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188A - 빔 표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빔 표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188A
KR20230091188A KR1020237019233A KR20237019233A KR20230091188A KR 20230091188 A KR20230091188 A KR 20230091188A KR 1020237019233 A KR1020237019233 A KR 1020237019233A KR 20237019233 A KR20237019233 A KR 20237019233A KR 20230091188 A KR20230091188 A KR 20230091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ci
transmission
activated
tci
recep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985B1 (ko
Inventor
저 천
신 왕
레이 장
레이 쑹
궈위 장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91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빔 표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으로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가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 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활성화함 -;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후속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이 동일한 공간 필터 또는 송신 가정들을 사용하거나, 활성화 시그널링의 동적 해석에 의해 결정된 각각의 공간 필터들 또는 송신 가정들을 사용한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되거나 주기적으로 스케줄링된 송신에 대해, 동일한 공간 필터 또는 송신 가정들, 또는 활성화 시그널링의 동적 해석에 의해 결정된 각각의 공간 필터들 또는 송신 가정들이 활성화 시그널링과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후속 활성화 시그널링 사이에서 사용되어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고, 설명된 간격에서 빔 표시 모호성의 문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빔 표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BEAM IND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본 개시내용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빔 표시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수 대역에서 통신 시스템의 스루풋 및 커버리지를 개선시키기 위해, 캐리어 주파수가 6GHz보다 클 때 빔 관리 메커니즘이 뉴 라디오(NR) 시스템에 도입된다.
다운링크에 대해, 데이터 채널(PDSCH)의 빔 표시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고레벨 시그널링을 통해 다수의 송신 구성 표시 상태(TCI 상태)들을 구성한다. TCI 상태에서의 각각의 상태는 안테나 포트의 QCL(quasi co-location)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에 대응한다.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의 필드 TCI-PresentInDCI이 "인에이블"로 설정될 때, 단말 장비는, CORESET 내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TCI 필드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동시에,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Threshold-Sched-Offset보다 더 크면, 단말 장비는 TCI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TCI-State에 따라 안테나 포트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한다.
CORESET의 필드 TCI-PresentInDCI이 "디스에이블"인 것으로 설정되거나, PDSCH가 DCI 포맷 1_0에 의해 스케줄링될 때, 단말 장비는 CORESET 상의 DCI 내에 TCI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동시에,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Threshold-Sched-Offset보다 더 크면, 단말 장비에 의해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는 CORESET에 적용되는 TCI 상태와 동일하다.
상기 시나리오들 모두에 대해, 스케줄링 오프셋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Threshold-Sched-Offset 미만인 경우, 단말 장비에 의해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의해 사용되는 TCI 상태와 동일하다.
업링크 데이터 채널들(PUSCH)에 대해, 그들의 빔 표시 메커니즘들은 다음과 같다: DCI 포맷 0_0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에 대해, 단말 장비는 현재 셀의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PUCCH 리소스의 공간 관계에 따라 PUSCH를 송신하고; DCI 포맷 0_1에 의해 스케줄링된 PUSCH에 대해, 단말 장비는 DCI 내의 기준 신호 리소스 표시(SRI) 필드에 의해 표시된 사운딩 기준 신호(SRS)의 공간 관계에 따라 PUSCH를 송신한다.
업링크 제어 채널들(PUCCH)에 대해, 그들의 빔 표시 메커니즘들은 다음과 같다: PUCCH 리소스들이 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된 후, 모든 PUCCH 리소스들의 공간 관계들은 공간 관계 테이블에 의해 표시될 것이고, 테이블 내의 각각의 엔트리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PUCCH-Spatialrelationinfo에 의해 제공된다. 공간 관계 테이블 내에 단 하나의 엔트리만이 존재할 때, 엔트리는 직접적으로 발효된다. 그리고 공간 관계 테이블이 다수의 엔트리를 포함할 때, 엔트리들 중 하나는 각각의 PUCCH 리소스에 대한 MAC-CE(media access control unit) 시그널링을 통해 활성화된다.
또한, 반영구적 스케줄링 메커니즘이 또한 NR 시스템에 도입된다. SPS(semi-persistent scheduling)이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리소스들을 반-정적으로 구성하고 무선 리소스들을 특정 단말 장비에 주기적으로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스케줄링 방법의 이점은 제어 시그널링(PDCCH)의 오버헤드가 절약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무선 시스템의 최신 진화(릴리즈 15)에서, 반영구적 스케줄링의 기능은 더 개선된다. 기존의 반영구적 스케줄링 메커니즘은 각각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도입된다.
다운링크에 대해, 데이터 채널들(PDSCH) 만이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것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즉, gNB)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영구적 스케줄링의 주기성,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들의 수, 및 HARQ에 사용되는 PUCCH 리소스들을 구성한다. 다운링크 반영구적 스케줄링의 구성이 달성될 때, 스케줄링은 즉시 사용될 수 없고, 셀 스케줄링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를 사용함으로써 활성화될 것이다. 그리고, 반영구적 스케줄링이 끝날 때, 이는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를 사용함으로써 비활성화되어야 한다.
업링크에 대해, 데이터 채널들(PUSCH) 및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CSI 리포트)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것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PUSCH를 운반하는 업링크에 대해, SPS는 2가지 타입으로 분할될 수 있다: 구성된 승인을 갖는 타입 1 PUSCH 송신(타입 1) 및 구성된 승인을 갖는 타입 2 PUSCH 송신(타입 2). 타입 1은 업링크 스케줄링된 리소스들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만 구성되고, 구성된 정보는 주파수 리소스 정보, 시간 리소스 정보, 주기성 정보 및 SRI 등을 포함하는 것을 지칭한다. 타입 1의 송신은 DCI에 의해 활성화될 필요가 없고, 송신은 RRC 구성이 완료된 후에 시작한다. 타입 2는 업링크 스케줄링의 정보의 일부가 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는 것을 지칭하고, 구성이 완료된 후에, 스케줄링은 즉시 실행될 수 없고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에 의해 활성화될 것이다. 업링크 스케줄링이 끝날 때, 이는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를 사용함으로써 비활성화되어야 한다.
업링크 운반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의 경우, SPS는 3가지 타입으로 분할될 수 있다: PUCCH 기반 반영구적 CSI 리포팅, PUSCH 기반 반영구적 CSI 리포팅, 및 PUCCH 기반 주기적 CSI 리포팅. PUCCH 기반 반영구적 CSI 리포팅은 RRC 구성이 완료된 후에 MAC-CE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필요가 있고; PUSCH-기반 반영구적 CSI 리포팅은, RRC 구성이 완료된 후에 반영구적 스케줄링-채널 상태 정보-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SP-C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를 사용함으로써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필요가 있고; PUCCH 기반 주기적 CSI 리포팅은 RRC 구성이 완료된 직후 발효된다.
배경에 대한 위의 설명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위해 그리고 관련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위의 기술적 해결책은 본 개시내용의 배경에서 설명되어 있다는 것으로 관련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장비를 위한 전술한 반영구적 스케줄링을 구성한 후에, 반영구적 스케줄링을 위한 빔 표시가 모호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영구적 스케줄링에 대한 빔 표시들은 3가지 타입의 시나리오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시나리오는, DCI(CS-RNTI 또는 SP-CSI-RNTI), MAC-CE 또는 RRC인, 반영구적 스케줄링을 위한 상이한 활성화 모드를 갖는다.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해, 활성화 시그널링이 트리거된 후의 제1 송신 시간(# 1로 표시됨)은 기존의 빔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대응하는 제1 송신 시간 후에 그리고 차회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그널링 전에, 어느 빔이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될지는 단말 장비에 알려지지 않는다.
상기 문제들 또는 다른 유사한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빔 표시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빔 표시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단말 장비에 의해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활성화함 -; 및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들은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하거나,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한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단말 장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빔 표시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들은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하거나,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한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단말 장비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송신 또는 수신하게 하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장비에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활성화 시그널링은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활성화함 -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단말 장비에서 구성된 빔 표시 장치가 제공되고, 장치는,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활성화함 -; 및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들이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하거나,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한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성된 빔 표시 장치가 제공되고, 장치는,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들은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하거나,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한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단말 장비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송신 또는 수신하게 하도록 단말 장비에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활성화 시그널링은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활성화함 -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5 양태에 따르면, 단말 장비가 제공되고, 단말 장비는 제3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제6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4 양태에 설명된 장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7 양태에 따르면, 제5 양태에서 설명된 단말 장비 및 제6 양태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프로그램이 단말 장비에서 실행될 때,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단말 장비에서 제1 양태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단말 장비에서 제1 양태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2 양태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2 양태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이점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되거나 주기적으로 스케줄링된 송신에 대해, 활성화 시그널링과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의 사이에서,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 또는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이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됨으로써, 상기 기간 내의 빔 표시의 모호성의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 있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이 상세히 개시되어 있고,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사용 방식이 나타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용어들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들, 수정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 및/또는 예시된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및/또는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한다(comprises/comprising/includes/including)"는 진술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명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컴포넌트들 또는 그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도면 또는 실시예에 도시된 엘리먼트들 및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추가 도면 또는 실시예에 도시된 엘리먼트들 및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여러 도면들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정하고, 하나보다 많은 실시예에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들을 지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면들은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본 개시내용의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고, 설명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이고, 관련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대해, 다른 첨부 도면들이 독창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서 이들 첨부 도면들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면들에서:
도 1은 기존 스케줄링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빔 표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의 빔 표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실시예 3의 빔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예 4의 빔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실시예 5의 단말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실시예 6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추가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백할 것이다. 설명 및 도면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방식들 중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세히 개시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은 그에 따라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한다. 오히려,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용어들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들, 수정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용어들 "제1" 및 "제2" 등은 명칭들과 관련하여 상이한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러한 요소들의 공간적 배열 또는 시간적 순서들을 나타내지 않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관련 열거된 용어들 중 어느 하나 및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용어들 "함유한다(contain)", "포함한다(include)" 및 "갖는다(have)"는 진술된 특징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또는 어셈블리들의 존재를 지칭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또는 어셈블리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단수 형태들(일(a) 및 이(the) 등)은 복수 형태들을 포함하고, 광의적으로 "일종의" 또는 "타입의"로 이해되어야 하며, "하나"의 의미로서 정의되어서는 안되고, 용어 "이(the)"는, 달리 명시된 것을 제외하고는, 단수 형태 및 복수 형태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용어 "~에 따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 에 따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용어 "~ 에 기초하여"는, 달리 명시된 것을 제외하고는, "~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다음 통신 표준, 즉,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HSPA(high-speed packet access) 등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은, 예를 들어, 다음의 통신 프로토콜들, 즉, 1G(세대), 2G, 2.5G, 2.75G, 3G, 4G, 4.5G, 및 5G 및 장래의 뉴 라디오(NR) 등, 및/또는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장래에 개발될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스테이지에서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단말 장비를 액세스하고 단말 장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내의 장비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 장비, 즉, 기지국(BS), 액세스 포인트(AP), 송신 수신 포인트(TRP), 브로드캐스트 송신기, 이동 관리 엔티티(MME), 게이트웨이, 서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지국 제어기(BSC)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지국은 노드 B(NodeB 또는 NB), 진화된 노드 B(eNodeB 또는 eNB), 및 5G 기지국(gNB)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는 원격 무선 헤드(RRH), 원격 무선 유닛(RRU), 릴레이, 또는 저전력 노드(예컨대, 펨토, 및 피코)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기지국"은 그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기지국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용어 "셀"은 용어의 문맥에 따라 기지국 및/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UE)"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수신하는 장비를 지칭하며, "단말 장비(TE)"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단말 장비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고, 이동국(MS), 단말, 가입자국(SS), 액세스 단말(AT), 또는 스테이션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단말 장비는 다음의 디바이스들, 즉, 셀룰러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머신-타입 통신 디바이스, 랩톱, 무선 전화, 스마트 셀 폰, 스마트 워치, 및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사물 인터넷(IoT) 등의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장비는 또한 모니터링 또는 측정을 수행하는 머신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머신-타입 통신(MTC) 단말, 차량 장착 통신 단말, 디바이스-대-디바이스(D2D) 단말, 및 머신-대-머신(M2M)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의 시나리오들이 예로서 아래에 설명될 것이지만,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여기서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예로서 취해진 경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2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201) 및 단말 장비(20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단말 장비만을 갖는 예가 도 2에 개략적으로 주어져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201)는, 예를 들어, NR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gNB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기존의 트래픽들 또는 장래에 구현될 수 있는 트래픽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201)와 단말 장비(202)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트래픽들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장비(202)는 예컨대 무-승인 송신 모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201)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201)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비(202)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말 장비(202)에 (ACK/NACK 정보와 같은)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고, 단말 장비(202)는 피드백 정보에 따라 송신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확인응답할 수 있거나, 새로운 데이터 송신을 더 수행할 수 있거나, 데이터 재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이 실시예는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빔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이 실시예의 빔 표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방법은
단계 301: 단말 장비가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활성화함 -; 및
단계 302: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들이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하거나,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한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단말 장비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또는 SP-C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일 수 있고, 또한 상기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CE 또는 RRC 시그널링일 수 있지만;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통신 표준들의 개발에 따라, 활성화 시그널링은 또한 다른 시그널링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PDSCH와 같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일 수 있거나, Type1 PUSCH 송신, Type2 PUSCH 송신, PUSCH 기반 반영구적 CSI 리포팅, 또는 PUCCH 기반 반영구적 CSI 리포팅과 같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일 수 있으며; 그리고, PUCCH에 기초한 주기적 CSI 리포팅과 같은, 업링크 송신에 기초한 주기적 CSI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또한 업링크 송신 또는 다운링크 송신의 다른 타입들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하는 것은 다음을 지칭한다:
상기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은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기준 신호들에 기초하거나;
또는, 활성화 시그널링과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큰 경우,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들에서의 제1 송신은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공간 도메인 필터 또는 기준 신호에 기초하고, 제1 송신 이외의 모든 송신들은 제1 송신의 것과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기준 신호들에 기초하거나;
또는, 활성화 시그널링과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제1 송신은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공간 도메인 필터 또는 기준 신호에 기초하고, 제1 송신 이외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모든 송신은 제1 송신의 것과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기준 신호들에 기초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기존 표준들에서 Threshold-Sched-Offset라고 지칭되고, 그 설정 방법 및 원리는 기존 표준들에서의 것들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하는 것은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미리 결정된 순간에 활성화 시그널링을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기준 신호들에 각각 기초한다는 것을 지칭한다. 여기서, 각각의 송신에 대해, 그의 미리 결정된 순간은 고정되고, 송신들의 각각의 미리 결정된 순간들을 설정하는 방식들은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의 빔 표시 방법은 상이한 구현들(시나리오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구현 1:
이 구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이고,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활성화 시그널링과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즉, 배경에서 설명된 스케줄링 오프셋)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Threshold-Sched-Offset보다 더 크고, 이후 단말 장비는 다음의 이해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해 1: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제1 송신의 TCI 상태는 DCI를 운반하는 리소스 제어 세트(CORESET)에 의해 적용된 TCI 상태와 동일하고, 상기 제1 송신 이외의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은 제1 송신의 것과 동일하고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QCL)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 신호들에 기초함; 및
이해 2: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CORESET에 의해 적용되는 TCI 상태와 동일하고, CORESET는 상기 DCI를 운반하는 CORESET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DCI를 운반하는 CORESET를 지칭하며; CORESET는 상기 DCI를 운반하는 CORESE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CI와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캐리어 대역폭(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를 지칭함.
이 구현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 PDSCH인 것을 예로서 들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 구현에서, 다운링크 송신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영구적 스케줄링 파라미터들의 구성을 완료한 후에,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는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 때,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지 않거나, DCI가 다음 조건, 즉, 이 DCI의 포맷이 1_0이거나 DCI를 송신하기 위한 CORESET의 상위 계층 파라미터 TCI-PresentInDCI이 "디스에이블된" 것으로 설정된다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DCI와 그에 의해 활성화된 제1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가 Threshold-Sched-Offset보다 더 크면, DCI에 의해 활성화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들에 대해 다음 빔 표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1: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PDSCH의 TCI 상태는 DCI를 운반하는 CORESET에 의해 적용된 TCI 상태와 동일하다. PDSCH들이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다음 DCI(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PDSCH에 의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 및 DCI에 의해 활성화된 후속하는 PDSCH들에 의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들은 동일하다. 방법 1에서, PDSCH들의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기준 신호들은 PDSCH들이 DCI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동일하여,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2: PDSCH들이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다음 DCI(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단말 장비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PDSCH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CORESET에 의해 적용되는 TCI 상태와 동일해질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 CORESET는 활성화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CORESET가 존재하는 경우, 활성화 명령어(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를 운반하는 CORESET임을 지칭하고; 활성화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상기 CORESE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는 활성화된 BWP에서(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를 지칭한다. 방법 2에서, PDSCH들의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각의 기준 신호는 CORESET의 TCI 상태와 연관된 기준 신호를 동적으로 따를 수 있다. 빔 방향이 빈번하게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빔 표시를 변경하기 위해 DCI 재활성화를 여러 번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DCI의 오버헤드를 낮춘다.
구현 2
이 구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이고,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활성화 시그널링과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Threshold-Sched-Offset 미만이고, 이후 단말 장비는 다음의 이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해 1: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전의 송신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제1 송신의 TCI 상태는 DCI를 운반하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제1 송신 이외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송신들은 제1 송신의 것과 동일하고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QCL)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 신호들에 기초함;
이해 2: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전의 송신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송신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며; CORESET는 DCI를 운반하는 CORESET가 존재하는 경우 DCI를 운반하는 CORESET를 지칭하거나; 또는, CORESET는, DCI를 운반하는 CORESE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CI와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를 지칭함; 및
이해 3: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상기 DCI와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함.
이 구현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 PDSCH인 것을 예로서 들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 구현에서, 다운링크 송신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영구적 스케줄링 파라미터들의 구성을 완료한 후에,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는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 때,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지 않거나, DCI가 다음 조건, 즉, 이 DCI의 포맷이 1_0이거나 DCI를 송신하는 CORESET의 RRC 파라미터 TCI-PresentInDCI이 "디스에이블된" 것으로 설정된다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DCI와 그에 의해 활성화된 제1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가 Threshold-Sched-Offset 미만이면, DCI에 의해 활성화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에 대해 다음 빔 표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1: 단말 장비는 Threshold-Sched-Offset 이전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PDSCH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Threshold-Sched-Offset 이후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PDSCH의 TCI 상태는 DCI를 운반하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다. PDSCH들이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다음 DCI(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Threshold-Sched-Offset 이후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PDSCH 및 후속 PDSCH들에 의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는 동일하다. 방법 1에서, PDSCH들의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기준 신호들은 Threshold-Sched-Offset 후에 그리고 PDSCH들이 DCI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동일하여,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2: 단말 장비는 Threshold-Sched-Offset 이전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PDSCH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PDSCH들이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다음 DCI(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Threshold-Sched-Offset 이후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PDSCH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다. 이 CORESET는 활성화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CORESET가 존재하는 경우 활성화 시그널링(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을 운반하는 CORESET를 지칭하고; 이 CORESET는 활성화 명령어를 운반하는 CORESE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를 지칭한다. 방법 2에서, PDSCH들의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기준 신호들은 Threshold-Sched-Offset 후에 그리고 PDSCH들이 DCI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동적으로 따를 수 있다. 빔 방향이 빈번하게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빔 표시를 변경하기 위해 DCI 재활성화를 여러 번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DCI의 오버헤드를 낮춘다.
방법 3: 단말 장비는 PDSCH들이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다음 DCI(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PDSCH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방법 3에서, 단말 장비는 수신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디폴트 기준 신호들에 따라 PDSCH들을 수신한다. 빔 방향이 빈번하게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빔 표시를 변경하기 위해 DCI 재활성화를 여러 번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DCI의 오버헤드를 낮춘다.
구현 3:
이 구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이고,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고, 활성화 시그널링과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Threshold-Sched-Offset보다 크고, 이후 단말 장비는 다음의 이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해 1: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TCI 상태는 상기 DCI의 TCI 필드에 의해 표시된 제1 송신을 수신하는 BWP와 동일한 BWP에서의 TCI-state의 TCI 상태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송신 이외의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은 상기 제1 송신의 것과 동일하고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 신호들에 기초함;
이해 2: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TCI 상태는 DCI의 TCI 필드에 의해 표시된 송신을 수신하는 BWP와 동일한 BWP 상의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TCI 상태와 동일함.
이 구현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 PDSCH인 것을 예로서 들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 구현에서, 다운링크 송신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영구적 스케줄링 파라미터들의 구성을 완료한 후에,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는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 때,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거나, DCI가 다음 조건, 즉, 이 DCI의 포맷이 1_1이고 DCI를 송신하는 CORESET의 RRC 파라미터 TCI-PresentInDCI이 "인에이블"로 설정된다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DCI와 그에 의해 활성화된 제1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가 Threshold-Sched-Offset보다 더 크면, DCI에 의해 활성화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에 대해 다음 빔 표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1: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PDSCH의 TCI 상태는 DCI의 TCI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PDSCH를 수신하는 BWP와 동일한 BWP에서의) TCI-state에서의 TCI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PDSCH들이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다음 DCI(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PDSCH 및 DCI에 의해 활성화된 후속하는 PDSCH들에 의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들은 동일하다. 방법 1에서, PDSCH들의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기준 신호들은 DCI 재활성화 전에 동일하여,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2: PDSCH들이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다음 DCI(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PDSCH에 대해, 단말 장비의 TCI 상태는 DCI의 TCI 필드에 의해 표시된 (PDSCH를 수신하는 BWP와 동일한 BWP에서의)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TCI 상태와 동일하다. 즉, TCI-state는 2개의 조건을 포함한다: 조건 1: PDSCH를 수신하는 BWP와 동일한 BWP일 것; 및 조건 2: 가장 최근의 슬롯 내의 것일 것. 방법 2에서, PDSCH들의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각의 기준 신호는 TCI-state로 표시되는 TCI 상태를 동적으로 따를 수 있다. 빔 방향이 빈번하게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DCI 재활성화를 다시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DCI의 오버헤드를 낮춘다.
구현 4
이 구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이고,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고, 활성화 시그널링과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Threshold-Sched-Offset 미만이고, 이후 단말 장비는 다음의 이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해 1: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전의 송신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제1 송신의 TCI 상태는 DCI의 TCI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제1 송신을 수신하는 BWP와 동일한 BWP에서의 TCI 상태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송신 이외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송신들은 제1 송신의 것과 동일하고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QCL)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 신호들에 기초함;
이해 2: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전의 송신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각각의 송신의 TCI 상태는 DCI의 TCI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제1 송신을 수신하는 BWP와 동일한 BWP에서의 TCI-state에 의해 결정됨; 및
이해 3: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상기 DCI와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함.
이 구현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 PDSCH인 것을 예로서 들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 구현에서, 다운링크 송신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영구적 스케줄링 파라미터들의 구성을 완료한 후에,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는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 때,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거나, DCI가 다음 조건, 즉, 이 DCI의 포맷이 1_1이고 DCI를 송신하는 CORESET의 RRC 파라미터 TCI-PresentInDCI이 "인에이블"로 설정된다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DCI와 그에 의해 활성화된 제1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가 Threshold-Sched-Offset 미만이면, DCI에 의해 활성화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에 대해 다음 빔 표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1: 단말 장비는 Threshold-Sched-Offset 이전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PDSCH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Threshold-Sched-Offset 후에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PDSCH의 TCI 상태는 DCI의 TCI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PDSCH를 수신하는 BWP와 동일한 BWP 상에서의) TCI-state에 의해 결정된다. PDSCH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다음 DCI(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Threshold-Sched-Offset 이후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PDSCH 및 후속 PDSCH들에 의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들은 동일하다. 방법 1에서, PDSCH들의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기준 신호들은 Threshold-Sched-Offset 후에 그리고 DCI 재활성화 전에 동일하여,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2: 단말 장비는 Threshold-Sched-Offset 이전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PDSCH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PDSCH들이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다음 DCI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단말 장비는 Threshold-Sched-Offset 후에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PDSCH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PDSCH를 수신하는 BWP와 동일한 BWP 상에서) DCI의 TCI 필드에 의해 표시된 TCI-state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방법 2에서, PDSCH들의 안테나 포트들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기준 신호들은 Threshold-Sched-Offset 후에 그리고 DCI 재활성화 전에 제어 채널의 TCI 상태를 동적으로 따를 수 있다. 빔 방향이 빈번하게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빔 표시를 변경하기 위해 DCI 재활성화를 여러 번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DCI의 오버헤드를 낮춘다.
방법 3: PDSCH들이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다음 DCI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단말 장비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PDSCH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방법 3에서, 단말 장비는 수신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디폴트 기준 신호들에 따라 PDSCH들을 수신한다. 빔 방향이 빈번하게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빔 표시를 변경하기 위해 DCI 재활성화를 여러 번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DCI의 오버헤드를 낮춘다.
구현 5
이 구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이고, 상기 송신은 타입 1의 업링크 송신이고, 이후 단말 장비는 다음의 이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할 수 있다:
이해 1: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RRC 시그널링에서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에 따라 결정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이해 2: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RRC 시그널링에서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에 따라 결정되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이해 3: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RRC 시그널링에서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에 의해 SRS 리소스를 나타내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에 따라 결정됨.
이 구현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 타입 1 PUSCH 송신(간략히 PUSCH#1) 인 것을 예로서 들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 구현에서, 업링크 송신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RC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반영구적 스케줄링 파라미터들의 구성을 완료한 후, RRC 시그널링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타입 1 PUSCH 송신을 동시에 활성화하며, 즉, 타입 1 PUSCH 송신이 시작된다. 다음의 빔 표시 방법들이 PUSCH#1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1: 단말 장비는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SCH#1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고, rrc-ConfiguredUplinkGrant가 재구성되기 전에,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후속 (활성화된) PUSCH#1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활성화된) PUSCH#1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하다. 방법 1에서, PUSCH#1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rrc-ConfiguredUplinkGrant가 재구성되기 전에 항상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됨으로써,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2: 단말 장비는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에 따라 제1 활성화된 송신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고, rrc-ConfiguredUplinkGrant가 재구성되기 전에, 제1 (활성화된) PUSCH#1을 송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필터는 후속 (활성화된) PUSCH#1을 송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하다. 방법 2에서, PUSCH#1을 송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필터는 rrc-ConfiguredUplinkGrant가 재구성되기 전에 항상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됨으로써,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3: rrc-ConfiguredUplinkGrant가 재구성되기 전에, 각각의 활성화된 PUSCH#1의 공간 관계는 srs-ResourceIndicator에 의해 SRS 리소스를 나타내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방법 3에서, PUSCH#1을 송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필터는 srs-ResourceIndicator에 의해 표시된 SRS 리소스의 공간 관계와 함께 동적으로 변하고, 빔 방향이 빈번하게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RRC 시그널링을 재구성할 필요가 없고, 그에 의해 DCI의 오버헤드를 낮춘다.
이 구현의 변형에서, srs-ResourceIndicator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SRI-Present 같은 구성 엔트리(정보 엘리먼트라고도 지칭됨)가 rrc-ConfiguredUplinkGrant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엔트리가 "인에이블"로 설정될 때, srs-ResourceIndicatorrrc-ConfiguredUplinkGrant에 존재할 것이고, 단말 장비는 상기 이해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타입 1 PUSCH 송신을 송신할 수 있으며; 그리고 구성 엔트리가 "디스에이블"로 설정될 때,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가 존재하지 않고, 단말 장비는 다음의 이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할 수 있다:
이해 1: 상기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업링크 송신과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공간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이해 2: 상기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업링크 송신과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공간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제1 송신 이외의 상기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이해 3: 상기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업링크 송신과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와 동일함.
즉, 이 변형에서, 상기 구성 엔트리가 디스에이블되도록 설정될 때, PUSCH#1에 대해 다음의 빔 표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1: 단말 장비는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PUSCH#1 송신과 동일한 셀에서) PUCCH의 공간 방향(존재할 경우)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SCH#1의 공간 관계를 결정한다. PUCCH 리소스가 전용 RRC에 의해 구성되지 않았다면, PUSCH#1은 전용 RRC에 의해 구성되기 전에 PUCCH의 공간 방향을 따를 것이고, 즉, 이는 Msg 3의 공간 방향과 동일하다. rrc-ConfiguredUplinkGrant가 재구성되기 전에, 후속 (활성화된) PUSCH#1의 송신이 기초하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는 기준 신호는 제1 (활성화된) PUSCH#1의 송신이 기초하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는 기준 신호와 동일하다. 방법 1에서, 타입 1 PUSCH 송신의 공간 관계는 PUCCH의 것과 동일해지도록 수 있고, 동시에, PUS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는 기준 신호는 rrc-ConfiguredUplinkGrant가 재구성되기 전에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며, 이에 의해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2: 단말 장비는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PUSCH#1 송신과 동일한 셀에서) PUCCH의 공간 방향(존재할 경우)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SCH#1의 공간 관계를 결정한다. PUCCH 리소스가 전용 RRC에 의해 구성되지 않았다면, PUSCH#1은 전용 RRC에 의해 구성되기 전에 PUCCH의 공간 방향을 따를 것이고, 즉, 이는 Msg 3의 공간 방향과 동일하다. rrc-ConfiguredUplinkGrant가 재구성되기 전에, 다음 활성화된 PUSCH#1의 공간 도메인 필터는 제1 활성화된 PUSCH#1의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하다. 방법 2에서, 타입 1 PUSCH 송신의 공간 관계는 PUCCH의 것과 동일할 수 있고, 동시에, PUSCH를 송신할 때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는 rrc-ConfiguredUplinkGrant가 재구성되기 전에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고, 그에 의해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3: rrc-ConfiguredUplinkGrant가 재구성되기 전에, 각각의 활성화된 PUSCH의 공간 관계는 (PUSCH#1 송신과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PUCCH에 대한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존재할 경우)에 기초할 것이다. PUCCH 리소스가 전용 RRC에 의해 구성되지 않았다면, PUSCH#1을 송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필터는 Msg 3의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할 것이다. 방법 3에서, 타입 1 PUSCH 송신의 공간 관계는 PUCCH의 공간 관계와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빔 방향이 빈번하게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RRC 재구성을 여러 번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낮춘다.
이 구현의 다른 변형에서, SRI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srs-ResourceIndicator 내의 필드가 사용될 수 있다. 필드의 값에 따라 SRI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때, 단말 장비는 이전 변형에서의 이해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rs-ResourceIndicator 내의 "1111"과 같은 코드 포인트는 SRI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과 같을 수 있다. 그리고, srs-ResourceIndicator가 "1111"로 설정될 때, 이전 변형에서의 빔 표시 방법들이 PUSCH#1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구현 6
이 구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송신은 타입 2의 업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0이며, 단말 장비는 다음의 이해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할 수 있다:
이해 1: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DCI와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공간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이해 2: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DCI와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공간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제1 송신 이외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이해 3: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DCI와 동일한 셀 내의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와 동일함.
이 구현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 타입 2 PUSCH 송신(간략히 PUSCH#2)인 것을 예로서 들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 구현에서, 업링크 송신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영구적 스케줄링 파라미터들의 구성을 완료한 후, 타입 2 PUSCH 송신들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0에 의해 활성화되고, PUSCH#2에 대해 다음의 빔 표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1: 단말 장비는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PUCCH의 공간 방향(존재할 경우)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SCH#2의 공간 관계를 결정한다. PUCCH 리소스가 전용 RRC에 의해 구성되지 않았다면, PUSCH#2는 전용 RRC에 의해 구성되기 전에 PUCCH의 공간 방향을 따를 것이고, 즉, 이는 Msg 3의 공간 방향과 동일하다. PUSCH들이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0에 의해 재활성화되기 전에, 후속(활성화된) PUSCH#2의 송신이 기초하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는 기준 신호는 제1 (활성화된) PUSCH#2의 송신이 기초하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는 기준 신호와 동일하다. 방법 1에서, PUSCH#2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DCI 재활성화 전에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며, 따라서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2: 단말 장비는 활성화된 BWP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PUCCH의 공간 방향(존재할 경우)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SCH#2의 공간 관계를 결정한다. PUCCH 리소스가 전용 RRC에 의해 구성되지 않았다면, PUSCH#2는 전용 RRC에 의해 구성되기 전에 PUCCH의 공간 방향을 따를 것이고, 즉, 이는 Msg 3의 공간 방향과 동일하다. PUSCH들이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0에 의해 재활성화되기 전에, 제1 (활성화된) PUSCH#2를 송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필터는 후속 PUSCH#2를 송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하다. 방법 2에서, PUSCH#2를 송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필터는 DCI 재활성화 전에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며, 따라서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3: PUSCH가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0에 의해 재활성화되기 전에, 각각의 활성화된 PUSCH#2의 공간 관계는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PUCCH에 대한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존재할 경우)에 기초하여 결정될 것이다. PUCCH 리소스가 전용 RRC에 의해 구성되지 않았다면, PUSCH#2을 송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필터는 Msg 3의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할 것이다. 방법 3에서, PUSCH#2의 공간 관계는 PUCCH의 공간 관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빔 방향이 빈번하게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동적 빔 전환이 완료될 수 있고, 여러 번 RRC 재구성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낮춘다.
구현 7
이 구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송신은 타입 2의 업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1이며, 단말 장비는 다음의 이해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할 수 있다:
이해 1: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DCI의 캐리어 표시자 필드 및 SRI 필드에 의해 표시된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이해 2: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DCI의 캐리어 표시자 필드 및 SRI 필드에 의해 표시된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제1 송신 이외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이해 3: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DCI에 의해 표시된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와 동일함.
이 구현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 타입 2 PUSCH 송신(간략히 PUSCH#2)인 것을 예로서 들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 구현에서, 업링크 송신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영구적 스케줄링 파라미터들의 구성을 완료한 후, 타입 2 PUSCH 송신들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1에 의해 활성화되고, PUSCH#2에 대해 다음의 빔 표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1: 단말 장비는 DCI의 캐리어 표시자 필드 및 SRI 필드에 의해 표시된 공간 관계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SCH#2를 송신하고, PUSCH들이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1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후속하는 (활성화된) PUSCH#2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활성화된) PUSCH#2를 송신하는 것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하다. 방법 1에서,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PUSCH#2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DCI 재활성화 전에 항상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됨으로써,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2: 단말 장비는 DCI의 캐리어 표시자 필드 및 SRI 필드에 의해 표시된 공간 관계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SCH#2를 송신하고, PUSCH들이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1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제1 (활성화된) PUSCH#2를 송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필터는 후속 PUSCH#2를 송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하다. 방법 2에서, PUSCH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는 DCI 재활성화 전에 항상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며, 따라서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3: PUSCH들이 동일한 셀에서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1에 의해 재활성화/비활성화되기 전에, 각각의 활성화된 PUSCH#2를 송신하기 위한 공간 관계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DCI에 의해 표시된 필요한 SRS 리소스의 공간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될 것이다. 방법 3에서, PUSCH#2의 공간 관계는 DCI에 의해 표시된 SRS 리소스의 공간 관계와 동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빔 방향이 빈번히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동적 빔 전환이 완료될 수 있고, 여러 번의 DCI 재활성화가 필요하지 않아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낮춘다.
구현 8
이 구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업링크 데이터 채널(PUSCH)에 기초한 반영구적 CSI 리포트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SP-C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1이며, 단말 장비는 다음의 이해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한다:
이해 1: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DCI의 캐리어 표시자 필드 및 SRI 필드에 의해 표시된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이해 2: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DCI의 캐리어 표시자 필드 및 SRI 필드에 의해 표시된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제1 송신 이외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이해 3: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DCI에 의해 표시된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와 동일함.
이 구현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 PUSCH에 기초한 반영구적 CSI 리포트인 것을 예로서 들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RC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반영구적 스케줄링 파라미터들의 구성을 완료한 후에, PUSCH에 기초한 반영구적 CSI 리포트는 SP-C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1에 의해 활성화되고, 다음의 빔 표시 방법들이 반영구적 CSI 리포트를 운반하는 PUSCH에 대해 사용되고 DCI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방법 1: 단말 장비는 DCI의 캐리어 표시자 필드 및 SRI 필드에 의해 표시된 공간 관계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SCH를 송신하고, PUSCH들이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1에 의해 재활성화되기 전에,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후속하는 (활성화된) PUS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활성화된) PUSCH를 송신하는 것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하다. 방법 1에서,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PUS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DCI 재활성화 전에 항상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됨으로써,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2: 단말 장비는 DCI의 캐리어 표시자 필드 및 SRI 필드에 의해 표시된 공간 관계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SCH를 송신하고, PUSCH들이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1에 의해 재활성화되기 전에, 제1 (활성화된) PU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는 후속 PU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하다. 방법 2에서, PUSCH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는 DCI 재활성화 전에 항상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며, 따라서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3: PUSCH들이 동일한 셀에서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되는 DCI 포맷 0_1에 의해 재활성화되기 전에, 각각의 활성화된 PUSCH의 공간 관계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DCI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될 것이다. 방법 3에서, PUSCH의 공간 관계는 DCI에 의해 표시된 공간 관계와 동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빔 방향이 빈번히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동적 빔 전환이 완료될 수 있고, 여러 번의 DCI 재활성화가 필요하지 않아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낮춘다.
구현 9
이 구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에 기초한 반영구적 CSI 리포트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CE이고, 단말 장비는 다음의 이해들 중 임의의 것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한다:
이해 1: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이 RRC에 의해 구성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송신 이외의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송신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이해 2: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RRC에 의해 구성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제1 송신 이외의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이해 3: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적용된 연관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와 동일함.
이 구현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 PUCCH에 기초한 반영구적 CSI 리포트인 것을 예로서 들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영구적 스케줄링 파라미터들의 구성을 완료한 후에, PUCCH에 기초한 반영구적 CSI 리포트는 MAC-CE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되고, 다음의 빔 표시 방법들이 반영구적 CSI 리포트를 운반하고 MAC-CE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되는 PUCCH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1: 단말 장비는 RRC에 의해 구성된 공간 관계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CCH를 송신하고, PUCCH들이 MAC-CE 시그널링에 의해 재활성화되기 전에,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후속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하다. 방법 1에서,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MAC-CE 재활성화 전에 항상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고, 그에 의해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2: 단말 장비는 RRC에 의해 구성된 공간 관계에 따라 제1 PUCCH를 송신하고, PUCCH들이 MAC-CE 시그널링에 의해 재활성화되기 전에, 제1 PUCCH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는 다음의 PUCCH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하다. 방법 2에서, PUC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는 MAC-CE 재활성화 전에 항상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고, 그에 의해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3: MAC-CE 시그널링 재활성화 전에, 각각의 활성화된 PUCCH의 공간 관계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활성화된 공간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될 것이다. 공간 관계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공간 관계는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구성된 공간 관계 테이블 내의 제1 엔트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방법 3에서, 활성화된 PUCCH의 공간 관계는 (구성된 공간 관계 테이블 내의 제1 엔트리에 따라) MAC-CE 시그널링 또는 디폴트 표시와 함께 동적으로 변할 것이다. 따라서, 빔 방향이 빈번히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동적 빔 전환이 완료될 수 있고, 여러 번의 MAC-CE 재활성화가 필요하지 않아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낮춘다.
구현 10
이 구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에 기초한 반영구적 CSI 리포트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CE이고, 단말 장비는 제1 BWP로부터 다른 BWP로 전환되고, 제1 BWP로 다시 전환되며, 단말 장비는 다음의 이해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할 수 있다:
이해 1: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이 RRC에 의해 구성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송신 이외의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이해 2: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RRC에 의해 구성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제1 송신 이외의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이해 3: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가장 최근의 슬롯의 적용된 연관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와 동일함;
이해 4: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제1 BWP에서 송신을 최근에 송신하기 위한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이해 5: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제1 BWP에서 상기 송신을 최근에 송신하기 위한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제1 송신 이외의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이 구현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 PUCCH에 기초한 반영구적 CSI 리포트인 것을 예로서 들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영구적 스케줄링 파라미터들의 구성을 완료한 후에, PUCCH에 기초한 반영구적 CSI 리포트는 MAC-CE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다. 단말 장비는 (제1 BWP로 지칭되는) 원래의 BWP로부터 다른 BWP로 전환되고, 이 때, 원래 활성화된 반영구적 PUCCH(즉, 반영구적 CSI 리포트를 운반하는 PUCCH)의 송신이 중지된다. 단말 장비가 다른 BWP로부터 다시 원래의 BWP로 전환될 때, 반영구적 PUCCH의 송신이 복구되고, 단말 장비가 다시 원래의 BWP로 전환된 후에 복구되고 MAC-CE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반영구적 CSI 리포트를 운반하는 PUCCH에 대해 다음의 빔 표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1: 단말 장비는 RRC에 의해 구성된 공간 관계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CCH를 송신하고, PUCCH들이 MAC-CE 시그널링에 의해 재활성화되기 전에,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후속 (활성화된)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하다. 방법 1에서,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MAC-CE 재활성화 전에 항상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고, 그에 의해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2: 단말 장비는 RRC에 의해 구성된 공간 관계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CCH를 송신하고, PUCCH들이 MAC-CE 시그널링에 의해 재활성화되기 전에, 제1 (활성화된) PUCCH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는 다음의 (활성화된) PUCCH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하다. 방법 2에서, PUC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는 MAC-CE 재활성화 전에 항상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고, 그에 의해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3: MAC-CE 시그널링 재활성화 전에, 각각의 활성화된 PUCCH의 공간 관계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활성화된 공간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될 것이다. 공간 관계가 활성화되지 않았으면, 공간 관계는 미리 설정된 액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구성된 공간 관계 테이블 내의 제1 엔트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방법 3에서,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MAC-CE 시그널링 또는 디폴트 표시와 함께(구성된 공간 관계 테이블 내의 제1 엔트리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것이다. 따라서, 빔 방향이 빈번히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동적 빔 전환이 완료될 수 있고, 여러 번의 MAC-CE 재활성화가 필요하지 않아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낮춘다.
방법 4: 단말 장비는 원래의 BWP상에서 (중지되기 전에) 반영구적 PUCCH의 최근 송신이 기초하는 공간 관계에 따라 제1 PUCCH를 송신하고, PUCCH들이 MAC-CE 시그널링에 의해 재활성화되기 전에,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후속하는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하다. 방법(4)에서, 단말 장비가 원래의 BWP로 다시 전환된 후에,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전환 이전의 것과 동일하고, 그에 의해, BWP 전환 동안 PUCCH의 송신 방향의 일관성을 보장한다.
방법 5: 단말 장비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중지되기 전에) 원래 BWP에서의 반영구적 PUCCH의 최근 송신에 기초하는 기준 신호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CCH를 송신하고, PUCCH들이 MAC-CE 시그널링에 의해 재활성화되기 전에, 제1 PUCCH를 송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필터는 다음의 PUCCH를 송신하기 위한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하다. 방법 5에서, 단말 장비가 원래의 BWP로 다시 전환된 후에, PUC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는 전환 전의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하고, 그에 의해, BWP 전환 동안 PUCCH의 송신 방향의 일관성을 보장한다.
구현 11
이 구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업링크 송신에 기초한 주기적 CSI 리포트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이고, 단말 장비는 다음의 이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을 송신할 수 있다:
이해 1: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RRC에 의해 구성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이해 2: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RRC에 의해 구성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이해 3: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연관된 제어 채널의 적용된 공간 관계와 동일함.
이 구현은 업링크 송신에 기초한 주기적 CSI 리포트가 PUCCH에 기초한 주기적 CSI 리포트인 것을 예로서 들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RC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스케줄링 파라미터들의 구성을 완료한 후에, PUCCH에 기초한 주기적 CSI 리포트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되고, 즉, PUCCH에 기초한 주기적 CSI 리포트가 시작된다. 그리고 PUCCH에 대해 다음의 빔 표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방법 1: 단말 장비는 RRC에 의해 구성된 공간 관계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CCH를 송신하고, 대응하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재구성되기 전에,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활성화된)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후속 (활성화된)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하다. 방법 1에서,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대응하는 RRC 시그널링의 재구성 전에 항상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며, 따라서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2: 단말 장비는 RRC에 의해 구성된 공간 관계에 따라 제1 활성화된 PUCCH를 송신하고, 대응하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재구성되기 전에, 제1 (활성화된) PUCCH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는 후속 (활성화된) PUCCH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하다. 방법 2에서, PUC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는 대응하는 RRC 시그널링의 재구성 전에 항상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고, 그에 의해 시스템의 복잡성을 낮춘다.
방법 3: 대응하는 RRC 시그널링의 재구성 전에, 각각의 활성화된 PUCCH의 공간 관계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연관된 제어 채널의 적용된 공간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될 것이다. 공간 관계가 활성화되지 않았으면, 공간 관계는 미리 설정된 액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구성된 공간 관계 테이블 내의 제1 엔트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방법 3에서,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PUCCH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MAC-CE 시그널링 또는 디폴트 표시와 함께(구성된 공간 관계 테이블 내의 제1 엔트리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것이다. 따라서, 빔 방향이 빈번하게 변하는 시나리오에서, 동적 빔 전환이 완료될 수 있고, 대응하는 RRC 시그널링을 여러 번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낮춘다.
상기 구현들 1-11에서, 빔 표시 방법은 단말 장비의 관점에서만 설명된다. 그러나, 빔 표시의 이해는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일치한다.
이 실시예의 빔 표시 방법은 특정 구현들(시나리오들)과 관련하여 전술되었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실시예의 빔 표시 방법은 다른 시나리오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 시그널링은 DCI, MAC-CE 및 RRC 이외의 다른 시그널링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활성화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 및 업링크 송신에 기초한 CSI 이외의 송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나리오들은 특정 구현들에 따라 다양한 방식들로 더 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되거나 주기적으로 스케줄링된 송신에 대해, 활성화 시그널링과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 사이에,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 또는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이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기간 내의 빔 표시의 모호성의 문제를 해결한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하고, 실시예 1의 방법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처리인 빔 표시 방법을 제공하며, 실시예 1에서의 것과 동일한 내용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4는 이 실시예의 빔 표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401: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이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 또는 송신 가설을 사용하거나,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 또는 송신 가설을 사용한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단말 장비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송신 또는 수신하게 하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활성화 시그널링을 단말 장비로 송신- 활성화 시그널링은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활성화함 -.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이거나, SP-C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이거나, MAC-CE이거나, RRC 시그널링이다. 활성화 시그널링이 실시예 1에서 상세히 설명되기 때문에, 그의 내용이 여기에 포함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은, 예를 들어, (실시예 1의 구현들 1-4에 대응하는)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거나, (실시예 1의 구현들 5-10에 대응하는)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거나, (실시예 1의 구현 11에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에 기초한 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CSI) 리포트이다. 상이한 시나리오들에서의 빔 표시 방법이 실시예 1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그 내용은 여기에 포함되고, 여기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0: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장비에 대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파라미터들 또는 주기적으로 스케줄링된 파라미터들을 구성.
특정 구성 방법은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파라미터들의 구성을 완료한 후, 단말 장비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대응하는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들은 실시예 1에서 설명되었고,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RRC 시그널링은 정보 엘리먼트 rrc-ConfiguredUplinkGrant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엘리먼트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구현 5의 제1 변형에 대응하여, 단말 장비는 그에 따라 빔 표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RRC 시그널링은 정보 엘리먼트 srs-ResourceIndicator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엘리먼트 srs-ResourceIndicator는 SRI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구현 5의 제2 변형에 대응하여, 단말 장비는 그에 따라 빔 표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되거나 주기적으로 스케줄링된 송신에 대해, 활성화 시그널링과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 사이에,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 또는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이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기간 내의 빔 표시의 모호성의 문제를 해결한다.
실시예 3
이 실시예는 단말 장비에서 구성된 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들이 실시예 1의 방법의 원리와 유사하므로, 이 장치의 구현을 위해 실시예 1의 방법의 구현을 참조할 수 있으며, 동일한 내용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5는 이 실시예의 빔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표시 장치(500)는 수신 유닛(501) 및 송신 유닛(502)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501)은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활성화하고; 송신 유닛(502)은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들이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하거나,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한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또는 SP-C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또는 MAC-CE, 또는 RRC 시그널링일 수 있고, 그 상세들은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고,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 또는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 또는 업링크 송신에 기초한 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CSI) 리포트일 수 있고, 그 상세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고,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하는 것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한다: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은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 또는 기준 신호에 기초하는 것;
활성화 시그널링과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큰 경우,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들에서의 제1 송신은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공간 도메인 필터 또는 기준 신호에 기초하고, 제1 송신 이외의 모든 송신들은 제1 송신의 것과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기준 신호들에 기초하는 것; 및
활성화 시그널링과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제1 송신은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된 공간 도메인 필터 또는 기준 신호에 기초하고, 제1 송신 이외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모든 송신은 제1 송신의 것과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기준 신호들에 기초하는 것.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하는 것은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이 미리 결정된 시간에 활성화 시그널링을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기준 신호들에 각각 기초한다는 것을 지칭한다.
일 구현에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이고,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활성화 시그널링과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크고,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한다: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TCI 상태는 DCI를 운반하는 리소스 제어 세트(CORESET)에 의해 사용된 TCI 상태와 동일하고, 상기 제1 송신 이외의 상기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은 상기 제1 송신의 것과 동일하고 안테나 포트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 신호에 기초함; 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CORESET에 의해 사용되는 TCI 상태와 동일하고, CORESET는 DCI를 운반하는 CORESET가 존재하는 경우 DCI를 운반하는 CORESET를 지칭하거나, CORESET는 DCI를 운반하는 CORESE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DCI와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WP) 내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를 지칭함.
다른 구현에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이고,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활성화 시그널링과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고,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한다: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전의 송신들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제1 송신의 TCI 상태는 DCI를 운반하는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제1 송신 이외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송신들은 제1 송신의 것과 동일하고 안테나 포트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에 기초함; 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전의 송신들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송신들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 내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CORESET는 DCI를 운반하는 CORESET를 지칭하거나, CORESET는 DCI를 운반하는 CORESE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DCI와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를 지칭함; 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 내의 그리고 DCI와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함.
다른 구현에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이고,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활성화 시그널링과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크고,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한다: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TCI 상태는 DCI의 TCI 필드에 의해 표시된 제1 송신을 수신하는 BWP와 동일한 BWP에서의 TCI-state에서의 TCI 상태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송신 이외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은 제1 송신의 것과 동일하고 안테나 포트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 신호에 기초함; 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TCI 상태는 DCI의 TCI 필드에 의해 표시된 송신을 수신하는 BWP와 동일한 BWP에서의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TCI-state와 동일함.
또 다른 구현에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이고,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활성화 시그널링과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고,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한다: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전의 송신들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제1 송신의 TCI 상태는 DCI의 TCI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제1 송신을 수신하는 BWP와 동일한 BWP에서의 TCI-stat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송신 이외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송신들은 제1 송신의 것과 동일하고 안테나 포트의 준 동일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에 기초함; 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전의 송신들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각각의 송신의 TCI 상태는 DCI의 TCI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제1 송신을 수신하는 BWP와 동일한 BWP에서의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TCI-state에 의해 결정됨; 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TCI 상태는 가장 최근의 슬롯 내의 그리고 DCI와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함.
또 다른 구현에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이고, 송신은 타입 1의 업링크 송신이고,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한다: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RRC 시그널링의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에 따라 결정되고,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RRC 시그널링에서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에 따라 결정되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RRC 시그널링에서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에 의해 SRS 리소스를 나타내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에 따라 결정됨.
또 다른 구현에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송신은 타입 1의 업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이고, srs-ResourceIndicator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RRC 시그널링의 rrc-ConfiguredUplinkGrant 의 정보 엘리먼트가 존재하며;
정보 엘리먼트가 인에이블되도록 설정될 때,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하고: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RRC 시그널링의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에 따라 결정되고,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RRC 시그널링에서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에 따라 결정되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RRC 시그널링에서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에 의해 SRS 리소스를 나타내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에 따라 결정됨;
그리고, 정보 엘리먼트가 디스에이블되도록 설정될 때,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한다: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업링크 송신과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공간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업링크 송신과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공간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업링크 송신과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와 동일함.
또 다른 구현에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송신은 타입 1의 업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이고, RRC 시그널링의 srs-ResourceIndicator는 SRI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고,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한다: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업링크 송신과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공간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업링크 송신과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공간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업링크 송신과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와 동일함.
또 다른 구현에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송신은 타입 2의 업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0이며,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한다: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DCI와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공간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의 공간 관계는 DCI와 동일한 셀 내의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공간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제1 송신 이외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DCI와 동일한 셀 내의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와 동일함.
다른 구현에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송신은 타입 2의 업링크 송신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1이며,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한다: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DCI의 캐리어 표시자 필드 및 SRI 필드에 의해 표시된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DCI의 캐리어 표시자 필드 및 SRI 필드에 의해 표시된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제1 송신 이외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DCI에 의해 표시된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와 동일함.
다른 구현에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 기초한 반영구적 CSI 리포트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SP-C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포맷 0_1로 이루어지고,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한다: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DCI의 캐리어 표시자 필드 및 SRI 필드에 의해 표시된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DCI의 캐리어 표시자 필드 및 SRI 필드에 의해 표시된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제1 송신 이외의 DCI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DCI에 의해 표시된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공간 관계와 동일함.
다른 구현에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업링크 제어 채널에 기초한 반영구적 CSI 리포트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CE이고,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한다: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이 RRC에 의해 구성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송신 이외의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송신의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또는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RRC에 의해 구성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제1 송신 이외의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또는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적용된 연관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와 동일함.
다른 구현에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고, 업링크 제어 채널에 기초한 반영구적 CSI 리포트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MAC-CE이고, 단말 장비는 제1 BWP로부터 다른 BWP로 전환되고 제1 BWP로 다시 전환되며,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한다: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이 RRC에 의해 구성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송신 이외의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나타내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또는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RRC에 의해 구성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제1 송신 이외의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또는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적용된 연관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와 동일함. 또는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제1 BWP에서 송신을 최근에 송신하기 위한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또는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제1 BWP에서 송신을 최근에 송신하기 위한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제1 송신 이외의 MAC-CE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된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다른 구현에서, 송신은 업링크 송신에 기초한 주기적 CSI 리포트이고, 활성화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이고, 송신 유닛(502)은 다음의 이해에 기초하여 송신을 송신한다: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RRC에 의해 구성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는 공간 관계를 표시하고 제1 송신이 기초하는 기준 신호와 동일함; 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제1 송신은 RRC에 의해 구성된 제어 채널의 공간 관계에 따라 송신되고, 제1 송신 이외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들은 제1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 도메인 필터와 동일함; 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각각의 송신의 공간 관계는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연관된 제어 채널의 적용된 공간 관계와 동일함.
이 실시예의 장치에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되거나 주기적으로 스케줄링된 송신에 대해, 활성화 시그널링과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 사이에,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 또는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이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기간 내의 빔 표시의 모호성의 문제를 해결한다.
실시예 4
이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구성된 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들이 실시예 2의 방법의 원리와 유사하므로, 이 장치의 구현을 위해 실시예 2의 방법의 구현을 참조할 수 있으며, 동일한 내용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6은 이 실시예의 빔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표시 장치(600)는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들은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하거나,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한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단말 장비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송신 또는 수신하게 하도록 단말 장비에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601)- 활성화 시그널링은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활성화함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또는 SP-C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또는 MAC-CE일 수 있거나, RRC 구성이고;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 또는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 또는 업링크 송신에 기초한 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CSI) 리포트일 수 있다. 활성화 시그널링 및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송신들이 실시예 1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그들의 내용은 여기에 포함되고, 여기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표시 장치(600)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장비에 대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파라미터들 또는 주기적으로 스케줄링된 파라미터들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유닛(6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RRC 시그널링은 정보 엘리먼트 rrc-ConfiguredUplinkGrant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엘리먼트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구현 5의 제1 변형에 대응하여, 단말 장비는 그에 따라 빔 표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RRC 시그널링은 정보 엘리먼트 srs-ResourceIndicator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엘리먼트 srs-ResourceIndicator는 SRI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구현 5의 제2 변형에 대응하여, 단말 장비는 그에 따라 빔 표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장치에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되거나 주기적으로 스케줄링된 송신에 대해, 활성화 시그널링과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 사이에,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 또는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이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기간 내의 빔 표시의 모호성의 문제를 해결한다.
실시예 5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실시예 3에서 설명된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장비를 제공한다.
도 7은 이 실시예의 단말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700)는 중앙 처리 유닛(701) 및 메모리(702)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702)는 중앙 처리 유닛(701)에 결합된다. 이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이 구조를 보충하거나 대체하고 통신 기능 또는 다른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타입의 구조들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 구현에서, 실시예 3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유닛(701)에 통합될 수 있고, 중앙 처리 유닛(701)은 실시예 3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을 실행한다. 실시예 3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은 여기에 포함되고, 여기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구현에서, 실시예 3에서 설명된 장치 및 중앙 처리 유닛(701)은 별개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시예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는 중앙 처리 유닛(701)에 접속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실시예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유닛(701)의 제어 하에서 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700)는 통신 모듈(703), 입력 유닛(704), 오디오 처리 유닛(705), 디스플레이 (706), 및 전원(7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비(700)는 도 7에 도시된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단말 장비(700)는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관련 기술이 참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701)은 때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 디바이스들 및/또는 로직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제어기 또는 제어부로서 지칭되고, 중앙 처리 유닛(701)은 입력을 수신하고 단말 장비(700)의 모든 컴포넌트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메모리(702)는, 예를 들어, 버퍼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모바일 매체,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이들은 구성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또한 관련 정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701)은 정보 저장 또는 처리 등을 실현하기 위해 메모리(70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부분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의 기능들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단말 장비(700)의 부분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특정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단말 장비에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되거나 주기적으로 스케줄링된 송신에 대해, 활성화 시그널링과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 사이에,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 또는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이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기간 내의 빔 표시의 모호성의 문제를 해결한다.
실시예 6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는 중앙 처리 유닛(CPU)(801) 및 메모리(802)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802)는 중앙 처리 유닛(801)에 결합된다. 메모리(802)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이는 정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중앙 처리 유닛(801)의 제어 하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고 다양한 정보를 단말 장비에 송신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유닛(801) 내에 통합될 수 있고, 중앙 처리 유닛(801)은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을 실행한다.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은 여기에 포함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구현에서, 실시예 4 및 중앙 처리 유닛(80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는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는 중앙 처리 유닛(801)에 접속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실시예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유닛(801)의 제어 하에서 달성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는 트랜시버(803) 및 안테나(8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의 기능들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는 도 8에 도시된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는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관련 기술이 참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되거나 주기적으로 스케줄링된 송신에 대해, 활성화 시그널링과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 사이에,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 또는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이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기간 내의 빔 표시의 모호성의 문제를 해결한다.
실시예 7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실시예 6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이고, 단말 장비는, 예를 들어, 실시예 5에서 설명된 단말 장비(700)이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예를 들어, gNB에 의해 서빙되는 UE이고, 실시예 3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에 더하여 단말 장비의 종래의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하며, 이는 실시예 5에서 설명된 바와 같고,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NR에서의 gNB일 수 있고,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에 더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종래의 구성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며, 이는 실시예 6에서 설명된 바와 같고, 여기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서, 활성화 시그널링과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 사이의 반영구적 스케줄링 또는 다른 스케줄링의 빔 표시의 모호성의 문제가 해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단말 장비에서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데, 이는 컴퓨터로 하여금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단말 장비에서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시예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데, 이는 컴퓨터로 하여금 실시예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상기 장치들 및 방법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와 조합된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프로그램이 로직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로직 디바이스가 전술된 바와 같은 장치 또는 컴포넌트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거나, 전술된 바와 같은 방법들 또는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DVD, 및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서비스 수신 또는 송신 장치 또는 측정 장치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수신 또는 송신 방법 또는 측정 방법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도 및/또는 기능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절차의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응하거나 하드웨어 모듈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도면에 도시된 단계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 모듈은,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사용하여 소프트 모듈들을 퍼밍(firming)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및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ROM, 또는 관련 기술에 공지된 다른 형태의 임의의 메모리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프로세서는 메모리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정보를 메모리 매체에 기입할 수 있거나; 또는,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 매체는 ASIC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모바일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또한 플러그가능한 모바일 단말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과 같은) 장비가 비교적 큰 용량의 MEGA-SIM 카드 또는 큰 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소프트 모듈들은 MEGA-SIM 카드 또는 큰 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면들 내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 및/또는 기능 블록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들,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본 출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그 임의의 적절한 조합들로서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도 및/또는 기능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또한,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프로세서들, DSP와 통신 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과 같은, 컴퓨팅 장비의 조합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관련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라 관련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구현들과 관련하여, 다음의 보완구성들이 추가로 개시된다.
보완구성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성된 빔 표시 장치로서,
비활성화 시그널링 또는 차회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활성화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된 모든 송신들은 동일한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하거나, 활성화 시그널링을 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결정된 각각의 공간 도메인 필터들 또는 송신 가설들을 사용한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단말 장비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송신 또는 수신하게 하도록 단말 장비에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활성화 시그널링은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활성화함 -을 포함하는 장치.
2. 보완구성 1에 있어서, 활성화 시그널링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이거나, SP-C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이거나, MAC-CE이거나, RRC 구성인 장치.
3. 보완구성 1에 있어서, 송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거나,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이거나, 업링크 송신에 기초한 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CSI) 리포트인 장치.
4. 보완구성 1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장비에 대한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파라미터들 또는 주기적으로 스케줄링된 파라미터들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장치.
5. 보완구성 4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은 정보 엘리먼트 rrc-ConfiguredUplinkGrant을 포함하고, 정보 엘리먼트 rrc-ConfiguredUplinkGrantsrs-ResourceIndicator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장치.
6. 보완구성 4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은 정보 엘리먼트 srs-ResourceIndicator을 포함하고, 정보 엘리먼트 srs-ResourceIndicator는 SRI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를 포함하는 장치.

Claims (8)

  1. 단말 장비에서 구성된 빔 표시와 관련된 장치로서,
    DCI 포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DCI 포맷은 PDSCH에 대한 2개 이상의 수신을 스케줄링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DCI 포맷과 상기 2개 이상의 수신 중 가장 이른 수신(earliest reception)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큰지 여부에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수신 중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이 상기 DCI 포맷에 의해 표시된 TCI 상태에 기초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욱 구성되고, 상기 스케줄링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큰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수신 중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은 상기 DCI 포맷에 의해 표시된 TCI 상태에 기초하고, 상기 가장 이른 수신 이외의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은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의 TCI 상태와 동일한 TCI 상태들에 기초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I 포맷은 셀 스케줄링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되거나, 반영구적 스케줄링-채널 상태 정보-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SP-C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고, 상기 DCI 포맷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되고, 상기 DCI는 송신 구성 표시(TCI) 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DCI 포맷과 가장 이른 수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의 TCI 상태가 상기 DCI를 운반하는 리소스 제어 세트(CORESET)에 의해 사용되는 TCI 상태와 동일하고, 상기 가장 이른 수신 이외의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이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의 TCI 상태와 동일한 TCI 상태에 기초한다는 이해; 또는
    상기 DCI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의 각각의 수신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CORESET에 의해 사용된 TCI 상태와 동일하고, 상기 CORESET는 상기 DCI를 운반하는 CORESET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DCI를 운반하는 상기 CORESET를 지칭하거나, 상기 CORESET는 상기 DCI를 운반하는 CORESE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 위치된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를 지칭한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상기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고, 상기 DCI 포맷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되고, 상기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DCI 포맷과 가장 이른 수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에 대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전의 수신들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의 TCI 상태가 상기 DCI를 운반하는 상기 CORESET의 상기 TCI 상태와 동일하고, 상기 가장 이른 수신 이외의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이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의 TCI 상태와 동일한 TCI 상태에 기초한다는 이해; 또는
    상기 DCI에 의해 표시된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에 대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전의 수신들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수신들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상기 CORESET는 상기 DCI를 운반하는 CORESET를 지칭하거나, 상기 CORESET는 상기 DCI를 운반하는 CORESE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 위치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를 지칭한다는 이해; 또는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의 각각의 수신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그리고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상기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고, 상기 DCI 포맷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되고, 상기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DCI 포맷과 상기 DCI 포맷에 의해 표시된 가장 이른 수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의 TCI 상태가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을 수신하기 위해 BWP 상에서 활성화된 TCI 상태들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가장 이른 수신 이외의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이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의 TCI 상태와 동일한 TCI 상태에 기초한다는 이해; 또는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의 각각의 수신의 TCI 상태가 대응하는 수신을 위한 슬롯에 대한 활성화된 TCI 상태들에 따른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상기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은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이고, 상기 DCI 포맷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되고, 상기 DCI는 TCI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DCI 포맷과 상기 DCI 포맷에 의해 표시된 가장 이른 수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에 대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전의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의 TCI 상태가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BWP 상에서 활성화된 TCI-상태들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가장 이른 수신 이외의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이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의 TCI 상태와 동일한 TCI 상태에 기초한다는 이해; 또는
    2개 이상의 수신에 대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전의 2개 이상의 수신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후의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의 각각의 수신의 TCI 상태가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을 위한 슬롯에 대한 활성화된 TCI 상태들에 따른다는 이해; 또는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의 각각의 수신의 TCI 상태가 가장 최근의 슬롯에서의 그리고 상기 DCI와 동일한 셀에서 활성화된 BWP에서의 가장 낮은 인덱스의 CORESET의 TCI 상태와 동일하다는 이해에 기초하여 상기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는, 장치.
  7.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구성된 빔 표시에 관련된 장치로서,
    DCI 포맷을 단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DCI 포맷은 상기 단말 장비의 PDSCH에 대한 2개 이상의 수신을 스케줄링하며,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DCI 포맷과 상기 2개 이상의 수신 중 가장 이른 수신 사이의 스케줄링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큰지 여부에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수신 중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이 상기 DCI 포맷에 의해 표시된 TCI 상태에 기초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스케줄링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큰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수신 중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은 상기 DCI 포맷에 의해 표시된 TCI 상태에 기초하고, 상기 가장 이른 수신 이외의 상기 2개 이상의 수신은 상기 가장 이른 수신의 TCI 상태와 동일한 TCI 상태들에 기초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CI 포맷은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되거나, SP-CSI-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되는, 장치.
KR1020237019233A 2018-05-10 2018-05-10 빔 표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650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86391 WO2019213921A1 (zh) 2018-05-10 2018-05-10 波束指示方法、装置和系统
KR1020207028950A KR102638069B1 (ko) 2018-05-10 2018-05-10 빔 표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950A Division KR102638069B1 (ko) 2018-05-10 2018-05-10 빔 표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188A true KR20230091188A (ko) 2023-06-22
KR102650985B1 KR102650985B1 (ko) 2024-03-26

Family

ID=684672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950A KR102638069B1 (ko) 2018-05-10 2018-05-10 빔 표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0237019233A KR102650985B1 (ko) 2018-05-10 2018-05-10 빔 표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950A KR102638069B1 (ko) 2018-05-10 2018-05-10 빔 표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38898B2 (ko)
EP (1) EP3793118A4 (ko)
JP (1) JP7413274B2 (ko)
KR (2) KR102638069B1 (ko)
CN (1) CN111869152B (ko)
WO (1) WO20192139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4616A (zh) * 2018-07-05 2022-05-27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JP2020047983A (ja) * 2018-09-14 2020-03-26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20087361A1 (zh) * 2018-10-31 2020-05-07 富士通株式会社 信号发送方法、天线面板信息的指示方法、装置和系统
US20210385849A1 (en) * 2018-10-31 2021-12-09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US11405153B2 (en) * 2020-01-02 2022-08-02 Shanghai Langbo Communication Technology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in a nod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5665872A (zh) * 2020-01-02 2023-01-3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EP3863211A1 (en) * 2020-02-04 2021-08-1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management and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1696301B2 (en) * 2020-04-21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figuring control resources using piggyback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S11711833B2 (en) 2020-06-29 2023-07-25 Qualcomm Incorporated Beams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CN115174015A (zh) * 2021-04-02 2022-10-11 展讯半导体(南京)有限公司 Spspdsch接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WO2023076285A1 (en) * 2021-10-25 2023-05-04 Satellite Biosciences, Inc. Engineered tissue constructs for the treatment of hyperammonemia
CN116264736A (zh) * 2021-12-10 2023-06-16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5541B (zh) * 2010-02-11 2017-09-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触发srs信号发送的方法以及设备
US8848673B2 (en) * 2011-12-19 2014-09-30 Ofinno Technologies, Llc Beam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KR101805338B1 (ko) * 2012-03-21 2017-12-0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및 무선 통신 방법
US9363683B2 (en) 2014-07-15 2016-06-07 Qualcomm Incorporated Asymmetric capability-driven methods for beam tracking in mm-wave access systems
WO2018059458A1 (zh) * 2016-09-30 2018-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准共址指示信息指示方法及设备
US11134492B2 (en) * 2017-04-12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recovery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WO2018204571A1 (en) * 2017-05-05 2018-11-08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performs beam reporting based on a combination of reference signal receive power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metrics
JPWO2019138531A1 (ja) * 2018-01-12 2021-01-2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1057166B2 (en) 2018-02-16 2021-07-06 Qualcomm Incorporated Virtual search spaces for beam indication
BR112020018519A2 (pt) * 2018-03-14 2020-12-29 Ntt Docomo, Inc. Terminal de usuário e método de radiocomunicação
WO2019192019A1 (en) * 2018-04-06 2019-10-10 Nokia Shanghai Bell Co., Lt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1277302B2 (en) * 2018-06-21 2022-03-15 Ofinno, Llc PUCCH based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4796* *
3GPP R1-1805104* *
3GPP R1-1805593* *
3GPP R1-1805690* *
3GPP R2-180622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846A (ko) 2020-11-20
KR102650985B1 (ko) 2024-03-26
KR102638069B1 (ko) 2024-02-20
EP3793118A1 (en) 2021-03-17
CN111869152A (zh) 2020-10-30
JP7413274B2 (ja) 2024-01-15
JP2021518086A (ja) 2021-07-29
EP3793118A4 (en) 2021-05-19
US20210022128A1 (en) 2021-01-21
WO2019213921A1 (zh) 2019-11-14
CN111869152B (zh) 2023-08-29
US11438898B2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8069B1 (ko) 빔 표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US11122560B2 (en) Uplink channe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downlink channe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99678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reporting with license-assisted access (LAA) uplink transmissions
CN111758233B (zh) 调度请求和ack/nack的优先化
US96867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WO2019092859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42341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210410124A1 (en) Signal reception or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US20210168636A1 (en) Method for assessing radio link quality,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apparatuses thereof and system
WO2017132986A1 (zh) 传输控制数据的方法和装置
US20220006686A1 (en) Beam failure recovery method and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23506128A (ja) 複数のアクティブグラント設定におけるタイマーハンドリング
US20190379519A1 (en) Confirmation apparatus for activation command, report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mode and methods thereof
KR20220076490A (ko) 무선 통신 방법,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20200120701A (ko) 채널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US202400156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and a system
JP7347664B2 (ja) 無線通信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KR20240068679A (ko)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N117479145A (zh) 一种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和芯片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