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382A - 부품 선별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선별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382A
KR20230091382A KR1020210180452A KR20210180452A KR20230091382A KR 20230091382 A KR20230091382 A KR 20230091382A KR 1020210180452 A KR1020210180452 A KR 1020210180452A KR 20210180452 A KR20210180452 A KR 20210180452A KR 20230091382 A KR20230091382 A KR 20230091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lignment
induction
align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917B1 (ko
Inventor
김기삼
김용우
Original Assignee
김기삼
김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삼, 김용우 filed Critical 김기삼
Priority to KR1020210180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917B1/ko
Publication of KR2023009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5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removing incorrectly orient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선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탠드부와, 스탠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투입된 부품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내부테이블부와, 스탠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내부테이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테이블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된 부품을 이동시키는 외부테이블부와, 스탠드부에 장착되고 외부테이블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외부테이블부를 따라 이동되는 부품을 정렬시키는 유도부와, 외부테이블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유도부에 의해 정렬된 부품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부품을 신속하게 대량 선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 선별 공급장치{PART SORTING FEEDER}
본 발명은 부품 선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을 원하는 형상으로 정렬하여 배출시키므로, 부품의 포장 및 적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품 선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생활에서는 다양한 공산품들이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산품들은 무수히 많은 물품으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물품은 별도의 공장 또는 생산 라인에서 독립적으로 제작 생산되어 별도의 조립 라인에서 조립되는 과정을 거쳐 하나의 공산품으로 제조된다.
물품의 생산 라인 및 조립 라인에는 동일한 다량의 물품을 차례대로 연속적으로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공급장치가 적용된다. 동일한 물품은 공급장치를 통해 정해진 위치로 이송되며, 이송된 물품은 픽업 장치에 의하여 모듈에 장착된다. 자동화공정에서 물품에 따라서 물품이 정해진 방향성을 가지고 픽업 위치로 이송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자동화공정에서 일부의 물품이 뒤집히거나 겹쳐진 상태로 이송됨에 따라 물품의 포장 또는 저장에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17117호(2012. 10. 24 공개, 발명의 명칭: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을 원하는 형상으로 정렬하여 배출시키므로, 부품의 포장 및 적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품 선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선별 공급장치는: 스탠드부; 상기 스탠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투입된 부품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내부테이블부; 상기 스탠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내부테이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테이블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외부테이블부; 상기 스탠드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테이블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테이블부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부품을 정렬시키는 유도부; 및 상기 외부테이블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유도부에 의해 정렬된 상기 부품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스탠드부에 장착되는 유도지주부; 상기 유도지주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테이블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유도고정부; 및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외부테이블부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부품을 순차로 정렬시키는 유도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정렬부는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테이블부에서 이동된 상기 부품이 상기 외부테이블부에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제1정렬부;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정렬부를 통과한 상기 부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정렬부;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정렬부를 통과한 상기 부품을 회전시켜 상기 부품과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3정렬부;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3정렬부를 통과한 상기 부품의 형상에 따라 상기 부품이 상기 외부테이블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허용하거나 상기 부품을 상기 내부테이블부로 낙하시키는 제4정렬부; 및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4정렬부를 통과한 상기 부품을 세워서 뒤집는 제5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정렬부는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부품을 안내하는 제2정렬판부; 및 상기 제2정렬판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테이블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부품이 적층된 상태로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외부테이블부와 이격된 제2정렬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정렬부는 상기 부품의 상부가 걸리도록 상기 외부테이블부와 이격된 제3정렬판부; 상기 제3정렬판부를 상기 유도고정부에 고정하는 제3정렬고정부; 상기 제3정렬판부에 걸려 이동되는 상기 부품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부품의 회전을 유도하는 제3정렬분사부; 및 상기 제3정렬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테이블부와 상기 제3정렬판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부품이 걸려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제3정렬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정렬부는 상기 외부테이블부의 상측과 이격되어 상기 부품을 지지하는 제4정렬판부; 상기 제4정렬판부를 상기 유도고정부에 고정하는 제4정렬고정부; 상기 부품을 감지하는 제4정렬감지부; 및 상기 제4정렬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부품에 유체를 분사하여 설정된 정렬상태를 제외한 상기 부품을 상기 내부테이블부로 낙하시키는 제4정렬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정렬부는 상기 외부테이블부의 상측과 이격되어 상기 부품을 지지하는 제5정렬판부; 상기 제5정렬판부를 상기 유도고정부에 고정하는 제5정렬고정부; 및 상기 제5정렬판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부품을 세워주는 제5정렬세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선별 공급장치는 경사진 내부테이블부의 회전에 의해 부품이 외부테이블부에 안착되어 이동하고, 유도부에 의해 순차로 정렬된 후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부품에 대한 대량 선별 작업이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테이블부와 외부테이블부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테이블부와 외부테이블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선별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 공급장치(1)는 스탠드부(10)와, 내부테이블부(20)와, 외부테이블부(30)와, 유도부(40)와, 배출부(50)를 포함한다.
스탠드부(10)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설치된다. 일예로, 스탠드부(10)는 바퀴와 스토퍼를 구비하여 목적지로 이동된 후 고정 가능한 하부스탠드부(11)와, 하부스탠드부(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도부(4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상부스탠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스탠드부(12)는 내부테이블부(20)와, 외부테이블부(30)와, 유도부(40)를 커버하여 작업 중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배출부(50)는 상부스탠드부(12)를 관통할 수 있다.
내부테이블부(20)는 스탠드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투입된 부품(90)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내부테이블부(20)가 회전되면 원심력에 의해 부품(90)이 내부테이블부(20)의 가장자리로 이동될 수 있다.
외부테이블부(30)는 스탠드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내부테이블부(2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테이블부(20)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된 부품(90)을 원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예로, 경사를 갖는 내부테이블부(20)의 고점과 외부테이블부(30)의 높이가 일치하는 지점에서 부품(90)이 이동될 수 있다.
유도부(40)는 스탠드부(10)에 장착되고, 외부테이블부(30)의 상방에 배치되며, 외부테이블부(30)를 따라 이동되는 부품(90)을 정렬시킨다. 일예로, 유도부(40)는 부품(90)의 특정 영역이 균일하게 노출되도록 부품(90)을 정렬할 수 있다.
배출부(50)는 외부테이블부(30)의 상방에 배치되고, 유도부(40)에 의해 정렬된 부품(90)을 배출한다. 일예로, 동일한 형상으로 정렬된 각각의 부품(90)은 배출부(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적재될 수 있다.
한편, 부품(90)은 주사기용 핑거플랜지가 될 수 있으며, 일측이 개구된 몸체부(91)와, 몸체부(91)의 양측으로 연장된 날개부(92)와, 몸체부(91)의 상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도부(40)에 의해 부품(90)의 저면이 뒤집혀 노출된 상태로 배출부(5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테이블부와 외부테이블부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테이블부와 외부테이블부의 분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내부테이블부(20)는 유도부(40)의 내측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공급되는 부품(90)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외부테이블부(30)는 내부테이블부(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내부테이블부(20)에서 유입된 부품(90)이 내부테이블부(20)의 둘레를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된다. 외부테이블부(30)는 내부테이블부(20)의 둘레에 환형의 이동궤적을 갖도록 설치된다. 외부테이블부(30)는 상단부가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내부테이블부(20)의 부품(90)들은 원심력에 의해 내부테이블부(20)의 직방향 일측으로 이동된 후 외부테이블부(30)의 상단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외부테이블부(30)가 회전됨에 따라 부품(90)들이 환형의 이동궤적을 따라 이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테이블부(20)는 상부 플레이트(131)와 하부 플레이트(133)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131)는 부품(90)들이 반경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중심부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하부 플레이트(133)는 상부 플레이트(131)에서 흘러내린 부품(90)이 외부테이블부(30) 측으로 흘러내리도록 그 둘레부에 슬라이드 경사부(135)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경사부(135)는 하부 플레이트(133)의 둘레부에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131)는 돔형이거나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33)는 체결부재나 용접 등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131)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31)와 하부 플레이트(133)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131)의 중심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므로, 상부 플레이트(131)에 공급되는 부품(90)들이 상부 플레이트(131)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된 후 하부 플레이트(133)의 둘레부 측으로 이동된다. 하부 플레이트(133)의 슬라이드 경사부(135)와 이동 트랙부(143)의 상단부가 동일한 위치에 도달되며, 슬라이드 경사부(135)의 부품(90)들이 이동 트랙부(143)로 이동된다.
슬라이드 경사부(135)의 직경방향 일측은 외부테이블부(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슬라이드 경사부(135)의 직경방향 타측은 이동 트랙부(143)와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부 플레이트(133)의 부품(90)들이 슬라이드 경사부(135)에서 외부테이블부(30) 측으로 이동되고, 슬라이드 경사부(135)의 직경방향 타측에 배치된 부품(90)들이 이동 트랙부(143)로 이동된다.
외부테이블부(30)는 아우터 하우징(141) 및 이동 트랙부(143)를 포함한다.
아우터 하우징(141)은 상부 플레이트(131)와 하부 플레이트(133)가 수용되고, 구동부(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 트랙부(143)는 아우터 하우징(141)의 상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하부 플레이트(133)에서 이동되는 부품(90)을 배출부(50) 측으로 이동시킨다. 아우터 하우징(141)은 상측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이동 트랙부(143)는 아우터 하우징(141)의 상단부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아우터 하우징(141)은 이동 트랙부(14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체결부재나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41)의 회전시 이동 트랙부(143)가 환형 궤적을 따라 회전된다.
한편, 회전구동장치(160)는 내부테이블(20)와 외부테이블부(3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70)를 포함한다. 구동부(170)는 제1구동부(171), 제1구동축부(172), 유니버셜 조인트부(173), 제1종동축부(174), 제2구동부(176), 제2구동축부(177) 및 동력전달부(178)를 포함한다.
제1구동부(171)는 스탠드부(10)에 설치된다. 제1구동축부(172)는 제1구동부(171)에 연결된다. 유니버셜 조인트부(173)는 제1구동축부(172)에 결합된다. 제1종동축부(174)는 유니버셜 조인트부(173)에 결합되고, 내부테이블부(20)에 연결된다. 제2구동부(176)는 제1구동부(171)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스탠드부(10)에 설치된다. 제2구동축부(177)는 제2구동부(176)에 연결된다. 동력전달부(178)는 제2구동축부(177)와 외부테이블부(30)에 연결된다.
제1구동부(171)와 제2구동부(176)는 외부테이블부(30)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구동부(171)의 제1회전축(미도시)과 제2구동부(176)의 제2회전축(미도시)은 수직축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구동축부(172)가 유니버셜 조인트부(173)에 결합되고, 제1종동축부(174)가 유니버셜 조인트부(173)에 결합되므로, 내부테이블부(20)가 외부테이블부(30)의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더라도 제1구동축부(172)가 수직축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구동부(171)와 제1구동축부(172)를 수직축에 나란하도록 세팅한 후에 제1구동축부(172)의 상측에서 유니버셜 조인트부(173)와 제1종동축부(174)를 조립하고, 제2구동부(176)와 제2구동축부(177)를 수직축에 나란하도록 세팅한 후에 동력전달부(178)를 스탠드부(10)의 상측에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부(10)의 상측에서 제1종동축부(174)에 외부테이블부(30)와 내부테이블부(20)를 조립할 수 있다. 이처럼, 유니버셜 조인트부(173), 제1종동축부(174), 동력전달부(178), 외부테이블부(30) 및 내부테이블부(20)가 스탠드부(10)에 순차적으로 조립되므로, 조립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구동축부(172)는 수직축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종동축부(174)는 제1구동축부(172)에 경사지게 연결된다. 즉, 제1구동축부(172)와 제1종동축부(174)가 유니버셜 조인트부(173)를 매개로 연결되므로, 내부테이블부(20)가 경사지게 설치되더라도 제1구동축부(172)와 제1구동부(171)를 수직축에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
구동부(170)는 제1구동축부(172), 유니버셜 조인트부(173) 및 제1종동축부(174)를 둘러싸도록 수직하게 배치되는 리테이너부(175)와, 제1종동축부(174)를 지지하도록 리테이너부(175)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서포터부(175a)를 더 포함한다. 제1종동축부(174)의 외측면에는 서포터부(175a)에 지지되도록 플랜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리테이너부(175)와 서포터부(175a)는 내부테이블부(20)의 하측을 지지한다. 리테이너부(175)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테이블부(30)의 하측에는 복수의 배수구(142)가 형성되고, 복수의 배수구(142)는 리테이너부(175)와 서포터부(175a)의 외측에 배치된다.
리테이너부(175)와 서포터부(175a)가 제1구동축부(172), 유니버셜 조인트부(173) 및 제1종동축부(174)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므로, 내부테이블부(20)와 외부테이블부(30)를 세척할 때에 세척수가 외부테이블부(30)의 배수구(142)를 통해 배수되더라도 제1구동축부(172), 유니버셜 조인트부(173), 제1종동축부(174), 제1구동부(171)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170), 내부테이블부(20) 및 외부테이블부(30)를 분해하지 않고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178)는 제2구동축부(177)에 연결되는 제2기어부(178a)와, 제2기어부(178a)에 연결되는 제3기어부(178b)와, 제3기어부(178b)에 연결되고, 리테이너부(175)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테이블부(30)를 지지하는 제2종동축부(178c)를 포함한다. 제3기어부(178b)는 제2종동축부(178c)의 하측에 조립되며 제2종동축부(178c)와 거의 같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2기어부(178a)와 제3기어부(178b)는 제2구동부(176)의 감속기 역할을 수행한다. 제2구동부(176)가 구동되면, 제2구동축부(177)가 회전됨에 따라 제2기어부(178a) 및 제3기어부(178b)가 맞물려 회전되고 외부테이블부(30)가 내부테이블부(20) 보다 저속으로 회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부(40)는 유도지주부(41)와, 유도고정부(42)와, 유도정렬부(43)를 포함한다.
유도지주부(41)는 스탠드부(10)에 장착된다. 일예로, 유도지주부(41)는 외부테이블부(3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복수개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유도지주부(41)는 하부스탠드부(11)와 상부스탠드부(12)를 상하로 구획하는 격벽스탠드부(13)에 장착될 수 있다.
유도고정부(42)는 유도지주부(41)에 장착되고, 외부테이블부(3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일예로, 유도고정부(42)는 링 형상을 하여 외부테이블부(3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도정렬부(43)는 유도고정부(42)에 장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부테이블부(30)를 따라 이동되는 부품(90)을 순차로 정렬시킨다. 일예로, 유도정렬부(43)는 복수개가 유도고정부(42)의 원주 방향으로 장착되고, 부품(90)이 외부테이블부(30)의 상측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유도정렬부(43)는 부품(9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거나, 부품(90)을 상하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부품(90)을 정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정렬부(43)는 제1정렬부(100)와, 제2정렬부(200)와, 제3정렬부(300)와, 제4정렬부(400)와, 제5정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유도정렬부(43)는 필요에 따라 제6정렬부(600)와 제7정렬부(700)가 추가될 수 있다.
제1정렬부(100)는 유도고정부(42)에 장착되고, 내부테이블부(20)에서 이동된 부품(90)이 외부테이블부(30)에 안착되도록 유도한다. 일예로, 제1정렬부(100)는 내부테이블부(20)의 고점이 외부테이블부(30)의 이동 트랙부(143)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배치되는 영역에서 내부테이블부(20)에서 이동된 부품(90)이 제1정렬부(100)에 부딪혀 이동 트랙부(143)에 안착될 수 있다.
제2정렬부(200)는 유도고정부(42)에 장착되고, 제1정렬부(100)를 통과한 부품(90)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예로, 제2정렬부(200)는 부품(90)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고, 하나의 부품(90)이 통과하도록 이동 트랙부(143)와 이격될 수 있다.
제3정렬부(300)는 유도고정부(42)에 장착되고, 제2정렬부(200)를 통과한 부품(100)을 회전시켜 부품(90)과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킨다. 일예로, 제3정렬부(300)는 부품(90)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부품(90)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렬과정에서 정렬되지 않은 부품(90)은 낙하될 수 있다.
제4정렬부(400)는 유도고정부(42)에 장착되고, 제3정렬부(300)를 통과한 부품(90)의 형상에 따라 부품(90)이 외부테이블부(30)를 따라 이동되도록 허용하거나 부품(90)을 내부테이블부(20)로 낙하시킨다. 일예로, 제4정렬부(400)는 촬영을 통해 부품(90)의 정렬 상태가 설계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 외, 제4정렬부(400)는 부품(90)의 형상과 대응되는 기구적인 구조물을 통해 부품(90)의 정렬 상태가 설계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몸체부(91)의 개구된 영역이 제4정렬부(4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날개부(92)가 제4정렬부(400)와 밀착되며, 돌기부(93)가 몸체부(91)의 상측에 노출되는 경우, 부품(90)은 정상 정렬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91)의 폐쇄된 영역이 제4정렬부(4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경우, 부품(90)은 비정상 정렬상태가 될 수 있다. 부품(90)의 정렬이 비정상인 경우, 유체 또는 별도 기구물에 의해 부품(90)은 외부테이블부(30)에서 낙하될 수 있다.
제5정렬부(500)는 유도고정부(42)에 장착되고, 제4정렬부(400)를 통과한 부품(90)을 세워서 뒤집는다. 일예로, 제5정렬부(500)는 부품(90)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 외, 제6정렬부(600)는 제1정렬부(100)와 제2정렬부(200) 사이에 배치되고, 부품(90)을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제6정렬부(600)는 유도고정부(42)에 장착되고, 이동 트랙부(143)의 상방에 배치되어 부품(90)이 이동 트랙부(143)를 따라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7정렬부(700)는 제2정렬부(200)와 제3정렬부(300) 사이에 단층으로 이동되는 부품(90)을 정렬한다. 일예로, 제7정렬부(700)는 유도고정부(42)에 장착되고 이동 트랙부(143)의 상방에 배치되어 부품(90)이 이동 트랙부(143)를 따라 이동되도록 유도하고, 유체를 분사하여 제7정렬부(700)에 밀착되어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정렬부(100)는 제1정렬판부(110)와 제1정렬분사부(120)를 포함한다.
제1정렬판부(110)는 유도고정부(42)에 장착되고 부품(90)이 이동 트랙부(143)에 안착되도록 유도한다. 일예로, 제1정렬판부(110)는 곡면이 형성되어 이동 트랙부(143)의 상방에 배치되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내부테이블부(20) 까지의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즉, 제1정렬판부(110)의 일단부와 내부테이블부(20) 까지의 거리(a) 보다 제1정렬판부(110)의 타단부와 내부테이블부(20) 까지의 거리(b)가 더 짧게 설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품(90)이 초기 내부테이블부(20)에서 외부테이블부(30)로 공급될 때, 부품(90)이 제1정렬판부(110)의 일단부에 충돌하더라도 안착 가능한 이동 트랙부(143)의 면적이 넓어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1정렬분사부(120)는 제1정렬판부(110)에서 내부테이블부(20)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한다. 제1정렬분사부(120)는 다량의 부품(90)이 외부테이블부(30)에 안착되어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테이블부(20)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품(90) 간의 충돌이 억제되어 부품(90)이 안정적으로 외부테이블부(3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정렬부(200)는 제2정렬판부(210)와 제2정렬걸림부(220)를 포함한다.
제2정렬판부(210)는 유도고정부(42)에 장착되고, 부품(90)을 안내한다. 일예로, 제2정렬판부(210)는 곡면 형상을 하여 유도고정부(42)에 조립되고, 외부테이블부(30)의 상방에 배치되며 외부테이블부(30)에 안착된 부품(90)을 지지하여 부품(9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제2정렬걸림부(220)는 제2정렬판부(210)에 장착되고, 외부테이블부(30)의 상방에 배치되며, 부품(90)이 적층된 상태로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외부테이블부(30)와 이격된다. 일예로, 제2정렬걸림부(220)의 저점과 외부테이블부(30) 사이 거리는 부품(90) 1개의 높이보다 길고 적층된 부품(90) 2개의 높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2정렬걸림부(220)는 곡면을 형성하여 외부테이블부(30)의 상방에 위치되고, 부품(90)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정렬부(300)는 제3정렬판부(310)와, 제3정렬고정부(320)와, 제3정렬분사부(330)와, 제3정렬안내부(340)를 포함한다.
제3정렬판부(310)는 부품(90)의 상부가 걸리도록 외부테이블부(30)와 이격된다. 일예로, 부품(90)의 돌기부(93)가 제3정렬판부(310)의 저면에 걸려 부품(90)이 제3정렬판부(310)에 지지된 상태로 외부테이블부(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원띠 형상의 돌기부(93)를 중심으로 부품(90)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제3정렬고정부(320)는 제3정렬판부(310)를 유도고정부(42)에 고정한다. 일예로, 제3정렬고정부(320)는 볼트 및 복수개의 너트를 포함하고, 제3정렬판부(310)와 유도고정부(42) 사이 거리를 조절하여 부품(90)의 안착면적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다.
제3정렬분사부(330)는 제3정렬판부(310)에 걸려 이동되는 부품(90)에 유체를 분사하여 부품(90)의 회전을 유도한다. 일예로, 제3정렬분사부(330)는 제3-1분사부(331)와 제3-2분사부(332)가 이동되는 부품(90)에 유체를 분사하여 부품(90)이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품(90)의 일부 즉 날개부(92)가 제3정렬판부(310)의 하부를 통과하고, 돌기부(93)가 제3정렬판부(310)에 걸려 이동될 수 있다.
제3정렬안내부(340)는 제3정렬판부(310)에 형성되고, 외부테이블부(30)와 제3정렬판부(310) 사이에 배치되며, 부품(90)이 걸려 회전되도록 유도한다. 일예로, 제3정렬안내부(340)는 부품(90)의 진행 후반부에 해당되는 제3정렬판부(310)의 저면에 형성되어 부품(90)의 밀착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제3정렬안내부(340)는 단부는 제3정렬판부(31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날개부(92)가 걸릴 수 있다. 날개부(92)가 제3정렬안내부(340)에 걸리면 부품(90) 자체가 회전되어 제3정렬안내부(34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3-3분사부(333)에서 분사된 유체로 인해 부품(90)이 제3정렬안내부(340)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정렬부(400)는 제4정렬판부(410)와, 제4정렬고정부(420)와, 제4정렬감지부(430)와, 제4정렬분사부(440)를 포함한다.
제4정렬판부(410)는 외부테이블부(30)의 상측과 이격되어 부품(90)을 지지한다. 일예로, 제4정렬판부(410)는 이웃한 제3정렬판부(310)와 연결될 수 있고, 부품(9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제4정렬고정부(420)는 제4정렬판부(410)를 유도고정부(42)에 고정한다. 일예로, 제4정렬고정부(420)는 볼트 및 복수개의 너트를 포함하고, 제4정렬판부(410)와 유도고정부(42) 사이 거리를 조절하여 부품(90)의 안착면적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다.
제4정렬감지부(430)는 부품(90)을 감지한다. 일예로, 제4정렬감지부(430)는 제4정렬판부(410)에 장착되고, 하방으로 통과하는 부품(90)을 실시간 촬영하여 부품(90)의 정렬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 외, 제4정렬감지부(430)는 설정영역에 부품(90)이 단순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4정렬분사부(440)는 제4정렬감지부(430)의 감지신호에 따라 부품(90)에 유체를 분사하여 설정된 정렬상태를 제외한 부품(90)을 내부테이블부(20)로 낙하시킨다. 일예로, 제4정렬분사부(440)는 제4정렬감지부(430)에서 촬영된 정보가 부품(90)의 비정상 정렬상태인 경우 유체를 분사하여 이동 중인 부품(90)을 내부테이블부(20)로 낙하시킬 수 있다. 그 외, 제4정렬분사부(440)는 부품(90)이 통과할 때마다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91)의 개구된 영역이 제4정렬판부(410)를 마주보는 경우 유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품(90)이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몸체부(91)의 폐쇄된 영역이 제4정렬판부(410)와 마주보는 경우 유체에 의해 부품(90)이 밀려나 내부테이블부(20)로 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정렬부(500)는 제5정렬판부(510)와, 제5정렬고정부(520)와, 제5정렬세움부(530)를 포함한다.
제5정렬판부(510)는 외부테이블부(30)의 상측과 이격되어 부품(90)을 지지한다. 일예로, 제5정렬판부(510)는 이웃한 제4정렬판부(410)와 연결될 수 있고, 부품(90)의 밀착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제5정렬고정부(520)는 제5정렬판부(510)를 유도고정부(42)에 고정한다. 일예로, 제5정렬고정부(520)는 볼트 및 복수개의 너트를 포함하고, 제5정렬판부(510)와 유도고정부(42) 사이 거리를 조절하여 부품(90)의 안착면적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다.
제5정렬세움부(530)는 제5정렬판부(5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부품(90)을 세워준다. 일예로, 제5정렬세움부(43)는 곡면이 형성되고, 제5정렬고정부(520)에 의해 제5정렬판부(510)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부품(90)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제5정렬세움부(530)와 제5정렬판부(510) 사이 거리는 좁혀지고 제5정렬세움부(530)의 경사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제5정렬세움부(530)와 제5정렬판부(510) 사이를 통과하는 부품(90)은 수평축을 기준으로 90도 회전될 수 있다. 부품(90)이 90도 회전된 후 제5정렬세움부(530)를 통과하면, 돌기부(93)의 하중과 회전진행 방향에 의해 부품(90)이 뒤집힌다. 이로 인해 돌기부(93)가 외부테이블부(30)와 마주면서 부품(90)이 지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 공급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테이블부(20)에 부품(90)이 투입되면, 경사를 갖는 내부테이블부(20)에 의해 고점 부분으로 이동된 부품(90)이 제1정렬판부(110)에 충돌한 후 외부테이블부(30)에 안착되어 이동된다. 이때, 제1정렬분사부(120)를 통해 유체가 분사되어 다량의 부품(90) 유입을 차단하므로, 부품(90)들간의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테이블부(30)에 안착된 부품(90)은 제2정렬판부(210)에 지지되어 이동되되, 부품(90)의 이동경로 상방에 배치되는 제2정렬걸림부(220)에 의해 적재된 부품(90)이 걸러진다.
제2정렬걸림부(220)를 통과한 부품(90)은 제3정렬판부(310)에 지지되어 이동되는데, 제3정렬분사부(330)에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부품(90)이 회전 및 정렬되고, 제3정렬안내부(340)에 걸린 부품(90)이 회전되면서 제3정렬안내부(340)에 밀착되어 이동된다.
제3정렬안내부(340)를 통과한 부품(90)은 제4정렬판부(410)에 지지되어 이동되는데, 제4정렬감지부(4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4정렬분사부(440)가 유체를 분사하여 비정상적으로 정렬된 부품(90)을 제거한다.
제4정렬분사부(440)에 의해 정상적으로 정렬된 부품(90)은 제5정렬판부(510)와 제5정렬세움부(530) 사이를 통과하면서 180도 회전된 후 배출부(50)로 배출되어 안정적으로 적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선별 공급장치(1)는 경사진 내부테이블부(20)의 회전에 의해 부품(90)이 외부테이블부(30)에 안착되어 이동하고, 유도부(40)에 의해 순차로 정렬된 후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부품(90)에 대한 대량 선별 작업이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스탠드부 20 : 내부테이블부
30 : 외부테이블부 40 : 유도부
41 : 유도지주부 42 : 유도고정부
43 : 유도정렬부 50 : 배출부
100 : 제1정렬부 110 : 제1정렬판부
120 : 제1정렬분사부 200 : 제2정렬부
210 : 제2정렬판부 220 : 제2정렬걸림부
300 : 제3정렬부 310 : 제3정렬판부
320 : 제3정렬고정부 330 : 제3정렬분사부
340 : 제3정렬안내부 400 : 제4정렬부
410 : 제4정렬판부 420 : 제4정렬고정부
430 : 제4정렬감지부 440 : 제4정렬분사부
500 : 제5정렬부 510 : 제5정렬판부
520 : 제5정렬고정부 530 : 제5정렬세움부

Claims (7)

  1. 스탠드부;
    상기 스탠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투입된 부품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내부테이블부;
    상기 스탠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내부테이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테이블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외부테이블부;
    상기 스탠드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테이블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테이블부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부품을 정렬시키는 유도부; 및
    상기 외부테이블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유도부에 의해 정렬된 상기 부품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선별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스탠드부에 장착되는 유도지주부;
    상기 유도지주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테이블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유도고정부; 및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외부테이블부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부품을 순차로 정렬시키는 유도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선별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정렬부는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부테이블부에서 이동된 상기 부품이 상기 외부테이블부에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제1정렬부;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정렬부를 통과한 상기 부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정렬부;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정렬부를 통과한 상기 부품을 회전시켜 상기 부품과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3정렬부;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3정렬부를 통과한 상기 부품의 형상에 따라 상기 부품이 상기 외부테이블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허용하거나 상기 부품을 상기 내부테이블부로 낙하시키는 제4정렬부; 및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4정렬부를 통과한 상기 부품을 세워서 뒤집는 제5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선별 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렬부는
    상기 유도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부품을 안내하는 제2정렬판부; 및
    상기 제2정렬판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테이블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부품이 적층된 상태로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외부테이블부와 이격된 제2정렬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선별 공급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정렬부는
    상기 부품의 상부가 걸리도록 상기 외부테이블부와 이격된 제3정렬판부;
    상기 제3정렬판부를 상기 유도고정부에 고정하는 제3정렬고정부;
    상기 제3정렬판부에 걸려 이동되는 상기 부품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부품의 회전을 유도하는 제3정렬분사부; 및
    상기 제3정렬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테이블부와 상기 제3정렬판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부품이 걸려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제3정렬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선별 공급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4정렬부는
    상기 외부테이블부의 상측과 이격되어 상기 부품을 지지하는 제4정렬판부;
    상기 제4정렬판부를 상기 유도고정부에 고정하는 제4정렬고정부;
    상기 부품을 감지하는 제4정렬감지부; 및
    상기 제4정렬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부품에 유체를 분사하여 설정된 정렬상태를 제외한 상기 부품을 상기 내부테이블부로 낙하시키는 제4정렬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선별 공급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5정렬부는
    상기 외부테이블부의 상측과 이격되어 상기 부품을 지지하는 제5정렬판부;
    상기 제5정렬판부를 상기 유도고정부에 고정하는 제5정렬고정부; 및
    상기 제5정렬판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부품을 세워주는 제5정렬세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선별 공급장치.
KR1020210180452A 2021-12-16 2021-12-16 부품 선별 공급장치 KR102667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452A KR102667917B1 (ko) 2021-12-16 2021-12-16 부품 선별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452A KR102667917B1 (ko) 2021-12-16 2021-12-16 부품 선별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382A true KR20230091382A (ko) 2023-06-23
KR102667917B1 KR102667917B1 (ko) 2024-05-21

Family

ID=8699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452A KR102667917B1 (ko) 2021-12-16 2021-12-16 부품 선별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791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142A (ja) * 1995-02-21 1996-09-03 Shinko Electric Co Ltd 回転式部品供給装置
JP2002338033A (ja) * 2001-05-16 2002-11-27 F I T:Kk 回転式整列供給機
JP2012066894A (ja) * 2010-09-22 2012-04-05 Daiichi Jitsugyo Viswill Co Ltd 整列供給装置
KR20130006339U (ko) * 2013-08-19 2013-11-01 주식회사 에스엔엠 링부품 이송 및 정렬 공급장치
KR102324970B1 (ko) * 2021-04-16 2021-11-10 김기삼 로터리 장치
KR102324974B1 (ko) * 2021-04-16 2021-11-10 김기삼 회전구동장치
JP7090894B2 (ja) * 2018-07-26 2022-06-27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文字列表示装置および文字列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142A (ja) * 1995-02-21 1996-09-03 Shinko Electric Co Ltd 回転式部品供給装置
JP2002338033A (ja) * 2001-05-16 2002-11-27 F I T:Kk 回転式整列供給機
JP2012066894A (ja) * 2010-09-22 2012-04-05 Daiichi Jitsugyo Viswill Co Ltd 整列供給装置
KR20130006339U (ko) * 2013-08-19 2013-11-01 주식회사 에스엔엠 링부품 이송 및 정렬 공급장치
JP7090894B2 (ja) * 2018-07-26 2022-06-27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文字列表示装置および文字列表示方法
KR102324970B1 (ko) * 2021-04-16 2021-11-10 김기삼 로터리 장치
KR102324974B1 (ko) * 2021-04-16 2021-11-10 김기삼 회전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7917B1 (ko) 202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9539B2 (en) Heavy duty centrifugal feeder device and system
US20110073439A1 (en) Aligning and Feeding Device
CN109894388B (zh) 一种软胶囊自动检测系统
KR102324970B1 (ko) 로터리 장치
TW201600296A (zh) 預型胚列整裝置
KR20230091382A (ko) 부품 선별 공급장치
US3726385A (en) Closure handling apparatus
WO2013108655A1 (ja) 振動式部品供給装置
US20080264760A1 (en) Vibratory feeder
KR101716565B1 (ko) 용기 회수 장치 및 용기 회수 장치를 이용한 소변 검사 장치
US4736831A (en) Can unscrambler
EP1222127B1 (en) Arrangement by conveyor for items, such as packaging bodies of glass, for example
KR102324974B1 (ko) 회전구동장치
US5404991A (en) Article orienting device
KR100227837B1 (ko) 물품의 정렬방법 및 그 장치
KR102324973B1 (ko) 컨베이어장치
JP7473791B2 (ja) 物品方向整列装置
KR101968949B1 (ko) 과일선별기 이송장치
US2744612A (en) Orienter
KR101216534B1 (ko) 정제검사기용 정제 공급장치
JP4070848B2 (ja) 略円筒状の物品の払い出し装置及び略円筒状の物品の払い出し方法
JP5845636B2 (ja) 容器整列供給装置
CN102438756A (zh) 持续运转的离心机
JP4243301B2 (ja) 略円筒状の物品の払い出し装置
KR102606511B1 (ko) 파우치 정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