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414A - Pet tower - Google Patents

Pet t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414A
KR20230101414A KR1020210191505A KR20210191505A KR20230101414A KR 20230101414 A KR20230101414 A KR 20230101414A KR 1020210191505 A KR1020210191505 A KR 1020210191505A KR 20210191505 A KR20210191505 A KR 20210191505A KR 20230101414 A KR20230101414 A KR 20230101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tower
ro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5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남기
유현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414A/en
Publication of KR2023010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4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8Floor hea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타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하우징모듈(100)과,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배치되는 공기토출장치(2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토출장치(200)에서 토출된 공기는 에어덕트(360) 내부의 공기유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모듈(100)로부터 상기 에어덕트(360)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400)가 상기 에어덕트(360)를 둘러쌀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는 공기토출장치(200)와 에어덕트(360)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module 100 and an air discharge device 200 disposed in the housing module 100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device 200 may move through an air flow path inside the air duct 360 . At this time, a rod 400 extending from the housing module 10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ir duct 360 may surround the air duct 360 . As such, the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air discharge device 200 and the air duct 360.

Description

반려동물용 타워{Pet tower} Pet tower {Pet tower}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타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은 주로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동물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반려동물을 건강하게 사육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의 놀이 시설로 캣타워(cat tower) 또는 캣트리(cat tree), 캣 휠(cat wheel) 등이 있다. In general, a companion animal refers to an animal that mainly lives with people indoors, and various devices for breeding such companion animals in a healthy way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cat towers, cat trees, cat wheel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play facilities for cats.

일반적으로 캣타워(cat tower) 또는 캣트리(cat tree)는 반려묘들이 높은 곳을 오르거나 내려가는 것과 숨는 것을 즐기는 습성을 이용한 놀이 시설물이다. 이러한 캣타워는 반려묘가 놀 수 있도록 탑처럼 높게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를 위해서, 캣타워는 소정 높이로 형성된 기둥에 다수의 판재가 층상으로 고정되어 있고, 기둥에는 반려묘가 숨을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기도 한다. In general, a cat tower or cat tree is an amusement facility that uses the habit of cats climbing or descending high places and enjoying hiding. These cat towers are often built as tall as towers for cats to play in. To this end, in the cat tower, a plurality of plate materials are fixed in layers to a pillar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pace in which a cat can hide is sometimes provided in the pillar.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2198972호(선행문헌1)에는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고양이가 선호하는 높이와 위치를 추정하여 캣타워 구조를 가변하는 캣타워가 공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79210호(선행문헌2)에는 기존 창틀에 고정하는 방식의 캣타워가 공개되어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98972 (Prior Document 1) discloses a cat tower that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cat tower by estimating the height and position preferred by the cat by analyzing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or.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9210 (Prior Document 2) discloses a cat tower fixed to an existing window frame.

그런데 종래의 캣타워는 반려묘의 놀이공간을 제공할 뿐이며, 그밖에 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특히, 캣타워는 다른 놀이 기구나 놀이 시설에 비해 실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반려묘의 편의를 위한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However, conventional cat towers only provide a play space for cats, and have limitations in not providing other functions. In particular, since the cat tower occupies a large volume indoors compared to other play equipment or play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diverse functions for the convenience of cats.

미국 공개특허 US 2017/0027131 Al(선행문헌3)와 중국 공개특허 CN 107410072 A(선행문헌4)에는 반려동물이 머물 수 있는 케이지의 내부에 히터를 통해 온기를 제공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3과 선행문헌4의 기술은 단순히 빈 공간 내부에 온기를 제공하는데 그치고, 캣타워와 같이 반려묘의 놀이공간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US Patent Publication US 2017/0027131 Al (Prior Document 3) and Chinese Patent Publication CN 107410072 A (Prior Document 4) disclose a technology for providing warmth through a heater to the inside of a cage in which a companion animal can stay. However, the technologies of Prior Documents 3 and 4 merely provide warmth to the inside of an empty space, and do not provide a play space for cats like a cat tower.

(선행문헌1) 한국 등록특허 제10-2198972호(Prior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98972 (선행문헌2)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79210호(Prior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9210 (선행문헌3) 미국 공개특허 US 2017/0027131 Al(Prior Document 3) US Patent Publication US 2017/0027131 Al (선행문헌4) 중국 공개특허 CN 107410072 A(Prior Document 4) Chinese Patent Publication CN 107410072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주변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that can appropriately control the ambient temperature so that companion animals feel comfortab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워의 상부와 하부에서 모두 고르게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uniform temperature control at both the top and bottom of the tow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워의 에어덕트를 통해 공기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열손실을 줄이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heat loss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air through the air duct of the tow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덕트의 표면에 생성된 응결수를 모아 증발시키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and evaporat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air duc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는 하우징모듈과, 상기 하우징모듈에 배치되는 공기토출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토출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는 에어덕트 내부의 공기유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모듈로부터 상기 에어덕트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가 상기 에어덕트를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워는 상기 공기토출장치와 상기 에어덕트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고, 반려동물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타워의 내부 및 주변온도가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module and an air discharge device disposed in the housing modul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device may move through an air flow path inside the air duct. At this time, a rod extending from the housing modu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ir duct may surround the air duct. The temperature of the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air discharge device and the air duct, and the interior and ambient temperatures of the tower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so that companion animals can feel comfortable.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는 복수개의 덕트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은 상기 에어덕트의 전체 길이를 늘려, 본 발명의 타워에서 보다 넓은 범위의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lso, the air duc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ucts, and the plurality of ducts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ducts can increase the total length of the air duct, enabling a wider range of temperature control in the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에어덕트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에어덕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에어덕트들은 각각 타워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워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duc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air ducts extending in parallel in the same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ducts may extend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to form a skeleton of the tower.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에어덕트의 전체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Also, the plurality of ducts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The plurality of ducts may have a variable overall height while overlapping or spreading each other. Through this, the overall height of the air duct can be varied.

또한,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 중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덕트는 이웃한 상부의 덕트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덕트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들이 덕트들 사이의 이음새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Also, among the plurality of ducts, a duct relatively closer to the lower end of the rod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a duct of an upper adjacent duct. Accordingly, leakage of air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air duct through the joint between the ducts can be reduced.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 중 어느 하나의 덕트에는 결합리브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덕트와 겹쳐지는 다른 덕트에는 상기 결합리브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리브와 상기 결합홈은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덕트들이 서로 상대회전되지 않고, 일종의 골격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Also, a coupling rib may protrude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ucts.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oupling rib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another duct overlapping the duct. In addition, the coupling rib and the coupling groove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duct. Accordingly, the durability of the companion animal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reased by forming a kind of skeleton without the plurality of ducts being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에어덕트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토출장치에서 배출된 공기를 흡입하는 덕트팬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팬은 상기 에어덕트의 하단에까지 공기를 원활하게 전달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duct fan for sucking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device may be disposed above the air duct. The duct fan can smoothly deliver air to the lower end of the air duct.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덕트헤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에는 상기 에어덕트를 구성하는 덕트들 보다 직경이 큰 팬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덕트팬은 상기 팬가이드의 안쪽에는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uct head disposed below the housing module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ir duct. A fan guid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ducts constituting the air duct may be provided in the duct head, and the duct fan may be disposed inside the fan guide.

또한, 상기 팬가이드에는 상기 팬가이드의 가이드공간을 상기 팬가이드의 외부와 연결하는 연통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슬릿을 통해 상기 덕트팬으로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mmunication slit may be formed in the fan guide to connect the guide space of the fan guide to the outside of the fan guide. Air may be more smoothly supplied to the duct fan through the communication slit.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 및 상기 로드는 상기 로드의 내부에 배치된 승강장치에 각각 고정되어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타워는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duct and the rod may be respectively fixed to an elevating device disposed inside the rod so as to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Therefore, the h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또한, 상기 에어덕트에는 공기토출관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기토출관은 상기 에어덕트로부터 상기 시트부 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부에 머물고 있는 반려동물에게 쾌적한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Also, an air discharge pipe may be provided in the air duct, and the air discharge pipe may branch from the air duct toward the seat por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temperature to the companion animal staying in the seat part.

그리고, 상기 로드의 내면과 상기 에어덕트의 외면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로드의 내면과 상기 에어덕트의 외면 사이에는 단열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에어덕트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an inner surface of the rod and an outer surface of the air duc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 heat insul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ro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duct. Through this, heat loss of the air duct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에어덕트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모듈을 향해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에어덕트의 타단부는 상기 에어덕트의 일단부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Also, one end of the air duct may be opened toward the housing module, and the other end of the air duct may be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air duct.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모듈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에어덕트의 타단부에는 물받이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덕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덕트들 중에서 가장 하부에 배치된 덕트의 상단부는 승강장치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물받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하부에 배치된 덕트를 포함하여 에어덕트 자체가 일종의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덕트를 감싸는 로드가 승강될 때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lso, one end of the air duct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module, and a drip tray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duct.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duct disposed at the lowermost part among the plurality of ducts constituting the air duct may be connected to the elevating device and the low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drip tray. Therefore, the air duct itself, including the duct disposed at the lowermost part, can form a kind of support structure, and when the rod surrounding the duct is lifted, it can be moved up and down stably without flow.

또한, 상기 물받이부에는 집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의 타단부는 상기 집수공간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는 에어덕트의 표면에 생성된 후에 낙하하는 응결수를 모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응결수가 바닥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water collecting space may be formed in the water receiving part. The other end of the air duct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llecting space. The drip tray may collect condensed water that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ir duct and then fall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densed water from directly falling to the floor.

그리고, 상기 물받이부에는 상기 에어덕트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결합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보스에는 상기 공기유로에 연결되고 외부로 개방되는 하단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water receiv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bos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duct. At this time, a lower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air flow path and open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boss.

또한, 상기 에어덕트의 하단부와 상기 결합보스의 사이에는 트레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트레이유로를 통해 상기 집수공간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유로를 통해 상기 물받이부에 공급된 공기는 물받이부에 모인 응결수를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tray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air duct and the coupling boss, and a portion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may be supplied to the collecting space through the tray passage. The air supplied to the drip tray through the tray passage can quickly evaporate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drip tray.

그리고, 상기 물받이부에는 상기 집수공간을 외부와 연결하는 트레이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ray outlet connecting the water collecting space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in the drip tray.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examin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타워는 공기토출장치와 에어덕트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토출장치는 반려동물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타워의 내부 및 주변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by an air discharge device and an air duct. Such an air discharge device can appropriately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and around the tower so that companion animals can feel comfortab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companion animals.

그리고, 본 발명에는 공기토출장치와 연결된 에어덕트가 타워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고, 공기토출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는 에어덕트의 내부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냉기 또는 온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타워의 하단까지 전달될 수 있고, 타워의 높이 방향을 따라 온도를 고르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duct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device may extend lo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an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device may move through the inside of the air duct. Therefore, cold air or warm air can be transm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tower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and the temperature can be evenly controll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특히, 본 발명에서 에어덕트는 로드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에어덕트와 로드 사이에는 단열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에어덕트가 직접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에어덕트에 외기가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워의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uct may be surrounded by the rod, and a heat insulation space may be created between the air duct and the rod. Accordingly, the air duct may not be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heat loss may be reduced by preventing outside air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air duct. As a result,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tower can be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에어덕트는 복수의 덕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덕트들은 서로 직경을 달리하여 중첩되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덕트의 높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워 전체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uc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ucts. A plurality of ducts may be overlapped or expanded by having different diameters.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air duct and the height of the entire tower including the air duct can be varied.

이때,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된 덕트의 직경이 위에 배치된 덕트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덕트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들이 덕트들 사이의 이음새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duct disposed relatively lower may be formed larger than that of the duct disposed above. Accordingly, leakage of air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air duct through the joint between the ducts can be reduced.

그리고, 에어덕트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덕트들 중 어느 하나의 덕트에는 결합리브가 돌출될 수 있고, 이와 겹쳐지는 다른 덕트에는 결합리브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덕트들이 서로 상대회전되지 않고, 일종의 골격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a coupling rib may protrude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ducts constituting the air duct, and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oupling rib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another duct overlapping with the coupling rib. Therefore, the plurality of ducts do not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nd form a kind of skeleton,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companion animal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본 발명에서 에어덕트를 구성하는 덕트들 중 가장 하부에 배치된 덕트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승강장치 및 물받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가장 하부에 배치된 덕트는 양단이 모두 다른 부품에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하부에 배치된 덕트를 포함하여 에어덕트 자체가 일종의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덕트를 감싸는 로드가 승강될 때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uct disposed at the lowermost part among the ducts constituting the air duct may be connected to the elevating device and the drip tray, respectively. In this way, both ends of the duct disposed at the lowermost part may be fixed to other parts. Therefore, the air duct itself, including the duct disposed at the lowermost part, can form a kind of support structure, and when the rod surrounding the duct is lifted, it can be moved up and down stably without flow.

또한, 에어덕트는 타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에어덕트에서 분기된 복수의 공기토출관들은 시트부들마다 냉기나 온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시트부들에 각각 냉기와 온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이 머무는 위치마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공기토출관을 통해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Also, the air duct may exten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and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s diverging from the air duct may discharge cold air or warm air from each seat por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ld and warm air to a plurality of seat parts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a comfortable environment can be provided at each position where the companion animal stay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several companion animals through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s.

그리고, 본 발명에서 에어덕트의 하단부는 아래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타워의 내부 또는 시트부에 머무는 반려동물 뿐 아니라, 타워의 아래쪽에 있는 반려동물들에게도 쾌적한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air duct may be opened downwar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temperature not only to companion animals staying inside the tower or to the seat portion, but also to companion animals located below the tower.

또한, 본 발명에서 에어덕트의 하단부에는 물받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물받이부는 에어덕트의 표면에 생성된 후에 낙하하는 응결수를 모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응결수가 바닥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receiving portion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duct. The drip tray may collect condensed water that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ir duct and then fall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densed water from directly falling to the floor.

그리고, 에어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트레이유로를 통해 물받이부에 공급될 수 있다. 물받이부에 공급된 공기는 물받이부에 모인 응결수를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응결수가 물받이부에 오래동안 고여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위생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air moving along the air duct may be supplied to the drip tray through the tray passage. The air supplied to the water gutter can quickly evaporate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gut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ensed water from being stored in the drip tray for a long time, an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sanitation.

또한, 본 발명에서 물받이부에는 하부센서가 배치될 수 있고, 하부센서는 타워 하단부의 공기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센서는 타워 하단부의 온도나 습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어부는 측정된 데이터를 가지고 타워 전체의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sensor may be disposed in the drip tray, and the lower sensor may measure the air con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tower. For example, the lower sensor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lower part of the tower, and the control unit can appropriat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tower with the measured data.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가 실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VII-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단열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조절장치가 케이스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덕트가이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와 도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XVI-XV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서 케이스와 에어덕트의 상단부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에어덕트의 상단부와 덕트팬이 서로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조절장치와 로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조절장치와 덕트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9는 도 14에서 케이스와 제1덕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0은 도 14에서 제2덕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1은 도 14에서 제3덕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로드의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3은 도 22에서 로드를 제거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에어덕트의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덕트 및 제2덕트가 중첩된 부분과, 제2덕트와 제3덕트가 중첩된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덕트 내지 제3덕트가 중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승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 중 제1승강모터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의 하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승강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0은 도 1의 XXX-XXX'선에 대한 단면도.
도 31은 도 30에서 스토퍼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에서 스토퍼커버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에서 스토퍼커버가 생략되고, 스토핑액츄에이터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에서 스토퍼커버가 생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가 제1로드의 제1스텝프레임에 걸리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3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로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로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제3로드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에 제3덕트의 하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제3로드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도 40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제3로드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시트조립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시트조립체의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시트조립체 중 시트브라켓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시트브라켓의 가이드돌기가 시트프레임의 가이드포켓에 삽입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시트프레임의 조립돌기가 시트브라켓의 완충부재를 누르고 있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의 또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doors.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cas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cas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ure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1;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t insulating memb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l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from the case.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guid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ructures of an inner case and a do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do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do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VI-XVI' of Fig. 1;
1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case and the air duct in FIG. 14;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end of an air duc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uct fan are disassembled from each other;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mperature controller and a rod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mperature controller and a duct assembl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se and the first duct in FIG. 14;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duct structure in FIG. 14;
2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duct structure in FIG. 14;
22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how the total length of a rod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2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how the rod is removed from FIG. 22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air duc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2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verlapping portion of a first duct and a second duct and an overlapping portion of a second duct and a third duc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rst to third duc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verlapped.
26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lifting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of a first lifting motor of the first lifting device shown in FIG. 26;
2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structure of the first elevator device shown in FIG. 26;
2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cond lifting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0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XX-XXX' in FIG. 1;
3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cover is removed in FIG. 30;
3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the stopper cover in the first stopper assembl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cover is omitted and the stopping actuator is disassembled in the first stopper assembl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cover is omitted from the first stopper assembl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stopper assembl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stopper assembl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of the first rod.
3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rod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rod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y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assembled state of a tray par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third rod;
4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wer end of a third duct is connected to a tray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par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from the third rod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40;
4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third rod;
4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at assembl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s of a seat assembl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ploded state;
4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at bracket among seat assemblie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protrusion of a seat bracke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ed into a guide pocket of a seat frame;
Figure 4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protrusion of the seat fram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es the buffer member of the seat bracket.
4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타워(이하 "타워"라 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워는 반려동물이 머물거나 이동할 수 있는 공간과 발판을 제공할 수 있고, 반려동물에게 적절한 온도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워는 여러 종류의 반려동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 뿐 아니라, 개, 다람쥐, 새 등 다양한 동물을 위해 본 발명의 타워가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wer"). The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pace and a foothold for companion animals to stay or move, and can provide an appropriate temperature environment for companion animals. The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several types of companion animals. For example, the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cats but also for various animals such as dogs, squirrels, and birds.

이때, 타워에는 냉각된 공기(이하 '냉기'라 함) 또는 가열된 공기(이하 '온기'라 함)가 공급될 수 있다. 타워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온도조절장치(200)에 의해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타워의 하우징공간(S) 뿐 아니라, 에어덕트(360)를 따라 타워의 하부에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 중에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과, 냉기/온기의 흐름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cooled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ld air') or heated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rm air') may be supplied to the tower. In the tower, cool air or warm air generated by the thermostat 20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delivered to the lower part of the tower along the air duct 360 as well as the housing space S of the tower. Hereinafter, among the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a flow structure of cold air/warm air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을 보면, 본 실시례의 타워의 상부에는 하우징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고, 하우징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타워의 상단에 위치하지만, 이와 달리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타워의 중간 부분이나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housing module 100 may be disposed above the tower of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module 100 and a housing space S may be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module 10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tower, but unlike this,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disposed at the middle or bottom of the tower.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i)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되는 부분일 수 있고, (ii) 반려동물에게 상기 하우징공간(S)을 제공할 수 있으며, (iii) 타워가 설치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module 100 (i) can be a part where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is installed, (ii) can provide the housing space (S) for companion animals, (iii) It can also serve as a fixture to keep the tower fixed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대략 육면체형상일 수 있으나,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곡면형태의 외관을 가지거나, 정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형상과 부피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외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housing module 10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but the shape of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variously modified. The housing module 100 may have a curved exterior or may have a regular hexahedron shape. The shape and volume of the space formed inside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housing module 100 .

도 2에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을 구성하는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입구가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공간(S)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도어(150)가 개방되면, 반려동물은 상기 하우징공간(S)의 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공간(S)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도어(150)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개폐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여닫힐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는 타워의 가장 높은 위치에 하우징공간(S)이 마련되므로, 높은 곳으로 올라가려는 습성을 가진 고양이 등 반려동물들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2 shows the door 150 constituting the housing module 100 in an open state. In FIG. 2, the entrance of the housing space (S) is opened so that the housing space (S)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oor 150 is opened, the companion animal may enter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entrance of the housing space S. The door 150 may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As such,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ousing space (S) is provided at the highest position of the tower,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fort to companion animals such as cats who have a habit of going up to high places.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하부에는 로드(400)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드(400)는 하우징모듈(100)의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높이 보다 전체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4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시트조립체(900)가 고정되는 위치일 수 있고, 또한 상기 로드(400)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로드(400)는 복수개의 로드들(500,600,700)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로드조립체(400)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로드들(500,600,700)에는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의 시트조립체(9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A rod 400 may extend below the housing module 100 . The rod 400 may extend downward of the housing module 100 and may have an overall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housing module 100 . The rod 400 may be a position where a seat assembly 900 to be described below is fixed, and air may flow through the inside of the rod 400 .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rod 4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ds 500, 600, and 700, it may be viewed as a rod assembly 4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at assemblies 900 may be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rods 500 , 600 , and 700 at different heights.

도 3을 보면, 본 실시례의 타워가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와 같이 타워는 천장(C)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도 3(b)와 같이 천장(C)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타워는 아래에서 설명될 설치브라켓(190)을 통해서 벽면(W)에 설치되거나 천장(C)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b)와 같이 상기 타워가 천장(C)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면,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상면도 반려동물이 머물 수 있는 하나의 안착부가 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 3, it is shown that the tower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3 (a), the tower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C), or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ceiling (C) as shown in FIG. 3 (b). In this embodiment, the tower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W) or the ceiling (C) through the installation bracket 190 to be described below. When the tower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C) as shown in FIG. 3 (b),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odule 100 may also become a seating portion for companion animals.

본 실시례의 타워는 바닥(지면, G)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타워가 벽면(W) 또는 천장(C)에 설치됨에 따라 타워의 하단부(트레이부(800))는 바닥(G)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닥(G)의 가용면적이 늘어날 수 있다. 물론, 타워의 하단부가 바닥(G)에 지지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K1은 상기 타워가 바닥(G)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이고, K2는 천장(C)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The tower in this embodimen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ground, G). As the tower is installed on the wall (W) or ceiling (C), the lower end (tray part 800) of the tower can be separated from the floor (G). Accordingly, the usable area of the floor G may be increased. Of course, the lower end of the tower may be supported on the floor (G). Reference numeral K1 is the distance the tower is spaced from the floor (G), and K2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ceiling (C).

도 4를 보면, 타워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타워의 하부에는 로드조립체(400)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드조립체(400)는 상하방향, 즉 타워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길이가 가장 긴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길이 조절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ure 4, a side view of the tower is shown. A rod assembly 400 may extend below the tower. The rod assembly 40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rod assembly 400 is the longest, the length adjustment structure of the rod assembly 400 will be reviewed again below.

본 실시례에서 타워에는 총 5개의 안착면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시트부(918,9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918,920)들은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918,920)는 다시 스텝스테이션(918)와, 시트스테이션(920)로 나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five seating surfaces may be provided on the tower. The seating surfaces may be formed on upper surfaces of the seat parts 918 and 920 to be described below.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The seat parts 918 and 92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 step station 918 and a seat station 920.

상기 로드조립체(400)는 총 3부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제1구역(A)은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바로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로드조립체(400)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역의 아래에는 제2구역(B)과 제3구역(C)이 차례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구역(A)은 후술할 제1로드(500)의 높이에 대응하고, 상기 제2구역(B)은 제2로드(600)의 높이에 대응하며, 상기 제3구역(C)은 제3로드(700)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역 내지 제3구역의 전체 높이인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높이는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높이가 가변되는 과정에서 상기 시트부(918,920)의 높이도 함께 가변될 수 있다. The rod assembly 400 may be divided into three parts.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area A may be disposed right below the housing module 100 and is at the highest position among the rod assemblies 400 . And, below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B) and the third area (C) may be sequentially followed. The first zone (A)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first rod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zone (B)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second rod 600, and the third zone (C) It may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third rod 700.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rod assembly 400, which is the total height of the first to third areas, may be variable.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varying the height of the rod assembly 400, the height of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may also be varied.

도 5와 도 6에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가장 바깥쪽 표면을 구성하는 케이스커버(11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커버(110)의 안쪽에는 아웃케이스(120)와 이너케이스(130)가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20)와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사이에는 단열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5 and 6 show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ousing module 100 in an exploded state. The housing module 100 may include a case cover 110 constituting an outermost surface of the housing module 100, and an outer case 120 and an inner case ( 130) can be accommodated. In addition, a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30 .

여기서, 상기 케이스커버(110), 아웃케이스(120), 이너케이스(130) 및 단열부재(160)는 하나의 케이스를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하우징공간(S)이 마련되고, 후술할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case cover 110, the outer case 120, the inner case 130, and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constitute one case. A housing space (S) is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2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먼저 상기 케이스커버(110)를 보면, 상기 케이스커버(1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110)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모듈(100)이 설치위치, 예를 들어 벽면(W)이나 천장(C)에 설치될 때 설치면과 맞닿게 된다. 물론, 상기 설치브라켓(190)을 통해 상기 하우징모듈(100)이 설치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나, 상기 설치브라켓(190)이 생략되고 상기 케이스커버(110)가 설치면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 상기 케이스커버(11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Looking at the case cover 110 first, the case cover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e case cover 110 may configure the exterior of the housing module 100, and when the housing module 100 is installed on a wall surface (W) or ceiling (C),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come into contact Of course,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through the installation bracket 190, but the installation bracket 190 may be omitted and the case cover 110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For stable fixation, the case cover 1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상기 케이스커버(110)는 커버하판(111), 커버측판(113), 커버상판(116) 및 커버후판(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11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커버하판(1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열부재(160)의 연결플랜지(169)가 배치되는 커버개방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개방홀(112)은 상기 케이스커버(110)의 전면까지 연장되고,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The case cover 110 may include a lower cover plate 111 , a cover side plate 113 , a cover upper plate 116 , and a cover back plate 118 .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cover 110 is open, and a cover opening hole 112 in which a connection flange 169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to be described below is disposed may be formed in the lower cover plate 111. The cover opening hole 112 extend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cover 110 and may open forward.

상기 커버측판(113)에는 커버측판홀(114,115)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측판홀(114,115) 중 제1측면홀(114)은 상기 케이스커버(110) 및 하우징모듈(100)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여기에 디스플레이(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측면홀(115)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Cover side plate holes 114 and 115 may be opened in the cover side plate 113 . The first side hole 114 among the cover side plate holes 114 and 115 can reduce the total weight of the case cover 110 and the housing module 100, and a display (not shown) or the like may be disposed t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ide hole 115 .

상기 커버상판(116)에는 커버상판홀(117)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후술할 제어부(180)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접근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상판홀(117)은 생략되고, 상기 커버상판(116) 전체가 막힌 구조일 수도 있다. A cover top plate hole 117 may be opened in the cover top plate 116 . A control unit 18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exposed through the cover upper plate hole 117 . The controller 180 may be accessed through the hole 117 of the cover top plate. Of course, the cover top plate hole 117 may be omitted, and the entire cover top plate 116 may have a blocked structure.

상기 케이스커버(110)의 안쪽에는 아웃케이스(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12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와 단열부재(160)를 감쌀 수 있고,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120)는 상기 케이스커버(110)와 마찬가지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그 형상과 크기는 변경될 수도 있다. An outer case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cover 110 . The outer case 120 may cover the inner case 130 and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and may form a skeleton of the housing module 100 . The outer case 12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like the case cover 110, but its shape and size may be changed.

상기 아웃케이스(120)는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120)는 바닥면과 후면이 각각 생략되고, 생략된 부분에는 케이스개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개방부(122)에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와 상기 단열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전면은 개방되어 전면개방부(12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개방부(124)는 상기 도어(150)가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120 may be opened. The bottom and rear surfaces of the outer case 120 may be omitted, and the case opening 122 may be formed at the omitted portion. The inner case 130 and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disposed in the case opening 122 . Also,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may be opened to form a front open portion 124 . The front opening part 124 may be a part where the door 150 is disposed.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아웃측판(123)에는 아웃측판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측판홀(125)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상판(126)에는 아웃상판홀(127)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아웃상판홀(127)을 통해서 상기 제어부(180)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아웃상판홀(127)과 앞서 설명한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접근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웃상판홀(127)은 생략되고, 상기 아웃상판(126) 전체가 막힌 구조일 수도 있다. An outer plate hole 125 may be formed in the outer plate 123 of the outer case 120 .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outer plate hole 125 . In addition, an outer top plate hole 127 may be opened in the outer top plate 126 . The controller 180 may be exposed through the outer top plate hole 127 . The controller 180 can be accessed through the outer top plate hole 127 and the cover top plate hole 117 described above. Of course, the outer top plate hole 127 may be omitted, and the entire outer top plate 126 may have a blocked structure.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앞쪽 하부에는 도어지지단(12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지지단(129)은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앞쪽 하부, 즉 상기 전면개방부(124)의 아래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지지단(129)은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하단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지지단(129)은 상기 도어(150)가 열릴 때 상기 도어(1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a door support end 129 may be provid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120 . The door support end 129 may be provided at a lower front portion of the outer case 120, that is,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opening portion 124. The door support end 129 may protrude forward along the lower end of the outer case 120 . The door support end 129 may serve to support the door 150 when the door 150 is opened.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안쪽에는 이너케이스(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30)는 그 내부에 상기 하우징공간(S)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전달되도록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30)는 상기 아웃케이스(120)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An inner case 1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er case 120 . The inner case 130 may form the housing space S therei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so that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is delivered. The inner case 1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er case 120 by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outer case 120 .

상기 이너케이스(130)는 이너하판(131), 이너측판(133), 이너상판(136) 및 이너후판(1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전면은 개방되어 출입구(134)가 될 수 있고, 개방된 상기 출입구(134)는 상기 도어(15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이너하판(131), 이너측판(133), 이너상판(136) 및 이너후판(138)에 의해 둘러싸인 안쪽에는 상기 하우징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case 130 may include an inner lower plate 131 , an inner side plate 133 , an inner upper plate 136 , and an inner thick plate 138 . A front surface of the inner case 130 may be opened to become an entrance 134 , and the opened entrance 134 may be shielded by the door 150 . The housing space (S) may be formed inside surrounded by the inner lower plate 131, the inner side plate 133, the inner upper plate 136, and the inner thick plate 138.

상기 이너하판(131)의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하판(131)에는 하부개방홀(132)이 관통될 수 있고, 상기 하부개방홀(132)에는 연통캡(DC)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연통캡(DC)은 상기 하부개방홀(132)을 가로막되, 상기 연통캡(DC)에 형성된 캡홀(DC')을 통해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연통캡(DC)은 상기 캡홀(DC')을 통해 연통로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연통로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의 공기는 아래쪽, 즉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연통캡(DC)가 생략되고 상기 캡홀(DC')은 상기 이너하판(131)에 직접 형성된 하부개방홀(132)의 일부일 수도 있다. A part of the inner lower plate 131 may be opened. Referring to FIG. 7 , a lower open hole 132 may pass through the inner lower plate 131 , and a communication cap DC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open hole 132 . The communication cap DC blocks the lower open hole 132, and air can flow through the cap hole DC' formed in the communication cap DC.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communication cap DC forms a communication passage through the cap hole DC'.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the air in the housing space (S) can move down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duct assembly (300).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cap DC may be omitted and the cap hole DC′ may be a part of the lower open hole 132 formed directly on the inner lower plate 131 .

상기 출입구(134)의 하부에는 도어장착부(134a, 도 9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장착부(134a)는 상기 출입구(134)의 아래쪽에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도어장착부(134a)에는 상기 도어(150)의 도어회전축(153)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장착부(134a)에는 축설치부(138, 도 9 및 도 11참조)가 구비되고, 상기 축설치부(138)에 상기 도어회전축(153)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축설치부(138)는 상기 도어장착부(134a)의 양쪽 끝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축설치부(138)에는 상기 도어회전축(153)의 양단이 각각 끼워질 수 있다. A door mounting portion 134a (see FIG. 9)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ntrance 134. The door mounting portion 134a may be a portion extending below the entrance 134 . The door rotation shaft 153 of the door 150 may be installed in the door mounting part 134a. More precisely, a shaft installation portion 138 (see FIGS. 9 and 11 ) is provided in the door mounting portion 134a, and the door rotation shaft 153 can be inserted into the shaft installation portion 138. The shaft installation parts 138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oor mounting part 134a, and both ends of the door rotation shaft 153 may be fitted into the pair of shaft installation parts 138, respectively.

도 5를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측판(133)에는 측면연통홀(135)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측면연통홀(135)은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측면연통홀(135)에는 후술할 덕트가이드(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덕트가이드(260)를 거쳐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전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side communication hole 135 may be opened in the inner side plate 133 of the inner case 130 .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35 may be a portion where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is disposed. A duct guide 26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35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elivered to the housing space S via the duct guide 260 .

도 9를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130)에는 모터장착부(1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아래에서 설명될 개폐모터(140)가 장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상기 이너측판(133) 중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상기 도어장착부(134a)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한 쌍의 상기 이너측판(133) 중 한 쪽에 배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되는 이너측판(133)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이너측판(133)에 구비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9 , a motor mounting portion 137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case 130 . The motor mounting part 137 may be a part where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The motor mounting part 137 may be formed by opening a part of the inner side plate 133 of the inner case 130 . The motor mounting part 137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oor mounting part 134a. In this embodiment, the motor mounting part 137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inner side plates 133, and more precisely, it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nner side plate 133 where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is disposed. Unlike this, the motor mounting part 137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plate 133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케이스(130)에는 도어스토퍼(13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상기 도어(150)가 회전을 통해 열릴 때 도어(150)의 최대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상기 도어(150)에 구비된 회전구동부(155)를 걸어 도어(150)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a door stopper 139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case 130 . The door stopper 139 may serve to limit the maximum rotation angle of the door 150 when the door 150 is opened through rotation. The door stopper 139 may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door 150 by engaging the rotation driving unit 155 provided on the door 150 .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측판(133)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상기 하우징공간(S)을 향한 상기 이너측판(133)에 내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양쪽의 이너측판(133)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상기 도어(150)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구동부(155)를 각각 걸어줄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전구동부(155)에 연결된 연결암(156)과 상기 도어스토퍼(139)가 서로 간섭될 수 있다. The door stopper 139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plate 133 of the inner case 130 . More precisely, the door stopper 139 may protrude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side plate 133 toward the housing space (S). The door stoppers 139 may be provided on both inner side plates 133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The pair of door stoppers 139 may respectively hang the pair of rotation driving units 155 provided on the door 150 . More precisely, the connection arm 156 connected to the rotary driving unit 155 and the door stopper 139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대략 삼각형 또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의 측면에 형성된 평면구간은 상기 도어(150)의 회전구동부(155)의 연결암(156)에 구비된 걸림면(156')에 맞닿아 상기 도어(15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대략 원호형상인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회전구동부(155)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가 부채꼴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도어스토퍼(139)의 곡면부분이 상기 회전구동부(155)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회전을 안내할 수도 있다. The door stopper 139 may have a substantially triangular or sectoral shape. The flat section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stopper 13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surface 156' provided on the connection arm 156 of the rotary drive unit 155 of the door 150 to prevent rotation of the door 150. can be limited The door stopper 139 may be disposed inside the rotation driving unit 155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arc shape, and may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driving unit 155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155 . When the door stopper 139 has a fan shape, a curved portion of the door stopper 139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rotation driving unit 155 to guide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155 .

상기 이너케이스(130)에는 개폐모터(1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모터(140)는 상기 도어(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폐모터(14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상기 모터장착부(137)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모터(140)는 상기 모터장착부(137)의 가장자리에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구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모터(140)는 상기 도어(150)의 회전구동부(155)와 함께 도어개폐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An opening/closing motor 14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case 130 .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may provide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door 150 .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may be disposed on the motor mounting part 137 of the inner case 130 .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may be fastened to an edge of the motor mounting portion 137 using fasteners such as bolts (not shown).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may constitute a door opening/closing device together with the rotation driving unit 155 of the door 150 .

상기 개폐모터(140)에는 개폐기어(14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어(145)는 상기 도어(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폐모터(1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어(145)는 상기 모터장착부(137)를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어(145)가 회전하면, 상기 개폐기어(145)에 맞물린 상기 도어(150)의 회전구동부(155)가 회전될 수 있다. An opening/closing gear 145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 The opening/closing gear 145 is for rotating the door 150 and can be rotated by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 The opening/closing gear 145 may protrude through the motor mounting portion 137 . When the opening/closing gear 145 rotates, the rotation driving unit 155 of the door 150 engaged with the opening/closing gear 145 may rotate.

보다 정확하게는,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개폐기어(145)에는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구동기어치(155a)가 맞물려 있고, 상기 개폐기어(145)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부(155)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기어(145)를 일종의 구동기어로 볼 수 있고, 회전구동부(155)는 종동기어로 볼 수 있다. More precisely, as shown in FIG. 11, the drive gear 155a of the rotary drive unit 155 is engaged with the opening/closing gear 145, and the rotation drive unit 155 moves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opening/closing gear 145. can rotate That is, the opening/closing gear 145 can be viewed as a kind of driving gear, and the rotary driving unit 155 can be viewed as a driven gear.

이때, 상기 개폐기어(145)와 상기 구동기어치(155a)의 기어비는0.2 내지 0.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폐기어(145)와 상기 구동기어치(155a)를 통해 감속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도어(150)는 보다 부드럽게 회전하면서 여닫힐 수 있다. 상기 기어비가 0.2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도어(150)의 회전속도가 너무 느려지고, 0.5를 초과하면 너무 빨라질 뿐 아니라 도어(150)를 여닫기 위한 충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ear ratio between the opening/closing gear 145 and the driving gear tooth 155a is 0.2 to 0.5. That is, deceler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gear 145 and the driving gear teeth 155a, and the door 150 can be opened and closed more smoothly while rotating. When the gear ratio is less than 0.2,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oor 150 is too slow, and when it exceeds 0.5, it becomes too fast and it is difficult to generate sufficient rotational force to open and close the door 150.

상기 이너케이스(130)에는 도어(1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50)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출입구(134)를 개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150)가 닫히면 상기 하우징공간(S)은 밀폐된 공간이 될 수 있고, 상기 도어(150)가 열리면 상기 하우징공간(S)의 출입구(134)가 개방되어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어(150)가 닫힌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어(150)가 열린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A door 15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case 130 . The door 150 may serve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134 of the housing space (S). When the door 150 is closed, the housing space (S) can be an enclosed space, and when the door 150 is opened, the entrance 134 of the housing space (S) is opened so that companion animals can enter and exit. . In FIG. 1, the door 150 is shown in a closed state, and in FIG. 2, the door 150 is shown in an open state.

상기 도어(150)는 대략 판상의 도어몸체(151)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몸체(151)는 회전을 통해 여닫힐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15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회전을 통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도어(150)는 슬라이딩방식으로 여닫힐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15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door 150 may form a skeleton of a substantially plate-shaped door body 151 . And the door body 151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rotation. In this embodiment, the door 15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case 130 and may be opened or closed through rotation. Of course, unlike this, the door 150 may be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Also, the door 150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상기 도어(150)의 회전을 위한 구조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50)에는 도어회전축(1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회전축(153)은 상기 도어몸체(151)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細長型)구조일 수 있다. 상기 도어회전축(153)의 양단은 각각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축설치부(138)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도어회전축(153)의 양단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150) 전체가 회전될 수 있다. A structure for rotating the door 150 is shown in FIGS. 11 to 13 . A door rotation shaft 153 may be provided in the door 150 . The door rotation shaft 153 may have an elongated structure extending along one edge of the door body 151 . Both ends of the door rotation shaft 153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installation part 138 of the inner case 130, respectively. The entire door 150 may be rotated around both ends of the door rotation shaft 153 .

상기 도어몸체(151)에는 회전구동부(1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155)는 상기 도어몸체(151)의 한쪽 가장자리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전구동부(155)는 상기 도어몸체(151)에 구비된 상기 도어회전축(153)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155)는 상기 개폐모터(140)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150)가 여닫힐 수 있도록 한다. A rotation driving unit 155 may be provided on the door body 151 . The rotary driving unit 155 may be provided at one edge portion of the door body 151 . More precisely, the rotary actuator 155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oor rotation shaft 153 provided on the door body 151 , respectively. The rotary driving unit 155 interlocks with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so that the door 150 can be opened and closed.

상기 회전구동부(155)는 대략 원호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양단은 각각 상기 도어몸체(151)와 상기 도어회전축(15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일단부는 상기 도어몸체(151)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타단부는 연결암(156)을 통해 상기 도어회전축(153)에 연결될 수 있다. The rotary driving unit 155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arc shape. Also, both ends of the rotary drive unit 155 may be connected to the door body 151 and the door rotation shaft 153, respectively. One end of the rotary drive unit 155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oor body 151,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drive unit 155 may be connected to the door rotation shaft 153 through a connection arm 156.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표면에는 구동기어치(15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치(155a)는 상기 개폐기어(145)와 맞물려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개폐모터(140)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기어치(155a)가 상기 개폐기어(145)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150)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기어(145)는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므로, 상기 회전구동부(155) 역시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55b는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안쪽에 빈 공간인 회전공간을 나타낸다. A driving gear tooth 155a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otary driving unit 155 . The driving gear 155a engages with the opening/closing gear 145 to enable rotation of the rotary driving unit 155 . When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operates, the entire door 150 may be rotated while the driving gear teeth 155a engage with the opening/closing gear 145 to rotate. At this time, since the opening/closing gear 145 is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the rotary driving unit 155 can also be rotated in both directions. Non-explained numeral 155b denotes a rotation space that is an empty space inside the rotation drive unit 155.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한쪽에 구비된 연결암(156)은 상기 회전구동부(155)와 상기 도어회전축(153)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암(156)은 대략 일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연결암(156)은 상기 회전구동부(155)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스토퍼(139)와 간섭될 수 있다. 상기 연결암(156)의 걸림면(156')이 상기 도어스토퍼(139)와 간섭되면 상기 도어(150)는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A connection arm 156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drive unit 155 may connect the rotation drive unit 155 and the door rotation shaft 153 . The connection arm 156 may have a bar shape extending in approximately one direction. The connection arm 156 may interfere with the door stopper 139 while the rotary drive unit 155 is being rotated. When the locking surface 156' of the connection arm 156 interferes with the door stopper 139, the door 150 cannot rotate any further.

도 12를 보면, 상기 도어(150)가 닫힌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개폐기어(145)가 시계방향(화살표1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개폐기어(145)에 맞물린 상기 회전구동부(155)는 반시계방향(화살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155)와 함께 상기 도어몸체(151)는 반시계방향(화살표3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150)가 열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X는 상기 도어회전축(155)의 회전중심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12 , the door 150 is shown in a closed state. In this state, when the opening/closing gear 145 rotates clockwise (direction of arrow 1), the rotary driving unit 155 meshed with the opening/closing gear 145 may rotat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arrow 2). As the door body 151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direction of arrow 3) together with the rotary driving unit 155, the door 150 may be switched to an open state. Here, reference numeral X denote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oor rotation shaft 155.

도 13에는 도어(150)가 완전히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50)가 열리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상기 연결암(156)의 걸림면(156')과 간섭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150)의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150)는 대략 90도만큼 열릴 수 있다. 도 13을 보면, 상기 도어몸체(151)가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상기 도어지지단(129)에 지지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50)는 상기 도어스토퍼(139)와 함께 상기 도어지지단(129)에 의해 열린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모터(140)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개폐기어(145)가 도 13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도어(150)는 다시 닫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150 is fully opened.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150, the door stopper 139 may interfere with the locking surface 156' of the connection arm 156, and thus the rotation angle of the door 150 may be limited. . In this embodiment, the door 150 may be opened by approximately 90 degrees. Referring to FIG. 13 , a state in which the door body 151 is supported by the door support end 129 of the outer case 120 can be seen. That is, the door 150 may be supported in an open state by the door support end 129 together with the door stopper 139 . Further, when the opening/closing gear 145 rotated by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13 , the door 150 may be switched to a closed state agai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15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에 결합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도어(150)는 아웃케이스(120) 또는 케이스커버(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150)는 생략되고 상기 하우징공간(S)은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150 is coupled to the inner case 130 , but otherwise, the door 15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ase 120 or the case cover 110 . Also, the door 150 may be omitted and the housing space S may always remain open.

상기 도어(150)의 도어몸체(151)는 적어도 내부가 단열재질로 채워질 수 있다. 이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단열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어몸체(151)의 전면과 상기 도어지지단(129)의 사이에는 완충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도어지지단(129) 또는 상기 도어지지단(129)에 대응되는 도어몸체(151)의 전면에 형성된 탄성을 가진 물질로 만들어진 코팅층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완충부재는 예를 들면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몸체(151)와 도어지지단(129) 사이에 탄성부재를 두게 되면 반려동물이 상기 도어(150)에 착지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least the inside of the door body 151 of the door 150 may be fill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This is to ensure better thermal insulation of the housing space (S). A buffer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body 151 and the door support end 129 . The buffer member may be the door support end 129 or a coating layer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body 151 corresponding to the door support end 129 . Alternatively, the buffer member may be, for example, a torsion spring. In this way, when an elastic member is placed between the door body 151 and the door support end 129,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companion animal lands on the door 150 can be reduced.

한편, 상기 아웃케이스(120)와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사이에는 단열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상기 아웃케이스(120)와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사이에 있는 빈 공간인 단열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되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별개물로 제작된 단열부재(160)가 상기 아웃케이스(120)와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사이에 배치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스티로폼과 같이 단열성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Meanwhile, a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30 .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formed by filling a foamed liquid in the heat insulating space, which is an empty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30, or a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de of a separate material. )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30 .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heat insulating properties such as Styrofoam.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내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하나의 단열부재(160)로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모두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이들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상기 케이스 전체가 벽면(W)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housing space S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the inner wall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is case, both the housing space (S)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surrounded by a singl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In addition, since the housing space S and the thermostat 200 are dispos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entire case from the wall surface W can be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when they are dispos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 단열부재(160)는 상기 아웃케이스(120) 및 상기 이너케이스(130)와 마찬가지로 대략 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단열하판(161), 단열측판(163), 단열상판(166) 및 단열후판(168, 도 6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발생한 냉기 또는 온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Like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30,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include an insulating lower plate 161, an insulating side plate 163, an insulating upper plate 166, and an insulating thick plate 168 (see FIG. 6).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surround a por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and prevent cold air or warm air generat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단열하판(161)에는 하부연결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홀(162)은 앞서 설명한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하부개방홀(13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홀(162)을 통해서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홀(162)의 아래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플랜지(169)가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a lower connection hole 162 may be formed in the insulating lower plate 161 . The lower connection hole 162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open hole 132 of the inner case 130 described above. Cool air or warm air may be transmitted toward the duct assembly 300 through the lower connection hole 162 . A connection flange 169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provided below the lower connection hole 162 .

상기 단열부재(160)의 전면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의 개방된 단열입구부(164)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출입구(134)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입구부(164)도 상기 도어(1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A front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opened. The open heat insulation entrance 164 of the heat insulation member 160 may be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134 of the inner case 130 . Therefore, the insulated entrance 164 can als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50 .

상기 단열부재(160)의 단열측판(163)에는 단열측판홀(1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측판홀(165)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2조절팬(F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팬(F2)이 토출한 공기는 상기 단열측판홀(165)과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측면연통홀(135)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절팬(F2)이 토출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에 의해 아래쪽, 즉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A heat insulating side plate hole 165 may be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163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A second control fan F2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heat insulation side plate hole 165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ontrol fan F2 may be supplied to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heat insulation side plate hole 165 and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35 of the inner case 130 . In addition, some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second control fan F2 may be supplied downward, that is, toward the duct assembly 300 by the duct guide 260 .

도 7을 보면, 상기 단열부재(160)의 단열측판(163)에는 설치공간(16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65a)은 일종의 빈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65a)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제1조절팬(F1)과 제2조절팬(F2)은 상기 설치공간(165a)의 후방 및 전방에 각각 개방된 한 쌍의 단열측판홀(165)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 히트싱크(214) 및 콜드싱크(218) 등의 부품들은 상기 설치공간(165a)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n installation space 165a may be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163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The installation space 165a can be seen as a kind of empty space.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65a. The first control fan (F1) and the second control fan (F2) constituting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have a pair of heat insulation side plate holes 165 opened at the rear and front of the installation space 165a, respectively. can be exposed through Also,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hermostat 200, such as a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sink 214, and a cold sink 218, may be located 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165a.

도 8을 보면, 상기 단열부재(160)에는 모터장착홈(16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홈(167)은 상기 단열측판(163)에서 안쪽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홈(167)은 상기 개폐모터(140)가 삽입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홈(167)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열측판(163) 중에서 상기 설치공간(165a)이 형성된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모터(140)는 상기 모터장착홈(167)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모터장착부(137)에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motor mounting groove 167 may be provided in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The motor mounting groove 167 may have a structure recessed inward from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163 . The motor mounting groove 167 may be a portion into which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is inserted. The motor mounting groove 167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where the installation space 165a is formed among the pair of heat insulation side plates 163 facing each other.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motor mounting groove 167 and fixed to the motor mounting portion 137 of the inner case 130 .

상기 단열부재(160)의 하부에는 연결플랜지(16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단열하판(161)에서 아래쪽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하부에 구비되지만,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아웃케이스(120)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일부일 수도 있다. A connection flange 169 may be provided below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The connection flange 169 may be formed to further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heat insulating plate 161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The connection flange 169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flange 169 is provided under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but the connection flange 169 may be part of the outer case 120 or the inner case 130.

도 7을 보면,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연통캡(DC)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안쪽에 마련된 연결공간(169a)은 상기 연통캡(DC)의 상기 캡홀(DC')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2가이드출구(263b)와도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공간(169a)에는 상기 캡홀(DC')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출구(263b)를 통해서도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connection flange 169 may be disposed below the communication cap DC. The connection space 169a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169 may be connected to the cap hole DC′ of the communication cap DC.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flange 169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of the duct guide 260. Accordingly,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space 169a through the cap hole DC', and air may also be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상기 연결공간(169a)에는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상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공간(169a)에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구성하는 덕트팬(3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은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2가이드출구(263b)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아래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An upper portion of the duct assembly 300 may be disposed in the connection space 169a of the connection flange 169 . A duct fan 320 constituting the duct assembly 300 may be disposed in the connection space 169a. The duct fan 320 may suck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of the duct guide 260 and transfer it downward.

상기 연결플랜지(169)에는 제1고정홈(169b)과 제2고정홈(169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홈(169b)과 상기 제2고정홈(169c)은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저면에서 각각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홈(169b)에는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고정홈(169c)에는 제1승강바(421)의 상단(422)부가 끼워질 수 있다. A first fixing groove 169b and a second fixing groove 169c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flange 169 . The first fixing groove 169b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69c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flange 169 . The first lifting motor M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169b, and the upper end 422 of the first lifting bar 421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169c.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제어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 및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승강장치(410A) 및 제2승강장치(410B)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80)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상판(136)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상판홀(127)과 상기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상기 제어부(180)에 접근할 수 있다. A controller 18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module 100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and the first elevator 410A and the second elevator 410B to be described below.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80 .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top plate 136 of the inner case 130 .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80 can be accessed through the outer top plate hole 127 and the cover top plate hole 117 .

상기 제어부(180)에는 외부센서(18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센서(183)는 외부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공기란, 타워가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타워가 실내에 설치된다면 상기 외부센서(183)는 실내공간의 공기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An external sensor 183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80 . The external sensor 183 may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external air. Here, the outside air may mean air in a space where the tower is installed. If the tower is installed indoors, the external sensor 183 can measure the air condition in the indoor space.

상기 외부센서(183)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상판(136)의 바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센서(183)는 상기 아웃상판홀(127)과 상기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센서(183)를 통해 외부의 공기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외부센서(183)는 상기 제어부(18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상기 외부센서(183)는 상기 제어부(18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The external sensor 183 may b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top plate 136 of the inner case 130 . At this time, the external sensor 183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top plate hole 127 and the cover top plate hole 117 . Therefore, the external air condition can be accurately measured through the external sensor 183 . In this embodiment, the external sensor 183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control unit 180, but otherwise, the external sensor 18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trol unit 180.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공간(S)에는 내부센서(1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센서(185)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내부공기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부센서(185)는 상기 하우징공간(S) 내부의 공기 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내부센서(185)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배출된 냉기나 온기가 상기 내부센서(185)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기 내부센서(185)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내부센서(185)는 덕트가이드(26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상부 구석에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7 , an internal sensor 185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space S. The internal sensor 185 is for measuring the internal air condition of the housing space (S). The internal sensor 185 may measure the air or humidity inside the housing space (S). The internal sensor 185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far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 That is, the internal sensor 185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so that the cold air or warm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internal sensor 185. can In this embodiment, the internal sensor 185 is disposed at the upper corner of the housing space S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uct guide 26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내부센서(185)에 의해 측정된 하우징공간(S)의 온도와, 상기 외부센서(183)에서 측정된 온도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온도와 하우징공간(S)의 온도사이의 차이가 기준치 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멈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공간(S)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보다 너무 춥거나 더울 경우에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의 온도만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운전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compare the temperature of the housing space S measured by the internal sensor 185 with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external sensor 183 . In additio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ternal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housing space S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or stop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using space (S) is too cold or too hot compared to the outsid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can be operated.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based only on the external temperature.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외부의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또는 가열 한 후에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module 100 .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serve to cool or heat external air to supply cool air or warm air. To this e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take in external air, cool or heat it, and then discharge it toward the housing space S and the duct assembly 300 .

도 7을 보면,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측판(133)과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아웃측판(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상기 설치공간(165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1조절팬(F1)은 케이스커버(110)의 바깥쪽을 향하고, 제2조절팬(F2)은 하우징공간(S)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side plate 133 of the inner case 130 and the outer side plate 123 of the outer case 120 . More precisely,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65a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fan (F1)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case cover 110, and the second control fan (F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housing space (S).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2조절팬(F2)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먼저 덕트가이드(260)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덕트가이드(260)에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1가이드출구(263a)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도 7의 화살표1방향), 나머지 공기는 제2가이드출구(263b)를 통해서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2방향) 이때, 상기 하우징공간(S)에 유입된 공기도 상기 연통캡(DC)의 캡홀(DC')을 통해서 다시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1'방향)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fan (F2)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first flow into the duct guide (260). Som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guide 260 may flow into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first guide outlet 263a of the duct guide 260 (in the direction of arrow 1 in FIG. 7), and the rest Air may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duct assembly 300 through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in the direction of arrow 2 in FIG. 7). At this tim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space S is also introduced into the communication cap DC ) through the cap hole DC' of the duct assembly 300. (arrow 1' direction in FIG. 7)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는 장치하우징(2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211)은 온도조절장치(200)의 외관을 구성하고, 각 부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내부에 온도조절팬(F1,F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표면은 상기 설치공간(165a)의 내면과 밀착될 수 있다. 도면부호 210은 하우징커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커버(210)는 상기 아웃케이스(1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온도조절팬(F1,F2)은 상기 제1조절팬(F1)과 제2조절팬(F2)을 포함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the device housing 211 may be provided 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The device housing 211 constitutes an exterior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may serve to fix each part. Temperature control fans F1 and F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evice housing 211 . A surface of the device housing 211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165a. Reference numeral 210 denotes a housing cover, and the housing cover 210 may be fixed to the outer case 120 . 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control fans F1 and F2 may include the first control fan F1 and the second control fan F2.

상기 장치하우징(211)에는 회수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212)는 상기 하우징공간(S) 내부의 공기가 다시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상기 회수부(212)는 상기 이너케이스(130)를 향한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A recovery unit 212 may be formed in the device housing 211 . The collecting part 212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housing space S can be introduced into the device housing 211 again. The recovery part 212 may be formed through a front surface of the device housing 211 facing the inner case 130 .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내부에는 장착플레이트(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레이트(213)는 대략 판상구조일 수 있고,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장치하우징(2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레이트(213)는 상기 장치하우징(211)에 장착되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 mounting plate 213 may be provided inside the device housing 211 . The mounting plate 213 may have a substantially plate-like structure, and an edge portion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housing 211 . The mounting plate 213 may serve to support components mounted on the device housing 211 .

상기 장착플레이트(213)에는 히트싱크(214)와 콜드싱크(218)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히트싱크(214)와 상기 콜드싱크(218)의 사이에는 열전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히트싱크(214)를 가열시키고, 상기 히트싱크(214)의 열은 상기 제1조절팬(F1)을 통해 바깥쪽인 후방(도 7의 화살표3 참조)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냉각된 콜드싱크(218)의 냉기는 상기 덕트가이드(260)를 향한 전방(도 7의 화살표1,2참조)으로 토출될 수 있다. A heat sink 214 and a cold sink 218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plate 213 . Although not shown, a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 sink 214 and the cold sink 218 . The heat generat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heats the heat sink 214, and the heat of the heat sink 214 is transferred outwardly to the rear (see arrow 3 in FIG. 7) through the first control fan F1. may be discharged. In addition, the cold air of the cold sink 218 cool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discharged forward toward the duct guide 260 (see arrows 1 and 2 in FIG. 7 ).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상기 열전소자, 상기 히트싱크(214) 및 상기 콜드싱크(218)는 단열공간인 상기 설치공간(165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 상기 히트싱크(214) 및 상기 콜드싱크(218)는 주변부와 단열될 수 있고, 상기 열전소자의 냉기는 전방인 덕트가이드(260)로 집중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element constituting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the heat sink 214, and the cold sink 218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165a, which is an insulating space. Accordingly,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heat sink 214, and the cold sink 218 may be insulate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and cold air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concentrated toward the front duct guide 260.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는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는 평평한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전면은 흡열면이 되고 후면은 발열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은 펠티어 효과를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열전소자의 흡열면의 열을 발열면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의 전면은 차가운 면이 되고, 뒷면은 열이 발생되는 부분이 된다. 즉, 상기 하우징공간(S) 내부의 열을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element constituting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has a shape like a flat plate having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front surface may be a heat absorbing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may be a heating surface. DC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causes a Peltier effect, and accordingly, heat from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moved toward the heating surface. Therefore, the fron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becomes a cold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becomes a heat generating part.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eat inside the housing space (S) is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20).

이때, 상기 발열면에는 히트싱크(214)가 결합되고, 상기 흡열면에는 콜드싱크(218)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열전소자가 동작하면,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면은 콜드싱크(218)를 통해 하우징공간(S)의 열을 흡수하여 하우징공간(S)을 냉각하고, 발열면은 히트싱크(214)를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조절팬(F2)은 냉각팬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팬(F1)은 히트싱크(214)의 전열핀에 냉각공기를 송풍하여 전열핀의 열발산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면부호 214a는 전열핀에 삽입된 히트파이프를 나타낸다.In this case, a heat sink 214 may be coupled to the heating surface, and a cold sink 218 may be coupled to the heat absorbing surface. Therefore,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of the thermostat 200 operates,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bsorbs heat from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cold sink 218 to cool the housing space S, and the heating surface Hea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t sink 214 . 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 fan (F2) may be a cooling fan. The first control fan F1 blows cooling air to the heat transfer fins of the heat sink 214 to increase heat dissipation of the heat transfer fins. Reference numeral 214a denotes a heat pipe inserted into the heat transfer fin.

이와 반대로, 상기 열전소자의 전면은 발열면이 되고 후면은 흡열면이 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열전소자의 전면에서는 열이 발생하고, 뒷면은 차가운 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하우징공간(S) 내부에 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은 열전소자에 마련된 케이블을 통해 열전소자에 인가될 수 있다.Conversely, the fron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a heating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may be a heat absorbing surface. In this case, heat may be gener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cold surface may be gener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l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provide warmth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space (S). Although not shown,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rough a cable provided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이와 달리,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단순히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장치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공기토출장치는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토출장치는 타워가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타워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타워의 내부온도가 설치공간의 온도보다 과도하게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an air discharge device that simply discharges air. In this case, the air discharge device may include a discharge fan for discharging air. The air discharge device may introduce air from a space in which the tower is installed into the towe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tower from being excessively higher or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installation space.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는 덕트가이드(26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가이드(26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와 상기 에어덕트(3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일부는 상기 단열부재(160)에 둘러싸이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돌출된다. 이와 달리, 상기 덕트가이드(260)는 전체가 상기 단열부재(16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하우징공간(S)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A duct guide 260 may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 The duct guide 2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and the air duct 360 . 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duct guide 260 is surrounded by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and the remaining part protrudes into the housing space (S). Alternatively, the entirety of the duct guide 26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or may protrude into the housing space S.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덕트가이드(26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인 가이드유로(2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로(263)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공기배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도면부호 261은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공기배출구를 감싸는 가이드플랜지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S. 9 and 10 , the duct guide 26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 guide passage 263, which is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duct guide 260. The guide passage 263 may guide a discharge direction of cold air or warm air discharged through an air outlet (not shown)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 Reference numeral 261 denotes a guide flange surrounding the air outlet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

상기 덕트가이드(260)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공기배출구에 연결되는 가이드입구(262)가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입구(262)는 상기 가이드플랜지(261)의 입구로 볼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입구(262)는 제1가이드출구(263a) 및 제2가이드출구(263b)로 연결될 수 있다. A guide inlet 262 connected to an air outlet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uct guide 260 . The guide inlet 262 may be viewed as an inlet of the guide flange 261 . The guide inlet 262 may be connected to a first guide outlet 263a and a second guide outlet 263b.

상기 덕트가이드(260)에는 가이드유로(26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유로(263)는 상기 제1가이드출구(263a) 및 제2가이드출구(26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 제1가이드출구(263a)는 상기 하우징공간(S)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출구(263b)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상단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덕트가이드(260)를 거쳐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전달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에어덕트(36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A guide passage 263 may be formed in the duct guide 260 , and the guide passage 263 may include the first guide outlet 263a and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Among them, the first guide outlet 263a may open toward the housing space S, and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may open toward the upper end of the air duct 360. Accordingly, som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elivered to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duct guide 260, and the remaining part may be supplied to the air duct 360. This appearance is shown in FIG. 7 .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덕트가이드(260)에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1가이드출구(263a)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도 7의 화살표1방향), 나머지 공기는 제2가이드출구(263b)를 통해서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2방향)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가이드출구(263a) 또는 제2가이드출구(263b)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서 개방된 면적의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이드출구(263a) 또는 제2가이드출구(263b)의 개방면적이 조절되면, 토출되는 공기량이 달라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타워의 온도조절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som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guide 260 may flow into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first guide outlet 263a of the duct guide 260 (see FIG. 7). direction of arrow 1), the remaining air may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duct assembly 300 through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direction of arrow 2 in FIG. 7).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guide outlet 263a ) or the size of the open area of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may be adjusted through a separate device. When the open area of the first guide outlet 263a or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is adjusted, the amount of discharged air is changed, an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tower can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다음으로,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를 보면,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로드조립체(400)의 내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타워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i)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타워의 하단부까지 전달할 수 있고, (ii)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시트부(918,920)들로 토출할 수 있으며, (iii)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과정에서 로드조립체(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Next, the duct assembly 300 will be examined. Referring to FIG. 14 , the duct assembly 300 may be disposed along the inside of the rod assembly 400. That is, the duct assembly 300 may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and be disposed inside the rod assembly 400 . The duct assembly 300 can (i) transfer the cold air or warmth generated by the thermostat 200 to the lower end of the tower, and (ii) transfer the cold air or warmth generated by the thermostat 200 to th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seat parts 918 and 920, and (iii) it can play a role of supporting the rod assembly 400 dur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rod assembly 400.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제1덕트조립체(300A)와 제2덕트조립체(300B)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덕트조립체(300)는 서로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 서로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덕트조립체(300)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와 상기 제2덕트조립체(300B)의 구조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덕트조립체(300A)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uct assembly 300 may be configured as a pair. The duct assembly 300 is composed of a first duct assembly 300A and a second duct assembly 300B. The pair of duct assemblies 300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and for this purpose, may have structures similar to each other. The pair of duct assemblies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parallel directions. Alternatively, the duct assembly 300 may be composed of one or three or more. Since the structures of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and the second duct assembly 300B are similar, hereinafter,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will be mainly described.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가까운 상부부터 하부까지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이 결합되어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연결되어, 연속된 하나의 공기유로(360A)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일종의 로드 안테나(rod antenna)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may be coupled from an upper portion close to the housing module 100 to a lower portion to form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The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continuous air passage 360A.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ucts (370, 380, 390) may have a variable overall length while overlapping or spreading each other. That is, the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may constitute a kind of rod antenna structure.

도 14에서 확대된 부분을 보면,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구성하는 제1덕트(370)와 제2덕트(380)가 서로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2덕트(380)와 제3덕트(390)가 서로 연결된 부분을 볼 수 있다. 이들이 연결된 부분은 소정 길이만큼 중첩되어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와 상기 제2덕트조립체(300B)는 각각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로 구성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enlarged part in FIG. 14, the part where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constituting the duct assembly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 can be seen where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art where they are connected may be overlapp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prevent ai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and the second duct assembly 300B may include a first duct 370, a second duct 380, and a third duct 390, respectively.

도 15를 보면,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에는 덕트커버(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310)는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연결공간(169a) 아래쪽을 가로막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310)는 상기 연결공간(169a)에 유입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310)의 상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헤드(350A,350B)의 안착판(351)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덕트커버(310)에 걸려 위치가 고정된다고 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5 , a duct cover 31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The duct cover 310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and may be installed to block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space 169a of the connection flange 169. The duct cover 310 may prevent ai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space 169a from leaking. A seating plate 351 of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positioned above the duct cover 310 . That i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are fixed in position by being hooked on the duct cover 310 .

도 15 및 도 16을 보면,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의 상부에는 덕트팬(3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은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덕트가이드(260)에서 전달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하부로 토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은 팬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팬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의 팬모터는 브러쉬모터(brushed motor)이거나 브러쉬리스 모터(brushless motor)일 수 있다. 15 and 16, a duct fan 320 may be disposed above the duct assemblies 300A and 300B. The duct fan 320 may serve to suck air delivered from the housing space S and the duct guide 260 and discharge it to the lower part of the duct assembly 300 . The duct fan 320 may include a fan motor (not shown), and a rotational force of the fan motor may be used to induce air flow. The fan motor of the duct fan 320 may be a brushed motor or a brushless motor.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팬(320)은 아래에서 설명될 팬가이드(353)의 내부인 가이드공간(355)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팬(320)은 상기 팬가이드(353)에 의해 둘러싸인 안쪽 공간에 배치될수 있는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duct fan 320 may be disposed in a guide space 355 inside a fan guide 353 to be described below. That is, the duct fan 320 can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fan guide 353.

그리고, 상기 덕트팬(320)은 상기 온도조절팬(F1,F2)과 직교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조절팬(F1,F2)은 상기 덕트가이드(260)를 향해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하고, 상기 덕트팬(320)은 이 중에서 일부를 아래쪽, 즉 에어덕트(360)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Also, the duct fan 32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emperature control fans F1 and F2. That is, the temperature control fans F1 and F2 intensively discharge air toward the duct guide 260, and the duct fan 320 guides some of the air downward, that is, toward the air duct 360. can

상기 덕트팬(320)에는 상기 덕트팬(320)의 구조를 유지하는 팬프레임(3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프레임(322)에는 제어기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프레임(322)에는 팬모터를 임의의 속도로 운전하기 위해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전원 장치인 인버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The duct fan 320 may include a fan frame 322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the duct fan 320 . A control board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fan frame 322 . In addition, the fan frame 322 may further include an inverter (not shown) that is a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varying a frequency in order to drive the fan motor at an arbitrary speed.

상기 덕트팬(320)에는 디퓨저(3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24)는 위쪽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아래쪽, 즉 임펠러(326) 쪽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면에는 차단블럭(330)에 가려 보이지 않지만, 상기 디퓨저(324)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가이드 베인이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A diffuser 324 may be provided in the duct fan 320 . The diffuser 324 may function to guide air introduced from the top toward the bottom, that is, toward the impeller 326 . Although it is not visible in the drawings because it is hidden by the blocking block 330, a plurality of guide vanes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ffuser 324 to guide the flow of air.

상기 디퓨저(324)의 하부에는 임펠러(3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326)는 상기 팬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위쪽의 공기를 흡입하여 아래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326)의 중심에 배치된 허브의 외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들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공기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n impeller 326 may be disposed under the diffuser 324 . The impeller 326 may suck air from above and discharge it downward while rotating by the fan motor. A plurality of blade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ub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impeller 326 . The blades may be arranged radially to pressurize the air downward.

상기 덕트팬(320)에는 차단블럭(3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블럭(330)은 상기 덕트팬(32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상기 덕트팬(3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블럭(330)은 대략 원통형상이고, 중심에는 상기 덕트팬(320)과의 결합을 위해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블럭(330)은 공기가 상기 덕트팬(320)의 주변으로 세어나가지 않고, 상기 덕트팬(320)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5를 보면, 상기 차단블럭(330)은 상기 가이드공간(355)과 상기 덕트팬(320) 사이의 유격을 메울 수 있고, 따라서 유입되는 공기는 덕트팬(320)을 통해서만 아래쪽으로 토출될 수 있다. A blocking block 330 may be coupled to the duct fan 320 . The blocking block 330 may be coupled to the duct fan 320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duct fan 320 . The blocking block 33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for coupling with the duct fan 320 . The blocking block 330 may allow air to be concentrated in the duct fan 320 without leaking out to the periphery of the duct fan 320 . Referring to FIG. 15 , the blocking block 330 can fill the gap between the guide space 355 and the duct fan 320, so the incoming air can be discharged downward only through the duct fan 320. there is.

도 15를 보면,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의 상부에는 덕트헤드(350A,35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의 가장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가 상기 하우징모듈(100)과 연결되는 부분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 및 제2덕트조립체(300B)에 각각 구비되는 제1덕트헤드(350A)와 제2덕트헤드(350B)로 구분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덕트팬(320)도 상기 덕트헤드(350A,350B)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덕트헤드(350A)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다. Referring to FIG. 15 , duct heads 350A and 350B may be provided above the duct assemblies 300A and 300B.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may be provided at the uppermost portions of the duct assemblies 300A and 300B. It can be seen that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constitute a part where the duct assemblies 300A and 300B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module 100 .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may be divided into a first duct head 350A and a second duct head 350B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and the second duct assembly 300B. For reference, the duct fan 320 may also be regarded as a part of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Hereinafter, the first duct head 350A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상기 제1덕트헤드(350A)에는 안착판(35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351)은 상기 제1덕트헤드(350A)의 직경을 넓히는 방향으로 돌출된 얇은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안착판(351)은 후술할 팬가이드(353)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351)은 상기 덕트커버(310)의 상면에 안착되어서 상기 제1덕트헤드(350A)가 상기 연결공간(169a)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해준다. A seating plate 35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duct head 350A. The seating plate 351 may be a thin plate-like structure protru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first duct head 350A is widened. The seating plate 351 may be disposed at a lower end of a fan guide 353 to be described later. The seating plate 35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ct cover 310 so that the first duct head 350A can be stably located inside the connection space 169a.

상기 안착판(351)의 상부에는 에어챔버부(3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챔버부(352)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에서 전달된 공기를 모아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하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에어챔버부(352)는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An air chamber unit 352 may be provided above the seating plate 351 . The air chamber unit 352 may serve to collect air delivered from the housing module 100 and deliver it to the lower part of the duct assembly 300 . The air chamber unit 352 may be disposed above the duct assembly 300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duct assembly 300 .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챔버부(352)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플랜지(169) 내부의 연결공간(169a)에 상기 에어챔버부(3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공간(169a)은 밀폐된 공간이므로, 상기 연결공간(169a)으로 유입된 공기는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상기 에어챔버부(352)로 전달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ir chamber unit 352 may be disposed on the connection flange 169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More precisely, the air chamber unit 352 may be disposed in the connection space 169a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169. Since the connection space 169a is an enclosed spac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space 169a can be delivered to the air chamber unit 352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에어챔버부(352)에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공기가 전달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배출된 공기가 덕트가이드(260)를 통해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2조절팬(F2)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1가이드출구(263a)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도 7의 화살표1방향), 상기 하우징공간(S)의 공기는 상기 에어챔버부(352) 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1'방향) Air in the housing space (S) may be delivered to the air chamber unit (352), and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be delivered directly through the duct guide (260). Referring to FIG. 7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fan (F2)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is directed to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first guide outlet (263a) of the duct guide (260). can be introduced (in the direction of arrow 1 in FIG. 7), and the air in the housing space (S) can be delivered to the air chamber part 352 (in the direction of arrow 1' in FIG. 7).

또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배출된 나머지 공기는 제2가이드출구(263b)를 거쳐 상기 덕트조립체(300)로 전달된 후에, 상기 에어챔버부(352)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2방향) 이때, 공기는 먼저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연결공간(169a)에 유입된 후에, 상기 에어챔버부(352)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2'방향)In addition, the remaining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transferred to the duct assembly 300 through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air chamber unit 352. ( Direction of arrow 2 in FIG. 7) At this time, air may first flow into the connection space 169a of the connection flange 169 and then be induced in the direction of the air chamber part 352 (arrow 2' in FIG. 7). direction)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챔버부(352)에는 원통형상의 팬가이드(35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가이드(353)는 상기 덕트팬(320)을 둘러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가이드(353)는 상하부로 개방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팬가이드(353)의 내부에는 빈 공간인 가이드공간(3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355)은 상하부로 개방되어 일종의 공기통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팬가이드(353)에 배치된 상기 덕트팬(320)에 의해 위쪽으로는 공기가 유입되고, 아래쪽으로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16 , a cylindrical fan guide 353 may be included in the air chamber part 352 . The fan guide 353 may serve to surround the duct fan 320 . At this time, the fan guide 353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pen to the top and bottom. An empty guide space 355 may be formed inside the fan guide 353 . The guide space 355 is open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may serve as a kind of air passage. That is, by the duct fan 320 disposed on the fan guide 353, air may be introduced upward and discharged downward.

상기 팬가이드(353)에는 연통슬릿(35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슬릿(357)은 상기 팬가이드(353)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슬릿(357)을 통해서 상기 연결공간(169a)과 상기 가이드공간(355)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슬릿(357)은 상기 연결공간(169a)의 공기가 상기 가이드공간(355)으로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연통슬릿(357)은 상기 팬가이드(353)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A communication slit 357 may be formed in the fan guide 353 . The communication slit 357 may be formed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fan guide 353 . The connection space 169a and the guide space 355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slit 357 .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slit 357 can allow the air in the connection space 169a to more smoothly flow into the guide space 355 .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slits 357 may be radially arrang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n guide 353 .

참고로, 상기 덕트헤드(350A,350B) 및 상기 덕트팬(320)은 에어덕트(360)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이때는 상기 에어덕트(360) 자체가 상기 덕트조립체(300)가 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and the duct fan 320 may be regarded as part of the air duct 360 . In this case, the air duct 360 itself may be the duct assembly 300 .

상기 덕트헤드(350A,350B)의 아래쪽에는 에어덕트(3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60)는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덕트(360)는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가 하나의 에어덕트(360)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에어덕트(360)의 내부에는 연속된 공기유로(360A, 도 15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에어덕트(360)는 하나의 덕트로만 구성되거나, 2개 또는 4개 이상의 덕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An air duct 360 may be provided below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The air duct 36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uct 370,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may constitute one air duct 360, and the air duct 360 ) A continuous air passage (360A, see FIG. 15) may be formed inside the. Alternatively, the air duct 360 may be composed of only one duct or two or four or more ducts.

상기 공기유로(360A)는 타워의 하단까지 연장되므로, 타워의 아래쪽에 있는 반려동물에게도 냉기 또는 온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60)의 공기유로(360A)를 따라서 냉기 또는 온기가 이동하므로, 냉기 또는 온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타워의 하단까지 전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워의 높이 방향을 따라 온도를 고르게 제어할 수 있다. Since the air passage 360A extends to the lower end of the tower, cold or warm air may be provided to companion animals located below the tower. Since cold air or warm air moves along the air passage 360A of the air duct 360, the cold air or warm air can be delivered to the lower end of the tower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and the temperature can be evenly distribut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You can control it.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 높이(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에어덕트(360)가 하나의 덕트로만 구성된다면 상기 에어덕트(360)는 고정된 높이만을 가질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Also, the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may have a variable overall height (length) while overlapping or spreading each other. Of course, if the air duct 360 is composed of only one duct, the air duct 360 may have only a fixed height.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 중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덕트는 이웃한 상부의 덕트 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1덕트(370) 보다 제2덕트(380)의 직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덕트(380) 보다 상기 제3덕트(390)의 직경이 더 클 수 있다. 도 14의 확대된 부분을 보면,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과 겹쳐진 제2덕트(380)의 상단의 직경이 더 큰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과 겹쳐진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의 직경이 더 큰 것도 볼 수 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된 덕트의 직경이 더 크면 위에서 아래로 전달되는 공기가 덕트들(370,380,390)의 이음부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mong the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 a duct relatively closer to the lower end of the rod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an upper duct adjacent thereto. That is, the second duct 380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duct 370 , and the third duct 390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duct 380 . Looking at the enlarged portion of FIG. 14 , it can be seen that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uct 380 overlapping with the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is larger.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overlapped with the lower end 382 of the second duct 380 is larger. As such, when the diameter of the relatively lower duct is larger, air passing from top to bottom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between the joints of the ducts 370 , 380 , and 390 .

또한, 상기 에어덕트(360)에는 덕트토출관(375,3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토출관(375,395)은 상기 에어덕트(360)의 높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분기된 것으로, 상기 덕트토출관(375,395)을 통해서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시트부(918,920)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시트부(918,920)들에 각각 냉기와 온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덕트(360)에는 2개의 덕트토출관(375,395)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3개 이상의 덕트토출관(375,395)이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duct discharge pipes 375 and 395 may be provided in the air duct 360 . The duct discharge pipes 375 and 395 branch in directions different from the height direction of the air duct 360, and cold air or warm air may be discharged toward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through the duct discharge pipes 375 and 395. .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cool air and warm air to the plurality of seat parts 918 and 920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In this embodiment, two duct discharge pipes 375 and 395 may be provided in the air duct 360. Alternatively, three or more duct discharge pipes 375 and 395 may be provided.

도 19를 보면, 상기 에어덕트(360) 중 제1덕트(370)가 포함된 타워의 내부구조가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제1덕트(370)의 양단은 각각 상기 덕트헤드(350A)와 제2덕트(38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는 상기 덕트헤드(350A)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어덕트(360)를 구성하는 복수의 덕트들(370,380,390) 중에서 상기 덕트팬(320)에 의해 토출된 공기를 제일 먼저 전달받는 덕트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ower including the first duct 370 among the air ducts 360 is represented as a cross-sectional view. Both ends of the first duct 370 may be connected to the duct head 350A and the second duct 380, respectively. Since the first duct 370 is connected to the duct head 350A, the air discharged by the duct fan 320 is first among the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constituting the air duct 360 . It can be a receiving duct.

상기 제1덕트(370)를 아래에서 설명될 로드조립체(400)의 제1로드(500)가 둘러싸고 있다. 상기 제1로드(500)가 상기 제1덕트(370)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외부에서는 상기 제1덕트(370)를 직접 관찰할 수 없다.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513)은 상기 제1덕트(370)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종의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공간은 상기 제1덕트(370)의 냉기 또는 온기가 외기와 직접 닿아 온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first rod 500 of a rod assembly 400 to be described below surrounds the first duct 370 . Since the first rod 500 surrounds the first duct 370, the first duct 370 cannot be directly observed from the outside. An inner surface 513 of the first rod 500 may form a kind of heat insulation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uct 370 . The heat insulation space can prevent the cold air or warm air of the first duct 370 from changing in temperature due to direct contact with outside air.

상기 제1덕트(370)의 상단(371)은 상기 덕트헤드(350A,350B)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은 고정되지 않고,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에만 연결될 수 있다. 도 19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은 제1로드(500)의 하단 보다 짧아서 제1로드(500)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An upper end 371 of the first duct 370 may be connected to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and fixed to the housing module 100 . The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is not fixed and may be connected only to the upper end 381 of the second duct 380 . As shown in FIG. 19 ,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is shorter than the lower end of the first rod 500 and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rod 500 .

상기 제1덕트(370)의 제1덕트토출관(375)은 제1덕트(370)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제1덕트(370)의 상부에 해당하는 높이에 상기 시트부(918,920)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의 출구(377)는 상기 시트부(918,920)를 향해 개방되므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시트부(918,920)에 머무는 반려동물에게 공급될 수 있다.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of the first duct 370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duct 370, which is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at portion ( 918,920) is located. Since the outlet 377 of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is opened toward the seat parts 918 and 920, the cold air or warmth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stays in the seat parts 918 and 920. can be supplied to

도 20에는 제2덕트(38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과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39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80)는 제1덕트(370)와 마찬가지로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덕트(380)를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제2로드(600)가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로드(600)의 내면은 상기 제2덕트(380)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종의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20 shows a second duct 380. The second duct 380 may be connected to a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and an upper end 391 of the third duct 390 , respectively. Like the first duct 370, the second duct 380 may be surrounded by the rod assembly 400. More precisely, the second rod 600 of the rod assembly 400 may surround the second duct 380 . At this time, a kind of insul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od 6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380 .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은 상기 제2로드(600)의 상단 보다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은 상기 제2로드(600)의 하단 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은 상기 제1로드(500)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은 상기 제3로드(700)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The upper end 381 of the second duct 380 protrudes upward tha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od 600, and the lower end 382 of the second duct 380 i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od 600. It may protrude downwards. In this case, the upper end 381 of the second duct 380 can enter the first rod 500 and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The lower end 382 of may enter the third rod 700 and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

이때, 상기 제2덕트(38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80)에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되면,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2덕트(380)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제2덕트(380)에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fixed to the second duct 380 . Whe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fixed to the second duct 380, the second duct 380 engages with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whil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oves up and down. can be lifted togeth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duct 380, and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attached to the second duct 380 through a fastener such as a bolt. can be fixed

한편, 상기 제2덕트(380)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따라 상승하면,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 안쪽으로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이 삽입되면서 상기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의 겹침구간이 늘어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에어덕트(36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도 23(c)에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2덕트(380)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참고로 제3덕트(390)도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의해 함께 상승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when the second duct 380 ascends along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moves into the upper end 381 of the second duct 380. While being inserted, the overlapping section of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may increase.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air duct 360 may be shortened. 23(c)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oves the second duct 380 upward. For reference, the third duct 390 is also attach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t is shown in a raised state together by These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도 21에는 제3덕트(39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덕트(390)는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과 상기 후술할 트레이부(8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는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와 마찬가지로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3덕트(390)를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제3로드(700)가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로드(700)의 내면은 상기 제3덕트(390)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종의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21 shows a third duct 390. The third duct 39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382 of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ray unit 800 to be described later. The third duct 390 may be surrounded by the rod assembly 400 like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 More precisely, the third rod 700 of the rod assembly 400 may surround the third duct 390 . At this time, a kind of insul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rod 7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duct 390 .

이때,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은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에 연결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후술할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은 상기 트레이부(8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제2스토퍼조립체(450B) 및 트레이부(800)에 고정되므로 상기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382 of the second duct 380, and at the same time coupled to a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o be described later. A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may be coupled to the tray unit 800 . That is, sinc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hird duct 390 are fix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nd the tray unit 800, respectively, a more stable state is maintained than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can

상기 제3덕트(39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고정되면, 상기 제3덕트(390)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3덕트(390)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제3덕트(390)에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고정될 수 있다. 도 23(b)에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기 제3덕트(390)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The third duct 390 may be fixed to a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o be described below. When the third duct 390 is fix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he third duct 390 moves along with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while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oves up and down. can be lifted together.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duct 390, and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s attached to the third duct 390 through a fastener such as a bolt. can be fixed 2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oves the third duct 390 upward.

상기 제3덕트(390)의 제2덕트토출관(395)은 제3덕트(390)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제3덕트(390)의 하부에 해당하는 높이에 상기 시트부(918,920)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의 출구(397)는 상기 시트부(918,920)를 향해 개방되므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시트부(918,920)에 머무는 반려동물에게 공급될 수 있다.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of the third duct 390 may be disposed below the third duct 390, which is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third duct 390, and the seat portion ( 918,920) is located. Since the outlet 397 of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is opened toward the seat parts 918 and 920, the cold air or warmth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stays in the seat parts 918 and 920. can be supplied to

한편, 상기 제3덕트(390)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따라 상승하면,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 안쪽으로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이 삽입되면서 상기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의 겹침구간이 늘어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에어덕트(36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참고로 도 22에는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2로드(600)가 차례로 상승하여 타워의 전체 높이가 낮아지는 모습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when the third duct 390 ascends along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he lower end 382 of the second duct 380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An overlapping section between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may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air duct 360 may be shortened. For reference, FIG. 22 shows that the third rod 700 and the second rod 600 sequentially rise to lower the overall height of the tower.

도 23에는 겹쳐진 상태의 상기 에어덕트(360)가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다. 도 23(a)를 보면, 상기 제2덕트(380) 보다 직경이 작은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은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2덕트(380)의 겹침구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360)의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23, the air duct 360 in an overlapping state is represented as a cross-sectional view. Referring to FIG. 23(a), the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duct 380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381 of the second duct 380. The overall height of the air duct 360 may var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overlapping section of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

또한, 도 23(b)를 보면, 상기 제3덕트(390) 보다 직경이 작은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은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 역시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3덕트(390)의 겹침구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360)의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3(b), the lower end 382 of the second duct 380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third duct 390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Also, the overall height of the air duct 360 may var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overlapping section of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

도 25에는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가 서로 겹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는 서로 동심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는 각각 대략 원형의 횡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부호 A는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의 동심을 이루는 중심을 나타낸 것이다. 25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duct 370,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overlap each other. As can be seen, the first duct 370,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may have concentric circles. Each of the first duct 370,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Reference numeral A denotes the concentric centers of the first duct 370 , the second duct 380 , and the third duct 390 .

상기 제1덕트(370)에는 제1결합홈(37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표면 일부가 상기 중심(A)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일부가 상기 제1덕트(370)의 제1공간(374)의 폭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A first coupling groove 378 may be formed in the first duct 370 . The first coupling groove 378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first duct 370 toward the center (A).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coupling groove 378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a portion of the first duct 370 protruding in a direction of reducing the width of the first space 374 of the first duct 370. can Also, the first coupling groove 378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duct 370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grooves 378 are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first duct 370 .

상기 제2덕트(380)에는 상기 제1결합홈(378)에 끼워지는 제1결합리브(38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리브(387)는 상기 제2덕트(380)의 일부가 상기 중심(A)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리브(387)의 반대편에는 제2결합홈(388)이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리브(387)는 상기 제2덕트(38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결합리브(387)는 상기 제2덕트(380)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도면부호 384는 상기 제2덕트(380)의 내부공간인 제2공간을 나타낸다. The second duct 38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rib 387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378 . The first coupling rib 387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second duct 380 toward the center (A). Accordingly, the second coupling groove 388 may be reces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upling rib 387 . The first coupling rib 387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duct 380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ribs 387 are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second duct 380 . Reference numeral 384 denotes a second space that is an inner space of the second duct 380 .

상기 제1덕트(370)의 상기 제1결합홈(378)에 상기 제1결합리브(387)가 끼워지면,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2덕트(380)가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결합리브(387)와 상기 제1결합홈(378)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회전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first coupling rib 387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378 of the first duct 370,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is prevented. can do. More precisely, since the first coupling rib 387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378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are the air duct 360. They do not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bout an axi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상기 제3덕트(390)에는 상기 제2결합홈(388)에 끼워지는 제2결합리브(39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리브(398)는 상기 제3덕트(390)의 일부가 상기 중심(A)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리브(398)는 상기 제3덕트(39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결합리브(398)는 상기 제3덕트(390)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도면부호 394는 상기 제3덕트(390)의 내부공간인 제3공간을 나타낸다. The third duct 390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rib 398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388 . The second coupling rib 398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third duct 390 toward the center A. The second coupling rib 398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hird duct 390 .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upling ribs 398 are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third duct 390 . Reference numeral 394 denotes a third space that is an inner space of the third duct 390 .

상기 제2덕트(380)의 상기 제2결합홈(388)에 상기 제2결합리브(398)가 끼워지면,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3덕트(390)가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결합리브(398)와 상기 제2결합홈(388)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3덕트(39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회전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second coupling rib 398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388 of the second duct 380, relative rotation of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is prevented. can do. More precisely, since the second coupling rib 398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388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form the air duct 360. They do not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bout an axi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결과적으로 상기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는 서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덕트들(370,380,390)이 서로 상대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덕트들(370,380,390)은 상기 로드들(500,600,700)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일종의 서포트바(support bar)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덕트(390)는 상단이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트레이부(800)를 통해 상기 제3로드(700)의 하단에 결합되므로 로드들(500,600,700)이 승강될 때 상기 로드조립체(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높이를 줄일 때, 제3덕트(390)에 지지되는 제3로드(700)를 먼저 상승시키고, 그 후에 제2로드(6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As a result, the first duct 370,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can maintain a fixed state without being rotated with each other. Since the ducts 370, 380, and 390 do not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the ducts 370, 380, and 390 may serve as a kind of support bar while the rods 500, 600, and 700 are moved up and down. In particular, since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is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rod 700 through the tray unit 800, the rods 500, 600, and 700 ) can stably support the rod assembly 400 when it is lifted. Therefore, when reducing the height of the rod assembly 400, the third rod 700 supported by the third duct 390 can be raised first, and then the second rod 600 can be raised. This appearance is shown in FIG. 23 .

상기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들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M)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들이 유격없이 서로 겹쳐질 경우에 상기 에어덕트(360)의 승강과정에서 마찰력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유격(M)은 상기 덕트들(370,380,390)의 승강과정에서 조립공차에 의한 기울어짐 등을 보상해줄 수 있다. A predetermined gap M may exist between the first duct 370 , the second duct 380 , and the third duct 390 . 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duct 370 , the second duct 380 , and the third duct 390 overlap each other without clearance, frictional force may increase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air duct 360 up and down. In addition, the clearance M may compensate for inclination due to assembly tolerance during the elevation process of the ducts 370 , 380 , and 390 .

한편, 상기 덕트들(370,380,390)로 구성된 덕트조립체(300)는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조립체(400) 역시 복수의 로드들(500,600,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들(500,600,700)과 상기 덕트들(370,380,39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410A,410B)가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uct assembly 300 composed of the ducts 370 , 380 , and 39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rod assembly 400 . And, the rod assembly 400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rods 500, 600, and 700. Lifting devices 410A and 410B for lifting the rods 500 , 600 , and 700 and the ducts 370 , 380 and 390 may be included in the rod assembly 400 .

도 26과 도 27에는 제1승강장치(410A)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승강장치(410A)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제1덕트(370) 및 상기 제1로드(500)를 함께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1로드(500)가 결합되어 있어서, 이들은 함께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26 and 27 show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is for lifting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may includ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Whil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moved up and down by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the first duct 370 and the first rod 500 can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Since the first duct 370 and the first rod 500 are coupled to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y can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Of cours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ay be regarded as a part of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는 제1승강모터(M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승강바(42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제1고정홈(169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고정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 27에는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고정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A first lifting motor M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The first lifting motor M1 may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lifting bar 421 to be described below. The first lifting motor M1 is disposed above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ifting motor M1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groove 169b of the connection flange 169.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lifting motor M1 may be operated while being fixed to the connection flange 169 . 27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lifting motor M1 is fixed to the connecting flange 169.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는 제1승강바(421)와 제1가이드바(42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는 상기 제1승강모터(M1)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1승강바(421)가 회전되면 상기 제1승강바(421)에 연결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1승강바(421)를 타고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와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로드(500)의 승강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may include a first lifting bar 421 and a first guide bar 425 . The first lift bar 421 can be rotated by the first lift motor M1, and when the first lift bar 421 is rotated, the first stopper assembly connected to the first lift bar 421 (450A) can be lifted on the first lifting bar (421). The first lifting bar 421 and the first guide bar 42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 side by side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first rod 500 .

상기 제1승강바(421)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승강홀(458, 도 28참조)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승강바(421)의 표면에는 제1승강나사산(42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승강홀(458)에는 상기 제1승강나사산(421a)에 맞물리는 상대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8의 확대도를 보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는 제1승강홀(458)이 관통되어 있는데, 상기 제1승강홀(458)의 내면에는 상대나사산인 제1스토퍼나사산(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승강바(421)가 회전하면 나사산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저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은 상기 제1승강바(421)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1승강바(421)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The first lifting bar 42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lifting hole 458 (see FIG. 28)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t this time, a first lifting screw thread 421a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lifting bar 421, and an opposing screw thread engaged with the first lifting screw thread 421a may be formed in the first lifting hole 458. It can be. 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FIG. 28,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has a first lift hole 458 passing through, 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ift hole 458, a first stopper screw thread (reference numeral unassigned) may be formed. Therefore, when the first lifting bar 421 rotates,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can be raised or lowered while the screw threads engage with each other and rotate. The lower end 423 of the first lifting bar 421 may be caught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n this case, the lower end 423 of the first lifting bar 421 may be a separate object from the first lifting bar 421 and may be a part fastened to the first lifting bar 421 by bolts.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승강바(421)와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승강바(421)와 달리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승강될 때 어느 한쪽 방향으로 처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덕트(370)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1승강바(42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bar 425 may extend parallel to the first lifting bar 421 . Unlike the first lifting bar 421, the first guide bar 425 may not have a thread formed on its surface. The first guide bar 425 allows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o be lifted in an aligned state without drooping in one direction whe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lifted. The first guide bar 425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lifting bar 421 with the first duct 370 at the center.

이때, 상기 제1가이드바(425)도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될 수 있는데, 도 28의 확대도에서 보듯이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구비된 가이드베어링(459)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은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의 반대편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승강과정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도면부호 459a는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을 구성하는 볼(ball)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은 상기 제1가이드바(425)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1가이드바(425)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bar 425 may also be coupled to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28, the first guide bar 425 is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t can pass through the guide bearing 459 provided in. The lower end 427 of the first guide bar 425 may be caugh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bearing 459. By means of the guide bearing 459, the first guide bar 425 can reduce friction with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during an elevation process. Reference numeral 459a denotes a ball constituting the guide bearing 459. In this case, the lower end 427 of the first guide bar 425 may be a separate object from the first guide bar 425 and may be a part fastened to the first guide bar 425 by bolts.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상단(426)은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상기 제2고정홈(169c)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상단(426)이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제2고정홈(169c)에 끼워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은 앞서 설명한대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저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하면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위쪽으로 이동하고, 제1가이드바(425)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저면에 걸린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도 23(c) 참조)An upper end 426 of the first guide bar 425 may be mounted in the second fixing groove 169c of the connection flange 169 . Referring to FIG. 7 ,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end 426 of the first guide bar 42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169c of the connecting flange 169.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427 of the first guide bar 425 may be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Whe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rises, it moves upward of the first guide bar 425, and the first guide bar 425 can be released from being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Yes. (See Fig. 23(c))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 포함된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설명에 앞서, 제2승강장치(410B)를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29에는 제2승강장치(410B)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와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장치(410B)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승강할 때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3덕트(390)도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ncluded in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will be first described. 29 shows a second lift device 410B. The basic structure of the second elevator device 410B may b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levator device 410A. The second elevating device 410B is for elevating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t this time, since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are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whe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oves up and down,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can also be lifted together.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ay be regarded as a part of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상기 제2승강장치(410B)에는 제2승강모터(M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승강바(49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형성된 승강모터홈(456,도 33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may include a second lifting motor M2. The second lifting motor M2 may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lifting bar 491 to be described below. The second lifting motor M2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ifting motor M2 is a lifting motor home formed i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 456 (see FIG. 33).

이때, 도 29에서 보듯이,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도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상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하면 상기 제2승강모터(M2) 및 제2승강바(491),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도 함께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과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에 결합된 제2스토퍼조립체(450B)도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9, the second lifting motor M2 is fixed to the top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bar 495 constituting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496 may also be hook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refore, whe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rises, the second lift motor M2, the second lift bar 491, and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also rise together. In additio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coupled to the lower end 493 of the second lift bar 491 and the lower end 497 of the second guide bar 495 also rises, and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may rise together.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2승강장치(410B)에는 제2승강바(491)와 제2가이드바(49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는 상기 제2승강모터(M2)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2승강바(491)가 회전되면 상기 제2승강바(491)에 연결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기 제2승강바(491)를 타고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로드(600)의 승강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may include a second lifting bar 491 and a second guide bar 495 . The second lift bar 491 can be rotated by the second lift motor M2, and when the second lift bar 491 is rotated, the second stopper assembly connected to the second lift bar 491 (450B) can be lifted on the second lifting bar (491). The second lifting bar 491 and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 side by side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second rod 600 .

상기 제2승강바(491)의 표면에는 제2승강나사산(49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상기 제2승강바(491)의 제2승강나사산(491a)에 맞물리는 상대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내면에는 제2상대나사산인 제2스토퍼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제2승강나사산(491a)과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승강바(491)가 회전하면 나사산들이 서로 맞물려 동작하면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은 상기 제2승강바(491)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2승강바(491)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A second lifting screw thread 491a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lifting bar 491, and the second lifting screw thread 491a of the second lifting bar 49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n interlocking mating thread may be formed. A second stopper screw thread (not shown), which is a second counter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lift screw thread 491a of the second lift bar 491. Therefore, when the second lifting bar 491 rotates,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can be raised or lowered while the screw threads engage with each other and operate. The lower end 493 of the second lift bar 491 may be caught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n this case, the lower end 493 of the second lifting bar 491 may be a separate object from the second lifting bar 491 and may be a part fastened to the second lifting bar 491 by bolts.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승강바(491)와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승강바(491)와 달리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승강될 때 어느 한쪽 방향으로 처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덕트(380)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extend parallel to the second lifting bar 491 . Unlike the second lifting bar 491,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not have a screw thread formed on its surface. The second guide bar 495 allows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o be lifted in an aligned state without drooping in one direction whe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s lifted.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lift bar 491 with the second duct 380 at the center.

이때, 상기 제2가이드바(495)도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구비된 가이드베어링(미도시)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의 반대편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승강과정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제2가이드바(495)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also be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nd the second guide bar 495 is a guide bearing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 can pass through. The lower end 497 of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be caugh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bearing 459 . Due to the guide bearing 459, the second guide bar 495 can reduce friction with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during an elevation process. The lower end 493 of the second lift bar 491 may be caught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n this case, the lower end 497 of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be a separate object from the second guide bar 495 and may be a part fastened to the second guide bar 495 by bolt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상면에 걸릴 수 있다. 도 31를 참조하면,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형성된 바걸림홀(458')을 통과하여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승하면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린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23(b)에 도시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496 of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be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Referring to FIG. 31 , the upper end 496 of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pass through the bar catching hole 458' formed i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be caught on the edge. Also, the lower end 497 of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be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Whe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rises, the lower end 497 of the second guide bar 495 can be released from being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his appearance is shown in FIG. 23(b).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아래쪽에는 상기 제2승강바(491)가 배치되고, 상기 제1승강바(421)의 아래쪽에는 상기 제2가이드바(495)가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기준으로 상기 제1가이드바(425)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승강바(421)와 상기 제2승강바(495)도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승강바(421)와 상기 제2승강바(491)가 서로 같은 쪽에 나란히 배치되면, 모터(M1,M2)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곳이 한쪽으로 집중되어 상기 로드들(600,700) 및 상기 덕트들(380,390)의 승강과정에서 치우침이 발생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배치를 통해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ift bar 491 is disposed below the first guide bar 425, and the second guide bar 495 is disposed below the first lift bar 421. do. That is, the first guide bar 425 and the second guide bar 495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the first lift bar 421 and the second lift bar 421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The bars 495 are also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lifting bar 421 and the second lifting bar 491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same side, the rotation force of the motors M1 and M2 is concentrated on one side, and the rods 600 and 700 and the A bias may occur in the process of raising and lowering the ducts 380 and 390, which can be prevented through the above arrangement.

다음으로 스토퍼조립체(450A, 45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 450B)는 상기 로드들(600,700) 및 상기 덕트들(380,390)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들(600,700)과 상기 덕트들(380,390)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 450B)는 상기 로드들(600,700)과 덕트들(380,390)이 특정 위치(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드들(600,700)과 덕트들(380,390)은 그 자체의 무게로 인해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미끌어질 수 있는데,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 450B)가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 450B)는 상기 로드들(600,700)에 구비된 스텝프레임(520,620)에 걸리거나, 걸린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Next, the stopper assemblies 450A and 450B will be described. The stopper assemblies 450A and 450B are coupled to the rods 600 and 700 and the ducts 380 and 390 and can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rods 600 and 700 and the ducts 380 and 390. In addition, the stopper assemblies 450A and 450B may allow the rods 600 and 700 and the ducts 380 and 390 to be fixed at specific positions (heights). The rods 600 and 700 and the ducts 380 and 390 cannot be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due to their own weight and can slide downward by gravity, and the stopper assemblies 450A and 450B can prevent this. . The stopper assemblies 450A and 450B may be caught on the step frames 520 and 620 provided on the rods 600 and 700 or may be released from the caught stat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 450B)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assemblies 450A and 450B may include a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a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located below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and may serve to lift the second rod 600 and the second duct 380 .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s located below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and may serve to lift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일부로 볼 수 있고,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일부로 볼 수 있다.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can be seen as a part of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and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can be seen as a part of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이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i) 상기 제1승강장치(410A)를 구성하는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 및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과 연결됨과 동시에, (ii)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2승강바(491)의 상단(492) 및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제1승강바(421)를 따라 상승할 때 상기 제2승강바(491)도 상승할 수 있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에 연결된 제2스토퍼조립체(450B),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 the lower end 423 of the first lifting bar 421 and the lower end 427 of the first guide bar 425 constituting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ii) It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492 of the second elevating bar 491 and the upper end 496 of the second guide bar 495 constituting the second elevating device 410B. Therefore, whe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scends along the first lift bar 421, the second lift bar 491 can also rise, and the lower end 493 of the second lift bar 491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connected thereto also rise together.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구조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ince the structures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re similar, the structure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0을 보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로드(500)와 상기 제2로드(600)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2로드(600)가 상기 제1로드(500)의 가장 아래쪽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1로드(500)와 상기 제2로드(600)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로드(500)와 상기 제2로드(600)의 상대길이(높이)가 가변된 후, 가변된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0 ,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rod 500 and the second rod 600 overlap each other. More precisely,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connected to the first rod 500 and the second rod 600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od 600 has descend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rod 500. ) may be placed in overlapping portions. After the relative length (height) of the first rod 500 and the second rod 600 is changed,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can maintain the changed state.

이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제2로드(60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로드(60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2덕트(380)와도 결합되어, 상기 제2덕트(38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2로드(60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2로드(600)와 함께 승강될 수 있고, 상기 제1로드(500)의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면, 상기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도 함께 제1스텝프레임(520)에 지지되어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rod 600, it can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econd rod 600. In additio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coupled to the second duct 380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econd duct 380 .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can be lifted together with the second rod 600 while being fixed to the second rod 600, and the first step frame 520 of the first rod 500 can take on Whe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the second rod 600 and the second duct 380 are also supported by the first step frame 520 and their height is fixed. can

도 30에는 상기 제1가이드바(425)와 상기 제1승강바(421),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제2승강바(491)는 상기 제2승강모터(M2)의 아래쪽에 연결되어 도 30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다. 이처럼 상기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가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에 연결된 제2스토퍼조립체(450B)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연결된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도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승강에 연동될 수 있다. 30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guide bar 425, the first lifting bar 421, and the upper end 496 of the second guide bar 495 are connected to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re is. For reference, the second lifting bar 491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lifting motor M2 and is not shown in FIG. 30 . As such, since the second lift bar 491 and the second guide bar 495 are connected to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 second lift bar 491 and the second guide bar 495 are connected.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connect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ay also be linked to the elevation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통과할 수 있다. 도 30을 보면, 상기 제2덕트(380)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스토퍼커버(480)를 통과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덕트(380)의 안쪽에는 제1덕트(370)가 겹쳐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해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The second duct 380 may pass through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Referring to FIG. 30 ,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uct 380 passes through the stopper cover 480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shown. At this time, the first duct 370 overlaps the inside of the second duct 380 . Accordingly,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ay also play a role of accurately fixing the position of the air duct 360 .

도 31을 보면, 상기 스토퍼커버(480)가 생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는 스토퍼하우징(451)과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은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장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고,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는 스토핑모터(471M)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31,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cover 480 is omitted is show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ay include a stopper housing 451 and a stopping actuator 470. The stopper housing 451 may be a part where the stopping actuator 470 is mounted, and the stopping actuator 470 is operated by the stopping motor 471M whil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o be fixed in a specific location.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에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서 입출되는 작동바(473,4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바(473,476)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된 제2로드(600)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로드(500)의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도 31을 보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작동바(473,476)가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작동바(473,476)가 돌출되면 상기 제2로드(600)의 바통과홀(618)을 통과하여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More precisely, the stopping actuator 470 may be provided with operating bars 473 and 476 moving in and out of the stopper housing 451 . The operation bars 473 and 476 protrude from the second rod 600 to which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fixed, and can be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of the first rod 500. Referring to FIG. 31, the operation bars 473 and 476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re disposed inside. When the operation bars 473 and 476 protrude, the bar passage hole 618 of the second rod 600 is opened. It can pass through and be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 These structures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below.

도 32에는 상기 스토퍼커버(480)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서 분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는 스토퍼하우징(45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은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수납되고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은 대략 원형틀 형상일 수 있고, 안쪽에는 상기 작동바(473,476)와 레크바(472,475)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바(473,476)와 상기 레크바(472,475)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 형성된 작동공간(460,465)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32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cover 48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ay include a stopper housing 451. The stopper housing 451 allows the stopping actuator 470 to be accommodated and operated. The stopper housing 451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frame shape, and a space in which the operation bars 473 and 476 and the rec bars 472 and 475 are accommodated may be formed. The operating bars 473 and 476 and the leg bars 472 and 475 may move inside the operating spaces 460 and 465 formed in the stopper housing 451 .

참고로 도 32 내지 도 34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1스텝프레임(520)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513)에 구비되는 것이지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려 고정되므로 함께 도시되었다. 도 32 내지 도 34에서는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작동공간(460) 안에 수납되어 있어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지 않은 상태이지만, 상기 제1작동바(473)가 전방으로 돌출되면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For reference, FIGS. 32 to 34 show the first step frame 520 together with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first step frame 52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513 of the first rod 500, but the first operating bar 473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the first step frame 520. ), so they are shown together. 32 to 34, the first operating bar 473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and is not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but the first operating bar 473 is When it protrudes forward, it can be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

도 33을 보면,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는 날개부(4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의 양쪽으로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는 상기 제2로드(600)의 연장부와 내부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3 , the stopper housing 451 may include wing parts 452. The wing portion 452 may be a port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stopper housing 451 . The wing portion 45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of the second rod 600 and the inner shape. The wings 452 may be composed of a pair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도면부호 453은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관통부이다. 상기 하우징관통부(453)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관통부(453)는 총 4개로 구성되고, 그 중 일부를 통해서 상기 에어덕트(360)가 통과할 수 있다. 나머지 하우징관통부(453)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Reference numeral 453 is a housing penetrating portion formed through the stopper housing 451 . The housing penetrating part 453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penetrating part 453 is composed of a total of four, and the air duct 360 can pass through some of them. The remaining housing penetrating portion 453 may be for reducing the weight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상기 날개부(452)에는 센서장착홈(45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홈(455a)은 상기 날개부(452)의 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홈(455a)에는 센싱자석(455)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4에서 보듯이, 상기 센싱자석(455)은 상기 센서장착홈(455a)에 장착되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센싱자석(455)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승강센서(585)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승강센서(585)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센서장착홈(455a)에 센싱자석(455)이 아니라 홀센서가 장착되고, 반대로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센싱자석(455)이 장착될 수도 있다. A sensor mounting groove 455a may be formed in the wing portion 452 . The sensor mounting groove 455a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wing portion 452 . A sensing magnet 455 may be provided in the sensor mounting groove 455a. As shown in FIG. 34, the sensing magnet 455 may be exposed forward when mounted in the sensor mounting groove 455a. The sensing magnet 455 may be detected by a first elevation sensor 585 to be described below, and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180 may measure the height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levation sensor 585 may be configured as a hall sensor. For reference, a Hall sensor, not the sensing magnet 455, may be mounted in the sensor mounting groove 455a, and the sensing magnet 455 may be mounted in the rod assembly 400, conversely.

상기 날개부(452)에는 승강모터홈(4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홈(456)에는 상기 제2승강모터(M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홈(456)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홈(456)에 상기 제2승강모터(M2)가 장착되면, 상기 제2승강모터(M2)의 아래쪽에는 앞서 설명한 제2승강장치(410B)의 제2승강바(491)가 연결될 수 있다. An elevating motor home 456 may be provided on the wing portion 452 . The second lifting motor M2 may be mounted on the lifting motor home 456 . The lifting motor home 456 may be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econd lifting motor M2 is mounted in the lifting motor home 456, the second lifting bar 491 of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lifting motor M2. can

상기 날개부(452)에는 베어링장착부(4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장착부(457)에는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은 상기 베어링장착부(457)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제1가이드바(425)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A bearing mounting portion 457 may be provided on the wing portion 452 . The guide bearing 459 may be installed in the bearing mounting part 457 . The guide bearing 459 is installed on the bearing mounting portion 457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first guide bar 425 of the first elevating device 410A and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상기 날개부(452) 중 상기 승강모터홈(456)이 형성된 날개부(452)와 반대편에 위치한 다른 날개부(452)에는 제1승강홀(4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홀(458)은 상기 날개부(452)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승강홀(458)에는 상기 제1승강바(421)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1승강바(421)의 제1승강나사산(421a)은 상기 제1승강홀(458)의 제1스토퍼나사산에 맞물릴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은 상기 제1승강홀(458)을 통과하여 반대편에 걸릴 수 있다. A first lifting hole 458 may be formed in another wing portion 452 located opposite to the wing portion 452 on which the lifting motor home 456 is formed among the wing portions 452 . The first lifting hole 458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wing portion 452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lifting bar 42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lifting hole 458, and the first lifting screw thread 421a of the first lifting bar 421 is the first lifting screw thread 421a of the first lifting hole 458. 1Can be engaged with the stopper thread. Referring to FIG. 28 , the lower end 423 of the first lifting bar 421 may pass through the first lifting hole 458 and be caught on the opposite side.

상기 날개부(452)에는 바걸림홀(4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걸림홀(458')은 상기 제1승강홀(458)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날개부(45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걸림홀(458')에는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이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바걸림홀(458')을 통과하여 바걸림홀(458')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이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제2가이드바(495)와 별개물로, 상기 제2가이드바(495)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A bar locking hole 458' may be formed in the wing portion 452. The bar catching hole 458 ′ may be formed through the wing portion 452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lifting hole 458 . An upper end 496 of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be caught in the bar catching hole 458'. The upper end 496 of the second guide bar 495 passes through the bar hanging hole 458' and is caught on the edge of the bar hanging hole 458'. The upper end 496 of the second guide bar 495 is separate from the second guide bar 495 and may be a part fastened to the second guide bar 495 by bolts.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의 내부에는 복수의 작동공간(460,46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 총 4개의 작동공간(460,4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두 개의 작동공간(460,465)은 제1작동공간(460)을 형성할 수 있고, 나머지 두 개의 작동공간(460,465)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직교한 제2작동공간(465)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공간(460,465)들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설치방향에 따라 방향이 바뀔 수 있다. A plurality of operating spaces 460 and 465 may be formed inside the stopper housing 451 .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four operating spaces 460 and 465 may be formed in the stopper housing 451 . Of these, two operating spaces 460 and 465 may form a first operating space 460, and the remaining two operating spaces 460 and 465 form a second operating space 465 orthogonal to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can form Here, directions of the operating spaces 460 and 465 may chang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에는 각각 상기 작동부(SB1,SB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에는 제1작동부(SB1)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작동공간(465)에는 제2작동부(SB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작동부(SB1)와 상기 제2작동부(SB2) 역시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s SB1 and SB2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operation space 460 and the second operation space 465, respectively. The first operation unit SB1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operation space 460 ,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SB2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operation space 465 . Accordingly,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and the second operating unit SB2 may also be configured as a pair.

상기 제1작동공간(460)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3에서 보듯이, 상기 제1작동공간(460)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제1구획공간(460a)은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우측에 있는 제2구획공간(460b)은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1구획공간(460a)과 상기 제2구획공간(460b)에는 각각 서로 다른 제1작동부(SB1)가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작동부(SB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may be configured as a pair. As shown in FIG. 33,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may be composed of two spaces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and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m, the first compartment space 460a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is open upward, and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460b on the right side is open downward. Different first operation units SB1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compartment space 460a and the second compartment space 460b, and the pair of first operation units SB1 move in opposite directions. can

한편, 상기 제2작동공간(465)도 제1작동공간(460)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위쪽에 있는 제3구획공간(465a)은 오른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아래쪽에 있는 제4구획공간(465b)은 왼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3구획공간(465a)과 상기 제4구획공간(465b)에는 각각 서로 다른 제2작동부(SB2)가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작동부(SB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may also be configured as a pair like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may be composed of two spaces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and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m, the third compartment space 465a on the upper side is open to the right, and the fourth compartment space 465b on the lower side is open to the left. Different second operation units SB2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compartment space 465a and the fourth compartment space 465b, and the pair of second operation units SB2 move in opposite directions. can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작동공간(460,465)은 총 4개의 구획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상기 작동공간(460,465)은 3개 이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제2작동공간(465)은 각각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작동부(SB1)와 제2작동부(SB2)도 각각 한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As such,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ng spaces 460 and 465 may be divided into a total of four compartment spaces, but, unlike this, the operating spaces 460 and 465 may be composed of three or less.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and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may each consist of one space, and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and the second operating unit SB2 may each consist of one. It can.

상기 제1작동공간(460)을 보면, 상기 제1작동공간(460)에는 제1기어슬롯(461)과 제1작동슬롯(4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슬롯(461)에는 상기 제1작동부(SB1)를 구성하는 제1레크바(472)에서 돌출된 제1레크돌기(472a)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슬롯(462)에는 상기 제1작동바(473)에서 돌출된 제1작동돌기(473b)가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기어슬롯(461)과 상기 제1작동슬롯(462)은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1작동바(473)가 일정한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 a first gear slot 461 and a first operating slot 462 may be formed in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 A first leg protrusion 472a protruding from the first leg bar 472 constituting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may be fitted into the first gear slot 461 . A first operating protrusion 473b protruding from the first operating bar 473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operating slot 462 . That is, the first gear slot 461 and the first operation slot 462 may guide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first operation bar 473 to linearly mo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제1기어슬롯(461)과 상기 제1작동슬롯(462)은 각각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길이방향, 즉 상기 제1작동부(SB1)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슬롯(461)은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3을 보면, 상기 제1작동바(473)에 비해 길이가 긴 제1레크바(472)에는 두 개의 제1레크돌기(472a)가 구비되고, 두 개의 제1레크돌기(472a)는 각각 서로 다른 제1작동슬롯(462)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제1작동슬롯(462)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이 서로 교차하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gear slot 461 and the first operation slot 462 may each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operation space 460, that is,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operation unit SB1. And, the first gear slot 461 may be composed of two. 33, the first leg bar 472, which is longer than the first operating bar 473, is provided with two first leg protrusions 472a, and each of the two first leg protrusions 472a is It can be inserted into different first operation slots 462 . In this case, the two first operating slots 462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where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and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intersect.

상기 제1작동공간(460)에는 제1장착돌기(4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돌기(463)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479)의 한쪽 끝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부재(479)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장착돌기(463)와,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작동돌기(473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1장착돌기(463)와 상기 제1작동돌기(473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작동바(473)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작동바(473)를 미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작동바(473)는 원위치인 제1작동공간(460)의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A first mounting protrusion 463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463 is a portion to which one end of an elastic member 479 to be described below is fixed.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479 may be fixed to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463 and the first actuating protrusion 473b of the first actuating bar 473, respectively. The elastic member 479 may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first operating bar 473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463 and the first operating protrusion 473b move away from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pushing the first operating bar 473 is removed, the first operating bar 473 can move to the inside of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which is its original position.

도면부호 460a'는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출구를 나타낸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출구(460a')를 통해서 상기 제1작동바(473)의 앞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을 형성하는 상기 제1구획공간(460a)과 상기 제2구획공간(460b)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개방된 출구(460a')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ence numeral 460a' denotes an exit of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 A front portion of the first operating bar 473 may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outlet 460a' of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 Exits 460a' opened in different directions may be formed in the first partitioned space 460a and the second partitioned space 460b forming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

상기 제2작동공간(465)을 보면, 상기 제2작동공간(465)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Looking at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

상기 제2작동공간(465)에는 제2기어슬롯(466)과 제2작동슬롯(46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는 상기 제2작동부(SB2)를 구성하는 제2레크바(475)에서 돌출된 제2레크돌기(475a)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작동슬롯(467)에는 상기 제2작동바(476)에서 돌출된 제2작동돌기(476b)가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기어슬롯(466)과 상기 제2작동슬롯(467)은 상기 제2레크바(475)와 상기 제2작동바(476)가 일정한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A second gear slot 466 and a second operation slot 467 may be formed in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 A second leg protrusion 475a protruding from the second leg bar 475 constituting the second operating unit SB2 may be fitted into the second gear slot 466 . A second operating protrusion 476b protruding from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rating slot 467 . That is, the second gear slot 466 and the second operation slot 467 may guide the second leg bar 475 and the second operation bar 476 to linearly mo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제2기어슬롯(466)과 상기 제2작동슬롯(467)은 각각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길이방향, 즉 상기 제2작동부(SB2)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슬롯(466)은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3을 보면, 상기 제2작동바(476)에 비해 길이가 긴 제2레크바(475)에는 두 개의 제2레크돌기(475a)가 구비되고, 두 개의 제2레크돌기(475a)는 각각 서로 다른 제2작동슬롯(467)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33에서 보듯이, 상기 두 개의 제2작동슬롯(467)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이 서로 교차하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gear slot 466 and the second operation slot 467 may each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operation space 465, that is,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SB2. And, the second gear slot 466 may be composed of two. 33, the second leg bar 475, which is longer than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is provided with two second leg protrusions 475a, and the two second leg protrusions 475a are respectively It can be inserted into different second operation slots 467.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3, the two second operating slots 467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where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and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cross each other. there is.

상기 제2작동공간(465)에는 제2장착돌기(46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돌기(468)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479)의 한쪽 끝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부재(479)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2장착돌기(468)와, 상기 제2작동바(476)의 제2작동돌기(476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2장착돌기(468)와 상기 제2작동돌기(476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작동바(476)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작동바(476)를 미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작동바(476)는 원위치인 제2작동공간(465)의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468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 The second mounting protrusion 468 is a portion to which one end of an elastic member 479 to be described below is fixed.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479 may be fixed to the second mounting protrusion 468 and the second actuating protrusion 476b of the second actuating bar 476, respectively. The elastic member 479 may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mounting protrusion 468 and the second operating protrusion 476b move away from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pushing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is removed,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can move to the inside of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which is its original position.

도면부호 465a'는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출구(465a')를 나타낸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출구(465a')를 통해서 상기 제2작동바(476)의 앞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을 형성하는 상기 제3구획공간(465a)과 상기 제4구획공간(465b)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개방된 출구(465a')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ence numeral 465a' denotes an outlet 465a' of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A front portion of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may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outlet 465a' of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 Exits 465a' opened in different directions may be formed in the third partitioned space 465a and the fourth partitioned space 465b forming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제1기어슬롯(461)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상기 제2기어슬롯(466)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는 서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위아래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기어슬롯(461)과 상기 제2기어슬롯(466)도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gear slot 461 of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and the second gear slot 466 of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second leg bar 475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and correspondingly, the first gear slot 461 and the second The gear slots 466 may also b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이어서 스토핑액츄에이터(470)를 살펴보면,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 수납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동작되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 전체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려 고정되거나, 또는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린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에는 총 4개의 작동부(SB1,SB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4개의 작동부(SB1,SB2)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총 네 위치에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고정될 수 있고,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된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도 함께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Next, looking at the stopping actuator 470, the stopping actuator 470 can be operat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stopper housing 451. When the stopping actuator 470 is operated, the entir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ay be caught and fixed on the first step frame 520 or may be released while being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 In this embodiment, the stopping actuator 470 may include a total of four operating units SB1 and SB2, and the four operating units SB1 and SB2 may operate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ly,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ay be fixed to the first step frame 520 at four locations, and the second rod 600 and the second duct 380 coupled to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 can also be stably fixed together.

도 33을 보면,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에는 피니언기어(47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스토핑모터(471M, 도 36참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제1작동부(SB1) 및 제2작동부(SB2)와 연결되어, 상기 제1작동부(SB1)와 상기 제2작동부(SB2)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제1레크바(472) 및 제2레크바(475)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피니언기어(471)가 회전하면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는 각각 상기 제1작동공간(460) 및 제2작동공간(465)에서 직선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3 , the pinion gear 471 may be included in the stopping actuator 470 . The pinion gear 471 may be rotated by a stopping motor 471M (see FIG. 36). The pinion gear 471 is connected to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and the second operating unit SB2 to linearly move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and the second operating unit SB2. More precisely, the pinion gear 471 may engage with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second leg bar 475, and when the pinion gear 471 rotates,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second leg bar 475 may linearly move in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and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 respectively.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이 서로 교차하는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의 하부에는 상기 제1레크바(472)가 맞물리고, 상기 피니언기어(471)의 상부에는 제2레크바(475)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는 서로 간섭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The pinion gear 471 may be disposed at a center where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and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intersect each other. The first leg bar 472 may be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pinion gear 471 , and the second leg bar 475 may be engag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pinion gear 471 . Therefore,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second leg bar 475 can linearly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에는 제1작동부(SB1)와 제2작동부(SB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SB1)와 제2작동부(SB2)는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도 33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1작동부(SB1)와 상기 제2작동부(SB2)가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작동부(SB1)와 상기 제2작동부(SB2)는 각각 두 개로 구성된다. 상기 제1작동부(SB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작동부(SB2) 역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opping actuator 470 may include a first operating unit SB1 and a second operating unit SB2.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and the second operating unit SB2 may be disposed in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Referring to FIG. 33 ,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and the second operating unit SB2 It can be seen that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and the second operating unit SB2 is composed of two.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may be configured as a pair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second operating unit SB2 may also be configured as a pair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제1작동부(SB1)를 보면, 상기 제1작동부(SB1)는 제1레크바(472)와 제1작동바(4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레크바(472)와 제1작동바(473)는 서로 분리된 별개물로 구성되지만, 상기 제1작동공간(460)에 서로 연속되게 배치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레크바(472)가 상기 제1작동바(473)를 상기 피니언기어(47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것이다. Looking at the first operation unit SB1, the first operation unit SB1 may include a first leg bar 472 and a first operation bar 47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first operating bar 473 are configured as separate objects, but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and moved together. That is, the first leg bar 472 can push the first operating bar 473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inion gear 471 .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작동공간(460) 내부에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는 상기 제1작동바(473)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중심부, 즉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1작동바(473)는 서로 결합되지 않은 별개물이지만, 일면이 서로 맞닿아 함께 이동될 수 있다.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first operating bar 473 may linearly move within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 The first leg bar 472 is dispos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at is, closer to the pinion gear 471 than the first operation bar 473, and the first operation bar 473 may be placed relatively outward. Also, although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first operating bar 473 are separate objects that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one surfaces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ove together.

상기 제1레크바(472)는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려 동작되는 일종의 종동기어인 레크기어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의 한쪽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리는 기어치가 구비되고, 반대면은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에는 상기 제1기어슬롯(461)에 끼워지는 제1레크돌기(472a)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돌기(472a)는 상기 제1기어슬롯(461)에 끼워져 상기 제1레크바(47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The first rack bar 472 may be regarded as a rack gear, which is a kind of driven gear operated by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471 . Gear teeth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47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opposite side may be formed of a flat surface. A first leg protrusion 472a inserted into the first gear slot 461 may protrude from the first leg bar 472 . The first leg protrusion 472a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gear slot 461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leg bar 472 .

상기 제1레크바(472)의 한쪽에는 상기 제1작동바(473)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대로,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1작동바(473)는 서로 별개물이되, 서로 밀착되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레크바(472)에 의해 전방, 즉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레크바(472)와 마찬가지로 대략 바 형상일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출구(460a')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first operating bar 473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leg bar 472 .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first operating bar 473 may be separate from each other, but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operating bar 473 may protrude forward, that is, outward, by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protruding first operating bar 473 may be caught by the first step frame 520. can Like the first leg bar 472, the first operating bar 473 may have a substantially bar shape, and at least a portion may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outlet 460a' of the first operating space 460. there is.

상기 제1작동바(473)의 일단부에는 제1후크(47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작동바(473)의 일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제1후크(473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다시 아래쪽으로 미끌어지지 않고 현재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6(c)에는 상기 제1후크(473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린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A first hook 473a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operation bar 473 . The first hook 473a may protrude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operating bar 473 . The first hook 473a is a part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 When the first hook 473a is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can maintain its current height without sliding downward again. For reference, FIG. 36(c)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ok 473a is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상기 제1작동바(473)에는 제1작동돌기(47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돌기(473b)는 상기 제1작동바(473)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돌기(473b)는 대략 원기둥형상일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작동바(473)의 양쪽측면에서 각각 돌출된다. 도 34를 보면, 상기 제1작동돌기(473b)는 상기 제1작동슬롯(462)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제1작동바(473)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A first operating protrusion 473b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operating bar 473 . The first operating protrusion 473b may protrude from a side surface of the first operating bar 473 . The first actuating protrusion 473b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n this embodiment protrude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actuating bar 473,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34 , the first operating protrusion 473b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operating slot 462 and may guide a sliding motion of the first operating bar 473 .

또한, 상기 제1작동돌기(473b)와 상기 제1장착돌기(463) 사이에는 탄성부재(47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1작동돌기(473b)와 상기 제1장착돌기(463)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다시 인장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1 작동바(473)가 원위치, 즉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가까운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작동바(473)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작동바(473)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면 상기 탄성부재(479)는 압축되었다가,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의해 상기 제1레크바(472)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479)가 인장되면서 상기 제1작동바(473)를 제1레크바(472)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479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erating protrusion 473b and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463 . The elastic member 479 may be compressed or stretched again between the first operating protrusion 473b and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463 . The elastic member 479 may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first operating bar 473 so that the first operating bar 473 moves toward the original position, that is, toward a center close to the pinion gear 471 . More precisely, when the first operation bar 473 protrudes outward, the elastic member 479 is compressed, and when the first lever bar 472 moves toward the center by the pinion gear 471, As the elastic member 479 is stretched, the first operation bar 473 may be pushed toward the first leg bar 472 .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작동바(473)와 상기 제1레크바(472)는 서로 결합되지 않고 이웃하도록 나란히 배치될 뿐이다. 따라서 상기 제1레크바(472)가 상기 제1작동바(473)를 바깥쪽으로 밀어줄 수는 있으나 중심방향으로 다시 당길 수는 없는데, 상기 탄성부재(479)가 상기 제1작동바(473)를 원위치시켜줄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와 제1작동바(473)가 직접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제1작동바(473)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제1레크바(472)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제1레크바(472) 및 상기 제1레크바(472)에 맞물린 상기 피니언기어(471)와 스토핑모터(471M)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외력은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작동바(473)에 가해지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무게 및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된 상기 제2로드(600)와 상기 제2덕트(380) 뿐 아니라, 상기 제2로드(600)와 상기 제2덕트(380)에 연결된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의 무게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operating bar 473 and the first leg bar 472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only disposed side by side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Therefore, although the first leg bar 472 can push the first operating bar 473 outward, it cannot be pulled back toward the center. can be put back in place. If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first operating bar 473 are not directly coupled,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operating bar 473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first leg bar 472, Accordingly, external force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pinion gear 471 engaged with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stopping motor 471M. Here, the external force is the weight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pplied to the first operating bar 473 in a state where the first operating bar 473 is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and the first stopper The second rod 600 and the second duct 380 coupled to the assembly 450A, as well as the third rod 700 connected to the second rod 600 and the second duct 380, and The weight of the third duct 390 may be included.

상기 제1작동부(SB1)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36(b)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한 쌍의 제1작동부(SB1) 중 하나가 왼쪽으로 돌출되면, 다른 하나는 오른쪽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한 쌍의 제1작동부(SB1)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1작동부(SB1)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is composed of a pair, but may be oper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36(b), when one of the pair of first operating parts SB1 protrudes to the left, the other protrudes to the right. This is because the pair of first operating units SB1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ly, the pair of first operating units SB1 may be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at different positions.

한편, 상기 제1작동부(SB1)와 직교한 방향으로 제2작동부(SB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작동부(SB1)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작동부(SB2)가 쌍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3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한 쌍의 제2작동부(SB2) 중 하나가 왼쪽으로 돌출되면, 다른 하나는 오른쪽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한 쌍의 제2작동부(SB2)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2작동부(SB2)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operation unit SB2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operation unit SB1. In this embodiment, like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two operating units SB2 may be configured to form a pair. 33, when one of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parts SB2 protrudes to the left, the other protrudes to the right. This is because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units SB2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ly,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units SB2 may be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at different positions.

상기 제2작동부(SB2)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제1작동부(SB1)와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2작동부(SB2)는 제2레크바(475)와 제2작동바(4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와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기 제2작동공간(465) 내부에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제2작동바(476)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중심부, 즉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레크바(475)와 상기 제2작동바(476)는 일면이 서로 맞닿아 함께 이동될 수 있다. The basic structure of the second operating unit SB2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Specifically, the second operating unit SB2 may include a second leg bar 475 and a second operating bar 476 . The second leg bar 475 and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may linearly move within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 The second leg bar 475 is dispos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at is, closer to the pinion gear 471 than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and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may be placed relatively outwardly. In addition, surfaces of the second leg bar 475 and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ove together.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려 동작되는 일종의 종동기어인 레크기어로 볼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의 한쪽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리는 기어치가 구비되고, 반대면은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에는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 끼워지는 제2레크돌기(475a)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돌기(475a)는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 끼워져 상기 제2레크바(475)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The second leg bar 475 may be regarded as a type of driven gear operated by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471 as a leg gear. Gear teeth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47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leg bar 475, and the opposite side may be formed of a flat surface. A second leg protrusion 475a inserted into the second gear slot 466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leg bar 475 . The second leg protrusion 475a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ear slot 466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leg bar 475 .

이때,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제1레크바(472)와 높이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제1레크바(472)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레크바(472) 및 상기 제2레크바(475)는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와 각각 맞물릴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를 모두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leg bar 475 may be dispos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leg bar 472 .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eg bar 475 is disposed above the first leg bar 472 . In this case,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second leg bar 475 may not interfere. Since the pinion gear 471 has a height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first leg bar 472 and the second leg bar 475, respectively, the pinion gear 471 is the first leg bar 472 Both the and the second leg bar 475 can be rotated.

상기 제2레크바(475)에는 제1레크돌기(475a)가 돌출되고, 상기 제2레크돌기(475a)는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돌기(475a)가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 끼워지면,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제2기어슬롯(466)의 안내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A first leg protrusion 475a protrudes from the second leg bar 475, and the second leg protrusion 475a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ear slot 466. When the second leg protrusion 475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ear slot 466, the second leg bar 475 can reciprocat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second gear slot 466. .

상기 제2레크바(475)의 한쪽에는 상기 제2작동바(47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기 제2레크바(475)에 의해 전방, 즉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기 제2레크바(475)와 마찬가지로 대략 바 형상일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출구(465a')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leg bar 475 .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may protrude forward, that is, outward, by the second leg bar 475, and the protruding second operating bar 476 may be caught by the first step frame 520. can Like the second leg bar 475,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may have a substantially bar shap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may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outlet 465a' of the second operating space 465. there is.

상기 제2작동바(476)의 일단부에는 제2후크(476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476a)는 상기 제2작동바(476)의 일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후크(476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제2후크(476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다시 아래쪽으로 미끌어지지 않고 현재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A second hook 476a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 The second hook 476a may have a shape protruding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 The second hook 476a is a part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 When the second hook 476a is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can maintain its current height without sliding downward again.

상기 제2작동바(476)에는 제2작동돌기(476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돌기(476b)는 상기 제2작동바(476)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돌기(476b)는 대략 원기둥형상일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작동바(476)의 양쪽측면에서 각각 돌출된다. 도 34를 보면, 상기 제2작동돌기(476b)는 상기 제2작동슬롯(467)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제2작동바(476)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may include a second operating protrusion 476b. The second operating protrusion 476b may protrude from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 The second actuating protrusion 476b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n this embodiment protrude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actuating bar 476,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34 , the second operating protrusion 476b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rating slot 467 and may guide a sliding motion of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

또한, 상기 제2작동돌기(476b)와 상기 제2장착돌기(468) 사이에는 탄성부재(47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2작동돌기(476b)와 상기 제2장착돌기(468)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다시 인장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2작동바(476)가 원위치, 즉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가까운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작동바(476)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작동바(476)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면 상기 탄성부재(479)는 압축되었다가,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의해 상기 제2레크바(475)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479)가 인장되면서 상기 제2작동바(476)를 제2레크바(475)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479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operating protrusion 476b and the second mounting protrusion 468 . The elastic member 479 may be compressed or stretched again between the second operating protrusion 476b and the second mounting protrusion 468 . The elastic member 479 may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second operation bar 476 so that the second operation bar 476 moves toward the original position, that is, in a center direction close to the pinion gear 471 . More precisely, when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protrudes outward, the elastic member 479 is compressed, and when the second lever bar 475 moves toward the center by the pinion gear 471, As the elastic member 479 is stretched,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may be pushed toward the second leg bar 475 .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작동바(476)와 상기 제2레크바(475)는 서로 결합되지 않고 이웃하도록 나란히 배치될 뿐이다. 따라서 상기 제2레크바(475)가 상기 제2작동바(476)를 바깥쪽으로 밀어줄 수는 있으나 중심방향으로 다시 당길 수는 없는데, 상기 탄성부재(479)가 상기 제2작동바(476)를 원위치시켜줄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와 제2작동바(476)가 직접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제2작동바(476)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제2레크바(475)에까지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제2레크바(475) 및 상기 제2레크바(475)에 맞물린 상기 피니언기어(471)와 스토핑모터(471M)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operation bar 476 and the second leg bar 475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only disposed side by side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Therefore, the second leg bar 475 can push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outward, but cannot pull it back toward the center. can be put back in place. If the second leg bar 475 and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are not directly couple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econd operating bar 476 is not transmitted to the second leg bar 475, and thus the External force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pinion gear 471 and the stopping motor 471M engaged with the second leg bar 475 and the second leg bar 475 .

도 34를 보면, 상기 제1작동부(SB1)는 S1,S3구역에 배치되어 있고, 제2작동부(SB2)는 S2,S4구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중에서 두 개의 제1작동바(473)와 두 개의 제2작동바(476)는 방사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두 개의 제1작동바(473)는 B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고, 두 개의 제2작동바(476)는 A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4,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is disposed in zones S1 and S3, and the second operating unit SB2 is disposed in zones S2 and S4. Among them, the two first operating bars 473 and the two second operating bars 476 may protrude radially. More precisely, the two first operating bars 473 can be operated in the B direction, and the two second operating bars 476 can be operated in the A direction.

도 35에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가 화살표1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린 상기 제1레크바(472)가 화살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는 상기 제1작동바(473)를 바깥쪽 즉 화살표2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출구(460a')와, 상기 제2로드(600)에 형성된 바통과홀(618)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5에는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의 제1스텝홈(522) 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나, 상기 제1작동바(473)가 돌출된 후에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 전체가 하강하면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가 상기 제1스텝홈(522)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3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When the pinion gear 471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1, the first leg bar 472 meshed with the pinion gear 471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arrow 2. The first leg bar 472 pushes the first operation bar 473 out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of arrow 2, and the first operation bar 473 is the exit 460a of the first operation space 460. ') and the bar through hole 618 formed in the second rod 600 in order, and can be fixed to the first step frame 520. 35, the first operating bar 473 is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step groove 522 of the first step frame 520, but after the first operating bar 473 protrudes, the first stopper When the entire assembly 450A descends, the first hook 473a of the first operating bar 473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tep groove 522 . These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한편,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는 스토퍼커버(4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커버(480)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의 상부를 덮어 차단하고,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안정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커버(480)는 대략 원형의 판상구조일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 조립될 수 있다. Meanwhile, a stopper cover 48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 stopper cover 480 covers and blocks the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housing 451, and the stopping actuator 470 can operate stably. The stopper cover 48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plate-like structure, and although not shown, may be assembled to the stopper housing 451 through fasteners such as bolts.

도 32를 보면, 상기 스토퍼커버(480)에는 커버날개(4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날개(482)는 상기 스토퍼커버(480)의 양쪽으로 더 연장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커버날개(482)에는 복수의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버날개(482)에는 상기 제2승강모터(M2)의 장착을 위한 모터장착홀(482a)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모터장착홀(482a)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이 통과하는 커버통과홀(482b)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2 , cover wings 482 may be provided on the stopper cover 480 . The cover wings 482 can be seen as a part extending further to both sides of the stopper cover 480 .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ver wing 482 . More specifically, the cover blade 482 may include a motor mounting hole 482a for mounting the second lifting motor M2, and the first guide is located adjacent to the motor mounting hole 482a. A cover passage hole 482b through which the lower end 427 of the bar 425 passes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스토퍼커버(480)의 커버날개(482)에는 상기 제1승강홀(458)을 개방하기 위한 승강연결홀(48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연결홀(482c)을 통해서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이 상기 제1승강홀(458)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승강연결홀(482c)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바걸림홀(458')에 연결되는 바연결홀(48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바걸림홀(458')을 통과한 후에 상기 바연결홀(482c')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elevation connection hole 482c for opening the first elevation hole 458 may be formed in the cover wing 482 of the stopper cover 480 . The lower end 423 of the first lifting bar 42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lifting hole 458 through the lifting connecting hole 482c. A bar connection hole 482c' connected to the bar catching hole 458'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ifting connection hole 482c. The upper end 496 of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ar connecting hole 482c' after passing through the bar engaging hole 458'.

상기 스토퍼커버(480)에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의 하우징관통부(453)에 대응하는 커버관통부(483)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상기 커버관통부(483)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상기 에어덕트(360)가 통과하는 덕트연결홀(48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가 서로 중첩된 부분이 상기 덕트연결홀(484)을 통과할 수 있다. 도면부호 484a는 상기 제2덕트(380)의 제1결합리브(387)가 끼워지는 가이드리브를 나타낸다. A cover penetrating portion 483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penetrating portion 453 of the stopper housing 451 may be opened in the stopper cover 480 . A duct connection hole 484 through which the air duct 360 passes may be formed at a position between the two cover penetration parts 483 . An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may pass through the duct connection hole 484 . Reference numeral 484a denotes a guide rib into which the first coupling rib 387 of the second duct 380 is inserted.

상기 덕트연결홀(484)의 하부에는 가이드보스(485)가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보스(485)는 상기 덕트연결홀(484)로부터 아래쪽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에어덕트(360)를 감쌀 수 있다. 상기 덕트연결홀(484)은 상기 가이드보스(485)를 통해서 계속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보스(485)는 상기 에어덕트(360)를 둘러싸 상기 에어덕트(360)의 설치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A guide boss 485 may further protrude below the duct connection hole 484 . The guide boss 485 may further extend downward from the duct connection hole 484 to cover the air duct 360 . The duct connection hole 484 may continue to extend through the guide boss 485 . That is, the guide boss 485 may surround the air duct 360 and guid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air duct 360 .

도 36에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동작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동작하면, 상기 제1승강모터(M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승강바(421)가 회전되고, 상기 제1승강바(421)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의 제1승강나사산(421a)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스토퍼나사산에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1승강바(421)에 연동하여 상승하는 것이다. 36 sequentially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First, when the first lifting motor M1 operates, the first lifting bar 421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lifting motor M1, and the first lifting bar 421 is the first stopper. The assembly 450A may be raised. Since the first lifting screw thread 421a of the first lifting bar 421 is engaged with the first stopper screw thread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connected to the first lifting bar 421. It rises in conjunction with .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된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가 설정된 높이만큼 상승하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높이는 상기 제1후크(473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 보다 위쪽에 배치될 수 있는 높이를 의미한다. Whe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the second rod 600 and the second duct 380 coupled to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rise by a set height,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operates. can do. The set height means a height at which the first hook 473a can be disposed above the first step frame 520 .

만약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없다면 상기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는 상승된 후에 하중에 의해 다시 아래쪽으로 미끌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이를 방지해 줄 수 있다. If there is no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 second rod 600 and the second duct 380 may slide downward again by the load after being raised, but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prevents this from happening. can do it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작용을 구체적을 보면, 도 36(a)에서 화살표1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로드(500)에 구비된 제1스텝프레임(520) 보다 어느 정도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작동바(473)가 돌출될 때,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이러한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센싱자석(455)과 마주하는 상기 제1승강센서(585)의 높이를 제1스텝프레임(52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n detail, arrow 1 in FIG. 36(a)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scends. As show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ay rise to a position somewhat higher than the first step frame 520 provided on the first rod 500. 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operating bar 473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protrudes, the first hook 473a of the first operating bar 473 and the first step frame 520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is to avoid In order for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o rise to this height, the height of the first lift sensor 585 facing the sensing magnet 455 may be plac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step frame 520. there is.

이 상태에서, 도 36(b)에서 보듯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스토핑모터(471M)가 화살표2 방향으로 회전하면, 한 쌍의 상기 제1작동바(473)는 서로 반대방향(화살표3 방향)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왼쪽에 배치된 제1작동바(473)가 왼쪽으로 돌출되고, 오른쪽에 배치된 제1작동바(473)는 오른쪽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도 36(b)에는 상기 한 쌍의 제1작동바(473)가 각각 돌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의 위쪽에 배치된다.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6(b), when the stopping motor 471M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2, the pair of first operating bars 473 mov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rrow 3 direction) can be operated.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first operating bar 473 disposed on the left protrudes to the left, and the first operating bar 473 disposed on the right protrudes to the right. 36(b) shows the pair of first operating bars 473 in a protruding state. At this time, the first hook 473a of the first operating bar 473 is disposed above the first step frame 520 .

상기 스토핑모터(471M)가 동작을 멈추고,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앞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 의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했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어느 정도 하강할 수 있다. 도 36(c)의 화살표4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하강방향을 나타낸다. The stopping motor 471M may stop operating, and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ay descend. When the first lifting motor M1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evious on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can be lowered to some ext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ising direction by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Arrow 4 in FIG. 36(c) indicates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이렇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하강하면 돌출되었던 상기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의 제1스텝홈(52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홈(522)에 상기 제1후크(473a)가 끼워지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작동바(473)만 도시되었지만, 상기 제2작동바(476)도 동시에 돌출되어 상기 제1스텝홈(522)에 끼워지므로, 총 네 군데의 위치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descends in this way, the protruding first hook 473a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step groove 522 of the first step frame 520 . When the first hook 473a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ep groove 522,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ay be fixed to the first rod 500. Although only the first actuating bar 473 i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actuating bar 476 also protrudes at the same time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ep groove 522, so that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located at four locations in total. ) may be fixed to the first rod 500.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함께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된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의 높이도 고정될 뿐 아니라,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통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연결된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높이도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된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의 높이도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제1로드(500)에 고정됨으로써, 제2로드(600), 제2덕트(380),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가 하중에 의해 다시 하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not only are the heights of the second rod 600 and the second duct 380 coupled to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fixed, but also the second lifting device The height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connected to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rough 410B may also be fixed. Also, the heights of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ay be fixed. As a result,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fixed to the first rod 500, so that the second rod 600, the second duct 380,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are I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again by the load.

한편,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매우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다른 부분은 (i)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제2승강모터(M2)가 배치되지 않고, (ii) 제1승강장치(410A)를 구성하는 제1승강바(421)와 제1가이드바(425)가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3덕트(390)의 하부에 제4덕트(미도시)가 더 연결되고, 상기 제3로드(700)의 하부에 제4로드(미도시)가 더 연결된다면,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동일한 구조일 수도 있다. Meanwhile,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ay have a structur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differs from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n that (i) the second lift motor M2 is not disposed i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nd (ii) the first The first lifting bar 421 constituting the lifting device 410A and the first guide bar 425 are not connected. Of course, if a fourth duct (not shown) is further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third duct 390 and a fourth rod (not shown) is further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third rod 700, the second stopper The assembly 450B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1승강바(421)의 상단(422)과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상단(426)이 연결되고, 상기 제3로드(700) 및 상기 제3덕트(390)가 고정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has an upper end 422 of the first lifting bar 421 constituting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and an upper end 426 of the first guide bar 425. ) is connected, and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may be fixed.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2로드(600)에 구비된 제2스텝프레임(6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제2작동바(미도시)가 돌출되면,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의 제2스텝홈(62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가 상기 제2스텝홈(622)에 끼워지면,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2로드(6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앞서 설명한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동작 구조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ay be fixed to the second step frame 620 provided on the second rod 600 . When the second operating bar (not shown)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protrudes,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tep groove 622 of the second step frame 620 . When the second operating ba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ep groove 622 ,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ay be fixed to the second rod 600 . Such an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at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described above. Since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한 구조와 달리, 솔레노이드(미도시)를 통해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전원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되지 않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단순한 바(bar)형상이고, 작업자가 이를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끼워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특정 높이에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Unlike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ay be fixed to the rod assembly 400 through a solenoid (not shown). That is,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he solenoid operates and can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od assembly 400. Alternatively,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re not automatically operated by power, but may be manually operated by a worker. For exampl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have a simple bar shape, and a worker inserts them into the rod assembly 400 to prevent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A. 2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stopper assembly (450B) at a specific height.

다음으로, 상기 로드조립체(400)를 구성하는 세 개의 로드들(500,600,700)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세 개의 로드들(500,600,700)은 앞서 살핀 상기 세 개의 덕트들(370,380,390)과 마찬가지로,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세 개의 로드들(500,600,700)은 일종의 로드 안테나(rod antenna)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로드들(500,600,700)을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three rods 500 , 600 , and 700 constituting the rod assembly 400 will be described. Like the three ducts 370 , 380 , and 390 , the three rods 500 , 600 , and 700 may have different overall lengths while being overlapped or spread out. That is, the three rods 500, 600, and 700 may constitute a kind of rod antenna structure. Hereinafter, each of the rods 500, 600, and 700 will be examined.

먼저 도 37에는 상기 제1로드(5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로드(500)를 보면 상기 제1로드(500)는 대략 원통형상의 제1로드몸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몸체(510)의 안쪽에 마련된 제1수납공간(511)에는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1승강장치(410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500)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은 상기 제2로드(600)와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로드(500)의 하단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로드(500)는 전체적으로 외팔보 구조로 볼 수도 있다. 도면부호 512는 제1로드몸체(510)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제1로드연장부를 나타낸다.First, the first rod 500 is shown in FIG. 37 . Looking at the first rod 500, the first rod 500 may includ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first rod body 510. The first duct 370 and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511 provided inside the first rod body 510 . An upper end of the first rod 500 may be fixed to the housing module 100 and a lower end of the first rod 500 may overlap the second rod 600 . That is, since the lower end of the first rod 500 is not fixed, the first rod 500 may be viewed as a cantilever structure as a whole. Reference numeral 512 denotes a first rod extens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first rod body 510 .

상기 제1로드(500)에는 제1장착슬롯(5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슬롯(516)은 상기 제1로드(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로드(500)를 관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0을 참고하면, 상기 제1장착슬롯(516)에는 제1디스플레이부(5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는 타워의 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화면으로 구성되거나, 단순한 LED조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장착슬롯(516)은 상기 제1로드(50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제1디스플레이부(580)도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로드(500)에는 상기 제1장착슬롯(516)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가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A first mounting slot 516 may be formed in the first rod 500 . The first mounting slot 516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od 500 and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rod 500 . Referring to FIG. 30 , a first display unit 58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mounting slot 516 . The first display unit 580 may be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screen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tower or a simple LED light.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mounting slots 51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od 500, respectively, and the first display unit 580 is also configured as a pair. Alternatively, only one of the first mounting slot 516 and the first display unit 58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rod 500 .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에는 제1승강센서(5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센서(585)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센싱자석(455, 도 34참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승강센서(585)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제1승강센서(585)들이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승강센서(585)들은 상기 센싱자석(455)의 높이를 보다 세분화하여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first elevation sensor 585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unit 580 . The first elevation sensor 585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sensing magnet 455 (see FIG. 34)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rough this, the controller 180 can measure the height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levation sensor 585 may be configured as a hall sensor. A plurality of first elevation sensors 585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580 . The plurality of first elevation sensors 585 may further subdivide and measure the height of the sensing magnet 455 .

상기 제1로드(500)의 상단에는 장착플랜지(5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517)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연결플랜지(169)와 맞닿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517)는 상기 제1로드(500)의 상단의 넓이를 넓히도록 일종의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517)가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맞닿은 상태로 별도의 체결구(미도시)로 상기 장착플랜지(517)가 연결플랜지(169)와 조립될 수도 있다. A mounting flange 517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rod 500 . The mounting flange 517 may be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flange 169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The mounting flange 517 may have a kind of plate-like structure so as to widen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500 . The mounting flange 517 may be assembled with the connection flange 169 by a separate fastener (not shown)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flange 51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flange 169 .

도 37(a)에서 보듯이,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을 둘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대략 원호형상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두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제1스텝프레임(520)은 대략 링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서로 분리된 두 부분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상기 두 개의 제1장착슬롯(516)이 형성된 부분에는 생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7 (a), the first step frame 520 may be form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d 500. The first step frame 520 may extend substantially along an arc shape. The first step frame 520 may be composed of two parts, and the two first step frames 520 may form an approximate ring shape. Since the first step frame 520 is composed of two part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rst step frame 520 may be omitted at a portion where the two first mounting slots 516 are formed.

도 37(b)를 보면,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대략 'L'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과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513) 사이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제1스텝홈(5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홈(522)은 상기 제1로드(5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홈(522)에는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가 끼워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7(b), the first step frame 520 may have an approximately 'L'-shaped cross section. Accordingly, a first step groove 522, which is a kind of empty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tep frame 520 and the inner surface 513 of the first rod 500. The first step groove 522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d 500 . A first hook 473a of the first operating bar 473 may be fitted into the first step groove 522 .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로드(500)에는 제1로드토출홀(550)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은 상기 제1덕트(370)의 제1덕트토출관(375)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의 출구(377)은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을 통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과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서 에어덕트(360)의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시트부(918,920)에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 또는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에는 차단커버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차단커버는 공기가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의 출구(377)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first rod discharge hole 550 may be opened in the first rod 500 . The first rod discharge hole 550 corresponds to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of the first duct 370, and the outlet 377 of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is the first rod discharge hole 550. It may be open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550 . Cold or warm air from the air duct 360 may be supplied to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through a path formed by the first rod discharge hole 550 and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 Although not shown, a blocking cover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rod discharge hole 550 or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and the blocking cover prevents air from exiting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377) can prevent it from being discharged.

도 38에는 상기 제2로드(6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로드(600)는 상기 제1로드(500)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통형상의 제2로드몸체(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몸체(610)의 안쪽에 마련된 제2수납공간(611)에는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2승강장치(410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몸체(610)의 상단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은 상기 제3로드(700)와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로드(600)의 하단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도면부호 612는 제2로드몸체(610)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제2로드연장부를 나타낸다.38 shows the second rod 600. Like the first rod 500, the second rod 600 may includ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econd rod body 610. The second duct 380 and the second elevating device 410B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611 provided inside the second rod body 610 . An upper end of the second rod body 610 may be fixed to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rod body 610 may overlap with the third rod 700 .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od 600 may be in a non-fixed state. Reference numeral 612 denotes a second rod extens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second rod body 610 .

상기 제2로드(600)의 제2수납공간(611)의 내면에는 제2장착슬롯(6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슬롯(616)은 상기 제2로드(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로드(600)를 관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제2장착슬롯(616)에는 제2디스플레이부(6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는 본 실시례에 의한 타워의 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화면으로 구성되거나, 단순한 LED조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장착슬롯(616)은 상기 제2로드(60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제2디스플레이부(680)도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로드(600)에는 상기 제2장착슬롯(616)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가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A second mounting slot 616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space 611 of the second rod 600 . The second mounting slot 616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rod 600 and may be formed through the second rod 600 . Referring to FIG. 30 , a second display unit 680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mounting slot 616 . The second display unit 680 may be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screen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tow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r may be composed of a simple LED light.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mounting slots 61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od 60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display unit 680 is also configured as a pair. Alternatively, the second rod 600 may include only one second mounting slot 616 and one second display unit 680 .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에는 제2승강센서(6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센서(685)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센싱자석(미도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승강센서(685)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제2승강센서(685)들이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승강센서(685)들은 상기 센싱자석(455)의 높이를 보다 세분화하여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second elevation sensor 685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unit 680 . The second elevation sensor 685 may detect the position of a sensing magnet (not shown)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hrough this, the controller 180 can measure the height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elevation sensor 685 may be configured as a hall sensor. A plurality of second elevation sensors 685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680 . The plurality of second elevation sensors 685 may further subdivide and measure the height of the sensing magnet 455 .

상기 제2로드(600)에는 바통과홀(6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통과홀(618)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작동바(473)가 통과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바통과홀(618)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배치되는 상기 제2로드(60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로드(6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SB1)의 앞부분은 상기 바통과홀(618)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A bar through hole 618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od 600 . The bar passage hole 618 may be a portion through which the first operation bar 473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passes. The bar through hole 618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rod 600 wher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disposed, and may be formed through the second rod 600 .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may be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after passing through the bar passage hole 618 .

도 38(a)에서 보듯이, 상기 제2수납공간(611)의 내면을 둘러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대략 곡선형상이다.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두 개로 구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제2스텝프레임(620)은 대략 링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서로 분리된 두 개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상기 두 개의 제2장착슬롯(616)이 형성된 부분에는 생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8 (a), the second step frame 620 may be dispos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space 611. The second step frame 620 has a substantially curved shape. The second step frame 620 may be composed of two, and the two second step frames 620 may constitute an approximate ring shape. Since the second step frame 620 is composed of two part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econd step frame 620 may be omitted at a portion where the two second mounting slots 616 are formed.

도 38(b)를 보면,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대략 'L'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과 상기 제2로드(600)의 내면 사이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제2스텝홈(6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홈(622)은 상기 제2로드(6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홈(622)에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구비된 제2후크(미도시)가 끼워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8(b), the second step frame 620 may have an approximately 'L'-shaped cross section. Accordingly, a second step groove 622, which is a kind of empty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step frame 6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od 600. The second step groove 622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d 600 . A second hook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ay be fitted into the second step groove 622 .

참고로 상기 제3로드(700)는 상기 제2로드(60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로드(700)에는 상기 제2로드(600)와 달리 제2스텝프레임(620)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3로드(700)에는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고정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제3로드(700)의 하부에 제4로드가 더 연장된다면, 제3스토퍼조립체(미도시)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제3스텝프레임(미도시)가 추가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e third rod 700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rod 600 . However, unlike the second rod 600, the third rod 700 may not have the second step frame 620. This is because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does not need to be fixed to the third rod 700 . Of course, if the fourth rod is further extended below the third rod 700, a third step frame (not shown) may be added to hang and fix the third stopper assembly (not shown).

상기 제3로드(700)를 구성하는 제3로드몸체(710)의 내부에는 상기 제3덕트(3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은 상기 제3로드(700)의 상단과 함께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로드(700)의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트레이부(8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2에서 도면부호 712는 제3로드몸체(710)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제3로드연장부를 나타낸다.The third duct 390 may be disposed inside the third rod body 710 constituting the third rod 700 . An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and an upper end of the third rod 70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 tray unit 80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third rod 700 . In FIG. 42 , reference numeral 712 denotes a third rod extens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third rod body 710 .

이때,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도 상기 트레이부(800)에 결합된다.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덕트(380)에 중첩될 수 있고,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은 트레이부(8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은 상기 트레이부(8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3로드(700)의 하단과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is also coupled to the tray unit 800 .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may overlap with the second duct 380 while being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nd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may be connected to the tray unit 800. can be fixed 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rod 700 via the tray unit 800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덕트(360)를 구성하는 덕트들(370,380,390)은 결합리브(387, 397)와 결합홈(378,388)의 맞물림구조로 서로 상대회전없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360)는 상기 제3로드(700)의 승강과정에서 상기 제3로드(70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3,497)은 각각 고정되지 않고 외팔보 형태가 되지만(도 23(b)참조), 상기 제3덕트(390)를 포함하는 에어덕트(360) 자체가 일종의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제3덕트(390) 및 제3로드(700)가 승강될 때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ucts 370 , 380 , and 390 constituting the air duct 36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relative rotation through an engagement structure of coupling ribs 387 and 397 and coupling grooves 378 and 388 . Accordingly, the air duct 360 may guide the elevation of the third rod 700 during the elevation process of the third rod 700 . In particular, the lower ends 493 and 497 of the second elevating bar 491 and the second guide bar 495 constituting the second elevating device 410B are not fixed and have a cantilever shape (see FIG. 23(b)). ), the air duct 360 itself including the third duct 390 forms a kind of support structure so that the third duct 390 and the third rod 700 can be moved stably without flow when the third duct 390 and the third rod 700 are moved up and down. can do.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3로드(700)에는 제2로드토출홀(750)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은 상기 제3덕트(390)의 제2덕트토출관(395)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의 출구(397)은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을 통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과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서 에어덕트(360)의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시트부(918,920)에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 또는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에는 차단커버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차단커버는 공기가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의 출구(397)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 a second rod discharge hole 750 may be opened in the third rod 700 . The second rod discharge hole 750 corresponds to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of the third duct 390, and the outlet 397 of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is the second rod discharge hole 750. It may be open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750 . Cold air or warm air from the air duct 360 may be supplied to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through a path formed by the second rod discharge hole 750 and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 Although not shown, a blocking cover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rod discharge hole 750 or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and the blocking cover prevents air from exiting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397)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한편, 본 실시례에 의한 타워의 하단에는 트레이부(8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표면에 형성된 응결수(Condensate)가 낙하했을 때 응결수가 모이게 되는 부분이다. 만약 상기 에어덕트(360)를 통해 냉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수분을 갖는 공기가 상기 에어덕트(360)의 차가운 표면에 닿아 수분이 응결되고, 응결된 응결수는 상기 에어덕트(360)를 따라 흘러 내릴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부(800)는 흘러내리는 응결수를 모을 수 있다. Meanwhile, the tray unit 80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y part 800 is a part where the condensat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ir duct 360 is collected when it falls. If cold air is supplied through the air duct 360, the air containing moisture touches the cold surface of the air duct 360 and the moisture is condensed, and the condensed water flows along the air duct 360. can get off At this time, the tray unit 800 may collect the flowing condensed water.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가장 아래쪽, 즉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제3로드(700)에도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3덕트(390)가 상기 제2승강장치(410B)에 의해 승강될 때, 상기 트레이부(800)도 함께 승강될 수 있다. The tray unit 80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air duct 360, that is,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More precisely, the tray unit 80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and can also be coupled to the third rod 700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when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are moved up and down by the second elevator device 410B, the tray unit 800 may also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도 39 내지 도 43에는 상기 트레이부(800)의 구조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부(800)의 바깥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3시트조립체(900C)의 장착링(91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800)는 대략 바닥면(811a)이 함몰된 트레이몸체(810)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몸체(810)는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3덕트(390)의 표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양쪽에는 상기 제3로드(700)의 제3로드연장부(712)에 대응하는 형상의 트레이연장부(812)가 구비될 수 있다. 39 to 43 show the structure of the tray unit 800 in detail. As can be seen, the tray unit 80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and the outer side of the tray unit 800 is a mounting ring of a third seat assembly 900C to be described below. (911) can be combined. The tray unit 800 may form a skeleton of a tray body 810 in which a bottom surface 811a is depressed, and the tray body 810 includes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 can cover the surface. Tray extensions 812 having shapes corresponding to the third rod extensions 712 of the third rod 70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ay body 810 .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내부에는 집수공간(8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공간(811)은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이 함몰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공간(811)에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표면에 형성된 응결수가 낙하하여 고일 수 있다. 상기 집수공간(811)은 상기 트레이연장부(812)까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1에서 보듯이, 상기 집수공간(811)은 위쪽으로 개방되어서, 상기 제3로드(700)의 제3수납공간(711, 도 42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A water collection space 811 may be formed inside the tray body 810 . The collecting space 811 may be formed in a recessed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811a of the tray body 810 .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ir duct 360 may fall and accumulate in the collecting space 811 . The collecting space 811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tray extension part 812 . As shown in FIG. 41 , the water collection space 811 is open upward and can be connected to the third storage space 711 of the third rod 700 (see FIG. 42 ).

상기 트레이연장부(812)에는 트레이배출구(8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구(813)는 상기 트레이연장부(812)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집수공간(811)을 내외부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구(813)를 통해서 상기 제3수납공간(711) 및 상기 집수공간(81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집수공간(811)에 모인 응결수를 증발시킨 공기는 상기 트레이배출구(81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 tray outlet 813 may be formed in the tray extension part 812 . The tray outlet 813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tray extension part 812 and communicate the collecting space 811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Air in the third storage space 711 and the collecting space 81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y outlet 813 . More precisely, air evaporated from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space 81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y outlet 813 .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에는 결합보스(815)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815)는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에서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815)는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815)는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보스(815)는 한 쌍의 제3덕트(390)들에 대응하여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A coupling boss 815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811a of the tray body 810 . The coupling boss 815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811a of the tray body 810 . The coupling boss 815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 The coupling boss 815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boss 815 may be composed of two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third ducts 390 .

도 43을 보면, 상기 에어덕트(36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3덕트(39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에 전달된 공기는 아래쪽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815)의 하단에는 하단토출구(815a)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하단토출구(815a)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단토출구(815a)는 일종의 덕트출구로 볼 수도 있다. 도 43에서 화살표1은 공기가 아래쪽으로 유동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고, 공기는 상기 결합보스(815)의 안쪽 방향(화살표2방향)으로 유입된 후에 하단토출구(815a)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타워의 하우징공간(S) 또는 시트부(918,920)에 머무는 반려동물 뿐 아니라, 타워의 아래쪽에 있는 반려동물들에게도 쾌적한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3 , air moving along the air duct 360 may be transferred to the third duct 390 . The air delivered to the third duct 390 may be discharged downward. A lower discharge port 815a may be opened at a lower end of the coupling boss 815, an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discharge port 815a. Accordingly, the lower discharge port 815a may be regarded as a kind of duct outlet. In FIG. 43 , arrow 1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downward, and air may flow into the coupling boss 815 in an inward direction (direction of arrow 2) and then be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discharge port 815a. Therefore, a comfortable temperature can be provided not only to the companion animals staying in the housing space (S) of the tower or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but also to the companion animals below the tower.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보스(815)의 외경은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보스(815)의 겉면과 상기 제3덕트(390)의 내면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815)의 겉면과 상기 제3덕트(390)의 내면 사이의 틈으로 공기 중 일부가 이동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boss 815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 Accordingly,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boss 81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duct 390 . Some of the air may mov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boss 81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duct 390 .

또한,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과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 사이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이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과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 사이에는 유격(G2)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and the bottom surface 811a of the tray body 8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may not completely adhere to the bottom surface 811a of the tray body 810 and may be spaced upward. Accordingly, a gap G2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and the bottom surface 811a of the tray body 810 .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보스(815)의 겉면과 상기 제3덕트(39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틈과,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과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 사이에 형성된 유격(G2)은 서로 연속된 일종의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60)를 따라 유동하던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를 통해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집수공간(8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격(G2)은 트레이유유로로 볼 수 있다. 도 43에서 화살표3은 상기 공기유로를 통해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As a result, the gap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boss 81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duct 390, an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and the bottom surface 811a of the tray body 810 The gap (G2) formed in may form a kind of air flow path continuous with each other. The air flowing along the air duct 360 may be supplied to the collecting space 811 of the tray body 810 through the air passage. Therefore, the clearance G2 can be regarded as a tray oil passage. Arrow 3 in FIG. 43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air moves through the air passage.

이처럼 공기가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집수공간(811)에 공급되면,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집수공간(811)에 고인 응결수는 보다 빨리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60)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응결수는 상기 제3덕트(390)의 표면(390a)을 따라 상기 집수공간(811)으로 모일 수 있다. 상기 집수공간(811)에 모인 응결수는 시간이 지나면 증발될 수 있지만, 증발되는 시간 보다 응결수가 집수되는 시간이 짧다면 보다 빨리 증발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에어덕트(360)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집수공간(811)에 유입됨으로써 상기 응결수의 증발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As such, when air is supplied to the collecting space 811 of the tray body 810, the condensed water accumulated in the collecting space 811 of the tray body 810 can evaporate more quickly. Condensed water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air duct 360 may be collected in the collecting space 811 along the surface 390a of the third duct 390 .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space 811 may evaporate over time, but if the time for collecting the condensed water is shorter than the evaporating time, it is necessary to evaporate more quickly. In this embodiment, some of the air moving through the air duct 360 is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space 811, thereby reducing the evaporation time of the condensed water.

그리고, 상기 집수공간(811)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트레이배출구(8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3에서 화살표4는 상기 트레이배출구(813)를 통해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space 81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y outlet 813 . Arrow 4 in FIG. 43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y outlet 813.

도 39와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부(800)에는 하부센서(8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센서(850)는 타워의 하부 공기의 온도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센서(850)는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센서(850)는 상기 에어덕트(360)를 통해 하부까지 전달된 냉기 또는 온기의 온도나 습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센서(183) 및 상기 내부센서(185)로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와 상기 하부센서(850)에서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9 and 40 , a lower sensor 850 may be disposed on the tray unit 800 . The lower sensor 850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lower air of the tower.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sensor 85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811a of the tray body 810 . The lower sensor 850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cold air or warm air delivered to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air duct 36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180 . The control unit 180 compares the temperature or humidity measured by the external sensor 183 and the internal sensor 185 with the temperature or humidity measured by the lower sensor 850, You can control driving.

한편, 상기 로드조립체(400)에는 복수의 시트조립체(9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반려동물이 머물거나, 밟고 이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반려동물이 머물기 편한 시트스테이션(920)와, 반려동물이 밟고 이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스텝스테이션(918)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반려동물은 이와 반대로,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을 계단으로 사용하고,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에 머물 수도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seat assemblies 900 may be disposed on the rod assembly 400 . The seat assembly 900 can be used for a companion animal to stay or step on and move. In this embodiment, the seat assembly 900 may include a seat station 920 that is comfortable for a companion animal to stay in, and a step station 918 that can be used by a companion animal to step on and move. Of course, the companion animal may use the seat station 920 as a staircase and stay at the step station 918.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시트조립체(900)에는 복수의 시트부(918,9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918,920)들은 각각 반려동물에게 안착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개의 시트부(918,920)들은 일종의 계단을 형성하여, 반려동물들이 이를 차례로 밟고 이동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총 3개(900a,900b,900c)로 구성되고, 시트부(918,920)는 총 5개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시트조립체(900)와 시트부(918,920)의 개수는 이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eat assembly 900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nd one seat assembly 9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at parts 918 and 920 . Each of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may provide a seating surface for companion animals. The plurality of seat parts 918 and 920 form a kind of stairs, and companion animals may move by stepping on them in turn. In this embodiment, the seat assembly 900 is composed of a total of three (900a, 900b, 900c), and the seat portion (918, 920) is composed of a total of five. Of course, the number of the seat assembly 900 and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조립체(900)들 중에서 제1시트조립체(900A)는 상기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고, 제2시트조립체(900B)는 상기 제2로드(6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3시트조립체(900C)는 상기 제3로드(7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시트조립체(900B)는 제2로드(600)를 따라 승강될 수 있고, 상기 제3시트조립체(900C)는 제3로드(700)를 따라 승강될 수 있지만, 제1시트조립체(900A)는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시트조립체(900C)는 상기 제2로드(600)가 승강될 때도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바로 아래쪽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이동할 때 계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승강되지 않고 고정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1 , among the seat assemblies 900, a first seat assembly 900A may be fixed to the first rod 500, and a second seat assembly 900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od 600. and the third seat assembly 900C may be fixed to the third rod 700. Accordingly, the second seat assembly 900B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rod 600, and the third seat assembly 900C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third rod 700, but the first seat assembly ( 900A) is fixed. Also, the third seat assembly 900C may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when the second rod 600 is moved up and down. Since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is disposed right below the housing module 100 and can be used as a staircase when the companion animal moves to the housing space S, it is preferable to have a fixed height without being elevated. .

이처럼,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상기 로드(400)를 따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상기 로드(4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를 밟았을 때 충격을 줄이고, 보다 편한 안착감을 느낄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In this way, the seat assembly 900 may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od 400 . To this end, the seat assembly 900 may be coupled to the rod 400 . In addition, a structure may be provided to reduce impact when the companion animal steps on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and to feel more comfortable seating. In the following, this structure will be examined.

도 44 내지 도 48에는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4와 도 45를 보면,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시트부(918,9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의 상단에 시트스테이션(920)이 배치되고, 하단에 스텝스테이션(918)이 배치되지만, 이와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와 상기 스텝스테이션(918)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거나, 3개 이상의 시트부(918,920)가 제1시트조립체(900A)에 포함될 수도 있다. 44 to 48 show the structure of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First, referring to FIGS. 44 and 45 , seat portions 918 and 920 may be dispos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the seat station 92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and the step station 918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but the opposite may be true. Alternatively, either the seat station 920 or the step station 918 may be omitted, or three or more seat parts 918 and 920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에는 시트프레임(9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프레임(910)은 상기 복수의 시트부(918,920)들이 높이를 달리하여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프레임(910)에는 장착링(911)이 포함되고, 상기 장착링(911)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시트스테이션(920)와 스텝스테이션(918)이 배치된다. 상기 시트프레임(910)은 상기 제1로드(500)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아래에서 설명될 시트브라켓(930)을 통해 상기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다. A seat frame 91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The seat frame 910 allows the plurality of seat parts 918 and 920 to be connected at different heights. In this embodiment, the seat frame 910 includes a mounting ring 911, and a seat station 920 and a step station 918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ring 911, respectively. The seat frame 910 is not directly fixed to the first rod 500, but may be fixed to the first rod 500 through a seat bracket 93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시트프레임(910)에는 장착링(91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장착링(911)은 대략 원형링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장착링(911)은 상기 제1로드(500)의 표면을 둘러쌀 수 있도록 중심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링(911)은 후술할 상기 시트브라켓(930)의 결합공간(933)에 삽입될 수 있다. The seat frame 910 may include a mounting ring 911. The mounting ring 911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ring shape.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ounting ring 911 to surround the surface of the first rod 500 . The mounting ring 911 may be inserted into a coupling space 933 of the seat bracket 9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장착링(911)의 표면에는 프레임가이드(9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가이드(912)는 상기 장착링(911)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가이드(912)는 상기 결합공간(933)의 내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가이드포켓(913)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프레임가이드(912)의 안쪽에는 아래쪽으로 개방된 가이드포켓(91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포켓(913)에는 후술할 상기 시트브라켓(930)의 가이드돌기(94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가이드(912)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가져, 상기 가이드포켓(913)은 아래쪽 방향으로만 개방되고 반대쪽인 위쪽은 막힌 구조일 수 있다. A frame guide 912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ring 911 . The frame guide 912 may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mounting ring 911 . The frame guide 912 may protrude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space 933 and form a guide pocket 913 . In this embodiment, a guide pocket 913 open downward is formed inside the frame guide 912, and a guide protrusion 942 of the seat bracket 9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cket 913. can The frame guide 912 may have a substantially 'c' shape, and the guide pocket 913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guide pocket 913 is open only in a downward direction and the opposite upper part is blocked.

상기 장착링(911)에는 조립돌기(9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914)는 상기 장착링(911)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914)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시트브라켓(930)의 수납홈(944)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상기 시트브라켓(930)은 서로 체결구 등으로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상기 조립돌기(914)가 상기 수납홈(944)에 끼워짐으로써 서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An assembly protrusion 914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ring 911 . The assembly protrusion 914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ring 911 . The assembling protrusion 914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944 of the seat bracket 930 to be described below. The seat frame 910 and the seat bracket 930 are not completely fixed to each other by fasteners, etc., and the assembling protrusion 91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944 so that they can be detachably assembled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조립돌기(914)는 상기 수납홈(944)에 배치된 완충부재(945)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상기 시트브라켓(930)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상대이동가능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945)는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에 착지할 때의 충격을 흡수해 줄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assembling protrusion 914 can press the buffer member 945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944, the seat frame 910 and the seat bracket 930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maintained to In addition, the buffer member 945 can absorb impact when the companion animal lands on the seat parts 918 and 920 .

상기 장착링(911)에는 시트레그(9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레그(915)는 상기 장착링(911)으로부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레그(915)는 상기 장착링(911)의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다. A seat leg 915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ring 911 . The seat leg 915 may extend from the mounting ring 91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rod assembly 400 . In this embodiment, the seat leg 915 extends upward from the surface of the mounting ring 911 .

도 40을 보면, 상기 시트레그(915)에는 센서장착부(91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915a)는 상기 시트레그(915)의 한쪽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915a)에는 높이측정센서(I)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측정센서(I)는 상기 센서장착부(915a)의 하단에 형성된 측정홀(915a')을 통해 레이저를 조사한 후에, 바닥에서 반사되어 수신된 빛을 수신하는 레이저센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높이측정센서(I)는 상기 제3로드(70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K1, 도 3참조)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810)에 전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0 , a sensor mounting portion 915a may be provided on the seat leg 915 . The sensor mounting portion 915a may be provided at one edge of the seat leg 915 . A height measurement sensor I may be disposed on the sensor mounting portion 915a. The height measurement sensor I may be a laser sensor that irradiates a laser beam through a measurement hole 915a'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915a and then receives light reflected from the floor. Through this, the height measurement sensor (I) can measure the height (K1, see FIG. 3) at which the third rod 700 is spaced from the floo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810.

사용자는 제어부(81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580,680)에 표시된 정보나, 상기 제어부(810)의 통신수단을 통해 사용자단말기로 전달된 정보를 통해 상기 제3로드(70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K1), 상기 하우징공간(S)의 내부온도, 상기 제3덕트(390) 내부의 온도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The user determines the height at which the third rod 700 is spaced from the floor ( K1), information such a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space (S)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third duct 390 can be known.

한편, 상기 시트레그(915)의 말단에는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이 안착되는 시트링(9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링(917)은 상기 장착링(911)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시트링(917)은 상기 시트레그(915)로부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시트링(917)의 중심에는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이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별개물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링(917)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Meanwhile, a seat ring 917 on which the seat station 920 is seated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seat leg 915 . The seat ring 917 may be parallel to the mounting ring 911 . That is, the seat ring 917 may extend from the seat leg 915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rod assembly 400 . The seat station 920 may be seated at the center of the seat ring 917 . In this embodiment, the seat station 920 is composed of a separate material from the seat frame 910 and can be detachably seated on the seat ring 917.

상기 장착링(911)에는 스텝레그(9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텝레그(916)는 상기 장착링(911)으로부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텝레그(916)는 상기 장착링(911)의 표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스텝레그(916)는 상기 시트레그(915)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고 볼 수도 있다. A step leg 916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ring 911 . The step leg 916 may extend from the mounting ring 91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rod assembly 400 . In this embodiment, the step leg 916 extends dow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mounting ring 911 .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tep leg 916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at leg 915 and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스텝레그(916)의 말단에는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은 대략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은 상기 장착링(911)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은 상기 스텝레그(916)로부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tep station 918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step leg 916 . The step station 918 may have a substantially plate-like structure. The step station 918 may be parallel to the mounting ring 911 . That is, the step station 918 may extend from the step leg 916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rod assembly 400 .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상기 시트링(917)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중심부가 함몰되어, 안착공간(922)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별개물이지만, 이와 달리 상기 시트프레임(91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상기 스텝스테이션(918)과 마찬가지로 평판구조일 수도 있다. The seat station 920 may be seated on the seat ring 917 . The center of the seat station 920 may be depressed to form a seating space 922 . In this embodiment, the seat station 920 is a separate object from the seat frame 910, but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seat frame 910. Also, the seat station 920 may have a flat plate structure like the step station 918.

상기 시트브라켓(930)은 대략 원형틀 형상의 브라켓몸체(9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몸체(931)의 중심에는 관통부(934)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관통부(934)를 향한 브라켓몸체(931)의 내측펜스(932)는 상기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몸체(931)의 내측펜스(932)는 상기 제1로드(500)의 외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The seat bracket 930 may include a bracket body 931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frame shape. A penetrating part 934 may be opened at the center of the bracket body 931, and an inner fence 932 of the bracket body 931 facing the penetrating part 934 may be fixed to the first rod 500. can The inner fence 932 of the bracket body 931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od 500 by fasteners such as bolts.

상기 브라켓몸체(931)에는 결합공간(9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간(933)은 상기 브라켓몸체(931)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빈 공간으로, 위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간(933)에는 상기 시트프레임(910)의 장착링(911)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간(933)은 상기 브라켓몸체(931)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coupling space 933 may be formed in the bracket body 931 . The coupling space 933 is an empty space formed in a recessed shape in the bracket body 931 and may be opened upward. The mounting ring 911 of the seat frame 9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space 933 . The coupling space 933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similar to the bracket body 931 .

도 46을 보면, 상기 결합공간(933)에는 가이드돌기(9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942)는 상기 결합공간(933)의 바닥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돌기(942)는 상기 브라켓몸체(931)의 내측펜스(932)으로부터 먼 상기 결합공간(933)의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상기 결합공간(933)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942)들이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6 , a guide protrusion 942 may be provided in the coupling space 933 . The guide protrusion 942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space 933 .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protrusion 942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coupling space 933 far from the inner fence 932 of the bracket body 931 .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942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upling space 933 .

도 47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돌기(942)는 상기 시트프레임(910)의 가이드포켓(91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942)가 상기 가이드포켓(913)에 삽입되면,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상기 시트브라켓(930)이 서로 틀어지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조립되고, 상대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942)는 가이드포켓(913)과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상기 시트브라켓(930)은 서로 상대회전하지 않고, 타워의 높이방향(상하방향)으로만 상대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47, the guide protrusion 942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pocket 913 of the seat frame 910. When the guide protrusion 942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cket 913, the seat frame 910 and the seat bracket 930 are assembled in a certain direction without twisting each other and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hat is, since the guide protrusion 942 is engaged with the guide pocket 913, the seat frame 910 and the seat bracket 930 do not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but move relatively only in the height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tower. It can.

다시 도 46을 보면, 상기 결합공간(933)에는 수납보스(도면부호 미부여)가 돌출되고, 상기 수납보스의 안쪽에는 수납홈(9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944)은 상기 수납보스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944)은 위쪽으로 개방되고, 대략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수납홈(944)에는 상기 시트프레임(910)의 조립돌기(914)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수납홈(944)과 상기 조립돌기(914)는 상기 가이드돌기(942) 및 가이드포켓(913)과 마찬가지로,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상기 시트브라켓(930)이 서로 틀어지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6 again, a storage boss (no reference numeral is given) protrudes from the coupling space 933, and a storage groove 944 may be formed inside the storage boss. The storage groove 944 may be formed in a shape recessed into the storage boss. The receiving groove 944 may open upward and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The assembly protrusion 914 of the seat frame 910 may be fitted into the accommodating groove 944 . Like the guide protrusion 942 and the guide pocket 913, the receiving groove 944 and the assembly protrusion 914 allow the seat frame 910 and the seat bracket 930 to move in a certain direction without twisting each other. can be made to be assembled.

상기 수납보스, 즉 상기 수납홈(944)은 상기 시트브라켓(930)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944)들이 대략 원형으로 되는 상기 결합공간(933)에 좌우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홈(944)들은 상기 로드(500,600,7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 또는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수납홈(944)이 총 4군데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수납홈(944)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돌기(942)가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942)도 상기 로드(500,600,7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위치될 수 있다.The storage boss, that is, the storage groove 944 may be formed in plurality in the seat bracket 930 . The receiving grooves 944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in the coupling space 933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That is, the receiving grooves 944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or at regular angular intervals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rods 500 , 600 , and 700 . In this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grooves 944 are formed in a total of four places, and the guide protrusions 942 are positioned between the accommodating grooves 944. The guide protrusion 942 may also be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rods 500 , 600 , and 700 .

상기 수납홈(944)의 내부에는 완충부재(9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945)은 상기 조립돌기(914)에 의해 눌려 압축되면서, 상기 시트부(918,9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에 착지하면, 그 충격이 상기 시트프레임(910)을 통해 상기 완충부재(945)에 전달되고, 상기 완충부재(945)는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상기 시트브라켓(930)은 상기 조립돌기(914)가 상기 완충부재(945)를 압축하는 높이만큼 서로 상대이동한다고 볼 수 있다. 도 48에는 상기 완충부재(945)가 상기 조립돌기(914)에 눌려 압축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완충부재(945)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완충부재(945)는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A buffer member 945 may b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944 . The shock absorbing member 945 may absorb shock applied to the seat parts 918 and 920 while being compressed by the assembling protrusion 914 . More precisely, when a companion animal lands on the seat parts 918 and 920,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shock absorbing member 945 through the seat frame 910,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945 absorbs the shock while being compressed. is to do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eat frame 910 and the seat bracket 930 move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height at which the assembling protrusion 914 compresses the buffer member 945 . 48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ffer member 945 is pressed and compressed by the assembling protrusion 914 . In this embodiment, the buffer member 945 is composed of a spring, but unlike this, the buffer member 945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lasticity.

상기 결합공간(933)에는 하중센서(9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중센서(950)는 상기 시트프레임(910)이 상기 결합공간(933)의 바닥쪽으로 하강하면 눌려 ON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하중센서(950)는 상기 시트부(918,920)에 반려동물이 착지하는 순간 ON상태가 되고, 이를 상기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A load sensor 950 may be provided in the coupling space 933 . The load sensor 950 may be pressed and turned ON when the seat frame 910 descends toward the bottom of the coupling space 933 . The load sensor 950 is in an ON state the moment a companion animal lands on the seat parts 918 and 920, and can transmit this to the control unit 18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시트부(918,920)에 반려동물이 착지하면 상기 도어(150)를 열거나, 또는 닫을 수 있다.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에 착지하면,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상기 도어(150)를 개방하여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들어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하우징공간(S)에 머물던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에 착지하면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공간(S)을 떠난 것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도어(150)를 다시 닫을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80 may open or close the door 150 when a companion animal lands on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 When the companion animal lands on the seat parts 918 and 920, since the companion animal can be regarded as being in a position close to the housing module 100, the control unit 180 opens the door 150 to allow the companion animal to enter the housing. It is to make it possible to enter the space (S). Conversely, when the companion animal staying in the housing space (S) lands on the seat parts (918, 920), the control unit 180 detects that the companion animal has left the housing space (S), and the control unit 180 opens the door 150 again. can be closed

이러한 반려동물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중센서(950)는 제1시트조립체(900A)와 상기 제2시트조립체(900B)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중센서(950)들 중에서 상기 제2시트조립체(900B)의 하중센서(950)가 ON된 후에,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의 하중센서(950)가 ON된다면,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모듈(100)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하중센서(950)들 중에서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의 하중센서(950)가 ON된 후에, 상기 제2시트조립체(900B)의 하중센서(950)가 ON된다면,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모듈(100)로부터 떠나는 것을 알 수 있다. In order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the load sensor 95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and the second seat assembly 900B, respectively. For example, if the load sensor 950 of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is turned on after the load sensor 950 of the second seat assembly 900B among the load sensors 950 is turned on, It can be seen that the animal moves to the housing module 100. Conversely, among the load sensors 950, if the load sensor 950 of the second seat assembly 900B is turned on after the load sensor 950 of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is turned on, the companion animal It can be seen that it leaves the housing module 100.

한편,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하우징공간(S)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9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단순히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본 실시례의 타워가 특정위치, 예를 들어 천장(C)이나 벽면(W)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하우징공간(S)이 생략되면, 반려동물은 상기 시트부(918,920)에 머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space (S) in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omitted. As shown in FIG. 49, the housing module 100 simply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thermostat 200 can be installed, and the tower of this embodiment is located at a specific location, for example, on a ceiling (C) or a wall ( W) can be fixed. If the housing space (S) in the housing module 100 is omitted, companion animals can stay in the seat parts 918 and 920.

그리고, 상기 하우징모듈(100) 자체를 일종의 온도조절장치로 볼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배치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에어덕트(360)에 토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모듈(100)이 온도조절장치가 되는 것이다. Also, the housing module 100 itself may be regarded as a kind of temperature control device. Since the thermostat 200 disposed in the housing module 100 can generate cold or warm air and discharge it to the air duct 360, the housing module 100 becomes a thermostat. .

또한, 도 50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하우징모듈(100)에서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타고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바닥(G, 도 3참조)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바닥(G)으로부터 이격된 벽면(W)에 설치될 수도 있다. Also, as shown in FIG. 50 ,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disposed under the rod assembly 400 . In this case, the cold air or warm air generated in the housing module 100 may move upward along the duct assembly 300 disposed inside the rod assembly 400 .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G, see FIG. 3) or on a wall surface (W) spaced apart from the floor (G).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ne or more to operat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100: 하우징모듈 110: 케이스커버
111: 커버하판 113: 커버측판
114,115: 커버측판홀 117: 커버상판홀
120: 아웃케이스 122: 케이스개방부
123: 아웃측판 124: 전면개방부
125: 아웃측판홀 126: 아웃상판
127: 아웃상판홀 129: 도어지지단
130: 이너케이스 131: 이너하판
132: 하부개방홀 133: 이너측판
134: 출입구 134a: 도어장착부
135: 측면연통홀 136: 이너상판
137: 모터장착부 138: 이너후판
139: 도어스토퍼 140: 개폐모터
145: 개폐기어 150: 도어
151: 도어몸체 153: 도어회전축
155: 회전구동부 155a: 구동기어치
156: 연결암 160: 단열부재
161: 단열하판 162: 하부연결홀
163: 단열측판 164: 단열입구부
165: 단열측판홀 165a: 장착공간
167: 모터장착홈 168: 단열후판
169: 연결플랜지 169a: 연결공간
180: 제어부 183: 외부센서
190: 설치브라켓 200: 온도조절장치
210: 하우징커버 211: 장치하우징
212: 회수부 213: 장착플레이트
214: 히트싱크 218: 콜드싱크
260: 덕트가이드 261: 가이드플랜지
262: 가이드입구 263a: 제1가이드출구
263b: 제2가이드출구 300: 덕트조립체
300A: 제1덕트조립체 300B: 제2덕트조립체
310: 덕트커버 320: 덕트팬
322: 팬프레임 324: 디퓨저
326: 임펠러 330: 차단블럭
350A: 제1덕트헤드 350B: 제2덕트헤드
351: 안착판 352:에어챔버부
353: 팬가이드 357: 연통슬릿
360: 에어덕트 370: 제1덕트
375: 제1덕트토출관 378: 제1결합홈
380: 제2덕트 387: 제1결합리브
388: 제2결합홈 390: 제3덕트
395: 제2덕트토출관 398: 제2결합리브
400: 로드조립체 410A: 제1승강장치
410B: 제2승강장치 421: 제1승강바
425: 제1가이드바 450A: 제1스토퍼조립체
451: 스토퍼하우징 452: 날개부
455: 센싱자석 455a: 센서장착홈
456: 승강모터홈 457: 베어링장착부
458: 제1승강홀 458': 바걸림홀
460: 제1작동공간 460a: 제1구획공간
460b: 제2구획공간 461: 제1기어슬롯
462: 제2작동슬롯 463: 제1장착돌기
465: 제2작동공간 465a: 제3구획공간
465b: 제4구획공간 468: 제2장착돌기
470: 스토핑액츄에이터 471: 피니언기어
472: 제1레크바 472a: 제1레크돌기
473: 제1작동바 473a: 제1후크
473b: 제1작동돌기 475: 제2레크바
475a: 제2레크돌기 476: 제2작동바
476a: 제2후크 476b: 제2작동돌기
479: 탄성부재 480: 스토퍼커버
482: 커버날개 485: 가이드보스
500: 제1로드 510: 제1로드몸체
520: 제1스텝프레임 522: 제1스텝홈
600: 제2로드 510: 제2로드몸체
620: 제2스텝프레임 622: 제2스텝홈
700: 제3로드 710: 제3로드몸체
800: 물받이부 810: 트레이몸체
811: 집수공간 812: 트레이연장부
813: 트레이배출구 815: 결합보스
850: 하부센서 900: 시트조립체
900A: 제1시트조립체 900B: 제2시트조립체
900C: 제3시트조립체 910: 시트프레임
911: 장착링 912: 프레임가이드
913: 가이드포켓 914: 조립돌기
915: 시트레그 916: 스텝레그
918: 스텝스테이션 920: 시트스테이션
930:시트브라켓 931: 브라켓몸체
933: 결합공간 942: 가이드돌기
944: 수납홈 945: 완충부재
DC: 연통캡 DC': 캡홀
F1: 제1조절팬 F2: 제2조절팬
I: 높이측정센서 S: 하우징공간
SB1: 제1작동부 SB2: 제2작동부
100: housing module 110: case cover
111: lower cover plate 113: cover side plate
114,115: cover side plate hole 117: cover top plate hole
120: outer case 122: case opening
123: out side plate 124: front opening
125: Out side plate hole 126: Out top plate
127: Out top plate hole 129: Door support end
130: inner case 131: inner lower plate
132: lower open hole 133: inner side plate
134: entrance 134a: door mounting part
135: side communication hole 136: inner top plate
137: motor mounting part 138: inner thick plate
139: door stopper 140: opening and closing motor
145: opening and closing gear 150: door
151: door body 153: door rotation shaft
155: rotary drive unit 155a: drive gear
156: connecting arm 160: insulation member
161: lower insulation plate 162: lower connection hole
163: insulated side plate 164: insulated inlet
165: insulation side plate hole 165a: mounting space
167: motor mounting groove 168: insulation plate
169: connection flange 169a: connection space
180: control unit 183: external sensor
190: installation bracket 200: temperature controller
210: housing cover 211: device housing
212: recovery unit 213: mounting plate
214: heat sink 218: cold sink
260: duct guide 261: guide flange
262: guide entrance 263a: first guide exit
263b: second guide outlet 300: duct assembly
300A: first duct assembly 300B: second duct assembly
310: duct cover 320: duct fan
322: fan frame 324: diffuser
326: impeller 330: blocking block
350A: first duct head 350B: second duct head
351: seating plate 352: air chamber part
353: fan guide 357: communication slit
360: air duct 370: first duct
375: first duct discharge pipe 378: first coupling groove
380: second duct 387: first coupling rib
388: second coupling groove 390: third duct
395: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8: second coupling rib
400: rod assembly 410A: first lifting device
410B: second lifting device 421: first lifting bar
425: first guide bar 450A: first stopper assembly
451: stopper housing 452: wing
455: sensing magnet 455a: sensor mounting groove
456: lifting motor home 457: bearing mounting part
458: first lifting hall 458': bar hanging hole
460: first operating space 460a: first compartment space
460b: second compartment space 461: first gear slot
462: second operating slot 463: first mounting protrusion
465: second operating space 465a: third compartment space
465b: fourth compartment space 468: second mounting protrusion
470: stopping actuator 471: pinion gear
472: first leg bar 472a: first leg protrusion
473: first operating bar 473a: first hook
473b: first operating protrusion 475: second leg bar
475a: second leg protrusion 476: second operating bar
476a: second hook 476b: second operating protrusion
479: elastic member 480: stopper cover
482: cover wing 485: guide boss
500: first rod 510: first rod body
520: first step frame 522: first step home
600: second rod 510: second rod body
620: second step frame 622: second step home
700: third rod 710: third rod body
800: drip tray 810: tray body
811: collection space 812: tray extension
813: tray outlet 815: combined boss
850: lower sensor 900: seat assembly
900A: first seat assembly 900B: second seat assembly
900C: third seat assembly 910: seat frame
911: mounting ring 912: frame guide
913: guide pocket 914: assembly protrusion
915: seat leg 916: step leg
918: step station 920: seat station
930: seat bracket 931: bracket body
933: coupling space 942: guide protrusion
944: storage groove 945: buffer member
DC: communication cap DC': cap hole
F1: 1st control fan F2: 2nd control fan
I: height measurement sensor S: housing space
SB1: 1st operation part SB2: 2nd operation part

Claims (30)

하우징모듈;
상기 하우징모듈에 배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장치;
상기 하우징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토출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덕트;
상기 하우징모듈로부터 상기 에어덕트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에어덕트를 둘러싸는 로드;
상기 로드에 배치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타워.
housing module;
an air discharge device disposed in the housing module and discharging air;
an air duct connected to the housing module and having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device passes;
a rod extending from the housing modu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ir duct and surrounding the air duct;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comprising a seat portion disposed on the r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는 복수개의 덕트들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the air duc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ucts, and the plurality of ducts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에어덕트들로 구성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the air duc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ir ducts extending in parallel in the same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ducts have different diameters, and the total height of the plurality of ducts can be varied while overlapping or spreading each oth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 중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덕트는 이웃한 상부의 덕트 보다 직경이 큰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 wherein a duct relatively closer to a lower end of the rod among the plurality of ducts has a larger diameter than an upper duct adjacent to the ro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 중 어느 하나의 덕트에는 결합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덕트와 겹쳐지는 다른 덕트에는 상기 결합리브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 wherein a coupling rib protrudes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ucts, and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oupling rib is inserted is formed in another duct overlapping the duc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와 상기 결합홈은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6, wherein the coupling ribs and the coupling grooves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duc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는
상기 하우징모듈에 연결되는 제1덕트;와
상기 제1덕트 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제1덕트와 중첩되도록 연결되는 제2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덕트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덕트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끼워지는 제1결합리브가 구비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ir duct
A first duct connected to the housing module; and
A second duct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duct and connected to overlap the first duct;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wherein a first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duct, and a first coupling rib is provided in the second duct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리브는 각각 복수개로 구성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6, wherein each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first coupling rib is configured in pluralit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제1덕트의 상단부부터 하단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리브는 상기 제2덕트의 상단부부터 하단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coupling groove is continuously formed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duct, and the first coupling rib is continuously formed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du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토출장치에서 배출된 공기를 흡입하는 덕트팬이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a duct fan for sucking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device is disposed above the air du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덕트헤드가 구비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a duct head disposed below the housing module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ir duct.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덕트헤드에는 상기 에어덕트를 구성하는 덕트들 보다 직경이 큰 팬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팬은 상기 팬가이드의 안쪽에는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3, wherein a fan guid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ducts constituting the air duct is provided on the duct head, and the duct fan is disposed inside the fan guid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팬가이드에는 상기 팬가이드의 가이드공간을 상기 팬가이드의 외부와 연결하는 연통슬릿이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3, wherein a communication slit is formed in the fan guide to connect the guide space of the fan guide to the outside of the fan gu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 및 상기 로드는 상기 로드의 내부에 배치된 승강장치에 각각 고정되어 함께 승강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the air duct and the rod are each fixed to an elevating device disposed inside the rod so as to be elevated together.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로드의 내부에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5, wherein the lifting device is disposed inside the r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에는 공기토출관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토출관은 상기 에어덕트로부터 상기 시트부 방향으로 분기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the air duct is provided with an air discharge pipe, and the air discharge pipe diverges from the air duct toward the sea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내면과 상기 에어덕트의 외면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로드의 내면과 상기 에어덕트의 외면 사이에는 단열공간이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rod and an outer surface of the air duc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adiabatic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ro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du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모듈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타단부는 상기 에어덕트의 일단부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air duct is opened toward the housing module, and the other end of the air duct is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one end of the air du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타단부에는 물받이부가 연결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air duc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module, and a water tray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duct.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덕트들 중에서 가장 하부에 배치된 덕트의 상단부는 승강장치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물받이부에 연결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0, wherein an upper end of a duct disposed at the bottom among a plurality of ducts constituting the air duct is connected to the lifting device and a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drip tray.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에는 집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타단부는 상기 집수공간의 안쪽에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0, wherein a water collecting space is formed in the water receiving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air duct is dispos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space.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로드의 하단부를 감싸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0, wherein the drip tray surrounds the lower end of the rod.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에는 상기 에어덕트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결합보스가 구비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0, wherein a coupling bos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duct is provided at the water receiving part.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스에는 상기 공기유로에 연결되고 외부로 개방되는 하단토출구가 형성되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the coupling boss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path and is formed with a lower discharge port open to the outside.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의 하단부와 상기 결합보스의 사이에는 트레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트레이유로를 통해 상기 집수공간에 공급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4, wherein a tray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air duct and the coupling boss, and som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is supplied to the collection space through the tray passage.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에는 상기 집수공간을 외부와 연결하는 트레이배출구가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4, wherein a tray discharge port connecting the water collection space to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water receiving part.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에는 상기 물받이부 내부의 공기상태를 측정하는 하부센서가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20, wherein a lower sensor for measuring an air condition inside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키는 온도조절장치;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덕트;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내부의 수납공간에는 상기 에어덕트가 배치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타워.
A case with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generating cold or warm air;
An air duct connected to the case and having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passes; and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comprising a rod connected to the case and in which the air duct is disposed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키는 온도조절장치;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덕트;와
상기 에어덕트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집수공간이 형성되는 물받이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타워.
A case with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generating cold or warm air;
An air duct connected to the case and having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passes; and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including a water receiving portion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duct and forming a water collection space.
KR1020210191505A 2021-12-29 2021-12-29 Pet tower KR202301014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05A KR20230101414A (en) 2021-12-29 2021-12-29 Pet t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05A KR20230101414A (en) 2021-12-29 2021-12-29 Pet t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414A true KR20230101414A (en) 2023-07-06

Family

ID=87185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505A KR20230101414A (en) 2021-12-29 2021-12-29 Pet t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414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27131A1 (en) 2015-03-24 2017-02-02 Chelsea W. Brownridge Dog locker/pet locker
CN107410072A (en) 2017-06-09 2017-12-01 陈爱珍 A kind of pet cat cleaning, drying equipment integrating
KR20200079210A (en) 2018-12-24 2020-07-02 권주석 Window frame combined type cat tower
KR102198972B1 (en) 2020-10-16 2021-01-05 한상헌 Cat tow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27131A1 (en) 2015-03-24 2017-02-02 Chelsea W. Brownridge Dog locker/pet locker
CN107410072A (en) 2017-06-09 2017-12-01 陈爱珍 A kind of pet cat cleaning, drying equipment integrating
KR20200079210A (en) 2018-12-24 2020-07-02 권주석 Window frame combined type cat tower
KR102198972B1 (en) 2020-10-16 2021-01-05 한상헌 Cat t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851B2 (en) Automatic displacement ventilation system with heating mode
CA2957209C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RU2516947C2 (en) Free fall simulator (versions) and ventilation device for it
US7220946B2 (en) Food container
US4282855A (en) Fireplace screen system
KR101132646B1 (en) The Diffuser For Variable Air Volume System
EP3194856A1 (en) Localised personal air conditioning system
KR20230101414A (en) Pet tower
KR20230101409A (en) Pet tower with thermostat
KR20230101415A (en) Pet tower
KR20230101413A (en) Pet tower
KR20230101416A (en) Pet tower
KR20230101412A (en) Seat assembly and pet tower having same
KR20230101417A (en) Pet tower
KR101326382B1 (en) System of the Structure for Cold Storage
KR100978454B1 (en) Air circulation device
KR20230119453A (en) Pet tower
KR20230101411A (en) Pet t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19449A (en) Pet tower with thermostat
KR20230119452A (en) Pet tower with thermostat
KR20230119451A (en) Pet tower
KR20230119450A (en) Pet t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01418A (en) Pet t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006962B2 (en) Humidifier with louvered air intake
KR20230101410A (en) Pet t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