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417A - Pet tower - Google Patents

Pet t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417A
KR20230101417A KR1020210191508A KR20210191508A KR20230101417A KR 20230101417 A KR20230101417 A KR 20230101417A KR 1020210191508 A KR1020210191508 A KR 1020210191508A KR 20210191508 A KR20210191508 A KR 20210191508A KR 20230101417 A KR20230101417 A KR 20230101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tower
rod
ai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남기
유현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417A/en
Publication of KR2023010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4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타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케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온도조절장치(200)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는 로드(400)가 연결되고,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로드(400)를 따라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타워는 온도조절장치(200)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반려동물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타워의 내부 및 주변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e in which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be disposed in the case,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generate cold or warm air. Also, a rod 400 is connected to the case, and cold air or warm air can be transferred along the rod 400 .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thermostat 200. The thermostat 200 can appropriately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and around the tower so that companion animals can feel comfortable.

Description

반려동물용 타워{Pet tower} Pet tower {Pet tower}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타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하여 타워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타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to adjust the temperature inside and outside the tower.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은 주로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동물을 말한다.In general, a companion animal refers to an animal that mainly lives with people indoors.

최근 반려동물을 건강하게 기르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의 놀이 시설로 캣타워(cat tower) 또는 캣트리(cat tree), 캣 휠(cat wheel) 등이 있다. Recently, various devices for raising companion animals in a healthy manner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cat towers, cat trees, cat wheel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play facilities for cats.

일반적으로 캣타워(cat tower) 또는 캣트리(cat tree)는 반려묘들이 높은 곳을 오르거나 내려가는 것과 숨는 것을 즐기는 습성을 이용한 놀이 시설물이다.In general, a cat tower or cat tree is an amusement facility that uses the habit of cats climbing or descending high places and enjoying hiding.

이러한 캣타워는 반려묘가 놀 수 있도록 탑처럼 높게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를 위해 캣타워는 소정 높이로 형성된 기둥에 다수의 판재가 층상으로 고정되어 있고 기둥에는 반려묘가 숨을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기도 한다. These cat towers are often built as tall as towers for cats to play in. To this end, in the cat tower, a number of boards are fixed in layers to a pillar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pace for a cat to hide is sometimes provided in the pillar.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2198972호에는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고양이가 선호하는 높이와 위치를 추정하여 캣타워 구조를 가변하는 캣타워가 공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79210호에는 기존 창틀에 고정하는 방식의 캣타워가 공개되어 있다. For example,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98972 discloses a cat tower that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cat tower by estimating the height and position preferred by the cat by analyzing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or. In No. 2020-0079210, a cat tower that is fixed to an existing window frame is disclosed.

그런데, 종래의 캣타워는 반려묘의 놀이공간을 제공할 뿐이며, 그밖에 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특히, 캣타워는 반려묘의 편의를 위한 보다 다양한 자동 기능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at tower only provides a play space for cats, and has limitations in not providing other functions. In particular, cat towers need to provide more various automatic functions for the convenience of companion cats.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주변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타워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capable of appropriately controlling ambient temperature so that companion animals feel comfortable.

본 발명은 타워의 상부에 반려동물이 머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공간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타워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that provides a space for companion animals to stay on top of the tower and can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space.

본 발명은 타워의 상부와 하부에서 모두 고르게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타워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that enables uniform temperature control at both the top and bottom of the tower.

본 발명에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케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온도조절장치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는 로드가 연결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e in which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A thermostat may be disposed in the case, and the thermostat may generate cold or warm air. And, a rod may be connected to the case.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로드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로드를 따라 상기 로드의 하부까지 전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타워는 온도조절장치에 의해 타워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반려동물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타워의 내부 및 주변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hermosta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ase,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rod, and is delivered to a lower part of the rod along the rod.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thermostat. The thermostat can appropriately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and around the tower so that companion animals can feel comfortable.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와 발열면이 접하고 상기 케이스의 바깥쪽을 향해 배치되는 히트싱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heat sink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ase and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heating surface.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하우징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배출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반려동물 타워는 반려동물이 하우징공간에 머무를 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A housing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case, and som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may be supplied to the housing space. Accordingly, the companion animal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when the companion animal stays in the housing space.

상기 로드에 의해 감싸지는 내부공간에는 에어덕트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에어덕트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타워는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에어덕트의 하부까지 전달되어 주변을 쾌적하게 할 수 있다.An air duct may be disposed in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rod, and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may move along the air duct. Accordingly, in 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hermostat is delivered to the lower part of the air duct to make the surroundings comfortable.

상기 로드와 상기 에어덕트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지면을 향한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타워의 하부는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반려동물의 이동이나 물건과도 간섭을 피할 수 있다. The rod and the air duct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case toward the ground. As a result, the lower part of the tower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and avoid interference with the movement of companion animals or objects.

상기 에어덕트의 상단은 상기 케이스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하단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에어덕트를 통해 하단까지 전달될 수 있다.An upper end of the air duct may be opened toward the case, and a lower end of the air duct may be open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hermostat may be transferred from the case to the lower end through the air duct.

상기 로드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시트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반려동물은 상기 시트부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상기 시트부를 이동하면서 놀이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시트부로도 전달되어 상기 시트부도 적절한 온도로 관리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at parts may be installed on the ro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the companion animal can take a rest on the seat or enjoy play while moving the seat. In addi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duct is transferred to the seat portion, so that the seat portion may also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로써 타워는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전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ucts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and the plurality of ducts may have a variable overall height while being overlapped or spread out. This allows the overall length of the tower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installed.

상기 하우징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공간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내부센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 외부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외부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센서 및 외부센서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부센서 및 외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전송된 온도 또는 습도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온도 또는 습도가 높거나 낮은 경우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An internal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or humidity inside the housing space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space, and an external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or humidity outside the case may be disposed in the case. In addition, the internal sensor and the external sensor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temperature or humidity measured by the internal sensor and the external sensor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using the transmitted temperature or humidity. That is, depending on whether the temperature or humidity is high or low, the thermostat may generate warm or cold air.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요한 곳으로 토출하기 위한 팬이 구비될 수 있다. 팬은 상기 배출된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상기 로드의 내부로 토출할 수 있다.A fan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to a place where it is needed. The fan may discharge the discharged air into the inside of the case or the inside of the rod.

또한,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는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서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하부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센서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로드의 하단부의 온도 또는 습도가 높거나 낮은 경우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lower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at the lower end of the rod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The lower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hermostat us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measured by the lower sensor. That is, depending on the case where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lower end of the rod is high or low, the thermostat may generate warm or cold air.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반려동물용 타워는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The companion animal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타워는 온도조절장치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조절장치는 반려동물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타워의 내부 및 주변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rolled by a temperature controller. These thermostats can appropriately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and around the tower so that companion animals can feel comfortab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에 의한 타워의 상부에는 반려동물이 머물 수 있는 하우징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하우징공간 역시 온도조절장치에 의해 내부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이 하우징공간 안에서 보다 안락함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A housing space in which a companion animal can stay can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space can also be controlled by a thermosta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companion animals can feel more comfortable in the housing space.

본 발명에 의하면 타워의 내부 및 타워에 구비된 시트부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타워가 설치된 실내 전체의 온도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반려동물에게 적절한 온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워가 설치된 장소 전체가 아니라, 타워의 온도만 조절하면 되므로 에너지소비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ide of the tow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at provided in the tower can be adjusted,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companion animals can be formed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room in which the tower is installed is not controlled. Accordingly, energy consumption can be reduced because only the temperature of the tower needs to be adjusted, not the entire place where the tower is installed.

그리고, 본 발명에는 온도조절장치와 연결된 에어덕트가 타워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온도조절장치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에어덕트의 내부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냉기 또는 온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타워의 하단까지 전달될 수 있고, 타워의 높이 방향을 따라 온도를 고르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duct connected to the thermostat can be exten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and the air cooled or heated by the thermostat can move through the inside of the air duct. Therefore, cold air or warm air can be transm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tower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and the temperature can be evenly controll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특히, 에어덕트는 타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에어덕트에서 분기된 복수의 공기토출관들은 시트부들마다 냉기나 온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시트부들에 각각 냉기와 온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이 머무는 위치마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공기토출관을 통해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air duct may exten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and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s diverging from the air duct may discharge cold air or warm air from each seat por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ld and warm air to a plurality of seat parts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a comfortable environment can be provided at each position where the companion animal stay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several companion animals through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ipes.

또한, 본 발명에서 에어덕트의 하단부는 아래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타워의 내부 또는 시트부에 머무는 반려동물 뿐 아니라, 타워의 아래쪽에 있는 반려동물들에게도 쾌적한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air duct may be opened downwar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temperature not only to companion animals staying inside the tower or to the seat portion, but also to companion animals located below the tower.

그리고, 본 발명에서 케이스는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반려동물용 타워가 바닥(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반려동물용 타워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면, 바닥의 가용면적이 늘어날 수 있고, 다른 시설물과의 간섭도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may be installed on a wall or ceiling. In this way, the companion animal tower can be installed in a state away from the floor (ground). When the companion animal tower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the usable area of the floor can be increased, and interference with other facilities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타워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가 실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VII-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단열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조절장치가 케이스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덕트가이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XVI-XV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케이스와 에어덕트의 상단부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에어덕트의 상단부와 덕트팬이 서로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조절장치와 로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조절장치와 덕트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2에서 케이스와 제1덕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8은 도 12에서 제2덕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9는 도 12에서 제3덕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로드의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1은 도 20에서 로드를 제거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에어덕트의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덕트 및 제2덕트가 중첩된 부분과, 제2덕트와 제3덕트가 중첩된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덕트 내지 제3덕트가 중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승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 중 제1승강모터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의 하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승강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로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로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시트조립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타워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한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타워의 또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equipp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doors.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cas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cas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ure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1;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t insulating memb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component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l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from the case.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guid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VI-XVI' of Fig. 1;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case and the air duct in FIG. 12;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end of an air duc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uct fan are disassembled from each other;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mperature controller and a rod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mperature controller and a duct assembl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se and the first duct in FIG. 12;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duct structure in FIG. 12;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duct structure in FIG. 12;
Figure 20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how the total length of the rod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21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how the rod is removed in FIG. 20 and the total length of the air duc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verlapping portion of a first duct and a second duct and an overlapping portion of a second duct and a third duc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rst to third duc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verlapped.
24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lifting devic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of a first lifting motor in the first lifting device shown in FIG. 24;
2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structure of the first elevator device shown in FIG. 24;
2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cond lifting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rod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rod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y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at assembly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equipped with a temperatur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equipped with a temperatur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타워(이하 "타워"라 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워는 반려동물이 머물거나 이동할 수 있는 공간과 발판을 제공할 수 있고, 반려동물에게 적절한 온도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er for companion anim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wer"). The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pace and a foothold for companion animals to stay or move, and can provide an appropriate temperature environment for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의 타워는 여러 종류의 반려동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 뿐 아니라, 개, 다람쥐, 새 등 다양한 동물을 위해 본 발명의 타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타워에는 냉각된 공기(이하 '냉기'라 함) 또는 가열된 공기(이하 '온기'라 함)가 공급될 수 있다. 타워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온도조절장치(200)에 의해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타워의 하우징공간(S)뿐 아니라, 에어덕트(360)를 따라 타워의 하부에까지 전달될 수 있다. The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several types of companion animals. For example, the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cats but also for various animals such as dogs, squirrels, and birds. At this time, cooled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ld air') or heated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rm air') may be supplied to the tower. In the tower, the cool air or warm air generated by the thermostat 20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delivered to the lower part of the tower along the air duct 360 as well as the housing space S of the tow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 중에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과, 냉기/온기의 흐름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mong the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a flow structure of cold air/warm air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을 보면, 본 실시례의 타워의 상부에는 하우징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고, 하우징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타워의 상단에 위치하지만, 이와 달리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타워의 중간 부분이나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housing module 100 may be disposed above the tower of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module 100 and a housing space S may be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module 10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tower, but unlike this,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disposed at the middle or bottom of the tower.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i)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되는 부분일 수 있고, (ii) 반려동물에게 상기 하우징공간(S)을 제공할 수 있으며, (iii) 타워가 설치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module 100 (i) can be a part where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is installed, (ii) can provide the housing space (S) for companion animals, (iii) It can also serve as a fixture to keep the tower fixed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대략 육면체형상일 수 있으나,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곡면형태의 외관을 가지거나, 정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형상과 부피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외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housing module 10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but the shape of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variously modified. The housing module 100 may have a curved exterior or may have a regular hexahedron shape. The shape and volume of the space formed inside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housing module 100 .

도 2에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을 구성하는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입구가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공간(S)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도어(150)가 개방되면, 반려동물은 상기 하우징공간(S)의 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공간(S)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도어(150)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개폐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여닫힐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는 타워의 가장 높은 위치에 하우징공간(S)이 마련되므로, 높은 곳으로 올라가려는 습성을 가진 고양이 등 반려동물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2 shows the door 150 constituting the housing module 100 in an open state. In FIG. 2, the entrance of the housing space (S) is opened so that the housing space (S)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oor 150 is opened, the companion animal may enter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entrance of the housing space S. The door 150 may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As such,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ousing space (S) is provided at the highest position of the tower,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fort to companion animals such as cats who have a habit of going up to high places.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하부에는 로드(400)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드(400)는 하우징모듈(100)의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높이 보다 전체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4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시트조립체(900)가 고정되는 위치일 수 있고, 또한 상기 로드(400)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로드(400)는 복수개의 로드들(500,600,700)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로드조립체(400)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로드들(500,600,700)에는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의 시트조립체(9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A rod 400 may extend below the housing module 100 . The rod 400 may extend downward of the housing module 100 and may have an overall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housing module 100 . The rod 400 may be a position where a seat assembly 900 to be described below is fixed, and air may flow through the inside of the rod 400 .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rod 4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ds 500, 600, and 700, it may be viewed as a rod assembly 4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at assemblies 900 may be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rods 500 , 600 , and 700 at different heights.

도 3을 보면, 본 실시례의 타워가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와 같이 타워는 천장(C)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도 3(b)와 같이 천장(C)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타워는 아래에서 설명될 설치브라켓(190)을 통해서 벽면(W)에 설치되거나 천장(C)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b)와 같이 상기 타워가 천장(C)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면,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상면도 반려동물이 머물 수 있는 하나의 안착부가 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 3, it is shown that the tower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3 (a), the tower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C), or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ceiling (C) as shown in FIG. 3 (b). In this embodiment, the tower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W) or the ceiling (C) through the installation bracket 190 to be described below. When the tower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C) as shown in FIG. 3 (b),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odule 100 may also become a seating portion for companion animals.

본 실시례의 타워는 바닥(지면, G)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타워가 벽면(W) 또는 천장(C)에 설치됨에 따라 타워의 하단부(트레이부(800))는 바닥(G)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닥(G)의 가용면적이 늘어날 수 있다. 물론, 타워의 하단부가 바닥(G)에 지지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K1은 상기 타워가 바닥(G)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이고, K2는 천장(C)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The tower in this embodimen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ground, G). As the tower is installed on the wall (W) or ceiling (C), the lower end (tray part 800) of the tower can be separated from the floor (G). Accordingly, the usable area of the floor G may be increased. Of course, the lower end of the tower may be supported on the floor (G). Reference numeral K1 is the distance the tower is spaced from the floor (G), and K2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ceiling (C).

도 4를 보면, 타워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타워의 하부에는 로드조립체(400)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드조립체(400)는 상하방향, 즉 타워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길이가 가장 긴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로드조립체(400)이 길이 조절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ure 4, a side view of the tower is shown. A rod assembly 400 may extend below the tower. The rod assembly 40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rod assembly 400 is the longest, the length adjustment structure of the rod assembly 400 will be described below.

본 실시례에서 타워에는 총 5개의 안착면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시트부(918,9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918,920)들은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918,920)는 다시 스텝스테이션(918)과 시트스테이션(920)로 나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five seating surfaces may be provided on the tower. The seating surfaces may be formed on upper surfaces of the seat parts 918 and 920 to be described below.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The seat parts 918 and 92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 step station 918 and a seat station 920.

상기 로드조립체(400)는 총 3부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제1구역(A)은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바로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로드조립체(400)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역의 아래에는 제2구역(B)과 제3구역(C)이 차례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구역(A)은 후술할 제1로드(500)의 높이에 대응하고, 상기 제2구역(B)은 제2로드(600)의 높이에 대응하며, 상기 제3구역(C)은 제3로드(700)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역 내지 제3구역의 전체 높이인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높이는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높이가 가변되는 과정에서 상기 시트부(918,920)의 높이도 함께 가변될 수 있다. The rod assembly 400 may be divided into three parts.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area A may be disposed right below the housing module 100 and is at the highest position among the rod assemblies 400 . And, below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B) and the third area (C) may be sequentially followed. The first zone (A)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first rod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zone (B)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second rod 600, and the third zone (C) It may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third rod 700.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rod assembly 400, which is the total height of the first to third areas, may be variable.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varying the height of the rod assembly 400, the height of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may also be varied.

도 5와 도 6에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가장 바깥쪽 표면을 구성하는 케이스커버(11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커버(110)의 안쪽에는 아웃케이스(120)와 이너케이스(130)가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20)와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사이에는 단열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5 and 6 show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ousing module 100 in an exploded state. The housing module 100 may include a case cover 110 constituting an outermost surface of the housing module 100, and an outer case 120 and an inner case ( 130) can be accommodated. In addition, a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30 .

여기서, 상기 케이스커버(110), 아웃케이스(120), 이너케이스(130) 및 단열부재(160)는 하나의 케이스를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하우징공간(S)이 마련되고, 후술할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case cover 110, the outer case 120, the inner case 130, and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constitute one case. A housing space (S) is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2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먼저 상기 케이스커버(110)를 보면, 상기 케이스커버(1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110)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모듈(100)이 설치위치, 예를 들어 벽면(W)이나 천장(C)에 설치될 때 설치면과 맞닿게 된다. 물론, 상기 설치브라켓(190)을 통해 상기 하우징모듈(100)이 설치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나, 상기 설치브라켓(190)이 생략되고 상기 케이스커버(110)가 설치면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 상기 케이스커버(11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Looking at the case cover 110 first, the case cover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e case cover 110 may configure the exterior of the housing module 100, and when the housing module 100 is installed on a wall surface (W) or ceiling (C),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come into contact Of course,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through the installation bracket 190, but the installation bracket 190 may be omitted and the case cover 110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For stable fixation, the case cover 1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상기 케이스커버(110)는 커버하판(111), 커버측판(113), 커버상판(116) 및 커버후판(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11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커버하판(1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열부재(160)의 연결플랜지(169)가 배치되는 커버개방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개방홀(112)은 상기 케이스커버(110)의 전면까지 연장되고,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The case cover 110 may include a lower cover plate 111 , a cover side plate 113 , a cover upper plate 116 , and a cover back plate 118 .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cover 110 is open, and a cover opening hole 112 in which a connection flange 169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to be described below is disposed may be formed in the lower cover plate 111. The cover opening hole 112 extend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cover 110 and may open forward.

상기 커버측판(113)에는 커버측판홀(114,115)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측판홀(114,115) 중 제1측면홀(114)은 상기 케이스커버(110) 및 하우징모듈(100)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여기에 디스플레이(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측면홀(115)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Cover side plate holes 114 and 115 may be opened in the cover side plate 113 . The first side hole 114 among the cover side plate holes 114 and 115 can reduce the total weight of the case cover 110 and the housing module 100, and a display (not shown) or the like may be disposed t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ide hole 115 .

상기 커버상판(116)에는 커버상판홀(117)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후술할 제어부(180)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접근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상판홀(117)은 생략되고, 상기 커버상판(116) 전체가 막힌 구조일 수도 있다. A cover top plate hole 117 may be opened in the cover top plate 116 . A control unit 18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exposed through the cover upper plate hole 117 . The controller 180 may be accessed through the hole 117 of the cover top plate. Of course, the cover top plate hole 117 may be omitted, and the entire cover top plate 116 may have a blocked structure.

상기 케이스커버(110)의 안쪽에는 아웃케이스(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12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와 단열부재(160)를 감쌀 수 있고,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120)는 상기 케이스커버(110)와 마찬가지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그 형상과 크기는 변경될 수도 있다. An outer case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cover 110 . The outer case 120 may cover the inner case 130 and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and may form a skeleton of the housing module 100 . The outer case 12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like the case cover 110, but its shape and size may be changed.

상기 아웃케이스(120)는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120)는 바닥면과 후면이 각각 생략되고, 생략된 부분에는 케이스개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개방부(122)에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와 상기 단열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전면은 개방되어 전면개방부(12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개방부(124)는 상기 도어(150)가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120 may be opened. The bottom and rear surfaces of the outer case 120 may be omitted, and the case opening 122 may be formed at the omitted portion. The inner case 130 and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disposed in the case opening 122 . Also,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may be opened to form a front open portion 124 . The front opening part 124 may be a part where the door 150 is disposed.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아웃측판(123)에는 아웃측판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측판홀(125)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상판(126)에는 아웃상판홀(127)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아웃상판홀(127)을 통해서 상기 제어부(180)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아웃상판홀(127)과 앞서 설명한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접근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웃상판홀(127)은 생략되고, 상기 아웃상판(126) 전체가 막힌 구조일 수도 있다. An outer plate hole 125 may be formed in the outer plate 123 of the outer case 120 .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outer plate hole 125 . In addition, an outer top plate hole 127 may be opened in the outer top plate 126 . The controller 180 may be exposed through the outer top plate hole 127 . The controller 180 can be accessed through the outer top plate hole 127 and the cover top plate hole 117 described above. Of course, the outer top plate hole 127 may be omitted, and the entire outer top plate 126 may have a blocked structure.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앞쪽 하부에는 도어지지단(12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지지단(129)은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앞쪽 하부, 즉 상기 전면개방부(124)의 아래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지지단(129)은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하단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지지단(129)은 상기 도어(150)가 열릴 때 상기 도어(1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a door support end 129 may be provid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120 . The door support end 129 may be provided at a lower front portion of the outer case 120, that is,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opening portion 124. The door support end 129 may protrude forward along the lower end of the outer case 120 . The door support end 129 may serve to support the door 150 when the door 150 is opened.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안쪽에는 이너케이스(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30)는 그 내부에 상기 하우징공간(S)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전달되도록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30)는 상기 아웃케이스(120)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An inner case 1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er case 120 . The inner case 130 may form the housing space S therei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so that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is delivered. The inner case 1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er case 120 by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outer case 120 .

상기 이너케이스(130)는 이너하판(131), 이너측판(133), 이너상판(136) 및 이너후판(1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전면은 개방되어 출입구(134)가 될 수 있고, 개방된 상기 출입구(134)는 상기 도어(15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이너하판(131), 이너측판(133), 이너상판(136) 및 이너후판(138)에 의해 둘러싸인 안쪽에는 상기 하우징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case 130 may include an inner lower plate 131 , an inner side plate 133 , an inner upper plate 136 , and an inner thick plate 138 . A front surface of the inner case 130 may be opened to become an entrance 134 , and the opened entrance 134 may be shielded by the door 150 . The housing space (S) may be formed inside surrounded by the inner lower plate 131, the inner side plate 133, the inner upper plate 136, and the inner thick plate 138.

상기 이너하판(131)의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하판(131)에는 하부개방홀(132)이 관통될 수 있고, 상기 하부개방홀(132)에는 연통캡(DC)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연통캡(DC)은 상기 하부개방홀(132)을 가로막되, 상기 연통캡(DC)에 형성된 캡홀(DC')을 통해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연통캡(DC)은 상기 캡홀(DC')을 통해 연통로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연통로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의 공기는 아래쪽, 즉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연통캡(DC)가 생략되고 상기 캡홀(DC')은 상기 이너하판(131)에 직접 형성된 하부개방홀(132)의 일부일 수도 있다. A part of the inner lower plate 131 may be opened. Referring to FIG. 7 , a lower open hole 132 may pass through the inner lower plate 131 , and a communication cap DC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open hole 132 . The communication cap DC blocks the lower open hole 132, and air can flow through the cap hole DC' formed in the communication cap DC.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communication cap DC forms a communication passage through the cap hole DC'.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the air in the housing space (S) can move down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duct assembly (300).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cap DC may be omitted and the cap hole DC′ may be a part of the lower open hole 132 formed directly on the inner lower plate 131 .

상기 출입구(134)의 하부에는 도어장착부(134a, 도 10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장착부(134a)는 상기 출입구(134)의 아래쪽에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도어장착부(134a)에는 상기 도어(150)의 도어회전축(153)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장착부(134a)에는 축설치부(138, 도 10 참조)가 구비되고, 상기 축설치부(138)에 상기 도어회전축(153)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축설치부(138)는 상기 도어장착부(134a)의 양쪽 끝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축설치부(138)에는 상기 도어회전축(153)의 양단이 각각 끼워질 수 있다. A door mounting portion 134a (see FIG. 10 )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ntrance 134 . The door mounting portion 134a may be a portion extending below the entrance 134 . The door rotation shaft 153 of the door 150 may be installed in the door mounting part 134a. More precisely, a shaft installation unit 138 (see FIG. 10 ) is provided in the door mounting unit 134a, and the door rotation shaft 153 can be inserted into the shaft installation unit 138. The shaft installation parts 138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oor mounting part 134a, and both ends of the door rotation shaft 153 may be fitted into the pair of shaft installation parts 138, respectively.

도 5를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측판(133)에는 측면연통홀(135)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측면연통홀(135)은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측면연통홀(135)에는 후술할 덕트가이드(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덕트가이드(260)를 거쳐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전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side communication hole 135 may be opened in the inner side plate 133 of the inner case 130 .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35 may be a portion where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is disposed. A duct guide 26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35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elivered to the housing space S via the duct guide 260 .

도 10을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130)에는 모터장착부(1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아래에서 설명될 개폐모터(140)가 장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상기 이너측판(133) 중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상기 도어장착부(134a)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한 쌍의 상기 이너측판(133) 중 한 쪽에 배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되는 이너측판(133)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이너측판(133)에 구비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0 , a motor mounting portion 137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case 130 . The motor mounting part 137 may be a part where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The motor mounting part 137 may be formed by opening a part of the inner side plate 133 of the inner case 130 . The motor mounting part 137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oor mounting part 134a. In this embodiment, the motor mounting part 137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inner side plates 133, and more precisely, it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nner side plate 133 where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is disposed. Unlike this, the motor mounting part 137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plate 133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

상기 이너케이스(130)에는 도어(1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50)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출입구(134)를 개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150)가 닫히면 상기 하우징공간(S)은 밀폐된 공간이 될 수 있고, 상기 도어(150)가 열리면 상기 하우징공간(S)의 출입구(134)가 개방되어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어(150)가 닫힌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어(150)가 열린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A door 15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case 130 . The door 150 may serve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134 of the housing space (S). When the door 150 is closed, the housing space (S) can be an enclosed space, and when the door 150 is opened, the entrance 134 of the housing space (S) is opened so that companion animals can enter and exit. . In FIG. 1, the door 150 is shown in a closed state, and in FIG. 2, the door 150 is shown in an open state.

상기 도어(150)는 대략 판상의 도어몸체(151)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몸체(151)는 회전을 통해 여닫힐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15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회전을 통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도어(150)는 슬라이딩방식으로 여닫힐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15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door 150 may form a skeleton of a substantially plate-shaped door body 151 . And the door body 151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rotation. In this embodiment, the door 15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case 130 and may be opened or closed through rotation. Of course, unlike this, the door 150 may be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Also, the door 150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15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에 결합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도어(150)는 아웃케이스(120) 또는 케이스커버(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150)는 생략되고 상기 하우징공간(S)은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150 is coupled to the inner case 130 , but otherwise, the door 15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ase 120 or the case cover 110 . Also, the door 150 may be omitted and the housing space S may always remain open.

한편, 상기 아웃케이스(120)와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사이에는 단열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상기 아웃케이스(120)와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사이에는 빈 공간인 단열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되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별개물로 제작된 단열부재(160)가 상기 아웃케이스(120)와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사이에 배치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스티로폼과 같이 단열성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Meanwhile, a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30 .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formed by filling an insulating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30, which is an empty space, with a foamed liquid, or a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de of a separate materia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30 .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heat insulating properties such as Styrofoam.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내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하나의 단열부재(160)로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모두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이들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상기 케이스 전체가 벽면(W)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housing space S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the inner wall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is case, both the housing space (S)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surrounded by a singl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In addition, since the housing space S and the thermostat 200 are dispos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entire case from the wall surface W can be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when they are dispos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 단열부재(160)는 상기 아웃케이스(120) 및 상기 이너케이스(130)와 마찬가지로 대략 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단열하판(161), 단열측판(163), 단열상판(166) 및 단열후판(168, 도 6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발생한 냉기 또는 온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Like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30,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include an insulating lower plate 161, an insulating side plate 163, an insulating upper plate 166, and an insulating thick plate 168 (see FIG. 6).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surround a por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and prevent cold air or warm air generat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단열하판(161)에는 하부연결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홀(162)은 앞서 설명한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하부개방홀(13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홀(162)을 통해서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홀(162)의 아래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플랜지(169)가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a lower connection hole 162 may be formed in the insulating lower plate 161 . The lower connection hole 162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open hole 132 of the inner case 130 described above. Cool air or warm air may be transmitted toward the duct assembly 300 through the lower connection hole 162 . A connection flange 169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provided below the lower connection hole 162 .

상기 단열부재(160)의 전면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의 개방된 단열입구부(164)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출입구(134)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입구부(164)도 상기 도어(1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A front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may be opened. The open heat insulation entrance 164 of the heat insulation member 160 may be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134 of the inner case 130 . Therefore, the insulated entrance 164 can als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50 .

상기 단열부재(160)의 단열측판(163)에는 단열측판홀(1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측판홀(165)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2조절팬(F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팬(F2)이 토출한 공기는 상기 단열측판홀(165)과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측면연통홀(135)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절팬(F2)이 토출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에 의해 아래쪽, 즉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A heat insulating side plate hole 165 may be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163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A second control fan F2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heat insulation side plate hole 165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ontrol fan F2 may be supplied to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heat insulation side plate hole 165 and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35 of the inner case 130 . In addition, some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second control fan F2 may be supplied downward, that is, toward the duct assembly 300 by the duct guide 260 .

도 7을 보면, 상기 단열부재(160)의 단열측판(163)에는 설치공간(16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65a)은 일종의 빈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65a)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제1조절팬(F1)과 제2조절팬(F2)은 상기 설치공간(165a)의 후방 및 전방에 각각 개방된 한 쌍의 단열측판홀(165)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 히트싱크(214) 및 콜드싱크(218) 등의 부품들은 상기 설치공간(165a)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n installation space 165a may be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163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The installation space 165a can be seen as a kind of empty space.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65a. The first control fan (F1) and the second control fan (F2) constituting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have a pair of heat insulation side plate holes 165 opened at the rear and front of the installation space 165a, respectively. can be exposed through Also,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hermostat 200, such as a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sink 214, and a cold sink 218, may be located 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165a.

도 8을 보면, 상기 단열부재(160)에는 모터장착홈(16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홈(167)은 상기 단열측판(163)에서 안쪽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홈(167)은 상기 개폐모터(140)가 삽입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홈(167)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열측판(163) 중에서 상기 설치공간(165a)이 형성된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모터(140)는 상기 모터장착홈(167)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모터장착부(137)에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motor mounting groove 167 may be provided in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The motor mounting groove 167 may have a structure recessed inward from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163 . The motor mounting groove 167 may be a portion into which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is inserted. The motor mounting groove 167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where the installation space 165a is formed among the pair of heat insulation side plates 163 facing each other. The opening/closing motor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motor mounting groove 167 and fixed to the motor mounting portion 137 of the inner case 130 .

상기 단열부재(160)의 하부에는 연결플랜지(16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단열하판(161)에서 아래쪽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하부에 구비되지만,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아웃케이스(120)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일부일 수도 있다. A connection flange 169 may be provided below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The connection flange 169 may be formed to further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heat insulating plate 161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The connection flange 169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flange 169 is provided under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but the connection flange 169 may be part of the outer case 120 or the inner case 130.

도 7을 보면,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연통캡(DC)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안쪽에 마련된 연결공간(169a)은 상기 연통캡(DC)의 상기 캡홀(DC')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2가이드출구(263b)와도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공간(169a)에는 상기 캡홀(DC')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출구(263b)를 통해서도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connection flange 169 may be disposed below the communication cap DC. The connection space 169a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169 may be connected to the cap hole DC′ of the communication cap DC.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flange 169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of the duct guide 260. Accordingly,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space 169a through the cap hole DC', and air may also be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상기 연결공간(169a)에는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상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공간(169a)에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구성하는 덕트팬(3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은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2가이드출구(263b)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아래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An upper portion of the duct assembly 300 may be disposed in the connection space 169a of the connection flange 169 . A duct fan 320 constituting the duct assembly 300 may be disposed in the connection space 169a. The duct fan 320 may suck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of the duct guide 260 and transfer it downward.

상기 연결플랜지(169)에는 제1고정홈(169b)과 제2고정홈(169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홈(169b)과 상기 제2고정홈(169c)은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저면에서 각각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홈(169b)에는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고정홈(169c)에는 제1승강바(421)의 상단(422)부가 끼워질 수 있다. A first fixing groove 169b and a second fixing groove 169c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flange 169 . The first fixing groove 169b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69c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flange 169 . The first lifting motor M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169b, and the upper end 422 of the first lifting bar 421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169c.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제어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타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보면, 상기 제어부(180)는 아래에서 설명될 외부센서(183)와 내부센서(185)와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 및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승강장치(410A)와 제2승강장치(410B) 및 디스플레이부(580,680)를 제어할 수 있다. A controller 18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module 100 .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ower. Referring to FIG. 9 , the controller 18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ensor 183 and an internal sensor 185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and a first elevator 410A to be described below. ),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and the display units 580 and 680 can be controlled.

상기 제어부(180)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80)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상판(136)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상판홀(127)과 상기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상기 제어부(180)에 접근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80 .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top plate 136 of the inner case 130 .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80 can be accessed through the outer top plate hole 127 and the cover top plate hole 117 .

상기 제어부(180)에는 외부센서(18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센서(183)는 외부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공기란, 타워가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타워가 실내에 설치된다면 상기 외부센서(183)는 실내공간의 공기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An external sensor 183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80 . The external sensor 183 may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external air. Here, the outside air may mean air in a space where the tower is installed. If the tower is installed indoors, the external sensor 183 can measure the air condition in the indoor space.

상기 외부센서(183)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상판(136)의 바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센서(183)는 상기 아웃상판홀(127)과 상기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센서(183)를 통해 외부의 공기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외부센서(183)는 상기 제어부(18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상기 외부센서(183)는 상기 제어부(18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The external sensor 183 may b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top plate 136 of the inner case 130 . At this time, the external sensor 183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top plate hole 127 and the cover top plate hole 117 . Therefore, the external air condition can be accurately measured through the external sensor 183 . In this embodiment, the external sensor 183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control unit 180, but otherwise, the external sensor 18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trol unit 180.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공간(S)에는 내부센서(1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센서(185)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내부공기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부센서(185)는 상기 하우징공간(S) 내부의 공기 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내부센서(185)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배출된 냉기나 온기가 상기 내부센서(185)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기 내부센서(185)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내부센서(185)는 덕트가이드(26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상부 구석에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7 , an internal sensor 185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space S. The internal sensor 185 is for measuring the internal air condition of the housing space (S). The internal sensor 185 may measure the air or humidity inside the housing space (S). The internal sensor 185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far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 That is, the internal sensor 185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so that the cold air or warm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internal sensor 185. can In this embodiment, the internal sensor 185 is disposed at the upper corner of the housing space S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uct guide 260.

상기 제어부(180)는 (ⅰ) 상기 외부센서(183)에서 측정된 타워 주변의 온도(제1온도)와 상기 내부센서(185)에서 측정된 하우징공간(S)의 온도(제2온도)를 비교하여, (ⅱ) 상기 제1온도를 이용하여, (ⅲ) 상기 제2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i) the temperature around the tower (first temperature) measured by the external sensor 183 and the temperature (second temperature) of the housing space (S) measured by the internal sensor 185 In comparison, (ii) using the first temperature and (iii) using the second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먼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측정된 제1온도와 제2온도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온도와 제2온도 간의 온도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멈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공간(S)의 온도(제2온도)가 외부의 온도(제1온도)보다 너무 춥거나 더울 경우에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First, the controller 180 may compare the measured first temperature with the second temperature.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is out of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rang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be operated or stopped.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second temperature) of the housing space (S) is too cold or hotter than the outside temperature (first temperature),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There is.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의 온도(제1온도)만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운전할 수도 있다. 제1온도가 설정된 제2기준범위를 벗어나서 너무 춥거나 너무 더울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외부의 온도를 22~25℃(제2기준범위)로 설정한 경우, 상기 측정된 제1온도가 상기 제2기준범위의 상한치(25℃)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냉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측정된 제1온도가 상기 제2기준범위의 하한치(22℃)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온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의 온도가 상기 제2기준범위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2기준범위와 상/하한치는 변경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80 may operate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based only on the external temperature (first temperature). Even when the first temperature is too cold or too hot beyond the set second reference range, the controller 180 can operate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set to 22 to 25 ° C (second reference range), if the measured firs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upper limit (25 ° C) of the second reference range, the control unit 180 Cool air can be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and when the measured first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22° C.) of the second reference rang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to The warmth can be released. Thus, the external temperature can be managed within the second reference range. Of course, the second reference range and upper/lower limits may be changed.

또한, 다르게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내부온도(제2온도)만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운전할 수도 있다. 제2온도가 설정된 제3기준범위를 벗어나서 너무 춥거나 너무 더울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80 may operate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based only on the internal temperature (second temperature) of the housing space S. Even when the second temperature is too cold or too hot beyond the set third reference range, the controller 180 can operat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공간(S)의 내부온도를 22~25℃(제3기준범위)로 설정한 경우, 상기 측정된 제2온도가 상기 제3기준범위의 상한치(25℃)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냉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2온도가 상기 제3기준범위의 하한치(22℃)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온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하우징공간(S)의 내부온도가 상기 제3기준범위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3기준범위와 상/하한치도 변경이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space (S) is set to 22 to 25 ° C (third reference range), if the measured second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upper limit (25 ° C) of the third reference range, the The controller 180 may discharge cold air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and if the second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22° C.) of the third reference rang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emperature controller Warmth can be discharged from (200). Accordingly,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space (S) can be managed within the third reference range. Of course, the third reference range and the upper/lower limits may also be changed.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냉기 또는 온기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공기를 냉각하여 냉기를 생성하거나 가열하여 온기를 생성하여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또는 가열 한 후에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module 100 .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serve to generate and supply cool air or warm air using external air. For example, external air is cooled to generate cold air or heated to generate and supply warm air. To this e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take in external air, cool or heat it, and then discharge it toward the housing space S and the duct assembly 300 .

도 7을 보면,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측판(133)과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아웃측판(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상기 설치공간(165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1조절팬(F1)은 케이스커버(110)의 바깥쪽을 향하고, 제2조절팬(F2)은 하우징공간(S)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side plate 133 of the inner case 130 and the outer side plate 123 of the outer case 120 . More precisely,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65a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fan (F1)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case cover 110, and the second control fan (F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housing space (S).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2조절팬(F2)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먼저 덕트가이드(260)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덕트가이드(260)에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1가이드출구(263a)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도 7의 화살표1방향), 나머지 공기는 제2가이드출구(263b)를 통해서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2방향) 이때, 상기 하우징공간(S)에 유입된 공기도 상기 연통캡(DC)의 캡홀(DC')을 통해서 다시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1'방향)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fan (F2)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first flow into the duct guide (260). Som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guide 260 may flow into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first guide outlet 263a of the duct guide 260 (in the direction of arrow 1 in FIG. 7), and the rest Air may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duct assembly 300 through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in the direction of arrow 2 in FIG. 7). At this tim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space S is also introduced into the communication cap DC ) through the cap hole DC' of the duct assembly 300. (arrow 1' direction in FIG. 7)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는 장치하우징(2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211)은 온도조절장치(200)의 외관을 구성하고, 각 부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내부에 온도조절팬(F1,F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표면은 상기 설치공간(165a)의 내면과 밀착될 수 있다. 도면부호 210은 하우징커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커버(210)는 상기 아웃케이스(1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온도조절팬(F1,F2)은 상기 제1조절팬(F1)과 제2조절팬(F2)을 포함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the device housing 211 may be provided 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The device housing 211 constitutes an exterior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and may serve to fix each part. Temperature control fans F1 and F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evice housing 211 . A surface of the device housing 211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165a. Reference numeral 210 denotes a housing cover, and the housing cover 210 may be fixed to the outer case 120 . 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control fans F1 and F2 may include the first control fan F1 and the second control fan F2.

상기 장치하우징(211)에는 회수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212)는 상기 하우징공간(S) 내부의 공기가 다시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상기 회수부(212)는 상기 이너케이스(130)를 향한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A recovery unit 212 may be formed in the device housing 211 . The collecting part 212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housing space S can be introduced into the device housing 211 again. The recovery part 212 may be formed through a front surface of the device housing 211 facing the inner case 130 .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내부에는 장착플레이트(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레이트(213)는 대략 판상구조일 수 있고,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장치하우징(2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레이트(213)는 상기 장치하우징(211)에 장착되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 mounting plate 213 may be provided inside the device housing 211 . The mounting plate 213 may have a substantially plate-like structure, and an edge portion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housing 211 . The mounting plate 213 may serve to support components mounted on the device housing 211 .

상기 장착플레이트(213)에는 히트싱크(214)와 콜드싱크(218)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히트싱크(214)와 상기 콜드싱크(218)의 사이에는 열전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히트싱크(214)를 가열시키고, 상기 히트싱크(214)의 열은 상기 제1조절팬(F1)을 통해 바깥쪽인 후방(도 7의 화살표3 참조)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냉각된 콜드싱크(218)의 냉기는 상기 덕트가이드(260)를 향한 전방(도 7의 화살표1,2참조)으로 토출될 수 있다. A heat sink 214 and a cold sink 218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plate 213 . Although not shown, a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 sink 214 and the cold sink 218 . The heat generat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heats the heat sink 214, and the heat of the heat sink 214 is transferred outwardly to the rear (see arrow 3 in FIG. 7) through the first control fan F1. may be discharged. In addition, the cold air of the cold sink 218 cool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discharged forward toward the duct guide 260 (see arrows 1 and 2 in FIG. 7 ).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상기 열전소자, 상기 히트싱크(214) 및 상기 콜드싱크(218)는 단열공간인 상기 설치공간(165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 상기 히트싱크(214) 및 상기 콜드싱크(218)는 주변부와 단열될 수 있고, 상기 열전소자의 냉기는 전방인 덕트가이드(260)로 집중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element constituting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the heat sink 214, and the cold sink 218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165a, which is an insulating space. Accordingly,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heat sink 214, and the cold sink 218 may be insulate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and cold air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concentrated toward the front duct guide 260.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는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는 평평한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전면은 흡열면이 되고 후면은 발열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은 펠티어 효과를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열전소자의 흡열면의 열을 발열면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의 전면은 차가운 면이 되고, 뒷면은 열이 발생되는 부분이 된다. 즉, 상기 하우징공간(S) 내부의 열을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element constituting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has a shape like a flat plate having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front surface may be a heat absorbing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may be a heating surface. DC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causes a Peltier effect, and accordingly, heat from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moved toward the heating surface. Therefore, the fron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becomes a cold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becomes a heat generating part.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eat inside the housing space (S) is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20).

이때, 상기 발열면에는 히트싱크(214)가 결합되고, 상기 흡열면에는 콜드싱크(218)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열전소자가 동작하면,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면은 콜드싱크(218)를 통해 하우징공간(S)의 열을 흡수하여 하우징공간(S)을 냉각하고, 발열면은 히트싱크(214)를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조절팬(F2)은 냉각팬이 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조절팬(F2)은 히트싱크(214)의 전열핀에 냉각공기를 송풍하여 전열핀의 열발산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면부호 214a는 전열핀에 삽입된 히트파이프를 나타낸다.In this case, a heat sink 214 may be coupled to the heating surface, and a cold sink 218 may be coupled to the heat absorbing surface. Therefore,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of the thermostat 200 operates, the heat absorbing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bsorbs heat from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cold sink 218 to cool the housing space S, and the heating surface Hea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t sink 214 . 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 fan (F2) may be a cooling fan, and the second control fan (F2) blows cooling air to the heat transfer fins of the heat sink 214 to increase heat dissipation of the heat transfer fins. there is. Reference numeral 214a denotes a heat pipe inserted into the heat transfer fin.

이와 반대로, 상기 열전소자의 전면은 발열면이 되고 후면은 흡열면이 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열전소자의 전면에서는 열이 발생하고, 뒷면은 차가운 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하우징공간(S) 내부에 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은 열전소자에 마련된 케이블을 통해 열전소자에 인가될 수 있다.Conversely, the fron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a heating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may be a heat absorbing surface. In this case, heat may be gener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cold surface may be gener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l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provide warmth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space (S). Although not shown,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rough a cable provided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는 덕트가이드(26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가이드(26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와 상기 에어덕트(3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일부는 상기 단열부재(160)에 둘러싸이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돌출된다. 이와 달리, 상기 덕트가이드(260)는 전체가 상기 단열부재(16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하우징공간(S)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A duct guide 260 may b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 The duct guide 2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and the air duct 360 . 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duct guide 260 is surrounded by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and the remaining part protrudes into the housing space (S). Alternatively, the entirety of the duct guide 26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or may protrude into the housing space S.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덕트가이드(26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인 가이드유로(2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로(263)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공기배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도면부호 261은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공기배출구를 감싸는 가이드플랜지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 the duct guide 26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 guide passage 263, which is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duct guide 260. The guide passage 263 may guide a discharge direction of cold air or warm air discharged through an air outlet (not shown)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 Reference numeral 261 denotes a guide flange surrounding the air outlet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

상기 덕트가이드(260)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공기배출구에 연결되는 가이드입구(262)가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입구(262)는 상기 가이드플랜지(261)의 입구로 볼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입구(262)는 제1가이드출구(263a) 및 제2가이드출구(263b)로 연결될 수 있다. A guide inlet 262 connected to an air outlet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uct guide 260 . The guide inlet 262 may be viewed as an inlet of the guide flange 261 . The guide inlet 262 may be connected to a first guide outlet 263a and a second guide outlet 263b.

상기 덕트가이드(260)에는 가이드유로(26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유로(263)는 상기 제1가이드출구(263a) 및 제2가이드출구(26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 제1가이드출구(263a)는 상기 하우징공간(S)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출구(263b)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상단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덕트가이드(260)를 거쳐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전달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에어덕트(36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A guide passage 263 may be formed in the duct guide 260 , and the guide passage 263 may include the first guide outlet 263a and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Among them, the first guide outlet 263a may be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space S, and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may be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air duct 360. Accordingly, som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delivered to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duct guide 260, and the remaining part may be supplied to the air duct 360. This appearance is shown in FIG. 7 .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덕트가이드(260)에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1가이드출구(263a)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도 7의 화살표1방향), 나머지 공기는 제2가이드출구(263b)를 통해서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2방향)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가이드출구(263a) 또는 제2가이드출구(263b)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서 개방된 면적의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이드출구(263a) 또는 제2가이드출구(263b)의 크기가 조절되면, 토출되는 공기량이 달라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타워의 온도조절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som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guide 260 may flow into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first guide outlet 263a of the duct guide 260 (see FIG. 7). direction of arrow 1), the remaining air may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duct assembly 300 through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direction of arrow 2 in FIG. 7).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guide outlet 263a ) or the size of the open area of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may be adjusted through a separate device. When the size of the first guide outlet 263a or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is adjusted, the amount of discharged air is changed, an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tower can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다음으로,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를 보면,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로드조립체(400)의 내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타워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i)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타워의 하단부까지 전달할 수 있고, (ii)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시트부(918,920)들로 토출할 수 있으며, (iii)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과정에서 로드조립체(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Next, the duct assembly 300 will be examined. Referring to FIG. 14 , the duct assembly 300 may be disposed along the inside of the rod assembly 400. That is, the duct assembly 300 may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and be disposed inside the rod assembly 400 . The duct assembly 300 can (i) transfer the cold air or warmth generated by the thermostat 200 to the lower end of the tower, and (ii) transfer the cold air or warmth generated by the thermostat 200 to th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seat parts 918 and 920, and (iii) it can play a role of supporting the rod assembly 400 dur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rod assembly 400.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제1덕트조립체(300A)와 제2덕트조립체(300B)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덕트조립체(300)는 서로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 서로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덕트조립체(300)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와 상기 제2덕트조립체(300B)의 구조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덕트조립체(300A)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uct assembly 300 may be configured as a pair. The duct assembly 300 is composed of a first duct assembly 300A and a second duct assembly 300B. The pair of duct assemblies 300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and for this purpose, may have structures similar to each other. The pair of duct assemblies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parallel directions. Alternatively, the duct assembly 300 may be composed of one or three or more. Since the structures of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and the second duct assembly 300B are similar, hereinafter,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will be mainly described.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가까운 상부부터 하부까지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이 결합되어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연결되어, 연속된 하나의 공기유로(360A)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일종의 로드 안테나(rod antenna)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may be coupled from an upper portion close to the housing module 100 to a lower portion to form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The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continuous air passage 360A.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ducts (370, 380, 390) may have a variable overall length while overlapping or spreading each other. That is, the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may constitute a kind of rod antenna structure.

도 12에서 확대된 부분을 보면,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구성하는 제1덕트(370)와 제2덕트(380)가 서로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2덕트(380)와 제3덕트(390)가 서로 연결된 부분을 볼 수 있다. 이들이 연결된 부분은 소정 높이만큼 중첩되어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와 상기 제2덕트조립체(300B)는 각각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로 구성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enlarged part in FIG. 12, the part where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constituting the duct assembly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 can be seen where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arts where they are connected overlap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prevent ai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and the second duct assembly 300B may include a first duct 370, a second duct 380, and a third duct 390, respectively.

도 13을 보면,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에는 덕트커버(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310)는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연결공간(169a) 아래쪽으로 가로막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310)는 상기 연결공간(169a)에 유입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310)의 상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헤드(350A,350B)의 안착판(351)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덕트커버(310)에 걸려 위치가 고정된다고 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3 , a duct cover 31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The duct cover 310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and may be installed to block the connection space 169a of the connection flange 169 downward. The duct cover 310 may prevent ai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space 169a from leaking. A seating plate 351 of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positioned above the duct cover 310 . That i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are fixed in position by being hooked on the duct cover 310 .

도 13 및 도 14를 보면,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의 상부에는 덕트팬(3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은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덕트가이드(260)에서 전달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하부로 토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은 팬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팬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의 팬모터는 브러쉬모터(brushed motor)이거나 브러쉬리스 모터(brushless motor)일 수 있다. 13 and 14, a duct fan 320 may be disposed above the duct assemblies 300A and 300B. The duct fan 320 may serve to suck air delivered from the housing space S and the duct guide 260 and discharge it to the lower part of the duct assembly 300 . The duct fan 320 may include a fan motor (not shown), and a rotational force of the fan motor may be used to induce air flow. The fan motor of the duct fan 320 may be a brushed motor or a brushless motor.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팬(320)은 아래에서 설명될 팬가이드(353)의 내부인 가이드공간(355)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팬(320)은 상기 팬가이드(353)에 의해 둘러싸인 안쪽 공간에 배치될수 있는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duct fan 320 may be disposed in a guide space 355 inside a fan guide 353 to be described below. That is, the duct fan 320 can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fan guide 353.

그리고, 상기 덕트팬(320)은 상기 온도조절팬(F1,F2)과 직교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조절팬(F1,F2)은 상기 덕트가이드(260)를 향해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하고, 상기 덕트팬(320)은 이 중에서 일부를 아래쪽, 즉 에어덕트(360)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Also, the duct fan 32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emperature control fans F1 and F2. That is, the temperature control fans F1 and F2 intensively discharge air toward the duct guide 260, and the duct fan 320 guides some of the air downward, that is, toward the air duct 360. can

상기 덕트팬(320)에는 상기 덕트팬(320)의 구조를 유지하는 팬프레임(3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프레임(322)에는 제어기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프레임(322)에는 팬모터를 임의의 속도로 운전하기 위해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전원 장치인 인버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The duct fan 320 may include a fan frame 322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the duct fan 320 . A control board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fan frame 322 . In addition, the fan frame 322 may further include an inverter (not shown) that is a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varying a frequency in order to drive the fan motor at an arbitrary speed.

상기 덕트팬(320)에는 디퓨저(3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24)는 위쪽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아래쪽, 즉 임펠러(326) 쪽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면에는 차단블럭(330)에 가려 보이지 않지만, 상기 디퓨저(324)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가이드 베인이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A diffuser 324 may be provided in the duct fan 320 . The diffuser 324 may function to guide air introduced from the top toward the bottom, that is, toward the impeller 326 . Although it is not visible in the drawings because it is hidden by the blocking block 330, a plurality of guide vanes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ffuser 324 to guide the flow of air.

상기 디퓨저(324)의 하부에는 임펠러(3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326)는 상기 팬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위쪽의 공기를 흡입하여 아래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326)의 중심에 배치된 허브의 외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들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공기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n impeller 326 may be disposed under the diffuser 324 . The impeller 326 may suck air from above and discharge it downward while rotating by the fan motor. A plurality of blade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ub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impeller 326 . The blades may be arranged radially to pressurize the air downward.

상기 덕트팬(320)에는 차단블럭(3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블럭(330)은 상기 덕트팬(32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상기 덕트팬(3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블럭(330)은 대략 원통형상이고, 중심에는 상기 덕트팬(320)과의 결합을 위해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블럭(330)은 공기가 상기 덕트팬(320)의 주변으로 세어나가지 않고, 상기 덕트팬(320)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5를 보면, 상기 차단블럭(330)은 상기 가이드공간(355)과 상기 덕트팬(320) 사이의 유격을 메울 수 있고, 따라서 유입되는 공기는 덕트팬(320)을 통해서만 아래쪽으로 토출될 수 있다. A blocking block 330 may be coupled to the duct fan 320 . The blocking block 330 may be coupled to the duct fan 320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duct fan 320 . The blocking block 33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for coupling with the duct fan 320 . The blocking block 330 may allow air to be concentrated in the duct fan 320 without leaking out to the periphery of the duct fan 320 . Referring to FIG. 15 , the blocking block 330 can fill the gap between the guide space 355 and the duct fan 320, so the incoming air can be discharged downward only through the duct fan 320. there is.

도 13을 보면,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의 상부에는 덕트헤드(350A,35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의 가장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가 상기 하우징모듈(100)과 연결되는 부분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 및 제2덕트조립체(300B)에 각각 구비되는 제1덕트헤드(350A)와 제2덕트헤드(350B)로 구분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덕트팬(320)도 상기 덕트헤드(350A,350B)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덕트헤드(350A)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다. Referring to FIG. 13 , duct heads 350A and 350B may be provided above the duct assemblies 300A and 300B.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may be provided at the uppermost portions of the duct assemblies 300A and 300B. It can be seen that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constitute a part where the duct assemblies 300A and 300B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module 100 .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may be divided into a first duct head 350A and a second duct head 350B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duct assembly 300A and the second duct assembly 300B. For reference, the duct fan 320 may also be regarded as a part of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Hereinafter, the first duct head 350A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상기 제1덕트헤드(350A)에는 안착판(35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351)은 상기 제1덕트헤드(350A)의 직경을 넓히는 방향으로 돌출된 얇은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안착판(351)은 후술할 팬가이드(353)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351)은 상기 덕트커버(310)의 상면에 안착되어서 상기 제1덕트헤드(350A)가 상기 연결공간(169a)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해준다. A seating plate 35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duct head 350A. The seating plate 351 may be a thin plate-like structure protru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first duct head 350A is widened. The seating plate 351 may be disposed at a lower end of a fan guide 353 to be described later. The seating plate 35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ct cover 310 so that the first duct head 350A can be stably located inside the connection space 169a.

상기 안착판(351)의 상부에는 에어챔버부(3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챔버부(352)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에서 전달된 공기를 모아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하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에어챔버부(352)는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An air chamber unit 352 may be provided above the seating plate 351 . The air chamber unit 352 may serve to collect air delivered from the housing module 100 and deliver it to the lower part of the duct assembly 300 . The air chamber unit 352 may be disposed above the duct assembly 300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duct assembly 300 .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챔버부(352)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플랜지(169) 내부의 연결공간(169a)에 상기 에어챔버부(3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공간(169a)은 밀폐된 공간이므로, 상기 연결공간(169a)으로 유입된 공기는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상기 에어챔버부(352)로 전달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ir chamber unit 352 may be disposed on the connection flange 169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More precisely, the air chamber unit 352 may be disposed in the connection space 169a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169. Since the connection space 169a is an enclosed spac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space 169a can be delivered to the air chamber unit 352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에어챔버부(352)에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공기가 전달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배출된 공기가 덕트가이드(260)를 통해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2조절팬(F2)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1가이드출구(263a)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도 7의 화살표1방향), 상기 하우징공간(S)의 공기는 상기 에어챔버부(352) 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1'방향) Air in the housing space (S) may be delivered to the air chamber unit (352), and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200) may be delivered directly through the duct guide (260). Referring to FIG. 7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fan (F2)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is directed to the housing space (S) through the first guide outlet (263a) of the duct guide (260). can be introduced (in the direction of arrow 1 in FIG. 7), and the air in the housing space (S) can be delivered to the air chamber part 352 (in the direction of arrow 1' in FIG. 7).

또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배출된 나머지 공기는 제2가이드출구(263b)를 거쳐 상기 덕트조립체(300)로 전달된 후에, 상기 에어챔버부(352)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2방향) 이때, 공기는 먼저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연결공간(169a)에 유입된 후에, 상기 에어챔버부(352)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2'방향)In addition, the remaining air discharg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may be transferred to the duct assembly 300 through the second guide outlet 263b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air chamber unit 352. ( Direction of arrow 2 in FIG. 7) At this time, air may first flow into the connection space 169a of the connection flange 169 and then be induced in the direction of the air chamber part 352 (arrow 2' in FIG. 7). direction)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챔버부(352)에는 원통형상의 팬가이드(35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가이드(353)는 상기 덕트팬(320)을 둘러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가이드(353)는 상하부로 개방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팬가이드(353)의 내부에는 빈 공간인 가이드공간(3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355)은 상하부로 개방되어 일종의 공기통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팬가이드(353)에 배치된 상기 덕트팬(320)에 의해 위쪽으로는 공기가 유입되고, 아래쪽으로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14 , a cylindrical fan guide 353 may be included in the air chamber part 352 . The fan guide 353 may serve to surround the duct fan 320 . At this time, the fan guide 353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pen to the top and bottom. An empty guide space 355 may be formed inside the fan guide 353 . The guide space 355 is open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may serve as a kind of air passage. That is, by the duct fan 320 disposed on the fan guide 353, air may be introduced upward and discharged downward.

상기 팬가이드(353)에는 연통슬릿(35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슬릿(357)은 상기 팬가이드(353)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슬릿(357)을 통해서 상기 연결공간(169a)과 상기 가이드공간(355)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슬릿(357)은 상기 연결공간(169a)의 공기가 상기 가이드공간(355)으로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연통슬릿(357)은 상기 팬가이드(353)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A communication slit 357 may be formed in the fan guide 353 . The communication slit 357 may be formed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fan guide 353 . The connection space 169a and the guide space 355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slit 357 .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slit 357 can allow the air in the connection space 169a to more smoothly flow into the guide space 355 .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slits 357 may be radially arrang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n guide 353 .

참고로, 상기 덕트헤드(350A,350B) 및 상기 덕트팬(320)은 에어덕트(360)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이때는 상기 에어덕트(360) 자체가 상기 덕트조립체(300)가 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and the duct fan 320 may be regarded as part of the air duct 360 . In this case, the air duct 360 itself may be the duct assembly 300 .

상기 덕트헤드(350A,350B)의 아래쪽에는 에어덕트(3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60)는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덕트(360)는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가 하나의 에어덕트(360)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에어덕트(360)의 내부에는 연속된 공기유로(360A, 도 13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에어덕트(360)는 하나의 덕트로만 구성되거나, 2개 또는 4개 이상의 덕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An air duct 360 may be provided below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The air duct 36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uct 370,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may constitute one air duct 360, and the air duct 360 ) A continuous air passage (360A, see FIG. 13) may be formed inside the. Alternatively, the air duct 360 may be composed of only one duct or two or four or more ducts.

상기 공기유로(360A)는 타워의 하단까지 연장되므로, 타워의 아래쪽에 있는 반려동물에게도 냉기 또는 온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60)의 공기유로(360A)를 따라서 냉기 또는 온기가 이동하므로, 냉기 또는 온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타워의 하단까지 전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워의 높이 방향을 따라 온도를 고르게 제어할 수 있다. Since the air passage 360A extends to the lower end of the tower, cold or warm air may be provided to companion animals located below the tower. Since cold air or warm air moves along the air passage 360A of the air duct 360, the cold air or warm air can be delivered to the lower end of the tower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and the temperature can be evenly distribut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ower. You can control it.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 높이(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에어덕트(360)가 하나의 덕트로만 구성된다면 상기 에어덕트(360)는 고정된 높이만을 가질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Also, the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may have a variable overall height (length) while overlapping or spreading each other. Of course, if the air duct 360 is composed of only one duct, the air duct 360 may have only a fixed height.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 중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덕트는 이웃한 상부의 덕트 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1덕트(370) 보다 제2덕트(380)의 직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덕트(380) 보다 상기 제3덕트(390)의 직경이 더 클 수 있다. 도 14의 확대된 부분을 보면,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과 겹쳐진 제2덕트(380)의 상단의 직경이 더 큰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과 겹쳐진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의 직경이 더 큰 것도 볼 수 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된 덕트의 직경이 더 크면 위에서 아래로 전달되는 공기가 덕트들(370,380,390)의 이음부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mong the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 a duct relatively closer to the lower end of the rod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an upper duct adjacent thereto. That is, the second duct 380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duct 370 , and the third duct 390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duct 380 . Looking at the enlarged portion of FIG. 14 , it can be seen that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duct 380 overlapping with the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is larger.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overlapped with the lower end 382 of the second duct 380 is larger. As such, when the diameter of the relatively lower duct is larger, air passing from top to bottom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between the joints of the ducts 370 , 380 , and 390 .

또한, 상기 에어덕트(360)에는 덕트토출관(375,3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토출관(375,395)은 상기 에어덕트(360)의 높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분기된 것으로, 상기 덕트토출관(375,395)을 통해서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시트부(918,920)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시트부(918,920)들에 각각 냉기와 온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덕트(360)에는 2개의 덕트토출관(375,395)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3개 이상의 덕트토출관(375,395)이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duct discharge pipes 375 and 395 may be provided in the air duct 360 . The duct discharge pipes 375 and 395 branch in directions different from the height direction of the air duct 360, and cold air or warm air may be discharged toward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through the duct discharge pipes 375 and 395. .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cool air and warm air to the plurality of seat parts 918 and 920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In this embodiment, two duct discharge pipes 375 and 395 may be provided in the air duct 360. Alternatively, three or more duct discharge pipes 375 and 395 may be provided.

도 17을 보면, 상기 에어덕트(360) 중 제1덕트(370)가 포함된 타워의 내부구조가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제1덕트(370)의 양단은 각각 상기 덕트헤드(350A)와 제2덕트(38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는 상기 덕트헤드(350A)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어덕트(360)를 구성하는 복수의 덕트들(370,380,390) 중에서 상기 덕트팬(320)에 의해 토출된 공기를 제일 먼저 전달받는 덕트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ower including the first duct 370 among the air ducts 360 is represented in cross-sectional view. Both ends of the first duct 370 may be connected to the duct head 350A and the second duct 380, respectively. Since the first duct 370 is connected to the duct head 350A, the air discharged by the duct fan 320 is first among the plurality of ducts 370 , 380 , and 390 constituting the air duct 360 . It can be a receiving duct.

상기 제1덕트(370)를 아래에서 설명될 로드조립체(400)의 제1로드(500)가 둘러싸고 있다. 상기 제1로드(500)가 상기 제1덕트(370)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외부에서는 상기 제1덕트(370)를 직접 관찰할 수 없다.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513)은 상기 제1덕트(370)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종의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공간은 상기 제1덕트(370)의 냉기 또는 온기가 외기와 직접 닿아 온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first rod 500 of a rod assembly 400 to be described below surrounds the first duct 370 . Since the first rod 500 surrounds the first duct 370, the first duct 370 cannot be directly observed from the outside. An inner surface 513 of the first rod 500 may form a kind of heat insulation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uct 370 . The heat insulation space can prevent the cold air or warm air of the first duct 370 from changing in temperature due to direct contact with outside air.

상기 제1덕트(370)의 상단(371)은 상기 덕트헤드(350A,350B)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은 고정되지 않고,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에만 연결될 수 있다. 도 19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은 제1로드(500)의 하단 보다 짧아서 제1로드(500)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An upper end 371 of the first duct 370 may be connected to the duct heads 350A and 350B and fixed to the housing module 100 . The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is not fixed and may be connected only to the upper end 381 of the second duct 380 . As shown in FIG. 19 ,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is shorter than the lower end of the first rod 500 and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rod 500 .

상기 제1덕트(370)의 제1덕트토출관(375)은 제1덕트(370)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제1덕트(370)의 상부에 해당하는 높이에 상기 시트부(918,920)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의 출구(377)는 상기 시트부(918,920)를 향해 개방되므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시트부(918,920)에 머무는 반려동물에게 공급될 수 있다.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of the first duct 370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duct 370, which is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at portion ( 918,920) is located. Since the outlet 377 of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is opened toward the seat parts 918 and 920, the cold air or warmth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stays in the seat parts 918 and 920. can be supplied to

도 18에는 제2덕트(38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과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39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80)는 제1덕트(370)와 마찬가지로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덕트(380)를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제2로드(600)가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로드(600)의 내면은 상기 제2덕트(380)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종의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18 shows a second duct 380. The second duct 380 may be connected to a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and an upper end 391 of the third duct 390 , respectively. Like the first duct 370, the second duct 380 may be surrounded by the rod assembly 400. More precisely, the second rod 600 of the rod assembly 400 may surround the second duct 380 . At this time, a kind of insul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od 6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380 .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은 상기 제2로드(600)의 상단 보다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은 상기 제2로드(600)의 하단 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은 상기 제1로드(500)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은 상기 제3로드(700)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The upper end 381 of the second duct 380 protrudes upward tha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od 600, and the lower end 382 of the second duct 380 i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od 600. It may protrude downwards. In this case, the upper end 381 of the second duct 380 can enter the first rod 500 and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The lower end 382 of may enter the third rod 700 and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

이때, 상기 제2덕트(38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80)에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되면,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2덕트(380)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제2덕트(380)에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fixed to the second duct 380 . Whe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fixed to the second duct 380, the second duct 380 engages with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whil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oves up and down. can be lifted togeth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duct 380, and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attached to the second duct 380 through a fastener such as a bolt. can be fixed

한편, 상기 제2덕트(380)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따라 상승하면,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 안쪽으로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이 삽입되면서 상기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의 겹침구간이 늘어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에어덕트(36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도 23(c)에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2덕트(380)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참고로 제3덕트(390)도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의해 함께 상승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when the second duct 380 ascends along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moves into the upper end 381 of the second duct 380. While being inserted, the overlapping section of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may increase.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air duct 360 may be shortened. 23(c)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oves the second duct 380 upward. For reference, the third duct 390 is also attach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t is shown in a raised state together by These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도 19에는 제3덕트(39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덕트(390)는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과 상기 후술할 트레이부(8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는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와 마찬가지로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3덕트(390)를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제3로드(700)가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로드(700)의 내면은 상기 제3덕트(390)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종의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19 shows a third duct 390. The third duct 39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382 of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ray unit 800 to be described later. The third duct 390 may be surrounded by the rod assembly 400 like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 More precisely, the third rod 700 of the rod assembly 400 may surround the third duct 390 . At this time, a kind of insul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rod 7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duct 390 .

이때,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은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에 연결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후술할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은 상기 트레이부(8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제2스토퍼조립체(450B) 및 트레이부(800)에 고정되므로 상기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382 of the second duct 380, and at the same time coupled to a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o be described later. A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may be coupled to the tray unit 800 . That is, sinc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hird duct 390 are fix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nd the tray unit 800, respectively, a more stable state is maintained than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can

상기 제3덕트(39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고정되면, 상기 제3덕트(390)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3덕트(390)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제3덕트(390)에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고정될 수 있다. 도 21(b)에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기 제3덕트(390)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The third duct 390 may be fixed to a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o be described below. When the third duct 390 is fix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he third duct 390 moves along with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while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oves up and down. can be lifted together.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duct 390, and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s attached to the third duct 390 through a fastener such as a bolt. can be fixed 21(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oves the third duct 390 upward.

상기 제3덕트(390)의 제2덕트토출관(395)은 제3덕트(390)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제3덕트(390)의 하부에 해당하는 높이에 상기 시트부(918,920)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의 출구(397)는 상기 시트부(918,920)를 향해 개방되므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시트부(918,920)에 머무는 반려동물에게 공급될 수 있다.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of the third duct 390 may be disposed below the third duct 390, which is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third duct 390, and the seat portion ( 918,920) is located. Since the outlet 397 of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is opened toward the seat parts 918 and 920, the cold air or warmth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ler 200 stays in the seat parts 918 and 920. can be supplied to

한편, 상기 제3덕트(390)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따라 상승하면,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 안쪽으로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이 삽입되면서 상기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의 겹침구간이 늘어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에어덕트(36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참고로 도 20에는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2로드(600)가 차례로 상승하여 타워의 전체 높이가 낮아지는 모습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when the third duct 390 ascends along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he lower end 382 of the second duct 380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An overlapping section between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may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air duct 360 may be shortened. For reference, FIG. 20 shows that the third rod 700 and the second rod 600 sequentially rise to lower the overall height of the tower.

도 21에는 겹쳐진 상태의 상기 에어덕트(360)가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다. 도 21(a)를 보면, 상기 제2덕트(380) 보다 직경이 작은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은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2덕트(380)의 겹침구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360)의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21, the air duct 360 in an overlapping state is represented in a cross-sectional view. Referring to FIG. 21(a), the lower end 372 of the first duct 370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duct 380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381 of the second duct 380. The overall height of the air duct 360 may var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overlapping section of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

또한, 도 21(b)를 보면, 상기 제3덕트(390) 보다 직경이 작은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은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 역시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3덕트(390)의 겹침구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360)의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1(b) , the lower end 382 of the second duct 380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third duct 390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 Also, the overall height of the air duct 360 may var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overlapping section of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

도 23에는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가 서로 겹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는 서로 동심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는 각각 대략 원형의 횡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부호 A는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의 동심을 이루는 중심을 나타낸 것이다. 23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duct 370,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overlap each other. As can be seen, the first duct 370,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may have concentric circles. Each of the first duct 370,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Reference numeral A denotes the concentric centers of the first duct 370 , the second duct 380 , and the third duct 390 .

상기 제1덕트(370)에는 제1결합홈(37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표면 일부가 상기 중심(A)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일부가 상기 제1덕트(370)의 제1공간(374)의 폭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A first coupling groove 378 may be formed in the first duct 370 . The first coupling groove 378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first duct 370 toward the center (A).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coupling groove 378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a portion of the first duct 370 protruding in a direction of reducing the width of the first space 374 of the first duct 370. can Also, the first coupling groove 378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duct 370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grooves 378 are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first duct 370 .

상기 제2덕트(380)에는 상기 제1결합홈(378)에 끼워지는 제1결합리브(38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리브(387)는 상기 제2덕트(380)의 일부가 상기 중심(A)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리브(387)의 반대편에는 제2결합홈(388)이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리브(387)는 상기 제2덕트(38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결합리브(387)는 상기 제2덕트(380)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도면부호 384는 상기 제2덕트(380)의 내부공간인 제2공간을 나타낸다. The second duct 38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rib 387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378 . The first coupling rib 387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second duct 380 toward the center (A). Accordingly, the second coupling groove 388 may be reces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upling rib 387 . The first coupling rib 387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duct 380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ribs 387 are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second duct 380 . Reference numeral 384 denotes a second space that is an inner space of the second duct 380 .

상기 제1덕트(370)의 상기 제1결합홈(378)에 상기 제1결합리브(387)가 끼워지면,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2덕트(380)가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결합리브(387)와 상기 제1결합홈(378)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회전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first coupling rib 387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378 of the first duct 370,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is prevented. can do. More precisely, since the first coupling rib 387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378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irst duct 370 and the second duct 380 are the air duct 360. They do not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bout an axi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상기 제3덕트(390)에는 상기 제2결합홈(388)에 끼워지는 제2결합리브(39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리브(398)는 상기 제3덕트(390)의 일부가 상기 중심(A)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리브(398)는 상기 제3덕트(39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결합리브(398)는 상기 제3덕트(390)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도면부호 394는 상기 제3덕트(390)의 내부공간인 제3공간을 나타낸다. The third duct 390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rib 398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388 . The second coupling rib 398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third duct 390 toward the center A. The second coupling rib 398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hird duct 390 .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upling ribs 398 are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third duct 390 . Reference numeral 394 denotes a third space that is an inner space of the third duct 390 .

상기 제2덕트(380)의 상기 제2결합홈(388)에 상기 제2결합리브(398)가 끼워지면,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3덕트(390)가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결합리브(398)와 상기 제2결합홈(388)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3덕트(39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회전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second coupling rib 398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388 of the second duct 380, relative rotation of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is prevented. can do. More precisely, since the second coupling rib 398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388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form the air duct 360. They do not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bout an axi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결과적으로 상기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는 서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덕트들(370,380,390)이 서로 상대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덕트들(370,380,390)은 상기 로드들(500,600,700)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일종의 서포트바(support bar)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덕트(390)는 상단이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트레이부(800)를 통해 상기 제3로드(700)의 하단에 결합되므로 로드들(500,600,700)이 승강될 때 상기 로드조립체(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높이를 줄일 때, 제3덕트(390)에 지지되는 제3로드(700)를 먼저 상승시키고, 그 후에 제2로드(6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As a result, the first duct 370, the second duct 380, and the third duct 390 can maintain a fixed state without being rotated with each other. Since the ducts 370, 380, and 390 do not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the ducts 370, 380, and 390 may serve as a kind of support bar while the rods 500, 600, and 700 are moved up and down. In particular, since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is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rod 700 through the tray unit 800, the rods 500, 600, and 700 ) can stably support the rod assembly 400 when it is lifted. Therefore, when reducing the height of the rod assembly 400, the third rod 700 supported by the third duct 390 can be raised first, and then the second rod 600 can be raised. This appearance is shown in FIG. 23 .

상기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들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M)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들이 유격없이 서로 겹쳐질 경우에 상기 에어덕트(360)의 승강과정에서 마찰력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유격(M)은 상기 덕트들(370,380,390)의 승강과정에서 조립공차에 의한 기울어짐 등을 보상해줄 수 있다. A predetermined gap M may exist between the first duct 370 , the second duct 380 , and the third duct 390 . 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duct 370 , the second duct 380 , and the third duct 390 overlap each other without clearance, frictional force may increase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air duct 360 up and down. In addition, the clearance M may compensate for inclination due to assembly tolerance during the elevation process of the ducts 370 , 380 , and 390 .

한편, 상기 덕트들(370,380,390)로 구성된 덕트조립체(300)는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조립체(400) 역시 복수의 로드들(500,600,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들(500,600,700)과 상기 덕트들(370,380,39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410A,410B)가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uct assembly 300 composed of the ducts 370 , 380 , and 39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rod assembly 400 . And, the rod assembly 400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rods 500, 600, and 700. Lifting devices 410A and 410B for lifting the rods 500 , 600 , and 700 and the ducts 370 , 380 and 390 may be included in the rod assembly 400 .

도 24와 도 25에는 제1승강장치(410A)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승강장치(410A)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제1덕트(370) 및 상기 제1로드(500)를 함께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1로드(500)가 결합되어 있어서, 이들은 함께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24 and 25 show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is for lifting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may includ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Whil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moved up and down by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the first duct 370 and the first rod 500 can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Since the first duct 370 and the first rod 500 are coupled to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y can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Of cours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may be regarded as a part of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는 제1승강모터(M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승강바(42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제1고정홈(169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고정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 25에는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고정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A first lifting motor M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The first lifting motor M1 may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lifting bar 421 to be described below. The first lifting motor M1 is disposed above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ifting motor M1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groove 169b of the connection flange 169.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lifting motor M1 may be operated while being fixed to the connection flange 169 . 25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lifting motor M1 is fixed to the connecting flange 169.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는 제1승강바(421)와 제1가이드바(42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는 상기 제1승강모터(M1)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1승강바(421)가 회전되면 상기 제1승강바(421)에 연결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1승강바(421)를 타고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와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로드(500)의 승강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may include a first lifting bar 421 and a first guide bar 425 . The first lift bar 421 can be rotated by the first lift motor M1, and when the first lift bar 421 is rotated, the first stopper assembly connected to the first lift bar 421 (450A) can be lifted on the first lifting bar (421). The first lifting bar 421 and the first guide bar 42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 side by side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first rod 500 .

상기 제1승강바(421)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승강홀(458, 도 28참조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승강바(421)의 표면에는 제1승강나사산(42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승강홀(458)에는 상기 제1승강나사산(421a)에 맞물리는 상대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6의 확대도를 보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는 제1승강홀(458)이 관통되어 있는데, 상기 제1승강홀(458)의 내면에는 상대나사산인 제1스토퍼나사산(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승강바(421)가 회전하면 나사산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저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은 상기 제1승강바(421)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1승강바(421)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The first lift bar 42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lift hole 458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refer to FIG. 28. At this time, the first lift bar 421 has a first lift bar 421 on its surface. A screw thread 421a may be formed, and a mating screw thread engaged with the first lifting screw thread 421a may be formed in the first lifting hole 458. 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FIG. 26, the first stopper A first lift hole 458 is penetrated through the assembly 450A, and a first stopper screw thread (no reference numeral is given), which is a counter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lift hole 458. When the first lifting bar 421 rotates,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can be raised or lowered while the screw threads engage with each other and rotate. The lower end 423 of the first lifting bar 421 is a separate object from the first lifting bar 421, and the first lifting bar 421 It may also be a part that is bolted to.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승강바(421)와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승강바(421)와 달리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승강될 때 어느 한쪽 방향으로 처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덕트(370)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1승강바(42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bar 425 may extend parallel to the first lifting bar 421 . Unlike the first lifting bar 421, the first guide bar 425 may not have a thread formed on its surface. The first guide bar 425 allows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o be lifted in an aligned state without drooping in one direction whe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lifted. The first guide bar 425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lifting bar 421 with the first duct 370 at the center.

이때, 상기 제1가이드바(425)도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될 수 있는데, 도 26의 확대도에서 보듯이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구비된 가이드베어링(459)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은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의 반대편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승강과정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도면부호 459a는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을 구성하는 볼(ball)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은 상기 제1가이드바(425)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1가이드바(425)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bar 425 may also be coupled to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26, the first guide bar 425 is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t can pass through the guide bearing 459 provided in. The lower end 427 of the first guide bar 425 may be caugh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bearing 459. By means of the guide bearing 459, the first guide bar 425 can reduce friction with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during an elevation process. Reference numeral 459a denotes a ball constituting the guide bearing 459. In this case, the lower end 427 of the first guide bar 425 may be a separate object from the first guide bar 425 and may be a part fastened to the first guide bar 425 by bolts.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상단(426)은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상기 제2고정홈(169c)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상단(426)이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제2고정홈(169c)에 끼워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은 앞서 설명한대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저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하면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위쪽으로 이동하고, 제1가이드바(425)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저면에 걸린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도 21(c) 참조)An upper end 426 of the first guide bar 425 may be mounted in the second fixing groove 169c of the connection flange 169 . Referring to FIG. 7 ,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end 426 of the first guide bar 42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169c of the connecting flange 169.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427 of the first guide bar 425 may be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Whe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rises, it moves upward of the first guide bar 425, and the first guide bar 425 can be released from being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Yes. (See Fig. 21(c))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 포함된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설명에 앞서, 제2승강장치(410B)를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29에는 제2승강장치(410B)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와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장치(410B)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승강할 때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3덕트(390)도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ncluded in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will be first described. 29 shows a second lift device 410B. The basic structure of the second elevator device 410B may b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levator device 410A. The second elevating device 410B is for elevating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t this time, since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are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whe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oves up and down,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can also be lifted together.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ay be regarded as a part of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상기 제2승강장치(410B)에는 제2승강모터(M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승강바(49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형성된 승강모터홈(456)에 삽입될 수 있다.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may include a second lifting motor M2. The second lifting motor M2 may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lifting bar 491 to be described below. The second lifting motor M2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ifting motor M2 is a lifting motor home formed i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 456) can be inserted.

이때, 도 27에서 보듯이,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도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상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하면 상기 제2승강모터(M2) 및 제2승강바(491),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도 함께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과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에 결합된 제2스토퍼조립체(450B)도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7, the second lifting motor M2 is fixed to the top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bar 495 constituting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496 may also be hook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refore, whe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rises, the second lift motor M2, the second lift bar 491, and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also rise together. In additio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coupled to the lower end 493 of the second lift bar 491 and the lower end 497 of the second guide bar 495 also rises, and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may rise together.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2승강장치(410B)에는 제2승강바(491)와 제2가이드바(49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는 상기 제2승강모터(M2)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2승강바(491)가 회전되면 상기 제2승강바(491)에 연결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기 제2승강바(491)를 타고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로드(600)의 승강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lifting device 410B may include a second lifting bar 491 and a second guide bar 495 . The second lift bar 491 can be rotated by the second lift motor M2, and when the second lift bar 491 is rotated, the second stopper assembly connected to the second lift bar 491 (450B) can be lifted on the second lifting bar (491). The second lifting bar 491 and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 side by side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second rod 600 .

상기 제2승강바(491)의 표면에는 제2승강나사산(49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상기 제2승강바(491)의 제2승강나사산(491a)에 맞물리는 상대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내면에는 제2상대나사산인 제2스토퍼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제2승강나사산(491a)과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승강바(491)가 회전하면 나사산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은 상기 제2승강바(491)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2승강바(491)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A second lifting screw thread 491a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lifting bar 491, and the second lifting screw thread 491a of the second lifting bar 49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n interlocking mating thread may be formed. A second stopper screw thread (not shown), which is a second counter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lift screw thread 491a of the second lift bar 491. Therefore, when the second lifting bar 491 rotates,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can be raised or lowered while the screw threads engage with each other and rotate. The lower end 493 of the second lift bar 491 may be caught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n this case, the lower end 493 of the second lifting bar 491 may be a separate object from the second lifting bar 491 and may be a part fastened to the second lifting bar 491 by bolts.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승강바(491)와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승강바(491)와 달리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승강될 때 어느 한쪽 방향으로 처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덕트(380)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extend parallel to the second lifting bar 491 . Unlike the second lifting bar 491,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not have a screw thread formed on its surface. The second guide bar 495 allows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o be lifted in an aligned state without drooping in one direction whe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s lifted.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lift bar 491 with the second duct 380 at the center.

이때, 상기 제2가이드바(495)도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구비된 가이드베어링(미도시)을 통과할 수 잇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의 반대편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승강과정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제2가이드바(495)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also be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nd the second guide bar 495 is a guide bearing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 can pass through. The lower end 497 of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be caugh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bearing 459 . Due to the guide bearing 459, the second guide bar 495 can reduce friction with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during an elevation process. The lower end 493 of the second lift bar 491 may be caught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n this case, the lower end 497 of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be a separate object from the second guide bar 495 and may be a part fastened to the second guide bar 495 by bolt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상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형성된 바걸림홀(458')을 통과하여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승하면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린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21(b)에 도시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496 of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be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e upper end 496 of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pass through the bar catching hole 458' formed in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be caught on the edge. Also, the lower end 497 of the second guide bar 495 may be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Whe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rises, the lower end 497 of the second guide bar 495 can be released from being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his appearance is shown in FIG. 21(b).

다음으로, 상기 로드조립체(400)를 구성하는 세 개의 로드들(500,600,700)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세 개의 로드들(500,600,700)은 앞서 살핀 상기 세 개의 덕트들(370,380,390)과 마찬가지로,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세 개의 로드들(500,600,700)은 일종의 로드 안테나(rod antenna)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로드들(500,600,700)을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three rods 500 , 600 , and 700 constituting the rod assembly 400 will be described. Like the three ducts 370 , 380 , and 390 , the three rods 500 , 600 , and 700 may have different overall lengths while being overlapped or spread out. That is, the three rods 500, 600, and 700 may constitute a kind of rod antenna structure. Hereinafter, each of the rods 500, 600, and 700 will be examined.

먼저 도 28에는 상기 제1로드(5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로드(500)를 보면 상기 제1로드(500)는 대략 원통형상의 제1로드몸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몸체(510)의 안쪽에 마련된 제1수납공간(511)에는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1승강장치(410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500)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은 상기 제2로드(600)와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로드(500)의 하단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로드(500)는 전체적으로 외팔보 구조로 볼 수도 있다. 도면부호 512는 제1로드몸체(510)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제1로드연장부를 나타낸다.First, the first rod 500 is shown in FIG. 28 . Looking at the first rod 500, the first rod 500 may includ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first rod body 510. The first duct 370 and the first lifting device 410A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511 provided inside the first rod body 510 . An upper end of the first rod 500 may be fixed to the housing module 100 and a lower end of the first rod 500 may overlap the second rod 600 . That is, since the lower end of the first rod 500 is not fixed, the first rod 500 may be viewed as a cantilever structure as a whole. Reference numeral 512 denotes a first rod extens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first rod body 510 .

상기 제1로드(500)에는 제1장착슬롯(5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슬롯(516)은 상기 제1로드(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로드(500)를 관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장착슬롯(516)에는 제1디스플레이부(5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는 타워의 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화면으로 구성되거나, 단순한 LED조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장착슬롯(516)은 상기 제1로드(50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제1디스플레이부(580)도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로드(500)에는 상기 제1장착슬롯(516)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가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A first mounting slot 516 may be formed in the first rod 500 . The first mounting slot 516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od 500 and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rod 500 . A first display unit 58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mounting slot 516 . The first display unit 580 may be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screen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tower or a simple LED light.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mounting slots 51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od 500, respectively, and the first display unit 580 is also configured as a pair. Alternatively, only one of the first mounting slot 516 and the first display unit 58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rod 500 .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에는 제1승강센서(5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센서(585)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센싱자석(미도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승강센서(585)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제1승강센서(585)들이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승강센서(585)들은 상기 센싱자석(455)의 높이를 보다 세분화하여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first elevation sensor 585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unit 580 . The first elevation sensor 585 may detect a position of a sensing magnet (not shown)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Through this, the controller 180 can measure the height of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levation sensor 585 may be configured as a hall sensor. A plurality of first elevation sensors 585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580 . The plurality of first elevation sensors 585 may further subdivide and measure the height of the sensing magnet 455 .

상기 제1로드(500)의 상단에는 장착플랜지(5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517)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연결플랜지(169)와 맞닿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517)는 상기 제1로드(500)의 상단의 넓이를 넓히도록 일종의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517)가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맞닿은 상태로 별도의 체결구(미도시)로 상기 장착플랜지(517)가 연결플랜지(169)와 조립될 수도 있다. A mounting flange 517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rod 500 . The mounting flange 517 may be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flange 169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60 . The mounting flange 517 may have a kind of plate-like structure so as to widen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rod 500 . The mounting flange 517 may be assembled with the connection flange 169 by a separate fastener (not shown)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flange 51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flange 169 .

도 37(a)에서 보듯이,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을 둘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대략 원호형상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두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제1스텝프레임(520)은 대략 링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서로 분리된 두 부분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상기 두 개의 제1장착슬롯(516)이 형성된 부분에는 생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7 (a), the first step frame 520 may be form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od 500. The first step frame 520 may extend substantially along an arc shape. The first step frame 520 may be composed of two parts, and the two first step frames 520 may form an approximate ring shape. Since the first step frame 520 is composed of two part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rst step frame 520 may be omitted at a portion where the two first mounting slots 516 are formed.

도 37(b)를 보면,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대략 'L'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과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513) 사이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제1스텝홈(5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홈(522)은 상기 제1로드(5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7(b), the first step frame 520 may have an approximately 'L'-shaped cross section. Accordingly, a first step groove 522, which is a kind of empty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tep frame 520 and the inner surface 513 of the first rod 500. The first step groove 522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d 500 .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로드(500)에는 제1로드토출홀(550)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은 상기 제1덕트(370)의 제1덕트토출관(375)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의 출구(377)은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을 통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과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서 에어덕트(360)의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시트부(918,920)에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 또는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에는 차단커버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차단커버는 공기가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의 출구(377)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first rod discharge hole 550 may be opened in the first rod 500 . The first rod discharge hole 550 corresponds to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of the first duct 370, and the outlet 377 of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is the first rod discharge hole 550. It may be open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550 . Cold or warm air from the air duct 360 may be supplied to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through a path formed by the first rod discharge hole 550 and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 Although not shown, a blocking cover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rod discharge hole 550 or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and the blocking cover prevents air from exiting the first duct discharge pipe 375. (377) can prevent it from being discharged.

도 38에는 상기 제2로드(6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로드(600)는 상기 제1로드(500)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통형상의 제2로드몸체(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몸체(610)의 안쪽에 마련된 제2수납공간(611)에는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2승강장치(410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몸체(610)의 상단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은 상기 제3로드(700)와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로드(600)의 하단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도면부호 612는 제2로드몸체(610)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제2로드연장부를 나타낸다.38 shows the second rod 600. Like the first rod 500, the second rod 600 may includ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econd rod body 610. The second duct 380 and the second elevating device 410B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611 provided inside the second rod body 610 . An upper end of the second rod body 610 may be fixed to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rod body 610 may overlap with the third rod 700 .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od 600 may be in a non-fixed state. Reference numeral 612 denotes a second rod extens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second rod body 610 .

상기 제2로드(600)의 제2수납공간(611)의 내면에는 제2장착슬롯(6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슬롯(616)은 상기 제2로드(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로드(600)를 관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제2장착슬롯(616)에는 제2디스플레이부(6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는 본 실시례에 의한 타워의 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화면으로 구성되거나, 단순한 LED조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장착슬롯(616)은 상기 제2로드(60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제2디스플레이부(680)도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로드(600)에는 상기 제2장착슬롯(616)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가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A second mounting slot 616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space 611 of the second rod 600 . The second mounting slot 616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rod 600 and may be formed through the second rod 600 . Referring to FIG. 30 , a second display unit 680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mounting slot 616 . The second display unit 680 may be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screen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tow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r may be composed of a simple LED light.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mounting slots 61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od 60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display unit 680 is also configured as a pair. Alternatively, the second rod 600 may include only one second mounting slot 616 and one second display unit 680 .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에는 제2승강센서(6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센서(685)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센싱자석(미도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승강센서(685)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제2승강센서(685)들이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승강센서(685)들은 상기 센싱자석(455)의 높이를 보다 세분화하여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second elevation sensor 685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display unit 680 . The second elevation sensor 685 may detect the position of a sensing magnet (not shown)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Through this, the controller 180 can measure the height of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elevation sensor 685 may be configured as a hall sensor. A plurality of second elevation sensors 685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680 . The plurality of second elevation sensors 685 may further subdivide and measure the height of the sensing magnet 455 .

상기 제2로드(600)에는 바통과홀(6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통과홀(618)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배치되는 상기 제2로드(60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로드(6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SB1)의 앞부분은 상기 바통과홀(618)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A bar through hole 618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od 600 . The bar through hole 618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rod 600 where the first stopper assembly 450A is disposed, and may be formed through the second rod 600 .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operating unit SB1 may be caught on the first step frame 520 after passing through the bar passage hole 618 .

도 38(a)에서 보듯이, 상기 제2수납공간(611)의 내면을 둘러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대략 곡선형상이다.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두 개로 구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제2스텝프레임(620)은 대략 링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서로 분리된 두 개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상기 두 개의 제2장착슬롯(616)이 형성된 부분에는 생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8 (a), the second step frame 620 may be dispos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space 611. The second step frame 620 has a substantially curved shape. The second step frame 620 may be composed of two, and the two second step frames 620 may constitute an approximate ring shape. Since the second step frame 620 is composed of two part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econd step frame 620 may be omitted at a portion where the two second mounting slots 616 are formed.

도 38(b)를 보면,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대략 'L'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과 상기 제2로드(600)의 내면 사이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제2스텝홈(6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홈(622)은 상기 제2로드(6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홈(622)에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구비된 제2후크(미도시)가 끼워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8(b), the second step frame 620 may have an approximately 'L'-shaped cross section. Accordingly, a second step groove 622, which is a kind of empty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step frame 6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od 600. The second step groove 622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d 600 . A second hook (not shown) provided in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may be fitted into the second step groove 622 .

참고로 상기 제3로드(700)는 상기 제2로드(60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로드(700)에는 상기 제2로드(600)와 달리 제2스텝프레임(620)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3로드(700)에는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고정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제3로드(700)의 하부에 제4로드가 더 연장된다면, 제3스토퍼조립체(미도시)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제3스텝프레임(미도시)가 추가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e third rod 700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rod 600 . However, unlike the second rod 600, the third rod 700 may not have the second step frame 620. This is because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does not need to be fixed to the third rod 700 . Of course, if the fourth rod is further extended below the third rod 700, a third step frame (not shown) may be added to hang and fix the third stopper assembly (not shown).

상기 제3로드(700)를 구성하는 제3로드몸체(710)의 내부에는 상기 제3덕트(3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은 상기 제3로드(700)의 상단과 함께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로드(700)의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트레이부(8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2에서 도면부호 712는 제3로드몸체(710)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제3로드연장부를 나타낸다.The third duct 390 may be disposed inside the third rod body 710 constituting the third rod 700 . An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and an upper end of the third rod 70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 tray unit 80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third rod 700 . In FIG. 42 , reference numeral 712 denotes a third rod extens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third rod body 710 .

이때,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도 상기 트레이부(800)에 결합된다.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덕트(380)에 중첩될 수 있고,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은 트레이부(8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은 상기 트레이부(8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3로드(700)의 하단과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is also coupled to the tray unit 800 . The upper end of the third duct 390 may overlap with the second duct 380 while being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assembly 450B, and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may be connected to the tray unit 800. can be fixed 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rod 700 via the tray unit 800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덕트(360)를 구성하는 덕트들(370,380,390)은 결합리브(387, 397)와 결합홈(378,388)의 맞물림구조로 서로 상대회전없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360)는 상기 제3로드(700)의 승강과정에서 상기 제3로드(70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3,497)은 각각 고정되지 않고 외팔보 형태가 되지만(도 23(b)참조), 상기 제3덕트(390)를 포함하는 에어덕트(360) 자체가 일종의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제3덕트(390) 및 제3로드(700)가 승강될 때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ucts 370 , 380 , and 390 constituting the air duct 36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relative rotation through an engagement structure of coupling ribs 387 and 397 and coupling grooves 378 and 388 . Accordingly, the air duct 360 may guide the elevation of the third rod 700 during the elevation process of the third rod 700 . In particular, the lower ends 493 and 497 of the second elevating bar 491 and the second guide bar 495 constituting the second elevating device 410B are not fixed and have a cantilever shape (see FIG. 23(b)). ), the air duct 360 itself including the third duct 390 forms a kind of support structure so that the third duct 390 and the third rod 700 can be moved stably without flow when the third duct 390 and the third rod 700 are moved up and down. can do.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3로드(700)에는 제2로드토출홀(750)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은 상기 제3덕트(390)의 제2덕트토출관(395)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의 출구(397)은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을 통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과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서 에어덕트(360)의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시트부(918,920)에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 또는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에는 차단커버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차단커버는 공기가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의 출구(397)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 a second rod discharge hole 750 may be opened in the third rod 700 . The second rod discharge hole 750 corresponds to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of the third duct 390, and the outlet 397 of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is the second rod discharge hole 750. It may be open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750 . Cold air or warm air from the air duct 360 may be supplied to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through a path formed by the second rod discharge hole 750 and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 Although not shown, a blocking cover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rod discharge hole 750 or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and the blocking cover prevents air from exiting the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5. (397)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한편, 본 실시례에 의한 타워의 하단에는 트레이부(8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표면에 형성된 응결수(Condensate)가 낙하했을 때 응결수가 모이게 되는 부분이다. 만약 상기 에어덕트(360)를 통해 냉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수분을 갖는 공기가 상기 에어덕트(360)의 차가운 표면에 닿아 수분이 응결되고, 응결된 응결수는 상기 에어덕트(360)를 따라 흘러 내릴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부(800)는 흘러내리는 응결수를 모을 수 있다. Meanwhile, the tray unit 80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y part 800 is a part where the condensat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ir duct 360 is collected when it falls. If cold air is supplied through the air duct 360, the air containing moisture touches the cold surface of the air duct 360 and the moisture is condensed, and the condensed water flows along the air duct 360. can get off At this time, the tray unit 800 may collect the flowing condensed water.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가장 아래쪽, 즉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제3로드(700)에도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3덕트(390)가 상기 제2승강장치(410B)에 의해 승강될 때, 상기 트레이부(800)도 함께 승강될 수 있다. The tray unit 80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air duct 360, that is,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More precisely, the tray unit 80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duct 390 and can also be coupled to the third rod 700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when the third rod 700 and the third duct 390 are moved up and down by the second elevator device 410B, the tray unit 800 may also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도 30을 보면, 상기 트레이부(800)에는 하부센서(8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센서(850)는 타워의 하부 공기의 온도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센서(850)는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센서(850)는 상기 에어덕트(360)를 통해 하부까지 전달된 냉기 또는 온기의 온도나 습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센서(183) 및 상기 내부센서(185)로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와 상기 하부센서(850)에서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0 , a lower sensor 850 may be disposed on the tray unit 800 . The lower sensor 850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lower air of the tower.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sensor 85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body 810 . The lower sensor 850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cold air or warm air delivered to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air duct 36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180 . The control unit 180 compares the temperature or humidity measured by the external sensor 183 and the internal sensor 185 with the temperature or humidity measured by the lower sensor 850, You can control driving.

상기 트레이연장부(812)에는 트레이배출구(8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구(813)는 상기 트레이연장부(812)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집수공간(811)을 내외부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구(813)를 통해서 상기 집수공간(81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집수공간(811)에 모인 응결수를 증발시킨 공기는 상기 트레이배출구(81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 tray outlet 813 may be formed in the tray extension part 812 . The tray outlet 813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tray extension part 812 and communicate the collecting space 811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Air in the collecting space 81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y outlet 813 . More precisely, air evaporated from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space 81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y outlet 813 .

한편, 상기 로드조립체(400)에는 복수의 시트조립체(9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반려동물이 머물거나, 밟고 이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반려동물이 머물기 편한 시트스테이션(920)와, 반려동물이 밟고 이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스텝스테이션(918)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반려동물은 이와 반대로,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을 계단으로 사용하고,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에 머물 수도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seat assemblies 900 may be disposed on the rod assembly 400 . The seat assembly 900 can be used for a companion animal to stay or step on and move. In this embodiment, the seat assembly 900 may include a seat station 920 that is comfortable for a companion animal to stay in, and a step station 918 that can be used by a companion animal to step on and move. Of course, the companion animal may use the seat station 920 as a staircase and stay at the step station 918.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시트조립체(900)에는 복수의 시트부(918,9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918,920)들은 각각 반려동물에게 안착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개의 시트부(918,920)들은 일종의 계단을 형성하여, 반려동물들이 이를 차례로 밟고 이동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총 3개(900a,900b,900c)로 구성되고, 시트부(918,920)는 총 5개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시트조립체(900)와 시트부(918,920)의 개수는 이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eat assembly 900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nd one seat assembly 9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at parts 918 and 920 . Each of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may provide a seating surface for companion animals. The plurality of seat parts 918 and 920 form a kind of stairs, and companion animals may move by stepping on them in turn. In this embodiment, the seat assembly 900 is composed of a total of three (900a, 900b, 900c), and the seat portion (918, 920) is composed of a total of five. Of course, the number of the seat assembly 900 and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조립체(900)들 중에서 제1시트조립체(900A)는 상기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고, 제2시트조립체(900B)는 상기 제2로드(6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3시트조립체(900C)는 상기 제3로드(7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시트조립체(900B)는 제2로드(600)를 따라 승강될 수 있고, 상기 제3시트조립체(900C)는 제3로드(700)를 따라 승강될 수 있지만, 제1시트조립체(900A)는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바로 아래쪽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이동할 때 계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승강되지 않고 고정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1 , among the seat assemblies 900, a first seat assembly 900A may be fixed to the first rod 500, and a second seat assembly 900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od 600. and the third seat assembly 900C may be fixed to the third rod 700. Accordingly, the second seat assembly 900B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rod 600, and the third seat assembly 900C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third rod 700, but the first seat assembly ( 900A) is fixed. Since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is disposed right below the housing module 100 and can be used as a staircase when the companion animal moves to the housing space S, it is preferable to have a fixed height without being elevated. .

이처럼,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상기 로드(400)를 따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상기 로드(4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를 밟았을 때 충격을 줄이고, 보다 편한 안착감을 느낄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In this way, the seat assembly 900 may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rod 400 . To this end, the seat assembly 900 may be coupled to the rod 400 . In addition, a structure may be provided to reduce impact when the companion animal steps on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and to feel more comfortable seating. In the following, this structure will be examined.

도 44에는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4를 보면,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시트부(918,9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의 상단에 시트스테이션(920)이 배치되고, 하단에 스텝스테이션(918)이 배치되지만, 이와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와 상기 스텝스테이션(918)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거나, 3개 이상의 시트부(918,920)가 제1시트조립체(900A)에 포함될 수도 있다. 44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First, referring to FIG. 44 , seat portions 918 and 920 may be dispos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the seat station 92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and the step station 918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but the opposite may be true. Alternatively, either the seat station 920 or the step station 918 may be omitted, or three or more seat parts 918 and 920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에는 시트프레임(9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프레임(910)은 상기 복수의 시트부(918,920)들이 높이를 달리하여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프레임(910)에는 장착링(911)이 포함되고, 상기 장착링(911)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시트스테이션(920)와 스텝스테이션(918)이 배치된다. 상기 시트프레임(910)은 상기 제1로드(500)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아래에서 설명될 시트브라켓(930)을 통해 상기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다. A seat frame 91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eat assembly 900A. The seat frame 910 allows the plurality of seat parts 918 and 920 to be connected at different heights. In this embodiment, the seat frame 910 includes a mounting ring 911, and a seat station 920 and a step station 918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ring 911, respectively. The seat frame 910 is not directly fixed to the first rod 500, but may be fixed to the first rod 500 through a seat bracket 93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시트프레임(910)에는 장착링(91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장착링(911)은 대략 원형링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장착링(911)은 상기 제1로드(500)의 표면을 둘러쌀 수 있도록 중심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링(911)은 후술할 상기 시트브라켓(930)의 결합공간(933)에 삽입될 수 있다. The seat frame 910 may include a mounting ring 911. The mounting ring 911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ring shape.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ounting ring 911 to surround the surface of the first rod 500 . The mounting ring 911 may be inserted into a coupling space 933 of the seat bracket 9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장착링(911)의 표면에는 프레임가이드(9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가이드(912)는 상기 장착링(911)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가이드(912)는 상기 결합공간(933)의 내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A frame guide 912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ring 911 . The frame guide 912 may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mounting ring 911 . The frame guide 912 may protrude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space 933 .

상기 장착링(911)에는 시트레그(9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레그(915)는 상기 장착링(911)으로부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레그(915)는 상기 장착링(911)의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다. A seat leg 915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ring 911 . The seat leg 915 may extend from the mounting ring 91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rod assembly 400 . In this embodiment, the seat leg 915 extends upward from the surface of the mounting ring 911 .

한편, 상기 시트레그(915)의 말단에는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이 안착되는 시트링(9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링(917)은 상기 장착링(911)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시트링(917)은 상기 시트레그(915)로부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시트링(917)의 중심에는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이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별개물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링(917)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Meanwhile, a seat ring 917 on which the seat station 920 is seated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seat leg 915 . The seat ring 917 may be parallel to the mounting ring 911 . That is, the seat ring 917 may extend from the seat leg 915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rod assembly 400 . The seat station 920 may be seated at the center of the seat ring 917 . In this embodiment, the seat station 920 is composed of a separate material from the seat frame 910 and can be detachably seated on the seat ring 917.

상기 장착링(911)에는 스텝레그(9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텝레그(916)는 상기 장착링(911)으로부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레그(915)는 상기 장착링(911)의 표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스텝레그(916)는 상기 시트레그(915)의 반대편에 배치된다고 볼 수도 있다. A step leg 916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ring 911 . The step leg 916 may extend from the mounting ring 91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rod assembly 400 . In this embodiment, the seat leg 915 extends dow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mounting ring 911 .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tep leg 916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at leg 915.

상기 스텝레그(916)의 말단에는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은 대략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은 상기 장착링(911)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은 상기 스텝레그(916)로부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tep station 918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step leg 916 . The step station 918 may have a substantially plate-like structure. The step station 918 may be parallel to the mounting ring 911 . That is, the step station 918 may extend from the step leg 916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rod assembly 400 .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상기 시트링(917)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중심부가 함몰되어, 안착공간(922)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별개물이지만, 이와 달리 상기 시트프레임(91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상기 스텝스테이션(918)과 마찬가지로 평판구조일 수도 있다. The seat station 920 may be seated on the seat ring 917 . The center of the seat station 920 may be depressed to form a seating space 922 . In this embodiment, the seat station 920 is a separate object from the seat frame 910, but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seat frame 910. Also, the seat station 920 may have a flat plate structure like the step station 918.

상기 시트브라켓(930)은 대략 원형틀 형상의 브라켓몸체(9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몸체(931)의 중심에는 관통부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관통부를 향한 브라켓몸체(931)의 내측펜스(932)는 상기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몸체(931)의 내측펜스(932)는 상기 제1로드(500)의 외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The seat bracket 930 may include a bracket body 931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frame shape. A penetrating part may be opened at the center of the bracket body 931 , and an inner fence 932 of the bracket body 931 facing the penetrating part may be fixed to the first rod 500 . The inner fence 932 of the bracket body 931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od 500 by fasteners such as bolts.

상기 브라켓몸체(931)에는 결합공간(9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간(933)은 상기 브라켓몸체(931)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빈 공간으로, 위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간(933)에는 상기 시트프레임(910)의 장착링(911)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간(933)은 상기 브라켓몸체(931)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coupling space 933 may be formed in the bracket body 931 . The coupling space 933 is an empty space formed in a recessed shape in the bracket body 931 and may be opened upward. The mounting ring 911 of the seat frame 9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space 933 . The coupling space 933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similar to the bracket body 931 .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시트부(918,920)에 반려동물이 착지하면 상기 도어(150)를 열거나, 또는 닫을 수 있다.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에 착지하면,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상기 도어(150)를 개방하여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들어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하우징공간(S)에 머물던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에 착지하면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공간(S)을 떠난 것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도어(150)를 다시 닫을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80 may open or close the door 150 when a companion animal lands on the seat portions 918 and 920 . When the companion animal lands on the seat parts 918 and 920, since the companion animal can be regarded as being in a position close to the housing module 100, the control unit 180 opens the door 150 to allow the companion animal to enter the housing. It is to make it possible to enter the space (S). Conversely, when the companion animal staying in the housing space (S) lands on the seat parts (918, 920), the control unit 180 detects that the companion animal has left the housing space (S), and the control unit 180 opens the door 150 again. can be closed

한편,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하우징공간(S)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2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단순히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본 실시례의 타워가 특정위치, 예를 들어 천장(C)이나 벽면(W)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하우징공간(S)이 생략되면, 반려동물은 상기 시트부(918,920)에 머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space (S) in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omitted. As shown in FIG. 32, the housing module 100 simply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thermostat 200 can be installed, and the tower of this embodiment is placed in a specific location, for example, on a ceiling (C) or a wall ( W) can be fixed. If the housing space (S) in the housing module 100 is omitted, companion animals can stay in the seat parts 918 and 920.

그리고, 상기 하우징모듈(100) 자체를 일종의 온도조절장치로 볼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배치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에어덕트(360)에 토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모듈(100)이 온도조절장치가 되는 것이다. Also, the housing module 100 itself may be regarded as a kind of temperature control device. Since the thermostat 200 disposed in the housing module 100 can generate cold or warm air and discharge it to the air duct 360, the housing module 100 becomes a thermostat. .

또한, 도 33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하우징모듈(100)에서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타고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바닥(G, 도 3참조)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바닥(G)으로부터 이격된 벽면(W)에 설치될 수도 있다. Also, as shown in FIG. 33 ,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disposed below the rod assembly 400 . In this case, the cold air or warm air generated in the housing module 100 may move upward along the duct assembly 300 disposed inside the rod assembly 400 . The housing module 100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G, see FIG. 3) or on a wall surface (W) spaced apart from the floor (G).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ne or more to operat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100: 하우징모듈 110: 케이스커버
111: 커버하판 113: 커버측판
114,115: 커버측판홀 117: 커버상판홀
120: 아웃케이스 122: 케이스개방부
123: 아웃측판 124: 전면개방부
125: 아웃측판홀 126: 아웃상판
127: 아웃상판홀 129: 도어지지단
130: 이너케이스 131: 이너하판
132: 하부개방홀 133: 이너측판
134: 출입구 134a: 도어장착부
135: 측면연통홀 136: 이너상판
137: 모터장착부 138: 이너후판
139: 도어스토퍼 140: 개폐모터
150: 도어 151: 도어몸체
153: 도어회전축 160: 단열부재
161: 단열하판 162: 하부연결홀
163: 단열측판 164: 단열입구부
165: 단열측판홀 165a: 장착공간
167: 모터장착홈 168: 단열후판
169: 연결플랜지 169a: 연결공간
180: 제어부 183: 외부센서
185: 내부센서 190: 설치브라켓
200: 온도조절장치 210: 하우징커버
211: 장치하우징 212: 회수부
213: 장착플레이트 214: 히트싱크
218: 콜드싱크 260: 덕트가이드
300: 덕트조립체 300A: 제1덕트조립체
300B: 제2덕트조립체 310: 덕트커버
320: 덕트팬 322: 팬프레임
324: 디퓨저 326: 임펠러
330: 차단블럭 350A: 제1덕트헤드
350B: 제2덕트헤드 351: 안착판
352:에어챔버부 353: 팬가이드
357: 연통슬릿 360: 에어덕트
370: 제1덕트 375: 제1덕트토출관
378: 제1결합홈 380: 제2덕트
387: 제1결합리브 388: 제2결합홈
390: 제3덕트 395: 제2덕트토출관
398: 제2결합리브 400: 로드조립체
410A: 제1승강장치 410B: 제2승강장치
421: 제1승강바 425: 제1가이드바
450A: 제1스토퍼조립체 500: 제1로드
510: 제1로드몸체 520: 제1스텝프레임
522: 제1스텝홈 600: 제2로드
520: 제2로드몸체 620: 제2스텝프레임
622: 제2스텝홈 700: 제3로드
710: 제3로드몸체 800: 트레이부
810: 트레이몸체 811: 집수공간
812: 트레이연장부 813: 트레이배출구
850: 하부센서 900: 시트조립체
900A: 제1시트조립체 900B: 제2시트조립체
900C: 제3시트조립체 910: 시트프레임
911: 장착링 912: 프레임가이드
915: 시트레그 916: 스텝레그
918: 스텝스테이션 920: 시트스테이션
930:시트브라켓 931: 브라켓몸체
933: 결합공간 DC: 연통캡
DC': 캡홀 F1: 제1조절팬
F2: 제2조절팬 S: 하우징공간
SB1: 제1작동부 SB2: 제2작동부
100: housing module 110: case cover
111: lower cover plate 113: cover side plate
114,115: cover side plate hole 117: cover top plate hole
120: outer case 122: case opening
123: out side plate 124: front opening
125: Out side plate hole 126: Out top plate
127: Out top plate hole 129: Door support end
130: inner case 131: inner lower plate
132: lower open hole 133: inner side plate
134: entrance 134a: door mounting part
135: side communication hole 136: inner top plate
137: motor mounting part 138: inner thick plate
139: door stopper 140: opening and closing motor
150: door 151: door body
153: door rotation shaft 160: insulation member
161: lower insulation plate 162: lower connection hole
163: insulated side plate 164: insulated inlet
165: insulation side plate hole 165a: mounting space
167: motor mounting groove 168: insulation plate
169: connection flange 169a: connection space
180: control unit 183: external sensor
185: internal sensor 190: installation bracket
200: thermostat 210: housing cover
211: device housing 212: recovery unit
213: mounting plate 214: heat sink
218: cold sink 260: duct guide
300: duct assembly 300A: first duct assembly
300B: second duct assembly 310: duct cover
320: duct fan 322: fan frame
324: diffuser 326: impeller
330: blocking block 350A: first duct head
350B: second duct head 351: seating plate
352: air chamber part 353: fan guide
357: communication slit 360: air duct
370: first duct 375: first duct discharge pipe
378: first coupling groove 380: second duct
387: first coupling rib 388: second coupling groove
390: third duct 395: second duct discharge pipe
398: second coupling rib 400: rod assembly
410A: first lifting device 410B: second lifting device
421: first lifting bar 425: first guide bar
450A: first stopper assembly 500: first rod
510: first rod body 520: first step frame
522: first step home 600: second rod
520: second rod body 620: second step frame
622: second step home 700: third rod
710: third rod body 800: tray unit
810: tray body 811: collection space
812: tray extension 813: tray outlet
850: lower sensor 900: seat assembly
900A: first seat assembly 900B: second seat assembly
900C: third seat assembly 910: seat frame
911: mounting ring 912: frame guide
915: seat leg 916: step leg
918: step station 920: seat station
930: seat bracket 931: bracket body
933: coupling space DC: communication cap
DC': Cap hole F1: 1st control fan
F2: Second control fan S: Housing space
SB1: 1st operation part SB2: 2nd operation part

Claims (16)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키는 온도조절장치;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주변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센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센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발생된 공기가 내부를 통과하는 로드;
상기 주변온도 및 내부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타워.
A case with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generating cold or warm air;
an external sensor installed in the case and measuring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ase;
an internal sensor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measur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ase;
a ro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se and through which the air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ler passes;
Companion animal towe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hermostat using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주변온도 및 내부온도 간 온도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동작시키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when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ambient temperature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is out of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ran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제2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동작시키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out of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rang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온도가 상기 제2기준범위의 상한치보다 높으면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냉기를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제2기준범위의 하한치보다 낮으면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온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cold air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upper limit of the second reference range, and discharge warm air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when low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second reference range. tower for pe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하우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배출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공간으로 공급되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a hous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case, and som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hermostat is supplied to the housing spa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제3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온도조절장치를 동작시키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temperature controller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is out of a preset third reference rang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온도가 상기 제3기준범위의 상한치보다 높으면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냉기를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제3기준범위의 하한치보다 낮으면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온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discharges cold air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upper limit of the third reference range, and discharges warm air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when low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third reference range. tower for pet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내부는 상기 하우징공간과 연통되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5, wherein the inside of the rod communicates with the housing spa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상기 하우징공간으로 배출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로드의 내부로 관통되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8, wherein som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hermostat into the housing space passes through the ro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공간으로 토출하는 팬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5, wherein the thermostat includes a fan discharging air discharged from the thermostat into the housing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 의해 감싸지는 내부공간에는 에어덕트가 배치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에어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wherein an air duct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rod,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hermostat moves along the air duc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의 상단은 상기 케이스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하단은 외부로 개방되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1, wherein an upper end of the air duct is opened toward the case and a lower end of the air duct is opened to the outsid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로드와 상기 에어덕트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하단 끝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1, wherein the length of the rod and the air duct can be adjusted and a lower end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열전소자; 및
상기 열전소자와 발열면이 접하고, 상기 케이스의 바깥쪽을 향해 배치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타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mpanion animal tower including a heat sink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heating surface and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시트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tower for companion animal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at part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상기 로드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단부까지 전달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하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반려동물용 타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ower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delivered to the lower end through the inside of the ro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wherein the control unit uses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lower sensor to measure the temperature A tower for pets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gulator.
KR1020210191508A 2021-12-29 2021-12-29 Pet tower KR202301014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08A KR20230101417A (en) 2021-12-29 2021-12-29 Pet t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08A KR20230101417A (en) 2021-12-29 2021-12-29 Pet t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417A true KR20230101417A (en) 2023-07-06

Family

ID=87185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508A KR20230101417A (en) 2021-12-29 2021-12-29 Pet t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41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1295B2 (en) Columnar air mov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4152973A (en) Heat energy homogenizer
CA2820509A1 (en) A system for directing and controlling two separate streams of air to a kitchen
US20220361437A1 (en) Evaporative cooling system for an animal barn
KR102090648B1 (en)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20230408117A1 (en) Cooling device operation
US9303880B1 (en) Radiant tube heater
US5795220A (en) Ceiling fan with an air diffuser system
CA2776685A1 (en) Air curtain device and method for realizing a horizontal air curtain with additional airflow
KR20230101417A (en) Pet tower
KR20230101409A (en) Pet tower with thermostat
US11333376B2 (en)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230101413A (en) Pet tower
KR20230101414A (en) Pet tower
KR20230101412A (en) Seat assembly and pet tower having same
KR20230101415A (en) Pet tower
KR102221480B1 (en) Non-powered air circulation system
US20060138685A1 (en) Control for evaporative cooling apparatus
KR20230119453A (en) Pet tower
WO2015155902A1 (en) Poultry house ventilation structure and poultry house ventilation method
KR20230101418A (en) Pet t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19451A (en) Pet tower
KR20230101411A (en) Pet t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19452A (en) Pet tower with thermostat
KR20230119450A (en) Pet t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