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611A -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611A
KR20230100611A KR1020220164499A KR20220164499A KR20230100611A KR 20230100611 A KR20230100611 A KR 20230100611A KR 1020220164499 A KR1020220164499 A KR 1020220164499A KR 20220164499 A KR20220164499 A KR 20220164499A KR 20230100611 A KR20230100611 A KR 20230100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information
server
ava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원
Publication of KR20230100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rchitectu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단일 플랫폼을 구성하여 마켓 트렌드 정보와 디자이너의 큐레이션을 빅데이터로 수집함으로써 최신 트렌드 정보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고, 디자인 제공사와 고객사 간의 일원화된 파일 및 신속한 정보 교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매장을 모사하고 진열대, 피팅 룸, 거울, 계산대를 포함하는 디지털 쇼룸을 가상 공간에 생성하고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트윈의 디지털 쇼룸에 대해 스크롤, 이동, 클릭을 포함하는 마우스 조작에 따라 쇼룸 이동, 옷 표시, 계절 상품, 액세서리 표시를 처리하고, 피팅 룸, 체형 인식, 사이즈 입력, 피팅, 옷 선택을 수행하고, 매장 연결, 네트워크, 디지털 이동, 캐릭터 생성, 입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타버스 환경을 제공하여 가상의 아바타를 통해 디자인된 의류를 직접 입는 것이 가능하여 최신 트렌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관계가 가능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및 방법{ONLINE DESIGN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SHION STYLE DEVELOPMENT}
본 발명은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의류, 액세서리와 같은 패션 아이템을 생산하는데 있어 부분적이고 파편화된 디자인 작업을 온라인상의 단일 플랫폼을 이용하여 통합적인 제작활동 및 신속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디자인 제공사가 되는 디자이너와 고객사 간의 디자인 활동에 있어 온라인 디자인 플랫폼이 제공되고, 일원화된 데이터 형식의 파일 교환이 가능해지고, 신속한 정보 교환 및 소통이 가능해지고, 물적, 시간 낭비를 최소화하여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고, 패션 디자인 작업이 가능해지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패션 스타일을 개발하는데 있어 여러 기업들은 한두가지 정도의 한정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자의 디자인 작업도구를 제각각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의류를 만드는데 있어 원단생산 기업, 원단가공 기업, 단추나 지퍼와 같은 부자재 생산 기업, 의류라벨 생산 기업 등이 파편화되어 있으며, 해당 업무만을 한정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이러한 업무만을 수행하기 위하여 자기들만의 디자인 작업도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작업도구들은 여러 가지 플랫폼에서 단방향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업의 디자인 제공사와 고객사의 피드백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기업별로 여러 채널을 통해 분산됨에 따라 정확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디자인 제공사와 고객사 간의 추측에 의한 의견교환이 비일비재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패션 스타일의 개발을 위해 디자인 제공사와 고객사 간의 비즈니스 결정에 있어 과정의 다양한 논의가 어렵기 때문에 통합성과 연속성을 잃게 되어 빠른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업별로 디자인 작업도구가 파편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메일, 문서파일, 실제 서류, 견본 샘플이 포함된 노트 등의 파편화된 정보들로 인하여 통합적인 디자인 활동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어, 하나의 다지인 결정을 위해 여러 플랫폼의 정보를 비교 및 수정하고 이를 다시 통보하는 추가적인 피드백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객사가 직접 실물 샘플을 가지고 디자인 제공사에 방문하거나, 실물 견본을 만들어 발송함으로써 문제를 처리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즉각적인 소통이 진행되지 않아 신속한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우며, 실물 제작으로 인한 물류 및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매장을 모사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가상 공간에 만들어진 매장을 이용할 때 사용자 인증 기술이 개시된다. 디지털 트윈 기술은 특허문헌 2 비콘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형 매장 안내 시스템에 매장의 관리자가 입력한 매장의 영업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에 지도 형태로 제공으로 개시되어 있고, 사용자 인증 기술은 특허문헌 3 인증된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 체크인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가상세계와 물리세계 간의 상호 연계 시 인증 및 동기화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특허문헌 2는 매장을 구성하는 각종 요소를 디지털 트윈으로 모사하지 못하고, 특허문헌 3은 사용자 인증과 더불어 매장을 이용하는 서비스 이용을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파편화 된 디자인 작업도구를 일원화하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신속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여 패션 디자인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한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23159호 (2020.06.1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03254호 (2021.08.2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57741호 (2021.12.2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자인 제공사와 고객사 간의 디자인 활동에 있어 웹, 모바일 등을 활용한 온라인 단일 플랫폼을 구성하고, 일원화된 데이터 형식의 파일 교환이 가능함으로써 신속한 정보 교환 및 소통이 가능하며, 물적, 시간 낭비를 최소화하여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여 패션 디자인 작업이 가능한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제 매장을 모사하고 진열대, 피팅 룸, 거울, 계산대를 포함하는 디지털 쇼룸을 가상 공간에 생성하고 표시하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트윈의 디지털 쇼룸에 대해 스크롤, 이동, 클릭을 포함하는 마우스 조작에 따라 쇼룸 이동, 옷 표시, 계절 상품, 액세서리 표시를 처리하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팅 룸, 체형 인식, 사이즈 입력, 피팅, 옷 선택을 수행하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장 연결, 네트워크, 디지털 이동, 캐릭터 생성, 입장을 수행하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표준 형식으로 통일하여 정보 입력 및 제공이 가능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플랫폼에 있어서,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는 메인서버(10);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제1 서버(100); 제1 서버(100)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인서버(10)에 기 설정된 양식의 문서데이터 생성하고, 제1 서버(100)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그래픽을 출력하는 제2 서버(200);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어 사용자 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고, SNS 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제3 서버(300); 및 고객들이 직접 참여하는 것이 가능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이 구현된 제4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버(10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온라인상의 패션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110)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가입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B) 또는 일반 고객(C) 중 하나의 등급을 부여하는 사용자 관리부(121)와, 디자인 제공사(A)로부터 제품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제품 데이터를 복수의 자재 고객사(B)에게 제공하는 디자인 정보부(122)와, 디자인 정보부(122)에 의해 제공받은 제품 데이터에 대응되는 자재데이터를 자재 고객사(B)로부터 입력받는 자재 정보부(123)와, 디자인 정보부(122)와 자재 정보부(123)의 데이터를 매칭하며,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B)로부터 보완요청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보완요청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피드백 관리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서버(200)는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B)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데이터를 메인서버(10)에 기 설정된 문서 양식으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210)와,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B)의 입력데이터와 매칭되는 패션정보 데이터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그래픽 출력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서버(300)는 디자인 제공사(A)와 자재 고객사(B) 간의 문자, 영상, 문서 및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커뮤니케이션부(310)와, 가상세계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며, 제1 서버(100)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아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가상세계 제공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세계 제공부(320)는 배경정보, 환경정보, 가상환경 위치정보로 구성되는 백그라운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백그라운드 제공부(321)와, 기 저장된 아바타 데이터와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매칭하여 사용자 아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322)와, 제1 서버(100)로부터 수집되는 패션정보 데이터를 아바타 패션데이터로 변환하며, 아바타 생성부(322)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 데이터의 의류 데이터로 적용하는 패션데이터 변환부(3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서버(400)는 매장을 모사하는 디지털 쇼룸(431),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쇼룸(431)을 표시하는 쇼룸 시스템(430), 상기 디지털 쇼룸(431)의 피팅 룸(422)를 모사하는 피팅 시스템(440) 및 상기 디지털 쇼룸(431)의 가상 환경을 제공하는 메타버스 시스템(4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쇼룸(431)은, 매장인 상기 디지털 쇼룸(431)이 전시하는 옷과 같은 상품을 진열하는 도구로, 실제 매장이 가지는 진열대(421)을 모사하고, 진열된 옷을 표시하는 진열대(421),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쇼룸(431)에서 선택한 옷을 자신의 아바타에 입혀 옷이 어울리는지를 판단하는 장소로, 매장이 가지는 상기 피팅 룸(422)를 모사하고, 옷걸이에 사용자가 선택한 옷을 걸고, 아바타가 입는 피팅 룸(422), 아바타가 착용한 옷을 반사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도구로, 매장이 가지는 거울(423)을 모사하고, 사용자의 체형이 모사된 아바타가 착용한 옷이 어울리는지를 판단하는 거울(423) 및 상기 디지털 쇼룸(431)을 관리하는 관리자로, 상기 디지털 쇼룸(431)에 방문한 사용자 아바타를 응접하고, 아바타의 질의에 응답하고, 아바타를 안내하는 도우미(4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쇼룸(431), 상기 쇼룸 시스템(430), 상기 피팅 시스템(440), 상기 메타버스 시스템(450)을 제어하는 제어부(5)가 디지털 쇼룸 표시, 이동, 피팅, 메타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 단일 플랫폼을 구성하여 마켓 트렌드 정보와 디자이너의 큐레이션을 빅데이터로 수집함으로써 최신 트렌드 정보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고, 디자인 제공사와 고객사 간의 일원화된 파일 및 신속한 정보 교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제 매장을 모사하고 진열대, 피팅 룸, 거울, 계산대를 포함하는 디지털 쇼룸을 가상 공간에 생성하고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상 공간에 생성된 디지털 쇼룸을 경험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트윈의 디지털 쇼룸에 대해 스크롤, 이동, 클릭을 포함하는 마우스 조작에 따라 쇼룸 이동, 옷 표시, 계절 상품, 액세서리 표시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는 매장을 모사하는 디지털 트윈인 디지털 쇼룸을 경험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팅 룸, 체형 인식, 사이즈 입력, 피팅, 옷 선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상 공간에서 피팅 룸을 이용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장 연결, 네트워크, 디지털 이동, 캐릭터 생성, 입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매장을 모사하는 디지털 트윈으로 연결된 디지털 쇼룸인 메타버스를 경험하여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관계가 가능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의 가상세계 제공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의 전체적인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의 디지털 쇼룸을 보인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디지털 쇼룸에 적용된 쇼룸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 디지털 쇼룸에 적용된 피팅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 디지털 쇼룸에 적용된 메타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오류를 검증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과 컨테이너(14), 코어인 제어부의 동작, 제어부 동작을 실행할 권한을 부여하는 시스템 인증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를 나태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1 서버(100), 제2 서버(200) 및 제3 서버(300)로 구성되는 메인서버(10)은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며, 하나의 표준 형식으로 통일하여 정보 입력 및 제공이 가능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제1 서버(100)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수집하여 이를 저장한다.
제2 서버(200)는 제1 서버(10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제1 서버(10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인서버(10)에 기 설정된 양식의 문서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그래픽을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제3 서버(300)는 사용자간의 데이터 교환이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가능한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어 사용자 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고, SNS 상의 정보를 수집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서버(100)는 데이터 수집부(110)와 데이터 관리부(120)를 구성한다.
데이터 수집부(11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온라인상의 패션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며, 별도로 구성된 저장장치에 패션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관리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는 디자인 제공사(A), 자재 고객사(B), 일반 고객(C)으로 구분되어 등급이 부여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관리부(120)는 사용자 관리부(121), 디자인 정보부(122), 자재 정보부(123) 및 피드백 관리부(124)로 구성된다.
사용자 관리부(121)는 사용자의 가입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B) 또는 일반 고객(C) 중 하나의 등급을 부여한다.
디자인 정보부(122)는 디자인 제공사(A)에게 패션 아이템에 대한 전체적인 형상과 모양에 대한 디자인데이터, 치수 데이터, 자제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품 데이터를 입력받게 된다.
디자인 정보부(122)는 디자인 제공사(A)에 의해 입력된 제품 데이터를 복수의 자재 고객사(B)에게 제공하며, 자재 정보부(123)는 복수의 자재 고객사(B)에게 제공되는 제품 데이터에 대응되는 자재데이터를 입력받게 된다.
피드백 관리부(124)는 디자인 정보부(122)와 재재 정보부(123)에 입력된 데이터를 매칭하며,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A) 중 하나로부터 보완요청 데이터를 입력받게 되며, 보완요청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즉, 피드백 관리부(124)는 디자인 정보부(122)를 통해 입력한 제품 데이터와 자재 정보부(123)를 통해 입력된 자재데이터를 서로 매칭하게 되며, 제품 데이터와 자재데이터가 매칭되지 않을 경우에는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A) 중 하나 이상에게 알림메시지를 발송하게 된다.
피드백 관리부(124)로부터 발송된 알림메시지에 의해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A)는 보완요청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며, 입력된 보완요청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대방 사용자가 입력하게 된다.
추가 적으로 피드백 관리부(124)는 사용자 관리부(121)에 의해 부여된 등급과 입력되는 제품 데이터, 자재 데이터에 대응되는 체크 리스트를 메인서버(10)에 기 설정된 양식에 따라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체크 리스트를 디자인 제공사(A)와 자재 고객사(B)에게 제공한다. 제공된 체크 리스트를 통하여 디자인 제공사(A)와 자재 고객사(B)는 각 등급에 따른 체크 영역을 체크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 서버(200)는 데이터 생성부(210)와 그래픽 출력부(220)를 구성한다.
데이터 생성부(210)는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B)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데이터를 메인서버(10)에 기 설정된 문서 양식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문서 양식을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B)에게 제공한다.
그래픽 출력부(220)는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B)의 입력데이터와 메인서버(10)에 기 저장된 패션정보 데이터를 매칭하며, 매칭되는 패션정보 데이터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제공한다.
상기 제3 서버(300)는 커뮤니케이션부(310)와 가상세계 제공부(320)로 구성된다.
먼저 커뮤니케이션부(310)는 디자인 제공사(A)와 자재 고객사(B) 간의 문자, 영상, 문서 및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
즉, 디자인 제공사(A)와 재재 고객사(B)는 필요에 따라 각종 데이터나 문자를 서로 교환하여 의견을 교환하게 되어 양 사용자 간의 의견조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가상세계 제공부(320)는 기 설정된 가상세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제1 서버(100)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세계 제공부(320)는 백그라운드 제공부(321), 아바타 생성부(322), 패션데이터 변환부(323)로 구성된다.
백그라운드 제공부(321)는 배경정보, 환경정보, 가상환경 위치정보로 구성되는 백그라운드 데이터를 제공한다.
아바타 생성부(322)는 기 저장된 아바타 데이터와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매칭하여 사용자의 아바타 데이터를 생성한다.
패션데이터 변환부(323)는 제1 서버(100)로부터 수집되는 패션정보 데이터를 아바타 패션데이터로 변환하며, 아바타 생성부(322)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 데이터의 의류 데이터로 적용한다.
즉, 패션데이터 변환부(323)는 제1 서버(100)에 의해 수집된 패션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아바타에 적용가능하도록 아바타 패션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아바타 패션데이터는 의류의 형태, 색상, 패턴 등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메인서버(10)에 기 설정된다.
변환된 아바타 패션데이터는 사용자 아바타의 의류 데이터로 적용가능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아바타를 다양하게 꾸밀 수 있게 되며, 또한 데이터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되는 패션정보 데이터를 신속하게 적용함으로써 최신 패션트렌드를 빠르고 쉽게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4 서버(400)는 실제 매장을 모사하고 진열대, 피팅 룸, 거울, 계산대를 포함하는 디지털 쇼룸을 가상 공간에 생성하고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상 공간에 생성된 디지털 쇼룸을 경험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의 디지털 쇼룸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쇼룸(431)은 진열대(421), 피팅 룸(422), 거울(423), 계산대(424), 도우미(425)를 포함한다.
진열대(421)은 매장인 디지털 쇼룸(431)이 전시하는 옷과 같은 상품을 진열하는 도구로, 실제 매장이 가지는 진열대(421)을 모사하고, 진열대(421)에 진열된 옷을 표시한다. 도 5의 (b)는 실제 매장이 디지털 트윈으로 모사된 디지털 쇼룸(431)을 보인다. 옷은 디자이너, SNS, 사용자 경험을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디지털 쇼룸(431) 플랫폼에 제공되어 표시되고, 디자이너의 3D 툴 사용으로 만들어지고, 디자이너 간에 옷 디자인 자원이 공유된다.
피팅 룸(422)는 사용자가 디지털 쇼룸(431)에서 선택한 옷을 자신의 아바타에 입혀 옷이 어울리는지를 판단하는 장소로, 매장이 가지는 피팅 룸(422)를 모사하고, 옷걸이에 사용자가 선택한 옷을 걸 수 있고, 아바타가 입을 수 있다. 사용자는 고객사가 될 수 있고, 고객사는 디지털 쇼룸(431) 플랫폼에 전시된 옷,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상품 디자인을 이용하는 대상이다. 디자인 제공사가 되는 디자이너와 고객사 간의 디자인 활동에 있어 온라인 디자인 플랫폼이 제공되고, 일원화된 데이터 형식의 파일 교환이 가능해지고, 신속한 정보 교환 및 소통이 가능해지고, 물적, 시간 낭비를 최소화하여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고, 패션 디자인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거울(423)은 아바타가 착용한 옷을 반사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도구로, 매장이 가지는 거울(423)을 모사하고, 사용자의 체형이 모사된 아바타가 착용한 옷이 어울리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계산대(424)는 디지털 쇼룸(431)에서 쇼핑한 옷을 계산하는 장소로, 매장이 가지는 계산대(424)를 모사하고, 도우미(425)가 사용자의 계산을 도우며, 사용자 아이디에 매칭된 계산 수단을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한다.
도우미(425)는 디지털 쇼룸(431)을 관리하는 관리자로, 디지털 쇼룸(431)에 방문한 사용자 아바타를 응접하고, 아바타의 질의에 응답하고, 아바타를 안내한다.
도 6은 본 발명 디지털 쇼룸에 적용된 쇼룸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쇼룸 시스템(430)은 디지털 쇼룸(431), 마우스 조작(432), 표시부(433), 계산부(434), 질의응답부(435)를 포함한다.
디지털 쇼룸(431)은 매장이 가지는 진열대(421), 피팅 룸(422), 거울(423), 계산대(424), 도우미(425)를 디지털 트윈으로 모사하고, 가상 공간에 디지털 쇼룸(431)을 만든다.
마우스 조작(432)는 사용자의 마우스 조작(432)를 입력받고, 마우스의 스크롤, 이동, 클릭에 따른 이벤트를 처리하여 디지털 쇼룸(431)에서 아바타 이동, 디지털 쇼룸(431)의 화면 표시를 상호 작용한다.
표시부(433)은 마우스 조작(432)에 따른 디지털 쇼룸(431)의 화면 표시를 처리하고, 가상 공간에 만들어진 디지털 쇼룸(431)을 화면의 2D 평면에 투영해서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디지털 쇼룸(431)을 감상한다.
계산부(434)는 사용자 아이디에 매칭된 계산 수단과 상호 작용하여 사용자 아바타가 선택한 옷에 대해 계산 처리하고, 매장에 옷 배송을 알리거나 물류 시스템에 옷 배송을 알릴 수 있다.
질의응답부(435)는 사용자 아바타가 문의하는 질의에 응답하고, 질의와 응답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도 7은 본 발명 디지털 쇼룸에 적용된 피팅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 7을 참조하면, 피팅 시스템(440)은 피팅 룸(422), 체형 인식부(441), 사이즈 입력부(442), 피팅부(443), 옷 선택부(444)를 포함한다.
피팅 룸(422)는 사용자가 디지털 쇼룸(431)에서 선택한 옷을 자신의 아바타에 입혀 옷이 어울리는지를 판단하는 장소로, 매장이 가지는 피팅 룸(422)를 모사하고, 옷걸이에 사용자가 선택한 옷을 걸 수 있고, 아바타가 입을 수 있다.
체형 인식부(441)은 카메라로 사용자를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을 분석해서 사용자 체형을 인식하고, 아바타에 모사한다. 체형 인식부(441)은 사용자 체형을 모사한 아바타를 생성한다.
사이즈 입력부(442)는 사용자의 상체, 허리둘레,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입력받아 체형 인식부(441)의 아바타 생성에 전달하여 입력된 신체 치수에 대응한 아바타를 생성하게 한다.
피팅부(443)은 사용자가 선택한 옷을 체형 인식부(441)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에 입혀 옷을 착용한 아바타 모델을 생성한다. 옷은 디자이너, SNS, 사용자 경험을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디지털 쇼룸(431) 플랫폼에 제공되어 표시되고, 디자이너의 3D 툴 사용으로 만들어지고, 디자이너 간에 옷 디자인 자원이 공유된다.
옷 선택부(444)는 피팅 룸(422)에 사용자가 선택한 옷을 제공하고, 디지털 쇼룸(431)에서 선택된 옷 리스트를 저장하고, 계산부(434)에 옷 리스트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 디지털 쇼룸에 적용된 메타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 8을 참조하면, 메타버스 시스템(450)은 매장부(451), 네트워크부(452), 디지털 이동부(453), 캐릭터부(454), 입장부(455)를 포함한다.
매장부(451)은 디지털 쇼룸(431)을 가지는 매장을 연결하고, 매장 선택시 연결된 디지털 쇼룸(431)을 표시한다.
네트워크부(452)는 클라우드(12)에 저장된 디지털 쇼룸(431)을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지털 쇼룸(431) 사이에 연결 통로를 만든다.
디지털 이동부(453)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지털 쇼룸(431)을 디지털 이동할 때 디지털 이동 수단을 사용자 아바타에 제공해서 실제 매장을 거닐 때 생성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캐릭터부(454)는 디지털 쇼룸(431) 내를 이동하거나 디지털 쇼룸(431) 사이를 이동할 때 디지털 이동 수단을 이용함에 있어 사용자 아바타를 캐릭터 형상화한다.
입장부(455)는 사용자가 디지털 쇼룸(431)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메타버스 공간에 입장할 수 있도록 게이트 역할을 담당하고, 이용 시간, 이동 수단, 관람 영역, 이용 요금을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을 처리한다.
도 9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오류를 검증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9를을 참조하면, 제어부(5)는 샘플링 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샘플링 데이터의 크기 별로 발생 회수를 누적하여 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또 다른 일정 시간 동안의 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두 확률 분포의 차, 면적 차, 차 거리 누적을 계산해서(S101) 샘플링 회로 이상,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다(S102). 제어부(5)는 예측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하드웨어 고장,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샘플링 데이터는 디지털 쇼룸(431)의 옷 선택, 사용자 체형, 사이즈 입력, 디지털 이동 수단, 아바타를 포함하고, 제어부(5)는 샘플링 데이터를 처리하여 샘플링 회로 이상,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응한다.
도 10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과 컨테이너(14), 코어인 제어부의 동작, 제어부 동작을 실행할 권한을 부여하는 시스템 인증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프로세서(1), 메모리(2), 입출력장치(3), 컨테이너(14), 제어부(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s), GPU(Graphic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NPU(Neural Processing Unit)로서, 메모리(2)에 탑재된 컨테이너(14), 제어부(5)의 실행 코드를 수행한다.
메모리(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장치(3)은 입력 장치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로,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14)는 윈도우, 리눅스, IOS, 가상 머신, 웹브라우저, 인터프리터를 포함할 수 있고, 태스크, 쓰레드, 타이머 실행, 스케줄링, 자원 관리, 그래픽, 폰트 처리, 통신 등을 지원한다.
제어부(5)는 컨테이너(14)의 지원하에 입출력장치(3)의 센서, 키, 터치, 마우스 입력에 의한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5)는 병렬 수행 루틴으로 타이머, 쓰레드에 의한 작업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제어부(5)는 입출력장치(3)의 센서값을 이용하여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에 따른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스템 인증 구성은 제어부(5)를 포함하는 단말기(6), 인증 서버(7)을 포함한다.
단말기(6)은 데이터 채널을 이중화하고, 단말기(6)의 키값, 생체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 서버(7)에 제1데이터 채널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단말기(6)은 생성된 킷값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인증 서버(7)로 전송한다.
단말기(6)은 단말기(6)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킷값을 입력하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제2데이터 채널을 통해 인증 서버(7)로 전송한다. 단말기(6)은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6)에 탑재된 시스템의 인증을 인증 서버(7)에 요청한다. 단말기(6)의 킷값은 컴퓨터 고유의 정보인 CPU 제조번호, 이더넷 칩의 맥주소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단말기(6)은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 인식,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 인식,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필기 인식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인증에 활용할 수 있다.
인증 서버(7)은 단말기(6)로부터 킷값을 수신하고, 단말기(6)로부터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6)의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사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단말기(6)의 시스템 이용에 대한 인증을 처리한다. 인증 서버(7)은 인증 결과를 단말기(6)로 전송하여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한다. 단말기(6)의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로 인해 킷값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인증 서버(7)은 사용자 정보의 히스토리 분석을 수행하고, 시간 흐름에 따라 사용자 정보의 일관성, 변화를 비교 판단한다. 히스토리 분석에서 사용자 정보가 일관성을 나타내면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하고, 변화를 나타내면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사용자 정보가 일관성을 나타낼 때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을 허가함으로써 사용자 정보가 변조된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안을 강화한다.
시스템의 사용을 인증하는 수단인 단말기(6)은 시스템과 직접 연결하지 않고, 인증 서버(7)을 통한 우회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인터넷망을 이루는 네트워크가 내부망과 외부망으로 구성되어 아이피 주소 설정 과정이 번거로울 때 단말기(6)을 이용한 인증 과정이 원활히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단말기(6)에는 시스템이 탑재되고, 단말기(6)은 인증 단말 수단이 되고, 인증 서버(7)은 인증 서버 수단이 된다.
클라우드(12)는 프로세서(1), 메모리(2), 입출력장치(3), 통신부(16)를 관리하는 컨테이너(14)의 지원 하에 컨테이너(14)의 모듈화로, 웹, DB, 프로토콜, 라이브러리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어부(5)는 컨테이너(14)의 서비스를 이용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컨테이너(14)라고 하는 표준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를 관련 구성 파일, 라이브러리 및 앱 실행에 필요한 종속성과 함께 번들로 제공한다.
클라우드(12)는 다수의 단말기(6)을 통합 제어하고, 단말기(6)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을 저장하여 시간 흐름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단말기(6)의 동작 에러를 처리하고, 에러 메시지를 다른 단말기(6)로 알리고, 제어 대상인 단말기(6)을 스위칭 제어한다.
신경망 학습은 온도, 고도, 지문 등 각종 센서, 이미지, 적외선 등 카메라, 라이더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수집된 시계열 데이터로부터 특징량 선택, 알고리즘 선택을 통해 모델을 선택하고, 학습, 성능 검증 과정에 의한 반복 시행 착오를 거쳐 모델 선택을 반복한다. 성능 검증이 마치면 인공지능 모델이 선택된다.
제어부(5)는 센서값 판단에 신경망을 이용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신경망 학습에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고, 시험 데이터로 신경망 성능을 검증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1 : 프로세서
2 : 메모리
3 : 입출력장치
4 : 운영체제
5 : 제어부
6 : 단말기
7 : 인증 서버
12 : 클라우드
14 : 컨테이너
16 : 통신부
10 : 메인서버
100: 제1 서버
110: 데이터 수집부
120: 데이터 관리부
200: 제2 서버
210: 데이터 생성부
220: 그래픽 출력부
300: 제3 서버
310: 커뮤니케이션부
320: 가상세계 제공부
400 : 제4 서버
421: 진열대
422: 피팅 룸
423: 거울
424: 계산대
430: 쇼룸 시스템
431: 디지털 쇼룸
432: 마우스 조작
433: 표시부
434: 계산부
435: 질의응답부
440: 피팅 시스템
441: 체형 인식부
442: 사이즈 입력부
443: 피팅부
444: 옷 선택부
450: 메타버스 시스템
451: 매장부
452: 네트워크부
453: 디지털 이동부
454: 캐릭터부
455: 입장부

Claims (8)

  1. 하나의 표준 형식으로 통일하여 정보 입력 및 제공이 가능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플랫폼에 있어서,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는 메인서버(10);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제1 서버(100);
    제1 서버(100)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인서버(10)에 기 설정된 양식의 문서데이터 생성하고, 제1 서버(100)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그래픽을 출력하는 제2 서버(200);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어 사용자 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고, SNS 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제3 서버(300) 및 고객들이 직접 참여하는 것이 가능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이 구현된 제4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10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온라인상의 패션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110)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가입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B) 또는 일반 고객(C) 중 하나의 등급을 부여하는 사용자 관리부(121)와,
    디자인 제공사(A)로부터 제품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제품 데이터를 복수의 자재 고객사(B)에게 제공하는 디자인 정보부(122)와,
    디자인 정보부(122)에 의해 제공받은 제품 데이터에 대응되는 자재데이터를 자재 고객사(B)로부터 입력받는 자재 정보부(123)와,
    디자인 정보부(122)와 자재 정보부(123)의 데이터를 매칭하며,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B)로부터 보완요청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보완요청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피드백 관리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200)는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B)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데이터를 메인서버(10)에 기 설정된 문서 양식으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210)와,
    디자인 제공사(A) 또는 자재 고객사(B)의 입력데이터와 매칭되는 패션정보 데이터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그래픽 출력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서버(300)는
    디자인 제공사(A)와 자재 고객사(B) 간의 문자, 영상, 문서 및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커뮤니케이션부(310)와,
    가상세계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며, 제1 서버(100)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아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가상세계 제공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세계 제공부(320)는
    배경정보, 환경정보, 가상환경 위치정보로 구성되는 백그라운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백그라운드 제공부(321)와,
    기 저장된 아바타 데이터와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매칭하여 사용자 아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322)와,
    제1 서버(100)로부터 수집되는 패션정보 데이터를 아바타 패션데이터로 변환하며, 아바타 생성부(322)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 데이터의 의류 데이터로 적용하는 패션데이터 변환부(3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서버(400)는
    매장을 모사하는 디지털 쇼룸(431),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디지털 쇼룸(431)을 표시하는 쇼룸 시스템(430), 상기 디지털 쇼룸(431)의 피팅 룸(422)를 모사하는 피팅 시스템(440) 및 상기 디지털 쇼룸(431)의 가상 환경을 제공하는 메타버스 시스템(4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쇼룸(431)은,
    매장인 상기 디지털 쇼룸(431)이 전시하는 옷과 같은 상품을 진열하는 도구로, 실제 매장이 가지는 진열대(421)을 모사하고, 진열된 옷을 표시하는 진열대(421);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쇼룸(431)에서 선택한 옷을 자신의 아바타에 입혀 옷이 어울리는지를 판단하는 장소로, 매장이 가지는 상기 피팅 룸(422)를 모사하고, 옷걸이에 사용자가 선택한 옷을 걸고, 아바타가 입는 피팅 룸(422);
    아바타가 착용한 옷을 반사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도구로, 매장이 가지는 거울(423)을 모사하고, 사용자의 체형이 모사된 아바타가 착용한 옷이 어울리는지를 판단하는 거울(423); 및
    상기 디지털 쇼룸(431)을 관리하는 관리자로, 상기 디지털 쇼룸(431)에 방문한 사용자 아바타를 응접하고, 아바타의 질의에 응답하고, 아바타를 안내하는 도우미(4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8. 제 6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쇼룸(431), 상기 쇼룸 시스템(430), 상기 피팅 시스템(440), 상기 메타버스 시스템(450);을 제어하는 제어부(5)가 디지털 쇼룸 표시, 이동, 피팅, 메타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방법.
KR1020220164499A 2021-12-28 2022-11-30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06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9739 2021-12-28
KR1020210189739 2021-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611A true KR20230100611A (ko) 2023-07-05

Family

ID=8715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4499A KR20230100611A (ko) 2021-12-28 2022-11-30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61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159B1 (ko) 2018-08-24 2020-06-16 (주)위드어스커뮤니케이션즈 디자이너, 제조업체, 소비자 통합연결 플랫폼 기반 디자인제조서비스 지원 시스템
KR20210103254A (ko) 2020-02-13 2021-08-23 (주)휴넷가이아 비콘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형 매장 안내 시스템
KR20210157741A (ko)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피아몬드 인증된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 체크인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159B1 (ko) 2018-08-24 2020-06-16 (주)위드어스커뮤니케이션즈 디자이너, 제조업체, 소비자 통합연결 플랫폼 기반 디자인제조서비스 지원 시스템
KR20210103254A (ko) 2020-02-13 2021-08-23 (주)휴넷가이아 비콘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형 매장 안내 시스템
KR20210157741A (ko)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피아몬드 인증된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 체크인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72849A (zh) 帕菲特利perfitly ar/vr平台
CN114902312A (zh) 用于提供技术支持的、可信的、表现反馈和体验式学习系统的系统和方法
US11796983B2 (en) Data modeling and asset management using an industrial information hub
CN106576114A (zh) 基于策略的资源管理和分配系统
US20200320454A1 (en) Resource planning having improved visualization
US11415969B2 (en) Connectivity to an industrial information hub
Casado-Vara et al. Cooperative algorithm to improve temperature control in recovery unit of healthcare facilities
US20230300140A1 (en) Industrial automation secure remote access
EP4120033A1 (en) Digital engineering virtual machine infrastructure
KR102442694B1 (ko) 인력 매칭 시스템
Stary Can a ‘Metaverse by Design’Benefit from Digital Process Twins?
WO2019168224A1 (ko)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43439B1 (ko) 의류 공유 및 코디네이션 방법
Zhao et al. A 3D virtual shopping mall that has the intelligent virtual purchasing guider and cooperative purchasing functionalities
KR20230100611A (ko) 패션스타일 개발을 위한 온라인 디자인 협업 시스템 및 방법
US20210374199A1 (e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he data communication system
EP4120113A1 (en) Digital engineering secure remote access
Shams et al. Towards 3D virtual dressing room based user-friendly metaverse strategy
KR10239216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스타일 추천과 스타일 피팅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Thomopoulos et al. Multi-biometrics operational performance assessment with the use of iCrowd simulator
WO2021234742A1 (en) Openmall process and method of social commer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Yitmen et al. Integration of Digital Twins, Blockchain and AI in Metaverse: Enabling Technologies and Challenges
Shah et al. A framework for designing self-sustaining ecosystems with Blockchain
KR102568001B1 (ko) O2o 기반 사용자 맞춤형 온라인 수선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shritha et al. Activity theory based approach for requirements analysis of Android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