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460A - 흑색종 치료를 위한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흑색종 치료를 위한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460A
KR20230095460A KR1020210184957A KR20210184957A KR20230095460A KR 20230095460 A KR20230095460 A KR 20230095460A KR 1020210184957 A KR1020210184957 A KR 1020210184957A KR 20210184957 A KR20210184957 A KR 20210184957A KR 20230095460 A KR20230095460 A KR 20230095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flt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ancer
hatms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찬
이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차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차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차온
Priority to KR1020210184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5460A/ko
Publication of KR2023009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Flt-1을 과발현하는 사람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sFlt-1 hATMSC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sFlt-1 hATMSCs는 흑색종의 세포생존율 및 성장을 억제시키고,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흑색종에 대한 항암효능이 sFlt-1 유전자를 도입하지 않은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 대비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sFlt-1 hATMSCs를 기존 항암제와 병용 투여하는 경우, sFlt-1 hATMSCs 또는 항암제 단독 투여 대비 흑색종에 대한 항암효능이 현저히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흑색종 치료를 위한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이의 용도{Mesenchymal stem cells overexpressing sFlt-1 having treating malignant melanoma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sFlt-1을 과발현하는 사람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sFlt-1 hATMSC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흑색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항암보조제 및 이를 이용한 흑색종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악성 흑색종(malignant melanoma)은 멜라닌 세포의 악성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으로 주로 피부에서 발생하나 눈, 귀, 위장관, 입과 생식기의 점막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피부암 중에서는 가장 위험한 형태의 암으로 유병율은 최근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진행성 및 전이성 악성 흑색종으로 수술적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는 다카바진(dacarbaz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 등의 항암제를 이용한 약물요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치료효과는 대부분 미미하며 전이성 악성 흑색종은 항암치료에 내성을 보이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악성 흑색종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 및 치료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전이성 악성 흑색종 치료를 위한 새로운 도전연구 분야로 줄기세포에 종양치료 유전자를 도입하거나 재조합을 통하여 항암치료에 접근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성체 줄기세포는 분리가 쉽고, 생체 밖에서의 증식이 용이하고, 면역 반응이 적기 때문에 세포수송체로서, 치료 단백질을 안전하게 나를 수 있는 수송체 역할을 하기에 가장 적절한 세포로 여겨지고 있다. 성공적인 유전자 치료를 위해서는 치료 유전자가 표적세포에 적절히 전달될 수 있어야 하는데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는 간편한 체외 분리, 체외 배양 및 안전성을 고려하면 매력적인 전달체가 될 수 있다. 또한 MSC는 아데노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렌티바이러스 벡터가 쉽게 형질 도입되기 때문에 치료유전자를 쉽게 발현할 수 있으며, 여러 종양조직(흑색종, Kaposi 육종, 아교종, 직장암 등)으로 이동해서 생착하는 능력이 있어서 원발성 종양뿐만 아니라 전이성 종양 세포에 유전자를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의 경우에는 종양의 신생혈관 생성을 타겟(target)으로 하는 항-신생혈관생성 유전자 치료(anti-angiogenic gene therapy)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조절인자(regulator) 중 하나이다. VEGF의 경우 종양 신생혈관형성(tumor angiogenesis)과 혈액을 통한 전이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로도 알려져 있다. 이 VEGF의 경우에는 내피세포에 존재하는 티로신 인산화효소 수용체(tyrosine kinase receptor), 특히 Flt-1과 Flk-1/KDR receptor에 높은 친화성을 갖는다. VEGF receptor의 soluble form (sFlt-1)의 경우 유인 수용체(decoy receptor)로 작용함으로서 VEGF의 작용을 억제하여 anti-angiogenic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sFlt-1과 전이성 암 또는 흑색종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전혀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악성 흑색종의 치료를 위해 sFlt-1을 과발현하는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효과적인 치료기술 개발 및 작용기전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sFlt-1을 과발현하는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가 전이성 악성 흑색종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일 수 있으며, 기존의 항암치료약물과 병용투여시 치료가능성을 훨씬 더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53069호
Xu L, Kanasaki K, Kitada M, Koya D. Diabetic angiopathy and angiogenic defects. Fibrogenesis & tissue repair. 2012. 5(1): 13.
본 발명의 목적은 sFlt-1(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sFlt-1(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지방 조직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흑색종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시스플라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Flt-1(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sFlt-1(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인간을 제외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sFlt-1을 과발현하는 사람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 overexpressing huma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sFlt-1 hATMSCs)는 흑색종의 세포생존율 및 성장을 억제시키고,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흑색종에 대한 항암효능이 sFlt-1 유전자를 도입하지 않은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 대비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sFlt-1 hATMSCs를 기존 항암제와 병용 투여하는 경우, sFlt-1 hATMSCs 또는 항암제 단독 투여 대비 흑색종에 대한 항암효능이 현저히 증가하는 효과가 있어, 임상 부작용을 최소화한 농도의 항암제와의 병용요법을 통한 새로운 흑색종 치료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sFlt-1을 과발현하는 사람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sFlt-1 hATMSCs)의 sFlt-1 과발현 여부 및 줄기세포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A: RT-PCR을 통한 sFlt-1 mRNA 발현 확인 결과, B: ELISA를 통한 sFlt-1 단백질 발현 확인 결과 및 C: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을 이용한 면역표현형(Immunophenotyping) 분석을 통해 줄기세포 표지마커를 확인한 결과.
도 2는 본 발명의 sFlt-1 hATMSCs의 B16F10 흑색종세포에 대한 항암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A: WST-1 분석을 통한 B16F10 흑색종세포의 생존율 확인 결과, B: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통한 Cleaved caspase-3 및 PARP 단백질 발현 확인 결과 및 C: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을 통해 Annexin V 단백질 발현 세포(Annexin V 염색 세포)를 확인한 결과.
도 3은 흑색종 유발 마우스모델에서 sFlt-1 hATMSCs 단독투여 또는 sFlt-1 hATMSCs 및 시스플라틴(cisplatin) 병용투여에 의한 항암효과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식염수 투여 대조군(Control), 2) cisplatin(10 mg/kg) 단독 투여군, 3) hATMSCs(5×105개) 단독 투여군, 4) sFlt-1 hATMSCs(5×105개) 단독 투여군 및 5) sFlt-1 hATMSCs(5×105개) + cisplatin(10 mg/kg) 병용 투여군.
도 4는 종양의 anti-angiogenic molecule sFlt-1 작용기전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sFlt-1(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선행연구에서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항암효능을 검증한 바가 있으며,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의 유인 수용체(decoy receptor) 중 하나인 가용성 fms-유사 티로신 키나제-1 (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 sFlt-1)를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hATMSCs)를 제작 및 이를 이용하여 흑색종 세포 및 흑색종 유발 생쥐모델에서 항암효과 및 그 기전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기존의 치료약물(cisplatin)과 병용을 통해 흑색종에 대한 증진된 항암치료효과를 검증하여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sFlt-1 hATMSCs)의 활용을 통해 악성 흑색종에 대한 새로운 치료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을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함유하는(including)” 또는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zed by)"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추가적인 구성 성분 또는 방법의 단계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 “~로 구성되는(consisting of)”이란 별도로 기재되지 않은 추가적인 요소, 단계 또는 성분 등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essentially consisting of)”이란 조성물 또는 방법의 범위에 있어서, 기재된 물질 또는 단계와 더불어 이의 기본적인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 또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발현(expression)"은 세포에서 단백질 또는 핵산의 생성을 의미하며, “과발현(overexpression)"은 정상적인 상태 또는 일반적인 상태보다 특정 유전자의 발현의 수준이 과도하게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는 구체적으로는 sFlt-1 유전자(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증가되어 있는 중간엽줄기세포이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란 치료되는 개체 또는 세포의 자연적 과정을 변경시키려는 임상적 시술을 의미하며, 임상적 병리의 예방을 위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치료의 바람직한 효과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 억제, 증상의 완화, 질병의 임의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의 감소, 질병 진행 속도의 감소, 질병 상태의 개선, 호전, 완화 또는 개선된 예후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질병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sFlt-1은 인간 및 마우스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으로부터 유래한 sFlt-1 유전자를 의미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 sFlt-1 유전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중간엽줄기세포에서 과발현되는 sFlt-1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s)"는 뼈(bone), 연골(cartilage), 지방조직(fat tissue), 힘줄(건), 신경조직(nerve tissue), 섬유아세포(fibroblast) 및 근육세포(muscle cell) 등 구체적인 장기의 세포로 분화되기 전의 다분화 전구 세포(multipotent progenitor)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중간엽줄기세포는 분화되지 않은 상태, 즉 줄기세포 상태로 조성물 중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중간엽줄기세포는 포유류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간엽줄기세포는 제대, 제대혈, 태반, 골수, 지방조직, 근육, 양수 및 양막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조직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으나, 지방 조직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지방조직 유래의 중간엽줄기세포는 골수, 양수, 제대혈 줄기 세포와 달리 다량을 제공받을 수 있는 실용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고, 지방 세포의 1% 정도가 줄기 세포로 추정되고 있으며, 최근 선진국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성형수술이 지방흡입술(liposuction)임을 고려하다면 사실상 지방유래 줄기세포는 무한적인 그 유용성이 높다. 또한, 지방 조직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는 다른 조직에서 유래된 줄기세포보다 sFlt-1 과발현시 흑색종에 대한 항암효능이 더 뛰어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중간엽줄기세포를 얻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간 또는 마우스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 소스, 예컨대, 지방조직, 혈액 또는 골수로부터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한 다음, 이어 상기 세포를 적합한 배지에서 배양하고, 배양과정에서 부유 세포를 제거하고 배양 플레이트에 부착된 세포들을 계대 배양하여, 최종적으로 구축된(established) 중간엽줄기세포를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지방 조직으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중간엽줄기세포의 분리는 종래 알려진 어떤 분리방법에 의해서도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도차를 이용한 분리법(density gradient fractionation), 면역선택(immunoselection) 및 감별 부착 분리법(differential adhesion separation) 등이 있다. 지방 조직으로부터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하는 방법은 기존에 사용되어 온 방법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분리된 중간엽줄기세포의 배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세포 배양용 배지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DMEM 배지, McCoys 5A 배지, Eagle's basal 배지, CMRL 배지, Glasgow 최소 필수배지, Ham's F-12 배지, Iscove's modified Dulbecco's 배지, Liebovitz' L-15 배지, RPMI 1640 배지 KSB-3 basal media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세포 배양 배지에는 필요에 따라 한 가지 이상의 보조 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데, 우태아혈청, 말 또는 인간 등의 혈청을 비롯하여, 미생물의 오염을 막기 위한 항생제 및 항진균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리 또는 배양된 줄기세포는 사용 전까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보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줄기세포는 동결보호(cyoprotection) 처리한 후 냉동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동결보호 처리는 당업계에 공지된 DMSO, 글리세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부민, 덱스트란, 수크로스, 에틸렌 글리콜, i-에리스리톨, D-리비톨, D-만니톨 , D-솔비톨, i-이노시톨, D-락토스 또는 콜린 클로라이드와 같은 동결보호제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줄기세포에서 sFlt-1을 과발현시키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sFlt-1 유전자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줄기세포에 인위적으로 또는 실험적으로 도입하여 sFlt-1 유전자의 복제개수(copy number)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원래의 세포가 가지고 있던 것이 아닌 외인성(exogenous)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세포 내부로 주입하는 것을 형질감염(transfection), 그리고 이로 인하여 세포의 유전적 형질이 변화되는 현상을 형질전환(transformation)이라고 한다. 상기 외인성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 유래 벡터를 통하여 세포 내부로 주입되는 과정을 형질도입(transduction)이라고 부른다. 본 명세서에서는 용어 ‘형질전환’, ‘형질감염’ 그리고 ‘형질도입’이 외인성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세포에 도입되어 정상형과 다른 유전적 형질을 갖게 된 것 또는 그러한 과정을 일컫는 것으로서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 또는 "핵산"은 단일-또는 이중-가닥의 형태로 된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DNA)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RNA)를 말한다. 다른 제한이 없는 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뉴클레오티드와 비슷한 방법으로 핵산에 혼성화되는 자연적 뉴클레오티드의 공지된 아날로그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재조합 발현 벡터"란 적합한 숙주세포에서 목적 단백질 또는 목적 핵산(RNA)을 발현할 수 있는 벡터로서, 폴리뉴클레오티드(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필수적인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작제물을 말한다. "작동가능하게 연결된(operably linked)"이란 일반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핵산 발현 조절 서열과 목적하는 단백질 또는 RNA를 코딩하는 핵산 서열이 기능적으로 연결(functional linkage)되어 있는것을 말한다. 즉, 단백질 또는 RNA를 코딩하는 핵산 서열이 발현 조절 서열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가능하게 되는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프로모터와 단백질 또는 RNA를 코딩하는 핵산 서열이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야 코딩하는 핵산 서열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재조합 벡터와의 작동적 연결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부위-특이적 DNA 절단 및 연결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효소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는 sFlt-1 유전자가 삽입된 렌티바이러스 발현벡터(sFlt-1 Lentiviral Vector)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감염시켜 수득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Flt-1을 과발현하는 줄기세포는 (a) sFlt-1을 암호화하는 핵산 또는 sFLt-1 유전자를 발현 벡터에 삽입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발현 벡터를 줄기세포에 도입하는 단계를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Flt-1 유전자는 NCBI GenBank database의 AF063657에 공지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의 일부 단편 또는 전장을 포함하는 시발체(프라이머,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 및 클로닝을 실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본원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본원 발명의 효과를 달성하는 한, 다양한 유래 및/또는 전장 및/또는 단편의 다양한 형태의 sFlt-1 단백질 유전자가 중간엽줄기세포에 도입되어 이의 발현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단백질을 코딩하는 야생형 유전자 서열 및 그 단편은 물론 세포내에서의 발현 또는 단백질의 안정성 등과 같은 특징이 유리하도록 염기서열의 일부가 인위적으로 변형된 유전자, 및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염기서열 일부가 변형된 유전자 또는 이들의 모두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이다. 유전자 염기서열의 변형은 상응하는 아미노산의 변형을 수반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으며, 아미노산의 변형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변형이 유발된 유전자는 이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 결실, 부가 및/또는 삽입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것으로, 돌연변이체(mutants), 유도체(derivatives), 대립유전자(alleles), 변형체(variants) 및 동질체 (homologues)를 포함하는 것이다. 유전자 염기서열의 변이가 단백질 중의 아미노산의 변형을 수반하지 않는 경우는 예를 들어 축중변이가 있고, 이러한 축중변이체(degeneracymutants)도 본 발명의 상기 유전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암은 흑색종, 뇌암, 폐암, 유방암, 고환암 및 신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흑색종일 수 있고, 진행성 또는 전이성 흑색종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는 하기 특성 중 적어도 한 가지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암세포의 세포생존율 또는 성장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b)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c) 종양 크기, 부피, 무게 또는 개수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sFlt-1을 과발현하는 사람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 overexpressing huma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sFlt-1 hATMSCs)를 제작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작된 상기 sFlt-1 hATMSCs는 흑색종의 세포생존율 및 성장을 억제시키고,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흑색종에 대한 항암효능이 sFlt-1 유전자를 도입하지 않은 사람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hATMSCs) 대비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내지 4 참조). 또한 줄기세포는 종양조직 부근에 homing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sFlt-1을 과발현하는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기술은 전이성 악성 흑색종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항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암제는 시스플라틴(cisplatin), 다카바진(dacarbaz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 소라페닙(sorafenib), 베무라페닙(vemurafenib), 이리노테칸(irinotecan) 및 독소루비신(doxorubic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시스플라틴, 다카바진, 파클리탁셀 및 테모졸로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스플라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sFlt-1 hATMSCs를 기존 항암제와 병용 투여하는 경우, sFlt-1 hATMSCs 또는 항암제 단독 투여 대비 흑색종의 종양 크기를 감소시키는 항암효능이 현저히 증가하는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참조).
일 구현예에서,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희석제는 줄기세포 및 이를 이식받을 수혜자에 대해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친화적인 것일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염수, 수용성 완충액, 용매 및/또는 분산제(dispersion media)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될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정맥 투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또는 조성물의 투여가 필요한 장기 예를 들면 관절, 골수강, 골조직 및/또는 병리학적으로 손상된 부위에 직접 주사되는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고, 정맥 주사되는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를 들면,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과 같은 비경구 투여용 담체 등이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료용 조성물은 그 투여방법이나 제형에 따라 필요한 경우, 현탁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보존제, 흡착방지제, 계면활성화제, 희석제, 부형제, pH 조정제, 무통화제, 완충제, 산화방지제 등을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예시된 것들을 비롯하여 본 발명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최신판]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줄기세포 치료제가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세포치료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세포치료제” 란 세포와 조직의 기능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살아있는 자가(autologous), 동종(allogenic), 이종(xenogenic)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 또는 선별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등의 일련의 방법을 통하여 치료, 진단 및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을 말한다. 미국은 1993년부터, 우리나라는 2002년부터 세포치료제를 의약품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세포치료제는 조직재생 혹은 장기기능 회복을 위한 줄기세포 치료제를 포함하는 것이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인 중간엽줄기세포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최적의 유효성분의 함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 부위 또는 2개 부위 이상에 투여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허혈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의 대상동물로서는, 인간 및 그 밖의 목적으로 하는 포유동물을 예로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인간, 원숭이, 마우스, 래트, 토끼, 양, 소, 개, 말, 돼지 등이 포함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sFlt-1(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세포치료제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sFlt-1(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보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포치료제 및 항암보조제에 있어서 상기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암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개념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그 기재로 대신한다.
본 발명의 항암보조제는 항암제의 항암효과를 증대시키거나 항암제의 부작용을 억제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모든 형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암보조제는 다양한 종류의 항암제 또는 항암보조제와 병용투여될 수 있으며, 병용투여시 통상적인 항암제의 투여량보다 낮은 수준으로 항암제를 투여하더라도 동등한 수준의 항암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항암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시스플라틴(cisplatin), 다카바진(dacarbaz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 소라페닙(sorafenib), 베무라페닙(vemurafenib), 이리노테칸(irinotecan) 및 독소루비신(doxorubic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시스플라틴, 다카바진, 파클리탁셀 및 테모졸로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스플라틴일 수 있다.
상기 항암보조제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보조제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경구 투여, 폐 내 투여, 직장 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암보조제는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보조제는 투여를 위해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항암보조제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제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sFlt-1(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인간을 제외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암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개념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그 기재로 대신한다.
본 발명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상기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을 치료적 유효량으로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개체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개체의 연령, 체중, 일반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의 유효량은 전술한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자는 임의의 포유동물에 적용가능하며, 상기 포유동물은 인간 및 영장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및 고양이 등의 가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지방 조직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암은 흑색종, 뇌암, 폐암, 유방암, 고환암 및 신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흑색종일 수 있고, 진행성 또는 전이성 흑색종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은 상기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와 함께 항암제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시스플라틴(cisplatin), 다카바진(dacarbaz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 소라페닙(sorafenib), 베무라페닙(vemurafenib), 이리노테칸(irinotecan) 및 독소루비신(doxorubic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시스플라틴, 다카바진, 파클리탁셀 및 테모졸로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스플라틴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준비예 1. 사람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배양
㈜세포바이오에서 구매한 사람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huma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ATMSCs)는 항생제가 첨가된 CEFOgrowTM Human MSC Growth Medium[(주)세포바이오]에 5% CO2 공급하에 37℃ 조건하에서 배양되었다.
실시예 1. sFlt-1 과발현 사람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sFlt-1 hATMSCs)의 제작 및 sFlt-1의 과발현 확인
sFlt-1 단백질을 과발현하는 사람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 overexpressing huma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sFlt-1 hATMSCs)를 제작하기 위하여, 먼저 sFlt-1 유전자가 삽입된 렌티바이러스 발현벡터를 제작하였다.
sFlt-1 유전자가 삽입된 렌티바이러스 발현벡터 제작을 위해 제한효소(SpeI 또는 XhoI)가 표지된 특이적인 시발체를 제작하여(표 1), 생쥐 cDNA library로부터 PCR을 통해 sFlt-1 유전자를 증폭하였고, pGEM®-T Easy Vector Systems (Promega company)을 이용하여 TA클로닝을 실시한 후 염기서열을 통해 삽입된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primers sequences (5'-3') bp Accession Number
sFlt-1 FP ACTAGT -G ATG GTC AGC TGC TGG GAC ACC 958 AF063657
sFlt-1 RP CTCGAG TTA ATG TTT GAC ATG ACT TTG
SpeI과 XhoI으로 sFlt-1 유전자가 삽입된 플라스미드(plasmid)를 이중 절단하여 sFlt-1 유전자 DNA를 확보하고,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lentiviral vector(Invitrogen company)에 sFlt-1 유전자를 삽입하였다. JM109 competent cell (Takara company)에 transformation한 후 암피실린(ampicillin)이 첨가된 LB 한천배지에 배양하여 형질전환된 콜로니(colony)를 확보하고 plasmid를 추출하여 제한효소 절단 및 PCR 분석을 통해 sFlt-1 유전자가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sFlt-1 유전자가 삽입되어 있는 형질전환균주를 50ml LB broth에 대량 배양하여 midiprep kit를 이용하여 고농도 고순도의 plasmid를 추출하여 sFlt-1-렌티바이러스 발현벡터(sFlt-1-lentiviral expression vector)를 확보하였다.
다음으로, ViraPower™ Lentiviral Expression Systems (invitrogen company)을 이용하여 lentiviral particle를 생산하였고, ViraPower Packaging mix 9㎍과 혼합하여 293FT cell lines에 처리(lipofectamine 첨가)한 후 48시간, 72시간 후의 상등액을 수거 및 원심분리하여 세포 파편(cell debris)을 제거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sFlt-1-lentiviral expxression vector와 packaging mix를 이용하여 공동-형질도입(co-transfection)시킨 293FT cell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하고 cDNA를 합성하여 RT-PCR 분석을 통해 sFlt-1 유전자의 과발현을 확인하였다. 회수한 sFlt-1-lentiviral particles 상등액을 The Fast-Trap virus Purification and Concentration Kit를 이용하여 100배 농축하였다. sFlt-1-lentiviral particles의 titer 실시하여 회수한 sFlt-1-lentiviral particles 산출양을 확인하였다. Crystal violet 염색실시 후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형질도입율을 산정한 결과 회수한 sFlt-1-lentiviral particles의 산출량(Transfection Unit)은 5×109 TU/ml이었다.
sFlt-1 단백질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제작하기 위해 상기 sFlt-1-lentiviral particles을 MOI(세포하나당 감염시킬 바이러스 수) 100으로 사람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준비예 1)에 처리한 후 3일간 배양하여, sFlt-1 단백질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sFlt-1 hATMSCs)를 수득하였다. 상기 제작된 sFlt-1 hATMSCs에서 과발현되는 sFlt-1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sFlt-1 hATMSCs의 sFlt-1 과발현 및 줄기세포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작된 sFlt-1 hATMSCs에 대하여 RT-PCR을 통해 sFlt-1의 과발현을 확인하였다(도 1A). 또한 sFlt-1 hATMSCs를 24, 48 및 72시간 배양 후 ELISA 분석을 통해 생산된 sFlt-1 단백질을 정량 분석한 결과 sFlt-1의 양은 1일째에서는 1.8 ng/ml, 2일째에서는 2.6 ng/ml이었고 3일째에서는 2.8 ng/ml 이었다(도 2B).
또한,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을 이용한 면역 표현형(immunophenotyping) 분석결과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의 표면 마커(surface marker)인 CD29, CD90 및 CD105의 발현은 양성임을 CD34 및 CD45의 발현은 음성임을 확인함으로서 줄기세포성을 검증하였다(도 3C).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sFlt-1 단백질을 과발현하는 사람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sFlt-1 hATMSCs)가 성공적으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마우스유래 흑색종세포에서 sFlt-1 hATMSCs의 항암효과 분석
마우스유래 흑색종세포에 대한 sFlt-1 hATMSCs의 항암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sFlt-1 hATMSCs와 B16F10 흑색종세포와 1, 2 및 3일간 indirect coculture를 한 후 WST-1 분석, 아넥신 V(Annexin V) 염색을 통한 flow cytometry 분석 및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통한 caspase-3 및 PARP의 발현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WST-1 분석결과는 sFlt-1 hATMSCs 공배양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B16F10 흑색종세포의 생존율이 1, 2 및 3일째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2일과 3일째에서는 B16F10 흑색종세포의 생존율이 각각 43% 및 38%로 나타났다(도 2A). 이러한 결과는 sFlt-1 hATMSCs가 B16F10 흑색종세포의 생존율을 억제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Western blot의 결과에서는 sFlt-1 hATMSCs 공배양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세포사멸 신호인자인 Cleaved caspase-3 및 PARP 단백질의 발현을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2B). Flow cytometry 분석 결과는 sFlt-1 hATMSCs 공배양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세포사멸관련 초기인자인 Annexin V 단백질을 발현하는 B16F10 흑색종세포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도 2C).
종합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sFlt-1 hATMSCs는 흑색종세포의 생존율을 억제시키고 세포사멸을 유도함으로써 흑색종세포에 대한 항암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흑색종 유발 마우스모델에서 sFlt-1 hATMSCs 또는 sFlt-1 hATMSCs와 시스플라틴 병용투여에 의한 항암효과 분석
sFlt-1 hATMSCs 단독투여 또는 시스플라틴(cisplatin)과의 병용투여에 의한 항암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먼저, 6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에 B16F10 세포(2×106개)를 100 ul PBS에 현탁액으로 마우스의 등 왼쪽에 피하 주사하여 흑색종 유발 마우스모델을 제작하였다. 종양의 크기(tumor volume, mm3)는 Vernia caliper로 주 2회 보정되었으며, 각 종양의 부피는 V=(A2×B)/2로 계산되었다(A: 단축의 길이, B: 장축의 길이).
실험 그룹은 10마리의 마우스로 구성되었고 실험은 두 번 반복되었다. B16F10 세포를 주입 후 14일 후 종양의 크기가 100 mm3 정도 되었을 때, 1) 식염수 투여 대조군; 2) 단독으로 제공된 cisplatin(10 mg/kg) 투여군; 3) hATMSCs(5×105개) 투여군; 4) sFlt-1 hATMSCs(5×105개) 투여군; 및 5) sFlt-1 hATMSCs(5×105개) + cisplatin(10 mg/kg) 병용 투여군;으로 나누어 cisplatin은 피하주사하고 줄기세포는 정맥 내 주사하여 4주간 4일 간격으로 종양 크기를 확인하여 항암효능 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는 평균±SD로 표시되었고, 통계적 유의성은 일원 분산 분석을 사용한 후 터키의 다중 비교 테스트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p < 0.05, ** p < 0.01, *** p < 0.001).
4주간 항암효능 분석결과 대조군에 비해 각각의 투여군 모두에서 흑색종은 느린 속도로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sFlt-1 hATMSCs 투여군은 흑색종의 성장이 현저하게 느리게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sFlt-1 hATMSCs와 cisplatin 병용투여군에서는 흑색종의 성장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
이러한 결과는 sFlt-1 hATMSCs는 흑색종에 대한 항암효과가 우수함을 입증해주는 결과이며, 특히 cisplatin 항암제와 sFlt-1 hATMSCs의 병용치료는 흑색종에 대한 항암효과가 매우 우수한 상승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 부작용을 최소화한 농도의 항암제와 함께 sFlt-1 hATMSCs의 병용요법은 흑색종 치료에 대한 임상적용 가능성을 높여주며, 새로운 흑색종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Chaon <120> Mesenchymal stem cells overexpressing sFlt-1 having treating malignant melanoma and use thereof <130> PN2112-605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0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Flt-1(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 gene sequencing result <400> 1 gactctagag gatccactag tgatggtcag ctgctgggac accgcggtct tgccttacgc 60 gctgctcggg tgtctgcttc tcacaggata tggctcaggg tcgaagttaa aagtgcctga 120 actgagttta aaaggcaccc agcatgtcat gcaagcaggc cagactctct ttctcaagtg 180 cagaggggag gcagcccact catggtctct gcccacgacc gtgagccagg aggacaaaag 240 gctgagcatc actcccccat cggcctgtgg gagggataac aggcaattct gcagcacctt 300 gaccttggac acggcgcagg ccaaccacac gggcctctac acctgtagat acctccctac 360 atctacttcg aagaaaaaga aagcggaatc ttcaatctac atatttgtta gtgatgcagg 420 gagtcctttc atagagatgc acactgacat acccaaactt gtgcacatga cggaaggaag 480 acagctcatc atcccctgcc gggtgacgtc acccaacgtc acagtcaccc taaaaaagtt 540 tccatttgat actcttaccc ctgatgggca aagaataaca tgggacagta ggagaggctt 600 tataatagca aatgcaacgt acaaagagat aggactgctg aactgcgaag ccaccgtcaa 660 cgggcacctg taccagacaa actatctgac ccatcggcag accaatacaa tcctagatgt 720 ccaaatacgc ccgccgagcc cagtgagact gctccacggg cagactcttg tcctcaactg 780 caccgccacc acggagctca atacgagggt gcaaatgagc tggaattacc ctggtaaagc 840 aactaagaga gcatctataa ggcagcggat tgaccggagc cattcccaca acaatgtgtt 900 ccacagtgtt cttaagatca acaatgtgga gagccgagac aaggggctct acacctgtcg 960 cgtgaagagt gggtcctcgt tccagtcttt caacacctcc gtgcatgtgt atgaaaaagg 1020 attcatcagt gtgaaacatc ggaagcagcc ggtgcaggaa accacagcag gaagacggtc 1080 ctatcggctg tccatgaaag tgaaggcctt cccctcccca gaaatcgtat ggttaaaaga 1140 tggctcgcct gcaacattga agtctgctcg ctatttggta catggctact cattaattat 1200 caaagatgtg acaaccgagg atgcagggga ctatacgatc ttgctgggca taaagcagtc 1260 aaggctattt aaaaacctca ctgccactct cattgtaaac gtgaaacctc agatctacga 1320 aaagtccgtg tcctcgcttc caagcccacc tctctatccg ctgggcagca gacaagtcct 1380 cacttgcacc gtgtatggca tccctcggcc aacaatcacg tggctctggc acccctgtca 1440 ccacaatcac tccaaagaaa ggtatgactt ctgcactgag aatgaagaat cctttatcct 1500 ggatcccagc agcaacttag gaaacagaat tgagagcatc tctcagcgca tgacggtcat 1560 agaaggaaca aataagacgg ttagcacatt ggtggtggct gactctcaga cccctggaat 1620 ctacagctgc cgggccttca ataaaatagg gactgtggaa agaaacataa aattttatgt 1680 cacagatgtg ccgaatggct ttcacgtttc cttggaaaag atgccagccg aaggagagga 1740 cctgaaactg tcctgtgtgg tcaataaatt cctgtacaga gacattacct ggattctgct 1800 acggacagtt aacaacagaa ccatgcacca tagtatcagc aagcaaaaaa tggccaccac 1860 tcaagattac tccatcactc tgaaccttgt catcaagaac gtgtctctag aagactcggg 1920 cacctatgcg tgcagagcca ggaacatata cacaggggaa gacatccttc ggaagacaga 1980 agttctcgtt agaggtgagc actgcggcaa aaaggccatt ttctctcgga tctccaaatt 2040 taaaagcagg aggaatgatt gtaccacaca aagtcatgtc aaacattaaa ggactcattt 2100 gaaaagtaa 2109 <210> 2 <211> 28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sequences for mouse sFlt-1 gene cloning_FP-1 <400> 2 actagtgatg gtcagctgct gggacacc 28 <210> 3 <211> 25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sequences for mouse sFlt-1 gene cloning_FP-2 <400> 3 caccatggtc agctgctggg acacc 25

Claims (10)

  1. sFlt-1(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지방 조직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는 sFlt-1 유전자가 삽입된 렌티바이러스 발현벡터(sFlt-1 Lentiviral expression Vector)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감염시켜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흑색종, 뇌암, 폐암, 유방암, 고환암 및 신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는 암세포의 세포생존율 또는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는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시스플라틴(cisplatin), 다카바진(dacarbaz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 소라페닙(sorafenib), 베무라페닙(vemurafenib), 이리노테칸(irinotecan) 및 독소루비신(doxorubic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sFlt-1(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
  10. sFlt-1(soluble fms-like tyrosine kinase-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인간을 제외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KR1020210184957A 2021-12-22 2021-12-22 흑색종 치료를 위한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이의 용도 KR20230095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957A KR20230095460A (ko) 2021-12-22 2021-12-22 흑색종 치료를 위한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957A KR20230095460A (ko) 2021-12-22 2021-12-22 흑색종 치료를 위한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460A true KR20230095460A (ko) 2023-06-29

Family

ID=8694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957A KR20230095460A (ko) 2021-12-22 2021-12-22 흑색종 치료를 위한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54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069B1 (ko) 2015-07-17 2017-07-04 서울대학교병원 헤마글루티닌-뉴라미니다아제와 f 단백질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그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069B1 (ko) 2015-07-17 2017-07-04 서울대학교병원 헤마글루티닌-뉴라미니다아제와 f 단백질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그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Xu L, Kanasaki K, Kitada M, Koya D. Diabetic angiopathy and angiogenic defects. Fibrogenesis & tissue repair. 2012. 5(1): 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509815A (ja) 改変ワクシニアベクター
KR101753069B1 (ko) 헤마글루티닌-뉴라미니다아제와 f 단백질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그 용도
US20140051630A1 (en) Periostin-induced pancreatic regeneration
EP1900374A1 (en) Angiogenetic agent containing adrenomedulin as the active ingredient
EP3741845A1 (en) Recombinant vaccinia viru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20210155663A1 (en) Mesenchymal stem cells expressing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use thereof
KR101048766B1 (ko)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을 동반하는 질환의 예방/치료용 조성물
KR20230095460A (ko) 흑색종 치료를 위한 sFlt-1을 과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이의 용도
WO2019027299A2 (ko) 간세포성장인자를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010617A (ko) 산화스트레스 저항성을 갖는 중간엽줄기세포,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CN113018424B (zh) Cst1在预防和/或治疗肝脏免疫失调疾病中的应用
US20090221675A1 (en) Use of iex-1 for the treatment of glioma tumors
KR20230100878A (ko)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를 위한 간세포성장인자 과발현 중간엽줄기세포 및 이의 용도
CN114712393B (zh) Hnf-1α基因修饰的间充质干细胞在防治肝癌中的用途
US20020031493A1 (en) Recombinant adenoviruses coding for glial-derived cell neurotrophic factor (gdnf)
WO2019027298A9 (ko) Trail 및 cd를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030148952A1 (en) Methods and materials for the recruitment of endothelial cells
Jiang et al. Double-modified oncolytic adenovirus armed with a recombinant interferon-like gene enhanced abscopal effects against malignant glioma
KR20180079033A (ko) Igf-1 및 il-10을 분비하는 세포, 및 이의 용도
WO2022170919A1 (zh) 一种重组溶瘤腺病毒及其应用
JP5580043B2 (ja) 放射線増感増強剤
KR20240000477A (ko) 암 치료용 아데노바이러스
KR100697321B1 (ko) VEGF-A, VEGF-B 및 VEGF-C의 안티센스cDNA를 함유하는 재조합 아데노-연관바이러스(rAAV) 및 이를 함유하는 대장암, 방광암및/또는 폐암 특이적 유전자 치료제
KR20220153768A (ko) Il-10 과발현 인간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 및 그 용도
KR101305834B1 (ko) 신경교종 치료를 위한 방사선 및 trail 발현 간엽줄기세포의 조합 치료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