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949A -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949A
KR20230092949A KR1020237015911A KR20237015911A KR20230092949A KR 20230092949 A KR20230092949 A KR 20230092949A KR 1020237015911 A KR1020237015911 A KR 1020237015911A KR 20237015911 A KR20237015911 A KR 20237015911A KR 20230092949 A KR20230092949 A KR 20230092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time domain
secondary cell
domain position
acti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5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징 쉬
웬홍 첸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92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출원은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를 개시하며 이동 통신 영역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참조 신호-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됨-를 활성화하기 위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첫 번째 SSB의 수신을 기다려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으며, 첫 번째 SSB의 수신 대기 시간을 줄이고,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시간 지연을 줄이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이동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무선(NR, New Radio) 시스템에서는 캐리어 집합(carrier aggregation, CA) 방식을 사용하여 더 큰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캐리어 집합된 복수의 셀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 집합된 복수의 셀에는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과 복수의 세컨더리 셀이 포함되어 있고 세컨더리 셀의 초기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이기 때문에 단말기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현재 단말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송신된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기 위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수신하고 MAC CE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를 반환하고, 확인 메시지를 반환한 후 미리 설정된 기간을 거친 후 첫 번째 동기화 신호 블록(SSB)을 수신하여 SSB를 해석하고, 세컨더리 셀의 사용을 결정하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한다. 그러나 단말기가 SSB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세컨더리 셀의 활성화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첫 번째 SSB의 수신 대기 시간을 줄이고,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시간 지연을 줄이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출원의 한 가지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 적용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참조 신호-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됨-를 활성화하기 위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한 가지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참조 신호-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됨-를 활성화하기 위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한 가지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 적용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수신 모듈과 활성화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활성화 모듈은 상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한 가지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참조 신호-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됨-를 활성화하기 위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본 출원의 한 가지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송수신기, 및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가 상술한 측면에 기재된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실현하도록,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로드하고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한 가지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송수신기, 및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술한 측면에 기재된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실현하도록,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로드하고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한 가지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로드되고 실행되어 상술한 측면에 기재된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실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에 따르면, 단말기는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할 수 있고, 첫 번째 SSB의 수신을 기다려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으며, 첫 번째 SSB의 수신 대기 시간을 줄이고,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시간 지연을 줄이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분명히 하기 설명의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는 창조적인 노력 없이 이런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하는 캐리어 집합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나타낸다.
본 출원의 목적과 기술방안,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현 방식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할 것이다.
본 출원에 사용된 용어인 '제1', '제2'등은 다양한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이러한 개념은 이러한 용어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용어는 한 개념과 다른 개념을 구분하는 데만 사용된다.
먼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용어를 간략하게 소개한다.
1. 캐리어 집합
연합 스케줄링 및 여러 컴포넌트 캐리어의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NR 시스템이 더 큰 대역폭을 지원하도록 한다. 집합된 캐리어가 스펙트럼에서 연속적인지 여부에 따라 캐리어 집합은 연속 캐리어 집합과 비연속 캐리어 집합으로 나눌 수 있다. 집합된 캐리어가 있는 주파수 대역이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캐리어 집합을 대역 내 캐리어 집합과 대역 간 캐리어 집합으로 나눌 수 있다.
캐리어 집합의 캐리어에는 PCC(Primary Cell Component, 프라이머리 캐리어)와 SCC(Secondary Cell Component, 세컨더리 캐리어)가 포함되어 있다. PCC는 하나뿐이며 PPC는 프라이머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이다. PCC는 RRC 시그널링 연결, NAS(Non-Access Stratrum, 비접속 계층) 기능 또는 보안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SCC는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한다. PCC와 SCC는 모두 서비스 셀이다. NR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합을 통해 집합되는 최대 캐리어 수는 5이고, 집합 후 최대 대역폭은 100MHz(메가헤르츠)이며, 집합되는 캐리어는 모두 같은 기지국에 속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캐리어 집합은 5개의 캐리어를 포함하며, 각 캐리어의 대역폭은 20MHz이고, 집합 후의 최대 대역폭은 100MHz이다.
특정 예에서, 캐리어 집합을 통해 집합된 캐리어는 동일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를 사용하며, 기지국은 각 캐리어가 있는 셀에서 C-RNTI가 충돌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캐리어 집합은 비대칭 캐리어 집합과 대칭 캐리어 집합을 포함하기 때문에 집합된 캐리어는 하행 링크를 포함해야 하지만 상행 링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2. 세컨더리 셀의 활성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세컨더리 셀을 구성하며, 세컨더리 셀의 초기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이며, 세컨더리 셀은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기에, 세컨더리 셀은 활성화되어야 하며, 활성화된 세컨더리 셀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3. 참조 신호: 참조 신호는 TRS 또는 CSI RS이다. 아래에서는 TRS를 예로 들어 참조 신호를 설명한다.
TRS는 각 슬롯에서 사전 설정된 위치의 심볼을 점유한다. 예를 들어 TRS는 한 슬롯에서 다섯 번째 심볼과 아홉 번째 심볼을 점유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네트워크(12)와 단말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12)에는 여러 네트워크 디바이스(120)가 포함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단말기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다양한 형태의 기지국(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중계 스테이션)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이 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기지국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의 이름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는 eNodeB 또는 eNB라고 한다. 5G NR-U 시스템에서는 gNodeB 또는 gNB라고 한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지국'이라는 단어가 바뀔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편의를 위하여 상술한 단말기(13)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통칭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라고 한다.
단말기(13)에는 무선통신 기능을 갖춘 각종 핸드헬드 디바이스, 차량용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디바이스,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디바이스, 모바일 스테이션(MS), 단말기(터미널 디바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상술한 디바이스를 통칭하여 단말기라고 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와 단말기(13)은 Uu 인터페이스와 같은 특정 공중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고급 롱텀 에볼루션(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NR 시스템의 진화 시스템, 비라이센스 스펙트럼 상의 LTE(LTE-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LTE-U) 시스템, NR-U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마이크로웨이브 접속 글로벌 상호 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WiFi(Wireless Fidelity), 차세대 통신 시스템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통신 시스템은 제한된 수의 연결을 지원하고 실현하기도 쉽지만,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은 종래의 통신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디바이스 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 기계 간(Machine to Machine, M2M) 통신,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및 차량 간(Vehicle to Vehicle, V2V) 통신 또는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등도 지원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 방법은 도2에 도시된 단말기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데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내용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3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320에서, 단말기는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다른 유형의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이런 시그널링도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을 받지 않는다. 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캐리어 집합 시나리오에 적용되며, 캐리어 집합 기술을 통해 여러 캐리어를 집합하는 경우, 프라이머리 셀은 집합된 여러 캐리어 중 하나에 대응하고 세컨더리 셀은 집합된 여러 캐리어 중 다는 하나에 대응한다.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에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통해 참조 신호를 활성화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참조 신호를 송신한 다음, 단말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참조 신호를 기반으로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고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중 하나이다.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이 MAC CE인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MAC CE를 송신하고 단말기는 상기 MAC CE를 수신하여 활성화할 세컨더리 셀을 확정한 후 수신된 참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한다.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이 DCI인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DCI를 송신하고 단말기는 상기 DCI를 수신하여 활성화할 세컨더리 셀을 결정한 다음 수신된 참조 신호를 기반으로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는 트래킹 참조 신호(Tracking Reference Signal, TRS)이다.
33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340에서, 단말기는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를 확정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를 기반으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한다.
우선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를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시간 영역 위치를 기반으로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에서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에 MAC CE 또는 DCI 두 가지 경우가 포함된다면,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도 다음 두 가지 상황이 포함된다.
(1)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이 MAC CE인 경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MAC CE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1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MAC CE를 단말기로 송신한 후, 단말기가 상기 MAC CE를 수신하여 상기 MAC CE가 송신된 시간 영역 위치를 파악한 다음 상기 MAC CE의 시간 영역 위치를 기반으로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에서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기는 상기 시작 시간 영역 위치에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단말기는 MAC CE를 수신한 후 상기 MAC CE에 포함된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MAC CE를 처리해야 하며, 상기 MAC CE에 대한 단말기의 처리에는 제1 사전 설정 기간이 필요한다. 따라서 상기 MAC CE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1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에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1 사전 설정 기간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되거나 작업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전 설정 기간은 40ms, 50ms 또는 기타 값이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전 설정 기간은 시간 유닛으로 표시되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전 설정 기간은 T 시간 유닛이다. T는 정수이다. 상기 시간 유닛은 심볼 또는 슬롯이다.
또는,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MAC CE의 확인 메시지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2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이다.
상기 확인 메시지는 HARQ-ACK 메시지이다. 단말기는 MAC CE를 수신하고 상기 MAC CE를 해석하며, 또한 단말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MAC CE의 확인 메시지를 반환해야 한다. 따라서 단말기에서 상기 MAC CE의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 후의 제2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를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로 결정한다.
상기 제2 사전 설정 기간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되거나 작업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사전 설정 기간은 20ms, 30ms 또는 기타 값이다.
(2)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이 DCI인 경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DCI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3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단말기로 DCI를 송신한 후, 단말기가 상기 DCI의 시간 영역 위치에 따라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시작 시간 영역 위치에서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고 단말기는 상기 시작 시간 영역 위치에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단말기는 상기 DCI를 수신한 후 상기 DCI에 포함된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DCI를 처리해야 하며, 상기 DCI에 대한 단말기의 처리에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DCI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3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에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3 사전 설정 기간은 다음 공식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Figure pct00002
는 제3 사전 설정 기간이고, k와
Figure pct00003
는 상수이며, μ = 0, 1, 2, 3,
Figure pct00004
은 PDSCH의 처리 시간이다. 상기
Figure pct00005
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되거나 작업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k는 64이고,
Figure pct00006
는 1/196608000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이면 μ는 0이고,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이면 μ는 1이며, 서브 캐리어 간격이 60KHz이면 μ는 2이고, 서브 캐리어 간격이 120KHz이면 μ는 3이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3 사전 설정 기간은 시간 유닛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사전 설정 기간은 N 개의 시간 유닛이다. N은 정수이다.
또한, 세컨더리 셀이 속한 주파수 범위가 FR2(일종 주파수 범위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24250MHz-52600MHz)인 경우, DCI의 시간 영역 위치와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 사이의 간격은 제3 사전 설정 기간보다 작지 않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DCI를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으로 사용하며, 상기 DCI가 송신된 시간 영역 위치를 기반으로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가 상기 DCI에 대한 처리를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의 처리 속도를 높일 필요가 없으며, 단말기의 복잡도를 낮추고 참조 신호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에 따라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기초상에서,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가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도록 보장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캐리어 집합 기술을 통해 여러 캐리어를 집합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캐리어를 활성화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캐리어에서 서로 다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참조 신호의 시작 주파수 영역 위치가 활성화 캐리어의 동기화 신호 블록(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는 경우, 단말기는 중첩된 시간 영역 위치에서 참조 신호와 SSB를 검출할 수 있고, 여러 캐리어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으며, 단말기에서 정보를 수신하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SSB와 동일한 슬롯 내에 있으며, 상기 참조 신호가 있는 심볼은 SSB가 있는 심볼의 서브 세트 또는 전부 세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가 여러 상태를 포함하기 때문에,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이 상태별로 다르다.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는 세컨더리 셀의 측정 주기, 세컨더리 셀이 속한 주파수 범위 또는 세컨더리 셀이 알려진 것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다.
단말기는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세컨더리 셀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는 상태 1로 결정되고, 세컨더리 셀이 속한 주파수 범위가 FR1(일종 주파수 범위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450MHz-6000MHz)인 경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는 상태 2로 결정되며, 또는 다른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9가지 유형의 캐리어 상태를 포함한다. 캐리어의 9가지 유형의 상태는 표 1과 같다.
상태 번호 캐리어 상태
1 세컨더리 셀이 알려지고 FR1에 속하며, 또한 세컨더리 셀의 측정 주기는 160ms와 같거나 작다
2 세컨더리 셀이 알려지고 FR1에 속하며, 또한 세컨더리 셀의 측정 주기는 160ms보다 크다
3 세컨더리 셀이 알려지지 않고 FR1에 속하며, 부조건인 conditions/Iot≥-2 dB(비율)의 만족을 전제로 한다
4 활성화된 세컨더리 셀이 FR2에 속하고 상기 FR2 대역에 활성화된 서비스 셀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그리고
-단말기에 타겟 SCell용 SMTC를 제공하고, 및
-서비스 셀의 SSB 및 SCell의 SSB는 섹션 3.6.3에 정의된 조건을 충족하며,
-서비스 셀과 SCell의 매개 변수 ssb-PositionsInBurst는 동일하다
5 활성화된 세컨더리 셀이 FR2에 속하고 상기 FR2 대역에 활성화된 서비스 셀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가 타겟 SCell에 대한 SMTC를 전혀 제공하지 않는 경우,
-활성화된 SCell의 참조 신호(RS)는 QCL(Quasi Co-Location, 준 공동 위치)-TypeD이고, 상기 FR2 대역에 하나의 활성화 서비스 셀의 RS이 존재한다
6 활성화된 세컨더리 셀이 FR2에 속하고, PCell(프라이머리 셀) 또는 PSCell(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이FR1 또는 FR2에 있는 경우, 상기 FR2 대역에 활성화된 서비스 셀이 없으며,
타겟 SCell(세컨더리 셀)이 단말기에 알려져 있고, 반영구 CSI(채널 상태 정보)-RS가 CSI 보고에 사용되는 경우
7 활성화된 세컨더리 셀이 FR2에 속하고, PCell 또는 PSCell이FR1 또는 FR2에 있는 경우, 상기 FR2 대역에 활성화된 서비스 셀이 없으며,
타겟 SCell이 단말기에 알려져 있고, 반영구 CSI-RS가 CSI 보고에 사용되는 경우, 타겟 SCell이 단말기에 알려져 있고, 주기적 CSI-RS가 CSI 보고에 사용되는 경우
8 PCell/PSCell 및 타겟 SCell이 독립형 빔 관리를 갖춘 주파수 대역 페어에 있고, 타겟 SCell이 단말기에 알려져있지 않으며, 반영구 CSI-RS가 CSI 보고에 사용되는 경우, 부조건인
Figure pct00007
충족을 전제로 한다
9 PCell/PSCell 및 타겟 SCell이 독립형 빔 관리를 갖춘 주파수 대역 페어에 있고, 타겟 SCell이 단말기에 알려져있지 않으며, 주기적 CSI-RS가 CSI 보고에 사용되는 경우, 부조건인
Figure pct00008
충족을 전제로 한다
표 1에 기반한 9가지 유형의 상태를 기반으로 세컨더리 셀의 상태가 상태 2, 상태 3, 상태 6, 상태 7, 상태 8 또는 상태 9 중 어느 것으로 결정되면, 결정된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의 시간 영역 위치와 관련될 뿐만 아니라 또한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겹치도록 보장해야 한다.
세컨더리 셀의 상태가 상태 1 또는 상태 4로 결정되면, 결정된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의 시간 영역 위치와 관련된다.
세컨더리 셀의 상태가 상태 5로 결정되면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없다.
설명해야 할 첫 번째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모두 상술한 방식으로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설명해야 할 두 번째는,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기가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의 시간 영역 위치에 따라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할 뿐이라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시될 수도 있으며 단말기에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없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다음은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다음과 같은 세가지 방식으로 결정할수 있다.
(1)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2)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송신된 참조 신호 구성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된다.
(3)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사전 설정된 길이이다.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의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참조 신호가 4개의 시간 영역 위치를 차지하거나, 참조 신호가 6개의 시간 영역 위치를 차지하거나, 참조 신호가 다른 수의 시간 영역 위치를 차지한다.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시간 영역 유닛의 수량으로 표시되거나,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참조 신호의 반복 전송 횟수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가 심볼로 표시되는 경우, 참조 신호가 차지하는 시간 영역 위치의 수는 심볼의 수와 같다.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가 슬롯으로 표시되는 겨우, 참조 신호가 차지하는 시간 영역 위치의 수는 슬롯의 수의 두 배이다.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가 참조 신호의 반복 전송 횟수로 표시되는 경우, 참조 신호가 차지하는 시간 영역 위치의 수는 반복 전송 횟수의 4배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반복 전송 횟수 또는 시간 영역 유닛의 수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표시하는 것을 예로 설명할 뿐이며, 본 출원은 상기 방법에 국한되지 않고 또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방법 (1)을 통해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결정할 때, 시간 주파수 동기화 기능의 경우, 참조 신호는 여러 시간 영역 위치를 필요로 하고, 여러 시간 영역 위치 간의 차이에 따라 시간 주파수 동기화를 실현한다. 또는 주파수 이득 제어 기능의 경우, 참조 신호가 하나의 심볼로 주파수 이득 제어를 완료할 수 있으며 참조 신호가 여러 심볼일 경우에도 주파수 이득 제어를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서로 다른 세컨더리 셀의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표 1에 표시된 9가지 유형의 상태를 기반으로 표 2와 같은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상태
번호
캐리어의 상태 참조 신호가 차지하는 심볼 수 참조 신호를 구성하는 슬롯 수 용도
1 세컨더리 셀이 알려지고 FR1에 속하며, 또한 세컨더리 셀의 측정 주기는 160ms와 같거나 작다 4 2 시간 주파수 동기화
2 세컨더리 셀이 알려지고 FR1에 속하며, 또한 세컨더리 셀의 측정 주기는 160ms보다 크다 6 3 AGC 설정과 시간 주파수 동기화
3 세컨더리 셀이 알려지지 않고 FR1에 속하며, 부조건인 conditions/Iot≥-2 dB(비율)의 만족을 전제로 한다 8 4 AGC 설정과 시간 주파수 동기화
4 활성화된 세컨더리 셀이 FR2에 속하고 상기 FR2 대역에 활성화된 서비스 셀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그리고
-단말기에 타겟 SCell용 SMTC를 제공하고, 및
-서비스 셀의 SSB 및 SCell의 SSB는 섹션 3.6.3에 정의된 조건을 충족하며,
-서비스 셀과 SCell의 매개 변수 ssb-PositionsInBurst는 동일하다
4 2 시간 주파수 동기화
5 활성화된 세컨더리 셀이 FR2에 속하고 상기 FR2 대역에 활성화된 서비스 셀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가 타겟 SCell에 대한 SMTC를 전혀 제공하지 않는 경우,
-활성화된 SCell의 RS는 QCL-TypeD이고, 상기 FR2 대역에 하나의 활성화 서비스 셀의 RS가 존재한다
0 0 없음
6 활성화된 세컨더리 셀이 FR2에 속하고, PCell 또는 PSCell이 FR1 또는 FR2에 있는 경우, 상기 FR2 대역에 활성화된 서비스 셀이 없으며,
타겟 SCell이 단말기에 알려져 있고, 반영구 CSI-RS가 CSI 보고에 사용되는 경우
6 3 AGC 설정과 시간 주파수 동기화
7 활성화된 세컨더리 셀이 FR2에 속하고, PCell 또는 PSCell이 FR1 또는 FR2에 있는 경우, 상기 FR2 대역에 활성화된 서비스 셀이 없으며,
타겟 SCell이 단말기에 알려져 있고, 반영구 CSI-RS가 CSI 보고에 사용되는 경우, 타겟 SCell이 단말기에 알려져 있고, 주기적 CSI-RS가 CSI 보고에 사용되는 경우
6 3 AGC 설정과 시간 주파수 동기화
8 PCell/PSCell 및 타겟 SCell이 독립형 빔 관리를 갖춘 주파수 대역 페어에 있고, 타겟 SCell이 단말기에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반영구 CSI-RS가 CSI 보고에 사용되는 경우, 부조건인
Figure pct00009
충족을 전제로 한다
48 24 여러 빔의 AGC 설정과 시간 주파수 동기화
9 PCell/PSCell 및 타겟 SCell이 독립형 빔 관리를 갖춘 주파수 대역 페어에 있고, 타겟 SCell이 단말기에 알려져 있지 않으며, 주기적 CSI-RS가 CSI 보고에 사용되는 경우, 부조건인
Figure pct00010
충족을 전제로 한다
48 24 여러 빔의 AGC 설정과 시간 주파수 동기화
방법 (2)를 통해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결정할 때, 단말기는 세컨더리 셀의 캐리어 상태에 따라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결정할 필요가 없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에 참조 신호 구성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상기 참조 신호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참조 신호 구성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결정한다.
방법 (3)을 통해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결정할 때, 단말기에서 결정되는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사전 설정된 길이이다.
상기 사전 설정된 길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되거나 작업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설정된다. 상기 사전 설정된 길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실제 적용에서는 다른 값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세컨더리 셀의 캐리어 상태와 관계없이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사전 설정된 길이로 결정함으로써, 단말기가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결정하는 조작을 줄이고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결정하는 효율을 상승시킨다.
다음으로는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는 세컨더리 셀의 측정 주기, 세컨더리 셀이 속하는 주파수 범위 또는 세컨더리 셀이 이미 알려져 있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가 참조 신호에 따라 시간 영역 동기화를 완료하는 경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거나, 상기 참조 신호는 주파수 이득 제어 설정을 위한 참조 신호와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참조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의 상태가 참조 신호에 따라 시간 영역 동기화 및 주파수 이득 제어 설정을 완료하는 경우, 주파수 이득 제어 설정을 위한 참조 신호는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참조 신호와 인접한다.
캐리어의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참조 신호에 대한 단말기의 의존성도 다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캐리어 상태의 경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의 수와 시간 영역 위치의 간격도 다르다.
예를 들어, 상태 1의 경우, 단말기는 참조 신호에 따라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완료하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 사이에 간격이 있다.
상태 2의 경우, 단말기는 참조 신호에 따라 시간 영역 동기화 및 주파수 이득 제어를 완료한다. 지연 시간을 줄이고 반복되는 주파수 이득 제어 설정을 방지하기 위해, 주파수 이득 제어를 위한 참조 신호는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참조 신호와 인접하며,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 사이에 간격이 있다.
상태 3의 경우, 단말기는 참조 신호에 따라 시간 영역 동기화와 주파수 이득 제어를 완료하고 주파수 이득 제어는 여러 번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참조 신호가 필요하다. 주파수 이득 제어를 위한 여러 참조 신호는 인접하며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여러 참조 신호 사이에 간격이 있다.
상태 4의 경우, 단말기는 참조 신호에 따라 시간 주파수를 동기화를 완료하고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 사이에 간격이 있다.
상태 5의 경우, 단말기에서 참조 신호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상태 6의 경우, 단말기는 참조 신호에 따라 시간 영역 동기화와 주파수 이득 제어를 완료한다. 지연 시간을 줄이고 반복되는 주파수 이득 제어 설정을 방지하기 위해, 주파수 이득 제어를 위한 참조 신호는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참조 신호와 인접하며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 사이에 간격이 있다.
상태 7의 경우, 단말기는 참조 신호에 따라 시간 영역 동기화와 주파수 이득 제어를 완료한다. 지연 시간을 줄이고 반복되는 주파수 이득 제어 설정을 방지하기 위해, 주파수 이득 제어를 위한 참조 신호는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참조 신호와 인접하며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 사이에 간격이 있다.
상태 8의 경우, 동일한 빔(신호 간에 QCL Type D의 관계가 있음)의 경우 상태 3과 동일하다. 여러 빔이 다른 심볼에 반복적으로 매핑된다. 서로 다른 빔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있으며 빔 전환의 시간을 만족시킨다.
상태 9의 경우, 동일한 빔(신호 간에 QCL Type D의 관계가 있음)의 경우 상태 3과 동일하다. 여러 빔이 다른 심볼에 반복적으로 매핑된다. 서로 다른 빔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있으며 빔 전환의 시간을 만족시킨다.
예를 들어, 표 1의 상태와 참조 신호 TRS를 예로 설명하며, 표 3은 각 상태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를 표시하고, x의 값은 5이다.
상태 번호 제1 열 TRS 제2 열 TRS 제3 열 TRS 제4 열 TRS
1 X X+5 0 0
2 X X+1 X+5 0
3 X X+1 X+2 X+6
4 X X+5 0 0
5 0 0 0 0
6 X X+1 X+5 0
7 X X+1 X+5 0
8 X X+1 X+2 X+6
9 X X+1 X+2 X+6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참조 신호가 차지하는 슬롯 및/또는 슬롯 내의 사전 설정된 위치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가 모두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의 기존 형식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의 각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슬롯의 다섯 번째 심볼과 아홉 번째 심볼을 차지하고, x의 값은 5이다.
상태 번호 제1열 TRS 제2열 TRS 제3열 TRS 제4열 TRS 제5열 TRS 제6열 TRS 제7열 TRS 제8열 TRS
1 X X+4 X+14 X+18 0 0 0 0
2 X X+4 X+14 X+18 X+28 X+32 0 0
3 X X+4 X+14 X+18 X+28 X+32 X+42 X+46
4 X X+4 X+14 X+18 0 0 0 0
5 0 0 0 0 0 0 0 0
6 X X+4 X+14 X+18 X+28 X+32 0 0
7 X X+4 X+14 X+18 X+28 X+32 0 0
8 X X+4 X+14 X+18 X+28 X+32 8 개의 순환 진행
9 X X+4 X+14 X+18 X+28 X+32 8 개의 순환 진행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가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겹치지 않으면,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를 오프셋하고 오프셋 후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가 SSB 또는 CSI RS와 준 공동 위치 관계가 있는 경우, 참조 신호에 따라 SSB 또는 CSI와 관련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준 공동 위치 관계는 유형 A의 준 공동 위치 관계, 유형 B의 준 공동 위치 관계, 유형 C의 준 공동 위치 관계 및 유형 D의 준 공동 위치 관계의 네 가지 유형을 포함한다.
유형 A의 준 공동 위치 관계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 도플러 확장, 평균 지연 및 지연 확장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유형 B의 준 공동 위치 관계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과 도플러 확장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유형 C의 준 공동 위치 관계는 도플러 주파수 오프셋과 평균 지연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유형 D의 준 공동 위치 관계는 공간 수신 매개 변수의 특성이 있다.
(1) 참조 신호와 SSB가 준 공동 위치 관계를 구비하면 참조 신호에 따라 SSB를 검출한다.
참조 신호와 SSB는 유형 C의 준 공동 위치 관계를 구비하거나, 또는 유형 C와 유형 D의 준 공동 위치 관계를 구비한다.
(2) 참조 신호와 채널 상태 지시(CSI) 측정에 사용되는 채널 상태 지시 참조 신호(CSI RS)가 준 공동 위치 관계를 구비하는 경우, 참조 신호에 따라 CSI 측정을 수행한다.
참조 신호와 CSI RS는 유형 A의 준 공동 위치 관계를 구비하거나, 또는 유형 B의 준 공동 위치 관계를 구비하거나, 또는 유형 A과 유형 D의 준 공동 위치 관계를 구비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참조 신호와 SSB 또는 CSI 측정이 준 공동 위치 관계를 구비하는 경우만을 예로 기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는 SSB 또는 CSI와 준 공동 위치 관계가 없으며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참조 신호는 주파수 이득 제어 또는 시간-주파수 동기화에만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는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첫 번째 SSB의 수신을 기다려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으며, 첫 번째 SSB의 수신 대기 시간을 줄이고,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시간 지연을 줄이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단말기는 SSB를 분석할 필요 없이 수신된 참조 신호에 따라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함으로써, 분석 과정에서 소모되는 처리 자원을 줄여 단말기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참조 신호의 시작 자원 위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를 각각 정의하여, 참조 신호가 어떤 상황에서도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를 결정할 수 있어 참조 신호를 결정할 때의 유연성을 높이고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도 4는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며, 상기 장치는 단말기에 적용된다. 상기 장치는 수신 모듈(401)과 활성화 모듈(402)를 포함한다.
수신 모듈(401)은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된다.
수신 모듈(401)은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활성화 모듈(402)은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통해 제공되는 장치에 따르면, 단말기는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첫 번째 SSB의 수신을 기다려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으며, 첫 번째 SSB의 수신 대기 시간을 줄이고,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시간 지연을 줄이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 CE 또는 DCI 중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 CE이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MAC CE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1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이거나, 또는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MAC CE의 확인 메시지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2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DCI이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DCI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3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사전 설정 기간은 다음 공식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는 제3 사전 설정 기간이고, k와 Tc는 상수이며, μ=0, 1, 2, 3, N1은 PDSCH의 처리 시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거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송신된 참조 신호 구성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거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사전 설정된 길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시간 영역 유닛의 수량으로 표시되거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참조 신호의 반복 전송 횟수로 표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 영역 유닛은 심볼이거나, 시간 영역 유닛은 슬롯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참조 신호가 차지하는 슬롯 및/또는 슬롯 내의 사전 설정된 위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면, 장치는 오프셋 모듈(403)을 더 포함한다.
오프셋 모듈(403)은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가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를 오프셋하도록 구성되며, 오프셋 후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는 세컨더리 셀의 측정 주기, 세컨더리 셀이 속한 주파수 범위 또는 세컨더리 셀이 알려진 것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는 추적 참조 신호(TRS)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장치와 관련하여 각 모듈이 작업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이미 해당 방법의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되었기에 더 이상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활성화 모듈(402) 또는 오프셋 모듈(403)은 처리 모듈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에서는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상술한 수신 모듈(401)은 구체적인 구현에서 수신기 또는 송수신기일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며,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상기 장치는 송신 모듈(601)을 포함한다.
송신 모듈(601)은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된다.
송신 모듈(601)은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에 따르면, 단말기는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첫 번째 SSB의 수신을 기다려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으며, 첫 번째 SSB의 수신 대기 시간을 줄이고,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시간 지연을 줄이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 CE 또는 DCI 중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 CE이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MAC CE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1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이거나, 또는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MAC CE의 확인 메시지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2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DCI이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DCI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3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사전 설정 기간은 다음 공식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는 제3 사전 설정 기간이고, k와 Tc는 상수이며, μ=0, 1, 2, 3, N1은 PDSCH의 처리 시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거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송신된 참조 신호 구성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거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사전 설정된 길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시간 영역 유닛의 수량으로 표시되거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참조 신호의 반복 전송 횟수로 표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 영역 유닛은 심볼이거나, 시간 영역 유닛은 슬롯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참조 신호가 차지하는 슬롯 및/또는 슬롯 내의 사전 설정된 위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7을 참조하면, 장치는 오프셋 모듈(602)을 더 포함한다.
오프셋 모듈(602)은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가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를 오프셋하도록 구성되며, 오프셋 후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는 세컨더리 셀의 측정 주기, 세컨더리 셀이 속한 주파수 범위 또는 세컨더리 셀이 알려진 것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는 추적 참조 신호(TRS)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장치와 관련하여 각 모듈이 작업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이미 해당 방법의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되었기에 더 이상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오프셋 모듈(602)은 처리 모듈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에서는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상기 송신 모듈(601)은 구체적인 구현에서 송신기 또는 송수신기일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나타낸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는 프로세서(801), 수신기(802), 송신기(803), 메모리(804) 및 버스(805)가 포함된다.
프로세서(8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하며, 프로세서(80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모듈을 실행하여 다양한 기능 어플리케이션과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수신기(802)와 송신기(803)는 하나의 통신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804)는 버스(805)를 통해 프로세서(801)에 연결된다.
메모리(804)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8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단말기나 기지국이 될 수 있다. 메모리(804)는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디바이스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디바이스는 디스크 또는 광 미디어, 전기 삭제 가능하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삭제 가능하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PROM)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였으며,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드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각 방법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디바이스가 실행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실현한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들은 상술한 실시예를 실현하는 전체 또는 일부 절차는 하드웨어에 의해 완성할 수 있고,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를 지시하여 완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 디스크 또는 광 미디어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출원의 선택적 실시예일 뿐, 본 출원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의 정신과 원칙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균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63)

  1. 단말기에 적용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참조 신호-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됨-를 활성화하기 위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 CE 또는 DCI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 CE이며,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MAC CE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1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MAC CE의 확인 메시지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2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DCI이며,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DCI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3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전 설정 기간은 다음 공식에 의해 결정되며,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는 제3 사전 설정 기간이고, k와 Tc는 상수이며, μ=0, 1, 2, 3,
    Figure pct00017
    은 PDSCH의 처리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송신된 참조 신호 구성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사전 설정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시간 영역 유닛의 수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참조 신호의 반복 전송 횟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영역 유닛은 심볼 또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참조 신호가 차지하는 슬롯 및/또는 슬롯 내의 사전 설정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가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를 오프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오프셋 후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는 세컨더리 셀의 측정 주기, 세컨더리 셀이 속한 주파수 범위 또는 세컨더리 셀이 알려진 것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추적 참조 신호(T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참조 신호-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됨-를 활성화하기 위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 CE 또는 DCI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 CE이며,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MAC CE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1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MAC CE의 확인 메시지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2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DCI이며, 상기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DCI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3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전 설정 기간은 다음 공식에 의해 결정되며,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는 제3 사전 설정 기간이고, k와 Tc는 상수이며, μ=0, 1, 2, 3,
    Figure pct00020
    은 PDSCH의 처리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송신된 참조 신호 구성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사전 설정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시간 영역 유닛의 수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참조 신호의 반복 전송 횟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영역 유닛은 심볼 또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참조 신호가 차지하는 슬롯 및/또는 슬롯 내의 사전 설정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가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를 오프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오프셋 후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는 세컨더리 셀의 측정 주기, 세컨더리 셀이 속한 주파수 범위 또는 세컨더리 셀이 알려진 것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1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추적 참조 신호(T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단말기에 적용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 모듈과 활성화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참조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활성화 모듈은 상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 CE 또는 DCI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 CE이며,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MAC CE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1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MAC CE의 확인 메시지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2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DCI이며,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DCI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3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전 설정 기간은 다음 공식에 의해 결정되며,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는 제3 사전 설정 기간이고, k와 Tc는 상수이며, μ=0, 1, 2, 3,
    Figure pct00023
    은 PDSCH의 처리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송신된 참조 신호 구성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사전 설정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시간 영역 유닛의 수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참조 신호의 반복 전송 횟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영역 유닛은 심볼 또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참조 신호가 차지하는 슬롯 및/또는 슬롯 내의 사전 설정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가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를 오프셋하도록 구성된 오프셋 모듈을 더 포함하며, 오프셋 후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37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는 세컨더리 셀의 측정 주기, 세컨더리 셀이 속한 주파수 범위 또는 세컨더리 셀이 알려진 것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제3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추적 참조 신호(T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참조 신호-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됨-를 활성화하기 위한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 CE 또는 DCI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 CE이며,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MAC CE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1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MAC CE의 확인 메시지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2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활성화 시그널링은 DCI이며, 상기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DCI가 송신된 시각 이후의 제3 사전 설정 기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전 설정 기간은 다음 공식에 의해 결정되며,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는 제3 사전 설정 기간이고, k와 Tc는 상수이며, μ=0, 1, 2, 3,
    Figure pct00026
    은 PDSCH의 처리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1.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2.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작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3.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송신된 참조 신호 구성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사전 설정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시간 영역 유닛의 수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길이는 상기 참조 신호의 반복 전송 횟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영역 유닛은 심볼 또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6.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참조 신호가 차지하는 슬롯 및/또는 슬롯 내의 사전 설정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가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참조 신호의 초기 시간 영역 위치를 오프셋하도록 구성된 오프셋 모듈을 더 포함하며, 오프셋 후의 참조 신호의 시간 영역 위치는 상기 활성화 캐리어의 SSB의 시간 영역 위치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9. 제52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상태는 세컨더리 셀의 측정 주기, 세컨더리 셀이 속한 주파수 범위 또는 세컨더리 셀이 알려진 것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0. 제46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추적 참조 신호(T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1.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송수신기, 및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가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실현하도록,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로드하고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2.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송수신기, 및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실현하도록,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로드하고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3.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로드되고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37015911A 2020-10-22 2020-10-22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KR20230092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22981 WO2022082657A1 (zh) 2020-10-22 2020-10-22 辅小区激活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949A true KR20230092949A (ko) 2023-06-26

Family

ID=8129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911A KR20230092949A (ko) 2020-10-22 2020-10-22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는 방법, 장치,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24113A1 (ko)
EP (1) EP4236524A4 (ko)
JP (1) JP2023552269A (ko)
KR (1) KR20230092949A (ko)
CN (2) CN117278184A (ko)
WO (1) WO2022082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8224A1 (en) * 2021-06-17 2022-12-22 Qualcomm Incorporated Initial access enhancements for fixed point-to-multipoint millimeter-wav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9178B (zh) * 2018-02-12 2020-09-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参考信号配置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CN110166192B (zh) * 2018-02-12 2020-08-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处理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0475364B (zh) * 2018-05-09 2021-03-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非周期跟踪参考信号的接收方法及终端
KR102645643B1 (ko) * 2018-05-21 2024-03-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기준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3647170A (zh) * 2019-03-28 2021-1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快速服务小区激活的方法和装置
EP3949220A1 (en) * 2019-03-29 2022-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ast channel state information during new radio secondary cell activ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36524A4 (en) 2023-11-29
US20230224113A1 (en) 2023-07-13
JP2023552269A (ja) 2023-12-15
CN116097596A (zh) 2023-05-09
WO2022082657A1 (zh) 2022-04-28
EP4236524A1 (en) 2023-08-30
CN117278184A (zh) 202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2236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periodic uplink transmission
US20180262905A1 (en) User equipment (ue) capability determination
JP2021500827A (ja) 信号構成方法及び関連するデバイス
CN112399604B (zh) 处理接收的装置及方法
JP6726767B2 (ja) ページング検出ウィンドウ
KR102145255B1 (ko) 스케줄링 방법,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US11638269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aggregation and uplink control information multiplexing for sidelink communications
CN110351822B (zh) 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CN111586708A (zh) 一种传输探测参考信号的方法、装置和系统
CN111869281B (zh) 定位测距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6250334A (zh) 用于上行链路传输的波束指示方法及用户设备
US20230224113A1 (en) Secondary cell activatio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2079876A1 (ja) 端末
EP4142400A1 (en)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3284962A1 (en)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beam sweep enabled directional repeater
CN115769647A (zh) 一种波束故障恢复的方法和设备
CN115942483A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CN115399050A (zh) 基于随机接入带宽的通信配置
KR20200005456A (ko)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23206251A1 (zh) 随机接入资源配置方法、随机接入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3910846A1 (en) Method for control signal interpretation
WO2022082805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2205009A1 (zh) 搜索空间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40155686A1 (en) Channel access priority class table for unlicensed sidelink
WO2022116201A1 (zh) 上行信号传输方法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