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411A -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 - Google Patents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411A
KR20230096411A KR1020210185874A KR20210185874A KR20230096411A KR 20230096411 A KR20230096411 A KR 20230096411A KR 1020210185874 A KR1020210185874 A KR 1020210185874A KR 20210185874 A KR20210185874 A KR 20210185874A KR 20230096411 A KR20230096411 A KR 20230096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tating body
excavator
mort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수 filed Critical 김태수
Priority to KR1020210185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6411A/ko
Publication of KR2023009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0893Mobile mixing devices, e.g. han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0806Details; Accessories
    • B28C5/0831Drives or drive systems, e.g. toothed racks,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8Mixing in containers to which motion is impar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20Mixing in containers to which motion is imparted to effect the mixing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during mixing, e.g. without independent stirr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는, 레미콘이 사용되기 어려운 조건이거나 협소한 작업 환경에서 몰타르 반죽이 사람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뤄지지 않고 굴착기에 연결하여 빠르고 편리하며 우수한 품질의 몰타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는, 일면은 개방되며 타면은 폐쇄된 드럼 형상의 회전체 내부공간에 고체 및 유체 재료를 혼합 반죽하여 몰타르를 생성하는 믹서부; 믹서부의 외부를 감싸면서 결합하고 지지하는 프레임부; 프레임부 상면 타측에 구비되고 회전체에 결합 및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프레임부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굴착기 암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믹서부는, 회전체 중심부를 관통하며 양 단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및 일면 개방부 테두리와 회전축을 연결하는 다수의 회전스포크;를 더 포함하고, 구동부는, 굴착기의 전원 및 유압케이블과 연결되어 구동되는 유압모터; 유압모터의 일측에 구비되어 모터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스프라켓; 유압모터와 스프라켓을 프레임부에 고정하고 지지하는 모터프레임; 및 스프라켓과 회전체를 띠 형상으로 감싸며 결합되어 스프라켓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A Mortar Mixer for Excavators}
본 발명은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에 관한 것으로서, 굴착기에 몰타르 믹서를 연결하고 회전체 내부에 시멘트, 골재 등 고체 재료와 물 등 유체 재료를 넣은 뒤 굴착기의 전원과 유압케이블을 믹서에 부착된 유압모터에 연결하여 회전체를 회전함으로써 몰타르 반죽을 할 수 있으며, 몰타르 믹서를 몰타르 사용이 필요한 곳으로 이동한 후 회전체를 기울여 완성된 몰타르를 토출함으로써 시공에 즉시 사용할 수 있어서, 레미콘이 사용되기 어려운 조건이거나 협소한 작업 환경에서 몰타르 반죽이 사람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뤄지지 않고 굴착기에 연결하여 빠르고 편리하며 우수한 품질로써 제작 및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에 관한 것이다.
시멘트, 골재, 물, 폴리머 등을 혼합하여 교반하게 되면 몰타르가 형성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반죽이 완성되는데, 이 몰타르를 형성하고 시공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레미콘 차량이 아직 굳지 않은 상태로 배달되는 콘크리트를 믹서로 교반하면서 운반하여 시공현장에 도착하면 완성된 몰타르 반죽 혼합물을 토출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는 대규모 공사현장에서 다량의 콘크리트 몰타르가 사용될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외 공사규모가 작아서 레미콘 차량을 이용할 정도로 몰타르 양이 많이 필요하지도 않고 공사비도 적게 소요되는 소규모 공사인 경우, 또는 레미콘 차량이 출입할 수 없는 협소한 공사 현장 등에서는 이용하기 힘든 제약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상황의 공사 현장이라면 일반적으로는 지면에 큰 용기를 놓고 용기 내에 시멘트, 골재, 물 등 콘크리트 몰타르 제조를 위한 각종 재료를 넣은 뒤 사람이 삽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직접 혼합 작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경우 사람에 의해 이뤄지는 수작업이므로 시간과 노동력 소모가 클 뿐 아니라 한 번에 제조할 수 있는 양도 제한적이므로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며, 게다가 숙력된 노동자가 아닌 경우 몰타르의 품질 저하가 우려되는 데다 숙력된 노동자라 하더라도 매번 동일한 품질의 몰타르가 생산되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이에 거의 모든 시공현장에서 굴착기가 사용되므로 굴착기의 전원과 구동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몰타르를 교반하는 장치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나, 대체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클 뿐 아니라, 굴착기와의 결합 방식이 단일 크기의 굴착기에만 가능하도록 한정되어 있어서 굴착기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단일 몰타르 교반 장치를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단일 교반 장치로써 다양한 크기의 굴착기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동시에 굴착기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여 시공현장에서 간단하고 손쉬운 절차로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 몰타르 혼합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7778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굴착기에 몰타르 믹서를 연결하고 회전체 내부에 시멘트, 골재 등 고체 재료와 물 등 유체 재료를 넣은 뒤 굴착기의 전원과 유압케이블을 믹서에 부착된 유압모터에 연결하여 회전체를 회전함으로써 몰타르 반죽을 할 수 있으며, 몰타르 믹서를 몰타르 사용이 필요한 곳으로 이동한 후 회전체를 기울여 완성된 몰타르를 토출함으로써 시공에 즉시 사용할 수 있어서, 레미콘이 사용되기 어려운 조건이거나 협소한 작업 환경에서 몰타르 반죽이 사람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뤄지지 않고 굴착기에 연결하여 빠르고 편리하며 우수한 품질로써 제작 및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는, 일면은 개방되며 타면은 폐쇄된 드럼 형상의 회전체 내부공간에 고체 및 유체 재료를 혼합 반죽하여 몰타르를 생성하는 믹서부; 믹서부의 외부를 감싸면서 결합하고 지지하는 프레임부; 프레임부 상면 타측에 구비되고 회전체에 결합 및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프레임부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굴착기 암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믹서부는, 회전체 중심부를 관통하며 양 단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및 일면 개방부 테두리와 회전축을 연결하는 다수의 회전스포크;를 더 포함하고, 구동부는, 굴착기의 전원 및 유압케이블과 연결되어 구동되는 유압모터; 유압모터의 일측에 구비되어 모터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스프라켓; 유압모터와 스프라켓을 프레임부에 고정하고 지지하는 모터프레임; 및 스프라켓과 회전체를 띠 형상으로 감싸며 결합되어 스프라켓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벨트;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는, 회전체의 상부에서 회전축 방향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의 일단에서 하향 수직 연장되며 내측면에 요홈 형성된 축결합공에 회전축 일단이 연결되는 전면프레임; 상부프레임의 타단에서 하향 수직 연장되며 내측면에 요홈 형성된 축결합공에 회전축 타단이 연결되는 후면프레임; 전면프레임 및 후면프레임 각각의 하단에서 복수 갈래로 하향 사선으로 연장되는 연결레그;와 회전체 측단을 따라 마주하는 연결레그를 상호 연결하며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레그;로 구성되는 하부프레임; 및 회전체 일면 하부에 전방으로 배치되고 양단은 연결레그에 결합되어 회전체 내부공간의 몰타르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토출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ㄷ자 형상으로 하면은 프레임부에 부착되고 양 측면은 프레임부 상면에서 직립 형성되어 내측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 및 브라켓의 내측을 가로지르며 양 측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커넥팅로드;를 더 포함하되, 복수의 커넥팅 로드는 직경 및 브라켓 결합위치가 상이하여 굴착기 암에 형성된 커넥팅 링크의 크기에 따라 선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프레임은, 받침레그의 하면에 다수 부착되는 고정단;을 더 포함하고, 고정단은, 측단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지면 및 측면 구조물에 밀착되어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벨트는, 체인 형상으로 구비되고, 회전체는, 외주면에 띠 형상으로 다수의 돌기가 연속 형성된 체인트랩;을 포함하여, 체인트랩은 구동벨트와 체인 결합되어 구동체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결합력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간단한 결합 절차로써 몰타르 믹서를 굴착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분리가 간단하며 다양한 크기의 굴착기에 모두 적용가능하여 확장성이 뛰어나다.
둘째, 레미콘을 사용하기 어려운 조건이거나 협소한 시공 현장에서 사람에 의해 수작업으로 몰타르 반죽을 하지 않고도, 굴착기를 이용하여 빠르고 쉬우며 고품질의 콘크리트 몰타르 반죽을 제조할 수 있어, 공사기간의 단축은 물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비용경제적이다.
셋째, 굴착기의 전원과 유압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별도의 전원 장치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작 및 유지보수가 쉽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넷째, 필요에 따라서 프레임부의 외면을 감싸는 스크린부재를 부착할 수 있으며 이로써 구동벨트나 회전체를 보호하는 기능이 추가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의 정면 일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타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공고리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 교반날개가 구비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 지지날개가 구비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의 정면 일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타측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공고리판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 교반날개가 구비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 지지날개가 구비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10)는 굴착기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전원이 공급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즉 굴착기의 암 선단에 부착된 버킷을 분리하고 암을 본 발명의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10)에 끼움 결합하여 지지력을 제공하고, 버킷실린더를 전원 장치에 연결하여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10)에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몰타르 반죽 교반 활동이 이뤄지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10)는 믹서부(100), 프레임부(200), 구동부(300) 및 커넥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믹서부(100)는 시멘트, 골재 등의 고체재료와 물, 폴리머 등의 유체재료가 혼합되어 교반되는 믹싱의 기능을 수행하여 실질적으로 몰타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프레임부(200)는 믹서부(100)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틀로써 장착되며 구동부(300)와 커넥터(400)가 부착 고정되고, 구동부(300)는 믹서부(100)가 프레임 내에서 교반 작용을 할 수 있는 전기적 및 기계적 동력을 제공하며, 커넥터(400)는 프레임과 굴착기를 결합시키는 틀로써 기능을 한다.
우선 믹서부(100)는 회전체(110), 회전축(120) 및 회전스포크(130)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체(11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드럼의 형상으로써 일면은 개방되고 타면은 폐쇄되며 내부공간이 구비되는데, 따라서 고체재료와 유체재료가 일면을 통해 인입되고 내부공간에 수용되면 일면을 높게 하고 타면을 낮게 기울인 상태에서 회전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내부공간의 콘크리트 몰타르 재료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혼합되도록 교반할 수 있다.
회전축(120)은 회전체(11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데 양단은 회전체(110)의 일면과 타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면서 프레임에 결합이 되고, 이때 회전축(120)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구동부(300)가 회전체(110)를 회전시키면 회전체(110)는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이뤄질 수 있다.
회전축(120)의 타측은 회전체(110)의 폐쇄된 타면을 관통하면서 회전체(110) 타면과 결합이 이뤄지는데, 회전축(120)의 일측은 회전체(110)의 일면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회전체(110) 일면과 직접 결합될 수 없다.
따라서 회전체(110) 일면에는 개방된 일면 중심부로부터 테두리에 방사형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회전스포크(130)가 형성되는데, 회전스포크(130)는 회전체(110)의 일면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120)과 회전체(110) 일면 테두리를 연결하면서 회전체(110) 일측이 회전체(110)의 중심부에서 위치가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회전축(120)이 회전체(110)의 중심부를 관통하면서 일측과 타측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면 회전축(120)의 양단은 회전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어 회전체(110)가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편의에 의해 본 설명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회전체(110)의 일면은 전면으로, 회전체(110)의 타면은 후면으로 정의하여 혼용하도록 한다.
프레임부(200)는 믹서부(100)의 외관을 감싸는 틀로써 구비되어 보호 및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상부프레임(210), 전면프레임(220), 후면프레임(230), 하부프레임(240) 및 토출프레임(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210)은 회전체(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 형상의 프레임으로써 회전축(120) 방향과 나란히 수평하게 설치되며, 전면프레임(220)은 상부프레임(210)의 일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회전체(110)의 일면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후면프레임(230)은 전면프레임(2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프레임(210)의 타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회전체(110)의 타면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전면프레임(220) 및 후면프레임(230)의 길이는 하단부가 회전축(120)에 결합되는 수준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면프레임(220) 및 후면프레임(230)의 하단은 회전체(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지점에 위치하게 되며, 그 길이가 너무 길면 전면프레임(220) 및 후면프레임(230)이 회전체(110)의 일면, 즉 전면 개방부를 막는 겹침 영역이 커지므로 회전축(120)이 결합되는 수준에서 마무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면프레임(220) 및 후면프레임(230)의 내측면에는 회전축(120)이 결합되는 지점에 축결합공(221,231)이 요홈 형성될 수 있어서, 회전축(120)이 축결합공(221,231)에 끼움 결합되면 전면프레임(220) 및 후면프레임(2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체(110)에 대한 지지력이 제공될 수 있고, 또한 회전체(110)를 회전하는 힘이 작용되면 회전축(120)이 축결합공(221,231)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이 이뤄지면서 회전체(110) 또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하부프레임(240)은 전면프레임(220) 및 후면프레임(230)과 결합되고 상호 연결시키면서 믹서부(100)의 하부를 보호하고 본 발명의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10)가 지면 또는 측벽에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하부프레임(240)은 연결레그(241)와 받침레그(242)로 구성되는데, 연결레그(241)는 전면프레임(220) 및 후면프레임(230) 각각의 하단에서 복수 갈래, 즉 양 갈래로 하향 사선으로 연장되면서 전면 및 측면에서 목측 시 전면프레임(220) 및 후면프레임(230) 각각과 연결레그(241)의 결합협태는 ㅅ자 형상을 갖추게 되고, 선단의 위치는 회전체(110)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더 길게 형성된 지점에 자리하게 된다.
받침레그(242)는 서로 마주하는 전면프레임(220) 일측 연결레그(241)와 후면프레임(230) 일측 연결레그(241)를 연결하고, 또한 상호 마주하는 전면프레임(220) 타측 연결레그(241)와 후면프레임(230) 타측 연결레그(241)를 연결하게 되는데, 따라서 받침레그(242)는 회전체(110)의 측단을 따라 회전체(1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회전체(110) 하부에 양 측으로 두 개가 형성되면서 측면에서 목측 시 두 개의 연결레그(241)와 한 개의 받침레그(242)는 상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본 발명의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10)를 지면에 놓았을 때 받침레그(242)가 지면에 닿게 되면서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받침레그(242)의 하면에는 판상의 고정단(243)이 부착되어 지면 및 측벽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고정단(243)의 측단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마치 톱니와 같은 모습을 갖출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10)가 지면에 놓여졌을 때 고정단(243)이 가장 하단에서 지면에 맞닿게 되고, 이때 측단이 지면에 밀착되어 쐐기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프레임부(200)가 전체적으로 지면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고정단(243)의 측단 뿐 아니라 바닥면에도 무수히 많은 원형 돌기나 쐐기형 돌기가 엠보싱 형태로 형성되면서 지지력을 증대할 수 있으며, 고무 재질 등 미끄럼 방지 효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 지지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연결레그(241) 및 받침레그(242)는 길게 형성된 판상의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연결레그(241)가 넓은 면을 전면과 후면을 향하도록 하여 전면프레임(220) 및 후면프레임(230)에 결합이 되면 받침레그(242)는 연결레그(241) 하단에 결합되되 측면 대각선 상부를 향하는 면에 대향되면서 부착이 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연결레그(241)와 받침레그(242)는 서로 테두리 결합이 이뤄지면서 결합 지지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는데 이의 보완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고정단(243)은 연결레그(241)와 받침레그(242)가 테두리 결합된 ㄱ자 형상의 모서리 하단을 차단하듯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연결레그(241)와 받침레그(242) 및 고정단(243)이 각각 직각 상태로 결합되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단(243)은 바람직하게는 연결레그(241)와 받침레그(242)의 결합부에 대향되도록 받침레그(242)의 양 단에 설치되는데, 받침레그(242)의 길이방향에 따른 지지력 보강을 위해 받침레그(242)의 양 측단에 구비된 고정단(243)이 각각 연장되면서 받침레그(242)의 내측면을 따라 이어져 받침레그(242)의 하단과 내측면 전체에 결합되고 지지하는 단일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받침레그(242)의 내측면에서 고정단(243) 연장부는 요철 형상으로 구비되어 양 측단과 중앙부가 단차 형성된 계단식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기다란 널빤지 형상의 받침레그(242)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고정단(243)이 기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레그(241)의 측면 대각선 상부 면에 받침레그(242)가 결합이 되었다면, 전면프레임(220)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레그(241) 사이에는 마주하는 측면 대각선 하부 면을 연결하는 토출프레임(250)이 구비될 수 있다.
토출프레임(250)은 양 측단이 연결레그(241)에 결합되면서 회전체(110)의 일면 하부 전방으로 배치되는데, ㄷ자 형상의 판상으로써 바닥면과 양 측면이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되어 회전체(110)에서 혼합 반죽된 몰타르가 프레임부(200)의 전면으로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토출프레임(250)의 원활한 결합을 위해 연결레그(241)의 내측 하단부는 토출프레임(250)을 향해 삼각형 또는 모서리가 절단된 사각형으로 돌출된 다각형 돌출부(241c)가 형성된 상태로 토출프레임(250)의 측면과 접할 수 있으며, 상기 다각형 돌출부(241c)와 토출프레임(250)의 접속부에는 통공고리판(241a)이 구비되어 돌출부(241c)와 토출프레임(250)을 연결하고, 체결부재(241b)가 통공고리판(241a)을 토출프레임(250)에 결속시킴으로써 토출프레임(250)과 연결레그(241)를 단단히 결합 고정할 수 있다.
통공고리판(241a)은 곡면 부분이 길게 늘어진 반원형으로써 곡면 내측으로는 통공이 형성되고 중심부 평면으로는 내측에 토출프레임(250)의 상기 다각형 돌출부(241c)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요홈 형상의 결합공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프레임(250)의 다각형 돌출부(241c)를 통공고리판(241a)의 결합공에 끼운 상태로 통공고리판(241a)을 토출프레임(250)의 양 단에 밀착시키면 통공고리판(241a)은 하면 전체가 토출프레임(250)에 평면 밀착된 상태가 되고 이에 의해 연결레그(241)에 토출프레임(250)이 접합된 형상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통공고리판(241a)의 곡면부 중심 통공에 체결부재(241b)를 삽입하여 조이게 되면 체결부재(241b)는 통공고리판(241a)과 토출프레임(250)을 결속시키고, 연결레그(241)는 통공고리판(241a)에 결합된 상태로 토출프레임(250)에 결합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연결레그(241)와 토출프레임(250)의 결속력 강화를 위해 상호 접합 부위는 용접을 통해 고정을 하고 결속력 보완을 위해 통공고리판(241a)이 추가로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써 용접 작업 없이 통공고리판(241a)과 체결부재(241b)에 의해서만 토출프레임(250)이 연결레그(241)에 결속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10)를 현장에서 조립 사용하고 사용 완료된 후에는 해체하여 다른 작업 장소로 이동하는 등 토출프레임(250)의 조립식 결합과 해체를 원활하게 하고 적재 이동 시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돌출부(241c)는 직각 삼각형으로써 빗변이 연결레그(241)에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면서 직각을 형성하는 밑변과 수직변의 모서리 부분이 통공고리판(241a)에 끼움 결합되며, 이때 모서리 부분이 절곡되어 삼각형이 아닌 다각형이라 하더라도 밑변과 수직변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이 통공고리판(241a)에 결합되는 것은 변함 없다.
이때 돌출부(241c)가 통공고리판(241a)에 끼워진 채로 토출프레임(240)에 결합되는 것과 상관 없이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 연결레그(241)는 돌출부(241c)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돌출부(241c)의 밑변은 지면과 평행하면서 지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고 수직변은 밑변으로부터 직립된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지지력을 확보하게 되며, 고정단(243)은 돌출부(241c)의 밑변과 경사진 방향, 즉 연결레그(241)의 진행방향으로 지면과 사선으로 결합되면서 프레임부(200)가 측면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결국 돌출부(241c)의 형상은 지면에 안착되고 직립을 지지하는 기둥 및 받침대의 기능을 하게 되고, 아울러 고정단(243)이 측면지지 기능을 하게 되면서 프레임부(200) 전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데 의의가 있다.
구동부(300)는 유압모터(310), 스프라켓(320), 모터프레임(340) 및 구동벨트(330)로 구성되는데, 유압모터(310), 스프라켓(320), 모터프레임(340)은 프레임부(200) 상면 타측에 구비되며, 구동벨트(330)는 스프라켓(320)에 결합된 상태로 동시에 회전체(110)를 감싸며 형성되어 스프라켓(320)과 회전체(110) 전체를 묶는 원형의 벨트로 형성될 수 있다.
유압모터(310)는 굴착기의 전원 및 유압케이블과 연결되어 구동된다.
스프라켓(320)은 유압모터(3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결되는데 스프라켓(320)의 외주면에는 구동벨트(330)가 감긴 상태이며, 유압모터(310)가 구동되어 스프라켓(320)을 회전시키면 스프라켓(320)에 결합된 구동벨트(330)가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모터프레임(340)은 유압모터(310)와 스프라켓(320)을 프레임부(200) 상면, 즉 상부프레임(210)의 상면에 고정하고 지지하며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틀로써 기능을 하는 데, 바람직하게는 ㄴ자 앵글과 같은 형상으로써 수평 바닥판은 상부프레임(210)에 면 부착되면서 나사, 용접 등의 결속부재에 의해 고정이 되고, 수직 측면판을 기준으로는 일측에 스프라켓(320)이 배치되고 타측에 유압모터(310)가 구비되어 측면판 타측에 유압모터(310)를 결합시켜 고정하면 측면판 타측에 스프라켓(320)이 측면판을 관통하면서 유압모터(310)에 결속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로써 유압모터(310)와 스프라켓(320)은 모터프레임(340)에 결합 고정된 상태가 되고, 모터프레임(340)은 상부프레임(210)에 결합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결합상태가 강하게 결속될 수 있어야 스프라켓(320)의 회전으로 구동벨트(330)가 회전할 때 유압모터(310)와 스프라켓(320)이 회전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분리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벨트(330)는 스프라켓(320)과 회전체(110)를 띠 형상으로 감싸며 결합되어 스프라켓(320)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110)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 매체로써 기능을 하게 되며,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에 맞는 몰타르 교반 생성의 작업을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구동벨트(330)는 마찰력과 강도가 높은 재질로써 소정 너비로 형성되어 회전체(110)의 외표면에 밀착하면서 팽팽하게 스프라켓(320)과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그래야 스프라켓(320)의 회전 시 구동벨트(330)가 회전하면 회전체(110)에 미끄러지지 않고 단단히 움켜쥐듯이 잡고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회전체(110)의 원활한 회전과 구동부(300)의 손실 없는 동력 전달을 위하여 구동벨트(330)와 회전체(110), 구동벨트(330)와 스프라켓(320)이 더욱 단단하게 결합되고 스프라켓(320) 회전력이 그대로 회전체(110) 회전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구동벨트(330)는 체인 형상(미 도시)으로 구비되고, 회전체(110)의 외주면에는 구동벨트(330)와 접하는 선형 구간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연속 형성되는 체인트랩(미 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구동벨트(330)의 체인 통공이 체인트랩의 돌기에 결합이 되면서 회전체(110) 외주면 전체 구간에 걸쳐 구동벨트(330)와 외주면이 체인과 트랩으로 톱니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따라서 강력한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스프라켓(320)이 회전하면 구동벨트(330)가 회전되어지되 회전체(110) 외주면을 단단히 결속하여 회전할 수 있어 유압모터(310)에 인가된 구동부(300)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고 회전속도와 회전수를 증가할 수 있으므로 몰타르 교반이 더욱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벨트(330)는 스프라켓(320)과 회전체(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는 데, 이 상태에서 구동벨트(330)에 어떠한 외력이 가해져 물리적 손상이 발생할 우려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압모터(310)의 구동과 스프라켓(320) 및 구동벨트(330)의 회전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이의 방지를 위해 구동벨트(330)가 위치하는 구간을 따라서 구동부(300)와 회전체(110)의 외측을 감싸는 벨트외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벨트외피는 제1 실시방안으로써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구동부(300)와 상부프레임(210) 및 회전체(110)를 감싸면서 형성되고 하단은 받침레그(242)에 결합되어, 상부로는 모터프레임(340)에 지지되고 하부로는 받침레그(242)에 지지되는 판상의 프레임 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벨트외피는 제2 실시방안으로써 강도가 높고 신축성이 뛰어난 인조가죽, 합성수지 재질의 직물 스타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벨트외피는 모터프레임(340)의 수직 측면 상단과 복수의 받침레그(242) 외측단을 이으면서 원형으로 형성되어 구동벨트(330)에 닿지 않아 회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외부로 구동벨트(330)가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제2 실시방안을 위해 모터프레임(340)은 복수의 수직 측면으로 구성되고 상단이 연결되어 상면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측면 사이 공간에 스프라켓(32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소정 너비로 형성된 벨트외피가 모터프레임(340)의 수직 측면에 넓게 걸치면서 회전체(110) 외부로 이어지고 받침레그(242)에 연결되면서 구동벨트(330)의 너비 대비 넓은 면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400)는 프레임부(200) 상면 타측, 즉 상부프레임(210)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어 상부프레임(210)과 결속되고 굴착기 암에 착탈 결합되어 프레임부(200)와 굴착기를 연결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커넥터(400)는 브라켓(410) 및 커넥팅로드(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410)은 ㄷ자 형상의 앵글 프레임으로 전면과 후면, 상면은 개방된 형상이고 하면은 프레임부(200), 즉 상부프레임(210)의 상면에 부착되고 양 측면은 상부프레임(210)의 상면에서 직립 형성되는데 그 폭은 상부프레임(210) 상면의 폭에 대향되면서 양 측면과 하면 사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커넥팅로드(420)는 브라켓(410)의 내측을 가로지르며 양 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양 측면이 형성하는 개방된 상면에 인접하도록 양 측면의 상단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커넥팅로드(420)가 나란히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커넥팅로드(420)는 브라켓(410)의 상면을 커버하듯 다수의 봉이 설치된 형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브라켓(410) 양 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마주하며 수평 형성되는 한 쌍의 통공이 다수 구성되어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커넥팅로드(420)는 상기 통공에 맞춰 수평상태로 끼워지면서 착탈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굴착기는 암에 연결된 버킷을 분리한 후 암을 커넥터(400)에 결합할 수 있는데, 커넥팅로드(420)를 뺀 상태에서 굴착기 암을 브라켓(410) 양 측면 사이에 끼워 넣은 후 암에 형성된 버킷 링크 구멍을 커넥팅로드(420) 구멍에 맞춰 배치한 후 커넥팅로드(420)를 삽입하면 굴착기 암과 커넥터(400)를 결합할 수 있다.
그런데 굴착기는 크기가 다양하여 암의 크기 및 버킷 링크 구멍의 직경도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굴착기 암을 커넥터(400)에 잘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의 굴착기 암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 커넥팅로드(420)의 직경도 다양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브라켓(410)의 양 측면의 높이는 일단은 높고 타단은 낮아서 타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굴착기 암이 상대적으로 크면 클수록 브라켓(410)에 결합된 후 회전 반경이 많이 확보되어야 하고, 암이 작을수록 회전 반경이 좁아야 하는데, 이는 굴착기 암이 커넥터(4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암의 꺾임 각도를 조절하여 회전체(110)을 일방향 혹은 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으로써, 굴착기 암을 꺾을 때 암이 커넥터(400) 하면에 닿으면서 그 지지력에 의해 회전체(110)가 기울어지는 것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굴착기 암의 크기에 비례하여 커넥터(400) 내측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양 측면의 높이를 경사지게 형성하면 굴착기 암의 크기에 맞춰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굴착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굴착기의 크기에 비례하여 암과 버킷을 연결하는 링크 구멍의 직경이 설정되므로, 커넥팅로드(420) 또한 브라켓(410)의 양 측면이 높은 곳에 형성된 것일수록 직경이 크고, 반대로 경사져 낮은 곳에 형성된 커넥팅로드(420) 일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라 회전체(110)의 내부에는 교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교반날개(111)가 구비될 수 있다.
교반날개(111)는 단면이 산 모양을 하는 앵글과 같은 형상으로써 회전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형성되되, 각각의 교반날개(111)는 회전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부착되고 다수의 교반날개(111)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전체(110) 내주면을 빙 둘러 구성이 된다.
이때 앵글의 개방면이 회전체(110)의 내주면에 접하게 하고, 앵글의 산 모양 절곡부가 회전체(110) 내부 중심을 향하게 하면서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회전체(110) 내부에 콘크리트 재료가 투입되고 회전이 이뤄지면 콘크리트 재료들은 교반날개(111)에 의한 충돌에 의해 휘젓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므로 회전만 하는 것보다 몰타르 믹싱 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로써 지지날개(112)가 회전체(110)의 타면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날개(112)는 회전체(110)의 타면 외측과 회전축(120)을 연결하면서 형성되는데, 회전체(110)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회전축(120)의 소정 위치와 회전체(110) 타면 외측 테두리에 인접한 지점을 연결하면서 직각삼각형의 판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다수 형성된다.
회전체(110)의 전면은 개방된 형태이면서 회전축(120)에 다수의 회전스포크(130)가 결합되어 지지하면서 회전체(110)와 회전축(120)이 형태 및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목적으로 회전체(110)의 타면 즉 후면에도 회전축(120)과 회전체(110)의 결합 외에 상호 결합력을 증대하고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 기능을 지지날개(112)가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회전축(120)이 회전체(110)의 타면을 관통해야 하고 회전체(110) 타면에 형성된 축결합공(231)은 요홈이 아니라 회전축(120)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통공 형성되어야 한다.
지지날개(112)가 구비되면 회전체(110) 자체의 무게 뿐 아니라 회전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높은 중량의 콘크리트 재료와 교반된 몰타르의 무게를 회전체(110)와 회전축(120)이 버티고 지지하는 것을 보강할 수 있게 되며, 믹서부(100)의 파손을 방지하고 온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굴착기와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10)를 연결이 이뤄진다.
먼저 굴착기용 암을 커넥터(400)에 결속시키는데, 암의 크기에 맞춰 커넥팅로드(420)의 통공을 결정하고 굴착기 암의 버킷 링크 구멍을 커넥팅로드(420) 구멍에 맞춰 배치한 후 해당 통공의 직경에 해당하는 커넥팅로드(420)를 삽입하여 굴착기 암과 커넥터(400)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유압모터(310)에 굴착기의 전원 케이블과 유압 케이블을 연결하여 굴착기의 전원과 유압펌프력을 유압모터(310)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후 전원 공급을 개시하면 구동부(300)의 준비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굴착기를 운전하여 암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회전체(110)를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하되 개방된 전면은 위로 향하게 하고 폐쇄된 후면은 아래로 향하게 한 후에, 회전체(110) 내부에 시멘트, 골재, 물 등 콘크리트 몰타르 제조를 위한 고체 및 유체 재료를 삽입한다.
재료 삽입이 완료되면 유압모터(310)를 가동하여 스프라켓(320)을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구동벨트(330)가 회전되면서 회전체(110)가 따라서 회전하게 되어, 회전체(110) 내부에서 콘크리트 재료가 교반되면서 몰타르 제조가 이뤄지게 된다.
몰타르 제조가 완료되면 굴착기를 운전하고 굴착기 암을 조절하여 회전체(110)의 전면이 대상 위치를 향하게 한 후 토출프레임(250)을 몰타르를 붓고자 하는 위치에 대향되도록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받침레그(242)가 지면에 닿게 되고 고정단(243)이 지면에 밀착되어 지그재그 형 측단이 지면에 쐐기와 같이 박히면서 안정적인 위치 및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배치가 완료되면 굴착기 암의 각도를 조절하여 회전체(110)의 전면이 하부로 향하고 회전체(110)의 후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하여 회전체(110) 내부의 몰타르가 회전체(110) 밖으로 쏟아지게 한다. 그렇게 되면 몰타르는 토출프레임(250)을 타고 대상 지점에 토출되고 그 무게가 상당하여 프레임부(200)에 일시적으로 큰 부하가 집중될 수 있는데, 고정단(243)이 지면에 단단히 밀착되고 박힌 상태로 프레임부(200)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몰타르 배출은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토출이 완료되면 회전체(110)의 각도를 조절하고 수평을 유지하고 프레임부(200)를 들어올린 후 타 지점으로 옮길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의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10)에 의한 몰타르 제조 및 사용준비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
100 : 믹서부
110 : 회전체
120 : 회전축
130 : 회전스포크
200 : 프레임부
210 : 상부프레임
220 : 전면프레임
230 : 후면프레임
240 : 하부프레임
250 : 토출프레임
241 : 연결레그
241a : 통공고리판
241b : 체결부재
241c : 돌출부
242 : 받침레그
243 : 고정단
300 : 구동부
310 : 유압모터
320 : 스프라켓
330 : 구동벨트
340 : 모터프레임
400 : 커넥터
410 : 브라켓
420 : 커넥팅로드

Claims (5)

  1. 일면은 개방되며 타면은 폐쇄된 드럼 형상의 회전체 내부공간에 고체 및 유체 재료를 혼합 반죽하여 몰타르를 생성하는 믹서부;
    믹서부의 외부를 감싸면서 결합하고 지지하는 프레임부;
    프레임부 상면 타측에 구비되고 회전체에 결합 및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프레임부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굴착기 암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믹서부는,
    회전체 중심부를 관통하며 양 단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및
    일면 개방부 테두리와 회전축을 연결하는 다수의 회전스포크;를 더 포함하고,
    구동부는,
    굴착기의 전원 및 유압케이블과 연결되어 구동되는 유압모터;
    유압모터의 일측에 구비되어 모터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스프라켓;
    유압모터와 스프라켓을 프레임부에 고정하고 지지하는 모터프레임; 및
    스프라켓과 회전체를 띠 형상으로 감싸며 결합되어 스프라켓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벨트;를 더 포함하는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부는,
    회전체의 상부에서 회전축 방향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의 일단에서 하향 수직 연장되며 내측면에 요홈 형성된 축결합공에 회전축 일단이 연결되는 전면프레임;
    상부프레임의 타단에서 하향 수직 연장되며 내측면에 요홈 형성된 축결합공에 회전축 타단이 연결되는 후면프레임;
    전면프레임 및 후면프레임 각각의 하단에서 복수 갈래로 하향 사선으로 연장되는 연결레그;와 회전체 측단을 따라 마주하는 연결레그를 상호 연결하며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레그;로 구성되는 하부프레임; 및
    회전체 일면 하부에 전방으로 배치되고 양단은 연결레그에 결합되어 회전체 내부공간의 몰타르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토출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
  3.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ㄷ자 형상으로 하면은 프레임부에 부착되고 양 측면은 프레임부 상면에서 직립 형성되어 내측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 및
    브라켓의 내측을 가로지르며 양 측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커넥팅로드;를 더 포함하되,
    복수의 커넥팅 로드는 직경 및 브라켓 결합위치가 상이하여 굴착기 암에 형성된 커넥팅 링크의 크기에 따라 선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
  4. 제2항에 있어서,
    하부프레임은,
    받침레그의 하면에 다수 부착되는 고정단;을 더 포함하고,
    고정단은,
    측단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지면 및 측면 구조물에 밀착되어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
  5. 제1항에 있어서,
    구동벨트는,
    체인 형상으로 구비되고,
    회전체는,
    외주면에 띠 형상으로 다수의 돌기가 연속 형성된 체인트랩;을 포함하여,
    체인트랩은 구동벨트와 체인 결합되어 구동체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결합력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
KR1020210185874A 2021-12-23 2021-12-23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 KR20230096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874A KR20230096411A (ko) 2021-12-23 2021-12-23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874A KR20230096411A (ko) 2021-12-23 2021-12-23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411A true KR20230096411A (ko) 2023-06-30

Family

ID=8695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874A KR20230096411A (ko) 2021-12-23 2021-12-23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64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780B1 (ko) 2011-04-13 2011-11-08 나승국 초속경 콘크리트 및 폴리머개질 콘크리트용 토출 겸용 혼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780B1 (ko) 2011-04-13 2011-11-08 나승국 초속경 콘크리트 및 폴리머개질 콘크리트용 토출 겸용 혼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8744A (ko) 몰탈 혼합기
KR102198431B1 (ko) 포터블 믹싱장치
US20060034146A1 (en) Slurry mixing apparatus
KR20230096411A (ko) 굴착기용 몰타르 믹서
KR100960897B1 (ko) 교반 장치
CN105563656B (zh) 一种混凝土搅拌车
CN209775105U (zh) 一种砂浆搅拌机
CN208359069U (zh) 一种砂浆搅拌机
CN215790743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混凝土搅拌装置
CN209381083U (zh) 一种涡旋式搅拌装置
CN112755899A (zh) 一种沥青混合材料搅拌设备振动筛组件及其使用方法
CN214772932U (zh) 一种卧式混凝土搅拌机
RU2224646C1 (ru) Растворобетоносмеситель
CN213034945U (zh) 一种便捷式翻转卸料式混凝土搅拌桶
CN214110915U (zh) 一种用于建筑工地上的水泥预混装置
CN106003422A (zh) 一种混凝土搅拌车
JP3934797B2 (ja) 舗装材料の簡易ミキサー
CN211806935U (zh) 搅拌机配件
JPH08246475A (ja) 深礎坑内壁ライニング方法および装置
CN218488745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打浆机
KR200375882Y1 (ko) 건축용 수동식 시멘트 혼합기
CN212980306U (zh) 一种园林景观工程施工用水泥运输装置
JP4594339B2 (ja) セメント混練材の攪拌装置
CN219765098U (zh) 一种混凝土减水剂制备装置
CN107856189A (zh) 一种水泥搅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