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092A -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092A
KR20230096092A KR1020237018303A KR20237018303A KR20230096092A KR 20230096092 A KR20230096092 A KR 20230096092A KR 1020237018303 A KR1020237018303 A KR 1020237018303A KR 20237018303 A KR20237018303 A KR 20237018303A KR 20230096092 A KR20230096092 A KR 20230096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protection
seat
protection device
side impact
c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츠 펠레스카
로버트 시코라
하랄드 콜만
루카스 스터레커
Original Assignee
시벡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벡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시벡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9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side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seat sub-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3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front guard 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카시트 및 포장을 포함하는 시스템, 카시트 포장 방법 및 카시트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용 카시트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휴식 위치로 이동하거나 휴식 위치에 있거나 휴식 위치에 머무르는 것을 방해 또는 불가능하게 하거나 방지하여 안전 측면에서 작동이 개선되며, 특히 오용 또는 설정 누락 또는 잘못된 설정의 위험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카시트 및 포장을 포함하는 시스템, 카시트 포장 방법 및 카시트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있는 어린이용 카시트가 알려져 있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휴식 자세와 기능적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자동 또는 자동 이동을 제공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칙적으로 이 유형의 유아용 카시트는, 예를 들어 EP 2 275 303 A1에서 파생될 수 있다.
DE 20 2012 102 471 U1은, 예를 들어 접거나 빼내거나 부착하여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옮길 수 있는 유사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설명한다. 작동 위치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잠겨 있다.
DE 20 2015 104 791 U1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옮길 수 있는 해결책도 설명되어 있다.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의 이동은 위치 이동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휴식 및 작동 위치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잠긴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이 위치로 옮기면, 휴식 위치의 고정이 자동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휴식 위치의 고정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작동 위치로 되돌릴 수 있도록 작동 장치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US 20 2001 018 76 A1은 휴식 위치뿐만 아니라 작동 위치에서도 래칭 구성 요소에 의한 고정에 대해 설명한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휴식 위치로 편향되어 있다.
선행 기술의 모든 해결책은 안전 관점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간주된다.
EP 2275303 A1 DE 202012102471 A1 DE 202015104791 A1 US 20200101876 A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용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잘못된 사용 또는 잘못된 조정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용 카시트 및 포장을 포함하는 대응 시스템,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카시트 포장 방법 및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카시트 구성 방법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은 특히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상기 목적은 자동차 시트(예를 들어, 자동차용 또는 트럭용)에 장착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에 의해 해결되는데, 상기 유아용 카시트는: 시트 쉘과, 시트 쉘에 부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고, 특히 소정의 폭(예를 들어, 440mm의 표준 폭) 내에 위치한 휴식 위치와 소정의 폭 밖에 위치한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와, 휴식 위치로의 이동(특히 작동 위치의 선택적 잠금/래칭의 이동 및/또는 해제)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 및/또는 휴식 위치의 영구적(특히 외력 및/또는 외부 구조물의 작용 없이) 설정을 방해(및/또는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적절한 경우 동일하거나 다른/추가 수단)을 포함한다. 방해 수단은 독립적인 요소일 수도 있고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시트 쉘의 일부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언급하거나 "방해 수단"으로 통칭하여 언급할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10)로서, 상기 유아용 카시트(10)는 시트 쉘과, 시트 쉘(50)에 부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고, 특히 소정의 폭 내에 위치한 휴식 위치와 소정의 폭 밖에 위치한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포함하며, 휴식 위치로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휴식 위치의 영구적인 설정을 방해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용 카시트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휴식 위치로 이동하거나 휴식 위치에 있거나 휴식 위치에 머무르는 것을 방해 또는 불가능하게 하거나 방지하여 안전 측면에서 작동이 개선되며, 특히 오용 또는 설정 누락 또는 잘못된 설정의 위험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휴식 위치에 있는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2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후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휴식 위치에 있는 상태의 시트 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5a는 도 4에 따른 시트 쉘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도 4와 도 5a에 따른 시트 쉘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는 상태를 다른 관점에서 나타낸 도면.
도 6a는 안쪽에서 본 시트 쉘의 단면도(패딩/패브릭 커버 제외).
도 6b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분해도와 시트 쉘의 단면도.
도 7은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휴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시트 쉘의 절단면을 통해 본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단면도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휴식 위치를 넘어 안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작동 위치(상단)뿐만 아니라 잠기지 않거나 또는 잠긴 휴식 위치(중간 또는 하단)에서의 다른 실시예로서, 각 경우에 시트 쉘의 단면이 포함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의 추가 실시예를 아래에서 본 도면(작동 위치).
도 12는 도 11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를 내부에서 시트 쉘의 방향으로 본 도면.
도 13은 도 11과 도 12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를 위한 리셉터클 영역이 있는 시트 쉘의 단면도를 외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14는 도 13의 단면과 약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 15는 도 13에 따른 시트 쉘에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6 은 도 15의 단면과 약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 17은 시트 쉘의 측면 영역 내부에서 본 도면.
도 18은 측면부재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추가 세부 사항이 포함된 도 17에 따른 관통홀의 확대도.
도 19는 측면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 추가 세부 사항이 포함된 도 17에 따른 관통홀의 확대도.
도 20은 도 17과 유사한 도면에서 커버가 일부만 제거된 도면.
도 21은 도 13과 유사하게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를 위한 리셉터클 영역이 있는 시트 쉘의 단면도.
도 22는 도 21에 따른 시트 쉘과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통과하는 단면도.
도 23은 도 12와 유사하게 도 22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도면.
도 24는 도 21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를 위한 리셉터클 영역을 다른 각도에서 본 도면.
도 25는 도 24에 따른 리셉터클 영역과 도 23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분해도.
도 26은 시트 쉘의 단면과 함께 작동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시트 쉘의 단면과 함께 도 26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더 이상 완전히 잠그지 않고 최대한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시트 쉘의 단면과 함께 도 26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 놓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0은 시트 쉘의 단면과 함께 휴식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1은 도 30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도 30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제1 작동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3은 도 30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완전히 확장되었지만 잠겨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있는 유아용 카시트의 사시도.
본 발명의 핵심 아이디어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휴식 위치로 이동하거나 휴식 위치에 있거나 휴식 위치에 머무르는 것을 방해 또는 불가능하게 하거나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해 수단은 예를 들어, 작동 장치(예를 들어, 작동 위치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휴식 위치의 래칭(latching)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는 제1 및/또는 제2 래칭 장치 참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또는 특히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측면부재,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로부터 후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휴식 위치 뿐만 아니라 작동 위치를 모두 갖는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휴식 위치에서, 가능하게는 적어도 휴식 위치에서)에서 이격된 작동 장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에 직접 또는 그 위에 배치되는 이러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 장치는 특히 그러한 방해 수단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잠금을 해제하거나 조정하기 위한 이러한 작동 장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로부터 적어도 0.5 cm의 거리를 가지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개 및/또는 뚜껑, 특히 은폐 덮개에 의해 덮여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는, 작동 장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특히 측면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예를 들어 측면 충격 보호 장치, 특히 측면부재가 시트 쉘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부착 가능한 경우에는 시트 쉘의 내부 측면)에서만 작동할 수 있다.
휴식 위치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수단은 일반적으로 작동 위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 장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개, 예를 들어 덮개 커버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쿠션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별도의 (아마도 단단하거나 유연한) 덮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또는 측면부재) 자체에서 (직접적으로) 사용자가 (뒤쪽으로 손을 뻗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 (단독으로) 작동하여 휴식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모든 방법은 그러한 수단으로 간주될 수 있다.
휴식 위치의 영구적인 설정을 방해(또는 방지)한다는 것은 특히 유아용 카시트가 (별도의) 해당 작동 장치를 작동하는 등의 방법으로 (외부 힘의 작용 없이) 유아용 카시트 자체의 구조 및 요소로만 휴식 위치를 고정하고 유지하는 것이 가능(또는 불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휴식 위치의 고정이라는 것은 작동 위치 방향으로 작용하는 작은 힘(예 : 1N)에 의해 특히 적어도 측면부재가 휴식 위치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쨌든 이러한 수단을 통해 안전 측면에서 작동이 개선되며, 특히 오용 또는 (작동 위치의) 설정 누락 또는 잘못된 설정의 위험이 줄어든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예를 들어,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에서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조치를 통해 (차단 구조물을 뒤쪽으로 도달하거나 제거할 필요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잠긴) 작동 위치를 해제할 수 있는 이전 해결방법과 상반된다. 선행 기술에서 제안한 이러한 경로는 이제 의도적으로 포기되고, 방해 수단의 형태로 가능한 한 높게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접근 방식 (특히 잠금 해제 등과 관련하여 사용자 편의를 목표로 하는)과는 반대되는 방법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휴식 상태로의 이송이 방해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는, 휴식 위치의 래칭(고정)이 방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의 자동 이송을 위한 위치 이동 장치(이하에서 더 설명)가 구비된다.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따르면, (이 맥락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작동 위치로의 자동 이동을 위한 위치 이동 장치가 존재함) 예를 들어 차단 수단이 부분적인 이동만 허용하거나 휴식 위치의 래칭을 방해하기 때문에 작동 위치의 해제가 방해되거나 (여기서도 작동 위치로의 자동 이동을 위한 위치 이동 장치가 존재함) 작동 위치에서 휴식 위치로의 이동이 방해되는 등 좌석을 (영구적으로 또는 외부 영향 없이) 휴식 위치가 전제되는 설정으로 가져오는 것이 방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특히 접이식 및/또는 확장 가능한 측면 보호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 이송하기 위한 위치 이동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이동 장치는 적어도 (자동화된) 분야에서는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위치 이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사용자의 노력을 증가시키거나 우발적으로, 무의식적으로 및/또는 실수로 (각각의) 동작을 수행할 확률을 낮추는 것을 방해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작동 요소의) 작동 장치의 숨겨진 배열 및/또는 (작동 요소의) 작동 장치의 덮개 배열(특히 덮개로 덮인) 및/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또는 측면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진 (작동 요소의) 작동 장치의 배열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쉘의 외벽 섹션에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가 있고, 적어도 대략적으로 보완적인 내벽 섹션에 작동 장치(작동 요소)가 있으며, 및/또는 어린이용 시트의 내부 영역 및/또는 수용 영역 또는 어린이의 접촉 표면에 작동 장치(작동 요소)의 배열이 있으며, 특히 어린이에 의해 가려지거나 어린이에 의해 요소를 작동하기 위한 공간이 크게 줄어드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경우이다.
원칙적으로 다양한 구현(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이 가능하다.
위치 이동 장치를 갖는 접이식 측면부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식 위치에서의 래칭이 방해될 수 있다.
접이식 측면부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잠겨지거나 래칭된 작동 위치의 해제가 방해받을 수 있다.
위치 이동 장치를 갖춘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위 가능한, 특히 신축 가능한 측면부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휴식 위치의 래칭이 방해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위 가능한, 특히 신축 가능한 측면부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래칭되거나 잠겨진 작동 위치의 해제가 방해될 수 있다.
나사로 조여 변위 가능한 측면부재(예: 나사로 조여 넣거나 뺄 수 있음)는 위치 이동 장치와 함께 존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휴식 위치의 래칭이 방해될 수 있다.
나사로 조여 변위 가능한 측면부재(예: 나사로 조여 넣거나 뺄 수 있음)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동 위치의 래칭이 해제되는 것이 방해될 수 있다.
탈착식 또는 제거 가능한 측면부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래칭되거나 잠겨진 작동 위치의 해제가 방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자동차 시트 (예를 들어, 자동차 또는 트럭)에 장착하기 위한 아동용 시트에 의해 추가로 해결되는데, 상기 아동용 시트는 시트 쉘과, 시트 쉘에 부착되고, 특히 소정의 폭(예를 들어, 표준 폭) 내에 위치한 휴식 위치와, 특히 소정의 폭 외부에 위치한 작동 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마도 완전하게) 자동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이동 장치를 가지며, 여기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작동 위치로부터 휴식 위치로의 완전한 이동에 의해서만 잠길 수 없거나 적어도 독점적으로 (휴식 위치에서) 잠길 수 없다.
따라서 어린이용 카시트 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작동 위치에서 휴식 위치로 (완전히) 이동해도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휴식 위치가 잠기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한 가지 아이디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반드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서 잠글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예: 별도의 잠금 장치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잠금이 가능하다.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휴식 위치의 잠금은 작동 위치에서 휴식 위치로의 전환의 일부가 되어서는 안된다. 반면,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작동 위치의 잠금은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의 완전한 이동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이는 휴식 위치로 완전히 이동하면 휴식 위치의 잠금이 자동으로(예: 래칭 메커니즘의 스냅을 통해) 이루어지는 선행 기술에서 의도적으로 벗어난 것이다. 선행 기술에서 이러한 접근 방식은 아동용 시트 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작동을 단순화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처음에는 사용자 친화적으로 보이는) 해결책을 고의적으로 포기하면 측면 충격 보호 장치와 그에 따른 유아용 시트가 안전 관점에서 개선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예를 들어,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무의식적으로 또는 의도치 않게 휴식 위치로 옮겨졌지만 그로 인해 잠기지 않은 경우, 위치 이동 장치에 의해 다시 작동 위치로 (또는 작동 위치로) 이동(구동)된다.
의도적인 이동(예: 작동 위치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에 의해 차단된 영역에 더 잘 도달하기 위해 일시적으로만 또는 수납 중과 같이 장시간에 걸쳐)을 하더라도 (단독으로) 휴식 위치가 유지(잠금)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위치 이동 장치를 상쇄하는 외력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 즉시) 다시 작동 위치(또는 그 방향으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작동 위치로의 복귀를 잊어버려서 발생하는 위험(예: 주차 공간에서 차량에 유아용 시트를 다시 설치하는 경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잠금이 (적어도 더 높은 확률로) 의도적이고 고의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잠금을 실현하기 위해 별도의 작동이 필요한 경우, 특히 휴식 위치에서 잠금을 실현하기 위해 별도의 첫 번째 작동 장치를 작동해야 하는 경우) 전반적으로 안전성은 향상된다.
실시예에서, 특히 부착 가능한 측면 충격 보호 장치(접이식 또는 확장 가능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도 가능)를 사용하는 경우, 방해 수단은 (잠긴) 작동 위치의 해제를 방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그 수단은 예를 들어, 휴식 위치로의 부분적인 이동만 허용하도록(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를 휴식 위치로 완전히 이동시킬 수 있는 해당 수동 작동 장치가 작동되는 경우에만 휴식 위치로의 완전한 이동을 허용하도록) 휴식 위치로의 이동을 방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린이용 카시트"는 자동차 좌석에 장착하기 위한 모든 유형의 카시트, 특히 베이비 쉘(운반용 손잡이가 있을 수 있음) 또는 유아용 카시트(베이비 쉘이 아니거나 운반용 손잡이가 없이 설계된 것일 수 있음)가 바람직하다. 유아용 카시트는 체격이 다른 어린이에게 적합하거나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어린이'는 0~14세, 가능하면 0~8세 사이의 사람이며, 및/또는 키가 30~140cm, 가능하면 40~120cm 또는 50~105cm 사이의 사람이며, 아기 또는 어린이(아기가 아닌 사람)가 바람직하다.
'위치 이동'은 팽창으로 인한 모양 변경과 같은 상태의 변화가 아닌 위치의 변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이동 중에 측면 충격 보호 장치(또는 적어도 아래에서 더 자세히 정의된 측면부재)의 모양은 변경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쉘은 아동을 수용하는 아동용 시트의 (모든)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쉘은 시트 섹션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등받이 섹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등받이 섹션은 예를 들어 크기 및/또는 위치와 같이 어린이의 크기에 맞게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한 머리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쉘은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아동을 측면으로 지지하는 측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시트 섹션 및/또는 등받이 섹션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시트 쉘은 하나 이상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트 섹션과 등받이 섹션 사이의 각도와 관련하여)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 쉘은 패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베이비 쉘의 경우, 시트 쉘은 즉각적인 좌석 및/또는 즉각적인 등받이를 형성하지 않는 외부 쉘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시트 쉘의 좌석 섹션은 외부 쉘에 배치되고 조절 가능할 수 있는 독립적인 좌석 요소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시트 쉘의 등받이 섹션은 외부 쉘에 배치되고 조절 가능할 수 있는 독립적인 등받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또는 좌석 및 등받이가 시트 쉘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시트 쉘은 구조적으로 어린이를 위한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이를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와 베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는 아동용 시트의 경우, 특히 베이스가 본체의 섹션을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경우에 베이스는 적어도 섹션에서 시트 쉘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등받이 지지 표면은 카시트에 앉은 어린이의 등을 받치도록 고안된 카시트의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 지지 표면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하나의 평면에 있거나 곡선이 없거나 적어도 약간만 구부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린이의 측면에 대한 지지 표면은 등받이 지지 표면의 구성 요소로 이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정해진 폭은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휴식 위치에 있을 때 어린이용 시트의 특정 구성(예: 어린이의 특정 크기에 맞게 조정)에 의해 미리 정해진 폭(측면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폭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고려하지 않고 유아용 카시트의 폭(특히 시트 쉘의 폭)에 의해 정의되어야 하지만, 필요한 경우, 소정의 폭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고려하지 않고 유아용 카시트의 폭보다 (적어도 약간) 더 클 수도 있으며, 특히 휴식 위치의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그러한 폭 또는 시트 쉘을 초과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최대 2cm,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cm) 시트 쉘의 폭보다 (적어도 약간) 더 클 수도 있다.
소정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더 바람직하게는 최소 42㎝ 및/또는 최대 80㎝, 바람직하게는 최대 60㎝, 선택적으로 최대 50㎝이다. 실시예에서, 소정의 폭은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2 내지 47㎝, 특히 (적어도 대략) 44㎝이다.
측면 충돌 시 작동 위치에서 유아용 카시트의 (최대) 폭은 측면 충돌 보호 장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휴식 위치에서 카시트의 (최대) 폭은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카시트의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또는 이 위치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고려하지 않고 카시트와 동일한 폭 또는 측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경우에는 둘 다)
작동 위치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휴식 위치보다 측면 방향(또는 폭 방향)으로 최소 3cm, 바람직하게는 최소 5cm, 가능하면 최소 10cm 및/또는 최대 20cm 더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또는, 제공되는 경우, 복수의 측면 충격 보호 장치 중 모든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그(것)들의 휴식 위치로 이동될 때, 유아용 카시트의 (최대) 폭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또는 모든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최대) 폭에 비해 최소 5%,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작아져야 한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카시트를 어린이 크기에 맞게 조정하는 것과 관계없이 휴식 위치와 작동 위치 간에 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부분적으로만) 이동시키는 경우,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휴식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또는 휴식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의 추가 중간 위치에서 첫 번째 중간 위치보다 작동 위치에 더 가깝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을 특히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위치 이동 장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래치 해제를 위한 작은 움직임 후에 필요한 경우) 작동 위치로 완전히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작동 위치는 (예를 들어, 특히 접기 또는 밀어넣기 또는 분리 또는 제거 등과 같은 휴식 위치로의 이동과 관련하여) 잠글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휴식 위치는 (예를 들어, 특히 펴기 또는 밀어내기 또는 당겨서 빼내기 등과 같은 작동 위치로의 이동과 관련하여) 잠글 수 있다. 잠금 상태에서는 특히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작동 위치에서 휴식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과 관련하여 차단되는 것, 즉 그러한 이동(예: 접기 또는 회전 또는 이동, 제거 가능)이 차단되는 것(잠김)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잠김은 (잠금이 해제될 때까지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전혀 움직일 수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과정만 차단되고(예를 들어, 접이식 및/또는 회전식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경우 해당 접힘 및/또는 회전이 차단됨), 그러한 이동을 의미하지 않는 이동은 여전히 허용되는 방식으로 잠금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이식 및/또는 접이식 및/또는 개폐식/밀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접기 및/또는 밀기가 차단되는 방식으로 작동 위치에 잠길 수 있지만, 다른 (특히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움직임(예: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바깥쪽으로 당기는 등)은 허용된다. 이와 유사하게, 예를 들어 접이식 및/또는 확장형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잠긴) 휴식 위치에서 제한된 범위까지 움직일 수 있다.(여기서도 필요한 경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이러한 움직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접이식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잠긴) 휴식 위치에서 여전히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여기서 이러한 움직임은 필요한 경우 잠금을 해제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은 특히 이동 또는 이동 동작이 차단되거나 잠겨있음을 의미해야 한다.(반드시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이동이 자유롭지 않아야 하는 것은 아님)
실시예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거나 측면부재로 구성된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측면부재)는 정확히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또는 정확히 두 개의 측면 충격 보호 장치(측면부재)가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동용 시트의 각 측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하나씩 있다. (각각의)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서로 독립적으로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및/또는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전체로) 회전 가능 및/또는 접을 수 있는 측면부재로 구성되거나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적어도 부분(아마도 전체)에서 (병진적으로) 변위 가능한 (예를 들어, 당겨지거나 빼낼 수 있고/또는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는) 측면부재를 포함하거나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부재는 (예를 들어, 측면부재의 제 1 섹션이 측면부재의 제 2 섹션에 대해 변위될 수 있고, 제 2 섹션이 차례로 - 바람직하게는 제 1 섹션과 함께 - 측면부재의 제 3 섹션 및/또는 시트 쉘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신축 가능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그 측면부재는 섹션에서 회전 및/또는 접을 수 있고 섹션(예를 들어, 두 번째 섹션)에서 (병진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전체적으로) 회전 가능 및/또는 접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다양한 움직임이 위와 아래에서 언급되는 한, 이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움직임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측면부재의 일부가 다른 이유(예를 들어, 잠금 목적)로 인해 변위 가능한 경우, 예를 들어 푸시 버튼을 포함하는 경우 측면부재는 접이식 측면부재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한다.(예를 들어, 접을 수 있는 측면부재 자체도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그러나 잠금을 설정 및/또는 해제하기 위해, 특히 각각의 다른 위치로의 이동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변위 가능하도록 의도되는 경우) 그러나 상황에 따라 다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휴식 위치로의 (완전한) 이동에 의해 독점적으로 잠길 수 없거나 적어도 배타적으로 잠길 수 없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측면) 요소는 휴식 위치로의 (완전한) 이동에 의해 배타적으로 잠길 수 없거나 적어도 배타적으로 잠길 수 없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의 휴식 위치(특히 전체)는 (전체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전체 측면부재의) 각각의 움직임에 의해서만 잠글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 또는 잠금을 위한 각 섹션이 측면 충격 보호 장치(또는 측면부재) 또는 시트 쉘의 각 다른 섹션에 대해 (휴식 위치에서) 잠금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배제해서는 안된다. 휴식 위치에서의 잠금이 가능한 한, 이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일부가 아닌 (또는 적어도 측면부재의 일부가 아닌) 장치의 이동(작동)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휴식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동안 측면 충격 보호 장치(또는 측면부재)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 장치의 이동(작동)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또는, 휴식 위치의 잠금을 위한 장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또는 측면부재)의 일부이거나 함께 움직일 수 있지만, 휴식 위치에서 직접 또는 시트 쉘의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식 위치를 잠그기 위한 제1 잠금 장치(또는 휴식 위치의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및/또는 측면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작동 위치를 잠그기 위한 제2 잠금 장치(또는 작동 위치의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및/또는 측면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잠금 장치와 제2 잠금 장치가 모두 제공되는 한, 이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공통적인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잠금 장치 및 제2 잠금 장치는 서로 다른 구조에 의해 (즉, 서로 별도로) 제공된다.
제 1 잠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위치(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가 휴식 위치에 유지되는 위치) 및 비잠금 위치(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를 작동 위치로 옮길 수 있는 위치)를 가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잠금 장치가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또는 측면부재)가 휴식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단독으로) 유발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작동 위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작동 위치로 (완전히) 이동시킴으로써 (단독으로) 잠길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도 (별도의) 두 번째 작동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만 잠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여겨질 수 있다.
유아용 카시트에는 휴식 위치의 잠금을 트리거(또는 설정)하기 위한 (특히 수동의) 제1 작동 장치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작동 장치는 노브 및/또는 슬라이더 및/또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작동 장치는 어린이가 유아용 시트에 안착된 경우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작동 장치는 (정상적인 사용 시) 어린이 신체의 일부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제1 작동 장치는 예를 들어 커버 및/또는 패딩으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덮일 수 있다.
제1 작동 장치는 특히 두 작동 요소가 동시에 및/또는 시간이 겹치게 및/또는 차례로 작동되는 경우에만 (동일한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의) 휴식 위치의 잠금이 가능한 방식으로 작동되는 적어도 두 개의 작동 요소를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 아래에서 작동 장치 및/또는 작동 요소를 언급할 때 문맥상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수동 작동 장치 또는 수동 작동 요소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작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구조물, 특히 분리 벽, 바람직하게는 시트 쉘의 벽에 의해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및/또는 (그) 측면부재로부터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 구조물, 특히 분리 벽은 예를 들어 래치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구멍이 뚫릴 수 있다.
제1 작동 장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및/또는 (그) 측면부재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c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c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cm의 거리를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
제1 작동 장치는 외부(카시트의 외벽을 바라보는 방향) 및/또는 내부(특히 패딩 처리된 카시트의 내벽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보이지 않거나 추가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1 작동 장치는 사용자가 패딩을 들어 올리거나 회전하는 등 능동적으로 치우지 않는 이상 전혀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작동 장치는 시트 쉘의 내부 측면에 제공(배치)될 수 있고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패딩 및/또는 패브릭 커버 아래에서 접근(만)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1 작동 장치는 시트 쉘의 외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패딩 및/또는 (특히 쿠션형) 충격 흡수 장치 및/또는 커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은폐될 수 있다.
제1 작동 장치는 탄성 성향을 갖는 수단의 힘에 대해 작동할 수 있다.
제1 작동 수단은 선택적으로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의 결합 구조와 결합하기 위해 제공되는 래치 또는 그 일부를 구동할 수 있다.
어린이용 카시트는 실시예에서 작동 위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특히 수동) 제2 작동 장치를 더 포함한다. 제2 작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버튼 및/또는 슬라이더 및/또는 레버를 포함한다. 제2 작동 장치는 어린이가 유아용 시트에 안착된 경우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작동 장치는 (정상적인 사용 시) 어린이 신체의 일부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제2 작동 장치는 예를 들어 커버 및/또는 패딩으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덮일 수 있다.
제2 작동 장치는, 특히 두 작동 요소가 동시에 및/또는 시간이 겹치게 및/또는 차례로 작동되는 경우에만 (동일한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의) 작동 위치의 해제가 가능한 방식으로, 적어도 두 개의 작동 요소를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
제2 작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구조물, 특히 분리 벽, 바람직하게는 시트 쉘의 벽에 의해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및/또는 (그) 측면부재로부터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 구조물, 특히 분리 벽은 예를 들어 래치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구멍이 뚫려 있을 수 있다.
제2 작동 장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및/또는 (그) 측면부재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c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c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cm의 거리를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
제2 작동 장치는 외부(카시트의 외벽을 바라보는 방향) 및/또는 내부(특히 패딩 처리된 카시트의 내벽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보이지 않거나 추가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1 작동 장치는 사용자가 패딩을 들어 올리거나 회전하는 등 능동적으로 치우지 않는 이상 전혀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작동 장치는 시트 쉘의 내부 측면에 제공(배치)될 수 있고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패딩 및/또는 패브릭 커버 아래에서 접근(만)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2 작동 장치는 시트 쉘의 외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패딩 및/또는 (특히 쿠션형) 충격 흡수 장치 및/또는 커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은폐될 수 있다.
제2 작동 장치는 탄성 성향을 갖는 수단의 힘에 대해 작동할 수 있다.
제2 작동 수단은 선택적으로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의 결합 구조와 결합하기 위해 제공되는 래치 또는 그 일부를 구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작동 장치는 제 1 작동 장치와 동일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능하게는 전체적으로) 변위가 가능한 측면부재로 구성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특히 완전히) 탈착 가능한 측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동 위치는 특히 측면부재가 시트 쉘의 해당 리셉터클(특히 홈)에 부착되어 있거나, 특히 내부에 꽂혀 있는 위치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휴식 위치는 특히 측면부재가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되지 않고 (또는 적어도 작동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꽂혀 있지 않고) 다른 위치에 수용되는 위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수용 위치에서 아동용 시트의 측면 치수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는 방식으로)로 간주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휴식 위치는 측면부재가 좌석에 놓여 있는 탈착식 측면부재의 위치로 간주될 수 있다.(특히 아동용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어 보관 중인 상태의 경우) 필요한 경우 측면 충격 보호 장치(측면부재)를 위한 휴식 위치 리셉터클이 어린이용 시트에 제공되거나 측면 충격 보호 장치(측면부재)가 작동 위치를 위해 제공되는 리셉터클에 예를 들어 90° 또는 180° 회전하여 수용될 수 있다. 측면부재가 유아용 카시트가 아닌 다른 위치에 수납되는 경우(예: 보관된 경우)에도 휴식 위치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유아용 카시트는 (모든 기능을 갖춘) 기본 유아용 카시트와 이 기본 유아용 카시트에 부착 및 제거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시스템의 측면부재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측면 충격 보호 장치(또는 그 구성요소) 및/또는 그 (바람직하게는 전체) 측면부재(또는 그 구성요소)는 실시예들에서, 제1 이동에 의해 작동 위치로부터 비잠금 휴식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제2 이동(바람직하게는 제1 이동에 계속되지 않음)에 의해 휴식 위치에서 잠길 수 있다. 제2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측면 충격 보호 장치(또는 그 구성 요소)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측면부재(또는 그 구성 요소)를 시트 쉘의 단면, 예를 들어 언더컷 및/또는 돌출부 및/또는 홈과 함께 억지끼움되는 이동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이동은 (순수한) 회전을 포함하고(또는 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제2 이동은 (순수한) 이동을 포함하고(또는 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제 1 이동은 (순수한) 이동을 포함하고(또는 그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제 2 이동은 (순수한) 회전을 포함하고(또는 그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제 1 이동은 (순수한)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이동은 (순수한) 회전을 포함하고(또는 그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제2 이동은 (순수한) 회전을 포함할 수 있다.(또는 그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또는, 제 1 이동은 (순수한) 이동을 포함하고 (또는 그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제 2 이동은 (순수한) 이동을 포함하고 (또는 그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제1 이동과 제2 이동이 각각 회전을 포함하는 경우 또는 제1 이동과 제2 이동이 각각 이동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이동의 이동축은 바람직하게는 평행하지 않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의 각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제2 이동의 이동축에 대해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 축의 비평행 설계는 휴식 위치로의 이동으로 이어지는 동작이 (의도적으로) 휴식 위치의 잠금을 (의도하지 않게) 초래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동축은 회전의 경우 회전축으로, 이동의 경우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가 움직이는 것과 평행한 직선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휴식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벗 및/또는 접힐 수 있는 측면부재(특히 상기한 측면부재)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휴식 위치의 잠금은 측면부재 및/또는 그 구성요소를 변위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부재는 (특히 폴딩 후 휴식 위치에서) 여전히 시트 쉘(또는 시트 쉘의 외벽)의 상응하는 홈(예를 들어 언더컷에 의해 형성됨)으로 가져온 다음 이 홈(이 언더컷)에 의해 유지되는 방식으로 병진 변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동용 시트는 (아동의 엉덩이 및 다리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 섹션과 (아동의 등을 기대기 위한) 등받이 섹션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아동용 시트의 등받이 부분, 특히 등받이 지지면의 후방 및/또는 아동용 시트의 시트 부분 상부에 배치되거나 배치 가능(특히 부착 또는 부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아동용 시트(또는 시트 쉘)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거나 배치 가능(부착 또는 부착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시트 쉘의 측면 영역의 외측에 배치 또는 배열(부착 또는 부착 가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측면부재(들)는 작동 위치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암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평 및/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시트 쉘의 주변 표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이동 장치는 위치 이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예: 압축 및/또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은 휴식 위치(또는 휴식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미리 로드되어 작동 위치로 이동 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이완되도록 할 수 있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수동으로) 휴식 위치로 옮길 때, 휴식 위치에서 잠김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즉, (단독으로) 휴식 위치로 (완전히) 이동하는 것만으로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잠금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므로 (사용자가 가하는 유지력 등 외부 힘의 작용 없이)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위치 이동 장치에 의해 다시 - 적어도 부분적으로 - 작동 위치로 이동된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측면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부재를 접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부재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작동 위치에서 어린이용 수납 공간에 가장 가까운 측면부재의 단면을 형성하는 근위 단부와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작동 위치에서 근위 단부보다 수납 공간 또는 시트 쉘로부터 (특히 측면 방향으로) 더 멀리 떨어져있는 근위 단부의 반대편에 원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위 단부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어린이용 시트에서 가장 바깥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형성한다. 측면부재는 근위 단부(또는 그 부근)에서 접이식 또는 회전식으로, 특히 (측면 방향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 및/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축을 중심으로 시트 쉘에 장착될 수 있다.
측면부재는 휴식 위치에서 시트 쉘에 평평하게 맞닿거나 시트 쉘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경우 측면부재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홈이 시트 쉘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제공되는 시트 쉘의 영역은 지지 섹션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평평하게 맞닿는 것은 직접 맞닿는 것 또는 작은 거리(예: 최대 2cm, 바람직하게는 최대 1cm)로 맞닿는 것을 의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식 위치에서 측면부재 표면의 최소 10%, 바람직하게는 최소 25%가 유아용 카시트(측면부재가 없는 경우를 고려할 때), 특히 시트 쉘의 표면(외부 표면)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2c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cm 미만의 거리에 있을 수 있다.
제1 작동 장치(작동 요소)는 버튼, 손잡이, 슬라이더(또는 이와 유사한 것)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작동 장치(작동 요소)는 밀기, 당기기 및/또는 회전 작동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휴식 위치에 있을 때 제 1 작동 장치(작동 요소)의 작동에 의해 제 1 잠금 장치가 잠금 위치로 이동하여 측면 충격 보호 장치(측면부재)가 휴식 위치에 잠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잠금 장치는 해제(release)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해제 메커니즘은 측면부재 또는 측면부재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해제 메커니즘의 작동은 제1 잠금 장치를 잠금 위치로부터 비잠금 위치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및/또는 유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잠금 장치는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또는 다른 방향으로 또는 추가로) 바이어스되어, 해제 메커니즘의 작동이 제1 잠금 장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바이어스에 의해 이동이 구동되는 경우) 또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바이어스(bias)는 (제1) 탄성 부재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탄성 부재는 예를 들어 인장 스프링, 압축 스프링, 리프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또는 다른 스프링) 또는 탄성 부재(탄성 블록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스 제공에 대한 대안으로(또는 필요한 경우 이에 추가하여),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측면부재와 다른 한편의 제1 잠금 장치의 조정된 설계 및 배열은 측면부재를 작동 위치에서 휴식 위치로 이동하면 잠금 장치가 해제 위치로 강제되는 방식으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는 잠금 장치 및/또는 측면부재의 손상을 (적어도 지속적으로) 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필요한 경우 제1 잠금 장치의 구동 또는 강제 이동을 생략하고, 사용자가 각 경우에 필요한 설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선호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잠금 장치의 제1 작동 장치(작동 요소)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에 의해 형성되지 않고(또는 적어도 측면부재에 의해 형성되지 않고), 시트 쉘 상에 독립적인 (별도의) 장치(요소) 및/또는 시트 쉘의 일부로서 설계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작동 장치(작동 요소)는 시트 쉘의 내부 측면, 특히 어린이가 어린이용 시트에 안착되어 있을 때 접근할 수 없거나 어렵게 접근해야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더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측면부재에 부착된 래치는 측면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측면부재의 휴식 위치에서 시트 쉘의 내부에서 접근 가능하며 잠금을 위해 작동될 수 있다. 측면부재의 작동 위치에서 래치에 접근할 수 없거나, 이동이 차단되거나, 측면부재를 휴식 위치로 옮기면, 래치가 비잠금 위치로 강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작동 장치(작동 요소)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에 가장 가까운 내부 측면 위치의 영역(또는 그 부근)에 제공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는 시트 쉘에 관통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작동 장치(작동 요소)는 작동될 때,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휴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의 (제1) 결합구조에 맞물리도록 래치 또는 래치의 일부(돌출부 또는 후크로 형성될 수 있음)를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아마도 제1 탄성 부재의 힘에 대항하여) 구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와 제1 작동 장치(작동 요소)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돌출부 또는 후크일 수 있음)와 (제1) 결합 구조의 결합은, 특히 위치 이동 장치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작동 위치 방향으로 구동하고, 결합 구조에 래치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하거나, 제1 잠금 장치가 비잠금 위치로 편향되어 결합 구조에 래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치는 제1 잠금 장치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 및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공간을 차단할 수 있다.
해제 메커니즘은 시트 쉘 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자체에 제공될 수 있는 해제 작동 장치(해제 작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해제 작동 장치는 버튼, 손잡이, 슬라이더(또는 이와 유사한 것)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제 작동 장치는 당기기, 밀기 및/또는 회전 작동을 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해제 작동 수단은 측면부재 또는 그 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는 (잠금 또는 잠금 가능한) 휴식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따라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이 필요한) 작동 위치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최대) 위치로 잠금된 휴식 위치를 넘어 이동(또는 접히거나 회전)되어 (제1) 결합구조와 래치가 서로 멀리 이동함으로써, 래치가 바이어스에 의해 비잠금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최대(특히 비잠금 또는 비잠금 가능) 위치는 또한 휴식 위치 또는 추가 휴식 위치(소정의 폭 내에 있는 경우)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제 작동 장치(해제 작동 요소)는 측면부재의 원위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해제 메커니즘은 해제 작동 장치를 시트 쉘 쪽으로 밀어줌으로써 유발된다. 그러나 푸시, 슬라이드 및/또는 회전 메커니즘(푸시, 슬라이드 및/또는 회전 노브) 등과 같은 다른 메커니즘도 적용 가능하다.
제2 잠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상태(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작동 위치에 유지되는 상태) 및 해제 상태(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로 옮길 수 있는 상태)를 가정할 수 있다. 제2 잠금 장치는 잠금 상태로 편향시키기 위한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는 제 1 탄성 부내와 관련하여 제안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측면부재(또는 그 일부)는 작동 위치로 접히거나 회전한 후, 시트 쉘(예를 들어, 두 개의 스톱으로 형성됨)에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홈으로 이동(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또는 활공)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휴식 위치로 다시 접히거나 다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측면부재(또는 그 일부, 예를 들어 고정 부분)는 바람직하게는 제2 탄성 부재에 의해 시트 쉘 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또는 활공은 위치 이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위치로의 이동의 일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이동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잠금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측면부재 또는 고정 부품을 당겨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로 다시 옮길 수 있다.(필요한 경우에만) 실시예에서, 시트 쉘의 홈으로 미끄러지거나 미끄러지도록 제공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일부(고정 부분)는 슬라이더일 수 있다.
제2 잠금 장치는, 또한 다른 유형의 잠금 메커니즘, 특히 래칭 메커니즘, 예를 들어 (편향된) 슬라이딩 및/또는 회전 래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대응하는 구조와 맞물리도록 시트 쉘에 제공되거나, 측면 충격 보호 장치에 제공되어 시트 쉘의 대응하는 구조와 맞물리도록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위치 이동 장치는 제2 잠금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치 이동 장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 및/또는 중간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밀어내는 장치이다. 특히, 위치 이동 장치는 탄성 부재, 예를 들어 장력 스프링, 리프 스프링 및/또는 토션 스프링 또는 다른 (적합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DE 20 2015 104 791 U1이 참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접힘 또는 피벗을 통해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측면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부재를 접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다른 방식(예: 슬라이딩, 텔레스코픽 메커니즘 또는 스크류와 같은 다른 회전에 의해)으로 휴식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도 있다. 언급된 메커니즘의 조합 역시 가능하다.
측면부재는 컵 홀더로 설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부재는 어린이의 신체 일부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도록 설계되지 않거나, 적어도 어린이의 측면을 (보호용구처럼 직접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카시트의 측면 패널로 설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측면부재는 적어도 5c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cm 및/또는 최대 20cm, 바람직하게는 최대 15cm의 (최대)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최대)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가장 큰 거리를 갖는 측면부재의 한 쌍의 지점에 의해 정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길이는 측면부재(작동 위치에서)의 측면 방향으로의 연장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측면 방향은 다시 바람직하게는 측면을 향하는 방향(정면을 바라보는 아동의 시야 방향에 수직) 또는 아동용 시트의 방향(앞쪽에서 뒤쪽 및/또는 뒤쪽에서 앞쪽일 수 있음)에 수직인 방향을 나타내야 한다. 측면부재의 너비((최대) 길이에 의해 정의된 방향에 수직으로 최대 연장)는 최소 2cm, 바람직하게는 최소 3.5cm 및/또는 최대 10cm, 바람직하게는 최대 6cm가 될 수 있다.
또한, (각) 측면부재는 최소 10㎤ 또는 최소 20㎤ 및/또는 최대 100㎤ 의 부피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측면부재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단단하거나, 수치적으로 안정적이거나, 적어도 본질적으로 비다공성이거나, 허니콤으로 구성되지 않거나, 폼(form)으로 구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린이용 카시트의 무게는 최소 2kg(선택 사항), 최대 5kg(선택 사항) 및/또는 최대 20kg(선택 사항), 최대 15kg(선택 사항)이 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목적은 특히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아동용 시트(바람직하게는 상기 및/또는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된 아동용 시트) 및 포장(예를 들어, 상자 및/또는 가방 및/또는 포일을 포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더 해결된다. 아동용 카시트는 시트 쉘, 시트 쉘에 부착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특히 소정의 폭 내에 위치한 휴식 위치와 소정의 폭 외부에 위치한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및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과 유아용 카시트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휴식 위치 또는 휴식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포장에 의해 고정되고, 포장 제거 시 위치 이동 장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선택적으로 완전히) 휴식 위치 또는 중간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전달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독립적인) 아이디어는 또한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적어도 작동 위치로 완전히 이동되지 않는 방식으로 (공간 절약 방식으로) 구성되는 동안, (해당되는 경우, 카시트의 폭이 더 작은 중간 위치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휴식 위치에 있음) 포장을 제거할 때 (또는 사용자가 카시트의 포장을 풀 때)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작동 위치 방향으로 이동되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위치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카시트를 포장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단을 통해 안전성이 향상되며, 특히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실제로 작동 위치에서 사용될 확률이 높아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사용자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도 간소화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더 이상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작동 위치로 옮기는 방법을 설명서에서 찾아볼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시트(바람직하게는 상기 및/또는 하기에 설명된 아동용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아동용 시트의 포장 방법 및/또는 아동용 시트와 포장을 포함하는 시스템(상기 및/또는 하기에 설명된)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아동용 카시트는 시트 쉘, 시트 쉘에 부착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특히 소정의 폭 내에 위치한 휴식 위치와 소정의 폭 외부에 위치한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및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유아용 카시트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휴식 위치 또는 휴식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포장에 의해 고정되고, 포장을 제거하면 위치 이동 장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휴식 위치 또는 중간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포장되어 있다.
상술한 목적은 특히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아동용 시트를 포장하는 방법(바람직하게는 상기 및/또는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및/또는 아동용 시트와 포장을 포함하는 시스템(상기 및/또는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의 제공 및/또는 상기 아동용 시트의 포장 방법의 제공에 의해 더 해결된다. 아동용 카시트는 시트 쉘, 시트 쉘에 부착된 측면 충격 보호 장치, 특히 소정의 폭 내에 위치한 휴식 위치와 소정의 폭 밖에 위치한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및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포장이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 또는 (그) 중간 위치에 (더 이상) 고정하지 않는 방식으로 어린이용 시트에서 포장이 제거되고, 위치 이동 장치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완전히) 작동 위치로 옮긴다.
특히, 본 발명은 또한 아동용 시트를 포장하는 방법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아동용 시트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아동용 시트는 시트 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식 위치(특히 소정 폭 내에 위치)와 작동 위치(특히 소정 폭 외부에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시트 쉘에 부착되거나 부착 가능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더 포함한다. 어린이용 시트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이동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작동 위치에서 휴식 위치로 옮기는 첫 번째 바람직한 단계와,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포장에 의해 휴식 위치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어린이용 카시트를 포장하는 두 번째 바람직한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포장이 더 이상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 고정하지 않고 위치 이동 장치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동 위치로 옮길 수 있도록 어린이용 시트에서 포장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장을 분리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포장에서 유아용 시트를 분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아이디어(대안적으로 독립적으로 청구됨)에 따르면, 자동차에 장착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완전히) 휴식 위치에 있지 않고, 특히 (완전히) 작동 위치에 있지 않은 방식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안전성이 향상되고, 특히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올바른) 조정이 생략 될 가능성이 줄어든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에 따라 포장되었거나 포장될 유아용 카시트는 휴식 위치에서 래치 또는 잠기지 않도록(적어도 반드시 잠기는 것은 아님)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유아용 카시트를 포장하는 방식이 변경되면 자동으로 작동하는 이동 장치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동 위치(작동 위치로 완전히 이동할 수도 있음)로 옮길 수 있다. 그러나 어린이용 카시트가 기본적으로 휴식 위치에 걸리거나 잠기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카시트 포장과 관련하여 이러한 잠김을 방지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잠금이 발생하지 않는 중간 위치(휴식 위치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거나, 잠금 장치를 차단 구조(어린이용 시트와 관련하여 외부에 있을 수 있음)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예: 포장 또는 그 일부 또는 판형 요소 및/또는 접착 스트립과 같은 별도의 차단 요소)
구체적으로, 가능한 외부 차단 구조는 포장에 의해 고정된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배치/위치에 의해서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어린이용 카시트를 포장에서 제거하면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더) 작동 위치로 이동하고 외부 차단 구조가 제거(예: 떨어짐)된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작동 위치로 옮겨졌을 때에는 유아용 카시트가 (적어도 포장재가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포장재 내부에 들어갈 수 없도록 포장재와 유아용 카시트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목적은 특히 상기(또는 아래)에 설명된 아동용 카시트, 특히 아동을 수용하기 위한 자동차에서 사용함으로써 더욱 해결될 수 있다.
특히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의 이동 및/또는 그 반대의 경우와 관련하여 상기 및 하기에 설명된 기능적 특징은 특정 공정 단계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은 특히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아동용 시트를 구성하는 방법(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및/또는 하술한 바와 같이)에 의해 더욱 해결된다. 아동용 시트는 시트 쉘, 시트 쉘에 부착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특히 소정의 폭 내에 위치한 휴식 위치와 소정의 폭 외부에 위치한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및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작동 위치에서 휴식 위치(휴식 위치에서)로의 완전한 이동에 의해 잠기지 않거나 적어도 배타적으로 잠기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제1 작동 장치(특히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적어도 측면부재와 분리된)를 작동시키거나 잠금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특히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적어도 한 부분, 바람직하게는 측면부재의 적어도 한 부분을 변위시킴으로써 다른 방식으로 잠기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어린이용 카시트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이동 장치 외에, 또는 도면에 도시된 이동 장치 외에, 적어도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자동 이동하는 구간이나 작동 위치에서 휴식 위치로 자동 이동하는 구간에서 이동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추가 실시예가 도출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며,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 설명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작동하는 부품에 대해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도 1은 휴식 위치에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보여준다.
유아용 카시트(10)는 베이스(20)에 부착된 시트 쉘(50) 및 임팩트 쉴드(90)를 포함한다.(베이스 및 임팩트 쉴드는 모두 선택 사항임) 다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의 일부가 시트 쉘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베이스(20)는 (선택적으로) (텔레스코픽) 지지 다리(30)와 (또한 선택적으로) 고정 역할을 하는 아이소픽스 래치(40)를 포함한다.
시트 쉘(50)은 시트 섹션(60)과 헤드레스트(80)가 있는 등받이 섹션(70)을 포함하며, 시트 섹션(60)은 좌석(61)과 제1 측면 영역(62)을 형성하고, 등받이 섹션(70)은 (어린이가 등받이에 눕기 위한) 지지면(71)과 제2 측면 영역(72)을 형성한다. 머리 받침대(80)는 또한 여기에 지정되지 않은 측면 영역과 머리 지지면을 가지고 있다.
좌석(61), 지지면(71) 및 아동용 시트에 수용된 아동을 향하는 제1 측면 영역(62) 및 제2 측면 영역(72)의 내측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동 수용공간(51)을 정의하는 시트 쉘(50)의 내측면(52)의 일부이다. 카시트에 장착된 어린이를 향하는 시트 쉘의 측면, 특히 제1 측면 영역(62) 및 제2 측면 영역(72)의 외부 측면은 시트 쉘(50)의 외부 측면(53)의 일부이다.
시트 쉘(50)의 외측(53) 및 실시예에 따르면(필수는 아님), 제2 측면 영역(72)의 외측에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가 제공된다. 원칙적으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시트 섹션(60)의 제1 측면 영역(61)의 외측 또는 헤드레스트(80)의 측면 영역의 외측에도 제공될 수 있지만, 여기에 도시된 변형은 등받이 섹션(70)(특히, 작동 위치에서의 부착 위치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등받이 지지면(71)의 후방에)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 부호 '54'로 표시된 점선은 실시예에 따라, 아래에 상세히 도시된 제1 잠금 장치(140)의 작동 요소(141)에 접근할 수 있는 시트 쉘의 내부 측면(52)의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특히 도 6a 내지 도 9 참조) 도 1에 도시된 영역(54)은 (시트 쉘의 반대쪽 외측에 제공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측면부재에 대응할 수 있는데, (그러나 제2 측면 영역에 의해 은폐된다) 도 1에 도시된 측면부재(100)에 대응하는 영역은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아용 카시트(단면도)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특히, 여기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측면부재(101)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아동용 시트의 상부를 후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가 시트 쉘(50)의 우측 및 좌측 양쪽에 마련됨을 알 수 있다.(원칙적으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한쪽에만 제공되거나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에 여러 개의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휴식 위치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가 아동용 시트의 폭을 증가시키지 않음을 알 수 있다.(또는 적어도, 특히, 예를 들어, 2cm 이하로 크게 증가시키지 않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 및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시트 쉘의 일부를 휴식 자세로 나타낸 것이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시트 쉘(50)의 외측(53)에 있는 후면부(70)에 배치(또는 부착)된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가 휴식 위치에 있을 때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원위 단부(105)를 리셉터클 영역(51) 또는 시트 쉘(50) 쪽으로 이동(또는 밀기)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제1 잠금 장치(140)를 해제하고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작동 위치로 옮길 수 있도록 하는 측면부재(101)를 포함한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 및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시트 쉘의 일부(도 4에 해당)를 작동 위치에서 도시한 것이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특히 측면부재(101))가 작동 위치로 이동될 때, 시트 쉘(53)의 바깥쪽 측면에 홈(55)이 보이고, 이 홈은 측면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적어도 휴식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완전히) 및/또는 부분적으로만 작동 위치(예를 들어, 길이의 적어도 20%, 적어도 30% 및/또는 최대 50%, 최대 40% 이상)에 수용된다. 작동 위치에서, 측면부재(101)의 근위 단부(104)는 측면부재(101)의 원위 단부(105)보다 리셉터클 공간(51) 또는 시트 쉘(50)에 더 가까이 위치한다.
그림 6a는 시트 쉘의 단면 내부 모습(패딩/패브릭 커버 미포함)을 보여준다. 그림 6b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와 시트 쉘의 단면도를 분해한 모습이다.
측면부재(101)는 상부 쉘(102)과 하부 쉘(103)을 가질 수 있다.(반드시 그렇지는 않음)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특히 휴식 위치에서 보이지 않는 측면은 개방되거나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측면부재(101)는 축(106)을 통해 시트 쉘(50)에 장착되며,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트 쉘(50)은 리세스(55)를 형성하는 요소(공동)를 포함하며, 이는 또한 측면부재에 대한 지지 섹션(56)을 형성할 수 있다. 시트 쉘(50)은 (특히 리세스(55)를 형성하는 요소의 영역에서) 제1 잠금 장치의 래치(143)의 통과를 위한 관통 구멍(57)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시트 쉘은 액슬(106)이 장착되는 클램프(예를 들어, 금속으로 만들어져 특히 안정적일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재(101)는 스프링을 통해 시트 쉘(50)(여기서는 선택적으로 클램프(58)와 함께)에 추가로 연결된다. 한편으로, 이 스프링은 위치 이동 장치(120)(또는 그 구성 요소)의 역할을 하며, 측면부재(101)를 작동 위치로부터 또는 중간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밀어 넣는다. 다른 한편으로, 스프링은 또한 제2 잠금 장치(160)의 일부로서 작동 위치의 잠금을 가능하게 하는 제2 탄성 부재(161)를 형성한다.
제1 잠금 장치(140)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의 휴식 위치(휴식 위치에 있을 때)를 잠그는 역할을 하며, 잠금 위치와 비잠금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측면부재(101) 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를 휴식 위치로 옮기는 것만으로는 잠금이 유발되지 않는다. 이는 제1 잠금 장치(140)가 제1 잠금 장치(140)를 비잠금 위치로 편향시키는 제1 탄성 부재(142)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를 휴식 위치에서 잠그기 위해(따라서 위치 이동 장치(120)가 측면부재(101)를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 요소(141)(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제1 작동 장치)가 제공되며, 이에 따라 래치(143)가 시트 쉘의 관통 구멍(57) 내부에 또는 이를 관통하여 이동된다. 래치(143)의 끝에는 후크(144)가 있으며, 이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의 결합 구조(107)와 협력할 수 있다.(아래에서 추가 옵션 세부 사항으로 더 자세히 설명됨) 작동 요소(제1 작동 장치)(141)와 래치(143) 및 후크(144)는 서로 다른(개별적인) 요소로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림 7은 시트 쉘의 일부와 함께 휴식 위치에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는 잠긴 휴식 위치에 있다. 이를 위해 래치(143)(즉, 선택적 실시예에서는 제1 잠금 장치(140)의 후크(144))가 측면부재(101)의 근위 단부(104)에 있는 결합 구조(107)와 맞물려 있다. 후크(144)와 결합 구조(107)의 맞물림은 제1 잠금 장치(140)가 제1 탄성 부재(142)(이 경우: 압축 스프링이지만, 필수는 아님)의 힘에 대항하여 비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래치(143)는 제1 잠금 장치(140)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위치 이동 장치(120)의 힘에 대항하여 측면부재(101)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위치 이동 장치(120)(여기서는 선택 사항: 장력 스프링)는 측면부재(101)를 (선택 사항) 클램프(58)(또는 아동용 시트 또는 시트 쉘의 다른 부분)에 연결하고 장력을 받는다. 여기서, 측면부재(101)의 원위 단부(105)는 시트 쉘(50)(또는 시트 쉘(50)의 홈(55))에 대략적으로만(전부는 아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럴 수 있음) 접하고 그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면부재는 시트 쉘 방향으로 더 멀리 이동하여 완전히 접할 수 있도록(또는 적어도 시트 쉘에 더 가깝게 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가능한) 이러한 추가 이동 동안, (바람직하게는) 측면부재의 어떤 지점도 (이동의 시작점과 끝점 사이의 직선 연결 선과 관련하여) 2cm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1cm보다 큰 경로를 형성해서는 안된다. 선택적으로, 가장 큰 경로를 설명하는 점은 최소 1mm, 선택적으로 최소 2mm의 경로를 형성한다.
측면부재(101)는 근위 단부(104)와 원위 단부(105)의 (가상의) 연결 방향으로 (적어도 대략적으로) 연장되고, 액슬(106)이 안내되는 직사각형 홀(163)(적어도 실시예에 따르면, 이는 필수는 아니지만)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143)의 밑면은 상향 경사면을 가질 수 있으므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가 작동 위치에 있는 동안에 제1 잠금 장치(160)가 (어떤 이유로든) 잠금 위치에 있다면,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가 작동 위치에서 휴식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래치(144)가 관통 구멍(57)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제1 잠금 장치(160)가 비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림 8은 그림 7에 따른 시트 쉘의 일부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도시하는데, 휴식 위치를 넘어 (잠긴 또는 잠금 가능한) 최대로 접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최대 접힌 위치에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위치 이동 장치(120)의 힘에 대항하여 해제 작동 요소(해제 작동 장치), 즉 측면부재(101)의 원위 단부(시트 쉘 또는 리셉터클 공간(51) 방향으로)를 누름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치 이동 장치는 최대 장력 상태에 있고 결합 구조(107)는 래치(143) 및 후크(144)로부터 멀어져 제1 잠금 장치(140)가 제1 탄성부재(142)의 바이어스에 의해 비잠금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액슬은 직사각형 구멍(164)의 근위 단부(104)에 더 가깝게 유지되고(도 7 참조), 측면부재(101)는 이제 원위 단부(105)와 시트 쉘(5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하게 된다.
그림 9는 그림 7 및 그림 8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와 시트 쉘의 일부를 작동 위치에서 본 단면도를 보여준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잠긴 작동 위치에 있다. 이를 위해 위치 이동 장치(120)의 바이어스로 인해 측면부재(101)의 근위 단부(104)가 리셉터클 공간(51) 또는 시트 쉘(50)을 향해 피벗된다. 동시에, 위치 이동 장치(120)의 원위 단부(105)는 리셉터클 공간(51) 또는 시트 쉘(50)로부터 멀리 피벗되어 이제 시트 쉘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된다. 측면부재의 (적어도 거의) 완전한 회전 후, 이제 제2 탄성부재(161) 및 제2 잠금 장치(160)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스프링의 나머지 바이어스가 측면부재(101)를 리셉터클 공간(51) 쪽으로 당겨서 근위 단부(104)(또는 그 부분)가 제1 스톱(59)과 제2 스톱(162) 사이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이동의 유도는 직사각형 구멍(163)과 액슬(106)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액슬은 이동의 끝에서 직사각형 구멍(163)의 원위 단부(105)에 더 가깝게 장착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2 스톱(162)은 클램프(58)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며 측면부재(101)가 펼쳐지는 것을 제한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스톱(59)은 리세스(55)를 형성하는 요소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며, 측면부재(101)가 뒤로 접히거나 휴식 위치로 다시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의 작동 위치는 이 두 개의 스톱(59 및 162)과 제2 탄성 부재(161)에 의해 잠긴다. 측면부재가 잠긴 작동 위치에 도달하면, 위치 이동 장치(120) 또는 제2 탄성 부재가 이완된다.(또는 적어도 측면부재의 휴식 위치보다 덜 편향됨) 측면부재(또는 측면부재의 일부)를 리셉터클 공간(51) 또는 시트 쉘(50)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겨서 잠금을 다시 해제할 수 있다.
도 10은 시트 쉘의 단면을 갖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의 대안적 실시예의 세 가지 다른 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여기서도,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측면부재(101)를 포함하거나 그로부터 형성된다. 측면부재(101)는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접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도 10의 중앙에 도시된 접힌 휴식 위치는 접는 것만으로는 잠글 수 없고, 측면부재(101)의 원위 단부(105)가 시트 쉘(50)의 언더컷(170) 아래에 놓이도록 접는 요소의 변위에 의해서만(도 10, 하단 참조) 잠길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측면부재는 예를 들어 회전축 영역의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잠금 없이) 작동 위치(상세히 도시되지 않음)로 자동 이동되는 방식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힘 축은 측면부재(101)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시트 쉘(50)의 레일(예: 직사각형 구멍) 내부 또는 (도시되지 않은) 레일 상에서 안내될 수 있다.
또는, 시트 쉘의 표면을 따라 다른 방향으로 폴딩 요소를 변위시킬 수 있으며, 언더컷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각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언더컷을 갖는 전술한 디자인 및 대안적 디자인에서 상술한 변형과 달리, 회전축은 시트 쉘과 관련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를 들어, 측면부재의 직사각형 구멍은 언더컷 뒤의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101)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측면부재(101)는 시트 쉘(5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최대 2cm 또는 최대 0.5cm의 거리에서 또는 직접적으로) 접할 수 있고 시트 쉘(50)에 고정될 수 있는 하부(103)(또는 내부 부분)를 포함한다. 또한, 측면부재(101)는 시트 쉘로부터 돌출되고(적어도 작동 위치에서) 측면으로 배열된 외부 표면(예컨대, 자동차 표면, 예를 들어 자동차 도어의 내부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상부(또는 외부 부분)를 포함한다.(적어도 사고 발생 시, 또한 정상적인 사용 시에는 미리 접촉할 수도 있다) 하부(103) 및 상부(102)는 서로 분리 가능하거나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각 부품 및/또는 부품(102, 103)의 일체형(아마도 모놀리식) 또는 다중 부품(다부품) 설계가 가능하다. 특히, 부품(103, 102)은 공통 부품을 형성하거나 서로 병합될 수 있다.
제1 결합 구조(결합 요소)(108)는 측면부재(101)의 제1 단부(104)에 제공되며(특히, 반드시 내부 또는 하부(103)의 단부), 이는 시트 쉘(50)의 대응하는 반대 구조와 맞물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제1 결합 구조(108)는 측면부재(101)의 하부(103)로부터 돌출된다.(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부(105) 및 상부(외부) 부분(10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대응하는 각도는, 예를 들어, 측면부재(101)의 내측에 대해 적어도 10° 또는 적어도 20° 및/또는 최대 70° 또는 최대 60° 또는 최대 30°일 수 있다.
제1 결합 구조(108)가 시트 쉘(50)의 카운터 구조와 맞물려 있을 때, 이는 고정(반드시 잠금 기능은 아님)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제1 결합 구조(108)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대적으로는) 단단하게 만들어진다. 측면부재(101)의 제2 단부(105)에서(특히, 내부 또는 하부(103)의 대응하는 단부), 제2 결합 구조(결합 요소)(109)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는 시트 쉘(50)의 대응하는 반대 구조(예: 리셉터클)에 맞물릴 수 있다.
제2 결합 구조(109)는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 구조(108)와 동일한 방향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가리키며, 특히 양쪽 결합부(108, 109)가 (함께) 측면부재(101)를 부착(장착) 및 제거(분리)하는 동작을 미리 정의(또는 정의)하는 방식으로 가리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결합 구조(109)는 래칭 장치(래칭 노즈)(109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 구조(제2 결합 요소)의 작동 방식은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1 단부(104)는 후방 단부일 수 있다. 제2 단부(105)는 전방 단부일 수 있다.(도 11에 따른 측면부재(101)를 갖는 대응하는 아동용 시트를 도시한 마지막 도면 참조)
도 12는 도 11에 따른 측면부재(101)를 내부(시트 쉘(50)의 방향에서)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 관점에서, 하부(내부) 부분(103)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보인다. 하부(내부) 부분(103)은(그러나 선택 사항이지만) 결합 구조물(108, 109)의 각각의 부착 지점에서 상부(10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예컨대, 나사에 의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 결합 구조(109)는 중앙 섹션(1092)을 가지며, 이는 차례로 (실시예에 따라, 2개) 암(1093) 및 (작동 장치의 일부로서 또는 이를 형성하는) 작동 섹션(1094)을 포함한다. 암(1093)(또는 일반적으로 중앙부(109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특히 탄력적)하므로, 구동부(1094)를 외부부 또는 상부(102) 쪽으로 이동(누름)함으로써, 중앙부(1092)가 리프 스프링으로 작동(또는 형성)하게 된다. 암(1093)에 인접하여(그리고 선택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결합 구조(109)는 (적어도 중앙부(1092)가 구부러질 수 있는 방향으로) 비교적 단단한 선택적 측면부(109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1093)은 바람직하게는 측면 부품들(1095)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더 나아가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 보조 요소(일반적으로 보조 구조물)(1096)가 위치하며(바람직하게는 대략 작동부(1094) 레벨에 위치), 이는 또한 시트 쉘(50)의 대응하는 반대 구조(예컨대, 홈)에 맞물릴 수 있고 시트 쉘(50) 내의 측면부재(101)의 체결을 (유지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보조 요소(1096)는 돌출부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홈을 포함하거나 그러한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요소에 의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포지셔닝이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림 13은 측면부재(101)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 쉘(50)의 단면을 외부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시트 쉘(50)은 측면부재(101)의 하부(103)가 부착될 수 있는 리셉터클 영역(홈)(51)을 갖는다. 제2(특히 전면) 섹션(511)은 (선택적) 프레임(장식용 프레임)과 제1 결합 구조(108)를 위한 제1 리셉터클(카운터 구조)(512)을 갖는다. 리셉터클 영역(51)의 제1(특히 후방) 섹션(513)은 스크류 돔의 헤드를 위한 선택적(바람직하게는 원형) 리셉터클(514)과 제2 결합 구조(제2 결합 요소), 특히 중앙 섹션(부분)(1092)과 두 측면 부분(1095)을 위한 제2 리셉터클(카운터 구조)(515)을 (이에 직접 인접하여) 구비하고 있다. 제 2 리셉터클(515)에 대해 더 외측으로, 보조 리셉터클(카운터 구조)(516)은 또한 (두 개의) 보조 구조(보조 요소)(1096)를 위해 제공된다. 위에서 이미 언급한 래칭 노즈에 의해 (래칭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래칭 에지는 도 14에서 볼 수 있다.
그림 14는 외부(특히 비스듬한 뒤쪽에서 비스듬한 방향으로)에서 바라본 측면부재(101)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 쉘의 단면을 보여준다.
표시된 요소와 구조는 그림 13의 요소와 (적어도 상당 부분) 일치한다.
도 15는 측면부재(101)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측면부재(101)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 쉘(50)의 단면을 외부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16은 측면부재(101)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측면부재(101)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 쉘(50)의 단면을 외부(특히 비스듬한 정면에서 비스듬한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등 부분(70)의 측면 영역(72)의 내부(즉,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에서)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커버 또는 직물 제품이 없지만, 특히 제공될 수 있음) 제2 측면 영역(72)(측면 패널)은 (외부) 단단한 쉘(보이지 않는 단단한 플라스틱 쉘)을 가지며, 그 내부는 (단단한) 발포 부분으로 덮일 수 있다. 개구부(관통 구멍)(721)는 제2 측면 영역(측면 패널)(72), 특히 (단단한) 폼 부분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개구부(관통 구멍)는 (적어도) 사람의 손가락이 통과하거나 (단면적으로) 직경이 적어도 1㎝ 또는 적어도 1.5㎝ 및/또는 최대 8㎝ 또는 최대 4㎝인 원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다.(이는 특히 표시된 상한과 관련하여 표시된 상한보다 큰 원은 수용될 수 없음을 의미하기 위한 것임) 개구부(721)는 리셉터클 영역(51)의 제2 리셉터클(515)과 반대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측면부재(101)가 부착(꽂혀있는)된 상태에서, 제2 결합 구조(결합 요소)(109)의 (바람직하게는 중앙) 섹션(1092)의 작동 섹션(1094)은 반대 구조(래칭 에지)로부터 래칭 장치(래칭 노즈)를 분리하고, 시트 쉘(50)로부터 측면부재(101)를 제거(분리)할 수 있도록 개구부(721)를 통해 (사람의) 손가락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도 18은 개구부(721)를 확대한 모습(측면부재(101) 제외)을 도시한다. 제2 리셉터클(515)의 단면, 특히 래칭 에지는 개구부(721)에서 볼 수 있다.
도 19는 개구부(721)(측면부재(101) 포함)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제2 리셉터클(515)의 단면(특히 래칭 에지)을 개구부(721)를 통해 볼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구조(제2 결합 요소)(109)의 중앙부(중앙 부분)(1092)의 작동 섹션(1094)이 보인다. 또한, 래칭 노즈는 래칭 에지와 맞물려 있다.
그림 20은 그림 17과 유사한데, 직물 제품이 표시되어 있지만 일부만 제거(접힌 상태)된 보기를 보여준다.
도 21은 시트 쉘 또는 아동용 시트의 측면 벽(특히 외부 쉘,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쉘 또는 경질 플라스틱 쉘)의 단면을 도시한다. 특히, 리셉터클 영역(51)은 부착(장착)된 측면부재(101)가 없는 상태에서 볼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구조는 (원칙적으로) 도 11-20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요소 및 구조물을 관통하는 (대략적인) 수평 단면을 도시하지만, 여기서는 측면부재(101)를 포함하여 측면부재(101)의 중앙을 관통하는 (대략적인) 수평 단면을 도시한다.
그림 23은 측면부재(101)의 측면도를 보여준다.(그림 12와 유사하지만 약간의 원근감이 있음)
그림 24는 그림 14와 유사한 보기를 보여준다.(첫 번째 512 및 두 번째 515 리셉터클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시야각이 선택됨)
그림 25는 어린이용 시트 또는 시트 쉘의 외측 벽(단단한 플라스틱 쉘)의 단면과 하부(103) 및 상부(102)로 분리된 측면부재(101)의 분해도이다.
전체적으로, 도 21 내지 도 25는 기본적으로 추가 설계(그러나 선택 사항)와 함께 도 11 내지 도 20에 설명된 실시예의 세부 사항을 보여준다.
도 26은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측면부재(101)를 갖는 시트 쉘(50)의 벽 단면을 통과하는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측면부재(101)는 표시된 등 지지면(71) 뒤에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 뒤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내부 측면(52)에서 접근 가능한 작동 장치(180)가 제공된다. 작동 장치(180)는 버튼(예컨대, 푸시 버튼)을 갖거나 형성할 수 있다. 작동 장치(180)는 (실시예에 따라) 여기에 스프링으로 장착되며, 래칭 요소(183)의 슬라이딩 블록(182)에 맞물리는 핀(181)을 구비한다. 작동 장치(180)는 측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변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 블록(182)은 그에 따라 배향되어(예를 들어, 작동 방향에 대해 45° 각도로 비스듬히), 잠금 요소(183)에 대해 측면 방향 또는 작동 장치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적어도 대략)으로 (강제) 이동이 발생하도록 한다.
그림 27은 작동 장치(180)가 (대략 절반 정도) 밀착 또는 눌려진 위치에서 래칭 요소(183)가 래치 위치(그림 26에 따라)에서 래치 해제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한 것을 보여준다.(그림 28 참조) 이에 해당하는 스프링이 도시된다.(약 절반 정도)
그림 28은 작동 장치(180)가 (완전히) 밀착되거나 눌려진 상태(일반적으로 종단 위치)이고, 래칭 요소(183)가 래칭 해제된 위치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 측면부재(101)는 작동 위치(도 26)에서 휴식 위치로 이동되었다. 측면부재(101)의 내부 부품(103) 또는 내부 측면(또는 다른 안쪽으로 향하는 구조)은 래칭 요소(103) 및 작동 장치(180)가 초기 위치로 다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두 개의 스프링)이 편향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도 26 내지 도 28에 따른 실시예는 위치 이동 장치(여기 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위치 이동 장치는 측면부재(101)를 작동 위치에서 휴식 위치로(및/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도 29는 도 26 내지 도 28의 실시예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도 26 내지 도 28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실행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질 수 있다.(각각은 그 자체로 선택적임) 첫째, 등 지지면(71)은 여기서 측면부재(101)에 대해 전방으로 변위되고(또는 측면부재(101)가 상응하여 후방으로 변위됨), 측면부재(101)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그 뒤에 위치하도록 한다.(특히 아직 도시되지 않은 커버 및 패딩이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둘째, 측면부재(101)의 원위 단부(105)는 이제 측면부재(101)가 휴식 위치에 있을 때 래칭 요소(183)를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리셉터클)(190)를 포함한다. 셋째, 래칭 요소(183) 및 리셉터클(190)은 (적어도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만 측면부재(101)의 휴식 위치가 유지되도록 (예를 들어, 경사면을 이용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외부에서 측면부재를 당기는 등의 이유로,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경사 표면은 래칭 요소(183)가 (두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작동 장치(180)(해제 버튼)를 결합 위치로 당기고, 측면부재(101)의 휴식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을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이 실시예(도 29에 따르면)는 위치 이동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될 수 있으며, 위치 이동 장치는 측면부재를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및/또는 그 반대로) 전달하도록 설계되어, 예를 들어 힘의 임계치를 극복하기 위해 (약간의) 당기기만 필요하도록 한다. (쉬운) 당김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결합 옵션이 측면부재(101)에 제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적어도 약간) 돌출된 단부(예컨대, 전면부)가 시트 쉘(50)의 외벽으로부터 한 지점에서 (적어도 약간) 더 돌출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3은 도 26 내지 도 29와 유사하지만(특히 도 29와 유사), 다르게 설계된(그리고 배열 또는 이동 가능한) 측면부재(101)를 갖는 래칭 및 릴리스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여기서, 측면부재(101)는 (선택적으로) 후면 지지면(71) 뒤로 당겨질 수 있다.(또는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추가 실시예(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측면부재(101)는 예를 들어, 서로 함께 변위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섹션 또는 서로 함께 변위될 수 있는 적어도 세 개의 섹션으로 (그 자체로) 텔레스코픽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다. (확장 가능한) 측면부재(101)는 버섯 모자 모양(버섯 모양)의 끝 부분을 갖지만, 이것이 필수는 아니다. 버섯 모자 모양의 끝 부분 및/또는 시트 쉘(50)의 외측(53)은 측면부재(101)의 뒤쪽을 쉽게 잡고 빼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200)를 갖거나 가질 수 있으며, 이 또한 선택 사항일 뿐이다.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 하나의 스프링 및/또는 상이한 스프링 유형을 갖는 실시예가 대안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 30에 따르면, 측면부재(101)는 휴식 위치에 있으며, 힘의 임계치를 초과하여 (측면부재를 당겨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는, 작동 장치(180)(해제 버튼)를 통해 해제할 수도 있다.
도 31은 측면부재(101)를 당김으로써(화살표로 표시됨), 측면부재(101)가 휴식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래치가 없는) 중간 위치로 옮겨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래칭 요소(183)가 경사진 표면으로 인해 래치 위치로부터 강제 이동되어 각 스프링(특히 두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작동 장치(해제 버튼)를 결합 위치로 당기는 것을 나타낸다.
도 32는 측면부재(101)의 첫 번째 작동 위치를 보여준다. 이 위치에서는 (힘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부의 (당기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추가적인 추출이 래치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더 빼낼 수 있다. 반대로 휴식 위치로 밀어 넣는 것은 작동 장치(180)(해제 버튼)가 작동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 위치의 존재 여부는 선택 사항이며, 휴식 위치와 작동 위치만 정의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도 33은 (완전히) 확장된 (끝) 위치의 측면부재(101)를 보여준다. 래치된 끝 위치(또는 두 번째 작동 위치)를 가정하려면 래칭 요소가 측면부재(101)의 해당 홈에 맞물려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표시되지 않는다. 대신, (해제 버튼이 눌려 있는 한) 측면부재(101)를 휴식 위치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작동 장치(108)가 눌려진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4는 도 11 내지 도 33과 유사한 측면부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시점에서, 위에서 설명한 모든 부분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특히 도면에 도시된 세부 사항이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으로 청구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들의 수정은 당업자에게 용이하다.
또한, 가능한 한 가장 광범위한 보호 범위가 추구되어야 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이러한 점에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발명은 추가 특징과 함께 설명되는 특징에 의해 구체화될 수도 있다.(이러한 추가 특징이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음) 둥근 괄호와 "특히"라는 용어는 해당 문맥에서 특징의 선택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지, 반대로 그러한 식별 없이 해당 문맥에서 특징이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점을 명시적으로 설명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유아용 카시트 20 : 베이스
30 : 텔레스코픽 지지 다리 40 : 아이소픽스 래치
50 : 시트 쉘 51 : 리셉터클 공간 또는 리셉터클 영역
511 : 제2 섹션 512 : 제1 리셉터클
513 : 제1 섹션 514 : 리셉터클
515 : 제2 리셉터클 516 : 보조 리셉터클
52 : 안쪽 53 : 바깥쪽
54 : 시트 쉘 안쪽 52 영역 55 : 리세스
57 : 관통홀 58 : 클램프
59 : 제1 스탑 90 : 충격 보호막
60 : 좌석 섹션 61 : 좌석
62 : 제1 측면 영역 70 : 후방 섹션
71 : 후방 지지면 72 : 제2 측면 영역
721 : 개구부(관통홀) 80 : 머리 받침대
100 : 측면 충격 보호 장치 101 : 측면부재
102 : 상부 쉘(외측부) 103 : 하부 쉘(내측부)
104 : 근위 말단(제1 또는 후방 말단) 105 : 원위 말단(제2 또는 전방 말단)
106 : 축 107 : 결합구조
108 : 제1 결합구조 109 : 제2 결합구조
1091 : 래칭 장치(래칭 노즈) 1092 : 중앙 섹션
1093 : 암 1094 : 구동 섹션
1095 : 측면 부분 1096 : 보조 부재
120 : 위치 이송 메커니즘 140 : 제1 잠금 메커니즘
141 : 구동 부재 142 : 제1 탄성 부재
143 : 래치 144 : 후크
160 : 제2 잠금 장치 161 : 제2 탄성 부재
162 : 제2 스탑 163 : 장공
170 : 언더컷 180 : 작동 장치
181 : 핀 182 : 슬라이딩 블록
183 : 래칭 부재 196 : 리세스
200 : 트로프

Claims (23)

  1.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10)로서, 상기 유아용 카시트(10)는
    시트 쉘과,
    시트 쉘(50)에 부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고, 특히 소정의 폭 내에 위치한 휴식 위치와 소정의 폭 밖에 위치한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포함하며,
    휴식 위치로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휴식 위치의 영구적인 설정을 방해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이동 장치(1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작동 위치에서 휴식 위치로 완전히 이동하여 잠겨지거나 적어도 독점적으로 잠겨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해 수단은 잠긴 작동 위치의 해제를 방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해 수단은 휴식 위치로의 이동을 방해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휴식 위치로의 부분적인 이동만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 및/또는 접힐 수 있는 측면부재(101)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휴식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잠겨지거나 적어도 독점적으로 잠겨지지 않는 것 및/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측면부재(101)는 휴식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잠겨지거나 적어도 독점적으로 잠겨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휴식 위치를 잠그기 위한 제1 잠금 장치(1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위치를 잠그기 위한 제2 잠금 장치(16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작동 위치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작동 위치로 완전히 이동함으로써 단독으로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수동으로, 휴식 위치의 잠금을 트리거 및/또는 설정하기 위한 제1 작동 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작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노브 및/또는 슬라이더 및/또는 레버를 포함하며, 및/또는
    어린이가 유아용 카시트(10)에 앉았을 때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어렵게 접근이 가능하며, 및/또는
    커버 및/또는 패딩으로 덮여 있으며, 및/또는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적어도 두 개의 작동 요소가 있으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구조, 특히 분리 벽, 바람직하게는 시트 쉘의 벽에 의해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 및/또는 그 측면부재(101)로 분리되며, 및/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 및/또는 그 측면부재(101)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의 거리에 위치하며, 및/또는
    외부에서 및/또는 내부에서 보이지 않으며, 및/또는
    시트 쉘(50)의 내부 측면(52)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패딩 및/또는 커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지며, 및/또는
    시트 쉘의 바깥쪽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커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지며, 및/또는
    탄성 성향을 갖는 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작동할 수 있으며, 및/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의 결합 구조와 결합하기 위해 제공되는 래치 또는 그 일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수동으로, 작동 위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제2 작동 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작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노브 및/또는 슬라이더 및/또는 레버를 포함하며, 및/또는
    어린이가 유아용 카시트(10)에 앉았을 때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어렵게 접근이 가능하며, 및/또는
    커버 및/또는 패딩으로 덮여 있으며, 및/또는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적어도 두 개의 작동 요소가 있으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구조, 특히 분리 벽, 바람직하게는 시트 쉘의 벽에 의해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 및/또는 그 측면부재(101)로 분리되며, 및/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 및/또는 그 측면부재(101)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의 거리에 위치하며, 및/또는
    외부에서 및/또는 내부에서 보이지 않으며, 및/또는
    시트 쉘(50)의 내부 측면(52)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패딩 및/또는 커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지며, 및/또는
    시트 쉘의 바깥쪽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커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지며, 및/또는
    탄성 성향을 갖는 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작동할 수 있으며, 및/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 또는 측면부재의 결합 구조와 결합하기 위해 제공되는 래치 또는 그 일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측면부재 또는 측면부재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해제(release)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위 가능한 측면부재(101)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제거 가능한 측면부재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 및/또는 측면부재는 제1 이동에 의해 작동 위치로부터 비잠금된 휴식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이동을 계속하지 않는) 제2 이동에 의해 휴식 위치에서 잠글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이동의 이동 축은 제2 이동의 이동 축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비평행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휴식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벗 및/또는 접힐 수 있는 측면부재(101)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되며, 측면부재 및/또는 그 구성 요소를 변위시킴으로써 휴식 위치의 잠금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유아용 카시트의 등받이 부분(70), 특히 등받이 지지면의 후방 및/또는 유아용 카시트의 시트 부분(60)의 위 및/또는 시트 쉘(50)의 외부 측면(53)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부재(101)는 작동 위치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는 암(arm)으로 형성되는데,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10)와 포장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유아용 카시트(10)는
    시트 쉘과,
    시트 쉘(50)에 장착되며, 특히 소정의 폭 내에 위치한 휴식 위치와 특히 소정의 폭 외부에 위치한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이동 장치(120)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과 유아용 시트(10)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가 휴식 위치 또는 휴식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포장에 의해 고정되고, 포장을 제거하면 위치 이동 장치(12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휴식 위치에서 또는 중간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이동되도록 서로 상대적으로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시스템.
  2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10)와 제20항에 따른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한 포장 방법으로서,
    유아용 카시트(10)는
    시트 쉘과,
    시트 쉘(50)에 장착되며, 특히 소정의 폭 내에 위치한 휴식 위치와 특히 소정의 폭 외부에 위치한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이동 장치(120)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용 시트(10)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가 휴식 위치 또는 휴식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포장에 의해 고정되고, 포장을 제거하면 위치 이동 장치(12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휴식 위치에서 또는 중간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이동되도록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포장 방법.
  22.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10)와, 제20항에 따른 시스템과, 제21항에 따라 포장된 유아용 카시트의 포장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유아용 카시트(10)는
    시트 쉘과,
    시트 쉘(50)에 장착되며, 특히 소정의 폭 내에 위치한 휴식 위치와 특히 소정의 폭 외부에 위치한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이동 장치(120)를 포함하며,
    더 이상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를 휴식 위치 또는 중간 위치에 고정하지 않으며, 위치 이동 장치(120)가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어린이용 시트(10)에서 포장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포장의 제거 방법.
  23.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10)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아용 카시트(10)는
    시트 쉘과,
    시트 쉘(50)에 장착되며, 특히 소정의 폭 내에 위치한 휴식 위치와 특히 소정의 폭 외부에 위치한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와,
    측면 충격 보호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휴식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이동 장치(120)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여기서, 측면 충격 보호 장치(100)는 작동 위치로부터 휴식 위치로의 완전한 이동에 의해 잠기지 않거나 적어도 배타적으로 잠기지 않으며,
    바람직한 다른 방식으로는, 작동 장치의 작동 및/또는 잠금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특히 측면 충격 보호 장치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측면부재의 적어도 일부의 변위에 의해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의 설정 방법.
KR1020237018303A 2020-10-30 2021-10-27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KR202300960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20106236.0U DE202020106236U1 (de) 2020-10-30 2020-10-30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DE202020106236.0 2020-10-30
DE102020132657.2 2020-12-08
DE102020132657.2A DE102020132657A1 (de) 2020-10-30 2020-12-08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PCT/EP2021/079781 WO2022090291A1 (de) 2020-10-30 2021-10-27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092A true KR20230096092A (ko) 2023-06-29

Family

ID=8026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303A KR20230096092A (ko) 2020-10-30 2021-10-27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01823A1 (ko)
EP (1) EP4237281A1 (ko)
JP (1) JP2023550271A (ko)
KR (1) KR20230096092A (ko)
CN (1) CN116568555A (ko)
DE (2) DE202020106236U1 (ko)
WO (1) WO202209029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5303A (ja) 1989-04-17 1990-11-09 Daikin Ind Ltd フィードバック干渉計測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202012102471U1 (de) 2012-06-18 2012-09-07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DE202015104791U1 (de) 2015-09-09 2015-11-26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US20200101876A1 (en) 2018-10-01 2020-04-02 Wonderland Switzerland Ag Lateral protecting mechanism and child restraint system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8070B2 (ja) 2000-01-26 2004-07-2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多端子ネットを自動的に発生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多端子ネット自動発生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プログラム記憶媒体
EP2578444B2 (de) 2009-07-14 2020-10-28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Kindersitz mit Seitenaufprallschutz
CN108674265B (zh) * 2018-07-12 2024-02-27 浙江博安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安全座椅的可伸缩侧保护气囊
CN115675211A (zh) * 2019-04-26 2023-02-03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侧撞保护机构及儿童安全座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5303A (ja) 1989-04-17 1990-11-09 Daikin Ind Ltd フィードバック干渉計測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202012102471U1 (de) 2012-06-18 2012-09-07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DE202015104791U1 (de) 2015-09-09 2015-11-26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US20200101876A1 (en) 2018-10-01 2020-04-02 Wonderland Switzerland Ag Lateral protecting mechanism and child restraint system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20106236U1 (de) 2022-02-01
JP2023550271A (ja) 2023-12-01
EP4237281A1 (de) 2023-09-06
WO2022090291A1 (de) 2022-05-05
DE102020132657A1 (de) 2022-05-05
US20240001823A1 (en) 2024-01-04
CN116568555A (zh)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6161B2 (en) Foldable child booster seat
JP3001800B2 (ja) 車両の開閉体
EP2781400B1 (en) Child safety seat assemblies
JP4480036B2 (ja) アームレストの取付け構造
KR101134875B1 (ko) 자동차 리어시트의 암레스트용 컵홀더 트레이
KR100683225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 구조
CN111278677A (zh) 包括座椅元件和能安装在车辆座椅上的基座的儿童座椅系统
GB2475772A (en) A multifunction box having a cooling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CN111422110B (zh) 儿童安全座椅
KR102563594B1 (ko) 컵홀더를 갖는 콘솔
GB2462909A (en) Motor vehicle with a sliding door and an adjustable armrest
KR102430676B1 (ko) 아동용 안전 좌석
GB2454367A (en) Child safety seat with storage in arm rests
US11865953B2 (en) Child safety seat and side impact protection mechanism thereof
KR101114107B1 (ko) 인출장치
US20070296236A1 (en) Manually lockable module box for motor vehicles
EP2030842A2 (en) Storage box structure for vehicle
KR20230096092A (ko)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KR200391926Y1 (ko) 자동차 암레스트 수납부용 푸쉬버튼식 잠금장치
KR20070031493A (ko) 더블 폴딩 시트용 폴딩 위치 제한장치
JP2000175765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装置
KR101172138B1 (ko) 콘솔 암레스트 구조
CN215706023U (zh) 汽车储物结构及汽车
JP3597509B2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構造
JP3627362B2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