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972B1 - Cat tower - Google Patents

Cat t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972B1
KR102198972B1 KR1020200133905A KR20200133905A KR102198972B1 KR 102198972 B1 KR102198972 B1 KR 102198972B1 KR 1020200133905 A KR1020200133905 A KR 1020200133905A KR 20200133905 A KR20200133905 A KR 20200133905A KR 102198972 B1 KR102198972 B1 KR 102198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t
column assembly
tower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상헌
박기훈
Original Assignee
한상헌
박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헌, 박기훈 filed Critical 한상헌
Priority to KR102020013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9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9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rd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Ladd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 tower, comprising: a pillar assembly (100)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installed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nd ceiling, respectively; and one or more footholds (20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illar assembly (100) and rotated at the pillar assembly (100) to be able to change the position. A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on each of the footholds to analyz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or for each foothold, thereby estimating the height and position preferred by a ca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implementing a customized cat tower that fits inclination of a cat since the height and position preferred by the cat are estimated by analyzing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ressure sensor, such that a cat tower structure can be customized and varied.

Description

캣타워{Cat tower}Cat tower

본 발명은 캣타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설치되어 반려묘의 놀이공간과 운동공간을 제공하는 캣타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 t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t tower that is installed indoors to provide a play space and an exercise space for a cat.

캣타워는 반려묘가 놀 수 있도록 탑처럼 높게 만든 구조물이다. 반려묘는 한 가족처럼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고양이를 지칭한다. 고양이는 독립적인 성향이 강하고 좁은 공간을 좋아하며 높은 곳에 올라가려는 성향이 강하다. 고양이가 좁은 공간을 좋아하는 것은 큰 동물이 들어올 수 없다는 안도감 때문이고, 높은 곳에 올라가려는 성향은 자신이 더 우위에 있음을 과시하기 위함이나 외부로부터 위험을 방지하고자 하는 본능 때문이라고 한다. The cat tower is a structure made high like a tower so that cats can play. A cat refers to a cat that lives with people like a family. Cats have a strong tendency to be independent, like small spaces, and have a strong tendency to climb high. Cats like small spaces because of the sense of relief that large animals cannot enter, and the tendency to climb higher is because of their instinct to show off their superiority or to prevent danger from outside.

이러한 고양이의 기본적이고 본능적인 행동을 이해해주고, 더불어 집 고양이의 성향상 활동성이 떨어지고 운동을 안하는 고양이의 근력을 키워주기 위해 놀이공간으로 캣타워가 제공된다. Cat towers are provided as a play area to understand the basic and instinctive behavior of cats, an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cats that are less active due to the tendency of home cats and do not exercise.

이러한 캣타워는 실내에 설치하여 실내 생활하는 고양이가 캣타워에서 먹고 자고 놀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종래의 캣타워는 한 번 설치되면 그 구조를 변경할 수 없고 하나의 형상으로 계속 사용해야 하므로 지속적인 흥미유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ese cat towers are installed indoors so that cats living indoors can eat, sleep, play and take a rest in the cat tower, but the conventional cat tower cannot change its structure once it is installed, and it is difficult to induce continuous interest because it must be used continuously. There is a problem.

또한, 고양이는 성격과 취향이 까다롭기 때문에 구입 후 고양이가 캣타워에 흥미를 보이지 않을 경우 In addition, cats have a difficult personality and taste, so if the cat does not show interest in the cat tower after purchase,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9210호(2020.07.02 공개, 창틀 결합식 캣타워)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9210 (published on February 2, 2020, cat tower combined with window fram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이나 취향에 맞게 조립이 가능하고, 연장하여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으며, 고양이가 지루하지 않도록 다양한 형태로 가변이 가능하여 고양이의 성향에 맞는 맞춤 형태로 구현이 가능한 캣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assembl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taste, and can be extended and displayed in various forms, and can be vari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cat does not get bored. Thus, it provides a cat tower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customized form that fits the cat's tendency.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캣타워는 양단이 각각 바닥과 천장에 밀착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기둥조립체와 상기 기둥조립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조립체에서 회전시켜 위치 변경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발판을 포함한다.Cat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olumn assembly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closely fixed to the floor and ceiling, respectively, and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column assembly, the position can be changed by rotating in the column assembly It includes one or more stools.

상기 기둥조립체는 바닥에 밀착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외경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의 외주에 삽입식으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봉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봉에 상기 지지기둥이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너트와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고 천정에 밀착되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지지봉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지지대를 천장에 밀착 고정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한다.The column assembly is formed with a lower suppo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 support bar that is vertically fixed to the lower support, and a hollow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bar, so that a plurality of support columns that are inserted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bar and the support bar A fixing nut that is fastened and fixes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pillar is coupled to the support rod, an upper support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and a tightening nut that is fastened to the support rod to closely fix the upper support to the ceiling. do.

상기 발판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외경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caffolding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n outer diameter is formed in a curved shape.

상기 발판은 상기 지지기둥의 일단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이 통과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한다.The scaffold further includes a seating groove in which one end of the support pillar is seated and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and through which the support rod passes.

상기 발판에는 카펫이 부착되며, 상기 발판은 상기 관통공에 상기 지지봉을 관통시키고 상기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사이에 밀착 고정된다.A carpet is attached to the scaffold, and the scaffold penetrates the support ro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tightly fixed between the support pillar and the support pillar.

상기 발판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상기 발판별 센싱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분석하고 고양이가 선호하는 높이와 위치를 추정하여 상기 발판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한다.A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on the footrest, and the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footrest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is received and analyzed, an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ootrest can be changed by estimating the height and position preferred by the cat. It further includes an analysis unit.

상기 분석부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이며, 상기 기둥조립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천 해먹, 아크릴 해먹, 클라미밍 보드, 하우징 및 타워형발판부 및 추가 기둥조립체를 더 포함한다.The analysis unit is an app installed on the user's smartphone, and further includes a cloth hammock, an acrylic hammock, a climbing board, a housing and a tower type scaffolding unit, and an additional column assem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column assembly.

상기 기둥조립체와 상기 추가 기둥조립체를 연결하는 브리지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 bridge connecting the column assembly and the additional column assembly.

상기 천 해먹, 상기 아크릴 해먹, 상기 클라이밍 보드, 상기 하우징, 상기 타워형발판부, 상기 추가 기둥조립체, 상기 브리지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상기 기둥조립체에 추가로 연결 설치된다.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cloth hammock, the acrylic hammock, the climbing board, the housing, the tower-type scaffolding part, the additional column assembly, and the bridge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column assembly.

상기 타워형발판부는 삼각형 형상의 양측 지지프레임과 상기 양측 지지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발판을 포함한다.The tower-shaped scaffold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scaffolds installed to connect between both side support frames of a triangular shape and the both side support frames.

상기 지지발판은 상하 서로 이격되고 돌출된 방향이 서로 엇갈린 형상이며,상기 지지발판 중 최상부에 위치한 지지발판은, 상기 기둥조립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된 발판에 연결된다.The support scaffol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p and down, and the protruding directions are cross-shaped, and the support scaffold located at the top of the support scaffold is connected to a scaffol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column assembly.

상기 브리지는 양단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일단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이 통과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The bridge includes a seating groove in which one end of the support pillar is seated at both ends, and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and through which the support rod passes.

상기 브리지의 상면에는 카펫이 부착되며, 상기 카펫은 상기 브리지에서 탈부착 가능하다.A carpe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and the carpet is detachable from the bridge.

본 발명은 기둥조립체에 하나 이상의 발판을 고정한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여기에 해먹, 클라이밍 보드, 하우징, 타워형발판부, 추가 기둥조립체, 트윈타워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양이의 성향에 맞게 맞춤형으로 캣타워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configuration in which one or more scaffolds are fixed to a pillar assembly, and at least one or more of a hammock, a climbing board, a housing, a tower scaffold, an additional pillar assembly, and a twin tower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roduce various forms. I ca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lementing a cat tower tailored to the cat's tendency.

또한, 본 발명은 발판에 압력센서를 설치하고,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고양이가 선호하는 높이와 위치를 추정하여 캣타워 구조를 맞춤형으로 가변할 수 있으므로, 고양이의 성향에 맞는 맞춤형 캣타워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pressure sensor on the footrest, analyzes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or, estimates the height and position preferred by the cat, and allows the cat tower structure to be customiz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은 수직 운동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발판과 복층 화장실을 결합한 형태의 트윈타워부를 포함하는 캣타워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높은 곳을 좋아하고 깨끗한 환경을 좋아하는 고양이들의 쉼터 및 놀이터와 함께 화장실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implement a cat tower including a twin tower unit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a supporting footrest providing a vertical exercise space and a double-floor toilet, so together with a shelter and playground for cats who like high places and like a clean environm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lso be provided with a toile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캣타워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기둥조립체에 발판을 조립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 기둥조립체에 발판을 조립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지지봉, 지지기둥, 발판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 발판에 압력센서를 적용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캣타워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캣타워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캣타워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트윈타워부를 보인 측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at tower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assembling the footrest to the column assembly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caffold is assembled to a column assembly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rod, the support pillar, and the foot plate of FIG. 3 are combined.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ure sensor is applied to a footrest a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at tower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cat tower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 cat tower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twin tower of FIG. 8.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캣타워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at tower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캣타워(10)는 기둥조립체(100)와 발판(200)을 포함한다. 캣타워(10)는 높은 곳을 좋아하는 고양이의 행동특성을 바탕으로 제작된 것이며, 다양한 형태로 가변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 the cat tower 10 includes a column assembly 100 and a scaffolding 200. The cat tower 10 is manufactured based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ats who like high places, and can be varied in various forms.

기둥조립체(100)는 양단이 각각 바닥과 천장에 밀착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기둥조립체(100)는 바닥과 천장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튼튼하고 안정적이다. 기둥조립체(100)가 튼튼하고 안정적이어야 활동적인 고양이들이 신나게 뛰어 놀아도 안정적으로 흔들림이 없다.The pillar assembly 100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closely fixed to the floor and the ceiling, respectively. The column assembly 100 is strong and stable because it is a structure that is closely fixed to the floor and the ceiling. The pillar assembly 100 must be sturdy and stable so that active cats do not sway stably even if they jump and play.

발판(200)은 기둥조립체(1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된다. 발판(200)은 기둥조립체(100)에 다수 개가 설치되고, 일정 높이마다 설치될 수 있다. 발판(200)은 고양이가 높은 곳에 올라가는 습성을 고려한 것으로, 고양이가 밟고 올라가거나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기둥조립체(100)에 일정 높이마다 설치되는 발판(200)은 고양이가 실내에서 수직이동 및 상하운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근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 The scaffolding 200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column assembly 100. A plurality of scaffolds 200 are installed on the column assembly 100 and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footrest 200 takes into account the habit of a cat ascending to a high place,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at can step on and climb or rest. In addition, the footrest 200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in the column assembly 100 helps to build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at can vertically move and perform vertical movements indoors.

발판(2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발판(200)에는 카펫(230)이 부착된다. 카펫(230)은 고양이의 스크래칭을 위한 스크레처로 기능한다. 스크래칭은 고양이가 자신의 앞발톱을 거친 표면의 사물에 대고 반복적으로 긁는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카펫(230)은 스크래칭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 예로, 고양이들의 강한 스크레칭에도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방염카펫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caffolding 2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carpet 230 is attached to the footrest 200. The carpet 230 functions as a scratcher for scratching the cat. Scratching means a cat repeatedly scratches its paws against an object on a rough surface. The carpet 23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resistant to scratching, and for example, may be made of a flameproof carpet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even for strong scratching of cats.

고양이는 수직이동을 할 수 있어야 넓다고 느끼므로 기둥조립체(100)에 수직이동을 할 수 있는 발판(200)을 설치하고, 발판(200)에 스크레칭를 할 수 있게 카펫을 설치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Since cats feel wider when they can vertically move, stress can be relieved by installing a footrest 200 that can vertically move on the column assembly 100, and installing a carpet to scratch the footrest 200. To be.

발판(200)은 기둥조립체(100)에서 회전시켜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위치 변경은 발판(200)을 기둥조립체(100)에서 회전시켜 발판(200)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는 각도 변경(또는 위치 변경)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발판(200)은 상하 이격되고 기둥조립체(100)에서 돌출된 방향이 서로 엇갈린 형상이 되므로, 고양이가 밟고 올라갈 때 안전하게 오르고 내려올 수 있다. The scaffold 200 can be rotated in the column assembly 100 to change its position. Here, the position change refers to an angle change (or position change) in which the footrest 200 is rotated in the column assembly 100 to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of the footrest 200 faces. Accordingly, the footrest 200 is vertically spaced and the directions protruding from the column assembly 100 are cross-shaped, so that when the cat stepped on it, it can safely climb and descend.

또한, 캣타워(10)는 고양이가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아크릴 해먹(300), 클라이밍 보드(400) 및 하우징(500)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at tower 10 further includes an acrylic hammock 300, a climbing board 400, and a housing 500 so that the cat can perform various activities.

일 예로, 아크릴 해먹(300)은 반구 형상의 아크릴 투명 해먹일 수 있다. 아크릴 해먹(300)은 높은 곳을 올라가 내려다보는 좋아하는 고양이의 습성을 고려한 것이다. 클라이밍 보드(400)는 미끄럼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카펫이 부착된다. 클라이밍 보드(400)는 가구의 다리나 벽지를 긁는 고양이들이 관심을 보이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500)은 고양이의 숨는 습성을 고려한 것이다. For example, the acrylic hammock 300 may be a hemispherical acrylic transparent hammock. The acrylic hammock 300 takes into account the habit of a favorite cat who climbs high and looks down. The climbing board 4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lide, and a carpe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The climbing board 400 is intended to be used by cats who scratch the legs or wallpaper of furniture showing interest. The housing 500 considers the cat's hiding habit.

아크릴 해먹(300), 클라이밍 보드(400) 및 하우징(500)은 기둥조립체(1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아크릴 해먹(300), 클라이밍 보드(400) 및 하우징(500)은 기둥조립체(100)의 상부측에 설치된다. The acrylic hammock 300, the climbing board 400, and the housing 500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column assembly 100. In the embodiment, the acrylic hammock 300, the climbing board 400, and the housing 50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lumn assembly 100.

기둥조립체(100)는 하부지지대(110), 지지봉(120), 지지기둥(130), 고정너트(140), 상부지지대(150), 조임너트(160)를 포함한다. The column assembly 100 includes a lower support 110, a support bar 120, a support column 130, a fixing nut 140, an upper support 150, and a tightening nut 160.

하부지지대(110)는 바닥에 밀착된다. 하부지지대(110)는 납작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에 밀착될 수 있다. 지지봉(120)은 하부지지대(110)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고정너트(140)는 지지봉(120)에 체결되어 지지봉(120)에 지지기둥(130)이 결합된 상태를 고정한다. 상부지지대(150)는 지지봉(120)의 상단에 결합되고 천정에 밀착된다. 조임너트(160)는 지지봉(120)에 체결되어 상부지지대(150)를 천장에 밀착 고정한다.The lower support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The lower support 110 may be formed in a flat cylindrical shap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The support bar 120 is vertically fixed to the lower support 110. The fixing nut 140 is fastened to the support rod 120 to fix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column 130 is coupled to the support rod 120. The upper support 15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12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The tightening nut 160 is fastened to the support bar 120 to closely fix the upper support 150 to the ceiling.

하부지지대(110), 지지기둥(130), 상부지지대(150)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므로 원목으로 형성되어,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다. 하부지지대(110), 지지기둥(130), 상부지지대(150)는 간단한 물 걸레질만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UV 코팅될 수 있다.Since the lower support 110, the support pillar 130, and the upper support 150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y are formed of solid wood, so that the appearance is beautiful. The lower support 110, the support pillar 130, and the upper support 150 may be UV-coated so that they can be solved by simply mopping with water.

지지봉(120)은 하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10)를 연결하며 강성을 갖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지지봉(120)은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는 지지봉(120)은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볼트일 수 있다. The support bar 120 connects the lower support 110 and the lower support 110 and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have rigidity. The support rod 120 may be formed in a long rod shape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reads ar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Alternatively, the support bar 120 may be a stud bolt having threads formed on both sides.

제1 실시예에서 지지봉(120)은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형상을 사용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지지봉(120)의 상단의 나사산에 고정너트(140), 조임너트(160), 상부지지대(150)가 순차적으로 체결되고, 고정너트(140)가 하부 방향으로 조여져 지지봉(120)에 결합된 지지기둥(130)을 고정하고, 조임너트(160)가 상부 방향으로 조여져 상부지지대(150)를 천장에 밀착 고정한다. 또한, 지지봉(120)의 하단의 나사산에는 지지너트(170)가 결합되고, 지지너트(170)가 상부 방향으로 조여져 지지봉(120)을 하부지지대(110)에 고정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upport rod 120 is formed in a long rod shape and uses a shape in which threads ar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xing nut 140, the tightening nut 160, and the upper support 150 are sequentially fastened to the screw thread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120, and the fixing nut 140 is tightened in the lower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bar 120 ) Is fixed to the support column 130 coupled to, and the tightening nut 160 is tightened in the upper direction to tightly fix the upper support 150 to the ceiling. In addition, the support nut 170 is coupled to the screw thread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ar 120, and the support nut 170 is tightened in the upper direction to fix the support bar 120 to the lower support 110.

제1 실시예에서 지지기둥(130)은 지지봉(120)에 6개가 결합된다. 지지기둥(130)은 지지봉(120)의 외경에 대응되는 중공(131)이 형성되어 지지봉(120)의 외주에 삽입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기둥(130)과 지지기둥(130)의 사이에 발판(200), 아크릴 해먹(300), 클라이밍 보드(400) 및 하우징(500)이 고정된다. 발판(200)은 첫번째 지지기둥(130a)과 두번째 지지기둥(130b)의 사이, 두번째 지지기둥(130b)과 세번째 지지기둥(130c)의 사이, 세번째 지지기둥(130c)과 네번째 지지기둥(130d)의 사이, 네번째 지지기둥(130d)과 다섯번째 지지기둥(130e)의 사이, 다섯번째 지지기둥(130e)과 여섯번째 지지기둥(130f)의 사이에 고정되어 총 5개가 설치된다. In the first embodiment, six support pillars 130 are coupled to the support rod 120. The support pillar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rod 120 by forming a hollow 131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rod 120. In addition, the scaffolding 200, the acrylic hammock 300, the climbing board 400, and the housing 500 are fixed between the support pillar 130 and the support pillar 130. The scaffolding 200 is between the first support column (130a) and the second support column (130b), between the second support column (130b) and the third support column (130c), the third support column (130c) and the fourth support column (130d) Between, between the fourth support pillar (130d) and the fifth support pillar (130e), between the fifth support pillar (130e) and the sixth support pillar (130f), a total of five are installed.

아크릴 해먹(300)은 다섯번째 지지기둥(130e)과 여섯번째 지지기둥(130f)의 사이에 고정된다. 하우징(500)은 하부측이 네번째 지지기둥(130d)과 다섯번째 지지기둥(130e)의 사이에 고정되고, 상부측이 다섯번째 지지기둥(130e)과 여섯번째 지지기둥(130f)의 사이에 고정되어 기둥조립체(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클라이밍 보드(400)는 하우징(500)과 연결되는 구조가 되도록 네번째 지지기둥(130d)과 다섯번째 지지기둥(130e)의 사이에 고정되는 발판(200)의 단부에 연결 설치된다. The acrylic hammock 300 is fixed between the fifth support pillar 130e and the sixth support pillar 130f. Housing 500 is fix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support pillar (130d) and the fifth support pillar (130e), the upper side is fixed between the fifth support pillar (130e) and the sixth support pillar (130f) Is to be stably fixed to the column assembly (100). The climbing board 40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ootrest 200 fixed between the fourth support pillar 130d and the fifth support pillar 130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ousing 500.

이러한 제1 실시예의 캣타워(10)의 구조는 고양이에게 안정감을 주고 인테리어적으로도 미려하며, 고양이에게 놀이공간이자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스크래처로도 사용된다. The structure of the cat tow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provides a sense of stability to the cat and is also beautiful in the interior, provides a play space and a resting space for the cat, and is also used as a scratcher.

캣타워(10)를 구성하는 하부지지대(110), 지지기둥(130), 상부지지대(150), 발판(200), 하우징(500), 아크릴 해먹(300)에서 반구형의 아크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및 클라이밍 보드(400)는 모두 원목으로 제작된다. 원목은 자작나무, 소나무 등을 적용할 수 있다.Climbing and the rest of the lower support 110, the support pillar 130, the upper support 150, the footrest 200, the housing 500, and the acrylic hammock 300 constituting the cat tower 10 except for hemispherical acrylic The board 400 is all made of solid wood. As for the log, birch, pine, etc. can be applied.

원목은 날카로운 부분이 남아 있으면 고양이가 다칠 우려가 있으므로 모든 부분을 곡선 처리하여 형성하고 부드럽게 다듬은 공정을 통해 표면이 부드럽도록 제작한다.Since there is a risk of injuries to the cat if sharp parts remain, all parts are curved to form and smooth the surface through a smooth process.

이하에서는 지지기둥과 지지기둥의 사이에 발판, 아크릴 해먹, 하우징, 클라이밍 보드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a scaffold, an acrylic hammock, a housing, and a climbing board are stably fixed between the support pillar and the support pillar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기둥조립체에 발판을 조립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assembling the footrest to the column assembly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지지봉(120)은 캣타워(10)를 지지하는 뼈대가 된다. 지지봉(120)은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하부지지대(110)에 지지봉(120)을 수직으로 고정하고, 지지봉(120)에 지지기둥(130)을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지기둥(130)과 지지기둥(130)의 사이의 지지봉(120)에 발판(200)을 끼움 결합하여 지지기둥(130)과 지지기둥(130)의 사이에 발판(20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ar shown in Figure 2, the support bar 120 becomes a skeleton that supports the cat tower (10). The support rod 120 is formed in a long rod shape and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support bar 120 is vertically fixed to the lower support 110, and the support column 130 may be sequentially fitt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bar 120. In this process, the foot plate 200 is fitted to the support rod 120 between the support pillar 130 and the support pillar 130 and fixed to the foot plate 200 between the support pillar 130 and the support pillar 130 Can be made.

발판(2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외경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발판(200)의 외경의 곡면 형상은 고양이의 안전을 위한 것이다. 발판(200)은 원목으로 형성되고 UV코팅되어 오염이 적고 습기에 강하도록 한다. The scaffold 2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n outer diameter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curved shap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footrest 200 is for the safety of the cat. The scaffolding 200 is formed of solid wood and is UV coated to make it less contaminated and resistant to moisture.

발판(200)은 상면에 스크레쳐 기능을 위한 카펫(230)이 설치된다. 발판(200)의 상면에 카펫 대신 EVA 소재를 부착할 수도 있다. EVA 소재는 방수소재이므로 간단한 물세척이 가능해서 위생적 관리에 용이하고, 항균기능이 있어 세균, 곰팡이균 등의 번식억제가 가능하다. 또한 EVA 소재는 쿠션감이 있고 스크레치에도 강한 재질이다. The footrest 200 is provided with a carpet 230 for a scratcher function on the upper surface. Instead of a carpet, an EVA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rest 200. EVA material is a waterproof material, so it can be washed with simple water, so it is easy to manage hygienic, and it has an antibacterial function, so it is possible to inhibit the growth of bacteria and fungi. In addition, EVA material has a feeling of cushioning and is a material resistant to scratches.

발판(200)은 안착홈(210)과 관통공(220)이 형성된다. 안착홈(210)은 발판(200)의 일측에 요입 형성되어 지지기둥(130)의 일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된다. 관통공(220)은 안착홈(210)의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관통공(220)에 지지봉(120)이 관통된다. 구체적으로, 발판(200)의 관통공(220)에 지지봉(120)을 관통시켜 발판(200)의 일측을 지지기둥(130)과 지지기둥(130)의 사이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 The scaffolding 200 has a seating groove 210 and a through hole 220 formed therein. The seating groove 210 is concave formed on one side of the scaffold 200 so that one end of the support pillar 130 can be seated. The through hole 220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210. The support rod 120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 220.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scaffold 200 may be intimately fixed between the support pillar 130 and the support pillar 130 by passing the support rod 120 through the through hole 220 of the scaffold 200.

즉, 하부지지대(110)에 수직으로 고정된 지지봉(120)에 지지기둥(130)을 끼움 결합하고, 발판(200)의 관통공(220)에 지지봉(120)이 관통하도록 발판(200)을 지지봉(120)에 끼움 결합한 다음, 발판(200)이 끼움 결합된 지지봉(120)에 다시 지지기둥(130)을 끼움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지지기둥(130)과 지지기둥(130)의 사이에 발판(200)이 고정되게 할 수 있다. That is, the support pole 130 is fitted to the support rod 120 fixed vertically to the lower support 110, and the support rod 120 penetrates the through hole 220 of the foot plate 200. After the support rod 120 is fitted and coupled,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coupling the support pillar 130 back to the support rod 120 to which the foot plate 200 is fitted is repeated, and between the support pillar 130 and the support pillar 130 The footrest 200 may be fixed.

이 방법은 발판에 일측이 개구된 끼움홈을 형성하고, 측면에서 지지봉에 끼우는 방식에 비해 발판(200)이 지지봉(12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만약, 발판에 일측이 개구된 끼움홈을 형성하고 측면에서 지지봉에 발판을 끼움 결합하면 발판을 지지봉에 고정하는 작업은 간편하나 고양이가 발판으로 오르고 내리는 과정이 발판이 흔들릴 수 있고, 발판이 흔들리는 일이 반복되면 발판이 기둥조립체(100)에서 분리되거나 부러질 수 있다.In this method, the foot plate 200 may be more stably fixed to the support bar 120 than a method of forming a fitting groove with an open side on the foot plate and fitting it to the support bar from the side. If one side of the footrest is formed with an open fitting groove and the footres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bar from the side, it is easy to fix the footboard to the support bar, but the process of raising and lowering the footboard by the cat may cause the footboard to shake and the footboard to shake. When this is repeated, the scaffolding may be separated or broken from the column assembly 100.

따라서 발판(200)이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발판(200)을 지지봉(120)에 끼움 결합식으로 고정하고, 지지기둥(130)과 지지기둥(130)의 사이에 밀착시켜 보다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refore, the footrest 200 is fixed by a fitting coupling type to the support rod 120 so that the footrest 200 is fixed in a balanced and stable manner, and a more robust fixation is achieved by intimate contact between the support pillar 130 and the support pillar 130. To lose.

지지봉(120)에 발판(200)을 끼움 결합식으로 고정하고, 지지기둥(130)이 발판(200)의 상면과 하면을 밀착 고정하면 발판(200)이 흔들리거나 분리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If the foot plate 200 is fitted to the support rod 120 in a fitting manner, and the support pillar 130 closely fixe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oot plate 200, the foot plate 200 does not shake or separate.

지지봉(120)에 발판(200)과 지지기둥(130)이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된 상태는, 지지봉(120)의 상단의 나사산에 체결된 고정너트(140)가 하부 방향으로 조여지면서 서로 밀착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foot plate 200 and the support column 130 are sequentially fitt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bar 120, the fixing nut 140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1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being tightened downward. hav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 기둥조립체에 발판을 조립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caffold is assembled to a column assembly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지지봉(120a)은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터드볼트일 수 있다. 또한, 지지기둥(130)은 지지봉(120a)의 외경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는 중공(131)을 구비하여, 지지봉(120a)과 나사체결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rod 120a may be a stud bolt having threads formed on both sides. In addition, the support pillar 130 may be provided with a hollow 131 having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rod 120a, and may be fixed to the support rod 120a by a screw fastening method.

지지기둥(130)의 중공(131)에 지지봉(120a)의 일측 나사산을 결합하고, 발판(200)의 관통공(220)에 지지봉(120a)이 관통되도록 지지봉(120a)에 발판(200)을 끼움 결합하고, 지지봉(120)의 타측 나사산에 지지기둥(130)을 나사 결합할 수 있다. One side thread of the support rod 120a is coupled to the hollow 131 of the support pillar 130, and the foot plate 200 is attached to the support rod 120a so that the support rod 120a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 220 of the foot plate 200. It is fitted and coupled, and the support pillar 130 may be screw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rod 120.

도 4는 도 3의 지지봉, 지지기둥, 발판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rod, the support pillar, and the foot plate of FIG. 3 are combined.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지지봉(120a)의 일측 나사산은 하부측의 지지기둥(130)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 나사산은 상부측의 지지기둥(130)에 나사 결합된다. 발판(200)은 관통공(220)에 지지기둥(130)이 관통된 상태로 지지기둥(130)과 지지기둥(130)의 사이에 밀착 고정된다. As shown in Figure 4, one side of the thread of the support bar (120a) is screwed to the support column 130 on the lower side, the other side thread is screwed to the support column 130 on the upper side. The scaffold 200 is in close contact and fixed between the support pillar 130 and the support pillar 130 with the support pillar 130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20.

이때, 지지기둥(130)은 중공(131)의 단부측이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지지봉(120a)에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도 수용 가능하고 이로 인해 지지기둥(130)과 지지기둥(130)이 더욱 밀착될 수 있고 지지기둥(130)과 지지기둥(130)의 사이에 발판(200)을 밀착 고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upport pillar 130 is formed relatively wider than the threaded portion at the end side of the hollow 131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support rod 120a where the thread is not formed, and thus the support pillar 130 and The support column 130 may be more closely contacted, and the scaffold 200 may be closely fixed between the support column 130 and the support column 130.

도 3 및 도 4에서는 발판(200)에 안착홈(210)과 관통공(220)에 형성되어, 발판(200)이 지지기둥(130)과 지지기둥(130)의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를 설명하였다. 상기한 고정구조는 아크릴 해먹(300) 및 하우징(500)에도 적용 가능하다.In Figures 3 and 4, the structure is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210 and the through hole 220 in the foot plate 200, the foot plate 200 is closely fixed between the support pillar 130 and the support pillar 130. Explained. The above-described fixing structure can also be applied to the acrylic hammock 300 and the housing 500.

예를 들어, 아크릴 해먹(300)과 하우징(500)의 일측에도 발판(200)과 마찬가지로 안착홈(210)과 관통공(220)이 형성되어, 지지기둥(130)과 지지기둥(130)의 사이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밍 보드(400)는 발판(200)의 단부에 볼트를 사용하여 연결 고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 mounting groove 210 and a through hole 220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acrylic hammock 300 and the housing 500 as well as the footrest 200, so that the support pillar 130 and the support pillar 130 Can be tightly fixed between. In addition, the climbing board 400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end of the footrest 200 using bolts.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 발판에 압력센서를 적용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ure sensor is applied to a footrest a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발판(200)에는 압력센서(240)가 설치된다. 압력센서(240)는 발판(200)에 고양이가 올라감에 의해 발판(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한다. 압력센서(240)는 기둥조립체(100)에 설치되는 모든 발판(200)에 설치될 수 있다. 압력센서(240)가 감지한 발판별 센싱정보는 분석부(250)로 전송된다. 분석부(250)는 발판별 센싱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분석하고 고양이가 선호하는 높이와 위치를 추정한다. As shown in FIG. 5, a pressure sensor 240 is installed on the footrest 200. The pressure sensor 240 sen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rest 200 by the cat going up on the footrest 200. The pressure sensor 240 may be installed on all the scaffolds 200 installed in the column assembly 100. The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foot determined by the pressure sensor 240 is transmitted to the analysis unit 250. The analysis unit 250 receives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foot and analyzes it, and estimates the height and position preferred by the cat.

일 예로, 분석부(250)는 설정된 기간동안 발판별로 고양이가 가장 많이 올라간 발판을 데이터화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분석부(250)에서 제공한 고양이가 선호하는 높이와 위치 정보를 근거로 발판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analysis unit 250 may provide information to a user by converting the footboard on which the cat has climbed the most for each footboard for a set period of time into data. The user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footrest based on the height and position information preferred by the cat provided by the analysis unit 250.

분석부(25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일 수 있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은 압력센서와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analysis unit 250 may be an app installed on the user's smartphone. The app installed on the smartphone can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via Bluetooth to provide information.

도 5에서 압력센서(240)는 발판(200)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압력센서(240)를 아크릴 해먹(300), 하우징(500), 클라이밍 보드(400)에도 설치하여, 고양이가 가장 흥미를 가지는 부속품 및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발판(200)의 위치, 아크릴 해먹(300)의 위치, 하우징(50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고, 고양이가 흥미를 가지지 않는 부속품에 대해서는 다른 부속품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In FIG. 5, the pressure sensor 240 wa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only on the footrest 200, but by installing the pressure sensor 240 on the acrylic hammock 300, the housing 500, and the climbing board 400, the cat is most interesting. It may be provided with the accessory and location information having a. Through this, the user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footrest 200, the position of the acrylic hammock 300, and the position of the housing 500, and may substitute other accessories for accessories that the cat is not interested in.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캣타워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at tower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 실시예의 캣타워(10-1)는 기둥조립체(100), 발판(200), 하우징(500) 및 타워형발판부(600)를 포함한다.6, the cat tower 10-1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column assembly 100, a scaffolding 200, a housing 500, and a tower scaffolding part 600.

기둥조립체(100)는 양단이 각각 바닥과 천장에 밀착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기둥조립체(100)는 지지봉(120)을 이용하여 결합된 6개의 지지기둥(130)으로 이루어진다.The pillar assembly 100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closely fixed to the floor and the ceiling, respectively. The pillar assembly 100 consists of six support pillars 130 coupled using a support rod 120.

발판(200)은 기둥조립체(1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된다. 제2 실시예에서 발판(200)은 네번째 지지기둥(130d)과 다섯번째 지지기둥(130e)의 사이에 고정된다. 하우징(500)은 기둥조립체(1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된다. 실시예에서 하우징(500)은 하부측이 네번째 지지기둥(130d)과 다섯번째 지지기둥(130e)의 사이에 고정되고, 상부측이 다섯번째 지지기둥(130e)과 여섯번째 지지기둥(130f)의 사이에 고정된다.The scaffolding 200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column assembly 100.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caffold 200 is fixed between the fourth support pillar 130d and the fifth support pillar 130e. The housing 5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column assembly 100. In the embodiment, the housing 500 has a lower side fixed between the fourth support pillar 130d and the fifth support pillar 130e, and the upper side of the fifth support pillar 130e and the sixth support pillar 130f. Is fixed between

타워형발판부(600)는 상측이 발판(200)에 연결 고정되고, 기둥조립체(100)와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한 구조는 하우징(500), 발판(200), 타워형발판부(600)가 하나로 연결되는 구조가 되어, 고양이가 하우징(500)에서 발판(200)을 통해 타워형발판부(600)로 이동하는 동선이 형성되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The tower-shaped scaffolding part 600 has an upper side connected to the scaffolding 200 and fixed,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assembly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bove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housing 500, the footrest 200, and the tower footrest part 600 are connected to one, so that the cat moves from the housing 500 to the tower footrest part 600 through the footrest 200. Movement lines are formed and can be interesting.

타워형발판부(600)는 삼각형 형상의 양측 지지프레임(610,620)과 양측 지지프레임(610,62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발판(630,640,650)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tower-shaped scaffolding part 600 is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scaffolds 630,640,650 which are installed to connect between the support frames 610 and 620 on both sides of the triangular shape and the support frames 610 and 620 on both sides.

타워형발판부(600)는 발판 기능과 더불어 독립적인 성향이 강한 고양이에게 뚫린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타워형발판부(600)는 지지발판(630,640,650)이 상하 서로 이격되고 돌출된 방향이 서로 엇갈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계단 형상 발판을 형성한다. The tower-type footrest part 600 provides an independent space open to cats having a strong independent tendency in addition to a footrest function. The tower-type scaffolding part 600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support scaffolds 630, 640, and 6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p and down, and the protruding directions are staggered to form a stepped scaffold.

실시예에서 타워형발판부(600)는 지지발판 중 최상부에 위치한 지지발판을 기둥조립체(1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된 발판(200)과 연결한다.In the embodiment, the tower-type scaffolding part 600 connects the support scaffolding located at the top of the support scaffolding to the scaffolding 20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column assembly 100.

도 6에 도시된 타워형발판부(600)는 측면이 막혀 있는 구조이므로 고양이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The tower-type footrest part 600 shown in FIG. 6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is blocked, so that a sense of stability may be given to the cat.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캣타워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7 is a front view showing a cat tower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3 실시예의 캣타워(10-2)는 기둥조립체(100), 발판(200), 하우징(500), 아크릴 해먹(300), 천 해먹(700), 추가 기둥조립체(800) 및 브리지(8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cat tower 10-2 of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column assembly 100, a footrest 200, a housing 500, an acrylic hammock 300, a cloth hammock 700, and an additional column assembly. 800 and a bridge 850.

기둥조립체(100)는 양단이 각각 바닥과 천장에 밀착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기둥조립체(100)는 지지봉(120)을 이용하여 결합된 6개의 지지기둥(130)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들에서 지지기둥(130)을 6개 사용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지지기둥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6개 이상이 되게 할 수 있다.The pillar assembly 100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closely fixed to the floor and the ceiling, respectively. The pillar assembly 100 consists of six support pillars 130 coupled using a support rod 120. In the embodiments, it is described that six support pillars 130 are used, but if necessary, the length of the support pillars may be shortened and the number of support pillars may be six or more.

발판(200)은 기둥조립체(100)에 다수 개가 설치되고, 일정 높이마다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안정적이도록 기둥조립체(100)의 하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아크릴 해먹(300)과 천 해먹(700)은 기둥조립체(100)의 상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추가 기둥조립체(800)는 기둥조립체(100)를 두 개 이상 사용하여 확장형 캣타워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A plurality of scaffolds 200 are installed on the column assembly 100 and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housing 50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lumn assembly 100 to be stable. The acrylic hammock 300 and the cloth hammock 7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lumn assembly 100. The additional column assembly 800 uses two or more column assemblies 100 to form an expandable cat tower.

기둥조립체(100)와 추가 기둥조립체(800)는 브리지(850)로 연결하여, 고양이가 기둥조립체(100)에서 추가 기둥조립체(8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두 개 이상의 기둥조립체를 사용하여 캣타워를 구성하면 공간 확장이 용이하여 하나 이상의 고양이가 있는 경우 활용도가 높을 수 있다. The pillar assembly 100 and the additional pillar assembly 800 are connected by a bridge 850 so that the cat can move from the pillar assembly 100 to the additional pillar assembly 800. If a cat tower is constructed by using two or more column assemblies, it is easy to expand the space, so if there is more than one cat, the utilization may be high.

천 해먹(700)은 스크래칭이 가능하도록 그물 형상으로 만든 것일 수 있다.The cloth hammock 700 may be made in a net shape to enable scratching.

기둥조립체(100)에 발판(200), 하우징(500), 아크릴 해먹(300), 천 해먹(700)이 고정되는 방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method of fixing the footrest 200, the housing 500, the acrylic hammock 300, and the cloth hammock 700 to the column assembly 1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브리지(85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목으로 제작되며, 양단에 지지기둥(130)의 일단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안착홈의 중앙에 관통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된다. 브리지(850)의 관통공에 기둥조립체(100)의 지지봉이 통과하여 브리지(850)를 기둥조립체(1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The bridge 85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made of solid wood, includes a seating groove in which one end of the support pillar 130 is seated at both ends, and a through hole (not shown)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through. The support rod of the column assembly 1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bridge 850 so that the bridge 850 can be stably fixed to the column assembly 100.

브리지(850)의 상면에는 고양이의 스크레칭을 위한 카펫(860)이 부착된다. 카펫(860)은 브리지(850)에서 탈부착 가능하다. 더욱이 카펫(860)은 브리지(850)에 부착된 상태에서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볼트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A carpet 860 for scratching the ca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850. The carpet 860 is detachable from the bridge 850. Moreover, the carpet 860 may be fixed with bolts or the like to prevent any separation while attached to the bridge 850.

한편, 캣타워는 화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t tower may include a toilet.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캣타워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트윈타워부를 보인 측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showing a cat tower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twin tower of FIG. 8.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4 실시예의 캣타워(10-3)는 기둥조립체(100), 발판(200), 하우징(500) 및 트윈타워부(9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cat tower 10-3 of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column assembly 100, a footrest 200, a housing 500, and a twin tower unit 900.

기둥조립체(100)는 양단이 각각 바닥과 천장에 밀착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기둥조립체(100)는 지지봉(120)을 이용하여 결합된 6개의 지지기둥(130)으로 이루어진다.The pillar assembly 100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closely fixed to the floor and the ceiling, respectively. The pillar assembly 100 consists of six support pillars 130 coupled using a support rod 120.

발판(200)은 기둥조립체(1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된다. 제4 실시예에서 발판(200)은 네번째 지지기둥(130d)과 다섯번째 지지기둥(130e)의 사이에 고정된다. 하우징(500)은 기둥조립체(1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된다. 실시예에서 하우징(500)은 하부측이 네번째 지지기둥(130d)과 다섯번째 지지기둥(130e)의 사이에 고정되고, 상부측이 다섯번째 지지기둥(130e)과 여섯번째 지지기둥(130f)의 사이에 고정된다.The scaffolding 200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column assembly 100.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scaffolding 200 is fixed between the fourth support pillar 130d and the fifth support pillar 130e. The housing 5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column assembly 100. In the embodiment, the housing 500 has a lower side fixed between the fourth support pillar 130d and the fifth support pillar 130e, and the upper side of the fifth support pillar 130e and the sixth support pillar 130f. Is fixed between

트윈타워부(900)는 상측이 발판(200)에 연결 고정되고, 하측이 바닥에 지지되며 기둥조립체(100)와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한 구조는 하우징(500), 발판(200), 트윈타워부(900)가 하나로 연결되는 구조가 되어, 고양이가 하우징(500)에서 발판(200)을 통해 트윈타워부(900)로 이동하는 동선이 형성되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The twin tower unit 900 has an upper side connected and fixed to the scaffolding 200, a lower side supported on the floor,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assembly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bove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housing 500, the footrest 200, and the twin tower unit 900 are connected into one, so that the cat moves from the housing 500 to the twin tower unit 900 through the footrest 200. Movement lines are formed and can be interesting.

트윈타워부(900)는 수직 운동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발판(930,940,950)과 복층 화장실(960)을 결합한 형태이다. The twin tower unit 900 is a combination of support footrests 930, 940, and 950 providing a vertical exercise space and a double-floor toilet 960.

트윈타워부(900)는 다각형 형상의 양측 지지프레임(910)과 지지프레임(92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발판(930,940,950)과 하부에 복층 화장실(960)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트윈타워부(900)는 발판 기능과 더불어 고양이에게 복층 화장실(960)을 제공한다. The twin tower unit 900 is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feet (930, 940, 950) installed to connect between the support frame 910 and the support frame 920 in a polygonal shape and a double-storey toilet 960 at the bottom. do. The twin tower unit 900 provides a double-story toilet 960 for cats in addition to a footrest function.

트윈타워부(900)는 지지발판(930,940,950)이 상하 서로 이격되고 돌출된 방향이 서로 엇갈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계단 형상 발판을 형성한다. 실시예에서 트윈타워부(900)는 지지발판(630,640,650) 중 최상부에 위치한 지지발판을 기둥조립체(1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된 발판과 연결한다.In the twin tower unit 900, the support scaffolds 930, 940, and 950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rotruding directions are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to form a stepped scaffold. In an embodiment, the twin tower unit 900 connects the support foot plate located at the top of the support foot plates 630, 640, and 650 with the foot plat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column assembly 100.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복층 화장실(960)은 2층에 고양이가 들어가는 입구(961)가 있고, 1층은 인출 가능한 서랍(962)으로 되어 2층과 연결된다. 1층의 서랍에 모아진 고양이의 변은 서랍(962)을 인출하여 청소 가능하다. 복층 화장실(960)은 고양이에게 깨끗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하여 사막화를 방지하는 기능도 있다.As shown in FIG. 9, the double-story toilet 960 has an entrance 961 for a cat on the second floor, and the first floor is a drawer 962 that can be drawn out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floor. Cat's feces collected in the drawers on the first floor can be cleaned by pulling out the drawer 962. The double-layer toilet 960 also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desertification by providing a clean toilet environment for cats.

상술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제4 실시예의 캣타워는 혼용하여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캣타워(10)는 기둥조립체(100)에 하나 이상의 발판(200)을 고정한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여기에, 천 해먹(700), 아크릴 해먹(300), 클라이밍 보드(400), 하우징(500), 타워형발판부(600), 추가 기둥조립체(800), 트윈타워부(9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속품을 추가할 수 있다.The cat tower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Specifically, the cat tower 10 has one or more footrests 200 fixed to the column assembly 100 as a basic configuration, and here, a cloth hammock 700, an acrylic hammock 300, a climbing board 400, and a housing At least one accessory among 500, the tower-type scaffolding part 600, the additional column assembly 800, and the twin tower part 900 may be added.

또한, 추가 기둥조립체(800)가 추가되는 경우 기둥조립체(100)와 추가 기둥조립체(800)를 연결하는 브리지(850)를 추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dditional column assembly 800 is added, a bridge 850 connecting the column assembly 100 and the additional column assembly 800 may be added.

또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의 캣타워(10,10-1,10-2,10-3)는 발판(200), 천 해먹(700), 아크릴 해먹(300), 클라이밍 보드(400), 하우징(500) 및 타워형발판부(600), 트윈타워부(9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압력센서(240)를 설치하고, 압력센서(240)가 감지한 센싱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분석하고 고양이가 선호하는 높이와 위치를 추정하여 발판의 위치, 각 부속품들의 위치를 맞춤형으로 가변할 수 있다. 이는 고양이의 성향에 맞추어 캣타워를 구성할 수 있고, 고양이가 자라면서 변화되는 성향에 맞추어 캣타워를 가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at towers 10,10-1,10-2,10-3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include a scaffolding 200, a cloth hammock 700, and acrylic A pressure sensor 240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hammock 300, the climbing board 400, the housing 500 and the tower-type footrest part 600, and the twin tower part 900, and the pressure sensor 240 detects it. By receiving one sensing information, analyzing it, and estimating the height and position preferred by the cat, the position of the footrest and the position of each accessory can be customized. This allows the cat tower to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at's tendency, and the cat tower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tendency to change as the cat grows.

일 예로, 어린 고양이는 활동성이 높고 자라면서 활동성이 적어지는 경우를 고려하여, 고양이가 자람에 따라 선호하는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제공받아 캣타워에서 발판(200)의 위치, 하우징(500)의 위치 등을 맞춤형으로 가변할 수 있다. For example, taking into account the case that the young cat has high activity and decreases activity as it grows, the position of the footrest 200 in the cat tower, the position of the housing 500, etc. Can be customized.

상술한 캣타워는 높은 곳을 좋아하는 고양이들의 쉼터와 놀이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The cat tower described above can provide a shelter and a playground for cats who like high place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general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10-1,10-2,10-3: 캣타워
100: 기둥조립체 110: 하부지지대
120: 지지봉 130: 지지기둥
131: 중공 140: 고정너트
150: 상부지지대 160: 조임너트
170: 지지너트 200: 발판
210: 안착홈 220: 관통공
230: 카펫 240: 압력센서
250: 분석부 300: 아크릴 해먹
400: 클라이밍 보드 500: 하우징
600: 타워형발판부 610,620: 지지프레임
630,640,650: 지지발판 700: 천 해먹
800: 추가 기둥조립체 850: 브리지
860: 카펫 900: 트윈타워부
910,920: 지지프레임 930,940,950: 지지발판
955: 카펫 960: 복층 화장실
961: 입구 962: 서랍
10,10-1,10-2,10-3: Cat Tower
100: column assembly 110: lower support
120: support rod 130: support column
131: hollow 140: fixing nut
150: upper support 160: tightening nut
170: support nut 200: footrest
210: seating groove 220: through hole
230: carpet 240: pressure sensor
250: analysis unit 300: acrylic hammock
400: climbing board 500: housing
600: tower type scaffolding 610,620: support frame
630,640,650: support platform 700: thousand hammock
800: additional column assembly 850: bridge
860: carpet 900: twin tower
910,920: support frame 930,940,950: support footrest
955: carpet 960: double floor toilet
961: entrance 962: drawer

Claims (2)

양단이 각각 바닥과 천장에 밀착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기둥조립체; 및
상기 기둥조립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조립체에서 회전시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다수 개의 발판;
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조립체는
바닥에 밀착되는 하부지지대;
상기 하부지지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외경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의 외주에 삽입식으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지지기둥;
상기 지지봉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봉에 상기 지지기둥이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너트;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고 천정에 밀착되는 상부지지대; 및
상기 지지봉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지지대를 천장에 밀착 고정하는 조임너트;
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외경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판은
상기 지지기둥의 일단이 안착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이 통과하는 관통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에는 카펫이 부착되며,
상기 발판은
상기 관통공에 상기 지지봉을 관통시키고, 상기 발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발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는 지지기둥의 사이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기둥조립체에 설치되는 발판별로 고양이가 올라감에 의해 발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상기 발판별 센싱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분석하고 고양이가 선호하는 높이와 위치를 추정하여 상기 발판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분석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부는 설정된 기간동안 발판별로 고양이가 가장 많이 올라간 발판을 데이터화하여 고양이가 선호하는 높이와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분석부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이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은 압력센서와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센싱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기둥조립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천 해먹, 아크릴 해먹, 클라이밍 보드, 하우징 및 타워형발판부 및 추가 기둥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조립체와 상기 추가 기둥조립체를 연결하는 브리지;
를 더 포함하며,
천 해먹, 아크릴 해먹, 클라이밍 보드, 하우징, 타워형발판부, 추가 기둥조립체, 브리지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상기 기둥조립체에 추가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타워형발판부는
삼각형 형상의 양측 지지프레임
상기 양측 지지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발판;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발판은 상하 서로 이격되고 돌출된 방향이 서로 엇갈린 형상이며,
상기 지지발판 중 최상부에 위치한 지지발판은,
상기 기둥조립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된 발판에 연결되며,
상기 브리지는 양단에,
상기 지지기둥의 일단이 안착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이 통과하는 관통공;
을 포함하고,
상기 브리지의 상면에는 카펫이 부착되며, 상기 카펫은 상기 브리지에서 탈부착 가능한,
캣타워.
Column assembly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closely fixed to the floor and ceiling,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scaffold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pillar assembly and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by rotating in the pillar assembly;
Including,
The column assembly
A lower suppo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 support rod vertically fixed to the lower support;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having a hollow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rod and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rod;
A fixing nut that is fastened to the support bar to fix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column is coupled to the support bar;
An upper suppor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And
A tightening nut that is fastened to the support rod to intimately fix the upper support to the ceiling;
Including,
The scaffolding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n outer diameter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scaffolding
A seating groove in which one end of the support pillar is seated;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mounting groove and through which the support rod passes;
Including more,
A carpet is attached to the scaffold,
The scaffolding
The support rod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closely fixed between the support pillar coupled to the support rod so as to be located under the scaffold and the support pillar coupled to the support rod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oot plate,
A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that sen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rest by the cat ascending each footrest installed in the column assembly,
An analysis unit that receives the sensing information for each footrest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analyzes it, estimates the height and position preferred by the cat, and provides information to the us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ootrest;
It further includes,
The analysis unit converts the footboard on which the cat has climbed the most for each footboard for a set period of time and provides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height and location that the cat prefers,
The analysis unit is an app installed on the user's smartphone,
The app installed on the smartphone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via Bluetooth to receive sensing information,
A cloth hammock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column assembly, an acrylic hammock, a climbing board, a housing and a tower-type scaffolding portion, and an additional column assembly further include,
A bridge connecting the column assembly and the additional column assembly;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loth hammock, acrylic hammock, climbing board, housing, tower-type scaffolding part, additional column assembly, and bridge is additionally connected and installed to the column assembly,
The tower-type scaffolding part
Support frame on both sides of triangular shape
A plurality of support feet installed to connect between the two support frames;
Including,
The support scaffolding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p and down, and the protruding directions are staggered with each other,
The support foot plate located at the top of the support foot plate,
It is connected to the scaffold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column assembly,
The bridge is at both ends,
A seating groove in which one end of the support pillar is seated; And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and through which the support rod passes;
Including,
A carpe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and the carpet is detachable from the bridge,
Cat Tower.
삭제delete
KR1020200133905A 2020-10-16 2020-10-16 Cat tower KR1021989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905A KR102198972B1 (en) 2020-10-16 2020-10-16 Cat t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905A KR102198972B1 (en) 2020-10-16 2020-10-16 Cat t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972B1 true KR102198972B1 (en) 2021-01-05

Family

ID=7414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905A KR102198972B1 (en) 2020-10-16 2020-10-16 Cat t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972B1 (en)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472B1 (en) * 2021-03-24 2021-08-25 김민성 Detachable house for cat tower
KR20220112062A (en) 2021-02-03 2022-08-10 문진태 Cat pole system
KR20230101409A (en)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with thermostat
KR20230101412A (en)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Seat assembly and pet tower having same
KR20230101414A (en)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KR20230101415A (en)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KR20230101413A (en)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KR20230101416A (en)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KR20230119451A (en)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KR20230119453A (en)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KR20230119449A (en)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with thermostat
KR20230119452A (en)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with thermostat
KR102632957B1 (en) 2023-09-01 2024-02-02 주식회사 티와이스토리 Multi-stage cat tower and cat pole system
KR200498048Y1 (en) 2022-01-06 2024-06-05 김민수 Self-assembly cat po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384A (en) * 2016-10-12 2018-04-20 장승우 A Total Care System Of Companian Animal
KR20200079210A (en) 2018-12-24 2020-07-02 권주석 Window frame combined type cat tow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384A (en) * 2016-10-12 2018-04-20 장승우 A Total Care System Of Companian Animal
KR20200079210A (en) 2018-12-24 2020-07-02 권주석 Window frame combined type cat tow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우새 김완선 김종국 김정남 캣타워 제품 정보, 이미지 연구소, (2018.12.31.), 인터넷: <URL: https://drawinglab.tistory.com/245>* *
브리스페이스 캣 브릿지, 네이버 블로그, (2018.02.22.),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helloddonkko/221213683670>* *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062A (en) 2021-02-03 2022-08-10 문진태 Cat pole system
KR102294472B1 (en) * 2021-03-24 2021-08-25 김민성 Detachable house for cat tower
KR20230101413A (en)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KR20230101412A (en)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Seat assembly and pet tower having same
KR20230101414A (en)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KR20230101415A (en)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KR20230101409A (en)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with thermostat
KR20230101416A (en)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KR200498048Y1 (en) 2022-01-06 2024-06-05 김민수 Self-assembly cat pole
KR20230119451A (en)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KR20230119453A (en)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KR20230119449A (en)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with thermostat
KR20230119452A (en)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tower with thermostat
KR102632957B1 (en) 2023-09-01 2024-02-02 주식회사 티와이스토리 Multi-stage cat tower and cat pol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972B1 (en) Cat tower
US5809933A (en) Animal climbing and perch system
US5875735A (en) Modular animal perch attached to wall
US7934470B1 (en) Cat climbing, scratching, resting, and perching system
US7832361B2 (en) System for climbing pets
US5829390A (en) Door-mounted, scratch, exercise and perch structure for cats
KR200475838Y1 (en) Cat tower
US20100206241A1 (en) Small animal entertainment, exercise and interaction structure
JP4364813B2 (en) Cat playground equipment
US10314286B2 (en) Shape-shifting self-draining indoor-outdoor exercise pet tree, having rotatable slanting logs, rotatable slanting steps, rotatable slanting branches, rotatable slanting houses, rotatable slanting accessories, and rotatable slanting wheels
US3581707A (en) Tree house
US5664525A (en) Small animal visual burrowing module
JP4455655B2 (en) Pet play equipment
US20050051106A1 (en) Modular pet furniture
RU124884U1 (en) CHILDREN&#39;S DEVELOPING COMPLEX
KR200491565Y1 (en) Cat rides
US20110239366A1 (en) Bedbug infestation-resistant furniture
US6453624B1 (en) Playset tower assembly arrangement
JP4924552B2 (en) Cat playground equipment
KR101361469B1 (en) Prefabricated plaything using panel for balance beam
TWM611842U (en) Pet cage and pet cage combination
KR200493166Y1 (en) Replacement door
JP2016140254A (en) Footstool for cat and cat cage
JP3237193U (en) Desk with cat tower
WO2016029261A1 (en) Modular pet amus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