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617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617A
KR20230098617A KR1020237017938A KR20237017938A KR20230098617A KR 20230098617 A KR20230098617 A KR 20230098617A KR 1020237017938 A KR1020237017938 A KR 1020237017938A KR 20237017938 A KR20237017938 A KR 20237017938A KR 20230098617 A KR20230098617 A KR 20230098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display device
extending
bac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9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홀더;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후방을 덮는 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일단과 타단을 가지는 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밴딩부의 일단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제1 텐션부; 상기 제1 텐션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향해 밴딩되고, 상기 베이스를 향해 함몰되는 안착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밴딩부의 타단을 형성하는 제2 텐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백커버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백커버의 내면을 향해 컬링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구조를 개선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레임에 대한 백커버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백커버가 결합되는 홀더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백커버가 결합되는 홀더의 열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EMI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홀더;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후방을 덮는 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일단과 타단을 가지는 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밴딩부의 일단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제1 텐션부; 상기 제1 텐션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향해 밴딩되고, 상기 베이스를 향해 함몰되는 안착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밴딩부의 타단을 형성하는 제2 텐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백커버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백커버의 내면을 향해 컬링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레임에 대한 백커버의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백커버가 결합되는 홀더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백커버가 결합되는 홀더의 열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EMI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를 언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는, 다른 도면에(in the other figures) 상기 참조 번호가 나타난 경우에 사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을 제1 방향(DR1) 또는 좌우방향(LR)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을 제2 방향(DR2) 또는 상하방향(UD) 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장변(LS1, LS2) 및 단변(SS1, SS2)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DR3) 또는 전후방향(FR)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영상을 표시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제2 단변(SS2)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corner)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라 칭할 수 있다. 제1 단변(SS1)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라 칭할 수 있다. 제2 장변(LS2)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라 칭할 수 있다. 제2 단변(SS2)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라 칭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LCD 패널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설명하나,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로서 OLED 패널 등 다양한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외에, 프런트 커버(105), 가이드 패널(117), 백라이트 유닛(120), 프레임(130), 그리고 백커버(1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LCD 패널일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과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커버와,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커버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 및 측면커버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 및 측면커버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구비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개의 픽셀들이 각 픽셀당 RGB(Red, Green or Blue)를 타이밍에 맞추어 출력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front substrate)과 후면 기판(rear 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기판은 레드, 그린, 그리고 블루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기판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후면 기판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기판은 화소전극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소전극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의 배열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상응하여 변화될 수 있다. 액정층은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상기 전면 기판으로 전달하거나 이를 차단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외곽에 접촉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17)은 후술하는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원들(light sources)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프레임(130)의 전방에서 프레임(130)과 결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전체 구동 방식이나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 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학시트(125, optical sheet)와 광학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125)는 광원의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시트(125)는 복수개의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시트(125)는 프리즘 시트, 확산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125)는 결합부(125d)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프런트 커버(105), 프레임(130) 및/또는 백커버(15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결합부(125d)는 프런트 커버(105), 프레임(130) 및/또는 백커버(150) 상에 형성 또는 결합된 구조물에 체결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일부 구성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 유닛(120), 복수개의 전자소자들이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이 프레임(13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합금, EGI(electro galvanized coil) 등의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 이너 프레임, 또는 모듈커버로 칭할 수 있다.
백커버(15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백커버(150)는 프레임(130)의 후방을 덮을 수 있다. 백커버(150)는 프레임(130) 및/또는 프런트 커버(10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커버(15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20)은 기판(122),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 반사시트(126), 및 확산판(129)을 구비하는 광학층(123)과, 광학층(123)의 전방에 위치하는 광학시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2)은 좌우방향(LR)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UD)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스트랩(strap)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기판(122)에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될 수 있다. 기판(122)에 어댑터와 광 어셈블리(124)를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22)에 광 어셈블리(124)와 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레드, 그린, 그리고 블루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 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유색 LED는 레드 LED, 그린 LED, 및 블루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기판(122)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광 어셈블리(124)가 위치되는 복수개의 통공(235)을 구비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광 어셈블리(124)에서 방출되거나 확산판(129)에서 반사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시트(126)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및 이산화 티타늄(TiO2)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및/또는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와 확산판(129) 사이에는 에어 갭(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갭은 버퍼로 기능하여,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넓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에어 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반사시트(126)와 확산판(129) 사이에는 서포터(200)가 위치할 수 있다.
확산판(129)은 반사시트(126)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확산판(129)은 반사시트(126)와 광학시트(12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시트(1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시트(125)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125)에 포함된 복수개의 시트들은 접착 및/또는 밀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광학시트(125)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개의 시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시트(125)는 제1 광학시트(125a), 제2 광학시트(125b), 그리고 제3 광학시트(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광학시트(125a)는 확산 시트이고, 제2 광학시트(125b)와 제3 광학시트(125c)는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의 개수 및/또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확산판(129)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빛의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판(129)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은 엣지에 배치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기판(122'),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 반사시트(126') 및 도광판(128')을 구비하는 광학층(123')과, 광학층(123')의 전방에 위치하는 광학시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2')은 좌우방향(LR)으로 연장되며, 도광판(128')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다. 기판(122')에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어셈블리(124')에서 방출된 빛의 대부분은 도광판(128')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도광판(128')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광판(128')의 전면에 확산판(129')이 구비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도광판(128')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광 어셈블리(124')에서 방출되거나 도광판(128')에서 반사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도광판(128')과 광학시트(125) 사이에는 에어 갭(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갭은 버퍼로 기능하여,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넓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광학시트(125)는 도광판(128')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시트(125)의 후면은 도광판(128')에 밀착되고, 광학시트(125)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시트(125)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제1 광학시트(125a), 제2 광학시트(125b), 및 제3 광학시트(125c)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전자부품들이 프레임(1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들은 프레임(130)의 후면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에 전력을 제공하는 파워 서플라이 보드(P, power supply board),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1 참조)에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 timing controller board),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메인보드(M, main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는 FFC 케이블들(FC1, FC2)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전자부품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프레임(130)은 전체적으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30)의 상변(130LS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130)의 하변(130LS2)은 상변(130LS1)에 대향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130)의 좌변(130SS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130)의 우변(130SS2)은 좌변(130SS1)에 대향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30)의 상변(130LS1), 하변(130LS2), 좌변(130SS1), 그리고 우변(130SS2)은 프레임(13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함몰부(160)는 프레임(130)의 엣지에 인접할 수 있다. 함몰부(160)는 바디(161), 홀(162), 그리고 돌출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61)는 프레임(13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홀(162)은 바디(161)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61)의 일부는 홀(162)의 경계를 정의하며, 나사산이 형성되고, 탭핑부(164, tapping part, 도 11 참조)라 칭할 수 있다. 돌출부(163)는 바디(16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163)는 중실의 실린더(solid cylinde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163)는 홀(16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제1 돌출부(163a)와 제2 돌출부(163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함몰부(160)는 포밍부(forming part)라 칭하고, 돌출부(163)는 엠보(embo) 또는 보스(boss)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함몰부(160)는 프레임(13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함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함몰부(160)는 제1 함몰부(160a), 제2 함몰부(160b), 그리고 제3 함몰부(16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함몰부(160a)는 상변(130LS1)에 인접하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함몰부(160b)는 좌변(130SS1)에 인접하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함몰부(160c)는 우변(130SS2)에 인접하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함몰부(160)는 하변(130LS2)에 인접하며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4 함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함몰부(160a)와 상기 제4 함몰부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돌출부(163a)와 제2 돌출부(163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함몰부(160b)와 제3 함몰부(160c)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돌출부(163a)와 제2 돌출부(16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홀더(170)는 베이스(170I)와 밴딩부(170II, bend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홀더(170)는 브라켓 또는 마운트라 칭할 수 있다.
베이스(170I)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결합홀(170c)과 가이드홀(170a, 170b)은 베이스(170I)의 두께방향에서 베이스(170I)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170I)의 두께방향은 베이스(170I)의 길이방향에 교차할 수 있다. 가이드홀(170a, 170b)은 전술한 돌출부(163, 도 6 참조)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홀(170a, 170b)은 결합홀(170c)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170I)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가이드홀(170a)과 제2 가이드홀(17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170I)는 제1 함몰부(160a) 및/또는 상기 제4 함몰부에 결합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 경우, 베이스(170I)의 길이방향은 좌우방향에 나란하고, 제1 가이드홀(170a)과 제2 가이드홀(170b)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170I)의 두께방향은 전후방향에 나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170I)는 제2 함몰부(160b) 및/또는 제3 함몰부(160c)에 결합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 경우, 베이스(170I)의 길이방향은 상하방향에 나란하고, 제1 가이드홀(170a)과 제2 가이드홀(170b)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170I)의 두께방향은 전후방향에 나란할 수 있다.
밴딩부(170II)는 베이스(170I)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밴딩부(170II)의 길이(L)는 베이스(170I)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밴딩부(170II)는 베이스(170I)의 일측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밴딩부(170II)는 복수회 밴딩되며, 서로 인접하거나 이웃하는 일단과 타단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밴딩부(170I)의 일단과 타단은 베이스(170I)의 일측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밴딩부(170II)의 내면은 밴딩부(170II)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공간(170S)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170I)는 제1 함몰부(160a)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밴딩부(170II)의 일단과 타단은 베이스(170I)의 상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170I)는 상기 제4 함몰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밴딩부(170II)의 일단과 타단은 베이스(170I)의 하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170I)는 제2 함몰부(160b)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밴딩부(170II)의 일단과 타단은 베이스(170I)의 좌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170I)는 제3 함몰부(160c)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밴딩부(170II)의 일단과 타단은 베이스(170I)의 우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그루브(173)는 밴딩부(170II)의 외면으로부터 공간(170S) 또는 베이스(170I)를 향해 함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73)는 밴딩부(170II)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루브(173)는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베이스(170I)와 밴딩부(170II)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더(170)는 하나의 플레이트를 복수회 밴딩하여, 베이스(170I)와 밴딩부(170II)를 마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170)는 제1 파트(171), 제2 파트(172), 제3 파트(173), 제4 파트(174), 제5 파트(175), 그리고 제6 파트(1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파트(171)와 제6 파트(176)는 베이스(170I)를 구성하며, 제2 파트(172), 제3 파트(173), 제4 파트(174), 및 제5 파트(175)는 밴딩부(170II)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파트(171)와 제6 파트(176)는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파트(171)와 제6 파트(176)는 평판(flat plate)일 수 있다. 제1 파트(171)는 제6 파트(176)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6 파트(176)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전후방향에서 제1 파트(171)와 제6 파트(176)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홀(170c)과 가이드홀(170a, 170b)은 제1 파트(171)와 제6 파트(176)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파트(171)는 제1 베이스라 칭하고, 제6 파트(176)는 제2 베이스라 칭할 수 있다.
제2 파트(172)는 제1 파트(171)로부터 제1 각도(theta 1)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굽어지면서 연장되고, 전술한 밴딩부(170II)의 일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각도(theta 1)는 예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파트(172)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파트(172)는 제1 텐션부라 칭할 수 있다.
제3 파트(173)는 제2 파트(172)로부터 전방으로 롤링되면서 연장되고, 전술한 그루브(17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파트(173)는 공간(170S)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중심(O1)에 대하여 제1 반경(r1)의 호(arc)를 그리면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 파트(173)는 공간(170S)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파트(173)는 안착부라 칭할 수 있다.
제4 파트(174)는 제3 파트(173)로부터 굽어지면서 연장되고,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파트(174)는 상기 호(arc)의 접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파트(174)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4 파트(174)는 생략되고, 제3 파트(173)가 후술하는 제5 파트(175)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파트(175)는 제4 파트(174)로부터 후방 또는 베이스(170I)를 향해 롤링되면서 연장되고, 전술한 밴딩부(170II)의 타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5 파트(175)는 공간(S)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중심(O2)에 대하여 제2 반경(r2)의 호(arc)를 그리면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5 파트(175)는 공간(170S) 또는 베이스(170OI)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5 파트(175)는 제2 텐션부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트(172)의 말단은 제1 파트(171)에 연결되며, 전술한 밴딩부(170II)의 일단을 형성할 수 있다. 제5 파트(175)의 말단은 제6 파트(176)에 연결되며, 전술한 밴딩부(170II)의 타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밴딩부(170II)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제5 파트(175)의 말단은 제2 파트(172)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간격(h)만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170I)는 제1 함몰부(160a)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 파트(175)의 말단은 제2 파트(172)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간격(h)만큼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170I)는 상기 제4 함몰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 파트(175)의 말단은 제2 파트(172)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간격(h)만큼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170I)는 제2 함몰부(160b)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 파트(175)의 말단은 제2 파트(172)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간격(h)만큼 우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170I)는 제3 함몰부(160c)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 파트(175)의 말단은 제2 파트(172)의 말단으로부터 일정 간격(h)만큼 좌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파트(171)의 일부, 제2 파트(172), 제3 파트(173), 제4 파트(174), 그리고 제5 파트(175)의 내면은 공간(170S)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밴딩부(170II)의 일단과 타단이 베이스(170I)에 고정됨에 따라, 밴딩부(170II)에 가해지는 외력 또는 응력이 밴딩부(170II)와 베이스(170I)로 분산될 수 있다.
제7 파트(177)와 제8 파트(178)는 제1 파트(171)의 후방에 위치하며, 서로 이웃할 수 있다. 제7 파트(177)와 제8 파트(178)는 제1 파트(171)에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홀(170c)과 제1 가이드홀(170a)은 제7 파트(177), 제1 파트(171), 그리고 제6 파트(176)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홀(170c)과 제2 가이드홀(170b)은 제8 파트(178), 제1 파트(171), 그리고 제6 파트(176)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7 파트(177)와 제8 파트(178)는 제3 베이스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7 파트(177)는 제1 파트(171)의 일단으로부터 제1 파트(17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 파트(171)의 후면을 향해 폴딩될 수 있다. 제7 파트(177)는 전후방향에서 제7 파트(177)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1-1 홀(177a)과 제1-2 홀(17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홀(177a)은 제1 가이드홀(170a)의 일부를 형성하며, 제1-2 홀(177b)은 결합홀(170c)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8 파트(178)는 제1 파트(171)의 타단으로부터 제1 파트(17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 파트(171)의 후면으로 향해 폴딩될 수 있다. 제8 파트(178)는 전후방향에서 제8 파트(178)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2-1 홀(178a)과 제2-2 홀(17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홀(178a)은 제2 가이드홀(170b)의 일부를 형성하며, 제2-2 홀(178b)은 결합홀(170c)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7 파트(177)와 제8 파트(178)는 제1 파트(171)와 제6 파트(176)와 함께 베이스(170I)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베이스(170I)의 두께(t)는 제1 파트(171)의 두께(t1), 제6 파트(176)의 두께(t2), 및 제7 파트(177)의 두께(t3)의 합일 수 있다. 여기서, 제7 파트(177)의 두께(t3)는 제8 파트(178)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170I)의 비틀림 강성 및/또는 휨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홀더(170)는 프레임(130)의 후방에서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은 도 9의 X-X'선 절단면이다. 홀더(170)는 함몰부(160)의 후방에 위치하며, 함몰부(1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63a)는 제1 가이드홀(170a, 도 7 참조)에 삽입되고, 제2 돌출부(163b)는 제2 가이드홀(170b, 도 7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163a)는 바디(161)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tp)만큼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길이(tp)는 바디(161)의 후면으로부터 제2 돌출부(163b)가 돌출된 길이와 동일하고, 베이스(170I)의 두께(t)보다 클 수 있다. 이로써, 제1 돌출부(163a)와 제2 돌출부(163b)는 이들이 삽입된 홀더(1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163a)와 제2 돌출부(163b)가 제1 가이드홀(170a)과 제2 가이드홀(170b)에 삽입되면, 결합홀(170c, 도 7 참조)은 홀(162, 도 6 참조)에 정렬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돌출부(163a)와 제2 돌출부(163b)는 함몰부(160)에 대한 홀더(170)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는 결합홀(170c)을 통해 홀(162)에 삽입되어 탭핑부(164, 도 11 참조)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홀더(170)는 함몰부(16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바디(161)는 프레임(130)의 전면에 대해 경사지거나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바디(161a)와, 프레임(130)의 전면에 대해 편평하게 연장되는 제2 바디(16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63a), 제2 돌출부(163b), 및 홀(162)은 제2 바디(161b)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6 파트(176)는 제2 바디(161b)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2 바디(161b)에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파트(175)는 제1 바디(161a)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1 바디(161a)로부터 일정 간격(gb)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파트(172)와 제5 파트(175)는 외력에 따라 제1 바디(161a)를 향해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력에 따라 원 위치, 즉 제5 파트(175)가 제1 바디(161a)로부터 일정 간격(gb)만큼 이격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패널(117)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리브(117a)는 가이드 패널(117)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폼 패드(110a, foam pad)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리브(117a)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리브(117a)에 결합될 수 있다. 광학시트(125)와 확산판(129)은 리브(117a)에 대하여 폼 패드(110a)에 대향할 수 있다.
프레임(130)의 외곽을 형성하는 부분은 가이드 패널(117)에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가이드 패널(117)에 고정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의 림(미부호)은 확산판(129)의 후면에 접촉하고, 반사시트(126)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림으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도 10의 RF 참조). 이 경우, 제2 바디(161b)의 전면은 프레임(130)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ga)만큼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탭핑부(164)에 체결된 체결부재(F)가 반사시트(126)에 간섭되거나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백커버(150)는 프레임(130)의 후방에 위치하며, 프레임(130)의 후방을 덮을 수 있다. 여기서, 도 11 및 12는 도 9의 Y-Y'선 절단면이다. 백커버(150)는 커버부(151), 연결부(152), 그리고 결합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51)는 백커버(15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151)는 함몰부(160)와 홀더(170)의 후방을 덮을 수 있다. 커버부(151)는 프레임(130)에 대해 편평하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52)는 백커버(15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152)는 커버부(151)로부터 밴딩되어, 프레임(13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152)와 커버부(151) 사이의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152)는 전후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153)는 연결부(152)의 말단으로부터 연결부(152)의 내면을 향해 컬링(curling)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153)는 걸림부 또는 후크라 칭할 수 있다.
백커버(150)는 홀더(17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백커버(150)를 홀더(170)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결합부(153)는 제2 파트(172)를 따라서 제3 파트(173)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결합부(153)를 통해 제2 파트(172)에 전달되어, 제2 파트(172)와 제5 파트(175)가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로써, 결합부(153)는 제2 파트(172)를 넘어서 제3 파트(173)에 안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53)와 제3 파트(173)의 접촉 길이는 L(도 7 참조)일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153)의 곡률은 제3 파트(173)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30), 함몰부(160), 홀더(170), 체결부재(F), 그리고 백커버(150)는 금속과 같은 전기 전도성을 지닌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3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자부품들의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함몰부(160) 및 홀더(170)가 금속 재질을 포함함에 따라, 플라스틱, 합성 수지 등의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들 구성의 열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백커버(150)의 외면에 절연물질(미도시)이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153)의 외면에 코팅된 상기 절연물질은 결합부(153)가 제2 파트(172) 상에서 슬라이딩 되며 제3 파트(173)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탈락될 수 있다. 이로써, 결합부(153)의 상기 절연물질의 코팅이 벗겨진 부분을 통해 함몰부(160)로부터 결합부(153)로 전기가 통할 수 있다. 이로써, 백커버(150)의 외면을 절연시키면서, 프레임(13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자부품들의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백커버(150)의 결합부(153)는 연결부(152)의 내면에 인접하는 제3 중심(O3)에 대해 제3 반경(r3)의 원을 그리면서 컬링(curling)될 수 있다.
백커버(150)는 보강부(154, reinforc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154)는 결합부(153)로부터 커버부(15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보강부(154)는 연결부(152)의 내면과 마주하거나 이에 평행할 수 있다. 보강부(154)는 연결부(152)의 내면으로부터 제1 갭(G1)만큼 이격되거나 이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커버(150)의 처짐 및 비틀림에 대한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백커버(150)는 강성부(155, rigid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강성부(155)는 보강부(154)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강성부(155)는 보강부(154)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고, 보강부(154)로부터 커버부(15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강성부(155)는 연결부(152) 및/또는 커버부(151)와 마주하거나 이에 평행할 수 있다. 강성부(155)는 커버부(151)의 내면으로부터 제1 갭(G1)보다 작은 제2 간격(G2)만큼 이격되거나 이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커버(150)의 처짐 및 비틀림에 대한 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강성부(155', rigid part)는 보강부(154)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강성부(155')는 연결부(152) 및/또는 커버부(151)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강성부(155')는 커버부(151)의 내면에 대해 예각(theta 2)을 형성하고, 보강부(154)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강성부(155')는 커버부(151)의 내면에 인접할 수 있다. 보강부(154)와 강성부(155')가 연결되는 부분은 커버부(151)의 내면으로부터 제1 갭(G1)보다 작은 제2 간격(G2)만큼 이격되거나 이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커버(150)의 처짐 및 비틀림에 대한 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홀더;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후방을 덮는 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일단과 타단을 가지는 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밴딩부의 일단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제1 텐션부; 상기 제1 텐션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향해 밴딩되고, 상기 베이스를 향해 함몰되는 안착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밴딩부의 타단을 형성하는 제2 텐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백커버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백커버의 내면을 향해 컬링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고, 상기 베이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함몰부는, 상기 프레임의 엣지에 인접하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에 접촉하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그리고,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바디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홀;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홀에 정렬되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일부는, 상기 홀의 경계를 정의하고, 상기 결합홀을 통해 상기 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는 길게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의 두께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바디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바디; 그리고,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나란한 제2 바디;로서, 상기 베이스에 접촉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텐션부는, 상기 제1 바디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텐션부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베이스; 그리고, 상기 제2 텐션부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제2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의 두께와 상기 제2 베이스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텐션부,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제2 텐션부 각각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베이스의 후면을 향해 접혀지며, 상기 제2 베이스의 후면에 접촉하는 제3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길게 연장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밴딩부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인접하거나 이웃하고, 상기 제1 텐션부,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제2 텐션부 각각의 내면은,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공간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텐션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예각을 형성하면서 상기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텐션부로부터 상기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는 중심에 대해 일정 반경의 호(arc)를 그리면서 상기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 텐션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는 중심에 대해 일정 반경의 호(arc)를 그리면서 상기 베이스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착부는 곡률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곡률은, 상기 안착부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백커버의 후면을 형성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커버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면과 마주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백커버는: 상기 보강부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보강부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면서 연장되거나, 상기 커버부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전자부품들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상기 홀더, 및 상기 백커버는 전기 전도성을 지닐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홀더;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후방을 덮는 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일단과 타단을 가지는 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밴딩부의 일단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제1 텐션부;
    상기 제1 텐션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향해 밴딩되고, 상기 베이스를 향해 함몰되는 안착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밴딩부의 타단을 형성하는 제2 텐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백커버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백커버의 내면을 향해 컬링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고, 상기 베이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프레임의 엣지에 인접하고, 복수개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베이스에 접촉하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그리고,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바디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홀;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홀에 정렬되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일부는,
    상기 홀의 경계를 정의하고, 상기 결합홀을 통해 상기 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길게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두께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바디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길이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바디; 그리고,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나란한 제2 바디;로서, 상기 베이스에 접촉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텐션부는,
    상기 제1 바디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텐션부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베이스; 그리고,
    상기 제2 텐션부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는 제2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의 두께와 상기 제2 베이스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1 텐션부,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제2 텐션부 각각의 두께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베이스의 후면을 향해 접혀지며, 상기 제2 베이스의 후면에 접촉하는 제3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길게 연장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밴딩부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인접하거나 이웃하고,
    상기 제1 텐션부,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제2 텐션부 각각의 내면은,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공간의 경계를 정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텐션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예각을 형성하면서 상기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텐션부로부터 상기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는 중심에 대해 일정 반경의 호(arc)를 그리면서 상기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 텐션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는 중심에 대해 일정 반경의 호(arc)를 그리면서 상기 베이스를 향해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곡률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곡률은,
    상기 안착부의 곡률과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는:
    상기 백커버의 후면을 형성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커버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면과 마주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는:
    상기 보강부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보강부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면서 연장되거나, 상기 커버부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강성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전자부품들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상기 홀더, 및 상기 백커버는 전기 전도성을 지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7017938A 2020-11-27 2020-11-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98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7139 WO2022114299A1 (ko) 2020-11-27 2020-11-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617A true KR20230098617A (ko) 2023-07-04

Family

ID=8175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938A KR20230098617A (ko) 2020-11-27 2020-11-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07587A1 (ko)
EP (1) EP4254055A1 (ko)
KR (1) KR20230098617A (ko)
WO (1) WO2022114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676A (ko) * 2022-08-22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9324A (ja) * 2000-03-03 2001-09-14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2279389B1 (ko) * 2015-05-28 202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80026285A (ko) * 2016-09-02 2018-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90071B1 (ko) * 2017-09-25 2022-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32718B1 (ko) * 2019-04-01 202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7587A1 (en) 2024-01-04
WO2022114299A1 (ko) 2022-06-02
EP4254055A1 (en) 202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4126B2 (en) Display device
KR10239007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341716A1 (en) Display device
US11703703B2 (en) Display device
US10210814B2 (en) Display device
KR1026327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8364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267245B1 (en) Display device
KR2023009861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111243A1 (en) Display device
EP3690523A1 (en) Display device
KR2022003872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9426024B (zh) 显示装置
KR2024002667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4363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