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714A -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714A
KR20230095714A KR1020210185461A KR20210185461A KR20230095714A KR 20230095714 A KR20230095714 A KR 20230095714A KR 1020210185461 A KR1020210185461 A KR 1020210185461A KR 20210185461 A KR20210185461 A KR 20210185461A KR 20230095714 A KR20230095714 A KR 20230095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r tube
pcr
membrane
case
inser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559B1 (ko
Inventor
윤현규
Original Assignee
아토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토플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토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5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559B1/ko
Publication of KR20230095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함께 내부에 측방유동분석용 멤브레인을 수납할 수 있는 멤브레인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단(一端)의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멤브레인에 로딩되는 PCR 증폭 액체시료를 수용한 PCR 튜브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PCR 튜브 결합부와, 상기 PCR 튜브 결합부 내에 제공되는 PCR 튜브 개방수단으로서, 상기 PCR 튜브가 상기 PCR 튜브 결합부에 결합될 때, 상기 PCR 튜브의 측벽 또는 하단부를 절개 또는 천공하여 상기 PCR 튜브 내의 PCR 증폭 액체시료가 상기 멤브레인 표면에 로딩되도록 하는 PCR 튜브 개방수단을 포함하는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Case for lateral flow assay device}
본 발명은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측방유동분석용 멤브레인을 수납하여 PCR 증폭 액체시료에서 특정 유전자의 존재 유무를 분석하는데 사용하는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펫을 사용하지 않고 PCR 튜브를 PCR 증폭 액체시료를 수용한 상태로 결합부에 결합하면 PCR 튜브의 하단부 또는 측벽이 천공 또는 절개되면서 개방되고,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PCR 튜브의 PCR 증폭 액체시료가 측방유동분석용 멤브레인에 로딩되어 전개됨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한 측방유동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측방 유동분석장치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측방유동분석법(Lateral Flow Assay: LFA)"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임신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임신진단장치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고, PCR 증폭산물 내의 특정 유전자 검출을 위해서도 활용되고 있다.
측방유동분석법은 특정 유전자 검출을 위해 PCR 과정에 사용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에 항원을 표지하여 PCR 증폭을 수행한 후 PCR 증폭산물(항원이 표지됨)을 측방 유동분석용 멤브레인에 전개시키고, 전개된 PCR 증폭산물의 항원이 멤브레인 상에 존재하는 항체와의 반응여부로 PCR 증폭 산물 내에 특정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분자유전학적 분석법에 이용된다.
종래의 측방 유동분석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7042호에 개시되어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7042호의 측방 유동분석장치는, 하우징(210, 220) 내에 측방유동분석용 얇은 판상의 멤브레인 또는 스트립(200)을 설치하고, 하우징 일측에 구비된 투입구(211)를 통하여 분석대상물질을 투입(피펫 이용하여 투입)하면 투입된 분석대상물질은 멤브레인에서 전개되면서 멤브레인 상에 고정된 특정 항체와 반응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측방 유동분석장치에서 PCR 증폭산물을 분석하는 경우에, PCR 증폭기에서 PCR 증폭한 후 수득한 PCR 증폭 액체시료를 피펫으로 취출하고, 피펫을 측방 유동분석장치로 이동시킨 후 피펫의 버튼을 눌러 피펫 팁 내의 PCR 증폭 액체 시료를 측방 유동분석장치의 투입구를 통해 장치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 즉, 종래기술과 같이 피펫을 이용할 경우 취출, 이동 및 투입이라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측방유동분석법 내지는 측방유동분석장치와 관련한 기술분야 역시 다른 기술분야와 마찬가지로 끊임없는 기술의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승인으로서 인용한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7042호 (2012.06.2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펫을 사용하지 않고 PCR 튜브를 PCR 증폭 액체시료를 수용한 상태로 결합부에 결합하면 PCR 튜브의 하단부 또는 측벽이 천공 또는 절개되면서 개방되고,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PCR 튜브의 PCR 증폭 액체시료가 측방유동분석용 멤브레인에 로딩되어 전개됨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한 측방유동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로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함께 내부에 측방유동분석용 멤브레인을 수납할 수 있는 멤브레인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단(一端)의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멤브레인에 로딩되는 PCR 증폭 액체시료를 수용한 PCR 튜브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PCR 튜브 결합부와,
상기 PCR 튜브 결합부 내에 제공되는 PCR 튜브 개방수단으로서, 상기 PCR 튜브가 상기 PCR 튜브 결합부에 결합될 때, 상기 PCR 튜브의 측벽 또는 하단부를 절개 또는 천공하여 상기 PCR 튜브 내의 PCR 증폭 액체시료가 상기 멤브레인 표면에 로딩되도록 하는 PCR 튜브 개방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PCR 튜브 결합부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통로의 하단에는 바닥벽이 제공되며, 상기 PCR 튜브 개방수단은 상기 PCR 증폭 액체시료가 유동하는 내부 통로를 갖는 니들이고, 상기 니들은 상기 바닥벽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위치하며, 상기 니들의 일단(一端)은 상기 삽입통로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니들의 타단(他端)은 상기 멤브레인 수납공간으로 돌출되며 상기 멤브레인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PCR 튜브 결합부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PCR 튜브 결합부는 상기 삽입통로와 상기 상부 케이스를 축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을 통해 상기 멤브레인 수납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PCR 튜브 개방수단은 상기 삽입통로의 측벽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일자형 커터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PCR 튜브 결합부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PCR 튜브 결합부는 상기 삽입통로와 상기 상부 케이스를 축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을 통해 상기 멤브레인 수납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PCR 튜브 개방수단은 상기 삽입통로의 측벽에서 중심축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형 커터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PCR 튜브 결합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PCR 증폭 액체시료가 수용되는 제1PCR 튜브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삽입통로와, 상기 제1삽입통로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멤브레인을 통해 상기 PCR 증폭 액체시료를 전개시키는 전개액이 수용되는 제2PCR 튜브가 결합되는 제2삽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개액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삽입통로는 상기 제2삽입통로 보다 하류측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측방유동분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PCR 액체시료를 수용한 PCR 튜브를 케이스의 PCR 튜브 결합부의 정위치에 결합시키면, PCR 튜브의 하단부 또는 측벽이 PCR 튜브 개방수단에 의해 천공 또는 절개되면서 개방되어 PCR 튜브 내의 PCR 증폭 액체시료가 케이스 내부의 멤브레인 쪽으로 배출되어 멤브레인에 로딩되므로 시료 로딩 작업이 간편하고 현장에서 신속하게 유전자 검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CR 증폭 액체시료가 수용되는 제1PCR 튜브 및 전개액이 수용되는 제2PCR 튜브를 각각 PCR 튜브 결합부에 제공된 제1삽입통로 및 제2삽입통로에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삽입할 경우, 전개액과 PCR 증폭 액체시료를 멤브레인 상에서 간편하게 혼합하여 할 수 있어 전개액과 PCR 증폭 액체시료를 사전에 혼합하는 불편이 없고, 검사의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조립사시도로서, PCR 튜브 결합부 내부에 PCR 튜브 개방수단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부분 단면 사시도로서, PCR 증폭 액체시료가 유동하는 내부 통로를 갖는 니들형 개방수단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길이방향 결합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에 PCR 튜브가 결합되었을 때의 길이방향 결합단면도로서, PCR 튜브를 PCR 튜브 결합부의 정위치에 결합하였을 때, PCR 튜브의 하단부가 개방 수단(니들)에 의해 천공되고 천공된 개방부를 통하여 PCR 튜브의 PCR 증폭 액체시료가 멤브레인 쪽으로 유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A"부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조립사시도로서, PCR 튜브 결합부 내부에 PCR 튜브 개방수단으로서 일자형 커터가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부분 단면 사시도로서, PCR 튜브 개방수단으로서 일자형 커터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길이방향 결합단면도로서, PCR 튜브가 PCR 튜브 결합부에서 일자형 커터에 의해 절개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길이방향 결합단면도로서, PCR 튜브가 PCR 튜브 결합부에서 일자형 커터에 의해 절개되어 PCR 증폭 액체시료가 멤브레인으로 유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c는 도 6b의 "B"부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조립사시도로서, PCR 튜브 결합부 내부에 PCR 튜브 개방수단으로서 돌기형 커터가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부분 단면 사시도로서, PCR 튜브 개방수단으로서 돌기형 커터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길이방향 결합단면도로서, PCR 튜브가 PCR 튜브 결합부에서 돌기형 커터에 의해 절개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길이방향 결합단면도로서, PCR 튜브가 PCR 튜브 결합부에서 돌기형 커터에 의해 절개되어 PCR 증폭 액체시료가 멤브레인으로 유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9c는 도 9b의 "C"부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10은 2개의 PCR 튜브 결합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의 길이방향 결합단면도로서, 2개의 PCR 튜브를 각각 제1PCR 튜브 결합부 및 제2PCR 튜브 결합부의 정위치에 결합하여 각각의 PCR 튜브의 하단부가 PCR 튜브 개방수단에 의해 절개된 후 PCR 증폭 액체시료와 전개액이 멤브레인 상에서 혼합되어 유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인용된 참고문헌들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통합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실시예> (도 1, 도 2a, 도 2b, 도 3a 내지 도 3c 참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100)는 도 1, 도 2a, 도 2b,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21)와, 암수결합방식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부 케이스(121)와 결합하고 상부 케이스(121)와 함께 내부에 측방유동분석용 멤브레인(110)을 수납할 수 있는 멤브레인 수납공간(S1)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22)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21)와 하부 케이스(12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암수결합방식의 결합수단(125a, 125b)은 상부 케이스(121)의 내측벽에서 연장된 결합돌기(125a)와, 하부 케이스(122)의 내측바닥에서 상향 연장되어 결합돌기(125a)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는 결합홈(12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결합돌기는 하부 케이스(122)에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홈은 상부 케이스(1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1)는 상·하부 케이스(120) 내의 멤브레인(110)에 로딩되는 PCR 증폭 액체시료를 수용한 PCR 튜브(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PCR 튜브 결합부(123)를 구비한다. PCR 튜브 결합부(123)는 상부 케이스(121)의 일단(一端)의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PCR 튜브 결합부(123)는 상부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통로(124)를 구비한다.
PCR 튜브(10)가 PCR 튜브 결합부(123)에 결합될 때, PCR 튜브(10)의 하단부(11)를 천공하여 PCR 튜브(10) 내의 PCR 증폭 액체시료가 멤브레인(110) 표면에 로딩되도록 하는 PCR 튜브 개방수단이 삽입통로(124) 내에 제공된다.
PCR 튜브 결합부(123)에는 상부 케이스(121)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통로(124)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로(124)의 하단에는 바닥벽(124a)이 제공된다. 제1실시예에서 PCR 튜브 개방수단은 PCR 증폭 액체시료가 유동하는 내부 통로를 갖는 니들(201A)이다(도 2b 참조).
니들(201A)은 바닥벽(124a)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부 케이스(121)에 고정되어 위치한다. 니들(201A)의 일단은 삽입통로(124) 내부로 돌출되고, 니들(201A)의 타단은 멤브레인 수납공간(S1)으로 돌출되며 멤브레인(110)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니들(201A)의 일단에는 경사지게 절단된 첨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110)은 PCR 증폭 액체시료가 모세관 현상으로 흐를 수 있는 다공성 막으로 구성된다. 멤브레인(110)은 PCR 증폭 액체시료를 흡수하여 균일한 유동을 보장하는 지지막(111)을 구비한다. 멤브레인(110)의 하류측에는 모세관 현상을 촉진하는 흡수패드(112)를 구비하고, 상류측에는 PCR 증폭 액체시료가 로딩되는 샘플패드(113)와 스트렙타비딘 또는 이와 동등한 물질이 접합된 금 나노입자들이 침지된 접합 패드(114)를 가진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R 튜브 결합부(123)의 삽입통로(124)내에 PCR 튜브(10)를 삽입하면, PCR 튜브의 하단부(11)는 니들(201A)에 의해 천공되면서 바닥면(124a)에 접촉한다. PCR 증폭 액체시료를 수용한 PCR 튜브(10)가 삽입통로(124) 내의 정위치에 결합되면, 내부통로를 갖는 니들(201A)이 PCR 튜브(10)의 하단부(11)를 천공하여 PCR 튜브(10)내로 삽입된다. PCR 튜브(10) 내에 삽입된 니들(201A)은 PCR 튜브(10) 내부와 상·하부 케이스(120) 내의 멤브레인 수용공간(S1)을 연통시키게 되고, PCR 튜브(10) 내에 수용된 PCR 증폭 액체시료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니들(201A)의 내부통로를 통하여 멤브레인 수용공간(S1)에 위치한 멤브레인(110)으로 유동된다(도 3b 및 도 3c의 화살표 방향 참조).
그리고 나서, PCR 증폭 액체시료는 멤브레인(110)의 샘플패드(113)에 로딩되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접합 패드(114) 및 지지막(111)을 통해 흡수패드(11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4, 도 5a, 도 5b, 도 6a 내지 도 6c 참조)
제2실시예는 상부 케이스(121)에 구비된 PCR 튜브 결합부(123) 내의 삽입통로(124)의 하단이 개방된 점과, 삽입통로(124) 내에 구비된 PCR 튜브 개방수단만 제1실시예와 다르고,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PCR 튜브 결합부(123)에는 상부 케이스(121)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통로(124)가 형성된다. PCR 튜브 결합부(123)는 삽입통로(124)와 상부 케이스(121)의 벽을 축방향으로 관통한 구멍(124b)을 통해 멤브레인 수납공간(S1)과 연통된다.
제2실시예에서 PCR 튜브 개방수단은 삽입통로(124)의 하단 측벽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일자형 커터(201B)이다(도 5b 참조). 일자형 커터(201B)의 상단에는 한쪽방향으로 경사진 날부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통로(124) 내에서 일자형 커터(201B)의 양쪽 측편은 개방되어 있다.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R 튜브 결합부(123)의 삽입통로(124)내에 PCR 튜브(10)를 삽입하면, 일자형 커터(201B)는 PCR 튜브(10)의 하단부(11)를 축방향으로 절개한다. 이때, PCR 튜브(10)의 하단부(11)는 멤브레인(110)의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PCR 튜브(10) 내에 수용된 PCR 증폭 액체시료는 일자형 커터(201B)에 의해 축방향으로 절개된 부분(13)과 일자형 커터(201B)의 양쪽 측편 공간을 통하여 유출되고 PCR 튜브(10)의 하단부(11)의 끝에 방울로 맺히게 된 후 멤브레인 수용공간(S1)에 위치한 멤브레인(110) 표면과 접촉하게 되고, 이후 모세관 현상에 의해 PCR 증폭 액체시료는 멤브레인(110)으로 원활하게 유동된다(도 6b 및 도 6c의 화살표 방향 참조). PCR 증폭 액체시료는 멤브레인(110)의 샘플패드(113)에 로딩되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접합 패드(114) 및 지지막(111)을 통해 흡수패드(11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3실시예> (도 7, 도 8a, 도 8b, 도 9a 내지 도 9c 참조)
제3실시예는 상부 케이스(121)에 구비된 PCR 튜브 결합부(123) 내의 삽입통로(124)의 하단이 개방된 점과, 삽입통로(124) 내에 구비된 PCR 튜브 개방수단만 제1실시예와 다르고,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PCR 튜브 결합부(123)에는 상부 케이스(121)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통로(124)가 형성된다. PCR 튜브 결합부(123)는 삽입통로(124)와 상부 케이스(121)의 벽을 축방향으로 관통한 구멍(124c)을 통해 멤브레인 수납공간(S1)과 연통된다.
제3실시예에서 PCR 튜브 개방수단은 삽입통로(124)의 하단 측벽에서 중심축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형 커터(201C)이다(도 8b 참조). 돌기형 커터(201C)는 삽입통로(124) 내에 복수 개 제공될 수 있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않는 예시로서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돌기형 커터(201C)는 삽입통로(124) 내에 4개가 제공되는 경우 각 돌기형 커터(201C)는 서로에 대해 90°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기형 커터(201C)가 내부에 형성된 삽입통로(124)의 중심축 영역과, 복수 개의 돌기형 커터(201C)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을 통해 PCR 튜브(10) 내의 PCR 증폭 액체 시료가 통과될 수 있다.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R 튜브 결합부(123)의 삽입통로(124)내에 PCR 튜브(10)를 삽입하면, 4개의 돌기형 커터(201C)가 PCR 튜브(10)의 하단부(11)의 둘레를 축방향으로 절개하여 90°간격의 4개의 기다란 절개 부분(13)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PCR 튜브(10)의 하단부(11)는 멤브레인(110)의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PCR 튜브(10) 내의 PCR 증폭 액체 시료는 4개의 기다란 절개 부분(13)을 통해 통하여 유출되고 PCR 튜브(10)의 하단부(11)의 끝에 방울로 맺히게 된 후 멤브레인 수용공간(S1)에 위치한 멤브레인(110) 표면과 접촉하게 되고, 이후 모세관 현상에 의해 PCR 증폭 액체시료는 멤브레인(110)으로 원활하게 유동된다(도 9b 및 도 9c의 화살표 방향 참조). PCR 증폭 액체시료는 멤브레인(110)의 샘플패드(113)에 로딩되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접합 패드(114) 및 지지막(111)을 통해 흡수패드(11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4실시예> (도 10 및 도 11 참조)
제4실시예는 PCR 튜브 결합부(123)에 2개의 삽입통로(124-1, 124-1)가 제공된 점만 제1실시예~제3실시예와 다르고,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제3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실시예~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에서 PCR 튜브 결합부(123)는 제1삽입통로(124-1)와 제2삽입통로(124-2)를 구비한다.
제1삽입통로(124-1)는 상부 케이스(121)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삽입통로(124-1)에는 PCR 증폭 액체시료가 수용되는 제1PCR 튜브(10A)가 삽입된다. 제2삽입통로(124-2)는 제1삽입통로(124-1)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상부 케이스(121)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삽입통로(124-2)에는 PCR 증폭 액체시료를 멤브레인(110)을 통해 유동시키는 전개액이 수용되는 제2PCR 튜브(10B)가 삽입된다. 전개액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제1삽입통로(124-1)는 제2삽입통로 보다 하류측에 위치한다.
제2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1삽입통로(124-1) 및 제2삽입통로(124-2) 내에 각각 제1PCR 튜브(10A) 및 제2PCR 튜브(10B)를 삽입하면, PCR 튜브 개방 수단(201)은 제1PCR 튜브(10A)의 하단부 및 제2PCR 튜브(10B)의 하단부를 축방향으로 절개한다. 이때, 제1PCR 튜브(10A)의 하단부 및 제2PCR 튜브(10B)의 하단부는 멤브레인(110)의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제1PCR 튜브(10A) 내에 수용된 PCR 증폭 액체시료는 PCR 튜브 개방 수단(201)(예를 들어, 일자형 커터)에 의해 축방향으로 절개된 부분(13)과 일자형 커터(201)의 양쪽 측편 공간을 통하여 유출되고 제1PCR 튜브(10A)의 하단부의 끝에 방울로 맺히게 된 후 멤브레인 수용공간(S1)에 위치한 멤브레인(110)의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제2PCR 튜브(10B) 내에 수용된 전개액은 PCR 튜브 개방 수단(201)(예를 들어, 일자형 커터)에 의해 축방향으로 절개된 부분(13)과 일자형 커터(201)의 양쪽 측편 공간을 통하여 유출되고 제2PCR 튜브(10B)의 하단부의 끝에 방울로 맺히게 된 후 멤브레인 수용공간(S1)에 위치한 멤브레인(110)의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즉, 제1PCR 튜브(10A) 및 제2PCR 튜브(10B)를 각각 제1삽입통로(124-1) 및 제2삽입통로(124-2)에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삽입하면 제1PCR 튜브(10A) 및 제2PCR 튜브(10B)는 PCR 튜브 개방 수단(201)에 의해 절개된다. 이때, 제1PCR 튜브(10A)로부터는 PCR 증폭 액체시료가 유출되어 멤브레인(110)의 표면에 접촉되고 제2PCR 튜브(10B)로부터는 전개액이 유출되어 멤브레인(110)의 표면에 접촉된다. 멤브레인(110) 표면에 접촉된 전개액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멤브레인(110)을 통해 하류측, 즉 흡수패드(112) 측으로 신속히 유동된다(도 11의 화살표 방향 참조). 멤브레인(110)의 상류측에 로딩된 전개액은 신속히 이동하여 PCR 증폭 액체시료와 혼합되고, 전개액과 혼합된 PCR 증폭 액체시료는 전개액에 의해 멤브레인(110)을 통해 원할하게 유동하게 된다(도 11의 화살표 방향 참조).
따라서, 실시예 4의 구성에 따르면, 전개액과 PCR 증폭 액체시료를 멤브레인(110)에서 간편하게 혼합하여 할 수 있어 전개액과 PCR 증폭 액체시료를 사전에 혼합하는 불편이 없고, 검사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PCR 튜브 개방 수단(201)의 하나의 예시로서 일자형 커터가 도시되어 있으나, 니들이나 돌기형 커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PCR 튜브 10A: 제1 PCR 튜브
10B: 제2 PCR 튜브 11: PCR 튜브 하단부
100: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110: 멤브레인 111: 지지막
112: 흡수 패드 113: 샘플 패드
114: 접합 패드
120: 상·하부 케이스 121: 상부 케이스
122: 하부 케이스 123: PCR 튜브 결합부
124: 삽입통로
124-1: 제1삽입통로 124-2: 제2삽입통로
125a: 결합돌기 125b: 결합홈
S1: 멤브레인 수용공간
201A: 니들 201B: 일자형 커터
201C: 돌기형 커터

Claims (7)

  1.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함께 내부에 측방유동분석용 멤브레인을 수납할 수 있는 멤브레인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단(一端)의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멤브레인에 로딩되는 PCR 증폭 액체시료를 수용한 PCR 튜브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PCR 튜브 결합부와,
    상기 PCR 튜브 결합부 내에 제공되는 PCR 튜브 개방수단으로서, 상기 PCR 튜브가 상기 PCR 튜브 결합부에 결합될 때, 상기 PCR 튜브의 측벽 또는 하단부를 절개 또는 천공하여 상기 PCR 튜브 내의 PCR 증폭 액체시료가 상기 멤브레인 표면에 로딩되도록 하는 PCR 튜브 개방수단을 포함하는,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R 튜브 결합부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통로의 하단에는 바닥벽이 제공되며, 상기 PCR 튜브 개방수단은 상기 PCR 증폭 액체시료가 유동하는 내부 통로를 갖는 니들이고, 상기 니들은 상기 바닥벽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위치하며, 상기 니들의 일단(一端)은 상기 삽입통로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니들의 타단(他端)은 상기 멤브레인 수납공간으로 돌출되며 상기 멤브레인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R 튜브 결합부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PCR 튜브 결합부는 상기 삽입통로와 상기 상부 케이스를 축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을 통해 상기 멤브레인 수납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PCR 튜브 개방수단은 상기 삽입통로의 측벽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일자형 커터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R 튜브 결합부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PCR 튜브 결합부는 상기 삽입통로와 상기 상부 케이스를 축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을 통해 상기 멤브레인 수납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PCR 튜브 개방수단은 상기 삽입통로의 측벽에서 중심축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형 커터인,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CR 튜브 결합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PCR 증폭 액체시료가 수용되는 제1PCR 튜브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삽입통로와,
    상기 제1삽입통로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멤브레인을 통해 상기 PCR 증폭 액체시료를 전개시키는 전개액이 수용되는 제2PCR 튜브가 결합되는 제2삽입통로를 포함하는,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액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삽입통로는 상기 제2삽입통로 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측방유동분석 장치.
KR1020210185461A 2021-12-22 2021-12-22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KR102589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461A KR102589559B1 (ko) 2021-12-22 2021-12-22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461A KR102589559B1 (ko) 2021-12-22 2021-12-22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714A true KR20230095714A (ko) 2023-06-29
KR102589559B1 KR102589559B1 (ko) 2023-10-16

Family

ID=86946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461A KR102589559B1 (ko) 2021-12-22 2021-12-22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5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042B1 (ko) 2005-04-18 2012-06-21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개선된 측면 이동 면역분석법과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80098089A (ko) * 2017-02-24 2018-09-03 (주)바이오니아 핵산 추출 카트리지와 다양한 pcr패널들로 조립되는 생체시료 분석 키트
CN111876319A (zh) * 2020-07-07 2020-11-03 象山县第一人民医院医疗健康集团 一种反应管及测试试剂盒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042B1 (ko) 2005-04-18 2012-06-21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개선된 측면 이동 면역분석법과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80098089A (ko) * 2017-02-24 2018-09-03 (주)바이오니아 핵산 추출 카트리지와 다양한 pcr패널들로 조립되는 생체시료 분석 키트
CN111876319A (zh) * 2020-07-07 2020-11-03 象山县第一人民医院医疗健康集团 一种反应管及测试试剂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559B1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2882B2 (en)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analytes in small-volume blood samples
US11215610B2 (en) Reducing optical interference in a fluidic device
US11391747B2 (en) Cartridge device with fluidic junctions for coagulation assays in fluid samples
KR101593868B1 (ko) 유체 장치에서 광학 간섭의 감소
JP2013521773A (ja) 血球分離チップ
US8059270B2 (en) Microchip
JP2019502103A (ja) アッセイ装置
US20140275866A1 (en) Rotatable disk-shaped fluid sample collection device
JP2005230816A (ja) 液体を処理するためのマイクロ構造化されたプラットフォーム及び該プラットフォームの使用法
US7318359B2 (en) Sampling means and system for testing a sample liquid
JP2008525791A (ja) 検査用デバイスおよび血液混合希釈方法
KR20230095714A (ko) 측방유동분석 장치용 케이스
KR20170077984A (ko) 팽창재를 이용한 멤브레인 스트립 센서
JP3991034B2 (ja) 検出方法
JP2006121935A (ja) 前処理手段および廃液貯留部を有する生体物質検査用マイクロリアクタ
KR102114446B1 (ko) 랩온어칩, 랩온어칩 제조 방법 및 랩온어칩을 이용한 진단 방법
KR101070311B1 (ko) 마이크로플루이딕스 칩을 위한 플랫폼 장치
US20190255532A1 (en) Liquid injection attachment
KR101894100B1 (ko) 바이오 센서
KR101266257B1 (ko) 유체분석용 칩
KR102015360B1 (ko) 측방 유동 분석에서의 신호 증폭 키트 및 그의 제작 방법
EP4337381A1 (en) Device for allowing pressurization of fluid in a microfluidic diagnostic device
KR20230131598A (ko) 등온증폭 및 측방유동분석을 이용한 유전자 증폭 및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