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98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985A
KR20230101985A KR1020210190951A KR20210190951A KR20230101985A KR 20230101985 A KR20230101985 A KR 20230101985A KR 1020210190951 A KR1020210190951 A KR 1020210190951A KR 20210190951 A KR20210190951 A KR 20210190951A KR 20230101985 A KR20230101985 A KR 20230101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modulus
axis
refractive index
cov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우
김영도
오현석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985A/ko
Priority to US17/879,897 priority patent/US20230205273A1/en
Priority to PCT/KR2022/021346 priority patent/WO2023128539A1/ko
Publication of KR20230101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73Tensile streng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03D15/46Flat yarns, e.g. tapes or fil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optical functions other than colour, e.g. comprising light-emitting fib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소재;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재와 상기 제2 소재는 직조되고, 상기 제1 소재는 제1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2 소재는 제2 모듈러스를 갖되, 상기 제1 모듈러스는 0.1Mpa 내지 500Mpa 사이의 값을 갖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1Gpa 내지 50Gpa 사이의 값을 갖는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플렉시블 표시 패널 또는 스트레쳐블(Strechable)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표시 패널 또는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는 하부의 플렉시블 표시 패널 또는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과 결합되어 있어, 플렉시블 표시 패널 또는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과 유사한 스펙(Spec)을 가져야 한다. 상기 스펙은 예컨대, 연신율 및/또는 회복률일 수 있다.
한편,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의 연신율은 최소한 20% 이상이어야 하는데, 현재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 상의 커버 윈도우는 재료 등의 문제로 이러한 연신율을 확보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신율 및 회복률이 개선된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연신율 및 회복률이 개선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소재;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재와 상기 제2 소재는 직조되고, 상기 제1 소재는 제1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2 소재는 제2 모듈러스를 갖되, 상기 제1 모듈러스는 0.1Mpa 내지 500Mpa 사이의 값을 갖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1Gpa 내지 50Gpa 사이의 값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 및 상기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 상의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소재,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재와 상기 제2 소재는 직조되고, 상기 제1 소재는 제1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2 소재는 제2 모듈러스를 갖되, 상기 제1 모듈러스는 0.1Mpa 내지 500Mpa 사이의 값을 갖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1Gpa 내지 50Gpa 사이의 값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는 중간층, 상기 중간층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볼록한 볼록부, 및 상기 중간층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포함하고, 평면상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가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기재층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소재,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재와 상기 제2 소재는 직조되고, 상기 제1 소재는 제1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2 소재는 제2 모듈러스를 갖되, 상기 제1 모듈러스는 0.1Mpa 내지 500Mpa 사이의 값을 갖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1Gpa 내지 50Gpa 사이의 값을 갖는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및 표시 장치에 의하면, 연신율 및 회복률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가 스트레칭(Streching)된 경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1 소재 및 제2 소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일축 연신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3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이축 연신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3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회복률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기재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3은 기재층의 변형예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가 스트레칭(Streching)된 경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 폰(watch phone),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장치,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ight emitting diode(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은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는 제1 방향(DR1)의 장변과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의 장변과 제2 방향(DR2)의 단변이 만나는 코너(corner)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평면 형태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좌우측 끝단에 형성되며, 일정한 곡률 또는 변화하는 곡률을 갖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1)는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거나, 벤딩되거나, 접히거나, 말리거나 적어도 일축으로 스트레칭(Streching)(또는 연신)될 수 있도록 유연하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0), 및 커버 윈도우(3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표시 장치(1)와 마찬가지로,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거나, 벤딩되거나, 접히거나, 말리거나 적어도 일축으로 연신(Streching)될 수 있도록 유연하게 형성되도록 잘 휘는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화소들 각각은 발광 소자,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이 적어도 일축으로 연신되는 스트레쳐블(Strechable) 표시 패널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도 2 참조,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 및 후술할 스트레쳐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임).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은 일축(또는 제1 축) 연신율이 50% 이상이고, 이축(제1 축 및 제2 축) 연신율이 20% 이상이며, 회복률(Revocery)이 90%인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일축 연신율, 이축 연신율, 및 회복률에 대해서는 표시 패널(100) 상의 커버 윈도우(300)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이고, 상기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은 상부의 커버 윈도우(300)와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커버 윈도우(300)의 일축 연신율, 이축 연신율, 및 회복률은 일체로 결합된 상기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의 일축 연신율, 이축 연신율, 및 회복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300)는 제1 방향(DR1)의 장변과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의 장변과 제2 방향(DR2)의 단변이 만나는 코너(corner)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1 소재 및 제2 소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일축(또는 제1 축) 연신율이 50% 이상이고, 이축(제1 축 및 제2 축) 연신율이 20% 이상이며, 회복률(Revocery)이 90%인 커버 윈도우(300)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커버 윈도우(300)를 이루는 물질을 고려해야 한다.
예컨대, 커버 윈도우를 초박형 유리로 형성하는 경우, 이축(제1 축 및 제2 축)을 따라 20%로 연신하는 경우, 상기 커버 윈도우의 파손 한계를 넘어,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커버 윈도우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이축(제1 축 및 제2 축)을 따라 20%로 연신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300)는 일축(또는 제1 축) 연신율이 50% 이상이고, 이축(제1 축 및 제2 축) 연신율이 20% 이상이며, 회복률(Revocery)이 90%를 만족하기 위해, 제1 소재(310) 및 제2 소재(350)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축은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소재(310)와 제2 소재(350)는 서로 상이한 소재일 수 있다. 즉, 커버 윈도우(300)는 이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소재(310)와 제2 소재(350)는 상호 직조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소재(310)와 제2 소재(350)가 평직 방식(Plain weave)으로 직조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소재(310)와 제2 소재(350)는 능직 방식(2/1 Twill waeve), 또는 수자직 방식(Sateen weave)으로 직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소재(310)와 제2 소재(350)가 평직 방식으로 직조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소재(31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소재(310)들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소재(310)들은 제1-1 소재(311), 및 제1-2 소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소재(311)와 제1-2 소재(313)는 상기 타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제2 소재(350)는 상기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소재(350)들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소재(350)들은 제2-1 소재(351), 및 제2-2 소재(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소재(351)와 제2-2 소재(353)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제1-1 소재(311), 제1-2 소재(313)와 제2-1 소재(351), 제2-2 소재(353)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아래로 엇갈려 직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1 소재(311)를 기준으로, 제2-1 소재(351)는 제1-1 소재(3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2 소재(353)는 제1-1 소재(31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2 소재(313)를 기준으로, 제2-1 소재(351)는 제1-1 소재(3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2 소재(353)는 제1-1 소재(3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1 소재(351)를 기준으로, 제1-1 소재(311)는 제2-1 소재(351)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1-2 소재(313)는 제2-1 소재(35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2 소재(353)를 기준으로, 제1-1 소재(311)는 제2-2 소재(353)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2 소재(313)는 제2-2 소재(35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소재(310)는 커버 윈도우(300)의 연신율을 개선하는 소재일 수 있고, 제2 소재(350)는 커버 윈도우(300)의 회복률을 개선하는 소재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연신율을 개선하는 제1 소재(310) 및 회복률을 개선하는 제2 소재(350)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300)의 연신율 및 회복률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일축 연신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3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이축 연신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우선, 커버 윈도우(300)의 연신율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 윈도우(300)는 일축 연신율이 50%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일축은 제1 축 또는 제2 축일 수 있다. 도 7에서 상기 제1 축은 제1 방향(DR1)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 윈도우(30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장변이 제1 길이(L1)를 갖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단변이 제2 길이(L2)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DR1) 일측 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를 제1 연신 길이(
Figure pat00001
L1)로 연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축으로 연신된 커버 윈도우(300)의 장변은 제3 길이(L3)를 가질 수 있다. 즉, 제3 길이(L3)는 제1 길이(L1)와 제1 연신 길이(
Figure pat00002
L1)의 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300)는 일축 연신율이 50% 이상이므로, 제1 연신 길이(
Figure pat00003
L1)는 제1 길이(L1)의 1/2배 이상일 수 있고, 제3 길이(L3)는 제1 길이(L1)의 1.5배 이상일 수 있다.
도 8에서 상기 제2 축은 제2 방향(DR2)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 윈도우(300)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단변이 제2 길이(L2)를 갖고, 제2 방향(DR2) 타측 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 방향(DR2) 일측 단부를 제2 연신 길이(
Figure pat00004
L2)로 연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축으로 연신된 커버 윈도우(300)의 단변은 제4 길이(L4)를 가질 수 있다. 즉, 제4 길이(L4)는 제2 길이(L2)와 제2 연신 길이(
Figure pat00005
L2)의 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300)는 일축 연신율이 50% 이상이므로, 제2 연신 길이(
Figure pat00006
L2)는 제2 길이(L2)의 1/2배 이상일 수 있고, 제4 길이(L4)는 제2 길이(L2)의 1.5배 이상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커버 윈도우(300)의 이축 연신율을 보여준다.
도 9 및 도 10은 상기 제1 축으로 연신한 뒤, 상기 제2 축으로 연신한 경우를 보여주고, 도 11 및 도 12는 상기 제2 축으로 연신한 뒤, 상기 제1 축으로 연신한 경우를 보여준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방향(DR1) 일측 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를 제1 연신 길이(
Figure pat00007
L1)로 연신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축으로 연신된 커버 윈도우(300)의 장변은 제3 길이(L3)를 갖고, 제1 연신 길이(
Figure pat00008
L1)는 제1 길이(L1)의 1/2배 이하일 수 있고, 제3 길이(L3)는 제1 길이(L1)의 1배 초과 1.5배 이하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축으로 연신된 커버 윈도우(300)의 제2 방향(DR2) 타측 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 방향(DR2) 일측 단부를 제2 연신 길이(
Figure pat00009
L2')로 연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300)의 이축(제1 축 및 제2 축) 연신율이 20% 이상이므로, 제2 연신 길이(
Figure pat00010
L2')는 제2 길이(L2)의 1/5배 이상일 수 있고, 제4 길이(L4')는 제2 길이(L2)의 1.2배 이상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방향(DR2) 타측 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 방향(DR2) 일측 단부를 제2 연신 길이(
Figure pat00011
L2)로 연신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축으로 연신된 커버 윈도우(300)의 단변은 제4 길이(L4)를 갖고, 제2 연신 길이(
Figure pat00012
L2)는 제2 길이(L2)의 1/2배 이하일 수 있고, 제4 길이(L4)는 제2 길이(L2)의 1배 초과 1.5배 이하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축으로 연신된 커버 윈도우(300)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를 제1 연신 길이(
Figure pat00013
L1')로 연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300)의 이축(제1 축 및 제2 축) 연신율이 20% 이상이므로, 제1 연신 길이(
Figure pat00014
L1')는 제1 길이(L1)의 1/5배 이상일 수 있고, 제3 길이(L3')는 제1 길이(L1)의 1.2배 이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버 윈도우(300)의 회복률을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도 3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회복률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300)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커버 윈도우(300)의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를 연신한다. 이 때 연신 길이는 커버 윈도우(300)의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장변 길이인 제1 길이(L1)일 수 있다. 즉,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신된 커버 윈도우(300)의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장변 길이는 제1 길이(L1)의 2배일 수 있다. 즉, 커버 윈도우(300)의 제1 방향(DR1) 장변 길이(L1)의 2배가 되도록 커버 윈도우(300)에 제1 방향(DR1) 타측(또는 제1 축)으로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따라 커버 윈도우(300)의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를 연신한 뒤, 1000초 유지한다.
이어서,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를 놓는 경우(또는 상기 인장력을 제거하는 경우), 커버 윈도우(300)의 회복률은 90% 이상일 수 있다. 즉,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신된 커버 윈도우(300)의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를 놓는 경우, 커버 윈도우(300)는 회복(RECOVERING)되는데, 줄어든 길이(LR)는 연신 길이인 제1 길이(L1)의 90% 이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신된 커버 윈도우(300)의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를 놓는 경우, 커버 윈도우(300)는 제1 길이(L1)의 10% 이내의 변형율을 갖는 것이다.
커버 윈도우(300)의 제1 소재(310)는 상술한 커버 윈도우(300)의 연신율(일축 연신율 및 이축 연신율)을 갖게 할 수 있고, 제2 소재(350)는 상술한 커버 윈도우(300)의 회복률을 갖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커버 윈도우(300)의 일축(또는 제1 축) 연신율 50% 이상, 이축(제1 축 및 제2 축) 연신율 20% 이상, 회복률(Revocery) 90% 이상을 만족하기 위해, 제1 소재(310)는 제1 모듈러스를 갖고, 제2 소재(350)는 제2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모듈러스가 클수록 회복률이 좋아지고, 모듈러스가 작을수록 연신율이 좋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모듈러스는 약 0.1Mpa 내지 약 500Mpa일 수 있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약 1Gpa 내지 약 50Gpa일 수 있다. 즉, 제1 소재(310)는 약 0.1Mpa 내지 약 500Mpa 범위를 갖는 상기 제1 모듈러스를 가짐으로써, 커버 윈도우(300)의 연신율을 개선하고, 제2 소재(350)는 약 1Gpa 내지 약 50Gpa 범위를 갖는 상기 제2 모듈러스를 가짐으로써, 커버 윈도우(300)의 회복력을 개선할 수 있다.
제1 소재(310) 및 제2 소재(350) 각각은 상술한 제1 및 제2 모듈러스를 만족하는 물질 중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소재(31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판덱스(Spandex), 폴리우레탄(PU),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EBA), 또는 나일론(Nylon)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모듈러스를 갖는 제2 소재(35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글래스 섬유(Glass fiber), 또는 폴리이미드(PI)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표시 패널(100)로부터 발광된 광은 커버 윈도우(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인되므로, 커버 윈도우(300)는 약 91%의 광 투과율(가시광선 파장 범위(380nm 내지 580nm)을 갖고, 황색도(Yellow Index)가 약 0.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커버 윈도우(300)는 제1 및 제2 소재(310, 350)각 직조되는 방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소재(310)와 제2 소재(350) 간 굴절률 매칭이 되야 한다.
예컨대, 제1 소재(310)는 제1 굴절률을 갖고, 제2 소재(350)는 제2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굴절률과 상기 제2 굴절률 간의 차이는 0.0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굴절률과 상기 제2 굴절률 간의 차이가 0.01 이하이면, 제1 소재(310)와 제2 소재(350)가 중첩하는 영역(제1 소재(310)와 제2 소재(350)가 직조되어 결합되는 영역)에서 표시 패널(100)로부터 발광된 광 경로 변화가 적어, 제1 소재(310)와 제2 소재(350)가 중첩하는 영역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굴절률은 1.5 내지 1.6일 경우, 상기 제2 굴절률은 1.49 내지 1.61이고, 상기 제2 굴절률이 1.55 내지 1.57일 경우, 상기 제1 굴절률은 1.54 내지 1.58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기재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300_1)는 기재층(360), 기재층(360)의 상부에 위치한 제1 평탄화층(370), 및 기재층(360)의 하부에 위치한 제2 평탄화층(3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에 따른 커버 윈도우(300)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 윈도우(300_1)는 기재층(360), 기재층(360)의 상부에 위치한 제1 평탄화층(370), 및 기재층(360)의 하부에 위치한 제2 평탄화층(38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360)은 도 3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커버 윈도우(30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재층(360)은 도 3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제1 소재(310) 및 제2 소재(3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기재층(360)은 제1 소재(310) 및 제2 소재(350)로 이루어져 있지만, 도 3 내지 도 6에 따른 커버 윈도우(300)와 골판지 구조(Corrugate Structure)를 갖는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상기 골판지 구조는 도 3 내지 도 6에 따른 커버 윈도우(300)의 직조 형성 후 별도의 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성형 공정은 소정의 열과 소정의 압력이 가해져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골판지 구조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즉, 기재층(360)은 중간층(365), 중간층(365)으로부터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361), 및 중간층(365)으로부터 하부로 오목하게 만입된 오목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볼록부(361)의 평면 형상 및 오목부(363)의 평면 형상은 각각 원형일 수 있다.
기재층(360)의 두께(T360)는 중간층(365), 볼록부(361), 및 오목부(363)에 무관하게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300_1)는 중간층(365), 중간층(365)으로부터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361), 및 중간층(365)으로부터 하부로 오목하게 만입된 오목부(363)를 포함함으로써, 커버 윈도우(300_1)의 연신율 및 회복률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볼록부(361) 및 오목부(36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재층(360)을 소정의 열과 소정의 압력으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361) 및 오목부(363)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본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볼록부(361) 및 오목부(363)의 배치 밀도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볼록부(361)의 배치 밀도가 오목부(363)의 배치 밀도보다 더 크거나, 오목부(363)의 배치 밀도가 볼록부(361)의 배치 밀도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기재층(360)은 볼록부(361)와 오목부(363)를 동시에 갖는 코러게이트(Corrugated) 구조를 갖는다. 다만, 커버 윈도우가 기재층(360) 만을 포함하게 되면, 볼록부(361) 및 오목부(363)를 갖는 기재층(360)의 코러게이트 구조가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따라서, 볼록부(361), 및 오목부(363)를 갖는 기재층(36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평탄화층(370, 380)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다만, 상부로부터 제1 평탄화층(370), 기재층(360), 및 제2 평탄화층(380) 각각의 계면에서 굴절률 차이가 소정의 굴절률 차이보다 크게 되면, 제1 평탄화층(370), 기재층(360), 및 제2 평탄화층(380) 각각의 계면이 시인되어, 표시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평탄화층(370), 및 제2 평탄화층(380) 각각의 굴절률은 기재층(360)의 굴절률과 0.01 이하의 차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평탄화층(370), 및 제2 평탄화층(380)은 각각 제3 모듈러스와 제4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3 및 제4 모듈러스는 각각 0.05Mpa 내지 500Mpa일 수 있다.
제1 평탄화층(370), 및 제2 평탄화층(380) 각각은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진은 고연신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연신 소재는 아실레이트(Acylate), 실리콘(Silicone), 또는 우레탄(Uretha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탄화층(370)과 제2 평탄화층(380)은 상호 동일할 수 있으나,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제1 평탄화층(370)의 상면과 제2 평탄화층(380)의 하면은 각각 평탄할 수 있다. 즉, 제1 평탄화층(370) 및 제2 평탄화층(380) 각각은 기재층(360)으로부터 형성되는 단차를 평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363) 상에서의 제1 평탄화층(370)의 두께(T370a)는 볼목부(361) 상에서의 제1 평탄화층(370)의 두께(T370c) 및 중간층(365) 상에서의 제1 평탄화층(370)의 두께(T370b)보다 각각 크고, 볼목부(361) 상에서의 제1 평탄화층(370)의 두께(T370c)는 중간층(365) 상에서의 제1 평탄화층(370)의 두께(T370b)보다 작을 수 있다.
오목부(363) 상에서의 제2 평탄화층(380)의 두께(T380c)는 볼목부(361) 상에서의 제2 평탄화층(380)의 두께(T380c) 및 중간층(365) 상에서의 제2 평탄화층(380)의 두께(T380b)보다 각각 작고, 볼목부(361) 상에서의 제2 평탄화층(380)의 두께(T380a)는 중간층(365) 상에서의 제2 평탄화층(380)의 두께(T380b)보다 더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볼록부 및 오목부의 다양한 평면 형상에 대해 보여준다.
도 18 내지 도 23은 기재층의 변형예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재층(360a)의 볼록부(361a) 및 오목부(363a)의 평면 형상이 삼각형이라는 점에서, 도 16에 따른 기재층(360)과 상이하다. 기재층(360a)은 볼록부(361a), 중간층(365a), 및 오목부(363a)를 포함한다. 이외 설명은 도 16 및 도 17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재층(360b)의 볼록부(361b) 및 오목부(363b)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이라는 점에서, 도 16에 따른 기재층(360)과 상이하다. 기재층(360b)은 볼록부(361b), 중간층(365b), 및 오목부(363b)를 포함한다. 이외 설명은 도 16 및 도 17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재층(360c)의 볼록부(361c) 및 오목부(363c)의 평면 형상이 오각형이라는 점에서, 도 16에 따른 기재층(360)과 상이하다. 기재층(360c)은 볼록부(361c), 중간층(365c), 및 오목부(363c)를 포함한다. 이외 설명은 도 16 및 도 17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재층(360d)의 볼록부(361d) 및 오목부(363d)의 평면 형상이 육각형이라는 점에서, 도 16에 따른 기재층(360)과 상이하다. 기재층(360d)은 볼록부(361d), 중간층(365d), 및 오목부(363d)를 포함한다. 이외 설명은 도 16 및 도 17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재층(360e)의 볼록부(361e) 및 오목부(363e)의 평면 형상이 팔각형이라는 점에서, 도 16에 따른 기재층(360)과 상이하다. 기재층(360e)은 볼록부(361e), 중간층(365e), 및 오목부(363e)를 포함한다. 이외 설명은 도 16 및 도 17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재층(360f)의 볼록부(361f) 및 오목부(363f)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이고, 중간층이 생략된다는 점에서, 도 16에 따른 기재층(360)과 상이하다. 이외 설명은 도 16 및 도 17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표시 패널
300: 커버 윈도우
310: 제1 소재
350: 제2 소재
360: 기재층
370: 제1 평탄화층
380: 제2 평탄화층

Claims (22)

  1.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소재;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재와 상기 제2 소재는 직조되고,
    상기 제1 소재는 제1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2 소재는 제2 모듈러스를 갖되,
    상기 제1 모듈러스는 0.1Mpa 내지 500Mpa 사이의 값을 갖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1Gpa 내지 50Gpa 사이의 값을 갖는 윈도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소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소재들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소재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윈도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재는 복수 개의 제2 소재들과 위아래로 엇갈려 직조되는 윈도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재는 복수 개의 제1 소재들과 위아래로 엇갈려 직조되는 윈도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재는 제1 굴절률을 갖고,
    상기 제2 소재는 제2 굴절률을 갖되,
    상기 제1 굴절률과 상기 제2 굴절률의 차이는 0.01 이하인 윈도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재의 제1 굴절률은 1.5 내지 1.6인 윈도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재의 제2 굴절률은 1.55 내지 1.57인 윈도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제1 축 연실율이 50% 이상인 윈도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1 축을 50% 이하로 연신하였을 경우,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의 연신율이 20% 이상인 윈도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제1 축으로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길이의 2배가 되도록 상기 윈도우에 상기 제1 축으로 인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1000초 동안 유지한 후 상기 인장력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윈도우의 회복률은 90% 이상인 윈도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380nm 내지 580nm에서 투과율은 91% 이상인 윈도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옐로우 인덱스(Yellow index)는 0.5 이하인 윈도우.
  13.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 및
    상기 스트레쳐블 표시 패널 상의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소재,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재와 상기 제2 소재는 직조되고,
    상기 제1 소재는 제1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2 소재는 제2 모듈러스를 갖되,
    상기 제1 모듈러스는 0.1Mpa 내지 500Mpa 사이의 값을 갖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1Gpa 내지 50Gpa 사이의 값을 갖는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재는 제1 굴절률을 갖고,
    상기 제2 소재는 제2 굴절률을 갖되,
    상기 제1 굴절률과 상기 제2 굴절률의 차이는 0.01 이하인 윈도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1 축을 50% 이하로 연신하였을 경우,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의 연신율이 20% 이상인 윈도우.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제1 축으로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길이의 2배가 되도록 상기 윈도우에 제1 축으로 인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1000초 동안 유지한 후 상기 인장력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윈도우의 회복률은 90% 이상인 윈도우.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380nm 내지 580nm에서 투과율은 91% 이상이고,
    상기 윈도우의 옐로우 인덱스(Yellow index)는 0.5 이하인 윈도우.
  18. 중간층;
    상기 중간층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볼록한 볼록부; 및
    상기 중간층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소재;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재와 상기 제2 소재는 직조되고,
    상기 제1 소재는 제1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2 소재는 제2 모듈러스를 갖되,
    상기 제1 모듈러스와 상기 제2 모듈러스는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윈도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배치된 제1 평탄화층, 및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배치된 제2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평탄화층, 및 상기 제2 평탄화층 각각의 굴절률은 상기 기재층의 굴절률과 0.01 이하의 차이를 갖는 윈도우.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화층, 및 상기 제2 평탄화층 각각의 모듈러스는 0.05Mpa 내지 500Mpa를 갖는 윈도우.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러스는 0.1Mpa 내지 500Mpa 사이의 값을 갖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1Gpa 내지 50Gpa 사이의 값을 갖는 윈도우.
  22. 제18 항에 있어서,
    평면상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는 교번하여 배치되는 윈도우.
KR1020210190951A 2021-12-29 2021-12-29 표시 장치 KR20230101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951A KR20230101985A (ko) 2021-12-29 2021-12-29 표시 장치
US17/879,897 US20230205273A1 (en) 2021-12-29 2022-08-03 Display device
PCT/KR2022/021346 WO2023128539A1 (ko) 2021-12-29 2022-12-27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951A KR20230101985A (ko) 2021-12-29 2021-12-29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985A true KR20230101985A (ko) 2023-07-07

Family

ID=8689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951A KR20230101985A (ko) 2021-12-29 2021-12-2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05273A1 (ko)
KR (1) KR20230101985A (ko)
WO (1) WO20231285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682B1 (ko) * 2012-06-26 2014-05-26 (주)네패스디스플레이 투명 전극 구조물을 가지는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5122A (ko) * 2014-04-02 2015-10-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615528B1 (ko) * 2014-07-30 2016-04-26 류승봉 복합구조 형태를 갖는 투명 플렉시블 전극
TW201843197A (zh) * 2017-04-26 2018-12-16 美商康寧公司 透明複合膜及包含其之撓性顯示裝置
KR20210025417A (ko) * 2019-08-27 2021-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KR20230023121A (ko) * 2021-08-09 2023-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539A1 (ko) 2023-07-06
US20230205273A1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326B1 (ko) 폴더블 표시장치
KR102404974B1 (ko) 표시 장치
KR102498621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601500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JP6391248B2 (ja) フレキシブル携帯端末装置
CN111445792A (zh) 显示装置
US20160227623A1 (en) Flexible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70213486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20210349497A1 (en) Display device
US20230165041A1 (en) Display device having a glass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20009841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01985A (ko) 표시 장치
KR102442043B1 (ko) 폴더블 표시장치
CN112669704A (zh) 显示装置
US11275280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3129744A (zh) 显示装置
TW202309619A (zh) 可撓式顯示裝置
CN113130588B (zh) 显示设备
KR102495305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30113544A1 (en) Display device
US1037188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13112923A (zh) 曲面盖板和可弯折显示装置
KR20210019637A (ko) 표시 장치
US11619968B2 (en) Display device
KR20200075363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