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722A - 직물 원단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직물 원단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722A
KR20230091722A KR1020210181118A KR20210181118A KR20230091722A KR 20230091722 A KR20230091722 A KR 20230091722A KR 1020210181118 A KR1020210181118 A KR 1020210181118A KR 20210181118 A KR20210181118 A KR 20210181118A KR 20230091722 A KR20230091722 A KR 20230091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bric
frame
roll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753B1 (ko
Inventor
김은배
Original Assignee
(주)은호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호섬유 filed Critical (주)은호섬유
Priority to KR102021018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753B1/ko
Publication of KR20230091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06B23/021Compressive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팅 용액이 공기중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구현한 직물 원단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권취롤 형태의 원단이 거치되는 원단 거치부; 상기 원단 거치부에 거치되어 있는 상기 원단의 권취롤로부터 상기 원단이 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원단을 잡아당겨 주는 권출 유도부; 상기 권출 유도부에 의해 권출되는 상기 원단의 표면에 코팅액을 도포하는 코팅부; 및 상기 코팅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원단을 권취하는 원단 권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물 원단 가공 장치{Textile Fabric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직물 원단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팅 용액이 공기중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구현한 직물 원단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의 기본적인 방한 기능, 패션 기능에 더하여 특정한 목적을 위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면서, 기능성 직물원단 시장은 종류도 다양하게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다. 또한, 이러한 기능성 직물원단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장치에 관한 기술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참고로, 직물원단 가공장치에 관한 하나의 예로서, 직물원단이 롤러 사이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기능성 물질과 접착제가 분사 및 분무되면서 자동으로 코팅되어 코팅작업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직물원단 가공장치는 직물원단의 표면에 코팅 용액을 분사하여 코팅을 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코팅 용액이 공기중으로 분산되어 퍼지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269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세하게는 코팅 용액이 공기중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구현한 직물 원단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원단 가공 장치는, 권취롤 형태의 원단이 거치되는 원단 거치부; 상기 원단 거치부에 거치되어 있는 상기 원단의 권취롤로부터 상기 원단이 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원단을 잡아당겨 주는 권출 유도부; 상기 권출 유도부에 의해 권출되는 상기 원단의 표면에 코팅액을 도포하는 코팅부; 및 상기 코팅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원단을 권취하는 원단 권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코팅액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상기 원단에 코팅액을 일정량씩 공급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코팅 중인 상기 원단을 지지 및 이동시켜 주는 코팅 롤러; 및 상기 원단에 코팅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코팅 롤러의 하측에 밀착 설치되어 코팅액이 도포되어 있는 상기 원단의 도표면을 가압시켜 주는 가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코팅 롤러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는 롤러 바디; 상기 롤러 바디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 바디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롤러 지지대; 및 상기 제1 롤러 지지대와 대향하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 바디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롤러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롤러 지지대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수직 벽체와 제2 수직 벽체, 및 상기 제1 수직 벽체의 상측과 상기 제2 수직 벽체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벽체와 상기 제2 수직 벽체 사이의 이격 공간의 상측을 덮는 상부 덮개로 이루어지는 설치 하우징; 상기 롤러 바디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직 벽체와 상기 제2 수직 벽체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수직 벽체와 상기 제2 수직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 지지 블록; 상기 롤러 지지 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탄성부; 상기 블록 지지 탄성부가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지지 탄성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거치 플레이트; 및 전후 방향으로 길쭉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거치 플레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타원형 승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지지 탄성부는, 상기 롤러 지지 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형 지지 실린더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체 탱크; 상기 경사형 지지 실린더와 상기 유체 탱크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를 전달하거나 공급받기 위한 유체 전달관; 상기 유체 탱크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으로 구분하면서 상기 유체 탱크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 격벽; 및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코팅 용액을 분사가 아닌 가열 가압에 의하여 코팅을 함으로써 코팅 용액이 공기중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들의 작업 환경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원단 가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은 도 1의 가압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롤러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블록 지지 탄성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4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원단 가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원단 가공 장치(10)는, 원단 거치부(100), 권출 유도부(200), 코팅부(300), 원적외선 멜딩 챔버(400) 및 원단 권취부(500)를 포함한다.
원단 거치부(100)는, 권취롤(R) 형태의 원단(P)이 거치된다.
권출 유도부(200)는, 원단 거치부(100)에 거치되어 있는 원단(P)의 권취롤로부터 원단(P)이 권출될 수 있도록 원단(P)을 잡아당겨 준 뒤, 코팅부(300)로 전달한다.
코팅부(300)는, 권출 유도부(200)에 의해 권출되는 원단(P)의 표면에 코팅액을 도포한 뒤, 원단 권취부(5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코팅부(300)는, 코폴리에스터(copolyester), 코폴리아미드(copolyamide), EVA(Ethylene Vinyl Acetate),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바인더로서 사용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전이원소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출부재와 나노사이즈의 크기를 갖는 캡사이신 오일 캡슐이 함유되어 있는 코팅액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코팅액은, 상술한 용액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물 원단(P)에 사용될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이면 그 명칭에 구애되지 않고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캡사이신 오일 캡슐은 유기용매로서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CH2Cl2)과, 벽재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로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폴리카복실 락토오스(Polycarboxyl lactose)와, 심물질인 캡사이신 오일을 호모 게나이저(Homogenizer)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캡사이신 오일을 분산하기 위한 분산제로서 폴리비닐 알코올 (Polyvinyl alcohol)을 투입한 다음, 교반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한 캡사이신 오일 캡슐의 구성성분의 혼합 비율은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카복실 락토오스(Polycarboxyl lactose) 3~6 중량부, 캡사이신 오일 3~6 중량부,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1.5~3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전이원소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출부재는, V2O5, Cr2O3, MnO, Co2O3, NiSO4, CuO, ZnO, GeO 및 Se 분말에 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1차 조성물을 코팅하고 건조시키는 단계와, ZnS에 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2차 조성물을 코팅하고 건조시키는 단계와, MnO2, CoO, SiC, GeO, ZnO 및 NiO 에 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3차 조성물을 코팅하고 건조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팅부(300)는, 저장조(310), 코팅 롤러(320) 및 가압 롤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조(310)는, 코팅액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원단(P)에 코팅액을 하측에 설치되는 코팅 롤러(320)에 의해 이동 중인 원단(P) 방향으로 일정량씩 공급한다.
코팅 롤러(320)는, 저장조(310)의 하부에서 가압 롤러(330)와 밀착 설치되어 코팅 중인 원단(P)을 지지 및 이동시켜 준다.
가압 롤러(330)는, 원단(P)에 코팅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코팅 롤러(320)의 하측에 밀착 설치되어 코팅액이 도포되어 있는 원단(P)의 도표면을 가압시켜 준다.
즉, 서로 밀착 설치되는 코팅 롤러(320)와 가압 롤러(330) 사이로 삽입되는 원단(P)의 상면에 도포된 코팅액이 가압 롤러(330)에 의해 가압되면서 원단(P)의 상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는 것이다.
원단 권취부(500)는, 원적외선 멜딩 챔버(400)로부터 전달되는 원단(P)을 권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원단 가공 장치(10)는, 원적외선 멜딩 챔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적외선 멜딩 챔버(400)는, 원단(P)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액을 원적외선으로 조사시킨다.
이와 같이 코팅부(300)를 거치면서 표면에 코팅액이 도포된 원단(P)은 원적외선 멜딩 챔버(400)로 들어가서 170~200℃_의 환경에서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원단(P)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적외선 멜딩 챔버(400)는, 단순히 170~200℃_의 열풍만을 발생시켜 원단(P)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층이 보다 빠르s게 건조 또는 경화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원단 가공 장치(10)는, 코팅 용액을 분사가 아닌 가열 가압에 의하여 코팅을 함으로써 코팅 용액이 공기중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들의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2은 도 1의 가압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압 롤러(330)는, 롤러 바디(331), 고정 프레임(332), 제1 롤러 지지대(333) 및 제2 롤러 지지대(334)를 포함한다.
롤러 바디(331)는, 제1 롤러 지지대(333) 및 제2 롤러 지지대(334)에 의해 지지되어 코팅 롤러(320)의 하측에 밀착 배치된다.
고정 프레임(332)은, 롤러 바디(331)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며, 상부 일측 및 타측에 제1 롤러 지지대(333) 및 제2 롤러 지지대(334)가 설치된다.
제1 롤러 지지대(333)는, 제2 롤러 지지대(334)와 대향하면서 고정 프레임(33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롤러 바디(331)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롤러 지지대(334)는, 제1 롤러 지지대(333)와 대향하면서 고정 프레임(332)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롤러 바디(331)의 타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압 롤러(330)는, 코팅 롤러(320)와 롤러 바디(331) 간의 밀착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원단(P) 표면에 코팅액이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도록 하여 코팅 품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롤러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롤러 지지대(333)는, 설치 하우징(3331), 롤러 지지 블록(3332), 블록 지지 탄성부(3333), 거치 플레이트(3334) 및 타원형 승강 롤러(33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롤러 지지대(334)는, 후술하는 제1 롤러 지지대(333)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롤러 지지대(333)의 설치 하우징(3331), 롤러 지지 블록(3332), 블록 지지 탄성부(3333), 거치 플레이트(3334) 및 타원형 승강 롤러(3335)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설치 하우징(3331)은, 롤러 지지 블록(3332), 블록 지지 탄성부(3333), 거치 플레이트(3334) 및 타원형 승강 롤러(333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 프레임(33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수직 벽체(3331a)와 제2 수직 벽체(3331b), 및 제1 수직 벽체(3331a)의 상측과 제2 수직 벽체(3331b)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수직 벽체(3331a)와 제2 수직 벽체(3331b) 사이의 이격 공간의 상측을 덮는 상부 덮개(3331c)로 이루어진다.
롤러 지지 블록(3332)은, 롤러 바디(331)의 일측(331a)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블록 지지 탄성부(3333)에 의해 지지되며, 제1 수직 벽체(3331a)와 제2 수직 벽체(3331b)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 수직 벽체(3331a)와 제2 수직 벽체(3331b) 사이에 설치된다.
블록 지지 탄성부(3333)는, 거치 플레이트(3334)의 상측에 안착되어 롤러 지지 블록(3332)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롤러 지지 블록(3332)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거치 플레이트(3334)는, 블록 지지 탄성부(3333)가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블록 지지 탄성부(3333)의 하측에서 타원형 승강 롤러(3335)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다.
타원형 승강 롤러(3335)는, 전후 방향으로 길쭉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거치 플레이트(3334)의 하측에 설치되어 거치 플레이트(3334)를 지지하며, 회전축을 회전시켜 주는 구동 모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거치 플레이트(3334)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
즉, 타원형 승강 롤러(3335)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장축으로 거치 플레이트(3334)를 지지함에 따라 거치 플레이트(3334)를 상승시켜 주고,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단축으로 거치 플레이트(3334)를 지지함에 따라 거치 플레이트(3334)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롤러 지지대(333)는, 코팅 롤러(320)와 롤러 바디(331) 간의 밀착력을 타원형 승강 롤러(3335)의 회전 정도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원단(P) 표면에 도포되는 코팅액의 도포 정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블록 지지 탄성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 탄성부(60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 하부 지지 블록(630),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 및 플레이트 지지부(65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트 지지부(65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롤러 지지 블록(3332)의 하측을 지지하며,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상측 테두리가 설치된다.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형상과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거치 플레이트(3334)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하부 지지 블록(630)이 설치된다.
하부 지지 블록(63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하측 테두리가 설치되며, 상부에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된다.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원통 형상의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되기 위한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플레이트 지지부(650)로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중심 포스트(651),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를 포함한다.
중심 포스트(65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서로 120º의 등간격으로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설치된다.
이때, 중심 포스트(651)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는 고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의 상하 높이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완충 지지부(700-2)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 및 제2 완충 지지부(700-2)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즉,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1/3씩 분할하여 각자가 설치된 구역을 독립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수평하게 하강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만이 하강하는 경우에도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또는 제3 완충 지지부(700-3) 중 어느 하나의 완충 지지부가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지지 및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 탄성부(60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 또는 완충시켜 줌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후술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완충 지지부(700-1)의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직형 지지부(71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713)가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며,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711)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712)에 의해 지지된다.
즉, 수직형 지지부(7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완충 스프링(712)의 내측을 통과하여 삽입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완충 스프링(712)은, 상부 거치대(711)를 지지함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에 의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상부 거치대(711)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예를 들어, 공기, 물 또는 오일 등)에 의해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상승시켜 주고, 유체가 유출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경사형 지지부(730)는, 상측에 배치되는 일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측에 배치되는 타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동 지지 헤드(713)를 지지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하강하여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면서 회동 지지 헤드(713)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경사형 지지부(730)는, 제1 회동 프레임(731), 제2 회동 프레임(732),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제2 완충 스프링(735),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 및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를 포함한다.
제1 회동 프레임(731)은, 상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다.
제2 회동 프레임(732)은,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어 상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는,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중단(H)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F3-1, F3-2, F3-3)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접철되면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일단이 다른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2 링크 프레임(F2)과 제1 링크 프레임(F1)의 각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일렬로 연결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H)의 일측 마다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고 삽입된다.
즉,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완충 스프링(735)은,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을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면서 설치된다.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는,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제2 완충 스프링(735)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중간 지지 프레임(734)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을 통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삽입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L)를 유체 탱크(721)로 공급하고,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늘어남에 따라 유체(L)가 공급되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배출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사형 지지부(730)는, 수직형 지지부(71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함에 따라 회동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수직형 지지부(710)를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유체 탱크(721), 유체 전달관(722), 분리 격벽(723) 및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포함한다.
유체 탱크(721)는, 유체(L)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된다.
유체 전달관(722)은,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와 유체 탱크(721)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L)를 전달하거나 공급받는다.
분리 격벽(723)은, 유체 탱크(721)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N1)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N2)으로 구분하면서 유체 탱크(72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지지한다.
수직 완충 스프링(724)은, 분리 격벽(723)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평상시에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며,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하여 도 6의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간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로부터 유체(L)가 유체 탱크(721)로 공급되어 분리 격벽(723)을 상승시켜 줌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직물 원단 가공 장치
100: 원단 거치부
200: 권출 유도부
300: 코팅부
400: 원적외선 멜딩 챔버
500: 원단 권취부

Claims (8)

  1. 권취롤 형태의 원단이 거치되는 원단 거치부;
    상기 원단 거치부에 거치되어 있는 상기 원단의 권취롤로부터 상기 원단이 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원단을 잡아당겨 주는 권출 유도부;
    상기 권출 유도부에 의해 권출되는 상기 원단의 표면에 코팅액을 도포하는 코팅부; 및
    상기 코팅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원단을 권취하는 원단 권취부;를 포함하는, 직물 원단 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코팅액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상기 원단에 코팅액을 일정량씩 공급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코팅 중인 상기 원단을 지지 및 이동시켜 주는 코팅 롤러; 및
    상기 원단에 코팅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코팅 롤러의 하측에 밀착 설치되어 코팅액이 도포되어 있는 상기 원단의 도표면을 가압시켜 주는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직물 원단 가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롤러는,
    상기 코팅 롤러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는 롤러 바디;
    상기 롤러 바디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 바디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롤러 지지대; 및
    상기 제1 롤러 지지대와 대향하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 바디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롤러 지지대;를 포함하는, 직물 원단 가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지지대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수직 벽체와 제2 수직 벽체, 및 상기 제1 수직 벽체의 상측과 상기 제2 수직 벽체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벽체와 상기 제2 수직 벽체 사이의 이격 공간의 상측을 덮는 상부 덮개로 이루어지는 설치 하우징;
    상기 롤러 바디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직 벽체와 상기 제2 수직 벽체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수직 벽체와 상기 제2 수직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 지지 블록;
    상기 롤러 지지 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탄성부;
    상기 블록 지지 탄성부가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지지 탄성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거치 플레이트; 및
    전후 방향으로 길쭉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거치 플레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타원형 승강 롤러;를 포함하는, 직물 원단 가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지지 탄성부는,
    상기 롤러 지지 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직물 원단 가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하는, 직물 원단 가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하며, 직물 원단 가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하는, 직물 원단 가공 장치.
KR1020210181118A 2021-12-16 2021-12-16 직물 원단 가공 장치 KR102632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118A KR102632753B1 (ko) 2021-12-16 2021-12-16 직물 원단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118A KR102632753B1 (ko) 2021-12-16 2021-12-16 직물 원단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722A true KR20230091722A (ko) 2023-06-23
KR102632753B1 KR102632753B1 (ko) 2024-02-01

Family

ID=8699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118A KR102632753B1 (ko) 2021-12-16 2021-12-16 직물 원단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7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693B1 (ko) 2006-09-27 2007-06-28 전무종 직물원단의 기능성물질 코팅장치
KR101914000B1 (ko) * 2018-01-12 2018-10-31 김성건 직물원단 가공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693B1 (ko) 2006-09-27 2007-06-28 전무종 직물원단의 기능성물질 코팅장치
KR101914000B1 (ko) * 2018-01-12 2018-10-31 김성건 직물원단 가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753B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14352A1 (en) Thin-film coating apparatus for applying enhanced performance coatings on outdoor substrates
US6471154B2 (en) Automatic roll tensioner and material dispens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230091722A (ko) 직물 원단 가공 장치
US8526109B1 (en) Portable projection screen device
CN111562818A (zh) 一种计算机防尘显示屏
US20210006200A1 (en) Tilting solar panels for high altitude balloons
CN106019421A (zh) 带遮光层的透镜的制造装置
CN210012376U (zh) 一种用于传动带生产的放卷系统
CN116443343A (zh) 一种立体袋包装用封口机构
CN106000755A (zh) 带遮光层的透镜的制造方法
CN206679362U (zh) 保护膜自动上料机构
CN214682578U (zh) 一种带有夹具式泡棉胶带生产用涂胶机
KR102208547B1 (ko) 양면 접착면을 가지는 실리콘시트 권취 방법
CN208661591U (zh) 一种连续生产用无纺布涂布机
KR20230091723A (ko) 연속식 직물 원단 염색 장치
KR102491183B1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 세척 시스템
US4981384A (en) Applicator
US1226713A (en) Automatic slack-take-up and cooling device.
KR102494399B1 (ko) 전동 및 수동이 가능한 스카이 어닝 핸들 장치
CN205705662U (zh) 单通道免预混无溶剂复合机
CN105834183A (zh) 清扫装置及工件清扫系统
CN210635453U (zh) 一种热熔胶涂布机的放卷装置
NL1029654C2 (nl) Inrichting voor het op- en/of afwikkelen van een scherm.
CN218441624U (zh) 伸缩组件及具有伸缩功能的设备
KR20230089248A (ko)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