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881A - Pwm 신호와 dac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Pwm 신호와 dac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881A
KR20230094881A KR1020210184366A KR20210184366A KR20230094881A KR 20230094881 A KR20230094881 A KR 20230094881A KR 1020210184366 A KR1020210184366 A KR 1020210184366A KR 20210184366 A KR20210184366 A KR 20210184366A KR 20230094881 A KR20230094881 A KR 20230094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radiation angle
dac
comparator
motor
referenc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161B1 (ko
Inventor
백형석
Original Assignee
다믈파워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믈파워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다믈파워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161B1/ko
Publication of KR2023009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vehicle inclination, e.g. due to load distribution
    • B60Q1/1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vehicle inclination, e.g. due to load distribution by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vehicle inclination, e.g. due to load distribution
    • B60Q1/1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vehicle inclination, e.g. due to load distribution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3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063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using centrifugal devices, e.g. switch, resis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1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 H02P7/2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5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armature supply only
    • H02P7/29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armature supply only using pulse mod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PWM 신호와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는 센서와 ECU를 통해 발생된 PWM 신호를 입력받아 헤드램프 조사각 정보를 담은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TDC(Time-to-Digital Converter); 상기 디지털 코드를 입력받아 피드백 정보와 비교할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및 피드백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모터 구동 드라이버를 동작 시키도록 구성된 비교기를 포함하여, PWM 신호와 DAC, 슬라이드형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헤드램프 조사각 조절을 하기 위한 모터 구동 제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PWM 신호와 DAC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Vehicle headlamp radiation angle control circuit using PWM signal and DAC}
본 발명은 차량용 오토 헤드램프 레벨링을 위한 구동 회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와 DAC(Digital Analog Converter)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에 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는 운전자가 대쉬 보드 상에서 자동차 헤드 램프의 조사각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경우가 많다. 어떤 나라들은 이러한 자동차 헤드 램프의 각도 조절을 법제화 시키거나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는 곳도 있다. 운전자 입장에서도 주행 상황에 맞게 헤드 램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면 상황에 맞게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도 있고 반대편에서 주행 중인 자동차의 시야 간섭을 줄여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에는 헤드 램프의 조사방향을 조절해 운전자의 가시거리 확보 및 맞은편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 등 운행 안전성 향상을 위한 조사각 조절 장치가 달려 있다. 조사각 조절 장치에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사각을 조절하는 방식과 자동으로 높이를 조절해 주는 방식이 있다. 최근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자동 조사각 조절 장치를 의무화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하지만 기존 수동 방식에 비해 과도한 원가 상승 문제가 있는 현 자동 조사각 조절 장치를 개선하여 적정한 가격으로 자동 조사각 조절을 할 수 있는 해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용 오토 헤드램프 레벨링을 위한 구동 회로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PWM 신호와 DAC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격이 저렴한 슬라이드형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헤드램프 위치 정보를 피드백 받아 자동으로 헤드램프 조사각을 제어하는 회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WM 신호와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는 센서와 ECU를 통해 발생된 PWM 신호를 입력받아 헤드램프 조사각 정보를 담은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TDC(Time-to-Digital Converter); 상기 디지털 코드를 입력받아 피드백 정보와 비교할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및 피드백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모터 구동 드라이버를 동작 시키도록 구성된 비교기를 포함하여, PWM 신호와 DAC, 슬라이드형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헤드램프 조사각 조절을 하기 위한 모터 구동 제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비교기는 상기 DAC의 제1출력인 제1 기준 전압 및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피드백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1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비교하도록 구성된 제1 비교기; 및 상기 DAC의 제2출력인 제2 기준 전압 및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피드백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비교하도록 구성된 제2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는 상기 전원부에 연결된 가변저항; 및 상기 모터 구동부와 연결된 모터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터가 구동 상태에 따라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 값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메카니컬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교기 및 상기 제2 비교기에 입력되는 상기 피드백 전압은 상기 모터의 구동 상태가 변경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변경된 저항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는 상기 센서에 연결되는 ECU; 및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클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DC는 상기 ECU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ECU로부터 상기 헤드램프 조사각과 연관된 PWM 신호를 수신하여 m bit의 제1 디지털 코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카운터; 및 상기 클록과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클록으로부터 상기 클록 신호를 수신하여 m bit의 제2 디지털 코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2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TDC는 상기 제1 카운터 및 상기 제2 카운터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n bit의 디지털 코드를 상기 DAC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듀티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카운터는 상기 PWM 신호의 주기인 제1 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제2 카운터는 상기 PWM 신호가 온(on) 상태인 온 타임 신호의 주기인 제2 시간을 카운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듀티 연산부는 상기 헤드램프 조사각 정보를 n bit의 디지털 코드를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n bit의 디지털 코드를 상기 DAC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높거나 또는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모터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제1 비교기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비교기로부터 제1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모터 구동부; 및 상기 제2 비교기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비교기로부터 제2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모터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제1 모터 구동부는 상기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2 모터 구동부는 상기 모터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회로를 통해 PWM 신호와 DAC, 슬라이드형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헤드램프 조사각 조절을 하기 위한 모터 구동 제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격이 저렴한 슬라이드형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헤드램프 위치 정보를 피드백 받아 자동으로 헤드램프 조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수동 헤드램프 조사각 조절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WM 신호와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WM 신호를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WM 신호 주기와 온 타임 듀레이션을 나타낸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블록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PWM 신호와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수동 헤드램프 조사각 조절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대시보드에 있는 볼륨형 가변저항(PM1)으로 원하는 조사각 각도를 선택한다. GM 앰프에서 변화를 감지하여 전류로 변환하고(io+, io-), 다시 I-V Converter를 통해 원하는 전압형태로 변환시켜(vi+, vi-) 기준전압(VREF1, VREF2)과 비교하면 모터를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야 할 지 판단할 수 있다. 모터를 동작 시켜 램프의 조사각을 조절하며, 이때 메카니컬 전달부(Mechanical Transmission)(웜 기어 등)과 슬라이드형 가변저항(PM2)을 통해 모터가 이동한 위치를 GM 앰프의 (-) 입력으로 피드백 하여 원하는 위치에 도달했는지 확인하는 구조이다.
수동 헤드램프 조사각 조절방식의 경우 운전자가 상황에 따라 조사각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면 반대 방향에서 오는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야기하거나, 너무 낮은 조사각으로 인해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자동 헤드램프 조사각 조절방식을 의무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적절한 가격과 성능을 갖는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PWM 신호와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는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WM 신호와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동 헤드램프 레벨링 제어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운전자의 수동 조작 없이 센서(차고 센서, 가속도 센서 등)(10)와 ECU(전자제어장치(20)를 통해 적절한 헤드램프의 조사각을 연산한다.
PWM 신호를 발생시키고, TDC(Time-to-Digital Converter)(100)에서 목표로 하는 조사각 정보를 갖는 Digital 신호로 변환시킨다. DAC(Digital-to-Analog Converter)(200)에서는 TDC(100)에서 생성한 디지털 코드(Digital Code)를 이용하여 모터의 현재 위치 정보인 피드백 신호(VFB)와 비교할 수 있는 기준 전압 VREF_H와 VREF_L을 발생시킨다. VFB 전압이 VREF_H 보다 크거나 또는 VREF_L 보다 작은 경우 각각 반대 방향으로 모터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WM 신호를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WM 신호 주기와 온 타임 듀레이션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10)를 통해 ECU(20)에서 원하는 헤드램프의 조사각을 결정하여 PWM 신호로 변환 후 전선을 통해 모터 구동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모터 구동단의 제1 카운터(110)에서는 PWM 신호의 주기(t1)를 카운팅하고, 제2 카운터(120)에서는 On-time(t2)을 카운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듀티 연산부(Duty Calculator)(130)에서 연산하여 n bit로 인코딩(encoding)하여 DAC(Digital-to-Analog Converter)(200)의 입력으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PWM 신호와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의 설명은 이전에 설명된 기술적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는 TDC(Time-to-Digital Converter)(100),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200) 및 비교기(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DC(100)는 센서(10)와 ECU(20)를 통해 발생된 PWM 신호를 입력받아 헤드램프 조사각 정보를 담은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AC(200)는 디지털 코드를 입력받아 피드백 정보와 비교할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교기(300)는 피드백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모터 구동 드라이버를 동작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교기(300)는 제1 비교기(310) 및 제2 비교기(3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비교기(310)는 DAC(200)의 제1출력인 제1 기준 전압 및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피드백 전압을 입력받아 제1 기준 전압과 피드백 전압을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비교기(320)는 DAC(200)의 제2출력인 제2 기준 전압 및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피드백 전압을 입력받아 제2 기준 전압과 피드백 전압을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는 가변저항(R) 및 메카니컬 전달부(41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변저항(R)은 전원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카니컬 전달부(410)는 모터 구동부(500)와 연결된 모터(M)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메카니컬 전달부(410)는 모터(M)가 구동 상태에 따라 가변저항(R)의 저항 값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카니컬 전달부(410)는 웜 기어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비교기(310) 및 제2 비교기(320)에 입력되는 피드백 전압(VFB)은 모터(M)의 구동 상태가 변경되는 것에 의해 변경된 저항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는 ECU(20) 및 클록(3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CU(20)는 센서(10)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클록(30)은 클록 신호를 TDC(1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DC(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카운터(110) 및 제2 카운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운터(110)는 ECU(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카운터(110)는 ECU(20)로부터 헤드램프 조사각과 연관된 PWM 신호를 수신하여 m bit의 제1 디지털 코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카운터(120)는 클록(30)과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카운터(120)는 클록(30)으로부터 클록 신호를 수신하여 m bit의 제2 디지털 코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DC(100)는 제1 카운터(110) 및 제2 카운터(1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듀티 연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듀티 연산부(130)는 n bit의 디지털 코드를 DAC(20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카운터(110)는 상기 PWM 신호의 주기인 제1 시간을 카운팅하고, 제2 카운터(120)는 상기 PWM 신호가 온(on) 상태인 온 타임 신호의 주기인 제2 시간을 카운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듀티 연산부(130)는 헤드램프 조사각 정보를 n bit의 디지털 코드를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n bit의 디지털 코드를 DAC(20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 구동부(500)는 피드백 전압(VFB)이 제1 기준 전압(VREF_H)보다 높거나 또는 피드백 전압(VFB)이 제2 기준 전압(VREF_L)보다 낮으면 모터(M)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M)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 구동부(500)는 제1 모터 구동부(510) 및 제2 모터 구동부(5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모터 구동부(510)는 제1 비교기(31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모터 구동부(510)는 제1 비교기(310)로부터 제1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모터 구동부(520)는 제2 비교기(3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모터 구동부(520)는 제2 비교기(320)로부터 제2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피드백 전압(VFB)이 제1 기준 전압(VREF_H)보다 높으면 제1 모터 구동부(510)는 모터(M)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M)를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 전압(VFB)이 제2 기준 전압(VREF_L)보다 제2 모터 구동부(520)는 모터(M)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M)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PWM 신호와 DAC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PWM 신호와 DAC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의 기술적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회로를 통해 PWM 신호와 DAC, 슬라이드형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헤드램프 조사각 조절을 하기 위한 모터 구동 제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격이 저렴한 슬라이드형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헤드램프 위치 정보를 피드백 받아 자동으로 헤드램프 조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계 및 파라미터 최적화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controller)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10: 센서
20: ECU
30: 클록
100: TDC
110: 제1 카운터
120: 제2 카운터
130: 듀티 연산부
200: DAC
300: 비교기
310: 제1 비교기
320: 제2 비교기
410: 메카니컬 전달부
500: 모터 구동부
510: 제1 모터 구동부
520: 제2 모터 구동부

Claims (8)

  1. PWM 신호와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에 있어서,
    센서와 ECU를 통해 발생된 PWM 신호를 입력받아 헤드램프 조사각 정보를 담은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TDC(Time-to-Digital Converter);
    상기 디지털 코드를 입력받아 피드백 정보와 비교할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및
    피드백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모터 구동 드라이버를 동작 시키도록 구성된 비교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DAC의 제1출력인 제1 기준 전압 및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피드백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1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비교하도록 구성된 제1 비교기; 및
    상기 DAC의 제2출력인 제2 기준 전압 및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피드백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비교하도록 구성된 제2 비교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에 연결된 가변저항; 및
    상기 모터 구동부와 연결된 모터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터가 구동 상태에 따라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 값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메카니컬 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카니컬 전달부는 웜 기어로 구성됨)
    상기 제1 비교기 및 상기 제2 비교기에 입력되는 상기 피드백 전압은 상기 모터의 구동 상태가 변경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변경된 저항 값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연결되는 ECU; 및
    클록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클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TDC는,
    상기 ECU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ECU로부터 상기 헤드램프 조사각과 연관된 PWM 신호를 수신하여 m bit의 제1 디지털 코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카운터; 및
    상기 클록과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클록으로부터 상기 클록 신호를 수신하여 m bit의 제2 디지털 코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2 카운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TDC는,
    상기 제1 카운터 및 상기 제2 카운터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n bit의 디지털 코드를 상기 DAC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듀티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운터는 상기 PWM 신호의 주기인 제1 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제2 카운터는 상기 PWM 신호가 온(on) 상태인 온 타임 신호의 주기인 제2 시간을 카운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듀티 연산부는,
    상기 헤드램프 조사각 정보를 n bit의 디지털 코드를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n bit의 디지털 코드를 상기 DAC로 출력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높거나 또는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모터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제1 비교기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비교기로부터 제1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모터 구동부; 및
    상기 제2 비교기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비교기로부터 제2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모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제1 모터 구동부는 상기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2 모터 구동부는 상기 모터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KR1020210184366A 2021-12-21 2021-12-21 Pwm 신호와 dac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KR102621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366A KR102621161B1 (ko) 2021-12-21 2021-12-21 Pwm 신호와 dac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366A KR102621161B1 (ko) 2021-12-21 2021-12-21 Pwm 신호와 dac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881A true KR20230094881A (ko) 2023-06-28
KR102621161B1 KR102621161B1 (ko) 2024-01-04

Family

ID=8699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366A KR102621161B1 (ko) 2021-12-21 2021-12-21 Pwm 신호와 dac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1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452A (ja) * 1999-08-30 2001-03-13 Koito Mfg Co Ltd 車両用光軸調整装置
JP5159895B2 (ja) * 2008-12-19 2013-03-13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光源用点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452A (ja) * 1999-08-30 2001-03-13 Koito Mfg Co Ltd 車両用光軸調整装置
JP5159895B2 (ja) * 2008-12-19 2013-03-13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光源用点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161B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0495B2 (en) Automotive lamp
JP6893788B2 (ja) リニア電源
WO1994019863A1 (de) Verfahren zur drehzahlsteuerung eines motors
US10813187B2 (en) Integrated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lighting loads with a brightness compensation
KR102621161B1 (ko) Pwm 신호와 dac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램프 조사각 제어회로
US11260829B2 (en) Wiper device
ES2302305T5 (es) Sistema de iluminación y/o de señalización para vehículo con mando de accionador perfeccionado.
Hrairi et al. Development of an adaptive headlamp systems
US5410456A (en) Vehicular cornering lamp system
US9515639B2 (en) Method for generating a pulse and circuit configur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to generate a pulse
JP7292456B1 (ja) 電動機制御装置
US5414335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optical axis of a headlamp light
US11777399B2 (en) Power drive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174832A2 (en) Automatic leveling device and automatic leveling method
KR100329668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광축 제어시스템
CN212124989U (zh) 汽车前照灯控制器保护电路
US6465906B1 (en) Alignment device for a vehicle
CN214381520U (zh) 车灯的控制电路和车辆
CN104723967B (zh) 后视镜的调节方法
KR100228980B1 (ko) 전조등의 다단계 위치 변환 장치
TWI569581B (zh) 自動可調整的脈波寬度調變信號產生器
US20230198401A1 (en) Switch control circuit, voltage output device, and vehicle
KR20060064772A (ko) 자동차용 와이퍼 구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06107B1 (ko) 전조등 자동 조명조절 장치
KR0165778B1 (ko) 자동차 전조등의 조도 자동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