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44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441A
KR20230094441A KR1020210183633A KR20210183633A KR20230094441A KR 20230094441 A KR20230094441 A KR 20230094441A KR 1020210183633 A KR1020210183633 A KR 1020210183633A KR 20210183633 A KR20210183633 A KR 20210183633A KR 20230094441 A KR20230094441 A KR 20230094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ld air
ice
duc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균
이윤석
동용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441A/ko
Priority to PCT/KR2022/020063 priority patent/WO2023121087A1/ko
Publication of KR20230094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along the inside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 장치; 및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어 상기 도어로 인입되는 물관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힌지 장치에 의한 회전 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물관이 통과하는 도어 개구와, 상기 도어 내부에서 상기 도어 개구와 정렬되며 상기 물관이 내부에 수용되는 연장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는, 주방이나 거실 등에 독립적으로 놓이거나, 주방의 가구장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96569호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냉각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워터디스펜서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부와,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본체, 힌지부 및 상기 도어를 경유하여 상기 워터디스펜서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파이프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급수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상체로 만들어진 힌지축본체와, 상기 급수파이프가 상기 힌지축본체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유입되도록 대략 타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힌지축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힌지부에 상기 힌지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선행문헌의 경우, 급수파이프 및 전기케이블이 힌지부를 관통하여 도어 내부로 연장되므로, 힌지부의 직경이 커야하며, 힌지부의 직경이 커지면 도어의 전체 두께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도어의 두께를 줄이고자하는 경우에는 힌지부의 직경을 작게 하여야 하므로, 급수파이프나 전기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통과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도어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와이어와 물관을 도어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도어 내에서 도어 가이드가 주변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물관 내에서의 유로 저항이 줄어들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도어 가이드 내부의 물관의 물이 냉기 덕트의 냉기에 의해서 결빙되는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 장치; 및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어 상기 도어로 인입되는 물관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힌지 장치에 의한 회전 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물관이 통과하는 도어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내부에서 상기 도어 개구와 정렬되며 상기 물관이 내부에 수용되는 연장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는 상기 도어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물관을 상기 디스펜서 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도어 개구 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제 1 측면 프레임 및 제 2 측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는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 보다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펜서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의 일부는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 측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도어 개구와 정렬되는 제 1 파트와, 상기 제 2 파트에서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 3 파트에서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과 상기 디스펜서 사이 공간으로 연장되는 제 3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의 길이는 상기 제 1 파트 및 상기 제 2 파트 각각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의 길이는 상기 제 1 파트의 길의 및 상기 제 2 파트의 길이의 합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에서 상기 도어의 전면 및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제빙기가 수용되는 제빙실과,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안내하고, 상기 제빙실의 냉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기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도어 개구와 정렬되는 제 1 파트와, 상기 제 1 파트에서 상기 제빙실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 2 파트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3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는, 냉기를 제빙실로 안내하는 제 1 덕트와, 상기 제빙실에서 배출된 냉기를 안내하는 제 2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덕트와 상기 도어의 전후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제빙실과 연통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하측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제 2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도어의 전후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와 상기 제 1 부분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 3 파트와 상기 제 2 부분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제 3 파트와 상기 제 3 부분의 수평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의 상측부와 상기 제 3 파트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 3 부분과 상기 제 3 파트 간의 수평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에서 상기 도어의 전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제 1 냉기 개구와, 상기 제 1 냉기 개구 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냉기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제 1 냉기 개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안내하는 제 1 덕트와, 상기 제빙실에서 배출된 냉기를 상기 제 2 냉기 개구 측으로 안내하는 제 2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의 하단은 상기 제 1 냉기 개구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도어의 힌지 중심과 이격된 위치의 도어 개구를 물관이 통과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물관을 도어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도어 내에서 도어 가이드 내부에 수용된 물관 내에서의 유로 저항이 줄어들 수 있다.
본 실시 에에 의하면, 도어 가이드 내부의 물관의 물이 냉기 덕트의 냉기에 의해서 결빙되는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가이드 유닛이 캐비닛과 도어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3-3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 예의 제1도어의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의 제1도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의 제1도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1도어 내부의 도어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1도어 내부의 도어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도 9는 도어 가이드가 도어 라이너의 서포터에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제1도어 내에서 물관과 제빙실 벽 및 디스펜서 간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실시 예의 도어 가이드와 냉기 덕트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실시 예의 냉기 덕트를 제 1 덕트 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13은 본 실시 예의 냉기 덕트를 제 2 덕트 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14는 본 실시 예의 냉기 덕트와 도어 가이드 및 디스펜서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본 실시 예의 냉기 덕트와 도어 가이드 및 디스펜서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가이드 유닛이 캐비닛과 도어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도 3은 도 2의 3-3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의 제1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독립적으로 주방에 설치되거나, 실내의 가구장 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실내의 가구장 내에 냉장고(1)가 설치될 때, 냉장고(1)는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다른 냉장고와 함께 좌우로 배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측의 제1공간(11)과 하측의 제2공간(12)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 도어(20)도 상기 제1공간(11)을 개폐하는 제1도어(21)와 상기 제2공간(12)을 개폐하는 제2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11)은 냉장실이고, 상기 제2공간(12)은 냉동실이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저장공간이 좌우로 구분되는 제1공간과 제2공간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저장공간이 단일의 공간일 수 있고, 단일의 냉장고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도어(21)와 상기 제2도어(22) 중 하나 이상은 회전 타입의 도어일 수 있다. 또는 단일의 냉장고 도어(20)가 회전 타입의 도어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제1도어(21)가 좌우로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도어(21)는, 힌지 장치(80)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치(80)는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C)을 제공하는 힌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제1도어(21) 중 어느 하나는 디스펜서(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3)는, 물 및/또는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례로 좌측의 제1도어(21)에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제1도어(21)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물 및/또는 얼음의 배출을 위하여 작동하는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품은 와이어(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부품과 별개로 상기 제1도어(21)는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입력부는 상기 와이어(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와이어(44)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제1도어(21) 내로 인입되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제1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와이어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부품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3)가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펜서(23)는 물관(4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관(42)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된 후에 상기 제1도어(21)를 통해 상기 제1도어(2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와이어(44) 및/또는 상기 물관(42)이 상기 제1도어(21) 또는 캐비닛(10) 내로 인입된다는 것은, 반대로 상기 와이어(44) 및/또는 상기 물관(42)이 상기 제1도어(21) 또는 캐비닛(10)에서 인출된다는 것으로도 해석됨을 밝혀둔다.
상기 물관(42)은 상기 제1도어(21) 내로 인입되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제1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추가적인 물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디스펜서(23)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물관(42) 및 상기 와이어(44)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제1도어(2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도 2에는 일례로 상기 물관(42) 및 상기 와이어(44)가 상기 제1도어(21)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냉장고(1)를 주방의 가구장에 설치하는 경우, 가구장의 크기에 따라 다를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20)가 상기 가구장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구장의 전방으로 냉장고 도어(2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두께를 줄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인 냉장고(1)의 경우, 냉장고 도어(20)의 두께가 두꺼우므로, 힌지 장치(80)의 힌지 핀의 직경을 크게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물관(42) 및 상기 와이어(44)가 상기 힌지 핀을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두께를 줄이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 핀의 직경을 줄여야 한다. 상기 힌지 핀의 직경이 줄어드는 경우에는 상기 물관(42) 및 상기 와이어(44)가 상기 힌지 핀을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물관(42) 및 상기 와이어(44)는 상기 힌지 장치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20)를 통과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2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도어(21)에서 상기 힌지 장치(80)의 일측방에서 상기 물관(42) 및 상기 와이어(44)가 상기 제1도어(21)를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물관(42) 및 상기 와이어(44)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유닛(30)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30)은, 상기 물관(42) 및 상기 와이어(44)를 보호하고 상기 제1도어(21)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물관(42) 및 상기 와이어(4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30)은, 상기 물관(42) 및 상기 와이어(44)를 수용하는 가이드 하우징(34)과, 상기 캐비닛(10)의 상측벽(101)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비닛 가이드(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가이드(32)는,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힌지 장치(80)와 인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관(42)은 상기 힌지 장치(80)의 직 후방에서 상기 캐비닛(10)에서 인출되어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에서 인출된 물관(42)은 후방으로 연장된 후에 상기 가이드 하우징(30)의 후측에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34) 내에 인입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와이어(44)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을 기준으로 상기 물관(42)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의 후측에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50) 내에 인입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은 일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하우징(34)는 전후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하우징(34) 내에서 상기 물관(42) 및 상기 와이어(44)도 직선 형태로 상기 제1도어(21)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의 상면은 상기 캐비닛(10)의 상측벽(10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상측벽에 설치된 캐비닛 가이드(32)를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 하우징(34)이 상기 제1도어(21)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21)는 함몰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55)는, 상기 제1도어(21)의 배면이 전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55)는 상기 제1도어(2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함몰부(255)의 바닥(255a)은 상기 캐비닛(1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높이가 거의 유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함몰부(255)가 상기 제1도어(2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힌지 장치(80)의 일부는 상기 함몰부(255) 내로 인입되며 상기 바닥(255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의 일부는 상기 함몰부(255) 내로 인입되며 상기 바닥(255a)에 도어 고정부(9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물관(42) 및 상기 와이어(44)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34) 내에서 직선 형태로 상기 제1도어(21)의 함몰부(255)까지 안내되므로, 상기 가이드 하우징(34) 내에서의 상기 물관(42) 및 상기 와이어(44)의 꺽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55)의 바닥(255a)에는 도어 개구(25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55)의 바닥(255a)에는 상기 힌지 핀이 관통하는 힌지 홀(25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C)은 상기 힌지 홀(255c)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함몰부(255)로 안내된 물관(42) 및 와이어(44)는 상기 도어 개구(255b)를 관통하여 상기 제1도어(2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어 개구(255b)를 관통하여 상기 제1도어(21) 내부에서 인출된 물관(42) 및 와이어(44)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34)에 의해서 캐비닛(10)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255b)는 상기 힌지 홀(255c)과 이격된다. 상기 도어 개구(255b)의 직경은 상기 힌지 홀(255c)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의 양측면 중에서, 상기 힌지 홀(255c)과 인접한 제1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측면과 상기 힌지 홀(255c) 간의 거리 보다 상기 제1측면과 상기 도어 개구(255b) 간의 거리가 크다.
상기 도어 개구(255b)의 직경은, 상기 제1도어(21)의 전면에서 상기 도어 개구(255b) 까지의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도어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1도어(21)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패널(240)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제1도어(21)의 외형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250)과, 하부 프레임(268)과, 상기 상부 프레임(250)과 하부 프레임(268)을 연결하는 측면 프레임(260, 262)(도 5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250)과, 하부 프레임(268)과, 상기 상부 프레임(250)과 하부 프레임(268)을 연결하는 측면 프레임(260, 262)(도 5 참조)에 의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개구를 포함하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 프레임은 전면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의 앞쪽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구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40)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서 전면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40)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상부 프레임(250) 및 상기 하부 프레임(22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40)은, 상기 디스펜서(23)가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패널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프레임 또한 상기 패널 개구와 대응되는 프레임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70)는,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기를 수용하는 제빙실(후술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70)의 제빙실은 제빙실 도어(29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70)는 상기 제빙실을 형성하는 제 1 라이너(271)와, 상기 제 1 라이너(271)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라이너(27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 2 라이너(271a)의 좌우 폭은 상기 제 1 라이너(271)의 좌우 폭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라이너(271a)는 상기 디스펜서(23)에서 배출된 물을 정확하는 필터 및/또는 필터에서 저장된 물이 보관되는 워터 탱크가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라이너(271a)는, 제 1 냉기 개구(276)와, 제 2 냉기 개구(2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개구(276)로는 상기 제빙실로 공급할 냉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로 공급된 냉기는 상기 제 2 냉기 개구(277)를 통해 상기 제1도어(21)에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개구(276)는 상기 제 2 냉기 개구(277)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후술할 것이나, 상기 제1도어(21) 내에는 제빙실과 연통되는 냉기 덕트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제1도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제1도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1도어 내부의 도어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1도어 내부의 도어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어 가이드가 도어 라이너의 서포터에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제1도어 내에서 물관과 제빙실 벽 및 디스펜서 간의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측면 프레임(260, 262)은 제 1 측면 프레임(260)과, 제 2 측면 프레임(2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60)은 상기 상부 프레임(250) 및 상기 하부 프레임(268)의 일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260)은 상기 상부 프레임(250) 및 상기 하부 프레임(268)의 타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60)이 상기 함몰부(255)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60)은 상기 함몰부(25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263)에 의해서 상기 제1도어(21)가 힌지 장치(80)와 간섭 없이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1도어(21)는, 상기 제1도어(21) 내에서 물관(42)을 안내하는 도어 가이드(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는 디스펜서 하우징(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30)은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60)과 제 2 측면 프레임(26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60) 및 제 2 측면 프레임(262)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이드(280)는 상기 도어 개구(255b) 측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3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 가이드(280)는 상기 상부 프레임(250) 측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268)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이드(280)는 내부에 통로를 구비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 내부에는 단열재 형성을 위한 발포액이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물관(42)은 상기 도어 가이드(280) 내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물관(42)은 상기 발포액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발포 과정에서 물관(42)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이드(280)의 상측은 상기 상부 프레임(250)의 함몰부(255)의 바닥(255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이드(280)는 상기 바닥(255a)의 하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구(255b)와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구(255b)를 통과한 물관(42)이 상기 도어 가이드(28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이드(280)는, 상기 도어 개구(255b)와 정렬되는 제 1 파트(2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28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255b)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3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이드(280)가 만약 직선 형태로 하측으로 연장되면,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30)과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가이드(280)는, 상기 제 1 파트(282)에서 경사지는 제 2 파트(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283)는 상기 제 1 파트(282)에서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6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70)는, 제빙실(273)을 형성하는 제빙실 벽(2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273)에는 제빙기(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50)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빙실(273)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될 수 있다.
상기 물관(42)이 상기 도어 개구(255b)를 통과하면서 절곡되므로, 상기 물관(42)이 도어 내에서 소정 길이 이상이 직선 형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파트(282)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28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실 벽(272)과 상기 제1도어(21)의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273)에는 얼음의 생성을 위한 냉기가 존재하므로, 상기 냉기에 의해서 상기 도어 가이드(280) 내의 물관(42)의 결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2 파트(283)는 상기 제빙실 벽(27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이드(280)는 상기 제 2 파트(28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3 파트(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284)는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284)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30)과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60) 사이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284)는 단일의 관이거나 복수의 관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284)가 복수의 관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3 파트(284)는 상부 관(284a)과, 상기 상부 관(284a)과 결합되는 하부 관(28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관(284a)에 하부 관(284b)이 연결되어 상기 하부 관(284a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30)과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60) 사이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283)의 경사에 의해서, 상기 제 3 파트(284)는 상기 제빙실 벽(272)과 상기 제1도어(21)의 전후 방향으로 미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벽(272) 중에서 상기 전면 패널(240)과 가장 인접하기 위치되는 벽을 전면벽(274)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 패널(240)과 상기 전면벽(274) 간의 전후 방향 수평 거리는 상기 전면 패널(240)과 상기 제 3 파트(284) 간의 전후 방향 수평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이드(280)는 상기 제 3 파트(284)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4 파트(2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이드(280)는 상기 제 4 파트(286)와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5 파트(2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 4 파트(286)와 상기 제 5 파트(287)의 구분없이 상기 제 제 3 파트(284)에서 연장되는 부분 전체를 제 4 파트(286)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284)의 하단은 상기 제 1 냉기 개구(276)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물관(42)의 꺽임 횟수가 많거나 꺽임량이 많은 경우, 물관(42) 내의 물의 유로 저항이 커진다. 상기 도어 가이드(280)가 가능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야 상기 도어 가이드(80) 내부의 물관(42)도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으며, 물관(42) 내의 물의 유로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유로 저항 측면에서 상기 제 3 파트(284)는 직선 형태로 상하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 가이드(280) 전체 길이에서 상기 제 3 파트(284)의 길이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클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284)의 하단은 상기 제 2 냉기 개구(277)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파트(286)는 상기 제 3 파트(284)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260)과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4 파트(286)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30)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5 파트(287)는 상기 제 4 파트(286)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5 파트(287)는 상기 제 4 파트(286)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270)에 결합되는 서포터(27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79)는 상기 제1도어(21) 내부의 하나 이상의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물관(42)은 상기 서포터(279)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나 밸브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와이어(44)는 상기 도어 개구(255b)를 통과하므로, 상기 와이어(44)도 상기 도어 가이드(28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가이드(280)는 상기 물관(42)과 상기 와이어(44)를 함께 수용하여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 예의 도어 가이드와 냉기 덕트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실시 예의 냉기 덕트를 제 1 덕트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3은 본 실시 예의 냉기 덕트를 제 2 덕트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 예의 냉기 덕트와 도어 가이드 및 디스펜서의 배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실시 예의 냉기 덕트와 도어 가이드 및 디스펜서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1도어(21)는, 냉기 덕트(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60)는, 상기 제 1 냉기 개구(276)와 상기 제빙실(273)을 연통시키는 제 1 덕트(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덕트(610)는 냉기를 상기 제빙실(273)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덕트(610)는 상기 제 1 냉기 개구(276)와 연통되는 제 1 냉기홀(6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덕트(610)는 상기 제빙실(273)과 연통되는 제 2 냉기홀(6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홀(614)은 상기 제 1 냉기홀(61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홀(613)을 통해 상기 제 1 덕트(610) 내부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제 1 덕트(610)를 따라 상승한 후에 상기 제 2 냉기홀(614)을 통해 상기 제빙실(273)로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빙실 벽(272)에는 상기 제 2 냉기홀(614)과 정렬되는 제 1 제빙실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덕트(610)는, 제 1 부분(612)과, 상기 제 1 부분(612)의 하측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2 부분(614)과, 상기 제 2 부분(614)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6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612)은 상기 제 2 냉기홀(614)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부분(616)은 상기 제 1 냉기홀(61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부분(612)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부분(614) 및 제 3 부분(616) 각각의 상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612)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부분(614) 및 제 3 부분(616)의 상하 길이의 합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612)은 상기 제 1 라이너(271)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612)은 상기 제 1 라이너(271)의 상기 일측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614)은 상기 제 1 라이너(271)의 상기 일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614)은 상기 제1도어(21)의 전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 1 덕트(610)는 상기 제 3 부분(616)의 하측에 위치되는 배출 부분(6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부분(618)의 내부 유로는 상기 제 3 부분(616) 내부의 유로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배출 부분(618)은 상기 제 3 부분(616)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3 부분(61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616)은 제 4 냉기홀(61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60)는, 상기 제 2 냉기 개구(277)와 상기 제빙실(273)을 연통시키는 제 2 덕트(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덕트(620)는 상기 제빙실(273)의 냉기를 상기 제 2 냉기 개구(277)로 안내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냉기 개구(276) 및 상기 제 2 냉기 개구(277)와 정렬되는 제 1 캐비닛 개구 및 제 2 캐비닛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덕트(6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덕트(610)와 포개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덕트(610)와 상기 제 2 덕트(620)는 제1도어(21)의 좌우 방향으로 포개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덕트(610)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230) 사이에 상기 제 2 덕트(62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덕트(620)는 제 3 냉기홀(6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기홀(622)은 상기 제빙실 벽(272)의 제 2 제빙실 홀(272a)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 2 덕트(620)의 하측은 상기 배출 부분(618)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273) 내의 냉기는, 상기 제 2 제빙실 홀(272a)을 지나 상기 제 3 냉기홀(622)을 통해 상기 제 2 덕트(6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덕트(620)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제 2 덕트(620)를 따라 상승한 후에 상기 배출 부분(618)으로 유동한다. 상기 배출 부분(618)으로 유동한 냉기는 상기 제 4 냉기홀(619)을 통해서 상기 제1도어(21)에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가이드(28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냉기 덕트(60)와 상기 제1도어(21)의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파트(284)가 상기 제 1 덕트(610)와 상기 제1도어(21)의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614)은 상기 제 1 부분(612)의 하측에서 상기 제 3 파트(284)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부분(614)과 상기 제 3 파트(284) 간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제 3 부분(614)과 제 3 파트(284)의 간의 수평 거리 보다 상기 제 1 부분(612)과 상기 제 3 파트(284) 간의 수평 거리가 크다.
즉, 상기 제 1 덕트(610)에서 길이가 가장 긴 제 1 부분(614)과 제 3 파트(284) 간의 거리가 최대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부분(614)과 제 3 파트(284) 간의 거리가 최대인 경우, 상기 냉기 덕트(60)를 유동하는 냉기에 의해서 상기 도어 가이드(280) 내의 물관(42)의 물이 결빙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614)의 상측부와 상기 제 3 파트(284)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 3 부분(616)과 상기 제 3 파트(284) 간의 수평 거리 보다 크다.
상기 제 2 부분(614)이 상기 제 1 부분(612)의 하측에서 상기 제 3 파트(385)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면서, 상기 제 1 라이너(271)의 상기 일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부분(614)과 상기 제 3 파트(284) 간의 거리 감소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614)이 상기 제 1 라이너(271)의 상기 일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제 3 파트(284)는 상기 제 3 부분(616)과 상기 제1도어(21)의 전후 방향으로 미중첩될 수 있다.
10: 캐비닛 20: 도어
42: 물관 60: 냉기 덕트
230: 디스펜서 하우징 280: 도어 가이드

Claims (14)

  1.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 장치; 및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어 상기 도어로 인입되는 물관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힌지 장치에 의한 회전 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물관이 통과하는 도어 개구와,
    상기 도어 내부에서 상기 도어 개구와 정렬되며 상기 물관이 내부에 수용되는 연장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구는 상기 도어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물관을 상기 디스펜서 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도어 개구 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제 1 측면 프레임 및 제 2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구는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 보다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도어 개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펜서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의 일부는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 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도어 개구와 정렬되는 제 1 파트와,
    상기 제 2 파트에서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2 파트와,
    상기 제 3 파트에서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과 상기 디스펜서 사이 공간으로 연장되는 제 3 파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파트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제 3 파트의 길이는 상기 제 1 파트 및 상기 제 2 파트 각각의 길이 보다 긴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파트의 길이는 상기 제 1 파트의 길의 및 상기 제 2 파트의 길이의 합 보다 긴 냉장고.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파트에서 상기 도어의 전면 및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파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제빙기가 수용되는 제빙실과,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안내하고, 상기 제빙실의 냉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기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도어 개구와 정렬되는 제 1 파트와,
    상기 제 1 파트에서 상기 제빙실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2 파트와,
    상기 제 2 파트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3 파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는, 냉기를 제빙실로 안내하는 제 1 덕트와,
    상기 제빙실에서 배출된 냉기를 안내하는 제 2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파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덕트와 상기 도어의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제빙실과 연통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하측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파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도어의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파트와 상기 제 1 부분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 3 파트와 상기 제 2 부분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제 3 파트와 상기 제 3 부분의 수평 거리 보다 큰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의 상측부와 상기 제 3 파트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 3 부분과 상기 제 3 파트 간의 수평 거리 보다 큰 냉장고.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에서 상기 도어의 전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냉장고.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제 1 냉기 개구와, 상기 제 1 냉기 개구 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냉기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제 1 냉기 개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안내하는 제 1 덕트와,
    상기 제빙실에서 배출된 냉기를 상기 제 2 냉기 개구 측으로 안내하는 제 2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파트의 하단은 상기 제 1 냉기 개구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되는 냉장고.
KR1020210183633A 2021-12-21 2021-12-21 냉장고 KR202300944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633A KR20230094441A (ko) 2021-12-21 2021-12-21 냉장고
PCT/KR2022/020063 WO2023121087A1 (ko) 2021-12-21 2022-12-09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633A KR20230094441A (ko) 2021-12-21 2021-12-21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441A true KR20230094441A (ko) 2023-06-28

Family

ID=8690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633A KR20230094441A (ko) 2021-12-21 2021-12-21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94441A (ko)
WO (1) WO20231210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144B1 (ko) * 2008-11-14 2015-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76804B1 (ko) * 2015-08-31 202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544983B2 (en) * 2017-01-03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283975B1 (ko) * 2017-05-12 2021-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09925A (ko) * 2020-02-28 2021-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1087A1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668B2 (en) Refrigerator having controlled ice maker and dispenser
US8656731B2 (en) Refrigerator
US11709007B2 (en) Refrigerator
US8671711B2 (en) Refrigerator and icemaker assembly with provisions for guiding cool air flow to an ice tray
US8800315B2 (en) Refrigerator
US20110146331A1 (en) Refrigerator
KR101343092B1 (ko) 냉장고도어 제빙실
KR20110098413A (ko) 냉장고
US20110283734A1 (en) Refrigerator
US10775093B2 (en) Refrigerator
US20240053089A1 (en) Refrigerator
KR20110138772A (ko) 냉장고
KR101132455B1 (ko) 냉장고
KR20230094441A (ko) 냉장고
KR20170096326A (ko) 냉장고
KR20230094436A (ko) 냉장고
KR102474197B1 (ko) 냉장고
KR20230094440A (ko) 냉장고
KR101132540B1 (ko) 냉장고
KR100614317B1 (ko) 냉장고
US20240068737A1 (en) Refrigerator
KR102447436B1 (ko) 냉장고
CN115218594B (zh) 冰箱
US20240060707A1 (en) Refrigerator
US20240035730A1 (en) Refrig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