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885A -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885A
KR20230103885A KR1020220071449A KR20220071449A KR20230103885A KR 20230103885 A KR20230103885 A KR 20230103885A KR 1020220071449 A KR1020220071449 A KR 1020220071449A KR 20220071449 A KR20220071449 A KR 20220071449A KR 20230103885 A KR20230103885 A KR 20230103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ide
shaft
low pressure
pad
sea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정진우
황성호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10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6Sealings with packing ring expanded or pressed into place by fluid pressure, e.g. inflatable 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provided with tension elements, e.g. elastic rings
    • F16J15/321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provided with tension elements, e.g. elastic rings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ealing Using Fluids, Sealing Without Contact, And Removal Of 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기계의 고압측과 저압측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유체 기계의 샤프트의 외주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 부상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씰 패드; 및 상기 씰 패드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씰 패드의 부상력을 증대시키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 {Dynamic pressure shaft sealing device for fluid machine}
본 발명은 유체 기계의 샤프트가 설치된 부분에 작동 유체를 씰링하기 위해 설치되는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 펌프, 터빈 등의 유체 기계에는 작동 유체를 밀폐하는 압력 용기(또는 압력실) 내에 회전 동작하는 샤프트(회전축)가 설치된다. 유체 기계의 샤프트는 고압측과 저압측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이는 전동기나, 펌프, 발전기 등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유체 기계의 샤프트에는 작동 유체가 고압측에서 저압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샤프트 씰링 장치가 사용되며, 샤프트 씰링 장치로서 라빈리스 씰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라비린스 씰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과 같이, 라비린스 씰(20)은 샤프트(10)의 외주에 설치되며, 톱니(21)가 샤프트(10)와 마주보게 반복적으로 배치된 형상을 갖는다. 고압측(1)의 유체가 저압측(2)으로 사프트(10)와 라비린스 씰(20)의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때 좁은 영역을 반복적으로 지나가면서 압력 강하가 발생하여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라비린스 씰(20)은 샤프트(10)와의 간극을 줄일수록 누설 저감 효과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으나, 샤프트(10)의 진동에 의해 샤프트(10)와 접촉하여 샤프트(10) 또는 라비린스 씰(20)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라비린스 씰(20)과 샤프트(10)와의 간극을 증가시킬 경우 유체의 누설량 또한 증가하여 유체 기계의 작동 효율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07500호 (2015.03.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씰과 샤프트 사이의 간극을 가변될 수 있게 구성하여 샤프트 또는 씰의 손상을 방지하되, 씰의 초기 부상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유체 기계의 샤프트 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기계의 고압측과 저압측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유체 기계의 샤프트의 외주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 부상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씰 패드; 및 상기 씰 패드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씰 패드의 부상력을 증대시키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씰 패드의 고압측과 저압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압측 그루브와 저압측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씰 패드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에 접하는 패드 본체부와; 상기 패드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전후면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압측 및 저압측 슬라이드부; 및 상기 패드 본체부로부터 고압측과 저압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고압측 및 저압측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측 및 저압측 그루브는 상기 고압측 및 저압측 연장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압측 및 저압측 그루브는 상기 고압측 및 저압측 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을 향해 일정 거리만큼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압측 연장부에는, 상기 씰 패드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를 상쇄시키도록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체 통로 홀;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패드 본체부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부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씰 패드를 부상시킴으로써 샤프트 사이의 간극을 가변될 수 있게 구성하여 샤프트 또는 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씰 패드의 저면에 부상력 증대를 위한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씰 패드의 초기 부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씰 패드와 홀더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을 설치하여 씰 패드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씰 패드에 유체 통로 홀을 형성함으로써 씰 패드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를 상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라비린스 씰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기계의 샤프트 씰링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씰 패드의 구성 및 배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유체 통로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기계의 샤프트 씰링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씰 패드의 구성 및 배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기계의 샤프트 씰링 장치는, 지지부(110), 씰 패드(120) 및 그루브(131, 132)를 포함한다.
지지부(110)는 유체 기계의 고압측(1)과 저압측(2)의 사이에 설치되며, 샤프트(10)가 설치된 공간에서 고압측(1)과 저압측(2)을 구획하는 구조물 또는 격벽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씰 패드(120)는 유체 기계의 샤프트(10)의 외주에 배치되며, 샤프트(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샤프트(10)의 반경 방향으로 부상하도록 지지부(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씰 패드(120)는 샤프트(10)의 외주에 샤프트(10)를 둘러싸도록 복수개의 분할된 형태를 가지며,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씰 패드(120)가 샤프트(10)의 외주에 배치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도 3 참조). 다만 씰 패드(1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지지부(110)와 각 씰 패드(120)의 사이에는 씰 패드(120)의 승강을 위한 공간(3)이 형성되고, 이들 공간을 각 씰 패드(120)마다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씰 패드(120)는 샤프트(10)의 외주에 접하는 패드 본체부(121)와, 패드 본체(121)부의 전후단으로부터 각각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압측 및 저압측 슬라이드부(122, 123)와, 패드 본체부(121)의 전후단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압측 및 저압측 연장부(124, 12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압측 슬라이드부(122)는 지지부(110)의 고압측면(전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고, 저압측 슬라이드부(123)는 지지부(110)의 저압측면(후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압측 연장부(124)는 패드 본체부(121)의 고압측 단부로부터 고압측(1)을 향해 연장되며, 저압측 연장부(125)는 패드 본체부(121)의 저압측 단부로부터 저압측(2)을 향해 연장된다.
그루브(131, 132)는 씰 패드(120)의 저면에 형성되며, 샤프트(10)의 회전에 따라 씰 패드(120)의 부상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3과 같이 각 씰 패드(12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그루브(131, 1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그루브(131, 132)가 형성된 경우 서로 일정 간격(각도)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씰 패드(120)의 고압측(1)에는 고압측 그루브(131)가 형성되고, 씰 패드(120)의 저압측(2)에는 저압측 그루브(132)가 형성될 수 있다. 고압측 그루브(131)와 저압측 그루브(132)는 고압측 연장부(124)와 저압측 연장부(125)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고압측 및 저압측 그루브(131, 132)는 고압측 및 저압측 연장부(124, 125)의 말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을 향해 일정 거리만큼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압측 그루브(131)와 저압측 그루브(132)가 모두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 중 하나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패드 본체부(121)와 지지부(110)의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140)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압축 스프링(140)이 설치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패드 본체부(121)에는 압축 스프링(140)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부(126)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압축 스프링(140)은 샤프트(10)의 가동 초기에 씰 패드(120)에 프리 로드(예압)를 제공하고, 씰 패드(120)의 부상 동작시 탄성 복원력이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여 씰 패드(120)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초기 상태에서는 씰 패드(120)의 패드 본체부(121)가 샤프트(10)에 접하거나 작은 간극으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샤프트(10)의 회전 구동에 따른 유체 기계가 동작함에 따라 고압측(1)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고압측(1)에서 저압측(2)으로의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샤프트(10)와 씰 패드(120)의 사이에는 동압이 발생하여 부상력을 발생시키는데, 이 때 씰링 패드(120) 저면의 그루브(131, 132)에 유체가 유입되면서 그루브(131, 132) 내 공간에 막히게 됨에 따라 동압 발생의 효과가 증대되게 되며, 이에 따라 씰 패드(120)의 부상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씰 패드(120)의 초기 부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씰 패드(120)의 부상력이 증가함에 따라 씰 패드(120)가 과도하게 부상하는 경우 패드부(121)와 샤프트(10) 사이의 간극을 통한 유체의 누설량이 증가할 수 있는데, 압축 스프링(140)은 씰 패드(120)의 부상에 따라 압축되어 그 탄성 복원력이 씰 패드(120)에 작용하여 씰 패드(120)의 과도한 부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씰 패드(120)의 저압측(2)에는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유체 통과 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유체 통로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유체 통과 홀(150)은 저압측 연장부(125)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패드 본체부(121)와 저압측 그루브(132)의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저압측 연장부(125)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차에 따라 씰 패드(120)에는 고압측(1)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즉, 도 2의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M)가 발생하게 되는데, 유체 통로 홀(150)은 저압측 연장부(125)의 내측면의 고압 유체를 외측면의 저압측(2)로 통과시킴으로써 모멘트를 상쇄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씰 패드(120)에 모멘트가 작용하여 씰 패드(120)가 원활히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고압측 2: 저압측
10: 샤프트 110: 지지부
120: 씰 패드 121: 패드 본체부
122: 고압측 슬라이드부 123: 저압측 슬라이드부
124: 고압측 연장부 125: 저압측 연장부
126: 스프링 지지부 131: 고압측 그루브
132: 저압측 그루브 140: 압축 스프링
150: 유체 통과 홀

Claims (6)

  1. 유체 기계의 고압측과 저압측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유체 기계의 샤프트의 외주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 부상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씰 패드; 및
    상기 씰 패드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씰 패드의 부상력을 증대시키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씰 패드의 고압측과 저압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압측 그루브와 저압측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씰 패드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에 접하는 패드 본체부;
    상기 패드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전후면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압측 및 저압측 슬라이드부; 및
    상기 패드 본체부로부터 고압측과 저압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고압측 및 저압측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측 및 저압측 그루브는 상기 고압측 및 저압측 연장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측 및 저압측 그루브는 상기 고압측 및 저압측 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을 향해 일정 거리만큼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측 연장부에 형성되며, 상기 씰 패드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를 상쇄시키도록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체 통로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패드 본체부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
KR1020220071449A 2021-12-30 2022-06-13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 KR20230103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059 2021-12-30
KR20210192059 2021-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885A true KR20230103885A (ko) 2023-07-07

Family

ID=8715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449A KR20230103885A (ko) 2021-12-30 2022-06-13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8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00B1 (ko) 2013-09-30 2015-04-01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라비린스 씰 및 이를 포함하는 반작용식 스팀 터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00B1 (ko) 2013-09-30 2015-04-01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라비린스 씰 및 이를 포함하는 반작용식 스팀 터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1955C2 (ru) Конструкция уплотнения для уплотне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а между вращающимся элементом и неподвижным элементом (варианты)
JP6619434B2 (ja) 追従性ハイブリッド気体潤滑スラスト軸受
US6854736B2 (en) Seal assembly for a rotary machine
CN1160509C (zh) 轴流涡轮机的密封装置
KR101721348B1 (ko) 축 시일장치 및 회전기계
US20150001807A1 (en) Oil deflector
CN102953771A (zh) 一种具有低泄漏和高阻尼性能的迷宫阻尼密封装置
KR101832641B1 (ko) 축 시일 장치 및 회전 기계
WO2012129475A2 (en) Interlocking hole pattern seal
JP2007285521A (ja) 蒸気タービンの可変隙間パッキンリングアセンブリ及び蒸気タービン
JP5936602B2 (ja) シール装置
KR20080038039A (ko) 터보 기계 내에 적용하기 위한 개선된 유체식 액추에이터
KR20230103885A (ko) 유체 기계의 동압 샤프트 씰링 장치
JP2017155625A (ja) シール構造及びターボ機械
CN105492806A (zh) 刷密封装置
JP6358976B2 (ja) タービン用シール装置及びタービン、並びにシール装置用の薄板
KR20230103884A (ko) 부상력 제어가 가능한 유체 기계의 샤프트 씰링 장치
KR20090040956A (ko) 가스터빈용 베어링 시일
JP6151133B2 (ja) 軸流タービン
KR20230103883A (ko) 압력 강하부를 구비하는 유체 기계의 샤프트 씰링 장치
JP7402134B2 (ja) 流体機械
JP2017160861A (ja) ターボ機械
JP6430459B2 (ja) タービンのシーリング構造
KR100917250B1 (ko) 축추력 자동조절을 위한 벨로우즈장치를 구비한 터보기계
JP2020139446A (ja) 動翼及び回転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