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300A -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300A
KR20230103300A KR1020210194093A KR20210194093A KR20230103300A KR 20230103300 A KR20230103300 A KR 20230103300A KR 1020210194093 A KR1020210194093 A KR 1020210194093A KR 20210194093 A KR20210194093 A KR 20210194093A KR 20230103300 A KR20230103300 A KR 20230103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aerial image
ty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9769B1 (ko
Inventor
서동철
Original Assignee
서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철 filed Critical 서동철
Priority to KR1020210194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76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9409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9769B1/ko
Publication of KR20230103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36Videogrammetry, i.e. electronic processing of video signals from a single source or from different sources to give parallax or range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4Interpretation of pictures
    • G01C11/06Interpretation of pictures by comparison of two or more pictures of the same are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단위영역으로 구성되는 촬영대상지역에 대하여 제1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반영된 제1종 항공영상 및 상기 제1위치측정방식과 다른 제2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반영된 제2종 항공영상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1종 항공영상과 상기 제2종 항공영상을 전달받아서 상기 제1종 항공영상과 상기 제2종 항공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촬영대상지역에 대한 종합항공영상을 얻는 프로세서부 및 상기 프로세서부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프로세서부에서 얻어진 상기 종합항공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키면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DRONE}
본 발명은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무인항공기인 드론이 항공영상을 획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항공영상의 위치정확도 확보를 위한 영상처리 분야에서는 전체 사진측량분야에서 60%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건설, 국토관리, 임업, 농업, 환경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위치정확도가 확보된 3D모델과 정사영상을 얻기 위해서 위치정확도 보정 및 후처리과정이 요구된다. 위치정보를 얻는 측량방법으로 GCP(ground control point) 방식, PPK(Post Processed Kinematic) 방식 등 여러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GCP 방식의 경우 위치정확도가 5~10cm 이내의 위치정확도를 나타내지만, 드론 자체 GPS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시간과 후처리소요시간이 모두 2배 이상 소요되며, 직접 해당위치로 이동하여 대공표지를 설치하고 측량을 해야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PPK(Post Processed Kinematic) 측량방식은 기준점과 기지국에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보정하는 방식으로서 과거와 미래의 위치데이터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소요비용이 적다는 점과 4~60cm 정도의 위치정확도를 얻을 수 있으나 기준점에서 위성정보를 정확하게 받아야만 하며 위치정확도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위치정확도를 증대되고 신뢰성 있는 항공영상을 얻을 수 있는 처리기술에 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키면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수의 단위영역으로 구성되는 촬영대상지역에 대하여 제1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반영된 제1종 항공영상 및 상기 제1위치측정방식과 다른 제2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반영된 제2종 항공영상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1종 항공영상과 상기 제2종 항공영상을 전달받아서 상기 제1종 항공영상과 상기 제2종 항공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촬영대상지역에 대한 종합항공영상을 얻는 프로세서부; 및 상기 프로세서부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프로세서부에서 얻어진 상기 종합항공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2종 항공영상에는 다수의 제2종 촬영컷이 포함되고, 하나의 상기 단위영역이 하나의 상기 제2종 촬영컷에 포함되어 촬영되며, 상기 제2종 촬영컷 각각에는 상기 제2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종 항공영상에는 다수의 제1종 촬영컷이 포함되고, 일부의 상기 단위영역이 상기 제1종 촬영컷에 포함되어 촬영되며, 상기 제1종 촬영컷 각각에는 상기 제1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위치측정방식은 RTK(Real Time Kinematic) 위치측정방식이고, 상기 제1종 항공영상은 RTK드론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상기 제2종 항공영상은 드론을 이용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2위치측정방식은 상기 드론에 장착된 GPS수신기에 수신된 GPS신호로 위치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드론은, 다수의 프로펠러가 설치되는 드론본체; 드론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부; 회전부와 통신하여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는 회전제어부; 및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GPS수신기 및 카메라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탈착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탈착고정수단은,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 고정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돌출부; 다수의 고정돌출부 내측에 각각 안착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카메라; 제2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GPS부; 및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고정가압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고정가압부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상부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중앙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하부를 향해 만곡되는 제1가압대;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상부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중앙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하부를 향해 만곡되는 제2가압대; 제1가압대와 제2가압대 사이에 배치되어 제1가압대와 제2가압대를 연결하는 고정연결대; 고정연결대의 중앙에 결합되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고정로드; 및 고정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고정로드의 하단이 삽입 체결되는 로드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카메라바디; 그 상부는 카메라바디의 하부에 카메라바디와 경사지게 탈착 결합되며 그 하부는 탈착고정부에 탈착 결합되는 탈착바디; 카메라바디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카메라바디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킴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카메라바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커버부; 및 카메라바디에 마련되며 카메라커버부와 연결되어 카메라커버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커버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카메라바디는, 카메라바디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카메라렌즈; 카메라바디의 측부에 마련되어 카메라커버부와 카메라커버구동부가 서로 접하는 영역을 덮는 보호커버; 카메라바디의 하단에 마련되며 탈착바디가 분리 시 카메라바디를 탈착고정부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플랜지; 보호커버와 근접되게 카메라바디에 마련되는 결합홈; 및 카메라바디의 일측부에 마련되며 카메라커버부의 외벽과 접촉되어 카메라커버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지지기어;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탈착바디는, 탈착바디의 하부에 마련되어 탈착고정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2결합플랜지; 및 탈착바디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탈착바디를 카메라바디에 결합시키는 볼트부재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체결홀;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카메라커버부는, 카메라바디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며 카메라바디의 상부를 덮어 카메라바디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킴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카메라바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커버바디; 카메라커버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투명부; 및 카메라커버바디의 하부에 마련되어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바;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바는 카메라커버바디의 하부 이동 시 결합홈에 완전히 치합되어 카메라커버바디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위치정확도를 증대시키면서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항공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의 PTK드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을 이용한 항공영상 처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이 제2종 항공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과 PTK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대상지역을 촬영하여 제1종항공영상과 제2종항공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제어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고정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커버부가 하부로 이동되어 결합바가 결합홈에 치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바디가 카메라바디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의 PTK드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설명상 사용되는 몇가지 용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촬영대상지역은, 위치측정데이터와 항공영상을 얻기 위한 대상이 되는 지역을 말한다. 촬영대상지역은 다수개의 단위영역으로 구획된다. 즉, 촬영대상지역은 다수개의 단위영역으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단위영역은 항공촬영시 하나의 촬영컷 내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의 지역을 말하며, 일정한 크기로 구획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위치데이터는 촬영된 단위영역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위치측정데이터를 말한다. 지상에서의 위치를 특정지을 수 있는 좌표라고 할 수도 있다.
촬영컷은 한 번의 촬영으로 얻어지는 한 장의 사진을 말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다수의 촬영컷이 항공영상을 구성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은 입력부(150), 프로세서부(11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항공영상 처리시스템(100)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30)와 출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촬영대상지역에 대하여 제1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반영된 제1종 항공영상 및 제1위치측정방식과 다른 제2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반영된 제2종 항공영상을 입력받는다.
제1종 항공영상에는 다수개의 제1종 촬영컷이 포함된다. 그리고, 촬영대상지역에 포함된 일부의 단위영역이 하나의 제1종 촬영컷에 포함되어 촬영된다. 제1종 촬영컷 각각에는 제1종 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종 위치측정방식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RTK(Real Time Kinematic) 위치측정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RTK 위치측정방식에서는 GPS위성(220), 베이스스테이션(230) 및 베이스스테이션(230)으로부터 임의의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된 로버(rover)가 있고, 로버와 베이스스테이션(230)이 GPS신호를 GPS위성(220)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로버가 베이스스테이션(23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보정을 받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RTK드론(210)이 항공촬영을 하면서 RTK측정방식에서의 로버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종 항공영상은 RTK드론(210)을 이용하여 획득된 것이 바람직하다. RTK드론(210)을 이용하여 획득된 제1종항공영상은 입력부(150)로 입력된다.
제2종 항공영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종 촬영컷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단위영역이 하나의 제2종 촬영컷에 포함되어 촬영되며, 다수의 제2종 촬영컷 각각은 일부분이 다른 제2종 촬영컷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촬영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종 촬영컷 각각에는 제2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종 항공영상은 통상적인 항공영상 촬영용 드론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아울러, 제2종 위치측정방식은 드론에 장착된 GPS수신기에 수신된 GPS신호로 위치측정이 이루어지는 위치측정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드론을 이용하여 획득된 제2종 항공영상은 입력부(150)로 입력된다.
프로세서부(110)는, 입력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제1종 항공영상과 제2종 항공영상을 전달받아서 제1종 항공영상과 제2종 항공영상을 조합하여 촬영대상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항공영상을 얻는다.
RTK위치측정방식이 적용된 제1종 항공영상은 높은 위치정확도를 갖추고 있으며, 드론의 GPS로 측정된 위치데이터가 반영된 제2종 항공영상은 다소 낮은 위치정확도를 가지지만 신뢰도가 일정 수준이상 확보된다. 따라서, 프로세서부(110)가 제1종 항공영상과 제2종 항공영상을 조합하여 촬영대상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항공영상을 얻을 수 있다.
프로세서부(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1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저장부(160)에 프로그래밍되어 저장된 항공영상 처리방법에 따라 프로세서부(110))가 실행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부(110)가 항공영상을 처리하는 것에 대해서는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영상 처리방법에서도 설명한다.
저장부(160)는 프로세서부(110)의 제어를 받으며, 프로세서부(110)에서 얻어진 종합적인 항공영상을 저장한다. 저장부(16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비식별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각종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촬영대상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항공영상을 프로세서부(110)의 제어에 따라 출력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부(110)에 의해 얻어지는 종합적인 항공영상을 외부에서 사용자 등이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140)로서 디스플레이장치를 들을 수 있다.
항공영상 처리시스템(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항공영상 처리시스템(100)은 기업의 업무처리용 서버(server),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등의 형태일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항공영상 처리시스템(100)의 구성요소로서 드론 또는 RTK드론이 더 포함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영상 처리시스템을 이용한 항공영상 처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영상 처리방법은 촬영대상지역에 대한 항공영상 처리방법으로서, 입력단계(S110), 영상처리단계(S120) 및 입력단계(S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입력단계(S110) 이전에 선행될 수 있는 단계로서 사전단계가 있을 수도 있다.
사전단계에서는 PTK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대상지역 중 몇몇 단위영역에 대하여 제1종항공영상을 촬영하여 얻고,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대상지역에 대하여 제2종항공영상을 촬영하여 얻는다.
<< S110 >>
입력단계(S110)는 제1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반영된 제1종 항공영상 및 상기 제1위치측정방식과 다른 제2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반영된 제2종 항공영상을 입력부(150)가 입력받는 단계이다.
입력부(150)로 입력된 제1종 항공영상과 제2종 항공영상은 프로세서부(110)으로 전달된다.
<< S120 >>
영상처리단계(S120)는 입력단계(S110)에서 입력부(15)로 입력된 제1종 항공영상과 제2종 항공영상을 프로세서부(110)가 조합하여 촬영대상지역(L)에 대한 종합항공영상을 얻는 단계이다.
후술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제2종촬영컷이 중첩적으로 촬영되어 얻어진 제2종 항공영상에 제1종 항공영상을 위치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조합한다.
여기서 조합은 각 촬영컷의 위치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제2종 촬영컷과 동일한 위치에서 촬영된 제1종 촬영컷은 제2종 촬영컷으로 대체하고, 동일한 위치에서 촬영된 제2종 촬영컷이 없는 부분에서는 제1종 촬영컷을 그대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조합하는 것을 말하여 이와 같은 조합을 프로세서부(110)가 실행함으로써 종합적인 항공영상을 얻는다.
여기서 위치정확도가 정확한 제1종 항공영상에 대해서는 제2종 항공영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위치중요도를 증대시켜주고, 제2종 항공영상에 대해서는 제1종항공 영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값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위치중요도를 감소시킨 후 제1종 항공영상과 제2종항공영상을 함께 조합함으로써 항공영상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위치정확도를 일정 수준 이상 확보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10)는 이와 같이 조합하여 얻어진 종합적인 항공영상을 저장단계(S130)에서 저장시킨다.
<< S130 >>
저장단계(S130)는 영상처리단계(S120)에서 얻어진 종합항공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이다. 프로세서부(110)는 저장부(160)가 종합적인 항공영상을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처람 저장부(160)에 저장된 항공영상은 프로세서부(110)의 제어에 따라 출력부(140)로 전달되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공영상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은 RTK드론을 이용한 RTK측정방식과 드론의 자체 GPS수신신호를 함께 이용하여 촬영대상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항공영상을 얻으므로 위치정확도를 증대시키면서 신뢰성도 확보된 항공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이 제2종 항공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과 PTK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대상지역을 촬영하여 제1종항공영상과 제2종항공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212)이 촬영대상지역(L) 전체에 대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설정된 비행경로(R)를 따라 비행하면서 각 단위영역(321) 마다 항공촬영을 하여 제2종 촬영컷을 순차적으로 얻는다. 여기서, 다수의 제2종 촬영컷 각각은 일부분이 이웃하는 다른 제2종 촬영컷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촬영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드론(212)이 비행경로(R)를 따라 비행하면서 촬영대상지역(L)에 포함되는 단위영역(321) 모두에 대하여 촬영함으로써 제2종항공영상을 얻는다. 이때 각각의 제2종촬영컷을 촬영할 때마다 드론(212) 자체내의 GPS를 통해 위치데이터도 파악하여 제2종촬영컷과 함께 기록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2종촬영컷에는 각각의 위치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종 항공영상을 촬영한 드론(212)의 비행경로(R)와 동일한 비행경로(R)를 PTK드론(214)이 비행을 하면서 몇몇 단위영역(324)에 대해서 제1종 촬영컷을 촬영하여 제1종 항공영상을 얻는다. 여기서 위치측정방식은 RTK(Real Time Kinematic) 위치측정방식이고, 제1종 항공영상은 RTK드론(214)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PTK드론(214)은 제1종 촬영컷을 촬영할 때 PTK 위치측정방식에 따라 로버(rover)로서의 역할을 하여 위치데이터를 얻는다. 이와 같이 제1종 촬영컷에는 PTK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측정된 위치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1종 항공영상은 1 제곱킬로미터 당 5개 이상 단위영역(324)에 대한 제1종 촬영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종 촬영컷은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연이어 촬영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단지 촬영대상지역(L) 내에서 몇군데의 단위영역(324)에 대해서 제1종촬영컷을 촬영하면 되며, 1제곱킬로미터 당 5개 또는 그 이상의 단위영역(324)에 대한 제1종 촬영컷을 얻을 수 있으면 된다.
참고로 도 4 또는 도 5에서 도면부호 h는 드론의 비행고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부호 a 와 b 는 각각 하나의 단위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가로변과 세로변을 나타낸 것이다.
이처럼 촬영하여 얻어진 제1종항공영상과 제2종항공영상은 입력단계(S110)에서 입력부(150)로 입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제어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론(212)은, 다수의 프로펠러(310)가 설치되는 드론본체(300), 드론본체(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부(400), 회전부(400)와 통신하여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는 회전제어부(500) 및 회전부(400)의 상부에 결합되며 GPS수신기(700) 및 카메라(800)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탈착고정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제어부(500)는, 원통형의 삽입구(511)가 형성된 회전케이스(510), 삽입구(511)의 내측 하부면에 장착되는 버튼통신부(520), 삽입구(511)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모듈(540), 제어모듈(540)의 하부면과 삽입구(511)의 하부면 사이에 장착되는 다수의 회전탄성부재(530) 및 삽입구(511)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회전제어커버(5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400)는 일반적인 회전모터(410) 및 회전스크류(420) 등으로 구성되어, 그 상부에 결합된 카메라(800) 등을 수평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부(400)는 드론본체(3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제어부(500)는 회전부(4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회전부(40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카메라(8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회전제어부(500)를 작동시키면 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회전부(40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카메라(800)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회전케이스(51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부(40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원격지 등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케이스(510)는 원격지 등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내구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케이스(510)는 그 표면에 코팅층을 구비하되, 상기 코팅층은 강성 알루미늄 재질 금속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질코늄 함량 26.7 내지 50.3 중량부와 니오븀 함량 38.3 내지 69.7 중량부를 포함하고, 스칸디움 또는 이트륨 1.3 내지 2.3 중량부를 포함하는 합금분말을 스프레이 분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코팅층을 구비하면, 그 비커스 경도는 750 내지 1,100 Hv(0.2)이고, 마찰계수는 100N의 하중에서 0.0008 내지 0.06 μ이 되므로, 내구성, 내부식성, 내마찰성 및 내마모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케이스(510)에는 제어모듈(5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삽입구(51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511)의 상단에는 회전제어커버(5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구(51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구(512)는 삽입구(51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제어모듈(54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삽입구(511)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제어모듈(540)에는 사용자가 손을 넣어 제어모듈(54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투입구(541)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모듈(540)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회전감지부(543)가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수의 회전감지부(543)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어모듈(540)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회전감지부(543)는 자석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케이스(510)의 삽입구(511) 내측에 자력을 감지하는 모듈을 설치하여 회전감지부(543)의 이동에 따른 제어모듈(540)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540)의 상단에는 다수의 제어톱니(542)가 돌출 형성된다. 다수의 제어톱니(542)는 후술되는 다수의 커버톱니(551)와 치합될 수 잇으며, 제어모듈(540)의 회전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모듈(540)의 하부면과 삽입구(511)의 하부면 사이에는 다수의 회전탄성부재(530)가 장착된다. 다수의 회전탄성부재(530)는 제어모듈(54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투입구(541)에 손을 넣어 제어모듈(540)을 가압하지 않으면, 제어모듈(540)은 회전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한다.
상기 버튼통신부(520)는 삽입구(511)의 내측 하부면에 장착된다. 사용자가 투입구(541)에 손을 넣어 제어모듈(540)을 가압하였을 때, 제어모듈(540)의 하부면은 버튼통신부(520)의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버튼통신부(520)는 사용자가 제어모듈(540)을 이용하여 회전부(400)의 회전 정도를 변경하고자 한다는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모듈(540)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회전부(400)의 회전 각도를 연산하며, 회전제어부(500)에서 발생한 신호와 데이터를 회전부(400)로 통신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제어커버(5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안착구(512)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제어커버(55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제어톱니(542)와 치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커버톱니(55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커버(55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제어눈금(552)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제어모듈(540)의 회전량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제어커버(550)의 내측면 직경은 제어모듈(540)의 직경과 동일하고, 회전제어커버(550)의 외측면 직경은 안착구(512)의 직경과 동일하다.
상기 회전제어부(5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회전부(400)의 회전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제어모듈(540)의 투입구(541)에 손을 넣고 제어모듈(540)을 가압하면, 제어모듈(540)이 회전탄성부재(530)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하부로 이동하여 제어모듈(540)의 하부면이 버튼통신부(520)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통신부(520)는 회전제어부(500)의 작동 시작을 인식하여 회전부(400)와 통신하고, 회전부(400)는 회전모터(410)를 작동시킬 준비를 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제어모듈(540)을 회전시키면, 다수의 회전감지부(543)의 위치가 가변되어 제어모듈(540)의 회전량이 변경되고, 버튼통신부(520)는 이를 연산 처리하여 회전부(400)의 회전 각도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제어모듈(540)의 회전이 모두 완료되면, 사용자는 투입구(541)로부터 손을 빼고, 회전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제어모듈(540)은 다시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제어모듈(540)의 제어톱니(542)는 회전제어커버(550)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커버톱니(551)에 치합되고, 제어모듈(540)의 회전이 방지되며 제어모듈(540)의 회전 각도가 고정된다.
상기 제어모듈(540)의 하부면이 버튼통신부(520)로부터 떨어지면, 버튼통신부(520)는 회전제어부(500)의 작동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여 회전부(400)와 통신하고, 회전부(400)는 회전모터(410)의 작동을 완료하여 카메라(80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고정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고정부(600)는 고정케이스(610), 다수의 고정돌출부(611), 제1플레이트(620), 제2플레이트(630), 카메라(800), GPS수신기(700) 및 고정가압부(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케이스(610)는 회전부(4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케이스(610)에는 무선통신부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돌출부(611)는 고정케이스(610)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수의 고정돌출부(611)는 8개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레이트의 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620)와 제2플레이트(630)는 다수의 고정돌출부(611)의 내측에 각각 안착된다. 제1플레이트(620)와 제2플레이트(630)가 고정돌출부(611)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제1플레이트(620) 및 제2플레이트(630)의 전후좌우 이동이 방지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620)의 상부면에는 카메라(800)가 결합되고, 제2플레이트(630)의 상부면에는 GPS수신기(700)가 결합된다. 상기 GPS수신기(700)는 GPS 좌표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카메라(800) 및 GPS수신기(700) 같은 부품들이 제1플레이트(620) 및 제2플레이트(630)에 결합되어 자유롭게 탈부착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 및 구성으로 다양한 부품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케이스(610)의 상부에는 제1플레이트(620) 및 제2플레이트(6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나, 상황에 따라 통신모듈, 제어기판,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부품을 다른 플레이트에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가압부(640)는 제1플레이트(620)와 제2플레이트(6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플레이트(620)와 제2플레이트(63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제1플레이트(620) 및 제2플레이트(6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가압부(640)는 제1가압대(641), 제2가압대(642), 고정연결대(643), 고정로드(644) 및 로드체결부(6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압대(641)는 제1플레이트(620)와 제2플레이트(630)의 상부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중앙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하부를 향해 만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압대(641)는 GPS수신기(700) 및 카메라(800)를 기준으로 전방 측에 배치된다. 제1가압대(641)의 양 단부에는 상부를 향해 만곡되는 제1가압만곡부(641a)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가압대(642)는 제1플레이트(620)와 제2플레이트(630)의 상부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중앙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하부를 향해 만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가압대(642)는 GPS수신기(700) 및 카메라(800)를 기준으로 후방 측에 배치된다. 제2가압대(642)의 양 단부에는 상부를 향해 만곡되는 제2가압만곡부(642a)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가압대(641)와 제2가압대(642)는 GPS수신기(700) 및 카메라(800)를 기준으로 전후 양측에 나누어 배치되며, 제1가압만곡부(641a) 및 제2가압만곡부(642a)를 구비하여 제1플레이트(620) 및 제2플레이트(630)의 상부면을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대(641) 및 제2가압대(642)의 좌측에 위치한 제1가압만곡부(641a) 및 제2가압만곡부(642a)는 제1플레이트(620)의 상부면을 지지하고, 제1가압대(641) 및 제2가압대(642)의 우측에 위치한 제1가압만곡부(641a) 및 제2가압만곡부(642a)는 제2플레이트(630)의 상부면을 지지한다.
상기 제1가압대(641) 및 제2가압대(642)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제1가압대(641) 및 제2가압대(6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플레이트(620) 및 제2플레이트(630)의 상부면이 가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가압대(641) 및 제2가압대(642)는, Si:0.01 ~ 0.22 중량%, Fe:0.01 ~ 0.27 중량%, Cu:0.01 ~ 0.06 중량%, Mg:1.7 ~ 1.9 중량%, Zn:6.3 ~ 6.8 중량%, Ti:0.01 ~ 0.07 중량%, Zr:0.3 ~ 0.5 중량% 및 잔부 Al로 조성된 강성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면, 인장강도 451 MPa, 항복강도 414 Mpa 이상을 구비하게 되므로, 강성 및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상기 고정연결대(643)는 제1가압대(641)와 제2가압대(642) 사이에 배치되며, 제1가압대(641)와 제2가압대(642) 사이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고정로드(644)는 고정연결대(643)의 중앙에 결합되며, 하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로드체결부(645)는 고정케이스(6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고정로드(644)의 하단이 삽입 체결된다.
상기 고정로드(644)의 하단에는 고정스크류(644a)가 형성되며, 고정스크류(644a)를 로드체결부(645)에 체결하는 정도에 따라 고정케이스(610)의 상부면으로부터 제1가압대(641) 및 제2가압대(642)까지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플레이트(620) 및 제2플레이트(630)의 높이, GPS수신기(700) 및 카메라(800)의 무게, 요구되는 고정력, 플레이트의 개수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고정케이스(610)의 상부면으로부터 제1가압대(641) 및 제2가압대(642)까지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커버부가 하부로 이동되어 결합바가 결합홈에 치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바디가 카메라바디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800)는 탈착고정부(600)의 제1플레이트(620)에 결합되며, 카메라바디(810)와, 그 상부는 카메라바디(810)의 하부에 카메라바디(810)와 경사지게 탈착 결합되며 그 상부는 제1플레이트(620)에 탈착 결합되는 탈착바디(820)와, 카메라바디(81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카메라바디(810)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킴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카메라바디(8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커버부(830)와,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되며 카메라커버부(830)와 연결되어 카메라커버부(8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커버구동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바디(810)는, 카메라바디(810)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카메라렌즈(811)와, 카메라바디(810)의 측부에 마련되어 카메라커버부(830)와 카메라커버구동부(840)가 서로 접하는 영역을 덮는 보호커버(812)와, 카메라바디(810)의 하단에 마련되며 탈착바디(820)가 분리 시 카메라바디(810)를 제1플레이트(620)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플랜지(813)와, 보호커버(812)와 근접되게 상기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되는 결합홈(814)과, 카메라바디(810)의 일측부(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부)에 마련되며 카메라커버부(830)의 외벽과 접촉되어 카메라커버부(83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지지기어(815)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카메라바디(810)는 탈착바디(820)와 분리될 수 있고, 카메라바디(810)만을 제1결합플랜지(813)를 이용하여 제1플레이트(620)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바디(810)의 하부면이 경사지게 마련되어 별도의 구조없이도 카메라바디(810)를 제1플레이트(620)에 경사지게 설치(틸트)할 수 있으므로 촬영각을 사용자가 각도로 손쉽게 가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기어(815)는 카메라커버바디(831)의 외벽에 마련된 기어이와 기어 맞물림되어 카메라커버부(830)의 상하 이동할 때 카메라커버부의 궤적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탈착바디(820)는 탈착바디(8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1플레이트(620)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되는 제2결합플랜지(821)와, 탈착바디(82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탈착바디(820)를 상기 카메라바디(810)에 결합시키는 볼트 부재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체결홀(82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체결홀(822)의 상단부에는 볼트 부재의 헤드가 지지되는 단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커버부(830)는, 카메라바디(810)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며 카메라바디(810)의 상부를 덮어 카메라바디(810)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킴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카메라바디(8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커버바디(831)와, 카메라커버바디(831)의 상부에 마련되는 투명부(832)와, 카메라커버바디(831)의 하부에 마련되어 결합홈(814)에 결합되는 결합바(83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카메라커버바디(831)는 카메라바디(810)의 외벽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카메라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카메라바디(8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합바(833)는 카메라커버바디(831)의 하부 이동 시,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된 결합홈(814)에 완전히 치합되어 카메라커버바디(83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드론(212)이 매우 빨리 이동하는 등 카메라가 환경이 좋지 않은 장소에서 과다하게 흔들릴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투명부(832)는 카메라커버바디(831)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카메라렌즈(811)의 촬상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고, 이물질이 카메라렌즈(8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커버구동부(840)는, 카메라커버바디(83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되는 구동모터(841)와, 구동모터(841)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카메라커버바디(831)의 외벽에 마련된 기어와 기어 맞물림 되어 카메라커버바디(8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어(84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되는 제어모듈(미도시)에 의해 외부 환경이나 태양의 조도, 운행 등에 따라 카메라커버구동부(840)를 작동시켜 카메라렌즈(811)의 노출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에서 조사되는 빛이 강한 경우 카메라커버부(830)가 카메라렌즈(811)를 더 덮도록 이동시킬 수 있고, 작업 환경이 좋지 못할 때에는 카메라커버부(830)를 하부로 이동시켜 카메라커버부(830)에 마련된 결합바(833)를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된 결합홈(814)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처리시스템 110 : 프로세서부 150 : 입력부
160 : 저장부 210 : RTK드론 212 : 드론
214 : PTK드론 300 : 드론본체 310 : 프로펠러
400 : 회전부 410 : 회전모터 420 : 회전스크류
500 : 회전제어부 510 : 회전케이스 511 : 삽입구
512 : 안착구 520 : 버튼통신부 530 : 회전탄성부재
540 : 제어모듈 541 : 투입구 542 : 제어톱니
543 : 회전감지부 550 : 회전제어커버 551 : 커버톱니
552 : 제어눈금 600 : 탈착고정부 610 : 고정케이스
611 : 고정돌출부 620 : 제1플레이트 630 : 제2플레이트
640 : 고정가압부 641 : 제1가압대 641a : 제1가압만곡부
642 : 제2가압대 642a : 제2가압만곡부 643 : 고정연결대
644 : 고정로드 644a : 고정스크류 645 : 로드체결부
700 : GPS수신기 800 : 카메라 810 : 카메라바디
811 : 카메라렌즈 812 : 보호커버 813 : 제1결합플랜지
814 : 결합홈 815 : 지지기어 820 : 탈착바디
821 : 제2결합플랜지 822 : 체결홀 830 : 카메라커버부
831 : 카메라커버바디 832 : 투명부 833 : 결합바
840 : 카메라커버구동부 841 : 구동모터 842 : 구동기어

Claims (1)

  1. 다수의 단위영역으로 구성되는 촬영대상지역에 대하여 제1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반영된 제1종 항공영상 및 상기 제1위치측정방식과 다른 제2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반영된 제2종 항공영상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1종 항공영상과 상기 제2종 항공영상을 전달받아서 상기 제1종 항공영상과 상기 제2종 항공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촬영대상지역에 대한 종합항공영상을 얻는 프로세서부; 및
    상기 프로세서부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프로세서부에서 얻어진 상기 종합항공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종 항공영상에는 다수의 제2종 촬영컷이 포함되고, 하나의 상기 단위영역이 하나의 상기 제2종 촬영컷에 포함되어 촬영되며, 상기 제2종 촬영컷 각각에는 상기 제2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종 항공영상에는 다수의 제1종 촬영컷이 포함되고, 일부의 상기 단위영역이 상기 제1종 촬영컷에 포함되어 촬영되며, 상기 제1종 촬영컷 각각에는 상기 제1위치측정방식에 따라 얻어진 위치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1위치측정방식은 RTK(Real Time Kinematic) 위치측정방식이고, 상기 제1종 항공영상은 RTK드론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상기 제2종 항공영상은 드론을 이용하여 획득되고, 상기 제2위치측정방식은 상기 드론에 장착된 GPS수신기에 수신된 GPS신호로 위치측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드론은,
    다수의 프로펠러가 설치되는 드론본체; 드론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부; 회전부와 통신하여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는 회전제어부; 및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GPS수신기 및 카메라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탈착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고정수단은,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 고정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돌출부; 다수의 고정돌출부 내측에 각각 안착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카메라; 제2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GPS부; 및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고정가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가압부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상부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중앙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하부를 향해 만곡되는 제1가압대;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상부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중앙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하부를 향해 만곡되는 제2가압대; 제1가압대와 제2가압대 사이에 배치되어 제1가압대와 제2가압대를 연결하는 고정연결대; 고정연결대의 중앙에 결합되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고정로드; 및 고정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고정로드의 하단이 삽입 체결되는 로드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모듈은,
    카메라바디; 그 상부는 카메라바디의 하부에 카메라바디와 경사지게 탈착 결합되며 그 하부는 탈착고정부에 탈착 결합되는 탈착바디; 카메라바디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카메라바디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킴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카메라바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커버부; 및 카메라바디에 마련되며 카메라커버부와 연결되어 카메라커버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커버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바디는,
    카메라바디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카메라렌즈; 카메라바디의 측부에 마련되어 카메라커버부와 카메라커버구동부가 서로 접하는 영역을 덮는 보호커버; 카메라바디의 하단에 마련되며 탈착바디가 분리 시 카메라바디를 탈착고정부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플랜지; 보호커버와 근접되게 카메라바디에 마련되는 결합홈; 및 카메라바디의 일측부에 마련되며 카메라커버부의 외벽과 접촉되어 카메라커버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지지기어; 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바디는,
    탈착바디의 하부에 마련되어 탈착고정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2결합플랜지; 및 탈착바디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탈착바디를 카메라바디에 결합시키는 볼트부재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체결홀; 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커버부는,
    카메라바디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며 카메라바디의 상부를 덮어 카메라바디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킴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카메라바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커버바디; 카메라커버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투명부; 및 카메라커버바디의 하부에 마련되어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바;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바는 카메라커버바디의 하부 이동 시 결합홈에 완전히 치합되어 카메라커버바디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
KR1020210194093A 2021-12-31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 KR102669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093A KR102669769B1 (ko) 2021-12-31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093A KR102669769B1 (ko) 2021-12-31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300A true KR20230103300A (ko) 2023-07-07
KR102669769B1 KR102669769B1 (ko) 2024-05-28

Family

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70199A (zh) * 2023-12-27 2024-01-30 天津云圣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摆动摄影控制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70199A (zh) * 2023-12-27 2024-01-30 天津云圣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摆动摄影控制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7470199B (zh) * 2023-12-27 2024-03-15 天津云圣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摆动摄影控制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55461B (zh) 测量子系统和测量系统
EP3182157B1 (en) Method for creating a spatial model with a hand-held distance measuring device
KR101679456B1 (ko) 캐스케이드형 카메라 및/또는 보정 요소를 포함하는 넓은 영역의 이미지를 상세하게 캡쳐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803434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ision Avoidance
US6281970B1 (en) Airborne IR fire surveillance system providing firespot geopositioning
US10589860B2 (en) Spherical infrared emitter
CN111649741B (zh) 一种基于光电转塔的光电探测系统及其稳像、搜索方法
JP6138326B1 (ja) 移動体、移動体の制御方法、移動体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制御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7378571B2 (ja) 少なくとも一つのスキャン装置のためのフレームと少なくとも一つのスキャン装置を備える空間検出装置
KR101350929B1 (ko) 지피에스(gps)와 아이엔에스(ins)를 이용한 초정밀 항공촬영 장치
US10893190B2 (en) Tracking image collection for digital capture of environme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348797B1 (ko) 지피에스(gps)와 아이엔에스(ins)를 이용한 초정밀 항공촬영 장치
Vallet et al. Development and experiences with a fully-digital handheld mapping system operated from a helicopter
US20200056890A1 (en) Mapping and tracking methods and systems principally for use in connection with swimming pools and spas
KR101933520B1 (ko) 다방향 항공촬영을 통해 지형지물의 정밀한 입체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WO2019189381A1 (ja) 移動体、制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13885312A (zh) 光电跟踪系统及方法
CN112478968B (zh) 电梯井道巡检控制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JP6482856B2 (ja) 監視システム
KR20230103300A (ko)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
KR102669769B1 (ko) 드론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항공영상 처리시스템
US10884415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light flash synchronization
JP2022057277A (ja) 測量システム
US20230064401A1 (en) System for 3d surveying by a ugv and a uav with automatic provision of referencing of ugv lidar data and uav lidar data
CN207991589U (zh) 扫描装置以及其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