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280A - 사고 통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과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고 통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과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280A
KR20230101280A KR1020210191258A KR20210191258A KR20230101280A KR 20230101280 A KR20230101280 A KR 20230101280A KR 1020210191258 A KR1020210191258 A KR 1020210191258A KR 20210191258 A KR20210191258 A KR 20210191258A KR 20230101280 A KR20230101280 A KR 20230101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module
vehicle
service cent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046B1 (ko
Inventor
권용현
이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와이피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와이피,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와이피
Priority to KR1020210191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046B1/ko
Priority to PCT/KR2022/021559 priority patent/WO2023128633A1/ko
Publication of KR2023010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고 통지 방법은, 전자 제어 유닛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수집하는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고 관련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DX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이 상기 DX 메시지를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TS 모듈이 상기 DX메시지에 기초하여 사고 종류 및 사고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고 처리 서비스의 선택을 유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상기 ITS 모듈이 상기 사고 처리 서비스 및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센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ITS 모듈이 상기 결정된 서비스 센터로 상기 DX 메시지, 상기 사고 종류, 상기 사고 관련 데이터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ITS 모듈이 상기 결정된 서비스 센터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서비스 센터로부터 접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ITS 모듈이 상기 서비스 센터가 파견한 차량의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고 통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과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Incident Notification Method and Vehicle Using Thereof and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comprising Thereof}
개시된 일 실시예는 도로교통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Station을 이용하는 차량의 사고 통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ITS는 1993년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교통관리시스템(Freeway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FTMS)을 첫 도입한 이후로 약 20년이 경과하였다. 최근 추세의 변화에 부응하여 차세대 ITS 도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P-ITS(Personal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이하 P-ITS) 도입을 위한 노력들이 진행 중이다.
그 동안 전자통신 분야의 급격한 발달에 힘입어 ITS 분야에서는 기존의 단순한 교통정보수집·제공의 한계를 벗어나, 새로운 서비스 도입을 위한 전자통신, 도로교통, 전산 등 다양한 분야의 보다 향상된 기술을 융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프라와 차량이 협력하는 차세대 ITS 기술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별적 차량 데이터를 기초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인. P-ITS을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 기구에서는 세계 단일 표준화를 위해서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편, 종래 선행 문헌 1을 살펴보면, 차량 사고에 따른 사고 규모, 사고 종류에 관한 정보를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수신하여, 유용한 정보를 알려주는 스마트 사고 알림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 문헌1은 중앙 관제센터로부터 사고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에게 사고 처리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다른 운전자에게 교통 혼잡에 대비한 우회도로를 알려주는 것일 뿐, 다양한 차량 사고의 규모, 운전자의 부상 정도에 따라 사고 수습에 필요한 사고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선행 문헌 2에서도 사고 발생 시, 사고 차량이 감지하여 사고 정보를 수집하여 사고 정보를 관련 기관에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운전자의 버튼 입력에 사고 정보를 전달한다는 단순한 기술이 개시될 뿐, 효율적으로 사고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특허문헌 1) KR 10-2021-0137861 A
(특허문헌 2) KR 10-2016-0100504 A
이러한 문제점에 따른 개시된 일 실시예는, 차량의 ITS-S를 통해 사고 처리 서비스가 필요한 서비스 센터로 차량 스스로 자신의 사고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사고 처리에 필요한 명확한 사고 처리 인력 및 사고 처리 장비가 사고 지점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하고, 사고 처리 지연에 따른 교통 혼잡을 방지하는 사고 통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과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고 통지 방법은, 전자 제어 유닛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수집하는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고 관련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DX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이 상기 DX 메시지를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TS 모듈이 상기 DX메시지에 기초하여 사고 종류 및 사고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고 처리 서비스의 선택을 유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상기 ITS 모듈이 상기 사고 처리 서비스 및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센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ITS 모듈이 상기 결정된 서비스 센터로 상기 DX 메시지, 상기 사고 종류, 상기 사고 관련 데이터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ITS 모듈이 상기 결정된 서비스 센터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서비스 센터로부터 접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ITS 모듈이 상기 서비스 센터가 파견한 차량의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센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사고 처리 서비스를 구급차 요청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로 선택하면, 긴급 서비스 센터 및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 모두를 상기 서비스 센터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긴급 서비스 센터 및 상기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상기 구급차 파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ITS 모듈이 상기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로 상기 구급차의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고 처리 서비스는, 사고 통지, 경찰차 요청, 구급차 요청, 견인차 요청 또는 보험 차량의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센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경찰차 요청, 견인차 요청 또는 보험 차량의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 선택하면, 상기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를 상기 서비스 센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상기 접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ITS 모듈은 상기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의 접수 여부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TS 모듈은 상기 제2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센터가 파견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TS 모듈은 상기 사고 통지 히스토리 요청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ITS 모듈이 상기 결정된 서비스 센터로 사고 통지 히스토리를 요청하는 제3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결정된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TS 모듈은 VIN-S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System) 소프트웨어를 통해 로그-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가 입력하는 로그-인 정보 및 상기 VIN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상기 ITS 모듈은 차량 ITS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ITS-S 게이트웨이의 접속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ITS 모듈은 접속 성공 여부에 대한 유저 인테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AN-S (Computer Aided Network-System)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 및 로그-아웃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로그-아웃 입력에 기초하여 ITS 모듈은 상기 차량 ITS-S 게이트웨이와의 접속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ITS-S 게이트웨이의 접속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ITS 모듈은 CAN-S 소프트웨어를 통해 접속 종료 여부에 대한 유저 인테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통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과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이 ITS-S를 통해 사고 처리 서비스가 필요한 서비스 센터로 자신의 사고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사고 처리에 필요한 명확한 사고 처리 인력 및 사고 처리 장비가 사고 지점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하고, 사고 처리 지연에 따른 교통 혼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ITS 모듈을 포함한 차량의 제어블록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사고 처리를 위한 서비스 요청 및 응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ITS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접속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급차 요청과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히스토리 정보를 요청하는 동작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아웃 접속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e-Call 시스템은 차량(1) 및 차량(1)으로부터 사고 정보를 수신한 후, 사고 처리에 필요한 보험회사(20), 경찰서(30), 소방서(40) 또는 견인 회사(50) 등을 연결하는 서비스 센터(10)를 포함한다.
e-Call 시스템은 교통사고 발생 시, 보험회사(20), 경찰서(30), 소방서(40) 또는 견인 회사(50) 등이 교통사고 피해 규모와 부상 정도에 따라 필요한 응급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차량(1)으로부터 수신한 자료를 통해 서비스 센터(10)가 교통 사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서비스 센터(10)가 사고 위치, 피해자의 상해 정도 및 긴급구조에 필요한 정보를 다시 생산하여 연계 기관을 연결하는 종합적인 교통 관리 시스템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e-Call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핵심 요소는 차량(1), 서비스 센터(10) 및 이러한 서비스 센터(10)와 차량(1)을 연결하는 통신이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ISO 표준에서 정의하는 P-ITS-S 기반의 ITS 모듈(100)을 포함한다. ITS 모듈(100)이 운전자의 입력 명령에 의해서 서비스 센터(10)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의 다른 도면을 통해서 후술한다.
한편, ITS모듈(100)은 차량(1)이 수집하는 각종 교통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형태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ITS 모듈(100)은 각종 센서 및 차량(1)의 전자제어장치(도2 참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능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필요한 신호 또는 교통 정보로 제작하는 프로그램이 구현되어 있다. 또한, ITS 모듈(100)은 차량(1)의 외부의 기지국(V2I 통신), 타 차량(V2V 통신) 및 보행자(V2P 통신) 및 차량 네트워크(V2N 통신) 등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서 ITS 모듈(100)은 ISO(TC 204) 표준문서(17465-1)에서 제시하는 ITS Station의 일 구성이다. 여기서 ITS Station은 차량(Vehicle), 도로 인프라(Roadside), 서비스센터 또는 교통 센터(Central) 및 보행자(Personal) 간 양방향 통신과 교통정보의 상호 공유를 통해 도로교통의 안전성, 지속성, 효율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의 오픈 플랫폼 시스템을 의미한다. ITS Station은 통신 영역의 제1계층부터 서비스로 표현되는 어플리케이션 제7계층까지 구성하는 참조 아키텍처로 마련되어 있으며, 차량(1)의 ITS 모듈(100)은 ITS Station의 아케텍처의 통신 프로토콜을 준용한다. 따라서 도 1에서 도시된 사고 처리에 필요한 인력 또는 사고 처리 차량을 지원받기 위해서 ITS 모듈(100)은 C-ITS 통신 규약에 따라 서비스 센터(10)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ITS 모듈(100)은 사고 처리에 필요한 서비스 요청 신호가 서비스 센터(1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운전자의 WiFi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휴대용 단말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차량(1) 주변의 노변 기지국(RSE, Road-Side Equipment)으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10)가 ITS 모듈(100)이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센터(10)는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사고 처리에 필요한 보험 회사(20), 경찰서(30), 소방서(40) 또는 견인 회사(50)를 연결한다.
도 2는 ITS 모듈을 포함한 차량의 제어블록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사고가 발생하면,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이 각종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한다. 전자제어유닛은 차량(1)의 동작, 운전자의 안전 및 자율주행 등을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고, 차량(1)에는 다양한 전자제어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서는 사고 발생 시 동작하는 에어백 관리부(110) 및 차량 전복 또는 급정지 관련 시 동작하는 시스템, 즉 사고 관리부(120)를 전자제어장치의 일 예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에어백 관리부(110)는 G센서(111), ECU(112) 및 SRS(Supplemental Restraint System,113)를 포함할 수 있다.
G 센서(111)는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에어백 관리부(110)는 가속도 센서의 센서 데이터를 주로 사용하지만, 자이로 센서의 센서 데이터와 가속도 센서의 센서 데이터를 종합하여 에어백의 동작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SRS(113)는 동작하는 에어백의 팽창 속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개시된 SRS(113)는 차량(1) 내 운전자의 위치 및 안전벨트 유무 등 탑승자를 스캔하여 에어백의 팽창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SRS(113)는 에어백 관리부(110)에 포함된 ECU(112)의 제어를 받으며, 에어백의 팽창 속도를 조절한다.
ECU(112)는 에어백 관리부(110)의 전반을 제어하면서, 동시에 차량(1)의 다른 전자제어유닛과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에어백 관리부(110)의 ECU(112)는 ITS 모듈(100)과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1)의 접촉 사고로 인해서, G 센서(111)는 센서 데이터를 ECU(112)로 전송한다. ECU(112)는 에어백을 동작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SRS(113)를 동작시킨다. 또한, ECU(112)는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ITS 모듈(100)로 DX 메시지를 생성한다. DX 메시지란 ITS Station의 프로토콜에 따라 ITS 모듈(100)이 서비스 센터(10)로 전송하는데 포함되어야 할 트리거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의 종류, 값 등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DX 메시지는 CAN통신 또는 이더넷 통신 또는 운전자의 모바일을 통해 ITS 모듈(1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고 관리부(120)는 차량(1)의 전복 또는 급감속을 감지한 후,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여러 차량 제어를 수행한다. 일 예로, 사고 관리부(120)는 차체자세제어(ESP)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급격하게 좌우로 꺾으면, 차는 미끌어지거나 전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고 관리부(120)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차의 움직임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사고 관리부(120)는 바퀴의 회전 속도와 G 센서(121)를 통해 수집한 차량(1)의 실제 주행 속도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사고 관리부(120)는 차량(1)이 미끌어지는 경우, 자이로 센서(123)를 통해 미끌어지는 방향을 수집할 수 있다. G 센서(121) 및 자이로 센서(123)를 통해 수집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고 관리부(120)는 브레이크의 잠금을 조절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사고 관리부(120)가 차체자세제어를 수행하더라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주행 중인 차량(1)의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관리부(120)가 G 센서(121)로부터 수집한 센서 데이터는 급격한 변화가 일어난다. 사고 관리부(120)의 ECU(122)는 G 센서(121)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ECU(122)는 전술한 판단에 기초하여 DX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ECU(122)는 자이로 센서(123)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1)이 어느 방향으로 전복되었는지 등에 대한 데이터를 DX 메시지에 삽입할 수도 있다.
에어백 관리부(110) 또는 사고 관리부(120)가 생성된 DX 메시지를 ITS 모듈(100)로 전송하면, ITS 모듈(100)는 사고 처리 서비스를 서비스 센터(10)에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ITS 모듈(100)이 사고 처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의 다른 도면을 통해 후술한다.
ITS 모듈(100)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1)의 사고 통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메모리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ITS 모듈(100)은 서비스 센터(10)에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기 전, 차량(1)에 포함된 디스플레이(헤드 유닛) 또는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 등에 서비스 요청에 대한 확인 또는 사고 처리 차량에 대한 선택을 유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ITS 모듈(100)이 차량(1)의 전자제어유닛(112, 112) 및 서비스 센터(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차량 네트워크인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10)는 긴급 서비스 센터(Emergency Service Center, 11)와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Car Incident Notification Service Center, 12)로 구분될 수 있다.
긴급 서비스 센터(11)는 구급차를 호출하고, ITS 모듈(100)이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급차를 파견한다.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는 ITS 모듈(100)이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사고 접수, 경찰차 파견, 견인차 파견, 사고 수습 차량의 파견 또는 보험 차량의 파견 등 사고 처리 서비스를 처리한다. 또한,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는 파견한 사고 처리 차량의 위치, 도착 예상 시간 등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고, 차량(1)의 사고 통지 히스토리를 검색하여 차량(1)에 제공할 수 있다. 긴급 서비스 센터(11) 및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가 수행하는 다양한 사고 처리 서비스는 이하의 다른 도면을 통해 후술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서 긴급 서비스 센터(11)는 구급차를 파견할 수 있으며,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는 보험 차량, 경찰차, 견인 차량 등을 사고 현장으로 파견한다. 또한,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는 긴급 서비스 센터(11)를 대신해 긴급 서비스 센터(11)가 파견한 구급차의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된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ITS 모듈(100)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어디로 전송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즉, 개시된 ITS 모듈(100)은 서비스 요청 신호를 어느 서비스 센터로 전송할지 결정할 수 있으며, ITS 모듈(100)가 긴급 서비스 센터(11) 또는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의 다른 도면을 통해 후술한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사고 처리를 위한 서비스 요청 및 응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운전자(2)는 서비스 센터(10)로 서비스 요청 및 사고 처리 서비스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ITS Station(이하 P-ITS-S)에 로그인(101)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운전자는 차량(1)의 다양한 입력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에 터치 입력 등을 통해서 P-ITS-S를 턴 온 시킨다.
P-ITS-S의 턴 온에 의해서 VIN-S(Vehicle Identification Number-System) 소프트웨어가 활성화되면, ITS 모듈(10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VIN-S 소프트웨어의 로그-인 화면을 출력한다. 운전자(2)는 자신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ITS모듈(1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로그-인 정보를 송신한 후, 인증 여부를 확인하다. 만약 인증이 확인되면, ITS 모듈(100)은 VIN-S 소프트웨어를 통해 ITS-S 게이트웨이에 접속하고, 로그-인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로그-인이 완료된 후, 일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2)는 구급차 파견을 요청할 수 있다(111). 구체적으로 ITS 모듈(10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급차 파견(Call an ambulance)"라는 버튼(또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클릭한다.
운전자(2)의 구급차 파견 입력이 수신되면, ITS모듈(100)은 사고 처리 서비스 및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급차 파견을 위한 서비스 센터를 결정한다. 여기서 사고 처리 서비스는 운전자(2)가 입력한 "구급차 파견"일 것이고, 차량(1)의 위치 정보는 차량(1)의 다른 전자제어유닛이나 GPS 신호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수집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ITS 모듈(100)은 구급차 파견의 사고 처리 서비스에 대해서 구급차 요청을 포함한 서비스 요청 신호(이하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긴급 서비스 센터(11)로 요청하면서 동시에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도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긴급 서비스 센터(11)의 제1 에이전트(Accident Data Evaluation Agent in P-ITS-S, 3)는 제1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DX 메시지, 사고 종류, 사고 관련 데이터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를 접수 및 분석한다. 이와 동시에 제1 에이전트(3)는 차량(1)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파견 가능한 구급차를 배정한 후, 구급차를 파견한다.
더불어,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전송된 제1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의 제2 에이전트(Emergency Center Agent, 4)는 긴급 서비스 센터(11)로부터 구급차 파견 여부를 수신한다. 이 후, 제2 에이전트(4)는 ITS 모듈(100)의 모니터링 정보 요청 신호(이하 제2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응답한다. 즉, 제2 에이전트(4)는 긴급 서비스 센터(11)가 파견한 구급차의 현재 위치, 사고 지점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2)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는 사고 통지 접수(121), 사고 수습 차량(경찰차, 견인차, 보험 차량 등) 파견(122), 파견된 사고 수습 차량의 모니터링 정보 전달(123) 및 사고 통지 히스토리(124)를 포함하는 사고 처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 처리 서비스는 ITS 모듈(100)이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전송하는 제1 서비스 요청 신호, 제2 서비스 요청 신호 또는 제3 서비스 요청 신호를 통해 처리된다.
구체적으로 사고 통지 접수(121)는 ITS 모듈(100)이 전송하는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통해 처리된다. 만약 운전자(2)가 ITS 모듈(100)이 출력하는 사고 통지(Vehicle Incident Notification) 관련 유저 인터페이스를 클릭하면, ITS 모듈(100)은 사고 종류 및 사고 관련 데이터의 입력을 유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운전자(2)가 사고 종류 및 사고 관련 데이터를 입력하면, ITS 모듈(100)은 입력한 사고 종류 및 사고 관련 데이터를 포함한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서비스 센터(10)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2)가 운전자(2)가 사고 관련 데이터로 차량 파손과 파손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면, ITS 모듈(100)은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서비스 센터(10)로, 긴급 서비스 센터(11)가 아닌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를 결정한다. ITS 모듈(100)은 DX 메시지, 사고 종류, 사고 관련 데이터 및 차량(1)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전송한다. 제2 에이전트(4)는 제1 서비스 요청 신호의 승인 신호를 ITS 모듈(100)로 전송한 후, 보험 차량과 더불어 파손 정도에 따라 견인 차량의 파견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제1 서비스 요청 신호의 정보가 충분하지 않으면, 제2 에이전트(4)는 서비스 요청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다는 신호를 ITS 모듈(100)로 전송하고, ITS 모듈(100)은 운전자(2)에게 다시 사고 종류 및 사고 관련 데이터의 입력을 유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 후, 다시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사고 수습 차량 파견(122)의 일 예와 관련하여, 제2 에이전트(4)는 ITS 모듈(100)이 전송한 제1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사고 수습 차량의 파견을 결정한다. ITS 모듈(100)은 제2 에이전트(4)가 송신한 승인 신호에 기초하여 운전자(2)에게 사고 수습 차량의 종류를 입력을 유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운전자(2)가 '경찰차'를 사고 수습 차량으로 입력하면, ITS 모듈(100)은 경찰차의 파견을 요청하는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다시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전송하고, 제2 에이전트(4)는 경찰차 파견을 경찰서에 요청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ITS 모듈(100)은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서, 운전자(2)의 입력 없이도, 긴급 서비스 센터(11) 또는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가 파견할 사고 수습 차량의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123)하는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즉, ITS 모듈(100)은 경찰차 파견에 관한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전송한 후, 제2 에이전트(4)의 파견 요청의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파견할 차량의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제2 에이전트(4)가 파견한 경찰차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잊어버리더라도, ITS 모듈(100)은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운전자(2)의 입력 없이도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에이전트(4)는 모니터링 정보를 ITS 모듈(100)로 전송하고, 운전자(2)는 사고 수습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 등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사고 통지 히스토리(124)와 관련하여, 제1 서비스 요청 신호 및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ITS 모듈(100)은 사고 통지 히스토리 요청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운전자(2)가 사고 통지 히스토리 요청과 관련된 입력을 수행하면, ITS 모듈(100)은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사고 통지 히스토리의 정보를 요청하는 제3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전송한다. 제2 에이전트(4)는 사고 통지 히스토리와 관련된 정보를 ITS모듈(100)로 전송한 후, ITS 모듈(100)은 수신된 사고 통지 히스토리를 운전자(2)에게 출력한다.
로그-아웃(102)관 관련하여, 운전자(2)는 VIN-S 소트트웨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ITS 모듈(100)은 로그-아웃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만약 운전자(2)가 로그-아웃을 입력하면, ITS 모듈(100)은 차량 ITS-S 게이트웨이와의 접속을 종료한다. 접속 종료 후, ITS 모듈(100)은 CAN-S 소프트웨어를 통해 접속 종료 여부에 대한 유저 인테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운전자(2)는 ITS 모듈(100)에게 단순한 입력 명령을 통해서 신속한 사고 통지, 구급차 또는 사고 수습 차량의 파견 및 사고 통지 히스토리에 관한 정보 등을 서비스 센터(10)에 요청할 수 있으며, 사고 수습 차량의 모니터링 정보를 구체적인 입력 없이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ITS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ITS 모듈(100)은 차량(1)의 다른 전자제어장치로부터 DX 메시지를 수신한다(200).
DX 메시지는 전자제어유닛이 여러 센서에 의해서 수집한 센서 데이터와 전자제어유닛이 제어한 동작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DX 메시지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서 ITS 모듈(100)로 전송될 수 있으나, 사고에 의해서 차량 네트워크가 통신 불능인 경우,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이나 무선 통신을 통해서도 ITS 모듈(100)로 전송될 수 있다.
ITS 모듈(100)은 사고 처리 서비스의 선택을 유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출력한다(210).
여기서 사고 처리 서비스는 사고 통지, 경찰차 요청, 구급차 요청, 견인차 요청 또는 보험 차량의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ITS 모듈(1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전술한 사고 처리 서비스의 종류를 표시하는 아이콘 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ITS 모듈(100)은 운전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220).
만약 입력을 수신하지 않으면(220의 No), ITS 모듈(100)은 사고 처리 서비스의 선택을 유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계속해서 표시하는 화면으로 대기한다.
만약 입력을 수신하면(220의 Yes), ITS 모듈(100)은 사고 처리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센터(10)를 결정하고,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230).
ITS 모듈(100)은 다양한 사고 처리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보낼 서비스 센터를 결정한다. 만약 운전자가 구급차 요청을 선택하면, ITS 모듈(100)은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서비스 센터(10)로 긴급 서비스 센터(11) 및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 2개의 서비스 센터로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운전자가 사고 통지, 경찰차 요청, 견인차 요청 또는 보험 차량의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사고 처리 서비스로 선택하면, ITS 모듈(100)은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제1 서비스 요청 신호의 전송을 결정할 수 있다.
ITS 모듈(100)은 차량(1)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서비스 센터(10)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가 지역별로 여러 개 운영될 때, ITS 모듈(100)은 차량(1)의 위치와 가까운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10)가 결정되면, ITS 모듈(100)은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결정된 서비스 센터(10)로 전송한다(240).
ITS 모듈(100)은 제1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서비스 센터(10)의 접수 신호, 즉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250).
만약 접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250의 No), ITS 모듈(100)은 사고 통지 실패를 알리면서, 다시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서비스 센터(10)로 전송한다.
만약 접수 신호가 수신되면, ITS 모듈(100)은 접수 완료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면서,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260).
여기서 모니터링 정보는 파견된 차량의 위치 및 차량(1)의 사고 지점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모니터링 정보는 제2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의해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가 전송하는 것으로, 구급차의 파견에 따른 모니터링 정보 또한 긴급 서비스 센터(11)가 아닌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에서 전송한다. 따라서 ITS 모듈(100)은 구급차의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긴급 서비스 센터(11)가 아닌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요청한다.
한편, ITS 모듈(100)은 제1 서비스 요청 신호의 접수 신호를 수신하면, 파견 차량의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다시 사고 처리 서비스와 관련된 파견 차량의 모니터링 정보를 다시 요청할 필요 없고, 사고 후 파견 차량의 위치 등을 빠르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ITS 모듈(100)은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270), ITS 모듈(100)은 운전자로부터 모니터링 정보의 출력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을 수신한다(280).
제2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ITS 모듈(100)이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지만, ITS 모듈(100)은 운전자의 입력 없이는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 만약 운전자로부터 모니터링 정보의 출력에 대한 입력 명령이 없다면(280의 No), ITS 모듈(100)은 대기한다
만약 운전자로부터 모니터링 정보의 출력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면(280의 Yes), ITS 모듈(100)은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부터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290).
일 예로,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파견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정보와 함께 도착 예상 시간이 표시된 그래픽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접속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ITS 모듈(100)은 VIN-S 소프트웨어를 통해 로그-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300).
여기서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은 차량(1)의 안전과 관련된 세부 정보로써, 제조공정 전반과 공장 출고 후 차량(1)의 수명에 대한 이력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된다. VIN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VIN 번호를 취급하는 ISO 표준에서 정의된 소프트웨어로써, ITS 모듈(100)의 동작 프로그램 상에 포함될 수 있다.
ITS 모듈(100)은 운전자가 입력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ITS-S 게이트웨이에 접속한다(310).
ITS 모듈(100)은 ITS-S 게이트웨이로 운전자가 입력한 로그-인 정보를 송신하고, ITS-S게이트웨이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한다. ITS-S게이트웨이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접속이 완료된다.
ITS 모듈(100)은 접속 성공 여부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320).
ITS 모듈(100)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접속 성공 여부를 알리는 유저 인터페이스는 다양할 수 있다.
ITS 모듈(100)이 ITS-S 게이트웨이와 접속한 후, 전자제어장치를 통해 DX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한다(330).
DX 메시지가 수신되면, ITS 모듈(100)은 도 4에서 전술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급차 요청과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ITS 모듈(100)은 운전자로부터 구급차 요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다(400).
ITS 모듈(100)이 구급차 요청에 대한 사고 처리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은 도 5에서 설명한 로그-인 접속을 완료한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ITS 모듈(100)은 구급차 요청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구급차 요청에 대한 입력 명령을 수신한 후, 400 이하의 동작을 실행한다.
ITS 모듈(100)은 긴급 서비스 센터(11) 및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410).
다른 사고 처리 서비스와 달리, ITS 모듈(100)은 구급차 요청과 관련하여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 이외에 긴급 서비스 센터(11)로도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긴급 서비스 센터(11)는 구급차 파견을 소방서(40)에 요청한 후,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구급차 파견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ITS 모듈(100)은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부터 구급차 파견 신호를 수신한다(420).
ITS 모듈(100)은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구급차의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430).
ITS 모듈(100)은 운전자의 입력 없이도 구급차의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즉 개시된 ITS 모듈(100)은 운전자가 요청하면, 구급차의 현재 위치 및 도착 예상 시간을 즉각 알 수 있도록,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는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전송되고,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는 파견된 구급차의 모니터링 정보를 ITS 모듈(100)로 전송한다.
ITS 모듈(100)은 운전자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한다(440).
만약 사용자의 입력이 없으면(440의 No), ITS 모듈(100)은 제2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한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종료).
만약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440의 Yes), ITS 모듈(100)은 모니터링 정보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450).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히스토리 정보를 요청하는 동작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ITS 모듈(100)은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500).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는 ITS 모듈(100)이 결정한 서비스 센터로 전송된다. 만약 운전자가 견인 차량의 요청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 ITS 모듈(100)은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ITS 모듈(100)은 사고 통지 히스토리 요청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510).
만약 운전자의 입력이 없으면(520의 No), ITS 모듈(100)은 다른 입력 명령의 수신을 대기한다(종료).
만약 운전자의 입력이 있으면(520의 Yes), ITS 모듈(100)은 제3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530).
여기서 제3 서비스 요청 신호는 사고 통지 서비스를 목적지로 하는 요청 신호이다. 즉. 제2 서비스 요청 신호와 달리, 제3 서비스 요청 신호는 운전자의 입력에 의해서 생성된다.
ITS 모듈(100)은 제3 서비스 요청 신호를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전송한다(540).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는 제3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의 사고 통지 이력 및 운전자의 다른 사고 통지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ITS 모듈(100)로 전송한다.
ITS 모듈(100)은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한다(550).
만약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550의 No), ITS 모듈(100)은 다시 제3 서비스 요청 신호를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12)로 전송한다. 여기서 ITS 모듈(100)은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제3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만약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하면(550의 Yes), ITS 모듈(100)은 히스토리 정보를 출력한다(560).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아웃 접속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ITS 모듈(100)은 CAN-S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 및 로그-아웃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600).
여기서 CAN-S 소프트웨어는 ISO 11898에서 정의되는 것으로, ITS 모듈(100)이 차량(1)의 네트워크와의 연결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이다. 운전자는 로그-아웃 유저 인터페이스에 로그-아웃에 대한 입력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ITS 모듈(100)은 차량 ITS-S 게이트웨이와의 접속을 종료한다(610).
운전자의 입력 명령이 수신되면, ITS 모듈(100)은 CAN-S 소프트웨어를 통해 차량 ITS-S 게이트웨이와의 접속을 종료한다.
ITS 모듈(100)은 접속 종료 여부에 대한 유저 인테페이스를 출력한다(620).
차량 ITS-S 게이트웨이로부터 접속 종료 후, ITS 모듈(10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로그-아웃의 수행이 완료되었다는 화면을 출력한다. 로그-아웃 이후 운전자의 로그-인 동작 전에는 ITS 모듈(100)은 전술한 사고 처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1: 차량 10: 서비스 센터
20: 보험회사 30: 경찰서
40: 소방 50: 견인회사
110: 에어백 관리부 120: 사고 관리부

Claims (9)

  1. 전자 제어 유닛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수집하는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고 관련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DX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이 상기 DX 메시지를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TS 모듈이 상기 DX메시지에 기초하여 사고 종류 및 사고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고 처리 서비스의 선택을 유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상기 ITS 모듈이 상기 사고 처리 서비스 및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센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ITS 모듈이 상기 결정된 서비스 센터로 상기 DX 메시지, 상기 사고 종류, 상기 사고 관련 데이터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ITS 모듈이 상기 결정된 서비스 센터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서비스 센터로부터 접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ITS 모듈이 상기 서비스 센터가 파견한 차량의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 통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센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사고 처리 서비스를 구급차 요청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로 선택하면, 긴급 서비스 센터 및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 모두를 상기 서비스 센터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긴급 서비스 센터 및 상기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 통지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상기 구급차 파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ITS 모듈이 상기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로 상기 구급차의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 통지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처리 서비스는,
    사고 통지, 경찰차 요청, 구급차 요청, 견인차 요청 또는 보험 차량의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센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가 경찰차 요청, 견인차 요청 또는 보험 차량의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 선택하면, 상기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를 상기 서비스 센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 통지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상기 접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ITS 모듈은 상기 사고 통지 서비스 센터의 접수 여부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사고 통지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TS 모듈은 상기 제2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센터가 파견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 통지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TS 모듈은 상기 사고 통지 히스토리 요청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ITS 모듈이 상기 결정된 서비스 센터로 사고 통지 히스토리를 요청하는 제3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결정된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 통지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TS 모듈은 VIN-S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System) 소프트웨어를 통해 로그-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가 입력하는 로그-인 정보 및 상기 VIN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상기 ITS 모듈은 차량 ITS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ITS-S 게이트웨이의 접속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ITS 모듈은 접속 성공 여부에 대한 유저 인테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 통지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CAN-S (Computer Aided Network-System)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 및 로그-아웃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로그-아웃 입력에 기초하여 ITS 모듈은 상기 차량 ITS-S 게이트웨이와의 접속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ITS-S 게이트웨이의 접속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ITS 모듈은 CAN-S 소프트웨어를 통해 접속 종료 여부에 대한 유저 인테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사고 통지 방법.
KR1020210191258A 2021-12-29 2021-12-29 사고 통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과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647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258A KR102647046B1 (ko) 2021-12-29 2021-12-29 사고 통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과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PCT/KR2022/021559 WO2023128633A1 (ko) 2021-12-29 2022-12-29 사고 통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과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258A KR102647046B1 (ko) 2021-12-29 2021-12-29 사고 통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과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280A true KR20230101280A (ko) 2023-07-06
KR102647046B1 KR102647046B1 (ko) 2024-03-13

Family

ID=8699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258A KR102647046B1 (ko) 2021-12-29 2021-12-29 사고 통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과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7046B1 (ko)
WO (1) WO202312863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820A (ko) * 2015-11-30 2017-06-08 한국도로공사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34730B1 (ko) * 2019-11-19 2020-07-16 주식회사 마이렌 차량사고 자동접수 시스템
KR20210059143A (ko) * 2019-11-14 2021-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수 사용자에 대한 식별 디바이스를 활용한 이동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10081642A (ko) * 2019-12-24 2021-07-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위치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 긴급 출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591B1 (ko) * 2019-03-05 2020-09-23 박지홍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820A (ko) * 2015-11-30 2017-06-08 한국도로공사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59143A (ko) * 2019-11-14 2021-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수 사용자에 대한 식별 디바이스를 활용한 이동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34730B1 (ko) * 2019-11-19 2020-07-16 주식회사 마이렌 차량사고 자동접수 시스템
KR20210081642A (ko) * 2019-12-24 2021-07-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위치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 긴급 출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633A1 (ko) 2023-07-06
KR102647046B1 (ko)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54874A1 (en) Smartphone-based vehicle control method to avoid collisions
EP2831858B1 (en) Service of an emergency event based on proximity
US90962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vehicle function control
US20160090055A1 (en) Smartphone-Based Vehicle Control Methods
US8892090B2 (en) System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EP3882878B1 (en) Emergency call based 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WO20031011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from a client device to a service center
KR20140096705A (ko) 버스 승하차 알림 장치 및 방법
US104022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vailable an assistance suggestion for a user of a motor vehicle
KR20120026535A (ko) 양방향 애드혹 네트워크 무선 통신에서의 차량들에 대한 제어 디바이스
US11778445B2 (en) Vehicle with automatic reporting function
US201700860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ting An Emergency Call Using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JP2019176329A (ja) 車両通信制御方法、車両通信装置
JP2003085213A (ja) 端末装置、この端末装置とともに用いられる情報処理サーバ、この情報サーバを用いた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US11700522B2 (en) Vehicle that has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US20210139033A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device
KR102647046B1 (ko) 사고 통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과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JP2022530056A (ja) 車両のため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車両のための情報を処理する方法
US11956695B2 (en) Server for automatic emergency reporting system of vehicle
JP2020006744A (ja) 二輪車走行支援方法、二輪車走行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二輪車走行支援システム
JP4784554B2 (ja) プローブデータ収集システム
US20210300437A1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02056479A (ja) 緊急時対応システム及び装置
CN108648439A (zh) 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交通事故处理系统
US11812356B2 (en) Vehicle with automatic report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