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290A -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290A
KR20230098290A KR1020237018182A KR20237018182A KR20230098290A KR 20230098290 A KR20230098290 A KR 20230098290A KR 1020237018182 A KR1020237018182 A KR 1020237018182A KR 20237018182 A KR20237018182 A KR 20237018182A KR 20230098290 A KR20230098290 A KR 20230098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meter
battery
power battery
charging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샨 황
스차오 리
하이리 리
웨이 자오
전 린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98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02J7/007186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obtained with the battery disconnected from the charge or discharge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02J7/00719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of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Detection of state of health [SO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 및 배터리 파라미터를 획득하되, 상기 배터리 파라미터는 하전 상태(SOC) 및/또는 개로 전압(OCV)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파워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본 출원은 파워 배터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대의 발전에 따라 전기 자동차는 높은 친환경성, 낮은 소음, 낮은 사용 원가 등의 장점으로 인해 거대한 시장 전망을 갖고 있으며, 에너지 절약 및 배출 감소를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어 사회의 발전과 진보에 유리하다.
전기 자동차 및 그 관련 분야에 있어서, 배터리 기술은 그 발전에 관계되는 중요한 요소이고, 특히 배터리의 안전 성능은 배터리 관련 제품의 발전 및 적용에 영향을 미치며 전기 자동차에 대한 대중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어떻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확보하는 것인가는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 응용되는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 및 배터리 파라미터를 획득하되, 상기 배터리 파라미터는 하전 상태(SOC) 및/또는 개로 전압(OCV)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파워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파워 배터리를 방전시키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충전을 정지하여, 파워 배터리의 지속적인 충전으로 인한 발열, 리튬 이온의 응집 등 문제를 피할 수 있고, 나아가 발열, 리튬 이온 응집 등 문제로 인한 배터리 연소 또는 폭발 등과 같은 파워 배터리의 안전 문제를 피하여,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확보하였다.
나아가, 상이한 온도에서 파워 배터리의 리튬 석출 위험이 상이하기에 본 출원의 실시예는 온도가 리튬 석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파워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하고,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만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하여, 유연성이 높음으로써 상이한 온도에서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구현할 수 있고, 파워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무효 방전이 발생하는 문제를 피하였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고정값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제1 파라미터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제1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이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제2 파라미터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제2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이며, 여기서, 상기 제1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은 상기 제2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보다 크고, 상기 제1 파라미터 구간의 배터리 파라미터는 상기 제2 파라미터 구간의 배터리 파라미터보다 작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예컨대 SOC)가 클수록, 파워 배터리의 현재 시각의 음극 전위가 비교적 낮고, 리튬 석출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을 설명하므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비교적 큰 경우, 그 방전 빈도가 향상되고, 즉 파라미터 간격값이 비교적 작아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대응되게,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예컨대 SOC)가 비교적 작으면, 파워 배터리의 현재 시각의 음극 전위가 비교적 높은 것을 설명하고, 음극 전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 비해, 그 리튬 석출 위험이 비교적 낮아 그 방전 빈도가 줄고, 즉, 파라미터 간격값이 비교적 크며, 이로써 파워 배터리에 대한 충전 지속 시간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동시에, 리튬 석출을 억제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건강 상태(SOH)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SOH에 따라 파라미터 간격값을 결정하고, 파워 배터리의 SOH가 파워 배터리의 상태를 반영할 수 있기에, 이와 같이, 결정된 파라미터 간격값이 비교적 정확하고, 파워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사이의 평형을 이룬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의 범위는 5%-100%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제1 온도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대응되는 파라미터 임계값은 제1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이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제2 온도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대응되는 파라미터 임계값은 제2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이며, 상기 제1 온도 구간은 상기 제2 온도 구간보다 작고, 상기 제1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은 상기 제2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낮을수록 리튬 석출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 파라미터 임계값을 비교적 낮게 설정하고,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 파라미터 임계값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여, 충전 과정에서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확보하는 동시에, 방전이 충전 지속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와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는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에 기반하여 결정된 배터리 파라미터인 단계;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와 같으면,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와 같은 경우, BMS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이와 같이, 파워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더욱 잘 평형시킬 수 있고,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확보하는 기초 상에 파워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완료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 요청 전류가 0인 단계; 상기 충전 파일이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파워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실제 충전 전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실제 충전 전류가 전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가 한차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파워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직접 제어하면, 파워 배터리의 파손을 초래하여 파워 배터리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상의 위험을 초래하여 파워 배터리의 안전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BMS가 충전 요청 전류가 0으로 포함된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파워 배터리의 실제 충전 전류가 비교적 작으며, 예를 들어 전류 임계값보다 작으면, BMS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하여, 파워 배터리의 수명 및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파워 배터리 충방전 과정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충전 파일에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지속 시간이 제1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BMS가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계속 제어하면, 파워 배터리의 정상적인 충전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BMS가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지속 시간이 제1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BMS는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이와 같이, 파워 배터리 중의 전력량이 완전히 방전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파워 배터리의 정상적인 충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 지속 시간이 제2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BMS가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계속 제어하면, 파워 배터리의 정상적인 충전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방전 지속 시간이 제2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BMS는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이와 같이, 파워 배터리의 방전 지속 시간이 너무 길어 파워 배터리 중의 전력량이 완전이 방전되는 것을 피하여, 파워 배터리의 정상적인 충전을 확보한다.
제2 양태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제공하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 및 배터리 파라미터를 획득하되, 상기 배터리 파라미터는 하전 상태(SOC) 및/또는 개로 전압(OCV)를 포함하는 획득 유닛;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에 기반하여,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상기 파워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고정값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제1 파라미터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제1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이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제2 파라미터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제2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이며, 여기서, 상기 제1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은 상기 제2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보다 크고, 상기 제1 파라미터 구간의 배터리 파라미터는 상기 제2 파라미터 구간의 배터리 파라미터보다 작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건강 상태(SOH)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의 범위는 5%-100%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제1 온도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대응되는 파라미터 임계값은 제1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이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제2 온도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대응되는 파라미터 임계값은 제2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이며, 상기 제1 온도 구간은 상기 제2 온도 구간보다 작고, 상기 제1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은 상기 제2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또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와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되, 상기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는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에 기반하여 결정된 배터리 파라미터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와 같으면,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 요청 전류가 0인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 유닛은 또한 상기 충전 파일이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파워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실제 충전 전류를 획득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실제 충전 전류가 전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가 한차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충전 파일에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지속 시간이 제1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 지속 시간이 제2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제3 양태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제공하고,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술한 제1 양태 또는 그 각 구현 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파워 배터리를 방전시키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충전을 정지하여, 파워 배터리의 지속적인 충전으로 인한 발열, 리튬 이온의 응집 등 문제를 피할 수 있고, 나아가 발열, 리튬 이온 응집 등 문제로 인한 배터리 연소 또는 폭발 등과 같은 파워 배터리의 안전 문제를 피하여,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확보하였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해야할 도면에 대해 간단한 소개를 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당업자에게 있어서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 없이 도면에 의해 기타 도면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충전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BMS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BMS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 및 실시예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 형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나,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즉, 본 출원은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는 둘 이상임에 유의해야 한다. 용어 “위”, “아래”, “왼쪽”, “오른쪽”, “내부” 또는 “외부” 등으로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단지 본 출원을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이며, 언급된 장치 또는 소자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신에너지 분야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는 전기 장치(예컨대 차량, 선박 또는 항공기 등)의 주요 동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시중의 파워 배터리는 대부분이 충전 가능한 축전지이고,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리튬 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 등과 같은 리튬 배터리이다. 충전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지속 충전 방식으로 파워 배터리를 충전시키는데, 파워 배터리에 대해 지속 충전을 진행하게 되면 파워 배터리의 리튬 석출, 발열 등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초래할 수 있고, 여기서, 리튬 석출, 발열 등 현상으로 인해 파워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고 사이클 수명이 크게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워 배터리의 쾌속 충전 용량도 제한되어, 연소, 폭발 등 재난성 후과가 발생할 수 있어, 심각한 안전 문제를 초래한다.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본 출원은 새로운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충전 시스템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 장치(110) 및 배터리 시스템(120)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배터리 시스템(120)은 전기 자동차(순수 전기 자동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포함)의 배터리 시스템 또는 기타 응용 상황에서의 배터리 시스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배터리 시스템(120)에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battery pack)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을 전체적으로 파워 배터리(121)로 통칭할 수 있다. 배터리에 종류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121)는 임의의 유형의 배터리일 수 있고, 리튬이온배터리, 리튬금속배터리, 리튬황배터리, 연산배터리, 니켈카드뮴배터리, 니켈수소배터리, 또는 리튬공기배터리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터리의 규모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파워 배터리(121)는 셀/배터리 셀(cell)일 수도 있고,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팩일 수도 있으며,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은 모두 복수의 배터리를 직병렬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파워 배터리(121)의 구체적인 유형 및 규모에 대해 모두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 외, 상기 파워 배터리(121)를 지능적으로 관리 및 유지 보수하고, 파워 배터리(121)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방지하며, 배터리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배터리 시스템(120)에는 일반적으로 방전 관리, 고압 제어, 배터리 보호, 배터리 데이터 수집, 배터리 상태 평가 등 기능을 실시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122)이 더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BMS(122)는 파워 배터리(121)와 함께 동일한 설비 또는 장치에 집적될 수 있거나, 상기 BMS(122)는 독립적인 설비 또는 장치로서 파워 배터리(121) 밖에 설치될 수 있다.
충전 장치(110)는 BMS(122)의 충전 수요에 따라 충전 출력을 출력하여, 파워 배터리(121)를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110)는 BMS(122)가 전송하는 수요 전압 및 수요 전류에 따라 전압 및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충전 장치(110)는 충전 파일일 수 있고, 충전기로도 불리운다. 여기서 충전 파일는 예를 들어 보통 충전 파일, 슈퍼 충전 파일, V2G(vehicle to grid) 모드의 충전 파일 등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10)는 전선(130)를 거쳐 파워 배터리(121)에 연결되고, 통신 라인(140)을 거쳐 BMS(12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 라인(140)은 충전 장치(110) 및 BMS 사이의 정보 교류를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예시로서, 상기 통신 라인(140)은 컨트롤 영역 네트워크(control area network, CAN) 통신 버스 또는 데이지 체인(daisy chain) 통신 버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충전 장치(110)는 통신 라인(140)을 거쳐 BMS(122)와 통신할 수 있는 외에,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BMS(122)와 통신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충전 장치(110)와 BMS(122)의 유선 통신 유형 또는 무선 통신 유형에 대해 모두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의 충전 방법(200)의 개략도이다. 방법(200)은 BMS를 통해 수행할 수 있고, BMS는 예를 들어 도 1 중의 BMS(122)일 수 있다. 방법(200)은 이하 내용의 적어도 일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210)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 및 배터리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배터리 파라미터는 하전 상태(state of charge, SOC) 및/또는 개로 전압(open circuit voltage, OCV)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220)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온도에 기반하여,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한다.
단계(230)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파워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파워 배터리를 방전시키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충전을 정지하여, 파워 배터리의 지속적인 충전으로 인한 발열, 리튬 이온의 집적 등 문제를 피할 수 있고, 나아가 발열, 리튬 이온 집적 등 문제로 인한 배터리 연소 또는 폭발 등과 같은 파워 배터리의 안전 문제를 피하여,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확보한다.
나아가, 상이한 온도에서 파워 배터리의 리튬 석출 위험이 다르기 때문에, 예컨대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높을 수록, 리튬 석출 위험이 더욱 낮다. 상이한 온도에서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는 파라미터 임계값이 같고, 예컨대, 배터리 파라미터의 5%에서 방전이 시작되면, 온도가 높은 파워 배터리에 있어서, 배터리 파라미터가 비교적 작은 범위 내에서 리튬 석출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면, 방전은 무효 방전일 수 있고, 파워 배터리 전력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충전 속도도 저하된다. 또 예컨대, 배터리 파라미터의 40%에서 방전을 시작하면, 온도가 낮은 파워 배터리에 있어서, 방전 전에 리튬 석출 위험이 존재하고,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의 40%에서 방전을 시작하여도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온도가 리튬 석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파워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하고,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만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는 데, 유연성이 높아 상이한 온도에서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실현할 수 있고, 파워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무효 방전이 발생하는 문제를 피하였고, 에너지 저감 목적을 구현하였다.
여기서, SOC는 파워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나타낼 수 있고, 그 수치 상에서 파워 배터리의 현재의 잔여 용량과 전체 사용 가능 용량의 비율로 정의되며, 흔히 백분율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SOC = 100%인 경우, 파워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된 것을 나타내고; 반대로, SOC = 0%인 경우, 파워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 것을 나타낸다.
OCV는 파워 배터리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위차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파워 배터리 충방전 종료 후 파워 배터리를 일정한 시간동안 정치한 후 파워 배터리의 OCV의 값을 얻을 수 있다.
OCV 및 SOC 사이에는 대응 관계가 존재하고, 따라서,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BMS는 파워 배터리의 OCV에 따라 SOC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실험을 통해 상이한 SOC 하의 OCV의 데이터를 얻고, 양자의 관계 곡선도를 피팅하며, 이로써 BMS는 측정한 OCV 및 곡선도에 기반하여 파워 배터리의 SOC를 추정할 수 있다.
다른 구현 형태에 있어서, BMS는 역전파(back propagation, BP) 신경망을 이용하여 파워 배터리의 SOC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BP 신경망의 입력은 파워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 등 파라미터일 수 있고, 출력은 파워 배터리의 SOC일 수 있다.
상술한 두 가지 방법을 제외하고, BMS는 암페어시 적분법, 칼만 여과법 등 방법을 이용하여 파워 배터리의 SOC를 획득할 수도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BMS는 신호 수집 모듈을 통해 파워 배터리의 온도를 수집하여, 파워 배터리의 온도를 얻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파워 배터리의 온도는 파워 배터리의 충전 전의 온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라미터 간격값은 BMS에 기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파라미터 간격값은 대량의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고, 이 후, BMS 출고 시 파라미터 간격값을 BMS에 기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파라미터 간격값은 BMS가 자체적으로 결정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BMS는 파워 배터리의 온도, 건강 상태(state of health, SOH), 현재 시각의 환경 온도 등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따라 파라미터 간격값을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파라미터 간격값 및 SOH는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대응관계는 BMS에 미리 배치될 수 있으며, BMS는 파워 배터리의 SOH 및 상기 대응 관계에 따라 파라미터 간격값을 결정한다.
여기서, SOH는 파워 배터리의 노화 상태를 나타낼 수 있고, 파워 배터리의 잔여 수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파워 배터리는 장기간 작동되면 성능이 계속 감쇠되기 때문에, 잔여 수명도 더욱 짧아지고, 즉 SOH 수치도 더욱 작아진다. SOH가 작을 수록, 파워 배터리의 리튬 석출 위험이 더욱 낮은 것을 나타내고, 파라미터 간격값도 더욱 작다.
선택적으로, 파라미터 간격값의 범위는 3%-9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간격값은 5% 또는 10%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파라미터 간격값은 고정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임계값, 100%] 범위 내에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5% 변화되는 경우, BMS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구현 형태에 있어서, 파라미터 간격값은 변화값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클 수록, 파라미터 간격값이 더욱 작다. 다시 말해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와 파라미터 간격값은 반비례 관계를 이룬다.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는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제1 파라미터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파라미터 간격값은 제1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이고;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제2 파라미터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파라미터 간격값은 제2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이며, 제1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이 제2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보다 크고, 제1 파라미터 구간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제2 파라미터 구간의 배터리 파라미터보다 작다.
예를 들어, 배터리 파라미터가 SOC이고, 파라미터 임계값이 10%이라고 가정하면, [10%,50%) SOC 구간이 제1 파라미터 구간이며, SOC 간격값은 10%일 수 있고, [50%,100%] SOC 구간이 제2 파라미터 구간이며, SOC 간격값은 5%일 수 있다. 여기서, [a,b) SOC는 a ≤ SOC < b를 나타내고, 예컨대, [10%,50%) SOC는 10% ≤ SOC < 50%를 나타낸다.
물론, 제1 파라미터 구간 및 제2 파라미터 구간을 제외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3 파라미터 구간, 제4 파라미터 구간 등 파라미터 구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전히 배터리 파라미터가 SOC이고, 파라미터 임계값이 10%이라고 가정하면, [10%,40%) SOC 구간이 제1 파라미터 구간이고, [40,80%) SOC 구간이 제2 파라미터 구간이며, [80,100%] SOC 구간이 제3 파라미터 구간이고, [0,40%) SOC 구간의 SOC 간격값 > [40,80%) SOC 구간의 SOC 간격값 > [80,100%] SOC 구간의 SOC 간격값이다.
파라미터 구간을 많이 구획할 수록, 리튬 석출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하고, 즉 파워 배터리의 안전성이 더욱 우수하다. 동시에, 충전 지속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줄일 수 있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예컨대 SOC)가 클수록, 파워 배터리의 현재 시각의 음극 전위가 비교적 낮고, 리튬 석출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을 설명하므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비교적 큰 경우, 그 방전 빈도가 향상되고, 즉 파라미터 간격값이 비교적 작아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대응되게,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예컨대 SOC)가 비교적 작으면, 파워 배터리의 현재 시각의 음극 전위가 비교적 높은 것을 설명하고, 음극 전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 비해, 그 리튬 석출 위험이 비교적 낮아 그 방전 빈도가 줄고, 즉, 파라미터 간격값이 비교적 크며, 이로써 파워 배터리에 대한 충전 지속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동시에, 리튬 석출을 억제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라미터 임계값의 범위는 5%-100%일 수 있다.
여기서,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높을 수록, 파라미터 임계값이 더욱 클 수 있다. 예컨대,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10℃일 때, 파라미터 임계값이 30%이고, 즉 배터리 파라미터가 [30%,100%]에 위치하고,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BMS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하고;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40℃일 때, 파라미터 임계값이 45%이며, 즉 배터리 파라미터가 [45%,100%]에 위치하고,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BMS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한다.
또는, 배터리 파라미터와 유사하게, 파워 배터리의 온도도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제1 온도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대응되는 파라미터 임계값은 제1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이고,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제2 온도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대응되는 파라미터 임계값은 제2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이며, 제1 온도 구간이 제2 온도 구간보다 작고, 제1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이 제2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 1은 하나의 가능한 파워 배터리의 온도 및 파라미터 임계값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하나의 온도 구간은 하나의 파라미터 임계값에 대응되고, 상이한 온도 구간에서, 온도가 높을 수록, 파라미터 임계값이 더욱 크다.
온도(℃) 파라미터 임계값
[-10, 0) 10%
[0, 10) 30%
[10, 45) 50%
[45, -) 60%
표 1에 도시된 온도의 및 파라미터 임계값의 대응 관계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이고, 본 출원의 실시예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기초 상에 실시되는 임의의 변형으로 얻은 대응 관계가 모두 본 출원의 청구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낮을수록 리튬 석출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 파라미터 임계값을 비교적 낮게 설정하고,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 파라미터 임계값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여, 충전 과정에서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확보하는 동시에, 방전이 충전 지속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온도(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목표 온도로 칭함)에 따라,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하고(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목표 파라미터 임계값으로 칭함), 구체적으로, 파워 배터리의 목표 온도, 및 온도 및 파라미터 임계값의 대응 관계에 따라, 목표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및 파라미터 임계값의 대응 관계는 BMS에 미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표(에컨대 표 1)의 형식으로 BMS에 기설정할 수 있고, 이로써, BMS는 내부 테이블 검색의 방식으로 목표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온도 및 파라미터 임계값의 대응 관계는 대응도의 형성으로 BMS에 기설정할 수 있다.
또는, 온도 및 파라미터 임계값의 대응 관계는 BMS가 다른 설비에서 획득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온도 및 파라미터 임계값의 대응 관계는 클라우드에 저장될 수 있고, BMS는 클라우드로부터 온도 및 파라미터 임계값의 대응 관계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파워 배터리의 온도 및 파라미터 임계값의 대응 관계는 대량의 실험 데이터를 통해 시뮬레이션 등 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도와 파라미터 임계값 사이의 대응 관계는 비교적 정확하다. 물론, 파워 배터리의 온도 및 파라미터 임계값의 대응 관계는 경험치 또는 다른 방식에 따라 얻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 있어서, BMS는 파워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먼저 하나의 중간 파라미터를 결정한 다음, 상기 중간 파라미터에 따라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BMS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하고, 구체적으로, BMS가 방전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방전 파라미터는 방전 지속 시간, 방전 전류 및 방전 전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전 지속 시간은 예를 들어 1s-60s일 수 있고, 전류 크기는 예를 들어 1A-5C일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BMS는 파워 배터리의 온도, 파워 배터리의 SOH, 파워 배터리의 SOC, 현재 시각의 환경 온도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따라 방전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BMS는 충전 전에 파워 배터리의 온도 및/또는 SOH를 획득할 수 있고, 충전 과정에서 파워 배터리의 온도 및/또는 SOH를 획득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및/또는”은 하나의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3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 및 A와 B가 공존하는 3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로서,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10℃와 같이 비교적 낮으면, 방전 지속 시간은 10s와 같이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고;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20℃와 같이 정상이면, 방전 지속 시간은 40s와 같이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예시로서, 파워 배터리의 SOH가 클 수록, 방전 지속 시간이 더욱 길 수 있고, 방전 전류가 더욱 클 수 있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BMS는 여러 파라미터에 따라 종합적으로 파워 배터리 방전 시의 방전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이로써, 결정된 방전 파라미터가 더욱 정확함으로써, 파워 배터리의 방전을 더욱 잘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230)는 구체적으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BMS는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파워 배터리가 한차례 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파라미터가 OCV이고, 파라미터 임계값이 10%이라고 가정하면, [10%,50%) OCV 구간이 제1 파라미터 구간이고, OCV 간격값이 10%이며, [50%,100%] OCV 구간이 제2 파라미터 구간이고, OCV 간격값이 5%이다. 파워의 배터리의 OCV가 20% OCV인 경우, BMS는 파워 배터리가 한차례 방전되도록 제어하고, 그 후, 파워 배터리의 OCV가 30% OCV인 경우, BMS는 다시 파워 배터리가 한차례 방전되도록 제어하며, 그 후, 파워 배터리의 OCV가 40% OCV, 50% OCV, 55% OCV, 60% OCV, 65% OCV, 70% OCV, 75% OCV, 80% OCV, 85% OCV, 90% OCV, 95% OCV, 100% OCV인 경우, BMS는 각각 파워 배터리가 한차례 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BMS는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파워 배터리가 여러차례 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전히 배터리 파라미터가 OCV이고, 파라미터 임계값이 10%이라고 가정하면, [10%,50%) OCV 구간이 제1 파라미터 구간이고, OCV 간격값이 10%이며, [50%,100%]OCV 구간이 제2 파라미터 구간이고, OCV 간격값이 5%이다. 파워의 배터리의 OCV가 20% OCV인 경우, BMS는 파워 배터리가 두차례 방전되도록 제어하고, 여기서, 두차례 방전 간의 시간 간격은 일정한 임계값보다 작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파워 배터리가 방전될 때마다 방전 파라미터는 같을 수 있다. 예컨대, 파워 배터리가 방전될 때마다 방전 지속 시간은 모두 20s이고, 방전 전류는 모두 10 A이다.
또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될 때마다 방전 파라미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파워 배터리의 SOC가 10% SOC인 경우, 파워 배터리는 50s 동안 방전되고, 방전 전류는 3 A이며; 파워 배터리의 SOC가 55% SOC인 경우, 파워 배터리는 30s 동안 방전되고, 방전 전류는 1 A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230은 구체적으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와 같은 지 여부를 결정하고,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이면, BMS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는 파라미터 간격값에 따라 결정된 배터리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간격값이 5%이고, 파라미터 임계값이 10%이면,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는 15%, 20%, 25%, 30%……이다.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는 BMS에 기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는 테이블의 형식으로 BMS에 기설정될 수 있다.
표 2는 표 1의 파라미터 임계값 및 온도의 대응 관계에 따라 결정된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이고, 표 2 중의 파라미터 간격값은 변화값이며,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임계값,60%)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파라미터 변화값이 10%이고,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가 [60%,100%] 범위에 처하는 경우, 파라미터 변화값이 5%인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는 SOC 또는 OCV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10 20 30 40 50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0, 0) Y Y Y Y Y Y Y Y Y Y Y Y Y Y
[0, 10) Y Y Y Y Y Y Y Y Y Y Y Y
[10, 45) Y Y Y Y Y Y Y Y Y Y
[45, -) Y Y Y Y Y Y Y Y Y
표 2 중의 Y는 파워 배터리의 방전 또는 충전 정지를 나타내고, 예컨대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45℃인 경우에서,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가 60%인 경우 파워 배터리는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고,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가 65%인 경우 파워 배터리는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며,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가 70%, 75%, 80%, 85%, 90%, 95% 및 100%인 경우 파워 배터리는 모두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된다.
표 2 중의 10, 20, 30…95, 100은 각각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가 10%, 20%, 30%…95%, 100%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와 같으면, BMS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하고, 이와 같이, 파워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더욱 잘 평형시킬 수 있으며,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확보하는 기초 상에 파워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완료할 수 있다.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방법(200)은 BMS가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충전 요청 전류는 0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충전 요청 정보는 충전 파일에 파워 배터리로의 충전을 정지할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도 3은 도 2 중의 단계(230)의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3의 방법은 단계(310) 내지 단계(3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BMS는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는 충전 요청 전류는 0이다.
단계(320)에서, BMS는 충전 파일이 충전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파워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실제 충전 전류를 획득한다.
단계(330)에서, 실제 충전 전류가 전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한다.
통상적인 경우에서, 충전 파일이 BMS에서 전송된 충전 요청 전류가 0으로 포함된 충전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충전 파일이 파워 배터리로 전송하는 실제 충전 전류가 천천히 감소되되, 즉시 0으로 감소되지 않는다. 실제 충전 전류가 전류 임계값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에만, BMS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전류 임계값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시로서, 전류 임계값은 50 A일 수 있다.
파워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직접 제어하면, 파워 배터리의 파손을 초래하여 파워 배터리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상의 위험을 초래하여 파워 배터리의 안전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BMS가 충전 요청 전류가 0으로 포함된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파워 배터리의 실제 충전 전류가 비교적 작으며, 예를 들어 전류 임계값보다 작으면, BMS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하여, 파워 배터리의 수명 및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파워 배터리 충방전 과정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파워 배터리의 정상적인 충전을 확보하기 위해, 나아가, 방법(200)은 BMS가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BMS가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지속 시간이 제1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BMS는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BMS가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지속 시간은 BMS가 충전 파일에 여러차례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전체 시지속 시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BMS가 5초 간격으로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만약 BMS가 총 6차례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였다면, BMS가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지속 시간은 30s이다.
선택적으로, BMS가 처음으로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때, BMS는 제1 타이머를 시동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타이머의 타이밍 지속 시간은 제1 지속 시간 임계값이다. 제1 타이머가 시간을 초과한 후, BMS는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지속 시간 임계값은 60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파워 배터리의 방전 지속 시간이 제2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BMS는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지속 시간 임계값은 20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파워 배터리가 방전을 시작할 때, BMS는 제2 타이머를 시동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타이머의 타이밍 시간은 제2 지속 시간 임계값이다. 제2 타이머가 시간을 초과한 후, BMS는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파워 배터리의 방전량이 특정값에 도달하는 경우, BMS는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BMS가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계속 제어하면, 파워 배터리의 정상적인 충전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BMS가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지속 시간이 제1 지속 시간 임계값 이상이거나, 또는, 파워 배터리의 방전 지속 시간이 제2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BMS는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이와 같이, 파워 배터리 중의 전력이 완전히 방전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파워 배터리의 정상적인 충전을 확보할 수 있다.
BMS가 파워 배터리의 방전을 정지되도록 제어한 후, BMS는 충전 파일에 충전 수요 파라미터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 수요 파라미터는 충전 파일에 충전 전류를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전류는 파워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데 사용된다. 충전 파일가 상기 충전 수요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 상기 충전 수요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파워 배터리에 충전 전류를 출력한다.
여기서, BMS는 파워 배터리의 온도, 파워 배터리의 전압, 파워 배터리의 용량 및 파워 배터리의 SOC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따라 충전 수요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방전 정지 후, BMS는 충전 파일에 충전 수요 파라미터를 전송하여, 충전 파일이 계속하여 파워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함으로써, 파워 배터리에 대한 충전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200)은 BMS는 파워 배터리의 상태를 결정하고, 파워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 또는 건(gun) 인출 상태인 경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BMS는 파워 배터리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것을 통해, 파워 배터리의 파라미터에 따라, 파워 배터리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파워 배터리의 파라미터는 SOC를 포함할 수 있고, 파워 배터리의 SOC가 100%에 도달하는 경우, BMS는 파워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 예시적으로, BMS는 충전 파일에 확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BMS가 상기 확인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으면, BMS는 파워 배터리가 건 인출 상태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파워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 또는 건 인출 상태인 경우, BMS가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방전 파라미터는 파워 배터리가 충전 상태인 경우의 방전 파라미터와 같을 수 있다. 예컨대, 충전 상태 또는 만충전 상태 또는 건 인출 상태를 막론하고, 파워 배터리 방전 시의 방전 전류는 모두 10 A이고, 방전 지속 시간은 모두 20s일 수 있다.
또는, 파워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 또는 건 인출 상태인 경우, BMS가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방전 파라미터는 파워 배터리가 충전 상태인 경우의 방전 파라미터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방전 지속 시간은 파워 배터리가 충전 상태인 경우의 방전 지속 시간보다 작을 수 있고, 방전 전류는 파워 배터리가 충전 상태인 경우의 방전 전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 또는 건 인출 상태인 경우, BMS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하고, 이로써 파워 배터리의 후속 충전 과정에서, 충전 파일과 파워 배터리가 연결된 후, 직접 파워 배터리에 대해 충전하여 파워 배터리의 리튬 석출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를 피하고, 나아가 파워 배터리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킨다.
파워 배터리 방전 시, 파워 배터리의 방전 대상은 충전 파일일 수 있다. 충전 파일에서 파워 배터리에서 방전된 전력을 받은 후, 받은 전력량을 다른 차량의 충전에 이용할 수 있다.
또는, 파워 배터리의 방전 대상은 파워 배터리의 차량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차량의 공조기 등일 수 있다.
또는, 파워 배터리의 방전 대상은 보조배터리 등과 같은 다른 설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의 순환 이용을 구현하여, 에너지 절약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차량 건 인출 후, 파워 배터리의 방전 대상은 충전 파일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200)을 더욱 명백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하 도 4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4에서, 배터리 파라미터가 SOC이고, 전류 임계값이 50 A이며, 제1 지속 시간 임계값이 60s이고, 제2 지속 시간 임계값이 20s이다.
단계 401에서, BMS는 파워 배터리의 충전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파워 배터리가 충전 상태이면 단계(402)를 수행하고; 파워 배터리가 충전 상태가 아니면, 단계(411)를 수행하며;
단계(402)에서, BMS는 파워 배터리의 SOC를 획득한다.
단계(403)에서, BMS는 파워 배터리의 SOC가 목표 SOC와 같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표 2를 검색하는 것을 통해, 파워 배터리의 SOC가 목표 SOC와 같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파워 배터리의 SOC가 목표 SOC와 같으면, 단계(404)를 수행하고; 파워 배터리의 SOC가 목표 SOC와 다르면, 되돌아가 단계(402)를 수행한다.
단계(404)에서, BMS는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카운팅을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충전 요청 전류는 0이다.
단계(405)에서, BMS는 충전 파일이 파워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실제 충전 전류를 수집한다.
단계(406)에서, BMS는 실제 충전 전류가 50 A보다 작은 지 여부를 판단한다.
실제 충전 전류가 50 A보다 작으면, 단계(407)를 수행한다. 실제 충전 전류가 50 A보다 크거나 같으면, 되돌아가 단계(405)를 수행한다.
단계(407)에서, BMS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BMS는 파워 배터리가 10 A 전류로 방전되도록 제어하고 방전 지속 시간은 20s이다.
단계(408)에서, BMS는 파워 배터리가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지속 시간이 60s보다 크거나 같은 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는 방전 지속 시간이 20s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파워 배터리가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지속 시간이 60s 보다 크거나 같거나, 또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는 방전 지속 시간이 20s보다 크거나 같으면, 단계(409)를 수행한다. 아니면, 단계 407을 수행한다.
단계(409)에서, BMS는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단계(410)에서, BMS는 충전 파일에 충전 수요 파라미터를 전송한다.
상기 충전 수요 파라미터는 충전 파일이 충전 전류를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충전 전류는 파워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411)에서, BMS는 파워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 또는 건 인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412)에서, 파워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 또는 건 인출 상태이면, BMS는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BMS는 파워 배터리가 10 A 전류로 20s 동안 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실시예를 설명하였고,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실시예를 설명하며, 장치 실시예는 방법 실시예와 서로 대응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이전 각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고, 장치는 상술한 방법 중 임의의 구현 가능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의 BMS(500)의 개략적 블록도를 나타낸다. 상기 BMS(500)는 상술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200)을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MS(500)는 획득 유닛(510), 결정 유닛(520) 및 제어 유닛(530)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 유닛(510)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 및 배터리 파라미터를 획득, 상기 배터리 파라미터는 하전 상태(SOC) 및/또는 개로 전압(OCV)를 포함한다.
결정 유닛(520)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한다.
제어 유닛(530)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고정값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제1 파라미터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제1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이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제2 파라미터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제2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이며, 여기서, 상기 제1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은 상기 제2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보다 크고, 상기 제1 파라미터 구간의 배터리 파라미터는 상기 제2 파라미터 구간의 배터리 파라미터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건강 상태(SOH)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의 범위는 5%-100%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제1 온도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대응되는 파라미터 임계값은 제1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이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제2 온도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대응되는 파라미터 임계값은 제2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이며, 상기 제1 온도 구간은 상기 제2 온도 구간보다 작고, 상기 제1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은 상기 제2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520)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와 같은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는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에 기반하여 결정된 배터리 파라미터이다.
상기 제어 유닛(530)은 구체적으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와 같으면,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BMS(500)은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 요청 전류가 0인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획득 유닛(510)은 또한 상기 충전 파일이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파워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실제 충전 전류를 획득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어 유닛(530)은 구체적으로 상기 실제 충전 전류가 전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가 한차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530)은 또한 상기 충전 파일에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지속 시간이 제1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530)은 또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 지속 시간이 제2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BMS(500)는 방법(200) 중 BMS의 상응 조작을 구현할 수 있고, 간결한 설명을 위해 여기서 중복된 서술을 생략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BMS의 하드웨어 구조 개략도이다. BMS(600)는 메모리(601), 프로세서(602), 통신 인터페이스(603) 및 버스(604)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601), 프로세서(602), 통신 인터페이스(603)는 버스(604)를 통해 상호 간의 통신 연결을 구현한다.
메모리(601)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정적 저장 설비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메모리(601)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메모리(6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프로세서(602)에 의해 실행 시, 프로세서(602) 및 통신 인터페이스(603)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세서(602)는 통용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특정 용도 지향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그래픽처리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집적 회로를 사용할 수 있 있고,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유닛이 수행해야 하는 기능을 구현하거나 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602)는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도 있다. 구현 과정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602)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로직회로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의 명령을 통해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602)는 통용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로직 소자, 분리된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소자, 개별 하드웨어 어셈블리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로직 블록도를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통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에 결부하여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가 실행 완료되거나,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수행 완료된 것을 구현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자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래지스터 등 본 분야의 성숙한 저장 매체 등 중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601), 프로세서(602)에 위치하여 메모리(601) 중의 정보를 판독하고, 그 하드웨어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BMS에 포함된 유닛이 실행해야 할 기능을 완료하거나, 본 출원의 실시예 따른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603)는 예를 들어 트랜시버와 같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송수신 장치를 사용하여, BMS(600)와 다른 설비 또는 통신 네크워크 사이의 통신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BMS(600)는 통신 인터페이스(603)를 통해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버스(604)는 장치(600)의 각 부재(예를 들어, 메모리(601), 프로세서(602), 통신 인터페이스(603))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통로에 포함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상술한 BMS(600)는 메모리, 프로세서, 통신 인터페이스만 보여주었으나, 구체적인 구현 과정에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BMS(600)가 정상 작동의 구현에 필요한 다른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동시에, 구체적인 필요에 따라,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BMS(600)에 다른 부가 기능을 구현하는 하드웨어 소자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한다. 그 외,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장BMS(600)가 도 6에 나타낸 전부의 소자를 포함할 필요 없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현에 필요한 소자만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여, 설비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술한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명령이 컴퓨터에 의해 수행될 때, 상기 컴퓨터가 상술한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과도 상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고, 비과도 상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각종 실시예에 있어서, 각 과정의 순번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내부 로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 과정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각종 실시 형태는 독립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합하여 실시할 수 도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을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이에 대해 개선을 진행할 수 있고, 등가물로 그 중 부재를 대체할 수 있다. 특히 구조적인 충돌이 존재하지 않는 한 각 실시예에서 언급한 각 기술 특징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해결수단을 포함한다.

Claims (21)

  1.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으로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 응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 및 배터리 파라미터를 획득하되, 상기 배터리 파라미터는 하전 상태(SOC) 및/또는 개로 전압(OCV)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파워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고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제1 파라미터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제1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이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제2 파라미터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제2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이며, 상기 제1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은 상기 제2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보다 크고, 상기 제1 파라미터 구간의 배터리 파라미터는 상기 제2 파라미터 구간의 배터리 파라미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건강 상태(SOH)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의 범위는 5%-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제1 온도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대응되는 파라미터 임계값은 제1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이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제2 온도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대응되는 파라미터 임계값은 제2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이며, 상기 제1 온도 구간은 상기 제2 온도 구간보다 작고, 상기 제1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은 상기 제2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상기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와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는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에 기반하여 결정된 배터리 파라미터인 단계;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와 같으면,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 요청 전류가 0인 단계;
    상기 충전 파일이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파워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실제 충전 전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실제 충전 전류가 전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가 한차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충전 파일에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지속 시간이 제1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 지속 시간이 제2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파워 배터리 충전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으로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 및 배터리 파라미터를 획득하되 상기 배터리 파라미터는 하전 상태(SOC) 및/또는 개로 전압(OCV)를 포함하는 획득 유닛;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상기 파워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파라미터 간격값만큼 변화되는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배터리 충전 배터리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고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제1 파라미터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제1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이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제2 파라미터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제2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이며, 상기 제1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은 상기 제2 기설정 파라미터 간격값보다 크고, 상기 제1 파라미터 구간의 배터리 파라미터는 상기 제2 파라미터 구간의 배터리 파라미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은 상기 파워 배터리의 건강 상태(SOH)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의 범위는 5%-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제1 온도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대응되는 파라미터 임계값은 제1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이고, 상기 파워 배터리의 온도가 제2 온도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대응되는 파라미터 임계값은 제2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이며, 상기 제1 온도 구간은 상기 제2 온도 구간보다 작고, 상기 제1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은 상기 제2 기설정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또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파라미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와 같은지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는 상기 파라미터 간격값에 기반하여 결정된 배터리 파라미터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배터리 파라미터와 같으면, 상기 파워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 파일에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충전 요청 전류가 0인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 유닛은 또한 상기 충전 파일이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파워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실제 충전 전류를 획득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실제 충전 전류가 전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가 한차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충전 파일에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지속 시간이 제1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20.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 지속 시간이 제2 지속 시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파워 배터리의 방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2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배터리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KR1020237018182A 2021-09-08 2021-09-08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2300982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17315 WO2023035164A1 (zh) 2021-09-08 2021-09-08 动力电池充电的方法和电池管理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290A true KR20230098290A (ko) 2023-07-03

Family

ID=8550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182A KR20230098290A (ko) 2021-09-08 2021-09-08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94541A1 (ko)
EP (1) EP4231484A4 (ko)
JP (1) JP2023551937A (ko)
KR (1) KR20230098290A (ko)
CN (1) CN116097495B (ko)
WO (1) WO20230351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1962A1 (de) * 2001-05-05 2002-11-07 Vb Autobatterie Gmbh Energiemanagementsystem für ein elektrisches Kraftfahrzeugbordnetz
FR3010532B1 (fr) * 2013-09-11 2017-06-0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ispositif et systeme d'estimation de l'etat de charge d'une batterie
CN104835988B (zh) * 2014-12-16 2017-06-06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电池系统和电池系统荷电状态soc的修正方法
CN105958603B (zh) * 2016-07-01 2018-10-2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的充电方法和装置
CN110549900B (zh) * 2018-03-30 2021-06-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及动力电池静置之后的参数更新方法、装置
CN109031133B (zh) * 2018-06-06 2020-03-24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的soc修正方法
CN110867620B (zh) * 2018-08-27 2021-12-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保护方法、电池保护装置、电子设备
CN108828461B (zh) * 2018-09-25 2020-11-17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soh值估算方法及系统
CN109586373B (zh) * 2018-12-27 2024-05-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充电方法和装置
CN109786878B (zh) * 2019-03-25 2022-01-21 哈尔滨理工大学 一种电动汽车动力电池充电/加热控制方法
CN110967646B (zh) * 2019-05-24 2021-03-3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Soc修正方法和装置、电池管理系统和存储介质
CN110386029B (zh) * 2019-07-23 2021-06-22 力高(山东)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根据动态电压修正锂电池soc方法
DE102019123739A1 (de) * 2019-09-04 2021-03-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den einer Batteriezelle
CN110828924B (zh) * 2019-11-18 2021-05-25 创普斯(深圳)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的快速充电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965558B (zh) * 2020-07-22 2023-01-31 宝能(广州)汽车研究院有限公司 Soh值的获取方法及系统、电动汽车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703125B (zh) * 2020-08-10 2022-04-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锂电池的析锂检测方法及装置
CN112366375B (zh) * 2020-09-03 2022-03-18 万向一二三股份公司 一种锂离子动力电池快速充电方法
CN112485685B (zh) * 2020-11-30 2024-04-23 海马汽车有限公司 功率承受能力参数确定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736311B (zh) * 2021-01-08 2022-07-19 恒大新能源汽车投资控股集团有限公司 蓄电池的充电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064089B (zh) * 2021-03-10 2023-11-07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动力电池的内阻检测方法、装置、介质以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97495B (zh) 2024-02-20
EP4231484A4 (en) 2024-03-27
US20230294541A1 (en) 2023-09-21
EP4231484A1 (en) 2023-08-23
CN116097495A (zh) 2023-05-09
JP2023551937A (ja) 2023-12-13
WO2023035164A1 (zh)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63591A1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CN107618397A (zh) 电池管理系统
KR20220112240A (ko) 충전 방법, 전원 배터리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충전 파일
US20230398902A1 (en) Method for charging traction battery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KR20230098290A (ko)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625180B1 (ko) 파워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220110665A (ko) 충전 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
KR20210098215A (ko)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EP4231412A1 (en) Power battery charging method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US20230335822A1 (en) Method for charging power battery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US20230031352A1 (en) Method for charging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US11762027B2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power management controller
US20240022092A1 (en) Method for charging power battery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US20230035145A1 (en) Method for charging battery, battery management system, charge and discharge device
JP7169917B2 (ja) 二次電池の制御装置及び二次電池の制御方法
US202400922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secondary battery, computer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230307937A1 (en) Method for charging traction battery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US20230034292A1 (en) Charg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method for charging battery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EP42276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remaining battery charging time
US20230036620A1 (en) Charging-and-discharging apparatus,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and charging-and-discharging system
US20230029492A1 (en) Charg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charg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