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240A -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240A
KR20230099240A KR1020210188426A KR20210188426A KR20230099240A KR 20230099240 A KR20230099240 A KR 20230099240A KR 1020210188426 A KR1020210188426 A KR 1020210188426A KR 20210188426 A KR20210188426 A KR 20210188426A KR 20230099240 A KR20230099240 A KR 20230099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hard hat
service server
wear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채
이현지
박가은
Original Assignee
이은채
이현지
박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채, 이현지, 박가은 filed Critical 이은채
Priority to KR102021018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240A/ko
Publication of KR2023009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반구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되는 측정값을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QR코드부를 포함하는 안전모와, 상기 안전모와 무선통신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값을 수신받고,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유무를 판단하며,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도구인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안전모에 작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센서를 부착하여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유무를 감지함으로써, 관리자가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모자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발생되는 1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 {SAFETY SYSTEM USING SAFETY CAP}
본 발명은 작업자가 안전모자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발생되는 1차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는 항상 각종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최근 건설업에서 작업자의 안전이 중요하게 대두됨에 따라 고용노동부는 2022년까지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 절반 감축이라는 목표를 내세우고 제도적, 법적 개선을 추진하며 안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건축물 내부에서는 추락, 매몰 및 붕괴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건축물 외부에서 작업하는 경우 직사광 및 열에 노출되고, 휴식을 자주 취할 수 없는 작업환경에 의해 사용자 본인의 건강이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설업 재해 발생 현황의 상해 부위별 분석 결과, 두부와 복합부위가 가장 많으며, 건설업 재해 발생 현황의 형태별 사망재해 분석에서는 추락이 가장 큰 항목으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락사고의 특성상 바닥에 머리부터 닿을 가능성이 높기에,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모의 착용 관리가 매우 중요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모는 작업자의 자율성에 의해 착용되는 것으로, 관리자의 관리가 소홀한 경우 몇몇의 작업자는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고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6751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전모에 작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센서를 부착하여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유무를 감지함으로써, 관리자가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반구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되는 측정값을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QR코드부를 포함하는 안전모와, 상기 안전모와 무선통신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값을 수신받고,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유무를 판단하며,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도구인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모에는 스피커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스피커모듈은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경고신호가 알람음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모에 작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센서를 부착하여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유무를 감지함으로써, 관리자가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모자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발생되는 1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100)은, 서비스 서버(120), 안전모(140), 사용자 단말기(16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서비스 서버(120)는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영, 관리하는 서버인 것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120)는 안전모(140) 및 사용자 단말기(16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된다.
서비스 서버는 각종 정보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및 데이터를 처리 및 가공하고 서비스 플랫폼의 구동 및 실행을 담당하는 모듈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플랫폼은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되거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60)상에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안전모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안전모 정보와, 작업자 신상정보 및 작업자의 근무일정을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모듈부는, 안전모(140)에 장착된 센서부로부터 측정값을 수신받고,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유무를 판단하며,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마련된다.
실시례로서, 상기 모듈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작업자의 근무일정과, 해당 근무일정 시간 내에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을 비교하여 작업자의 안전모가 착용 유무를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안전모(140)는 작업현장에서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하도록 마련된 모자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모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반구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값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QR코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센서부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체온측정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체온측정센서는 본체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의 안전모 착용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센서부는 주변의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 작업자의 착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형 압력감지센서 등을 더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는 서비스 서버 및 외부의 전자기기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요소이다.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센싱값은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된다.
상기 QR코드부는 해당 안전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QR코드(Quick Response Code)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QR코드는 작업자 및 관리자의 육안으로 확인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안전모는 개별적으로 각기 다른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으므로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활용하여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인식함으로써, 안전모의 관리내역, 안전모 사용내역, 안전모를 착용하는 작업자정보,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온도 등의 안전모에 대한 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안전모에는 스피커모듈이 추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모듈은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모듈인 것으로, 상기 스피커모듈은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경고신호가 알람음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경고신호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스피커모듈에 전달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도구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작업자 단말기와,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은 통신망으로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부, 무선통신부, 메모리부, 출력부, 제어부, 인터페이스부, 전원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사용자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작업자 및 관리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안전모에 부착된 QR코드부를 독출하여 QR코드에 저장된 안전모 정보와, 작업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경고신호를 메세지 또는 알람음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모에 작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센서를 부착하여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유무를 감지함으로써, 관리자가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모자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발생되는 1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
120: 서비스 서버
140: 안전모
160: 사용자 단말기

Claims (2)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반구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되는 측정값을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QR코드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상기 안전모와 무선통신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값을 수신받고,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유무를 판단하며,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도구인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에는 스피커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스피커모듈은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경고신호가 알람음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
KR1020210188426A 2021-12-27 2021-12-27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 KR20230099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426A KR20230099240A (ko) 2021-12-27 2021-12-27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426A KR20230099240A (ko) 2021-12-27 2021-12-27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240A true KR20230099240A (ko) 2023-07-04

Family

ID=8715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426A KR20230099240A (ko) 2021-12-27 2021-12-27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2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751B1 (ko) 2015-12-17 2017-01-1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작업 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751B1 (ko) 2015-12-17 2017-01-1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작업 안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353B1 (ko) 안전 헬멧
CN103109311B (zh) 多感测环境监视设备与方法
CN101944172B (zh) 监控个人保护性设备的系统和方法
US20220139186A1 (en) Method for monitoring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compliance
ITTO20100426A1 (it) Sistema per monitorare l'utilizzazione di dispositivi di protezione individuale da parte di lavoratori in un luogo di lavoro
KR100936265B1 (ko)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를 위한 휴대형센서
KR20120096977A (ko)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CN109313839A (zh) 集成热生理应力警告装置
KR101974281B1 (ko) 안전 장비 착용 장려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88458B1 (ko) 작업자 관리 시스템
KR102086259B1 (ko) 웨어러블 안전장비와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설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099240A (ko) 안전모를 활용한 안전 시스템
Kartik IOT based Smart Helmet for Hazard Detection in mining industry
US20230377447A1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removal of the equipment and other status conditions
KR20200084589A (ko) 안전보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77706B1 (ko)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20230114959A (ko) 센서를 이용한 배전설비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40133231A (ko) 고위험 작업자의 라이프 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94793B1 (ko)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 벨트 및 그 운용 방법
KR101388984B1 (ko) 인명 구조용 경보 시스템
KR102583428B1 (ko) 건설작업자 안전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KR102570651B1 (ko) 안전모 착용 및 위치 정보를 통한 작업자의 동선 확인 시스템
JP2009163571A (ja) 有害物撤去作業安全管理装置
KR102354938B1 (ko) 가스농도 측정장치
KR102241295B1 (ko) 센서 처리 정보 조합을 이용한 근무자 건강 상태 판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