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358A - 인공수정체 지지체 및 지지조립체 - Google Patents

인공수정체 지지체 및 지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358A
KR20230094358A KR1020210183479A KR20210183479A KR20230094358A KR 20230094358 A KR20230094358 A KR 20230094358A KR 1020210183479 A KR1020210183479 A KR 1020210183479A KR 20210183479 A KR20210183479 A KR 20210183479A KR 20230094358 A KR20230094358 A KR 20230094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ocular lens
suture
support
support ring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버스
Priority to KR1020210183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358A/ko
Priority to PCT/KR2022/019198 priority patent/WO2023121033A1/ko
Publication of KR2023009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24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having adjustable focus; power activated variable focus means, e.g.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by the ciliary muscle or from the outside
    • A61F2/1629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having adjustable focus; power activated variable focus means, e.g.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by the ciliary muscle or from the outside for changing longitudinal position, i.e. along the visual axis when impla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83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having filiform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2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220/007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sutured, ligatured or stitched, retained or tied with a rope, string, thread, wire or c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08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a position by translation along an axis or two perpendicular a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dul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인공수정체 지지체로서, 지지고리; 지지고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인공수정체를 고정시키는 홈; 및 지지고리에 형성되어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봉합사 홀을 포함하는, 인공수정체 지지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공수정체 지지체 및 지지조립체{SUPPORT BODY AND ASSEMBLY FOR INTRAOCULAR LENS}
본 개시는 인공수정체 지지체 및 지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백내장(白內障)은 안구의 수정체가 혼탁해져서 시력장애를 일으키는 질병이다.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정도는 다양하며, 이에 따라 눈으로 들어온 빛이 수정체를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증상이 나타난다. 노인성 백내장의 경우 발병 초기에 수정체의 굴절력이 증가하게 되어 근시가 나타나며, 증상이 더 진행될수록 파란색을 잘 보지 못하게 된다. 백내장은 일반적으로 천천히 진행되며 궁극적으로는 실명에 이를 수 있다. 대개 양쪽 눈에 모두 영향을 주지만, 대부분 한쪽 눈에 먼저 증상이 나타난 후에 다른 쪽에도 발병하게 된다.
백내장의 치료에는 "수정체유화법"이라 불리우는 수술적 치료가 가장 널리 사용된다. 이 수술은 초음파를 사용하여 백내장 수정체를 유화한 다음, 유화된 수정체를 흡인하여 제거하고 인공수정체(Intra Ocular Lens, IOL)를 삽입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한편,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삽입된 인공수정체가 원래의 위치에서 이탈하는 "인공수정체 이탈(IOL Dislocation)"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탈한 인공수정체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림과 동시에 인공수정체가 원래의 위치에서 다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술적 요법인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IOL Scleral Fixation)" 이 널리 사용된다. 이 요법은 봉합사의 일단을 인공수정체의 일단에 걸고, 봉합사의 나머지 단을 공막(鞏膜, Sclera)에 묶어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기존의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시행한 환자 중 대다수에게서 "인공수정체 중심이탈(IOL Decentration)" 및 "인공수정체 경사(IOL Tilt)"가 나타나고 있다.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또는 경사가 발생하면, 환자의 시력이 저하될 수 있음은 물론, 난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인공수정체의 이러한 중심이탈 및 경사를 방지하기 위한 지지체 및 지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인공수정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이용하여,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및 경사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지지체의 나선형 홈을 이용하여 인공수정체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인공수정체 지지체는, 지지고리; 상기 지지고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인공수정체를 고정시키는 홈; 및 상기 지지고리에 형성되어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봉합사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는, 옵틱(Optic) 및 상기 옵틱의 일측에서 상기 옵틱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햅틱(Haptic)을 포함하는 인공수정체(IntraOcular Lens); 및 상기 인공수정체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햅틱은 상기 홈에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널리 사용되는 인공수정체의 일반적인 구조를 훼손하지 않고 본 개시의 지지체를 이용하여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및 경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 후 환자의 시력 저하에 대응하거나 눈의 초점 조절을 위해 간단한 방법으로 눈 내에서 인공수정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인공수정체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인공수정체의 일 형상을 나타낸다.
도 2 는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 은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개시에 따른 인공수정체 지지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 는 도 4 의 인공수정체 지지체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도 4 의 인공수정체 지지체의 일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 은 본 개시에 따른 인공수정체 지지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 은 도 7 의 인공수정체 지지체의 일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는 본 개시에 따른 인공수정체 지지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 은 본 개시에 따른 인공수정체 지지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 은 도 4 의 인공수정체 지지체에 인공수정체를 조립한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 는 도 11 의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의 일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 은 도 7 의 인공수정체 지지체에 인공수정체를 조립한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 는 도 13 의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5 는 도 13 의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는 것이고, 통상의 기술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수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한, 단수는 물론 복수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들 또는 어떤 단계들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어떤 부분이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 또는 명세서 전체에 열거된 것 이외의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도 아니며, 단지 이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문맥상 명세서의 일 부분에서 일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반대로 제2 구성요소도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특히 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재배열되어 행해질 수 있고,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을 부가하여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에 속하는 새로운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명세서와 도면의 간결함을 위하여, 본 개시를 이해하는데 관련이 없는 다양한 기능적 구성요소는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개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추가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추가 구성 요소가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인공수정체(100)의 일 형상을 나타낸다. 인공수정체(100)는 빛을 굴절시키는 렌즈의 역할을 하는 옵틱(Optic)(110) 및 옵틱의 일측에서 옵틱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햅틱(Haptic)(120)을 포함할 수 있다. 옵틱(110)은 백내장이 발생한 환자의 기존 수정체를 대체한다.
인공수정체(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햅틱(120)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120)은 수정체낭(Capsular Bag) 내에서 인공수정체(100) 및 옵틱(110)이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옵틱(110)을 지지한다. 도 1 의 인공수정체(100)는 와선형(Spiral)의 얇은 햅틱(120)을 2개 포함하는 형태를 가지지만, 이는 일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의 인공수정체의 지지체 및 지지조립체는 도 1 에 나타난 인공수정체(100)의 형상에만 한정되지 않고, 탄성이 있는 햅틱을 포함하는 모든 인공수정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난 인공수정체(100)의 햅틱(120) 역시 특정한 수준의 탄성을 가질 수 있어서, 햅틱(120)의 바깥쪽 끝단에 옵틱(110) 중심 방향의 외력을 가하면 햅틱(120)이 옵틱(110) 방향으로 압축 내지 구부러질 수 있다. 이 경우, 인공수정체의 너비 L 은 작아질 수 있다. 압축되지 않은 인공수정체의 너비 L 은 약 13 mm 내지 13.5 mm 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은 인공수정체(100)를 공막에 고정하는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 에 따르면, 햅틱(120)에 봉합사(230)가 걸린 인공수정체(100)는 절개창(220)을 통해 눈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봉합사(230)는 햅틱(120)에 감겨있거나, 햅틱(120) 또는 옵틱(110)에 구비되는 구멍 등에 통과되거나, 매듭을 통해 인공수정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 에 따라, 인공수정체(100)가 눈 안의 적절한 곳에 위치되면, 봉합사(230)는 당겨져서 장력을 통해 인공수정체(100)가 눈 안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당겨진 봉합사(23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봉합사의 일 끝단이 공막(210)에 묶여서 매듭(240)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 다음, 수술을 마무리하기 위해 절개창(221)이 닫힐 수 있다.
이상의 도 2 및 도 3 에서 제시된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에 따르면, 인공수정체(100)가 봉합사(230)에 2점 지지 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인공수정체(100)의 중심이탈 또는 경사가 발생하여 환자의 시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 는 본 개시에 따른 인공수정체의 지지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인공수정체 지지체(400)는 지지고리(450), 지지고리(45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인공수정체를 고정시키는 홈(410) 및 지지고리(450)에 형성되어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봉합사 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체(400)는 인공수정체의 적어도 일측을 지지하여 인공수정체가 눈 안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400)는 인공수정체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 압축된 인공수정체가 다시 탄성 팽창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체(400)는 인공수정체의 중심에서 나가는 방향으로 탄성 팽창하려는 힘을 받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400)는 지지고리(450)의 내주면을 이용하여 인공수정체의 탄성 팽창을 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고리(450)의 내주면은 반작용으로서 인공수정체에 인공수정체의 중심 방향으로 수직 항력을 발생시키고, 수직 항력은 인공수정체의 일측이 지지고리(45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고정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인공수정체는 지지체(400)에 고정 마찰력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압축되지 않은 인공수정체의 너비 L 은 약 13 mm 내지 13.5 mm 일 수 있으므로, 인공수정체의 탄성 팽창을 저지하기 위하여, 지지고리(450)의 내경 d1 은 12 m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단, 당업자는 본 개시의 지지고리(450)의 내경 d1 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d1 이 일반적인 인공수정체의 너비 L 보다 약간 작은 값이면 인공수정체의 탄성 팽창을 저지하여 위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인공수정체는 고정 마찰력만으로도 인공수정체의 지지체(400)에 고정될 수 있지만, 지지체(400)에 맞닿는 인공수정체의 일측에 인공수정체의 축방향(이하 "상하 방향")과 평행한 힘이 작용하는 경우, 고정 마찰력을 초과하는 힘이 인공수정체의 일측에 작용하여 인공수정체가 지지체(400)에서 미끄러져 나올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인공수정체의 지지체(400)는 인공수정체가 탄성 팽창하는 힘을 받는 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400)는 지지고리(45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인공수정체를 고정시키는 홈(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인공수정체의 햅틱의 끝단 부분이 지지체(400)의 홈(410)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인공수정체의 일단이 지지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미끄러져 이탈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홈(410)은 도 4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공수정체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막는 방향으로 지지고리(45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향의 홈(410)을 사용하면, 인공수정체의 햅틱의 끝단이 인공수정체 지지체(40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미끄러지더라도, 홈(410)의 벽면에 인공수정체의 햅틱의 끝단이 이 맞닿게 되어 인공수정체가 더 이상 상하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인공수정체가 지지체(400)에서 미끄러지는 상황 자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홈(410)의 상하 방향 폭을 인공수정체의 햅틱의 상하 방향 두께와 같거나 유사하도록 설정하여 인공수정체의 햅틱이 홈(410)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인공수정체의 보다 완전한 고정을 돕는다.
본 개시에 따른 인공수정체의 지지체는 도 4 에 따라 고리, 구체적으로는 지지고리(45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 개시에 따른 인공수정체의 지지체는 인공수정체의 중심에서 나가는 방향의 탄성 팽창하는 힘을 받는 면을 포함하는 부재라면 그 어떤 형태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수정체의 지지체는 H 자 형태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여, 서로 대향하는 면이 인공수정체가 탄성 팽창하는 힘을 견디도록 구성되는 부재를 지지고리(450) 대신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공수정체의 지지체(400)는 지지체(400)를 눈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봉합사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400)는 지지고리(450)에 형성되어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봉합사 홀(4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봉합사 홀(420)은 봉합사가 지지고리(450)의 내부와 외부를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 역할을 하여, 봉합사가 지지고리(450)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지지고리(450)에 걸린 봉합사는 눈의 공막에 매듭을 짓는 방법을 통하여 지지고리(450)가 눈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합사는 복수의 봉합사 홀(4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지지고리(450) 내부로 들어가고, 복수의 봉합사 홀(420) 중 다른 어느 하나를 통해 지지고리(450) 외부로 나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봉합사는 복수의 봉합사 홀(420)을 이용하여 지지고리(450)에 걸릴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체(400)는 도 5 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봉합사 홀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 통로(431, 4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합사는 복수의 봉합사 홀(4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지지고리(450) 내부로 들어가고, 봉합사 통로를 따라 진행한 다음, 복수의 봉합사 홀(420) 중 다른 어느 하나를 통해 지지고리(450) 외부로 나올 수 있다. 봉합사 통로는 봉합사의 끝단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여, 봉합사가 복수의 봉합사 홀(420)에 보다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봉합사 통로는 봉합사가 지지고리(450)의 내부에서 꼬이거나 매듭이 생겨서 장력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여 지지고리(450)를 잘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난 지지체(400)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5 에 따르면, 지지체(400)는 제1 봉합사 홀(421), 제2 봉합사 홀(422), 제3 봉합사 홀(423) 및 제4 봉합사 홀(42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4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봉합사 홀(420)은 제1 봉합사 홀(421), 제2 봉합사 홀(422), 제3 봉합사 홀(423) 및 제4 봉합사 홀(4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에 나타난 지지체(400)에는 4개의 봉합사 홀(421, 422, 423, 424)이 도시되었지만, 본 개시의 적절한 실시를 위하여 지지체(400)가 이보다 더 많거나 적은 봉합사 홀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지지체(400)가 눈 안에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지지체(400)는 적어도 3개의 봉합사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봉합사 홀은 봉합사의 입구 또는 출구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짝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400)는 4개의 봉합사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봉합사는 4개의 봉합사 홀 중 하나와 다른 하나를 통해 각각 출입하고, 지지고리(450) 밖으로 나온 봉합사의 양 끝단은 서로 묶여 지지고리(450)의 일측이 공막에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봉합사가 나머지 두 개의 봉합사 홀 중 하나와 다른 하나를 통해 각각 출입하고, 지지고리(450) 밖으로 나온 봉합사의 양 끝단이 서로 묶여 지지고리(450)의 타측이 공막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고정 방법을 "4점 고정 방법"이라고 칭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봉합사 홀(421) 및 제2 봉합사 홀(422)은 임의의 봉합사 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되고, 제3 봉합사 홀(423) 및 제4 봉합사 홀(424)은 임의의 봉합사 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400)는 제1 봉합사 홀(421) 및 제2 봉합사 홀(422)을 연통하는 제1 봉합사 통로(431)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체(400)는 제3 봉합사 홀(423) 및 제4 봉합사 홀(424)을 연통하는 제2 봉합사 통로(4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에 나타난 지지체(400)에는 2개의 봉합사 통로(431, 432)가 도시되었지만, 본 개시의 적절한 실시를 위하여 지지체(400)가 이보다 더 많거나 적은 봉합사 통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지지체(400)는 제1 봉합사 홀(421), 제2 봉합사 홀(422), 제3 봉합사 홀(423) 및 제4 봉합사 홀(424)을 모두 연통하는 봉합사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지지체(400)의 제작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4점 고정 방법"으로 지지체(400)를 공막에 고정하는 경우, 지지체(400)제1 내지 제4 봉합사 홀(421, 422, 423, 424)에 통과되는 봉합사의 장력으로 공막에 고정된다. 지지체(400)의 불필요한 경사 혹은 중심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4 봉합사 홀(421, 422, 423, 424)을 통과하는 봉합사에 작용하는 장력의 중심은 지지체(400)의 무게중심과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작의 편의와 눈의 대칭적 구조를 고려하였을 때, 지지고리(450)의 원주 방향 밀도는 거의 일정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봉합사 홀(421) 및 제3 봉합사 홀(423)은 지지고리(450)의 중심축 C 를 기준으로 축대칭을 이루고, 제2 봉합사 홀(422) 및 제4 봉합사 홀(424)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는 봉합사가 원주 방향 밀도가 거의 일정한 지지고리(450)를 대칭적으로 지지하여, 봉합사에 작용하는 장력의 중심과 지지고리(450)의 무게중심을 용이하게 거의 일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제1 봉합사 홀(421) 및 제2 봉합사 홀(422)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좁은 경우, 제1 봉합사 홀(421) 및 제2 봉합사 홀(422)과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3 봉합사 홀(423) 및 제4 봉합사 홀(424) 사이의 간격 역시 과도하게 좁아지게 되고, "4점 고정 방법"은 마치 "2점 고정 방법"과 유사하게 되어, 지지고리(450)의 중심이탈 및 경사를 방지하고자 하는"4점 고정 방법"의 이점이 일부 상실될 수 있다. 또한, 제1 봉합사 홀(421) 및 제2 봉합사 홀(422)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넓은 경우, 제1 봉합사 홀(421) 및 제2 봉합사 홀(422)을 통과한 봉합사의 양 끝단을 서로 묶어 매듭을 만든다면 제1 봉합사 홀(421) 및 제2 봉합사 홀(422)으로부터 매듭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어 지지고리(450)의 고정의 안정성이 적어질 수 있다. 이는 제1 봉합사 홀(421) 및 제2 봉합사 홀(422)과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3 봉합사 홀(423) 및 제4 봉합사 홀(424) 사이의 간격 역시 과도하게 넓어지게 되므로 제3 봉합사 홀(423) 및 제4 봉합사 홀(424) 사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위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제1 봉합사 홀(421) 및 제2 봉합사 홀(422)은, 지지고리의 중심(C)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중심각(a) 30도 이상 60도 이하인 원호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봉합사 홀(423) 및 제4 봉합사 홀(424)은 각각 제1 봉합사 홀(421) 및 제2 봉합사 홀(422)과 각각 지지고리의 중심축 C 를 기준으로 축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30도 이상 60도 이하"는 정확히 "30도" 및 "60도" 뿐만 아니라 "29도" 및 "61도" 등 그 근방의 값도 포함할 수 있다.
도 6 은 도 5 의 지지고리(450)를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봉합사 홀(421, 422, 423, 424) 또는 봉합사 통로(431, 432)는 지지고리(450)의 상단부(44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지고리(450)의 두께가 얇더라도 봉합사 홀(421, 422, 423, 424), 봉합사 통로(431, 432) 및 홈(410)을 지지고리(450)에 모두 구비할 수 있도록 하고, 봉합사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도 6 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지지체(400)는 지지고리(45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인공수정체를 고정시키는 홈(410)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체(400)는 홈(410)의 세부구조로서 산(411)과 골(4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에 나타난 실시예는 산(411)과 골(412)의 끝단이 뾰족하게 도시되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고리(450)의 내주면에서 지지고리(450)의 중심축 C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는 산(411)이 될 수 있고, 지지고리(450)의 내주면에서 움푹 패인 구조는 골(412)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411)의 끝단은 라운딩 처리되어 눈의 불필요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골(412)의 끝단은 라운딩 처리되어 햅틱의 둘레방향 표면 곡률과 유사한 곡률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햅틱과 내주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서 인공수정체가 지지고리(450)에 더 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고리(450)의 내경 d1 은 지지고리(450)의 안쪽 일측 끝단의 골(412)로부터 반대편 끝단 골(412)까지 잰 길이로 정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 은 인공수정체 지지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체는 지지고리(460)의 고리 내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중공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막(4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막(461)은 인공수정체가 인공수정체 지지체에 결합되었을 때, 인공수정체가 상하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막(461)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투명한 막은 환자의 시야를 거의 가리지 않으므로, 환자의 시야를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막(461)이 설령 투명하더라도 제작 공차로 인해 막(461)의 표면이 불균일하게 형성되거나 막(461)의 미세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막(461)이 인공수정체를 가리는 경우, 인공수정체를 통과하여 환자의 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막(461)을 통과할 때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굴절되어 환자의 시력 교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막(461)은 제1 중공과 동심을 갖는 제2 중공(462)을 포함하는 도넛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중공(462)의 면적은 상기 제1 중공의 면적보다 작다. 이는 막(461)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자의 시력 또는 시야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중공(462)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중공과 중심을 공유하는 원형 또는 그에 가까운 형태일 수 있다. 제2 중공(462)의 원형 또는 그에 가까운 형태는, 모서리가 있는 다른 중공 형태보다 환자 시야의 대칭성을 확보하고, 환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 중공(462)의 직경 d2는 3mm 또는 그 근처의 값일 수 있다.
도 8 은 도 7 의 인공수정체 지지체를 AA-AA'면을 따라 절단한 일 단면을 나타낸다. 도 8 에 나타난 것과 같이 막(461)은 지지고리(46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단부에 형성된 막(461)은 지지체에 조립된 인공수정체가 지지고리(460)의 하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만, 막(461)의 위치는 지지고리(460)의 하단부에만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지지고리(460)의 중단부 또는 상단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막(461)은 지지고리(460)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따로 제작되어 지지고리(460)에 접합부(863)를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접합부(863)는 용융 접합을 통해 형성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되거나, 별도의 조립 구조를 가져서 별도의 접착제 없이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등, 업계에 알려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의 접합부(863)는 막(461)의 둘레 면과 지지고리(46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접합부(863)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접합부(863)는 막(461)의 상면과 지지고리(46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어, 막(461)의 상면과 지지고리(460)의 하면을 접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막(461)의 두께는, 인공수정체가 지지체에 결합되었을 때 인공수정체의 상하 방향 이동 가능 범위를 최대한으로 제공하고, 막(461)의 존재로 인한 환자의 시력 및 시야에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히 얇으면서도, 인공수정체가 지지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강성을 가질 수 있는 두께로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막(461)의 두께는 10μm 또는 그 근처의 값일 수 있다.
도 9 는 본 개시에 따른 인공수정체 지지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 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지지체(900)는, 제1 봉합사 홀(921) 및 제2 봉합사 홀(922) 은 지지고리(950)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되어 제1 봉합사 통로(931)를 통해 서로 연통되고, 제3 봉합사 홀(923) 및 제4 봉합사 홀(924) 은 지지고리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되어 제2 봉합사 통로(932)를 통해 서로 연통되고, 제1 봉합사 통로(931) 및 제2 봉합사 통로(932)는 각각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지지체(900)의 제조 시, 드릴 등의 타공용 공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봉합사 홀 및 봉합사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자세하게, 지지고리(950)의 제1 봉합사 홀(921)이 형성될 위치에 드릴 팁을 위치시키고, 드릴 팁이 지지고리(950)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2 봉합사 홀(922)이 형성될 위치로 나오도록 드릴을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한번의 타공 작업으로 제1 봉합사 홀(921), 제2 봉합사 홀(922) 및 제1 봉합사 통로(9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한번의 타공 작업으로 제3 봉합사 홀(923), 제4 봉합사 홀(924) 및 제2 봉합사 통로(932)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업 방식으로 제조된 지지체(900)는, 환자의 공막에 본 개시에 따른 지지체(900)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제1 봉합사 통로(931) 및 제2 봉합사 통로(932)에 봉합사를 통과시킬 때 보다 용이하게 봉합사를 통과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봉합사 통로(931) 및 제2 봉합사 통로(932)는, 반드시 완벽한 직선 형태를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직선에 가까운 형태, 또는 한번의 타공 작업으로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점을 가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0 은 복수의 봉합사 홀을 가지는 지지체(10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봉합사 홀은 등간격을 갖는 적어도 3개의 봉합사 홀로 이루어진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등간격"은 반드시 "완전히 동일"한 간격을 뜻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 거의 유사한 간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봉합사 홀을 지지고리(1050)에 형성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봉합사 홀로 이루어진 집합체를 완전히 동일한 간격을 갖는 봉합사 홀을 포함하도록 설계했더라도, 제작 상 공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간격은 "완전히 동일"하지 않게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이러한 공차를 고려한 간격 역시 "등간격"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도 10 에 따르면, 지지체(1000)는 제1 봉합사 홀(1011), 제2 봉합사 홀(1012), 제3 봉합사 홀(1013), 제4 봉합사 홀(1014), 제5 봉합사 홀(1015), 제6 봉합사 홀(1016), 제7 봉합사 홀(1017), 제8 봉합사 홀(1018), 제9 봉합사 홀(1019), 제10 봉합사 홀(1020), 제11 봉합사 홀(1021) 및 제12 봉합사 홀(10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봉합사 홀(1011), 제2 봉합사 홀(1012) 및 제3 봉합사 홀(1013)은 제1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봉합사 홀(1011) 및 제2 봉합사 홀(1012) 사이의 간격과 제2 봉합사 홀(1012) 및 제3 봉합사 홀(1013) 사이의 간격은 "등간격"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봉합사 홀(1014), 제5 봉합사 홀(1015) 및 제6 봉합사 홀(1016)은 제2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고, 제7 봉합사 홀(1017), 제8 봉합사 홀(1018) 및 제9 봉합사 홀(1019)은 제3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고, 제10 봉합사 홀(1020), 제11 봉합사 홀(1021) 및 제12 봉합사 홀(1022)은 제4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집합체는, 지지고리(1050)의 일측에 두 집합체가 서로 인접하게, 지지고리(1050)의 타측에 다른 두 집합체가 서로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에 따르면, 제1 집합체 및 제4 집합체는 지지고리(1050)의 일측에 서로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고, 제2 집합체 및 제3 집합체는 지지고리(1050)의 타측에 서로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봉합사는 인접한 집합체 중 어느 한 집합체의 봉합사 홀을 통과하고, 나머지 집합체의 봉합사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합사는 제1 집합체의 제3 봉합사 홀(1013)을 통해 지지고리(1050)를 통과하여 들어간 다음, 인접한 제4 집합체의 제10 봉합사 홀(1020)을 통해 지지고리(1050)를 통과하여 나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봉합사가 인접한 서로 다른 집합체의 봉합사 홀을 각각 통과하여 출입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4점 고정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집합체 내에는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지는 복수의 봉합사 홀이 포함되므로 사용자는 환자의 눈 구조나 수술 환경에 따라 봉합사를 통과시킬 위치를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접한 집합체에 해당하는 복수의 봉합사 홀은 봉합사 통로에 의해 모두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에 따르면, 인접한 제1 집합체 및 제4 집합체에 해당하는 복수의 봉합사 홀은 제1 봉합사 통로(1031)에 의해 모두 연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접한 제2 집합체 및 제3 집합체에 해당하는 복수의 봉합사 홀은 제2 봉합사 통로(1032)에 의해 모두 연통될 수 있다. 이는 봉합사 통로의 설계 및 제작이 단순화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0 은 복수의 봉합사 홀을 포함하는 지지체(10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 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봉합사 홀은, 지지고리(1050)에 일 끝단(1001)을 갖고, 지지고리의 중심(C)을 원의 중심으로 하고, 중심각(b)이 각각 15도, 22.5도, 30도, 150도, 157.5도, 165도, 195도, 202.5도, 210도, 330도, 337.5도 및 345도인 원호들의 다른 쪽 끝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봉합사 홀(1011) 및 일 끝단(1001) 사이의 중심각 b 는 15도 혹은 그 근처의 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봉합사 홀(1012) 및 일 끝단(1001) 사이의 중심각 b 는 22.5도 혹은 그 근처의 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봉합사 홀(1013) 및 일 끝단(1001) 사이의 중심각 b 는 30도 혹은 그 근처의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봉합사 홀(1011) 및 제2 봉합사 홀(1012) 사이의 중심각과 제2 봉합사 홀(1012) 및 제3 봉합사 홀(1013) 사이의 중심각의 차이는 7.5도 혹은 그와 유사한 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간격은 사용자가 봉합사를 통과시킬 봉합사 홀을 보다 효율적으로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1 및 도 12 는 지지체에 인공수정체(100)를 결합한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 은 도 4 의 지지체(400)에 인공수정체(100)를 결합한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1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1100)는 옵틱 및 옵틱으로부터 옵틱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햅틱(120)을 포함하는 인공수정체(100) 및 인공수정체 지지체(400)를 포함하고, 햅틱(120)은 홈(410)에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수정체 지지고리(450)의 내경은 인공수정체(100)의 너비보다 짧게 형성되어, 햅틱(120)은 탄성 압축되어 홈(410)에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다. 또는, 햅틱(120)은 탄성 압축되지 않고 강성을 갖는 소재 및 구조, 예를 들어 캔틸레버식이 아닌 햅틱(120)의 양단이 모두 옵틱(110)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홈(4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2 는 도 11 의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1100)를 B-B'면을 따라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홈(410)은 나선형(Spiral)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선형 홈은 도 1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지지고리(450)의 내주면을 따라 지지고리(450)의 안쪽 둘레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공수정체(100)의 햅틱(120)이 나선형 홈(410)의 골(412)에 끼워지면, 사용자는 도 11 에서와 같이 인공수정체(100)를 지지고리(450)의 둘레 방향(1101)으로 회전시켜서 인공수정체(100)의 상하 방향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수정체(100)가 회전하면 나선형 홈(410)의 골(412)에 끼워진 인공수정체(100)의 햅틱(120)이 나선형 홈(410)의 경사진 면(1210)을 따라 둘레 방향(1101)으로 미끄러지게 되어 인공수정체(100)의 상하 방향 높이가 바뀌게 된다. 예를 들어, 나선형 홈(410)은 오른나선(Right-handed Helix) 형태이어서, 도 11 과 같이 인공수정체(1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2 에서와 같이 인공수정체(100)는 눈 쪽 방향(1201)으로 하강할 수 있다. 반대로 나선형 홈(410)은 왼나선(Left-handed Helix)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는 도 13과 관련된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공수정체(100)의 상하 방향 높이 조절은 본 개시에 따른 인공수정체 지지체를 사용한 수술이 이미 완료된 후에 환자의 시력이 저하되는 등 인공수정체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재수술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인공수정체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널리 사용되는 인공수정체는 햅틱이 와선(Spiral) 형태를 가지는 도 1 의 인공수정체(10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1100)는, 인공수정체(100)의 햅틱(120)은 옵틱의 중심 방향으로 말려들어가는 와선(Spiral) 형태를 가지고, 햅틱(120)은 탄성 압축되어 햅틱(120)의 외측단은 나선형 홈(410)의 일측에 끼워져서 조립되고, 인공수정체(100)를 와선의 말려들어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인공수정체가 눈 쪽 방향(1001)으로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수정체(10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햅틱(120)과 옵틱의 제1 교차 지점(130) 근처에 기구를 삽입하고, 기구에 둘레 방향(901)의 힘을 가하여 인공수정체(100)를 둘레 방향(901)으로 밀 수 있다. 도 11 에 나타난 인공수정체(100)는 시계 방향으로 말려들어가는 와선 형태의 햅틱(120)을 가지고, 도 12 에서와 같이 지지고리(450)는 오른 나선 형태의 나선형 홈(410)을 가지므로, 위와 같은 방법으로는 인공수정체(100)를 시계 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키면 인공수정체가 눈 쪽 방향(1001)으로 하강하게 된다. 도 11 에 나타난 인공수정체(100)는 시계 방향으로 말려들어가는 와선 형태의 햅틱(120)을 가지므로, 햅틱(120)과 옵틱의 제2 교차지점(140) 근처에 기구를 삽입하고, 기구에 반시계 방향의 힘을 가하는 방법으로는 인공수정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어렵다. 이 경우, 인공수정체를 눈 쪽 방향(1001)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인공수정체(100)를 지지체(400)로부터 완전히 제거한 후, 다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난 인공수정체(100)의 햅틱(120)의 와선의 형태 및 인공수정체 지지체(400)의 나선형 홈의 방향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이와 다른 형태 및 방향이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난 인공주정체 지지체(400)의 나선형 홈(410)의 방향이 왼나선(Left-handed Helix) 형태라면, 인공수정체(100)를 시계 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키면 인공수정체가 바깥쪽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인공수정체(100)의 햅틱(120)의 와선 형태가 반시계 방향으로 말려들어가는 형태라면, 왼나선 형태의 나선형 홈(410)에 끼워진 인공수정체(100)를 반시계 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키면 인공수정체가 눈 쪽 방향(1001)으로 하강하게 된다.
도 13 은 도 7 의 지지체에 인공수정체를 결합한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13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지지고리(460)의 나선형 홈은 왼나선(Left-handed Helix) 형태이어서, 인공수정체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3 에서와 같이 인공수정체는 눈 바깥쪽 방향(1301)으로 상승할 수 있다. 널리 사용되는 인공수정체는 도 1 의 인공수정체(100)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말려들어가는 와선 형태의 햅틱을 가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인공수정체를 반시계방향보다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용이하다. 이에 따라 지지고리(460)의 나선형 홈의 왼나선 형상은 인공수정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눈 바깥쪽 방향(1301)으로 상승시키는데 적합하다. 사용자는 위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인공수정체를 지지체의 지지고리(460)와 조립할 때 인공수정체가 지지고리(460)의 가능한 하단부에 결합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1300)를 사용한 수술이 이미 완료된 후에 환자의 시력이 저하되는 등 인공수정체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재수술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인공수정체의 위치를 눈 바깥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 에 나타난 지지조립체(1300)의 지지체는 막(461)을 포함한다. 도 7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막(461)은 지지고리(46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인공수정체가 아래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4 는 도 13 에 나타난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1300)에 봉합사(1331, 1332)를 끼우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 봉합사(1331)의 일 끝단은 제1 봉합사 홀(1311)을 통해 지지고리를 통과해 들어간 다음, 제1 봉합사 통로(1321)를 따라 제2 봉합사 홀(1312)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제2 봉합사 홀(1312)을 통해 지지고리를 통과해 나올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제2 봉합사(1332)의 일 끝단은 제4 봉합사 홀(1314)을 통해 지지고리를 통과해 들어간 다음, 제2 봉합사 통로(1322)를 따라 제3 봉합사 홀(1313)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제3 봉합사 홀(1313)을 통해 지지고리를 통과해 나올 수 있다.
도 15 는 도 13 에 나타난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1300)를 봉합사(1331, 1332)를 이용하여 안구의 공막(1510)에 고정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1300)는 공막(1510)의 일측에 구비된 절개창(1520)을 통해 안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1300)가 안구 내에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면, 제1 봉합사(1331) 및 제2 봉합사(1332)는 공막의 양 측에 구비된 서로 다른 절개창(1520)에 각각 묶여서 제1 매듭(1341) 및 제2 매듭(134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봉합사(1331) 및 제2 봉합사(1332)의 양 끝단은 공막 바깥 방향으로 당겨져서 제1 봉합사(1331) 및 제2 봉합사(1332)에 적절한 양의 장력이 형성되어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1300)가 안구 내에서 쉽게 이동할 수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만약 수술 이후 인공수정체의 상하 방향 높이를 조절할 필요성이 생긴다면, 사용자는 봉합사(1331, 1332)를 절단하거나 매듭(1341, 1342)을 풀 필요 없이, 절개창(1520)을 통해 기구를 삽입하여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1300)에 결합된 인공수정체를 밀어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인공수정체의 상하 방향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Claims (17)

  1. 지지고리;
    상기 지지고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인공수정체를 고정시키는 홈; 및
    상기 지지고리에 형성되어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봉합사 홀을 포함하는, 인공수정체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나선형 홈인, 인공수정체 지지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홈은 왼나선(Left-handed Helix) 형태인, 인공수정체 지지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리의 제1 중공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막을 더 포함하는, 인공수정체 지지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상기 제1 중공과 동심을 갖는 제2 중공을 포함하는 인공수정체 지지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봉합사 홀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 통로를 더 포함하는, 인공수정체 지지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봉합사 홀은 제1 봉합사 홀 내지 제4 봉합사 홀을 포함하고,
    제1 봉합사 홀 및 제2 봉합사 홀은 임의의 상기 봉합사 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되고, 제3 봉합사 홀 및 제4 봉합사 홀은 임의의 상기 봉합사 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인공수정체 지지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합사 홀 및 상기 제3 봉합사 홀은 상기 지지고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대칭을 이루고, 상기 제2 봉합사 홀 및 상기 제4 봉합사 홀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대칭을 이루는, 인공수정체 지지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합사 홀 및 상기 제2 봉합사 홀은,
    상기 지지고리의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중심각 30도 이상 60도 이하인 원호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인공수정체 지지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합사 홀 및 상기 제2 봉합사 홀은 상기 지지고리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되어 제1 봉합사 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제3 봉합사 홀 및 상기 제4 봉합사 홀은 상기 지지고리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되어 제2 봉합사 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제1 봉합사 통로 및 상기 제2 봉합사 통로는 각각 직선 형태를 갖는 인공수정체 지지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봉합사 홀은,
    등간격을 갖는 적어도 3개의 봉합사 홀로 이루어진 집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집합체는,
    상기 지지고리의 일측에 두 집합체가 서로 인접하게, 상기 지지고리의 타측에 다른 두 집합체가 서로 인접하게 구비되는 인공수정체 지지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집합체에 해당하는 복수의 봉합사 홀은 봉합사 통로에 의해 모두 연통되는 인공수정체 지지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봉합사 홀은,
    상기 지지고리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고리의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하고, 중심각이 각각 15도, 22.5도, 30도, 150도, 157.5도, 165도, 195도, 202.5도, 210도, 330도, 337.5도 및 345도인 원호들의 다른 쪽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인공수정체 지지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리의 내경은 12mm 이하인, 인공수정체 지지체.
  15. 옵틱(Optic) 및 상기 옵틱의 일측에서 상기 옵틱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햅틱(Haptic)을 포함하는 인공수정체(IntraOcular Lens); 및
    제1항의 인공수정체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햅틱은 상기 홈에 끼워져서 조립되는,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리의 내경은 상기 인공수정체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햅틱은 탄성 압축되어 상기 홈에 끼워져서 조립되는,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나선형 홈이고,
    상기 햅틱은 상기 옵틱의 중심 방향으로 말려들어가는 와선(Spiral) 형태를 가지고, 상기 햅틱은 탄성 압축되어 상기 햅틱의 외측단이 상기 나선형 홈의 일측에 끼워져서 조립되고,
    상기 인공수정체를 상기 와선의 말려들어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인공수정체가 눈 쪽 방향으로 하강하는, 인공수정체 지지조립체.
KR1020210183479A 2021-12-21 2021-12-21 인공수정체 지지체 및 지지조립체 KR20230094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479A KR20230094358A (ko) 2021-12-21 2021-12-21 인공수정체 지지체 및 지지조립체
PCT/KR2022/019198 WO2023121033A1 (ko) 2021-12-21 2022-11-30 인공수정체 지지체 및 지지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479A KR20230094358A (ko) 2021-12-21 2021-12-21 인공수정체 지지체 및 지지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358A true KR20230094358A (ko) 2023-06-28

Family

ID=8690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479A KR20230094358A (ko) 2021-12-21 2021-12-21 인공수정체 지지체 및 지지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94358A (ko)
WO (1) WO20231210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8710A1 (en) * 1996-03-18 2002-09-12 Eggleston Harry C. Modular intraocular implant
US20070260308A1 (en) * 2006-05-02 2007-11-08 Alcon, Inc.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system
KR101555298B1 (ko) * 2014-07-04 2015-09-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수정체낭
JP7340450B2 (ja) * 2016-10-28 2023-09-07 フォーサイト ビジョン6,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調節性眼内レンズおよびインプラントの方法
WO2021144787A1 (en) * 2020-01-13 2021-07-22 Shaare Zedek Scientific Ltd. Intraocular 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1033A1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7356B2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nd methods of use
US5645582A (en) Overlapping ring device for corneal curvature adjustment
EP3492041B1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EP0660732B1 (en) Adjustable devices for corneal curvature adjustment
US7037338B2 (en) Intraocular ring assembly and artificial lens kit
US20200253723A1 (en) Pupillary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5653752A (en) Adjustable devices for corneal curvature adjustment
MX2011005311A (es) Lente intraocular artificial, lente cristalino natural alterado, o capsula de lente cristalino natural relleno con una o mas protesis esclerales para funcionamiento mejorado.
US20220000605A1 (en) Devices to support and position an intraocular lens within the eye and methods of use
KR20230094358A (ko) 인공수정체 지지체 및 지지조립체
US10575943B2 (en) Vision corr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n intraocular lens enclosed in an inner capsulated bag
CN113015502A (zh) 包括具有分段晶状体襻的分立晶状体单元的混合调节型人工晶状体组件
US20240180691A1 (en) Ocular implant support devices and methods of use
JP2013022273A (ja) 眼内レンズ
WO2001017461A1 (en) Intraocular lens
WO2024107942A1 (en) Ocular implant support devices and methods of use
KR20230051521A (ko) 안구 내에 안내 렌즈를 지지하고 위치시키는 디바이스 및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