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834A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834A
KR20230102834A KR1020210193265A KR20210193265A KR20230102834A KR 20230102834 A KR20230102834 A KR 20230102834A KR 1020210193265 A KR1020210193265 A KR 1020210193265A KR 20210193265 A KR20210193265 A KR 20210193265A KR 20230102834 A KR20230102834 A KR 20230102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wind direction
direction angle
air
air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복
박진윤
김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1019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834A/ko
Publication of KR2023010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팬, 토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팬에 의해 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플랩 및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조절하는 플랩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실내기, 실내의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 및 플랩조절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실내의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에 따르면 플랩의 자동화 제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모드 별로 플랩의 자동화 제어를 적용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운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P OF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냉방, 난방, 청정 등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실내공간에 배치되어 실내의 공기질 등 실내공기 상태를 개선하는 실내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내기는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부에 공기를 토출하는 풍향각도를 조절 가능한 플랩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플랩의 풍향각도는 공기질과 상관 없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직접 제어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므로 플랩 제어에 번거로움이 있으며, 나아가, 자동화 플랩 제어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1578호 (2004.10.28)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내공간의 공기상태에 따라 플랩의 자동화 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실내공간의 공기상태에 따라 플랩의 자동화 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 토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팬에 의해 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플랩 및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조절하는 플랩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실내기, 실내의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 및 플랩조절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실내의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에 의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며 플랩조절수단에 의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각도가 조절되는 플랩이 구비되는 실내기 및 실내의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제1 센서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실내의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 및 제1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상기 하부공간 또는 상부공간으로 결정하는 결정단계; 및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상기 상부공간 또는 하부공간을 향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은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 및 제1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플랩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 또는 상부공간을 향해 조절시킴으로써, 플랩의 자동화 제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모드 별로 플랩의 자동화 제어를 적용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운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 센서부(20), 실내기(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20)는 실내의 상부공간(S2)에 위치되어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제1 센서부(20)는 공기질,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부(20)는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및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부공간(S2)의 공기질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상부공간(S2)에 배치된 실내기(30)에 제공될 수 있다. 실내기(30)는 제1 센서부(20)에 의해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및/또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하부공간(S1)의 공기질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상부공간(S2)의 공기질 정보를 제어부(40)로 제공하여 제어부(40)에 의해 실내기(30)의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내기(30)는 팬, 토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팬에 의해 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플랩(31) 및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조절하는 모터 등 플랩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랩조절수단에 의해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공간(S)의 하부공간(S1) 또는 상부공간(S2)의 실내공기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실내기(30)는 실외기(50)와 열교환을 이루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추가로 실내기(30)에 연결된 실외기(50)가 포함될 수 있다.
실외기(50)는 실외에 배치되며 냉매관을 통해 실내기(30)에 연결된다. 이러한 실외기(50)는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송풍팬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실외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실외 열교환기를 통해 실내기(30)의 실내 열교환기와 열교환을 이룬다.
나아가,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 디퓨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급기 디퓨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디퓨저(60) 또는 급기 디퓨저를 통해 환기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급기 디퓨저를 대체하여 실내기에 실외와 직접 공기 연통하는 급기배관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급기배관에 배치된 댐퍼의 개폐동작을 통해 실외공기를 직접 실내기를 통해 실내로 급기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하부공간(S1)과 상부공간(S2)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실내공간(S)을 상하방향으로 구분하여 실내 거주자가 활동하는 생활공간을 하부공간(S1)으로 정의하고, 하부공간(S1)의 상부의 공간을 상부공간(S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제1 센서부(20) 및 플랩조절수단에 연결되어 제1 센서부(20)의 하방에 위치되는 실내의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 및 제1 센서부(20)에 의해 감지된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하부공간(S1)은 상부공간(S2)의 하방에 위치되는 공간이다.
실내의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는 외부에서 제어부(40)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실내의 생활공간인 하부공간(S1)에 위치되는 제2 센서부(10)에 의해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서부(10)는 공기질,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부(10)는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및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부공간(S1)의 공기질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하부공간(S1)에 배치된 룸콘(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센서부(10)가 구비된 롬콘(70)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부(40)에 연동되며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및/또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하부공간(S1)의 공기질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하부공간(S1)의 공기질 정보를 공기조화기의 제어부(40)로 제공하여 제어부(40)에 의해 실내기(30)의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일 예로 제2 센서부는 실내의 하부공간(S1)에 배치된 에어모니터 등 다른 구성요소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센서부가 구비된 에어모니터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에 연동되어 실내의 하부공간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제2 센서부에 의해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및/또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실내의 하부공간의 공기질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실내의 하부공간의 공기질 정보를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제공하여 제어부에 의해 실내기의 플랩의 풍향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0)는 판단모듈(41), 결정모듈(42) 및 조절모듈(43)을 포함한다.
제어부(40)의 판단모듈(41)은 제2 센서부(10) 및 제1 센서부(20)에 의해 감지된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모듈(41)은 제1 판단부(44) 및 제2 판단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모듈(41)의 제1 판단부(44)는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를 설정공기상태조건과 비교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모듈(41)의 제2 판단부(45)는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를 상기 설정공기상태조건과 비교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판단모듈(41)에서 우선적으로 제1 판단부(44)에 의해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를 설정공기상태조건과 비교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 다음, 제2 판단부(45)에 의해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를 상기 설정공기상태조건과 비교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판단모듈(41)에서 제1 판단부(44)와 제2 판단부(45)는 동시에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 및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를 각각 설정공기상태조건과 비교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모듈(41)에 의해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40)의 결정모듈(42)은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 또는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결정한다. 한편, 판단모듈(41)에 의해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40)의 결정모듈(42)은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결정하거나 현재상태를 유지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결정모듈(42)에 의해 플랩(31)의 풍향각도를 결정한 후, 제어부(40)의 조절모듈(43)은 상기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상기 하부공간(S1) 또는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일 예로, 냉방모드에서 판단모듈(41)의 제1 판단부(44) 및 제2 판단부(45)에 의해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 및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를 설정공기상태조건과 비교하여 모두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결정모듈(42)에 의해 플랩(31)의 풍향각도를 먼저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결정한 후 조절모듈(43)에 의해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한편, 하부공간(S1)에 대해 냉방이 완료된 후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부공간(S2)의 냉방이 완료되면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현재상태로 유지하거나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30)에 제1 고도 센서(90)가 설치되어 실내기(30)의 고도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센서부(10)가 설치된 룸콘(70)에 제2 고도 센서(80)가 설치되어 룸콘(70)의 고도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고도 센서(90)에 의해 감지된 실내기(30)의 고도정보와 상기 제2 고도 센서(80)에 의해 감지된 룸콘(70)의 고도정보에 의해 실내기(30)와 롬콤(70)의 고도차이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고도차이정보에 따라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상기 제1 고도 센서(90) 및 제2 고도 센서(80)에 의해 감지된 고도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실내공간의 크기, 높이, 구조 등 요소, 실내기 및 룸콘, 에어모니터 등의 설치위치가 다름에 따라, 이에 적합한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는 실내기의 최초 설치 시 결정될 수 있거나, 이동형 실내기의 경우 가동 시 결정될 수 있거나, 실내기의 실제 사용과정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실내공간의 크기, 높이, 구조 등 요소, 실내기 및 룸콘, 에어모니터 등의 설치위치에 따라, 이에 적합한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를 더욱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2 센서부(10)에 의해 감지된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 및 제1 센서부(20)에 의해 감지된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 또는 상부공간(S2)을 향해 조절시킴으로써, 플랩(31)의 자동화 제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모드 별로 플랩(31)의 자동화 제어를 적용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운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팬에 의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며 플랩조절수단에 의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각도가 조절되는 플랩(31)이 구비되는 실내기(30) 및 실내의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20)를 포함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여기서 공기조화기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200), 플랩(31)의 풍향각도를 결정하는 결정단계(S300) 및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단계(S200)는 제1 센서부(20)의 하방에 위치되는 실내의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 및 제1 센서부(20)에 의해 감지된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실내의 생활공간인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는 이상에서 설명한 제2 센서부(10)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제2 센서부(10)가 구비된 룸콘(70)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2 센서부(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중복 설명하지 않고 이상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상태 정보는 공기질,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일 수 있는데, 공기질은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및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단계(S300)는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 또는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결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조절단계(S400)는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 또는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조절하는 단계이다.
나아가, 상기 판단단계(S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단단계(S210) 및 제2 판단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단단계(S210)는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1 판단단계(S210)에서 제2 센서부(10)에 의해 감지된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를 설정공기상태조건과 비교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제2 판단단계(S220)는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제1 센서부(20)에 의해 감지된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를 상기 설정공기상태조건과 비교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판단단계(S210)에서,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가 상기 설정공기상태조건을 충족할 경우, 제2 판단단계(S220)를 수행하여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판단단계(S210)에서, 하부공간(S1)의 공기상태 정보가 상기 설정공기상태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결정단계(S300)를 수행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가 상기 설정공기상태조건을 충족할 경우, 제1 판단단계(S210)로 순환되거나 상기 결정단계(S300)를 수행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상부공간(S2)의 공기상태 정보가 상기 설정공기상태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결정단계(S300)를 수행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인단계(S100)에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확인하고, 판단단계(S200)에서 확인단계(S100)에서 확인된 운전모드에 따라 공기질, 온도 및 습도 중 필요한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확인단계(S100)는 판단단계(S200) 이전에 냉방, 제습, 청정 및 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확인단계(S100)를 대체하여 실내공간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냉방모드, 제습모드, 청정모드 및 환기모드 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선택한 모드를 수행하는 운전단계를 포함할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30)의 고도정보를 고려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하는 단계(S500)는 실내기의 최초 설치하는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이동형 실내기의 경우 가동동작 시 수행될 수 있거나, 실내기의 실제 사용과정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단계(S200) 이전, 확인단계(S100) 이전이나 결정단계(S300)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아래에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냉방모드, 제습모드, 청정모드, 환기모드상태에서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냉방모드 운전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확인단계(S100)에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는 냉방, 제습, 청정 및 환기 중 적어도 냉방 동작을 수행하는 냉방모드로 확인된다.
제1 판단단계(S210)에서 하부공간(S1)의 공기온도 정보에 따라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판단단계(S210)에서 제2 센서부(10)에 의해 감지된 하부공간(S1)의 실내온도인 제1 온도를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제1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거나 같은 제1 설정공기온도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제1 판단단계(S210)에서, 제1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고, 제2 판단단계(S220)를 수행한다.
한편, 제1 판단단계(S210)에서, 제1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 하부공간(S1)으로의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결정단계(S3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제1 판단단계(S210)에서 하부공간(S1)으로의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후,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제1 센서부(20)에 의해 감지된 상부공간(S2)의 실내온도인 제2 온도를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제2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제2 설정공기온도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제2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부공간(S2)으로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결정단계(S300)에서 풍향각도를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제2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상부공간(S2)으로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고, 결정단계(S3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다음으로 제습모드 운전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확인단계(S100)에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는 냉방, 제습, 청정 및 환기 중 적어도 제습 동작을 수행하는 제습모드로 확인된다.
제1 판단단계(S210)에서 하부공간(S1)의 공기습도 정보에 따라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판단단계(S210)에서 제2 센서부(10)에 의해 감지된 하부공간(S1)의 실내습도인 제1 습도를 설정습도와 비교하여 제1 습도가 설정습도보다 낮거나 같은 제1 설정공기습도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제1 판단단계(S210)에서, 제1 습도가 설정습도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고, 제2 판단단계(S220)를 수행한다.
한편, 제1 판단단계(S210)에서, 제1 습도가 설정습도보다 높을 경우, 하부공간(S1)으로의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결정단계(S3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제1 판단단계(S210)에서 하부공간(S1)으로의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후,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제1 센서부(20)에 의해 감지된 상부공간(S2)의 실내습도인 제2 습도를 설정습도와 비교하여 제2 습도가 설정습도보다 높은 제2 설정공기습도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제2 습도가 설정습도보다 높을 경우, 상부공간(S2)으로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결정단계(S300)에서 풍향각도를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제2 습도가 설정습도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상부공간(S2)으로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고, 결정단계(S3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다음으로 청정모드 운전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확인단계(S100)에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는 냉방, 제습, 청정 및 환기 중 적어도 청정 동작을 수행하는 청정모드로 확인된다.
제1 판단단계(S210)에서 하부공간(S1)의 공기미세먼지 함량 정보에 따라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판단단계(S210)에서 제2 센서부(10)에 의해 감지된 하부공간(S1)의 실내미세먼지 함량인 제1 미세먼지 함량을 설정미세먼지 함량과 비교하여 제1 미세먼지 함량이 설정미세먼지 함량보다 낮거나 같은 제1 설정공기 미세먼지 함량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제1 판단단계(S210)에서, 제1 미세먼지 함량이 설정미세먼지 함량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고, 제2 판단단계(S220)를 수행한다.
한편, 제1 판단단계(S210)에서, 제1 미세먼지 함량이 설정미세먼지 함량보다 높을 경우, 하부공간(S1)으로의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결정단계(S3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제1 판단단계(S210)에서 하부공간(S1)으로의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후,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제1 센서부(20)에 의해 감지된 상부공간(S2)의 실내미세먼지 함량인 제2 미세먼지 함량을 설정미세먼지 함량과 비교하여 제2 미세먼지 함량이 설정미세먼지 함량보다 높은 제2 설정공기 미세먼지 함량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제2 미세먼지 함량이 설정미세먼지 함량보다 높을 경우, 상부공간(S2)으로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결정단계(S300)에서 풍향각도를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제2 미세먼지 함량이 설정미세먼지 함량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상부공간(S2)으로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고, 결정단계(S3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다음으로, 환기모드 운전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확인단계(S100)에서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는 냉방, 제습, 청정 및 환기 중 적어도 환기 동작을 수행하는 환기모드로 확인된다.
제1 판단단계(S210)에서 하부공간(S1)의 공기 중 CO2 또는 TVOC 함량 정보에 따라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판단단계(S210)에서 제2 센서부(10)에 의해 감지된 하부공간(S1)의 실내공기 중 CO2 또는 TVOC 함량인 제1 CO2 또는 TVOC 함량을 설정 CO2 또는 TVOC 함량과 비교하여 제1 CO2 또는 TVOC 함량이 설정 CO2 또는 TVOC 함량보다 낮거나 같은 제1 설정공기 중 CO2 또는 TVOC 함량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제1 판단단계(S210)에서, 제1 CO2 또는 TVOC 함량이 설정 CO2 또는 TVOC 함량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고, 제2 판단단계(S220)를 수행한다.
한편, 제1 판단단계(S210)에서, 제1 CO2 또는 TVOC 함량이 설정 CO2 또는 TVOC 함량보다 높을 경우, 하부공간(S1)으로의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결정단계(S3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제1 판단단계(S210)에서 하부공간(S1)으로의 플랩(31)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후,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제1 센서부(20)에 의해 감지된 상부공간(S2)의 실내공기 중 CO2 또는 TVOC 함량인 제2 CO2 또는 TVOC 함량을 설정 CO2 또는 TVOC 함량과 비교하여 제2 CO2 또는 TVOC 함량이 설정 CO2 또는 TVOC 함량보다 높은 제2 설정공기 중 CO2 또는 TVOC 함량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한다.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제2 CO2 또는 TVOC 함량이 설정 CO2 또는 TVOC 함량보다 높을 경우, 상부공간(S2)으로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결정단계(S300)에서 풍향각도를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상부공간(S2)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제2 판단단계(S220)에서 제2 CO2 또는 TVOC 함량이 설정 CO2 또는 TVOC 함량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상부공간(S2)으로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고, 결정단계(S3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은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도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기(30)에 제공된 제1 고도 센서(90)에 의해 감지된 실내기(30)의 고도정보일 수 있고, 제2 고도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룸콘(70)에 제공된 제2 고도 센서(80)에 의해 감지된 룸콘(70)의 고도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하는 단계(S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단계(S200) 이전, 특히 확인단계(S100) 이전에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하는 단계(S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단계(S300) 이후 조절단계(S400) 이전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내기의 최초 설치하는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이동형 실내기의 경우 가동동작 시 수행될 수 있거나, 실내기의 실제 사용과정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단계(S200)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하는 단계(S500)는 제3 판단단계(S510), 제4 판단단계(S520), 제1 결정단계(S530) 및 제2 결정단계(S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판단단계(S510)에서 제1 고도와 제2 고도의 높이차를 제1 설정 높이차와 비교하여 제1 고도와 제2 고도의 높이차가 제1 설정 높이차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3 판단단계(S510)에서 제1 고도와 제2 고도의 높이차가 제1 설정 높이차보다 클 경우,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다시 결정할 필요 없다고 판단되어 직접 조절단계(S400)로 진입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3 판단단계(S510)에서 제1 고도와 제2 고도의 높이차가 제1 설정 높이차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제4 판단단계(S520)로 진입한다.
제4 판단단계(S520)에서 제1 고도와 제2 고도의 높이차를 제2 설정 높이차를 비교하여 제1 고도와 제2 고도의 높이차가 제2 설정 높이차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2 설정 높이차는 제1 설정 높이차보다 작다.
제4 판단단계(S520)에서 제1 고도와 제2 고도의 높이차가 제1 설정 높이차보다 클 경우, 제1 결정단계(S530)로 진입하고, 제1 고도와 제2 고도의 높이차가 제1 설정 높이차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제2 결정단계(S540)로 진입한다.
제1 결정단계(S53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제1 조절범위로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2 결정단계(S54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제2 조절범위로 결정하고, 조절단계(S400)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하는 단계(S500)를 통해 실내공간의 크기, 높이, 구조 등 요소, 실내기 및 룸콘, 에어모니터 등의 설치위치에 따라, 이에 적합한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하여 플랩(31)의 풍향각도를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이상에서 플랩(31)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하는 단계(S500)에 대해 결정단계(S300) 이후 조절단계(S400) 이전에 수행하는 방식, 구체적으로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을 향하도록 결정하는 결정단계(S300) 이후 플랩(31)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S1)을 향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단계(S400) 이전에 수행하는 방식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체적으로 플랩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 또는 상부공간을 향하도록 결정하는 결정단계 이후 플랩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 또는 상부공간을 향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단계 이전에 수행할 수 있거나, 실내기의 최초 설치하는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이동형 실내기의 경우 가동동작 시 수행될 수 있거나, 실내기의 실제 사용과정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 및 제1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플랩의 풍향각도를 하부공간 또는 상부공간을 향해 조절시킴으로써, 플랩의 자동화 제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모드 별로 플랩의 자동화 제어를 적용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운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범은 플랩의 자동제어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플랩의 풍향각도를 제어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제2 센서부 20 제1 센서부
30 실내기 31 플랩
40 제어부 41 판단모듈
42 결정모듈 43 조절모듈
44 제1 판단부 45 제2 판단부
50 실외기 60 배기 디퓨저
70 룸콘 80 제2 고도 센서
90 제1 고도 센서 S 실내공간
S1 하부공간 S2 상부공간

Claims (12)

  1. 팬, 토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팬에 의해 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플랩 및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조절하는 플랩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실내기, 실내의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 및 플랩조절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실내의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 및 제1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상기 하부공간 또는 상부공간을 향하도록 결정하는 결정모듈; 및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상기 하부공간 또는 상부공간을 향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를 설정공기상태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 및 상기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를 상기 설정공기상태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공기질,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를 에어모니터 또는 룸콘에 포함되는 제2 센서부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실내기에 제공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에 제1 고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센서부가 설치된 상기 에어모니터 또는 룸콘에 제2 고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고도 센서 및 제2 고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고도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하는, 공기조화기.
  7. 팬에 의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며 플랩조절수단에 의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각도가 조절되는 플랩이 구비되는 실내기 및 실내의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제1 센서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실내의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상기 하부공간 또는 상부공간을 향하도록 결정하는 결정단계; 및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상기 하부공간 또는 상부공간을 향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를 설정공기상태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단계 및 상기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를 상기 설정공기상태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 상기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가 상기 설정공기상태조건을 충족할 경우, 상기 제2 판단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하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가 상기 설정공기상태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결정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상기 하부공간을 향하도록 결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단단계에서, 상기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가 상기 설정공기상태조건을 충족할 경우, 상기 제1 판단단계로 순환되거나 상기 결정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상기 하부공간을 향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상부공간의 공기상태 정보가 상기 설정공기상태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상기 결정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를 상기 상부공간을 향하도록 결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 이전, 냉방, 제습, 청정 및 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운전모드에 따라 공기질, 온도 및 습도 중 필요한 공기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에 대한 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내기의 고도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플랩의 풍향각도의 조절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
KR1020210193265A 2021-12-30 2021-12-30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 KR20230102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265A KR20230102834A (ko) 2021-12-30 2021-12-30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265A KR20230102834A (ko) 2021-12-30 2021-12-30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834A true KR20230102834A (ko) 2023-07-07

Family

ID=8715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265A KR20230102834A (ko) 2021-12-30 2021-12-30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8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578A (ko) 2003-04-22 2004-10-2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578A (ko) 2003-04-22 2004-10-2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4919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55850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20080110187A1 (en) Apparatus to operate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534804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for server room
KR102127384B1 (ko) 공기조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6196437A (zh) 空调器的控制方法
KR20190114466A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8162925A (ja) 空調制御装置、空気調和機、空調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147563A (ja) 排気制御装置
JP2006275459A (ja) 空気調和装置
KR20230102834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플랩 제어방법
JP2021001699A (ja) 排気グリルおよび換気システム
KR101664267B1 (ko) 바이패스통로를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2018021714A (ja) 換気装置および給気量調整方法
KR100826721B1 (ko) 천정형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62231A (ko) 공기조화장치의 온도 보상 제어방법
KR20180035291A (ko) 공기조화 시스템
JPWO2022157966A5 (ko)
KR102575089B1 (ko) 공기조화 시스템
JPH05164381A (ja) 外気取入量制御装置を備えた多室系空気調和機
JPH0735369A (ja) 加圧式床吹出し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H08145432A (ja) 空気調和機
US10408487B1 (en) Secondary controller for ventilation systems and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s
JP3194214B2 (ja) Vav制御システムの調整方法
KR20230102807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