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369A - Simple plant cultivator - Google Patents
Simple plant culti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2369A KR20230032369A KR1020210115139A KR20210115139A KR20230032369A KR 20230032369 A KR20230032369 A KR 20230032369A KR 1020210115139 A KR1020210115139 A KR 1020210115139A KR 20210115139 A KR20210115139 A KR 20210115139A KR 20230032369 A KR20230032369 A KR 202300323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bottle
- unit
- water
- cultivation
- paragraph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5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382 pot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8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4 cultiv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6 roo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7 drainag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2 lightweigh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8—Tanks, chassis or related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간이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본체부, 물통부 및 재배포트부의 청소 및 소지를 위한 분해과정 및 조립과정이 현저히 단순화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고, 대량 재배가 가능한 밀폐형 재배기와 호환되는 재배포트부를 적용하여 식물 재배의 효율 및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는 간이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e plant cultivator, and more particularly,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processes for cleaning and carrying the main body, water container, and cultivation port are significantly simplified, so that user convenie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and mass cultivation is possible. It relates to a simple plant cultivator capable of significantl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plant cultivation by applying a cultivation port compatible with a closed cultivator.
최근 친환경 작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Recently, consumer interest and demand for eco-friendly crops are rapidly increasing.
이러한 사용자의 관심과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 가정에서 손쉽게 채소 등과 같은 식물을 직접 재배할 수 있는 가정용 식물재배기에 관한 기술 및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meet the interest and demand of such users, technologies and products related to home plant cultivators capable of easily cultivating plants such as vegetables at home are being developed.
일반적으로 식물을 가정에서 식물을 키우는 방식은, 상부가 개방된 화분 등과 같은 용기 내부에 배양토를 채우고 배양토에 다양한 씨앗이나 식물 등을 심은 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분을 공급하면서 식물의 배양에 필요한 환경(채광, 통풍 등)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In general, the method of growing plants at home is to fill the inside of a container such as a pot with an open top with culture soil, plant various seeds or plants in the culture soil, and then supply moisture at regular intervals to the environment necessary for culturing the plant ( lighting, ventilation, etc.) was common.
다만, 가정에서 배양토를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적합한 배양토를 획득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However, it is very cumbersome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growing plants using culture soil at home, and it is not easy to obtain suitable culture soil.
이와 같은 배양토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재배방식의 대안으로서, 가정용에 적합하게 물과 배양액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배양수를 이용하는 수경 재배 방식을 적용한 식물재배기의 비중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cultivation method using such cultured soil, the proportion of plant cultivators using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using culture water in which water and culture medium are mixed in a certain ratio suitable for home use is gradually increasing.
일반적으로 수경재배 방식의 가정용 식물재배기는,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환경이 재배실의 내부에 밀폐실로서 형성되는 밀폐형과, 재배환경이 실내에 그대로 노출되는 개방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home plant cultivators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can be divided into a closed type in which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 which plants are grown is formed as a closed room inside the cultivation room, and an open type in which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s exposed to the room as it is.
개방형 식물재배기와 관련하여, 일본국특허공개공보 제2014-000023호 (선행문헌 001)에는, 수경재배유닛과, 수경재배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수경재배유닛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식물재배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Regarding the open type plant cultivator,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000023 (Prior Document 001) includes a hydroponic cultivation unit, a base unit for supporting the hydroponic cultivation unit, and a lighting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unit. The configuration of a plant cultivator is disclosed.
여기서 수경재배유닛은, 식물의 수경재배에 적합한 배지를 구비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분야에서 재배파드 또는 재배포트로 지칭되고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Here, the hydroponic cultivation unit has a medium suitable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plants,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referred to as a cultivation pod or a cultivation pot in the related art.
그러나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식물재배기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개별 구성품이 모듈화되어 있지 않아 주기적인 청소를 위해 분해작업 및 조립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plant cultivator disclosed in Prior Document 001 has a problem in that disassembly and assembly operations for periodic cleaning are very cumbersome because the individual components that perform each function are not modularized.
또한, 재배파드 또는 재배포트에 해당하는 선행문헌 001의 수경재배유닛은, 극소량의 식물만 재배가 가능하며, 비교적 대량 재배가 가능한 밀폐형 식물재배기와 호환이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식물 재배의 효율 및 생산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unit of Prior Document 001 corresponding to the cultivation pod or cultivation port is capable of cultivating only a very small amount of plants, and is configured to be incompatible with a closed-type plant cultivator capable of relatively large-scale cultivati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plant cultivation are very low.
또한, 선행문헌 001의 본체부에는 배양액이 함유된 배양수가 저장되나, 본체부는 빛의 투과율이 매우 높은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배양액이 직접적으로 조명의 빛에 노출되기 때문에 본체부의 내부는 이끼의 성장에 매우 유리한 환경이 될 수밖에 없고, 본체부의 내부는 이끼에 의한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culture water containing the culture solution is stored in the main body of Prior Document 001, but the main body is formed of a material with very high light transmittance. Therefore, since the culture solution is directly exposed to the light of illuminati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inevitably a very 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growth of moss,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has a problem that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by moss is very high.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이 식물재배기를 구성하는 본체부, 물통부 및 재배포트부의 청소 및 소지를 위한 분해과정 및 조립과정이 현저히 단순화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간이 식물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processes for cleaning and holding the main body part, the water container part and the re-pot part constituting the simple plant cultivator are significantly simplified,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A first object is to provide a simple plant cultivator that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대량 재배가 가능한 밀폐형 재배기와 호환되는 재배포트부를 적용하여 식물 재배의 효율 및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는 간이 식물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plant cultivator capable of significantl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plant cultivation by applying a cultivation port compatible with a closed cultivator capable of mass cultivation.
또한, 본 발명은, 배양수가 저장되는 물통부와, 물통부에 거치되는 재배포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빛의 투과를 최소화하는 불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여, 물통부의 내부에 저장된 배양수가 빛에 노출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이끼가 성장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간이 식물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ontainer for storing the cultured water and the redistribution port mounted on the water container are at least partially formed of an opaque plastic material that minimizes the transmission of light, so that the cultured water stored in the water container may be exposed to light. A third object is to provide a simple plant cultivator capable of minimizing the growth of moss and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moss growth.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는, 식물의 성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지를 구비하고, 실내 환경에 노출되는 재배포트부; 상기 재배포트부가 거치되고, 상기 배지로 공급될 재배수를 저장하는 물통부; 상기 물통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재배포트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부와 상기 본체부는 상호간 비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mpl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potting unit provided with at least one medium for plant growth and exposed to an indoor environment; a water tank unit in which the redistribution unit is mounted and which stores the cultivation water to be supplied to the medium; a body portion to which the water bottle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and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redistribution unit, and a handle unit disposed above the body unit, wherein the water bottle unit and the body unit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non-fastening manner.
또한, 상기 물통부의 하부에는, 상기 물통부가 상기 본체부에 비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rib for determining a position where the water bottl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 non-fastening manner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bottle.
또한, 상기 물통부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리브에 의해 상기 물통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상측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가능하나 전후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제한될 수 있다.Further,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bottl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water bottle in an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s possible by the guide rib, but a relative movement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may be restricted.
또한, 상기 물통부는, 상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재배수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박스형상의 물통바디; 및 상기 물통바디의 외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물통바디의 개방된 상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리는 물통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물통바디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bottle part may include a box-shaped water bottle body having an entirely open upper surface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the cultivation water formed therein; and a water bottle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bottle body and at least partially covering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wherein the guide rib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toward the main body. It can be.
또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물통바디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rib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또한, 상기 물통바디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높이와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벽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have a barrier shape in which the protruding height and thicknes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are maintained constant.
또한, 상기 가이드리브는, 전후방향 폭이 좌우방향 폭보다 더 작은 장방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rib may exten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width in a front-back direction smaller than a width in a left-right direction.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물통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리브가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계합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합홈부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전후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n engagement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guide rib is entirely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bottle portion is coupled, and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may limit relative movement of the guide rib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또한, 일단부가 상기 핸들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합홈부의 내부에는, 상기 핸들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수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pacer having one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part and the other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is further included, and the inside of the engagement groove is separated from the handle part and the body part.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separated at least one spacer can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또한, 상기 물통커버는, 상기 물통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바디의 개방된 상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리는 거치면을 구비하고, 상기 재배포트부는, 상기 거치면에 비체결 방식으로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bottle cove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bottle body and has a passing surface at least partially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and the redistribution portion may be seated on the passing surface in a non-fastening manner.
또한, 상기 물통바디와 상기 물통커버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투과를 최소화하는 불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bottle body and the water bottle cover may be formed of an opaque plastic material that minimizes transmission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또한, 상기 거치면은, 상기 물통바디의 저장공간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재배포트부의 하단이 통과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의 면적은, 상기 물통바디의 개방된 상면의 면적보다 더 작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ss through surface is open toward the storage space of the water bottle body and has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redistribution port passes, and the area of the insertion hole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there is.
또한, 상기 삽입홀의 면적은, 상기 재배포트부의 상단의 단면적보다는 더 작게 될 수 있다.Also, an area of the insertion hole may be small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an upper end of the redoporting part.
또한, 상기 재배포트부의 상단은, 중력방향으로 상기 삽입홀을 전체적으로 가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redistribution unit may entirely cover the insertion hol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또한, 상기 재배포트부의 상단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투과를 최소화하는 불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end of the redistribution unit may be formed of an opaque plastic material that minimizes transmission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또한, 상기 거치면은, 상기 삽입홀에 연통되어 있고 상기 중력방향으로 상기 재배포트부의 상단의 하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배수공급홈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aring surface may have at least one regeneration water supply groove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hole and is form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redistribution port portion in the gravity direction.
또한, 상기 재배포트부가 상기 물통커버의 거치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재배수공급홈을 통과하여 상기 재배수가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cultivation port is seated on the bearing surface of the water bottle cover, the cultivation water may flow into the storage space through the cultivation water supply groove.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는, 간이 식물재배기를 구성하는 본체부, 물통부 및 재배포트부의 청소 및 소지를 위한 분해과정 및 조립과정이 현저히 단순화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simpl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simplifies the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process for cleaning and holding the main body part, the water container part, and the cultivation port part constituting the simple plant cultivator,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는, 대량 재배가 가능한 밀폐형 재배기와 호환되는 재배포트부를 적용하여 식물 재배의 효율 및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simpl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plant cultiva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applying a cultivation port compatible with a closed cultivator capable of mass cultiv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는, 배양수가 저장되는 물통부와, 물통부에 거치되는 재배포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빛의 투과를 최소화하는 불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여, 물통부의 내부에 저장된 배양수가 빛에 노출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이끼가 성장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simpl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opaque plastic material that minimizes the transmission of light at least partially, and the water container for storing cultured water and the cultivation port mounted on the water container are formed so that the cultured water stored in the water container is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exposure to light and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moss growth.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간이 식물재배기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핸들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물통부에 재배포트부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물통부와 재배포트부를 분리한 후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재배포트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물통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8의 A-A방향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8의 B-B방향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재배수공급홈이 물통부에 구비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C-C방향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의 정면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impl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imple plant cultivato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art shown in FIG. 1;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doport part is mounted on the water bottle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6;
8 is a plan view of FIG. 6 .
FIG.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water bottle part and the re-pot part shown in FIG. 6 are separated.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distribution part of FIG. 9;
11 and 12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water container shown in FIG. 6 .
13 is a cross-sectional and partially enlarged view in AA direction of FIG. 8;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BB of FIG. 8;
15 and 16 are plan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ultivation water supply groove is provided in the water container.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CC direction of Fig. 16;
1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impl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of course.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an arbitrary element on the "upper (or lower)" or "upper (or lower)" of a component means that an arbitrary elemen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In addition,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and/or B" is used,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when used as "C to D", this mean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s long as there is no, it means C or more and D or les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간이 식물재배기의 전반적 구조][Overall Structure of Simple Plant Cultiva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1)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1)의 정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간이 식물재배기(1)의 후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1)는, 식물 성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지(33)를 구비하는 재배포트부(30)와, 재배포트부(30)가 거치되고 배지(33)로 공급될 재배수를 저장하는 물통부(20)와, 물통부(2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상측에 배치되고 광원부(60)를 구비한 핸들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4,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1)는, 밀폐형이 아닌 개방형에 해당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식물이 육성되고 성장하는 재배포트부(30)는, 적어도 상면이 실내 환경, 즉 실내 공기에 노출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는 대체로 중력방향에 반대되는 상측방향(U-방향)으로 성장하는 성장방향을 갖는 식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포트부(30)의 상면은 전면적으로 실내 환경에 개방 및 노출된다.Therefore, at least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본 발명에 재배포트부(30)는, 전술한 밀폐형 식물재배기와 호환가능하도록 모듈화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즉, 본 발명의 간이 식물재배기(1)에서 씨앗을 발아시킨 후, 더 나은 재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밀폐형 식물재배기로 재배포트부(30)를 이동 및 배치시켜 식물을 육성할 수 있다.That is, after germination of seeds in the
반대로 밀폐형 식물재배기에서 사용 중이던 재배포트부(30)를 간이 식물재배기(1)로 이동시켜 식물을 육성시킬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원부(6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물의 성장 높이에 의해 밀폐형 식물재배기에서 육성이 곤란한 식물들을 간이 식물재배기(1)로 이동시켜 육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Conversely, it is also possible to nurture plants by moving the
한편, 재배포트부(30)는 후술하는 물통부(20)에 비체결 방식으로 조립되고 안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물통부(20)에 비체결 방식으로 조립된다는 의미는, 재배포트부(30)가 물통부(20)와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비함이 없이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조립 및 안착된 상태에서 재배포트부(30)의 자중에 의한 자가이동은 불가하나, 별도의 분해 조작없이 쉽게 분리 및 이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meaning of being assembled to the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포트부(30)는 전후방향(F-R방향)을 분할하는 분할선(L)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물통부(20)로부터 탈거 후 재거치 시에는 전면과 후면이 뒤바뀐 상태에서도 거치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 the
이 경우에, 재배포트부(30)는 물통부(20)에 중력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물통부(20)에 단순 거치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따라서, 사용자는 재배포트부(30)를 밀폐형 식물재배기로 이동시키겨나 재배수의 보충을 위해서 재배포트부(30)를 물통부(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별도의 분해 조작없이 단순히 재배포트부(30)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조작만으로 쉽게 재배포트부(30)를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he
이와 같은 재배포트부(30)의 분리를 위해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재배포트부(30)의 상단과 물통부(20) 사이에는 재배포트파지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A redox holding space S3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한편, 재배포트부(30)는 식물을 지지하고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의 배지(33)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배지(33)는, 배양수의 흡수가 용이하고 및 식물의 뿌리 성장에 유리한 소정의 다공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배지(33)는 당업계에 기공지된 임의의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세부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medium 33 may be formed of a predetermined porous material that facilitates absorption of cultured water and is advantageous for plant root growth. The
한편, 도면에는 총 10개의 배지(33)가 2개소에 분할되어 재배포트부(30)에 구비되는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배지(33)의 개수는 재배포트부(30)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게 변경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총 10개의 배지(33)가 2개소에 분할되어 재배포트부(30)에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in the drawing, a total of 10
재배포트부(30)의 하부에 배치되는 물통부(20)는, 재배포트부(30)가 거치되며 재배포트부(30)를 지지하는 역할 및 식물에 공급될 배양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를 위해, 물통부(20)는 재배수를 저장하는 물통바디(21)와, 재배포트를 거치식으로 지지하는 물통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물통커버(22)의 상단 측에는 재배포트를 거치식으로 지지하고, 재배포트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거치면(224)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면(224)의 내측에는 재배포트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A mounting
물통바디(21)와 물통커버(22)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상호간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탈착수단은, 일단부가 물통바디(21) 또는 물통커버(22)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물통바디(21) 또는 물통커버(22) 중 다른 어느 하나에 걸림결합되는 체결레버(23)가 될 수 있다.The
물통부(20)는 전체적으로 좌우방향(Le-Ri방향) 폭이 전후방향(F-R방향)보다 더 큰 장방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재배포트가 내부에 전체적으로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상하방향(U-D방향) 높이를 가질 수 있다.The
물통부(20)는, 소정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경량의 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통부(20)의 물통바디(21)와 물통커버(22)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The
이 때, 물통부(20)를 구성하는 물통바디(21)와 물통커버(22)는 불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광원부(60)로부터 빛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재배포트부(30)의 상단은, 마찬가지로 불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an upper end of the
따라서 광원부(6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대부분 물통부(20)의 내부에 저장되는 재배수로 도달되지 못하게 되고, 물통부(20)의 내부에서 이끼가 성장이 가능성 및 이끼의 성장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refore, most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한편, 물통부(20)의 외면을 형성하는 물통커버(22)의 외벽면(221) 중에서 후면(2211)은, 후술하는 본체부(10)에 결합되면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며 간이 식물재배기(1)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물통커버(22)의 후면(2211)은 본체부(10)의 외측면(10c, 10d)과 연속면을 형성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mong the outer wall surfaces 221 of the
물통부(20)는, 전술한 재배포트부(30)와 마찬가지로 비체결 방식으로 본체부(10)에 결합되고 안착된다. 따라서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본체부(10)에 거치될 수 있다.The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결합해제 조작 또는 결합 조작없이 물통부(20)를 본체부(10)로부터 분리하거나 본체부(10)에 안착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separate the
물통부(20)가 본체부(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통부(2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물통부(20)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2의 화살표방향으로 단순 들어올리는 조작을 통해서 용이하게 물통부(20)를 분리시킬 수 있다.When trying to separate the
물통부(20)의 하부로서, 본체부(10)의 후면(10b)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지홈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As a lower part of the
파지홈부(123)의 폭 및 높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진입이 용이한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width and height of the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에 대응하여 물통부(2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가능할 정도의 깊이를 갖는 물통부파지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response to this, a water bottle gripping space S2 having a depth sufficient for the user's fingers to enter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한편, 물통부(20)는 안착될 정위치를 설정하고 정위치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은 위치설정수단을 물통바디(2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물통바디(21)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가 될 수 있다.Such a positioning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가이드리브는 후술하는 본체부(10)에 형성되는 계합홈부(1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계합홈부(122)의 상단 입구(1221)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The guide rib may have an out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가이드리브와 계합홈부(122)에 의해서 물통부(20)의 안착위치가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의 삽입이 완료되면 계합홈부(122)는 가이드리브에 대한 스토퍼로서 작용하여, 본체부(10)에 대한 전후방향(F-R방향)으로의 상대이동 및 좌우방향(Le-Ri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The seating position of the
이와 같이 물통부(20)의 상대이동이 제한됨으로서, 물통부(20)의 정위치에서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물통부(2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한편, 물통부(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본체부(10)는, 물통부(20)를 수용하고 후술하는 핸들부(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물통부(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부(10)의 상면(10e) 및 후면(10b)은 물통부(20)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부분 개방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전면(10a)은 간이 식물재배기(1)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막혀 있는 상태가 된다.The
본체부(10)의 전면(10a)은 평탄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의 전면(10a)에 의해서 물통부(20)의 전방 이동은 차단될 수 있다.The
본체부(10)의 좌측면(10c)과 우측면(10d)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예시적으로 본체부(10)는, 상하방향(U-D방향)으로 분할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상하방향 분할체는, 하부 분할체에 해당하는 제1 본체바디(11)와 상부 분할체에 해당하는 제2 본체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제1 본체바디(11)와 제2 본체바디(12)는 각각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물통부(20)와 유사하게 불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각각 제조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본체부(10)가 제1 본체바디(11) 및 제2 본체바디(1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hereinafter, the
제2 본체바디(12)에는 물통부(20)가 결합되고 수용된다. The
제2 본체바디(12)에 물통부(20)가 결합되는 바닥면(12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통부(20)의 가이드리브와 계합하는 계합홈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A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합홈부(122)는 제2 본체바디(12)의 바닥면(121)으로부터 제1 본체바디(11)를 향해 아래로 볼록한 형태의 오목홈부가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계합홈부(122)의 상단 입구(1221)의 형상은 물통부(20)의 가이드리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합홈부(122)의 상단 입구(1221)는, 물통부(20)가 안착된 상태에서 물통부(20)의 가이드리브의 상대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된다.The shape of the
계합홈부(122)는, 가이드리브의 스토퍼 기능 이외에 후술하는 스페이서(51, 52)를 수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제1 스페이서(51) 및 제2 스페이서(52)가 각각 본체부(10) 및 핸들부(40)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되면, 이들 분리된 제1 스페이서(51) 및 제2 스페이서(52)는 함께 계합홈부(12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When the
따라서 계합홈부(122)의 내부 공간은 제1 스페이서(51) 및 제2 스페이서(52)가 동시에 수용될 수 있는 수납공간(S1)이 된다.Therefore, the inner space of the
수납공간(S1)의 내부에는 제1 스페이서(51) 및 제2 스페이서(52)가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스페이서(51)와 제2 스페이서(52)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부가 구비될 수 있다.Inside the storage space S1, shapes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s of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핸들부(40)를 지지하는 역할을 겸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본체부(10)의 상측에 배치되는 핸들부(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본체바디(12)의 좌측 상단면에는 제1 본체인서트(124)가 구비되고, 제2 본체바디(12)의 우측 상단면에는 제2 본체인서트(125)가 구비될 수 있다.A
제1 본체인서트(124)는, 후술하는 핸들부(40)의 제1 단부(40d)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핸들형합부(43)와 결합되는 방식으로 핸들부(40)의 제1 단부(40d)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마찬가지로 제2 본체인서트(125)는 핸들부(40)의 제2 단부(40e)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핸들형합부(44)와 결합되는 방식으로 핸들부(40)의 제2 단부(40e)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제1 본체인서트(124)와 제2 본체인서트(125)는, 이들 제1 단부(40d) 및 제2 단부(40e)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단부(511, 521)의 단면이 하단부(512, 522)의 단면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한편, 물통부(20) 및 재배포트부(30)와는 달리, 핸들부(40)는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unlike the
제1 본체인서트(124)와 제2 본체인서트(125)는 체결 방식의 강제결합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 방식의 강제결합 수단은 탄력결합부(1241, 1251)가 될 수 있다.The
이들 탄력결합부(1241, 1251)는 제1 본체인서트(124)와 제2 본체인서트(125)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본체인서트(124) 및 제2 본체인서트(125)가 핸들부(40)의 제1 단부(40d) 및 제2 단부(40e)로 진입하면서 탄력적으로 변형된다.These
이 후, 제1 본체인서트(124)와 제2 본체인서트(125)의 결합이 완료되면 탄력결합부(1241, 1251)는 원래 형상으로 탄력적으로 복귀하면서 핸들부(40)의 제1 단부(40d) 및 제2 단부(40e)에 대한 걸림이 형성되도록 작용한다.Thereafter,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핸들부(40)의 제1 단부(40d) 및 제2 단부(40e)에는 각각 이러한 걸림 결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탄력결합부(1241, 1251)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결합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Coupling
핸들부(40)와 본체부(10)의 체결이 완료된 후 분리하기 위해, 결합홀(412)에 걸림 결합된 탄력결합부(1241, 1251)를 결합홀(412)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탄력결합부(1241, 1251)를 눌러 탄력적으로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In order to separate the
다만, 본 발명은 탄력결합부(1241, 1251)와 결합홀(412)을 이용한 강제결합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 당업계에 기공지된 임의의 강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ced coupling method using the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부(40)에 구비되는 광원부(60)에 대한 전력공급은 제1 핸들형합부(43)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제1 본체인서트(124)와 제1 핸들형합부(43)에는 전력공급을 위한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power is supplied to the
따라서 제1 본체인서트(124)가 제2 핸들형합부(44)에 결합되는 경우와 같이 오조립 또는 오결합되는 경우에는 광원부(6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없다.Therefore, power cannot be supplied to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핸들형합부(43)와 제2 핸들형합부(44)에는 오조립 또는 오결방 방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n erroneous assembly or erroneous defect prevention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handle-
한편, 본체부(10)의 하부 분할체를 구성하는 제1 본체바디(11)는, 외부전원(80)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자기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원입력단자는 예시적으로 콘센트의 형태로 제1 본체바디(11)에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또한, 제1 본체바디(11)는 지면 또는 테이블 등과 같이 고정면에 직접 접촉되고 고정면에 지지된다.In addition, the first
따라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본체바디(11)의 하면에는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슬립방지패드가 제1 본체바디(11)의 하면의 하부 측에 복수 개소에 구비될 수 있다. 충격흡수와 미끄럼방지 기능을 위해 슬립방지패드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although not shown, anti-slip pads for shock absorption and anti-slip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lace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한편, 핸들부(40)와 본체부(10) 사이에는 전술한 스페이서(51, 52)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스페이서(51, 52)는 핸들부(40)의 높이 조절을 위한 용도를 갖는다. The
특히, 핸들부(4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원부(60)를 구성하는 광원소자(62)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1)는 스페이서(51, 52)를 이용하여 광원소자(62)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In particular, the
이를 통해, 스페이서(51, 52)를 이용하여 식물의 성장 높이에 맞게 광원부(6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Through this, the height of the
제2 본체바디(12)의 제1 본체인서트(124)에 연결되는 제1 스페이서(51)의 하단부(512)는, 체결 방식의 강제결합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전술한 제1 핸들형합부(43)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1 스페이서형합부(51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핸들부(40)의 제1 단부(40d)에 형성되는 제1 핸들형합부(43)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스페이서(51)의 상단부(511)에는, 본체부(10)의 제1 본체인서트(124)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1 스페이서인서트(513)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페이서인서트(513)에는 강제결합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제1 본체인서트(124)와 마찬가지로 탄력결합부(5131)가 구비될 수 있다.The
마찬가지로 제2 본체바디(12)의 제2 본체인서트(125)에 연결되는 제2 스페이서(52)의 하단부(522)는 제2 핸들형합부(44)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스페이서형합부(52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핸들부(40)의 제2 단부(40e)에 형성되는 제2 핸들형합부(44)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스페이서(52)의 상단부(521)에는, 본체부(10)의 제2 본체인서트(125)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 스페이서인서트(523)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페이서인서트(523)에는 강제결합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제2 본체인서트(125)와 마찬가지로 탄력결합부(5231)가 구비될 수 있다.Similarly, the
이 때, 핸들부(40)의 제1 핸들형합부(43)와 제2 핸들형합부(44)에 구비되는 오조립 또는 오결방 방지 수단이 동일하게, 제1 스페이서(51)의 하단부(512) 및 제2 스페이서(52)의 하단부(522)에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한편, 본체부(10)의 상측에 배치되는 핸들부(40)는, 간이 식물재배기(1)의 이동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기능을 제공한다.Meanwhile, the
또한, 핸들부(40)는 재배포트부(30)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60)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핸들부(40)는, 좌우방향을 따라 본체부(10)의 상측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수평연장부(40a)를 구비할 수 있다. 수평연장부(40a)의 내부에는 광원부(60)가 좌우방향을 따라 재배포트부(30)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와 같이, 재배포트부(30)를 향해 광원부(60)로부터 생성되는 빛의 조사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광원부(60)는 수평연장부(40a)에 배치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60)는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회로기판(61)과, 회로기판(61)의 하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소자(62)와, 광원소자(62)에 대한 전력공급을 결정하는 제어부(6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개별 광원소자(62)는, 전기에너지를 가시광선으로 변환하여 가시광선을 생성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칩 또는 발광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는 패키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별 광원소자(62)가 발광 다이오드 칩이 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Each
이 때, 개별 광원소자(62)가 생성하는 가시광선은 식물성장에 적합한 파장영역을 갖는 백색광 또는 적색광이 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isible light generated by the individual
회로기판(61)에는 백색광을 생성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만이 배치되거나, 백색광과 적색광을 생성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들이 조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On the
도시된 실시예에는 예시적으로 복수의 광원소자(62)가 회로기판(61)의 길이방향을 따라 3열로 배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소자(62)가 3열로 배열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한편, 복수의 광원소자들(62)이 배열되는 간격은, 개별 광원소자(62)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tervals at which the plurality of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기판의 중앙부에 배열되는 광원소자들(62) 사이의 간격은 기판의 양단부 측에 인접해서 배열되는 광원소자들(62)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한편, 회로기판(61)의 좌측 단부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어부(63)는, 광원소자(62)에 대한 전력공급 여부, 전력공급 시간 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제어부(63)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콘트롤러, 마이컴,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known in the art, the
한편, 핸들부(40)는, 수평연장부(40a)의 양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하향연장부(40b) 및 제2 하향연장부(40c)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향연장부(40b)에는 제1 핸들형합부(43)가 구비될 수 있고, 제1 핸들형합부(43)의 상측에는 스위치부(46)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a first handle-
또한, 제2 하향연장부(40c)에는 제2 핸들형합부(44)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핸들형합부(44)의 상측에는 무선통신부(7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handle-shaped
스위치부(46)는, 전술한 제어부(6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스위치부(46)는, 후술하는 제1 핸들바디(41)에 형성된 스위치홀(413)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The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63)는 누름버튼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광원소자(62)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3)는 누림버튼으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무선통신부(70)의 작동을 개시하거나 중단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push button, the
무선통신부(70)는, 예시적으로 인터넷망에 양방향 접속이 가능한 WIFI모듈이 될 수 있다. WIFI모듈은 제어부(63)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제어부(63)는 WIFI모듈을 통해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접속될 수 있다. The
나아가 제어부(63)는 WIFI모듈을 통해서 전술한 밀폐형 식물재배기 및 타 간이 식물재배기와 정보 교환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밀폐형 식물재배기 및 타 간이 식물재배기에서 성장 중인 식물에 관한 정보 등이 상호간 교환될 수 있다. 여기서 식물에 관한 정보는, 식물의 종명, 식물의 성장 일수, 조명 점등유지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한편, 스위치부(46)의 상측에는 무선통신부(70)의 작동여부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등(47)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무선통신부(70)가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또한, 본체부(10)와 유사하게 핸들부(40)는, 상하방향으로 분할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상하방향 분할체는, 하부 분할체에 해당하는 제1 핸들바디(41)와 상부 분할체에 해당하는 제2 핸들바디(4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imilar to the
제1 핸들바디(41)와 제2 핸들바디(42)는 각각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광원소자(62)의 조사 효율을 위해 불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각각 제조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제1 핸들바디(41)와 제2 핸들바디(42) 사이에는, 제1 단부(40d)로부터 제2 단부(40e) 사이로 연통될 수 있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부에 전술한 광원부(60), 무선통신부(70) 등이 수용될 수 있다.Between the
또한 이와 같이 제1 단부(40d)로부터 제2 단부(40e) 사이로 연통될 수 있는 수용공간부를 통해서 광원부(60)의 냉각을 위한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flow path for cooling the
공기유로에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제1 핸들바디(41)에는 다수의 통기홀(414)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다수의 통기홀(414) 중 일부는 제1 하향연장부(40b)에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하향연장부(40c)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some of the illustrated plurality of
한편, 제1 핸들바디(41)에는 재배포트부(30)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다수의 투광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light transmission holes 411 open toward the
다수의 투광홀(411)은 전술한 다수의 광원소자(62)에 1대1로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ght transmission holes 411 may be provid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개별 투광홀(411)에는 대응하는 광원소자(62)에서 생성된 빛이 효율적으로 재배포트부(30)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집광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A light concentrating structure may be formed in each light transmitting
또한, 핸들부(40)는, 제1 핸들바디(41)의 하부에는 다수의 투광홀(411)을 하측방향에서 커버하는 투명커버(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커버(45)는 광원소자(62)에서 생성된 빛이 효과적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투명플레이트(451)를 구비한다.As shown, the
투명플레이트(451)와 다수의 투광홀들(411) 사이에는, 3열로 배열되는 광원소자(62)의 배열방향에 대응하여 3열로 배치되는 집광렌즈부(452)가 구비될 수 있다.Between the
집광렌즈부(452)는, 투광홀(411)을 통과한 빛의 집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투광홀(411)을 향해 상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렌즈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densing
따라서 집광렌즈부(452)를 통과한 빛의 확산량은 최소화되고, 재배포트부(30)를 향해 수렴되기 때문에 광원소자(62)의 조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diffusion amount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condensing
한편, 투명플레이트(451)의 전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에는 제1 핸들바디(41)로의 후크방식 고정을 위한 다수의 체결탭(453)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재배포트부 및 물통부의 세부 구성][Detailed configuration of cultivation port and water tank]
이하,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재배포트부(30) 및 물통부(2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먼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포트부(30)는 비체결 방식으로 물통부(20)에 안착되거나 거치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6 to 9 , the
즉, 재배포트부(30)는 물통부(20)에 거치된 상태에서 물통부(20)에 의해서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중력방향이 되는 하측방향으로 물통부(20)에 대해서 상대이동이 불가하게 지지된다.In other words, the
다만, 비체결 방식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중력방향에 반대방향이 되는 상측방향으로는 물통부(20)에 대해서 상대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However, since it is supported in a non-fastening manner, relative movement i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포트부(30)가 물통부(20)에서 거치된 상태에서 재배포트부(30)를 단순히 들어올리는 조작만으로 물통부(2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9 , in a state where the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통부(20)는 재배포트부(30)를 비체결 방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물통커버(22)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히는 재배포트부(30)는 물통커버(22)에 구비되는 거치면(224)을 통해서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상대이동이 불가하게 지지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거치면(224)을 포함하는 물통부(20)의 세부 구성은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부(20)에 거치되는 재배포트부(30)는, 식물이 성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지(33)와, 배지(33)의 하단부(332)를 지지하는 포트바디(32)와, 포트바디(32)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하는 포트커버(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the
배지(33)는 식물을 지지하고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기 기능을 수행한다.The medium 33 supports the plants and protects the roots of the plants.
전술한 바와 같이 배지(33)는, 배양수의 흡수가 용이하고 및 식물의 뿌리 성장에 유리한 소정의 다공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dium 33 may be formed of a predetermined porous material that facilitates absorption of cultured water and is advantageous for plant root growth.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33)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개별 배지(33)에서 성장되는 식물들의 줄기 및 잎이 서로 간섭받는 양이 최소화되고, 식물들의 뿌리를 통해서 균등하게 재배수가 흡수될 수 있도록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when a plurality of
배지(33)의 하단부(332)를 지지하도록 배지(33)의 하부에 배치되는 포트바디(32)는, 상면은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좌우방향 폭이 전후방향 폭보다 더 큰 장방형의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이 때, 박스 형상의 포트바디(32)의 상단(321)으로부터 바닥면(322)까지 연장되는 외벽면(323)은, 하측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내부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경사구배를 갖는 구배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배면을 형성하여, 물통부(20)로의 삽입 시에 물통부(20)의 삽입홀(225)로 진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이 되는 외벽면(323)은 물통커버(22)의 거치면(224) 중 경사면부(2242)에 접촉하여 경사면부(224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한편, 포트바디(32)의 바닥면(322)에는 다수 통공(3221)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through
재배포트부(30)의 하단을 형성하는 포트바디(32)의 바닥면(322)은 후술하는 물통바디(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해당하며, 물통바디(21)에 저장된 배재수에 잠기는 부분에 해당한다.The
재배수가 원활히 포트바디(32)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포트바디(32)의 바닥면(322)에는 다수의 통공(3221)이 복수 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포트바디(32)의 상단(321)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향결합면(324)이 구비될 수 있다. 하향결합면(324)은 후술하는 포트커버(3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포트커버(31)에 대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포트바디(32)의 상단(321)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고 연장될 수 있다.The
한편, 좌우방향으로 포트바디(32)의 상단(321)의 중앙 측에는 하향결합면(324)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향결합면(324)이 형성되지 않는 중앙 부위는 후술하는 포트커버(31)의 연결부(313)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해당한다.Meanwhile, the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바디(32)의 바닥면(322)의 중앙 측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융기면(3222)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a raised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면(3222)의 상측 영역은 배치가 구비되지 않는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융기면(3222)을 통해서 융기면(3222)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서 재배수의 수위가 더 높아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As shown, the upper region of the raised
포트커버(31)는, 포트바디(32)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하여 포트바디(32)의 상면을 덮는 역할을 한다.The
따라서 포트커버(31)는 포트바디(32)의 상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좌우방향 폭이 전후방향 폭보다 더 큰 장방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포트커버(31)는 개별 배지(33)의 상단부(33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개별 배지(33)의 상단부(331)는 포트커버(31)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he
포트커버(31)에는 개별 배지(33)에 대응하여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개별 배지(33)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배지(33)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33)가 배치되는 영역은 분할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예시적으로 총 10개의 배지(33) 중에서 5개는 제1 커버부(311)에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5개는 제2 커버부(312)에 배치될 수 있다.Illustratively, 5 out of a total of 10
제1 커버부(311)와 제2 커버부(312)는 서로 동일한 외형과 사이즈를 가질 수 있으며, 상호간 분할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제1 커버부(311)와 제2 커버부(312)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313)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13)는 제1 커버부(311) 및 제2 커버부(312)보다 전후방향 폭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13)의 상면의 높이는 제1 커버부(311)의 상면(3111)의 높이 및 제2 커버부(312)의 상면(3121)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A
제1 커버부(311)의 상면(3111)의 모서리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면(3112)이 형성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커버부(312)의 상면(3121)의 모서리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면(3122)이 형성될 수 있다.An
제1 커버부(311)의 외벽면(3112)과 제2 커버부(312)의 외벽면(312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통커버(22)의 거치면(224) 중 수평면부(2241)에 접촉하여 수평면부(2241)에 의해서 중력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재배포트부(30)는 상측에는 식물의 성장을 위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60)가 배치된다. 광원부(60)로 조사되는 빛이 물통부(20)의 내부에 저장되는 재배수로 도달되는 양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포트커버(31)는 불투명 재질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나아가 제1 커버부(311)의 상면(3111)과 제2 커버부(312)의 상면(3121)에는 빛의 통과를 차단하고, 식물을 향해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을 갖는 반사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반사수단은 반사필름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on the
기타 재배포트부(30)에 관한 구성은, 당업계에 기공지된 수단이 적용 가능한바 기공지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As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11 및 도 12에는 재배포트부(30)가 거치 또는 안착되는 물통부(2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물통부(2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11 and 12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물통부(20)는, 재배수가 저장되며 상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물통바디(21)를 포함한다.The
전술한 포트바디(32)와 유사하게, 물통바디(21)는 상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좌우방향 폭이 전후방향 폭보다 더 큰 사이즈를 갖는 장방형의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물통바디(21)의 내부에는 재배포트부(30)가 수용되기 때문에, 포트바디(32)의 사이즈는 재배포트부(30)의 사이즈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Similar to the
물통바디(21)의 바닥면(2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본체바디(11)의 바닥면에 면접촉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물통바디(21)의 바닥면(212)은 평탄면이 되는 제1 본체바디(11)의 바닥면과 면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평탄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한편, 박스형상을 구성하기 위해, 바닥면(212)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면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되는 물통바디(21)의 성형성을 고려하여 상단(211)으로 진행하면서 소량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포트바디(32)의 외벽면(323)의 경사구배보다는 더 작은 구배량을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nfigure the box shape, the outer wall surface extending upward from the
한편, 외벽면을 구성하는 전면(213), 후면(214), 좌측면(215) 및 우측면(216)이 각각 바닥면(212)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2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곡면(2122)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커버(22)의 후면(2211)과 함께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물통부파지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물통바디(21)의 바닥면(212)의 하부에는, 물통부(20)가 안착될 정위치를 설정하고 정위치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으로서 가이드리브(2121)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at the bottom of the
가이드리브(2121)는 물통바디(21)의 바닥면(2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가이드리브(2121)는 제2 본체바디(12)에 형성되는 계합홈부(1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계합홈부(122)의 상단 입구(1221)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The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리브(2121)는 바닥면(212)으로부터 돌출 높이와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벽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illustratively shown, the
또한, 장방형상이 되는 계합홈부(122)의 상단 입구(1221) 형상에 대응하여, 가이드리브(2121)는 전후방향 폭이 좌우방향폭보다 더 작은 장방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사출 성형에 유리하도록 모서리부분은 곡선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한편, 물통부(20)는 물통바디(21)의 상측에 결합되고, 물통바디(21)의 개방된 상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리는 물통커버(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커버(22)는 하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면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장방형의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by way of example, the
물통바디(21)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통커버(22)의 외벽면(221)은 전체적으로 물통바디(21)의 외벽면을 전체적으로 가리도록 형성된다.In a state coupled to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물통커버(22)의 외벽면(221) 중에서 후면(2211)은, 후술하는 본체부(10)에 결합되면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며 간이 식물재배기(1)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물통커버(22)의 후면(2211)은 본체부(10)의 외측면(10c, 10d)과 연속면을 형성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물통커버(22)의 외벽면(221) 중에서 전면(2214), 좌측면(2212) 및 우측면(2213)은, 본체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분에 해당한다. 다만, 물통커버(22)의 전면(2214), 좌측면(2212) 및 우측면(2213)은 제2 본체바디(12)의 계합홈부(122)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Of the outer wall surface 221 of the
외벽면(221)의 하단(223) 중에서 후면(2211)의 하단은 전술한 물통바디(21)의 모서리 곡면(2122)과 함께 물통파지공간을 형성한다.Among the lower ends 223 of the outer wall surface 221, the lower end of the
한편, 외벽면(221)의 상단(222)에는, 물통바디(21)의 개방된 상면을 가리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면(2215)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확장면(2215)은, 내부를 향해 진행하면 물통바디(21)를 향해 하향하는 구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확장면(2215)은 위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만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확장면(2215)이 하향구배를 갖는 만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배포트부(30)의 포트커버(31)의 외벽면(3112, 3122)와 확장면(2215) 사이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포트파지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한편, 확장면(2215)의 내측 모서리에는 재배포트부(30)를 지지하는 거치면(224)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bearing
보다 상세히는, 거치면(224)은 확장면(2215)의 내측 모서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부(2241)와, 수평면부(2241)의 내측 모서리로부터 하측방향의 구배를 갖고 연장되는 경사면부(2242)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earing
수평면부(224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랙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평면부(2241)의 상면에는 전술한 재배포트부(30)의 제1 커버부(311)의 외벽면(3112)의 하단과 제2 커버부(312)의 외벽면(3122)의 하단이 접촉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The
즉, 재배포트부(30)가 거치된 상태에서 수평면부(2241)는 중력방향으로 재배포트부(30)를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at is, in a state where the
한편, 경사면부(2242)는, 수평면부(2241)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하측방향의 구배를 갖고 연장될 수 있다. 경사면부(2242)의 내측은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며, 개방된 부분은 재배포트부(30)의 포트바디(32)가 하측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홀(225)로서 기능한다.Meanwhile, the
재배포트부(30)가 거치된 상태에서, 경사면부(2242)의 상면에는 전술한 재배포트부(30)의 포트바디(32)의 외벽면이 면접촉되는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면접촉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적어도 면접촉이 발생하는 부분에서의 거치면(224)의 경사면부(2242)의 구배각과 포트바디(32)의 외벽면의 구배각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즉,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커버(31)는 거치면(224)의 수평면부(2241)에 의해서 지지되고, 포트바디(32)는 경사면부(2242)에 의해서 지지되는 구조가 달성될 수 있으며, 포트커버(31)의 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또한, 재배포트부(30)를 거치면(224)의 구조를 통해서, 재배포트부(30)에 대한 이중 지지구조가 달성될 수 있고, 단순히 재배포트부(30)를 거치시키는 조작을 통해서 자동으로 재배포트부(30)의 정위치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설정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structure of 224 when passing through the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커버(31)의 면적은 삽입홀(225)의 면적보다는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재배포트부(30)가 거치면(224)에 안착된 상태에서 거치면(224)의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홀(225)은, 전체적으로 포트커버(31)에 의해서 완전히 막힌 상태 또는 전체적으로 가려지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3 and 14 , the area of the
이를 통해서, 광원부로 조사되는 빛이 물통바디(21)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확률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Through this, the probability that the light irradiated to the light source unit enters the inside of the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포트커버(31)는 불투명 재질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물통바디(21)의 내부로 빛이 투과될 가능성이 추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at least the
동일한 이유로 광원부의 빛이 직접 조사되는 물통커버(22)는, 불투명 재질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For the same reason, the
이와 같이, 물통바디(21)의 내부로 빛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통해서, 물통바디(21)의 내부에서 이끼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rough means for preventing light from being transmitted into the
한편, 물통커버(22)는 물통바디(21)에 체결방식으로 강제 결합될 수 있다. 체결방식의 강제 결합 수단으로서, 물통부(20)는 한 쌍의 체결레버(23)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예시적으로 체결레버(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231)이 물통커버(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232)이 물통바디(21)에 탈착식으로 강제결합되는 판상형의 회전 레버가 될 수 있다.Illustratively, as shown, the
예시적으로 한 쌍의 체결레버(23) 중에서 어느 하나는 물통커버(22)의 좌측면(22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어느 하나는 물통커버(22)의 우측면(221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of the pair of fastening levers 2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체결레버(23)의 일측면에는, 물통바디(21)를 향해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233)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이 때, 걸림돌기(233)는 체결레버(23)의 하단 측에 인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king
걸림돌기(233)의 일단부는 체결레버(23)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걸림돌기(233)의 타단부에는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locking
걸림돌기(233)의 후크에 대응되는 위치로서, 물통바디(21)의 좌측면(215) 및 우측면(216)에는 각각 걸림돌기(233)의 후크가 강제 결합되는 걸림홈(216)이 형성될 수 있다.A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of the locking
걸림홈(216)은, 물통바디(21)의 좌측면(215) 및 우측면(216)으로부터 각각 물통부(20)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한편, 물통부(20)는 물통바디(21)에 저장되는 재배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위표시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예시적으로 수위표시부(24)는, 물통커버(22)의 우측면(2213)에 인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물통커버(22)의 우측면(2213)에 인접한 위치로서, 물통커버(22)의 확장면(2215)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water
수위표시부(24)는, 가이드홀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노출부(241)와, 물통바디(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저장된 재배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생성부(243)와, 노출부(241) 및 부력생성부(243)를 연결하는 커넥팅로드(242)와, 상기 가이드홀의 하부에 결합되며 수위표시부(24)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2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
노출부(241)의 상면은 가이드홀을 통해서 상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수위에 연동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노출부(241)의 위치를 통해서 사용자는 재배수의 수위 및 잔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An upper surface of the exposed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캡(244)은 가이드홀의 하부에 부착된 상태로 가이드홀의 하단을 형성한다. 이 때 이탈방지캡(244)은 물통커버(22)의 색상과 구별되는 전혀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3, the
즉, 적색과 같이 시인성인 높은 색상을 갖도록 이탈방지캡(244)을 구성하면, 노출부(241)가 이탈방지캡(244)의 상단보다 더 낮은 위치로 이동되면, 사용자는 이탈방지캡(244)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재배수의 수위가 낮아졌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f the
이 때, 수위표시부(24) 및 부력생성부(243)의 최하단의 위치는 전술한 걸림홈(216)의 내부면에 의해서 규정될 수 있다. 즉, 걸림홈(216)의 내부면은 수위표시부(24)의 부력생성부(243)의 하단을 규정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most positions of the wate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재배포트부(30)가 거치면(224)에 안착된 상태에서 거치면(224)의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홀(225)은, 전체적으로 포트커버(31)에 의해서 완전히 막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재배포트부(30)가 안착된 상태에서 물통커버(22)와 재배포트부(30) 사이에 틈이 거의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물통바디(21)의 내부로 재배수를 공급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는 재배포트부(30)가 안착된 상태에서도 물통바디(21)의 내부로 재배수를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However, the simpl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supplying cultivation water to the inside of the
이와 같이 재배포트부(30)를 분리하지 않고 재배수를 공급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물통커버(22)의 거치면(224)에는 삽입홀(22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배수공급홈(226)을 구비할 수 있다.In this way, as a means for supplying red water without separating the
도 15 내지 도 17에는 예시적으로 재배수공급홈(226)이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측에 물통커버(22)의 후면(2211) 및 전면(2214)에 인접해서 2개소에서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15 to 17 exemplarily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cultivation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수공급홈(226)이 2개소에 형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cultivation
이들 재배수공급홈(226)은 삽입홀(225)에 연통되어 있고, 삽입홀(225)에 일체화되어 있다. These regeneration
재배수공급홈(226)은, 포트커버(31) 중에서 전후방향으로 최소 폭을 형성하는 포트커버(31)의 연결부(313)의 하측에 형성된다. 또한, 재배수공급홈(226)의 좌우방향 폭은 포트커버(31)의 좌우방향 폭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d
따라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재배수공급홈(226)의 내측 단부는 포트커버(31) 및 포트바디(32)로부터 분리된 상태 또는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S. 16 and 17 , at least the inner end of the red
따라서 재배포트부(30)를 물통부(2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사용자는 재배수공급홈(226)을 통해서 물통바디(21)의 내부로 재배수를 보충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replenish the cultivation water into the
다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수공급홈들(226) 사이의 전후방향 최대 폭은 포트커버(31)의 연결부(313)의 전후방향의 폭보다는 더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16, the maximum width between the cultivation
즉, 재배수공급홈들(226)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물통바디(21)의 내부가 소량 개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개방량은 상당히 작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광원부(60)에서 조사되는 빛이 직접 물통바디(21)의 내부로 투과되는 양은 최소한으로 유지될 수 있다.That is, the inside of the
한편, 도 18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18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impl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실시예에 따른 간이 식물재배기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물통부(20)가 제2 본체바디(12)가 일체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impl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즉, 물통커버(22)의 외면이 전체적으로 간이 식물재배기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다만, 제2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물통부(20)는 제1 본체바디(11)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 및 단순 거치된 상태가 유지된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즉, 사용자는 단순히 물통부(20)를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조작만으로 쉽게 물통부(20)를 제1 본체바디(1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y be configured to easily separat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 and effec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 간이 식물재배기
10: 본체부
20: 물통부
30: 재배포트부
40: 핸들부
51, 52: 스페이서
60: 광원부
70: 무선통신부1: simple plant cultivator 10: main body
20: water tank part 30: re-port part
40: handle
60: light source unit 7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laims (17)
상기 재배포트부가 거치되고, 상기 배지로 공급될 재배수를 저장하는 물통부;
상기 물통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재배포트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핸들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부와 상기 본체부는 상호간 비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식물재배기.
a red potting unit provided with at least one medium for plant growth and exposed to an indoor environment;
a water tank unit in which the redistribution unit is mounted and which stores the cultivation water to be supplied to the medium;
a body portion to which the water bottle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and
a handle part having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redistribution unit and disposed above the main body unit;
including,
Plant cultivator wherein the water tank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non-fastening manner.
상기 물통부의 하부에는, 상기 물통부가 상기 본체부에 비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1,
A simple plant cultivator provided with a guide rib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bottle portion to determine a position where the water bottle portion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in a non-fastening manner.
상기 물통부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리브에 의해 상기 물통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상측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가능하나 전후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제한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2,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bottle part is coupled to the body part, the water bottle part is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in an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by the guide rib, but the relative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limited.
상기 물통부는,
상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재배수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박스형상의 물통바디; 및
상기 물통바디의 외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물통바디의 개방된 상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리는 물통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물통바디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2,
The bucket part,
a box-shaped water bottle body with an entirely open upper surface and a storage space for the cultivated water formed therein; and
a water bottle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bottle body and at least partially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including,
The guide rib is a simple plant cultivator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toward the main body.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물통바디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4,
The guide rib is a simple plant cultivator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상기 물통바디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높이와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벽형상을 갖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4,
A simple plant cultivator having a barrier shape in which the protruding height and thickness are kept constan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상기 가이드리브는, 전후방향 폭이 좌우방향 폭보다 더 작은 장방형상으로 연장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6,
The guide rib is a simple plant cultivator extending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wid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smaller than the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본체부는, 상기 물통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리브가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계합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합홈부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전후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7,
The main body part has an engagement groove into which the guide rib is entirely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bottle part is coupled,
The engaging groove portion limits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guide rib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일단부가 상기 핸들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합홈부의 내부에는, 상기 핸들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수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8,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pacer having one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part and the other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art,
A simple plant cultivator hav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at least one spacer separated from the handle part and the body part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inside the engagement groove part.
상기 물통커버는, 상기 물통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바디의 개방된 상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리는 거치면을 구비하고,
상기 재배포트부는, 상기 거치면에 비체결 방식으로 안착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4,
The water bottle cove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bottle body and has a passing surface at least partially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The cultivation port unit is a simple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is seated on the passage surface in a non-fastening manner.
상기 물통바디와 상기 물통커버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투과를 최소화하는 불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10,
The water bottle body and the water bottle cover are made of an opaque plastic material that minimizes transmission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상기 거치면은, 상기 물통바디의 저장공간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재배포트부의 하단이 통과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의 면적은, 상기 물통바디의 개방된 상면의 면적보다 더 작게 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10,
The passage surface is open toward the storage space of the water bottle body and has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redistribution port passes,
The area of the insertion hole is a simple plant cultivator that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상기 삽입홀의 면적은, 상기 재배포트부의 상단의 단면적보다는 더 작게 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12,
The area of the insertion hole is a simple plant cultivator that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end of the cultivation port part.
상기 재배포트부의 상단은, 중력방향으로 상기 삽입홀을 전체적으로 가리게 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13,
The top of the cultivation port unit is a simple plant cultivator that entirely covers the insertion hol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상기 재배포트부의 상단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투과를 최소화하는 불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14,
The top of the repotting unit is a simple plant cultivator formed of an opaque plastic material that minimizes transmission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상기 거치면은, 상기 삽입홀에 연통되어 있고 상기 중력방향으로 상기 재배포트부의 상단의 하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배수공급홈을 구비하는 간이 식물재배기.
In paragraph 14,
The passing surface communicates with the insertion hole and has at least one cultivation water supply groov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cultivation port unit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상기 재배포트부가 상기 물통커버의 거치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재배수공급홈을 통과하여 상기 재배수가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간이 식물재배기.In paragraph 16,
A simple plant cultivator in which the cultivation water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through the cultivation water supply groove in a state where the cultivation port is seated on the passing surface of the water bottle cover.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5139A KR20230032369A (en) | 2021-08-30 | 2021-08-30 | Simple plant cultivator |
EP22865015.6A EP4397176A1 (en) | 2021-08-30 | 2022-08-30 | Plant cultivator |
PCT/KR2022/012952 WO2023033513A1 (en) | 2021-08-30 | 2022-08-30 | Plant culti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5139A KR20230032369A (en) | 2021-08-30 | 2021-08-30 | Simple plant cultiv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2369A true KR20230032369A (en) | 2023-03-07 |
Family
ID=8551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5139A KR20230032369A (en) | 2021-08-30 | 2021-08-30 | Simple plant culti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32369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00023A (en) | 2012-06-15 | 2014-01-09 | Shigeru Inui | Hydroponics apparatus and hydroponics system |
-
2021
- 2021-08-30 KR KR1020210115139A patent/KR20230032369A/en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00023A (en) | 2012-06-15 | 2014-01-09 | Shigeru Inui | Hydroponics apparatus and hydroponics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934412B1 (en) | Growing device, seed pad and growing system for growing plants from seeds | |
US20150107154A1 (en) | Assembly for cultivating plants | |
KR102021578B1 (en) | IoT-BASED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CAN COLLECT PLANTS BY SEED BED UNIT AND PREVENT LEAKING OF CULTURE SOLUTION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 |
KR102340090B1 (en) | module type hydroponics planter | |
KR20160077358A (en) | Device for Cultivating the Plant | |
KR20140078183A (en) | An apparatus for cultivating a plant | |
KR101371128B1 (en) | Exchangebl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cultivation module | |
KR20230032369A (en) | Simple plant cultivator | |
EP4397176A1 (en) | Plant cultivator | |
KR101463982B1 (en) | Plant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LED lighting | |
KR20230032370A (en) | Simple plant cultivator | |
JP5844458B2 (en) | Plant grower | |
KR20230032371A (en) | Simple plant cultivator | |
KR102506677B1 (en)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
CN204104459U (en) | Plant cultiva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 |
KR102253354B1 (en) | Plant growing device | |
EP2028922A1 (en) | Modular container for bedder germination and/or storage | |
KR102021573B1 (en) | IoT-BASED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CAN CONTROL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BY USING HUMIDIFIER NATURALLY GENERATED BY CULTURE SOLUTION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 |
KR20230032368A (e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 |
KR101379738B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water diffusion supply unit | |
KR102041415B1 (en) | Plant pot | |
JP7000832B2 (en) | Climbing lumber of vines and green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em | |
KR20230099569A (en) | Plant cultivator | |
TW201433260A (en) | Indoor device | |
JP2517105Y2 (en) | Pot for plant cultivation of orchi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