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607A -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607A
KR20230099607A KR1020220071798A KR20220071798A KR20230099607A KR 20230099607 A KR20230099607 A KR 20230099607A KR 1020220071798 A KR1020220071798 A KR 1020220071798A KR 20220071798 A KR20220071798 A KR 20220071798A KR 20230099607 A KR20230099607 A KR 20230099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room
virtual smart
fa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현
Original Assignee
(주)루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넷 filed Critical (주)루넷
Priority to KR102022007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607A/ko
Publication of KR20230099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3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hotel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0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hotels, motels, office building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객실 상품을 가상의 스마트 키로 구매하도록 하고, 다시 가상의 스마트 키를 이용하여 홍보, SNS 등을 수행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고, 가상의 스마트 키에 의해 별도의 체크인 없이도 편리하게 객실 출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은 숙박서버 및 사용자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객실 상품 예약 또는 객실 상품 구매에 따라 가상 스마트키가 출력되고, 상기 가상 스마트 키는 객실 예약 전, 객실 예약 후, 및 숙박업소에의 도달에 따라 출력 상태가 변동된다.

Description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Untact Check-in system using virtual smart key}
본 발명은 객실 등의 체크인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의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신속성과 편리성을 극대화하고 부대 서비스를 창출시키는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 숙박 시설의 정보 제공업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고, 이로 인해 숙박 시설의 예약 및 이용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가 되었다. 더욱이 최근 유행하는 감염병의 국제적 확산에 따라 숙박 시설의 예약 및 이용은 비대면의 관점에서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숙박 시설에 체크인 하는 경우에도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비대면으로 수행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선행기술문헌1에서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직원과 대면하지 않고 체크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1은 스마트키를 일회적으로 이용하고 있고, 스마트키의 활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선행기술문헌2에서는 사용자가 호텔이나 모텔 등 숙박 시설에 대해 홈페이지를 통해 숙박 내용을 확인하고 폰 키 서비스를 신청하면 해당 숙박업소에서 스마트 폰 키를 발급하고 사용자가 해당 숙박 룸 앞에 가서 스마트 폰 키를 통해 도어를 개방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2는 오로지 도어의 개폐에 대하여만 집중하고 있어 객실 예약 및 객실 이용의 전 과정에서의 직관적 편리성에 대하여는 전혀 인식이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대면의 관점에서 신속성과 편리성이 담보되면서 이와 함께 스마트키의 활용성이 커지는 관련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2322138호(2021.11.5) 비대면 스마트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NG NON-FACE-TO-FACE SMART CHECK-IN SERVICE} [선행기술문헌2] 한국등록특허 제10-1749616호(2017.6.22) 스마트폰 키 도어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Smartphone Key door open and clos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객실 상품을 가상의 스마트 키로 구매하도록 하고, 다시 가상의 스마트 키를 이용하여 홍보, SNS 등을 수행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고, 가상의 스마트 키에 의해 별도의 체크인 없이도 편리하게 객실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은 숙박서버 및 사용자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객실 상품 예약 또는 객실 상품 구매에 따라 가상 스마트키가 출력되고, 상기 가상 스마트 키는 객실 예약 전, 객실 예약 후, 및 숙박업소에의 도달에 따라 출력 상태가 변동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은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스마트 키는 객실 사용 시간과 설정 범위 이내의 시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숙박업소에 근접하거나 사용자단말이 체크인 단말에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에 객실 오픈 코드가 삽입되면서 출력 상태가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실 오픈 코드는 상기 가상 스마트 키에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암호화되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실 오픈 코드는 상기 사용자단말이 객실과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은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스마트 키는 객실 사용 시간과 설정 범위 이내의 시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숙박업소에 근접하면서 사용자단말이 숙박업소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AP가 송신하는 측위신호를 감지하는 경우에 객실 오픈 코드가 삽입되면서 출력 상태가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은 커머셜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머셜서버는 가상 스마트키의 출력 상태를 변동시키는 메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히스토리추적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머셜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 히스토리에 따라 가상 스마트키의 출력 상태를 변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스마트키는 객실 관련 상품의 가격 보다 낮은 가격으로 구매 또는 습득하는 경우에 최초 생성되는 씨드키(SEED KEY), 객실 관련 상품을 정가로 구매하거나 습득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기본키, 및 객실의 예약이 완료된 경우 생성되는 예약키, 및 객실을 이용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이용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머셜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 히스토리에 따라 상기 씨드키를 상기 기본키로 변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사용자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가상 스마트 키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숙박서버는 상기 가상 스마트 키에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가상 스마트 키를 공유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숙박서버는 상기 가상 스마트 키의 기능을 제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객실 상품을 가상의 스마트 키로 구매하도록 하고, 다시 가상의 스마트 키를 이용하여 홍보, SNS 등을 수행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고, 가상의 스마트 키에 의해 별도의 체크인 없이도 편리하게 객실 출입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감지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표시모듈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표시모듈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의 통신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AP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감지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의 표시모듈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의 표시모듈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서의 통신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1000)은 사용자단말(100), 숙박업소(200), 및 숙박서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커머셜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객실 상품을 예약하거나 객실 관련 상품을 구매하는데, 이때 관련 정보가 들어있는 가상 스마트 키가 사용자단말(100)에 로딩된다. 여기서 가상 스마트 키는 객실 예약 전, 객실 예약 후 및 사용자단말의 숙박업소에의 도달에 따라 출력상태가 변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은 가상의 스마트 키를 매개로 상품의 구매, 상품의 다른 사람에게의 전달, 객실의 자동 체크인, 객실의 입장이 가능하고 각 경우에 따라 가상 스마트 키의 출력 상태가 변동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100)은 감지부(110), 표시모듈(120), 제어부(130), 입력부(140) 및 통신부(150)로 구성된다. 우선, 감지부(11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사용자단말(100) 사용과 관련된 히스토리추적모듈(111)과 GPS(112)로 구성된다.
히스토리추적모듈(111)은 커머셜서버(400)가 제공한 관련 광고 중에서 사용자단말에서의 관련 광고를 검색 입력한 히스토리, 관련 광고를 출력 히스토리, 관련 광고를 주변 사람에게 전달한 히스토리 등을 추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련 광고의 열람 또는 전달이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커머셜서버(400)는 가상 스마트 키의 출력 상태를 변동시키는 메타 데이터를 사용자단말에 송신한다.
예들 들어, 당초 사용자가 객실 관련 상품의 원래 가격 보다 낮은 가격에 어떤 숙박 서비스를 구매하는 경우에는 이 경우 가상 스마트 키는 씨드키(SEED KEY)의 출력 형태(도 4의 참조부호 1222 참조)로 구매가 가능한데 아직 씨드키만으로는 숙박 등의 완전한 서비스를 제공받지는 못하는 상태이다. 그러나, 씨드키를 구매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 적극적으로 광고를 열람하고 이를 지인에게 전달하는 경우에 히스토리추적모듈(111)은 이를 감지하고 통신부(150)를 통해 커머셜서버(400)로 전달하게 된다. 커머셜서버(400)는 이를 통해 설정 조건(횟수, 시간 등)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객실을 온전하게 예약할 수 있는 기본키(도 4의 참조부호 122,123 참조)로 사용자단말에 출력된 가상 스마트 키를 변동시킨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은 도어의 개폐 뿐 만 아니라 숙박 또는 숙박 예약의 전단계에서 가상 스마트 키를 가치가 상승되는 재화로 사용하게 하며 관련 광고 및 광고 노출을 극대화하게 된다.
한편, GPS(112)는 사용자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나아가,사용자단말(100)은 일반통신을 수행하는 일반통신모듈(151)과 적외선, 블루투스, NFC 등의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통신모듈(152)을 포함한다. 이때, 가상 스마트 키는 객실 사용 가능 시간과 설정 범위 이내의 시간에서 사용자단말(100)이 숙박업소(200)에 근접하거나 사용자단말(100)이 측위신호를 송신하는 체크인단말(210)에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에 객실 오픈 코드가 삽입되면서 출력 상태가 변동된다. 이 경우에 객실 오픈 코드는 가상 스마트 키에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암호화되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상 스마트 키는 이용키(도 4의 124, 125 참조)의 형태로 출력된다.
또한, 객실 오픈 코드는 사용자단말(100)이 객실과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되는 경우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위 신호는 객실에서 송신할 수 있고 객실의 복도 등에서도 송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통해 GPS 좌표의 객실 근접과 체크인단말(210)에의 근접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에는 가상의 스마트 키가 즉시 객실의 도어를 오픈할 수 있는 기능키로 작동되게 된다. 따라서 보안을 강화하면서 편리성을 극대화하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출력부(120)는 스마트키로딩모듈(121)과 정보표시모듈(122)로 이루어져 있다. 스마트키로딩모듈(121)은 전술한 스마트 키를 로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마트 키는 단계에 따라 객실 관련 상품의 가격 보다 낮은 가격으로 구매 또는 습득하는 경우에 최초 생성되는 씨드키(121), 객실 관련 상품을 정가로 구매하거나 습득하는 경우에 생성되거나 광고 열람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기본키(122,123), 및 객실의 예약이 완료된 경우 생성되는 예약키(125), 및 객실을 이용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이용키(124)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된다.
씨드키(121)는 키의 바디가 불완전한 상태로 출력되어 서비스의 이용이 제한됨을 표시하는 가상 스마트 키이다. 그러나 씨드키(121) 자체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고, 씨드키(121) 상태에서 광고의 열람 히스토리에 따라 승급되어 기본키(122,123)가 되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 경우에 참조부호 122는 승급되지만 아직 기본키는 아닌 경우이고, 참조부호 123까지 채워지는 경우를 기본키가 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기본키(122,123)는 객실에 대한 가격을 완불한 상태 또는 이와 등가인 경우에 출력되는데 아직 객실의 예약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의 출력을 말한다. 따라서, 참조부호 124, 125에 대한 출력은 제외되었다.
이후 객실의 예약이 완료된 경우에는 객실의 도어에 대한 접근 권리가 생기지만 완전한 형태로 객실 도어를 오픈하지는 못한다. 사용자의 객실 접근이라는 조건이 빠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약키(125)는 도어를 오픈할 수 있는 전체 구성이 출력되지는 않고 어느 일 부분만 출력된다(124).
이후 사용자가 객실에 접근하여 체크인 단말의 측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가상 스마트 키는 이용키로 전환되고, 사용자는 객실에서 곧바로 도어를 오픈하게 된다.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표시모듈(122)은 숙박 관련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정보표시모듈(122)은 숙박업소, 일시, 시간, 가격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데 여기서 표시 대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의 AP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제2 실시예에서는 체크인단말(210)을 생략하고, 적어도 하나의 AP(215)가 숙박업소(200)에 배치된다. AP(215)는 블루투스 등의 측위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숙박업소의 전면, 진입구, 복도, 객실 등 어느 하나 이상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단말(100)이 GPS 신호에 의해 숙박업소에 근접하면서 사용자단말(100)이 숙박업소(200)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AP(215)가 송신하는 측위신호를 감지하는 경우에 객실 오픈 코드가 삽입되면서 출력 상태가 변동되어 전술한 기능키가 될 수 있다. 이에 객실 도어의 즉각적 오픈은 물론 즉각적인 체크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AP(215)가 순차적으로 작동되고 사용자단말(100)은 이들이 발송하는 측위 신호 중 어느 두개 이상을 동선 방향에서 수신하는 경우에 기능키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 보안상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여기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제3 실시예에서는 다른 사용자(500)가 추가되어 있다. 여기서의 다른 사용자(500)는 가상 스마트 키를 양도받거나 증여받는 사람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이 가상 스마트 키를 자유롭게 재판매하는 개념을 창안하였다.
그런데 숙박업소에서는 사용자의 동일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 숙박서버(300)는 가상 스마트 키의 판매 또는 전달 시에 가상 스마트 키에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동시에 매핑하는 경우 판매 또는 전달이 완료된 것으로 한다. 이때 이러한 다른 사용자의 정보는 그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생체 인증 등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여기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제3 실시예에서는 공유 사용자(600)가 추가되어 있다. 공유 사용자(500)는 현재 이용할 객실에 함께 투숙하거나 할 예정인 사람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은 이러한 공유 사용자에게 가상 스마트 키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 공유 사용자는 최초 구매자에 비해 스마트 키의 부대 기능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숙박서버(300)는 공유 사용자(600)의 경우에는 입실은 가능하지만 퇴실을 불가하게 설정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 또는 주차의 제한 등 여러가지 단계를 구분하여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 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 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1001, 1002, 1003: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100: 사용자단말
110: 감지부
120: 표시모듈
130: 제어부
140: 입력부
150: 통신부
200: 숙박업소
215: AP
210: 체크인단말
220: 객실
300: 숙박서버
400: 커머셜서버
500: 다른사용자
600: 공유사용자

Claims (11)

  1. 숙박서버; 및
    사용자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객실 상품 예약 또는 객실 상품 구매에 따라 가상 스마트키가 출력되고,
    상기 가상 스마트 키는 객실 예약 전, 객실 예약 후, 및 숙박업소에의 도달에 따라 출력 상태가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스마트 키는 객실 사용 시간과 설정 범위 이내의 시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숙박업소에 근접하고 사용자단말이 체크인 단말에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에 객실 오픈 코드가 삽입되면서 출력 상태가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 오픈 코드는 상기 가상 스마트 키에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암호화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 오픈 코드는 상기 사용자단말이 객실과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스마트 키는 객실 사용 시간과 설정 범위 이내의 시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숙박업소에 근접하면서 사용자단말이 숙박업소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AP가 송신하는 측위신호를 감지하는 경우에 객실 오픈 코드가 삽입되면서 출력 상태가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은 커머셜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머셜서버는 가상 스마트키의 출력 상태를 변동시키는 메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히스토리추적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머셜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 히스토리에 따라 가상 스마트키의 출력 상태를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마트키는 객실 관련 상품의 가격 보다 낮은 가격으로 구매 또는 습득하는 경우에 최초 생성되는 씨드키(SEED KEY), 객실 관련 상품을 정가로 구매하거나 습득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기본키, 및 객실의 예약이 완료된 경우 생성되는 예약키, 및 객실을 이용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이용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머셜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 히스토리에 따라 상기 씨드키를 상기 기본키로 변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사용자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가상 스마트 키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숙박서버는 상기 가상 스마트 키에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가상 스마트 키를 공유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숙박서버는 상기 가상 스마트 키의 기능을 제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스마트 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KR1020220071798A 2021-12-27 2022-06-13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KR20230099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798A KR20230099607A (ko) 2021-12-27 2022-06-13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114A KR102451177B1 (ko) 2021-12-27 2021-12-27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KR1020220071798A KR20230099607A (ko) 2021-12-27 2022-06-13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114A Division KR102451177B1 (ko) 2021-12-27 2021-12-27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607A true KR20230099607A (ko) 2023-07-04

Family

ID=835975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114A KR102451177B1 (ko) 2021-12-27 2021-12-27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KR1020220071798A KR20230099607A (ko) 2021-12-27 2022-06-13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114A KR102451177B1 (ko) 2021-12-27 2021-12-27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11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784A (ko) * 2007-04-03 2009-01-08 이재찬 서비스 예약 시스템
KR101788668B1 (ko) * 2010-08-03 2017-10-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0239A (ko) * 2016-05-18 2017-11-28 주식회사 키위웍스 객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6854B1 (ko) * 2016-06-17 2018-08-08 주식회사 야놀자 숙박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5424A (ko) * 2016-10-25 2018-05-04 유호철 숙박업소 스마트 출입 시스템
KR101879284B1 (ko) * 2016-12-29 2018-07-26 주식회사 리온전자 Qr 코드를 이용한 숙박 관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선행기술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2322138호(2021.11.5) 비대면 스마트 체크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NG NON-FACE-TO-FACE SMART CHECK-IN SERVICE}
[선행기술문헌2] 한국등록특허 제10-1749616호(2017.6.22) 스마트폰 키 도어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Smartphone Key door open and close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177B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70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con based navigation to offer based transactions and beacon based digital transactions with multiple layer authentication
CN110462669B (zh) 自动化购物环境内的动态顾客结账体验
JP6344754B2 (ja) 画面上のイメージを利用して、インタラクション情報を提供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US1188718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haring an augmented environment with a companion
US108323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 transaction relating to newly identified items using augmented reality
US20170006027A1 (en) Tag Management System, Tag Management Metho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s well as Devices and Tag Used Therefor
WO2016171942A1 (en) Mobile device secure payment acceptance for in-store shopping
JP201800569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7021337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20278237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Distributing Gift Certificate
KR102451177B1 (ko) 가상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 시스템
KR102331772B1 (ko) 지역 안내 키오스크 시스템
WO2014007567A1 (ko) 온/오프 라인 매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상품 매매용 단말기, 및 이에 따른 매매 서비스 제공방법
Shen et al. NFC technologies in mobile phones and emerging applications
JP7237871B2 (ja) 対象検出方法
KR102192948B1 (ko) 기부 시스템
US116574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unnecessary payments
KR101857706B1 (ko) 가상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20264A (ko) 스마트 해외여행 관리장치
JP2023044751A (ja) 情報制御装置、情報制御方法、券売機、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132031A (ko) 카드를 매개로 하는 커플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Anand et al. The Next Mobile Revolu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KR20170124490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첫 화면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