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240A - 다양한 장애에 대해 돼지를 보호하기 위한 조합 백신 - Google Patents

다양한 장애에 대해 돼지를 보호하기 위한 조합 백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240A
KR20230098240A KR1020237017595A KR20237017595A KR20230098240A KR 20230098240 A KR20230098240 A KR 20230098240A KR 1020237017595 A KR1020237017595 A KR 1020237017595A KR 20237017595 A KR20237017595 A KR 20237017595A KR 20230098240 A KR20230098240 A KR 20230098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
vaccine
pcv2
pigs
conj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츠커 코이만
루드 필립 안톤 마리아 세게르스
마르텐 헨드릭 비트블릿
Original Assignee
인터벳 인터내셔널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벳 인터내셔널 비.브이. filed Critical 인터벳 인터내셔널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3009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2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295Polyvalent viral antigens; Mixtures of viral and bacteri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241Mollicutes, e.g. Mycoplasma, Erysipelothr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105Delta proteobacteriales, e.g. Lawsonia; Epsilon proteobacteriales, e.g. campylobacter, helicobac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85Haptens or antigens, bound to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3Albumins, e.g. HSA, BSA, ovalbumin or a Keyhole Limpet Hemocyanin [KH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6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the entire peptide or protein drug conjugate elicits an immune response, e.g. conjugate vac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Bacterial cells; Fungal cells; Protozoal cells
    • A61K2039/521Bacterial cells; Fungal cells; Protozoal cells inactivated (ki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61K2039/5252Virus inactivated (ki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61K2039/5254Virus avirulent or attenu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host/recipient, e.g. newborn with maternal antibodies
    • A61K2039/552Veterinary vac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A61K2039/6081Albumin; Keyhole limpet haemocyanin [KL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70Multivalent vacc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5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DNA viruses
    • C12N2750/00011Details
    • C12N2750/10011Circoviridae
    • C12N2750/100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 (PCV2)의 비-복제 면역원,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Mycoplasma hyopneumoniae)의 비-복제 면역원 및 접합된 데옥시니발레놀 (DON)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으로의 감염,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로의 감염 및 DON 유도된 진균중독증에 대해 돼지를 보호하기 위한 백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장애에 대해 돼지를 보호하기 위한 조합 백신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돼지 건강 분야에 관한 것이다. 돼지는 많은 병원성 미생물 및 동물 사료에 존재하는 미코톡신에 의한 중독과 같은 유해 사건을 겪기 쉽다. 이러한 면에 대한 통제는 통상적으로 농장 및 사료 관리, 항바이러스 약물 및 항생제와 같은 제약으로의 처리, 백신을 사용한 예방적 처리, 독소 결합제로의 사료의 처리 등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거의 모든 돼지는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 (PCV2 또는 PCV-2) 및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 (Mycoplasma hyopneumoniae, Mhyo)로 감염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동물 사료에 존재하는 미코톡신 데옥시니발레놀 (DON)에 의해 유도된 진균중독증에 걸리기 쉽다.
PCV-2는 어린 돼지에서 관찰되는 이유-후 전신 소모성 증후군 (PMWS)과 연관된다. 이 질환은 1991년 캐나다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임상 징후 및 병리상태는 1996년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진행성 소모, 호흡곤란, 빈호흡, 및 때때로 황화병(icterus) 및 황달(jaundice)을 포함한다.
문헌 [Nayar et al., Can. Vet. J. Volume 38, June 1997]은 PMWS의 임상 증상을 갖는 돼지에서 돼지 써코 바이러스를 검출하였고, PK-15 세포의 천연 서식지로서 인식된, 공지된 PCV 이외의 PCV가 PMWS와 연관될 수 있다고 결론내렸다. 이후의 간행물 (문헌 [Hamel et al., J.Virol., 72(6), 5262-5267, 1998]; [Meehan et al., J. Gen.Virol., 79, 2171-2179, 1998])은 이러한 발견을 확증하였고, 새로운 병원성 PCV를 PCV-2로 지칭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며 (문헌 [Meehan et al., 상기 문헌]), 반면에 원래의 PK-15 세포 배양 분리주 (문헌 [Tischer et al., Nature 295, 64-66, 1982])는 PCV-1로 지칭되어야 한다.
PCV-2는 원형 단일 가닥 DNA 게놈을 함유하는 작은 (17-22 nm) 20면체 비-외피보유 바이러스이다. PCV-2 게놈의 길이는 약 1768 bp이다. 전세계 상이한 지역에서 기원하는 PCV-2 분리주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고 약 95 내지 99%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문헌 [Fenaux et al., J.Clin. Micorbiol., 38(7), 2494-2503, 2000]). PCV의 ORF2는 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을 코딩한다. PCV2의 ORF2 유전자는 약 233개 아미노산의 단백질을 코딩한다. 모든 PCV-2 분리주의 ORF 2 유전자는 91-100%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및 90-100% 추정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공유한다.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는 돼지에 영향을 미치는 고도로 전염성이고 만성적 질환인 돼지 유행성 폐렴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공지된 박테리아 종이다. Mhyo는 크기가 작고 (400 - 1200 nm), 작은 게놈을 가지며 (893 - 920 킬로-염기 쌍 (kb)), 세포벽이 결여되어 있다. Mhyo는 돼지의 폐에서 상피 세포의 섬모에 부착된다. 이들은 섬모의 진동, 뭉침을 멈추게 하고 섬모 손실을 유발하여, 결국 상피 세포 사멸을 초래한다. 이는 돼지 유행성 폐렴을 갖는 돼지의 폐에서 발견되는 병변의 원인이다. 이러한 손상은 정상적인 섬모 클리어런스를 방해하고, 종종 2차 감염으로 발전한다. 이는 동물의 체중 증가에서 유의한 감소를 유발한다. 이전에 미국에서의 손실은 연간 10억 달러 이하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돼지 유행성 폐렴은 전세계적으로 풍토성이고, Mhyo는 거의 모든 돼지 무리에 존재한다. 돼지에서의 Mhyo의 존재에 의해 유도되는 면역 반응은 느리고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이 질환의 치료는 가장 중요하지만, 항생제로 제한되는데, 이는 감염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 단지 부분적으로만 효과적이다. 백신은 질환의 중증도를 감소시키지만, 감염된 돼지에서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지는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세계적으로 널리 퍼져있는 돼지의 또 다른 병원체는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 (Lawsonia intracellularis)이다. 이 박테리아는 전세계적으로 이유-후 돼지의 흔한 장 질환인, 회장염으로도 공지된 증식성 장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징적인 병변은 회장 음와에서의 미성숙 장세포의 증식이며; 이 세포는 통상적으로 그의 정단 세포질 내에 원인 박테리아를 함유한다. 부검 시에, 조직학적 병변은 특히 장세포에서, 뿐만 아니라 종종 음와 사이의 고유판 및 장간막 림프절에 위치한 대식세포 내에서 1.5 - 2.5 μm 길이의 비브리오이드 형상의 박테리아의 가시화에 의해 로소니아-양성으로서 확인될 수 있다. 장세포로부터의 박테리아의 클리어런스는 연관된 증식성 병변의 해소로 이어지며, 이는 음와에서의 박테리아의 직접적인 국부 효과를 나타낸다. 이들 병변에서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의 존재는 단지 준임상 감염을 나타내는 동물과 질환을 나타내는 동물 둘 다에서 PCR을 사용하여 입증되었다. 임상 사례는 통상적으로 육성-비육 기간에 존재한다; 일부 노령의 비육 돼지에서 급성 출혈성 형태가 기록되었다.
진균은 일반적으로 돼지에서 기관 및 조직의 기생충증 뿐만 아니라 알레르겐성 징후를 수반하는 광범위한 질환을 유발한다. 그러나, 비-식용 버섯의 섭취를 통한 중독 이외에, 진균은 진균중독증으로 지칭되는 다양한 독성 효과를 담당하는 미코톡신 및 유기 화학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 이 질환은 식품 또는 동물 사료를 오염시키는 사상 진균에 의해 생산되는 약리학적 활성 화합물인 미코톡신에 대한 노출에 의해 유도된다. 미코톡신은 진균 생리에는 중요하지 않은 2차 대사물로, 섭취, 흡입 또는 피부 접촉시 척추동물에게는 최소 농도에서도 극히 독성이다. 약 400종의 미코톡신이 현재 인식되고 있으며, 유사한 생물학적 및 구조적 특성을 갖는 화학적으로 관련된 분자의 패밀리로 세분된다. 이들 중, 대략 12개의 군이 동물 건강에 대한 위협으로서 정기적으로 주의를 받는다. 가장 큰 공중의 관심을 받고 농경학적으로 중요한 미코톡신의 예는 아플라톡신 (AF), 오크라톡신 (OT), 트리코테센 (T; DON 포함), 제아랄레논 (ZEN), 푸모니신 (F), 진전 유발 독소 및 맥각 알칼로이드를 포함한다. 미코톡신은 주로 그의 화학 구조의 다양성에 따라,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영양적 및 환경적 인자와 관련하여 달라지는 생물학적 효과를 갖는 급성 및 만성 질환과 관련되어 있다. 진균중독증의 병리생리상태는 동물 세포에서의 기능적 분자 및 소기관과 미코톡신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며, 이는 발암성, 유전자독성, 단백질 합성의 억제, 면역억제, 피부 자극 및 다른 대사 교란을 유발할 수 있다. 감수성 동물 종에서, 미코톡신은 복잡하고 중첩되는 독성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진균중독증은 전염성이 아니고, 면역계의 유의한 자극도 없다.
보미톡신으로도 공지된 데옥시니발레놀은 곡물, 예컨대 밀, 보리, 귀리, 호밀 및 옥수수, 뿐만 아니라 벼, 수수 및 트리티케일에 우세하게 존재하는 B형 트리코테센이다. 데옥시니발레놀의 발생은 주로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지베렐라 제아에(Gibberella zeae)) 및 푸사리움 쿨모룸(Fusarium culmorum)과 연관되며, 이들 둘 다는 밀에서 푸사리움 적매병(head blight) 및 옥수수에서 지베렐라 또는 푸사리움 이삭 마름병(ear blight)을 유발하는 중요한 식물 병원체이다. 푸사리움 적매병의 발생률과 밀의 데옥시니발레놀에 의한 오염 사이의 직접적인 관계가 확립되었다. 푸사리움 적매병의 발생률은 개화시의 수분과 강하게 연관되며, 양보다는 강우 시기가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또한, DON 함량은 푸사리움 종에 대한 품종의 감수성, 이전 작물, 경운 방법 및 살진균제 사용에 의해 유의하게 영향을 받는다.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은 25℃의 온도에서 최적으로 성장하는 반면, 푸사리움 쿨모룸은 21℃에서 최적으로 성장한다. 따라서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은 보다 따뜻한 기후에서 발생하는 보다 흔한 종이다.
DON은 인간 및 농장 동물 둘 다에서 진균중독증의 발생에 연루되었다. 독소는 단백질 합성의 강한 억제제인 트리코테센 부류에 속한다. DON에 대한 노출은 뇌가 그의 아미노산 트립토판의 흡수, 및 차례로 그의 세로토닌의 합성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세로토닌의 감소된 수준은 DON의 식욕부진 효과의 원인인 것으로 여겨진다. 위장관의 자극은 또한 사료 섭취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또한 사료 거부 동안 암퇘지에서 관찰된 식도주위 위 궤양의 높은 발생률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DON 유도된 진균중독증의 예방적 치료는 현재 미코톡신 수준이 확실하게 특정 한계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작물에서의 미코톡신 생산을 감소시키기 위한 농산물 우수 관리 제도 및 식품 및 사료 상품 규제 프로그램으로 한정되어 있다. 약물 또는 항생제로의 치료는 질환의 경과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현재까지 진균중독증을 퇴치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인간용 또는 동물용 백신은 없다.
이는 다양한 상기 확인된 병원체에 대해 상이하고, 이들 병원체에 대한 백신은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PCV 2로의 감염에 대해 동물, 특히 돼지를 예방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통상적인 백신은 (비-복제) 면역원으로서 전체 불활성화된 PCV-2 바이러스를 기초로 할 수 있다. 또한, ORF2 코딩된 캡시드 단백질 (예를 들어, 재조합적으로 발현되는 경우)은 적절한 백신에 사용하기 위한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의 서브유닛 면역원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관련 기술분야에서 밝혀졌다. 이는 순환계 내의 이러한 서브유닛이 바이러스 자체와 동일한 방식을 보이고 (이것이 바이러스-유사 입자를 형성함), DNA 및 비-구조 단백질이 캡시드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에서만 본질적으로 상이하기 때문에 이해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에서 PCV2에 대한 여러 백신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포르실리스(Porcilis)® PCV (MSD 애니멀 헬스(MSD Animal Health: 네덜란드 박스미어)로부터 입수가능)는 3주령 이상의 돼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돼지를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백신이다. 2-주사 (2회 용량) 백신으로서 제공되는 경우에, 면역 지속기간 (DOI)은 22주이며, 돼지의 비육 기간을 거의 완전히 커버한다. 인겔박 써코플렉스(Ingelvac CircoFlex)® (베링거 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 인겔하임)으로부터 입수가능)는 2주령 이상의 돼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돼지를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백신이다. 이는 1회 주사 (1회 용량) 백신으로서만 등록된다. 써코박(Circovac)® (세바 산테 애니멀(Ceva Sante Animale: 프랑스 리버른)로부터 입수가능)은 3주령 이상의 돼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돼지를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백신이다. 수박신(Suvaxyn)® PCV (조에티스(Zoetis: 네덜란드 카펠레 에이/디 아이젤)로부터 입수가능)은 3주령 이상의 돼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돼지를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백신이다. 다른 PCV2 백신은 예를 들어 WO2007/028823, WO 2007/094893 및 WO2008/076915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백신은 모두 이들이 PCV2의 ORF2 캡시드 단백질을 포함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와 관련하여, 많은 상업용 백신이 존재하며, 이들은 대다수의 상업용 돼지 사육 작업에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백신은 서브유닛 단백질과 같은 Mhyo의 비-복제 면역원 및/또는 박테린을 포함하며, 이들은 전형적으로 비경구 주사에 의해 투여된다. 일부 예는 레스피슈어(RespiSure)® (조에티스), 인겔박® M. hyo, 및 미코플렉스(MycoFLEX)® (베링거 인겔하임), 스텔라뮨(Stellamune)® 미코플라스마 (엘란코 애니멀 헬스(Elanco Animal Health)), 포스테라(Fostera)® PCV MH (조에티스) 및 M+Pac® 및 포르실리스® M Hyo (둘 다 MSD 애니멀 헬스로부터 입수가능)이다.
능동적 보호를 유도함으로써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를 퇴치하기 위한 백신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고, 관련 기술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백신은 생 약독화 백신인 엔테리솔(Enterisol)® 일레이티스(Ileitis) (베링거 잉겔하임 베트메디카(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미국)), 및 포르실리스® 일레이티스 (머크 애니멀 헬스(Merck Animal Health: 미국)), 또는 포르실리스® 로소니아 (MSD 애니멀 헬스: 네덜란드) (둘 다 박테린 형태의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의 비-복제 면역원을 포함하는 백신임)라는 상표하에 입수가능하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 (PCV2 또는 PCV-2) 및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 (Mhyo)로의 감염, 뿐만 아니라 미코톡신 데옥시니발레놀 (DON)에 의해 유도된 진균중독증에 대해 돼지를 한 번에 보호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 (PCV2)의 비-복제 면역원,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의 비-복제 면역원 및 접합된 데옥시니발레놀 (DON)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백신이 고안되었다. 이 백신은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으로의 감염, 즉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로의 감염 및 DON 유도된 진균중독증 (돼지 사이에 완전히 매우 널리 퍼진 장애)에 대해 한 번에 돼지를 보호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PCV2 및 Mhyo에 대한 조합 백신이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지만, 접합된 데옥시니발레놀이 DON 유도된 진균중독증에 대해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백신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발견한 것은 놀라웠다. DON을 톡소이드로 전환시킬 특별한 필요는 없었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배제되지는 않음), 접합된 독소는 처리된 숙주 동물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유도된 면역 반응이 백신접종된 동물을 치료 후 DON의 경구 섭취 후에 진균중독증에 대해 실제로 보호하기에 충분히 강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놀라웠다. 미코톡신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에 의한 능동적 보호는, 매우 풍부하고 극도로 독성인 화합물 데옥시니발레놀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어떠한 미코톡신에 대해서도 관련 기술분야에서 제시되지 않았다. 또 다른 놀라운 것은 백신의 3종의 성분이 부정적으로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었다. 조합 백신의 경우, 적절한 면역 반응이 각 항원에 대하여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병원체 PCV2 및 Mhyo에 대해 보호적이며, 현재 최초로 DON 섭취에 대해 보호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 (PCV2)의 비-복제 면역원,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의 비-복제 면역원 및 접합된 데옥시니발레놀 (DON)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으로의 감염,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로의 감염 및 DON 유도된 진균중독증에 대해 돼지를 보호하는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백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의 비-복제 면역원,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의 비-복제 면역원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제1 조성물 (용어 "조성물"은 투여 전에 내용물이 혼합되는 2개의 개별 용기에 관한 것임을 배제하지 않음) 및 접합된 데옥시니발레놀 (DON)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부분들의 키트에 관한 것이다. 부분들의 키트는 돼지에 대한 투여를 위한 2종의 조성물을 한 번에 사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실제 투여 전에 이들을 혼합하는 것, 또는 2개의 개별 투여 노즐/배럴, 예컨대 이달(IDAL)® 3G 트윈 (MSD 애니멀 헬스)을 갖는 투여 장치를 사용하는 연관된 비-혼합 사용에 의함)에 대한 지침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정의
백신은 대상 동물에게 투여하기에 안전하고, 그 동물에서 병원성 미생물 또는 화합물에 대해 보호 면역을 유도할 수 있는, 즉 본원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성공적인 예방적 치료를 유도할 수 있는 제약 조성물이다.
병원체의 비-복제 면역원은 전체로서 살아있는 복제 병원체 (야생형의 약독화 형태) 이외의 병원체에 상응하는 임의의 물질 또는 화합물이며, 이 병원체에 대해 면역학적 반응이 도출되어, 이러한 면역 반응의 결과로서 상응하는 병독성 병원체 또는 그의 병독성 인자 중 1종 이상이 숙주의 면역계에 의해 인식될 것이고, 궁극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된다. 비-복제 면역원의 전형적인 예는 사멸된 전체 병원체 (이 용어는 용해된 형태의 이들 병원체를 포함함) 및 이들 병원체의 서브유닛, 예컨대 캡시드 단백질, 표면 발현 분자 (예를 들어 재조합적으로 발현된 단백질 또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및 배출된 분자, 예컨대 독소이다. 이러한 면역원 군은 전형적으로 체액성 면역 반응을 도출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박테린은, 예를 들어 2원 에틸렌이민 (BEI), 클로로크레졸, 포르말린과 같은 화학적 작용제로, 또는 예를 들어 UV 광 또는 다른 유형의 불활성화에 의해 후속적으로 불활성화되는 박테리아 배양물의 농축에 의해 수득된 사멸된 박테리아의 현탁액이다.
예방적 치료는, 예를 들어 병원체로의 감염 또는 또 다른 유해 사건에 대해, 그 병원체로의 감염 (또는 그 감염으로부터 발생하는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유를 보조하거나, 또는 상기 사건의 예방, 개선 또는 치유를 보조하며, 여기서 치료는 각각 병원성 병원체로의 접종 또는 사건의 발생 전에 수행된다.
진균중독증은 미코톡신에 대한 노출로부터 발생하는 질환이다. 임상 징후, 표적 기관 및 결과는 미코톡신의 고유 독성 특색 및 노출의 양 및 길이, 뿐만 아니라 노출된 동물의 건강 상태에 의존한다.
진균중독증에 대해 보호하는 것은 동물에서의 미코톡신의 부정적인 생리학적 효과 중 하나 이상, 예컨대 평균 1일 체중 증가의 감소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데옥시니발레놀 (DON으로 약칭, 또한 보미톡신 또는 VOM으로 공지됨)은 진균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에 의해 생산되는 미코톡신이며, 이는 작은 곡물의 푸사리움 적매병 (FHB), 또는 흑성병을 유발한다. DON은 사료 거부 및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기본 화합물의 분자식은 C15H20O6이다.
접합된 분자는 면역원성 화합물이 공유 결합을 통해 커플링된 분자이다. 전형적으로, 면역원성 화합물은 (대형) 단백질, 예컨대 KLH, BSA 또는 OVA이다.
아주반트는 비-특이적 면역자극제이다. 원칙적으로, 궁극적으로 보다 우수한 면역학적 반응 (즉, 항원, 특히 림프구에 의해 매개되는 것에 대한 통합된 신체 반응 및 전형적으로 특이적 항체 또는 이전에 감작된 림프구에 의한 항원의 인식을 수반하는 것)으로 이어지고, 면역학적 사건의 캐스케이드에서 특정한 과정을 선호하거나 증폭시킬 수 있는 각각의 물질은 아주반트로서 정의될 수 있다. 아주반트는 일반적으로 상기 특정 방법이 일어나기 위해 요구되지 않고, 단지 상기 방법을 선호하거나 증폭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양태
본 발명에 따른 백신의 추가 실시양태에서, PCV2의 비-복제 면역원은 PCV2의 ORF2 단백질이다. 이러한 면역원은 PCV2 바이러스에 대한 적절한 보호 면역 반응을 도출하는 것으로 입증되었고, 본 발명의 조합 백신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보이며, 즉 면역계의 공동 자극이 대상체 돼지에 대해 여전히 안전할 수 있도록 한다. 면역원은, 예를 들어 바큘로바이러스의 발현된 ORF2 단백질과 같은 PCV2의 재조합적으로 발현된 ORF2 단백질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의 비-복제 면역원은 사멸된 전체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를 포함할 수 있는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 박테린이다. Mhyo의 박테린은, 특히 여전히 전체 세포를 함유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조합 백신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접합된 DON은 10.000 Da 초과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에 접합된 DON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백질, 특히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 (KLH) 및 오브알부민 (OVA)은 돼지 및 다른 동물에서 적절한 면역 반응을 할 수 있고 이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단백질에 대한 실제 상한은 100 MDa일 수 있다. 이러한 한계 초과에서 물리적 단점이 나타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의 비-복제 면역원, 특히 상업용 백신 포르실리스 일레이티스 (머크 애니멀 헬스를 통해 입수가능) 및 포르실리스 로소니아 (MSD 애니멀 헬스를 통해 입수가능)와 같이 예시된 형태로 공지된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의 사멸된 전체 세포를 포함한다.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으로의 감염,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로의 감염 및 DON 유도된 진균중독증에 대해 돼지를 보호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조합 백신의 추가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돼지에게 전신 투여된다. 예를 들어 위장관 (구강 또는 항문) 또는 눈 (예를 들어, 닭을 면역화시키는 경우)에서의 점막 조직을 통한 국부 투여가 다양한 동물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인 경로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지만, 전신 투여가 모든 3가지 장애에 대해 동물을 보호하는데 적절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효과적인 면역화는 근육내 및/또는 피내 투여시에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돼지가 그의 모체 면역을 잃고 상당한 양의 DON으로 오염된 사료를 섭취할 수 있기 전에 투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투여 연령은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따라서, 투여 시점에서의 바람직한 연령은 6주령 이하이다. 4주령 이하, 예컨대 예를 들어 1-3주령이 추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은 동물에게 적어도 1회 또는 2회 투여될 수 있다. 많은 동물 (특히 돼지 닭, 반추동물)이 일반적으로 면역원성 조성물의 단지 1회 주사에 의한 면역화에 감수성이지만, DON에 대한 경제적으로 실행가능한 보호를 위해 2회 주사가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제1 또는 제2 주사는 접합된 DON만을 함유하는 1가 백신일 수 있는 반면, 다른 주사는 조합 백신으로 수행된다. 이는 PCV2 및 Mhyo에 대한 보호에 대해, 1회 주사가 전형적인 돼지의 수명 내내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그러나, 동물은 신규 조합 백신으로 프라임 및 부스트 백신접종을 받는 것으로 또한 예상된다. 백신의 두 주사 사이의 기간은 1주 내지 1-2년일 수 있다. 어린 동물에 대해, 예를 들어 1-3주령에서의 프라임 면역화, 이어서 1-4주 후, 전형적으로 1-3주 후, 예컨대 2주 후의 부스터 투여의 요법이 충분할 것으로 여겨진다. 노령의 동물은 수개월마다 (예컨대 마지막 투여 후 4, 5, 6개월), 또는 동물을 위한 다른 상업적으로 적용되는 면역화 요법으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매년 또는 2년마다의 기준으로 부스터 투여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조합 백신은 3종의 항원에 더하여 아주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아주반트는 항원 자체가 미리 결정된 수준의 보호를 얻기 위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담체 분자, 예컨대 KLH 또는 BSA를 갖는 접합체 분자가 추가의 아주반트 없이 면역계를 충분히 자극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지만, 추가의 아주반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부스터 투여에 대한 필요를 없애거나 또는 그의 투여 간격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는 모두 특정 상황에서 필요한 보호 수준에 의존한다. 현재 백신과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여겨지는 아주반트의 유형은 수중유 에멀젼 (예컨대,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상어 간 오일,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등을 기재로 함), 카르보폴®의 용액, 및 알히드로겔 및 다른 알루미늄 함유 아주반트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이제 하기 실시예를 사용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제1 일련의 실험 (하기 실시예 1 내지 3에 기재됨)에서, 1가 DON 백신의 효능을 안전성 및 효능에 대해 시험하였다. 그 후, 본 발명에 따른 3가 백신의 효능을 그에 따라 시험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접합된 DON을 사용한 면역화 접종 실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DON 섭취로 인한 진균중독증에 대해 돼지를 보호하기 위한 접합된 데옥시니발레놀의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이를 검사하기 위해, 돼지를 독성 DON으로 접종하기 전에 DON-KLH로 2회 면역화시켰다. 상이한 면역화 경로를 사용하여 투여 경로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설계
8마리의 암퇘지로부터 유래된 40마리의 1주령 돼지를 연구에서 사용하였고, 5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군 1-3의 24마리의 새끼 돼지를 1주령 및 3주령에 2회 면역화시켰다. 군 1은 두 연령 모두에서 근육내로 (IM) 면역화시켰다. 군 2는 1주령에 IM 주사를 맞았고, 3주령에 경구 부스트를 받았다. 군 3을 2회 피내로 (ID) 면역화시켰다. 군 1-3을 5½ 주령부터 4주 동안 DON을 액체로 경구 투여하여 접종하였다. 군 4는 면역화시키지 않았고, 군 1-3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DON으로만 접종하였다. 군 5는 대조군으로서의 역할을 하였고, 5.5주령부터 4주 동안 대조군 유체만을 받았다.
액체 제제 중 DON 농도는 5.4 mg/kg 사료 양에 상응하였다. 이는 1일에 평균 2.5 mg DON 양에 상응한다. 접종 4주 후, 간, 신장 및 위에 대한 특별한 주의 하에 모든 동물을 사후 조사하였다. 또한, 혈액 샘플링은 연구의 제0일, 제34일, 제41일, 제49일, 제55일, 제64일 (안락사 후)에 수행하였고, 단 군 5에서는 혈액 샘플을 제0일, 제34일, 제49일 및 안락사 직후에만 채취하였다.
시험 항목
3종의 상이한 면역원성 조성물, 즉 IM 면역화에 사용된 주사용 수중유 에멀젼 (X-솔브 50, MSD AH, 복스미어) 중 50 μg/ml의 DON-KLH를 포함하는 시험 항목 1; 경구 면역화에 사용된 유중수 에멀젼 (GNE, MSD AH, 복스미어) 중 50 μg/ml의 DON-KLH를 포함하는 시험 항목 2, 및 ID 면역화를 위한 주사용 수중유 에멀젼 (X-솔브 50) 중 500 μg/ml의 DON-KLH를 포함하는 시험 항목 3이 제형화되었다.
접종 데옥시니발레놀 (퍼멘텍 (Fermentek: 이스라엘)으로부터 입수됨)을 100 mg/ml의 최종 농도로 100% 메탄올 중에 희석하고, < -15℃에서 저장하였다. 사용 전에, DON을 추가로 희석하고, 투여를 위한 처리에 공급하였다.
포함 기준
건강한 동물만을 사용하였다. 건강하지 않은 동물을 배제하기 위해, 모든 동물을 연구 시작 전에 그의 일반적인 신체적 외관 및 임상 이상 또는 질환의 부재에 대해 검사하였다. 군마다 상이한 암퇘지로부터의 새끼 돼지를 사용하였다. 일상적인 실시에서, 모든 동물은 DON 오염된 사료의 섭취를 통해 DON에 사전-노출된 경우에도 면역화될 것이다. DON은 그 자체로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DON에 사전-노출된 동물과 DON에 대해 나이브한 동물 사이에 원칙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결과
어떠한 동물도 DON-KLH로의 면역화와 연관된 부정적인 효과를 갖지 않았다. 따라서 조성물은 안전한 것으로 보였다.
모든 돼지는 실험의 시작 시에 DON에 대한 역가에 대해 혈청학적으로 음성이었고, 접종 동안 근육내 (군 1) 및 피내 (군 3) 면역화된 군은 코팅 항원으로서 천연 DON-BSA를 사용하여 ELISA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DON에 대한 항체 반응을 발생시켰다. 표 1은 연구 동안 4개 시점에서의 평균 IgG 값을 그의 SD 값으로 도시한다. 근육내 면역화 및 피내 면역화 둘 다는 DON에 대해 유의한 역가를 유도하였다.
표 1 IgG 역가
Figure pct00001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의한 항-DON IgG 역가 증가를 보이지 않은 군 2의 동물을 포함한 모든 면역화된 동물은 접종 동물에 비해 처음 15일 동안 유의하게 더 높은 체중 증가를 보였다. 접종된 동물과 관련하여, 모든 동물은 연구 과정에 걸쳐 더 많은 체중이 증가하였다.
표 2 체중 분석
Figure pct00002
1 접종 처음 15일에 걸친 평균 1일 체중 증가(average daily weight gain)
2 접종 마지막 13일에 걸친 평균 1일 체중 증가
소장의 상태 (공장에서의 융모/음와 비에 의해 결정됨)를 또한 모니터링하였다. 표 3에서, 융모/음와 비가 도시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군 3의 동물은 건강한 대조군 (군 5)과 대등한 평균 융모 음와/음와 비를 가진 반면, 비-면역화된, 접종된 군 (군 4)은 훨씬 더 낮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융모 음와 비를 가졌다. 또한, 군 1 및 군 2는 면역화되지 않은 접종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더 양호한 (즉, 더 높은) 융모/음와 비를 가졌다. 이는 면역화가 DON에 의해 개시되는 장 손상을 보호함을 나타낸다.
표 3 융모/음와 비
Figure pct00003
다른 기관, 더 구체적으로 간, 신장 및 위의 일반적 상태를 또한 모니터링하였다. 모든 3개의 시험군 (군 1-3)은 비-면역화된 접종 대조군 (군 4)보다 건강이 더 양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표 4에 일반적 건강 데이터의 요약이 도시된다. 위 궤양의 정도는 - (궤양 형성의 증거 없음) 내지 ++ (다발성 궤양)로 보고된다. 위 염증의 정도는 - (염증의 증거 없음) 내지 ++/- (위 염증의 개시)로 보고된다.
표 4 일반적 건강 데이터
Figure pct00004
실시예 2: DON 수준에 대한 면역화의 효과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DON 섭취의 독성동태학에 대한 DON 접합체로의 면역화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이를 검사하기 위해, 돼지를 DON-KLH로 2회 면역화시킨 후, 독성 DON을 공급하였다.
연구 설계
10마리의 3주령 돼지를 연구에 사용하였고, 각각 돼지 5마리씩 2개 군으로 나누었다. 군 1의 돼지를 3주령 및 6주령에 DON-KLH로 2회 IM 면역화시켰다 (시험 항목 1; 실시예 1). 군 2는 대조군으로서 제공되었고, 대조군 유체만을 받았다. 11주령에, 1 mg/kg 사료 오염 수준과 유사한 0.05 mg/kg의 용량 (1일 사료 섭취를 기준으로 함)으로 볼루스를 통해 동물에게 각각 DON (퍼멘텍, 이스라엘)을 투여하였다. 돼지의 혈액 샘플을 DON 투여 직전 및 DON 투여 후 0.25, 0.5, 0.75, 1, 1.5, 2, 3, 4, 6, 8 및 12시간에 채취하였다.
포함 기준
건강한 동물만을 사용하였다.
혈장 중 DON의 분석
비결합 DON의 혈장 분석은 제보(Xevo)® TQ-S MS 기기 (워터스 (Waters: 벨기에 젤리크))에 커플링된 액퀴티(Acquity)® UPLC 시스템 상에서 검증된 LC-MS/MS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이 방법을 사용한 돼지 혈장에서의 DON의 정량화 하한은 0.1 ng/ml이다.
독성동태학적 분석
DON의 혈장 농도-시간 프로파일의 독성동태학적 모델링을 비구획 분석 (피닉스(Phoenix), 파르사이트 코포레이션(Pharsight Corporation), 미국)에 의해 수행하였다. 하기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 제0시부터 무한대까지의 곡선하 면적 (AUC0→∞), 최대 혈장 농도 (Cmax), 및 최대 혈장 농도에서의 시간 (tmax).
결과
독성동태학적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ON-KLH로의 면역화는 모든 독성동태학적 파라미터를 감소시킨다. 독성 효과 발휘를 담당하는 것은 미결합 DON이기 때문에, DON-KLH로의 면역화는 동물의 혈액 중 미결합 DON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DON에 의해 유도된 독성 효과를 감소시킬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표 5 미결합 DON의 독성동태학적 파라미터
Figure pct00005
실시예 3: 다양한 DON 접합체에 대한 혈청학적 반응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접합된 데옥시니발레놀 생성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 설계
18마리의 3주령 돼지를 연구에 사용하였고, 각각 돼지 6마리씩 3개 군으로 나누었다. 군 1의 돼지를 3주령 및 5주령에 DON-KLH로 2회 근육내 면역화시켰다 (실시예 1의 시험 항목 1 사용). 군 2를 DON-OVA로 상응하게 면역화시켰다. 군 3은 음성 대조군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모든 동물을 3주령, 5주령 및 8주령에서 항-DON IgG 반응에 대해 체크하였다.
결과
혈청학적 결과를 하기 표에 log2 항체 역가로 나타내었다.
표 6 항-DON IgG 반응
Figure pct00006
두 접합체는 항-DON IgG 반응을 일으키는 데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반응은 1회의 주사만으로 유도되는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4: 다양한 조합 백신의 효능
목적
연구의 목적은 DON에 대한 백신접종을 PCV2, Mhyo 및 임의로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에 대한 백신접종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연구 설계
12마리의 암퇘지로부터 유래된 64마리의 1주령 새끼 돼지의 무리를 각각 새끼 돼지 8마리씩 8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군 1 내지 3은 피내 (ID) 백신접종에 사용하였으며, IDAL® (MSD 애니멀 헬스) 장치를 사용하여 각 경우에 주사당 0.2 ml를 투여하였다. 군 1의 새끼 돼지는 프라임-부스트 방식에서 양성 대조군으로서 실시예 1에 사용된 바와 같은 1가 DON-KLH 백신 (시험 항목 3)을 받았다. 군 2 ("PM"으로 표시됨)는 제1 백신접종으로서 수중유 에멀젼 (스쿠알렌 및 비타민 E-아세테이트를 포함) 중 1가 DON-KLH 백신 (군 1과 동일한 수준의 DON 항원)을 투여받았으며, 제2 백신접종은 본 발명의 3종의 항원, 즉 비-복제 PCV2 면역원 (이 경우 포르실리스® PCV ID에서와 동일한 수준의 PCV2의 바큘로바이러스 발현된 ORF2 단백질), 비-복제 Mhyo 면역원 (이 경우 포르실리스® M Hyo ID ONCE에서와 동일한 수준의 Mhyo 박테린) 및 DON-KLH를 동일한 아주반트 중에 함유하는 백신을 투여받았다. 군 3은 3주령에 포르실리스® PCV M Hyo만을 투여받은 DON ID에 대한 음성 대조군이었다.
군 4 내지 8은 근육내 (IM) 백신접종에 사용하였으며, 표준 피하 시린지를 사용하여 각 경우에 주사당 2 ml를 투여하였다. 군 4는 X-솔브 50 중 1가 DON-KLH 백신 (실시예 1, 시험 항목 1)을 2회 투여받은 근육내 백신접종에 대한 양성 대조군이었다. 군 5는 제1 주사로서 에무나데 (Emmunade, MSD 애니멀 헬스)로 보조된 1가 DON-KLH 백신을 제공받았고, 제2 주사로서 3주령에 동일한 아주반트 중 포르실리스® PCV M Hyo 및 포르실리스® 로소니아와 혼합된 DON-KLH (즉, 시판 3원 포르실리스® PCV2 M Hyo 로소니아 조합 백신, 본 출원에서 "PML"로 표시됨)를 제공받았다. DON-KLH 수준은 실시예 1의 시험 항목 1에서와 동일한 수준이었다. 군 6은 프라임 백신접종으로서 X-솔브 50 중 1가 DON-KLH 백신 및 부스터로서 동일한 1가 DON-KLH 백신 및 개별 PML 백신을 사용한 비-혼합 연관 조합 백신접종을 제공받았다. 군 7은 음성 대조군 (PML 단독)이었다. 군 8은 DON 접종을 받은 음성 대조군이었다.
각각의 상기 경우에, 새끼 돼지가 1주령일 때 제1 백신접종을 목의 우측에 투여하고, 3주령에 제2 백신접종을 목의 좌측에 투여하였다. 접종 (군 2, 4, 5 및 8)는 유체와 혼합된 DON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접종의 첫번째 2주에는 DON을 아침 및 저녁에 투여하고, 접종의 두번째 2주에는 DON을 아침, 오후 및 저녁에 투여하였다. 투여는 제1주에 새끼 돼지가 1일 1 mg DON을 맞고, 제2주에 1일 2 mg DON을 맞고, 제3주에 1일 3 mg DON을 맞고, 제4주에 1일 4 mg DON을 맞도록 하였다.
포함 기준
건강한 동물만을 사용하였다. 건강하지 않은 동물을 배제하기 위해, 이들을 연구 시작 전에 검사하였다 (일반적인 신체적 외관 및 임상 이상 또는 질환의 부재).
결과
어떠한 동물도 다양한 백신접종과 연관된 부정적인 효과를 갖지 않았다. 따라서 조성물은 안전한 것으로 보였다.
접합된 DON을 포함하는 백신을 맞은 모든 군은 백신접종 후 혈청전환되었다 (표 7 참조). ID 역가는 IM 역가보다 약간 더 낮았다. ID 백신접종된 군에서, PM과 조합 백신을 맞은 군은 DON 단독으로 백신접종된 군보다 더 높은 역가를 가졌다. 이는 조합된 DON+PM 군 (ID)이 단지 DON 용량의 30%를 제공받았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러하다. 또한, 조합된 DON+PM (ID) 군은 DON 단독 (ID) 군에 비해 더 느리게 감소하는 역가를 가졌다는 점에 주목했다. DON을 단독으로, PML과 조합 (혼합)하여 및 PML과 조합 (비-혼합)하여 맞은 군에 대한 결과는 매우 유사한 것으로 근육내에서 관찰되었다. 이는 DON에 대한 혈청학의 경우, 다른 항원과의 조합 또는 혼합 어느 것도 유의한 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보임을 의미한다.
표 7 DON 혈청학 (log2 역가)
Figure pct00007
장에서 DON 접종에 대한 보호를 융모/음와 비를 결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표 8 참조). ID 군 (군 2)은 가장 높은 비를 가졌고, 이 비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연구에서 건강한 대조군과 동일하였다. 1가 DON IM 군 (군 4) 및 4-원 DON, PCV, Mhyo, 로소니아 군 (군 5) 둘 다는 백신접종되지 않은 접종된 동물 (군 8)보다 유의하게 더 건강한 장을 가졌다. 조합 백신 (군 2 및 5)의 경우에 도달한 값은 1가 DON 백신을 맞은 군 (군 4)보다 훨씬 더 우수하였고, 이것은 백신접종 경로 및 추가 로소니아 항원의 존재와 무관하게 두 조합 백신을 사용하여 DON 접종에 대한 적절한 보호에 도달하였음을 나타낸다.
표 8 융모/음와 비
Figure pct00008
이어서, 대조군 8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백신접종군에서 위 궤양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상기 데이터, 및 간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하기 표 9에 도시하였다.
표 9 일반적 건강 데이터
Figure pct00009
따라서, 또한 위 궤양 및 간 손상의 수준에서, 조합 백신이 DON 접종에 대해 보호함을 알 수 있었다.
다른 병원체 (PCV2,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 및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에 대한 보호를 보여주기 위해, 연구 말미에 IM 군에 대해 혈청학을 측정하였다. 기존 상업용 백신 (포르실리스® 계열)의 이들 기존 항원에 대해 공지된 바와 같이, IM 백신접종 후의 양성 혈청학은 동일한 항원의 IM 뿐만 아니라 ID 백신접종 후 상응하는 병원체로의 감염에 대한 보호를 나타낸다.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Mhyo의 경우, 음성/양성 시험을 사용하였다. PCV 및 로소니아에 대해, Elisa 역가를 측정하였다.
표 10 PCV, Mhyo 및 로소니아에 대한 혈청학
Figure pct00010
결과는 각각의 항원이 양성 혈청학을 도출하였음을 보여주며, 이는 상응하는 병원체에 대한 보호에 도달하였음을 나타낸다.
결론
본 연구는 DON 백신접종이 PCV, Mhyo 및 로소니아 비-복제 면역원으로의 동시 백신접종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접합된 DON 항원이 이들 3종의 항원 각각을 사용하여 도달될 수 있는 보호를 무효화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Claims (15)

  1.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 (PCV2)의 비-복제 면역원,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Mycoplasma hyopneumoniae)의 비-복제 면역원 및 접합된 데옥시니발레놀 (DON)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으로의 감염,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로의 감염 및 DON 유도된 진균중독증에 대해 돼지를 보호하기 위한 백신.
  2. 제1항에 있어서, PCV2의 비-복제 면역원이 PCV2의 ORF2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PCV2의 비-복제 면역원이 PCV2의 재조합적으로 발현된 ORF2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의 비-복제 면역원이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 박테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의 비-복제 면역원이 사멸된 전체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된 DON이 10.000 Da 초과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에 접합된 D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된 DON이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 (KLH) 또는 오브알부민 (OVA)에 접합된 D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Lawsonia intracellularis)의 비-복제 면역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의 사멸된 전체 세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10.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 (PCV2)의 비-복제 면역원,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의 비-복제 면역원 및 접합된 데옥시니발레놀(DON)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으로의 감염,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로의 감염 및 DON 유도된 진균중독증에 대해 돼지를 보호하는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백신.
  11. 제10항에 있어서, 방법에서 백신이 돼지에게 전신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방법에서 백신이 돼지에게 근육내 또는 피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법에서 백신이 6주령 이하의 돼지에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법에서 백신이 4주령 이하, 바람직하게는 1-3주령의 돼지에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15. 돼지 써코 바이러스 2형 (PCV2)의 비-복제 면역원, 미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의 비-복제 면역원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제1 조성물, 및 접합된 데옥시니발레놀 (DON)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부분들의 키트.
KR1020237017595A 2020-10-29 2021-10-28 다양한 장애에 대해 돼지를 보호하기 위한 조합 백신 KR20230098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4555 2020-10-29
EP20204555.5 2020-10-29
PCT/EP2021/079912 WO2022090357A1 (en) 2020-10-29 2021-10-28 Combination vaccine for protecting swine against various disord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240A true KR20230098240A (ko) 2023-07-03

Family

ID=7303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595A KR20230098240A (ko) 2020-10-29 2021-10-28 다양한 장애에 대해 돼지를 보호하기 위한 조합 백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009303A1 (ko)
EP (1) EP4236998A1 (ko)
JP (1) JP2023547205A (ko)
KR (1) KR20230098240A (ko)
CN (1) CN116457004A (ko)
CA (1) CA3196858A1 (ko)
MX (1) MX2023005049A (ko)
WO (1) WO20220903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289102C1 (en) 2005-09-09 2017-11-30 Intervet International B.V. PCV-2 vaccine
CN104474541B (zh) 2005-12-29 2019-08-23 勃林格殷格翰动物保健美国有限公司 Pcv2免疫原性组合物用于减轻猪临床症状的用途
HUE033130T2 (en) 2006-12-15 2017-11-28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Inc Treatment of seropositive pigs with anti-PCV2 antibody with PCV2 antigen
US8404714B2 (en) * 2008-01-04 2013-03-26 Novus International, Inc. Combinations to improve animal health and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7205A (ja) 2023-11-09
WO2022090357A1 (en) 2022-05-05
EP4236998A1 (en) 2023-09-06
MX2023005049A (es) 2023-05-17
CN116457004A (zh) 2023-07-18
CA3196858A1 (en) 2022-05-05
US20240009303A1 (en)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6520C2 (ru) Вакцина для защиты от lawsonia intracellularis, mycoplasma hyopneumoniae, цирковируса свиней
JP6138875B2 (ja) ローソニア・イントラセルラーリスに対する保護のためのワクチン
JP2009501730A (ja) ローソニアワクチン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230098240A (ko) 다양한 장애에 대해 돼지를 보호하기 위한 조합 백신
JP7342264B2 (ja) アビバクテリウム・パラガリナルム及びトリ脳脊髄炎ウイルス及び鶏痘ウイルスに対する三種混合ワクチン
US10792352B2 (en) Method for reducing skatole and/or indole in animals
RU2812627C2 (ru) Конъюгированный дезоксиниваленол для защиты от микотоксикоза
CA3231048A1 (en) Immunogenic gel compositions
RU2523561C2 (ru) Вакцина для защиты от lawsonia intracellularis
US20240115685A1 (en) Conjugated fumonisin to protect against mycotoxicosis
AU2021405239A1 (en) Conjugated aflatoxin b to protect against mycotoxicosis
US20090092639A1 (en) Immunogenic composition
Zhang et al. Evaluation of biofilm of Aeromonas hydrophila for oral vacc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