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452A - 제어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제어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452A
KR20230093452A KR1020237016497A KR20237016497A KR20230093452A KR 20230093452 A KR20230093452 A KR 20230093452A KR 1020237016497 A KR1020237016497 A KR 1020237016497A KR 20237016497 A KR20237016497 A KR 20237016497A KR 20230093452 A KR20230093452 A KR 2023009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trol box
case
fan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형
황상문
배준섭
권석우
김용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9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2Arrangements for de-icing; Arrangements for drying-out ; Arrangements for cool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rro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제어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제어박스는: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커버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판;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통신모듈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본 개시는 제어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어박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이격되고, 사용자에게 인접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어박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박스는 AV box일 수 있다. 제어박스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헤드와 유/무선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연결구조(connectivity)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어박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제어박스의 구성부품들의 적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제어박스의 안테나의 수신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제어박스를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제어박스는: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커버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판;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통신모듈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어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박스의 구성부품들의 적층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제어박스의 안테나의 수신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제어박스를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는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는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를 바라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를 바라볼 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 또는 수평방향(DR1)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 또는 수직방향(DR2)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후면에서 전면으로 향하는 방향은 전후방향(DR3) 또는 두께방향(FB)이라 할 수 있다. 전후방향(DR3)은 좌우방향(DR1) 및/또는 상하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메인 프레임(330) 그리고 이너 플레이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한번 이상 밴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은 바텀 프레임(331)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31)은 메인 프레임(33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31)은 메인 프레임(330)에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30)과 바텀 프레임(33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메인 프레임(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마주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의 후면은 메인 프레임(330)에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장착되는 지지 플레이트(170)와 마주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50)는 결합부재(351,353)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170)와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51)는 이너 플레이트(350)에 분포할 수 있다. 결합부(351)는 이너 플레이트(350) 전체 면적에 결처 고르게 분포할 수 있다. 결합부(351)는 이너 플레이트(350)와 메인 프레임(330)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접착부재(353)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전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353)는 결합부(351) 사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 부재(353)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복수개의 접착부재(353)는 이너 플레이트(350)의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접착부재(353)는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워서플라이유닛(332)은 프레임(330)의 후면의 우측에 장착될 수 있다. 메인보드(333)는 프레임(330)의 후면의 좌측에 장착될 수 있다. 스피커유닛(334)은 프레임(330)의 하측의 후면에 한쌍(334a,334b)이 나란하게 장착될 수 있다.
T-CON보드(335)는 프레임(330)의 후면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 T-CON보드(335)는 파워서플라이유닛(332)과 메인보드(3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쉴드플레이트(400)는 T-CON보드(335)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쉴드플레이트(400)는 T-CON보드(335)로부터 이격되고, T-CON보드(335) 상측을 덮으며 프레임(330)에 장착될 수 있다. 쉴드플레이트(400)는 메인보드(333), 파워서플라이유닛(332) 등에도 장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박스(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어박스(200)는 셋탑박스(set-top box, 200)라 칭할 수 있다. 제어박스(200)는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어박스(2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 간의 무선통신의 안정성은 제어박스(2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300)는 사용자와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위치되는 장소가 일정할 수 있다. 제어박스(200)는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위치되는 장소의 자유도가 높아질 필요성이 있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케이스(201)는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일 수 있다. 회전판(203)은 원판일 수 있고, 케이스(201)의 탑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판(203)은 외주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개구(203op)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203op)는 회전판(203)의 직경방향에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다이얼(205)은 케이스(20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얼(205)은 개구(203op)를 통해 케이스(20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이얼(205)은 개구(203op)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유입구(202)는 케이스(201)의 좌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입구(202)는 케이스(201)의 좌면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홀들은 좌면의 하변을 따라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입구(204)는 케이스(201)의 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구(204)는 케이스(201)의 우면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홀들은 우면의 하변을 따라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206)는 케이스(20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자 구들은 케이스(20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206)는 케이스(201)의 후면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복수개의 단자 구들(207)은 케이스(201)의 후면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210)는 케이스(201)의 바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211)은 제1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절연층(211)은 제1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접착되는 절연시트일 수 있고, 제1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도포되는 합성수지층일 수도 있다.
제3 유입구(208)는 케이스(201)의 바텀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입구(208)는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는 제3 유입구(208)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212)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212)는 제1 플레이트(210)가 펀칭(punching)되어 형성되거나, 제1 플레이트(210)가 컷아웃(cut-out)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20)는 제1 플레이트(210) 위(above)에 위치하고, 제1 플레이트(21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20)는 케이스(201)의 바텀면 상에 형성된 기둥들(201P)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30)는 제2 플레이트(220) 위(above)에 위치하고, 제2 플레이트(22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30)는 제2 플레이트(220) 상에 형성된 기둥들(220P)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30)는 프레스 되어 포밍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플레이트(230)는 비틀림 또는 휨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233)은 제3 플레이트(230) 상에 형성될 수 있고, 회전축(235)은 회전지지부(233)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들(237,239)은 회전축(235)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들(237,239)과 회전축(235)은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팬(240)은 제3 플레이트(230)에 결합될 수 있다. 완충부재(241)는 제3 플레이트(230)와 팬(2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완충부재(241)는 제3 플레이트(230)와 접착되거나 접촉하고, 팬(240)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재(241)는 러버 또는 스폰지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모듈(250)은 안테나 유닛(251,252), 히트싱크(253), 냉각팬(257), 다이얼(205), 그리고 브라켓들(254,255)을 포함할 수 있다. 히트싱크(253)는 길게 연장된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안테나 유닛(251)은 히트싱크(253)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유닛(252)은 히트싱크(253)의 일면에서 제1 안테나 유닛(251)과 나란히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 유닛(251,252)의 전면은 외부를 향할 수 있고, 후면의 적어도 일부는 히트싱크(253)과 접촉할 수 있다.
냉각팬(257)은 히트싱크(253)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냉각팬(257)은 외기를 유입하여 히트싱크(253)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유닛(251,252)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제1 브라켓(254)은 히트싱크(253)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255)은 제1 브라켓(254)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게 제1 브라켓(254)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축(A)은 제1 브라켓(254)과 제2 브라켓(255)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얼(205)은 연결축(A)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다이얼(205)은 제2 브라켓(255)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다이얼(205)이 회전하면 제1 브라켓(254)도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얼(205)은 반원 형태일 수 있다. 다이얼(205)의 원호면은 제2 브라켓(255)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다이얼(205)의 직경면은 제1 브라켓(25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얼(205)을 돌리면, 히트싱크(253)는 제2 브라켓(255)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파워서플라이유닛(PSU)은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파워서플라이유닛(PSU)은 제1 플레이트(210)에 고정되고, 제2 플레이트(2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파워서플라이유닛(PSU)은 제2 플레이트(220) 보다 제1 플레이트(210)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워서플라이유닛(PSU)에서 발생하는 열은 제1 플레이트(210)에 전달되어 방열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220)와 파워서플라이유닛(PSU) 사이로 유동하는 기류에 의해 공랭될 수 있다.
메인보드(MB)는 제2 플레이트(220)와 제3 플레이트(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보드(MB)는 제2 플레이트(220)에 고정되고, 제3 플레이트(23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메인보드(MB)는 제3 플레이트(230)보다 제2 플레이트(220)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메인보드(MB)는 파워서플라이유닛(PSU) 보다 많은 열이 발생할 수 있다.
회전판(203)은 제3 플레이트(2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통신모듈(250)은 회전판(203)과 제3 플레이트(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통신모듈(250)은 회전판(203)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 안테나 유닛(251,252)은 다이얼(205)과 함께 피봇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유닛(251,252)은 좌우로 회전 또는 피봇할 수 있고, 상하로 회전 또는 피봇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히트싱크(253)는 프런트 파트(2531), 리어 파트(2536), 탑 파트(2532), 바텀 파트(2535), 그리고 핀들(2533,2534)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유닛들(251,252)은 프런트 파트(2531)에 장착될 수 있고, 프런트 파트(2531)와 접촉할 수 있다. 리어 파트(2536)는 프런트 파트(2531)로부터 이격되어 프런트 파트(2531)와 마주할 수 있다. 탑 파트(2532)는 프런트 파트(2531)의 상단으로부터 리어 파트(2536)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바텀 파트(2535)는 프런트 파트(2531)의 하단으로부터 리어 파트(2536)의 하단을 연결할 수 있다. 바텀 파트(2535)는 탑 파트(2532)로부터 이격되어 탑 파트(2532)와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런트 파트(2531), 리어 파트(2536), 탑 파트(2532), 바텀 파트(2535)는 전체적으로 중공된 4각 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프런트 파트(2531), 리어 파트(2536), 탑 파트(2532), 그리고 바텀 파트(2535)를 포함하여 싱크박스(2531,2532,2535,2536)라 칭할 수 있다. 프런트 파트(2531), 리어 파트(2536), 탑 파트(2532), 그리고 바텀 파트(2535)의 두께들(T1,T2,T5,T6)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핀(2533)은 탑 파트(2532) 또는 바텀 파트(2535) 사이에서 이들과 나란하고, 프런트 파트(2531)와 리어 파트(2536)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핀(2534)은 제1 핀(2533)과 바텀 파트(2535) 사이에서 이들과 나란하고, 프런트 파트(2531)와 리어 파트(2536)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핀(2533)의 두께(T3)는 제2 핀(2534)의 두께(T4)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싱크박스(2531,2532,2535,2536)의 두께(T1,T2,T5,T6)는 제1 핀(2533) 및/또는 제2 핀(2534)의 두께(T3,T4)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트싱크(253)의 방열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핀들(2533,253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회전판(203)은 상판(2032), 그리고 회전기둥(20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2032)은 원판형상일 수 있고, 회전기둥(2031)은 상판(2032)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회전기둥(2031)은 회전지지부(233)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기둥(2031)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회전축(235)에 결합될 수 있다. 리브(2033)는 회전기둥(203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며 연장될 수 있다. 리브(2033)는 회전기둥(2031)으로부터 통신모듈(250)을 향해서 연장될 수 있다.
회전판(203)이 회전하면서 리브(2033)는 제1 스토퍼(237) 또는 제2 스토퍼(239)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각도는 180도일 수 있다. 제1 쿠션(237C)은 제1 스토퍼(237)에 고정될 수 있고, 리브(2033)는 제1 쿠션(237C)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쿠션(239C)은 제2 스토퍼(239)에 고정될 수 있고, 리브(2033)는 제2 쿠션(239C)과 접촉할 수 있다.
도 16 내지 18을 참조하면, 팬(240)은 하우징(242), 인렛(inlet, 243), 그리고 아웃렛(outlet, 24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팬(240)은 시로코 팬일 수 있다. 완충부재(241)는 제3 플레이트(23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팬(240)의 하우징(242)은 완충부재(24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완충부재(241)는 중공된 유로(241V)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30)는 완충부재(241)의 유로(241V)에 대응하는 개구(230V)를 구비할 수 있다. 팬(240)의 인렛(243)은 제3 플레이트(230)의 개구(230V) 및 완충부재(241)의 유로(241V)와 연통할 수 있다. 팬(240)의 아웃렛(244)은 하우징(240)의 일측이 개구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30)의 하방에서 발생한 열은 제3 플레이트(230)의 개구(230V), 완충부재(241)의 유로(241V), 하우징(242)의 인렛(243)을 통과하여 하우징(242)의 아웃렛(244)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하우징(242)의 상면은 회전판(203)의 상판(203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갭(G)은 하우징(242)의 상면과 회전판(203)의 상판(203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팬(240)의 아웃렛(244)을 통해 강하게 토출되는 기류에 의해 발생한 압력 차이에 의해 하우징(242)의 상면과 회전판(203)의 상판(2032) 사이에 기류의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토출가이드(260)는 팬(240)의 아웃렛(244)의 외곽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260)는 제1 파트(261), 제2 파트(262), 그리고 제3 파트(263)를 포함할 수 있다. 팬(240)의 아웃렛(244)은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일 수 있다. 제1 파트(241)는 팬(240)의 아웃렛(244)의 장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트(242)는 제1 파트(241)로부터 굽어지면서 팬(240)의 아웃렛(244)의 일 단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243)는 제1 파트(241)로부터 굽어지면서 팬(240)의 아웃렛(244)의 타 단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240)의 아웃렛(244)으로 배기되는 기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 및 20을 참조하면, 케이스(201)는 제3 유입구(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입구(208)는 케이스(20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입구(202), 제2 유입구(204), 및/또는 제3 유입구(208)를 통해 케이스(201)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기류는 파워서플라이유닛(PSU) 및/또는 메인보드(MB)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고, 팬(240)에 의해 토출구(206)로 강제 배기될 수 있다.
제1 유입구(202), 제2 유입구(204), 및/또는 제3 유입구(208)를 통해 케이스(201)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기류는 통신모듈(250)의 냉각팬(257)에 의해 히트싱크(253, 도 10 참조)를 통과할 수 있고, 팬(240)에 의해 토출구(206)로 강제 배기될 수 있다.
메인보드(MB) 또는 통신모듈(250)은 파워서플라이유닛(PSU)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열원일 수 있다. 따라서, 메인보드(MB)에서 발생하는 열은 팬(240)에 의해 강제 공랭시킬 수 있고, 통신모듈(250)에서 발생하는 열은 냉각팬(257)에 의해 강제 공랭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2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제어박스는: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커버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판;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회전판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듈은: 히트싱크;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유닛이 장착되는 프런트 파트; 상기 프런트 파트와 마주하고, 상기 프런트 파트로부터 이격되는 리어 파트; 상기 프런트 파트의 상측과 상기 리어 파트의 상측을 연결하는 탑 파트;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파트의 하측과 상기 리어 파트의 하측을 연결하는 바텀 파트를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탑 파트와 상기 바텀 파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런트 파트와 상기 리어 파트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의 두께는 상기 프런트 파트의 두께, 상기 리어 파트의 두께, 상기 탑 파트의 두께 및 상기 바텀 파트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히트싱크의 일측에 결합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는 팬; 그리고, 상기 팬과 상기 제3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팬은: 상기 완충부재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인렛(inlet); 상기 인렛으로부터 유입되는 기류의 유로를 제공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아웃렛(outle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팬의 인렛과 연통되는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완충부재의 유로와 연통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팬의 아웃렛의 외부 주위에 위치하는 토출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아웃렛의 상변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아웃렛의 상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서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아웃렛의 일 측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파트의 타단에서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아웃렛의 타 측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팬의 아웃렛과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팬의 아웃렛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타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보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가까울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는 파워서플라이유닛; 그리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는 메인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보드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파워서플라이에서 발생하는 열 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메인보드에서 발생하는 열 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을 덮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통신모듈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invention.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20)

  1.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제3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커버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판;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박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회전판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어박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히트싱크;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박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유닛이 장착되는 프런트 파트;
    상기 프런트 파트와 마주하고, 상기 프런트 파트로부터 이격되는 리어 파트;
    상기 프런트 파트의 상측과 상기 리어 파트의 상측을 연결하는 탑 파트;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파트의 하측과 상기 리어 파트의 하측을 연결하는 바텀 파트를 연결하는 제어박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탑 파트와 상기 바텀 파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런트 파트와 상기 리어 파트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는 제어박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의 두께는 상기 프런트 파트의 두께, 상기 리어 파트의 두께, 상기 탑 파트의 두께 및 상기 바텀 파트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 보다 작은 제어박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히트싱크의 일측에 결합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제어박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는 팬; 그리고,
    상기 팬과 상기 제3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어박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완충부재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인렛(inlet);
    상기 인렛으로부터 유입되는 기류의 유로를 제공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아웃렛(outlet)을 포함하는 제어박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팬의 인렛과 연통되는 유로를 구비하는 제어박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완충부재의 유로와 연통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제어박스.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아웃렛의 외부 주위에 위치하는 토출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아웃렛의 상변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아웃렛의 상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서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아웃렛의 일 측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파트의 타단에서 굽어지며 연장되고, 상기 아웃렛의 타 측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 파트를 포함하는 제어박스.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팬의 아웃렛과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팬의 아웃렛 사이에 위치하는 제어박스.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타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제어박스.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보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가까운 제어박스.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는 파워서플라이유닛; 그리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는 메인보드를 더 포함하는 제어박스.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파워서플라이에서 발생하는 열 보다 큰 제어박스.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메인보드에서 발생하는 열 보다 큰 제어박스.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을 덮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제어박스.
  20. 제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통신모듈과 정보를 교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7016497A 2021-01-05 2021-01-05 제어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934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0086 WO2022149624A1 (ko) 2021-01-05 2021-01-05 제어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452A true KR20230093452A (ko) 2023-06-27

Family

ID=7754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497A KR20230093452A (ko) 2021-01-05 2021-01-05 제어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864332B2 (ko)
EP (1) EP4024852A1 (ko)
KR (1) KR20230093452A (ko)
WO (1) WO2022149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867A1 (ko) * 2022-10-05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2407B2 (ja) * 1989-03-24 1999-06-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ES2019505A6 (es) * 1989-11-29 1991-06-16 Sel Electronica Soc Coop S R L Antena interior para la recepcion de senales televisivas
US6532152B1 (en) * 1998-11-16 2003-03-11 Intermec Ip Corp. Ruggedized hand held computer
ES1050058Y (es) * 2001-09-14 2002-06-16 Televes Sa Antena
US7055160B1 (en) * 2002-12-20 2006-05-30 Apple Computer, Inc. Bezel door for computer enclosure
US7795553B2 (en) * 2006-09-11 2010-09-14 Apple Inc. Hybrid button
US8023261B2 (en) * 2008-09-05 2011-09-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assembly
US9184546B2 (en) * 2009-09-25 2015-11-10 Pucline, Llc Electrical power supplying device having a central power-hub assembly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power plugs, adaptors and modules while concealed from view and managing excess power cord during power supplying operations
US8213164B2 (en) * 2010-03-04 2012-07-03 Jamal Benbrahim Quick mounting system and media for video recording
US8295040B2 (en) * 2010-06-15 2012-10-23 Apple Inc. Cooling arrangement for small form factor desktop computer
US9407130B2 (en) * 2010-11-10 2016-08-02 Orsi R. Garcia Wireless massage, heating and lift system
US8387763B2 (en) * 2010-11-22 2013-03-05 Telefonix, Inc. Retractable cord reel
JP6124438B2 (ja) * 2012-11-22 2017-05-10 古野電気株式会社 レーダアンテナ、及びこれを備えたレーダ装置
US9513682B2 (en) * 2013-07-03 2016-12-06 Pucline, Llc Transportable electrical power supplying device for storing and configuring excess power cord and sharing a multiplicity of AC and DC electrical power supplies in diverse user environments
JP2016540377A (ja) * 2013-11-13 2016-12-22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印刷回路基板へのヒートシンクの取り付け
US10718339B2 (en) * 2015-09-03 2020-07-21 Apple Inc. Peripheral drive centrifugal fan
US10749308B2 (en) * 2016-10-17 2020-08-18 Waymo Llc Thermal rotary link
KR102489874B1 (ko) * 2017-11-24 202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735629A4 (en) * 2018-01-03 2021-10-06 Grayhill, Inc. TOUCH ENCODER, TOUCH PANEL AND INPUT PROCEDURE EDITOR WITH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AND PROCEDURE FOR IT
KR102469449B1 (ko) * 2018-02-09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07183A (ko) * 2018-07-12 2020-01-22 (주)더비트 디지털 음원의 재생 장치
WO2021174319A1 (en) * 2020-03-06 2021-09-10 NetComm Wireless Pty Ltd Telecommunications housing with improved thermal load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17855A1 (en) 2022-07-07
US11864332B2 (en) 2024-01-02
EP4024852A1 (en) 2022-07-06
WO2022149624A1 (ko) 2022-07-14
US20240090144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0135B1 (en) Display device
US1049234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30286292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9232171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cooling unit
WO2010007821A1 (ja) 電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電子装置の冷却方法
US20240090144A1 (en) Control box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425477B1 (en) Display device
US898255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assive cooling
US20210195789A1 (en) Heat dissipation assembly, heat dissipation devic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40204289A1 (en) Electronic device
JP6907039B2 (ja) 表示装置
WO2016088748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ユニット
TWM562995U (zh) 可攜式電子裝置
KR102532474B1 (ko) 제어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149781A (zh) 散热装置及设有其的电器设备
KR102532473B1 (ko) 제어박스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915719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8022312A (ja) 固定用スタンドおよび固定方法
US20150111483A1 (en) Server cabinet
US10643923B2 (en) Cas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06491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397813A1 (en) Projection device
KR201200826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126505A1 (en) Electronic device
US20230413497A1 (en) Display cooled by internal and external airflows circ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