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118A - Overhead Transport selectively conducting a group transport - Google Patents

Overhead Transport selectively conducting a group trans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118A
KR20230103118A KR1020210193741A KR20210193741A KR20230103118A KR 20230103118 A KR20230103118 A KR 20230103118A KR 1020210193741 A KR1020210193741 A KR 1020210193741A KR 20210193741 A KR20210193741 A KR 20210193741A KR 20230103118 A KR20230103118 A KR 20230103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transfer
cluster
uni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7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정현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3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118A/en
Publication of KR20230103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1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8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9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Abstract

천정 반송장치를 개시한다. 천정 반송장치는 반송물을 처리하는 처리설비가 다수 배치되는 바닥 및 바닥과 대향하는 천정에 설치되어 라인형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레일, 이송레일을 따라 처리설비 사이를 이동하며 반송물을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장치 및 서로 인접한 이송장치들을 단일한 군집장치로 구성하여 반송물을 이송하는 군집이송을 수행하는 군집 제어기를 포함한다. 다양한 특성을 갖는 반송물을 대응하는 이송장치가 없더라도 기존 이송장치가 결합된 군집장치를 이용하여 이송함으로써 천정 구동장치의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 ceiling transfer device is started. The ceiling transfer device is installed on a floor where a plurality of processing facilities for handling transported objects are disposed and at least one transfer rail installed on a ceiling facing the floor and extending in a line shape, and at least one transporting object while moving between the processing facilities along the transfer rail. A cluster controller configured to configure one 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devices adjacent to each other as a single cluster device and perform cluster transport to transport transported objects. Even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transport device for transporting objects having various characteristics, maintenance cost of the ceiling drive device can be reduced by transporting them using a cluster device combined with an existing transport device.

Description

군집이송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천정 반송장치 {Overhead Transport selectively conducting a group transport}Overhead transport selectively conducting a group transport {Overhead Transport selectively conducting a group transport}

본 발명은 천정 반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송물을 파지하여 천정에 설치된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천정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convey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iling conveying device that grips and transports a conveyed object along a transfer 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에서 웨이퍼 이송을 위해 천정 반송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반도체 제조공정의 특성상 단위공정 설비들은 클린 룸 내에 설치되고 공정설비 사이의 이송은 풉(FOUP)에 수용되어 이송장치를 통해 수행된다.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emiconductor devices, a ceiling transfer device is widely used for wafer transfer. Due to the nature of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unit process facilities are installed in a clean room, and transfer between process facilities is accommodated in a FOUP and performed through a transfer device.

상기 천정 반송장치는 다수의 단위공정 설비들이 설치된 클린 룸의 천정에 설치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로부터 상승 및 하강하여 풉을 이적재하고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캐리어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이송장치(transport vehicle)로 구성된다. The ceiling transfer device is a transfer 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clean room in which a number of unit process facilities are installed and a transfer that protects the carrier from the outside while moving up and down from the transfer rail to transfer and load the FOUP and move along the transfer rail It consists of a transport vehicle.

상기 이송장치는 소스설비의 로드포트인 소스 포트로부터 풉을 이재한 후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타겟 설비의 로드포트인 타겟 포트로 적재한다. 이때, 반송물에 따라 이송장치의 표준이 설정되어 풉의 형상, 사이즈, 무게와 같은 반송물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이송장치가 결정된다. The transfer device transfers the FOUP from the source port, which is the load port of the source facility, and then moves along the transfer rail to load it into the target port, which is the load port of the target facility. At this time, the standard of the transport device is set according to the transported object, and the appropriate transport devi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ed object such as the shape, size, and weight of the FOUP.

따라서, 상기 반송 비클은 적재가능한 풉이 구동조건으로 설정되며 상기 구동조건은 단일한 풉의 이송을 전제로 적용된다. 즉, 1비클-1풉 이송을 반송장치의 구동단위로 설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풉을 동시에 다수 이송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풉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캐리어를 제조하고 상기 대형 캐리어를 이송하기에 적합한 구동조건을 갖는 이송장치를 새로 제작하고 있다. Therefore, the transport vehicle is set as a driving condition of a loadable foo, and the driving condition is applied on the premise of transporting a single foo. In other words, 1 vehicle-1 pull transfer is established as a drive unit of the conveying device. Accordingly, in the case of simultaneously transporting a plurality of the same FOUPs, a large carrier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FOUPs is manufactured and a new transfer device having driving conditions suitable for transporting the large FOUP is being manufactured.

그러나, 상기 반송장치의 1비클-1풉 이송 특성은 반송물의 특성에 부합하는 반송장치를 요구하게 되어 반송장치가 표준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신규 반송물이 요구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신규 반송장치의 개발이 수반되어야 하고 종래 반송물의 특성이 변화하는 경우 종래이 반송장치도 이에 대응하여 개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veying device cannot be standardized because the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the conveying device 1-1-1 require a conveying device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yed object.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a new transported object is required, a new transpor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new transporting device must be developed, and when the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transported object are changed, the conventional transporting device must also be modified accordingly.

예를 들면, 반송물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수량이나 종류가 변경되어 반송물의 전체 무게가 변경된 경우 기존 구동조건의 이송장치로 이송이 불가능하여 새로운 구동조건을 갖는 이송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반송물의 사이즈가 변경된 경우 기존 구동조건의 이송장치는 무게중심의 차이에 의해 안정적인 구동이 어려워진다. For example, when the total weight of a transported object is changed due to a change in the quantity or type of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transported object, it is impossible to transfer the transported object with a transport device under the existing drive condition, and thus a transport device having a new drive condition must be provided.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conveyed object is changed, it is difficult to stably drive the conveying device under the existing driving condition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enter of gravity.

이에 따라, 상기 천정 반송장치의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반송물인 풉의 형상과 사이즈 및 무게가 표준화되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전공정에서만 활용분야가 한정되는 경향이 있다. 반도체 후공정은 반송물의 종류와 이송조건이 다양하여 개별적인 반송물과 이송조건에 대응하는 이송장치를 제작하고 유지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반송물의 종류와 이송조건이 더욱 다양한 다른 산업분야에서는 대상물마다 이에 대응하는 이송장치를 요구하는 1비클-1대상물 이송특성은 현실적으로 충족되기 어렵다. Accordingly, despite the various advantages of the ceiling transfer device, the field of application tends to be limited only in the entire process of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the shape, size, and weight of the transport object, FOUP, are standardized. In the semiconductor post-process, since the type of conveyed object and transport conditions are diverse, it is expensive to manufacture and maintain a transport device corresponding to each transport object and transport condition. Furthermore, in other industrial fields where the types of conveyed objects and conveying conditions are more diverse, it is difficult to realistically satisfy the one-vehicle-one-object conveying characteristic that requires a corresponding conveying device for each object.

따라서, 종래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반송물을 이송할 수 있는 천정 반송장치의 새로운 운용방식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new operating method of a ceiling conveying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various conveyed objects using a conventional conveying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사이즈와 무게를 갖는 반송물을 다수의 이송장치로 이송하는 천정 반송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eiling transfer device that transfers objects having various sizes and weights to a plurality of transfer devices.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천정 반송장치는 반송물을 처리하는 처리설비가 다수 배치되는 바닥 및 상기 바닥과 대향하는 천정에 설치되어 라인형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상기 처리설비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반송물을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장치 및 서로 인접한 상기 이송장치들을 단일한 군집장치로 구성하여 상기 반송물을 이송하는 군집이송을 수행하는 군집 제어기를 포함한다.Ceiling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or achieving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floor where a plurality of handling facilities for handling conveyed goods are disposed and a ceiling facing the floor and at least one extending in a line shape. A transfer rail, at least one transfer device that moves between the processing facilities along the transfer rail and transfers the transported object, and a group that configures the transport devices adjacent to each other as a single group device to transfer the transported object in a cluster. contains the controller.

일실시예로서, 상기 군집 제어기는 상기 군집이송이 필요한 반송물인 군집 반송물에 대한 이송신호를 검출하는 이송신호 검출유닛, 상기 군집 반송물에 대한 특성정보와 상기 군집 반송물 주변에 분포하는 상기 이송레일의 레일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군집 반송물에 대한 이송모드를 설정하는 이송모드 설정유닛, 설정된 상기 이송모드에 따라 상기 군집 반송물에 대한 이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군집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군집이송 동작유닛을 포함한다.As an embodiment, the cluster controller includes a transfer signal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transfer signal for the cluster transport items, which are transport items requiring cluster transf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cluster transport items, and rails of the transfer rails distributed around the cluster transport items. and a transport mode setting unit that sets a transport mode for the cluster cargoes by combining information, and a cluster transport operation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lustering device to transport the cluster cargoes according to the set transport mode.

일실시예로서, 상기 군집 반송물에 대한 상기 특성정보는 상기 군집 반송물의 사이즈, 무게 및 형상을 포함한다. As an exampl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bout the cluster transport items includes the size, weight, and shape of the cluster transport items.

일실시예로서, 상기 이송모드는 동일한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운행하는 상기 이송장치들인 종렬장치로 상기 군집장치를 구성하고 단일한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수행하는 종방향 이송모드 및 서로 인접하여 나란하게 연장하는 서로 다른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운행하는 상기 이송장치들인 횡렬장치로 상기 군집장치를 구성하고 동시에 다수의 이송레일을 따라 수행하는 횡방향 이송모드를 포함한다.As an embodiment, the transfer mode is a longitudinal transfer mode in which the cluster device is constituted by a tandem device, which is the transfer device running along the same transfer rail, and carried out along a single transfer rail, and a longitudinal transfer mode that is adjacent to each other and extends side by side. and includes a transverse transport mode in which the grouping device is configured with a row device, which is the transport device that runs along different transport rails, and performed along a plurality of transport rails at the same time.

일실시예로서, 상기 군집이송 동작유닛은 상기 군집장치를 각각 상기 종방향 이송모드 및 횡방향 이송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종방향 동작기 및 횡방향 동작기를 포함한다.As an embodiment, the cluster transfer operation unit includes a longitudinal actuator and a transverse actuator that control the cluster devices to operate in the longitudinal transfer mode and the transverse transfer mode, respectively.

일실시예로서, 상기 종방향 동작기는 상기 군집 반송물의 하중분포와 형상을 검출하여 상기 종렬장치들의 간격과 개수를 결정하는 종렬장치 설정부, 상기 종렬장치를 단일한 동작신호로 동작하도록 고유한 동작 주파수를 설정하는 종렬구동 주파수 설정부, 상기 종렬구동 주파수로 상기 종렬장치들을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검출된 간격을 갖도록 설정하는 간격 설정부 및 상기 군집 반송물이 고정된 상기 군집장치를 상기 종렬구동 주파수로 구동하는 종방향 구동부를 포함한다.As an embodiment, the longitudinal mover detects the load distribution and shape of the group transport objects and determines the interval and number of the tandem devices, and a unique operation to operate the tandem devices with a single operation signal. A tandem drive frequency setting unit for setting a frequency, an interval setting unit for individually driving the tandem devices at the tandem drive frequency to set the detected distance, and the grouping device to which the clustered cargo is fixed at the tandem drive frequency. It includes a longitudinal driving unit that drives.

일실시예로서, 상기 반송레일은 인접한 반송레일 사이의 이격거리를 검출할수 있는 거리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 설정부는 상기 거리센서를 통해 검출된 거리를 수득하여 기준 이송장치에 대한 설정대상 이송장치의 거리를 상기 검출간격에 대응하도록 위치를 조정한다.As an embodiment, the conveying rail is provided with a distanc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djacent conveying rails, and the distance setting unit obtains the distance detected through the distance sensor to determine the target conveying device for the standard conveying device. The position is adjusted so that the distance corresponds to the detection interval.

일실시예로서, 상기 횡방향 동작기는 상기 군집 반송물의 하중분포와 형상을 검출하여 상기 횡렬장치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횡렬장치 설정부, 상기 횡렬장치를 단일한 동작신호로 동작하도록 고유한 동작 주파수를 설정하는 횡렬구동 주파수 설정부, 상기 횡렬구동 주파수로 상기 횡렬장치들을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군집 반송물의 중심선을 따라 정렬하는 장치 정렬부 및 상기 군집 반송물이 고정된 상기 군집장치를 상기 횡렬구동 주파수로 구동하는 횡방향 구동부를 포함한다.As an embodiment, the transverse actuator includes a rowing device setting unit that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rowing devices by detecting the load distribution and shape of the group cargo, and a unique operating frequency to operate the rowing devices with a single operation signal. A row drive frequency setting unit to set, a device alignment unit to drive the row devices individually at the row drive frequency and align them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and drive the cluster devices to which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are fixed at the row drive frequency It includes a transverse driving unit that does.

일실시예로서, 상기 횡방향 동작기는 상기 이송장치에 구비되어 반송물을 향하여 파지부를 하강하는 승강부의 위치를 상기 군집 반송물의 정렬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하는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As an embodiment, the transverse actuator further includes a rotation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transfer device and controlling a rotation driving unit that rotates a position of an elevation unit that lowers the gripping unit toward the transported object to coincide with an alignment direction of the group transported object. .

일실시예로서, 상기 군집이송 동작유닛은 상기 종방향 동작기 및 상기 횡방향 동작기를 단일한 동작신호로 동작시켜 상기 종방향 이송모드와 상기 횡방향 이송모드를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 동작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군집장치를 복합 이송모드로 운행한다.As an embodiment, the cluster transfer oper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combined actuator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the longitudinal transfer mode and the lateral transfer mode by operating the longitudinal actuator and the transverse actuator with a single operation signal, The swarming device operates in a multi-transport mod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천정 반송장치는 이송장치의 구동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반송물을 다수의 이송장치가 결합된 군집장치에 의해 이송할 수 있다. 반송물의 특성정보와 레일정보에 의해 종방향 이송모드와 횡방향 이송모드 중에서 최적 이송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이송모드에 적합하도록 이송레일을 따른 종방향 또는 이송레일과 수직한 횡방향을 따라 다수의 이송장치를 배치하여 군집장치를 형성한다. 군집장치를 단일한 이송단위로 구동하도록 구동수단을 배치함으로써 군집 반송물에 대응하는 별도의 이송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종래 이송장치의 결합에 의해 이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정 반송장치를 구성하는 반송비클과 반송물사이의 상관성을 완화하고 다양한 사이즈와 무게의 반송물을 종래의 이송장치를 이용해 이송할 수 있다. In the ceiling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yed objects that do not meet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conveying device can be transported by a cluster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ying devices are combined. Select the optimal transport mode from the longitudinal transport mode and the lateral transport mode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nveyed object and the rail information, and multiple transpor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transport rail o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rail to suit the transport mode Arrange devices to form cluster devices. By arranging the driving means to drive the grouping devices as a single transporting unit, it is possible to transport the cluster transported objects by combining conventional transporting devices without having to provide a separate transporting device. According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veying vehicle constituting the ceiling conveying device and the conveyed object can be alleviated and conveyed articles of various sizes and weights can be transferred using the conventional conveying device.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te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천정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군집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군집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천정 반송장치를 종방향 이송모드로 수행하는 종방향 군집이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천정 반송장치를 횡방향 이송모드로 수행하는 횡방향 군집이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eiling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ustering controller for forming the cluster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longitudinal cluster transfer performed by the ceiling transfer device shown in FIG. 1 in a longitudinal transfer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lateral cluster transfer performed by the ceiling transfer device shown in FIG. 1 in a lateral transfer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를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Like reference number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figure.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천정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eiling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정 반송장치(500)는 이송레일(100)과 이송장치(200) 및 다수의 이송장치(200)을 묶어서 군집장치로 운행하는 군집 제어기(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 ceiling transport devi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uster controller ( 300).

일실시예로서, 상기 이송레일(100)은 반송물을 처리하는 처리설비(EQ)가 다수 배치되는 바닥(B) 및 상기 바닥(B)과 대향하는 천정(T)에 설치되어 라인형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 구조물로 제공된다. As an embodiment, the transfer rail 100 is installed on a floor (B) where a plurality of processing facilities (EQ) for handling conveyed goods are disposed and a ceiling (T) facing the floor (B) and extends in a line shape. Provided with at least one rail structure.

예를 들면, 상기 이송레일(100)은 반도체 후공정 팹(10)의 내부에서 상기 천정(12)과 인접하도록 라인형상으로 연장한다. 상기 팹(10)의 바닥(11)에는 다수의 후공정용 공정설비(EQ)가 배치되고 상기 공정설비(EQ)로의 기판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해 로드포트가 상기 공정설비(EQ)와 일대일로 배치된다. 로드포트에 다수의 기판(미도시)이 수용된 매거진(M)이나 반송물(T)가 위치하면 상기 반송물(T)나 매거진(M)은 공정설비(EQ)로 유입되어 기판에 대한 후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후처리 공정이 완료되면 기판들은 다시 매거진(M)이나 반송물(T)에 수용되어 상기 로드포트로 언로딩된다. For example, the transfer rail 100 extends in a line shape to be adjacent to the ceiling 12 inside the semiconductor post-processing fab 10 . A plurality of post-process process equipment (EQ) is disposed on the floor 11 of the fab 10, and a load port is one-to-one with the process equipment (EQ) for loading and unloading substrates to the process equipment (EQ). are placed When a magazine (M) containing a plurality of substrates (not shown) or a material to be transported (T) is located in the load port, the material (T) or the magazine (M) flows into the processing equipment (EQ) to perform a post-processing process for the substrate. carry out When the post-processing process is completed, the substrates are accommodated in the magazine M or transported material T and unloaded to the load port.

상기 공정설비(EQ)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한 후처리 공정설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후처리 공정설비(EQ)는 본딩 공정이나 패키징 공정과 같은 반도체 제조용 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천정 반송장치(500)에 의해 상기 로드포트에 공급된 후 상기 공정설비(EQ)로 공급되어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공정설비(EQ)에서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기판은 이송용 매거진(M)이나 반송물(T)에 수용되어 상기 공정설비(EQ)로부터 상기 로드포트로 다시 배출된다. 다수의 가공기판이 수용된 상기 매거진(M)이나 반송물(T)는 다시 천정 반송장치(500)의 이송장치(200)에 수용되어 상기 이송레일(100)을 따라 후속공정을 위한 공정설비(EQ)의 로드포트로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매거진(M)이나 반송물(T)를 상기 천정 반송장치(500)의 이송 객체로서 반송물(T)이라 한다. The process equipment (EQ) includes various post-processing process equipment capable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For example, the post-processing process facility (EQ) may include various facilities capable of performing a post-processing process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such as a bonding process or a packaging process. The substrate is supplied to the load port by the ceiling transfer device 500 and then supplied to the process equipment EQ, where various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are performed. When the process is completed in the processing equipment (EQ), the substrate is accommodated in the transfer magazine (M) or the conveyance material (T) and discharged from the processing equipment (EQ) to the load port again. The magazine (M) or the transfer material (T) in which a plurality of processing substrates are accommodated is accommodated in the transfer device 200 of the ceiling transfer device 500, and the process equipment (EQ) for the subsequent process along the transfer rail 100 is supplied to the load port of Hereinafter, the magazine M or the transported object T is referred to as a transported object T as a transfer object of the ceiling transport device 500 .

로드포트에 위치하는 반송물(T)은 상기 이송장치(200)에 고정되어 이송레일(100)을 따라 후속공정을 위한 후속 공정설비의 로드포트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레일(100)은 팹(10)에 구비된 각 로드포트의 상부를 경유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송장치(200)는 각 공정설비(EQ)에 배치된 로드포트와 반송물(T)을 교환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장치(200)는 소스 공정설비의 로드포트인 소스포트(SP)로부터 상기 반송물(T)을 파지하고 상승시켜 상기 이송장치(200)의 내부에 고정하고 타겟 공정설비의 로드포트인 타겟포트(TP)의 상부로 이송한 후 상기 반송물(T)을 하강하여 타겟포트(TP)에 상기 반송물(T)를 위치시킨다. The conveyed material (T) located in the load port is fixed to the transfer device 200 and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rail 100 to the load port of a subsequent process facility for a subsequent process. The transfer rail 100 is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top of each load port provided in the fab 10, so that the transfer device 200 can exchange the load port and transported material T disposed in each process equipment EQ. can That is, the transfer device 200 grips and lifts the conveyed material T from the source port SP, which is a load port of the source process equipment, and fixes it inside the transfer device 200, and is a load port of the target process equipment. After transferring to the top of the target port (TP), the transported product (T) is lowered to place the transported product (T) in the target port (TP).

이때, 상기 팹(10)의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된 다수의 공정설비(EQ)들 사이를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상기 이송레일(100)은 상기 이송장치(200)가 최적 이송거리를 따라 이동하도록 네트워크 형상으로 구성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effectively access between the plurality of process equipment (EQ) arranged in the limited space of the fab 10, the transfer rail 100 has a network shape so that the transfer device 200 moves along the optimal transfer distance. It consists of

예를 들면, 상기 이송레일(100)은 직선형상의 주행레일이 상기 반도체 팹(10)의 높이방향을 따라 겹치도록 설치되는 복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평행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평행구조 및 복층구조의 이송레일은 인접한 이송레일로 주행레일을 변경하기 위한 분기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ransfer rail 100 may be formed of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linear running rails are installed to overlap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miconductor fab 10, or a parallel structure dispos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ormed. The transfer rails of the parallel structure and the multi-layer structure may have branch rails for changing the running rails to adjacent transfer rails.

일실시예로서, 상기 이송장치(200)는 상기 이송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반도체 팹(10)의 바닥(11)에 설치된 다수의 공정설비(EQ) 사이의 기판 이송을 수행한다.As an embodiment, the transfer device 200 moves along the transfer rail 100 and transfers substrates between a plurality of process equipment (EQ) installed on the floor 11 of the semiconductor fab 10 .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장치(200)는 상기 이송레일(100)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레일(100)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이송레일(100)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기(210) 및 상기 주행기(2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반송물(T)를 파지하여 내부에 고정하는 반송비클(25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반송비클(250)은 상기 이송레일(100)에 대한 상기 주행기(210)의 이동에 의해 이송레일(10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transfer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transfer rail 100 and performs a rotational mo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rail 100 to drive along the transfer rail 100, and It includes a transport vehicle 250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avel machine 210 to hold the transport object T and fix it therein. Therefore, the transfer vehicle 250 moves along the transfer rail 100 by the movement of the travel machine 210 relative to the transfer rail 100 .

상기 주행기(210)는 상기 주행기(30)는 입체 형상을 갖는 주행 베이스(211), 상기 주행 베이스(211)의 양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레일(100)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주행 휠(212) 및 상기 주행 베이스(211)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주행 베이스(211)의 주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조향 휠(213)을 구비한다.The travel machine 21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avel base 211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the travel base 211 to rotate while in contact with the transfer rail 100. A wheel 212 and a steering wheel 213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base 211 and movable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base 211 are provided.

상기 주행 베이스(211)는 상기 주행 휠(212) 및 조향 휠(213)이 고정되는 베이스 몸체로 기능하고 하부에 상기 반송비클(250)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주행 베이스(211)는 상기 반송비클(250)과 상기 반송물(T)를 고정하고 상기 주행 휠(212) 및 조향 휠(213)의 동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와 강성을 갖도록 구성한다. The driving base 211 functions as a base body to which the driving wheel 212 and the steering wheel 213 are fixed, and the transport vehicle 250 is fixed to the lower part. Therefore, the driving base 211 is configured to have sufficient strength and rigidity to fix the transport vehicle 250 and the transport object T and withstand the dynamic loads of the driving wheel 212 and the steering wheel 213. do.

상기 주행 휠(212)은 상기 소스포트(ST)와 타겟포트(TP)를 최적하게 연결하는 이송레일(100)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반송물(T)을 이송한다. 이때, 최적 이송레일 정보에 따라 주행경로를 변경하기 위해 주행레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조향 휠(213)에 의해 분기레일로 진입한다. 조향 휠(213)은 분기레일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새로운 주행라인까지 이동하면서 상기 반송비클(250)을 이동시킨다. The driving wheel 212 rotates along the transfer rail 100 that optimally connects the source port ST and the target port TP to transport the conveyed object T. At this time, when departing from the travel rail to change the travel path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optimal transport rail, the steering wheel 213 enters the branch rail. The steering wheel 213 moves the transfer vehicle 250 while moving to a new travel line while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branch rail.

상기 반송비클(250)은 하우징(251), 이동부(252), 승강부(253) 및 파지부(254)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물(T)을 파지하여 소스포트(SP)로부터 하우징(251)의 내부로 수용하도록 상승하거나 하우징(251)의 내부에 수용된 반송물(T)을 타겟포트(TP)로 적재하도록 하강한다. The conveying vehicle 250 includes a housing 251, a moving part 252, a lifting part 253 and a gripping part 254, and grips the conveyed object T to move the housing 251 from the source port SP. It rises to accommodate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51 or descends to load the transported material T accommodated in the target port TP.

상기 하우징(251)은 상기 주행기(210)의 하부에 매달리도록 고정되며, 상기 반송물(T)의 상하이동을 위해 배면(R)의 일부가 개방되어 하부 개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반송물(T)의 수평이동을 위해 일 측면인 정면이 개방될 수 있다. The housing 251 is fixed so as to be suspend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travel machine 210, and a part of the rear surface R is opened to have a lower opening fo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nveyed object T. In addition, the front side, which is one side, can be opened for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onveyed object T.

상기 이동부(252)는 하우징(251)의 내부 상면에 구비되며, 하우징(251)의 개방된 정면을 통해 수평 이동하여 상기 반송물(T)을 수평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253)는 이동부(252)의 하부에 고정되어 벨트를 권취하거나 권출하여 반송물(T)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파지부(254)는 상기 벨트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반송물(T)을 파지한다. The moving unit 252 is provided on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51 and moves horizontally through the open front of the housing 251 to transfer the conveyed object T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ifting part 253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part 252 and may lift or lower the conveyed material T by winding or unwinding the belt. The gripping part 254 is fixed to an end of the belt to grip the conveyed material T.

상기 승강부(253)가 벨트를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파지부(251)에 파지된 반송물(T)이 승강하여 하우징(251)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하우징(25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As the lifting part 253 lifts the belt, the conveyed material T held by the gripping part 251 can be moved up an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51 or separated from the housing 251 .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253)는 상기 이송레일(100)에 대한 상기 반송물(T)의 정렬방향에 따라 적절하게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승강부(253)는 회전 구동부(253a)를 구비하여 이송레일(100)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이송레일(100)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253)로부터 연장하는 벨트는 이송레일(100)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이송레일(100)의 측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levation part 253 can rotate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T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rail 100 . For example, the elevating unit 253 includes a rotary driving unit 253a and may be disposed along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nsfer rail 100 or may be dispos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rail 100. Accordingly, the belts extending from the lifting part 253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conveying rail 100 or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the sides of the conveying rail 100 .

이때, 상기 반송물(T)은 단위공정(EQ)의 공정특성이나 후속공정과의 관련성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와 무게 및 형상을 갖게 된다. 반도체 패키지를 제작하는 반도체 후공정은 균일화된 형상과 무게를 갖는 반도체 전공정과 달리 패키지 제조를 위한 다양한 공정이 수행되므로 반송물(T)도 다양한 형상과 무게를 갖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veyed material T has various sizes, weights, and shapes due to the process characteristics of the unit process EQ or relevance to subsequent processes. In the post-semiconductor process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unlike the pre-semiconductor process having a uniform shape and weight, various processes for manufacturing the package are performed, so that the conveyed object T also has various shapes and weights.

이에 따라, 반도체 전공정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천정 반송장치를 후공정에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형상과 무게를 갖는 반송물(T)에 대응하는 이송장치(200)가 요구된다. Accordingly, when the ceiling transport device, which is mainly used in the semiconductor pre-process, is used in the post-process, a transport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conveyed object T having various shapes and weights is required.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군집 제어기(300)를 이용하여 상기 반송물(T)의 특성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상기 이송장치(200)를 단일한 군집장치로 구성하여 다양한 동일한 이송장치(200)를 이용하여 다양한 반송물(T)을 이송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plurality of transfer devices 200 as a single group device to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ed object T using the cluster controller 300, and uses various identical transfer devices 200 to A variety of conveyed goods (T) can be transported.

반도체 후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개별적인 종래 이송장치(200)의 구동조건을 벗어나는 반송물(T)이 발생하면 단일한 반송물(T)을 이송하기 위해 다수의 이송장치(200)를 결합하여 단일한 군집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면, 종래 이송장치(200)가 이송할 수 있는 사이즈나 무게보다 큰 사이즈나 무게를 갖는 반송물(T)은 종래의 이송장치(200)의 구동조건에서 벗어나므로 이송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설정된 사이즈보다 큰 반송물이나 더 무거운 반송물은 다수의 이송장치(200)를 결합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During the post-semiconductor process, when transported objects T that are out of the operating conditions of individual conventional transport devices 200 are generated, a plurality of transport devices 200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grouping device in order to transport a single transported object T. will constitute For example, a conveyed object T having a size or weight larger than the size or weight that can be transported by the conventional transport device 200 is out of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conventional transport device 200, making it difficult to transport. Accordingly, a transported object larger than the set size or heavier than the set size may be set to be transpor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transport devices 200 .

이하, 종래의 반송물(T)보다 사이즈나 무게 및 형상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서 다수의 이송장치(200)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반송물(T)을 군집 반송물(GT)이라 한다. 또한, 상기 군집 반송물(GT)을 이송하기 위해 다수의 이송장치(200)가 결합된 이송단위를 군집장치(GV)라 한다. Hereinafter, transported objects T tha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ize, weight, and shape from conventional transported objects T and are transported using a plurality of transfer devices 200 are referred to as group transported objects GT. In addition, a transport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port devices 200 are combined to transport the group cargo GT is referred to as a group device GV.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군집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군집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군집 제어기(300)는 팹(10)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개시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송장치(200)를 군집장치(GV)로 구성할 수 있다면 팹(10)의 내외부에 다양한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ustering controller for forming the clustering device shown in FIG. 1 .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cluster controller 300 discloses that it is provided inside the fab 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f the transfer device 200 can be configured as a cluster device (GV), the fab 10 )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arranged in various configurations inside and outside of.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군집 제어기(300)는 서로 인접한 상기 이송장치들(200)을 단일한 군집장치(GV)로 구성하여 상기 반송물(T)을 이송하는 군집이송을 수행하는 상기 이송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luster controller 300 configures the transport devices 200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as a single cluster device GV to perform cluster transport for transporting the cargo T ( 200) can be controlled.

일실시예로서, 상기 군집 제어기(300)는 이송신호 검출유닛(310), 이송모드 설정유닛(320) 및 군집이송 동작유닛(330)을 구비하여 상기 반송 구조물(GT)에 대한 이송인 군집이송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이송장치(200)를 단일한 군집장치(GV)로 구성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cluster controller 300 includes a transfer signal detection unit 310, a transfer mode setting unit 320, and a cluster transfer operation unit 330 to transfer the transfer to the transport structure GT. A plurality of transfer devices 20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grouping device (GV) to perform.

예를 들면, 상기 이송신호 검출유닛(310)은 군집 반송물(GT)에 대한 이송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이송신호 검출유닛(310)은 팹(10)의 바다구에 다양하게 배치된 반송물 로딩요소와 저장요소들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장치(200)의 통상적인 구동조건을 넘는 반송물이 천정 반송장치(500)의 동작범위에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For example, the transfer signal detecting unit 310 detects whether or not transfer of the clustered cargo GT is required. The transfer signal detection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transport loading elements and storage elements variously disposed in the sea port of the fab 10, so that the transport product exceeding the normal operating conditions of the transfer device 200 is a ceiling transport device ( 50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put into the operating range.

예를 들면, 상기 공정설비(EQ)의 로드포트인 소스포트(SP)로부터 상면에 배치된 반송물(T)이 군집 반송물인지를 여부를 해당 포트번호와 함께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소스포트(SP)는 타겟포트(TP)를 향하여 반송물을 이송하므로 소스포트(SP)에 위치하는 반송물의 사이즈, 무게 및 형상을 검출하여 통상적인 이송장치(200)로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군집 반송물(GT)로 설정하고 군집 반송물(GT)에 관한 특성정보와 검출된 포트 위치를 상기 이송모드 설정유닛(320)으로 전송한다. For example, it can be detected from the source port (SP), which is the load port of the process equipment (EQ), whether or not the conveyed object 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is a group conveyed object together with a corresponding port number. Since the source port (SP) transports the cargo toward the target port (TP), the size, weight, and shape of the transported object located in the source port (SP) are detected, and when it is impossible to move with the normal transfer device 200, the transported object is clustered. (GT) and transmits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bout the group cargo (GT) and the detected port location to the transfer mode setting unit 320.

마찬가지로, 상기 반송물(T)을 인출하거나 반입하는 사이드 트랙 버퍼(side track buffer, STB)의 버퍼포트(미도시)에서도 상기 반송물(T)의 군집 반송물(GT)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Similarly,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transported object T is a group transported object GT in a buffer port (not shown) of a side track buffer (STB) from which the transported object T is taken out or brought in.

예를 들면, 상기 소스포트(SP)나 버퍼포트에 상기 반송물(T)의 이송장치(200) 구동조건 충족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배치하여 상기 검사장치로부터 종래이 구동조건을 벗어나는 반송물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이송신호 검출유닛(310)으로 검사결과가 전송된다. 상기 이송신호 검출유닛(310)은 상기 검사결과와 당해 반송물에 대한 이송 필요성을 분석하여 군집이송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반송물(T)을 군집 반송물(GT)로 설정하고 군집반송 번호를 생성한다. For example, by arranging an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whether the transported object T satisfies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transport device 200 in the source port (SP) or the buffer port, the transported object outside the conventional driving conditions is detected from the inspection device. In this case, the inspec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transfer signal detection unit 310. The transfer signal detecting unit 310 analyzes the inspection result and the necessity of transporting the transported items, and sets the transported items T as the clustered transported items GT and generates a cluster transport number when cluster transport is required.

상기 이송신호 검출유닛(310)은 상기 군집반송 번호와 상기 군집 반송물(GT)의위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인 군집이송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송모드 설정유닛(320)으로 전송한다. The transport signal detecting unit 310 generates a cluster transport signal, which is a data signal including the cluster transport number and the location of the cluster transport object GT, and transmits it to the transport mode setting unit 320 .

본 실시예에서는 소스포트(SP)와 사이드 트랙 버퍼로부터 배치된 반송물(T)의 검사결과로부터 군집이송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개시하지만, 통상의 이송장치(200)로는 반송물 이송이 어렵다면 다양한 위치에서 군집이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this embodiment, it starts with generating a cluster transfer signal from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transport objects T disposed from the source port SP and the side track buffer. It is obvious that a platooning signal can be generated.

상기 이송모드 설정유닛(320)은 상기 군집반송 번호에 대응하는 군집 반송물(GT)에 관한 특성정보와 상기 군집 반송물(GT)의 주변에 위치하는 이송레일(100)에 관한 레일정보를 천정 반송장치(500)에 관한 데이터베이스(DB)로 수득하고 상기 군집 반송물(GT)을 이송하기에 적절한 군집이송의 이송모드를 설정한다. The transfer mode setting unit 320 transmits characteristic information about the cluster transport object GT corresponding to the cluster transport number and rail information about the transport rail 100 located around the cluster transport object GT to the ceiling transport device. 500 is obtained as a database (DB) and a transport mode of cluster transport suitable for transporting the cluster cargoes GT is set.

예를 들면, 상기 이송모드는 단일한 상기 이송레일(100)을 따라 다수의 이송장치(200)을 단일한 군집장치(GV)로 운행하는 종방향 이송모드(M1) 및 서로 평행한 다수의 이송레일(100)을 따라 배치된 다수이 이송장치(200)를 단일한 군집장치(GV)로 운행하는 횡방향 이송모드(M2)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ransfer mode includes a longitudinal transfer mode (M1)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fer devices 200 are operated as a single grouping device (GV) along a single transfer rail 100 and a plurality of transfers parallel to each other. A transverse transfer mode (M2) in which multiple transfer devices 200 disposed along the rail 100 are operated as a single grouping device (GV) may be included.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천정 반송장치를 종방향 이송모드로 수행하는 종방향 군집이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천정 반송장치를 횡방향 이송모드로 수행하는 횡방향 군집이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longitudinal cluster transfer performed by the ceiling transfer device shown in FIG. 1 in a longitudinal transfer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teral cluster transfer performed by the illustrated ceiling transfer device in the lateral transfer mode.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군집 반송물(GT)은 상기 이송장치(200)가 이송할 수 있는 길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갖고 상기 군집 반송물(M)의 주변에 평행레일은 배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송모드 설정유닛(320)은 상기 군집 반송물(GT)에 대해 종방향 군집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군집장치(GV)를 구성하는 이송장치(200)인 종렬장치(201)는 종방향 이송모드(M1)로 동작하여 상기 군집 반송물(GT)에 대한 군집이송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4A, the transfer mode when the collective transport object GT has a length greater than the transportable length of the transport device 200 and parallel rails are not disposed around the cluster transport object M. The setting unit 320 may perform longitudinal cluster transfer for the cluster cargoes GT. That is, the tandem unit 201, which is the transfer unit 200 constituting the cluster unit GV, operates in the longitudinal transfer mode M1 to perform the group transfer of the group transport objects GT.

상기 종방향 이송모드(M1)애서는 단일한 이송레일(100)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이송장치(200)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한 후 단일한 군집 반송물(GT)을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미 이송레일(100)에 설치되어 있는 각 이송장치(200)의 구동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단일한 군집 반송물(GT)은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이송장치를 제조하는 대신 상기 이송장치(200)를 다수 결합하여 상기 군집 반송물(GT)을 이송하는 단위 이송체인 군집장치(GV)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longitudinal transfer mode (M1), a plurality of transfer devices 200 arranged in a line along a single transfer rail 10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n a single aggregated transport object GT is grasped. Accordingly, a single group transport object (GT) that does not meet the operating conditions of each conveying device 200 already installed on the conveying rail 100 is replaced by a new conveying device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conveying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grouping device (GV), which is a unit conveyance body for transporting the group cargoes (GT), by combining a plurality of them.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군집 반송물(GT)을 이송하기 위한 군집장치(GV)는 서로 일렬로 배치된 2개의 이송장치(V1, V2)로 구성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군집 반송물(GT)의 특성과 상기 이송장치(200)의 특성에 따라 더 많은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군집장치(GV)를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is disclosed that the cluster device GV for transporting the cluster cargo GT is composed of two transport devices V1 and V2 arranged in a line with each other, but this is exemplary and the cluster transport object GT is configured. It is obvious that the grouping device (GV) can be configured by using more transfer devic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T and the transfer device 200 .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군집 반송물(GT)은 상기 이송장치(200)가 이송할 수 있는 폭보다 더 큰 폭을 갖고 상기 군집 반송물(M)이 서로 평행한 다수의 이송레일(100)에 걸쳐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이송모드 설정유닛(320)은 상기 군집 반송물(GT)에 대해 횡방향 군집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군집장치(GV)를 구성하는 이송장치(200)인 횡렬장치(202)는 횡방향 이송모드(M2)로 동작하여 상기 군집 반송물(GT)에 대한 군집이송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4B ,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GT have a width greater than the transportable width of the transport device 200, and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M are spread over a plurality of transport rails 100 that are parallel to each other. When arranged, the transfer mode setting unit 320 may perform lateral cluster transfer for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GT. That is, the row unit 202, which is the transfer unit 200 constituting the cluster unit GV, operates in the transverse transfer mode M2 to perform the group transfer of the group transport objects GT.

따라서, 상기 횡방향 이송모드(M2)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군집장치(GV)는 서로 인접하여 나란하게 연장하는 서로 다른 상기 이송레일(101, 102)을 따라 운행하는 이송장치인 횡렬장치(202)로 구성되어 동시에 다수의 이송레일(101,102)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군집 반송물(M1)을 이송하게 된다. Therefore, the grouping device GV for performing the transverse conveying mode M2 is a transverse device 202, which is a conveying device that runs along the different conveying rails 101 and 102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extend in parallel. It is composed of and simultaneously moves along a plurality of transfer rails 101 and 102 and transports the group cargo M1.

상기 횡방향 이송모드(M2)애서는 다수의 이송레일(101, 102)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이송레일(100)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다수의 이송장치(200)를 정렬한 후 단일한 군집 반송물(GT)을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단일한 군집 반송물(GT)은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이송장치를 제조하는 대신 상기 이송장치(200)를 다수 결합하여 상기 군집 반송물(GT)을 이송하는 단위 이송체인 군집장치(GV)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transverse conveying mode (M2), a plurality of conveying devices 200 are arranged on a plurality of conveying rails 101 and 102,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conveying devices 200 are align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rails 100, and then a single group transported object (GT). Accordingly, instead of manufacturing a new transpor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ingle group transport object GT, a group device GV, which is a unit transport chain,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transport devices 200 to transport the group transport object GT. can do.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군집 반송물(GT)을 이송하기 위한 군집장치(GV)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2개의 이송장치(V1, V2)로 구성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군집 반송물(GT)의 특성과 상기 이송장치(200)의 특성에 따라 더 많은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군집장치(GV)를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is disclosed that the grouping device GV for transporting the group cargoes GT is composed of two transporting devices V1 and V2 position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ut this is exemplary and the grouping device GV is illustrative. It is obvious that the grouping device (GV) can be configured by using more transfer devic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T and the transfer device 200 .

이에 따라, 상기 이송모드 설정유닛(320)은 상기 군집 반송물(GT)의 특성과 상기 레일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군집 반송물(GT)이 위치하는 장소에서 가장 적절한 군집 이송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ransport mode setting unit 320 may set the most appropriate cluster transport mode at the place where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GT is located by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GT with the rail information.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종방향 이송모드(M1)와 횡방향 이송모드(M2)를 결합하여 단일 이송장치(200)로는 이송하기 어려운 평판 형상의 군집 반송물(GT)을 이송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즉, 상기 종방향 이송모드(M1)와 상기 횡방향 이송모드(M2)를 동시에 수행하여 일정한 면적을 갖는 복합 이송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t is obvious that flat-shaped clustered cargoes (GT), which are difficult to transport with a single transport device 200, can be transported by combining the longitudinal transport mode (M1) and the transverse transport mode (M2). . That is, the longitudinal conveying mode M1 and the transverse conveying mode M2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to operate in a complex conveying mode having a constant area.

상기 군집이송 동작유닛(330)은 설정된 상기 군집 이송모드에 따라 상기 군집 반송물(GT)에 대한 이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군집장치(GV)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군집이송 동작유닛(330)은 상기 종방향 이송모드(M1)로 상기 군집장치(GV)를 동작하는 종방향 동작기(331), 상기 횡방향 이송모드(M2)로 상기 군집장치(GV)를 동작하는 횡방향 동작기(332) 및 상기 종방향 이송모드(M1)와 상기 횡방향 이송모드(M2)를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 동작기(333)를 구비할 수 있다.The cluster transfer operation unit 3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luster device GV to transfer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GT according to the set cluster transport mode. The cluster transfer operation unit 330 includes a longitudinal actuator 331 operating the cluster device GV in the longitudinal transfer mode M1, and a vertical actuator 331 operating the cluster device GV in the lateral transfer mode M2. A transverse actuator 332 for operating and a combined actuator 333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longitudinal transfer mode M1 and the transverse transfer mode M2 may be provided.

예를 들면, 상기 종방향 동작기(331)는 종렬장치 설정부(331a), 종렬구동 주파수 설정부(331b), 간격 설정부(331c) 및 종방향 구동부(331d)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ngitudinal actuator 331 may include a tandem device setting unit 331a, a tandem driving frequency setting unit 331b, an interval setting unit 331c, and a longitudinal driving unit 331d.

상기 종렬장치 설정부(331a)는 상기 군집 반송물(GT)의 하중분포와 형상을 검출하여 상기 종렬장치(201)들의 간격과 개수를 결정한다. 종방향 이송모드(M1)로 동작하는 군집장치(GV)에 의해 이송되는 군집 반송물(GT)은 이송레일(100)을 따라 연장하는 세장부재의 형상을 가지므로 하중은 이송레일(100)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변화의 폭이 크게 형성된다.The tandem device setting unit 331a determines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tandem devices 201 by detecting the load distribution and shape of the group transport objects GT. The cluster cargo GT transported by the cluster device GV operating in the longitudinal transport mode M1 has the shape of an elongated member extending along the transport rail 100, so the load is the same as that of the transport rail 100. A wide range of changes is formed along the direction.

따라서, 상기 군집 반송물(GT)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중분포를 수득하여 상기 하중분포에 따라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곳에 상기 종렬장치(201)들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하중 포인트별로 상기 종렬장치(201)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집중하중의 간격마다 종렬장치(201)를 배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군집 반송물(GT)에 대한 하중분포에 따라 상기 종렬장치(201)의 설치간격을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a load distribu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up transported objects GT and arrange the tandem devices 201 at a location where a concentrated load acts according to the load distribution. By arranging the alignment device 201 for each load point at which the concentrated load acts, the alignment device 201 is arranged at each interval of the concentrated loa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tandem devices 201 according to the load distribution for the group transported objects GT.

이에 따라, 상기 군집장치(GV)는 군집 반송물(GT)의 하중 포인트를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grouping device GV can stably transport the grouped goods GT by fixing the load point.

상기 종렬구동 주파수 설정부(331b)는 상기 종렬장치(201)를 단일한 동작신호로 동작하도록 고유한 동작 주파수를 설정한다. 상기 종렬장치(201)는 군집장치(GV)를 구성하지 않는 다른 이송장치에 대하여 단일한 이송단위로 기능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군집장치(GV)에만 적용될 수 있는 구동수단을 배치하여 종렬장치(201) 전체를 동시에 구동하도록 설정한다. The serial driving frequency setting unit 331b sets a unique operating frequency to operate the serial device 201 with a single operating signal. The tandem device 201 should function as a single transfer unit with respect to other transfer devices that do not constitute the cluster device (GV). Accordingly, a driving means that can be applied only to the grouping device GV is disposed so as to simultaneously drive the entire arraying device 201 .

예를 들면, 상기 종렬장치(201)에만 인가되는 고유한 동작 주파수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동작 주파수를 갖는 구동파워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종렬장치(201) 전체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군집장치(GV)를 단일한 이송장치처럼 운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종렬장치(201)는 설정된 동작 주파수에 의해 동시에 동작하게 된다. For example, by setting a unique operating frequency applied only to the sorting devices 201, when driving power having the operating frequency is applied, all of the sorting devices 201 are simultaneously driven to form the grouping device GV into a single unit. It can operate like a transport device. Accordingly, the serial devices 201 are simultaneously operated by the set operating frequency.

상기 간격 설정부(331c)는 상기 종렬구동 주파수로 상기 종렬장치(201)들을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하중분포 분석에 의해 검출된 하중 포인트 사이의 간격을 상기 종렬장치(201)격을 갖도록 설정한다. The spacing setting unit 331c drives the tandem devices 201 individually at the tandem driving frequency to set the spacing between the load points detected by the load distribution analysis to have the tandem device 201 rating.

예를 들면, 다수의 종렬장치(201) 중에서 기준이 되는 기준장치를 선정하여 기준위치로 설정한다. 이때, 기준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종렬장치(201)는 전원을 끄고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기준장치를 기준으로 설정대상 종렬장치만 전원을 온 시키고 나머지 종렬장치는 전원은 오프시킨 상태에서 설정대상 종렬장치가 상기 기준장치와 설정된 간격을 갖도록 이동시킨다. For example, a reference device serving as a standard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tandem devices 201 and set as a reference position. At this time, the rest of the array devices 201, except for the reference device, are turned off and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Next, with the power of only the serial device to be set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device and the power of the other serial devices being turned off, the serial device to be set is moved to have a set distance from the reference device.

따라서, 종렬장치(201)를 구성하는 각 이송장치(200)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선행장치와의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설치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 설정부(331c)는 상기 반송비클(250)에 구비된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전후 종렬장치(201) 사이의 거리를 상기 검출간격으로 설정한다.Therefore, the installation interval can be set by individually setting the interval with the preceding device for each transfer device 200 constituting the tandem device 201. At this time, the interval setting unit 331c set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rtical alignment devices 201 to the detection interval by using a distance sensor provided in the transport vehicle 250 .

상기 정방향 구동부(331d)는 상기 군집 반송물(GT)이 고정된 상기 군집장치(GV)를 상기 종렬구동 주파수로 구동한다. 상기 종렬장치(201)들이 검출간격으로 모두 설정이 되면 구동파워를 인가하여 군집장치(GV)를 이송한다. 상기 종렬장치(201)로부터 상기 승강부(253)가 동시에 군집 반송물(GT)로 하강하여 상기 군집 반송물(GT)을 다수 위치에서 파지한다. 이어서 상기 군집 반송물(GT)을 동시에 다수의 위치에서 상승한 후 상기 이송레일(100)을 따라 타겟포트(TP)로 이송한다.The forward drive unit 331d drives the cluster device GV to which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GT is fixed at the tandem driving frequency. When all of the array devices 201 are set at detection intervals,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ransport the group devices GV. From the tandem device 201, the lifting part 253 simultaneously descends to the group transported objects GT and holds the clustered transported objects GT in multiple positions. Subsequently, the group cargo GT is simultaneously raised from multiple positions and transferred to the target port TP along the transfer rail 100 .

이때, 상기 군집장치(GV)만 인식할 수 있는 종렬구동 주파수로 구동파워를 인가하여 당시 종렬장치(201)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군집장치(GV)를 단일한 이송단위처럼 구동할 수 있다. At this time, by applying driving power at a tandem driving frequency that only the grouping device GV can recognize, the grouping device GV can be driven as a single transfer unit by simultaneously driving the columnar devices 201 at the time.

예를 들면, 상기 횡방향 동작기(332)는 횡렬장치 설정부(332a), 횡렬구동 주파수 설정부(332b), 장치 정렬부(332c) 및 횡방향 구동부(331d)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orizontal actuator 332 may include a rowing device setting unit 332a, a rowing driving frequency setting unit 332b, a device alignment unit 332c, and a horizontal driving unit 331d.

상기 횡렬장치 설정부(332a)는 상기 군집 반송물(GT)의 하중분포 및 형상을 검출하여 상기 횡렬장치(202)들의 개수를 결정한다. 횡방향 이송모드(M2)로 동작하는 군집장치(GV)에 의해 이송되는 군집 반송물(GT)은 이송레일(100)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서로 인접한 다수이 이송레일(100)에 걸치도록 배치된다. The rowing device setting unit 332a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rowing devices 202 by detecting the load distribution and shape of the group transported objects GT. The cluster conveyed goods (GT) transported by the cluster device (GV) operating in the transverse transport mode (M2) extend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rail 100 and are arranged so as to span multiple transport rails 100 adjacent to each other. do.

따라서, 서로 다른 이송레일(100)에 인접하게 배치된 횡렬장치(202)는 상기 군집 반송물(GT)의 중심선을 따라 정렬하도록 조절된다. 즉, 상기 횡렬장치 설정부(332a)는 상기 군집 반송물(GT)을 따라 서로 다른 이송레일에 위치하는 다수의 이송장치(200)들을 상기 군집 반송물(GT)의 중심선을 따라 정렬하도록 개별 횡렬장치(202)를 제어한다. Accordingly, the rowing devices 202 disposed adjacent to the different transfer rails 100 are adjusted to align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group transported objects GT. That is, the rowing device setting unit 332a sets individual rowing devices (to align the plurality of transporting devices 200 located on different transporting rails along the cluster transported object GT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clustered transported object GT). 202) to control.

상기 횡렬구동 주파수 설정부(332b)는 상기 횡렬장치(202)를 단일한 동작신호로 동작하도록 고유한 동작 주파수를 설정한다. 상기 횡렬장치(202)는 군집장치(GV)를 구성하지 않는 다른 이송장치에 대하여 단일한 이송단위로 기능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군집장치(GV)에만 적용될 수 있는 구동수단을 배치하여 횡렬장치(201) 전체를 동시에 구동하도록 설정한다. The row driving frequency setting unit 332b sets a unique operating frequency to operate the row row device 202 with a single operating signal. The rowing device 202 should function as a single conveying unit with respect to other conveying devices that do not constitute the cluster device GV. Accordingly, a driving means applicable only to the grouping device GV is disposed so as to drive the entire rowing device 201 at the same time.

예를 들면, 상기 횡렬장치(202)에만 인가되는 고유한 동작 주파수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동작 주파수를 갖는 구동파워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횡렬장치(202) 전체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군집장치(GV)를 단일한 이송장치처럼 운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횡렬장치(202)는 설정된 동작 주파수에 의해 동시에 동작하게 된다.For example, by setting a unique operating frequency applied only to the rowing devices 202, when driving power having the operating frequency is applied, all of the rowing devices 202 are simultaneously driven to form the grouping device GV into a single unit. It can operate like a transport device. Accordingly, the rowing devices 202 are simultaneously operated according to the set operating frequency.

상기 장치 정렬부(332c)는 상기 횡렬구동 주파수로 상기 횡렬장치(202)들을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군집 반송물(GT)의 중심선을 따라 정렬한다. The device arranging unit 332c drives the row devices 202 individually at the row driving frequency to align them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group transport objects GT.

예를 들면, 다수의 횡렬장치(202)중에서 기준이 되는 기준장치를 선정하여 먼저 군집 반송물(GT)의 중심선에 정렬하도록 구동한다. 이때, 기준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횡렬장치(202)는 전원을 끄고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기준장치를 기준으로 설정대상 종렬장치들을 차례대로 정렬한다. 이때, 설정대상 횡렬장치만 전원을 온 시키고 나머지 횡렬장치의 전원은 오프시킨 상태에서 설정대상 횡렬장치가 상기 기준장치와 정렬하도록 이동시킨다. 상기 종렬장치(201)와 마찬가지로 상기 장치 정렬부(332c)는 상기 반송비클(250)에 구비된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된 좌우 횡렬장치(202)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다.For example, among a plurality of rowing devices 202, a reference device serving as a standard is selected and driven to align with the center line of the group transport object GT. At this time, the rest of the rowing devices 202 except for the reference device may be turned off and set to maintain a stopped state. Next, the array devices to be set are sequentially aligned based on the reference device. At this time, the power of only the rowing device to be set is turned on and the power of the other rowing devices is turned off, and the rowing device to be set is moved to align with the reference device. Similar to the tandem device 201, the device aligning unit 332c may align the left and right tandem device 202 based on the position detected using the distance sensor provided in the transport vehicle 250.

상기 횡방향 구동부(332d)는 상기 군집장치(GV)를 상기 횡렬구동 주파수로 구동한다. 상기 횡렬장치(202)들이 군집 반송물(GT)의 중심선에 모두 정렬되면 구동파워를 인가하여 군집장치(GV)를 구동한다. 상기 횡렬장치(202)로부터 상기 승강부(253)이 동시에 군집 반송물(GT)로 하강하여 상기 군집 반송물(GT)을 다수 위치에서 파지한다. 이어서 상기 군집 반송물(GT)을 동시에 다수의 위치에서 상승한 후 상기 다수의 이송레일(101, 102)을 따라 타겟포트(TP)로 이송한다. The transverse driver 332d drives the cluster device GV at the transverse drive frequency. When all of the rowing devices 202 are aligned on the center line of the cluster transport object GT, driving power is applied to drive the cluster device GV. From the rowing device 202, the elevating parts 253 simultaneously descend to the group transported objects GT and hold the clustered transported objects GT in multiple positions. Subsequently, the group transported goods (GT) are simultaneously elevated in multiple locations and transported to the target port (TP) along the multiple transfer rails (101, 102).

이때, 상기 군집장치(GV)만 인식할 수 있는 횡렬구동 주파수로 구동파워를 인가하여 당기 횡렬장치(202)를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상기 군집장치(GV)를 단일한 이송단위처럼 구동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rouping device GV can be driven as a single transfer unit by simultaneously driving the rowing device 202 by applying driving power at a row driving frequency that only the grouping device GV can recognize.

특히, 상기 횡방향 동작기(332)는 상기 이송장치(200)에 구비되어 상기 군집 반송물(GT)을 향하여 파지부(254)를 하강하는 승강부(253)의 위치를 상기 군집 반송물(GT)의 정렬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하는 회전 구동부(253a)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332e)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transverse actuator 332 moves the position of the lifting part 253 provided in the transfer device 200 to lower the gripping part 254 toward the group transport object GT. A rotation control unit 332e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driving unit 253a that rotates to coincide with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rotation control unit 332e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이송장치(200)는 이송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반송물(T)을 이송하는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파지부(254)는 이송레일(100)의 양 측부에 배치되어 반송물(T)을 파지한다. 그러나, 상기 횡방향 이송모드(M2)에서는 상기 군집 반송물(GT)이 이송레일(100)과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하므로 상기 군집 반송물(GT)을 파지하기 위해서 파지부(254)는 이송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Since the conveying device 200 generally transports the conveyed object T while moving along the conveying rail 100, the gripping parts 254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ing rail 100 to carry the conveyed object T. to grip However, in the transverse transport mode (M2), since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GT are alig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rail 100, the gripping unit 254 is required to hold the transport rail 100 in order to grip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GT. ) should be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회전 제어부(332e)는 상기 군집 반송물(GT)의 특성정보와 이송레일 정보에 의해 상기 군집 반송물(GT)과 이송레일 사이의 교차각을 상기 회전 제어부(332e)로 전송하여 상기 파지부(254)가 고정된 승강부(253)를 회전시킨다. The rotation controller 332e transmits the intersection angle between the group transport object GT and the transfer rail based on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group transport object GT and the transport rail information to the rotation controller 332e, and the gripping unit 254 ) rotates the fixed elevation part 253.

상기 회전 제어부(332e)의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 구동부(253a)가 구동하여 승강부(253)는 군집 반송물(GT)을 파지할 수 있도록 회전하게 된다. The rotation drive unit 253a is driven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rotation control unit 332e, so that the lift unit 253 rotates to hold the group transported objects GT.

상기 군집이송 동작유닛(330)은 상기 종방향 동작기(310) 및 상기 횡방향 동작기(320)를 단일한 동작신호로 동작시켜 상기 종방향 이송모드(M1)와 상기 횡방향 이송모드(M2)를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 동작기(3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cluster transfer operation unit 330 operates the longitudinal actuator 310 and the transverse actuator 320 with a single motion signal to generate the longitudinal transfer mode (M1) and the transverse transfer mode (M2). ) may be further provided.

예를 들면, 상기 복합 동작기(333)는 복합구동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는 복합구동 주파수 설정기와 복합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군집장치(GV)는 다수의 종렬장치(201)와 다수의 횡렬장치(202)가 동시에 구동하여 일정한 면적을 갖는 군집 반송물을 이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mpound actuator 333 may include a compound drive frequency setter capable of setting a compound drive frequency and a compound drive unit. Accordingly, in the grouping device GV, a plurality of vertical devices 201 and a plurality of rowing devices 202 are driven simultaneously to transport clustered cargoes having a certain are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정 반송장치에 의하면, 이송장치의 구동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반송물을 다수의 이송장치가 결합된 군집장치에 의해 이송할 수 있다. 반송물의 특성정보와 레일정보에 의해 종방향 이송모드와 횡방향 이송모드 중에서 최적 이송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이송모드에 적합하도록 이송레일을 따른 종방향 또는 이송레일과 수직한 횡방향을 따라 다수의 이송장치를 배치하여 군집장치를 형성한다. 군집장치를 단일한 이송단위로 구동하도록 구동수단을 배치함으로써 군집 반송물에 대응하는 별도의 이송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종래 이송장치의 결합에 의해 이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정 반송장치를 구성하는 반송비클과 반송물사이의 상관성을 완화하고 다양한 사이즈와 무게의 반송물을 종래의 이송장치를 이용해 이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eiling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yed objects that do not meet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conveying device can be transported by a cluster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ying devices are combined. Select the optimal transport mode from the vertical transport mode and the lateral transport mode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nveyed object and the rail information, and multiple transpor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transport rail o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rail to suit the transport mode Arrange devices to form cluster devices. By arranging the driving means to drive the grouping devices as a single transporting unit, it is possible to transport the cluster transported objects by combining conventional transporting devices without having to provide a separate transporting device. According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veying vehicle constituting the ceiling conveying device and the conveyed object can be alleviated and conveyed articles of various sizes and weights can be transferred using the conventional conveying devi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0: 이송레일 200: 이송장치 210: 주행기
220: 반송비클 300: 군집 제어기 310: 이송신호 검출유닛
320: 이송모드 설정유닛 330: 군집이송 동작유닛 500: 천정 반송장치
100: transfer rail 200: transfer device 210: travel machine
220: transport vehicle 300: cluster controller 310: transport signal detection unit
320: transfer mode setting unit 330: cluster transfer operation unit 500: ceiling transfer device

Claims (10)

반송물을 처리하는 처리설비가 다수 배치되는 바닥 및 상기 바닥과 대향하는 천정에 설치되어 라인형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상기 처리설비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반송물을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장치; 및
서로 인접한 상기 이송장치들을 단일한 군집장치로 구성하여 상기 반송물을 이송하는 군집이송을 수행하는 군집 제어기를 포함하는 천정 반송장치.
at least one transfer rail installed on a floor where a plurality of processing facilities for handling conveyed goods are disposed and on a ceiling facing the floor and extending in a line shape;
at least one conveying device moving between the processing facilities along the conveying rail and conveying the conveyed product; and
A ceiling transport device including a cluster controller configured to configure the transport devices adjacent to each other as a single cluster device and perform cluster transport to transport the transported objec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 제어기는,
상기 군집이송이 필요한 반송물인 군집 반송물에 대한 이송신호를 검출하는 이송신호 검출유닛;
상기 군집 반송물에 대한 특성정보와 상기 군집 반송물 주변에 분포하는 상기 이송레일의 레일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군집 반송물에 대한 이송모드를 설정하는 이송모드 설정유닛;
설정된 상기 이송모드에 따라 상기 군집 반송물에 대한 이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군집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군집이송 동작유닛을 포함하는 천정 반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uster controller,
a transfer signal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transfer signal for the cluster transported items, which are the transported items requiring cluster transfer;
a transport mode setting unit that sets a transport mode for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by combin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with rail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rails distributed around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A ceiling transfer device including a cluster transfer operation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lustering device to transfer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according to the set transfer m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 반송물에 대한 상기 특성정보는 상기 군집 반송물의 사이즈, 무게 및 형상을 포함하는 천정 반송장치.The ceiling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bout the group transport objects includes the size, weight, and shape of the cluster transport objec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드는,
동일한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운행하는 상기 이송장치들인 종렬장치로 상기 군집장치를 구성하고 단일한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수행하는 종방향 이송모드; 및
서로 인접하여 나란하게 연장하는 서로 다른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운행하는 상기 이송장치들인 횡렬장치로 상기 군집장치를 구성하고 동시에 다수의 이송레일을 따라 수행하는 횡방향 이송모드를 포함하는 천정 반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ransfer mode,
a longitudinal transfer mode in which the grouping device is constituted by a tandem device, which is the transfer device that runs along the same transfer rail, and performed along the single transfer rail; and
A ceiling transfer device comprising a transverse transfer mode in which the grouping device is constituted by a row unit, which is the transfer unit that runs along the different transfer rails extending in parallel and adjacent to each other, and performed along a plurality of transfer rails at the same ti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이송 동작유닛은 상기 군집장치를 각각 상기 종방향 이송모드 및 횡방향 이송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종방향 동작기 및 횡방향 동작기를 포함하는 천정 반송장치. 5. The ceiling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luster transfer operation unit includes a longitudinal actuator and a transverse actuator that control the cluster devices to operate in the longitudinal transfer mode and the transverse transfer mode, respective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동작기는,
상기 군집 반송물의 하중분포와 형상을 검출하여 상기 종렬장치들의 간격과 개수를 결정하는 종렬장치 설정부;
상기 종렬장치를 단일한 동작신호로 동작하도록 고유한 동작 주파수를 설정하는 종렬구동 주파수 설정부;
상기 종렬구동 주파수로 상기 종렬장치들을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검출된 간격을 갖도록 설정하는 간격 설정부; 및
상기 군집 반송물이 고정된 상기 군집장치를 상기 종렬구동 주파수로 구동하는 종방향 구동부를 포함하는 천정 반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ngitudinal actuator,
a tandem device setting unit that determines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tandem devices by detecting the load distribution and shape of the transported objects in the cluster;
a serial drive frequency setting unit for setting a unique operating frequency to operate the serial device with a single operating signal;
an interval setting unit configured to individually drive the array devices at the column drive frequency to have the detected interval; and
and a vertical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grouping device to which the grouped transport objects are fixed at the vertical driving frequenc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레일은 인접한 반송레일 사이의 이격거리를 검출할수 있는 거리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 설정부는 상기 거리센서를 통해 검출된 거리를 수득하여 기준 이송장치에 대한 설정대상 이송장치의 거리를 상기 검출간격에 대응하도록 위치를 조정하는 천정 반송장치. [Claim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veying rail is provided with a distanc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djacent conveying rails, and the distance setting unit obtains the distance detected through the distance sensor to set target conveying device for the reference conveying device. Ceiling transport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so that the distance of corresponds to the detection interv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동작기는,
상기 군집 반송물의 하중분포와 형상을 검출하여 상기 횡렬장치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횡렬장치 설정부;
상기 횡렬장치를 단일한 동작신호로 동작하도록 고유한 동작 주파수를 설정하는 횡렬구동 주파수 설정부;
상기 횡렬구동 주파수로 상기 횡렬장치들을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군집 반송물의 중심선을 따라 정렬하는 장치 정렬부; 및
상기 군집 반송물이 고정된 상기 군집장치를 상기 횡렬구동 주파수로 구동하는 횡방향 구동부를 포함하는 천정 반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ransverse actuator,
a rowing device sett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the rowing devices by detecting the load distribution and shape of the transported objects in the cluster;
a row drive frequency setting unit for setting a unique operating frequency to operate the row device with a single operating signal;
a device aligning unit that individually drives the row-by-row devices at the row-by-row drive frequency and aligns them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group transported objects; and
and a transvers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clustering device, to which the clustered transport objects are fixed, at the transverse driving frequenc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동작기는 상기 이송장치에 구비되어 반송물을 향하여 파지부를 하강하는 승강부의 위치를 상기 군집 반송물의 정렬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하는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천정 반송장치. [Claim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ransverse actuator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conveying device and controlling a rotation driving unit that rotates a position of an elevation unit that lowers the gripping unit toward the conveyed object to coincide with an alignment direction of the group conveyed object. ceiling transfer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이송 동작유닛은 상기 종방향 동작기 및 상기 횡방향 동작기를 단일한 동작신호로 동작시켜 상기 종방향 이송모드와 상기 횡방향 이송모드를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 동작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군집장치를 복합 이송모드로 운행하는 천정 반송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 wherein the cluster transfer opera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multi-actor operating the longitudinal actuator and the transverse actuator with a single motion signal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longitudinal transfer mode and the transverse transfer mode. A ceiling conveying device that operates the grouping device in a multi-transport mode.
KR1020210193741A 2021-12-31 2021-12-31 Overhead Transport selectively conducting a group transport KR202301031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41A KR20230103118A (en) 2021-12-31 2021-12-31 Overhead Transport selectively conducting a group trans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41A KR20230103118A (en) 2021-12-31 2021-12-31 Overhead Transport selectively conducting a group trans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118A true KR20230103118A (en) 2023-07-07

Family

ID=8715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741A KR20230103118A (en) 2021-12-31 2021-12-31 Overhead Transport selectively conducting a group trans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11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4890B2 (en) Pickface builder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US9371183B2 (en) Multilevel vertical conveyor platform guides
US93279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rting piece goods assortments
US9809388B2 (en) Cross belt slat sorter
CA2676519C (en) Three-dimensional automated pick module
US7780392B2 (en) Horizontal array stocker
JP6916237B2 (en) Sorting conveyor with article removal device
JPWO2007029401A1 (en) Work loading / unloading system and transfer device
US20230202770A1 (en) Case reorientation system and method
WO2018225435A1 (en) Floor-to-floor transport system and floor-to-floor transport method
US11492161B2 (en) Bag supply system
US6854588B1 (en) Tray conveyor/loading system
KR20230103118A (en) Overhead Transport selectively conducting a group transport
CN109300830B (en)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material conveying method
JP2000255760A (en) Carrying-in/out device for elevator, and pallet
KR102656725B1 (en) Interlayer transfer apparatus and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10373539A1 (en) Method for handling a workpiece, and system
KR20230042869A (en) Interlayer transfer apparatus and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7794834A (en) Automated warehouse systems, assemblies, devic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hybrid pallets and facilitating order picking
CN116374909A (en) Elevator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stocker including the same
CN116648410A (en) Article pick and place system
KR19990040609A (en) Carrier loading / unloading device
JPH03245928A (en) Article fee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