, ③ 5 ℃ 내지 7 ℃ 암실에서 48시간동안 숙성하였다. ④ 생녹용의 발효배지로서 프리바이오틱 최소 배지(prebiotic minimum media) (1L 기준: peptone 5g, sodium acetate 2.5g, 1M magnesium sulfate 7H2O 0.5mL, 1M manganese sulfate 4H2O 0.5mL, Tween 80 5mL, diammonium citrate 1g, dipotassium phosphate 1g, Glucose 20g, L-glutamic acid 1g)을 제조한 후 121 ℃, 15분간 고압멸균하였으며, 발효를 위해 서울대학교와 전주대학교에서 최종선발된 균주를 사용했다. ⑤ 각 시험구별로 사용할 균주를 증식시킨 다음 MRS Broth를 원심분리 후 상등액 제거하고 남은 펠렛에 프리바이오틱 최소 배지를 첨가하였다. ⑥ 단독 또는 복합 균주의 합이 7.5% 수준이 되도록 처리하였으며, 실험구는 무처리(T1), 숙성처리(T2), 숙성 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20B49 단독 처리 (T3), 숙성 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P20B49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2종 처리 (T4), 숙성 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P20B49,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 3종 처리 (T5) 후 동결건조 처리하였으며, 상기 실험구를 일반 건조 녹용(대조군, CON)과 비교하였다. ⑦ 상기 T3 내지 T5에서 각 시험구별 발효는 5~37 ℃에서 72시간 발효하였다. ⑧ 동결건조는 KGT-1200 (Hwajin Biotech Co., Ltd., Yeong-Gwang)에서 원물중심온도 -45 ~ -55 ℃에서 21 시간 동결건조 및 60 ℃에서 3시간 살균과정을 거쳐, 각 실험구의 시료를 얻었다 (도 2).Fermented Freeze-dry Antler velvet (FFA) proceeds in the order of slicing, sterilization, aging/fermentation, and freeze-drying of selected raw antler velvet. Specifically, as described in Example 2 above, ① fresh antler without livestock disease was washed three times in hot water at 90 ° C, thawed, and then sliced into 1-3 mm thick slices, ② raw antler slices were spread so as not to overlap, and then 2.5% of the raw material was added. The corresponding 75% alcohol was sufficiently sprayed to sterilize, and ③ aged for 48 hours in a dark room at 5 ° C to 7 ° C. ④ Prebiotic minimum media as a fermentation medium for fresh deer antler (based on 1L: peptone 5g, sodium acetate 2.5g, 1M magnesium sulfate 7H 2 O 0.5mL, 1M manganese sulfate 4H 2 O 0.5mL, Tween 80 5mL, diammonium citrate 1g, dipotassium phosphate 1g, Glucose 20g, L-glutamic acid 1g) was prepared and sterilized under high pressure at 121 °C for 15 minutes, and strains finally selec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Jeonju University were used for fermentation. ⑤ After proliferating the strains to be used for each test section, the MRS Broth was centrifuged,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a prebiotic minimal medium was added to the remaining pellet. ⑥ Treatment was performed so that the sum of single or complex strains reached 7.5%,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untreated (T1), aged (T2), and after aging, Lactobacillus plantarum LP20B49 alone (T3), and after aging Lactobacillus plantarum LP20B49 and 2 types of Bacillus subtilis treated (T4), after aging Lactobacillus plantarum LP20B49, 3 types of Bacillus subti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After treatment (T5), lyophilization was performed, and the test group was compared with a normal dried antler (control group, CON). ⑦ In the above T3 to T5, fermentation in each test zone was carried out at 5 ~ 37 ℃ for 72 hours. ⑧ Freeze-drying was carried out in a KGT-1200 (Hwajin Biotech Co., Ltd., Yeong-Gwang) at -45 ~ -55 ° C for 21 hours and sterilization at 60 ° C for 3 hours. was obtained (Fig. 2).

실시예 5: 시알산 측정 (Sialic aicd assay)Example 5: Sialic acid measurement (Sialic aicd assay)

각 실험구의 시알산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measure the sialic acid content of each experimental group,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먼저, 시료 중의 시알산을 추출하기 위해, 발효 동결건조 녹용 추출액(FFAE) 샘플 0.1mL에 0.2N H2SO4 용액 0.1mL를 가하여 85 ℃에서 1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후, 20μL 과요오드산염(periodate) 용액 (0.25M NaIO4 in 9M H3PO4로 제조)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0.1mL m-아비산염(arsenite) 제제 (10% NaAsO2 in 0.1N H2SO4 with 0.5M Na2SO4) 용액을 첨가하여 과량의 과요오드산염을 환원시킨 후 0.25mL TBA 용액(0.6% TBA in 0.5M Na2SO4)을 첨가하고, 85℃에서 15분간 발색시킨 후 상온에서 냉각하고,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1mL을 첨가한 후 원심분리(900g, 7min)를 진행하였다. 상등액은 96-웰 플레이트에 옮겨 549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First, in order to extract sialic acid in the sample, 0.1 mL of a 0.2NH 2 SO 4 solution was added to 0.1 mL of a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extract (FFAE) sample, hydrolyzed at 85 °C for 1 hour, and then 20 μL periodate ) solution (prepared from 0.25M NaIO 4 in 9M H 3 PO 4 ) was added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20 minutes. Next, a 0.1mL m-arsenite preparation (10% NaAsO 2 in 0.1NH 2 SO 4 with 0.5M Na 2 SO 4 ) solution was added to reduce excess periodate, followed by 0.25mL TBA solution ( 0.6% TBA in 0.5M Na 2 SO 4 ) was added, the color was developed at 85° C. for 15 minutes, cooled at room temperature, cyclohexanone 1mL was added, and centrifugation (900g, 7min) was performed. The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96-well plate and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9 nm.

실시예 6: 글리코사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 GAG assay) 측정Example 6: Measurement of glycosaminoglycan (GAG assay)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은 디메틸메틸렌 블루 어세이(Dimethylmethylene blue assay)에 의해 측정하였다.Glycosaminoglycan was measured by dimethylmethylene blue assay.

구체적으로, DMMB 용액 1L 기준으로 DMMB 16mg, glycine 3.04g, NaCl 1.6g, 0.1M acetic Acid 95mL을 넣고 pH를 3으로 맞춰준 후, 0.45μm syringe filter로 필터링한 후, 사용 직전에 whatman filter로 거른 후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서 시료 20μL에 DMMB reagent 200μL를 넣어준 후 5초간 쉐이킹 후 5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Specifically, based on DMMB solution 1L, DMMB 16mg, glycine 3.04g, NaCl 1.6g, 0.1M acetic acid 95mL was added, pH was adjusted to 3, and after filtering with a 0.45μm syringe filter, filtered with a whatman filter immediately before use. used after. After adding 200 μL of DMMB reagent to 20 μL of sample in a 96-well plate, shaking for 5 seconds,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25 nm.

실시예 7: 우론산 측정 (Uronic acid assay)Example 7: Uronic acid assay

발효 동결건조 녹용 추출액(FFAE) 샘플을 100배 희석하여 EP tube에 100μL씩 담고 sodium tetraborate를 25mM의 농도로 첨가하고, Sulfuric acid에 녹인 solution을 400μL 첨가해 준 후, 100 ℃에서 10분간 가열하고 실온에서 방열하였다. 시료가 실온이 되면 absolute ethanol에 0.125% carbazole을 녹인 용액을 100μL 넣어주고 다시 100 ℃에서 10분간 가열해 반응시켜 준 후 실온으로 충분히 식힌 후 96-웰 플레이트로 100μL씩 옮겨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우론산의 함량은 D-glucuronic acid로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계산하였다.Dilut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extract (FFAE) sample 100 times, put 100 μL each in an EP tube, add sodium tetraborate at a concentration of 25 mM, add 400 μL of a solution dissolved in sulfuric acid, heat at 100 ° C for 10 minutes, and incubate at room temperature radiated from When the sample reached room temperature, 100 μL of a solution in which 0.125% carbazole was dissolved in absolute ethanol was added and reacted by heating at 100 ° C for 10 minutes. After cooling sufficiently to room temperature, 100 μL at a time was transferred to a 96-well plate and absorbance was measured at 550 nm. The content of uronic acid was calculated from a standard curve prepared with D-glucuronic acid.

실시예 8: GABA (γ-aminobutyric acid; 감마-아미노뷰티르산) 측정Example 8: GABA (γ-aminobutyric acid; gamma-aminobutyric acid) measurement

각 시험구별 발효 동결건조 녹용 추출액 샘플 3 mL과 0.5M 탄산수소나트륨 1.5 mL, 0.715 mg/ml의 1-fluoro-2,4-dinitrobenzene 0.5 mL을 잘 섞은 후 60 ℃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상온에서 냉각시켰다. 0.22 μm syringe filter (PTFE, Advantec, Dublin, CA, USA)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 얻어진 추출액에 GABA를 Shimazhu 20A series HPLC로 분석하였다. Column은 Symmetry C18 column (5μm, 3.9 x 150 mm, Waters, Milford, MA, USA)을 이용하고, oven을 30 ℃ 조건에서 Mobile phase 2종, ammonium acetate aqueous solution과 acetonitrile을 85:15 (v/v) 비율로 isocratic 조건으로 20분간 용출을 실시하였다. Injection volume은 10 μL이고, wavelength는 360 n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After mixing 3 mL of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extract sample for each test section, 1.5 mL of 0.5M sodium bicarbonate, and 0.5 mL of 0.715 mg/ml 1-fluoro-2,4-dinitrobenzene, react at 60 ° C for 1 hour, then at room temperature. cooled in After filtering using a 0.22 μm syringe filter (PTFE, Advantec, Dublin, CA, USA), GABA in the obtained extract was analyzed by Shimazhu 20A series HPLC. For the column, a Symmetry C18 column (5μm, 3.9 x 150 mm, Waters, Milford, MA, USA) was used, and two mobile phases, ammonium acetate aqueous solution and acetonitrile were used in an oven at 30 ° C in a ratio of 85:15 (v / v ), elution was carried out for 20 minutes under isocratic conditions. The injection volume was 10 μL, and the wavelength was analyzed using 360 nm.

실시예 9: 전기영동 (Tris-glycine SDS-PAGE) 측정Example 9: Electrophoresis (Tris-glycine SDS-PAGE) measurement

각 시험구별 처리 조건에 따른 저분자 단백질 및 펩타이드를 확인하기 위하여, 발효 동결건조 녹용 추출액 샘플을 2X Tricine sample buffer와 1:1로 혼합한 후 85 ℃에서 2분간 가열해 단백질을 변성시킨 후, 각 샘플을 16.5%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polyacrylamide gel)의 웰에 50 ug 씩 로딩한 후 Tricine SDS PAGE buffer를 넣고 80V로 전기영동하였다. 유리판에서 젤을 분리하여 쿠마시 블루(coomassie blue)로 1시간 염색 후 메탄올:아세트산:물(1:1:8)을 포함하는 용액를 이용해 24시간 탈색한 후 밴드를 확인하였다.In order to identify low-molecular-weight proteins and peptides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ditions of each test section,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extract samples were mixed with 2X Tricine sample buffer at a ratio of 1:1, heated at 85 ° C for 2 minutes to denature proteins, and each sample After loading 50 ug each in wells of a 16.5% polyacrylamide gel, Tricine SDS PAGE buffer was added and electrophoresis was performed at 80V. The gel was separated from the glass plate, stained with Coomassie blue for 1 hour, and then bleached for 24 hours using a solution containing methanol:acetic acid:water (1:1:8), and then the band was confirmed.

실시예 10: 일반세균 총균수(Aerobic Count, AC) 분석 Example 10: Aerobic Count (AC) Analysis

각 시험구에서 발효 동결건조 녹용 분말(Fermented Freeze-dry Antler velvet Powder, FFAP) 10g을 취하여 멸균 플라스틱 파우치에 90mL의 식염수 용액과 함께 첨가한 다음, 스토마커 (Characteristic, B & F Korea)를 사용하여 1분 동안 균질한 후, 균질화된 샘플을 식염수로 연속 희석하여 총 호기성 플레이트 수를 측정했다. 계산을 위해, 희석된 샘플 1mL를 APC Petrifilm and Mold and Yeast Petrifilm (3M Healthcare., Paul, MN, USA)에 도말하고, 37 ℃ 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했다. 플레이트의 콜로니를 계산하고 샘플당 log10 콜로니 형성 단위 (CFU/g)로 계산하였다. 각 샘플은 3반복으로 측정되었다.10 g of fermented freeze-dry Antler velvet powder (FFAP) was taken from each test plot and added together with 90 mL of saline solution in a sterile plastic pouch. After homogenization for 1 minute, the homogenized samples were serially diluted with saline to determine the total number of aerobic plates. For counting, 1 mL of the diluted sample was spread on APC Petrifilm and Mold and Yeast Petrifilm (3M Healthcare., Paul, MN, USA) and incubated at 37°C for 48 hours. Colonies on the plate were counted and calculated as log10 colony forming units per sample (CFU/g). Each sample was measured in triplicate.

실시예 11: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 측정Example 11: Lactic acid bacteria (LAB) measurement

각 시험구에서 발효 동결건조 녹용 분말의 유산균의 성장을 조사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powder in each test group,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먼저, MRS broth에 키운 실험균 배양액 100μL를 0.1% 펩톤수(peptone water)로 연속희석(serial dilution) 후 MRS 한천(Agar) 플레이트에 10μL씩 3반복 떨어뜨린 후 37 ℃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한 뒤 형성된 콜로니수를 계수하여 초기 생균수를 측정하였다.First, after serial dilution of 100 μL of the culture medium of the experimental bacteria grown in MRS broth with 0.1% peptone water, 10 μL of 10 μL was dropped 3 times on an MRS agar plate, followed by incubation at 37 ° C for 48 hours. The number of colonies formed was counted to determine the initial number of viable cells.

다음으로, 실험균을 2.5% 접종해 5일(숙성 2일, 발효 5일)동안 발효한 발효동결건조 녹용 1g을 0.1% 펩턴수로 연속 희석 후 MRS 한천 플레이트에 100μL씩 분주 후 도말하여 37 ℃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한 뒤 5일차 발효한 동결건조 녹용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Next, 1 g of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inoculated with 2.5% of the test bacteria and fermented for 5 days (2 days of maturation, 5 days of fermentation) was serially diluted with 0.1% peptone water, and then dispensed by 100 μL on MRS agar plates and smeared at 37 ° C. After culturing for 48 hours, the number of viable bacteria in freeze-dried antler fermented on the 5th day was measured.

다음으로, 실험균과 녹용 발효물 100mL를 0.1% 펩톤수로 연속 희석 후 MRS 한천 플레이트에 10mL씩 3반복 떨어뜨린 후 37 ℃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한 뒤 2일, 5일차 각각 발효한 녹용배지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초기 생균수와 비교하여 일차별 생균수의 증가와 감소를 조사하였다. Next, after serially diluting 100mL of the fermented product of the experimental bacteria and deer antler with 0.1% peptone water, 10mL of 10mL each was dropped 3 times on the MRS agar plate, incubated at 37 ° C for 48 hours, and then fermented on the 2nd and 5th days respectively. The viable cell count was measured. Compared to the initial viable cell count, the daily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viable cell count were investigated.

실시예 12: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활용한 항산화 능력 평가Example 12: Evaluation of antioxidant ability us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발효 동결건조 녹용추출액 (FFAE)의 항산화 활성을 결정하기 위해 DPPH 분석을 수행하였다. DPPH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extract (FFAE).

먼저, 사용하기 전에 FFAE를 증류수로 4가지 농도로 희석하였다. 95% 에탄올 1.9 mL와 0.5 mM DPPH를 0.1 mL를 혼합하고 4가지 농도별로 준비한 FFAE 샘플 0.1ml와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96-웰 플레이트에 100mL씩 옮겨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다양한 농도로 희석된 Trolox를 사용하여 표준 곡선 방정식과 양성 대조군을 준비했다. FFAE의 DPPH 라디칼소거 활성을 계산하여 FFAE 그램당 μmol Trolox 당량 (TE) (μmol TE / g FFAE)으로 표현했다. L-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를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Figure pat00001
* 100 로 계산하였다.First, FFAE was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to four concentrations before use. 1.9 mL of 95% ethanol and 0.1 mL of 0.5 mM DPPH were mixed and mixed with 0.1 ml of FFAE samples prepared for each of the four concentrations,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and then transferred to a 96-well plate by 100 mL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17 nm. . Standard curve equations and positive controls were prepared using diluted Trolox at various concentration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FAE was calculated and expressed as μmol Trolox equivalent (TE) per gram of FFAE (μmol TE / g FFAE). A standard curve was prepared using L-ascorbic acid, an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was
Figure pat00001
* Calculated as 100.

실시예 13: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활용한 항산화 능력 평가Example 13: Antioxidant ability evaluation using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발효 동결건조 녹용추출액 (FFAE)의 항산화 활성을 결정하기 위해 ABTS 분석을 수행하였다. ABTS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extract (FFAE).

구체적으로, ABTS + 양이온 라디칼은 물에서 2mM ABTS용액과 2.45mM과 황산 칼륨(potassium persulfate, 1:1 비율)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사용하기 전에 12-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암실보관하였다. ABTS/라디칼 용액을 95% 에탄올로 희석하여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734 nm에서 0.73 단위의 흡광도를 얻었다. 서로 다른 농도의 0.1 mL의 FFAE을 1.9 mL의 ABTS 라디칼 용액과 혼합하여, 암실에서 10 분간 상온에서 배양한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34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다양한 농도로 준비된 Trolox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했다. 추출물의 ABTS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계산하고 FFAE 그램 당 μmol Trolox 당량 (TE) (μmol TE / g FFAE)으로 표시했다.Specifically, ABTS + cation radicals were generated by the reaction between a 2 mM ABTS solution and 2.45 mM potassium persulfate (1:1 ratio) in water. The reaction mixture was stored in the dark at room temperature for 12-16 hours before use. The ABTS/radical solution was diluted with 95% ethanol to obtain an absorbance of 0.73 units at 734 nm using a spectrophotometer. 0.1 mL of FFAE at different concentrations was mixed with 1.9 mL of ABTS radical solution, incubated in a dark room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and then absorbance wa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734 nm using a spectrophotometer. Trolox prepared in various concentrations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 was calculated and expressed as μmol Trolox equivalent (TE) per gram of FFAE (μmol TE/g FFAE).

실시예 14: 아미노산 측정Example 14: Amino acid determination

발효 동결건조 녹용추출액 (FFAE)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또는 필수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 of amino acids or essential amino acids present in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extract (FFAE),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구체적으로, 각 샘플 (분말 형태의 2.5g)을 5mL 증류수로 균질화했다. 0.45 μm 필터 멤브레인 (Merk Millipore Ltd., Carrigtwohill, Cork, Ireland)을 통해 여과한 후, 여과액을 아미노산 분석에 사용했다. 아미노산은 Intrada 아미노산 컬럼에 연결된 초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 그래피 (UPLC, Waters, Milford, USA)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2x50 mm, 3μm (Imtaka, Uphur St, Suite A, Portland). Clematographic 분리는 용매 A (ACN:100mM 포름산암모늄 = 20:80 v/v) 및 용매 B (ACN:테트라히드로푸란:포름산암모늄:포름산 = 9:75:16:0.3 v/v)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분리 조건 설정은 3분 동안 100% B, 3.5분 동안 83% B, 3.5분 동안 100% A로 7분 동안 100% B를 유지하고 다음 샘플 주입 전에 다시 평형화되었다. 아미노산은 표준 아미노산 혼합물의 머무름 시간을 기준으로 분석되었으며, 유리 아미노산 값은 μmol/g 단위로 표시되었다.Specifically, each sample (2.5 g in powder form) was homogenized with 5 mL distilled water. After filtration through a 0.45 μm filter membrane (Merk Millipore Ltd., Carrigtwohill, Cork, Ireland), the filtrate was used for amino acid analysis. Amino acids were analyzed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Waters, Milford, USA) coupled to an Intrada amino acid column: 2 × 50 mm, 3 μm (Imtaka, Uphur St, Suite A, Portland). Clematographic separation was performed using solvent A (ACN: 100 mM ammonium formate = 20:80 v/v) and solvent B (ACN: tetrahydrofuran: ammonium formate: formic acid = 9:75:16:0.3 v/v). . Separation condition settings were 100% B for 3 min, 83% B for 3.5 min, 100% A for 3.5 min, 100% B for 7 min, and equilibrated again before the next sample injection. Amino acids were analyzed based on retention times of standard amino acid mixtures, and free amino acid values were expressed in μmol/g.

실시예 15: 휘발성 아로마 화합물 분석 (GC/MS) 및 관능평가Example 15: Analysis of volatile aroma compounds (GC/MS) and sensory evaluation

발효 동결건조 녹용추출액(FFAE)의 아로마 화합물 추출은 SPM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기술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추출된 화합물은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The extraction of aroma compounds from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extract (FFAE) was performed using SPM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technology, and the extracted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구체적으로, 1.0 ml의 FFAE를 20 ml Head space vial에 넣고 1.0 μl 내부 표준 (2-methyl-3-heptanone, 816 mg/mL in methanol)에 추가했다. 그 후 vial 추출을 위해 PTFE-Silicone Lid을 사용하였다. 아로마 화합물의 추출, 흡수 및 탈착은 Mass Spectrophotometry를 사용하여 Gas Chromatography(7890B GC)에 연결된 Carboxene-Polydimethylsiloxane (75μm) 섬유(Supelco, USA)가 장착된 SPME 샘플 준비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5977B MSD,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 추출은 60 ℃에서 60분 동안 흡착하여 휘발물질을 포함하는 섬유 10 mL/min의 분할 흐름으로 5분 동안 주입 포트에서 250℃에서 탈착되었다. 휘발성 물질의 분리는 1 mL/min의 일정한 유속으로 모세관 컬럼 (30m x 0.25mm i.d. x 0.25μm 필름 두께)에서 진행되었다. 오븐 온도는 40℃에서 5분 동안 유지한 다음 8℃/min의 속도로 250℃로 증가하여 5분 동안 유지했다. 휘발성 아로마 화합물은 Mass Spectrum Library(Agilent Technologies) 비교 및 머무름 시간을 외부 표준물질과 비교하여 식별했다. 확인된 화합물은 내부 표준물질의 피크 면적과 샘플 피크 면적을 비교하여 정량화되었다. 아로마 화합물 관능평가는 식품관련 종사자 및 대학생(n=30)을 선정하여 관능평가 훈련이후 9점 척도법에 의하여 기호성을 측정하였다.Specifically, 1.0 ml of FFAE was placed in a 20 ml head space vial and 1.0 μl internal standard (2-methyl-3-heptanone, 816 mg/mL in methanol) was added. After that, PTFE-Silicone Lid was used for vial extraction. Extraction, absorption and desorption of aroma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a SPME sample preparer equipped with Carboxene-Polydimethylsiloxane (75μm) fiber (Supelco, USA) connected to Gas Chromatography (7890B GC) using mass spectrophotometry (5977B MSD,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 The extraction was adsorbed at 60 °C for 60 min and desorbed at 250 °C in the inlet port for 5 min with a split flow of 10 mL/min of volatile-containing fiber. The separation of volatiles was carried out in a capillary column (30 m x 0.25 mm i.d. x 0.25 μm film thickness) at a constant flow rate of 1 mL/min. The oven temperature was held at 40°C for 5 minutes and then increased to 250°C at a rate of 8°C/min and held for 5 minutes. Volatile aroma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Mass Spectrum Library (Agilent Technologies) comparison and retention times compared to external standards. Identified compounds were quantified by comparing the peak area of the internal standard to the sample peak area. For sensory evaluation of aroma compounds, food-related workers and college students (n=30) were selected and palatability was measured by a 9-point scale method after sensory evaluation training.

실시예 16: 생리활성 화합물 분석(UPLC-Q-TOF-MS/MS)Example 16: Analysis of bioactive compounds (UPLC-Q-TOF-MS/MS)

생리활성 물질의 분석을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발효 동결건조 녹용 추출액(FFAE) 각각 1g을 증류수에 녹인 다음 0.45 μm의 Filter membrane(Merck Millipore)을 통해 여과했다.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UPLC-Q-TOF-MS / MS, Xevo TQ-5, Waters, Milford, USA)을 사용하여 FFAE에서 생리활성 화합물의 분리와 검출을 하였다. Chromatography 분리는 ACQUITY UPLC HSS T3 칼럼 (100mm × 2.1mm, 1.8μm, Waters)에서 40 ℃, 0.5ml/min의 유속에서 각 FFAE를 주입하여 분석되었다. 이동상은 용매 A (증류수 + 0.1 % 포름산)와 용매 B (ACN + 0.1% 포름산)로 구성되었다. 용출 성분은 0~5분 동안 97% 상 A로 설정되었다. 5~16분 동안 3-100% 라이너 그라데이션 단계 B; 16~17분 동안 100% 상 B; 17~19분 동안 100~3% 단계 B; 19~25분 동안 97% A 상. 칼럼에서 용출된 화합물은 양이온(+) 및 음이온(-) 모드에서 고해상도 직렬 질량 분석기 SYNAPT G2 Si HDMS QTOF(Waters)로 검출되었다. 양이온 모드의 모세관 전압과 콘 전압은 각각 2kV 및 40V로 설정되었다. 음이온 모델은 각각 1kV 및 40V로 설정되었다. 질량 분석 데이터를 수집은 Centroid MS 모드를 사용하였다. 1차 스캔 범위는 50~ 1200Da이고 스캔 시간은 0.2초였다. 모든 이온은 20~ 40 eV를 사용하여 조각화되었다. 모든 조각의 정보 수집(scan) 시간은 0.2초이다.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LE 신호는 실시간 품질 보정을 위해 3초 마다 획득되었다. 정확한 질량 획득을 위해 10 μL/min의 유속에서 류신 뇌염을 잠금 스프레이 인터페이스에 의해 잠금 질량으로 사용하여, 양성([M+H]+= 556.2771) 및 음성([M-H]-= 554.2615))을 모니터링했다. 이온 모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은 UNIFI V1.71 소프트웨어 (Waters)에 의해 제어와 통계분석되었으며, UNIFI V1.71 (Waters)의 적절한 과학 라이브러리에 대해 스크리닝하여 각각의 피크를 식별했다. 발효 동결건조 녹용 추출물(FFAE)과 건조 녹용 추출물(DAE)의 지표물질에 대한 신뢰도는 PCA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For the analysis of bioactive substances, the follow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Specifically, 1 g of each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extract (FFAE) wa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nd then filtered through a 0.45 μm filter membrane (Merck Millipore). Bioactive compounds were separated and detected in FFAE using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UPLC-Q-TOF-MS/MS, Xevo TQ-5, Waters, Milford, USA). Chromatographic separation was analyzed by injecting each FFAE in an ACQUITY UPLC HSS T3 column (100 mm × 2.1 mm, 1.8 μm, Waters) at 40 °C at a flow rate of 0.5 ml/min. The mobile phase consisted of solvent A (distilled water + 0.1% formic acid) and solvent B (ACN + 0.1% formic acid). The elution component was set to 97% phase A for 0-5 minutes. 3-100% Liner Gradation Step B for 5-16 minutes; 100% phase B for 16-17 minutes; 100-3% step B for 17-19 minutes; 97% A phase for 19-25 minutes. Compounds eluted from the column were detected with a high-resolution tandem mass spectrometer SYNAPT G2 Si HDMS QTOF (Waters) in positive (+) and negative (-) mode. The capillary voltage and cone voltage of positive ion mode were set to 2 kV and 40 V, respectively. Negative ion models were set at 1 kV and 40 V, respectively. Mass spectrometry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Centroid MS mode. The primary scan range was 50 to 1200 Da and the scan time was 0.2 sec. All ions were fragmented using 20 to 40 eV. The information acquisition (scan) time of all pieces is 0.2 seconds. During the data acquisition process, LE signals were acquired every 3 seconds for real-time quality correction. Monitoring positive ([M+H]+= 556.2771) and negative ([M-H]-= 554.2615) using leucine encephalitis as a locking mass by a locking spray interface at a flow rate of 10 μL/min for accurate mass acquisition did. Ion mod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troll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UNIFI V1.71 software (Waters), and individual peaks were identified by screening against appropriate scientific libraries in UNIFI V1.71 (Waters). The reliability of the indicator substances of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extract (FFAE) and dried antler extract (DAE) was confirmed through PCA analysis.

실시예 17: 생산 수율 분석Example 17: Production Yield Analysis

발효 동결건조 녹용 추출액 (FFAE)에 대한 생산 수율을 분석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analyze the production yield of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extract (FFAE),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구체적으로, 분석은 Control(일반건조녹용, Dry Nokyong) 및 T1 (동결건조녹용, Freeze-Dry Nokyong)을 발효 동결건조 녹용(T35, T45, T55)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각 시험구별 3반복으로 측정하였으며, 각 시험구별 생녹용 2,250g 기준의 원료를 투입하였고, 수분 9%의 건녹용 투입량은 818g이었다. 각 시험구별 정제수 12,000ml를 넣고, 온도 90-100 ℃에서 20시간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였으며, 각각의 추출물을 고형분 18%까지 동일하게 농축하여 추출액 중량을 기준으로 수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Specifically,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mparing Control (general dry antler, Dry Nokyong) and T1 (freeze-dry Nokyong) with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T35, T45, T55). Each test section was measured 3 times, and the raw material based on 2,250g of fresh antler was added to each test section, and the input amount of dry antler with 9% moisture was 818g. 12,000 ml of purified water was added to each test section, hot water extraction was performed by heating at a temperature of 90-100 ° C. for 20 hours, and each extract was equally concentrated to a solid content of 18%, and the yield wa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weight of the extract.

실시예 18: 통계 분석Example 18: Statistical Analysis

데이터는 통계 분석 시스템 (SAS Institute, Cary, NC, USA, 2007)의 일원 분산 분석 절차를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변수에 대한 평균 및 표준 오차가 계산되었다. VA의 기원은 모델의 주요 효과로 간주되었고 평균은 Duncan의 다중 범위 테스트를 사용하여 비교되니다. 유의성은 p <0.05에서 정의되었다.Data were analyzed using the one-way ANOVA procedure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Institute, Cary, NC, USA, 2007) and means and standard errors were calculated for the variables. Origin of VA was considered as the main effect in the model and means were compared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ignificance was defined at p < 0.05.

실험예 1: 생녹용의 식품안전성 분석Experimental Example 1: Food safety analysis of raw antler

녹용 이력제 번호를 갖는 생녹용(FA) 원료(n=80)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사슴 유래 결핵, 브루셀라, 사슴만성소모성질병(CWD)에 대한 유해성 병원체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되었다.In order to secure the food safety of fresh antler (FA) raw materials (n = 80) with an antler history number, harmful pathogens were tested for deer-derived tuberculosis, brucellosis, and deer chronic wasting disease (CWD), and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시료sample
번호number
녹용 velvet
이력번호history number
결핵Tuberculosis
PCR결과PCR result
브루셀라Brucella
PCR결과PCR result
CWDCWD
결과result
시료sample
번호number
녹용 이력번호Deer Antler History Number 결핵Tuberculosis
PCR결과PCR result
브루셀라Brucella
PCR결과PCR result
CWDCWD
결과result
1One 19-345419-3454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4141 19-203719-2037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22 19-300919-3009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4242 19-217819-2178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33 19-201119-2011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4343 19-207519-2075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44 19-208219-2082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4444 19-107719-1077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55 19-100219-1002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4545 19-100519-1005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66 19-101019-1010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4646 19-323819-3238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77 19-206519-2065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4747 19-107819-1078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88 19-211219-2112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4848 19-103119-1031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99 19-206119-2061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4949 19-210819-2108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1010 19-337519-3375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5050 19-339719-3397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1111 19-215919-2159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5151 19-103719-1037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1212 19-107519-1075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5252 19-104319-1043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1313 19-338319-3383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5353 19-101319-1013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1414 19-102319-1023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5454 19-101219-1012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1515 19-203919-2039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5555 19-106119-1061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1616 19-200619-2006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5656 19-219619-2196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1717 19-100619-1006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5757 19-344119-3441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1818 19-102919-1029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5858 19-206319-2063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1919 19-208519-2085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5959 19-206419-2064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2020 19-209519-2095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6060 19-201219-2012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2121 19-103619-1036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6161 19-205119-2051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2222 19-207319-2073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6262 19-339419-3394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2323 19-104719-1047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6363 19-100319-1003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2424 19-322519-3225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6464 19-203519-2035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2525 19-335219-3352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6565 19-300919-3009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2626 19-105419-1054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6666 19-329819-3298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2727 19-200419-2004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6767 19-307019-3070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2828 19-204919-2049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6868 19-302219-3022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2929 19-205919-2059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6969 19-108319-1083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3030 19-100819-1008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7070 19-328519-3285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3131 19-208919-2089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7171 19-101819-1018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3232 19-208019-2080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7272 19-100419-1004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3333 19-202619-2026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7373 19-311919-3119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3434 19-216919-2169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7474 19-203819-2038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3535 19-216819-2168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7575 19-317019-3170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3636 19-218019-2180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7676 19-304219-3042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3737 19-210919-2109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7777 19-324919-3249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3838 19-209619-2096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7878 19-341319-3413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3939 19-310419-3104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7979 19-219419-2194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4040 19-219519-2195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8080 19-207019-2070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미검출not detected

실험예 2: 시알산 (mg/mL) 함량 분석Experimental Example 2: Analysis of sialic acid (mg/mL) content

상기 실시예 5에서 기재한 방법을 토대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의 시알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표 7 및 도 4에 나타내었다.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5,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ialic acid content of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are shown in Table 7 and FIG. 4.

그 결과, 시알산 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분석한 샘플에서 모두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T22과 T52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333%, 353%가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특이하게도 T45는 T42에 비하여 시간이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ialic acid content increased in all samples analyze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22 and T52 increased by 333% and 353%,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45 was specifically increased over time compared to T42.

mg/mLmg/mL stdevstdev 대조군 대비 증가 비율Increase rate compared to control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0.0430.043 0.0080.008 100%100% T10T10 0.0470.047 0.0040.004 109%109% T22T22 0.1430.143 0.0140.014 333%333% T25T25 0.0620.062 0.0020.002 144%144% T32T32 0.0620.062 0.0040.004 144%144% T35T35 0.0510.051 0.0060.006 119%119% T42T42 0.1090.109 0.0040.004 253%253% T45T45 0.1210.121 0.0060.006 281%281% T52T52 0.1520.152 0.0010.001 353%353% T55T55 0.0780.078 0.0020.002 181%181%

실험예 3: 글리코사미노글리칸 (mg/mL) 함량 분석Experimental Example 3: Analysis of glycosaminoglycan (mg / mL) content

상기 실시예 6에서 기재한 방법을 토대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의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GAG)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표 8 및 도 5에 나타내었다.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6,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lycosaminoglycan (GAG) content of 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are shown in Table 8 and FIG. 5.

그 결과, GAG 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T52, T22, T45에서 각각 351%, 333%, 281%의 GAG 양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이하게도 T45는 T42에 비하여 시간이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되었다.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AG content increased by 351%, 333%, and 281% in T52, T22, and T45,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pecifically, T45 was continuously increased over time compared to T42.

mg/mLmg/mL stdevstdev increase rateincrease rate ControlControl 6.3606.360 0.1440.144 100%100% T15T15 5.2775.277 0.6680.668 109%109% T22T22 5.8815.881 0.0630.063 333%333% T25T25 1.4651.465 0.0360.036 144%144% T32T32 3.7983.798 0.3610.361 144%144% T35T35 6.7776.777 0.3080.308 119%119% T42T42 4.8814.881 0.0630.063 253%253% T45T45 4.7774.777 0.0720.072 281%281% T52T52 10.67910.679 1.4491.449 353%353% T55T55 3.7353.735 0.0720.072 181%181%

실험예 4: 우론산 (mg/mL) 함량 분석Experimental Example 4: Analysis of uronic acid (mg / mL) content

상기 실시예 7에서 기재한 방법을 토대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의 우론산 (Uronic acid)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표 9 및 도 6에 나타내었다.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7,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uronic acid content of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are shown in Table 9 and FIG. 6.

그 결과, 우론산 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T22, T42, T55에서 각각 192%, 177%, 131%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이하게도 T55는 T52에 비하여 시간이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되었다.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uronic acid content increased by 192%, 177%, and 131% in T22, T42, and T55,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specifically, compared to T52, T55 increased continuously over time. .

mg/mLmg/mL StdevStdev increase rateincrease rate ControlControl 1.2001.200 0.1700.170 100%100% T10T10 1.7401.740 0.3960.396 145%145% T22T22 2.3002.300 0.2260.226 192%192% T25T25 1.9801.980 0.0850.085 165%165% T32T32 1.0101.010 0.0140.014 84%84% T35T35 0.5300.530 0.0140.014 44%44% T42T42 2.1202.120 0.5370.537 177%177% T45T45 1.0001.000 0.0850.085 83%83% T52T52 1.5601.560 0.2260.226 130%130% T55T55 1.5701.570 0.3540.354 131%131%

실험예 5: 감마-아미노뷰티르산 (mg/mL) 함량 분석Experimental Example 5: Analysis of gamma-aminobutyric acid (mg/mL) content

상기 실시예 8에서 기재한 방법을 토대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의 감마-아미노뷰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GABA)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표 10 및 도 7에 나타내었다.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8,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 of γ-aminobutyric acid (GABA) in the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are shown in Table 10 and FIG. 7.

그 결과, GABA 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분석한 샘플 모두에서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T35, T45, T55에서 각각 460%, 346%, 291%가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ABA content increased in all analyzed sampl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n particular, 460%, 346%, and 291% respectively in T35, T45, and T5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mg/mLmg/mL stdevstdev increase rateincrease rate ControlControl 0.0960.096 0.0110.011 100%100% T10T10 0.1510.151 0.0160.016 157%157% T22T22 0.1290.129 0.0270.027 134%134% T25T25 0.1960.196 0.0090.009 204%204% T32T32 0.2430.243 0.0270.027 253%253% T35T35 0.4420.442 0.0470.047 460%460% T42T42 0.3650.365 0.0160.016 380%380% T45T45 0.3320.332 0.0080.008 346%346% T52T52 0.2130.213 0.0040.004 222%222% T55T55 0.2790.279 0.0360.036 291%291%

실험예 6: 유산균과 일반세균 총균수 측정Experimental Example 6: Measurement of the total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and general bacteria

상기 실시예 10 및 11에서 기재한 방법을 토대로, 발효 동결건조 녹용에서의 유산균(LAB) 총균수와 일반세균 총균수(AC)를 측정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s 10 and 11,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total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the total number of general bacteria (AC) in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are shown in FIG. 8.

그 결과, T52을 제외한 모든 샘플에서 대조군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T42 및 T52보다 T45 및 T55에서 유산균 및 일반 세균 수가 증가되었으며, T55에서는 다른 샘플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높게 측정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이하게도 T35에서는 T32보다 LAB와 AC 모두 오히려 감소되었다.As a result, all samples except T52 were measu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and general bacteria was increased in T45 and T55 compared to T42 and T52,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was the highest in T55 compared to other samples. Specifically, both LAB and AC were rather decreased at T35 than at T32.

실험예 7: 항산화능 평가 (DPPH, ABTS)Experimental Example 7: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DPPH, ABTS)

상기 실시예 12 및 13에서 기재한 방법을 토대로, 발효 동결건조 녹용에서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토대로 측정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s 12 and 13,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was measured based 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9 .

그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T22와 T55를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였다. 특이하게도 T25에서는 DPPH, ABTS 모두 200%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increased in all except for T22 and T55. Specifically, at T25, it was confirmed that both DPPH and ABTS increased by more than 200%.

실험예 8: 아로마 화합물 분석 (GC/MS)Experimental Example 8: Aroma Compound Analysis (GC/MS)

상기 실시예 15에서 기재한 방법을 토대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의 아로마 화합물을 GC/MS로 분석한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15,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roma compounds of 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by GC/MS are shown in FIG. 10.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2-Butanone, Acetic acid butyl ester, 2-Furanmethanol, Benzaldehyde 등의 아로마 화합물 함량이 모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흑설탕의 단맛에 영향을 미치는 아로마 화합물로 알려진 2-Furanmethanol은 T25, T35에서 각각 540%, 318% 증가하였으며, 숙성 체다 치즈에서 우수한 시너지 향기 물질로 알려져 있는 Benzaldehyde은 T32와 T42에서 각각 517%, 430%가 증가하였다. 또한, 갓 추출 아라비카 커피 아로마로 알려져 있는 2-Butanone은 T55에서 195%가 증가되었으며, 사과 발효주스와 발효 햄 아로마로 알려져 있는 Acetic acid butyl ester은 T52에서 279%가 증가되었다.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aroma compounds such as 2-Butanone, Acetic acid butyl ester, 2-Furanmethanol, and Benzaldehyde all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2-Furanmethanol, known as an aroma compound that affects the sweetness of brown sugar, increased by 540% and 318% at T25 and T35, respectively. 430% increase. In addition, 2-Butanone, known as freshly extracted Arabica coffee aroma, increased by 195% in T55, and acetic acid butyl ester, known as fermented apple juice and fermented ham aroma, increased by 279% in T52.

실험예 9: 저분자 단백질 및 펩타이드 분석Experimental Example 9: Analysis of small molecule proteins and peptides

상기 실시예 9에서 기재한 방법을 토대로, 샘플을 200배 희석하여 진행한 저분자 단백질 및 펩타이드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9 above,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evels of low-molecular-weight proteins and peptides performed by diluting the samples 200-fold are shown in FIG. 11.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T10, T32, T42, T52, T55에서 저분자 펩타이드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low-molecular-weight peptide conversion was progressing in T10, T32, T42, T52, and T5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실험예 10: 아미노산 분석 Experimental Example 10: Amino Acid Analysis

상기 실시예 14에서 기재한 방법을 토대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의 발효에 따른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미노산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1 및 도 12 내지 14에 나타내었다.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14, an amino acid analys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amino acid content of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during fermenta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1 and FIGS. 12 to 14.

그 결과, 총 필수아미노산의 총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T3, T4 및 T5에서 약 20% 이상 증가하였으며, T45, T55, T45, T32 에서 각각 146%, 133%, 131%가 증가하였다. 또한, T55, T45 에서 Ile, Lys, His 함량이 200% 이상 증가되었다. As a result, the total amount of total essential amino acids increased by about 20% or more at T3, T4 and T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ncreased by 146%, 133% and 131% at T45, T55, T45 and T3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tents of Ile, Lys, and His were increased by more than 200% in T55 and T45.

ControlControl T10T10 T22T22 T25T25 T32T32 T35T35 T42T42 T45T45 T52T52 T55T55 글라이신(Gly)Glycine (Gly) 97.597.5 111.3111.3 80.880.8 93.493.4 111.6111.6 89.389.3 101.7101.7 101.3101.3 108.8108.8 113.4113.4 알라닌(Ala)Alanine (Ala) 101.9101.9 101.5101.5 87.387.3 96.596.5 122.8122.8 125.7125.7 113.7113.7 125.3125.3 121.0121.0 139.0139.0 세린(Ser)Serine 50.550.5 59.359.3 38.138.1 46.846.8 79.479.4 61.161.1 71.371.3 58.058.0 68.468.4 60.060.0 프롤린(Pro)Proline (Pro) 39.439.4 41.941.9 36.436.4 26.426.4 29.029.0 46.946.9 45.345.3 48.748.7 45.145.1 48.748.7 발린(Val)Valine (Val) 35.435.4 36.036.0 31.031.0 33.033.0 43.043.0 56.856.8 44.944.9 57.257.2 46.846.8 57.557.5 트레오닌(Thr)Threonine (Thr) 18.918.9 18.318.3 15.815.8 14.714.7 19.519.5 20.820.8 21.021.0 19.119.1 20.320.3 18.018.0 류신(Leu)Leucine (Leu) 22.322.3 20.020.0 21.721.7 24.024.0 22.422.4 34.334.3 19.919.9 35.335.3 18.518.5 25.625.6 이소류신(Ile)Isoleucine (Ile) 9.39.3 11.211.2 8.98.9 6.96.9 11.511.5 20.220.2 15.615.6 18.418.4 15.115.1 25.925.9 아스파라긴(Asn)Asparagine (Asn) 5.05.0 5.65.6 3.33.3 6.76.7 10.310.3 6.06.0 7.37.3 6.06.0 5.85.8 8.18.1 아스파트산(Asp)Aspartic acid (Asp) 14.014.0 15.915.9 11.211.2 25.425.4 23.923.9 18.218.2 20.220.2 16.616.6 13.013.0 23.523.5 라이신(Lys)Lysine (Lys) 42.542.5 52.752.7 35.535.5 52.752.7 103.0103.0 97.497.4 86.386.3 112.8112.8 77.577.5 138.0138.0 글루타민(Gln)Glutamine (Gln)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10.1 0.00.0 글루탐산(Glu)Glutamic acid (Glu) 57.857.8 60.660.6 57.457.4 31.431.4 54.454.4 56.856.8 62.962.9 51.051.0 64.764.7 54.054.0 메티오닌(Met)Methionine (Met) 5.95.9 5.75.7 5.85.8 4.14.1 5.65.6 6.66.6 5.95.9 6.86.8 6.36.3 6.66.6 히스티딘(His)Histidine (His) 12.512.5 13.313.3 8.08.0 16.416.4 33.033.0 17.217.2 20.820.8 25.125.1 15.215.2 31.131.1 페닐알라닌(Phe)Phenylalanine (Phe) 12.612.6 12.612.6 12.012.0 11.811.8 14.014.0 14.914.9 13.813.8 15.115.1 13.713.7 15.115.1 아르기닌(Arg)Arginine (Arg) 27.227.2 25.525.5 18.618.6 30.830.8 43.243.2 44.944.9 34.034.0 39.739.7 34.234.2 43.043.0 티로신(Tyr)Tyrosine (Tyr) 13.713.7 13.213.2 12.612.6 11.811.8 14.514.5 18.118.1 15.815.8 17.717.7 15.815.8 16.616.6 트립토판(TRP)Tryptophan (TRP) 3.13.1 3.13.1 2.72.7 1.81.8 3.83.8 6.06.0 4.34.3 5.35.3 4.24.2 5.25.2 Cys*2Cys*2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Total essential amino acidsTotal essential amino acids 569.6569.6 607.8607.8 487.2487.2 534.7534.7 745.0745.0 741.3741.3 704.8704.8 759.5759.5 694.6694.6 829.4829.4 Control Contrast Ratio (%)Control Contrast Ratio (%) 100%100% 107%107% 86%86% 94%94% 131%131% 130%130% 124%124% 133%133% 122%122% 146%146%

실험예 11: 녹용 농축액 추출 수율Experimental Example 11: Deer Antler Concentrate Extraction Yield

상기 실시예 17에서 기재한 방법을 토대로, 발효 동결건조 녹용의 생산 수율을 측정하기 위해, 각 처리 방법 별(3반복) 녹용 농축액의 중량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17, in order to measure the production yield of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the weight of the antler concentrate for each treatment method (three repetitions) was compa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5.

그 결과, 녹용 농축액 (D/M 18%)의 수율은 각각 생녹용 (1,783g), 발효 동결건조 녹용 (1,636g), 동결건조 녹용 (1,587g), 일반 건조 녹용 (1,466g) 순으로 추출되었음을 확인하였는 바, 발효 동결건조 녹용이 동결건조 녹용 및 일반 건조 녹용보다 생산 수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the yield of antler concentrate (D/M 18%) was extracted in the order of raw antler (1,783g),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1,636g), freeze-dried antler (1,587g), and general dried antler (1,466g), respectively. As confirmed, it can be seen that the production yield of fermented freeze-dried antler is higher than that of freeze-dried antler and general dried antle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본 특허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다 [연구과제번호 321033-3(321033031SB010)].This patent was researched with the support of the high value-added food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ood Technology Planning and Evaluation Institute with funding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Research Project No. 321033-3 (321033031SB010)].

또한, 본 특허는 과제번호 321033-3의 결과물이며, 서울대학교 김영훈교수, 전주대학교 오상남교수, 연세대학교 전보영교수, 강신석박사, 한국사슴협회 염동휘연구원, 전북대학교 김상우교수, 황인호교수, 농협사료 민병민 본부장, 신한대학교 이명호교수, 한국양토양록농협 김용안박사, 김동훈박사가 공동 연구한 결과이다.In addition, this patent is the result of Assignment No. 321033-3, Professor Young-Hoon Ki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Sang-Nam Oh of Jeonju University, Professor Bo-Young Jeon of Yonsei University, Dr. Shin-Seok Kang, Researcher Dong-Hwi Yeom of Korea Deer Association, Professor Sang-Woo Kim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In-Ho Hwang of Nonghyup Feed, and Byeong-Min Min of Nonghyup Feed Division , Shinhan University Professor Lee Myeong-ho, Korea Soil Lok Nonghyup Dr. Kim Yong-an, and Dr. Kim Dong-hoon are the result of joint research.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미생물은행(KACC)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Microorganism Bank (KACC) KACC92397PKACC92397P 2021112220211122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미생물은행(KACC)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Microorganism Bank (KACC) KACC92398PKACC92398P 2021112220211122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미생물은행(KACC)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Microorganism Bank (KACC) KACC92399PKACC92399P 2021112220211122

Claims (15)

1) 녹용 원료에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발효된 녹용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효 동결건조 녹용 제조방법.
1) fermenting by inoculating a strain into an antler raw material; and
2) Freeze-drying the fermented antler
A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용 원료는 생녹용, 숙성 녹용, 건조 녹용 또는 발효 녹용인 것인,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aw material for antler is raw antler, aged antler, dried antler or fermented ant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A) 녹용 원료를 숙성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숙성된 녹용에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1)
A) aging an antler raw material; and
B) fermenting by inoculating the strain into the aged antler
That is, th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숙성은 0℃ 내지 15℃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ging of step A) is performed at 0 ° C to 15 ° C condi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Lactobacillus), 바실러스 (Bacillus),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스트렙토코커스 (Streptococcus), 류코노스톡 (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 (Pediococcus) 및 락토코커스 (Lactococcus) 속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ain is Lactobacillus, Bacillus, Saccharomyces, Bifidobacterium, Streptococcus, Leuconostoc, Pedio A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diococcus and Lactococcu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ain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phosphorus, manufacturing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가) 녹용 원료에 대해 사슴 유래 질병 및 유해성 병원체 검사를 수행하는 공정;
나) 녹용 원료를 저온 장시간 해동하는 공정;
다) 녹용 원료를 세척하는 공정; 및
라) 녹용 원료를 살균하는 공정
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hod
A) A process of testing deer-derived diseases and harmful pathogens on raw materials for deer antler;
b) a process of thawing raw materials for deer antlers at a low temperature for a long time;
c) a process of washing raw materials for deer antler; and
D) Process of sterilizing raw materials for antler
To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step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manufacturing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녹용 내에 시알산 (Sialic aicd), 글리코사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 GAG), 우론산 (Uronic acid), 감마-아미노뷰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GABA), 아미노산 및 아로마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인,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hod is performed by adding sialic acid (Glycosaminoglycan, GAG), uronic acid, gamma-aminobutyric acid (γ-aminobutyric acid. GABA), amino acids in antler. And to enhance the content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oma compounds, a manufacturing metho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화합물은 2-부탄온(2-Butanone), 아세트산 뷰틸 에스터(Acetic acid butyl ester), 2-퓨란메탄올 (2-Furanmethanol) 및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aroma compound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butanone, acetic acid butyl ester, 2-furanmethanol, and benzaldehyde Th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ab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녹용의 항산화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인,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hod enhanc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nt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녹용의 추출 효율을 증진시키는 것인,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hod improves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ant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녹용의 유산균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인,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hod is to increase the lactic acid bacteria content of the antler.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동결건조 녹용.Fermented freeze-dried antler prepar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2. 청구항 13의 발효 동결건조 녹용, 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An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rmented freeze-dried deer antler of claim 13, an extract thereof, or a fraction thereof.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균주 또는 배양액의 농축물; 및 이들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녹용 발효용 조성물.At least one stra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culture of the strain; Concentrates of the above strains or cultures; And a composition for fermentation of antl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ried products thereof.
KR1020220187940A 2021-12-29 2022-12-28 Method for preparing fresh antler velvet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with enhanced antler functional indicator component and use of product obtained therefrom KR2023010452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91849 2021-12-29
KR1020210191849 2021-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528A true KR20230104528A (en) 2023-07-10

Family

ID=8715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940A KR20230104528A (en) 2021-12-29 2022-12-28 Method for preparing fresh antler velvet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with enhanced antler functional indicator component and use of product obtained therefr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452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5487B1 (en) Antiallergic composition
KR100878799B1 (en)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17 for suppressing the growth of antibiotics-resistant pathogenic microorganism or enteropathogenic microorganism
JP5888701B2 (en) Lactobacillus helveticus having high proteolytic activity
JP4163631B2 (en) Fermentation composition of spicy varieties of chili pepper and its use
MX2013000353A (en) Fermented soya based mixture comprising isoflavones- aglicones, equol and lunasi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in food, medical and cosmetic fields.
JP2004345986A (en) Fermented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Guo et al. Bioactive peptides derived from fermented foods: Prepar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Sadeghi et al. Food applications of probiotic yeasts; focusing on their techno-functional, postbiotic and protective capabilities
JP7432745B2 (en) A novel Lactobacillus sakei HEM224 strain, and a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ammation or asthma containing the above strain or a culture thereof
JP5941445B2 (en) Method for producing D-amino acid
JP2020125365A (en) Collagenase inhibitor
JP5965875B2 (en) Method for producing D-amino acid
JP5965368B2 (en) Method for producing D-amino acid
KR20170104051A (en) Composition for Immune Stimulation Comprising Fermented Cervi Parvum Cornu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KR101458556B1 (en) Fermentation products of probiotic mixed cultures and functional health foods, medicinal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KR102056916B1 (en) Novel Lactobacillus bulgaricus UBC-U27 with anti-skin aging or anti-wrinkle activity, and compositions using the same
TWI679982B (en) Use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material for producing inhibitor of pentosine
KR20170124426A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uscular disorders or improvement of muscular functions comprising extract of Amaranthus spp. or grain cereals
KR20170120264A (en) Fermented chestnut puree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and foods composition, medicinal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KR20230104528A (en) Method for preparing fresh antler velvet fermentation freeze-dried antler with enhanced antler functional indicator component and use of product obtained therefrom
KR102445903B1 (en) Lactobacillus plantarum LRCC5314 having an effect of blood glucose lowering-activity and controlling stress and its application
WO2019009437A1 (en) Prophylactic agent for spontaneous cancers
KR102621766B1 (en) 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antler extract having anti-aging,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extract obtained therefrom, and use of such extract
KR102244732B1 (en) Probiotic acetic acid bacteria Acetobacter pasteurianus MGLV and its immunomodulatory effect
KR101794637B1 (en) Fermentation Process of a Garlic Using New Strain of Bacillus subtil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