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867A -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 Google Patents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867A
KR20230093867A KR1020210182847A KR20210182847A KR20230093867A KR 20230093867 A KR20230093867 A KR 20230093867A KR 1020210182847 A KR1020210182847 A KR 1020210182847A KR 20210182847 A KR20210182847 A KR 20210182847A KR 20230093867 A KR20230093867 A KR 20230093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rollable
fiber ribbon
loos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삼모
김창안
강도현
김창영
Original Assignee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556,867 priority Critical patent/US11747582B2/en
Priority to KR1020210182847A priority patent/KR20230093867A/ko
Priority to PCT/KR2021/019471 priority patent/WO2023120755A1/ko
Publication of KR20230093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84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the means comprising water blocking or hydrophob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Ribb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4Central member to take up tensile loa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02B6/4411Matrix structure

Abstract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이 제공된다. 광케이블은 복수개의 루즈 튜브를 구비하며, 각 루즈 튜브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롤러블 광섬유 리본이 배치된다. 복수개의 루즈 튜브는 중심 인장 부재의 주변에 배치된다. 루즈 튜브 내부에 배치되는 각 롤러블 광섬유 리본의 길이는 해당 루즈 튜브의 길이에 비해 1% 이상 길다.
종래의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에 비하여 광섬유의 밀도가 높으면서도 양호한 광전송 성능을 갖는다.

Description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Optical cable including rollable optical fiber ribbon}
본 발명은 말리거나 접힐 수 있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에 대한 것이다.
최근 5G 통신 기술의 보급 및 데이터 센터의 증가에 따라, 단위 면적당 광섬유 수가 많은 초고밀도 광케이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광섬유의 밀도가 높아지면 광케이블 직경이 감소되고 지하 덕트와 같은 기존 시설을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설치 비용이 줄어든다.
이와 관련하여, 말릴 수 있는 (rollable) 광섬유 리본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7-279226호, 일본특허공개 2011-169937호, 일본특허공개 2014-228688호, 미국특허 US8787718호 등에는 복수개의 광섬유를 간헐적으로 연결하여 말릴 수 있도록 만든 광섬유 리본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US9939599호, 미국특허 US10185105호 등에는 복수개의 광섬유의 어느 한쪽 표면에 연속적인 연결부를 형성시켜 말리거나 접힐 수 있도록 만든 광섬유 리본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말리거나 접힐 수 있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은 광섬유의 밀도를 높일 수 있지만, 이에 따른 마이크로 벤딩 등에 의하여 광전송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광섬유 리본에 비하여 케이블 내에 광섬유의 밀도를 높일 수 있는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고, 양호한 광전송 성능을 갖는 광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로서, 코어부 및 이 코어부를 둘러싸는 자켓으로 구비하며, 상기 코어부는, 중심 인장 부재; 상기 중심 인장 부재의 주변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루즈 튜브; 및 상기 각 루즈 튜브 내부에 1개 이상이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의 광섬유가 길이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광섬유를 갖는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고, 상기 루즈 튜브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각 롤러블 광섬유 리본의 길이는 해당 루즈 튜브의 길이에 비해 1% 이상 길며, 상기 각 롤러블 광섬유 리본이 갖는 각 광섬유의 종단손실은, 1310 nm의 파장 및 1383 nm의 파장에서 0.4 dB/km 이하이고, 1550 nm의 파장 및 1625 nm의 파장에서 0.3 dB/km 이하인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이 제공된다.
각 루즈 튜브의 광섬유의 밀도는 해당 루즈 튜브의 내부 공간의 단면적 1 제곱밀리미터 당 6.7~7.5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루즈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롤러블 광섬유 리본의 수는 6개 내지 12개인 것이 좋다.
코어부는 수분을 흡수하는 방수 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어부는 상기 루즈 튜브 사이의 빈 공간에 배치되어 루즈 튜브의 단면이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광섬유 리본에 비하여 케이블 내에 광섬유의 밀도를 높일 수 있는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고, 양호한 광전송 성능을 갖는 광케이블이 제공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롤러블 광섬유 리본이 포함하는 광섬유 유닛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광섬유 유닛이 2개일 때 가능한 첫 번째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광섬유 유닛이 2개일 때 가능한 두 번째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광섬유 유닛이 2개일 때 가능한 세 번째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는 도 3에 도시된 광섬유 유닛을 이용하여 12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형성하는 첫 번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연결부가 다른 형태의 표면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에는 도 3에 도시된 광섬유 유닛을 이용하여 12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형성하는 두 번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는 도 14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해당되는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포함한다", "구비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한정하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존재할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광케이블의 단면도이다.
광케이블(101)은 코어부(110) 및 이 코어부(110)를 둘러싸고 보호하는 재킷(120)을 포함한다.
코어부(110)는 1개 이상의 롤러블 광섬유 리본(111)이 내부에 배치된 루즈 튜브(112)를 적어도 1개 구비한다. 코어부(110)는 또한 중심 인장 부재(113), 방수 얀(114), 방수 테이프(115) 및 립코드(116)를 구비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코어부(1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를 둘러싸는 아머층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아머층은 일반적으로 금속 소재의 테이프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루즈 튜브(112) 내부에 12개의 롤러블 광섬유 리본(111)이 배치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6개에서 12개까지 다양한 수의 롤러블 광섬유 리본(111)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루즈 튜브(112) 내부에 배치된 광섬유의 밀도는 해당 루즈 튜브의 내부 공간의 단면적 1 제곱밀리미터 당 6.7~7.5 이다. 각 루즈 튜브(112)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롤러블 광섬유 리본은 함께 어느 한 방향으로 꼬여 있을 수 있다. 롤러블 광섬유 리본(111)의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광케이블은 6개의 루즈 튜브(112)를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들 루즈 튜브(112)는 중심 인장 부재(113)의 주위에 배치된다. 루즈 튜브(112)는 중심 인장 부재에 대하여 예를 들어 SZ 꼬임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루즈 튜브(112)의 단면은 대체로 원형을 유지한다.
중심 인장 부재(113)와 루즈 튜브(112) 사이에는 흡습 소재를 포함하는 방수 얀(114)이 1개 이상 배치된다. 방수 얀(114)은 외부로부터 재킷(120) 내부로 침투한 수분을 흡수한다. 방수 얀(114)의 위치는 반드시 중심 인장 부재(113)와 루즈 튜브(112) 사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수 테이프(115)가 중심 인장 부재(113), 루즈 튜브(112) 및 방수 얀(114)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방수 테이프는 광케이블의 외부로부터 코어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립코드(116)는 재킷(120)을 찢어서 코어부(110)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립코드(116)가 코어부(110)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아머층이 제공되는 경우, 립코드(116)는 아머층 내부에 배치된다.
재킷(120)은 일반적으로 압출 성형되며,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재킷(120)은 코어층(11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재킷(120)은 필요에 따라 착색되거나, 난연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는, 코어부(110)가 4개의 루즈 튜브(112)를 구비하는 점이다. 이 경우, 루즈 튜브(112)의 단면이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변형될 수 있다. 루즈 튜브(112)의 단면이 변형되면, 롤러블 광섬유 리본(111)에 마이크로 벤딩이 발생하여 광전송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 부재(117)가 1개 이상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충전 부재(117)가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광전송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루즈 튜브(112)의 내부에 배치된 각 롤러블 광섬유 리본(111)의 길이는 해당 루즈 튜브(112)의 길이에 비해 1% 이상 긴 것이 좋다. 더 바람직하게는, 롤러블 광섬유 리본(111)의 길이는 루즈 튜브(112)의 길이보다 1.001~1.003% 만큼 길다.
표 1에는 도 2에 도시된 광케이블로서, 각 루즈 튜브(112)의 내부에 12개의 롤러블 광섬유 리본(111)이 배치된 광케이블에 대하여 광전송 손실을 실험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각 루즈 튜브의 내부에 배치된 롤러블 광섬유 리본은 해당 루즈 튜브의 길이보다 1% 이상 길다. 광전송 손실은, 1,200m 길이의 광케이블에 대하여 4개의 파장에 대한 종단손실이 측정되었다. 종단손실은, 1310nm 및 1383nm의 파장에 대해서는 0.4 dB/k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550nm 및 1625nm의 파장에 대해서는 0.3 dB/km 이하인 것이 좋다.
종단손실(dB/km)
파장 1310nm 1383nm 1550nm 1625nm
제1
루즈 튜브
평균 0.336 0.285 0.199 0.221
최소 0.327 0.212 0.182 0.201
최대 0.348 0.351 0.226 0.260
제2
루즈 튜브
평균 0.335 0.284 0.198 0.219
최소 0.326 0.146 0.183 0.198
최대 0.352 0.373 0.235 0.275
제3
루즈 튜브
평균 0.337 0.286 0.206 0.226
최소 0.326 0.232 0.189 0.201
최대 0.350 0.337 0.243 0.278
제4
루즈 튜브
평균 0.335 0.288 0.202 0.222
최소 0.326 0.239 0.188 0.203
최대 0.347 0.326 0.232 0.259
표 1로부터, 모든 루즈 튜브에서, 각 파장의 최대 광전송 손실이 기준값들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대조적으로, 롤러블 광섬유 리본의 길이가 루즈 튜브의 길이에 비하여 1% 미만으로 긴 경우에는, 광전송 손실이 기준값을 넘어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광섬유 리본이 포함하는 광섬유 유닛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방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가 연장되는 방향(L)을 의미하며, “폭방향”은 길이방향과 직교하고 광섬유가 배열된 방향(W)을 의미한다.
도시된 광섬유 유닛(10)은 3개의 광섬유(1)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광섬유는 코어, 클래딩 및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을 구비한다. 이들 3개의 광섬유 중에서 2개의 광섬유는 연속적 연결부(11)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광섬유 쌍을 형성한다. 나머지 1개의 광섬유는 간헐적 연결부(12)에 의하여 광섬유 쌍 중의 어느 한 광섬유와 길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연결된다. 후술하는 광섬유 유닛들 사이의 간헐적 연결부와 구별하기 위하여, 광섬유 유닛(10)의 간헐적 연결부를 ‘제1’ 간헐적 연결부(12)라고 칭한다.
도 4 및 도 5에는 각각 도 3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와 선 B-B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간헐적 연결부(12)가 존재하는 구간에서는, 연속적 연결부(11)에 의하여 연결된 광섬유 쌍(1a, 1b)과 남아있는 다른 1개의 광섬유(1c)는 제1 간헐적 연결부(12)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3개의 광섬유(1a, 1b, 1c)가 모두 연결된 상태가 된다. 반면, 제1 간헐적 연결부(12)가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연속적 연결부(11)에 의하여 연결된 광섬유 쌍(1a, 1b)과 다른 1개의 광섬유(1c)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도 6-8는 위에서 설명한 광섬유 유닛이 2개일 때 가능한 배치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배치에서는, 첫 번째 광섬유 유닛(10)에서 광섬유 쌍을 이루지 않는 광섬유(1c)와 두 번째 광섬유 유닛(20)의 광섬유 쌍에 포함된 광섬유(2a)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도 7에 도시된 배치에서는, 첫 번째 광섬유 유닛(10)에서 광섬유 쌍을 이루지 않는 광섬유(1c)와 두 번째 광섬유 유닛(20)에서 광섬유 쌍을 형성하지 않는 광섬유(2c)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도 8에 도시된 배치에서는, 첫 번째 광섬유 유닛(10)의 광섬유 쌍에 포함된 광섬유(1a)와 두 번째 광섬유 유닛(20)의 광섬유 쌍에 포함된 광섬유(2a)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배치에서, 2개의 광섬유 유닛(10, 20)의 인접하는 광섬유들을 연결하면, 6개의 광섬유로 이루어진 광섬유 리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이 간헐적일 경우, 광섬유 리본은 폭방향으로 말리거나 접힐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광섬유 유닛을 이용하여 12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섬유 리본을 형성하는 배치는 다수가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배치 중에서 2가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가능한 배치에 관한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두 번째 가능한 배치에 관한 실시예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각 실시예는 4개의 광섬유 유닛(10, 20, 30, 40)을 포함하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광섬유 유닛의 배치는 서로 다르다.
도 9에 도시된 광섬유 리본(100)에서는, 2개의 광섬유 유닛(10, 20)은 도 6에 도시된 배치와 동일하고, 나머지 2개의 광섬유 유닛(30, 40)은 도 6에 도시된 배치의 좌우대칭이다. 광섬유 유닛들은 길이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서, 광섬유 유닛들을 길이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제2’ 간헐적 연결부(13)라고 칭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섬유 유닛(10, 20, 30, 40)의 제1 간헐적 연결부(12)는 같은 길이(a)를 갖고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광섬유 유닛들을 연결하는 제2 간헐적 연결부(13)는 서로 같은 길이(c)를 갖고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제1 간헐적 연결부(12)와 제2 간헐적 연결부(13) 사이의 간격은 참조부호 b로 표시한다. 도시된 실시에에서, 제2 간헐적 연결부(13)와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제1 간헐적 연결부(12)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길이 또는 간격을 나타내는 참조부호(a, b, c)를 이용하여 해당 구간을 표시한다.
도 10에는 도 9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도 11에는 도 9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 도 12에는 도 7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섬유 리본(100)은 구간 a에서, 각 광섬유 유닛(10, 20, 30, 40)에 포함된 광섬유들이 연속적 연결부(11) 및 제1 간헐적 연결부(12)에 의하여 연결된다. 각 광섬유 유닛 사이에는 연결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구간 b에서, 연속적 연결부(11)만 존재하며, 제1 간헐적 연결부(12) 및 제2 간헐적 연결부(13)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구간 c에서, 첫 번째 광섬유 유닛(10)의 광섬유 쌍에 속하지 않는 광섬유(1c)와 두 번째 광섬유 유닛(20)의 광섬유 쌍에 속하는 광섬유 중의 하나(2a)가 제2 간헐적 연결부(13)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두 번째 광섬유 유닛(20)의 광섬유 쌍에 속하지 않는 광섬유(2c)와 세 번째 광섬유 유닛(30)의 광섬유 쌍에 속하지 않는 광섬유(3c)가 제2 간헐적 연결부(13)에 의하여 연결된다. 끝으로, 세 번째 광섬유 유닛(30)의 광섬유 쌍에 속하는 광섬유 중의 하나(3a)가 제2 간헐적 연결부(13)에 의하여 네 번째 광섬유 유닛(40)의 광섬유 쌍에 속하지 않는 광섬유(4c)와 연결된다.
각 연결부(11, 12, 13)에 의하여 연결된 인접하는 광섬유끼리는 서로 접촉하거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광섬유 리본을 광케이블 내에 초고밀도로 내장시키기 위해서, 서로 인접하고 연결되는 광섬유끼리는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광섬유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간격은 약 15μm 이하인 것이 좋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부는 폭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부에만 존재한다. 연결부가 폭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부쪽과 하부쪽에 혼재하도록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모두 같은 쪽에 배치되는 것이 광섬유 리본이 말리거나 접히는 데에 유리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부의 표면은 거의 평편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연결부의 표면은 위로 볼록한 형태 또는 아래로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0-12에는, 연속적 연결부(11)와 간헐적 연결부(12, 13)의 단면이 동일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서로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 연결부(11)는 아래로 오목한 형태를 갖고, 간헐적 연결부(12)는 위쪽으로 볼록하거나 평편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11, 12, 13)의 단면 형태는 이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위 길이당 수지의 양이 적으면, 폭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 연결부의 표면이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위 길이당 수지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으면, 폭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 연결부의 표면이 평편하거나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속적 연결부(11)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존재하므로 단위 길이당 수지의 양이 적어도 양호한 연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간헐적 연결부(12, 13)는 길이가 유한하므로 양호한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지의 양이 연속적 연결부에 비하여 많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리본에서는 연속적 연결부와 간헐적 연결부가 인접하여 배치되는데, 한 쪽이 오목하고 다른 쪽이 편평하거나 볼록한 형태를 가지면 리본이 말리거나 접힌 상태일 때 연결부 사이의 간섭이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 높은 밀도로 광섬유 리본을 케이블 내에 실장할 수 있다.
도 14에는 12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섬유 리본의 본 발명에 따른 가능한 배치의 두 번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도 14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도 14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간 a의 단면도는 도 10에 도시된 단면도와 동일한 형태를 갖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 b에서는 제1 간헐적 연결부(12) 및 제2 간헐적 연결부(13)이 존재하지 않으며, 연속적 연결부(11)만 존재한다. 구간 c에서는, 첫 번째 광섬유 유닛(10)의 광섬유 쌍에 속하는 광섬유 중의 하나(1a)가 두 번째 광섬유 유닛(20)의 광섬유 쌍에 속하는 광섬유 중의 하나(2a)와 제2 간헐적 연결부(13)에 의하여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세 번째 광섬유 유닛(30)의 광섬유 쌍에 속하는 광섬유 중의 하나(3a)가 네 번째 광섬유 유닛(40)의 광섬유 쌍에 속하는 광섬유 중의 하나(4a)와 제2 간헐적 연결부(13)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두 번째 광섬유 유닛(20)의 광섬유 쌍에 속하지 않는 광섬유(2c)와 세 번째 광섬유 유닛(30)의 광섬유 쌍에 속하지 않는 광섬유(3c)가 제2 간헐적 연결부(13)에 의하여 연결된다.
도 14-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연결부의 단면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배치를 갖는 광섬유 리본의 샘플들은 각 구간의 길이를 다르게 조정하여 2개를 마련하고, 도 14에 도시된 배치를 갖는 광섬유 리본의 샘플들은 각 구간의 길이를 다르게 조정하여 3개를 마련하였다. 각 샘플 제품에서 사용된 광섬유는 250μm의 직경을 갖는다. 각 샘플 제품의 말리는 정도를 시험하기 위하여, 각 샘플을 내경이 1.5mm인 구멍과 내경이 1.3mm인 구멍을 통과시키면서 간섭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험에 따른 간섭의 강도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에서, 간섭 강도 1은 간섭이 전혀 없는 상태를 나타내며, 간섭 강도 2로부터 6으로 가면서 간섭 강도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샘플 구멍
직경
(mm)
구간 a 구간 b 구간 c 구간 d
실시예 샘플
번호
피치
(mm)
간섭강도 길이
(mm)
간섭강도 길이
(mm)
간섭 강도 길이
(mm)
간섭강도 길이
(mm)
도 9 001 180 1.5 1 60 1 30 1 60 1 30
1.3 2 4 2 4
005 120 1.5 1 40 1 20 1 40 1 20
1.3 2.5 4.5 2.5 4.5
도 14 002 180 1.5 1 60 1 30 1 60 1 30
1.3 1 3 1 3
003 90 1.5 1 30 1 15 1 30 1 15
1.3 3 6 1 6
004 120 1.5 1 40 1 20 1 40 1 20
1.3 1 4 1 4
표 2에서 간섭 강도가 4 이하인 경우에는 양호하다고 설정하고 각 구간의 최소값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1) 구간 a는 40mm 이상, 2) 구간 b는 20mm 이상, 3) 구간 c는 30mm 이상. 또한, 각 구간의 최소값을 더하면, 같은 형태의 연결부 패턴이 반복되는 최소 피치가 110mm이 됨을 알 수 있다.
광섬유 리본의 접속과 관련된 작업성을 평가한 결과, 구간 a가 길수록 작업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치를 늘리는 경우에는 구간 a의 길이를 우선적으로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케이블에는 다수의 광섬유 리본이 실장되기 때문에, 식별을 위하여 광섬유 리본마다 구별되는 마킹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광섬유 리본에서, 마킹은 구간 a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어떤 면에서도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1a, 1b, 1c, 2a, 2b, 2c, 3a, 3b, 3c, 4a, 4b, 4c: 광섬유
10, 20, 30, 40: 광섬유 유닛
11: 연속적 연결부
12: 제1 간헐적 연결부
13: 제2 간헐적 연결부
101, 102: 광케이블
111: 롤러블 광섬유 리본
112: 루즈 튜브
113: 중심 인장 부재
114: 방수 얀
115: 방수 테이프
116: 립코드
120: 재킷
1000, 2000: 롤러블 광섬유 리본

Claims (5)

  1.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로서,
    코어부 및 이 코어부를 둘러싸는 자켓을 구비하며,
    상기 코어부는,
    중심 인장 부재;
    상기 중심 인장 부재의 주변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루즈 튜브; 및
    상기 각 루즈 튜브 내부에 1개 이상이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의 광섬유가 길이 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광섬유를 갖는 롤러블 광섬유 리본
    을 포함하고,
    상기 루즈 튜브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각 롤러블 광섬유 리본의 길이는 해당 루즈 튜브의 길이에 비해 1% 이상 길며,
    상기 각 롤러블 광섬유 리본이 갖는 각 광섬유의 종단손실은, 1310 nm의 파장 및 1383 nm의 파장에서 0.4 dB/km 이하이고, 1550 nm의 파장 및 1625 nm의 파장에서 0.3 dB/km 이하인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루즈 튜브의 광섬유의 밀도는 해당 루즈 튜브의 내부 공간의 단면적 1 제곱밀리미터 당 6.7~7.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루즈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롤러블 광섬유 리본의 수는 6개 내지 12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수분을 흡수하는 방수 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루즈 튜브 사이의 빈 공간에 배치되어 루즈 튜브의 단면이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필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KR1020210182847A 2021-12-20 2021-12-20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KR20230093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56,867 US11747582B2 (en) 2021-12-20 2021-12-20 Optical cable including rollable optical fiber ribbon
KR1020210182847A KR20230093867A (ko) 2021-12-20 2021-12-20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PCT/KR2021/019471 WO2023120755A1 (ko) 2021-12-20 2021-12-21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847A KR20230093867A (ko) 2021-12-20 2021-12-20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867A true KR20230093867A (ko) 2023-06-27

Family

ID=8676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847A KR20230093867A (ko) 2021-12-20 2021-12-20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47582B2 (ko)
KR (1) KR20230093867A (ko)
WO (1) WO2023120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38192B (zh) * 2023-10-10 2023-12-12 江苏永鼎股份有限公司 一种可扩展的光电综合缆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687B1 (ko) * 2002-04-30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루즈튜브 리본 광케이블
KR20080060009A (ko) * 2006-12-26 2008-07-01 주식회사 케이티 다용도 광케이블
KR102063295B1 (ko) * 2013-01-08 2020-0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세경 광섬유를 구비한 광케이블
KR102440833B1 (ko) * 2015-01-28 2022-09-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리본 튜브형 광케이블
MX2018001285A (es) * 2015-07-31 2018-04-3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Cinta de fibra optica enrollable.
EP4279966A3 (en) * 2017-08-08 2024-03-06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Rollable optical fiber ribbon with low attenuation, large mode field diameter optical fiber and cable
EP3717948A1 (en) * 2017-11-30 2020-10-0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Flame retardant compound on cable central member
US10871621B2 (en) * 2018-03-27 2020-12-22 Ofs Fitel, Llc Rollable ribbon fibers with water-swellable coat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47582B2 (en) 2023-09-05
WO2023120755A1 (ko) 2023-06-29
US20230194814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0061B2 (en) Multifiber subunit cable
EP1319195B1 (en) Fiber optic cables with strength members
US7454107B2 (en) Fiber optic cables suitable for automated preconnectorization
US10261278B1 (en) Optical fiber cable with dual layer buffer tube for microduct application
US8290321B2 (en) Cable with features for distinguishing between fiber groups
US20060291787A1 (en) Fiber optic cable having strength component
US9188756B2 (en) Hybrid cable with fiber-optic and conductor elements
EP3470900A1 (en) Optical fiber cable
EP3404462B1 (en) Intermittently joined optical fiber ribbon and optical cable
US7035513B2 (en) Fiber optic drop cables suitable for outdoor fiber to the subscriber applications
US20020181906A1 (en) Fiber optic cables having ultra-low shrinking filam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160092667A (ko) 리본 튜브형 광케이블
CA2541953C (en) Fiber optic assemblies, cabl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KR20230093867A (ko) 롤러블 광섬유 리본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US9195018B2 (en) Cable with features for distinguishing between fiber groups
KR102553486B1 (ko) 롤러블 광섬유 리본 및 그 제조방법
US20230333340A1 (en) Optical cable
US20230251445A1 (en) Optical fiber cable and optical fiber unit
WO2023127421A1 (ja) 光ファイバ集合体、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集合体の製造方法
CN114280740A (zh) 一种柔性光纤线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