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390A - 간접활선용 t형 애자 - Google Patents

간접활선용 t형 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390A
KR20230099390A KR1020210188694A KR20210188694A KR20230099390A KR 20230099390 A KR20230099390 A KR 20230099390A KR 1020210188694 A KR1020210188694 A KR 1020210188694A KR 20210188694 A KR20210188694 A KR 20210188694A KR 20230099390 A KR20230099390 A KR 20230099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wire
horizontal
live wi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길규
Original Assignee
고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길규 filed Critical 고길규
Priority to KR1020210188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390A/ko
Publication of KR2023009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4Chains; Multiple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는,
현수애자로써 티자형 프레임의 횡축을 형성하며, 일단과 타단에 전선을 연결하는 수평애자부와, 라인포스트애자로써 티자형 프레임의 종축을 형성하며 수평애자부의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직립된 형태로 다수의 애자날개를 구비하는 수직애자부가 구비되어, 현수애자와 라인포스트애자가 결합되어 동시에 구비되는 형태로써 수평애자부는 일단과 타단에 연결된 전선의 분리 시 상호 절연을 유지하고, 수직애자부는 상부의 완철과 하부의 전선 간의 절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 현수애자에 있어 점퍼선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에 따라 장주가 복잡해지고, 연간 수 천건에 이르는 조류 및 조류둥지에 의한 정전이 발생하는 문제와, 라인포스트애자는 바인드선에 의한 코로나 현상, 트레킹 현상 등에 의한 정전과 전선의 장악력이 약해 단선될 경우 가압된 전선이 지상에 낙하하여 안전사고나 화재로 진행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간접활선 작업 시 시공품질의 저하와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을 개선시키고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수평애자부의 하부에 도체와 절연체로 구성된 활선접속부가 구비되고 전선이 활선접속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선 상호간에 직접적인 물리적 연결 없이도 통전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전선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활선접속부에 간단한 방법으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시공품질의 향상과 안전사고 예방과 작업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간접활선용 T형 애자{T-type Insulator for Indirect Live-Line Work}
본 발명은 현수애자와 라인포스트애자가 결합된 형태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에 관한 것으로서, 티자형 프레임을 구성하는 횡축에는 말단 양쪽에전선을 장악하는 용도인 인류크램프와 연결되는 금구장치가 설치되고, 종축에는 라인포스트애자 형태로 구비되는데, 기존 라인포스트애자와 현수애자가 각기 구성된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간접활선 작업 시 시간과 비용 및 안전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는, 티자형 프레임의 횡축을 형성하며, 양쪽 말단에 전선을 장악하는 용도인 인류크램프를 연결하는 금구장치가 설치되며, 이 금구장치는 인류크램프와 단독으로 연결되거나 현수애자와 결합된 인류크램프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티자형 프레임의 종축을 형성하며, 수평애자부의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직립된 형태로 다수의 애자날개가 구성된 수직애자부가 라인포스트애자로 구비되어 현수애자와 라인포스트애자가 결합된 형태를 가지게 되며, 수평애자부는 일단과 타단에 연결된 전선을 서로 분리할 경우 상호 절연을 유지하고 수직애자부는 상부의 완철과 하부의 전선 간의 절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 현수애자 또는 라인포스트애자가 각각 설치될 경우에 연간 배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수 천건의 조류로 인한 정전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라인포스트애자의 코로나 현상, 트레킹 현상으로 인한 정전과 이때 전선이 단선될 경우 지상에 낙하하여 화재 및 감전으로 인한 인명사고와 현수애자의 점퍼선 설치로 인해 발생되는 수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수평애자부의 중앙 하부(완철 상단으로 설치시는 상부)에 장착되어 전선의 거치와 통전을 위해 구비되는 활선접속부를 더 포함하되, 활선접속부의 접속부종축은 수평애자부에 삽입 고정되며 애자로써 구성되고 접속부횡축은 도체 재질의 판 형상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전선이 연결되는 제1접속구, 제2접속구가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고 중앙에는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으로 작업 시 케이블 접속장치가 연결되고, 사선구간에서는 접지선이 연결되는 용도로 사용하는 중앙접속구가 구비되며, 각각의 접속구는 볼트 등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써 장착되고, 각각의 전선 상호간에는 직접적 연결 없이 접속부횡축을 통해 통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활선 작업 시 제1접속구 또는 제2접속구의 고정장치를 해제하여 간단히 사선 조치를 완료할 수 있고, 인접한 중앙접속구 상호간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연결하고 볼트를 조여주는 간단한 시공으로 바이패스 조치를 완료한 후 안전하게 사선 구간에 대한 작업을 시행할 수 있어, 활선 작업 시 수반되는 작업공정의 어려움과 안전사고의 위험과 시간의 과다 소요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현수애자와 라인포스트애자가 결합된 간접활선용 T형 애자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배전설비에서 사용되는 애자는 전선의 장악만을 고려한 라인포스트애자, 현수애자 등 2가지 타입이 운용되고 있다.
상기 배전용 특고압 애자는 모두 각각의 구조적 결함이 내재되어 있어 다양한 정전 유발과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으며 따라서 주기적인 진단과 점검 및 보수가 추가적으로 시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라인포스트애자는 주로 전선장악 문제에 의한 사고로 전선이 단선될 경우 전선이 지상으로 낙하하여 화재 또는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고, 또한 바인드선으로 인해 정전사고가 발생하는데, 바인드선에서 염분, 분진 등에 의한 코로나 현상과 전계 집중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상당수 존재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바인드선이 필요 없는 바인드리스 카바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수애자는 주로 점퍼선으로 인해 정전이 발생하고 또한 장주가 복잡해지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전선과 완철의 높이가 같아 완철을 비켜 통과하는 점퍼선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구조적 결함이라 할 수 있다.
조류에 의한 정전은 주로 조류(까치, 까마귀 등)가 완철이나 완철에 가까운 현수애자 부위에 앉아 완철 상부로 지나가는 전선이나 분기슬리브 카바를 부리로 쪼아서 통전 회로가 구성되어 발생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점퍼선을 완철 하단으로 통과시키는게 일반적인 방식이다.
조류둥지는 주로 완철 상단으로 짓게 되는데 이때 완철과 전선간에 조류둥지가 접촉되어 정전이 발생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선이나 완철에서 멀리 떨어져서 전선이 지나가도록 하는 LHC공법이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조류접촉, 조류둥지, 염진해, 섬락단선 등에 의한 정전의 대부분은 애자의 구조 변경만으로 예방이 가능한 수준이며, 진단 및 관리비가 대폭 줄어드는 기대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간접활선에 의한 전선 작업 시 무정전 공사를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을 적용할 경우 구간 양단 전주가 핀장주인 경우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는 공사를 시행한 후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가 가능하므로 추가 비용이 소요되고 이때 전선의 절단 및 압축을 직접 손으로 만지면서 작업하지 않고 스마트스틱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불안정한 상태로 작업해야 하므로 공사품질이 저하되는 우려가 존재하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83808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라인포스트애자와 현수애자가 결합된 형태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현수애자는 완철 하단에 횡축을 형성하고 라인포스트애자는 종축을 형성하는 티자형 프레임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 라인포스트애자와 현수애자가 각각 지녔던 불완전한 전선 장악력 문제점 및 전력선과 완철의 동일 높이로 인한 점퍼선 필요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인 연간 수 천건의 조류 또는 조류둥지에 의한 정전을 원천적으로 예방하며, 동시에 장주에 연결되는 전선이 직접 연결되지 않고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에 장착된 활선접속장치를 통해 탈부착이 용이한 형태로 구성되고 통전되게 함으로써 간접활선 시 안전하고 신속하며 시공품질이 높을 뿐 아니라 무한반복이 가능한 공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T형 애자는, 현수애자로써 티자형 프레임의 횡축을 형성하며 일단과 타단에 전선을 연결하는 수평애자부; 라인포스트애자로써 티자형 프레임의 종축을 형성하며 수평애자부의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직립된 형태로 다수의 애자날개를 구비하는 수직애자부; 수직애자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장주에 고정된 완철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완철결합부; 및 수평애자부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전선을 장악하는 고정금구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금구결합부;를 포함하며, 현수애자와 라인포스트애자가 동시에 구비되는 형태로써 수평애자부는 일단과 타단에 연결된 전선의 분리 시 상호 절연을 유지하고, 수직애자부는 상부의 완철과 하부의 전선 간의 절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애자부의 중앙 하부에 장착되어 전선의 거치와 통전을 위해 구비되는 깔때기형의 활선접속부를 더 포함하되, 활선접속부는, 횡축으로써 전선이 거치되고 수용되는 접속부횡축; 종축으로써 접속부횡축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수평애자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접속부종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접속부종축의 일단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평애자부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는 접속결합부; 타단은 절연재질로 구성되어 애자의 기능을 하는 접속애자부;로 구성되고, 접속부횡축은 도체 재질의 판 형상에 일측에는 수평애자부의 일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전선이 연결되는 제1접속구; 타측에는 수평애자부의 타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전선이 연결되는 제2접속구; 및 중앙에는 바이패스케이블이나 접지선이 연결되는 중앙접속구;가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써 장착되어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전선이 인입되는 제1접속구, 제2접속구, 중앙접속구의 상호 간에는 전선의 직접 연결 없이 접속부횡축을 통해 통전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애자부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에 각각 구비된 금구결합부에 연결되어 전선을 장악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인류크램프의 표면을 폴리머애자로 구성하여 절연이 되도록 하여 별도의 절연카바를 취부하지 않아도 되는 절연기능이 포함된 인류크램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선접속부의 접속결합부가 완철에 단독으로 직접 결합되어 내장주의 점퍼선을 고정하거나 통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애자부의 중앙 하부에 돌출 형성된 일체형으로써 전선의 거치와 통전을 위해 구비되는 활선접속부;를 더 포함하되, 활선접속부는, 횡축으로써 전선이 수용되는 접속부횡축을 더 포함하고, 접속부횡축은, 일측에는 수평애자부의 일단에 이어지는 전선이 연결되는 제1접속구; 타측에는 수평애자부의 타단에 이어지는 전선이 연결되는 제2접속구; 및 중앙에는 바이패스케이블 또는 접지선이 연결되는 중앙접속구;가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도체 재질의 판 형상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횡축을 구성하는 현수애자의 중앙 하부에 볼트 취부형 활선접속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점퍼선을 절분·압축하는 간접활선의 작업 소요시간을 기존 90분에서 5분 이내로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추가로 바이패스 케이블공법 작업 병행 시 바이패스 케이블을 경간 중간에서 전선피복제거 및 바이패스 케이블 장착하는 간접활선 작업 시 종래 작업소요시간인 150분을 본 발명으로 인해 10분 이내로 단축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활선접속 장치를 통해서 작업 시 간접활선에 필요한 보조암, 경량압축기, 점퍼선 홀딩스틱, 피박기, 절단기, 압축기 홀더, 테이핑기 등 수 많은 간접활선 작업공구들의 필요가 없어지고, 핫스틱, 후크, 로터스틱 정도의 기본적인 장비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해지고 작업이 쉬워진다.
셋째, 본 발명의 활선접속장치를 통하여 작업구간을 사선상태로 만들고, 작업시 안전한 방법으로 직접 손으로 작업을 시행할 수 있어 간접활선시 간접활선 공구로만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인 시공 품질의 완성도를 획기적으로 높일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활선접속장치를 최초 사선상태에서 한번 시공하면 활선접속장치를 통해 기존에 간접활선 작업시 시행해야 하는 점퍼선 절분·압축과 커버시공·바인딩과 같은 작업을 간단한 간접활선 장비로 공사구간의 사선과 활선으로 바꾸기 위한 작업을 무한 반복할 수 있어, 활선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다섯째, 라인포스트애자와 현수애자가 티자형으로 결합된 구조로써 라인포스트애자의 전선장악 불완전 문제점은 현수애자에 전선을 장악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고, 현수애자의 문제점인 전력선과 완철의 높이가 동일하여 필수 설치해야 하는 점퍼선으로 인한 문제점은 라인포스트애자의 상단에 완철을 설치하여 현수애자와 이격시키는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여섯째, 전선 장악력을 위한 바인드선이 불필요하여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종래 라인포스트애자 단독 설치 시 바인드선으로 인한 염분, 분진 등에 의한 코로나 현상과 전선 단선 등의 안전사고 위험을 해결할 수 있다.
바인드리스 카바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선 단선시 지상으로 전선이 낙하하여 안전사고 및 화재가 발생하는 위험을 해결할 수 있다.
일곱째, 종래 현수애자의 경우 전선과 완철의 높이가 같아 점퍼선이 필수로 필요하고 상기 점퍼선으로 인해 장주가 복잡하고 정전 발생 위험이 높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완철을 라인포스트애자의 선단에 위치시킴으로써 현수애자에는 점퍼선 없이 전선만을 연결하므로 기존 현수애자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성을 해결할 수 있다.
여덟째, 티자형으로 애자를 구성하면 기존에 발생하던 조류(독수리, 까마귀, 까치 등)와 조류둥지로 인해 발생하는 연간 수 천 건의 정전이 획기적으로 감소할 뿐만 아니라, 조류정전을 방지하기 위해 소요되는 보수공사비, 카바류 취부, 조류순시 등이 필요 없어져, 조류고장 관리인력 및 업무가 필요 없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애자부와 수평애자부로만 구성된 간접활선용 T형 애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형으로써 활선접속부가 구비된 간접활선용 T형 애자의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형으로써 활선접속부가 수평애자부에서 돌출되어 일체형으로써 구성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형에 따른 간접활선용 T형 애자가 적용된 사선과 활선작업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애자부와 수평애자부로만 구성된 간접활선용 T형 애자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형으로써 활선접속부가 구비된 간접활선용 T형 애자의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형으로써 활선접속부가 수평애자부에서 돌출되어 일체형으로써 구성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형에 따른 간접활선용 T형 애자가 적용된 사선과 활선작업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는 횡축과 종축으로 구성되는 티자형 프레임을 가질 수 있으며 종축은 횡축의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직되어 분기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는 횡축에는 현수애자가 구비되고 종축에는 라인포스트애자가 구비되어 현수애자와 라인포스트애자가 결합된 형태로써, 기존에 현수애자 및 라인포스트애자가 각각 사용되었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유지 보수 작업 시 간접활선 작업이 안전하고 신속한 시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는 수평애자부(100)와 수직애자부(200)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활선접속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평애자부(100)는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의 횡축을 형성하며 현수애자로써 구성될 수 있다.
수평애자부(100)는 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절연의 특성을 지니며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수평애자부(100)에는 애자날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수평애자부(100)에 애자날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일측과 타측에 수평애자부(100)의 외주연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자날개가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애자부(100)에 구비되는 애자날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납작한 원형의 형상을 가지게 되며, 일측과 타측에 두 개 이상씩 구비가 되는 경우에는 직경이 상이한 두 가지 타입을 가지는 복수의 애자날개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평애자부(100)의 횡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순서대로 구비될 수 있다.
수평애자부(100)에 구비되는 애자날개는 도체와 도체 사이의 절연을 위해 충분한 연면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써 애자의 외주면에 다수의 주름을 만들어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총 연면 거리를 확장하는 효과를 도모함과 동시에 표면이 습하거나 염분, 먼지 등이 부착되었을 때 절연내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하는 것이며,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수평애자부(100)는 폴리머로 제작된 애자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폴리머로 제작된 애자의 경우 가볍고 시공작업이 수월하며 파손의 우려가 적어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최근 주로 사용되는 경향에 따른 것으로써, 경질자기 등이 재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다만 이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효과를 동반하여 더욱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어떠한 재질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수평애자부(100)의 일단과 타단에는 전선(1)이 연결되어 인접한 다수의 장주에 설치된 다수의 수평애자부(100) 간에 전선(1)이 연결된 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선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수평애자부(1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애자날개가 구비된 채 전선(1)이 연결될 수도 있고, 애자날개가 구비되지 않은 채 전선(1)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수평애자부(100)에 인입되는 전선(1)을 거치하고 고정하기 위해 수평애자부(100)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에는 각각 복수의 금구결합부(120)가 구성될 수 있다.
수평애자부(100)에 인입되는 전선(1)은 직경이 굵고 무게가 상당하며 고압의 전력선이므로 전선(1)을 단단히 장악하고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어야 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고정금구(121)가 사용되어 전선(1)을 장악할 수 있다.
수평애자부(100)와 고정금구(121)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평애자부(100)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에는 금구결합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금구결합부(120)는 수평애자부(100)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에서 수평애자부(100)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리의 형상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전선(1)을 장악한 상태의 고정금구(121)가 금구결합부(120)와 단단하게 체결되면 수평애자부(100)의 애자날개(110)와 금구결합부(120)와 고정금구(121)가 일직선 양 방향으로 연결된 형상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수평애자부(100)의 일단으로 인입된 전선(1)은 수평애자부(100)의 하부로 소정 간격 늘어뜨려진 형태로 지난 후 다시 수평애자부(100)의 타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수평애자부(10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인입되는 전선(1)은 고정금구(121)에 고정된 상태로 안전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고정금구(121)와 금구결합부(120)가 단단한 체결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수평애자부(100)의 하부 또는 상부에서 전선(1)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평애자부(100)는 종래의 현수애자와는 달리 완철(3)이 동일 높이에 위치하지 않고, 상부나 하부에 완철(3)이 위치하고 현수애자가 상부나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점퍼선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종래 현수애자의 주요한 문제점이었던 점퍼선으로 인한 복잡한 장주의 구성 및 정전 발생 등의 위험요인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현수애자는 점퍼선이 필요한 구조로써 점퍼선이 구비되면 점퍼선이 완철(3)의 상하단으로 나뉘어 통과하므로, 2단 장주에서 상단 완철(3)의 하부로 통과하는 점퍼선과 하단 완철(3)의 상부로 통과하는 점퍼선의 간격이 가까워지고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점퍼선 간격이 불규칙하고 고정되지 않아 상호 접촉위험이 상존하며, 애자 수량이 많고 장주가 복잡하여 활선 상태에서 애자 등을 교체하기 어렵고 작업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완철(3)과 전선(1)의 동일 높이로 인해 뱀, 청설모 등 야생동물의 이동이 편리하고 충전부와 완철(3)이 접촉하기 쉬운 구조가 형성되어 야생동물의 접근과 접촉으로 인해 정전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는 현수애자로써 구성되는 수평애자부(100)에 완철(3)이 동일 높이로 설치되지 않으며, 따라서 점퍼선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기에서 열거한 종래의 현수애자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는 수평애자부(100)에 연직한 방향으로 분기된 종축에 라인포스트애자로써 구성되는 수직애자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애자부(200)는 티자형 프레임의 종축을 형성하며 라인포스트애자로써 기능을 할 수 있다.
수직애자부(200)는 수평애자부(100)의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직립된 형태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애자부(200)는 수평애자부(100)와 유사하게 직경이 상이한 애자날개(210)가 수직애자부(200)의 횡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 구비되어 수직애자부(200)의 외주면을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수직애자부(200) 또한 폴리머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재질과 애자날개(210)의 형태는 본 발명의 목적과 기능에 저해되지 않는 한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수직애자부(200)의 상단이나 하단에는 완철(3)이 연결될 수 있으며, 완철(3)은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를 장주에 고정시키는 지지대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애자부(200)는 완철(3)과 강한 결속력으로 결합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수직애자부(200)의 상단에는 완철결합부(220)가 구비되어 완철(3)과 체결될 수 있다.
완철결합부(220)는 수직애자부(200)의 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막대 형태일 수 있으며 완철(3)을 관통한 후 완철(3)의 상단 외측면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수직애자부(200)는 상부에 위치한 금속체의 완철(3)과 하부에 위치한 수평애자부(100)에 연결된 전선(1) 사이가 절연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직애자부(200)가 완철(3)과 전선(1)의 간격을 충분히 이격시키고 그 사이를 절연함에 따라 종래 현수애자에서 완철(3)과 전선(1)의 높이가 동일한 것에 따른 문제점이 해소되고 따라서 점퍼선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라인포스트애자가 두부에 바인드로 전선(1)을 연결하면서 전선(1)의 장악력이 약해지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설치되는 바인드선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에 있어서, 수직애자부(200)는 상단에 전선(1)을 거치하여 연결하지 않고 하부에 구성된 수평애자부(100)가 전선(1)을 지지하고 수직애자부(200)는 하부의 전선(1)과 상부의 완철(3)에 대한 지지와 절연 기능만을 담당함에 따라 종래 라인포스트애자에 의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구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는 라인포스트애자와 현수애자를 결합하는 형태로써 전선(1)과 완철(3)의 위치를 새롭게 배치하는 구조적 특성을 적용함으로써 종래 라인포스트애자와 현수애자에서 발생되었던 다양한 위험요인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는 수평애자부(100)의 중앙 하부에 장착되는 활선접속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활선접속부(300)는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에 연결되는 전선(1)의 안정적 거치와 상호 통전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활선접속부(300)는 본 발명에 있어 두 가지 형태로써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형으로써 활선접속부(300)는 가로축을 형성하는 접속부횡축(310)과 세로축을 형성하는 접속부종축(320)으로 구성되어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활선접속부(300)의 접속부횡축(310)은 도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접속부종축(320)은 횡축의 중앙에서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직립된 형태로써 절연체인 애자로 구성될 수 있다.
접속부횡축(310)에는 평상 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이 양단에서 연결될 수 있고, 사선구간으로 작업 할 경우 접지를 위해 연결하는 접속장치로 사용되고, 작업구간을 활선에서 분리하고 작업구간 이후 구간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중앙에서 바이패스케이블(2)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접속부횡축(310)은 도체로 구성되어 복수의 전선(1)과 바이패스케이블(2) 상호간에 통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접속부종축(320)은 수평애자부(100)의 하부에서 수평애자부(100)를 향하여 솟은 형태를 가지며 수평애자부(100)에 삽입 연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종축(320)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접속결합부(321)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결합부(321)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수평애자부(100)의 중앙 하부에 구비될 수 있어서 상호 나사 결합으로 단단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접속부종축(320)의 타단은 폴리머, 경질자기 등으로 구성된 애자로써 다수의 애자날개(323)가 구비되는 접속애자부(322)가 구성되어 접속부횡축(310)의 중앙에 연결될 수 있다.
접속부종축(320)은 상기 설명과 같이 접속결합부(321)와 접속애자부(322)로 구성이 될 수 있으며, 접속결합부(321)가 수평애자부(10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활선접속부(300)가 수평애자부에 결속된 상태로 고정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하부에 위치한 접속부횡축(310)에 연결되는 전선(1)과 상부에 위치하는 도체 사이의 절연을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접속부횡축(310)은 수평애자부(100)의 일단과 타단으로 연결되는 전선(1)을 수용하고 전선(1)의 직접적인 연결 없이 상호 통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속부횡축(310)은 도체 재질의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선(1)이 연결되는 접속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3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접속부횡축(310)의 일측에는 수평애자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전선(1)이 연결되는 제1접속구(311), 타측에는 수평애자부(100)의 타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전선(1)이 연결되는 제2접속구(312)가 구비되고 중앙에는 간접활선 작업 시 사선구간에서는 접지단자로 쓰고, 사·활선 분리되는 개소에서는 바이패스케이블(2)이 연결되는 중앙접속구(31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접속구(311), 제2접속구(312) 및 중앙접속구(313) 등 각각의 접속구는 전선(1)이 인입되는 부위에 전선(1)을 수용하고 단단한 조임이 이뤄질 수 있는 클램프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접속구에 인입된 전선(1)은 클램프 장치에 의해 안정적으로 강하게 체결된 상태에서 접속구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접속구에 수용될 수 있으며, 각 전선(1)은 도체 재질의 접속부횡축(310)에 접촉하여 통전할 수 있는 여건으로 구비가 될 수 있다.
또한 각 접속구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하여 접속부횡축(310)에 견고하게 부착이 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의 해제를 통해 간단하게 접속부횡축(3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접속부횡축(310)에 연결되는 각 전선(1)들은 각 접속구의 클램프 장치로 인입되고 접속구 중심까지 연결되며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체결로 접속부횡축(31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국 제1접속구(311)에 연결된 전선(1)과 제2접속구(312)에 연결된 전선(1)은 상호 직접적인 물리적 연결 없이도 접속부횡축(310)을 매개로 하여 상호 통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활선접속부(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형으로써, 수평애자부(100)의 중앙 하부에 돌출 형성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기본형에서와 같이 활선접속부(300)가 착탈식으로 구성되지 않고 수평애자부(100)의 하부가 돌출되는 형태 변환을 통해 수평애자부(100)와 활선접속부(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활선접속부(300)는 전선(1)의 거치와 통전을 위해 구비되며, 접속부횡축(310)을 포함하고, 접속부횡축(310)은 제1접속구(311), 제2접속구(312), 중앙접속구(313)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과 기능은 상술한 기본형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활선접속부(300)에는 접속구커버(314)가 구비되어 접속부횡축(310)을 커버하는 덮개로써 사용될 수 있다.
접속구커버(314)는 접속부횡축(310) 일측에서 힌지 결합되어 접속부횡축(310) 전체를 덮거나 개방하는 덮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접속구(311), 제2접속구(312), 중앙접속구(313)는 각각 클램프 장치로 고정된 것에 더해 접속구커버(314)에 의해 덮개 보호를 받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1)은 각 접속구에서 클램프 결속이 풀리더라도 접속구커버(314)에 의해 결속이 유지됨으로써 접속부횡축(310)에서 이탈되지 않게 조치되는 이중 안전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접속구커버(314)의 외부 표면은 절연체인 폴리머 재질로 이뤄지고 내부는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접속부횡축(310)에서 전선(1)이 각 접속구에서 클램프 결속이 풀리더라도 접속구커버(314) 내에 위치하면서 접속구커버(314)의 표면을 따라 지속적으로 통전할 수 있어 이중의 안전장치를 가질 수 있다.
결국 접속구커버(314)는 활선접속부(300)에서 접속부횡축(310)에 결합된 각 전선(1)들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중 결속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선(1)이 각 접속구에서 풀렸을 경우 지속적인 전류 공급을 위한 도전 통로로써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접속구커버(3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형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의 일 실시예에 있어 활선접속부(300)가 구비되지 않은 형태인 경우에는 수평애자부(100)의 일단과 타단으로부터 연결되는 전선(1)은 수평애자부(100)의 하부에 늘어뜨려지는 형상으로써 이어지는 구조를 가졌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활선접속부(300)가 구비된 형태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에서는 수평애자부(100)의 일단과 타단에서 연결되는 전선(1)은 상호 직접적인 물리적 연결이 없이도 활선접속부(300)의 접속구에 수용되는 것만으로 상호 통전과 거치가 이뤄지는 특성을 갖게 된다.
활선접속부(300)는 절연체인 애자와 도체가 종축과 횡축을 형성하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간접활선 작업에 있어 획기적 개선을 이루는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종래의 현수애자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있어서 전선(1)을 작업 등의 사유로 절단하고 새롭게 전선(1)을 압축하는 활선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시공작업 방법상 매우 큰 위험이 상존했던 것이 사실이다.
특고압의 전력선을 직접 손으로 만져서 작업하는 직접활선은 시공의 품질은 높은 반면에 안전사고 위험이 매우 높고 따라서 시공비가 비싼 단점이 있어 지양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스마트스틱 등을 활용하여 전선(1)의 절단과 압축하여 연결작업을 하는 간접활선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손으로 직접 작업하는 것보다는 작업의 완성도가 떨어지고 난이도가 높은 작업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에 대한 보완책으로 스마트스틱을 이용하여 작업 대상 전선(1)을 절단하고 작업구간을 바이패스케이블(2)으로 연결하여 임시 통전이 되게 한 후, 사선 구간이 된 작업구간에 대해서는 직접 작업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스마트스틱을 활용한 전선 절단과 바이패스 연결은 시공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상존하며, 작업 종료 후 바이패스케이블(2)을 제거하고 다시 원래 전선(1)을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간접활선 공법을 이용해야 하므로 여전히 시공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에 구비되는 활선접속부(300)는 상기 간접활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가령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의 작업이 필요한 구간에 구비된 전선(1)을 절단하고 사선구간으로 해야 할 경우 해당 전선(1)의 일단에 연결된 제1접속구(311)와 타단에 연결된 제2접속구(312)에서 체결부재로 사용된 볼트를 풀면 간단하게 전선(1)을 절단시킬 수 있어 해당 전선(1)이 구비된 구간을 사선으로 만들 수 있다.
이때 그 이전에 바이패스케이블(2)을 각각의 활선접속부(300)의 중앙접속구(313)에 연결하고 볼트를 조여주면 도 4의 (b)와 같은 체계로써 전선(1) 구성이 완료되어 바이패스케이블공법에 의한 사선상태로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시공자는 사선 처리된 작업구간에서 안전하게 직접 손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완성도가 높고 시공품질이 우수하며 시공비가 저렴해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존 간접활선에 의한 전선절단 작업 시에는 절분, 피복의 박피, 전선의 압축, 클램프 커버의 취부, 테이핑 등 일련의 간접활선 작업이 진행되는 데 있어 약 90분 정도가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의 활선접속부(300)가 구비된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의 간접활선에 있어서는 클램프 커버의 분리 및 접속구 볼트 해제 등 2단계 작업으로 충분하므로 약 5분 정도가 소요되어 작업시간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게다가 바이패스공법을 동시 작업할 경우 기존 간접활선 작업 시에는 바이패스케이블의 연결작업 시간이 약 60분이 추가 소요되어 총 150분 정도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에 있어서는 사선 처리작업과 바이패스케이블(2) 설치에 있어 총 10분 정도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바이패스케이블(2)이 연결된 후 시공자가 안전하게 작업구간의 전선(1)을 교체 또는 수선 연결하는 작업을 마치게 되면, 새로 가설될 전선(1)을 일 활선접속부(300)의 제1접속구(311)에 연결하고 동시에 타 활선접속부(300)의 제2접속구(312)에 연결한 후 각각의 접속구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사선구간 양쪽을 연결함으로써 통전시키고, 바이패스케이블(2)이 연결된 중앙접속구(313)의 볼트를 풀어 바이패스케이블(2)을 분리하면 모든 간접활선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는 활선접속부(300)가 구비된 형태를 기본 형태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설명과 같이 스마트스틱에 의한 간접활선 작업이 용이하고 사선으로 직접작업이 안전하게 이뤄질 수 있어 시공품질이 매우 높아질 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될 수 있어 작업으로 인한 정전을 최소화하여 소비자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활선접속부(300)가 구비된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는 한 번의 시공으로 동일한 활선작업을 무한 반복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경제적으로 우수하며, 기존 현수애자와 라인포스트애자에 비해 길이가 절반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는 수평애자부(100)의 하단 중앙부에 상부를 향하여 움푹 패인 형상의 요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활선접속부(300)의 접속부종축(320) 선단에 구비되는 접속결합부(321)는 요홈부를 통해 수평애자부(100)의 하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수평애자부(100)와 활선접속부(30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요홈부는 수평애자부(100)의 중앙 하단을 빈 공간으로 조성함으로써 점퍼선과 애자와의 이격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요홈부는 또한 활선접속부(300)를 수평애자부(100)에 더욱 밀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수평애자부(100)에 연결된 후 하단의 활선접속부(300)에 접속되는 전선(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밀착 구성되었을 경우 요홈부의 빈 공간이 절연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는 수평애자부(100)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에 구비된 금구결합부(120)에 체결되는 고정금구(121) 외부가 폴리머 애자로 도포된 형태로써 구성될 수 있다.
외부가 폴리머 애자로 도포된 고정금구(121)는 소정 사유로 인해 수평애자부(100)를 길게 구성해야 하는 경우 고정금구(121)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수평애자부(100)의 일단과 타단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선(1)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이격시켜서 절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고 고정금구(121)에 조류정전 방지를 위한 절연카바를 부착하지 않아도 되는 절연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로써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는 수직애자부(200)가 하부를 향해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애자부(200)는 수평애자부(100)의 중앙에서 하부를 향해 연직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본형 및 추가형을 뒤집어놓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활선접속부(300)는 수평애자부(100)의 하부가 아닌 상부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수평애자부(100)에 연결되는 전선(1)은 수평애자부(100)의 상부를 지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가 설치되는 장주의 구성상태와 주변 상황에 맞춰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는 상부를 향해 솟은 형상의 티자형 구조로써 종축은 라인포스트애자의 기능을 하는 수직애자부(200), 횡축은 현수애자의 기능을 하는 수평애자부(100)로 구성될 수 있다.
애자를 장주에 고정시키는 금속 재질의 완철(3)은 수직애자부(200)의 상단이나 하단에 장착될 수 있고 수직애자부(200)의 선단에는 완철결합부(220)가 구비되어 완철(3)에 단단히 결속될 수 있으며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를 전주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수평애자부(100)는 현수애자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며, 종전의 현수애자에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완철(3)과 현수애자의 동일한 높이, 그로 인한 점퍼선의 설치에 따른 조류에 의한 정전 등 각종 문제점들은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에서는 완철(3)이 수직애자부(200)의 상단이나 하단에 위치하고 현수애자 기능을 하는 수평애자부(100)는 수직애자부(200)의 하단에 연결됨으로써 해소될 수 있다.
수평애자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인입된 전선(1)은 수평애자부(100)의 하부나 상부를 지나 타단으로 연결되어 나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전선(1)과 완철(3) 간의 거리는 수직애자부(200)에 의해 이격된 채 절연된 상태로 구성되어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다.
수평애자부(100)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에는 고리 형상의 금구결합부(120)가 장착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연결되는 전선(1)을 장악하여 고정하고 지지하는 고정금구(121)와 연결되어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의 수평애자부(100)의 일 실시예로써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연결되는 전선(1)을 수용하고 통전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활선접속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형로써 활선접속부(300)는 상부를 향해 솟은 티자 형상으로써 세로축을 구성하는 접속부종축(320)은 애자로 구성되고 가로축을 구성하는 접속부횡축(310)은 금속 재질의 도체로써 구성될 수 있다.
접속부종축(320)의 선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평애자부(100)의 하단에 나선 결합되어 장착된 채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부에 위치한 수평애자부(100) 및 완철(3)과 하부에 위치한 접속부횡축(310) 간의 절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접속부횡축(310)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제1접속구(311), 제2접속구(312), 중앙접속구(313)가 구비될 수 있다.
중앙접속구(313)는 간접활선 작업 시 접지선 또는 바이패스케이블(2)의 연결을 위한 접속구이며 평소에는 전선(1)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운영될 수 있다.
동일 활선접속부(300) 내의 제1접속구(311)와 제2접속구(312)에 연결된 전선(1)은 상호 물리적인 직접 연결 없이 접속부횡축(310)의 도체 성질에 의해 상호 통전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형로써, 활선접속부(300)는 수평애자부(100)의 중앙 하부에 돌출 형성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활선접속부(300)는 전선의 거치와 통전을 위해 구비되며, 접속부횡축(310)을 포함하고, 접속부횡축(310)은 제1접속구(311), 제2접속구(312), 중앙접속구(313)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과 기능은 상술한 기본형과 동일할 수 있다.
전선(1)의 작업구간이 발생하면 시공자는 우선 시공 시간 동안 지속적인 통전이 이뤄지게 하기 위해 사선이 필요한 구간 양측에 구비된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의 중앙접속구(313)를 상호 연결하는 바이패스케이블(2)을 가설하고 볼트를 잠궈 결합을 완료한다.(도 4 (b)의 ①)
이후 해당 작업구간을 형성하는 전선(1)을 사선화 하기 위해 해당 전선(1)이 연결되어 있는 인접한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의 활선접속부(300)에서 스마트스틱을 사용하여 전원이 들어오는 방향의 일 활선접속부(300)의 제1접속구(311)를 먼저 볼트를 풀어서 전선(1)을 분리하고(도 4 (b)의 ②), 다음으로 전원이 나가는 방향의 타 활선접속부(300)의 제2접속구(312)의 볼트를 풀어서 해당 전선(1)을 분리한다.(도 4 (b)의 ③)
그리고 작업구간이 사선 처리되었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사라진 상태에서 시공자는 손을 사용하여 직접 해당 고장 부위를 고침으로써 간접활선 대비 정확하고 빠르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 완성도를 높이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작업 부위의 전선(1) 작업이 완료되면 시공자는 스마트스틱을 이용하여 송배전선(1)을 활선접속부(300)의 제1접속구(311)와 타 활선접속부(300)의 제2접속구(312)에 연결한 후 각각의 접속구에서 볼트를 잠궈 각각의 활선접속부(300)에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통전시키고(도 4 (b)의 ③,②), 중앙접속구(313)의 볼트를 풀어 바이패스케이블(2)을 분리하여 작업을 완료한다.(도 4 (b)의 ①)
이상으로 작업 구간의 전선(1) 보강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이는 종래 방식의 보수 공사 시 간접활선에 90분, 바이패스 공법에 60분 등 총 150분 정도가 소요되었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의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에 의한 간접활선은 5분, 바이패스 공법 5분 등 총 10분 정도에 완료할 수 있어 획기적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게다가 사선 작업 시 안전한 상태에서 직접 손으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품질의 완성도가 높고 단가가 저렴한 효과가 있으며, 최초에 간접활선용 T형 애자(10)를 한번 시공하면 동일 작업을 무한 반복할 수 있는 뛰어난 내구성과 경제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전선
2 : 바이패스케이블
3 : 완철
10 : 간접활선용 T형 애자
100 : 수평애자부
120 : 금구결합부
121 : 고정금구
200 : 수직애자부
210, 323 : 애자날개
220 : 완철결합부
300 : 활선접속부
310 : 접속부횡축
311 : 제1접속구
312 : 제2접속구
313 : 중앙접속구
314 : 접속구커버
320 : 접속부종축
321 : 접속결합부
322 : 접속애자부

Claims (5)

  1. 현수애자로써 티자형 프레임의 횡축을 형성하며 일단과 타단에 전선을 연결하는 수평애자부;
    라인포스트애자로써 티자형 프레임의 종축을 형성하며 수평애자부의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직립된 형태로 다수의 애자날개를 구비하는 수직애자부;
    수직애자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전주에 고정된 완철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완철결합부; 및
    수평애자부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전선을 장악하는 고정금구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금구결합부;를 포함하며,
    현수애자와 라인포스트애자가 동시에 구비되는 형태로써 수평애자부는 일단과 타단에 연결된 전선의 분리 시 상호 절연을 유지하고, 수직애자부는 상부의 완철과 하부의 전선 간의 절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T형 애자.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애자부의 중앙 하부에 장착되어 전선의 거치와 통전을 위해 구비되는 깔때기형의 활선접속부를 더 포함하되,
    활선접속부는, 횡축으로써 전선이 거치되고 수용되는 접속부횡축; 종축으로써 접속부횡축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수평애자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접속부종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접속부종축의 일단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평애자부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는 접속결합부; 타단은 절연재질로 구성되어 애자의 기능을 하는 접속애자부;로 구성되고,
    접속부횡축은 도체 재질의 판 형상에 일측에는 수평애자부의 일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전선이 연결되는 제1접속구; 타측에는 수평애자부의 타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전선이 연결되는 제2접속구; 및 중앙에는 바이패스케이블이나 접지선이 연결되는 중앙접속구;가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써 장착되어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전선이 인입되는 제1접속구, 제2접속구, 중앙접속구의 상호 간에는 전선의 직접 연결 없이 접속부횡축을 통해 통전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간접활선용 T형 애자.
  3. 제1항에 있어서,
    수평애자부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에 각각 구비된 금구결합부에 연결되어 전선을 장악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인류크램프의 표면을 폴리머애자로 구성하여 절연이 되도록 하여 별도의 절연카바를 취부하지 않아도 되는 절연기능이 포함된 인류크램프를 더 포함하는 간접활선용 T형 애자.
  4. 제2항에 있어서,
    활선접속부의 접속결합부가 완철에 단독으로 직접 결합되어 내장주의 점퍼선을 고정하거나 통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간접활선용 T형 애자.
  5. 제1항에 있어서,
    수평애자부의 중앙 하부에 돌출 형성된 일체형으로써 전선의 거치와 통전을 위해 구비되는 활선접속부;를 더 포함하되,
    활선접속부는, 횡축으로써 전선이 수용되는 접속부횡축을 더 포함하고,
    접속부횡축은, 일측에는 수평애자부의 일단에 이어지는 전선이 연결되는 제1접속구; 타측에는 수평애자부의 타단에 이어지는 전선이 연결되는 제2접속구; 및 중앙에는 바이패스케이블 또는 접지선이 연결되는 중앙접속구;가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도체 재질의 판 형상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간접활선용 T형 애자.
KR1020210188694A 2021-12-27 2021-12-27 간접활선용 t형 애자 KR20230099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694A KR20230099390A (ko) 2021-12-27 2021-12-27 간접활선용 t형 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694A KR20230099390A (ko) 2021-12-27 2021-12-27 간접활선용 t형 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390A true KR20230099390A (ko) 2023-07-04

Family

ID=87156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694A KR20230099390A (ko) 2021-12-27 2021-12-27 간접활선용 t형 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3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808B1 (ko) 2006-09-22 2007-12-12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 애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808B1 (ko) 2006-09-22 2007-12-12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 애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1688B2 (en) Structure for installing lightning arrester for electric pole
WO2012088987A1 (zh) 用于直流输电线路绝缘子的检修工具
KR10160029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구조
WO2012088986A1 (zh) 用于直流输电线路的检修器具
CN201562913U (zh) 一种带电安装具有单螺栓底座驱鸟器的工具
CN202034703U (zh) 一种引流线夹操作杆
KR20230099390A (ko) 간접활선용 t형 애자
CN201233972Y (zh) 多功能接电头
CN204577640U (zh) 一种高压预付费开关箱出线电缆连接装置
CN216390285U (zh) 一种可调节转向的灭弧滑车
CN205609783U (zh) 一种应急短接管状线夹
CN201874439U (zh) 一种带电清除导线异物用蜈蚣梯
AU2015249876B2 (en) Temporary transfer bus
CN209434754U (zh) 更换直流接地极线路悬垂串的组合工具
CN211208698U (zh) 一种220kV输电线路新型成套接地装置
CN110137867B (zh) 一种低压电缆分支箱内带电接线的方法
CN209434747U (zh) 水平旋转法更换直流接地极线路耐张串的组合工具
CN102454358A (zh) 一种带电清除导线异物用蜈蚣梯
KR20110006152A (ko)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주용 라인 포스트 애자와 폴리머 피뢰기 설치구조
CN110011215A (zh) 更换直流接地极线路悬垂串的组合工具及方法
CN213484009U (zh) 一种检修防护用接地装置
CN201061118Y (zh) 一种电缆中间接头
CN105958385B (zh) 接地线安全支撑架
CN209434753U (zh) 用于更换直流接地极线路悬垂串的卡具组件
CN204760571U (zh) 一种配电快速声光验电接地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