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626A -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 차량제어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시스템, 기기 및 매체 - Google Patents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 차량제어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시스템, 기기 및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626A
KR20230098626A KR1020237018271A KR20237018271A KR20230098626A KR 20230098626 A KR20230098626 A KR 20230098626A KR 1020237018271 A KR1020237018271 A KR 1020237018271A KR 20237018271 A KR20237018271 A KR 20237018271A KR 20230098626 A KR20230098626 A KR 20230098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ing
charge
power grid
targe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젠 린
시아오 왕
유 얀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9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02J3/32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the battery being on-board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e.g.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power aggregation, use of the battery for network load balancing, coordinated or cooperative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 장치, 시스템, 기기 및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이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전력망(40)과 차량(20)의 배터리(P1)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스케줄링 과정에서, BMS(21)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21)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 차량제어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시스템, 기기 및 매체
본 발명은 전력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 차량제어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시스템, 기기 및 매체에 관한 것이다.
신에너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배터리의 응용 분야는 점점 광범위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동력원으로 사용되어 전기 기기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어 재생 불가능한 자원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배터리가 발전함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기술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충전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은 V2G(Vehicle-to-grid) 기술을 지원하는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의 양방향 스케줄링을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은 수요에 따라 전력망의 전기 에너지를 차량의 파워 배터리로 스케줄링하거나, 또는 수요에 따라 차량의 파워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전력망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현 단계에서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하는 방안이 부족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 차량제어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시스템, 기기 및 매체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VCU에 응용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하고, 방법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의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스케줄링 과정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으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되, 충방전 완료 정보는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BMS로부터 송신된 것인 단계;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되, 타깃 스케줄링 모드는 전력망과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인 단계; 및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BMS는 차량의 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전기 에너지를 양방향으로 스케줄링하는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는 BMS가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여, 차량이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유연한 스케줄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즉시 충방전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BMS를 제어하는 방안에 비해, 이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차량의 충방전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충방전 완료 정보는 스케줄링 모듈 정보를 포함하고,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로 특성화되는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를 통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도록 BMS를 제어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번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이 전력망과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상이한 스케줄링 과정에 따라 상이한 제어 전략을 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타깃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타깃 식별자는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 이외의 다른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에 의해 충방전 완료 정보에 추가된 것이고, 타깃 식별자는 완전충전 식별자 또는 완전방전 식별자인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타깃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도록 BMS를 제어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번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이 전력망과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상이한 스케줄링 과정에 따라 상이한 제어 전략을 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에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를 통해, VCU가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하지 않는 방식을 통해, VCU 측의 통신 전략만 변경하면 전력망과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BMS에 응용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하고, 방법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의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스케줄링 과정에서,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차량제어장치(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하여, VCU가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BMS는 차량의 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전기 에너지를 양방향으로 스케줄링하는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는 BMS가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여, 차량이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유연한 스케줄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수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로 즉시 BMS를 제어하여 충방전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방안에 비해, 이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차량의 충방전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차량의 차량제어장치(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방법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으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종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VCU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종료 정보에 응답하여,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를 통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제어 하에 전력망과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스케줄링 모드를 종료할 수 있어 양방향 스케줄링의 합리성을 향상시킨다.
선택 가능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충방전 종료 정보는 실시간으로 획득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에서 BMS로 송신된 것이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 및/또는 배터리의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하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타깃 스케줄링 조건은, 실시간으로 획득한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에 도달하는 것을 포함하고;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타깃 스케줄링 조건은, 실시간으로 획득한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에 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를 통해, 본 실시예를 통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은 실시간으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VCU에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도록 제시하는 충방전 종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실시간으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상태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상태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응답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를 통해, VCU가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하지 않는 방식을 통해, VCU 측의 통신 전략만 변경함으로써 전력망과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VCU를 제공하고, VCU는,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의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스케줄링 과정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으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되, 충방전 완료 정보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를 포함하고, 충방전 완료 정보는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BMS로부터 송신된 것인 정보 수신 모듈;
스케줄링 모드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되, 타깃 스케줄링 모드는 전력망과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인 모드 결정 모듈; 및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CU는,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BMS는 차량의 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전기 에너지를 양방향으로 스케줄링하는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는 BMS가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여, 차량이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유연한 스케줄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즉시 충방전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BMS를 제어하는 방안에 비해, 이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차량의 충방전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BMS를 제공하고, BMS는,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의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 획득 모듈; 및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차량제어장치(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하여, VCU가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는 정보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MS는,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BMS는 차량의 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전기 에너지를 양방향으로 스케줄링하는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는 BMS가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여, 차량이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유연한 스케줄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즉시 충방전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BMS를 제어하는 방안에 비해, 이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차량의 충방전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5 양태에 따르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기기를 제공하고, 기기는,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임의의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제공하는 VCU, 및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임의의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제공하는 BM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시스템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BMS는 차량의 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전기 에너지를 양방향으로 스케줄링하는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는 BMS가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여, 차량이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유연한 스케줄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즉시 충방전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BMS를 제어하는 방안에 비해, 이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차량의 충방전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6 양태에 따르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기기를 제공하고, 기기는,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 및 실행하여,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하거나,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기기는,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BMS는 차량의 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전기 에너지를 양방향으로 스케줄링하는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는 BMS가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여, 차량이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유연한 스케줄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즉시 충방전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BMS를 제어하는 방안에 비해, 이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차량의 충방전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7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컴퓨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저장되고,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하거나,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저장 매체는,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BMS는 차량의 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전기 에너지를 양방향으로 스케줄링하는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는 BMS가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여, 차량이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유연한 스케줄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즉시 충방전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BMS를 제어하는 방안에 비해, 이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차량의 충방전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도면들을 간략히 소개하되,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은 명백하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라면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 없이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예시적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장면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또 다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예시적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VCU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BMS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력망 스케줄링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기기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와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의 자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어서는 안되며, 즉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의해야 할 점은,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과 같은 관계 용어는 단지 하나의 엔티티 또는 동작을 다른 엔티티 또는 동작으로부터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반드시 이러한 엔티티 또는 동작 사이에 임의의 이러한 실제적 관계 또는 순서가 존재함을 요구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용어 "포함”, "함유”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가 해당 요소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의 고유 요소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추가적인 제한이 없는 한, "????를 포함한다”는 문장으로 정의된 요소는 그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존재한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V2G(Vehicle-to-grid) 기술은 차량의 배터리와 전력망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가 양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전력망은 V2G 기술을 지원하는 충방전 장치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차량은 V2G 기술을 지원하는 충방전 장치를 통해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전력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화물차, 자동차, 버스와 같이 파워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일 수 있다.
관련 기술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전략에서,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은 차량의 배터리가 완전충전 또는 완전방전된 것으로 결정되면, 차량의 차량제어장치(Vehicle Control Unit, 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 후, VCU는 BMS에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충방전 종료 명령에 응답하여, BMS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여기서, BMS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종료한 후, 수동 개입이 없으면 차량의 배터리는 계속하여 충방전을 진행할 수 없으며, 상응하게,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은 전력망과 차량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계속 진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실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장면에서, 전력망과 차량 배터리 사이에서 유연한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이 필요한 경우, 먼저 차량의 배터리를 완전충전한 후 다시 방전시키는 상황이 존재하거나, 또는 먼저 차량의 배터리를 완전방전시킨 후 다시 충전하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이 완전충전되거나 완전방전되면 VCU는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BMS를 제어하여, 차량이 후속되는 과정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계속하여 받을 수 없게 된다.
예시적인 장면에서, 어느 지역에서 매일 00:00 내지 06:00가 전력 사용이 적은 시간대이고, 매일 18:00 내지 24:00가 전력 사용 피크 시간대이며, 차주는 첫날 14:00에 배터리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가 40%인 차량을 충전소에 두고, 다음날 아침 8:00에 차량을 픽업하기로 선택하며, 타깃 SOC를 100%로 설정하고, 상기 타깃 스케줄링 모드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상기 장면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은 첫날의 전력 사용 피크 시간대, 즉 첫날의 18:00 내지 24:00에 차량의 40% SOC 배터리의 모든 잔여 전기량을 전력망으로 전송하여 전력망의 주파수 및 피크를 조절하기를 희망한다. 그리고 다음날의 전력 사용이 적은 시간대, 즉 다음날의 00:00 내지 06:00에 전력망을 이용해 차량의 배터리를 100%로 충전하여 차주의 충전 수요를 만족시킨다.
그러나 상기 관련 기술을 사용하면, 차량은 첫날의 18:00 내지 24:00에 차량의 40% SOC 배터리의 모든 잔여 전기량을 전력망으로 전송하게 되고, BMS는 배터리가 완전방전된 것으로 결정하여 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하며, BMS는 VCU의 제어에 의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종료하여, 차량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스케줄링을 계속하여 받을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다음날 00:00 내지 06:00에 차량의 배터리는 100% SOC로 충전되어야 하지만, 차량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종료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가 없다. 차주가 약속한 다음날 아침 8:00에 차량을 픽업할 때 차량의 배터리 SOC는 0%, 즉 차량의 배터리 전기량은 완전히 소진된 상태이므로, 상기 관련 기술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안은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의 양방향 스케줄링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충방전 장치를 이용하여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를 스케줄링하는 장면에 응용될 수 있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 장치, 시스템, 기기 및 매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VCU는 BMS의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 후, 현재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가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인 것으로 결정되면, 방전 모드를 종료하도록 BMS를 제어하지 않음으로써, 차량의 배터리가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스케줄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즉시 충방전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BMS를 제어하는 방안에 비해, 이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차량의 충방전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안을 소개하기 쉽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음 부분에서는 먼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장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예시적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장면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장면은 충방전 장치(10), 차량(20),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 및 전력망(40)과 연관된다. 여기서, 차량(20)은 배터리(P1), BMS(21) 및 VCU(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에서 빈 화살표는 통신 인터랙션을 나타내고, 실선 화살표는 에너지 인터랙션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충방전 장치(10)는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과 통신 인터랙션을 진행할 수 있다. 충방전 장치(10)는 BMS(21)와 통신 인터랙션을 진행할 수 있고, BMS(21)는 VCU(22)와 통신 인터랙션을 진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각 소자 사이의 통신 인터랙션은 계측 제어기 통신망(Controller Area Network, CAN)을 이용한 통신 등 방식을 기반으로 유선 통신 인터랙션을 진행하거나, 또는 블루투스, WiFi 등 방식으로 무선 통신 인터랙션을 진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장면에서, 충방전 장치(10)는 충전소 내에 설치된 충전 파일(Charging pile)일 수 있다. 상응하게, 차량은 충전소에 도착한 후 충전소 내의 충전 파일을 기반으로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소는 고정된 장소일 수도 있고, 이동 충전 차량과 같이 차량을 위해 충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소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다른 구체적인 장면에서, 충방전 장치(10)는 차량용 충전 장치와 같은 휴대용 충방전 기기일 수 있으며, 상응하게, 상용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등 장소에서 배터리(P1)와 전력망(40) 사이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차고, 주차장 등 전기 소켓을 제공할 수 있는 장소에서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장면을 초보적으로 이해한 후,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 첨부된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 장치, 기기 및 매체를 자세히 소개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200)은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VCU(22)일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이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스케줄링 과정에서, BMS(21)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220에서,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S230에서, 상기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21)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10)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한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200)의 구체적인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을 초보적으로 소개한 후, 아래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에서 언급된 기술적 용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충방전 장치(10)는 V2G 기능을 지원하는 충방전 장치(1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방전 장치는 충전소 내부 또는 주차장과 같이 전력망과 연결될 수 있는 기타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방전 장치(10)는 충전 파일, 교류-교류 전압 변환 모듈, 교류-직류 전압 변환 모듈, 차량용 충전기와 같이 V2G 기능을 지원하고 배터리(P1)를 충전 및 방전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구체적인 유형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방전 장치(10)의 충전건과 차량(20)의 충전 플러그가 연결된 상태에서,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전력망(40)과 차량(20)의 배터리(P1) 사이의 전기 에너지 인터랙션을 구현할 수 있다.
배터리(P1)에 대해 설명한다. 배터리(P1)는 차량(20) 내에 설치되는 배터리이다. 배터리(P1)는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전력망(40)과 전기 에너지 인터랙션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P1)는 리튬 이온 배터리, 리튬 금속 배터리, 납축 배터리, 니켈 카드뮴 배터리, 니켈 수소 배터리, 리튬 황 배터리, 리튬 공기 배터리 또는 나트륨 이온 배터리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여기서 제한하지 않는다. 규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P1)는 배터리 셀일 수 있고,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여기서 제한하지 않는다. 응용 장면에 있어서, 배터리(P1)는 차량(20) 내에 응용되어 차량(20)의 동력원으로서 차량(20)의 모터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개수에 있어서, 배터리(P1)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여기서 제한하지 않는다.
BMS(21)는 배터리(P1)를 관리할 수 있다. BMS(21)는 차량(20) 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BMS(21)는 배터리(P1)의 충방전 과정에서 배터리(P1)의 전압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충방전 장치(10) 및 VCU(22)와 각각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BMS(21)는 배터리(P1)의 충방전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BMS(21)는 배터리(P1)의 송전선로 상에 설치된 계전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시에서, BMS(21)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에 진입한 후, 배터리(P1)의 송전선로 상의 계전기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고, BMS(21)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종료한 후, 배터리(P1)의 송전선로 상의 계전기가 분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P1)의 송전선로 상의 계전기는 메인 포지티브 계전기 및/또는 메인 네거티브 계전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VCU(22)는 차량(20) 내에 설치되고,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충방전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BMS(21)를 제어할 수 있다.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기기 또는 기능 모듈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은 충방전 장치(10) 내에 통합되거나, 또는 충방전 장치(10) 외부의 서버와 같이 제어 및 통신 기능을 갖는 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또한 전기 에너지의 전송 과정에 대해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의 기능은 실제 장면 및 구체적인 수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의 가능한 스케줄링 모드는 타깃 스케줄링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깃 스케줄링 모드는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에서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스케줄링 모드이다. 구체적으로, 차량(20)이 충방전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전력망 부하 및/또는 배터리(P1)의 전기량 상황에 따라 배터리(P1)를 유연하게 제어하여 전력망(40)으로 방전하거나, 전력망(40)을 제어하여 배터리(P1)를 충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깃 스케줄링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단계 및 하나의 방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단계는 전력망(40)으로부터 배터리(P1)로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는 단계이고, 방전 단계는 배터리(P1)로부터 전력망(40)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타깃 스케줄링 모드를 통해, 전력망(40)이 고부하 상태일 때, 예를 들어 전력 사용 피크 시간대일 때 배터리(P1)의 전기 에너지를 전력망(40)에 보충하여 전력망(40)의 주파수 및 피크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망(40)이 저부하 상태일 때, 예를 들어 전력 사용이 적은 시간대일 때, 전력망(40)의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P1)에 보충하여, 배터리(P1)에 대한 사용자의 전기량 수요를 보장함으로써 전기 에너지에 대한 합리적이고 유연한 스케줄링을 구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능한 스케줄링 모드는 제1 스케줄링 모드 및/또는 제2 스케줄링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케줄링 모드는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전력망(40)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P1)를 충전하는 일방향 스케줄링 모드를 말한다. 제2 스케줄링 모드는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배터리(P1)의 전기 에너지를 전력망(40)으로 전송하는 일방향 스케줄링 모드를 말한다. 예시적으로, 차량(20)은 충전소 또는 충전 영역에 도착한 후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배터리(P1)의 일부 또는 전부의 전기 에너지를 전력망(40)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전력망(40)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얻어 배터리(P1)를 충전할 수 있다.
충방전 완료 정보는 BMS(21)가 배터리(P1)의 충전 또는 방전 완료를 결정한 것을 특성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충방전 완료 정보는 배터리(P1)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BMS(21)에서 VCU로 송신된 것이다.
여기서, 배터리(P1)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는 배터리의 전기량을 반영할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다시 말해서,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는 배터리(P1)의 전기량의 변화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는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 배터리 전기량, 전압 값 등일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은 기설정된 충전 마감 조건 및/또는 기설정된 방전 마감 조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제1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조건에서,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배터리(P1)의 전압 값인 경우, 제1 파라미터 임계값은 충전 마감 전압일 수 있다. 여기서, 충전 마감 전압은 완전충전 전압 또는 제1 타깃 전압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완전충전 전압은 배터리(P1)가 완전충전되었을 때의 전압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P1)가 100% SOC일 때의 전압 값이다. 제1 타깃 전압 값은 실제 장면 및 구체적인 수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제2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배터리(P1)의 전압 값인 경우, 제2 파라미터 임계값은 기설정된 방전 마감 전압일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충전 마감 전압은 기설정된 완전충전 전압 또는 제2 타깃 전압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완전방전 전압은 배터리(P1)의 전기량이 완전히 방전되었을 때의 전압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P1)가 0% SOC일 때의 전압 값이다. 제2 타깃 전압 값은 실제 장면 및 구체적인 수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현재 스케줄링 과정이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스케줄링 과정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충방전 완료 정보는 현재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모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충방전 완료 정보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 및/또는 타깃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0에 있어서, 일부 실시예에서, BMS(21)는 충방전 장치(10)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현재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현재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 정보를 휴대한 충방전 완료 정보를 VCU(22)에 송신한다. 유의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재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이 수행될 때의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를 말한다.
단계 S230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점은,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기 전, VCU(11)는 BMS(21)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의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며,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에서 현재 전력망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 VCU(22)는 BMS(21)의 스케줄링 상태를 변경하지 않으며, 다시 말해서, VCU(22)는 BMS(21)가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의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가 아닌 경우, 예를 들어,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상기 제1 스케줄링 모드 또는 제2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22)는 BMS(21)에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하여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도록 BMS(21)를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충방전 종료 명령은 충전 종료 명령 및 방전 종료 명령을 포함할 수 있고, 스케줄링 모드가 상기 제1 스케줄링 모드이면 VCU(22)는 BMS(21)에 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가 상기 제2 스케줄링 모드이면 VCU(22)는 BMS(21)에 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에 도시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200)을 통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BMS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모드가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전기 에너지를 양방향으로 스케줄링하는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는 BMS가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여, 차량이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유연한 스케줄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수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로 즉시 BMS를 제어하여 충방전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방안에 비해, 이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차량의 충방전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밖에,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 상에서 VCU 측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전략을 수정함으로써, 하드웨어를 변경하지 않고도 상기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에 도시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200)을 구현할 수 있어,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이 간단하고 쉽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단계 S230은 구체적으로,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21)에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 후, 이번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이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인 것으로 결정되면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BMS(21)가 여전히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에 있도록 한다.
VCU(22)가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하지 않는 방식으로, VCU(22) 측의 통신 전략만 변경하면 전력망(40)과 P1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충방전 완료 정보는 스케줄링 모듈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300)은 단계 S310 내지 단계 S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VCU(22)일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이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스케줄링 과정에서, BMS(21)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단계 S310은 단계 S210과 유사하므로, 단계 S310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술한 부분에서 단계 S210에 관련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S320에서, 스케줄링 모드 정보로 특성화되는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케줄링 모드 정보는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케줄링 모드 정보는 상술한 부분에서 나타난 제1 스케줄링 모드, 제2 스케줄링 모드 또는 타깃 스케줄링 모드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시에서, 충방전 완료 정보 중 한 비트 구간의 내용으로 스케줄링 모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응하게, 상이한 스케줄링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비트 구간의 내용은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상기 비트 구간의 내용이 01이면 타깃 스케줄링 모드를 표시하고; 상기 비트 구간의 내용이 10이면 제1 스케줄링 모드를 표시하며, 상기 비트 구간의 내용이 11이면 제2 스케줄링 모드를 표시한다.
단계 S320에 있어서, 스케줄링 모드 정보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의 스케줄링 모드 정보인지 판단하는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의 스케줄링 모드 정보이면, 현재 진행 중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를 타깃 스케줄링 모드로 결정하며, 즉 현재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이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단계 S330에서, 상기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21)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10)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한다. 여기서, 단계 S330은 단계 S230과 유사하므로, 단계 S330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술한 부분에서 단계 S230에 관련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S310 내지 단계 S330에 도시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300)을 통해, VCU(22)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를 통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도록 BMS(21)를 제어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번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이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상이한 스케줄링 과정에 따라 상이한 제어 전략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400)은 단계 S410 내지 단계 S4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VCU(22)일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이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스케줄링 과정에서, BMS(21)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단계 S410은 단계 S210과 유사하므로, 단계 S410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술한 부분에서 단계 S210에 관련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S420에서, 충방전 완료 정보에 타깃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타깃 식별자는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 이외의 다른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에 의해 충방전 완료 정보에 추가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스케줄링 모드는 상기 제1 스케줄링 모드 및 제2 스케줄링 모드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현재 스케줄링 모드가 제1 스케줄링 모드 또는 제2 스케줄링 모드인 것으로 결정되면, BMS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타깃 식별자를 추가하며, 즉 생성된 충방전 완료 정보는 타깃 식별자를 휴대하게 된다. 현재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것으로 결정되면, BMS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타깃 식별자를 추가하지 않으며, 즉 생성된 충방전 완료 정보는 타깃 식별자를 휴대하지 않게 된다.
타깃 식별자는 완전충전 식별자 또는 완전방전 식별자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P1)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충방전 완료 정보는 완전충전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P1)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충방전 완료 정보는 완전방전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2개의 비트 구간을 각각 완전충전 식별 위치 및 완전방전 식별 위치로 사용할 수 있고, 상응하게, 완전충전 식별 위치의 할당값이 특정 기설정 값 C1인 경우, 완전충전 식별 위치의 C1이 바로 완전충전 식별자가 된다. 예를 들어, 완전충전 식별 위치의 할당값이 1이면, 충방전 완료 정보는 완전충전 식별자를 포함하고, 완전충전 식별 위치의 할당값이 0이면 충방전 완료 정보는 완전충전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완전방전 식별 위치의 할당값이 특정 기설정 값 C2인 경우, 완전방전 식별 위치의 C2가 바로 완전방전 식별자가 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하나의 비트 구간을 배터리 완전충전 또는 완전방전을 나타내는 식별 위치로 사용할 수 있고, 상응하게, 상기 식별 위치의 할당값이 특정 기설정 값 D1인 경우, 상기 식별 위치의 D1은 완전충전 식별자가 된다. 상기 식별 위치의 할당값이 특정 기설정 값 D2인 경우, 상기 식별 위치의 D2는 완전방전 식별자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위치의 할당값이 01이면 충방전 완료 정보는 완전충전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위치의 할당값이 11이면 충방전 완료 정보는 완전방전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420에 있어서, 충방전 완료 정보가 완전충전 식별자 또는 완전방전 식별자를 포함하면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충방전 완료 정보가 완전충전 식별자 및 완전방전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으면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것을 표시한다.
단계 S430에서, 상기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21)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10)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한다. 여기서, 단계 S430은 단계 S230과 유사하므로, 단계 S430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술한 부분에서 단계 S230에 관련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S410 내지 단계 S430에 도시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400)을 통해, VCU(22)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타깃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도록 BMS(21)를 제어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번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이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상이한 스케줄링 과정에 따라 상이한 제어 전략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발명 구상을 기반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500)은 단계 S510 및 단계 S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BMS(21)일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이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P1)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단계 S520에서,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차량제어장치(VCU)(22)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하여, VCU가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21)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한다.
유의해야 할 점은, 단계 S510 및 단계 S520에서 언급된 기술적 용어 및 단계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상술한 부분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200-400)에 관련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S540에 있어서, 일부 실시예에서, BMS(21)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를 휴대한 충방전 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충방전 완료 정보를 VCU(22)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계 S221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BMS(21)는 충방전 장치(10)와의 인터랙션 메시지에 따라 현재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현재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타깃 식별자를 휴대하지 않는 충방전 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충방전 완료 정보를 VCU(22)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계 S222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S510 및 단계 S520에 도시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500)을 통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BMS는 차량의 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전기 에너지를 양방향으로 스케줄링하는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는 BMS가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여, 차량이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유연한 스케줄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수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로 즉시 BMS를 제어하여 충방전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방안에 비해, 이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차량의 충방전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500)의 기타 세부사항은 상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설명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200-400)과 유사하고, 그에 상응하는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또 다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600)은 단계 S610 내지 단계 S640을 더 포함한다.
단계 S610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이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P1)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단계 S610은 단계 S510과 유사하므로, 단계 S610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술한 부분에서 단계 S510에 관련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620에서,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차량제어장치(VCU)(22)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하여, VCU가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21)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한다. 여기서, 단계 S620은 단계 S520과 유사하므로, 단계 S620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술한 부분에서 단계 S520에 관련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S630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으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종료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640에서, VCU(22)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종료 정보에 응답하여,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한다.
충방전 종료 정보는 BMS(21)에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도록 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충방전 종료 정보는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에 의해 현재 스케줄링 과정을 종료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 송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충방전 종료 정보를 충방전 장치(10)에 송신할 수 있고, 충방전 장치(10)는 수신된 충방전 종료 정보를 BMS(21)에 송신할 수 있다.
충방전 정보의 구체적인 전송 경로에 있어서, 일부 실시예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충방전 장치(10)를 통해 충방전 종료 정보를 BMS(21)에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충방전 완료 정보를 충방전 장치(10)에 송신하고, 충방전 장치(10)는 충방전 완료 정보를 BMS(21)로 전달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충방전 종료 정보를 T박스(Telematics BOX, TBOX) 또는 RDB(차량인터넷 기기의 일종)와 같은 차량인터넷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다른 방식으로 충방전 종료 정보를 BMS(2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충방전 종료 정보의 구체적인 전송 경로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단계 S640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점은, BMS(21)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한 후, 차량(20)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610 내지 단계 S650에 도시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600)을 통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의 제어 하에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양방향 스케줄링 모드를 종료할 수 있어 양방향 스케줄링의 합리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충방전 종료 정보는 실시간으로 획득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에서 BMS로 송신된 것이다.
여기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 및/또는 배터리(P1)의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타깃 스케줄링 조건은, 실시간으로 획득한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에 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타깃 스케줄링 조건은, 실시간으로 획득한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에 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 및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의 획득 방법에 있어서, 일부 실시예에서, 이들은 사용자가 충전 파일, 차량용 단말기와 같은 정보 입력 기능을 가진 기기를 통해 입력한 것일 수 있다. 상응하게, 정보 입력 기능을 가진 기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 및/또는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 및/또는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에 송신한다. 또는, 사용자는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 관련 프로그램, 관련 작업 웹페이지에서 직접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 및/또는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 관련 프로그램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컴퓨터, 충전 파일과 같은 기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정보 입력 기능을 가진 기기에서 선택할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선택 가능한 여러 스케줄링 모드 중에서 타깃 스케줄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 및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는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SOC이면 디폴트는 100%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디폴트로 다른 수치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는 구체적인 시점 값, 또는 지속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가 시점 값이면, 이는 사용자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기를 원하는 시점 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는 19:30:30초에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가 배터리(P1)의 충방전을 종료하고자 하는 시점 값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가 지속시간이면,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스케줄링 지속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4h 등이다.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는 타깃 SOC, 타깃 전압 값, 또는 타깃 전기량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깃 SOC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할 때 배터리 SOC가 도달해야 하는 타깃 값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타깃 SOC는 사용자가 입력한 값 또는 디폴트 값일 수 있도 있고, 또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시작할 때의 배터리 SOC와 사용자가 입력한 타깃 SOC 변화량의 합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배터리(P1)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시작하기 전의 SOC가 20%이고, 사용자는 50% SOC의 전기량을 충전하고자 할 때(즉 사용자가 입력한 타깃 SOC 변화량이 50%일 때), 타깃 SOC는 70%일 수 있다. 또 예시적으로, 배터리(P1)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시작하기 전의 SOC가 100%이고, 사용자가 50% SOC의 전기량을 매도하고자 할 때(즉 사용자가 입력한 타깃 SOC 변화량이 -50%일 때), 타깃 SOC는 5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는 구체적인 시점 값 또는 스케줄링 과정의 지속시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를 획득하거나 비정기적으로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배터리(P1)의 제2 배터리 성능 파라미터는 배터리의 전기량을 반영할 수 있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는 배터리(P1)의 전기량의 변화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는 SOC, 배터리 전기량, 전압 값 등일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 및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는 동일한 유형의 파라미터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두 SOC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유형의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는 배터리 전압이고,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는 SOC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차량이 충전소에 도착한 후, 사용자는 타깃 시간 및 타깃 SOC를 입력하고,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타깃 시점 전에 전력망 상황, 배터리 전기량 등 파라미터에 따라 전력망과 차량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를 유연하게 스케줄링하고, 타깃 시점 전에 차량 배터리의 전기량이 타깃 SOC에 도달하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타깃 시간이 20:30이고, 타깃 SOC가 80%이면, 20:30이 다가올 때 충전 또는 방전을 통해 차량 배터리의 SOC가 80%와 같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실시간으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VCU(22)에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도록 제시하는 충방전 종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실시간으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상태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상태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22)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응답하지 않는다.
VCU(22)가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하지 않는 방식으로, VCU(22) 측의 통신 전략만 변경하면 전력망(40)과 배터리(P1)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200-600)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안을 초보적으로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안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예시적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700)은 충방전 장치(10), 차량(20)의 BMS(21), 차량(20)의 VCU(22) 및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과 연관된다.
구체적으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안은 단계 S701 내지 단계 S714를 포함한다.
단계 S701에서, 충방전 장치(10)는 사용자가 입력한 타깃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단계 S702에서, 충방전 장치(10)는 타깃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에 송신한다.
단계 S703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타깃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 충방전 장치(10)에 전력망 스케줄링 명령을 송신한다.
단계 S704에서, 충방전 장치(10)는 전력망 스케줄링 명령에 응답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명령에서 지시한 현재 충방전 단계에 진입한다.
단계 S705에서, 충방전 장치(10)는 현재 충방전 단계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수요를 BMS(21)에 송신한다.
단계 S706에서, BMS(21)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수요에 따라 배터리(P1)를 충방전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707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에서, BMS(21)는 실시간으로 획득한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계속해서 실시간으로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도달하였으면 계속하여 단계 S708을 수행한다.
단계 S708에서, BMS(21)는 실시간으로 획득한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VCU(22)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709에서, VCU(22)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을 경우 단계 S710을 계속 수행하고, 판단 결과 그럴 경우 단계 S711을 계속 수행한다.
단계 S710에서,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가 아닌 경우, VCU(22)는 BMS(21)에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한다.
단계 S711에서,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22)는 BMS(21)가 계속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한다.
단계 S712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실시간으로 획득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타깃 스케줄링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계속하여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계속하여 획득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타깃 스케줄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계속하여 단계 S713을 수행한다.
단계 S713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의 경우,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BMS(21)에 충방전 종료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714에서, BMS(21)는 충방전 종료 정보에 응답하여,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한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700)의 구체적인 단계 S701 내지 단계 S714를 초보적으로 소개한 후, 아래 이어서 S701 내지 단계 S714에서 언급된 기술적 용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타깃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사용자가 입력한 타깃 스케줄링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깃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사용자가 입력한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 및/또는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깃 스케줄링 모드,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 및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의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술한 부분의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전력망 스케줄링 명령에 있어서, 타깃 스케줄링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방전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전력망 스케줄링 명령은 타깃 스케줄링 모드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프로세스에서 충방전 장치(10) 및 BMS(21)가 상응한 충방전 단계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전력망 스케줄링 명령은, 충방전 장치(10) 및 BMS(21)가 충전 단계에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제1 전력망 스케줄링 명령, 및/또는, 충방전 장치(10) 및 BMS(21)가 방전 단계에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제2 전력망 스케줄링 명령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전력망 부하 및/또는 배터리(P1)의 전기량에 따라 상기 제1 전력망 스케줄링 명령 또는 제2 전력망 스케줄링 명령을 충방전 장치(10)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력망 스케줄링 명령은 현재 충방전 단계의 충방전 방향 및 현재 충방전 단계의 전기 에너지 전송에 필요한 전력 수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방전 방향이 곧 전기 에너지 전송 방향이며, 산출된 충방전 방향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망으로 향하는 전기 에너지 전송 방향, 즉 차량의 배터리에 대해 방전을 진행할 때, 현재 충방전 단계는 방전 단계이다. 마찬가지로, 충방전 방향이 전력망으로부터 차량으로 향하는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 전송 방향, 즉 차량의 배터리에 대해 충전을 진행할 때, 현재 충방전 단계는 충전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은 전력망 부하 및/또는 배터리 전기량 등에 따라 충방전 방향 및 전력 수요를 계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력망 스케줄링 명령은 현재 충방전 단계의 충방전 깊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단계에 있어서, 충전 깊이는 배터리가 이번 충전 단계에서 충전할 전기량과 배터리 정격 전기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방전 단계에 있어서, 방전 깊이는 배터리가 이번 방전 단계에서 방전할 전기량과 배터리 정격 전기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전력망 스케줄링 수요는 현재 충방전 단계의 충방전 방향 및 현재 충방전 단계의 전기 에너지 전송에 필요한 전력 수요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력망 스케줄링 수요는 현재 충방전 단계의 충방전 깊이와 같이 이번 충방전 단계의 배터리의 충방전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BMS(21)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01 및 단계 S702의 경우,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관련 APP, 관련 웹사이트에서 타깃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단계 S703의 경우, 구체적인 예시로서, 전력망이 고부하 상태일 때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에 의해 배터리로부터 전력망으로 송전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이때 충방전 장치(10)에 방전 단계에 진입할 것을 지시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전력망이 저부하 상태인 경우,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30)에 의해 전력망으로부터 배터리로 송전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이때 충방전 장치(10)에 충전 단계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706의 경우, 일부 실시예에서, BMS(21)는 배터리(P1)의 충방전 과정에서의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타깃 스케줄링 모드의 정지 조건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되면,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BMS(21)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수요에 따라 충방전 모드 및 충방전 수요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충방전 모드 및 충방전 파라미터를 충방전 장치(10)에 송신하여, 충방전 장치(10)가 충방전 모드 및 충방전 파라미터에 따라 충방전 과정에서 충방전 전압 및/또는 충방전 전류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충방전 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충방전 수요 파라미터는 전압 수요값, 전류 수요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방전 모드는 정전류 충전 모드, 정전류 방전 모드, 정전압 충전 모드 또는 정전압 방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게, 충방전 모드가 정전류 충전 모드인 경우, 충방전 장치(10)는 전류 수요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출력 전류를 제어한다. 그리고, 충방전 모드가 정전류 방전 모드인 경우, 전류 수요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입력 전류를 제어한다. 그리고, 충방전 모드가 정전압 충전 모드인 경우, 전압 수요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 그리고, 충방전 모드가 정전압 방전 모드인 경우, 전압 수요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입력 전압을 제어한다.
일 예시에서, BMS(21)는 배터리 충전 수요 메시지(예를 들어, BCL 메시지)를 통해 전압 수요값, 전류 수요값 및 충방전 모드를 전송할 수 있다.
동일한 발명 구상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임의의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와 결부하여 설명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200-400) 외에도, 그에 대응되는 VCU를 더 제공한다.
아래 첨부된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CU를 자세히 소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VCU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VCU(80)는 아래와 같은 모듈을 포함한다.
제1 정보 수신 모듈(810)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의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스케줄링 과정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으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충방전 완료 정보는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BMS로부터 송신된 것이다.
모드 결정 모듈(820)은,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타깃 스케줄링 모드는 전력망과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이다.
제어 모듈(830)은,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한다.
도 8에 도시된 VCU(80)를 통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BMS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모드가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전기 에너지를 양방향으로 스케줄링하는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는 BMS가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여, 차량이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유연한 스케줄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수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로 즉시 BMS를 제어하여 충방전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방안에 비해, 이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차량의 충방전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밖에,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 상에서 VCU 측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전략을 수정함으로써, 하드웨어를 변경하지 않고도 상기 VCU(80)를 구현할 수 있어,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이 간단하고 쉽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모드 결정 모듈(820)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제2 정보 수신 모듈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으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종료 정보를 수신한다.
명령 송신 모듈은, 충방전 종료 정보에 응답하여, BMS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도록 BMS에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VCU(80)를 통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제어 하에 전력망과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스케줄링 모드를 종료할 수 있어 양방향 스케줄링의 합리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충방전 종료 정보는 실시간으로 획득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으로부터 송신된 것이다.
여기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 및/또는 배터리의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타깃 스케줄링 조건은, 실시간으로 획득한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에 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타깃 스케줄링 조건은, 실시간으로 획득한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에 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은 실시간으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VCU(80)에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도록 제시하는 충방전 종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실시간으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상태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상태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제어 모듈(830)은 구체적으로,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에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하지 않는데 사용된다.
VCU(80)가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하지 않는 방식으로, VCU(80) 측의 통신 전략만 변경하면 전력망과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CU(80)의 기타 세부사항은 상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설명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200)과 유사하고, 그에 상응하는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동일한 발명 구상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임의의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와 결부하여 설명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500-600) 외에도, 그에 대응되는 BMS를 더 제공한다.
아래 첨부된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MS를 자세히 소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BMS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BMS(90)는,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의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 획득 모듈(910); 및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차량제어장치(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하여, VCU가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BMS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는 정보 송신 모듈(920)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BMS(90)를 통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BMS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모드가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전기 에너지를 양방향으로 스케줄링하는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는 BMS가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여, 차량이 계속하여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유연한 스케줄링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수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로 즉시 BMS를 제어하여 충방전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방안에 비해, 이는 전력망과 차량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차량의 충방전 과정을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BMS는 정보 수신 모듈, 정보 송신 모듈 및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정보 수신 모듈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으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종료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보 송신 모듈은 VCU가 충방전 종료 정보에 응답하여 BMS(90)로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하도록 충방전 종료 정보를 VCU에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어 모듈은 VCU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종료 명령에 응답하여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제어 하에 전력망과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스케줄링 모드를 종료할 수 있어 양방향 스케줄링의 합리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충방전 종료 정보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획득한 시간 파라미터가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에 도달하거나, 및/또는, 배터리의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에 도달하는 경우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에서 BMS를 통해 VCU로 송신한 것이다.
본 실시예를 통해,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은 실시간으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VCU에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도록 제시하는 충방전 종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실시간으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상태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은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상태에 따라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과정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VCU는 충방전 완료 정보에 응답하지 않는다.
VCU가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하지 않는 방식을 통해, VCU 측의 통신 전략만 변경하면 전력망과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프로세스를 합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MS(90)의 기타 세부사항은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설명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500-600)과 유사하고, 그에 상응하는 기술적 효과에 달성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동일한 발명 구상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BMS(90) 및 VCU(80)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그에 대응되는 전력망 스케줄링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아래 첨부된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망 스케줄링 시스템을 자세히 소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력망 스케줄링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망 스케줄링 시스템(100)은,
BMS(120) 및 VCU(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VCU(110)의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술한 부분에서 VCU(80)에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BMS(120)의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술한 부분에서 BMS(90)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전력망 스케줄링 시스템(100)은 충방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력망 스케줄링 시스템(100)은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망 스케줄링 시스템(100)의 각 구성 모듈 또는 장치의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술한 부분의 관련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망 스케줄링 시스템의 기타 세부사항은 상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설명된 BMS(90) 및 VCU(80)와 유사하고, 그에 상응하는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기기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기기에는 프로세서(1101),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1102)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 ASIC)를 포함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02)는 데이터 또는 명령을 위한 큰 전기량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02)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또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드라이브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메모리(1102)는 이동식 또는 비이동식(또는 고정된)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메모리(1102)는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1102)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기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메모리(1102)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ROM은 마스크 프로그래밍된 ROM, 프로그램 가능 ROM(PROM), 소거 가능 PROM(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PROM(EEPROM), 전기적 재기록 가능 ROM(EAROM)또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1102)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기기, 광 저장 매체 기기, 플래시 메모리 기기, 전기, 광학 또는 기타 물리적/유형의 메모리 저장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인코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웨어가 실행될 경우(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방법을 참조하여 설명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1)는 메모리(1102)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200-400)을 구현하고, 그 방법이 도 2 내지 도 4 중 임의의 도면에 도시된 구현예에 의해 수행되어 달성된 상응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거나, 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500-600)을 구현하고, 그 방법이 도 5 및 도 6 중 임의의 도면에 도시된 구현예에 의해 수행되어 달성된 상응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기기는 통신 인터페이스(1103) 및 버스(1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1), 메모리(1102) 및 통신 인터페이스(1103)는 버스(1110)를 통해 연결되고 서로 통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3)는 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모듈, 장치, 유닛 및/또는 기기 사이의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버스(111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를 모두 포함하고,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기기의 부재를 커플링한다. 예를 들어, 버스는 가속 그래픽 포트(Accelerated Graphics Port, AGP) 또는 기타 그래픽 버스, 향상된 산업 표준 아키텍처(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 버스, 전면 버스(Front Side Bus, FSB), 하이퍼 스케줄링 (Hyper Transport, HT) 상호 연결, 산업 표준 아키텍처(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ISA) 버스, 인피니밴드 상호 연결, LPC(Low Pin Count) 버스, 메모리 버스, 마이크로 채널 아키텍처(MCA) 버스, 주변 구성 요소 상호 연결(PCI) 버스, PCI-Express(PCI-X) 버스,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버스, VLB(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Local) 버스 또는 기타 적합한 버스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절한 경우, 버스(1110)는 하나 이상의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된 버스를 설명하고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임의의 적합한 버스 또는 상호 연결을 고려한다.
상기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기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여 도 2 내지 도 9와 결부하여 설명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실시예의 임의의 하나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한다.
유의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특정 구성 및 처리에 제한되지 않는다. 간결함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공지된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여러 구체적인 단계들을 예시로서 설명하고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 과정은 설명되고 도시된 구체적인 단계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이해한 후 다양한 변경, 수정 및 추가를 진행하거나 또는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구조 블록도에 도시된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예를 들어 전자 회로, 전용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적절한 펌웨어, 플러그인, 기능 카드 등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요소는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또는 세그먼트이다. 프로그램 또는 세그먼트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반송파로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스케줄링 매체 또는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정보를 저장 또는 스케줄링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의 예로는 전자 회로, 반도체 메모리 기기, ROM, 플래시 메모리, 소거 가능 ROM(EROM), 플로피 디스크, CD-ROM, 광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섬유 매체,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링크 등을 포함한다. 세그먼트는 인터넷, 인트라넷 등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유의해야 할 점은, 본 발명에서 언급된 예시적 실시예는 일련의 단계 또는 장치를 기반으로 일부 방법 또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단계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시 말해서, 단계는 실시예에서 언급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실시예에서와 다른 순서로, 또는 여러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위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와 결부하여 본 발명의 각 양태를 설명하였다. 이해해야 할 것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블록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이러한 명령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도록 하는 기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특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회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의 각 블록 및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의 블록의 조합은 지정된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용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전용 하드웨어와 컴퓨터 명령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설명의 편의성과 간결함을 위해, 상술한 시스템, 모듈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전술한 방법 방법 실시예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등가 수정 또는 대체를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Claims (13)

  1. 차량의 차량제어장치(VCU)에 응용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상기 차량의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스케줄링 과정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으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는 상기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BMS로부터 송신된 것인 단계;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타깃 스케줄링 모드는 상기 전력망과 상기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인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모드가 상기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상기 BMS가 상기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는 스케줄링 모듈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모드 정보로 특성화되는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에 타깃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타깃 식별자는 상기 스케줄링 모드가 상기 타깃 스케줄링 모드 이외의 다른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상기 BMS에 의해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에 추가된 것이고, 상기 타깃 식별자는 완전충전 식별자 또는 완전방전 식별자인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모드가 상기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상기 BMS가 상기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는 상기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모드가 상기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상기 BMS에 충방전 종료 명령을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 응용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상기 차량의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스케줄링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차량제어장치(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VCU가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가 상기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상기 BMS가 상기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량제어장치(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으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종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VCU로부터 송신된 상기 충방전 종료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종료 정보는 실시간으로 획득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에서 상기 BMS로 송신된 것이고,
    상기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는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 및/또는 상기 배터리의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깃 스케줄링 조건은,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가 타깃 스케줄링 시간 파라미터에 도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파라미터가 상기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깃 스케줄링 조건은,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제2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타깃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에 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모드가 상기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상기 VCU는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에 응답하지 않는 방법.
  9. 차량제어장치(VCU)로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상기 차량의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스케줄링 과정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으로부터 송신된 충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는 상기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BMS로부터 송신된 것인 제1 정보 수신 모듈;
    상기 스케줄링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과정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타깃 스케줄링 모드는 상기 전력망과 상기 배터리 사이의 양방향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모드인 모드 결정 모듈; 및
    상기 스케줄링 모드가 상기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상기 BMS가 상기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제어장치(VCU).
  10.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으로서,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이 충방전 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상기 차량의 배터리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의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파라미터 획득 모듈; 및
    상기 제1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충방전 마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차량제어장치(VCU)에 충방전 완료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VCU가 상기 충방전 완료 정보에 있는 스케줄링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의 스케줄링 모드가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가 상기 타깃 스케줄링 모드인 경우, 상기 BMS가 상기 전력망 스케줄링 플랫폼의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을 받도록 허용하는 정보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11.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시스템으로서,
    제9항에 따른 차량제어장치(VCU), 및
    제10항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포함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시스템.
  12.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 및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하거나,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기기.
  13.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하거나,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237018271A 2021-09-29 2021-09-29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 차량제어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시스템, 기기 및 매체 KR202300986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21920 WO2023050210A1 (zh) 2021-09-29 2021-09-29 电能调度方法、整车控制器、电池管理系统、系统、设备及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626A true KR20230098626A (ko) 2023-07-04

Family

ID=8578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271A KR20230098626A (ko) 2021-09-29 2021-09-29 전기 에너지 스케줄링 방법, 차량제어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시스템, 기기 및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02943A1 (ko)
EP (1) EP4243234A1 (ko)
JP (1) JP2023551333A (ko)
KR (1) KR20230098626A (ko)
CN (1) CN116419864A (ko)
WO (1) WO2023050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23168B (zh) * 2023-06-21 2024-04-26 上海旋荣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变电站联网的充电桩电能调度系统及其调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8259B (zh) * 2014-08-29 2016-03-3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基于v2g技术的车载充放电控制方法
CN108631344B (zh) * 2018-03-27 2021-03-23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计及输电网运行约束的电动汽车有序充放电控制方法
CN109398149B (zh) * 2018-11-29 2022-03-22 江苏大学 基于分布式能源应用的智能电动汽车充放电系统及其运行控制方法
CN110696643B (zh) * 2019-11-19 2023-03-24 南京师范大学 一种电动汽车无线充放电与定位功能复用装置及其模式切换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0210A1 (zh) 2023-04-06
CN116419864A (zh) 2023-07-11
US20230302943A1 (en) 2023-09-28
JP2023551333A (ja) 2023-12-07
EP4243234A1 (en)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51928B (zh) 充电方法、装置、设备、介质、电池管理系统和充电桩
EP3459786A1 (e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US10377265B2 (en) Mediator device for smart electric vehicle charging
CN110758171A (zh) 移动充电系统及其操作方法
CN108422887B (zh) 车载交流充放电机充放电接口、方法、充电桩、及电子设备
CN112744102B (zh) 车辆充电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N105743151A (zh) 充电车辆、充电系统和充电系统的驱动方法
US20230064263A1 (en) Battery swapping method, apparatus, system, device and medium
US105258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US20230302943A1 (en) Electric energy dispatch method, vehicle control unit, battery management system, system, device and medium
KR102278697B1 (ko)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072992A (ko)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전기자동차 전력충전 제어시스템
JP5573125B2 (ja) 充電スタンド及び車両の充電方法
CN114793005A (zh) 无线充电方法、装置、设备、车辆及存储介质
KR101676961B1 (ko) 충전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
JP2014063090A (ja) 停電エリア特定装置、停電エリア特定方法及び停電エリア特定システム
JP2018117500A (ja) 車両
CN113098107A (zh) 一种无线充电方法、设备及系统
KR20200143969A (ko) 차량, 차량용 충전 장치 및 차량용 충전 시스템
CN112659930A (zh) 电动车辆充电系统及方法
JP2020036409A (ja) 車外装置
US20230061401A1 (e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for electric energy transmission
CN114335814A (zh) 电池加热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和计算机程序产品
JP2022154217A (ja) 車両および給電システム
KR20240065465A (ko) 로드 밸런싱 스마트 전력분배시스템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