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915A - 와류 탈출용 구명장비 - Google Patents

와류 탈출용 구명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915A
KR20230100915A KR1020210190595A KR20210190595A KR20230100915A KR 20230100915 A KR20230100915 A KR 20230100915A KR 1020210190595 A KR1020210190595 A KR 1020210190595A KR 20210190595 A KR20210190595 A KR 20210190595A KR 20230100915 A KR20230100915 A KR 20230100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lifesaving equipment
fastened
life jacket
un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준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filed Critical 경상북도
Priority to KR102021019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915A/ko
Publication of KR2023010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장비는 평상시에는 구명조끼의 수납부에 수납되고, 사용시에는 수압에 의해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망; 상기 망이 펼쳐졌을 때 상기 망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받침살; 상기 망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상기 망 내부의 중공에 제공되며, 상단부는 복수의 상기 받침살의 상단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중심대; 및 상기 망과 상기 구명조끼의 전면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로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류 탈출용 구명장비{LIFE SAVING DEVICE TO ESCAPE FROM VORTEX}
본 발명은 와류 탈출용 구명장비에 관한 것이다.
수중보나 폭포 등 물이 흐르는 과정에서 낙차가 있는 곳에서는 와류가 발생하며, 이곳에 사람이나 보트 등이 고립되면 와류에 의해 쉽게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실제로 수중보 등에서는 와류에 의해 사람이 탈출하지 못하여 큰 인명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잦다.
와류 고립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구명조끼 등을 벗고 수심 아래로 내려간 후 수류 방향의 흐름을 타고 이동함으로써 일단 와류에서 벗어난 이후에 탈출하는 것이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나 실제로 이를 행동으로 옮기기는 쉽지 않으며, 구명조끼를 벗은 후에 탈출을 해야 하기에 와류를 벗어난 이후에 물 밖으로 나오기까지 또다시 어려움에 봉착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탈출 확률 역시 현저히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와류에서 탈출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비 개발이 이루어질 경우 수난 사고에 의해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민국 공개번호공보 10-2016-013056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류에 의한 수압에 의해 와류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는 와류 탈출용 구명조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장비는 평상시에는 구명조끼의 수납부에 수납되고, 사용시에는 수압에 의해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망; 상기 망이 펼쳐졌을 때 상기 망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받침살; 상기 망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상기 망 내부의 중공에 제공되며, 상단부는 복수의 상기 받침살의 상단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중심대; 및 상기 망과 상기 구명조끼의 전면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로프를 포함한다.
상기 망은 상단부의 끝단에 구멍이 제공됨으로써 하단부로 유입된 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이 유입되는 상기 망의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망이 펼쳐졌을 때 원형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망 고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은: 상단부의 끝단에 제공되는 상기 구멍의 넓이가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의 넓이보다 크게 제공됨으로써, 상기 망의 상단부 끝단과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 사이에 이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대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상기 중심대의 하단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를 지나 상기 망의 상단부에 제공된 구멍으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망의 하단부 및 상기 중심대를 상기 로프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망 고정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프의 끝단과 상기 구명조끼의 전면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살은 상단부는 상기 중심대와 체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망 고정대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살은 상단부는 상기 중심대와 체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망 고정대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살은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와 인접한 영역이 상기 고정대와 인접한 영역보다 굵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 탈출용 구명조끼는 수류에 의한 수압에 의해 와류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장비(1)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장비(1)의 실제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구명장비(1)가 구명조끼(2)의 후면부에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구명장비(1)와 구명조끼(2)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구명장비(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구명장비(1)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받침살(2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받침살(20)의 상단부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구명장비(1)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이하, 본 명세서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장비(1)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장비(1)의 실제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구명장비(1)가 구명조끼(2)의 후면부에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구명장비(1)와 구명조끼(2)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구명조끼(2)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중보 등에 빠지게 되면 와류에 의해 탈출이 어렵게 된다. 이때 평상시에는 구명조끼(2)의 후면부에 수납되어 있던 구명장비(1)를 요구조자가 꺼내면, 물이 구명장비(1)에 포함된 망(10)에 유입이 되고, 망(10)에 발생한 수압에 의해 요구조자를 와류로부터 끌어낼 수 있다.
도 5는 구명장비(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구명장비(1)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받침살(2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받침살(20)의 상단부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구명장비(1)는 망(10), 받침살(20), 중심대(30), 망 고정대(40), 망 고정줄(50), 로프(60) 및 체결구(70)를 포함할 수 있다.
망(10)은 평상시에는 구명조끼(20)의 수납부(미도시)에 수납되며, 사용자(요구조자)가 이를 사용하기 위해 수납부 밖으로 꺼내면 수류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구명조끼(20)의 수납부는 예를 들어, 구명조끼(20)의 후면부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요구조자가 구명장비(1)를 수납부 밖으로 꺼내게 되면, 망(10)은 수류에 의해 펼쳐지게 되며 그 결과 물이 망(10) 내부의 중공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발생한 수압은 요구조자를 와류 밖으로 빼내는 힘으로 작용한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수납부 밖으로 꺼내진 망(10)은 일단 물 아래로 가라앉게 되며 수류에 의해 망(10)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망(10)이 펼쳐지게 된다. 이때 망(10)에 가해진 수압은 요구조자를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요구조자를 와류 밖으로 끌어낼 수 있다.
망(10)은 물이 유입되는 하단부와 물이 유출되는 상단부를 갖는다. 망(10)의 상단부 끝단에는 구멍이 제공되는데, 이를 통해 망(10)의 하단부로 유입된 물이 다시 망(10) 밖으로 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망(10)은 지름 50[cm], 길이 55[cm]인 PVC 직물일 수 있다.
받침살(20)은 망(10)의 내측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예에 따르면 우산살과 유사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받침살(20)은 평상시에는 접철된 상태로 제공되나, 구명장비(1)가 물에 의해 펼쳐졌을 때는 망(10)의 형상을 반구형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살(20)은 길이 25[cm], 굵기 2[mm]인 스테인리스 강철일 수 있다.
중심대(30)는 망(1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망(10) 내부의 중공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중심대(30)의 상단부는 복수의 받침살(20)의 상단부와 체결될 수 있다.
구명장비(1)가 중심대(30)를 포함할 경우, 망(10) 상단부의 끝단에 제공되는 구멍의 넓이는 중심대(30) 상단부의 넓이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중심대(30)가 제공되더라도, 망(10)의 상단부 끝단과 중심대(30) 상단부 사이에는 이격이 형성될 수 있으며 망(10)에 유입된 물이 문제없이 망(10) 밖으로 유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중심대(3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중공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망(1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일부가 중심대(30) 하단부로 유입된 후 중심대(30) 내부를 지나 중심대(30) 상단부를 빠져나와 최종적으로 망(10)의 상단부에 제공된 구멍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 결과, 망(10)의 하단부로 유입된 물이 망(10)의 상단부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중심대(30)에 의해 받을 수 있는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대(30)는 길이 27[cm], 굵기 8[mm]인 스테인리스 강철일 수 있다.
망 고정대(40)는 망(10)으로 물이 유입되는 망(10)의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망(10)이 펼쳐지고 나면 망 고정대(40)는 자체 복원력 및 탄성력에 의해 망(10)의 하단부가 원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망 고정대(40)는 둘레 157[cm], 굵기 2[mm]인 스테인리스 강철이나 플라스틱 관일 수 있으며, 망(10) 하단부의 원형은 유지하되 굽힘이 가능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로프(60)는 망(10)과 구명조끼(2)의 전면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구(70)는 로프(60)의 끝단과 구명조끼(2)의 전면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프(60)는 길이 3[m], 굵기 5[mm]인 나일론 노프일 수 있다.
체결구(70)는 구명조끼(2)의 가슴 영역에 제공되는 고리 등에 체결될 수 있다. 그 결과, 구명장비(1)가 수압에 의해 구명조끼(2)를 착용한 요구조자를 와류 밖으로 잡아당길 때, 요구조자는 당겨지는 방향을 바라본 상태에서 와류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는 요구조자가 당겨지는 방향을 바라본 상태에서 와류 밖으로 벗어나는 것이 시야 확보나 침착함을 유지하는데 더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체결구(70)는 장력 측정 센서 및 위치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력 측정 센서는 망(10)이 사용될 때 로프(60)에 잡아당겨 짐으로써 발생되는 장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위치 전송부는 장력 측정 센서에 의해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장력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측정될 경우 기 설정된 단말 또는 기 설정된 서버에 구명장비(1)의 현재 위치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망(10)이 실제 사용되었을 때 요구조자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알아차리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장력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측정됨으로써 요구조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 설정된 단말(보호자 또는 동행자가 사용하는 핸드폰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구명장비(1)의 위치를 전송함으로써 구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망 고정줄(50)은 망(10)의 하단부와 중심대(30)를 로프(60)에 연결하도록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구명장비(1)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살(20)은 도 5와 같이, 받침살(20)의 상단부는 중심대(30)와 체결되고, 받침살(20)의 하단부는 망 고정대(40)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명장비(1)가 비교적 수류가 센 곳에서 사용될 경우, 받침살(20)이 망 고정대(40)와 체결됨으로써 구명장비(1)의 내구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망(10)이 펼쳐진 형상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구명장비(1)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살(20)은 도 6와 같이, 받침살(20)의 상단부는 중심대(30)와 체결되고, 하단부는 망 고정대(40)와 기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명장비(1)가 비교적 수류가 약한 곳에서 사용될 경우, 받침살(20)을 통해 망(10)이 펼쳐진 형상은 유지하되 무게를 낮추고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9는 구명장비(1)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망 고정줄(50)은 망(10)의 하단부가 아닌 중심대(30)의 끝단에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망 고정줄(50)을 생략하고 로프(60)가 중심대(30)의 끝단에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받침살(20)은 중심대(30)의 상단부와 인접한 영역의 굵기가 망 고정대(40)와 인접한 영역의 굵기보다 굵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받침살(20)에서 상대적으로 중심대(30)와 가까운 영역이 보다 강한 수압을 받기 때문으로, 받침살(20)의 수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 구명장비
2 구명조끼
10 망
20 받침살
30 중심대
40 망 고정대
50 망 고정줄
60 로프
70 체결구

Claims (10)

  1. 평상시에는 구명조끼의 수납부에 수납되고, 사용시에는 수압에 의해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망;
    상기 망이 펼쳐졌을 때 상기 망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받침살;
    상기 망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상기 망 내부의 중공에 제공되며, 상단부는 복수의 상기 받침살의 상단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중심대; 및
    상기 망과 상기 구명조끼의 전면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구명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은 상단부의 끝단에 구멍이 제공됨으로써 하단부로 유입된 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되도록 구성되는 구명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물이 유입되는 상기 망의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망이 펼쳐졌을 때 원형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망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구명장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은:
    상단부의 끝단에 제공되는 상기 구멍의 넓이가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의 넓이보다 크게 제공됨으로써, 상기 망의 상단부 끝단과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 사이에 이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구명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대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상기 중심대의 하단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를 지나 상기 망의 상단부에 제공된 구멍으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되는 구명장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의 하단부 및 상기 중심대를 상기 로프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망 고정줄을 더 포함하는 구명장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의 끝단과 상기 구명조끼의 전면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구명장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살은 상단부는 상기 중심대와 체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망 고정대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구명장비.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살은 상단부는 상기 중심대와 체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망 고정대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구명장비.
  10.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살은 상기 중심대의 상단부와 인접한 영역이 상기 고정대와 인접한 영역보다 굵게 제공되는 구명장비.
KR1020210190595A 2021-12-29 2021-12-29 와류 탈출용 구명장비 KR20230100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595A KR20230100915A (ko) 2021-12-29 2021-12-29 와류 탈출용 구명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595A KR20230100915A (ko) 2021-12-29 2021-12-29 와류 탈출용 구명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915A true KR20230100915A (ko) 2023-07-06

Family

ID=8718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595A KR20230100915A (ko) 2021-12-29 2021-12-29 와류 탈출용 구명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9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569A (ko) 2015-05-04 2016-11-14 영 균 김 다용도 구명조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569A (ko) 2015-05-04 2016-11-14 영 균 김 다용도 구명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7756B1 (en) Life vest marker
US11396353B2 (en) Horseshoe life buoy for water rescue and associated rescue rope assembly
US4540372A (en) Life preserver
KR20230100915A (ko) 와류 탈출용 구명장비
US20150360062A1 (en) Personal Positioning Strap System
US6786784B2 (en) Child's safety swimwear
US5480332A (en) Multiple victim rescue device
WO2015179051A1 (en) Tether device for pool floats
US6220910B1 (en) Expandable safety flag for flotation device
US7677940B1 (en) Swimmer's safety apparatus
US6042440A (en) Rescue tube with retractable shoulder strap
JP6026693B1 (ja) 救命具
JP2005225478A (ja) 膨張式安全装置
JP2004122967A (ja) 救助用ロープ
JP6667784B2 (ja) 位置報知装置
US9193421B1 (en) Safety device to quickly locate a drowning victim
US20100289657A1 (en) Safety line alarm apparatus and method
KR101903161B1 (ko) 낙하산
JP2004211274A (ja) エアバッグ・浮き輪・ザイル降下用緩衝具等、救命具セットを組み込んだ海・陸両用リュック・ベスト及び上着。
FR3035373A1 (fr) Gilet de sauvetage comportant une bouee gonflable dissociable
US20150059231A1 (en) Universal Flotation Device
JP2017036020A (ja) ネックレス型救命浮き袋
US6352461B1 (en) Water rescue device and method
AU4472899A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KR101864423B1 (ko) 표류형 수상 인명구조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