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570A - Plant cultivator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570A
KR20230099570A KR1020210189063A KR20210189063A KR20230099570A KR 20230099570 A KR20230099570 A KR 20230099570A KR 1020210189063 A KR1020210189063 A KR 1020210189063A KR 20210189063 A KR20210189063 A KR 20210189063A KR 20230099570 A KR20230099570 A KR 20230099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cover
water
plant cultivator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상표
김재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570A/en
Priority to PCT/KR2022/012952 priority patent/WO2023033513A1/en
Publication of KR20230099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5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Abstract

본 발명은 물넘침이 방지되는 물통을 구비하는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물을 저장하는 물통바디와, 상기 물통바디의 상측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바디는, 바닥을 형성하며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물통저면과, 상기 물통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물통저면의 단변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or having a water container preventing overflow. It includes a bucket body for storing water and a handle portion disposed above the bucket body to irradiate light, wherein the bucket body forms a bottom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bucket, which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in shape, and and a barrier rib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hort sid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Description

식물재배기{PLANT CULTIVATOR}Plant Cultivator {PLANT CULTIVATOR}

본 발명은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넘침이 방지되는 물통을 구비하는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cultivator having a water container preventing overflow.

최근 친환경 작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Recently, consumer interest and demand for eco-friendly crops are rapidly increasing.

이러한 사용자의 관심과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 가정에서 손쉽게 채소 등과 같은 식물을 직접 재배할 수 있는 가정용 식물재배기에 관한 기술 및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meet the interest and demand of such users, technologies and products related to home plant cultivators capable of easily cultivating plants such as vegetables at home are being developed.

일반적으로 식물을 가정에서 식물을 키우는 방식은, 상부가 개방된 화분 등과 같은 용기 내부에 배양토를 채우고 배양토에 다양한 씨앗이나 식물 등을 심은 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분을 공급하면서 식물의 배양에 필요한 환경(채광, 통풍 등)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In general, the method of growing plants at home is to fill the inside of a container such as a pot with an open top with culture soil, plant various seeds or plants in the culture soil, and then supply moisture at regular intervals to the environment necessary for culturing the plant ( lighting, ventilation, etc.) was common.

다만, 가정에서 배양토를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적합한 배양토를 획득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However, it is very cumbersome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growing plants using culture soil at home, and it is not easy to obtain suitable culture soil.

이와 같은 배양토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재배방식의 대안으로서, 가정용에 적합하게 배양액이 혼합된 물을 이용하는 수경 재배 방식을 적용한 식물재배기의 비중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cultivation method using such cultured soil, the proportion of plant cultivation equipment using a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using water mixed with a culture solution suitable for home use is gradually increasing.

일반적으로 수경재배 방식의 가정용 식물재배기는,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환경이 재배실의 내부에 밀폐실로서 형성되는 밀폐형과, 재배환경이 실내에 그대로 노출되는 개방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home plant cultivators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can be divided into a closed type in which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 which plants are grown is formed as a closed room inside the cultivation room, and an open type in which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s exposed to the room as it is.

개방형 식물재배기와 관련하여, 일본국특허공개공보 제2014-000023호(선행문헌)에는, 수경재배유닛과, 수경재배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수경재배유닛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식물재배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Regarding the open type plant cultivator,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000023 (prior literature) includes a hydroponic cultivation unit, a base portion supporting the hydroponic cultivation unit, and a ligh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unit.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ultivator is disclosed.

여기서 수경재배유닛은, 식물의 수경재배에 적합한 배지를 구비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분야에서 재배파드 또는 재배포트로 지칭되고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Here, the hydroponic cultivation unit has a medium suitable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plants,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referred to as a cultivation pod or a cultivation pot in the related art.

그러나 선행문헌에 개시된 식물재배기는 극소량의 식물만 재배가 가능하여 대량 재배가 가능하도록 배지의 면적을 키우는 경우 물이 담기는 물통의 면적도 커지게 되어 식물재배기나 물통의 이동시 물이 쉽게 넘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물통의 깊이가 낮더라도 면적이 넓은 경우 물이 한쪽으로 쏠리면 무게 중심이 쏠림에 따라 급격하게 물통이 기울어져 물이 넘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lant cultivator disclosed in the prior literature can grow only a very small amount of plants, so when the area of the medium is increased to enable mass cultivation, the area of the water container also increases, resulting in a problem of easy overflow of water when the plant cultivator or the bucket is moved. there is. In particular, even if the depth of the bucket is low, if the water is concentrated to one side when the area is wide, the center of gravity is tilted and the bucket is rapidly tilted, causing overflow of water.

일본국특허공개공보 제2014-000023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4-0000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통의 면적이 커도 물이 한쪽으로 급격히 쏠리지 않는 물통을 구비한 식물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or having 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not rapidly concentrated to one side even when the area of the water tank is larg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물통이 급격히 기울어져도 물이 쉽게 넘치지 않는 식물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or in which water does not easily overflow even when the water tank is rapidly tilt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바디와, 상기 물통바디의 상측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바디는, 바닥을 형성하며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물통저면과, 상기 물통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물통저면의 단변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한다.A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bottle body for storing water and a handle portion disposed above the water bottle body to irradiate light, and the water bottle body forms a bottom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t includes a bottom surface and a partition wall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ottle an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direction of a short side of the water bottle bottom surface.

상기 격벽은 상기 물통저면의 장변 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rrier rib may be formed in plurality by being spaced apart in a long sid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상기 격벽은 길이방향의 가운데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높아질 수 있다.The barrier rib may increase from the middle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물통저면은 상기 격벽이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면에 상기 격벽 측으로 인입된 저면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may have a bottom groove drawn into the partition wall on a surface opposite to a portion where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상기 물통바디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표시하는 표시부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격벽은 상기 표시부표가 상기 물통저면에서 안착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The bucket body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buoy displaying the level of the stored water, and the partition wall may not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display buoy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상기 물통바디를 덮으며 상기 배지가 삽입되는 포트홀이 형성되는 물통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통바디는 상기 물통저면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물통둘레면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통커버는 상기 물통둘레면 상단부를 내외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bottle cover covering the water bottle body and having a porthole into which the badge is inserted, and the water bottle body may further include a water bottle circumference formed up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bottle bottom surface, the water bottle The cover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bottle inside and out.

상기 물통커버는, 외측 둘레를 형성하는 커버둘레면과, 상기 커버둘레면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버상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둘레면은 상기 물통둘레면의 외부 둘레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커버상면은 상기 물통둘레면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bottle cover may include a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ing an outer circumference and a cover upper surface extend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clined downward, wherein the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outside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It may be disposed on the circumferen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bottle.

상기 물통커버는, 상기 커버상면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커버거치면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거치면은 상기 물통둘레면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bottle cove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ounting surface extending horizontally i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cover upper surface, and the cover mounting surface may be disposed lower than an upper end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커버거치면은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ver mounting surface may be disposed above the barrier rib.

상기 물통커버는, 상기 커버거치면의 내측단에서 연장되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포트홀을 형성하는 커버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림의 하단은 상기 격벽의 최상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The bucket cove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rim extending from an inner end of the cover mounting surface and inclined downward and forming the port hole, and a lower end of the cover rim may be disposed lower than an uppermost end of the partition wall.

상기 커버거치면은 상기 배지가 포함된 재배포트부를 거치할 수 있다.The cover bearing surface may bear the redoport part containing the medium.

상기 물통커버는 일부가 상기 격벽의 일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water bottle cover may be disposed above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상기 물통커버는 상기 포트홀을 형성하는 내측단이 상기 격벽의 최상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In the water bottle cover, an inner end forming the port hole may be disposed lower than an uppermost end of the partition wall.

상기 물통둘레면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물통커버에 접촉되는 바디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bottle may protrude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body rib contacting the water bottle cover.

상기 물통바디가 안착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물통저면을 지지하는 본체안착면과, 상기 본체안착면의 둘레 일부에서 상측으로 형성되어 양측면과 후면을 형성하고 전방은 개구되는 본체둘레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바디리브는 상기 물통둘레면 중 상기 본체둘레면이 개구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body portion on which the water bottle body is seated, wherein the body portion is formed upwardly from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seating surface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ottle and the main body seating surface to form both sides and a rear surface, and the front body is opened. A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included, and the body rib may be formed in an open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m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water bottle.

상기 물통커버는 코너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버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리브의 상측에 접촉되는 본체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A cover rib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ormed at a corner of the water bottle cover, and a body rib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ntacting an upper side of the cover rib may be formed in the body part.

상기 본체부는, 상기 물통저면을 지지하는 본체안착면과, 상기 본체안착면의 둘레 일부에서 상측으로 형성되어 양측면과 후면을 형성하고 전면은 개구된 본체둘레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리브는 상기 본체둘레면의 코너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part may include a main body seating surface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ottle, and a main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upward from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seating surface to form both side surfaces and a rea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is opened. It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rner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물통바디가 안착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물통저면을 지지하는 본체안착면과, 상기 본체안착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통저면은 상기 스톱퍼가 걸림되도록 인입된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body portion on which the bucket body is seated, and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body seating surface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and a stopper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dy seating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may include a stopper An engaging groove may be formed so as to be engag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바디와, 상기 물통바디의 상측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긴 막대형상의 조명이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바디는, 상기 조명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한다.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bottle body for storing water and a handle portion provided with a long rod-shaped light disposed above the water bottle body to emit light, and the water bottle body includes the above water bottle body. It includes a partition wall formed by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lighting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식물재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plant culti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물통에 저장된 물이 한쪽으로 급격히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물이 쉽게 넘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ater does not overflow easily by preventing the water stored in the bucket from being rapidly concentrated to one side.

둘째, 사용자가 식물재배기나 물통을 이동할 때 물넘침이 방지되는 장점도 있다.Second,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water overflow is prevented when the user moves the plant cultivator or the water container.

셋째, 사용자가 식물재배기를 이동할 때 물통이 이탈되거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ird, when the user moves the plant cultivator,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the water tank is separated or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prevent overflow of water.

넷째, 식물재배기의 본체에서 물통이 쉽게 분리 및 체결되면서도 물통이 체결된 상태에서 본체와의 단차가 최소화되어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Fourth, while the water container is easily separated and fastened from the main body of the plant cultivator, the level difference with the main body is minimized while the water container is fastened, so that a sense of unity can be formed.

다섯째, 물통 내부에 격벽을 설치하여도 재배포트가 물통에 수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f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ultivation port can be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even if the partition wall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에 대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의 핸들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의 물통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의 물통바디에 대한 평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물통바디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물통바디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의 물통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물통커버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물통커버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에 대한 사용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ure 1;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container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1;
6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water bottle body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1;
Figure 7 is a plan view of the water bottle body shown in Figure 5;
Figure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bottle body shown in Figure 5;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bottle cover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1;
10 is a rear view of the water bottle cover shown in FIG. 8;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bottle cover shown in FIG. 8;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use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1 .
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물재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a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에 대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10)는, 식물 성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지를 구비하는 재배포트부(130)가 거치되고 배지로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물통부(120)와, 물통부(120)가 안착되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조명을 구비한 핸들부(140)와, 핸들부(140)와 본체부(110) 사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150)와, 본체부(1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스페이서(150)를 수납하는 보관부(190)를 포함한다.The plant cultiv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container 120 for stor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medium in which a cultivation port 130 having at least one medium for plant growth is mounted, and a water tank Connecting between the body portion 110 on which the portion 120 is seated, the handle portion 14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equipped with a light, and the handle portion 140 and the body portion 110 It includes a spacer 150 and a storage unit 190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110 to accommodate the spacer 15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기(10)는, 밀폐형이 아닌 개방형에 해당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lant cultiv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n open type rather than a closed type.

따라서 식물이 육성되고 성장하는 재배포트부(130)는, 적어도 상면이 실내환경, 즉 실내 공기에 노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체로 중력방향에 반대되는 상측방향으로 성장하는 성장방향을 갖는 식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포트부(130)의 상면은 전면적으로 실내환경에 개방 및 노출된다.Therefore, at least the upper surface of the cultivation pot unit 130, in which plants are nurtured and grown, is exposed to the indoor environment, that is, indoor air. More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lants having a growth direction that generally grows upward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upper surface of the cultivation port unit 130 is entirely open and exposed to the indoor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에 재배포트부(130)는, 밀폐형 식물재배기와 호환 가능하도록 모듈화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ivation port unit 130 is modularized to be compatible with a closed type plant cultivation machine.

즉, 본 발명의 식물재배기(10)에서 씨앗을 발아시킨 후, 더 나은 재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밀폐형 식물재배기로 재배포트부(130)를 이동 및 배치시켜 식물을 육성할 수 있다.That is, after germination of seeds in the plant cultiva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plants can be nurtured by moving and placing the cultivation port unit 130 in a closed-type plant cultivator capable of providing a better cultivation environment.

반대로 밀폐형 식물재배기에서 사용 중이던 재배포트부(130)를 식물재배기(10)로 이동시켜 식물을 육성시킬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이 구비된 핸들부(14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물의 성장 높이에 의해 밀폐형 식물재배기에서 육성이 곤란한 식물들을 식물재배기(10)로 이동시켜 육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Conversely, it is also possible to nurture plants by moving the cultivation port unit 130 used in the closed type plant cultivator to the plant cultivator 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height of the handle part 140 equipped with the ligh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plants difficult to grow in the closed plant cultivation machine are moved to the plant cultivation machine 10 according to the growth height of the plant and grown. It can be preferably applied in the case of.

한편, 재배포트부(130)는 후술하는 물통부(120)에 비체결 방식으로 조립되고 안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doport unit 130 may be assembled and secured to the water tank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in a non-fastening manner.

여기서 물통부(120)에 비체결 방식으로 조립된다는 의미는, 재배포트부(130)가 물통부(120)와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비함이 없이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조립 및 안착된 상태에서 재배포트부(130)의 자중에 의한 자가이동은 불가하나, 별도의 분해 조작없이 쉽게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Here, being assembled to the water bottle part 120 in a non-fastening manner means that the redoport part 130 can be coupled to the water bottle part 120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ans, and the assembled and seated In this state, self-movement by the weight of the redoport unit 130 is impossible, but it means that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a separate disassembly operation.

재배포트부(130)는 물통부(120)에 중력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물통부(120)에 단순 거치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The redistribution part 130 can be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n the water bottle part 120, and can be assembled in a way that it is simply mounted on the water bottle part 120.

따라서, 사용자는 재배포트부(130)를 밀폐형 식물재배기로 이동시키거나 물의 보충을 위해서 재배포트부(130)를 물통부(1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별도의 분해 조작없이 단순히 재배포트부(130)를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조작만으로 쉽게 재배포트부(130)를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moves the red port unit 130 to a closed plant cultivator or separates the red port unit 130 from the water tank unit 120 to replenish water, the user simply re-port unit without a separate disassembly operation ( 130),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redoport part 130 only by lifting the upper portion. Accordingly, user convenience may be improved.

한편, 재배포트부(130)는 식물을 지지하고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의 배지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cultivation port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dia for supporting plants and protecting the roots of plants.

배지는, 물의 흡수가 용이하고 및 식물의 뿌리 성장에 유리한 소정의 다공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배지는 당업계에 기공지된 임의의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세부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medium may be formed of a predetermined porous material that is easy to absorb water and is advantageous for plant root growth. As for the badge, any configuration previously known in the art is applicable, so description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배지와 씨앗이 케이스 내에 구성된 패키지 형태의 재배포트부(130)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배지만 물통부(120)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 재배포트부(130)는 배지와 동일한 대상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ultivation port unit 130 in the form of a package in which the medium and seeds are configured in a case is us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only the medium by inserting it into the water tank unit 120. Therefore,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redistribution unit 130 may refer to the same object as the medium.

재배포트부(130)의 하부에 배치되는 물통부(120)는, 재배포트부(130)가 거치되며 재배포트부(130)를 지지하는 역할 및 식물에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The water tank part 120 disposed under the red pot part 130 serves to support the red pot part 130 and to store water to be supplied to plants.

물통부(120)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바디(121)와, 재배포트부(130)를 거치식으로 지지하는 물통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bottle unit 120 may include a water bottle body 121 for storing water and a water bottle cover 122 for supporting the cultivation port portion 130 in a stationary manner.

물통부(120)는 전체적으로 좌우방향 폭이 전후방향 폭보다 더 큰 직육면체 형상이며, 재배포트부(13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상하방향 높이를 가질 수 있다.The water container 12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the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as a whole, and may have a vertical height 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redistribution unit 130 therein.

물통부(120)는 소정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경량의 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통부(120)의 물통바디(121)와 물통커버(122)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The water tank part 120 may be formed of a lightweight material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strength. Preferably, the water bottle body 121 and the water bottle cover 122 of the water bottle portion 120 may be manufactured through plastic injection molding.

이 때, 물통부(120)를 구성하는 물통바디(121)와 물통커버(122)는 불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bottle body 121 and the water bottle cover 122 constituting the water bottle portion 120 may be formed of an opaque plastic material.

한편, 물통부(120)의 전면은, 후술하는 본체부(110)에 결합되면 외부로 직접 노출되며 식물재배기(10)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물통부(120)의 전면은 본체부(110)의 둘레면과 연속면을 형성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1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forms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lant cultivator 10. At this time, to form a sense of unity,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120 forms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물통부(120)는, 전술한 재배포트부(130)와 마찬가지로 비체결 방식으로 본체부(110)에 조립된다. 따라서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본체부(110)에 안착될 수 있다. 물통부(120)는 본체부(110)와 탈착가능하다.The water tank part 120 is assembled to the main body part 110 in a non-fastening manner like the above-mentioned redistribution part 130. Therefore, it can be seated on the body part 110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ans. The water tank part 120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part 110 .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없이 물통부(120)를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하거나 본체부(110)에 안착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separate the water tank part 120 from the main body part 110 or seat it on the main body part 110 without a separate manipulation.

물통부(120)가 본체부(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통부(12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물통부(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들어올려 인출하는 조작을 통해서 용이하게 물통부(120)를 분리시킬 수 있다.When trying to separate the water bottle part 120 in a state where the water bottle part 120 is seated on the main body part 110, the user can easily lift and withdraw the water bottle part 120 while holding the water bottle part 120. The water tank part 120 may be separated.

본체부(110)에는 물통부(120)와의 경계부분에 사용자의 파지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at a boundary portion with the water bottle portion 120 so that the user's grip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물통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본체부(110)는, 물통부(120)를 수용하고 후술하는 핸들부(140)를 지지한다.The body portion 110 disposed below the water bottle portion 120 accommodates the water bottle portion 120 and supports a handle portion 140 to be described later.

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물통부(120)에 대응되어 좌우방향 폭이 전후방향 폭보다 더 큰 형상이며 좌우 양측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면 형태이다.The main body portion 110 corresponds to the water bottle portion 120 as a whole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both left and right sides have a circular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물통부(1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상부 및 전방은 물통부(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부분 개방되어 있다. 본체부(110)의 후면은 식물재배기(10)의 후면을 형성하도록 막혀 있는 형상이다. 본체부(110)의 후면에 의하여 물통부(120)의 후방 이동은 차단될 수 있다.To allow the water bottle 120 to be seated, the top and front of the main body 110 are mostly ope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water bottle 120 .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is blocked to form the rear surface of the plant cultivator 10 . Rearward movement of the water bottle 120 may be block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

본체부(110)는 좌우 양측은 핸들부(140)를 지지한다. 본체부(110)의 좌우 양측에는 핸들부(140) 또는 스페이서(150)를 지지하는 본체인서트(119)가 구비된다. 본체인서트(119)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본체부(110)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본체인서트(119)의 돌출된 부분은 핸들부(140) 또는 스페이서(150)로 삽입되어 핸들부(140) 또는 스페이서(150)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본체인서트(119)에는 쐐기형상의 본체체결단이 형성되어 핸들부(140) 또는 스페이서(150)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체결된다.The body portion 110 supports the handle portion 140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Body inserts 119 supporting the handle portion 140 or the spacer 150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110 . The body inserts 119 are provided in pairs and are disposed protruding upwar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10 .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ody insert 119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art 140 or the spacer 150 to support the handle part 140 or the spacer 150 so as not to shak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wedge-shaped main body fastening end is formed on the body insert 119, and the handle portion 140 or the spacer 150 is fastened in an interlocking manner.

본체부(110)의 하측에는 보관부(190)가 결합된다.A storage unit 19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unit 110 .

핸들부(140)와 본체부(110) 사이에는 스페이서(150)가 연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150)는 핸들부(140)의 높이 조절을 위한 용도를 갖는다. 스페이서(150)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핸들부(140)의 좌우 양측 하단과 본체부(110)의 좌우 양측 상단을 연결한다.A spacer 15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handle part 140 and the body part 110 . The spacer 150 has a purpos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andle part 140 . The spacers 150 are provided as a pair to connect 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of the handle part 140 and the left and right upper ends of the body part 110 .

스페이서(150)는 핸들부(140)를 지지하는 스페이서인서트(153)를 포함한다. 스페이서인서트(153)는 스페이서(150)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The spacer 150 includes a spacer insert 153 supporting the handle portion 140 . The spacer insert 153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spacer 1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스페이서인서트(153)의 돌출된 부분은 핸들부(140)로 삽입되어 핸들부(140)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스페이서인서트(153)에는 쐐기형상의 스페이서체결단이 형성되어 핸들부(140)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체결된다.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pacer insert 153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art 140 to support the handle part 140 so as not to shak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wedge-shaped spacer fastening end is formed in the spacer insert 153, and the handle part 140 is fastened in an interlocking manner.

상술한 본체인서트(119)는 스페이서인서트(15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페이서(150)가 분리되어도 핸들부(140)가 본체부(110)에 체결될 수 있다.The body insert 119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pacer insert 153 so that the handle portion 140 can be fastened to the body portion 110 even when the spacer 150 is separated.

핸들부(140)에는 재배포트부(130)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이 구비되고, 스페이서(150)를 통하여 핸들부(140)의 조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스페이서(150)를 이용하여 식물의 성장 높이에 맞게 핸들부(140)의 조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The handle part 140 is provided with a light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redoport part 130, and the height of the light of the handle part 140 can be adjusted through the spacer 150. That 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lighting of the handle part 140 according to the growth height of the plant using the spacer 150 .

핸들부(140)는 식물재배기(10)의 이동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핸들부(140)는 재배포트부(130)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을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한다.The handle unit 140 provides a handle function that a user can hold when moving the plant cultivator 10 . In addition, the handle unit 140 additionally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illumination for radiating light toward the redoport unit 130 .

핸들부(140)는 좌우방향을 길이방향으로 본체부(110)의 상측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핸들부(140)의 좌우 양측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핸들부(140)는 좌우방향으로 긴 수평부분과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수직부분으로 구성된다. 핸들부(140)의 좌우 양측 하단은 본체부(110) 또는 스페이서(150)와 결합된다.The handle part 140 is formed in a bar shape disposed across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part 140 are formed to extend downward. The handle part 140 is composed of a long horizontal 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pair of vertical part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Left and right lower ends of the handle part 140 are coupled to the body part 110 or the spacer 150 .

보관부(190)는 본체부(110)의 하측에 결합되어 본체부(110)를 지지한다. 보관부(190)는 본체부(110)와 볼트 등 체결수단에 의하여 사용자가 쉽게 분리하지 못하도록 체결된다. The storage unit 19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unit 110 to support the body unit 110 . The storage unit 190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user cannot easily separate it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보관부(19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인입되어 스페이서(15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보관바디(191)와, 보관바디(191)의 하측에 결합되는 보관커버(192)를 포함한다. 스페이서(150)는 보관커버(192)에 장착되며 스페이서(150)가 장착된 보관커버(192)가 보관바디(191)에 결합되어 스페이서(150)가 보관바디(191) 내에 수용된다.The storage unit 190 includes a storage body 191 draw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pacer 150 is accommodated, and a storage cover 192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body 191 . The spacer 150 is mounted on the storage cover 192 and the storage cover 192 equipped with the spacer 150 is coupled to the storage body 191 so that the spacer 150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body 191 .

보관바디(191)의 하면에는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소켓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관바디(191)의 하면에는 식물재배기(10)가 놓인 면 또는 바닥과 접촉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무패드가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A power socket into which external power is input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191 . In addition, a plurality of rubber pads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191 to prevent slipping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r floor where the plant cultivator 10 is plac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의 핸들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ure 1;

핸들부(140)는,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어퍼핸들바디(141)와, 하측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핸들바디(142)와, 조명모듈 및 콘트롤러가 구비되는 메인회로기판(143)과, 조명모듈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는 조명커버(144)와, 사용자로부터 동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버튼(149)과, 입력버튼(149)의 누름을 신호로 변환하는 서브회로기판(148)과, 외부 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147)과, 핸들부(140)가 본체부(110) 또는 스페이서(150)와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핸들체결부(145)를 포함한다.The handle unit 140 includes an upper handle body 141 forming an upper exterior, a lower handle body 142 forming a lower exterior, a main circuit board 143 provided with a lighting module and a controller, and a lighting module. A lighting cover 144 through which light irradiated from is transmitted, an input button 149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rom a user, a sub-circuit board 148 converting a press of the input button 149 into a signal, and an external device 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7 communicating wirelessly with the handle part 140 and a handle fastening part 145 that allows the handle part 140 to be fastened and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110 or the spacer 150.

어퍼핸들바디(141)와 로어핸들바디(142)는 핸들부(140)의 상하방향 분할체로서, 핸들부(140)의 외관을 형성한다. 어퍼핸들바디(141) 및 로어핸들바디(142)는 좌우방향으로 긴 수평부분과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수직부분으로 구성된다.The upper handle body 141 and the lower handle body 142 are divided bodies of the handle unit 14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orm the exterior of the handle unit 140 . The upper handle body 141 and the lower handle body 142 are composed of a long horizontal 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air of vertical part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어퍼핸들바디(141)와 로어핸들바디(142)의 결합시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에 메인회로기판(143), 서브회로기판(148), 무선통신모듈(147) 및 핸들체결부(145)가 수용된다.When the upper handle body 141 and the lower handle body 142 are coupled,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main circuit board 143, the sub circuit board 148,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7 and the handle fastening part 145 ) is accepted.

메인회로기판(143)은 핸들부(140)의 수평부분의 대부분에 대응되도록 좌우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메인회로기판(143)에는 콘트롤러 및 메모리 등 식물재배기(10)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소자들이 실장된다. 메인회로기판(143)에는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이 실장된다.The main circuit board 143 is formed in a long bar shap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correspond to most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handle unit 140 .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entir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or 10, such as a controller and a memory, are mounted on the main circuit board 143. A lighting module for irradiating light is mounted on the main circuit board 143 .

조명모듈은 전기에너지를 변환하여 빛을 생성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와, 구동부를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는 메인회로기판(143)의 하단면에 복수로 배열된다. 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빛은 로어핸들바디(142)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통과한 후 조명커버(144)를 투과하여 재배포트부(130)로 조사된다. 조명모듈에서 생성하는 빛은 식물성장에 적합한 파장영역을 갖는 백색광 및/또는 적색광이 될 수 있다.The lighting module includes a light-emitting diode (LED) capable of generating light by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and a driving unit.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re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circuit board 143 .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iode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lower handle body 142 and then passes through the lighting cover 144 to be irradiated to the redistribution unit 130 .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module may be white light and/or red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e suitable for plant growth.

조명커버(144)는 메인회로기판(143)과 마찬가지로 핸들부(140)의 수평부분의 대부분에 대응되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조명모듈의 발광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빛은 직진성이 너무 강하므로 조명커버(144)는 빛을 분산하면서도 재배포트부(130)를 향하여 조사되도록 한다. 즉, 조명모듈의 발광다이오드에서 생성된 빛은 조명커버(144)에서 면발광되어 재배포트부(130)로 조사된다. 조명커버(144)에서 면발광되는 빛은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핸들부(140)에서 빛을 조사하는 조명은 좌우방향으로 긴 막대형상이다.Like the main circuit board 143, the lighting cover 144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correspond to most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handle unit 140. Sinc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of the lighting module is too strong in straightness, the lighting cover 144 distributes the light while emitting it toward the rediport unit 130 . That is,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iode of the lighting module is emitted from the lighting cover 144 and is irradiated to the redistribution unit 130 . Light emitted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ing cover 144 is formed in a rod shape. Therefore, the lighting radiating light from the handle part 140 has a long bar shap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조명커버(144)는 로어핸들바디(142)의 수평부분의 하단면에 결합된다.The lighting cover 144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lower handle body 142.

사용자는 입력버튼(149)을 눌러 식물재배기(10)에 동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버튼(149)을 눌러 전원을 켜고 끄거나, 동작모드를 변경하거나, 조명모듈을 점등 또는 소등하거나 무선통신모듈(147)의 무선통신을 켜고 끌 수 있다. 입력버튼(149)은 로어핸들바디(142)의 일측 수직부분에 일부가 돌출되어 배치된다. 입력버튼(149)은 눌림시 서브회로기판(148)에 실장된 압전소자가 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user may input an operation command to the plant cultivator 10 by pressing the input button 149 . The user can press the input button 149 to turn the power on/off, change the operation mode, turn on/off the lighting module, or turn on/off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7. A portion of the input button 149 protrudes from a vertical portion of one side of the lower handle body 142 and is disposed. When the input button 149 is pressed, the piezoelectric element mounted on the sub-circuit board 148 is configured to be pressed.

서브회로기판(148)은 핸들부(140)의 수직부분 중 입력버튼(149) 배치된 측에 배치된다. 서브회로기판(148)에는 입력버튼(149)의 눌림을 신호로 변경하는 압전소자, 빛으로 식물재배기(10)의 상태나 무선통신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 온도센서 등 센서 등이 실장된다.The sub-circuit board 148 is disposed on the side where the input button 149 is disposed among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handle part 140 . On the sub-circuit board 148, a piezoelectric element that changes the pressing of the input button 149 into a signal, an indicator light that displays the state of the plant cultivator 10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light, and a sensor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re mounted.

무선통신모듈(147)은 핸들부(140)의 수직부분 중 서브회로기판(148)이 배치되는 않은 측에 배치된다. 무선통신모듈(147)은 예시적으로 인터넷망에 양방향 접속이 가능한 WIFI모듈이 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47)은 메인회로기판(143)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메인회로기판(143)의 콘트롤러는 무선통신모듈(147)을 통해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7 is disposed on a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handle unit 140 on which the sub-circuit board 148 is not dispos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7 may be, for example, a WIFI module capable of bi-directional access to the Internet network.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7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143, and the controller of the main circuit board 143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s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7.

무선통신모듈(147)의 작동여부는 서브회로기판(148)에 연결된 표시등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7 can be displayed through an indicator lamp connected to the sub-circuit board 148 .

핸들체결부(145)는 핸들부(140)가 본체부(110) 또는 스페이서(150)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핸들체결부(145)는, 본체부(110) 또는 스페이서(150)와 맞물리는 체결후크와, 누름시 후크가 해제되는 체결버튼과, 체결후크 및 체결버튼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체결부(145)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핸들부(140)의 양측 수직부분에 배치된다. 핸들체결부(145)의 체결버튼은 로어핸들바디(142)의 수직부분에 일부가 돌출되어 배치된다.The handle fastening part 145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andle part 140 can be fastened to or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110 or the spacer 150 . The handle fastening part 145 may include a fastening hook engaged with the main body 110 or the spacer 150, a fastening button that releases the hook when pressed, and an elastic body that provides elasticity to the fastening hook and fastening button. there is. The handle fastening parts 145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handle part 140 . A part of the fastening button of the handle fastening part 145 protrudes from the vertical part of the lower handle body 142 and is disposed.

상술한 핸들체결부(145)는 스페이서(150)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구비되어, 본체부(110)가 핸들부(140)와 체결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페이서(150)와 체결된다.The above-described handle fastening part 145 is also provided in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to the spacer 150, and is fastened to the spacer 150 in the same way as the main body part 110 is fastened to the handle part 140.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의 물통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container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1;

물통부(120)는, 배지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바디(121)와, 물통바디를 덮는 물통커버(122)와, 물통바디(121)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표시하는 표시부표(123)를 포함한다. 물통부(120)는 전자센서에 의하여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자석부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bottle unit 120 includes a water bottle body 121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medium, a water bottle cover 122 covering the water bottle body, and a display buoy 123 displaying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water bottle body 121. includes The water container 120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buoy for detecting a water level using an electronic sensor.

표시부표(123)는 하부는 수평한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수직한 봉형상으로 형성된다. 표시부표(123) 상부는 물통커버(122)의 부표홀(1227)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표시부표(123)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buoy 123 is formed in a horizontal long plate shape and the upper part is formed in a vertical rod shape.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buoy 123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buoy hole 1227 of the water bottle cover 122 so that the user can identify the height of the display buoy 123.

물통바디(121)는 전체적으로 좌우방향 폭이 전후방향 폭보다 더 크고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통바디(121)의 저면은 본체부(110)의 상면에 면접촉되어 지지된다.The water bottle body 121 is generally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a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greater than a wid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n open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121 is support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물통바디(121)는, 전후방향을 길이방향으로 물통바디(121)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격벽(1213)과,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물통커버(122)에 접촉되는 바디리브(1216)를 포함한다.The water bottle body 121 includes a bulkhead 1213 formed by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1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body formed by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and contacting the water bottle cover 122. rib 1216.

물통바디(121)와 물통커버(122)는, 체결레버(1228)를 통해 상호간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레버(1228)는 일단부가 물통바디(121) 또는 물통커버(122)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물통바디(121) 또는 물통커버(122) 중 다른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The water bottle body 121 and the water bottle cover 12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lever 1228. The fastening lever 1228 has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either the water bottle body 121 or the water bottle cover 122, and the other end engaged with the other one of the water bottle body 121 or the water bottle cover 122. It can be.

도 6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의 물통바디에 대한 평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물통바디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물통바디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6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bottle body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1, FIG. 7 is a plan view of the water bottle body shown in FIG. 5, and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bottle body shown in FIG.

물통바디(121)는, 바닥을 형성하며 대략 직사각형 형성인 물통저면(1211)과, 물통저면(1211)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물통둘레면(1212)을 포함한다.The water bottle body 121 includes a water bottle bottom surface 1211 forming a bottom and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a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formed up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bottle bottom surface 1211.

격벽(1213)은 직사각형인 물통저면(1211)의 단변 방향(전후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물통저면(12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격벽(1213)은 핸들부(140)의 길이방향(좌우방향)과 수직한 방향(전후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형성된다. 격벽(1213)은 핸들부(140)의 막대형상의 조명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형성된다. 격벽(1213)은 물통저면(1211)의 장변 방향(좌우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ulkhead 1213 is formed by protruding upward from the bucket bottom surface 1211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nt-rear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bucket bottom surface 1211 . The partition wall 1213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140 (front-rear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arrier rib 1213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d-shaped light of the handle part 140 as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barrier ribs 1213 may be formed in plurality by being spaced apart in the long side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water bottle bottom surface 1211 .

물통바디(121)는 좌우방향 폭이 전후방향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되므로 물이 좌우방향으로 쏠리게 되면 무게중심의 이동폭이 더 커지므로 쉽게 물이 넘치게 된다. 따라서 격벽(1213)은 물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전후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좌우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Since the width of the water bottle body 121 is long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the water is concentr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movement width of the center of gravity increases, so that the water easily overflows. Accordingly, the partition walls 1213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revent water from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re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사용자가 핸들부(140)를 파지하여 식물재배기(10)를 이동할 때 식물재배기(10)가 핸들부(140)의 길이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격벽(1213)은 물이 핸들부(1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핸들부(14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 moves the plant cultivator 10 by gripping the handle unit 140, the plant cultivator 10 may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unit 140. Accordingly, the barrier rib 1213 is preferably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140 to prevent water fro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140 .

본 실시예에서 격벽(1213)은 3개가 형성되며, 제1 격벽(1213a), 제2 격벽(1213b) 및 제3 격벽(1213c)이 좌우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제2 격벽(1213b)은 물통저면(1211)의 가운데에 배치되며, 제1 격벽(1213a)은 물통둘레면(1212)의 우측면과 제2 격벽(1213b)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3 격벽(1213c)은 물통둘레면(1212)의 좌측면과 제2 격벽(1213b)의 사이에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ree barrier ribs 1213 are formed, and the first barrier rib 1213a, the second barrier rib 1213b, and the third barrier rib 1213c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econd partition wall 1213b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water bottle bottom surface 1211, the first partition wall 1213a is disposed between the right side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1213b, and the third partition wall ( 1213c)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1213b.

격벽(1213)은 길이방향(전후방향)의 가운데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1213)은 물통둘레면(1212)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된다.The partition wall 1213 preferably increases from the middle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partition wall 1213 is formed higher toward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of the water bottle.

물통바디(121)의 가운데 부분에는 재배포트부(130)의 하부가 수용되어야 하므로 격벽(1213)의 가운데 부분은 낮게 형성된다(도 12 참조). 또한, 물이 물통바디(121)의 모서리 부분으로 쏠리게 되면 물이 급격히 쏟아질 수 있으므로 격벽(1213)은 물통둘레면(1212)과 접촉되는 부분은 높게 형성되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lower part of the redistribution part 130 should be accommod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water bottle body 121, the middle part of the partition wall 1213 is formed low (see FIG. 12). In addition, since water may pour out rapidly when water is concentrated toward the corner of the water bottle body 121,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wall 1213 is formed high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of the water bottle.

물통저면(1211)은 격벽(1213)이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면(하측면)에 격벽측(상측)으로 인입된 저면홈(1214)이 형성된다. 물통바디(121)의 사출시 격벽(1213)으로 인하여 수축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1213)에 대응되어 저면홈(1214)이 형성된다.The bottom surface 1211 of the water bottle is formed with a bottom groove 1214 drawn into the partition wall side (upper side) on the opposite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partition wall 1213 is formed. When the water bottle body 121 is ejected, it may shrink due to the partition wall 1213. To prevent this, a bottom groove 1214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artition wall 1213.

격벽(1213)은 표시부표(123)가 물통저면(1211)에서 안착되는 부분(1211a)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표시부표(123)는 수위를 측정하여야 하므로 물이 없을 때 물통저면(1211)에 닿아야 하므로 표시부표(123)가 안착될 자리에는 격벽(1213)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제2 격벽(1213b)은 표시부표(123)로 인하여 일단이 물통둘레면(1212)까지 연장되지 않고 끊긴 형태로 형성된다.The partition wall 1213 is not formed in the portion 1211a where the display buoy 123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1211 of the water bottle. Since the display buoy 123 should measure the water level, it should touch the bottom surface 1211 of the bucket when there is no water, so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wall 1213 is not formed where the display buoy 123 is to be seated. In the embodiment, one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213b does not exten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of the water bottle due to the display buoy 123 and is formed in a disconnected form.

물통바디(121)의 물통둘레면(1212) 중 전면에는 바디리브(1216)가 형성된다. 바디리브(1216)는 물통둘레면(1212) 중 전면에서 돌출되어 좌우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물통커버(122)는 물통둘레면(1212)을 덮으며 물통커버(122)의 전면은 외부로 직접 노출된다. 물통커버(122)는 사출로 형성되므로 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지 않고 약간의 굴곡이 생길 수 있으며 이 경우 본체부(110)와 일체감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바디리브(1216)는 물통둘레면(1212) 중 바디리브(1216)는 물통바디(121)와 물통커버(122)의 결합시 물통커버(122)의 전면의 후방에서 접촉되어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물통커버(122)의 전면에 굴곡이 생기 않도록 하여 본체부(110)와 일체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도 12 참조).A body rib 1216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of the water bottle body 121. The body rib 1216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and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ater bottle cover 122 covers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bottle cover 122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Since the water bottle cover 122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the front surface may not be formed flat and may have a slight curve, and in this case, a sense of unity with the body portion 110 may not occur. The body rib 1216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is disposed so as to be pushed forward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bottle cover 122 when the water bottle body 121 and the water bottle cover 122 are coupled. do. Accordingly,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bottle cover 122 is not curved so that a sense of unity with the body portion 110 can be formed (see FIG. 12).

물통저면(1211)의 하측에는 걸림홈(1215)이 형성된다. 걸림홈(1215)은 한쌍이 형성되며 물통저면(1211)의 좌우양단에 전방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걸림홈(1215)은 저면홈(1214)이 형성된 부분을 피하여 물통둘레면(1212)과 저면홈(1214)의 사이에 배치된다.A locking groove 1215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ucket bottom surface 1211 . A pair of locking grooves 1215 are formed and are disposed forwar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water bottle bottom surface 1211. The locking groove 1215 is disposed between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and the bottom groove 1214 avoiding the portion where the bottom groove 1214 is formed.

도 9은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의 물통커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물통커버에 대한 배면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물통커버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에 대한 사용 예시도이고,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재배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bottle cover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1, FIG. 10 is a rear view of the water bottle cover shown in FIG. 8, and FIG.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bottle cover shown in FIG. 8,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1,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use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1, and FIG. 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

물통커버(122)는 물통바디(121)를 덮어 물통부(120)의 상측 및 둘레의 외관을 형성한다. 물통커버(122)는 하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면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전체적으로 좌우방향 폭이 전후방향 폭보다 더 큰 직육면체 형상이다. 물통커버(122)는 재배포트부(130)가 삽입되는 포트홀(1226)이 형성된다. 물통커버(122)는 물통바디(121)의 물통둘레면(1212)의 상단부를 내외로 감싸도록 형성된다.The water bottle cover 122 covers the water bottle body 121 to form the outer appearance of the upper side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bottle portion 120. The water bottle cover 122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the lower surface is entirely open and the upper surface is partially open, and the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water bottle cover 122 is formed with a port hole 1226 into which the red pot 130 is inserted. The water bottle cover 122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end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of the water bottle body 121 inside and out.

물통커버(122)는, 외측 둘레를 형성하는 커버둘레면(1222)과, 커버둘레면(1222)의 상단에서 내측(수평방향의 중심)으로 연장되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버상면(1221)과, 커버상면(1221)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커버거치면(1223)과, 커버거치면(1223)의 내측단에서 연장되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버림(1224)을 포함한다.The water bottle cover 122 includes a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2 forming an outer circumference, and a cover upper surface 1221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2 to the inside (cen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ined downward, , Cover mounting surface 1223 extending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ver upper surface 1221, and a cover rim 1224 extending from the inner end of the cover mounting surface 1223 and inclined downward.

커버둘레면(1222)은 물통둘레면(1212)의 외부 둘레에 배치된다. 커버둘레면(1222) 중 전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커버둘레면(1222)의 좌우 양측면에는 물통바디(121)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레버(1228)가 배치될 수 있다.The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2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2 is exposed to the outside. Fastening levers 1228 for fastening with the water bottle body 121 may be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2 .

커버둘레면(1222)은 코너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버리브(1225)가 형성된다. 커버리브(1225)는 커버둘레면(1222)의 후면의 상단부 좌우 코너에 한쌍으로 형성된다. 커버리브(1225)는 커버둘레면(1222)의 상단보다 조금 낮게 배치된다.The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2 is formed with cover ribs 1225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corners. The cover ribs 1225 are formed as a pair at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2. The cover rib 1225 is disposed slightly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2.

커버둘레면(1222)의 상단은 커버상면(1221)의 상단과 연결된다.The upper end of the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ver upper surface 1221 .

커버상면(1221)은 물통둘레면(1212)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 배치된다. 커버상면(1221)의 상단은 물통둘레면(1212)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되고, 커버상면(1221)의 하단은 물통둘레면(1212)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상면(1221)은 물통둘레면(1212)의 상단으로부터 내측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통바디(121)에 저장된 물이 물통둘레면(1212)을 넘어가더라도 외부로 넘치는 것을 막는다.The cover top surface 1221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 The upper end of the cover upper surface 1221 i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 and the lower end of the cover upper surface 1221 is dispos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tial surface 1212 . Referring to FIG. 12, the cover top surface 1221 is formed in a shape that covers a portion of the inner side from the upper end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ce surface 1212,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bottle body 121 overflows to the outside even if it exceeds the water bottle circumference surface 1212. prevent it

커버상면(1221)은 물통부(120)의 상측 외관을 형성한다. 커버상면(1221)에는 부표홀(1227)이 형성된다 부표홀(1227)은 커버상면(1221)의 후방측 가운데에 형성되며, 커버상면(1221)에서 부표홀(1227)이 형성된 부분은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top surface 1221 forms the upper exterior of the water tank part 120 . A buoy hole 1227 is formed on the cover top surface 1221. The buoy hole 1227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rear side of the cover top surface 1221, and the portion where the buoy hole 1227 is formed on the cover top surface 1221 is horizontally It is desirable to form

커버상면(1221)의 일부는 격벽(1213)의 상측에 배치된다. 커버상면(1221)의 하단은 격벽(1213)의 최상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커버상면(1221)의 하단은 커버거치면(1223)의 외측단과 연결된다.A part of the cover top surface 1221 is disposed above the partition wall 1213 . The lower end of the cover upper surface 1221 is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partition wall 1213 . The lower end of the cover upper surface 1221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cover mounting surface 1223.

커버거치면(1223)은 재배포트부(130)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된다. 커버거치면(1223)은 재배포트부(130)를 지지하여 재배포트부(130)의 바닥면이 물통바디(121)에 닿지 않도록 재배포트부(130)를 거치한다.The cover mounting surface 1223 is formed horizontally so that a portion of the redoport part 130 is seated. The cover mounting surface 1223 supports the redoport part 130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redoport part 130 does not touch the water bottle body 121.

커버거치면(1223)은 격벽(1213)의 상측에 배치된다. 커버거치면(1223)의 내측단은 커버림(1224)의 상단과 연결된다.The cover mounting surface 1223 is disposed above the partition wall 1213 . The inner end of the cover mounting surface 1223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ver rim 1224.

커버림(1224)은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포트홀(1226)을 형성한다. 커버림(1224)의 내측으로 재배포트부(130)가 삽입되며 커버림(1224)의 일부는 재배포트부(130)의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커버림(1224)의 하단은 격벽(1213)의 최상단보다 낮게 배치된다.The cover rim 1224 is inclined downward to form a port hole 1226 . The redistribution part 130 is inserted into the cover rim 1224, and a part of the cover rim 1224 may b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redox part 130. The lower end of the cover rim 1224 is disposed low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partition wall 1213.

본체부(110)는 상측 외관을 형성하며 물통부(120)가 안착되도록 물통저면(1211)을 지지하는 본체안착면(1101)과, 본체안착면(1101)의 둘레 일부에서 상측으로 형성되어 양측면과 후면을 형성하고 전면은 개구된 본체둘레면(1102)과, 본체안착면(110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톱퍼(1108)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part 110 forms an upper exterior and is formed upward from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seating surface 1101 and the main body seating surface 1101 supporting the water bottle bottom surface 1211 so that the water bottle part 120 is seated on both sides. It forms a rea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includes an open main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1102 and a stopper 1108 protruding upward from the main body seating surface 1101.

본체둘레면(1102)은 코너 상단에 본체리브(1107)가 형성된다. 본체리브(1107)는 한쌍으로 형성되어 본체둘레면(1102)의 양측면과 후면이 연결되는 코너의 상단에 배치된다. 본체리브(1107)는 물통부(120)가 본체부(110)에 안착되었을 때 물통부(120)의 커버리브(1225)의 상측에 접촉된다. 물통부(120)가 본체부(110)에 안착되었을 때 물통부(120)와 본체부(110)의 후방 상부가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커버리브(1225)가 본체리브(1107) 아래로 삽입되어 물통부(120)와 본체부(110)의 단차가 없도록 한다.The main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1102 is formed with a main body rib 1107 at the upper end of the corner. The main body ribs 1107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corner where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1102 and the rear surface are connected. The body rib 1107 contacts the upper side of the cover rib 1225 of the water bottle portion 120 when the water bottle portion 120 is seated on the body portion 110 . When the water bottle part 120 is seated on the body part 110, the cover rib 1225 is inserted under the body rib 1107 so that the water bottle part 120 and the rear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10 can form a sense of unity. This is to ensure that there is no step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bottle portion 120 and the body portion 110.

또한, 물통부(120)를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자가 물통부(120)의 전방을 들어올리면 커버리브(1225)가 본체리브(1107)에 걸려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lifts the front of the water bottle portion 120 when separating the water bottle portion 120 from the body portion 110, the cover rib 1225 is caught on the body rib 1107 so that it is naturally drawn forward.

본체둘레면(1102)은 전방이 개구되므로 커버둘레면(1222)의 전면과 일체감이 형성되기 위하여, 바디리브(1216)는 물통둘레면(1212) 중 본체둘레면(1102)이 개구된 부분에 형성된다.Since the front side of the body circumference 1102 is open, in order to form a sense of unity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circumference 1222, the body rib 1216 is formed on the portion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ce 1212 where the main body circumference 1102 is opened. is formed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되는 본체부(110)는 성형성을 고려하여 본체안착면(1101)은 전후방향으로 경사진 구배가 형성된다. 본체안착면(1101)은 전방이 후방보다 약간 낮게 형성된다. 구배에 의하여 본체부(110)에 안착된 물통부(120)가 전방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본체안착면(1101)에는 스톱퍼(1108)가 배치된다. 스톱퍼(1108)는 본체안착면(110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물통저면(1211)의 걸림홈(1215)에 걸린다. 스톱퍼(1108)의 하부는 본체안착면(1101)에 체결되며 상부는 걸림홈(1215)에 삽입된다. In the body portion 110 manufactured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considering moldability, the body seating surface 1101 has an inclined gradi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main body seating surface 1101 is formed slightly lower in front than in the rear. A stopper 1108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seating surface 1101 so that the water bottle 120 seated on the main body 110 does not slide forward due to the gradient. The stopper 1108 protrudes upward from the body seating surface 1101 and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1215 of the water bottle bottom surface 1211. The lower part of the stopper 1108 is fastened to the body seating surface 1101 and the upper part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15.

사용자가 핸들부(140)를 파지하여 식물재배기(10)를 이동할 때 스톱퍼(1108)는 물통부(12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물통부(12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물이 넘칠 수 있으므로 스톱퍼(1108)는 물통부(12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When the user moves the plant cultivator 10 by gripping the handle part 140, the stopper 1108 prevents the water tank part 120 from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water tank part 12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ince water may overflow, the stopper 1108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water tank part 120.

스톱퍼(1108)는 물통부(12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안착면(1101) 전방에 배치되어 물통바디(121)의 전방을 지지한다. 스톱퍼(1108)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본체안착면(1101) 좌우양측에 전방으로 치우쳐 배치된다.The stopper 1108 is disposed in front of the body seating surface 1101 to support the front of the water bottle body 121 so that the water bottle portion 120 can be leveled. The stoppers 1108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disposed forwar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seating surface 1101.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간이 식물재배기
110: 본체부
120: 물통부
121: 물통바디
1211: 물통저면
1213: 격벽
122: 물통커버
130: 재배포트부
140: 핸들부
150: 스페이서
190: 보관부
10: simple plant cultivation machine
110: body part
120: water tank
121: water bottle body
1211: bottom of the bucket
1213 bulkhead
122: water bottle cover
130: redoport unit
140: handle part
150: spacer
190: storage unit

Claims (19)

물을 저장하는 물통바디; 및
상기 물통바디의 상측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바디는,
바닥을 형성하며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물통저면; 및
상기 물통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물통저면의 단변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A bucket body for storing water; and
And a handle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bottle body to irradiate light,
The water bottle body,
A bottom surface of a bucket that forms a bottom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A plant cultivator comprising a partition wall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bucket an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direction of a short side of the bottom of the buc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물통저면의 장변 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artition wall is a plant cultivator formed in plurality spaced apart in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길이방향의 가운데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ulkhead is a plant cultivator that increases from the middle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저면은 상기 격벽이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면에 상기 격벽 측으로 인입된 저면홈이 형성되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is a plant cultivator in which a bottom groove drawn into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art where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바디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표시하는 표시부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표시부표가 상기 물통저면에서 안착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bottle body,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buoy displaying the level of the stored water,
The partition wall is not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display buoy is sea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바디를 덮으며 상기 배지가 삽입되는 포트홀이 형성되는 물통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통바디는 상기 물통저면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물통둘레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통커버는 상기 물통둘레면 상단부를 내외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bottle cover covering the water bottle body and having a port hole through which the medium is inserted,
The bucket body further includes a bucket circumference formed up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bucket bottom,
The water bottle cover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bottle inside and ou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커버는,
외측 둘레를 형성하는 커버둘레면; 및
상기 커버둘레면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버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둘레면은 상기 물통둘레면의 외부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상면은 상기 물통둘레면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 배치되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6,
The water bottle cover,
a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ing an outer circumference; and
And a cover top surface extending in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clined downward,
The cover circumference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ter bottle circumference,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bott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커버는,
상기 커버상면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커버거치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거치면은 상기 물통둘레면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7,
The water bottle cover,
Further comprising a cover mounting surface extending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ver upper surface,
The cover mounting surface is dispos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bott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거치면은 상기 격벽의 상측에 배치되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8,
The cover mounting surface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커버는,
상기 커버거치면의 내측단에서 연장되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포트홀을 형성하는 커버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림의 하단은 상기 격벽의 최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8,
The water bottle cover,
Further comprising a cover rim extending from the inner end of the cover mounting surface and inclined downward and forming the port hole,
The lower end of the cover rim is disposed low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partition wal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거치면은 상기 배지가 포함된 재배포트부를 거치하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8,
The cover mounting surface is a plant cultivator for mounting the cultivation port portion containing the mediu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커버는 일부가 상기 격벽의 일부 상측에 배치되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6,
A plant cultivator wherein a portion of the water bottle cover is disposed above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커버는 상기 포트홀을 형성하는 내측단이 상기 격벽의 최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6,
The water bottle cover is a plant cultivator in which an inner end forming the port hole is disposed low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partition wal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둘레면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물통커버에 접촉되는 바디리브가 형성되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6,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bottle protrudes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body rib in contact with the water bottle cov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바디가 안착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물통저면을 지지하는 본체안착면; 및
상기 본체안착면의 둘레 일부에서 상측으로 형성되어 양측면과 후면을 형성하고 전방은 개구되는 본체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리브는 상기 물통둘레면 중 상기 본체둘레면이 개구된 부분에 형성되는 식물재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body portion in which the water bottle body is seated,
The body part,
Body seating surface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water bottle; and
It is formed upward from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seating surface to form both side surfaces and a rear surface, and includes a main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opened at the front,
The body rib is a plant cultivator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is opened am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water bott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바디가 안착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통커버는 코너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버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리브의 상측에 접촉되는 본체리브가 형성되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body portion in which the water bottle body is seated,
The water bottle cover is formed with a cover rib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corner,
The plant cultivator wherein the main body protrud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s a main body rib contacting the upper side of the cover rib.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물통저면을 지지하는 본체안착면; 및
상기 본체안착면의 둘레 일부에서 상측으로 형성되어 양측면과 후면을 형성하고 전면은 개구된 본체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리브는 상기 본체둘레면의 코너 상단에 형성되는 식물재배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body part,
Body seating surface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water bottle; and
It is formed upward from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seating surface to form both side surfaces and a rea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includes an open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ody rib is a plant cultivator formed at the top of the corner of the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바디가 안착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물통저면을 지지하는 본체안착면; 및
상기 본체안착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저면은 상기 스톱퍼가 걸림되도록 인입된 걸림홈이 형성되는 식물재배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ody portion in which the water bottle body is seated,
The body part,
Body seating surface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water bottle; and
And a stopper protruding upward from the main body seating surface,
The plant cultivator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is formed with a hooking groove retracted so that the stopper is hooked.
물을 저장하는 물통바디; 및
상기 물통바디의 상측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긴 막대형상의 조명이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바디는, 상기 조명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A bucket body for storing water; and
A handle portion provided with a long rod-shaped ligh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bottle body to irradiate light,
The water bottle body includes a partition wall formed by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ing.
KR1020210189063A 2021-08-30 2021-12-27 Plant cultivator KR20230099570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063A KR20230099570A (en) 2021-12-27 2021-12-27 Plant cultivator
PCT/KR2022/012952 WO2023033513A1 (en) 2021-08-30 2022-08-30 Plant culti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063A KR20230099570A (en) 2021-12-27 2021-12-27 Plant culti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570A true KR20230099570A (en) 2023-07-04

Family

ID=8715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063A KR20230099570A (en) 2021-08-30 2021-12-27 Plant culti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57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0023A (en) 2012-06-15 2014-01-09 Shigeru Inui Hydroponics apparatus and hydroponics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0023A (en) 2012-06-15 2014-01-09 Shigeru Inui Hydroponics apparatus and hydroponics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2674B2 (en) Stackable planter
WO2013161691A1 (en) Planting device
AU2013269980B2 (en) Plant pot assembly
KR20120095165A (en) A hydroponic cultivation
JP2020174577A (en) Plant growing case
KR101343379B1 (en) Flowerpot
KR101687878B1 (en) Device for Cultivating the Plant
KR200472746Y1 (en) Planting container
KR20230099570A (en) Plant cultivator
KR20150103390A (en) A watering flowerpot which the power is useless
KR20230099569A (en) Plant cultivator
KR20230099571A (en) Plant cultiv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EP2668841B1 (en) Plant pot and carrier assembly
KR20230099572A (en) Plant cultiv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CN211881274U (en) Novel seedling growth plate device
JP2013226061A (en) Planting device
KR102041415B1 (en) Plant pot
KR102034639B1 (en) Piling up type plant factory
KR200443127Y1 (en) Plant cultivating device
JP5016149B1 (en) Exhibition stand
KR20230032369A (en) Simple plant cultivator
KR101914379B1 (en) Multifunctional Flowerpot Holder
CN215957313U (en) Flower pot
CN213368927U (en) Educate seedling tray convenient to transplant
KR102253354B1 (en) Plant grow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