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150A -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 Google Patents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150A
KR20230100150A KR1020210189809A KR20210189809A KR20230100150A KR 20230100150 A KR20230100150 A KR 20230100150A KR 1020210189809 A KR1020210189809 A KR 1020210189809A KR 20210189809 A KR20210189809 A KR 20210189809A KR 20230100150 A KR20230100150 A KR 20230100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cutting
corner
cutting edg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037B1 (ko
Inventor
박근우
바부스킨 안톤
김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지-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지-원
Priority to KR1020210189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037B1/ko
Publication of KR20230100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23C5/205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characterised by chip-breaker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05Hexago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8Rake or top surfaces
    • B23C2200/086Rake or top surfaces with one or more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5Fixation bolts

Abstract

본 발명은 피삭재를 절삭 가공할 수 있는 절삭 인서트와 이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절삭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3개의 둔각 코너부와 3개의 예각 코너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면부와 회전대칭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하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어느 한 변(Side)과 그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상기 하면부의 어느 한 변을 평평한 형상의 평면으로 연결하는 주측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어느 한 예각 코너부와 그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상기 하면부의 어느 한 예각 코너부를 볼록한 형상의 곡면으로 연결하는 코너 측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어느 한 둔각 코너부와 그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상기 하면부의 어느 한 둔각 코너부를 오목한 형상의 곡면으로 연결하는 측면 그루브와,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주측면부 및 상기 코너 측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하면부와 상기 주측면부 및 상기 코너 측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절삭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본 발명은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피삭재를 절삭 가공할 수 있는 절삭 인서트와 이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절삭 공구에 관한 것이다.
절삭 공구는, 절삭 가공을 하는 범용 또는 전용 공작기계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금속을 자르거나 깎는데 사용되는 공구로서, 그 대표적인 예로는 선반, 밀링 등의 공작기계에 널리 사용되는 절삭 바이트가 있다. 이러한, 절삭 공구는, 일측에 절삭날을 구비한 초경합금체의 절삭 인서트를 공구 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인서트 포켓에 클램프 나사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는 날끝 교환식 회전 절삭 공구가 실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날끝 교환식 회전 절삭 공구는, 복수의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어, 강이나 주철 등의 피삭재에 대하여 절삭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삭 인서트를 사용한 금속 가공에 있어서, 그 가공 방식은 크게 선반 가공과 밀링 가공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중, 밀링 가공의 일종인 직각 가공은, 피삭재의 바닥면과 측면이 수직을 이루도록 가공하는 방식으로서,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직각 가공에 사용되는 절삭 인서트로서, 미국등록특허 제6,142,716호에는 2개의 코너를 사용할 수 있는 포지티브 타입의 절삭 인서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형태의 절삭 인서트는 상하면을 뒤집어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국등록특허 제7,455,483호에는 총 6개의 코너를 사용할 수 있는 네거티브 타입의 절삭 인서트를 개시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삭 인서트를 사용한 직각 가공에서는, 피삭재로부터 생성되는 절삭 칩이 절삭 인서트와의 가공 측면에 끼이기 쉽고, 절삭 칩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절삭 인서트와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피삭재의 가공면 품질이 저하되고, 공구의 손상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절삭 인서트는, 가혹한 가공 조건에서 사용하기에는 충분한 강성을 갖추고 있지 않아, 피삭재의 절삭 가공 중에서 쉽게 마모가 발생하거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상존하여, 원활한 금속 가공에 있어서 공구의 강성을 개선하는 것이 여전히 주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삭재의 절삭 가공 시 절삭 칩의 끼임 및 충돌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칩 플로우를 구현함으로써, 피삭재의 가공면 품질을 향상시키고 공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구의 강성을 개선하여 가공 부하가 높은 절삭 조건에서도 우수한 강성을 발휘함으로써, 공구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인서트가 제공된다. 상기 절삭 인서트는, 3개의 둔각 코너부와 3개의 예각 코너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면부와 회전대칭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의 어느 한 변(Side)과 그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상기 하면부의 어느 한 변을 평평한 형상의 평면으로 연결하는 주측면부; 상기 상면부의 어느 한 예각 코너부와 그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상기 하면부의 어느 한 예각 코너부를 볼록한 형상의 곡면으로 연결하는 코너 측면부; 상기 상면부의 어느 한 둔각 코너부와 그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상기 하면부의 어느 한 둔각 코너부를 오목한 형상의 곡면으로 연결하는 측면 그루브;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주측면부 및 상기 코너 측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하면부와 상기 주측면부 및 상기 코너 측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절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부는, 어느 한 코너 측면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코너 절삭날; 상기 어느 한 코너 측면부의 일단과 접하는 어느 한 주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상기 코너 절삭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주절삭날; 및 상기 어느 한 코너 측면부의 타단과 접하는 다른 주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상기 코너 절삭날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부절삭날;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와 상기 측면 그루브가 교차하는 부분 및 상기 하면부와 상기 측면 그루브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상기 절삭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면부를 평면으로 하는 평면도 상에서, 상기 주절삭날과 상기 부절삭날은,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절삭날과 상기 부절삭날은, 91도 내지 93도 범위 내에서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면부를 평면으로 하는 평면도 상에서, 상기 측면 그루브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의 만곡점이, 전체적으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상면부의 6개의 각 변과 접하는 가상의 내접원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측면 그루브는, 1.0mm 내지 2.0mm 범위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한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사이에서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주측면부와 상기 코너 측면부 및 상기 측면 그루브를 양분하는 가상의 중간 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주측면부를 평면으로하는 측면도 상에서, 상기 주절삭날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코너 절삭날의 일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 평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부절삭날은,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코너 절삭날의 타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 평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코너 절삭날은,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주절삭날과 상기 부절삭날을 연결하고, 상기 부절삭날과 접하는 타단으로부터 상기 주절삭날과 접하는 일단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 평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는, 절삭 공구의 인서트 포켓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부의 주변을 따라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지지면; 및 상기 주절삭날이 시작되는 상기 측면 그루브의 인근으로부터 상기 주절삭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코너 절삭날 인근까지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칩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칩 리세스는, 상기 주절삭날이 시작되는 상기 측면 그루브의 인근으로부터 상기 코너 절삭날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측면부는, 상기 상면부 측 또는 상기 하면부 측으로부터 평평한 평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상부 지지면 또는 상기 하면부의 하부 지지면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여유면; 및 상기 제 1 여유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면부 측 또는 상기 상면부 측까지 상기 제 1 여유면과 소정의 경사 각도를 이루도록 평평한 평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상기 상부 지지면 및 상기 하면부의 상기 하부 지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2 여유면;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측면부는, 상기 상면부 측 및 상기 하면부 측으로부터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상기 상부 지지면 또는 상기 하면부의 상기 하부 지지면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 여유면; 및 각각 상기 상면부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한 쌍의 제 3 여유면의 각 단부 서로를 연결할 수 있도록,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상기 상부 지지면 및 상기 하면부의 상기 하부 지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4 여유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여유면과 상기 제 2 여유면 간의 상기 소정의 경사 각도는, 17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공구가 제공된다. 상기 절삭 공구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에 복수의 인서트 포켓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등각 또는 부등분할로 배치되는 공구 본체; 및 상기 인서트 포켓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절삭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포켓은, 상기 절삭 인서트의 상기 상면부 또는 상기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는 제 1 벽부; 및 각각 상기 제 1 벽부를 기준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절삭 인서트의 상기 주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는 복수의 제 2 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인서트의 절삭부의 단부와 인접한 코너부 측면에 오목한 통로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 그루브 및 상기 측면 그루브로 절삭 칩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상면부 및 하면부에서 절삭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측면 그루브를 향해 갈수록 그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칩 리세스를 형성함으로써, 피삭재의 절삭 가공 시 절삭부로부터 발생한 절삭 칩의 흐름을 상기 측면 그루브 및 칩 리세스를 통해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삭재의 절삭 가공 시 절삭 칩의 끼임 및 충돌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피삭재의 가공면 품질을 향상시키고 공구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절삭부의 주절삭날과 부절삭날이 이루는 각도 및 주측면부를 이루는 제 1 여유면 및 제 2 여유면이 이루는 각도를 둔각으로 형성하여, 절삭 인서트의 강성을 전체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가공 부하가 높은 절삭 조건에서도 우수한 강성을 발휘하여, 절삭 인서트의 수명을 향상시키면서 고능률의 절삭 가공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삭 인서트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삭 인서트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절삭 인서트의 평면의 윤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절취선 A-A를 따라 취한 절삭 인서트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절단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C”부분 및 “D”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들이다.
도 10은 도 1의 절삭 인서트가 절삭 공구의 인서트 포켓에 장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의 절삭 인서트와 종래의 절삭 인서트의 성능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실험 결과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삭 인서트(100)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절삭 인서트(100)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절삭 인서트(100)의 평면의 윤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2의 절취선 A-A를 따라 취한 절삭 인서트(100)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절단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C”부분 및 “D”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들이며, 도 10은 도 1의 절삭 인서트가 절삭 공구의 인서트 포켓에 장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100)는, 크게, 상면부(10)와, 하면부(20)와, 주측면부(30)와, 코너 측면부(40)와, 측면 그루브(50)와, 관통홀부(60) 및 절삭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인서트(100)는, 전체적으로 육각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면부(10)와, 하면부(20) 및 상면부(10)와 하면부(20)를 연결하는 복수의 주측면부(30)와 복수의 코너 측면부(40)와 측면 그루브(50)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절삭 인서트(100)의 상면부(10) 및 상면부(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부(10)와 회전대칭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하면부(20)는, 3개의 예각 코너부(C1)와 3개의 둔각 코너부(C2)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면부(10)는, 3개의 예각 코너부(C1)와 3개의 둔각 코너부(C2)를 포함하여 총 6개의 코너부를 가져 전체적으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될 절삭 공구(1000)의 공구 본체(200)의 인서트 포켓(21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관통홀부(60)의 주변을 따라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상부 지지면(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면부(20)는, 상면부(10)와 동일한 형상으로써, 상부 지지면(11)과 동일한 형상의 하부 지지면(21)을 포함하고, 상면부(10)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180도 회전대칭된 형상으로 상면부(10)와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면부(10)와 하면부(20)는, 상면부(10)와 하면부(20) 사이에서 상면부(10) 및 하면부(20)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주측면부(30)와 코너 측면부(40) 및 측면 그루브(50)를 양분하는 가상의 중간 평면(M) 상에서, 관통홀부(60)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 1 중심축(C1)과 어느 한 예각 코너부(C1)의 만곡부를 통과하는 가상의 제 2 중심축(A2)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 후술될 절삭부(70)를 포함하는 상면부(10) 및 하면부(20)는, 제 2 중심축(A2)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부(10) 측에 형성된 절삭부(70)와 하면부(20) 측에 형성된 절삭부(70) 또한 제 2 중심축(A2)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부(10) 또는 하면부(20)가 공구 본체(200)의 인서트 포켓(210)과의 장착면으로 작용할 때, 나머지 다른 하면부(20) 또는 상면부(10)가 절삭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삭 인서트(100)는, 양면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주측면부(30)는, 상면부(10)의 어느 한 변(Side)과 그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하면부(20)의 어느 한 변을 평평한 형상의 평면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코너 측면부(40)는, 상면부(10)의 어느 한 예각 코너부(C2)와 그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하면부(20)의 어느 한 예각 코너부(C2)를 볼록한 형상의 곡면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측면 그루브(50)는, 상면부(10)의 어느 한 둔각 코너부(C1)와 그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하면부(20)의 어느 한 둔각 코너부(C1)를 오목한 형상의 곡면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주측면부(30)는, 전체적으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면부(10)와 하면부(20)의 각 변을 연결할 수 있도록, 6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너 측면부(40)와 측면 그루브(50)는, 상면부(10)와 하면부(20)의 각 변 사이를 연결하는 상면부(10)와 하면부(20)의 3개의 예각 코너부(C1)와 3개의 둔각 코너부(C2)를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각각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주측면부(30)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상면부(10)와 하면부(20)의 각 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평평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코너 측면부(4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면부(10)와 하면부(20)의 각 예각 코너부(C1)를 연결할 수 있도록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 그루브(50)는, 후술될 절삭부(70)에서 발생하는 절삭 칩이 배출되는 유동 통로로서의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면부(10)와 하면부(20)의 각 둔각 코너부(C2)를 오목한 형상의 곡면으로 연결하여, 오목한 통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너 측면부(40) 및 측면 그루브(50)는, 각각 예각 코너부(C1) 및 둔각 코너부(C2)에서 양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두 개의 주측면부(30)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과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측면부(30)는, 상면부(10) 측 또는 하면부(20) 측으로부터 평평한 평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면부(10)의 상부 지지면(11) 또는 하면부(20)의 하부 지지면(21)을 기준으로 둔각(a3, 도 9 상에서는 상부 지지면(11) 및 하부 지지면(2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중간 평면(M)을 기준으로 각도를 표현함)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여유면(31) 및 제 1 여유면(31)의 단부로부터 하면부(20) 측 또는 상면부(10) 측까지 제 1 여유면(31)과 소정의 경사 각도를 이루도록 평평한 평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면부(10)의 상부 지지면(11) 및 하면부(20)의 하부 지지면(21)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2 여유면(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여유면(31)은, 제 2 여유면(32)의 최대 폭 대비 10% 내지 20%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후술될 절삭부(70)의 주절삭날(71)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여유면(31)이 제 2 여유면(32)에 대하여 이루는 상기 소정의 경사 각도는 170도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측면부(40)는, 상면부(10) 측 및 하면부(20) 측으로부터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면부(10)의 상부 지지면(11) 또는 하면부(20)의 하부 지지면(21)을 기준으로 둔각(a2, 도 8 상에서는 상부 지지면(11) 및 하부 지지면(2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중간 평면(M)을 기준으로 각도를 표현함)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 여유면(41) 및 각각 상면부(10)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면부(20)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제 3 여유면(41)의 각 단부 서로를 연결할 수 있도록,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면부(10)의 상부 지지면(11) 및 하면부(20)의 하부 지지면(21)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4 여유면(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여유면(41)은, 상술한 주측면부(30)의 제 1 여유면(31)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후술될 절삭부(70)의 코너 절삭날(73)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여유면(41)은, 제 1 여유면(31)과의 접점으로부터 제 2 여유면(32)의 접점으로 향할수록 제 4 여유면(42)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0도에 수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부(60)는, 상면부(10)와 하면부(2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절삭 인서트(100)를 공구 본체(200)의 인서트 포켓(210)에 체결 시 클램핑 홀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부(70)는, 상면부(10)와 주측면부(30) 및 코너 측면부(40)가 교차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과, 하면부(20)와 주측면부(30) 및 코너 측면부(40)가 교차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절삭부(70)는, 어느 한 코너 측면부(40)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코너 절삭날(73)과, 어느 한 코너 측면부(40)의 일단과 접하는 어느 한 주측면부(30)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코너 절삭날(73)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주절삭날(71) 및 어느 한 코너 측면부(40)의 타단과 접하는 다른 주측면부(30)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코너 절삭날(73)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부절삭날(7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10) 측을 기준으로 했을 때, 주절삭날(71)은, 코너 절삭날(73)의 일단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상의 중간 단면(M)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부절삭날(72)은,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코너 절삭날(73)의 타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중간 평면(M)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코너 절삭날(73)은,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주절삭날(71)과 부절삭날(72)을 연결하고, 부절삭날(72)과 접하는 타단으로부터 주절삭날(71)과 접하는 일단으로 갈수록 중간 평면(M)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절삭날(71)과, 부절삭날(72) 및 코너 절삭날(73)의 전구간은, 상면부(10)의 상부 지지면(11)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절삭부(70)의 절삭날 중 주절삭날(71)은, 코너 절삭날(73)의 일단으로부터 시작되어 측면 그루브(50)까지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면부(10) 측에 형성된 주절삭날(71)과, 부절삭날(72) 및 코너 절삭날(73)은, 제 2 중심축(A2)을 기준으로 상면부(10) 측에 형성된 주절삭날(71)과, 부절삭날(72) 및 코너 절삭날(73)과 180도 회전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너 절삭날(73)로부터 시작되어 연장된 주절삭날(71)이 끝나는 부분에 형성된 측면 그루브(50)에는, 절삭부(7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상면부(10)와 측면 그루브(50)가 교차하는 부분 및 하면부(20)와 측면 그루브(50)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절삭부(7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측면 그루브(50)의 기능은, 절삭이 아닌, 피삭재의 절삭 가공 시 절삭부(70)로부터 발생하는 절삭 칩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기능으로서, 특히 절입량이 큰 가공 조건에서, 절삭 칩의 원활한 배출 흐름을 유도하여 절삭 칩이 절삭 인서트(100)와 가공 측벽 사이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그루브(50)의 크기가 과도하게 크게 형성되면 절삭 가공에 적용 가능한 절입량이 줄어들고, 반대로 과도하게 작게 형성되면 절삭 칩의 배출 흐름 유도를 위한 충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그루브(50)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의 만곡점이, 전체적으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면부(10)의 6개의 각 변과 접하는 가상의 내접원(IC)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상의 내접원(IC)는, 상면부(10)의 부절삭날(72)이 형성된 측의 3개의 변과 접점(TP1)을 이루도록 접하고, 주절삭날(71)이 형성된 측의 다른 3개의 변과도 접점(TP2)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3개의 측면 그루브(50)의 만곡점 또한 가상의 내접원(IC)과 접점(TP3)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가상의 내접원(IC)은, 절삭 인서트(100)의 상면부(10)에서 총 9개의 접점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측면 그루브(50)는, 상면부(10)의 가상의 내접원(IC)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접점(TP1, TP2, TP3)을 이룰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때, 본 발명이 목표하는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측면 그루브(50)의 곡률 반경은, 1.0mm 내지 2.0mm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3mm 내지 1.7m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절삭 칩의 원활한 유동을 위한 가장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의 내접원(IC)을 기준으로하는 측면 그루브(50)의 구성은, 제 2 중심축(A2)을 기준으로 상면부(10)와 180도 회전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면부(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10)에는, 주절삭날(71)이 시작되는 측면 그루브(50)의 인근으로부터 주절삭날(7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코너 절삭날(73) 인근까지 길게 연장되도록, 상부 지지면(11)으로부터 오목하게 홈 형상으로 칩 리세스(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칩 리세스(12)는, 피삭재의 절삭 가공 시 절삭부(70)에서 발생되는 절삭 칩의 흐름을 측면 그루브(50) 측으로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주절삭날(71)이 시작되는 측면 그루브(50)의 인근으로부터 코너 절삭날(73)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절삭부(70)의 코너 절삭날(73)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주절삭날(71)의 시작점의 관점에서 보면, 측면 그루브(5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칩 리세스(12)의 폭이 점점 커지는 것으로서, 점점 폭이 커지는 방향으로 절삭 칩의 흐름을 유도하여, 절삭부(70)에서 발생하는 절삭 칩이 측면 그루브(50) 방향을 향하여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게 하는 원리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칩 리세스(12)는, 절삭 칩의 배출 시 관통홀부(60)의 근처에서 발생되는 터치를 감소시켜 크랙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고, 측면 그루브(50)의 작용과 연동되어 절삭 칩의 흐름을 양호하게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칩 리세스(12)는, 제 2 중심축(A2)을 기준으로 상면부(10)와 180도 회전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면부(20)에도 동일하게 형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부(70)의 주절삭날(71)과 부절삭날(72)은, 코너 절삭날(7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둔각(a1)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절삭 인서트(100)의 강성 향상을 위한 구성으로서, 주절삭날(71)과 부절삭날(72)은, 91도 내지 93도 범위 내에서 서로 둔각(a1)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주절삭날(71)과 부절삭날(72)이 이루는 둔각(a1)이 91도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절삭 인서트(100)의 강성이 충분히 향상되지 않을 수 있고, 주절삭날(71)과 부절삭날(72)이 이루는 둔각(a1)이 93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직각 가공에서 갖추어야 할 직각도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절삭부(70)의 주절삭날(71)과 부절삭날(72)이 91도 내지 93도 범위 내에서 서로 둔각(a1)을 이루는 구성은, 마찬가지로 둔각(a2, a3)을 이루는 주측면부(30)의 제 1 여유면(31)과 제 2 여유면(32)에 대한 구성 및 코너 측면부(40)의 한 쌍의 제 3 여유면(41)과 제 4 여유면(42)에 대한 구성과 결합되어, 절삭 인서트(100)의 강성 증대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절삭 인서트(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부(6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구(S)에 의해 공구 본체(200)의 인서트 포켓(210)에 장착되어, 절삭 공구(1000)를 이룰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절삭 공구(10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에 복수의 인서트 포켓(210)이 회전축(RA)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등각 또는 부등분할로 배치되는 공구 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구 본체(200)의 인서트 포켓(210)은, 절삭 인서트(100)의 상면부(10) 또는 하면부(20)의 적어도 일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삭 인서트(100)의 상면부(10) 또는 하면부(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는 제 1 벽부(211) 및 각각 제 1 벽부(211)를 기준으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절삭 인서트(100)의 주측면부(30)의 적어도 일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삭 인서트(100)의 주측면부(30)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는 복수의 제 2 벽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삭 인서트(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면형 타입으로서, 인서트 포켓(210)의 제 1 벽부(211)에 상면부(10)를 안착시키거나, 뒤집어서 하면부(20)를 안착시켜, 양면부(10, 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100) 및 절삭 공구(1000)에 따르면, 절삭 인서트(100)의 절삭부(70)의 단부와 인접한 코너부 측면에 오목한 통로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 그루브(50) 및 측면 그루브(50)로 절삭 칩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상면부(10) 및 하면부(20)에서 절삭부(7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측면 그루브(50)를 향해 갈수록 그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칩 리세스(12)를 형성함으로써, 피삭재의 절삭 가공 시 절삭부(70)로부터 발생한 절삭 칩의 흐름을 측면 그루브(50) 및 칩 리세스(12)를 통해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삭재의 절삭 가공 시 절삭 칩의 끼임 및 충돌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피삭재의 가공면 품질을 향상시키고 공구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절삭부(70)의 주절삭날(71)과 부절삭날(72)이 이루는 각도 및 주측면(30)부를 이루는 제 1 여유면(31) 및 제 2 여유면(32)이 이루는 각도를 둔각으로 형성하여, 절삭 인서트(100)의 강성을 전체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가공 부하가 높은 절삭 조건에서도 우수한 강성을 발휘하여, 절삭 인서트(100)의 수명을 향상시키면서 고능률의 절삭 가공을 실시할 수 있는 절삭 인서트(100) 및 절삭 인서트(100)가 장착되는 절삭 공구(10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상술한 기술적 사상을 적용한 실험 예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아래의 실험 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100)와 종래의 절삭 인서트의 성능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실험 결과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100)의 실시예와 종래 기술에 따른 비교예의 칩 터치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실험 결과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시예와 비교예를 각각 도포제로 코팅하여, Vc=200mm/min, F=0.13mm/z, Ap=3.0mm의 절삭 조건에서 가공을 실시한 후, 절삭 인서트에 남은 칩 터치 흔적을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에는, 절삭 칩이 절삭 인서트의 상면 내측 및 부절삭날 부근까지 충돌하여 깊은 흔적을 남긴 반면에, 실시예의 경우에는, 측면 그루브(50) 및 칩 리세스(12)에 의한 원활한 칩 플로우가 이루어짐으로써, 절삭 인서트와 절삭 칩의 과도한 접촉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100)의 실시예와 종래 기술에 따른 비교예의 절삭 테스트 결과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절삭 조건 Vc=250mm/min, Fz=0.12mm/z, Ap=3.0mm에서 피삭재 SCM440을 7.2m 가공한 후, 각각의 공구 상태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보다 실시예의 파손이 적다는 것이 확연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둔각으로 형성된 절삭 코너의 작용 효과와 주절삭날(71)을 따라 형성된 주측면부(30)의 제 1 여유면(31)의 작용 효과가 결합되면서 공구의 강성이 대폭 개선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상면부
11: 상부 지지면
12: 칩 리세스
20: 하면부
21: 하부 지지면
30: 주측면부
31: 제 1 여유면
32: 제 2 여유면
40: 코너 측면부
41: 한 쌍의 제 3 여유면
42: 제 4 여유면
50: 측면 그루브
60: 관통홀부
70: 절삭부
71: 주절삭날
72: 부절삭날
73: 코너 절삭날
100: 절삭 인서트
200: 공구 본체
210: 인서트 포켓
211: 제 1 벽부
212: 복수의 제 2 벽부
1000: 절삭 공구
A1: 제 1 중심축
A2: 제 2 중심축
RA: 회전축
C1: 예각 코너부
C2: 둔각 코너부
IC: 가상의 내접원
M: 중간 평면
S: 고정구

Claims (10)

  1. 3개의 둔각 코너부와 3개의 예각 코너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면부와 회전대칭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의 어느 한 변(Side)과 그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상기 하면부의 어느 한 변을 평평한 형상의 평면으로 연결하는 주측면부;
    상기 상면부의 어느 한 예각 코너부와 그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상기 하면부의 어느 한 예각 코너부를 볼록한 형상의 곡면으로 연결하는 코너 측면부;
    상기 상면부의 어느 한 둔각 코너부와 그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상기 하면부의 어느 한 둔각 코너부를 오목한 형상의 곡면으로 연결하는 측면 그루브;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주측면부 및 상기 코너 측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하면부와 상기 주측면부 및 상기 코너 측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절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부는,
    어느 한 코너 측면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코너 절삭날;
    상기 어느 한 코너 측면부의 일단과 접하는 어느 한 주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상기 코너 절삭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주절삭날; 및
    상기 어느 한 코너 측면부의 타단과 접하는 다른 주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상기 코너 절삭날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부절삭날;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와 상기 측면 그루브가 교차하는 부분 및 상기 하면부와 상기 측면 그루브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상기 절삭부가 형성되지 않는, 절삭 인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를 평면으로 하는 평면도 상에서,
    상기 주절삭날과 상기 부절삭날은,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절삭 인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절삭날과 상기 부절삭날은,
    91도 내지 93도 범위 내에서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절삭 인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를 평면으로 하는 평면도 상에서,
    상기 측면 그루브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의 만곡점이, 전체적으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상면부의 6개의 각 변과 접하는 가상의 내접원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절삭 인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그루브는,
    1.0mm 내지 2.0mm 범위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한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절삭 인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사이에서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주측면부와 상기 코너 측면부 및 상기 측면 그루브를 양분하는 가상의 중간 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주측면부를 평면으로하는 측면도 상에서,
    상기 주절삭날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코너 절삭날의 일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 평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부절삭날은,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코너 절삭날의 타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 평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코너 절삭날은,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주절삭날과 상기 부절삭날을 연결하고, 상기 부절삭날과 접하는 타단으로부터 상기 주절삭날과 접하는 일단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 평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절삭 인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는,
    절삭 공구의 인서트 포켓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부의 주변을 따라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지지면; 및
    상기 주절삭날이 시작되는 상기 측면 그루브의 인근으로부터 상기 주절삭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코너 절삭날 인근까지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칩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칩 리세스는,
    상기 주절삭날이 시작되는 상기 측면 그루브의 인근으로부터 상기 코너 절삭날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절삭 인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측면부는,
    상기 상면부 측 또는 상기 하면부 측으로부터 평평한 평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상부 지지면 또는 상기 하면부의 하부 지지면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여유면; 및
    상기 제 1 여유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면부 측 또는 상기 상면부 측까지 상기 제 1 여유면과 소정의 경사 각도를 이루도록 평평한 평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상기 상부 지지면 및 상기 하면부의 상기 하부 지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2 여유면;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측면부는,
    상기 상면부 측 및 상기 하면부 측으로부터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상기 상부 지지면 또는 상기 하면부의 상기 하부 지지면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 여유면; 및
    각각 상기 상면부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면부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한 쌍의 제 3 여유면의 각 단부 서로를 연결할 수 있도록,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상기 상부 지지면 및 상기 하면부의 상기 하부 지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4 여유면;
    을 포함하는, 절삭 인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여유면과 상기 제 2 여유면 간의 상기 소정의 경사 각도는,
    170도 이하로 형성되는, 절삭 인서트.
  10.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에 복수의 인서트 포켓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등각 또는 부등분할로 배치되는 공구 본체; 및
    상기 인서트 포켓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절삭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포켓은,
    상기 절삭 인서트의 상기 상면부 또는 상기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는 제 1 벽부; 및
    각각 상기 제 1 벽부를 기준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절삭 인서트의 상기 주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는 복수의 제 2 벽부;
    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
KR1020210189809A 2021-12-28 2021-12-28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KR10258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809A KR102582037B1 (ko) 2021-12-28 2021-12-28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809A KR102582037B1 (ko) 2021-12-28 2021-12-28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150A true KR20230100150A (ko) 2023-07-05
KR102582037B1 KR102582037B1 (ko) 2023-09-25

Family

ID=8715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809A KR102582037B1 (ko) 2021-12-28 2021-12-28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0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1260A (ko) * 2005-09-28 2008-05-09 쎄코 툴스 에이비 밀링 인서트 및 밀링 공구
JP5825420B2 (ja) * 2012-02-20 2015-12-02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KR20190100195A (ko) * 2016-12-22 2019-08-28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절삭 인서트 및 숄더 밀링 공구
KR102284505B1 (ko) * 2020-03-06 2021-08-02 주식회사 와이지-원 절삭 인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1260A (ko) * 2005-09-28 2008-05-09 쎄코 툴스 에이비 밀링 인서트 및 밀링 공구
JP5825420B2 (ja) * 2012-02-20 2015-12-02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KR20190100195A (ko) * 2016-12-22 2019-08-28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절삭 인서트 및 숄더 밀링 공구
KR102284505B1 (ko) * 2020-03-06 2021-08-02 주식회사 와이지-원 절삭 인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037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666B1 (ko) 절삭 인서트
JP5016671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方法
EP0489701A2 (e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for a peeling operation
JP6752798B2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フライス切削工具
US9776258B2 (en) Double-sided, trigon cutting insert with rounded minor cutting edge and cutting tool therefor
US11052465B2 (en) Turning insert
JP5735502B2 (ja) 切削加工、特に高速送りフライス加工するための切削工具用切削インサート
JP6052455B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KR102197363B1 (ko) 절삭 인서트
KR102403100B1 (ko) 스퀘어 숄더 밀링용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JP2014083667A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6066005B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JP2014083632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2017159440A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5295271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被削材の切削方法
CN112313025B (zh) 切向切削刀片和铣削刀具
WO2009093764A1 (en) Drill insert
KR102582037B1 (ko)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KR20210050219A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공구
KR102462836B1 (ko)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KR102284505B1 (ko) 절삭 인서트
WO2017150541A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KR102474059B1 (ko) 절삭 인서트
JP5729027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KR20220130718A (ko) 봉재-박피용 사각형-형상의 인서트 및 이를 위한 인서트-홀더 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