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202A - Drying object flow device of agricultural product dryer - Google Patents
Drying object flow device of agricultural product dr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95202A KR20230095202A KR1020210184425A KR20210184425A KR20230095202A KR 20230095202 A KR20230095202 A KR 20230095202A KR 1020210184425 A KR1020210184425 A KR 1020210184425A KR 20210184425 A KR20210184425 A KR 20210184425A KR 20230095202 A KR20230095202 A KR 202300952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hot air
- dried
- wire rope
- agricultural produc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01 Gink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94101 Ginkgo bilo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00 Ginkgo bilo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176 Nicotiana taba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31316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58706 Pip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4 recirc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산물 건조기에서 건조대에 놓여져서 건조되는 피건조물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전환시켜서 피건조물이 고르게 건조될 수 있게 하는 농산물 건조기의 피건조물 유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object flow device of an agricultural product dryer that periodically switches the position of an object to be dried by placing it on a drying rack in the dryer so that the object to be dried can be dried evenly.
일반적으로 농산물 건조기는 벼, 보리, 밀과 같은 곡물, 과일, 채소, 고추, 버섯, 담배, 인삼, 차잎, 은행, 약초 등과 같은 농산물 및 임산물, 그리고 멸치, 김, 미역 등과 같은 수산물을 장기간 보존하거나 맛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원에 의해 수분을 증발시켜며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In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dryers store grains such as rice, barley, wheat, fruits, vegetables, peppers, mushrooms, tobacco, ginseng, tea leaves, ginkgo leaves, medicinal herbs, and aquatic products such as anchovies, seaweed, and seaweed for a long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it is dried while evaporating moisture by a heat source.
이러한 건조 장치에는 건조상자가 순환하는 순환식과, 건조상자를 일정한 위치의 선반에 정치시켜 놓는 정치식이 있다.Such drying apparatuses include a circulation type in which the drying box circulates and a stationary type in which the drying box is left stationary on a shelf at a certain position.
정치식 건조 장치는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농산물 건조 장치로서, 버너, 히터 또는 열교환기와 같은 열풍발생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치식 건조 장치는 밀폐된 창고형 건조실 내부에는 공기순환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열풍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열풍이 상기 공기순환장치에 의해 상기 건조실 내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바닥면이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건조상자에 피건조물을 담아 건조실 내의 선반위에 놓고 상기 공기 순환장치에 의하여 순환공급되는 열풍을 건조실내로 강제송풍시켜서 피건조물에 열풍이 접촉되게 하면서 피건조물에 열을 가하고, 재순환되게 하여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건조실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며, 재순환되는 과정에서 건조되는 피건조물로부터 증발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일부의 열풍을 건조실 밖으로 나가도록 하여 건조하는 방식으로 자연건조에 비해 짧은 시간에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 stationary drying device is the most popular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it is possible to dry objects to be dried using hot air generated from a hot air generator such as a burner, heater or heat exchanger. In this stationary drying device, an air circulation device is installed inside a closed warehouse type drying room so that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hot air generator can be discharged into the drying room by the air circulation device, and the bottom surface is made of a perforated plate. The drying box is placed on a shelf in the drying room, and the hot air circulated and supplied by the air circulation device is forcibly blown into the drying room so that the hot ai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ying object, while applying heat to the drying object and recirculating the object to be dried. By forcibly circulating the air in the drying room that has been exchanged with heat, and in order to remove moisture evaporated from the object to be dried in the process of recirculation, some of the hot air is blown out of the drying room to dry the object in a shorter time compared to natural drying. will be able to dry.
이러한 농산물 건조장치는 건조실내에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여러 개의 건조상자를 적층시킨 후,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상자에 올려진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되며, 열풍을 공급하는 방식에 따라 밑바람식과 옆바람식으로 구분된다.This agricultural product drying apparatus stacks several drying box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the drying room, then supplies hot air to dry the items to be dried on the drying box. Separated.
밑바람식 농산물 건조 장치는 열풍을 건조실 아래에서 공급하기 때문에 건조실 하부에서는 건조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반면에 상부에서는 건조가 더디게 이루어지는 불균일 건조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bottom wind type agricultural product drying device supplies hot air from the bottom of the drying chamber, drying is performed quickly in the lower part of the drying chamber, whereas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n-uniform drying occurs in the upper part where drying is slow.
옆바람식 건조 장치는 열풍이 건조실의 측벽을 통하여 옆에서 공급되어 적재된 건조상자에 대하여 열풍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열풍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건조상자의 측면과 건조상자의 중앙부까지의 거리가 있기 때문에 건조상자의 측면과 중앙부 사이에서 건조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side wind drying device has the advantage that hot air can be supplied from the side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drying chamber to evenly supply the hot air to the loaded drying boxes,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of the drying box where the hot air directly acts and the center of the drying box is too larg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drying is performed non-uniformly between the side and the center of the drying box.
상기 밑바람식 농산물 건조 장치는 제어실 내에 열풍발생기와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실의 일측에는 건조실이 구성되며, 밑바람식 순환 시스템에 의하여 열기가 순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열풍발생기에서 발생된 열기가 송풍기에 의하여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공급되어 건조상자에 담겨진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다음, 건조실 상부를 통하여 열풍발생기로 이송되는 순환 경로로 피거조물을 건조시킨다.The wind-type agricultural products drying apparatus has a hot air generator and a blower installed in the control room, a drying room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room, and hot air is circulated by a breeze-type circulation system,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ot air generator is blown through the air blower. After being su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ying chamber to dry the object contained in the drying box, the object is dried through a circulation path that is transferred to the hot air generator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drying chamber.
이와 같은 밑바람식 농산물 건조 장치는 최초로 열풍이 공급되는 건조실의 하부와 상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상기 건조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건조상자와 중간부 및 상부에 위치하는 건조상자의 피건조물이 건조되는 상태에 차이가 발생하여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에는 상부층과 하부층의 건조상자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있는 것이다.In this downdraft agricultural product drying apparatus,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drying chamber to which hot air is initially supplied, the drying box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drying chamber and the drying box located in the middle and upper part are drie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use that the drying boxes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must be replaced after a certain amount of time has elapsed due to a difference.
옆바람식 농산물 건조 장치는 상기한 밑바람식 농산물 건조 장치와 같이 제어실 내에 열풍발생기와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실의 일측에는 건조실이 구성되며, 순환 시스템으로는 상기 열풍발생기에서 발생된 열기가 송풍기에 의하여 상기 건조실의 하부에서 양쪽 측벽 내부로 공급되어 건조상자에 담겨진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다음, 건조실 상부를 통하여 열풍발생기로 이송되는 순환 경로를 가진다.In the side wind agricultural product drying device, a hot air generator and a blower are installed in the control room, as in the above-mentioned bottom wind agricultural product drying device, and a drying room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room, an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ot air generator is transferred to the blower as a circulation system. After drying the to-be-dried material contained in the drying box by being suppli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drying chamber to the inside of both side walls, it has a circulation path that is transferred to the hot air generator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drying chamber.
이와 같은 옆바람식 농산물 건조 장치는 열풍이 건조실의 양쪽 측벽에서 건조실 내부로 동시에 배출됨으로써, 건조실 상부와 하부 사이의 현저한 온도 차이에 의한 건조 불균형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지만, 건조상자의 양측부와 중앙부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게 됨으로 인해 피건조물이 건조되는 정도에 차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는 것이다.In this cross-wind agricultural product drying device, hot air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from both side walls of the drying chamber to the inside of the drying chamber, thereby solving the drying imbalance due to the significant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rying chamber to some extent, but the both sides and the center of the drying box.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rying of the object to be dried occurs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of .
통상 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농산물을 자연조건 이상의 고온에서 단시간에 건조하면 그 맛이 본래의 고유한 맛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아지고 빛깔도 퇴색되기 때문에 양호한 상품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건조물별로 적정한 온도 조건에서 적정한 시간동안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f agricultural products are dri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t a high temperature higher than natural conditions using a drying device, the taste is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the original taste and the color is faded. It is preferred that drying takes place over time.
종래의 건조기는 주로 다습한 열풍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열풍의 순환 경로를 구성하는 시스템의 개선에 주안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그 일례로, 국내 특허 제10-0822809호 "열풍의 방향을 반전시켜 피건조물의 상하층간 건조율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열풍 건조기 및 건조방법"이 제시되었다.Conventional dryers have been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improving a system constituting a circulation path of hot air that can effectively move humid hot air. As an example, Korean Patent No. 10-0822809, “A hot air dryer and drying method capable of equalizing the drying rat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object to be dried by reversing the direction of the hot air,” was proposed.
상기 건조기는 건조실에 건조상자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통상의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건조실과 열원을 순환시키면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은 상부측에서 연통되도록 격벽에 의해 등분된 제1건조실 및 제2건조실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건조실의 측벽에는 열풍이 순환되는 네 개의 입출구가 형성되되,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입출구는 상기 제1 건조실을 통과하여 상기 제2 건조실로 연통되며, 상기 네 개의 입출구의 사이에는 위나 아래의 두개 입출구를 동시에 막을 수 있는 반전판이 설치되는 것으로, 그 건조방법을 살펴보면, 열원으로부터 상기 제1 건조실로 열풍이 공급되어 상기 제1 건조실 내에서 상향 진행하다가 구획된 상부로 연통되어 상기 제2 건조실에서 하향 진행된 후 상기 열풍이 회수되거나, 열원으로부터 상기 제1 건조실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제2 건조실로 직접 공급되어 상기 제2 건조실 내에서 상향 진행하다가 구획된 상부로 연통되어 상기 제1 건조실에서 하향 진행된 후 열풍이 회수되게 되는 방식이 선택적으로 반복수행되는 것이다. 즉,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건조실의 아래에서부터 위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건조실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dryer is a hot air dryer for drying objects to be dried while circulating hot air generated from a normal heat source by stacking drying boxes in multiple stages in a drying chamber, wherein the drying chamber is divided into equal parts by partition walls so as to be communicated from the upper side. It consists of a first drying chamber and a second drying chamber, and four inlets and outlets through which hot air is circulated are formed on the side walls of the first drying chamber, and diagonally facing inlets and outlets pass through the first drying chamber and communicate with the second drying chamber. An inversion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four inlets and outlets to block the two inlets and outlets at the top and bottom at the same time. Looking at the drying method, hot air is supplied from a heat source to the first drying chamber and proceeds upward in the first drying chamber. After being communicated to the top and proceeding downward in the second drying chamber, the hot air is recovered, or is directly supplied from a heat source to the second drying chamb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drying chamber, proceeds upward in the second drying chamber, and then communicates to the divided upper part. A method in which hot air is recovered after going downward in the first drying chamber is selectively and repeatedly performed. That is, the hot air supplied from the heat source may be suppli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drying chamber, o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drying chamber.
한편, 다단의 건조상자가 배치된 열풍식 건조기에서 건조상자에 안치된 피건조물을 균일하게 건조 시킬 수 있는 열풍 건조기용 건조상자가 실용신안등록 제20-0376228호에 제안되었다.On the other hand, a drying box for a hot air dryer capable of uniformly drying the to-be-dried items placed in the drying box in a hot air dryer in which multi-stage drying boxes are arranged has been prop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6228.
상기 건조상자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방형상의 본체 및 본체의 내측에 열풍건조기에서 열풍이 공급되는 입구측으로는 타공율이 적게 형성되면서, 열풍이 공급되는 반대측으로는 타공율이 점점 높게 형성되는 타공망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타공망은 본체의 중앙부에 타공율이 가장 높은 제1 타공부가 형성되고, 제1 타공부보다 타공율이 낮은 제2 타공부가 제1 타공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제2 타공부의 양측에서 본체의 양끝단까지는 제2 타공부보다 타공율이 더 낮은 제3 타공부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열풍이 건조상자 전반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drying box, the perforation rate is small on the inlet side to which the hot air is supplied from the hot air dryer inside the rectangular main body and the main body forming the rim, and the perforation rate is gradually higher on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hot air is supplied. With this formation, in the perforated network, a first perforated part having the highest perforation rate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perforated part having a lower perforation rate than the first perforated par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perforated part,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perforated part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a third perforated part having a lower perforation rate than the second perforated part is formed so that the supplied hot air is uniformly supplied throughout the drying box.
그러나 건조상자에 담겨진 농산물이 뒤섞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더운 공기가 농산물의 일부면에 닿게 되고 적층된 피건조물의 내부에는 열풍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아니하고, 상부층과 하부층에 위치하여 먼저 건조가 이루어지는 피건조물로부터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열기에 의존하여 건조가 됨에 따라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됨으로써,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전반적으로 건조수율이 낮고, 해당 피건조물이 지닌 고유한 맛과 빛깔을 내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a state where the agricultural products contained in the drying box are not mixed, hot air touches some surfaces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hot air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stacked objects to be dried. As drying depends on indirectly delivered heat, it is not easy to discharge moisture, so uniform drying is not achieved, and the overall drying yield is low, and there is a limit to producing the unique taste and color of the object to be dried.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건물이 놓여지는 건조대가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피건조물이 담겨진 건조상자가 건조실 내의 선반에 놓인 상태에서 순환되는 열풍에 의하여 건조되어지는 과정에서 피건조물의 위치 상태가 바뀌어지게 되어 피건모줄로부터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고, 모든 피건조물이 최대한으로 열풍과 고르게 접촉되게 됨으로써 건조상태와 품질이 균일한 농산물 건조물을 얻을 수 있는 농산물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drying table on which the object is placed is formed so that the drying box containing the object to be dried is dried by hot air circulating in a state on a shelf in the drying room. A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that can obtain dried agricultural products with uniform drying conditions and quality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s to be dried and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moisture from the dried hair, and making all the objects to be dried contact evenly with the hot air to the maximum.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described above. Therefore,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농산물 건조기의 피건조물 유동 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은 열을 발생시키는 열풍발생수단과, 상기 열풍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기와, 피건조물이 담겨지는 건조대가 설치되는 건조공간을 가지며, 상기 열풍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열풍이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농산물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실 내부의 가이드 레일에 건조대가 층상으로 설치되며, 건조대는 복수의 건조판이 연결 사프트에 의해 지그재그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건조실에 설치되면서 일측의 제1 연결샤프트는 사각 프레임에 형성된 장공홈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의 제2 연결샤프트는 승강 가능하게 되며, 정역 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의 감속된 동력으로 회전하는 와이어 로프 드럼에 자유롭게 감겨지고 풀려지는 와이어 로프가 활차에 드리워져 안내되면서, 상기 승강 가능하게 되는 제2 연결샤프트에 고정되어 정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와이어 로프가 드럼에 감겨지고 풀려짐에 따라 제2 연결샤프트가 승강하거나 하강하면서 건조대의 건조판 위치가 변경되며 피건조물을 유동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drying object flow devic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dryer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hot air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heat, a blower for supplying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hot air generating means, and a drying object contained therein. In an agricultural product dryer in which a drying space having a drying table is installed, and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hot air generating means dries the items to be dried, the drying table is installed in a layer on a guide rail inside the drying room, and a plurality of drying plates are connected to the drying table As it is rotatably connected in a zigzag shape by a shaft and installed in the drying chamber, the first connecting shaft on one side is fixed to the long hole formed in the square frame, and the second connecting shaft on the other side can be moved up and down, driv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hile the wire rope, which is freely wound and unwound on the wire rope drum rotating with the reduced power of the motor, is draped and guided by the sheave, the wire rope is driven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motor that is fixed to the second connecting shaft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drying plate on the drying table is changed while the second connecting shaft is raised or lowered as it is wound and unwound, and the object to be dried is moved.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면, 승강 가능한 제2 연결사프트의 양쪽 측면에 와이어 로프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와이어 로프는 승강 가능한 제2 연결사프트를 받쳐주는 받침편이 형성되어 건조대가 층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wire rope is inserte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second connecting shaft, and a supporting piece is formed on the wire rope to support the elevating second connecting shaft, so that drying racks are installed in layers characterized by being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담겨진 건조대의 위치 상태가 바뀌면서 피건조물의 위치가 자연스럽게 바뀌게 되어 열풍에 의하여 건조되는 과정에서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고, 모든 피건조물이 열풍과 고르게 접촉되게 됨으로써 건조상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건조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location of the drying table containing the items to be dried changes, the position of the items to be dried is naturally changed, so that moisture is easily discharged in the process of being dried by hot air, and all the items to be dried are evenly contacted with the hot air, so that the drying state is uniform.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obtain a dried product made of.
이로써, 농산물 및 임산물이 채취되는 수확기의 기후에 상관없이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고유한 맛과 색깔을 갖는 농산물 및 임산물의 건조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ry the agricultural products and forest products regardless of the climate of the harvesting season,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obtaining dried agricultural products and forest products having a unique taste and colo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농산물 건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건조기 외관의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농산물 건조기의 내부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건조대가 로프레 설치되ㅡ 상태의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일부 확대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건조물의 유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1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건조물의 유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2 작동 상태도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appearance of a dryer showing an example of an agricultural product dry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n internal view of the agricultural product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3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rying rack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4 is a partially enlarged three-dimens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irst operating state diagram for showing the flow state of the object to be dr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ond operating state diagram for showing the flow state of the object to be dr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순서,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순서와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와 청구범위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r shown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is capable of implementation in other embodiments and of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n addition,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in the embodiments regarding terms such as order, direction, etc. of devices or elements are only used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dicate that related devices or elements must simply have a specific order and direction. or does not mean For example,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in the embodiments and claims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terms are not meant to indicate or imply relative importance or purpor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in order for the inventor to explain the terms and concepts of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i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and concept of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본 발명은 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쉽고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easily and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농산물 건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건조기 외관의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농산물 건조기의 내부도를 보여주고 있다.1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exterior of a dryer showing an example of a dryer for agricultural produc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shows an internal view of the dryer for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농산물 건조기(1)는 주지된 구조와 같이 열풍발생수단(10)과, 상기 열풍발생수단(10)에 의해 발생된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기(20)와, 피건조물이 건조되는 건조실(30)을 가지며, 상기 열풍발생수단(10)에 의해 발생된 열풍이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본 발명은 상기 건조실(30)에 설치되는 모터(40), 상기 모터(40)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드럼(50), 상기 드럼(50)에 감겨지는 와이어 로프(60), 상기 와이어 로프(60)를 안내하는 활차(70), 상기 활차(70)에 안내되어 아래쪽으로 드리워지는 와이어 로프(60)의 단부가 고정되어 승하강하는 건조대(8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모터(40)는 정역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것으로 감속기(400)를 구비하며, 수평 프레임(410)의 일측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대(420)에 고정된다.The
드럼(50)은 와이어 로프(60)가 감겨져서 모터(40)의 동력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며 와이어 로프(60)가 풀려지고 감겨지게 되는 것으로 감속기(400)의 출력축(401)에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된다.The
와이어 로프(60)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기계구조용강을 재질로 제조되면서 가늘고 긴 여러가닥이 트위스트 모양으로 꼬여져서 제조되는 것으로, 복수개가 각각 와이어 로프 드럼(50)에 감겨지거나 인출되어 활차(70)에 안내되며 아래쪽으로 드리워져서 건조대(8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건조대(80)를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편(600)이 적정한 간격을 두고 건조대(80)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어 있다. The
받침편(600)은 상부면에 반원형 홈(610)이 형성되면서 와이어로프(60)가 반원형 홈(610)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와이어 로프(60)에 고정된다.The supporting
활차(70)는 바퀴에 홈을 파고 와이어 로프(60)를 걸어 돌려서 드리워지게 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일반적인 구조의 고정 도르래로 구성되는 것으로, 와이어 로프(60)에 대응하여 수평 프레임(410)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고정 설치된다.The
건조대(8)는 건조실()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300)에 안내되며 층상으로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되는 것으로, 사각 프레임(800) 안쪽에 피건조물이 놓여지는 건조판(810)이 형성된다.The drying rack 8 is guided by guide rails 3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ying chamber 8 and is installed in layers to dry objects to be dried. ) is formed.
건조판(810)은 복수개가 연결샤프트(820)에 의해 지그재그형으로 연결되어 있다.A plurality of drying
연결샤프트(820)는 사각 프레임(80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 연결샤프트(821, 821a, 821b, 821c)와, 제1 연결샤프트(821, 821a, 821b, 821c) 사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건조판(810)을 연결시키는 제2 연결샤프트(822, 822a. 822b)로 이루어진다.The
제1 연결샤프트(821, 821a, 821b, 821c)는 사각 프레임(800)에 형성되는 장공홈(801)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irst connecting
제1 연결샤프트(821, 821a, 821b, 821c)는 장공홈(8010에 삽입 설치되면서 그 양쪽 단부가 사각 프레임(8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The first connecting
제2 연결샤프트(822, 822a, 822b)의 양쪽 단부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홈(823)이 형성되어 와이어 로프(60)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건조판(810) 위에 피건조물을 도포하고, 피건조물이 도포된 건조대(80)를 건조실(30)의 가이드 레일(300)에 층상으로 설치한 다음, 활차(70) 아래로 드리워진 와이어 로프(60)를 각층에 설치된 건조대(80)의 제2 연결샤프트(821, 821a, 821b)에 형성된 삽입홈(823)에 삽입하면서 와이어 로프(60)에 고정되어 있는 받침편(600)의 반원형 홈(610)이 제2 연결샤프트(821, 821a, 821b)의 양쪽 하단부를 받쳐주도록 한 다음, 해당 피건조물에 적합한 온도로 열풍발생수단(10)을 가동시키고, 송풍기(20)로 열풍을 순환시키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to be dried is applied on the dryin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건조물의 유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1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건조물의 유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2 작동 상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Fig. 5 is a first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flow state of the object to be dr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a second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fluid state of the object to be dr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위와 같은 건조 과정에서 모터(40)를 정역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와이어 로프(60)가 드럼(50)에 감겨지고 풀려지면서 건조판(810)의 지그재그 위치가 바뀌게 되면서 피건조물의 위치가 바뀌어져서 고르게 건조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when the
즉,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 연결샤프트(822, 822a, 822b)가 제1 연결샤프트(821, 821a, 821b, 821c)보다 아래쪽에 있는 위치에서 와이어로프(60)가 드럼(50)에 감겨져서 당겨지면, 받침편(600)에 받쳐져 있는 제2 연결샤프트(822, 822a, 822b)가 상승하여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 연결샤프트(821, 821a, 821b)보다 위쪽에 위치하게 되면서 건조판(810)의 지그재그 형상이 바뀌어지게 되고,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connecting
다시 와이어로프(60)가 드럼(50)에서 풀리면서 하강하면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 연결샤프트(822, 822a, 822b)가 제1 연결샤프트(821, 821a, 821b, 821c)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면서 건조판(810)의 지그재그 형상이 바뀌어지게 되어 피건조물이 양쪽으로 갈라지는 유동작용으로 열풍에 노출되는 표면이 변경되며 신속하고 고르게 건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이때 제1 연결샤프트(821, 821a, 821b, 821c)는 장공홈(801)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연결샤프트(822, 822a, 822b)가 상승할 때 제1 연결샤프트(821, 821a, 821b, 821c)가 장공홈(801)에서 죄우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2 연결샤프트(822, 822a, 822b)가 승하강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connecting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looked at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명세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lthough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related to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As such,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많은 변형예 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 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such many variation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ince there may be embodiments in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such many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by
10: 열풍발생수단
20: 송풍기
30: 건조실 300: 가이드 레일
40: 모터
50: 드럼
60: 와이어 로프 600: 받침편
610: 반원형 홈
70: 활차
80: 건조대
800: 사각 프레임 801: 장공홈
810: 건조판 820: 연결샤프트
821, 821a, 821b, 821c: 제1 연결샤프트 822, 822a, 822b: 제2 연결샤프트
823: 삽입홈10: hot air generating means
20: blower
30: drying room 300: guide rail
40: motor
50: drum
60: wire rope 600: support
610: semicircular groove
70: pulley
80: drying rack
800: square frame 801: long hole
810: drying plate 820: connecting shaft
821, 821a, 821b, 821c: first connecting
823: insertion groove
Claims (2)
건조실(30) 내부의 가이드 레일(300)에 건조대(80)가 형성된 층상으로 설치되면서, 건조대(80)는 복수의 건조판(810)이 연결사프트(820)에 의해 지그재그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건조실(30)에 각각 설치되면서 일측의 제1 연결샤프트(821, 821a, 821b, 821c)는 사각 프레임(800)에 형성된 장공홈(801)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의 제2 연결샤프트(822, 822a, 822b)는 승강 가능하게 되며, 정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40)의 감속된 동력으로 회전하는 드럼(50)에 자유롭게 감겨지고 풀려지는 와이어 로프(60)가 활차(70)에 드리워져 안내되면서, 상기 승강 가능하게 되는 제2 연결샤프트(822, 822a, 822b)에 고정되어 정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40)에 의해 와이어 로프(60)가 드럼(50)에 감겨지고 풀려짐에 따라 제2 연결샤프트(822, 822a, 822b)가 승강하거나 하강하면서 건조대(80)의 건조판(810) 위치가 변경되며 피건조물을 유동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기의 피건조물 유동 장치.
It has a hot air generating means 20 that generates heat, a blower 20 that supplies hot air generated by the hot air generating means 20, and a drying chamber 30 in which objects to be dried are dried, and the hot air generating means ( In the agricultural product dryer 10 in which the hot air generated by 20) dries the object to be dried,
As the drying table 80 is installed in a layered manner on the guide rail 300 inside the drying room 30, the drying table 80 is rotatably connected in a zigzag shape by a connecting shaft 820 to a plurality of drying plates 810. and installed in the drying chamber 30, the first connecting shafts 821, 821a, 821b, and 821c on one side are fixed to the long hole 801 formed in the square frame 800, and the second connecting shaft 822 on the other side , 822a, 822b)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the wire rope 60, which is freely wound and unwound on the drum 50 that rotates with the reduced power of the motor 40 driv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s draped over the pulley 70 and guided. As the wire rope 60 is wound and unwound on the drum 50 by the motor 40 fixed to the second connecting shafts 822, 822a, 822b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driven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2 The drying object flow devic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ing plate 810 of the drying table 80 is changed while the connecting shafts 822, 822a, and 822b move up or down to move the object to be dri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4425A KR20230095202A (en) | 2021-12-22 | 2021-12-22 | Drying object flow device of agricultural product dry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4425A KR20230095202A (en) | 2021-12-22 | 2021-12-22 | Drying object flow device of agricultural product dry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5202A true KR20230095202A (en) | 2023-06-29 |
Family
ID=8694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4425A KR20230095202A (en) | 2021-12-22 | 2021-12-22 | Drying object flow device of agricultural product dry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9520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02916A (en) * | 2023-07-05 | 2023-11-07 | 常州润来科技有限公司 | Copper sheet vibration conveying device and working method thereof |
KR102716578B1 (en) | 2024-05-21 | 2024-10-15 | 농업회사법인 승진열풍건조 주식회사 | Agricultural product hot air dry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6228Y1 (en) | 2004-11-16 | 2005-03-11 |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 A drying box for dryer |
KR100822809B1 (en) | 2007-10-22 | 2008-04-17 | 주식회사 신흥강판 | A hot wind drier and method for drying |
-
2021
- 2021-12-22 KR KR1020210184425A patent/KR2023009520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6228Y1 (en) | 2004-11-16 | 2005-03-11 |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 A drying box for dryer |
KR100822809B1 (en) | 2007-10-22 | 2008-04-17 | 주식회사 신흥강판 | A hot wind drier and method for drying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02916A (en) * | 2023-07-05 | 2023-11-07 | 常州润来科技有限公司 | Copper sheet vibration conveying device and working method thereof |
CN117002916B (en) * | 2023-07-05 | 2024-01-19 | 常州润来科技有限公司 | Copper sheet vibration conveying device and working method thereof |
KR102716578B1 (en) | 2024-05-21 | 2024-10-15 | 농업회사법인 승진열풍건조 주식회사 | Agricultural product hot air dry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095202A (en) | Drying object flow device of agricultural product dryer | |
KR101695975B1 (en) | The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e mixing the object to be dried | |
CN106969616A (en) | A kind of wallpaper drying unit | |
JP2012107852A (en) | Drying apparatus | |
US2832278A (en) | Apparatus for smoke-curing meats | |
US473263A (en) | Drying-machine | |
US461404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irculating hot air in board drying apparatus | |
CN106839674A (en) | The multichannel mixed flow drying case and its control method of a kind of variable wind direction | |
US2804697A (en) | Apparatus for drying long alimentary paste products | |
CN209995318U (en) | kinds of fruit and vegetable drying machine | |
CN206721565U (en) | A kind of wallpaper production drying unit | |
KR101826055B1 (en) | Agricultural dryer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type using multi zone for drying bogie | |
IT201800002443A1 (en) | PLANT AND METHOD FOR DRYING FOOD PRODUCTS | |
CN2678426Y (en) | Verticle drying machine | |
US2050977A (en) | Machine for treating fabric | |
KR101666054B1 (en) | the drying machine of a persimmon | |
US2583427A (en) | Air drier for warp | |
US1328396A (en) | Fruit, vegetable, and other food dehydrating furnace and its cooperating apparatus | |
US1328398A (en) | Heat-regulating adjustable-shutter mechanism for food-dehydrating plants | |
US3016627A (en) | Apparatus for dehydrating food and the like | |
US1720214A (en) | Drying apparatus | |
US1550695A (en) | Apparatus for drying paper | |
US1891060A (en) | Dry kiln | |
RU2811707C1 (en) | Mine grain dryer | |
US1980163A (en) | Machine for drying textile materi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