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007A - 양방향 열풍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열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007A
KR20230100007A KR1020210189516A KR20210189516A KR20230100007A KR 20230100007 A KR20230100007 A KR 20230100007A KR 1020210189516 A KR1020210189516 A KR 1020210189516A KR 20210189516 A KR20210189516 A KR 20210189516A KR 20230100007 A KR20230100007 A KR 2023010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unit
disposed
circumferential surfac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재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네이처팜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네이처팜,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팜텍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네이처팜
Priority to KR102021018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007A/ko
Publication of KR2023010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H3/041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portable or mobi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부를 구비하고, 송풍부에서 유동시킨 공기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양방향으로 동시에 열풍을 토출 가능한 열풍 유닛과, 지면 또는 시설에 열풍 유닛을 지지하거나 설치하는 설치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방향으로 열풍을 토출하여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먼 곳까지 열을 전달 가능함으로써, 적은 수의 설치로도 시설 내부의 전체 공간에 골고루 열기를 전달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열풍기{Two-way Hot Blast Heater}
본 발명은 양방향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방향으로 열풍을 토출하여 보다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먼 곳까지 열을 전달함으로써 적은 수의 설치로도 시설 내부의 전체 공간에 골고루 열기를 전달 가능한 양방향 열풍기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채소류의 촉성 재배 또는 열대 식물 등과 같은 농작물의 재배를 위하여 비닐로 만든 온상인 비닐하우스와, 소, 돼지, 닭 등과 같은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의 내부는 계절에 따라 적정한 상태로 온도가 유지되어야 채소류 또는 열대 식물 등과 같은 가축의 성장이 원활하게 된다.
겨울철 비닐 하우스나 온실 또는 축사 등의 실내 온도를 일정 이상 유지해주기 위해서는 따뜻한 공기를 공급해 줄 수 있는 난방장치, 즉 열풍기 설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농업 또는 축산용으로 설치되는 열풍기는 비닐 하우스나 온실 또는 축사 등의 시설 내부 전체에 따뜻한 공기가 골고루 미칠 수 있어야 하지만, 종래의 열풍기는 열풍을 일방향으로만 토출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일부 공간에만 편향적으로 열이 전달되며, 이로 인해 시설 내부의 공간별 온도 편차가 커서 농작물 성장이 일정하지 못하며, 시설 내부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열풍기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등록특허 10-1875359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양방향으로 열풍을 토출하여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먼 곳까지 열을 전달 가능한 양방향 열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양방향 토출 방향과 수직 방향 공간의 외부 공기를 흡기하여 가열 토출하도록 각 토출구와 송풍 모듈을 배치하여, 양방향 열풍기 주변 공기 중 비교적 온도가 낮은 공기를 가열 토출 가능한 양방향 열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송풍 모듈로부터 유동되는 공기를 하나의 가이드판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구조를 통해,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양방향 열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열풍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열풍 토출 방향을 다각도로 회전 가능한 양방향 열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열풍 유닛의 회전 각도 전환 지점에 설치되는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의 설치 위치를 열풍 유닛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열풍 유닛의 회전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양방향 열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부를 구비하고, 송풍부에서 유동시킨 공기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양방향으로 동시에 열풍을 토출 가능한 열풍 유닛과, 지면 또는 시설에 열풍 유닛을 지지하거나 설치하는 설치 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열풍 유닛은 열풍을 토출하는 제1 토출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제1 가열 수단이 배치되는 제1 열풍관과, 제1 토출구와 반대 방향으로 열풍을 토출하는 제2 토출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제2 가열 수단이 배치되는 제2 열풍관, 그리고 송풍부에서 유동시킨 공기를 제1 토출구와 제2 토출구로 향하도록 유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풍부는 서로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대면 배치되는 제1 송풍 모듈과 제2 송풍 모듈을 포함하고, 가이드판은 제1 송풍 모듈과 제2 송풍 모듈 사이에서 각각의 송풍 모듈이 유동시킨 공기를 비스듬히 가로막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풍 유닛은 둘레가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센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센터 하우징의 4개의 둘레면 중 제1 둘레면에는 제1 송풍 모듈이 배치되고, 제1 둘레면과 이웃한 제2 둘레면에는 제1 열풍관의 타단이 연결되며, 제1 둘레면과 마주보는 제3 둘레면에는 제2 송풍 모듈이 배치되고, 제3 둘레면과 이웃하는 제4 둘레면에는 제2 열풍관의 타단이 연결되며, 가이드판은 센터 하우징 내부에서 제1 둘레면 및 제2 둘레면을, 제3 둘레면 및 제4 둘레면과 분리하도록 대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토출구 또는 제2 토출구에는 토출되는 열풍을 회전 가이드하도록 베인 날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풍기는 열풍 유닛의 열풍 토출 방향이 회전 가능하도록 열풍 유닛을 수직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풍 유닛은 수직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감지 부재를 구비하고, 회전 유닛은 열풍 유닛의 회전 방향 소정 각도에 배치되며 감지 부재를 감지 가능한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와, 열풍 유닛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히고, 회전 구동부는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두 개의 감지 부재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회전 구동력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는 열풍 유닛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 배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유닛은 열풍 유닛을 상측에 지지하는 받침판을 구비하고,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는 받침판 상면에 배치되며, 받침판은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의 이동 배치를 가이드하는 레일을 구비하고, 레일은 열풍 유닛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유닛은 상측에 리미트 스위치가 결합되고 받침판 상측에 배치되는 보호판과, 레일을 상하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단이 보호판과 결합하는 연결부와, 받침판 하측에서 연결부 하단부와 소정 거리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손잡이, 그리고 손잡이에 상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받침판 하면에는 레일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구비되고, 손잡이 상단에는 손잡이의 상향 이동 시 걸림홈에 삽입 가능한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방향으로 열풍을 토출하여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먼 곳까지 열을 전달 가능함으로써, 적은 수의 설치로도 시설 내부의 전체 공간에 골고루 열기를 전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양방향 토출 방향과 수직 방향 공간의 외부 공기를 흡기하여 가열 토출하도록 각 토출구와 송풍 모듈을 배치하여, 양방향 열풍기 주변 공기 중 비교적 온도가 낮은 공기를 가열 토출 가능하므로, 시설 내부의 온도 상승 효율이 높다.
본 발명은 두 개의 송풍 모듈로부터 유동되는 공기를 하나의 가이드판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구조를 통해 콤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를 낮추고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열풍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열풍 토출 방향을 다각도로 회전 가능하므로, 더욱 넓은 범위로 고르게 열을 전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열풍 유닛의 회전 각도 전환 지점에 설치되는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의 설치 위치를 열풍 유닛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열풍 유닛의 회전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므로, 원하는 방향의 각도 범위에 열기를 집중하여 전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열풍 유닛의 개략적인 내부 모습을 상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 유닛에서의 공기 유동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회전 유닛의 개략적인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열풍 유닛의 회전 및 회전 방향 전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레일과 리미트 스위치의 배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리미트 스위치의 배치 위치에 따른 열풍 토출 범위 및 방향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회전 유닛 일부 구성과 받침판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걸림돌기가 걸림홈에서 이탈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이하에서는, '열풍기'라 한다.)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먼 곳까지 열을 전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에에 따른 열풍기는 양방향으로 열풍을 토출하는 열풍 유닛(10), 열풍 유닛(10)을 지지 또는 설치하기 위한 설치 유닛(30), 그리고 열풍 유닛(10)을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풍 유닛(10)은 외부 공기를 흡기하여 열풍 유닛 내부 공간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내부 공간으로 흡기된 공기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두 개의 토출구를 향해 유동하도록 가이드되며, 두 개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기 전 열풍 유닛(10) 내부 공간에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열풍 유닛(10)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통해 양방향으로 열풍을 동시에 토출할 수 있다.
설치 유닛(30)은 지면으로부터 열풍 유닛(10)을 지지하거나 또는 열풍기의 설치가 요구되는 시설의 구조물에 열풍 유닛(1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유닛(30)은 열풍 유닛(1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며 동시에 지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설치 유닛(30)은 회전 유닛(50)을 통해 설치 유닛(30)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유닛(50)은 열풍 토출 방향이 회전 가능하도록 열풍 유닛(10)을 수직 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는 열풍을 토출하는 방식으로 열을 전달하므로 직접적인 가열의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먼 곳까지 열을 전달 가능하며, 또한 양방향으로 열풍을 토출하므로 단방향 열풍 토출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설치로도 시설 내부의 전체 공간에 골고루 열기를 전달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는 회전 유닛(50)에 의해 열풍 유닛(10)의 열기 토출 방향이 회전 가능하므로 더욱 넓은 범위에 열을 전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열풍 유닛의 개략적인 내부 모습을 상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 유닛에서의 공기 유동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 유닛(10)은 외부 공기를 흡기하여 가열한 후 양방향으로 열풍을 동시에 토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풍 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 열풍을 토출하는 제1 열풍관(11)과, 타측 방향으로 열풍을 토출하는 제2 열풍관(12)과, 제1 열풍관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제1 가열 수단(13)과, 제2 열풍관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제2 가열 수단(14)과, 제1 열풍관(11)과 제2 열풍관(12)이 결합되는 센터 하우징(15)과, 외부 공기를 흡기하도록 동작하는 송풍부(16), 그리고 흡기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1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열풍관(11)은 열풍을 토출하는 제1 토출구(111)가 일단에 형성되고, 제2 열풍관(12)은 제1 토출구(111)와 반대 방향으로 열풍을 토출하는 제2 토출구(121)가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토출구(111)가 배치되는 제1 열풍관(11)의 일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토출구(121)가 배치되는 제2 열풍관(12)의 일단부 또한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열풍관의 제1 토출구(111)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과 제2 열풍관의 제2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은 벤츄리 효과에 의해 토출 시 유속이 빨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토출구(111)와 제2 토출구(121)에는 베인(vane) 구조를 갖는 베인 날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인 날개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것 처럼 제1 토출구(111)와 제2 토출구(121)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을 회전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토출구(111)와 제2 토출구(121)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을 보다 멀리까지 유동시킬 수 있다.
제1 열풍관(11)의 내부 공간에는 제1 가열 수단(13)이 배치되어 제1 열풍관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제2 열풍관(12)의 내부 공간에는 제2 가열 수단(14)이 배치되어 제2 열풍관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열 수단(13)과 제2 가열 수단(14)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가열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제1 가열 수단(13) 및 제2 가열 수단(14)은 다수개의 히터봉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열풍관(11)과 제2 열풍관(12)은 센터 하우징(15)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터 하우징(15)은 육면체와 같이 둘레에 4개의 면이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열풍관(11)과 제2 열풍관(12)은 센터 하우징(15)의 4개의 둘레면 중 2개의 면에는 제1 열풍관(11)과 제2 열풍관(12)이 각각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4개의 둘레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제1 열풍관(11)의 타단(제1 토출구의 반대단)이 연결되며, 4개의 둘레면 중 다른 하나의 면에는 제2 열풍관(12)의 타단(제2 토출구의 반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열풍관(11)과 센터 하우징(15)의 내부 공간은 서로 간에 연통되며, 제2 열풍관(12)과 센터 하우징(15)의 내부 공간을 서로 간에 연통될 수 있다.
송풍부(16)는 외부 공기를 유동시켜 센터 하우징(15) 내부로 흡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부(16)는 공기의 유동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작동하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제1 송풍 모듈(161)과 제2 송풍 모듈(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풍 모듈(161)과 제2 송풍 모듈(162)은 센터 하우징(15)의 4개의 면 중 각각 어느 한 면에 장착되어 외부 공기를 센터 하우징(15) 내부로 흡기할 수 있다.
가이드판(18)은 제1 송풍 모듈(161)과 제2 송풍 모듈(162)이 센터 하우징(15) 내부로 흡기한 공기를 제1 토출구(111) 또는 제2 토출구(121)로 향하도록 공기의 유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송풍 모듈(161)과 제2 송풍 모듈(162)은 서로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대면 배치되고, 가이드판(18)은 제1 송풍 모듈(161)과 제2 송풍 모듈(162) 사이에서 각각의 송풍 모듈이 유동시킨 공기를 비스듬히 가로막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터 하우징(15)의 4개의 둘레면에는 제1 열풍관(11)과 제2 열풍관(12)과 제1 송풍 모듈(161) 그리고 제2 송풍 모듈(16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4개의 둘레면에 대한 각 구성의 배치 위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센터 하우징(15)의 4개의 둘레면 중 어느 하나의 제1 둘레면에는 제1 송풍 모듈(161)이 배치되고, 제1 둘레면과 이웃한 제2 둘레면에는 제1 열풍관(11)의 타단이 연결되며, 제1 둘레면과 마주보는 제3 둘레면에는 제2 송풍 모듈(162)이 배치되고, 제2 둘레면과 마주하며 동시에 제3 둘레면과 이웃하는 제4 둘레면에는 제2 열풍관(12)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판(18)은 센터 하우징(15) 내부에서 제1 둘레면 및 제2 둘레면을, 제3 둘레면 및 제4 둘레면과 분리하도록 대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둘레면에 배치된 제1 송풍 모듈(161)에 의해 흡기 유동된 공기는 제2 둘레면에 배치된 제1 열풍관(11) 내부로 유동되어 제1 토출구(111)를 향하고, 제3 둘레면에 배치된 제2 송풍 모듈(162)에 의해 흡기 유동된 공기는 제4 둘레면에 배치된 제2 열풍관(12) 내부로 유동되어 제2 토출구(121)를 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열풍이 토출되는 양방향 토출 방향과 수직 방향 공간의 외부 공기를 흡기하여 가열 토출하도록 각 토출구와 송풍 모듈을 배치하여, 양방향 열풍기 주변 공기 중 비교적 온도가 낮은 공기를 가열 토출 가능하므로, 시설 내부의 온도 상승 효율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가이드판(18)을 사용하여 두 개의 송풍 모둘로부터 유동되는 공기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이드하므로 콤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 단가를 낮추고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회전 유닛의 개략적인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열풍 유닛의 회전 및 회전 방향 전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는 열풍 토출 방향을 가변할 수 있도록 회전 유닛(50)이 열풍 유닛(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유닛(50)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열풍 유닛(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유닛(50)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열풍 유닛(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 도 4와 같이 설치 유닛(30)에 열풍 유닛(10)을 상측에 받쳐 지지하는 받침판(31)이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 유닛(50)은 열풍 유닛(10)이 회전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 구간이 받침판(31)에서 상향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는 회전축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열풍 유닛(10)은 중심이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받침판(31)에는 열풍 유닛(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열풍 유닛(10)의 하측에는 열풍 유닛(10)이 회전함에 따라 받침판(31)의 다수개의 관통공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과 중첩 가능한 고정공이 구비되는 고정판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판(31)의 관통공 중 어느 하나와 고정판의 고정공이 중첩된 상태로 별도의 스틱을 삽입함으로써 열풍 유닛(10)의 토출 방향이 임의로 변경되지 않게 열풍 유닛(10)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회전 유닛(50)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열풍 유닛(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 원가 절감의 장점은 있으나, 일측 방향으로 열풍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사용자의 회전 조작이 요구된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는 회전 유닛(50)이 직접 구동력을 생성하여 열풍 유닛(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를 위해, 회전 유닛(50)은 열풍 유닛(10)의 회전축이되는 중심축(51)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부(52)를 구비할 수 있다.
중심축(51)은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축으로 일단부가 열풍 유닛의 센터 하우징(15)에 결합하며, 타단부는 회전 구동부(52)와 결합하여 회전 구동부(52)의 회전 구동력을 열풍 유닛(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 유닛(30)에 열풍 유닛(10)을 상측에 받쳐 지지하는 받침판(31)이 구비되는 경우, 중심축(51)은 받침판(31)을 상하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회전 구동부(52)는 받침판(31)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52)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구동 모듈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회전 구동부(52)에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모터(521)와, 회전 모터(521)가 발생시킨 회전을 감속시켜 중심축(51)에 전달하도록 회전 모터(521)와 중심축(51) 사이에 연결되는 회전용 감속기(5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터 하우징(15)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 롤러(152)가 장착되어 중심축(51)에 가해지는 열풍 유닛(10)의 자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유닛(50)은 열풍 유닛(10)을 회전시켜 열풍 유닛(10)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더욱 넓은 범위에 영향을 끼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열풍 유닛(10)의 제1 가열 수단(13), 제2 가열 수단(14), 제1 송풍 모듈(161), 제2 송풍 모듈(162) 등의 구성은 작동을 위해 전원 공급이 요구되므로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으며, 열풍 유닛(10)이 일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한다면 전원선이 꼬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회전 유닛(50)은 열풍 유닛(10)을 소정 각도 범위에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왕복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풍 유닛의 센터 하우징(15) 하면에는 연결된 중심축(5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감지 부재(151)가 구비되고, 회전 유닛(50)은 열풍 유닛(10)의 회전 방향 소정 각도에 배치되며 감지 부재(151)를 감지 가능한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53)를 구비할 수 있다.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53)는 열풍 유닛(10)이 특정 회전 각도에 위치할 때 감지 부재(151)를 감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리미트 스위치(53)는 감지 부재(151)가 접하거나 근접하였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리미트 스위치(53)는 감지 부재(151)에 의해 가압되어 조작되는 스위치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리미트 스위치(53)는 자성을 갖는 감지 부재(151)가 접근 시 자성을 감지하는 홀센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리미트 스위치(53)는 두 개의 감지 부재(151)를 구분 없이 모두 감지 가능하며, 열풍 유닛(10)에는 별도의 제어부가 구비되고 제어부는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53) 중 어느 하나가 감지 부재(151)를 감지하면 회전 구동부(52)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구동하도록 회전 구동부(52)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52)는 열풍 유닛(1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다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53)가 감지 부재(151)를 감지하는 시점에서 열풍 유닛(10)의 회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53)는 중심축(5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회전 유닛(50)은 열풍 유닛(10)은 180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 운동시킨다. 이때, 종래의 일방향 열풍기의 경우 열풍 유닛이 180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 운동한다면 열풍이 180도 범위 내에서 토출되겠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 유닛(10)은 양방향으로 열풍을 토출하기 때문에 180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 운동 시 열풍이 360도 범위 전체에 토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레일과 리미트 스위치의 배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리미트 스위치의 배치 위치에 따른 열풍 토출 범위 및 방향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열풍 유닛(10)을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360도 각도 범위로 열풍을 고르게 토출할 수 있다. 그런데, 열풍기의 설치 위치나 상황에 따라서는 360도 각도 범위로 열풍을 고르게 토출하는 것보다 특정 범위에 열풍을 집중적으로 토출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온의 환경이 요구되는 농작물이 특정 범위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에는 농작물이 집중 위치한 범위에 열풍을 집중적으로 토출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처럼 특정 범위에 집중하여 열풍을 토출 가능하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에서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53)는 열풍 유닛(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 배치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53)는 받침판(31) 상면에 배치되며, 받침판(31)은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53)의 이동 배치를 가이드하는 레일(3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11)은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53) 각각의 위치가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도록 열풍 유닛(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열풍 유닛(10)의 회전 각도는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53)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또한 리미트 스위치(53)에 대한 감지 부재(151)의 배치 위치에 따라서도 결정될 수 있다. 도 7의 (a), (b)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53)의 배치 위치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리미트 스위치(53)에 대한 감지 부재(151)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열풍 유닛(10)의 회전 각도 범위 또는 열풍 유닛(10)의 열풍 토출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53)의 설치 위치를 열풍 유닛(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열풍 유닛(10)의 회전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므로, 원하는 방향의 각도 범위에 열기를 집중하여 전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회전 유닛 일부 구성과 받침판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열풍기에서 걸림돌기가 걸림홈에서 이탈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53)는 레일(311)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 배치 가능하다. 그런데 리미트 스위치(53)가 접촉 방식으로 감지 부재(151)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감지 부재(151)와의 접촉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53)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미트 스위치(53)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위치가 고정되거나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유닛(50)은 리미트 스위치(53)와 결합하는 보호판(54)과,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55)와, 보호판(54)과 손잡이(55)를 연결하는 연결부(56)와, 손잡이(55)를 상향 가압하는 스프링(57)을 구비할 수 있다.
보호판(54)은 사용자가 손잡이(55)를 이동 조작하거나 잡아당길 때 발생하는 마찰 또는 가압으로부터 리미트 스위치(53)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리미트 스위치(53) 하측에 적층 결합되며 받침판(31)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56)는 받침판의 레일(31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단이 보호판(54)에 결합하고 하단부가 손잡이(55)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56)는 손잡이(55)에 하단부가 수용되도록 결합되되, 수용 길이가 조절 가능하여 소정 길이 내에서 손잡이(55)의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스프링(57)은 손잡이(55)에 상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57)은 연결부 하단부와 함께 손잡이(55)에 수용 배치되며, 스프링(57)의 상단은 손잡이(55)의 수용공간 내주면 상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가압돌기(551)에 의해 가압 지지되고 스프링(57)의 하단은 연결부(56)의 하측 끝단에서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가압돌기(561)에 의해 가압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5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손잡이(55)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향 가압되어 상면이 받침판(31)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판(31) 하면에는 레일(311)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개의 걸림홈(312)이 구비되고, 손잡이(55) 상면에는 손잡이(55)의 상향 이동 시 걸림홈(312)에 삽입 가능한 걸림돌기(55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5)에 하측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걸림홈(312)에 삽입된 걸림돌기(552)에 의해 손잡이(55) 및 이와 연결된 리미트 스위치(53)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55)를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걸림돌기(552)가 걸림홈(312)으로부터 이탈하여 손잡이(55) 및 리미트 스위치(53)를 레일(311)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열풍 유닛
11: 제1 열풍관
111: 제1 토출구
12: 제2 열풍관
121: 제2 토출구
13: 제1 가열 수단
14: 제2 가열 수단
15: 센터 하우징
151: 감지 부재
152: 보조 롤러
16: 송풍부
161: 제1 송풍 모듈
162: 제2 송풍 모듈
18: 가이드판
30: 설치 유닛
31: 받침판
311: 레일
312: 걸림홈
50: 회전 유닛
51: 중심축
52: 회전 구동부
521: 회전 모터
521: 회전용 감속기
53: 리미트 스위치
54: 보호판
55: 손잡이
551: 제1 가압돌기
552: 걸림돌기
56: 연결부
561: 제2 가압돌기
57: 스프링

Claims (10)

  1.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부에서 유동시킨 공기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양방향으로 동시에 열풍을 토출 가능한 열풍 유닛; 및
    지면 또는 시설에 상기 열풍 유닛을 지지하거나 설치하는 설치 유닛을 포함하는 열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유닛은
    열풍을 토출하는 제1 토출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제1 가열 수단이 배치되는 제1 열풍관;
    상기 제1 토출구와 반대 방향으로 열풍을 토출하는 제2 토출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제2 가열 수단이 배치되는 제2 열풍관; 및
    상기 송풍부에서 유동시킨 공기를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로 향하도록 유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서로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대면 배치되는 제1 송풍 모듈과 제2 송풍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1 송풍 모듈과 제2 송풍 모듈 사이에서 각각의 송풍 모듈이 유동시킨 공기를 비스듬히 가로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유닛은 둘레가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센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 하우징의 4개의 둘레면 중 제1 둘레면에는 상기 제1 송풍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둘레면과 이웃한 제2 둘레면에는 상기 제1 열풍관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둘레면과 마주보는 제3 둘레면에는 상기 제2 송풍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제3 둘레면과 이웃하는 제4 둘레면에는 상기 제2 열풍관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센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둘레면 및 제2 둘레면을, 상기 제3 둘레면 및 제4 둘레면과 분리하도록 대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구 또는 제2 토출구에는 토출되는 열풍을 회전 가이드하도록 베인 날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는
    상기 열풍 유닛의 열풍 토출 방향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열풍 유닛을 수직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유닛은 상기 수직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감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열풍 유닛의 회전 방향 소정 각도에 배치되며 상기 감지 부재를 감지 가능한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열풍 유닛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히고,
    상기 회전 구동부는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두 개의 감지 부재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상기 회전 구동력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
  8. 제 7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리미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열풍 유닛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유닛은 상기 열풍 유닛을 상측에 지지하는 받침판을 구비하고,
    두 개의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받침판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받침판은 두 개의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이동 배치를 가이드하는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열풍 유닛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은
    상측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결합되고 상기 받침판 상측에 배치되는 보호판;
    상기 레일을 상하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보호판과 결합하는 연결부;
    상기 받침판 하측에서 상기 연결부 하단부와 소정 거리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상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 하면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 상단에는 상기 손잡이의 상향 이동 시 상기 걸림홈에 삽입 가능한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


KR1020210189516A 2021-12-28 2021-12-28 양방향 열풍기 KR20230100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516A KR20230100007A (ko) 2021-12-28 2021-12-28 양방향 열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516A KR20230100007A (ko) 2021-12-28 2021-12-28 양방향 열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007A true KR20230100007A (ko) 2023-07-05

Family

ID=8715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516A KR20230100007A (ko) 2021-12-28 2021-12-28 양방향 열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00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359B1 (ko) 2018-02-21 2018-07-06 윤용환 농업용 열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359B1 (ko) 2018-02-21 2018-07-06 윤용환 농업용 열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780B1 (ko) 벽걸이형 에어컨
CN102374660B (zh) 风扇组件
CN102374659B (zh) 风扇组件
CN103363661B (zh) 加热装置
CN202267207U (zh) 风扇组件
KR101845706B1 (ko) 풍향 가변형 공기순환팬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03375390A (zh) 风扇组件
CN107014050B (zh) 导风装置及其控制方法及空调器
KR101308648B1 (ko) 풍향 조절이 가능하면서 양방향 열풍 공급이 가능한 농업용 열풍 공급장치
KR20230100007A (ko) 양방향 열풍기
KR101501052B1 (ko) 농업용 전기온풍 난방기
CN109654647B (zh) 地下空间智能可调节通风系统
KR102151951B1 (ko) 버섯 재배용 수분 공급 장치
KR101523315B1 (ko) 농장용 난방시스템
KR100983340B1 (ko) 회전 구동 장치
KR20170089368A (ko) 블루투스와 인터넷을 통해 무선작동제어 가능한 재료 건조기
KR20170089370A (ko) 블루투스와 인터넷 작동제어형 분쇄 및 건조기
CN205373341U (zh) 一种递增式热风循环烘茧机构
WO201718880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ращивания рассады и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в теплицах
CN109798594B (zh) 送风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1156484B1 (ko) 열풍기의 가열 방법 및 그 장치
EP2597392B1 (en) Apparatus for air treatment, particularly for environment conditioning
CN206284041U (zh) 一种畜牧大棚用移动式暖风机
CN205332726U (zh) 一种拉幅定型机的烘干设备
CN212454876U (zh) 一种出风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