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016A - Hover Craft with Dron - Google Patents

Hover Craft with Dr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016A
KR20230103016A KR1020210193560A KR20210193560A KR20230103016A KR 20230103016 A KR20230103016 A KR 20230103016A KR 1020210193560 A KR1020210193560 A KR 1020210193560A KR 20210193560 A KR20210193560 A KR 20210193560A KR 20230103016 A KR20230103016 A KR 20230103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hull
skirt
air
hover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5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국원
서현곤
이지연
소신창
김우연
백록담
방민혁
제현승
한늘찬
Original Assignee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9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016A/en
Publication of KR2023010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0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1/00Air-cushion
    • B60V1/14Propulsion; Contro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1/00Air-cushion
    • B60V1/04Air-cushion wherein the cushion is contained at least in part by walls
    • B60V1/043Air-cushion wherein the cushion is contained at least in part by walls the walls being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1/00Air-cushion
    • B60V1/10Air-cushion in which the curtain-forming nozzle or the vehicle base is shaped to create a vortex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3/00Land vehicles, waterborne vessels, or aircraft, adapted or modified to travel on air cushions
    • B60V3/06Waterborn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비행 가능한 프로펠러를 가지는 드론; 상기 선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스커트; 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에 구비된 프로펠러의 작동으로 상기 스커트 안으로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면, 수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선체가 부양하여 이동할 수 있는 호버 크래프트가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hull and has a drone capable of flying; a skir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hull and inflated by air injection; Including, when external air is injected into the skirt and expanded by the operation of a propeller provided in the drone, a hovercraft capable of moving by floating the hull from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드론이 구비된 호버 크래프트{Hover Craft with Dron}Hover Craft with Dron

본 발명은 드론의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부양을 위한 스커트안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드론이 구비된 호버 크래프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vercraft equipped with a drone capable of injecting air into a skirt for buoyancy by wind generated by rotation of a propeller of the drone.

호버 크래프트는 선체의 하면(下面)으로부터 압축한 공기를 수면에 강하게 내뿜어서 쿠션을 만들어 그것으로 무게를 받치고 수면과 거의 같은 높이로 항주하는 수송수단으로서, 수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부양하기 위한 부양용 프로펠러와, 부양후 이동하기 위한 추진 프로펠러가 별도로 각각 마련된 구조이다. Hovercraft i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strongly blows compressed air from the bottom of the hull to the water surface to make a cushion to support the weight and sail at almost the same height as the water surface. , it is a structure in which propulsion propellers for moving after lifting are provided separately.

따라서, 부양용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과 추진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설치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Therefore, a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propeller for buoyancy and a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propulsion propeller are required, and according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nstallation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본 발명은 호버 크래프트에 드론을 착탈 가능하게 탑재하고, 드론의 프로펠러로부터 형성되는 바람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선체의 하부에 마련된 스커트에 공급하여 팽창시키고 주입된 공기가 스커트의 하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수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부상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드론이 구비된 호버 크래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drone is detachably mounted on a hovercraft,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skir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hull by wind generated from the drone's propeller, and the injected air passe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skirt to the outside. It is to provide a hovercraft equipped with a drone that can move in a floating state from the surface or the ground by being ejected.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선체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비행 가능한 프로펠러를 가지는 드론; 상기 선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스커트; 를 포함하고,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ne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a hull and has a propeller capable of flying; a skir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hull and inflated by air injection; including,

상기 드론에 구비된 프로펠러의 작동으로 상기 스커트 안으로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면, 수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선체가 부양하여 이동할 수 있는 호버 크래프트가 제공될 수 있다. When external air is injected into the skirt and expanded by operation of a propeller provided in the drone, a hovercraft capable of floating and moving the hull from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호버 크래프트에 드론이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드론에 마련된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으로 선체의 하부에 형성된 스커트로 공기를 주입하여 스커트를 팽창시키면서 에어 쿠션을 형성함으로써 수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부양시킨 상태에서 추진 프로펠러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선체의 부양을 위해 별도의 공기 주입 수단이 필요없고, 더욱이 필요에 따라 드론을 비행시켜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ne is detachably mounted on a hovercraft, air is injected into a skirt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hull with wind generated by rotation of a propeller provided on the drone, and an air cushion is formed while inflating the skirt. Or, it is possible to move by a propulsion propeller in a state of floating from the ground, so that a separate air injection means is not required for the lifting of the hull, and moreover, the drone can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by flying it as needed.

또한, 드론은 배터리에 의해 동력을 얻도록 하고, 배터리의 사용으로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호버 크래프트의 안착부에 착륙하여 호버 크래프트에 마련된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서 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is powered by a battery, and when charging is required due to the use of the battery, it can be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hovercraft after landing on the landing part of the hovercraf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이 구비된 호버 크래프트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hovercraft equipped with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left side of FIG. 1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이 구비된 호버 크래프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overcraft equipped with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호버 크래프트(100)는 선상에 착탈 가능한 드론(200)이 탑재된 구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hovercraf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detachable drone 200 is mounted on a ship.

호버 크래프트는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별도의 선체 부양용 팬이 마련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별도의 팬을 마련하지 않고 비행 가능한 드론을 탑재하여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Hovercraft require a separate hull floating fan for injecting air,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serve as a fan for injecting air by mounting a flying drone without providing such a separate fan.

본 발명에 따른 호버 크래프트(100)는 추진을 위해 선체(110)의 후미에 마련되는 추진 프로펠러(120)를 포함하고, 선체(110)에 소정 깊이의 홈 구조로 형성된 안착부(111)안에는 드론(200)이 탑재될 수 있다. The hovercraf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pulsion propeller 12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ull 110 for propulsion, and the drone ( 200) can be mounted.

따라서, 드론(200)은 안착부(111)안에 탑재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선체(110)의 상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drone 200 is moun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and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the upper space of the hull 110 can be utilized.

드론(200)은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지는 비행체일 수 있고, 복수의 프로펠러(220)가 마련되며, 각각의 프로펠러(220)에는 프로펠러(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모터는 배터리(21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drone 200 may be an air vehicle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a plurality of propellers 220 are provided, and each propeller 220 is provided with a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propeller 220. and each motor may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210 .

또한, 선체(110)의 하부에는 스커트(130)가 구비될 수 있다. 스커트130)에는 공기가 주입하기 위한 복수의 주입부(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부(111)안에 탑재된 드론(200)의 프로펠러(220)의 회전에 의한 바람에 의해 에어(A)가 선체(110)의 내부에 마련된 스커트(130)안으로 주입되어서 팽창되고, 추진 프로펠러(120)의 작동으로 추진력을 얻어서 수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떠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버 크래프트(100)는 기본적으로 수면 또는 지면과의 마찰 저항이 없기 때문에 보다 빠른 속도로 수면 또는 지면위를 날아가는 형태로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kirt 130 may be provided under the hull 110 . A plurality of injection parts 131 for injecting air may be formed in the skirt 130, and air (A) is blown by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220 of the drone 200 mounted in the seating part 111. is injected into the skirt 130 provided inside the hull 110 and is inflated, and by operating the propeller 120, it can move by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by obtaining a driving force. Therefore, since the hovercraf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has no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it can move in the form of flying over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at a higher speed.

도 3을 참조하면, 안착부(111)의 하부에는 스커트(130)의 주입부(131)와 연통되는 주입 통로부(112)가 형성될 수 있고, 안착부(111)의 상부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다공판 구조의 덮개부(113)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113)를 안착부(111)의 상부에 덮더라도 외부의 공기가 안착부(111)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n injection passage part 112 communicating with the injection part 131 of the skirt 130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ating part 111, and a plurality of tubes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part 111. The cover part 113 having a porous plate structure in which pores are formed may be detachably provided. Therefore, even if the cover part 113 is cover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part 111 , outside air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seating part 111 .

또한, 안착부(111)의 상부에는 덮개부(113)가 착탈 가능하게 덮혀져 있으므로, 그 안쪽에 탑재된 드론(200)은 덮개부(113)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호버 크래프트(100)의 이동시 공기 주입을 위해 드론(200)을 작동하는 도중에 덮개부(113)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상태이므로, 아무런 간섭없이 안전하게 공기 주입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ver part 113 is detachably cover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part 111, the drone 200 mounted therein can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 by the cover part 113, and the hovercraft ( 100) is blocked from the outside by the lid 113 while the drone 200 is operating for air injection, so the air injection process can be safely performed without any interference.

이러한 호버 크래프트(100)는 육상에서도 스커트(130)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된 상태에서 지면으로부터 부상하여 추진 프로펠러(120)의 작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륙양용 이동 수단이 될 수 있다. Such a hovercraft 100 can be an amphibious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can be moved on land by operating the propeller 120 by floating from the ground in a state where air is injected into the skirt 130 and inflated.

또한, 호버 크래프트(100)는 선박과 같이 추진 프로펠러가 선박의 하부에 마련되어 물속에 잠기는 구조가 없으므로, 일반 선박이 운행할 수 없는 지형과 수초나 해초가 있는 늪이나 해안, 눈과 진흙, 모래 같은 곳에서도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overcraft 100 does not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ropeller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hip and submerged in water, like a ship, the hovercraft 100 is not suitable for terrain that general ships cannot operate, such as swamps or shores with aquatic or seaweed, snow, mud, and s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rive anywhere.

호버 크래프트(100)가 수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부양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은, 마치 종이의 윗면에 대하여 바람을 일으키면, 종이는 부양하게 되는데, 종이 윗면의 공기 흐름이 아랫면보다 빨라지면서 아랫면에 작용하는 압력이 윗면보다 상대적으로 커짐에 따라 떠받치는 힘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기 흐름과 압력과의 상관관계는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해 공기 흐름이 빨라지면 압력이 떨어지고, 공기 흐름이 늦어지면 압력이 증가하는 원리가 설명될 수 있다. The fact that the hovercraft 100 can move in a floating state from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is that when wind is blown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the paper floats. This is because the supporting force is generated as i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upper surface. The correlation between air flow and pressure can be explained by Bernoulli's theorem, which explains the principle that when the air flow increases, the pressure decreases and when the air flow slows, the pressure increases.

본 발명에 따른 호버 크래프트(100)는 수면 또는 지면에서 이동시, 선체(110)의 안착부(111)안에 탑재되어 있는 드론(200)을 가동시켜서 드론(200)의 프로펠러(210)의 회전에 의한 바람을 선체(110)의 하부에 배치된 스커트(130)안으로 주입하여 스커트(130)를 팽창시킬 수 있다. When the hovercraf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or on the ground, the drone 200 mount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hull 110 is operated, and the propeller 210 of the drone 200 rotates. The skirt 130 may be inflated by injecting wind into the skirt 130 disposed below the hull 110 .

여기서, 선체(110)에 형성된 안착부(111)안에서 드론(200)에 탑재된 상태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스커트(130)에 공급할 때, 외부의 공기가 안착부(111)의 상부에 덮혀진 덮개부(113)의 통기공(113a)을 통과하여 안착부(111)의 내부로 가이드되어 유입되고, 안착부(111)안에 유입된 공기는 자연스럽게 하부에 형성된 주입 통로부(112)를 거쳐서 스커트(130)의 상부에 형성된 주입부(131)를 통과하여 스커트(130)의 내부로 유도되어 공급될 수 있다. Here, when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skirt 130 by introducing external air in a state mounted on the drone 200 in the seating portion 111 formed on the hull 110, the external air is cove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111. Guided and introduced into the seating portion 111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13a of the genuine cover portion 113,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ating portion 111 naturally passes through the injection passage portion 112 formed at the bottom It can be guided an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kirt 130 through the injection part 13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kirt 130 .

따라서, 드론(200)의 작동시, 외부의 공기는 덮개부(113), 안착부(111), 주입 통로부(112), 주입부(131)를 통과하여 집중적으로 스커트(130)안에 유도되어 공급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drone 200 operates, the outside air passes through the cover part 113, the seating part 111, the injection passage part 112, and the injection part 131 and is intensively guided into the skirt 130. can be supplied.

한편, 드론(200)을 통해 스커트(130)에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드론(200)은 안착부(111)안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Meanwhile,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skirt 130 through the drone 200, the drone 200 needs to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within the seating portion 111.

본 발명은 드론(200)을 통한 공기 주입시, 드론(200)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록킹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록킹 수단은 예를 들어 안착부(11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걸고리, 걸고리를 통해 드론(200)에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록킹 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ir is injected through the drone 200, a lock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drone 200 in a fixed state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locking means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hook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ating part 111 and a wire connected to the drone 200 through the hook.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locking means may be provided.

따라서, 드론(200)의 작동으로 스커트(130)에 공기를 주입하지 않는 경우, 호버 크래프트(100)는 정지된 상태일 수 있고, 록킹 수단을 풀고 드론(200)을 다목적용으로 비행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air is not injected into the skirt 130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rone 200, the hovercraft 100 may be in a stopped state, and the locking means may be released to allow the drone 200 to fly for multi-purpose use. .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호버 크래프트(100)에는 양력을 제공받기 위한 날개부와,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타 등이 마련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hovercraf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wings for receiving lift and a rudder for changing direction.

스커트(130)는 선체(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선체(110)의 하부로 공기가 주입되지 전에는 스커트(130)는 펼쳐지지 못하여 이동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Since the skirt 130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hull 110, the skirt 130 cannot be unfolded until air is injec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hull 110, making it difficult or impossible to move.

따라서, 선체(110)의 하부로 드론(200)의 가동으로 공기가 주입되면, 스커트(130)가 팽창하여 펼쳐지고, 스커트(130)의 하방을 통해 주입된 공기가 개구부(1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수면 또는 지면과 스커트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 쿠션에 의해 호버 크래프트(100)는 이동가능하도록 부양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hull 110 by the operation of the drone 200, the skirt 130 expands and unfolds, and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skirt 130 is ven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32. The hovercraft 100 may be movably supported by an air cushion form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water or the ground and the skirt by being discharged.

또한, 스커트(130)는 호버 크래프트(100)의 선체(110)의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내마모성, 내수성, 내열성, 내구성, 내한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kirts 130 may be provid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hull 110 of the hovercraft 100,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wat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durability, and cold resistance.

본 발명의 호버 크래프트(100)에 탑재되는 드론(200)은 제자리 비행인 호버링, 상승 및 하강하는 스로틀(throttle), 전진 및 후진하는 피치 동작,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하는 롤,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하는 요(yaw)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rone 200 mounted on the hovercraf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vering in place, throttle to ascend and descend, pitch motion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roll to move left and right, and rotation to the left and right You can perform a yaw motion.

만일, 4개의 프로펠러를 가진 쿼드콥터 타입의 드론은 본체로부터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프로펠러끼리의 회전 방향이 동일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프로펠러끼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If, in a quadcopter-type drone with four propellers, two propellers disposed diagonally from the main body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nd propellers disposed facing each other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스로틀 동작은 상승시 4개의 프로펠러가 모두 고속으로 회전하고, 하강시에는 모든 프로펠러가 저속으로 회전하며, 요 동작은 우측 회전시 좌측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프로펠러는 저속,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한쌍의 프로펠러는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the throttle operation, all four propellers rotate at high speed during ascent, all propellers rotate at low speed during descent, and in the yaw operation, a pair of propellers arranged diagonally to the left rotate at low speed and diagonally to the right during right rotation. The other pair of propellers can rotate at high speed.

피치 조정은 전진시, 전진 방향의 2개의 프로펠러는 저속 회전, 후방의 2개의 프로펠러는 고속 회전할 수 있으며, 후진시, 전진 방향의 2개의 프로펠러는 고속 회전, 후방의 2개의 프로펠러는 저속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피치 조정은 전진 이동시, 드론(200)의 전진 방향의 헤드 부분이 전방으로 기울이지면서 전진 이동할 수 있다. 전방으로 기울어지면, 기울어져 높이가 낮아진 2개의 프로펠러는 저속 회전, 반대편의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2개의 프로펠러는 고속 회전을 할 수 있다.When adjusting the pitch, the two propellers in the forward direction rotate at low speed and the two propellers in the rear rotate at high speed. When moving backward, the two propellers in the forward direction rotate at high speed and the two propellers in the rear rotate at low speed. can Accordingly, when the pitch is moved forward, the head portion of the drone 200 in the forward direction may move forward while tilting forward. When it is tilted forward, the two propellers, which are tilted and lowered in height, rotate at low speed, and the two propellers disposed at a high position on the opposite side can rotate at high speed.

후진시에는 상기 전진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헤드 부분은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후방 부분은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헤드 부분에 구비된 2개의 프로펠러는 고속 회전, 후방 부분에 구비된 2개의 프로펠러는 저속 회전될 수 있다. When moving backward, it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at of moving forward, so that the head part is placed at a high position and the rear part is placed at a low position. can be rotated at low speed.

또한, 롤 조정은 우측 이동시, 전진 방향에 배치된 2개의 프로펠러중 좌측의 프로펠러는 고속 회전, 우측의 프로펠러는 저속 회전을 하며, 후방에 배치된 2개의 프로펠러중 좌측의 프로펠러는 고속 회전, 우측의 프로펠러는 고속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이동시, 전진 방향에 배치된 2개의 프로펠러중 좌측의 프로펠러는 저속 회전, 우측의 프로펠러는 고속 회전을 하며, 후방에 배치된 2개의 프로펠러중 좌측의 프로펠러는 저속 회전, 우측의 프로펠러는 고속 회전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oll is moved to the right, among the two propellers arrang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left propeller rotates at high speed and the right propeller rotates at low speed. Among the two propellers arranged at the rear, the left propeller rotates at high speed and The propeller can rotate at high speed. In addition, when moving to the left, among the two propellers arrang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left propeller rotates at low speed and the right propeller rotates at high speed. Among the two propellers arranged at the rear, the left propeller rotates at low speed and the right propeller rotates at high speed. can be rotated

본 발명의 호버 크래프트(100)는 수면 또는 지면위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선체(110)의 안착부(111)안에 탑재되어 고박된 상태의 드론(200)을 작동시키고, 그러면 드론(200)에 형성된 프로펠러(220)의 회전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선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스커트(130)로 보낼 수 있다.When the hovercraf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move on the surface of the water or the ground, it is mounted in the seating part 111 of the hull 110 and operates the drone 200 in a fixed state, then the drone 200 By rotating the formed propeller 220, external air may be sucked in and sent to the skirt 130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hull 110.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의 주입시, 안착부(111)의 상부에 구비된 덮개부(113)의 통기공(113a)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서 안착부(111)의 하부에 형성된 주입 통로부(112)를 통과하고, 스커트(130)와 연통되는 주입부(131)를 지나서 스커트(13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스커트(130)안에 공기가 주입되면, 스커트(130)는 팽창하면서 펼쳐지고, 이와 동시에 스커트(130)의 개구부(13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수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부양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추진 프로펠러(120)의 가동으로 추진력을 얻어서 호버 크래프트(100)를 운전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when air is injected, external air is suck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13a of the cover 113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111, and the injection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111 It can be injected into the skirt 130 by passing through the passage 112 and passing through the injection unit 131 communicating with the skirt 130 .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skirt 130, the skirt 130 expands and unfolds, and at the same tim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132 of the skirt 130 so that it can float from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move in a desired direction by driving the hovercraft 100 by obtaining propulsive force by operating the propeller 120 .

한편, 드론(200)을 다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비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호버 크래프트(10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덮개부(113)을 분리한 다음, 록킹 수단을 풀고 드론(200)을 작동시키면, 프로펠러(220)의 회전으로 드론(200)은 안착부(111)로부터 상승하여 비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fly the drone 200 for multi-purpose use, in a state where the hovercraft 100 is stopped, remove the cover 113, release the locking means, and operate the drone 200 ,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220 allows the drone 200 to ascend from the seating portion 111 and fly.

이때, 프로펠러(22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프로펠러(220)는 각각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각각의 모터는 배터리(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 시간의 비행으로 배터리(210)의 전원이 거의 소진된 경우에는 충전을 위해 다시 호버 크래프트(100)로 복귀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propellers 220 may be provided, each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220 may be driven by a motor, and each motor may b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210 . Therefore, when the power of the battery 210 is almost exhausted by a flight of a predetermined time, it can return to the hovercraft 100 again for charging.

드론(200)에 설치된 배터리(210)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호버 크래프트(100)의 안착부(111)에 드론(200)이 착륙하면, 배터리(210)와 호버 크래프트(100)의 선체(11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전원부(140)와 전기적 접속을 하고 충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When the battery 210 installed in the drone 200 needs to be charged, when the drone 200 lands on the landing part 111 of the hovercraft 100, the battery 210 and the hull 110 of the hovercraft 100 ) It is possible to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power supply unit 140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charge.

따라서, 호버 크래프트(100)는 드론(200)의 배터리(210) 충전을 위한 급전 스테이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hovercraft 100 can serve as a power supply station for charging the battery 210 of the drone 20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호버 크래프트(100)의 이동을 위해 공기 부양시, 드론(200)을 작동시켜서 공기를 스커트(130)안에 주입하여 공기 부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드론(20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호버 크래프트(100)의 작동을 멈추고 드론(200)을 선체(110)의 안착부(111)로부터 공중으로 비행시킬 수 있으며, 드론(200)의 배터리(210)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호버 크래프트(100)로 복귀하여 전원부(140)를 통해 전기 충전을 받을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drone 200 to inject air into the skirt 130 when air buoyancy is performed for the movement of the hovercraft 100, so that air buoyancy is achieved, and the drone 200 is used.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hovercraft 100 may be stopped and the drone 200 may be flown in the air from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hull 110, and if the battery 210 of the drone 200 needs to be charged, the hover craft 100 may be charged. Returning to the craft 100, it can be charged with electricity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40.

따라서, 본 발명은 탑재된 드론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통상의 호버 크래프트로서 운영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드론을 비행시켜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일거양득의 장점을 가질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as a normal hovercraft by injecting air through a mounted drone, and can be used by flying a drone if necessary, so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have the advantage of two things at once.

100... 호버 크래프트 110... 선체
111... 안착부 112... 주입 통로부
113.. 덮개부 113a... 통기공
120... 추진 프로펠러 130... 스커트
131... 주입부 132... 개구부
140... 전원부 200... 드론
202... 본체부 210... 배터리
220... 프로펠러 A... 에어
100... Hovercraft 110... Hull
111... Seating part 112... Injection passage part
113.. Cover part 113a... Ventilation hole
120... propulsion propeller 130... skirt
131 ... inlet 132 ... opening
140... power unit 200... drone
202... main body 210... battery
220... Propeller A... Air

Claims (5)

선체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비행 가능한 프로펠러를 가지는 드론;
상기 선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스커트; 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에 구비된 프로펠러의 작동으로 상기 스커트 안으로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면, 수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선체가 부양하여 이동할 수 있는 호버 크래프트.
A drone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hull and has a propeller capable of flying;
a skir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hull and inflated by air injection; including,
A hovercraft in which the hull can float and move from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when external air is injected into the skirt and expanded by operation of a propeller provided in the dr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상기 드론이 탑재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하부는 상기 드론의 작동으로 상기 스커트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연통되는 주입 통로부가 형성되는 호버 크래프트.
According to claim 1,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drone is mounted is formed on the hull,
The lower part of the seating part is formed with an injection passage part communicating to inject air into the skirt by the operation of the dr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상기 드론이 탑재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드론의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으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안착부안으로 유도되어서 상기 스커트에 공급될 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는 록킹 수단이 구비되는 호버 크래프트.
According to claim 1,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drone is mounted is formed on the hull,
A locking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seating portion to maintain a fixed state when external air is induced into the seating portion and supplied to the skirt by rotation of the propeller of the dr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상기 드론이 탑재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덮개부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드론은,
상기 선체의 이동시 외부의 공기를 스커트에 공급하여 수면 또는 지면으로부터 부양시키고,
선체의 정지시에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덮개부를 개방하고 공중으로 비행할 수 있는 호버 크래프트.
According to claim 1,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drone is mounted is formed on the hull,
A cove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The drone,
When the hull moves,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skirt to lift it from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A hovercraft capable of flying in the air by opening the cover from the seating portion when the hull is stopp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에는 상기 프로펠러가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프로펠러에는 프로펠러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드론의 본체부에 마련된 배터리에 의해 전원 공급을 받으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선체에 마련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호버 크래프트.
According to claim 1,
The dron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pellers,
The plurality of propellers are provided with motors that drive the propellers, respectively,
The motor is supplied with power by a battery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drone,
The hovercraft battery is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hull.
KR1020210193560A 2021-12-30 2021-12-30 Hover Craft with Dron KR202301030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560A KR20230103016A (en) 2021-12-30 2021-12-30 Hover Craft with Dr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560A KR20230103016A (en) 2021-12-30 2021-12-30 Hover Craft with Dr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016A true KR20230103016A (en) 2023-07-07

Family

ID=8715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560A KR20230103016A (en) 2021-12-30 2021-12-30 Hover Craft with Dr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01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77588B (en) Sea, land and air submerged four-purpose aircraft capable of taking off and landing vertically
US3208543A (en) Air cushion vehicle
US4984754A (en) Heli-hover amphibious surface effect vehicle
US4757962A (en) Amphibious vehicle
CN108698683A (en) In the air, the General Motors that the stability of safety operation gets a promotion in water and ground environment
EP2943400B1 (en) Underwater personal submersible
EP3362351B1 (en) Underwater vehicle
AU2005327222A1 (en) Mass transfer system for stabilizing an airship and other vehicles subject to pitch and roll moments
US9352813B2 (en) Inflatable floatable liferaft for marine rescue
KR102054161B1 (en) Multipurpose Aircraft
US3090455A (en) Plenum chamber type ground effect machine with self-propulsion and steering means
US3330240A (en) Ground effect vehicle
CN213921484U (en) Unmanned plane
KR20230103016A (en) Hover Craft with Dron
US6719079B2 (en) Ground effect vehicle using a frontal ram air stream and aerodynamic lift
US3384198A (en) Ground effect vehicles
KR102485309B1 (en) Flying car capable of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GB2440320A (en) Amphibious gyroplane
US6497189B1 (en) Hover-effect craft
RU2205760C1 (en) Wing-in-ground-effect craft-amphibia on air cushion
US3933115A (en) Spherical rolling hull marine vessel
RU106868U1 (en) MULTIFUNCTIONAL CONVERSABLE TRANSPORT SHIP
RU2185979C2 (en) Wing-in-ground effect craft
WO2020083109A1 (en) Driving flight vehicle and remote control toy vehicle, and air cushion device used by same
RU2204499C1 (en) Wing-in-ground effect craft-amphibia on air cus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