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985A - 폴더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985A
KR20230103985A KR1020220181996A KR20220181996A KR20230103985A KR 20230103985 A KR20230103985 A KR 20230103985A KR 1020220181996 A KR1020220181996 A KR 1020220181996A KR 20220181996 A KR20220181996 A KR 20220181996A KR 20230103985 A KR20230103985 A KR 20230103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am
flap bar
flap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규
김민경
박호성
이상준
박해웅
김태우
조은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엠티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090,94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217616A1/en
Priority to CN202211728971.9A priority patent/CN116464707A/zh
Publication of KR2023010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 및 제1 세트 하우징, 제2 세트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힌지 어셈블리는,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 사이에서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미드 바; 제1 세트 하우징 및 미드 바 사이에 배치된 제1 플랩 바; 제2 세트 하우징 및 미드 바 사이에 배치된 제2 플랩 바; 미드 바,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와 체결되는 체결 부재; 체결 부재와 연결된 지지 부재; 제1 방향으로 지지 부재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와 연동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로부터 지지 부재를 향해 돌출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1 캠 및 제2 캠; 지지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 제1 캠 및 제2 캠의 고정부와 각각 체결된 제1 기어 암 및 제2 기어 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 장치{FOLD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양방향(Bidirectional folding)이 가능한 힌지 구조를 가진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wireless termina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수첩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위하여 크기가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문자 정보, 동영상, 정지영상, MP3, 게임 등의 각종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기 때문에, 표시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해서는 대형 및 와이드(wide)화를 요구한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는 표시부 화면의 크기 축소를 불러오기 때문에, 두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벤더블(bendable) 표시 장치 또는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와 같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기판을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여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접었을 때 휴대를 간편하게 하고 펼쳤을 때 큰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폰, 전자 책, 전자 신문과 같은 모바일 장비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모니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 중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표시 패널이 접히는 영역에 힌지(hinge)로 구성된 기구물을 사용하는 구조를 발명하였다. 다만, 종래 힌지 구조물은 일 방향으로만 폴딩이 가능하며,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폴딩(in-folding) 및 표시 패널이 외측에 배치되는 아웃폴딩(out-folding)이 동시에 구현하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또한, 인폴딩과 아웃폴딩이 동시에 구현 가능한 힌지가 적용된다고 하더라도, 반복되는 폴딩 구현에 의해 인폴딩 시 발생하는 패널 손상과 아웃폴딩 시 발생하는 표시 패널 손상을 동시에 해소하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폴딩과 아웃폴딩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아웃폴딩 구현 시 노출되는 표시 패널에 압력이 가해질 때 표시 패널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인폴딩 시 작은 곡률 반경에 의해 과도한 응력이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것을 해소하고, 표시 패널의 크랙 및 주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인폴딩 및 아웃폴딩 동작 시, 표시 패널 중 가장 큰 압력을 받는 부분의 스트레인을 감소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반복되는 폴딩 구현에도 내구성이 우수한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 및 제1 세트 하우징, 제2 세트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힌지 어셈블리는,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 사이에서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미드 바; 제1 세트 하우징 및 미드 바 사이에 배치된 제1 플랩 바; 제2 세트 하우징 및 미드 바 사이에 배치된 제2 플랩 바; 미드 바,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와 체결되는 체결 부재; 체결 부재와 연결된 지지 부재; 제1 방향으로 지지 부재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와 연동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로부터 지지 부재를 향해 돌출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1 캠 및 제2 캠; 지지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 제1 캠 및 제2 캠의 고정부와 각각 체결된 제1 기어 암 및 제2 기어 암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인폴딩과 아웃폴딩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폴더블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웃폴딩 시 폴딩 영역에 둥근 사각형(rounded rectangle)의 모서리를 형성하여 표시 패널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표시 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폴딩 시 표시 패널이 오메가(Ω)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어, 폴딩 영역에서의 표시 패널의 곡률 반경을 크게 하여, 폴딩된 표시 패널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치가 가변하는 지지체를 이용하여, 아웃폴딩과 인폴딩 모두에서 표시 영역의 표시 패널을 지지하여, 표시 패널에 가해지는 주름 및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복되는 폴딩 구현에도 표시 패널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하고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1 캠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 및 기어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언폴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아웃폴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인폴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인폴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세트 하우징(110, 120), 힌지 어셈블리(200), 표시 패널(130) 및 베젤 커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구성들을 간략하게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각도로 폴딩(folding)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완전히 접히거나 펼쳐질 수도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는 인폴딩(in-folding 또는 이너-폴딩(inner-folding))되어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접히거나 펼쳐질 수도 있으며, 아웃폴딩(out-folding)되어 표시 패널이 외측에 배치되도록 접히거나 펼쳐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인폴딩과 아웃폴딩이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는 양방향 폴딩이 가능한 양방향 폴더블 표시 장치이다.
세트 하우징(110, 120)는 세트의 외장 커버로, 표시 패널(130)을 포함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여러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거나 수용할 수 있다. 세트 하우징(110, 120)은 좌측의 제1 세트 하우징(110)과 우측의 제2 세트 하우징(1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세트 하우징(110)과 제2 세트 하우징(120)은 힌지 어셈블리(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세트 하우징(110)과 제2 세트 하우징(120)은 힌지 어셈블리(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폭 방향(X축 방향 또는 제1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세트 하우징(110)과 제2 세트 하우징(1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폴딩(접힘)과 언폴딩(펴짐)이 이루어지는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가하는 외부 힘에 의하여 제1 세트 하우징(110)과 제2 세트 하우징(120) 사이의 임의의 영역을 기준으로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세트 하우징(110), 120)은 각각 지지체, 프레임 및 체결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세트 하우징(110)은 제1 지지체(112), 제1 프레임(114) 및 제1 체결부(116)를 포함하고, 제2 세트 하우징(120)은 제2 지지체(122), 제2 프레임(124) 및 제2 체결부(126)를 포함한다.
제1 지지체(112) 및 제2 지지체(122)는 표시 패널(130)을 포함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여러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일 수 있다. 제1 지지체(112) 및 제2 지지체(122)는 미드 바(mid bar)(210), 제1 플랩 바(flap bar) (220a) 및 제2 플랩 바(220b)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4) 및 제2 프레임(124)은 세트의 내장 프레임으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종 구성요소를 둘러싸고 수용한다. 제1 프레임(114) 및 제2 프레임(124)은 각각 제1 지지체(112) 및 제2 지지체(122)의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114)은 힌지 어셈블리(200)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제1 지지체(112)의 가장자리 3면을 둘러싼다. 또한, 제2 프레임(124)은 힌지 어셈블리(200)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제2 지지체(122)의 가장자리 3면을 둘러싼다.
지지체와 프레임은 각각 별개로 마련되어 서로 조립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지지체와 프레임이 연속하여 이어지도록 하나의 단일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제1 지지체(112)와 제1 프레임(114)이 서로 연속하는 하나의 단일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2 지지체(122)와 제2 프레임(124)이 서로 연속하는 하나의 단일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프레임(114) 및 제2 프레임(124)에는 힌지 어셈블리(200)와 결합되는 제1 체결부(116) 및 제2 체결부(126)가 형성된다. 제1 체결부(116)는 제1 플랩 바(220a)와 인접하는 제1 프레임(114)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고, 제1 체결부(116)는 제2 플랩 바(220b)와 인접하는 제2 프레임(124)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다. 제1 체결부(116) 및 제2 체결부(126)는 각각 후술한 힌지 어셈블리(200)의 제1 기어 암(290a) 및 제2 기어 암(290b)과 체결된다. 제1 체결부(116) 및 제2 체결부(126)는 폴딩 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200)는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과 연결되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을 구현한다. 힌지 어셈블리(200)는 미드 바(mid bar)(210) 및 플랩 바(flap bar)(220a, 220b)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2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표시 패널(130)은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체(112) 및 제2 지지체(122)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3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패널(130)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130)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복수의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0)에서 복수의 스캔 배선 및 복수의 데이터 배선이 서로 교차되고,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은 스캔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은 고전위 전원 배선, 저전위 전원 배선, 초기화 신호 배선, 발광 제어 신호 배선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화소는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은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화소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는 표시 패널(13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 패널(13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발광 소자는 애노드, 발광부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광 소자가 유기 발광 소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발광 소자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소 회로는 발광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다. 화소 회로는 예를 들어, 복수의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 패널(130)은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접힘 및 펴짐과 함께 접히고 펴질 수 있도록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가질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제1 세트 하우징(110)과 제2 세트 하우징(120)이 특정한 폴딩 각도를 이루도록 접힐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 세트 하우징(110)과 제2 세트 하우징(120)이 180°의 각도를 갖도록 완전히 펼쳐진 것이 도시되었으나,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특정 각도로 접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세트 하우징(110)과 제2 세트 하우징(120)이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130) 역시 제1 세트 하우징(110)과 제2 세트 하우징(120)의 접힘과 함께 특정 각도로 접힐 수 있다.
또한,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힌지 어셈블리(200)로부터 제공된 홀딩 포스에 의해 특정한 폴딩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세트 하우징(110)과 제2 세트 하우징(120)은 힌지 어셈블리(200)에 의해 특정 폴딩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각도로 접히고, 힌지 어셈블리(200)의 홀딩 포스에 의하여 특정 각도로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베젤 커버(140)는 표시 패널(130)의 상면에서 표시 패널(130)의 상면 베젤을 덮을 수 있다. 베젤 커버(140)는 표시 패널(130)의 베젤을 모두 덮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베젤 커버(140)는 좌측의 제1 베젤 커버와 우측의 제2 베젤 커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힌지 어셈블리(2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힌지 어셈블리(2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1 캠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 및 기어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2의 Va-V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2의 Vb-V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200)는, 미드 바(210), 제1 플랩 바(220a), 제2 플랩 바(220b), 체결 부재(230), 제1 캠(240a), 제2 캠(240b), 지지 부재(250), 스프링 부재(260), 기어 하우징(gear housing)(270), 제1 회전 기어(280a), 제2 회전 기어(280b), 제1 기어 암(gear arm)(290a), 제2 기어 암(290b)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미드 바(210)는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된다. 미드 바(210)는 길이 방향(Y축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미드 바(210)는 표시 패널(1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면이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폭 방향(X축 방향 또는 제1 방향)으로의 미드 바(210)의 양측부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일측에 형성된 볼록한 곡면에 대응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을 가진다. 미드 바(210)의 곡면은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일측에 형성된 원호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미드 바(210)의 양측부에는 2개의 제1 삽입 홀(212)이 형성된다. 제1 삽입 홀(212)은 핀에 의하여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체결 부재(230)와 체결된다.
미드 바(210)는 두께 방향(Z축 방향 또는 제3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의 폴딩 여부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미드 바(210)의 상하 이동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폴딩 구현예에 후술하기로 한다.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는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미드 바(210)의 양측에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플랩 바(220a)는 미드 바(210)와 제1 세트 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플랩 바(220b)는 미드 바(210)와 제2 세트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는 표시 패널(130)의 일부를 지지하고 힌지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는 미드 바(210)에 인접한 일측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을 할 수 있다.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는 날개 형상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는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는 두께가 두꺼운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두께가 얇은 외측이 회전하는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미드 바(210)에 인접한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일측부는 볼록한 곡면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플랩 바(220a)의 우측 및 제2 플랩 바(220b)의 좌측은 볼록한 곡면을 가진다. 제1 플랩 바(220a)의 우측 및 제2 플랩 바(220b)의 좌측은 각각 회전 축을 중심으로 원호를 형성한다.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일측부에 형성된 곡면은 미드 바(210)의 측면에 대향한다.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일측부에 형성된 볼록한 곡면은 미드 바(210)의 측부에 형성된 오목한 곡면과 적어도 일부가 대응할 수 있다.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일측에 형성된 볼록한 곡면의 중심 축은 미드 바(210)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한 곡면의 중심 축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타측부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는 각각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에 인접하는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타측이 일측 보다 작은 곡률 반격을 가지는 원호를 형성한 구조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타측부는 곡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사각 또는 다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미드 바(210)에 인접한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측부에는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체결 부재(230)와 체결될 수 있는 제2 삽입 홀(224a, 224b)이 형성된다. 제2 삽입 홀(224a, 224b)은 핀에 의하여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체결 부재(230)와 체결되고,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는 체결 부재(230)와 연결된 미드 바(210)와 연동될 수 있다.
각각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에 인접한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 일 측부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의 양측에는 슬라이딩 핀(222a, 222b)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핀(222a, 222b)은 후술할 캠(240a, 240b)의 가이드 홀(241)에 삽입되어 가이드 홀(241)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슬라이딩 핀(222a, 222b)은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에 미리 형성된 제3 삽입 홀에 삽입된 핀일 수도 있다.
체결 부재(230)는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미드 바(210)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체결 부재(230)는 4개의 제4 삽입 홀(232)을 가진다. 이중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4 삽입 홀은 미드 바(210)의 2개의 제1 삽입 홀(212)과 체결되고, 나머지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4 삽입 홀은 각각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제2 삽입 홀(224a, 224b)과 체결될 수 있다. 체결 부재(230)를 통해 미드 바(210),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는 일체화되어 함께 연동할 수 있다.
한편, 체결 부재(230)의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4 삽입 홀은 후술할 지지 부재(250)와 체결된다. 즉, 체결 부재(230)의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4 삽입 홀은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일측부에서 미드 바(210)와 체결되고 타측부에서 지지 부재(250)와 체결된다. 이로 인해, 미드 바(210)는 지지 부재(250)와 함께 연동할 수 있다.
지지 부재(250)가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체결 부재(230)의 외측에 배치된다. 지지 부재(250)는 후술할 캠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지지 부재(250)는 일측부에서 체결 부재(230)와 연결되고 타측부에서 기어 하우징(270)과 접촉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250)는 평탄부(252), 원호부(254) 및 돌출부(256)를 포함한다. 평탄부(252)는 지지 부재(250)의 상면의 중심에 위치하며, 후술할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회전에 의해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제1 돌출부(243)와 접촉할 수 있다. 원호부(254)는 평탄부(252)의 양측에 위치하며, 볼록한 곡면을 가진다. 즉, 원호부(254)는 중심 축을 중심으로 원호를 형성한다. 원호부(254)는 후술할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곡면부(245)와 접촉할 수 있다. 원호부(254)는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이 회전을 하는 경우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곡면부(245)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돌출부(256)는 기어 하우징(270)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돌출부(256)는 기어 하우징(270)에 형성된 가이드 홈(272)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은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지지 부재(250)의 양측에 배치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은 각각 고정부(FP) 및 가압부(PP)를 포함한다.
고정부(FP)는 인접하는 플랩 바(220a, 220b) 및 기어 암(290a, 290b)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FP)는 가이드 홀(241) 및 체결 홀(242)을 포함한다. 가이드 홀(241)에 플랩 바(220a, 220b)의 슬라이딩 핀(222a, 222b)이 삽입된다.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이 회전 이동을 할 때, 고정부(FP)의 가이드 홀(241)을 따라 슬라이딩 핀(222a, 222b)이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가 마진을 두고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체결 홀(242)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체결 홀(242)은 가이드 홀(241)을 사이에 두고 가이드 홀(241)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2개의 체결 홀(2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 홀(242)은 기어 암(290a, 290b)과 체결 핀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가압부(PP)는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이 회전 이동함에 따라,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250)의 상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압부(PP)는 제1 돌출부(243), 제2 돌출부(244) 및 곡면부(245)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243)는 폴더블 표시 장치가 언폴딩된 상태를 기준으로 고정부(FP)로부터 폭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이다. 즉, 제1 돌출부(243)는 고정부(FP)로부터 인접하는 지지 부재(250)를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다. 제1 돌출부(243)는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회전 이동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지지 부재(250)의 평탄부(252)에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이 경우 지지 부재(25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243)의 움직임에 의해 지지 부재(250)가 상하 이동이 구현된다.
제2 돌출부(244)는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제1 돌출부(243)와 제2 돌출부(244) 사이로 곡면부(245)가 형성된다. 곡면부(245)는 인접하는 지지 부재(250)의 원호부(254)와 대응한다. 곡면부(245)의 오목한 곡면을 가진다. 곡면부(245)는 지지 부재(250)의 원호부(254)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이 회전하는 경우, 곡면부(245)가 원호부(254)를 지지하면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인폴딩, 아웃폴딩 및 언폴딩 상태에서의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움직임은 도 5a 내지 7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프링 부재(260)는 지지 부재(250)의 평탄부(252)의 하면에 배치되고 기어 하우징(270)의 지지부(273) 상에 배치되어, 지지 부재(250)에 상부 방향으로의 압력을 전달한다.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회전 이동에 의해 지지 부재(25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스프링 부재(260)는 지지 부재(250)가 원위치로 회복할 수 있도록 압력을 전달한다.
기어 하우징(270)은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지지 부재(250)의 외측에 배치된다. 기어 하우징(270)은 제1 회전 기어(280a) 및 제2 회전 기어(280b)를 수납하여 보호하고 인접하는 스프링 부재(260)를 지지한다.
도 3 및 도 4b를 참조하면, 기어 하우징(270)은 수용부(271), 가이드 홈(272), 지지부(273), 고정 홈(274)을 포함한다. 수용부(271)는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기어 하우징(270)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제1 회전 기어(280a) 및 제2 회전 기어(280b)를 수납한다. 가이드 홈(272)은 수용부(271)의 반대면, 즉,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기어 하우징(270)의 타측부에 형성된다. 가이드 홈(272)은 기어 하우징(270)의 타측부가 부분적으로 리세스된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 홈(272)은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이드 홈(272)에 지지 부재(250)의 돌출부(256)가 삽입되어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다. 지지부(273)는 가이드 홈(272)이 형성된 면의 하부에 위치한다. 지지부(273)는 기어 하우징(270)의 타측부로부터 지지 부재(250)를 향하여 연장된 판(plate) 형상일 수 있다. 지지부(273)에 고정 홈(274)이 형성된다. 고정 홈(274)에 스프링 부재(26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기어 하우징(270)의 지지부(273) 및 고정 홈(274)에 의해 스프링 부재(260)가 외부 충격이나 동작 중에 이탈되지 않고 지지 부재(250)에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기어 하우징(270)의 가이드 홈(272)에 의해 지지 부재(250) 또한 이탈하지 않고 상하 이동을 일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1 회전 기어(280a) 및 제2 회전 기어(280b)가 기어 하우징(270) 내부에 배치된다. 제1 회전 기어(280a) 및 제2 회전 기어(280b)는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과 연결된 제1 기어 암(290a) 및 제2 기어 암(290b)을 회전시키는 회전 축의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회전 기어(280a) 및 제2 회전 기어(280b)는 가장자리 부분에 원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중심부에는 치형(tooth form)을 가질 수 있다. 제1 회전 기어(280a) 및 제2 회전 기어(280b)는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회전 기어는 2축 기어로서 2개의 회전 기어로 이루어져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 기어는 4축 기어로 4개의 회전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기어 암(290a) 및 제2 기어 암(290b)은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제1 회전 기어(280a) 및 제2 회전 기어(280b)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 기어 암(290a) 및 제2 기어 암(290b)은 힌지 어셈블리(200)와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을 연결하여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이 힌지 어셈블리(200)를 기준으로 폴딩 및 언폴딩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기어 암(290a) 및 제2 기어 암(290b)은 제1 회전 기어(280a) 및 제2 회전 기어(280b)와 연결되는 체결 홀(291a, 291b)과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과 연결되는 체결부(292a, 292b)를 포함한다. 제1 기어 암(290a) 및 제2 기어 암(290b)은 제1 회전 기어(280a) 및 제2 회전 기어(280b)가 한쌍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 암(290a) 및 제2 기어 암(290b)의 각각의 체결부(292a, 292b)는 제1 세트 하우징(110)의 제1 체결부(116) 및 제2 세트 하우징(120)의 제2 체결부(126)와 체결되어, 힌지 어셈블리(20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세트 하우징 및 세트 하우징에 수용된 기타 구성요소들을 폴딩 및 언폴딩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7b를 참조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폴딩 및 언폴딩되는 경우 힌지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언폴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Va- V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2의 Vb-V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아웃폴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인폴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 장치는 언폴딩 상태, 즉,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이 180°의 각도를 갖도록 완전히 펼쳐진 것이 도시되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은 180°의 각도를 갖도록 완전히 펼쳐진다.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과 연결된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 또한 180°의 각도를 갖도록 완전히 펼쳐져 있으며,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제1 돌출부(243)는 지지 부재(250)의 평탄부(252)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지지 부재(250)와 함께 체결 부재(230)에 연결된 미드 바(210)는 스프링 부재(260)의 탄성에 의해 인접하는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 바(210),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형성할 수 있고, 세트 하우징 및 미드 바(210),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 상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130) 또한 평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 장치는 아웃폴딩 상태, 즉, 표시 패널이 외측에 배치되도록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이 완전히 뒤로 접혀진 것이 도시되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 각각은 표시 패널(130)이 외측에 배치되도록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언폴딩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 방향으로 약 90° 만큼 폴딩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과 연결된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 또한 지지 부재(250)의 원호부(254)를 지지하면서 하부 방향으로 약 90° 만큼 폴딩되며,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가이드 홀(241)을 통해 연결된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 또한 하부 방향으로 약 90° 만큼 폴딩된다.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제1 돌출부(243a, 243b)는 지지 부재(250)의 평탄부(252)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50)와 함께 체결 부재(230)에 연결된 미드 바(210)는 스프링 부재(260)의 탄성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하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한다. 이때,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는 하부 방향으로 폴딩되는 바, 표시 패널(130)은 미드 바(210) 상면으로부터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일측부의 곡면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약 90° 만큼 아웃폴딩된다.
이때, 폴딩 영역의 표시 패널(130)은 미드 바(210)에 의해 지지되는 바, 아웃폴딩 시 외부 충격 및 압력에도 표시 패널(130)의 눌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a를 참조하면, 미드 바(210)에 인접한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220b) 바의 일측부는 각진 형태가 아니라 곡면 형태(C)를 유지한다.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은 폴딩에 의해 둥근 사각형(rounded rectangle)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미드 바(210) 및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상면을 따라 배치되는 표시 패널(130)은 곡면 형태를 따라 폴딩되는 바, 반복하여 아웃폴딩을 구현하여도 폴딩 영역에서의 크랙 및 주름 발생이 최소화된다.
한편, 도 6a를 참조하면, 아웃폴딩 시, 플랩 바(220a, 220b)의 회전 축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의 길이(V)와 측면 방향으로의 길이(H)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시킬 수 있다. 아웃폴딩시 표시 패널(130)이 직접 접촉하는 모서리의 크기에 따라 표시 패널에 집중되는 응력(stress)이 달라질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아웃폴딩시, 플랩 바(220a, 220b)의 회전 축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의 길이(V)가 측면 방향으로의 길이(H) 보다 큰 경우, 표시 패널(130)이 폴딩되면서 플랩 바(220a, 220b)와 접촉하는 부분에 인가되는 응력이 감소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플랩 바(220a, 220b)의 회전 축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의 길이(H)가 상부 방향으로의 길이(V) 보다 큰 경우, 지지 부재(250)의 내부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응력이 감소할 수 있다. 즉, 플랩 바(220a, 220b)의 회전 축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의 길이(H)와 상부 방향으로의 길이(V)는 서로 트레이드 오프 관계이 있는 바, 표시 패널 전반에 인가되는 응력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아웃폴딩시 형상을 기준으로, 플랩 바(220a, 220b)의 회전 축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의 길이(H)와 상부 방향으로의 길이(V)가 상기 수학식 1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아웃폴딩시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응력이 전반적으로 낮아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표시 패널의 성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 장치는 인폴딩 상태, 즉,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이 완전히 접혀진 것이 도시되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 각각은 표시 패널(130)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언폴딩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 방향으로 약 90° 만큼 폴딩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과 연결된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 또한 상부 방향으로 약 90° 만큼 폴딩된다. 이때,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제1 돌출부(243a, 243b)가 지지 부재(250)의 평탄부(252)를 하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된다. 지지 부재(250)에 인가된 압력에 의해 지지 부재(250)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제1 돌출부(243a, 243b)가 지지 부재(250)의 평탄부(252)와 접촉한 채,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이 상부 방향으로 폴딩된다.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가이드 홀(241a, 241b)을 통해 연결된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 또한 상부 방향으로 폴딩된다. 이때, 도 7b를 참조하면, 제1 캠(240a) 및 제2 캠(240a)이 상부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상부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이 약 90° 만큼 폴딩되는 것과 달리,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의 슬라이딩 핀(222a, 222b)이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의 가이드 홀(241a, 241b)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는 90° 만큼 폴딩되지 않고,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과 비교하면 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이에, 도 7a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과 연결된 제1 지지체(112) 및 제2 지지체(122)는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 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지지체(112), 제2 지지체(122), 제1 플랩 바(220a) 및 제2 플랩 바(220b)는 인폴딩 상태에서 공간(S)을 형성하게 되고, 표시 패널(130)은 오메가(Ω)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30)이 오메가(Ω) 형상으로 폴딩되는 경우 곡률 반경이 커지므로, 폴딩되는 표시 패널(130)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폴딩된 표시 패널(130)의 곡면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 지지 부재(250)에 의해 지지되어 표시 패널(130)의 곡률 반경이 감소하는 걸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복되는 인폴딩을 구현하여도 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에 주름이 가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인폴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제1 캠(340a) 및 제2 캠(340b)의 구조가 상이하고, 이에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가 인폴딩 상태에서 제1 플립 바(320a) 및 제2 플립 바(320b)의 폴딩 각도가 상이하고 표시 패널(330)의 폴딩 형상이 상이한 점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 장치는 인폴딩 상태, 즉, 표시 패널(300)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이 완전히 접혀진 것이 도시되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 각각은 표시 패널(330)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언폴딩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 방향(Z축 방향)으로 약 90° 만큼 폴딩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트 하우징(110) 및 제2 세트 하우징(120)과 연결된 제1 캠(340a) 및 제2 캠(340b) 또한 상부 방향(Z축 방향)으로 약 90° 만큼 폴딩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지지체(112), 제2 지지체(122),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표시 패널(130)이 오메가(Ω) 형상을 가지도록 폴딩된다. 도 7a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 장치(100)와 달리, 도 8a에서는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는 폴딩 각도(θ1)가 더 크고,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 사이의 간격이 더 작도록 폴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폴딩 상태에서, 제1 플랩 바(320a)와 표시 패널(330)이 접촉하는 제1 지점(P1) 및 제2 플랩 바(320b)와 표시 패널(330)이 접촉하는 제2 지점(P2) 사이의 간격(d1)이 4mm 내지 5mm 또는 4.3mm 내지 4.7mm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에서 서로 마주 보는 표시 패널(330)의 두 상면의 최대 거리(d2)는 3.2mm 내지 3.8mm 또는 3.4mm 내지 3.6mm가 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330)의 오메가(Ω) 형상 내부의 최대 간격(d2)이 3.2mm 내지 3.8mm 또는 3.4mm 내지 3.6mm일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 장치(100)와 달리, 도 8a와 같이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폴딩된 표시 패널(330)의 오메가(Ω) 형상 크기를 감소시키는 경우, 아웃폴딩 시 표시 패널(330)이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와 접촉하는 지점에서 받는 응력(stress)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한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a)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 패널(330)이 외측에 배치되는 아웃폴딩 시,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는 하부 방향으로 폴딩되어,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의 일측부는 각진 형태가 아니라 곡면 형태(C)를 유지한다. 이때, 표시 패널(330)은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에 의해 형성된 곡면 형태(C)를 따라 하부 방향으로 아웃폴딩된다. 표시 패널(330)은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의 일측부에 형성된 곡면 형태(C)에 직접 접촉하고, 이 지점에서 큰 각도로 폴딩되는 바, 표시 패널(330)과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많은 응력이 집중된다. 이때, 상술한 아웃폴딩 시 표시 패널(330)과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가 접촉하는 부분에 인폴딩시 압축 스트레인이 크게 작용하고, 표시 패널(330)이 반복하여 인폴딩과 아웃폴딩되는 경우, 상기 부분에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에서, 인폴딩 시 표시 패널(330)의 오메가(Ω) 형상 내부의 최대 간격(d2)이 상술한 수치 범위를 만족시키는 경우, 아웃폴딩 시 표시 패널(330)과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가 접촉하는 부분에, 인폴딩 동작 시 인가되는 압축 스트레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330)의 오메가(Ω) 형상 내부의 최대 간격(d2)을 4.5mm에서 3.5mm로 변경하는 경우, 표시 패널(330)과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가 접촉하는 부분에, 인폴딩 동작 시 인가되는 압축 스트레인이 15%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폴딩 시 표시 패널(330)의 구조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1 캠(340a) 및 제2 캠(340b)의 구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에서, 도 8b에 도시된 제1 캠(340a) 및 제2 캠(340b)은 도 7b에 도시된 제1 캠(240a) 및 제2 캠(240b)과 상이한 형상의 가이드 홀(341a, 341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제1 캠(340a) 및 제2 캠(340b)의 가이드 홀(341a, 341b)은 각각 인폴딩 상태에서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의 슬라이딩 핀이 위치하는 제1 끝단(EP1a, EP1b) 및 아웃폴딩 시 슬라이딩 핀이 위치하는 제2 끝단(EP2a, EP2b)을 포함한다. 즉, 제1 끝단(EP1a, EP1b)은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의 회전축(R1, R2)에 인접한 가이드 홀(341a, 341b)의 끝단이며, 제2 끝단(EP2a, EP2b)은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의 회전축(R1, R2)에서 멀리 위치하는 가이드 홀(341a, 341b)의 끝단이다. 제1 끝단(EP1a, EP1b)은 인폴딩 시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의 위치를 결정하며, 이로 인해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 사이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1 플랩 바(320a)의 회전축(R1) 및 제2 플랩 바(320b)의 회전축(R2)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IL)을 기준으로, 제1 끝단(EP1a, EP1b) 및 제2 끝단(EP2a, EP2b)이 이루는 기울기는 2 내지 3 또는 2.25 내지 2.7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폴딩 시 가이드 홀(341a, 341b)의 X축 방향으로의 변위(Lx) 대 Z축 방향으로의 변위(Lz)의 비율이 1:2 내지 1:3 또는 2:4.5 내지 2:5.5일 수 있다. 한편, 일 폴딩 시 제1 플랩 바(320a)의 회전축(R1)과 제1 캠(340a)의 제1 끝단(EP1a)이 이루는 폴딩 각도(θ1) 및 제2 플랩 바(320b)의 회전축(R2)과 제2 캠(340b)의 제1 끝단(EP1b)이 이루는 폴딩 각도는 각각 93° 내지 97°일 수 있다. 즉, 제1 플랩 바(320a)의 회전축(R1)과 제1 플랩 바(320a)의 슬라이딩 핀이 이루는 폴딩 각도가 93° 내지 97°일 수 있다. 이처럼, 제1 캠(340a) 및 제2 캠(340b)의 가이드 홀(341a, 341b)의 구조를 통해,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의 폴딩 각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플랩 바(320a) 및 제2 플랩 바(320b)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된 표시 패널(330)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인폴딩시 폴딩된 표시 패널(330)의 오메가 형상을 조절하여, 반복되는 인폴딩 및 아웃폴딩 동작 시, 표시 패널 중 가장 큰 스트레인을 받는 부분의 스트레인을 감소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 및 제1 세트 하우징, 제2 세트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힌지 어셈블리는,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 사이에서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미드 바; 제1 세트 하우징 및 미드 바 사이에 배치된 제1 플랩 바; 제2 세트 하우징 및 미드 바 사이에 배치된 제2 플랩 바; 미드 바,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와 체결되는 체결 부재; 체결 부재와 연결된 지지 부재; 제1 방향으로 지지 부재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와 연동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로부터 지지 부재를 향해 돌출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1 캠 및 제2 캠; 지지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 제1 캠 및 제2 캠의 고정부와 각각 체결된 제1 기어 암 및 제2 기어 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은 각각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체, 지지체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프레임 및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제1 세트 하우징의 체결부는 제1 기어 암과 체결되고, 제2 세트 하우징의 체결부는 제2 기어 암과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미드 바의 상면은 평탄한 형상을 가지고,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와 인접한 미드 바의 측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미드 바에 인접한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의 일측부는 적어도 일부가 미드 바의 측면과 대응하는 볼록한 곡면을 가지고,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의 일측부가 체결 부재와 체결되어 일측부를 회전 축으로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의 타측부가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의 일측부에서 회전 축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길이(V)와 회전 축으로부터 수직 방향의 길이(H)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의 일측부는 체결 부재와 연결되고,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의 타측부는 각각 제1 캠 및 제2 캠의 고정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캠 및 제2 캠의 고정부는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사이의 45도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의 타측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핀이 가이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슬라이딩 핀은 폴딩 및 언폴딩 동작시 가이드 홀 내부에서 슬라이딩 하며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캠 및 제2 캠의 고정부는 가이드 홀을 사이에 두고 가이드 홀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 2개의 체결 홀을 더 포함하고, 체결 홀은 제1 기어 암 및 제2 기어 암과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상면에 위치하는 평탄부 및 평탄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볼록한 곡면을 가지는 원호부를 포함하고, 제1 캠 및 제2 캠의 가압부는 고정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돌출된 제1 돌출부, 제1 돌출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 및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사이의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폴딩 동작시, 제1 캠 및 제2 캠의 제1 고정부는 지지 부재의 평탄부를 가압하여, 지지 부재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이 외측에 배치되는 아웃폴딩 동작시, 제1 캠 및 제2 캠의 제1 고정부는 지지 부재의 평탄부와 이격되고, 지지 부재는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상하 이동을 하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기어 암 및 제2 기어 암과 각각 결합되는 제1 회전 기어 및 제2 회전 기어; 및 제1 회전 기어 및 제2 회전 기어를 수납하는 기어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기어 하우징은 지지 부재를 향하여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스프링 부재는 지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기어 하우징은 지지 부재를 향하고 부분적으로 리세스된 형상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지지 부재의 돌출부가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 폴딩 상태에서, 표시 패널은 오메가 형상(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 폴딩 상태에서, 제1 플랩 바와 표시 패널이 접촉하는 제1 지점 및 제2 플랩 바와 표시 패널이 접촉하는 제2 지점 사이의 간격이 4mm 내지 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서, 서로 마주 보는 표시 패널의 두 상면의 최대 거리는 3.2 내지 3.8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의 일측부는 체결 부재와 체결되고,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의 타측부는 각각 제1 캠 및 제2 캠의 고정부와 연결되고, 제1 캠 및 제2 캠의 고정부는 각각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의 타측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핀이 슬라이딩 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가이드 홀은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 폴딩 상태에서 슬라이딩 핀이 위치하는 제1 끝단 및 표시 패널이 외측에 배치되는 아웃 폴딩 동작 상태에서 슬라이딩 핀이 위치하는 제2 끝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 폴딩 상태에서, 제1 플랩 바의 회전축과 제2 플랩 바의 회전축 사이의 거리는 4.5mm이고, 제1 플랩 바의 회전축과 제1 캠의 제1 끝단이 이루는 폴딩 각도 및 제2 플랩 바의 회전축과 제2 캠의 제1 끝단이 이루는 폴딩 각도는 각각 93° 내지 97°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 폴딩 상태에서, 제1 플랩 바의 회전축 및 제2 플랩 바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제1 끝단 및 제2 끝단이 이루는 기울기는 2.25 내지 2.75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 세트 하우징
112: 제1 지지체
114: 제1 프레임
116: 제1 체결부
120: 제2 세트 하우징
122: 제2 지지체
124: 제2 프레임
126: 제2 체결부
130, 330: 표시 패널
140: 베젤 커버
200: 힌지 어셈블리
210: 미드 바
220a, 320a: 제1 플랩 바
220b, 320b: 제2 플랩 바
230: 체결 부재
240a, 340a: 제1 캠
240b, 340b: 제2 캠
241: 가이드 홀
242: 체결 홀
243: 제1 돌출부
244: 제2 돌출부
245: 곡면부
250: 지지 부재
252: 평탄부
254: 원호부
256: 돌출부
260: 스프링 부재
270: 기어 하우징
271: 수용부
272: 가이드 홈
273: 지지부
274: 고정 홈
280a: 제1 회전 기어
280b: 제2 회전 기어
290a: 제1 기어 암
290b: 제2 기어 암

Claims (20)

  1. 제1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
    상기 제1 세트 하우징 및 상기 제2 세트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세트 하우징, 상기 제2 세트 하우징 및 상기 힌지 어셈블리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제1 세트 하우징 및 제2 세트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미드 바;
    상기 제1 세트 하우징 및 상기 미드 바 사이에 배치된 제1 플랩 바;
    상기 제2 세트 하우징 및 상기 미드 바 사이에 배치된 제2 플랩 바;
    상기 미드 바, 상기 제1 플랩 바 및 상기 제2 플랩 바와 체결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와 연결된 지지 부재;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지지 부재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1 플랩 바 및 제2 플랩 바와 연동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돌출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1 캠 및 제2 캠;
    상기 지지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의 고정부와 각각 체결된 제1 기어 암 및 제2 기어 암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 하우징 및 상기 제2 세트 하우징은 각각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트 하우징의 체결부는 상기 제1 기어 암과 체결되고,
    상기 제2 세트 하우징의 체결부는 상기 제2 기어 암과 체결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바의 상면은 평탄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플랩 바 및 상기 제2 플랩 바와 인접한 상기 미드 바의 측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을 가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바에 인접한 상기 제1 플랩 바 및 상기 제2 플랩 바의 일측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드 바의 측면과 대응하는 볼록한 곡면을 가지고,
    상기 제1 플랩 바 및 상기 제2 플랩 바의 일측부가 상기 체결 부재와 체결되어 상기 일측부를 회전 축으로 상기 제1 플랩 바 및 상기 제2 플랩 바의 타측부가 회전 이동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랩 바 및 상기 제2 플랩 바가 아웃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랩 바 및 상기 제2 플랩 바의 상기 일측부에서, 상기 회전 축으로부터 수직 방향의 길이(V)와 상기 회전 축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길이(H)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수학식 1]
    Figure pat00002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랩 바 및 상기 제2 플랩 바의 일측부는 상기 체결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플랩 바 및 상기 제2 플랩 바의 타측부는 각각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의 고정부와 연결된, 폴더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의 고정부는 각각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과 상기 제1 방향 사이의 특정한 각도로 연장된 형상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랩 바 및 상기 제2 플랩 바의 타측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핀이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된, 폴더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핀은 폴딩 및 언폴딩 동작시 상기 가이드 홀 내부에서 슬라이딩 하며 이동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의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 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 홀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 2개의 체결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홀은 상기 제1 기어 암 및 상기 제2 기어 암과 체결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면에 위치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볼록한 곡면을 가지는 원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의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돌출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곡면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폴딩 동작시,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의 제1 고정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평탄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 부재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외측에 배치되는 아웃폴딩 동작시,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의 제1 고정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평탄부와 이격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암 및 상기 제2 기어 암과 각각 결합되는 제1 회전 기어 및 제2 회전 기어; 및
    상기 제1 회전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를 수납하는 기어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어 하우징은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하여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하우징은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하고 부분적으로 리세스된 형상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 폴딩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오메가 형상(Ω)을 가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 폴딩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랩 바와 상기 표시 패널이 접촉하는 제1 지점 및 상기 제2 플랩 바와 상기 표시 패널이 접촉하는 제2 지점 사이의 간격이 4mm 내지 5mm인, 폴더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에서, 서로 마주 보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 상면의 최대 거리는 3.2 내지 3.8mm인, 폴더블 표시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랩 바 및 상기 제2 플랩 바의 일측부는 상기 체결 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제1 플랩 바 및 상기 제2 플랩 바의 타측부는 각각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의 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의 고정부는 각각 상기 제1 플랩 바 및 상기 제2 플랩 바의 타측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핀이 슬라이딩 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 폴딩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핀이 위치하는 제1 끝단 및 상기 표시 패널이 외측에 배치되는 아웃 폴딩 동작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핀이 위치하는 제2 끝단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 폴딩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랩 바의 회전축과 상기 제2 플랩 바의 회전축 사이의 거리는 4.5mm이고,
    상기 제1 플랩 바의 회전축과 상기 제1 캠의 제1 끝단이 이루는 폴딩 각도 및 상기 제2 플랩 바의 회전축과 상기 제2 캠의 제1 끝단이 이루는 폴딩 각도는 각각 93° 내지 97°인, 폴더블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내측에 배치되는 인 폴딩 상태에서,
    기 제1 플랩 바의 회전축 및 상기 제2 플랩 바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끝단 및 상기 제2 끝단이 이루는 기울기는 2.25 내지 2.75인,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0220181996A 2021-12-31 2022-12-22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30103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90,948 US20230217616A1 (en) 2021-12-31 2022-12-29 Foldable display apparatus
CN202211728971.9A CN116464707A (zh) 2021-12-31 2022-12-30 铰链结构和包括该铰链结构的可折叠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94332 2021-12-31
KR1020210194332 2021-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985A true KR20230103985A (ko) 2023-07-07

Family

ID=8715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996A KR20230103985A (ko) 2021-12-31 2022-12-22 폴더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9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6046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0827631B2 (en) Foldable display and foldable display device
CN108122492B (zh) 可折叠显示器的折叠装置和具有该折叠装置的显示装置
TWI555456B (zh) 可折疊顯示裝置
US20230217616A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20170131741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20200014133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KR20180071900A (ko)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US20240103587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movable support body
KR102607393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0001110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구조
KR20230015786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50096946A (ko)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JP7201796B2 (ja) モバイル端末およびヒンジ機構
KR2021000947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57282A (ko) 폴딩부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CN111779954B (zh) 一种电子设备
KR20230097763A (ko) 폴더블 표시 장치
CN109618032B (zh) 移动终端
KR102442942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30103985A (ko) 폴더블 표시 장치
CN116464707A (zh) 铰链结构和包括该铰链结构的可折叠显示装置
CN114038335A (zh) 可折叠支撑装置和显示装置
KR20230103435A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20240023261A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