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289A -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289A
KR20230100289A KR1020210190028A KR20210190028A KR20230100289A KR 20230100289 A KR20230100289 A KR 20230100289A KR 1020210190028 A KR1020210190028 A KR 1020210190028A KR 20210190028 A KR20210190028 A KR 20210190028A KR 20230100289 A KR20230100289 A KR 20230100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rmature
magnetic
magnetic module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호
차동은
이상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289A/ko
Priority to US17/875,261 priority patent/US20230203852A1/en
Priority to DE102022208341.5A priority patent/DE102022208341A1/de
Priority to CN202211035041.5A priority patent/CN116357172A/zh
Publication of KR2023010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8Electrical using electromagnets or solen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0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w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therefor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결합되어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배치된 아마추어; 도어프레임에 아마추어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마련된 제1자성체의 회전에 의한 자기회로변경을 통해 자기력에 의해 아마추어와 접촉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아마추어와 이격되어 고정해제가 되는 마그네틱 모듈;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에서 감지한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및 방법{DOOR LOCK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마그네틱 모듈을 이용한 도어의 락킹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를 잠그는 래치장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체에 스트라이커가 고정되며, 도어에 파울과 래치기어를 포함한 래치장치가 설치된다. 도어에 설치된 래치장치는 도어와 함께 회전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려서 도어의 회전을 구속한다.
도어용 래치장치는 인사이드 핸들, 아웃사이드 핸들 및 인사이드 노브 등의 작동에 따라 동작되며, 래치장치를 작동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도어의 래치는 기계적으로 락킹 또는 락킹을 해지하기 위해 다양한 부품이 요구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조 과정이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6-0059566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어프레임에 마그네틱 모듈을 결합하고, 도어에 마그네틱 모듈에 대응되는 위치에 아마추어를 결합하여 마그네틱 모듈의 작동을 통해 도어를 락킹하거나 또는 락킹을 해지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은 도어 또는 도어가 개폐되는 도어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아마추어; 도어 또는 도어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아마추어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마련된 제1자성체의 회전에 의한 자기회로변경을 통해 자기력에 의해 아마추어와 접촉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아마추어와 이격되어 고정해제가 되는 마그네틱 모듈;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에서 감지한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마그네틱 모듈에는 일측에 제1자성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아마추어측으로 연장된 제1접촉부, 제1자성체에서 아마추어 측으로 연장된 제2접촉부 및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제2자성체가 마련되어 제1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자기회로가 변경되어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가 아마추어와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네틱 모듈에는 제1접촉부에 감겨지도록 배치되고 제어부와 연결된 코일이 더 포함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코일의 자기력 방향이 변경되어 제1자성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아마추어 측이 개방되고 마그네틱모듈이 내부로 수납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서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으로 배치되고, 아마추어 측으로 연장된 가이드핀; 및 베이스플레이트와 가이드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제2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자기회로가 변경시 가이드핀을 따라 마그네틱 모듈이 아마추어 측으로 이동되어 아마추어와 결합되거나 아마추어와 결합이 해지되며 가이드핀을 따라 아마추어의 반대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핀에는 마그네틱 모듈이 아마추어 측으로 이동시 마그네틱 모듈과 아마추어의 충격력을 감소하기 위해 마그네틱 모듈과 아마추어가 접촉하는 위치에서 연결플레이트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된 부시가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핀에는 연결플레이트의 후면과 후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하부와 연결되고, 마그네틱 모듈이 아마추어와 결합이 해체시 탄성에 의해 아마추어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아마추어는 도어에 배치되고, 마그네틱모듈 및 하우징은 도어 프레임에 배치되며, 하우징에는 도어프레임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를 통해 사용자는 물리적으로 제1자성체를 회전시켜 도어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제1접촉부에는 일측 단부가 챔퍼된 챔퍼부가 형성되고, 아마추어에는 챔퍼부에 대응되게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포함될 수 있다.
마그네틱 모듈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도어가 패쇄된 상태에서 아마추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를 더 포함하고, 감지부는 제1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정보 통해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어의 힌지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제2홀센서;를 더 포함하고, 감지부는 제2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정보 통해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도어 개폐 의사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감지부에서 도어의 폐쇄가 감지된 상태에서,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도어 개폐 의사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방법은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하는 단계에서 감지한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감지하는 단계에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감지한 이후 사용자의 도어 개폐 의사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어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단계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도어 개폐 의사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을 제어하여 아마추어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은 도어프레임에 마그네틱 모듈을 결합하고, 도어에 마그네틱 모듈에 대응되는 위치에 아마추어를 결합하여 마그네틱 모듈의 작동을 통해 도어를 락킹하거나 또는 락킹을 해지하도록 하여 종래의 도어의 래치와 같이 복잡한 구조의 락킹 장치에 대비하여 부품 수가 축소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이에 따른 제조공정을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그네틱 모듈에 마련된 코일의 전류 흐름 제어를 통해 제1자성체의 회전을 제어하여 마그네틱 모듈과 아마추어를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지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간단한 전류 제어를 통해 도어를 락킹하거나 또는 락킹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의 마그네틱 모듈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의 마그네틱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의 마그네틱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에 포함된 개방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의 제2홀센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 감지부(20) 및 입력부(30) 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의 마그네틱 모듈(200)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의 마그네틱 모듈(20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의 마그네틱 모듈(200)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의 하우징(310)에 포함된 개방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의 제2홀센서(500)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락킹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 적용되어 차량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를 락킹하거나 도어의 락킹을 해제하는 락킹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의 도어를 락킹하거나 락킹을 해제 위해 기계적으로 래치를 락킹하거나 또는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계적 락킹 장치는 여러 가지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이에 따라 제조 과정이 길어지며, 또한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자성체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락킹하는 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은 구체적으로 도어 또는 도어가 개폐되는 도어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아마추어(100); 도어 또는 도어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아마추어(1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마련된 제1자성체(210)의 회전에 의한 자기회로변경을 통해 자기력에 의해 아마추어(100)와 접촉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아마추어(100)와 이격되어 고정해제가 되는 마그네틱 모듈(200);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20); 및 감지부(20)에서 감지한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마추어는 도어에 결합되고, 마그네틱 모듈은 도어프레임에 결합되어 도어를 락킹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아마추어(100)는 도어가 폐쇄된 방향으로 도어에 장착되며 자성체와 결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틱 모듈(200)은 도어의 프레임 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자성제가 회전됨에 따라 내부의 자기회로가 변경되며, 변경된 자기회로에 따라 아마추어(100)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추어(100)는 도어가 폐쇄시 마그네틱 모듈(200)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마그네틱 모듈(200)은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제1자성체(210)를 회전시키고, 자기경로가 변경됨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200)이 아마추어(100)와 결합되어 도어가 락킹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제1자성제의 N극 및 S극의 방향에 따라 자기회로가 변경시 도어가 락킹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락킹된 상태에서 락킹을 해제시 제1자성체(210)의 N극 및 S극의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자기회로가 변경되며 마그네틱 모듈(200)과 아마추어(100)의 자기력에 의한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감지부(20)는 도어의 폐쇄상태 또는 아마추어(1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10)는 감지부(20)에서 도어의 폐쇄상태를 확인한 정보를 기반으로 마그네틱 모듈(200)을 제어하여 도어라 락킹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종래의 기계적으로 도어를 락킹하는 구성에 대비하여 단순하게 마그네틱 모듈(200)의 제어를 통해 간단하게 도어를 락킹하거나 락킹을 해제에 따라 제조과정의 단순화 및 제조원가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그네틱 모듈(200)의 실시예로서 마그네틱 모듈(200)에는 일측에 제1자성체(21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220), 베이스플레이트(220)의 타측에서 아마추어(100)측으로 연장된 제1접촉부(230), 제1자성체(210)에서 아마추어(100) 측으로 연장된 제2접촉부(240) 및 제1접촉부(230)와 제2접촉부(240)를 연결하는 제2자성체(250)가 마련되어 제1자성체(210)의 회전에 따라 자기회로가 변경되어 제1접촉부(230)와 제2접촉부(240)가 아마추어(100)와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20), 제1접촉부(230) 및 제2접촉부(240)는 모두 자기력이 통하는 반자성체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자성체(210) 및 제2자성체(250)는 항자성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마추어(100) 또한 반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20)의 일측에는 제1자성체(210)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220)의 타측에는 아마추어(100) 측으로 연장된 제1접촉부(230)가 마련되고 제1자성체(210)에서 아마추어(100) 측으로 연장된 제2자성체(250)가 마련되어 제1첩촉부와 제2접촉부(240)는 아마추어(100)와 접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성체(210)의 양단부에는 베어링(211)이 결합될 수 있으며, 베어링(211)은 베어링하우징(212)에 결합되고 베어링하우징(212)은 베이스플레이트(220)와 제2접촉부(24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접촉부(230)와 제2접촉부(240) 사이를 연결하며, 고정된 제2자성체(250)가 마련되고, 제1자성체(210)의 회전에 따라 제2자성체(250)와 제1자성체(210)가 마주하는 자극이 동일하거나 상반됨에 따라 자기회로가 변경되며 아마추어(100)와 제1접촉부(230) 및 제2접촉부(240)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마그네틱 모듈(200)에는 제1접촉부(230)에 감겨지도록 배치되고 제어부(10)와 연결된 코일(260)이 더 포함되고,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코일(260)의 자기력 방향이 변경되어 제1자성체(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자성체(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실시예로서, 제1접촉부(230)에 감기도록 마련된 코일(260)이 형성되고, 코일(260)은 제어부(10)와 연결되어 제어부(10)에서 제어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자기장의 흐름이 변화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6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른 자기장 흐름 변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자성체(250)의 자극의 방향이 바뀌도록 회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자성체(210)와 제2자성체(250)가 마주하는 자극이 서로 같도록 위치되어 자기회로가 변경되면서 아마추어(100)와 마그네틱 모듈(200)이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제1자성체(210)와 제2자성체(250)가 마주하는 자극이 서로 다르도록 위치되어 자기회로가 변경되면서 아마추어(100)와 마그네틱 모듈(200)의 고정이 해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코일(260)의 흐르는 전류의 흐름 방향의 변화로 제2자성체(25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물의 모터가 없이 제2자성체(25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제조 단순화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마추어(100) 측이 개방되고 마그네틱 모듈(200)이 내부로 수납되는 하우징(310); 하우징(310) 내부에서 베이스플레이트(220)의 양측으로 배치되고, 아마추어(100) 측으로 연장된 가이드핀(321); 및 베이스플레이트(220)와 가이드핀(321)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323);를 더 포함하고, 제2자성체(250)의 회전에 따라 자기회로가 변경시 가이드핀(321)을 따라 마그네틱 모듈(200)이 아마추어(100) 측으로 이동되어 아마추어(100)와 결합되거나 아마추어(100)와 결합이 해지되며 가이드핀(321)을 따라 아마추어(100)의 반대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모듈(200)은 도어프레임에 결합된 하우징(3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으며, 하우징(310) 내부에는 아마추어(100)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핀(321)이 마련되고, 베이스플레이트(220)에는 가이드핀(321)와 연결되도록 결합된 연결플레이트(32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그네틱 모듈(200)을 아마추어(100)와 결합이 해지된 상태에서는 하우징(310) 내부에 수납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제2자성제의 회전에 의해 자기회로가 변경시 마그네틱 모듈(200)은 가이드핀(321)이 연장된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이 가이드되어 아마추어(100)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핀(321)에는 마그네틱 모듈(200)과 아마추어(100)가 접촉하는 위치에서 연결플레이트(323)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된 부시(322)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모듈(200)이 자성에 의해 아마추어(100)와 결합시 하우징(310) 내부에서 하우징(310) 외부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제1접촉부(230), 제2접촉부(240) 또는 아마추어(10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핀(321)에는 하단부에서 마그네틱 모듈(200)이 아마추어(100) 측으로 이동되는 길이만큼 이격되어 마련된 부시(322)가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틱 모듈(200)과 아마추어(100)가 접촉되기 위해 마그네틱 모듈(200)이 아마추어(100) 측으로 이동시 연결플레이트(323)는 부시(322)와 접촉됨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200)과 아마추어(100)가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접촉부(230), 제2접촉부(240) 또는 아마추어(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핀(321)에는 연결플레이트(323)의 후면과 후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310)의 하부와 연결되고, 마그네틱 모듈(200)이 아마추어(100)와 결합이 해체시 탄성에 의해 아마추어(100)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32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마그네틱 모듈(200)과 아마추어(100)가 서로 고정된 상태에서 제1자성체(210)가 회전되어 마그네틱 모듈(200)과 아마추어(100)의 고정이 해제되면 마그네틱 모듈(200)을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310)의 내부로 수납되어야 한다.
이때 마그네틱 모듈(200)을 하우징(310) 내부로 수납시키기 위해 하우징(310) 내부의 수납공간 하면과 연결플레이트(323)의 하면을 연결하는 탄성부재(324)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310) 외부로 돌출된 마그네틱 모듈(200)을 탄성부재(324)의 탄성에 의해 하우징(310) 내부로 수납할 수 있다.
하우징(310)에는 도어프레임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를 통해 사용자는 물리적으로 제1자성체(210)를 회전시켜 도어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의 내측에는 하우징(310)의 개방할 수 있는 개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틱 모듈(200)이 아마추어(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기적 신호의 오류와 같이 마그네틱 모듈(200)을 정상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시 도어를 물리적으로 개방시켜야 한다, 이때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개방부를 개방하고 물리적으로 제1자성체(21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200)의 자기회로가 변경되어 마그네틱 모듈(200)과 아마추어(100)의 고정이 해지될 수 있다.
또한, 개방부 내부로 사용자의 손 또는 공구를 통해 제1자성체(210)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1자성체(210)의 회전축에는 회전가이드(21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의 락킹을 물리적으로 해제하여 위급상황에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접촉부(230)에는 일측 단부가 챔퍼된 챔퍼부(231)가 형성되고, 아마추어(100)에는 챔퍼부(231)에 대응되게 경사진 경사부(111)가 형성되도록 돌출된 돌출부(110)가 포함될 수 있다.
제1접촉부(230)의 단부의 일측 모서리에는 챔퍼된 챔퍼부(2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아마추어(100)에는 챔퍼부(231)에 대응되는 경사부(111)가 마련되도록 돌출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그네틱 모듈(200)과 아마추어(100)가 결합시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경사부(111)가 가이드할 수 있으며, 또한 아마추어(100)와 마그네틱 모듈(200) 사이의 실링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그네틱 모듈(200)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아마추어(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400);를 더 포함하고, 감지부(20)는 제1홀센서(400)에서 감지된 감지정보 통해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에는 아마추어(100)가 마그네틱 모듈(20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 아마추어(100)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 제1홀센서(40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홀센서(400)는 도어가 폐쇄된 이후 아마추어(100)가 마그네틱 모듈(200)과 대응되는 정상위치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부(20)와 연결되어 감지부(20)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후 감지부(20)에서 감지신호를 제어부(10)에 전달하게 되며 제어부(10)는 마그네틱 모듈(2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그네틱 모듈(200)과 아마추어(100)를 정확한 위치에서 마그네틱 모듈(200)이 작동되어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홀센서(400)에서 아마추어(100)가 마그네틱 모듈(200)과 대응되는 위치가 아닌 것으로 감지될 경우 감지부(20)는 도어가 폐쇄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고 제어부(10)는 마그네틱 모듈(200)을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어의 힌지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제2홀센서(500);를 더 포함하고, 감지부(20)는 제2홀센서(500)에서 감지된 감지정보 통해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어가 회전되는 힌지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도어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도어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도어가 정상 폐쇄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2홀센서(500)는 도어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아마추어(100)가 마그네틱 모듈(200)과 대응되는 정상위치를 예측하게 되면 감지부(20)와 연결되어 감지부(20)에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후 감지부(20)에서 감지신호를 제어부(10)에 전달하게 되며 제어부(10)는 마그네틱 모듈(2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그네틱 모듈(200)과 아마추어(100)를 정확한 위치에서 마그네틱 모듈(200)이 작동되어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홀센서(500)에서 도어가 정상 폐쇄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될 경우 감지부(20)는 도어가 폐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10)는 마그네틱 모듈(200)을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의 도어 개폐 의사가 입력되는 입력부(3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0)는 감지부(20)에서 도어의 폐쇄가 감지된 상태에서, 입력부(30)에 입력된 사용자의 도어 개폐 의사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입력부(30)는 사용자의 도어 개폐 의사가 입력되는 입력부(30)가 마련되고 입력부(30)는 도어의 개폐 의사 신호를 제어부(10)에 전달하며 제어부(10)는 도어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20)에서 도어의 정상 폐쇄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입력부(30)에서 도어 개폐 의사가 입력되더라도 제어부(10)는 마그네틱 모듈(200)을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락킹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락킹 제어 방법은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1); 및 감지하는 단계(S11)에서 감지한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S13);를 포함한다.
감지하는 단계에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감지한 이후 사용자의 도어 개폐 의사가 입력되는 단계(S23);를 더 포함하고, 제어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단계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도어 개폐 의사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200)을 제어하여 아마추어(100)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의사가 입력되는 단계(S12)에서 도어의 개방의사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하는 단계(S13)는 아마추어(100)와 마그네틱 모듈(200)의 고정을 해지하도록 마그네틱 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제어부
20 : 감지부
30 : 입력부
100 : 아마추어
110 : 돌출부
111 : 경사부
200 : 마그네틱 모듈
210 : 제1자성체
211 : 베어링
212 : 베어링하우징
220 : 베이스플레이트
230 : 제1접촉부
231 : 챔퍼부
240 : 제2접촉부
250 : 제2자성체
260 : 코일
310 : 하우징
321 : 가이드핀
322 : 부시
323 : 연결플레이트
324 : 탄성부재
400 : 제1홀센서
500 : 제2홀센서

Claims (13)

  1. 도어 또는 도어가 개폐되는 도어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아마추어;
    도어 또는 도어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아마추어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마련된 제1자성체의 회전에 의한 자기회로변경을 통해 자기력에 의해 아마추어와 접촉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아마추어와 이격되어 고정해제가 되는 마그네틱 모듈;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에서 감지한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마그네틱 모듈에는 일측에 제1자성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아마추어측으로 연장된 제1접촉부, 제1자성체에서 아마추어 측으로 연장된 제2접촉부 및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제2자성체가 마련되어 제1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자기회로가 변경되어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가 아마추어와 접촉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마그네틱 모듈에는 제1접촉부에 감겨지도록 배치되고 제어부와 연결된 코일이 더 포함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코일의 자기력 방향이 변경되어 제1자성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아마추어 측이 개방되고 마그네틱모듈이 내부로 수납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서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으로 배치되고, 아마추어 측으로 연장된 가이드핀; 및
    베이스플레이트와 가이드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제2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자기회로가 변경시 가이드핀을 따라 마그네틱 모듈이 아마추어 측으로 이동되어 아마추어와 결합되거나 아마추어와 결합이 해지되며 가이드핀을 따라 아마추어의 반대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가이드핀에는 마그네틱 모듈이 아마추어 측으로 이동시 마그네틱 모듈과 아마추어의 충격력을 감소하기 위해 마그네틱 모듈과 아마추어가 접촉하는 위치에서 연결플레이트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된 부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가이드핀에는 연결플레이트의 후면과 후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하부와 연결되고, 마그네틱 모듈이 아마추어와 결합이 해체시 탄성에 의해 아마추어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아마추어는 도어에 배치되고, 마그네틱모듈 및 하우징은 도어 프레임에 배치되며,
    하우징에는 도어프레임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를 통해 사용자는 물리적으로 제1자성체를 회전시켜 도어의 락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접촉부에는 일측 단부가 챔퍼된 챔퍼부가 형성되고,
    아마추어에는 챔퍼부에 대응되게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마그네틱 모듈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도어가 패쇄된 상태에서 아마추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를 더 포함하고,
    감지부는 제1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정보 통해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의 힌지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제2홀센서;를 더 포함하고,
    감지부는 제2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정보 통해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도어 개폐 의사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감지부에서 도어의 폐쇄가 감지된 상태에서,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도어 개폐 의사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12. 청구항 1의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하는 단계에서 감지한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감지하는 단계에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감지한 이후 사용자의 도어 개폐 의사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어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단계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도어 개폐 의사에 따라 마그네틱 모듈을 제어하여 아마추어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락킹 제어 방법.
KR1020210190028A 2021-12-28 2021-12-28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0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028A KR20230100289A (ko) 2021-12-28 2021-12-28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7/875,261 US20230203852A1 (en) 2021-12-28 2022-07-27 Door lock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DE102022208341.5A DE102022208341A1 (de) 2021-12-28 2022-08-11 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 türverriegelung
CN202211035041.5A CN116357172A (zh) 2021-12-28 2022-08-26 门闭锁控制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028A KR20230100289A (ko) 2021-12-28 2021-12-28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289A true KR20230100289A (ko) 2023-07-05

Family

ID=8669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028A KR20230100289A (ko) 2021-12-28 2021-12-28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03852A1 (ko)
KR (1) KR20230100289A (ko)
CN (1) CN116357172A (ko)
DE (1) DE10202220834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566A (ko) 2014-11-18 2016-05-2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566A (ko) 2014-11-18 2016-05-27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03852A1 (en) 2023-06-29
CN116357172A (zh) 2023-06-30
DE102022208341A1 (de)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0742B1 (en) Device at lock
US8454061B2 (en) Latch system
US8020903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EP2912246B1 (en) Improved rotary blocking device
EP3498947A1 (en) Door latch actuation means
US20090277231A1 (en) Apparatus For Door Lock
EP3589809B1 (en) Locking module
JP2014210453A (ja) 車両用ドア構造
AU2020216500B2 (en) Motorized trim
JP2007319536A (ja) 遊技機
KR20080088409A (ko) 도어록 장치
KR20230100289A (ko) 도어의 락킹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3918766B2 (ja) 媒体自動交換機
US7118038B2 (en) Card reader
US20180106073A1 (en) Key monitoring door lock, door lock ke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JP2005267130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H08277666A (ja) ロッカー装置
US20230304329A1 (en) Position sensing system for a latch using a common sensor
KR100543957B1 (ko) 문 잠금장치
JPH05156847A (ja) 鍵管理機における鍵管理施錠一斉解除装置
JP3182258B2 (ja) 鍵管理機
US7827570B2 (en) Cartridge locking mechanism and tray locking mechanism for cartridge drive apparatus
JPH059402Y2 (ko)
JPH0453423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